KR102598592B1 - 무동력 외풍 유입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무동력 외풍 유입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592B1
KR102598592B1 KR1020210122497A KR20210122497A KR102598592B1 KR 102598592 B1 KR102598592 B1 KR 102598592B1 KR 1020210122497 A KR1020210122497 A KR 1020210122497A KR 20210122497 A KR20210122497 A KR 20210122497A KR 102598592 B1 KR102598592 B1 KR 102598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ft
housing body
guide
fixed
ra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9323A (ko
Inventor
김상섭
Original Assignee
김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섭 filed Critical 김상섭
Priority to KR1020210122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592B1/ko
Publication of KR20230039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5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4Grilles, registers or guards with mounting arrangements, e.g. snap fasteners for mounting to the wall or duc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3Balconies; De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pivoting blades with intersecting ax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란다 난간에 하우징체를 걸어준 후 난간봉에 볼트고정하여 하우징체를 고정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설치성 향상은 물론 설치에 따른 작업성과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창문의 정면방향은 물론 창문의 측면방향으로 불어오는 외풍을 하우징체 내측으로 유입하여 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계절마다 달라지는 바람의 불어오는 방향에 관계없이 창문을 통해 외풍을 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으며 실내공기를 실외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어 실내의 환기성 및 통풍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간단한 구성에 의해 설치에 따른 비용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모터와 같은 전원구동체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전기료의 낭비를 방지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무동력 외풍 유입 가이드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무동력 외풍 유입 가이드장치{Non-power external wind inflow guide equipment}
본 발명은 무동력 외풍 유입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베란다 난간에 설치되어 계절풍에 의해 달라지는 풍향에 관계없이 실내측으로 외풍이 유입되도록 하여 실내 공기 순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무동력 외풍 유입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라 등 건물에 설치된 창문은 실내에서 실외를 관망할 수 있도록 하고, 실내에 자연채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 외에도 오염된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켜 주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창문은, 대개 일정한 크기의 창틀 프레임을 따라 창문이 슬라이딩 이동되는 미닫이 형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실내공기를 환기시킬 경우에는 창문을 개방하여 개방된 창문을 통해 실외공기 즉 외풍이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고 실내공기 즉 내풍이 실외로 배출되도록 하여 실내공기를 환기시키고 있다.
그러나, 개방된 창문을 통해 실내의 공기 배출은 큰 무리가 없는 반면, 실외공기인 외풍의 경우 창문의 정면측으로 불어오는 외풍은 실내측으로 쉽게 유입되는 반면에, 창문의 측면측으로 불어오는 외풍은 실내측으로 전혀 유입되지 않음에 따라 실외공기인 외풍의 유입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창문이 창틀에서 창문이 슬라이드 이송되도록 설치되는 여닫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실외부에서 바람의 풍향이 창문의 개폐방향 즉 창문의 측방향으로 불어오면 창문을 개방하더라도 바람이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거나 유입량이 저조한 실정이다.
