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411B1 - 2차전지 J/R(Jelly Roll) Forming unit - Google Patents

2차전지 J/R(Jelly Roll) Forming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411B1
KR102598411B1 KR1020230088807A KR20230088807A KR102598411B1 KR 102598411 B1 KR102598411 B1 KR 102598411B1 KR 1020230088807 A KR1020230088807 A KR 1020230088807A KR 20230088807 A KR20230088807 A KR 20230088807A KR 102598411 B1 KR102598411 B1 KR 102598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secondary battery
forming
uni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8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국
Original Assignee
동진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진기업(주) filed Critical 동진기업(주)
Priority to KR1020230088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4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65H35/0026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 B65H35/0033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and affixing it to a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22Cells or battery with cylindrical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차전지 J/R(Jelly Roll) Forming unit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형의 2차전지 J/R(Jelly Roll)의 상부 둘레에 테이프가 테이핑되어 있으며(테이프는 J/R의 측면에 접착되지 않은 영역(A)과 J/R의 높이방향 축과 평행인 상태로 곧게 소정거리 연장되어 J/R의 측면에 접착된 영역(B)으로 분리되어 있음), 2차전지 J/R(Jelly Roll)를 일 방향으로 공급 및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로부터 J/R을 공급받으며, J/R의 높이방향 축과 평행인 상태로 곧게 소정거리 연장된 테이프를 J/R의 상면에 접착될 수 있도록 J/R의 상면을 향해 벤딩하는 포밍(forming)부 및 상기 포밍부로부터 가공이 완료된 J/R을 이송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J/R(Jelly Roll) Forming unit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2차전지 J/R(Jelly Roll) Forming unit {secondary battery jelly roll forming unit}
본 발명은 2차전지 J/R(Jelly Roll) Forming unit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형의 2차전지 J/R(Jelly Roll)의 상부 둘레에 테이프가 테이핑되어 있으며(테이프는 J/R의 측면에 접착되지 않은 영역(A)과 J/R의 높이방향 축과 평행인 상태로 곧게 소정거리 연장되어 J/R의 측면에 접착된 영역(B)으로 분리되어 있음), 2차전지 J/R(Jelly Roll)를 일 방향으로 공급 및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로부터 J/R을 공급받으며, J/R의 높이방향 축과 평행인 상태로 곧게 소정거리 연장된 테이프를 J/R의 상면에 접착될 수 있도록 J/R의 상면을 향해 벤딩하는 포밍(forming)부 및 상기 포밍부로부터 가공이 완료된 J/R을 이송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J/R(Jelly Roll) Forming unit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이차전지에서 주요 연구 과제 중의 하나는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차전지는 내부 단락, 허용된 전류 및 전압을 초과한 과충전 상태, 고온에서의 노출, 낙하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한 변형 등 전지의 비정상적인 작동 상태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전지 내부의 고온 및 고압에 의해 전지의 폭발이 초래될 수 있다.
이러한 안전성의 문제 중 하나로, 전극조립체의 경우, 전지의 낙하 또는 외부 충격의 인가 시 분리막을 중심으로 한 전극들의 움직임으로 인해 전극 간의 단락이 유발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에 따라, 전극조립체의 외주 면에 전극조립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접착테이프가 부가되기도 한다.
한편, 이차전지의 제조공정 중에는 음극판, 양극판 및 분리막으로 구성된 젤리롤을 형성하는 공정과, 젤리롤을 직사각형의 파우치, 캔 등과 같은 케이스에 삽입하여 밀봉시키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젤리롤을 직사각형의 케이스에 원활하게 삽입하기 전에, 젤리롤을 직사각형의 형태로 압축하고 젤리롤이 압축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 젤리롤의 테두리부에 다수의 테이프를 부착하는 공정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차전지용 테이프 접착장치에 대해서는 등록특허 제1820442호가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테이프를 먼저 절단한 이후 부착하게 된다. 그러나 젤리롤의 경우 케이싱을 위해 압축이 되면 구조적으로 만곡부분과 평행한 적층부분에 두께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 젤리롤의 일부 손상 또는 부분적 인 고정력이 달라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테이핑 장치는 대부분 이차전지를 눕혀서 가공하는 방식이어서 설비를 구성하는데 있어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생산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눕혀서 2차전지를 가공하는 종래 장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부 국내 및 해외의 관련 업체에서는 세워서 2차전지를 가공하는 장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사례가 있으나, 실제 제품화하기에는 그 구조를 구비하기 위해서 소모되는 비용이 과도하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해당 장치의 제조 단가 대비 생산 효율 향상 효과가 크지 않아 종래 눕혀서 2차전지를 가공하는 장비와 비교할 때 시장 경쟁력이 떨어져 본격 상용화된 사례는 찾아볼 수 없었다.
