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590B1 - 다목적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다목적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590B1
KR102598590B1 KR1020210094673A KR20210094673A KR102598590B1 KR 102598590 B1 KR102598590 B1 KR 102598590B1 KR 1020210094673 A KR1020210094673 A KR 1020210094673A KR 20210094673 A KR20210094673 A KR 20210094673A KR 102598590 B1 KR102598590 B1 KR 102598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portion
food
container member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3784A (ko
Inventor
조상원
Original Assignee
조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원 filed Critical 조상원
Priority to KR1020210094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590B1/ko
Publication of KR20230013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5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65D45/16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 B65D45/18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of snap-over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2Bowl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의 보관이 필요할 시에는 뚜껑과 결합됨으로써 음식물이 신선하게 유지될 수 있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조리가 필요할 시에는 손잡이를 이용함으로써 용기에 보관되어 있는 음식물에 그대로 열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야외 캠핑 시에 다른 조리기구 없이도 편리하게 음식을 조리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Description

다목적 밀폐용기{MULTI-PURPOSE AIRTIGHT CONTAINER}
본 발명은 다목적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해 뚜껑이 용기에 긴밀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이용하는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목적 밀폐용기는 손잡이가 용기에 결합되는 것을 통해서 용기에 보관되어 있는 음식물을 바로 조리할 수 있어 유용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이 상하지 않게 유지하기 위해 밀폐용기에 담아서 보관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밀폐용기는 뚜껑과 용기로 구성되어 상하로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밀폐용기는 단순히 음식물을 보관하는 용도로 쓰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열을 가하는 조리 시에 음식물을 다른 조리기구에 옮기는 과정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사용자가 야외에서 취사와 취식을 하는 경우에는 여러 개의 조리기구를 구비해야 한다. 이러한 번거로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다용도의 조리기구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38610호(이하 ‘문헌 1’)의 “열전도체가 구비된 식품저장용기” 발명은 내부에 삽입된 열전도체를 용기를 제시하고 있다.
문헌 1 발명의 경우, 식품을 가열할 시에 중심 및 바깥쪽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동시에 열기를 전달할 수 있으나, 열전도체로부터 발생되는 열기는 온도가 제한적인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3890호(이하 ‘문헌 2’)의 “음식물보관용 밀폐용기”에서는 음식물을 옮겨 데워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 가능한 내열용기를 제시하고 있다.
문헌 2 발명의 경우, 무기재료인 유리나 도자기를 사용함으로써 환경호르몬이 음식물에 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이러한 재질의 사용은 조리 시에 편리성을 반감시키며 제작비용이 높을 수 있다.
또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2226호(이하 ‘문헌 3’)의 “내열 유리를 이용한 결착식 밀폐 용기” 발명은 열팽창률이 낮아 급격한 냉온 과정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지 않은 용기를 제시하고 있다.
문헌 3 발명의 경우, 고규산 유리 및 붕규산염 유리 등의 내열 유리를 이용함으로써 용기 내의 음식물이 조리될 수 있으나, 가열 시에 몸체부를 제외한 뚜껑부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5402호(이하 ‘문헌 4’)의 “발열 용기”에서는 발열 수단을 내장하거나 부착하여 용기 자체를 발열시키도록 하는 용기를 볼 수 있다.
문헌 4 발명의 경우, 다른 용기로 옮기는 과정 없이 용기 자체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가열시킬 수 있으나, 발열 수단은 직접적으로 음식물이 담아지기 때문에 빈번한 발열 수단의 세척에 의해 내구성이 약해질 수 있다.