더욱이, 우리나라의 경우 계절에 따라 풍향이 바뀌는 계절풍 즉, 봄철에 불어오는 따사로운 동풍, 여름철에 불어오는 뜨거운 남풍, 가을철에 불어오는 서늘한 서풍, 겨울철에 불어오는 차가운 북풍이 불어오기 때문에, 창문이 설치된 방향에 따라 사계절 모두 외풍을 실내측으로 유입시킴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강제적으로 실외공기인 외풍을 실내로 유입시키고 실내공기인 내풍을 실외로 배출하는 환기장치들이 설치되고 있으며,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예로, 등록특허 10-0826688호인 실내 공기순환 제어구조를 갖는 환기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외측면 좌측 및 우측에 외기흡입구 및 실내공개배출구가 연결되고 반대편 좌측 및 우측에 급기로와 연결되는 급기구 및 배기팬과 연결되는 배기구가 형성되며 내측에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공기순환부가 마련됨과 동시에 정면 내측 양쪽 상부 및 하부에 댐퍼가이드가 대향되게 부착되는 댐퍼제어챔버와, 상기 댐퍼가이드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운전모드에 따라 외기흡입구 및 실내공개배출구를 동시에 개폐시켜 주기 위해 설치되는 댐퍼와, 상기 댐퍼제어챔버의 정면 내측 중앙에 설치되고 정면 중앙 안쪽에 모터가 수용되며 후방에 공기순환부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경사진 형태로 측면에 통기구를 갖는 지지격벽이 일체로 형성되는 모터하우징과, 중앙이 모터축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는 구동링크 및 일단이 상기 구동링크의 양쪽에 각각 핀으로 절첩 가능하게 고정 설치됨과 동시에 타단이 댐퍼의 일측 중앙에 핀으로 고정되는 종동링크와, 운전모드 선택을 위한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외기흡입구측에 설치되는 온도센서 및 열교환기의 일측에 밀착 설치되는 에어필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쉽고 용이하게 외풍을 실내로 유입하고 내풍을 실외로 배출하여 실내 공기에 대한 환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구성이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설치비용에 큰 부담을 갖는 문제점이 있으며, 주기적으로 에어필터를 교체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유지보수비용이 추가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모터가 고장날 경우에는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전기적인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구성이 간단하며 설치된 창문의 정면방향은 물론 측면방향으로부터 불어오는 외풍을 실내로 유입시킴이 용이하도록 한 장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특허 10-0826688호(2008.04.24. 등록) 특허문헌 2 : 대한민국등록특허 10-0471113호(2005.02.01. 등록)
본 발명은 아파트 등 건물의 베란다 난간에 쉽고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견고한 설치가 가능하여 강풍에 의해 베란다 난간으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기적인 동력을 사용하지 않음은 물론, 창문의 정면방향은 물론 측면방향으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을 가이드하여 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는 무동력 외풍 유입 가이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무동력 외풍 유입 가이드장치는, 베란다 난간에 설치 고정되는 하우징체와, 상기 하우징체에 구비되는 복수개 외풍가이드체를 포함하는 무동력 외풍 유입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체는, 베란다 난간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각각 위치되고 양측지지편이 각각 절곡연장된 양측프레임과; 상기 양측프레임의 하단을 연결하고 하단지지편이 절곡연장된 하측프레임과; 상기 양측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고 상단지지편이 절곡연장된 상측프레임과; 상기 하측프레임에 하단이 각각 연결되고 상측프레임에 상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체의 내부를 구획하는 복수개 구획프레임과; 상기 상측프레임의 상단지지편에 일측이 용접 또는 볼팅고정되고 상기 상측프레임으로부터 절곡되어 베란다 난간에 걸어져 상기 하우징체를 1차 고정 지지하는 거치부와; 상기 양측프레임에 각각 구비된 양측지지편에 각각 일측이 고정볼트로 고정되어 베란다 난간의 난간봉에 걸어진 후 상기 고정볼트를 조여주는 동작에 의해 난간봉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체를 2차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 외풍가이드체는 각각, 상기 하우징체의 내부를 구획하는 복수개 구획프레임 사이사이에 각각 위치되고, 하단이 상기 하측프레임에 용접 또는 볼팅고정되고 상단이 상기 상측프레임에 용접 또는 볼팅고정되는 회전지지봉과; 상부힌지부와 하부힌지부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지지봉에 상부힌지부와 하부힌지부가 끼워지는 것에 의해 회전지지봉을 축으로 힌지회전되는 외풍가이드로 구비되고, 상기 외풍가이드는, 상기 하부힌지부와 상부힌지부가 각각 용접 또는 볼팅고정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일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체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판의 양방향으로 각각 외향절곡된 제1외풍가이드편 및 제2외풍가이드편과; 상기 가이드판의 내측에 통공되되 가이드판의 수직길이방향으로 통공되는 바람통과부로 구비된다.