따라서, 상술한 것과 같이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의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종래기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rotary 방식으로 설계하여 분당 150EA생산수량을 달성, 생산효율이 향상된 2차전지 J/R FORMING UNIT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테이프 벤딩 전 테이프의 방향을 J/R의 상면을 향하게 소정 각도 벤딩시킴으로써 불량률을 현격히 개선한 2차전지 J/R FORMING UNIT을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눕혀서 2차전지를 가공하는 종래 2차전지 공정과 달리, 세워서 2차전지를 가공하기에 설비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고, 운용의 용이성이 향상된 2차전지 J/R FORMING UNIT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형의 2차전지 J/R(Jelly Roll)의 상부 둘레에 테이프가 테이핑되어 있으며(테이프는 J/R의 측면에 접착되지 않은 영역(A)과 J/R의 높이방향 축과 평행인 상태로 곧게 소정거리 연장되어 J/R의 측면에 접착된 영역(B)으로 분리되어 있음), 2차전지 J/R(Jelly Roll)를 일 방향으로 공급 및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로부터 J/R을 공급받으며, J/R의 높이방향 축과 평행인 상태로 곧게 소정거리 연장된 테이프를 J/R의 상면에 접착될 수 있도록 J/R의 상면을 향해 벤딩하는 포밍(forming)부 및 상기 포밍부로부터 가공이 완료된 J/R을 이송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J/R(Jelly Roll) Forming unit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 때, 상기 이송부는 J/R을 세워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밍부는 상기 J/R의 하부를 고정 및 파지하는 파지부 및 테이프를 J/R의 상면에 접착될 수 있도록 J/R의 상면을 향해 상하 왕복 이동함으로써 테이프를 벤딩하는 가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포밍부는 로터리 형식으로 설계되어, J/R을 공급받는 inlet와 J/R을 배출하는 outlet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inlet와 연결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outlet와 연결되고, 상기 포밍부는 상기 inlet을 기점, 상기 outlet을 종점으로 하여 360도 회전하는 동안, J/R의 테이프 가공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공부는 내부에 천공홈이 형성되는 몸체, 테이프 벤딩 전 테이프의 벤딩 방향을 선(先) 설정하는 가이드부 및 테이프를 J/R 상면을 향해 가압함으로써 테이프를 J/R 상면에 밀착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몸체는 J/R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는 제1천공홈 및 J/R은 통과하지 않고, 양극 단자만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천공홈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2천공홈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천공홈의 내면의 임의의 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가공부가 하강 이동 시 테이프의 벤딩 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천공홈과 상기 제2천공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공부가 최대 변위로 하강 이동 시 테이프를 벤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구 형상을 가지며 테이프와 접촉하는 가이드볼 및 상기 가이드볼을 수용하며, 상기 가이드볼을 횡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슬라이딩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볼은 J/R의 측면에 접착되지 않은 영역(A)의 테이프와 접촉 시 테이프를 J/R 상면을 향하여 J/R의 측면에 접착되지 않은 영역(A)의 테이프를 벤딩시키며, J/R의 측면에 접착된 영역(B)의 테이프와 접촉 시 상기 슬라이딩레일 내부로 후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슬라이딩레일은 상기 가이드볼이 J/R의 측면에 접착된 영역(B)의 테이프와 접촉 시 상기 슬라이딩레일 내부로 후퇴 후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해결수단은 아래에서 이어지는 설명에서 일부 설명될 것이고, 그 설명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지득될 수 있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을 위한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rotary 방식으로 설계하여 분당 150EA생산수량을 달성, 생산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둘째, 테이프 벤딩 전 테이프의 방향을 J/R의 상면을 향하게 소정 각도 벤딩시킴으로써 불량률을 현격히 개선할 수 있다.