<배경기술문헌>
(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38610호
(문헌 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3890호
(문헌 3)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2226호
(문헌 4)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5402호
본 발명은 기존 밀폐용기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밀폐부재가 용기부재에 긴밀하게 결합됨으로써 용기 내부에 있는 음식물이 신선하게 저장 및 보관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용기부재의 일측면에 불소수지가 코팅됨으로써 용기부재 내에 있는 음식물에 열을 가하기 위해 다른 조리기구에 옮기지 않고 즉시 열이 가해질 수 있는 용기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야외에서 캠핑 시에 여러 조리기구들을 챙겨야 하는 번거로움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용기부재에 체결부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는 핸들부재를 통해서 용기부재 자체를 이동시키거나 용기부재 내에 있는 음식물이 조리될 시에 사용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용기 내부에 있는 격벽을 통해서 용기 내에 여러 분할된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여러 종류의 음식물이 동시에 보관 및 조리가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 음식물이 보관되거나 저장되는 용기부재(10); 용기부재(10) 내에 있는 음식물을 밀폐시켜 보관하기 위한 밀폐부재(20); 용기부재(10)를 간접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핸들부재(30); 및 용기부재(10) 내에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이 동시에 보관되거나 저장되기 위한 격벽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용기부재(10)는 사용자로 하여금 음식물이 보관되거나 저장되기 위해 형성되는 제1몸체부(10-1); 제1몸체부(10-1) 내에 있는 음식물이 용기부재(10) 내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제2몸체부(10-2); 밀폐부재(20)와 용기부재(10)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수용부(10-3); 및 제1수용부(10-3)와 제2몸체부(10-2) 사이에 형성되는 제2수용부(1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제1몸체부(10-1), 제2몸체부(10-2), 제1수용부(10-3) 또는 제2수용부(10-4)는 용기부재(10) 내에 있는 음식물이 보관되거나 조리되기 위해 알루미늄, 철, 스테인리스, 법랑, 세라믹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제1베이스층(10-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밀폐부재(20)는 상부가 개방되는 용기부재(10) 내로 외부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제1패널(20-1); 제1패널(20-1)이 지지되도록 제1패널(20-1)의 외연(外緣)에 형성되는 제2패널(20-2); 밀폐부재(20)가 용기부재(10) 상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밀폐부(20-3); 제1밀폐부(20-3)의 회전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형성되는 제2밀폐부(20-4); 용기부재(10) 내부가 밀폐되도록 형성되는 제3밀폐부(20-5); 밀폐부재(20)가 용기부재(10) 상측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제1결합부(20-6); 및 밀폐부재(20)가 용기부재(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제2결합부(20-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핸들부재(3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핸들부재를 이용하기 위해 형성되는 헤드부(30-1); 체결부(30-4)가 헤드부(30-1) 측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제1작동부(30-2); 용기부재(10)와 체결부(30-4)의 결합이 해제되기 위한 제2작동부(30-3); 및 용기부재(10)에 핸들부재(30)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체결부(3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세한 발명의 구성은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화된다.
본 발명은 내부에 음식물이 포함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용기부재와 이를 밀폐시킬 수 있는 밀폐부재와 결합됨으로써 음식물이 장기간 동안 신선하게 보관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조리기구가 구비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열을 가해 음식물이 조리되기 위해 불소수지가 용기부재에 코팅됨으로써 음식물이 신속하게 조리될 수 있다.
나아가, 용기부재에 체결부를 통해서 손잡이를 결합시킴으로써 용기부재를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용기 내에 있는 음식물에 열을 가하는 상태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열에 의해 화상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격벽을 통해서 용기 내부에 형성된 여러 공간들은 사용자로 하여금 동시에 여러 음식들이 보관 및 조리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조리 시간 등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목적 밀폐용기의 원형의 용기와 뚜껑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목적 밀폐용기의 직사각형의 용기와 뚜껑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목적 밀폐용기의 정사각형의 용기와 뚜껑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목적 밀폐용기의 용기와 뚜껑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목적 밀폐용기의 실시예 1 용기부재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목적 밀폐용기의 실시예 2 용기부재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목적 밀폐용기의 실시예 3 용기부재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목적 밀폐용기에 체결식 손잡이가 부가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목적 밀폐용기 내부가 고정식 격벽으로 분할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목적 밀폐용기 내부가 탈착식 격벽으로 분할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목적 밀폐용기에 끼움식 손잡이가 부가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목적 밀폐용기에 제3베이스층이 부가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원형의 용기의 실제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사각형의 용기의 실제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용기부재; 10-1: 제1몸체부; 10-2: 제2몸체부; 10-3: 제1수용부; 10-4: 제2수용부; 10-5: 제1베이스층; 10-6: 제2베이스층; 10-7: 코팅층; 10-8: 제3베이스층
20: 밀폐부재; 20-1: 제1패널; 20-2: 제2패널; 20-3: 제1밀폐부; 20-4: 제2밀폐부; 20-5: 제3밀폐부; 20-6: 제1결합부; 20-7: 제2결합부
30: 핸들부재; 30-1: 헤드부; 30-2: 제1작동부; 30-3: 제2작동부; 30-4: 체결부; 30-5: 제1체결홈; 30-6: 연결부; 30-7: 제2체결홈; 30-8: 돌출부; 30-9: 지지부