본 발명은 베란다 난간에 하우징체를 걸어준 후 난간봉에 볼트고정하여 하우징체를 고정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설치성 향상은 물론 설치에 따른 작업성과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창문의 정면방향은 물론 창문의 측면방향으로 불어오는 외풍을 하우징체 내측으로 유입하여 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계절마다 달라지는 바람의 불어오는 방향에 관계없이 창문을 통해 외풍을 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으며 실내공기를 실외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어 실내의 환기성 및 통풍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간단한 구성에 의해 설치에 따른 비용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모터와 같은 전원구동체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전기료의 낭비를 방지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무동력 외풍 유입 가이드장치를 나타낸 일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무동력 외풍 유입 가이드장치를 나타낸 타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무동력 외풍 유입 가이드장치가 베란다 난간에 설치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무동력 외풍 유입 가이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무동력 외풍 유입 가이드장치의 구성요부 중 하나인 외풍 가이드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무동력 외풍 유입 가이드장치의 정면측으로 외풍이 유입되는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인 무동력 외풍 유입 가이드장치의 우측방향으로 불어오는 외풍의 유입되는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인 무동력 외풍 유입 가이드장치의 좌측방향으로 불어오는 외풍의 유입되는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인 무동력 외풍 유입 가이드장치의 다른 실시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인 무동력 외풍 유입 가이드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인 무동력 외풍 유입 가이드장치의 또 다른 실시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외풍 유입 가이드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베란다 난간(1)에 설치 고정되는 하우징체(10)와, 상기 하우징체(10)에 구비되는 복수개 외풍가이드체(20)를 포함하는 무동력 외풍 유입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란다 난간에 하우징체를 쉽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설치에 따른 작업성과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창문의 정면방향은 물론 창문의 측면방향으로 불어오는 외풍을 하우징체 내측으로 유입하여 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어, 계절마다 달라지는 바람의 불어오는 방향에 관계없이 창문을 통해 외풍을 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으며 실내공기를 실외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어 실내의 환기성 및 통풍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설치에 따른 비용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모터와 같은 전원구동체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전기료의 낭비를 방지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체(10)는, 베란다 난간(1)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각각 위치되고 양측지지편(11a)이 각각 절곡연장된 양측프레임(11)과, 상기 양측프레임(11)의 하단을 연결하고 하단지지편(12a)이 절곡연장된 하측프레임(12)과, 상기 양측프레임(11)의 상단을 연결하고 상단지지편(13a)이 절곡연장된 상측프레임(13)과, 상기 하측프레임(12)에 하단이 각각 연결되고 상측프레임(13)에 상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체(10)의 내부를 구획하는 복수개 구획프레임(14)과, 상기 상측프레임(13)의 상단지지편(13a)에 일측이 용접 또는 볼팅고정되고 상기 상측프레임(13)으로부터 절곡되어 베란다 난간(1)에 걸어져 상기 하우징체(10)를 1차 고정 지지하는 거치부(15)와, 상기 양측프레임(11)에 각각 구비된 양측지지편(11a)에 각각 일측이 고정볼트(16a)로 고정되어 베란다 난간(1)의 난간봉(1a)에 걸어진 후, 상기 고정볼트(16a)를 조여주는 동작에 의해 난간봉(1a)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체(10)를 2차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16)로 구비된다.
상기 양측프레임(11)과 하측프레임(12), 상측프레임(13)은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하는 위치에 연결고정편(미부호)을 밀착시킨 후 서로에 대해 볼팅결합하거나 또는 용접작업에 의해 고정 연결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 구획프레임(14) 역시 하우징체(10)의 하측프레임(12)에 하단이 밀착되고 상측프레임(13)에 상단이 밀착된 상태로 볼트 또는 용접 고정된다.
상기 양측프레임(11)의 양측지지편(11a)과 하측프레임(12)의 하측지지편(12a) 및 상측프레임(13)의 상측지지편(13a)은, 각각 상기 하우징체(10)가 베란다 난간(1)에 하우징체(10)의 거치부(15)가 거치되었을 때 베란다 난간(1)의 난간봉(1a)에 밀착되어 하우징체(10)를 지지하는 것으로, 이와 같이 베란다 난간(1)의 난간봉(1a)에 상기 양측지지편(11a)과 하측지지편(12a) 및 상측지지편(13a)이 밀착되기 때문에 하우징체(10)의 들뜸과 유동을 방지하여 줌에 따라 하우징체(10)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준다.
더욱이, 상기 고정부(16)에 의해 하우징체(10)가 난간봉(1a)에 밀착 고정될 때 상기 양측지지편(11a)과 하측지지편(12a) 및 상측지지편(13a)이 난간봉(1a)에 밀착됨에 따라 하우징체(10)에 대한 견고한 고정 및 지지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강풍이 불더라도 하우징체(10)가 흔들거리거나 유동되는 것과 하우징체(10)가 베란다 난간(1)으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하우징체(10)의 거치부(15)가 베란다 난간(1)에 거치되고 베란다 난간(1)의 난간봉(1a)에 상기 고정부(16)가 끼워진 후 고정되기 때문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란다 난간(1)의 외측에 하우징체(10)가 위치됨에 따라 베란다 창문을 열고 닫음에 전혀 간섭을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겨울철의 경우 실내 환기를 진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실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베란다 창문을 닿을 때 창문의 열고 닫음에 전혀 간섭을 받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복수개 외풍가이드체(20)는 각각, 상기 하우징체(10)의 내부를 구획하는 복수개 구획프레임(14) 사이사이에 각각 위치되고, 하단이 상기 하측프레임(12)에 용접 또는 볼팅고정되고 상단이 상기 상측프레임(13)에 용접 또는 볼팅고정되는 회전지지봉(21)과, 상부힌지부(22)와 하부힌지부(23)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지지봉(21)에 상부힌지부(22)와 하부힌지부(23)가 끼워지는 것에 의해 회전지지봉(21)을 축으로 힌지회전되는 외풍가이드(24)로 구비된다.