셋째, 눕혀서 2차전지를 가공하는 종래 2차전지 공정과 달리, 세워서 2차전지를 가공하기에 설비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고, 운용의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2차전지 J/R Forming unit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가공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가공부의 캠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포밍부의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 들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단지 명세서를 용이하게 작성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나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2차전지 J/R Forming unit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를 따르는 2차전지 J/R(Jelly Roll) Forming unit는 원형의 2차전지 J/R(Jelly Roll)의 상부 둘레에 테이프가 테이핑되어 있으며(테이프는 J/R의 측면에 접착되지 않은 영역(A)과 J/R의 높이방향 축과 평행인 상태로 곧게 소정거리 연장되어 J/R의 측면에 접착된 영역(B)으로 분리되어 있음), 2차전지 J/R(Jelly Roll)를 일 방향으로 공급 및 이송하는 이송부(1000), 상기 이송부(1000)로부터 J/R을 공급받으며, J/R의 높이방향 축과 평행인 상태로 곧게 소정거리 연장된 테이프를 J/R의 상면에 접착될 수 있도록 J/R의 상면을 향해 벤딩하는 포밍(forming)부 및 상기 포밍부(2000)로부터 가공이 완료된 J/R을 이송하는 배출부(30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송부(1000)는 J/R을 세워서 공급할 수 있다.
종래 테이핑 장치는 대부분 이차전지를 눕혀서 가공하는 방식이어서 설비를 구성하는데 있어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생산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례를 따르는 2차전지 J/R(Jelly Roll) Forming unit은 2차전지 J/R을 세워서 공급하기에, 공간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포밍부(2000)는 로터리 형식으로 설계되어, J/R을 공급받는 inlet와 J/R을 배출하는 outlet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1000)는 상기 inlet와 연결되고, 상기 배출부(3000)는 상기 outlet와 연결되고, 상기 포밍부(2000)는 상기 inlet을 기점, 상기 outlet을 종점으로 하여 360도 회전하는 동안, J/R의 테이프 가공을 완료할 수 있다.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례를 모두 로터리 방식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일렬형, 직선형 또는 인덱스 방식 등으로 설계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4와 같은 로터리의 캠 다이어그램은 레일 형태로 대체되어 시계열에 따라 포밍부(2000)의 변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밍부(2000)는 상기 J/R의 하부를 고정 및 파지하는 파지부(2100) 및 테이프를 J/R의 상면에 접착될 수 있도록 J/R의 상면을 향해 상하 왕복 이동함으로써 테이프를 벤딩하는 가공부(220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2100)는 고정력 등이 향상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그래퍼에 의해 J/R을 파지할 수 있다.
한편, 파지부(2100)에 의해 J/R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파지부(2100)와 접촉하는 J/R에 캡 등 임시 수용체를 설치한 뒤 파지부(2100)가 J/R과 임시수용체를 함께 파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가공부(2200)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가공부(2200)의 캠다이어그램이다.
한편, 상기 가공부(2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천공홈이 형성되는 몸체(2210), 테이프 벤딩 전 테이프의 벤딩 방향을 선(先) 설정하는 가이드부(2220) 및 테이프를 J/R 상면을 향해 가압함으로써 테이프를 J/R 상면에 밀착시키는 가압부(2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몸체(2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J/R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는 제1천공홈(X) 및 J/R은 통과하지 않고, 양극 단자만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천공홈(X)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2천공홈(Y)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220)는 상기 제1천공홈(X)의 내면의 임의의 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가공부(2200)가 하강 이동 시 테이프의 벤딩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2230)는 상기 제1천공홈(X)과 상기 제2천공홈(Y) 사이, 단차가 나는 지점에 에 배치되어 상기 가공부(2200)가 최대 변위로 하강 이동 시 테이프를 벤딩할 수 있다.
이 때, 양극단자는 제2천공홈(Y) 사이에 배치되며, J/R의 상면이 제2천공홈(Y)에 밀착 시, 가공부(2200)의 움직임은 제한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2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 형상을 가지며 테이프와 접촉하는 가이드볼(2221) 및 상기 가이드볼(2221)을 수용하며, 상기 가이드볼(2221)을 횡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슬라이딩레일(2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볼(2221)은 J/R의 측면에 접착되지 않은 영역(A)의 테이프와 접촉 시 테이프를 J/R 상면을 향하여 J/R의 측면에 접착되지 않은 영역(A)의 테이프를 벤딩시키며, J/R의 측면에 접착된 영역(B)의 테이프와 접촉 시 상기 슬라이딩레일(2222) 내부로 후퇴할 수 있다.