40: 격벽부재; 40-1: 제3몸체부; 40-2: 제4몸체부; 40-3: 제3수용부; 40-4: 제4수용부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 특징들, 실시예들 또는 구현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다양한 조합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청구범위에 의해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고,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사람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밀폐용기는 뚜껑과 결합되어 음식물을 보관하거나 조리가 필요할 시에 열이 가해짐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다목적 밀폐용기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이 장기간 동안 보관되기 위해 용기부재(10) 및 밀폐부재(2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용기부재(10)는 제1몸체부(10-1), 제2몸체부(10-2), 제1수용부(10-3) 및 제1베이스층(10-5)이 더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1몸체부(10-1)는 음식물이 수용되도록 일정한 면적이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몸체부(10-1)는 음식물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평평한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제1몸체부(10-1)가 음식물이 접촉하는 측면의 반대측이 물결, 지그재그 또는 계단식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용기부재(10)가 특정한 위치에 보관될 시에 사용자로 하여금 용기부재(10)가 미끄러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부(10-1)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용기부재(10)에 담기는 음식물의 종류 및 양에 따라서 다양한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몸체부(10-1)는 원형이나 타원형이 아닌 장방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2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부(10-1)는 두 쌍의 마주 보는 변이 서로 평행하며 길이가 각각 같은 직사각형 또는 평행사변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그치지 않고, 도 3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부(10-1)는 4개의 변의 길이가 모두 동일하며 내각이 모두 직각인 정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각과 변의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다양한 형태의 용기부재(10)를 이용함으로써, 음식물의 종류를 구분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음식물의 양이나 크기에 구애받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제2몸체부(10-2)는 음식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제1몸체부(10-1)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몸체부(10-2)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제1몸체부(10-1)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몸체부(10-2)의 모양은 제1몸체부(10-1)에 따라 형성되고, 상부로 연장될수록 둘레의 사이즈가 제2몸체부(10-2) 하부의 둘레와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자세히 설명하면, 용기부재(10)에 담는 음식물의 종류나 양에 따라서, 제2몸체부(10-2) 상부의 둘레는 하부보다 증가, 동일하거나 감소될 수 있으나, 보관하는 음식물의 양이 제한되지 않도록 제2몸체부(10-2) 상부의 둘레는 증가되거나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몸체부(10-2)의 높이는 용기부재(10)가 보관되는 용도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담기는 음식물의 종류나 양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음식물을 자르거나 나누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용기부재(10)에 담을 수 있어 번거로움을 겪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수용부(10-3)는 용기부재(10)와 밀폐부재(20)가 결합되도록 제2몸체부(10-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수용부(10-3)는 용기부재(10)의 말단에 테두리 형태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후술될 제1결합부(20-6)와 끼움형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수용부(10-3)는 제2몸체부(10-2)와 동일한 모양으로 가질 수 있으며, 제2몸체부(10-2)의 둘레 길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돌출되어 있는 제1수용부(10-3)를 잡아서 드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용기부재(10)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제1몸체부(10-1), 제2몸체부(10-2) 또는 제1수용부(10-3)가 음식물이 장기간 동안 보관되도록 제1베이스층(10-5)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베이스층(10-5)의 재질은 알루미늄, 철, 스테인리스, 법랑, 세라믹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인체에 무해하며 충격에 의해 최소한으로 손상이 발생되는 재질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용기부재(10)의 내구성이 강화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장기간 동안 교체 없이 음식물을 신선하게 저장 및 보관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베이스층(10-5)은 열전도율과 열보존율이 높아 용기부재(10)의 음식물이 열원을 통해서 조리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밀폐부재(20)는 제1패널(20-1), 제2패널(20-2), 제1밀폐부(20-3), 제2밀폐부(20-4), 제3밀폐부(20-5), 제1결합부(20-6) 및 제2결합부(20-7)가 더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제1패널(20-1)은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 제2몸체부(10-2)가 밀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패널(20-1)은 일정한 면적이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패널(20-1)이 반구 형태로 상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됨으로써, 용기부재(10) 내에 있는 음식물이 제1수용부(10-3) 선상을 넘어서 담긴 상태에서도 용기부재(10)와 밀폐부재(2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제1패널(20-1)의 돌출된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반하여, 제1패널(20-1)이 반구 형태로 하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됨으로써, 용기부재(10) 내에 있는 음식물이 보관되어 있는 동안 흔들림이 최소화되도록 고정시킬 수 있으며, 제1패널(20-1)의 돌출된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용기부재(10)와 밀폐부재(20) 사이에 담긴 음식물의 형태 변형을 최소화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제1패널(20-1)의 재질은 플라스틱, 알루미늄, 실리콘, 금속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충격이 흡수될 수 있는 재질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2패널(20-2)은 제1패널(20-1)이 지지되도록 제1패널(20-1)의 외연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패널(20-2)은 제1패널(20-1)의 외연이 보호되도록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2패널(20-2)의 둘레는 제1수용부(10-3)의 둘레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용기부재(10)의 상측은 밀폐될 수 있으며, 용기부재(10) 내에 있는 음식물은 외부 물질로부터 차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밀폐부(20-3)는 용기부재(10)와 밀폐부재(20)의 결합이 