상기 외풍가이드(24)는, 회전지지봉(21)에 끼워지는 상부힌지부(22)와 하부힌지부(23)가 도시된 바와 같이 외풍가이드(24)에 볼트 또는 용접작업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외풍의 방향에 따라 회전지지봉(21)을 축으로 외풍가이드(24)가 힌지회전되어 불어오는 외풍을 하우징체(10)의 내측으로 가이드 유입한다.
본 발명의 상기 외풍가이드(24)는, 상기 하부힌지부(23)와 상부힌지부(22)가 각각 용접 또는 볼팅고정되는 가이드판(24a)과, 상기 가이드판(24a)의 일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체(10)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판(24a)의 양방향으로 각각 외향절곡된 제1외풍가이드편(24b) 및 제2외풍가이드편(24c)과, 상기 가이드판(24a)의 내측에 통공되되 가이드판(24a)의 수직길이방향으로 통공되는 바람통과부(24d)로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판(2a)에 통공된 바람통과부(24d)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판(24a)의 수직 길이방향으로 하나의 바람통과부(24d)가 구비되거나 또는 가이드판(24a)의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바람통과부(24d)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외풍가이드편(24b)과 제2외풍가이드편(24c)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절곡 구비되는 것으로, 이는 하우징체(10)에 대해 좌측방향으로 불어오는 외풍 및 우측방향으로 불어오는 외풍을 모두 가이드하여 하우징체(10)의 내측으로 가이드하여 유입시키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계절풍에 따라 하우징체(10)의 정면으로 불어오는 외풍은 물론 하우징체(10)의 좌축방향과 우측방향으로 각각 불어오는 외풍을 하우징체(10)의 내측으로 가이드하여 유입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외풍의 불어오는 방향에 관계없이 하우징체(10)의 내측방향으로 가이드하여 실내측으로 유입시킬 수 있어 실내 환기를 계절에 관계없이 실시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체(10)의 정면측으로 불어오는 외풍은 하우징체(10)의 내측으로 그대로 유입된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체(10)의 우측에서 불어오는 외풍은 하우징체(10)로부터 돌출된 외풍가이드(24)의 제2외풍가이드편(24c)에 부딪힌 후 외풍가이드(24)를 따라 하우징체(10)의 내측으로 가이드되어 외풍가이드(24)의 바람통과부(24d)를 통과하여 실내측으로 가이드 유입된다.
이 때, 제2외풍가이드편(24c)에 하우징체(10)의 우측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부딪히기 때문에 외풍가이드체(20)의 외풍가이드(24)는 회전지지봉(21)을 축으로 하여 하우징체(10)의 좌측방향으로 힌지 회전되어 위치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외풍가이드편(24c)에 의해 우측에서 불어오는 외풍을 쉽고 용이하게 하우징체(10)의 내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체(10)의 좌측에서 불어오는 외풍은 하우징체(10)로부터 돌출된 외풍가이드(24)의 제1외풍가이드편(24b)에 부딪힌 후 외풍가이드(24)를 따라 하우징체(10)의 내측으로 가이드되어 외풍가이드(24)의 바람통과부(24d)를 통과하여 실내측으로 가이드 유입된다.
이 때, 제1외풍가이드편(24b)에 하우징체(10)의 우측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부딪히기 때문에 외풍가이드체(20)의 외풍가이드(24)는 회전지지봉(21)을 축으로 하여 하우징체(10)의 우측방향으로 힌지 회전되어 위치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외풍가이드편(24b)에 의해 좌측에서 불어오는 외풍을 쉽고 용이하게 하우징체(10)의 내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 외풍가이드체(20)에 각각 구비되는 외풍가이드(24)를 회전시켜 외풍을 실내측으로 가이드 유입할 때 외풍가이드(24)의 회전동작이 모터 등 전기동력장치가 전혀 필요치 않음에 따라, 기존 실내 환기를 위해 환풍기를 가동할 때 사용되는 전력에 의해 부가되는 전기료에 의한 비용에 부담을 갖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모터 등 전기동력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소음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체(10)의 양측프레임(11)에는 각각, 상기 하우징체(10)의 측면방향으로 불어오는 외풍이 상기 양측프레임(11)을 통해 하우징체(10)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외풍유입구멍(17)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외풍유입구멍(17)의 하우징체(10)의 양측프레임(11)에 각각 구비됨에 따라 하우징체(10)의 우측방향 또는 좌측방향에서 불어오는 외풍이 상기 외풍유입구멍(17)을 통해 하우징체(10)의 내측으로 쉽게 유입될 수 있어 실내측으로 외풍을 용이하게 가이드하여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람통과부(24d)가 통공된 가이드판(24a)을 보강지지하여 상기 외풍가이드(24)가 흔들거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바람통과부(24d)의 수직방향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위치되어 바람통과부(24d)를 연결하는 복수개 보강대(25)가 구비된다.