가이드볼(2221)이 J/R의 측면에 접착되지 않은 영역(A)의 테이프와 접촉 시 후퇴하지 않는 것은 테이프는 얇은 소재이기에 가이드볼(2221)을 후퇴시킬 정도의 강성에 따른 압력을 인가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가이드볼(2221)이 J/R의 측면에 접착된 영역(B)의 테이프와 접촉 시 후퇴하는 것은 J/R은 두껍기에 가이드볼(2221)을 후퇴시킬 정도의 강성이 가지기 때문이다.
나아가, 상기 슬라이딩레일(2222)은 상기 가이드볼(2221)이 J/R의 측면에 접착된 영역(B)의 테이프와 접촉 시 상기 슬라이딩레일(2222) 내부로 후퇴 후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포밍부(2000)의 개념도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부(2200)가 J/R 접촉 전 J/R의 측면에 접착되지 않은 영역(A)의 테이프는 J/R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J/R이 제1천공홈(X)에 삽입되고, 가이드볼(2221)과 J/R의 측면에 접착되지 않은 영역(A)의 테이프가 접촉 전, 도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J/R의 측면에 접착되지 않은 영역(A)의 테이프는 J/R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J/R이 제1천공홈(X)에 삽입되고, 가이드볼(2221)과 J/R의 측면에 접착되지 않은 영역(A)의 테이프가 접촉 후, 가이드볼(2221)의 가압에 의해 J/R의 측면에 접착되지 않은 영역(A)의 테이프는 J/R의 상면을 향해 벤딩되어 1차 가공된다.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볼(2221)과 J/R의 측면에 접착된 영역(B)의 테이프가 접촉을 시작하면, 가이드볼(2221)은 슬라이딩 레일 내부로 후퇴한다. 한편, 시간이 지남에 따라 J/R상면과 가압부(2230)과 접촉되면 테이프는 J/R의 상면과 밀착된다. 이 때, 양극단자는 제2천공홈(Y) 사이에 삽입되며, J/R상면에 의해 가공부(2200)의 하강 운동은 종료된다.
결과적으로, 테이프 벤딩 전 테이프의 방향을 J/R의 상면을 향하게 소정 각도 벤딩시킨 뒤, 테이프를 가압하여 가공함으로써 불량률을 현격히 개선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 이송부
2000 - 포밍부
2100 - 파지부
2200 - 가공부
2210 - 몸체
2220 - 가이드부
2221 - 가이드볼
2222 - 슬라이딩레일
2230 - 가압부
3000 - 배출부
X - 제1천공홈
Y - 제2천공홈
IL - inlet
OL - outlet
A - 테이프(J/R 측면에 접착된 영역)
B - 테이프(J/R 측면에 접착되지 않은 영역)
J - J/R

Claims (8)

  1. 원형의 2차전지 J/R(Jelly Roll)의 상부 둘레에 테이프가 테이핑되어 있으며(테이프는 J/R의 측면에 접착되지 않은 영역(A)과 J/R의 높이방향 축과 평행인 상태로 곧게 소정거리 연장되어 J/R의 측면에 접착된 영역(B)으로 분리되어 있음), 2차전지 J/R(Jelly Roll)를 일 방향으로 공급 및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로부터 J/R을 공급받으며, J/R의 높이방향 축과 평행인 상태로 곧게 소정거리 연장된 테이프를 J/R의 상면에 접착될 수 있도록 J/R의 상면을 향해 벤딩하는 포밍(forming)부; 및
    상기 포밍부로부터 가공이 완료된 J/R을 이송하는 배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J/R을 세워서 공급하며,

    상기 포밍부는
    상기 J/R의 하부를 고정 및 파지하는 파지부; 및
    테이프를 J/R의 상면에 접착될 수 있도록 J/R의 상면을 향해 상하 왕복 이동함으로써 테이프를 벤딩하는 가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부는
    내부에 천공홈이 형성되는 몸체;
    테이프 벤딩 전 테이프의 벤딩 방향을 선(先) 설정하는 가이드부; 및
    테이프를 J/R 상면을 향해 가압함으로써 테이프를 J/R 상면에 밀착시키는 가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J/R Forming unit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밍부는 로터리 형식으로 설계되어, J/R을 공급받는 inlet와 J/R을 배출하는 outlet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inlet와 연결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outlet와 연결되고,

    상기 포밍부는
    상기 inlet을 기점, 상기 outlet을 종점으로 하여 360도 회전하는 동안, J/R의 테이프 가공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J/R Forming unit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J/R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는 제1천공홈
    J/R은 통과하지 않고, 양극 단자만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천공홈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2천공홈
    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천공홈의 내면의 임의의 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가공부가 하강 이동 시 테이프의 벤딩 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천공홈과 상기 제2천공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공부가 최대 변위로 하강 이동 시 테이프를 벤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J/R Forming unit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구 형상을 가지며 테이프와 접촉하는 가이드볼;
    상기 가이드볼을 수용하며, 상기 가이드볼을 횡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슬라이딩레일
    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볼은