조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1밀폐부(20-3)의 일측은 제2패널(20-2) 외면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밀폐부(20-3)의 타측은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밀폐부(20-3)는 제2패널(20-2)과 연결된 면을 중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으며, 회전되는 각도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밀폐부(20-3)는 제2패널(20-2)의 외연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으로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밀폐부(20-3)는 타측에 제2밀폐부(20-4)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밀폐부(20-4)는 제2패널(20-2)이 위치하는 반대측에 제1밀폐부(20-3)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밀폐부(20-4)는 제1밀폐부(20-3)가 회전될 시에 동일하게 회전될 수 있으며, 제1밀폐부(20-3)가 회전되지 않을 시에도 제1밀폐부(20-3)와 연결된 면을 중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으며, 회전되는 각도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4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용기부재(10)를 밀폐시키기 위해 제1밀폐부(20-3)를 용기부재(10) 측으로 회전시킨 후에 제2밀폐부(20-4)를 동일한 방향으로 더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패널(20-1)과 제2패널(20-2)은 용기부재(10) 상측을 더욱 감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밀폐부(20-3)와 제2밀폐부(20-4)는 제2패널(20-2)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회전이 용이하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는 면은 부분적으로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3밀폐부(20-5)는 팽창과 수축이 용이하며 제2패널(20-2)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밀폐부(20-5)는 제2패널(20-2)에 내입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패널(20-2)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밀폐부(20-5)의 재질은 NR(Natural Rubber), BR(Butadiene Rubber), AR(Acrylic Rubber) 또는 Q(Silicone Rubber)가 될 수 있으나, 이렇게 예시된 물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 통해, 제3밀폐부(20-5)는 용기부재(10)와 밀폐부재(20)가 결합될 시에는 제1수용부(10-3)와 접촉하면서 가압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약간의 수축이 발생되며, 제3밀폐부(20-5)는 제1수용부(10-3)와 긴밀하게 맞닿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용기부재(10) 내부의 공간은 외부로부터 완전히 밀폐됨으로써, 내부에 담겨 있는 음식물이 신선하게 냉장고 등에 넣어 보관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제3밀폐부(20-5)는 용기부재(10)와 밀폐부재(20)의 결합이 해제될 시에는 제1수용부(10-3)에 의해 가압되는 것이 사라짐으로써, 약간의 팽창이 발생되며, 제3밀폐부(20-5)는 원래의 상태도 되돌아올 수 있다.
이러한 제3밀폐부(20-5)는 팽창과 수축을 통해 용기부재(10)와 밀폐부재(20) 사이에 빈틈없이 결합되게 할 수 있으며, 내구성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제1결합부(20-6)는 밀폐부재(20)가 용기부재(10)에 고정되도록 제1밀폐부(20-3) 또는 제2밀폐부(20-4)의 일측 또는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4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20-6)는 고리 형식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제1수용부(10-3)가 제2몸체부(10-2)와 연결되어 있는 제1수용부(10-3)의 빈 공간에 내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결합부(20-6)는 제1밀폐부(20-3), 제2밀폐부(20-4) 또는 제3밀폐부(20-5)가 가압됨으로써 제1수용부(10-3)와 위치적으로 가까워지면서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용기부재(10)와 밀폐부재(20)가 결합 후 고정됨으로써 용기를 자주 이동시켜도 밀폐부재(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결합부(20-7)는 제1패널(20-1)의 하측에 돌출 형성됨으로써 제2몸체부(10-2)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결합부(20-7)는 용기부재(10)와 밀폐부재(20)가 결합될 시에 용기부재(10) 내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밀폐부재(20)는 제1수용부(10-3)에 긴밀하게 접촉됨으로써 용기부재(10)의 내부를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이 장기간 동안 보관되기 위해 용기부재(10)는 제2수용부(10-4)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수용부(10-4)는 제2몸체부(10-2) 상측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2수용부(10-4)의 하측면은 제2몸체부(10-2)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측면은 제1수용부(10-3)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 1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수용부(10-4)는 곡선의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각이나 다양한 각도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수용부(10-4)는 제2몸체부(10-2)와 제1수용부(10-3) 사이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제2수용부(10-4)는 용기부재(10)의 외면을 매끄러운 형태부터 울퉁불퉁한 형태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용기부재(10)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수용부(10-4)가 음식물이 장기간 동안 보관되도록 제1베이스층(10-5)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베이스층(10-5)의 재질은 알루미늄, 철, 스테인리스, 법랑, 세라믹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인체에 무해하며 충격에 의해 최소한으로 손상이 발생되는 재질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용기부재(10)의 내구성이 더욱 강화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장기간 동안 교체 없이 음식물을 신선하게 저장 및 보관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20-6)는 고리 형식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제1수용부(10-3)가 제2몸체부(10-2) 또는 제1수용부(10-4)와 연결되어 있는 제1수용부(10-3)의 빈 공간에 내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결합부(20-6)는 제3밀폐부(20-5)가 가압됨으로써 제1수용부(10-3)와 위치적으로 가까워지면서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용기부재(10)와 밀폐부재(20)가 결합 후 고정됨으로써 용기를 자주 이동시켜도 밀폐부재(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결합부(20-7)는 제1패널(20-1)의 하측에 돌출 형성됨으로써 제2몸체부(10-2) 또는 제2수용부(10-4)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결합부(20-7)는 용기부재(10)와 밀폐부재(20)가 결합될 시에 용기부재(10) 내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밀폐부재(20)는 제2수용부(10-4)에 긴밀하게 접촉됨으로써 용기부재(10)의 내부를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다.