상기 보강대(25)는, 바람통과부(24d)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가로질러 위치된 후 상기 가이드판(24a)에 볼팅 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보강대(25)가 바람통과부(24d)를 가로질러 복수개 구비되기 때문에 바람통과부(24d)가 내측에 수직 길이방향으로 통공된 외풍가이드(24)를 견고하게 지지보강할 수 있어 외풍이 실내측으로 가이드될 때 외풍가이드(24)가 흔들거리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체(10)가 걸어져 고정되는 베란다 난간(1)에는, 상기 베란다 난간(1)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어 용접 또는 볼팅고정에 의해 베란다 난간(1)에 고정된 후, 상기 하우징체(10)가 설치되는 설치고정대(3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설치고정대(30)가 구비됨에 따라, 예를 들어 하우징체(10)를 설치하고자 하는 창문에 베란다 난간(1)이 구비되어 있지 않을 경우, 창문이 설치된 벽면에 설치고정대(30)를 창문의 외측에 위치한 다음 창문의 가로방향으로 설치고정대(30)를 설치 한 후, 설치된 설치고정대(30)에 하우징체(10)를 끼워준 후 볼팅고정하면 된다.
또한, 하우징체(10)를 설치하고자 하는 베란다 난간(1)의 가로방향 길이가 짧을 경우 상기 설치고정대(30)를 베란다 난간(1)에 먼저 설치한 후 설치고정대(30)에 하우징체(10)를 끼워준 후 볼팅고정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베란다 난간 1a : 난간봉
10 : 하우징체 11 : 양측프레임
11a : 양측지지편 12 : 하측프레임
12a : 하단지지편 13 : 상측프레임
13a : 상단지지편 14 : 구획프레임
15 : 거치부 16 : 고정부
17 : 외풍유입구멍 20 : 외풍가이드체
21 : 회전지지봉 22 : 상부힌지부
23 : 하부힌지부 24 : 외풍가이드
24a : 가이드판 24b : 제1외풍가이드편
24c : 제2외풍가이드편 24d : 바람통과부
25 : 보강대 30 : 설치고정대

Claims (3)

  1. 베란다 난간(1)에 설치 고정되되 베란다 난간(1)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각각 위치되고 양측지지편(11a)이 각각 절곡연장된 양측프레임(11)과, 상기 양측프레임(11)의 하단을 연결하고 하단지지편(12a)이 절곡연장된 하측프레임(12)과, 상기 양측프레임(11)의 상단을 연결하고 상단지지편(13a)이 절곡연장된 상측프레임(13)과, 상기 하측프레임(12)에 하단이 각각 연결되고 상측프레임(13)에 상단이 각각 연결되어 하우징체(10)의 내부를 구획하는 복수개 구획프레임(14)과, 상기 상측프레임(13)의 상단지지편(13a)에 일측이 용접 또는 볼팅고정되고 상기 상측프레임(13)으로부터 절곡되어 베란다 난간(1)에 걸어져 상기 하우징체(10)를 1차 고정 지지하는 거치부(15)로 구비되는 하우징체(10)와, 상기 하우징체(10)에 복수개 구비되고 각각, 상기 하우징체(10)의 내부를 구획하는 복수개 구획프레임(14) 사이사이에 각각 위치되고, 하단이 상기 하측프레임(12)에 용접 또는 볼팅고정되고 상단이 상기 상측프레임(13)에 용접 또는 볼팅고정되는 회전지지봉(21)과; 상부힌지부(22)와 하부힌지부(23)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지지봉(21)에 상부힌지부(22)와 하부힌지부(23)가 끼워지는 것에 의해 회전지지봉(21)을 축으로 힌지회전되는 외풍가이드(24)로 구비되는 복수개 외풍가이드체(20)를 포함하는 무동력 외풍 유입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체(10)에는,
    상기 양측프레임(11)에 각각 구비된 양측지지편(11a)에 각각 일측이 고정볼트(16a)로 고정되어 베란다 난간(1)의 난간봉(1a)에 걸어진 후, 상기 고정볼트(16a)를 조여주는 동작에 의해 난간봉(1a)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체(10)를 2차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16)가 구비되고,
    상기 외풍가이드(24)는,
    상기 하부힌지부(23)와 상부힌지부(22)가 각각 용접 또는 볼팅고정되는 가이드판(24a)과, 상기 가이드판(24a)의 일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체(10)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판(24a)의 양방향으로 각각 외향절곡된 제1외풍가이드편(24b) 및 제2외풍가이드편(24c)과, 상기 가이드판(24a)의 내측에 통공되되 가이드판(24a)의 수직길이방향으로 통공되는 바람통과부(24d)로 구비되며,
    상기 바람통과부(24d)가 통공된 가이드판(24a)을 보강지지하여 상기 외풍가이드(24)가 흔들거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바람통과부(24d)의 수직방향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위치되어 바람통과부(24d)를 연결하는 복수개 보강대(2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외풍 유입 가이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체(10)가 걸어져 고정되는 베란다 난간(1)에는,