    J/R의 측면에 접착되지 않은 영역(A)의 테이프와 접촉 시 테이프를 J/R 상면을 향하여 J/R의 측면에 접착되지 않은 영역(A)의 테이프를 벤딩시키며,
    J/R의 측면에 접착된 영역(B)의 테이프와 접촉 시 상기 슬라이딩레일 내부로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J/R Forming unit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레일은
    상기 가이드볼이 J/R의 측면에 접착된 영역(B)의 테이프와 접촉 시 상기 슬라이딩레일 내부로 후퇴 후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J/R Forming unit
KR1020230088807A 2023-07-10 2023-07-10 2차전지 J/R(Jelly Roll) Forming unit KR102598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8807A KR102598411B1 (ko) 2023-07-10 2023-07-10 2차전지 J/R(Jelly Roll) Forming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8807A KR102598411B1 (ko) 2023-07-10 2023-07-10 2차전지 J/R(Jelly Roll) Forming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8411B1 true KR102598411B1 (ko) 2023-11-07

Family

ID=88747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8807A KR102598411B1 (ko) 2023-07-10 2023-07-10 2차전지 J/R(Jelly Roll) Forming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4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8826B1 (ko) * 2024-01-04 2024-05-24 동진기업(주) J/r 테이핑 유닛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5855A (ja) * 2004-05-25 2005-12-08 Eisai Co Ltd シリンジ取扱い装置
JP2014034461A (ja) * 2012-08-10 2014-02-24 Hitachi Information & Control Solutions Ltd 容器搬送装置
KR20210145534A (ko) * 2020-05-25 2021-12-02 (주) 티원시스템 전지 셀에 부착 가능한 접착 테이프용 테이핑 장치 및 테이핑 방법
KR20220135734A (ko) * 2021-03-31 2022-10-07 동진기업(주) 가이드유닛을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의 회전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5855A (ja) * 2004-05-25 2005-12-08 Eisai Co Ltd シリンジ取扱い装置
JP2014034461A (ja) * 2012-08-10 2014-02-24 Hitachi Information & Control Solutions Ltd 容器搬送装置
KR20210145534A (ko) * 2020-05-25 2021-12-02 (주) 티원시스템 전지 셀에 부착 가능한 접착 테이프용 테이핑 장치 및 테이핑 방법
KR20220135734A (ko) * 2021-03-31 2022-10-07 동진기업(주) 가이드유닛을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의 회전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8826B1 (ko) * 2024-01-04 2024-05-24 동진기업(주) J/r 테이핑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51610B1 (en)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electrode tab
EP3852165A1 (en) Current collecting member,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econdary battery
US10797274B2 (en) Secondary battery
CN105938881B (zh) 具有盖的可再充电电池
CN108140869B (zh) 具有形成在电极板上的缩进部的电极组件、以及包括所述电极组件的二次电池
CN105684191A (zh) 具有用于防止短路的装置的电池单体
KR102275331B1 (ko) 이차 전지
KR102368090B1 (ko) 전극탭을 갖는 전극 어셈블리 및 이차 전지
KR102598411B1 (ko) 2차전지 J/R(Jelly Roll) Forming unit
CN102694202A (zh) 一种扣式锂离子电池
EP3171426B1 (en) Rechargeable battery
US9799875B2 (en)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electrode tab
US9214698B2 (en)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fixing part on the inside of the can with a defined distance between the fixing part and the electrode assembly
EP2830140B1 (en) Electrode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EP4135117A1 (en) Secondary battery
US10615621B2 (en) Apparatus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battery cell comprising insulation mask
JP7456669B2 (ja) バッテリーセル移送装置
CN218866911U (zh) 一种电解电容
WO2022060124A1 (ko) 버튼형 이차전지
KR20150043728A (ko) 이차전지용 음극탭 고정구조
US20240021966A1 (en) Battery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230065592A1 (en)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KR101684301B1 (ko) 비 접촉성 리폼 핀
KR102668826B1 (ko) J/r 테이핑 유닛
EP4234195A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pou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