<실시예 3>
도 4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이 안전하게 장기간 동안 보관되기 위해 용기부재(10)의 내구성이 강화되기 위해 제2베이스층(10-6)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먼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베이스층(10-6)은 제1베이스층(10-5) 상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베이스층(10-6)의 재질은 알루미늄, 철, 스테인리스, 법랑, 세라믹 등일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하며 충격에 의해 최소한으로 손상이 발생되는 재질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베이스층(10-6)은 위 재질 중 제1베이스층(10-5)로 선택되는 재질을 제외한 것으로 선택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베이스층(10-5)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시에는 제2베이스층(10-6)은 알루미늄을 제외한 철, 스테인리스, 법랑, 세라믹 중에서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용기부재(10)는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지는 제1베이스층(10-5)과 제2베이스층(10-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복수 층으로 형성됨으로써, 용기부재(10)는 단층으로 형성되는 것보다 내구성이 강화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에 의한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용기부재(10) 내에 있는 음식물은 복수 층을 통해서 장기간 동안 신선하게 보관 및 유지될 수 있다.
<실시예 4>
도 4 및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재(10) 내에 있는 음식물이 조리되기 위해 코팅층(10-7)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코팅층(10-7)은 용기부재(10)의 제1베이스층(10-5)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층(10-7)은 제1베이스층(10-5)과 복수 층을 이루는 제2베이스층(10-6) 상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팅층(10-7)의 재질은 불소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 fluoroethylene),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케인(perfluoroalkoxy alkane), 폴리크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olychlorotrifluoroethylene) 또는 폴리비니리덴포르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테플론(Teflon)이라 불리며 상도용으로 가장 적합한 물성을 가지고 있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 fluoroethylene)일 수 있다.
이러한 불소수지는 내열성과 전기절연성이 높고 접착성과 점착성이 없음으로, 이러한 코팅층(10-7)은 용기부재(10)의 내측면에 위치됨으로써, 용기부재(10)가 높은 논스틱(non-stick)성을 가지게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용기부재(10) 내에 있는 음식물을 그대로 가스레인지 등과 같은 열이 발생하는 곳에 배치함으로써 신속하게 조리할 수 있다.
또한, 불소수지가 용기부재(10) 내측면에 코팅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기름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음식물은 용기부재(10)에 달라붙지 않고 열이 가해질 수 있다.
더욱이, 코팅층(10-7)에 접촉되는 음식물은 제1베이스층(10-5) 또는 제2베이스층(10-6)과 직접적으로 만나지 않아 인체 유해성 물질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용기부재(10)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실시예 5>
도 7 및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재(10)를 용이하게 이동하고 용기부재(10) 내에 있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용기부재(10)는 헤드부(30-1)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용기부재(10) 내에 있는 음식물이 밀폐부재(20)를 통해 보관되고 있는 상태일 시에는, 밀폐부재(20)와 용기부재(10)의 결합이 제거되고 하나 이상의 헤드부(30-1)가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헤드부(30-1)는 제1작동부(30-2), 제2작동부(30-3), 체결부(30-4) 및 제1체결홈(30-5)이 더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다.