    상기 베란다 난간(1)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어 용접 또는 볼팅고정에 의해 베란다 난간(1)에 고정된 후, 상기 하우징체(10)가 설치되는 설치고정대(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외풍 유입 가이드장치.
KR1020210122497A 2021-09-14 2021-09-14 무동력 외풍 유입 가이드장치 KR102598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497A KR102598592B1 (ko) 2021-09-14 2021-09-14 무동력 외풍 유입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497A KR102598592B1 (ko) 2021-09-14 2021-09-14 무동력 외풍 유입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323A KR20230039323A (ko) 2023-03-21
KR102598592B1 true KR102598592B1 (ko) 2023-11-07

Family

ID=85801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497A KR102598592B1 (ko) 2021-09-14 2021-09-14 무동력 외풍 유입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59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879B1 (ko) * 2020-09-09 2021-06-23 한국토지주택공사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세대별 소음저감 루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113B1 (ko) 2002-06-27 2005-03-08 주식회사 태림공조 실내공기 순환시스템
KR100826688B1 (ko) 2006-12-18 2008-04-30 주식회사 벽산 실내 공기순환 제어구조를 갖는 환기장치
KR20190015943A (ko) * 2017-08-07 2019-02-15 이은경 풍향 유도장치
KR20190036187A (ko) * 2017-09-27 2019-04-04 고윤한 방충망 고정용 바람유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879B1 (ko) * 2020-09-09 2021-06-23 한국토지주택공사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세대별 소음저감 루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323A (ko) 202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33861A1 (en) Vertical Door Fan Shutter
KR100399310B1 (ko)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환기 창호
KR100540272B1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JP2014521916A (ja) 埋込式中空プロファイル
KR200424420Y1 (ko) 환기기능을 갖는 에어컨 실외기 일체형 창호시스템
KR20080015230A (ko) 에너지절약형 무동력 상변화방식 이중 창호.
KR102598592B1 (ko) 무동력 외풍 유입 가이드장치
KR100697839B1 (ko)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환기 창호
JP2014190633A (ja) 室外ユニットカバー装置
DK180278B1 (en) A roof window system comprising a ventilation assembly with an exhaust device
KR100665624B1 (ko) 공기의 순환 및 배출기능을 갖는 막 구조물용 송풍장치
JP5271681B2 (ja) 換気設備
KR100893073B1 (ko) 발코니 결로 방지 기능이 통합된 욕실 환기 시스템
KR200404269Y1 (ko)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환기 창호
KR102334510B1 (ko) 조립성이 향상된 태양광 발전용 루버창호
KR100628982B1 (ko) 자동환기 기능이 구비된 창호
JP3366992B1 (ja) 自動換気装置付き建具及びそれに使用するガラリ
KR200238298Y1 (ko)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환기 창호
JP4866024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構造
CN220380019U (zh) 一种排湿烘干热泵机组
KR102647611B1 (ko) 실외기실 자동 환기시스템
KR102600971B1 (ko) 실외기실 환기시스템
KR200404270Y1 (ko) 착탈이 가능한 환풍수단이 구비된 다기능 환기 창호
KR200303992Y1 (ko) 지붕설치용 환기장치
CN212362326U (zh) 具有防护功能的通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