먼저, 헤드부(30-1)는 코팅층(10-7)이 포함되는 용기부재(10)가 간접적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헤드부(30-1)는 일정한 길이의 봉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판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헤드부(30-1)는 사용자는 손이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열전도율이 낮은 목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사용자는 손을 통해 직접적으로 핸들부재(30)를 이용하기 때문에 핸들부재(30)를 효율적으로 잡기 위해 헤드부(30-1) 외면에 손 모양과 유사한 굴곡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작동부(30-2)는 용기부재(10)와 핸들부재(30)의 결합이 조절되도록 헤드부(30-1)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1작동부(30-2)는 헤드부(30-1) 하측에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제1작동부(30-2)가 상측으로 이동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제2작동부(30-3)는 용기부재(10)와 핸들부재(30)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헤드부(30-1)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작동부(30-3)는 제1작동부(30-2)가 헤드부(30-1) 하측에 인입될 시에 헤드부(30-1)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2작동부(30-3)가 헤드부(30-1) 내측에 인입됨으로써 제1작동부(30-2)가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작동에 의해 제1작동부(30-2)는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헤드부(30-1) 내에 인입됨으로써, 제2작동부(30-3)는 돌출되며, 후술될 체결부(30-4)는 헤드부(30-1)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도 8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작동에 의해 제2작동부(30-3)가 헤드부(30-1) 내측으로 인입됨으로써, 제1작동부(30-2)는 하측으로 이동되며, 체결부(30-4)는 헤드부(30-1) 반대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체결부(30-4)는 제2몸체부(10-2) 또는 제2수용부(10-4)에 접촉되도록 헤드부(30-1) 일측 또는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체결부(30-4)가 헤드부(30-1) 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체결부(30-4)와 헤드부(30-1) 사이에 제2몸체부(10-2), 제1수용부(10-3) 또는 제2수용부(10-4)가 위치되도록 하여 용기부재(10)와 핸들부재(3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헤드부(30-1)를 잡음으로써 용기부재(10)를 열이 있는 곳으로 이동시켜 용기부재(10) 내에 있는 음식물을 효율적으로 조리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체결부(30-4)가 헤드부(30-1) 반대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체결부(30-4)와 헤드부(30-1) 사이에 위치하는 제2몸체부(10-2), 제1수용부(10-3) 또는 제2수용부(10-4)가 빠져나와 용기부재(10)와 핸들부재(30)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용기부재(10)는 밀폐부재(20)와 결합됨으로써 조리가 끝난 음식물이 보관 및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30-4)의 재질은 금속, 합성수지 또는 세라믹일 수 있으나, 체결부(30-4)는 용기부재(10)와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체결부(30-4)와의 잦은 접촉에도, 용기부재(10)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체결홈(30-5)은 용기부재(10)와 핸들부재(30)가 결합될 시에 제1수용부(10-3)가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체결홈(30-5)은 헤드부(30-1) 일측 또는 타측에 요부(凹部)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체결홈(30-5) 내면에 제1수용부(10-3)의 외면이 고리 형식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결합 형식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용기부재(10)와 핸들부재(30)가 긴밀하게 결합됨으로써 용기부재(10) 내에 있는 음식물이 조리될 시에 용기부재(10)로부터 핸들부재(30)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핸들부재(30)는 위와 같은 체결부(30-4)로 용기부재(10)와 결합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종류의 탈착식 손잡이가 하나 이상 있어 이 손잡이가 용기부재(10)와 결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결합되고 해제되는 과정을 통하여 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의 본 발명은 후라이팬 겸용 밀폐용기로 활용될 수 있다.
<실시예 6>
도 1, 도 4 및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재(10) 내에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이 동시에 보관되거나 조리되기 위해 제3몸체부(40-1)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몸체부(40-1)는 제1베이스층(10-5) 또는 제2베이스층(10-6)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3몸체부(40-1)가 음식물과 접촉하는 측면은 코팅층(10-7)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9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몸체부(40-1) 일측 또는 타측은 제2몸체부(10-2)로부터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9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몸체부(40-1) 하측은 제1몸체부(10-1)로부터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몸체부(40-1)는 격벽 역할을 함으로써 용기부재(10) 내부의 공간을 나눌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보관 또는 조리할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제3몸체부(40-1)는 하나 이상으로 용기부재(1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용기부재(10)는 동시에 다양한 음식물이 담겨 있는 상태에서 보관되거나 조리될 수 있다.
<실시예 7>
도 1, 도 4 및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용기부재(10) 내에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이 동시에 보관되거나 조리되기 위해 제4몸체부(40-2)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4몸체부(40-2)는 제1베이스층(10-5) 또는 제2베이스층(10-6)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4몸체부(40-2)가 음식물과 접촉하는 측면은 코팅층(10-7)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4몸체부(40-2)는 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용기부재(10) 내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합되거나 해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몸체부(40-2)는 제3수용부(40-3) 및 제4수용부(40-4)가 더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다.
먼저, 도 10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수용부(40-4)가 제2몸체부(10-2) 일측 또는 타측의 내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4몸체부(40-2)는 제4수용부(40-4)에 결합됨으로써 제2몸체부(10-2)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수용부(40-3)가 제1몸체부(10-1) 상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4몸체부(40-2)는 제3수용부(40-3)에 결합됨으로써 제1몸체부(10-1) 상측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4몸체부(40-2)는 격벽 역할을 함으로써 용기부재(10) 내부의 공간을 나눌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보관 또는 조리할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제4몸체부(40-2)는 하나 이상으로 용기부재(10) 내에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 8>
도 7 및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재(10)를 용이하게 이동하고 용기부재(10) 내에 있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연결부(30-6)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연결부(30-6)는 제2몸체부(10-2) 또는 제2수용부(10-4) 일측 또는 타측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0-6)는 내측에 제2체결홈(30-7)이 하나 이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후술될 돌출부(30-8)가 내입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돌출부(30-8)와 지지부(30-9)는 헤드부(30-1)의 일측 또는 타측에 하나 이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작동에 의해 제1작동부(30-2)는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헤드부(30-1) 내에 인입됨으로써, 제2작동부(30-3)는 돌출되며, 돌출부(30-8)와 지지부(30-9)는 헤드부(30-1)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돌출부(30-8)는 연결부(30-6)와 결합되며, 지지부(30-9)는 연결부(30-6) 외측면과 접촉됨으로써 돌출부(30-8)와 연결부(30-6)의 결합을 지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용기부재(10)와 핸들부재(30)가 긴밀하게 결합됨으로써 용기부재(10) 내에 있는 음식물이 조리될 시에 용기부재(10)로부터 핸들부재(30)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도 11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작동에 의해 제2작동부(30-3)가 헤드부(30-1) 내측으로 인입됨으로써, 제1작동부(30-2)는 하측으로 이동되며, 돌출부(30-8)와 지지부(30-9)는 헤드부(30-1)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돌출부(30-8)가 제2체결홈(30-7)에 내입되어 있는 부분이 감소되면서, 돌출부(30-8)와 연결부(30-6)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실시예 9>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재(10) 내에 있는 음식물이 조리되기 위해 인덕선 레인지(induction range)를 이용하기 위해 용기부재(10)는 제3베이스층(10-8)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제3베이스층(10-8)은 제1몸체부(10-1) 하측면에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몸체부(10-1) 모양과 동일할 수 있다.
이때, 제3베이스층(10-8)은 조리 시에 제1몸체부(10-1)가 인덕션 레인지와 같은 전류가 흐르는 곳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제1몸체부(10-1) 하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덕션 레인지는 일반 가스레인지와 달리 열기구 자기장에 의해 발생되는 유도전류를 열원으로 이용하는 것이므로, 제3베이스층(10-8)은 제1몸체부(10-1), 제2몸체부(10-2), 제1수용부(10-3) 또는 제2수용부(10-4)에 유도전류를 통해 발생된 열을 전달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베이스층(10-8)의 재질은 철 또는 철 함유 합금과 같은 금속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성이 있는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베이스층(10-8)은 중측에 관통되어 있는 홀이 하나 이상으로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베이스층(10-8)은 인덕션 레인지에 장기간 사용될 시에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일반 가스레인지뿐만 아니라 유도전류를 이용하는 레인지를 통해서 용기부재(10) 내에 있는 음식물을 효율적으로 조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을 다른 조리기구로 이동시키지 않음으로써 보관 및 조리가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는 다목적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 산업상 이용가능한 발명이다.

Claims (5)

  1. 제1몸체부(10-1), 제2몸체부(10-2), 제1수용부(10-3) 및 제1베이스층(10-5)을 포함하는 용기부재(10);와
    제1패널(20-1), 제2패널(20-2), 제1밀폐부(20-3), 제2밀폐부(20-4), 제3밀폐부(20-5), 제1결합부(20-6) 및 제2결합부(20-7)를 포함하는 밀폐부재(20);를
    포함하는 다목적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 밀폐용기는 음식물이 수용되도록 일정한 면적이 수평으로 형성되는 제1몸체부(10-1); 제1몸체부(10-1)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몸체부(10-2); 제2몸체부(10-2)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수용부(10-3); 음식물이 보관되도록 제1몸체부(10-1) 또는 제2몸체부(10-2)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철, 스테인리스, 법랑, 세라믹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의 제1베이스층(10-5);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 제2몸체부(10-2)가 밀폐되도록 형성되는 플라스틱, 알루미늄, 실리콘, 금속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의 제1패널(20-1); 제1패널(20-1)이 지지되도록 제1패널(20-1)의 외연에 형성되는 제2패널(20-2); 용기부재(10)와 밀폐부재(20)의 결합이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제1밀폐부(20-3); 밀폐부재(20)가 용기부재(10)에 고정되도록 제1밀폐부(20-3)의 일측 또는 타측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20-6); 및 제2패널(20-2)에 내입된 형태로 형성되는 NR(Natural Rubber), BR(Butadiene Rubber), AR(Acrylic Rubber) 또는 Q(Silicone Rubber)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의 제3밀폐부(2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2몸체부(10-2)는 상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수용부(10-4)를 포함하고,
    제1베이스층(10-5)은 상측에 알루미늄, 철, 스테인리스, 법랑, 세라믹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의 제2베이스층(10-6)을 포함하며,
    제2베이스층(10-6) 상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퍼플루오로알콕시알케인, 폴리크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또는 폴리비니리덴포르라이드 중 어느 하나 재질의 코팅층(10-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밀폐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용기부재(10) 내에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이 수용되기 위해 제3몸체부(40-1) 또는 제4몸체부(40-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밀폐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몸체부(10-1)는 용기부재(10)가 전류가 흐르는 곳에 제1몸체부(10-1)가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하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3베이스층(10-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밀폐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용기부재(10)를 용이하게 이동하고 용기부재(10) 내에 있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체결부(30-4)로 용기부재(10)와 결합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핸들부재(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밀폐용기.
  5. 삭제
KR1020210094673A 2021-07-20 2021-07-20 다목적 밀폐용기 KR102598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673A KR102598590B1 (ko) 2021-07-20 2021-07-20 다목적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673A KR102598590B1 (ko) 2021-07-20 2021-07-20 다목적 밀폐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784A KR20230013784A (ko) 2023-01-27
KR102598590B1 true KR102598590B1 (ko) 2023-11-03

Family

ID=85101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673A KR102598590B1 (ko) 2021-07-20 2021-07-20 다목적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5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061Y1 (ko) 2000-05-09 2000-11-01 주식회사남선알미늄 남비 손잡이 착탈구조
KR200329858Y1 (ko) * 2003-07-24 2003-10-10 백길현 탈부착이 가능한 다용도 후라이팬
KR102074369B1 (ko) * 2018-01-23 2020-02-06 주식회사 지에스메탈 밀폐용기 겸용 냄비
KR102078064B1 (ko) * 2015-10-30 2020-02-17 피스카스 핀란드 오와이 에이비 조리 용기 및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5866A (ko) * 2013-05-16 2014-11-27 이상봉 가열을 위한 냄비로 사용가능한 밀폐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061Y1 (ko) 2000-05-09 2000-11-01 주식회사남선알미늄 남비 손잡이 착탈구조
KR200329858Y1 (ko) * 2003-07-24 2003-10-10 백길현 탈부착이 가능한 다용도 후라이팬
KR102078064B1 (ko) * 2015-10-30 2020-02-17 피스카스 핀란드 오와이 에이비 조리 용기 및 제조 방법
KR102074369B1 (ko) * 2018-01-23 2020-02-06 주식회사 지에스메탈 밀폐용기 겸용 냄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784A (ko) 2023-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8349A (en) Insulated dish and lid for microwave cooking
CN101036559B (zh) 慢炖锅
US20220071424A1 (en) Thermal regulation and stabilization vessel
CN103750754B (zh) 交互式加热与烹饪装置
AU621789B2 (en) Heat insulating cooking vessel
US7922027B2 (en) Food pan having elastomeric heat and scratch resistant protective flange gasket
US20170150840A1 (en) Multi-purpose double layered container
US20150313399A1 (en) Low pressure thermodynamic cookware
EP2100543A1 (en) Foldable stovetop cookware and method of production
US4607613A (en) Wok adapter
US20140042172A1 (en) Serving Mat having a Heated or Freezable Internal Medium
EP0022830A4 (en) INSULATED BOWL AND LID FOR MICROWAVE COOKING.
KR102598590B1 (ko) 다목적 밀폐용기
US11464358B1 (en) Cooking pan
US20150313403A1 (en) Click and lock cookware handles
CN109475243A (zh) 具有填充有相变材料的小袋的双壁餐具
US2434166A (en) Tent office
US20150313398A1 (en) Thermodynamic energy-saving health cookware
US20040011795A1 (en) Partially insulated dishware and cookware
US20050238775A1 (en) Butter melter and warmer
TWI544886B (zh) 具有能以營火或爐具加熱之內容器之隔熱食物容器
JP7257959B2 (ja) 食品又は飲料を収容及び運ぶための携帯用手持ち式装置、並びに温度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TW200303180A (en) Heat-insulating cooker
KR20220112090A (ko) 등온 프라이팬
KR101651078B1 (ko) 조리 및 보온기능을 겸비한 이중 냄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