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406B1 -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406B1
KR102598406B1 KR1020180139339A KR20180139339A KR102598406B1 KR 102598406 B1 KR102598406 B1 KR 102598406B1 KR 1020180139339 A KR1020180139339 A KR 1020180139339A KR 20180139339 A KR20180139339 A KR 20180139339A KR 102598406 B1 KR102598406 B1 KR 102598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wheel drive
vehicle
regenerative braking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5565A (ko
Inventor
박준연
김진석
박지훈
양창모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9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406B1/ko
Publication of KR20200055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072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the wheels of the vehicle co-operating with rotatable rolls
    • G01M17/0074Details, e.g. roller construction, vehicle restrai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7/00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 B60L7/10Dynamic electric regenerative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2Four wheel driv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 예에 따른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은, 검사 차량을 정 위치시키는 휠 베이스와, 휠 베이스의 전후방 측에 각각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륜 및 후륜 구동롤러와, 휠 베이스의 전후방 측에서 검사 차량의 각 차륜에 의해 프리 회전하는 리테이닝 롤러와, 검사 차량의 각 차륜에 휠 캡을 장착하는 휠 캡 장착유닛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ⅰ)전륜 구동롤러 및 후륜 구동롤러와 각각 연결되고, 전륜 구동롤러 및 후륜 구동롤러에 회전 구동력을 각각 제공하며, 검사 차량의 전륜 및 후륜 구동으로 피동 회전하는 전륜 구동롤러 및 후륜 구동롤러에 의하여 회생제동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전륜 및 후륜 회생제동 모터와, ⅱ)전륜 및 후륜 구동롤러, 리테이닝 롤러, 그리고 휠 캡 장착유닛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며, 회전 운동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유닛과, ⅲ)전륜 및 후륜 회생제동 모터와 발전유닛에 연결되며, 전륜 및 후륜 회생제동 모터와 발전유닛으로부터 생성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ROLL AND BRAKE TEST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이 완료된 차량의 조립성, 가속성능 및 브레이크 성능 등을 검사하는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조립 공장에는 조립이 완성된 차량의 각종 성능을 검사하는 검사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일 예로, 차량 검사 공정에서는 차량을 설정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휠 얼라이먼트와 롤 앤 브레이크 검사 등을 수행한다.
여기서, 롤 앤 브레이크 검사의 목적은 인라인 프로세스에서 차량의 품질보증을 제공하는 것이다. 롤 앤 브레이크 검사 공정에서는 도로에서 발생되는 상항과 유사한 주행 조건에서 차량 오류, 조립성, 가속 성능 및 브레이크 성능 등을 검사할 수 있다.
롤 앤 브레이크 검사 공정에서 차량의 롤 앤 브레이크를 검사하는 시스템은 하나의 기계를 이용하여 액슬 롤 테스터기와 브레이크테스터기의 기능을 포함하며, 하나의 테스터기를 이용하여 차량 파워트레인과 브레이크시스템이 정확하게 평가될 수 있다.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은 차량이 검사영역으로 진입하여 정 위치하게 되면, 차량의 가속, 자연감속, 중립, 제동, 및 정지 동작들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고, 주행 시에는 설정된 속도 프로파일을 갖도록 한다.
이러한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은 차종을 선택한 후 그 차종에 맞게 차량 정 위치 장치의 휠 베이스를 조정하며, 그 휠 베이스 상의 구동롤러로 검사 차량을 진입시킨 후, 리테이닝 롤러를 상승시키고, 모터를 통해 구동롤러를 구동시키며, 롤 앤 브레이크 테스터기를 통해 차량의 롤 앤 브레이크를 검사한다.
한편, 최근에는 대규모의 제조업 시설에 대한 친환경 에너지 절감 설계가 이슈화 되고 있다. 일 예로, 자동차 생산공정 및 운영을 위한 에너지 사용량이 전체 사용 에너지의 24%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당 업계에서는 수소차, 전기차 등과 같은 친환경 자동차의 생산 증대와 더불어 자동차 생산시설의 에너지 절감과 생산원가의 절감을 위한 친환경 및 에너지 절약형 기반의 생산시설(스마트 공장) 구축 및 이를 통한 친환경적인 이미지 제고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검사 차량의 롤 앤 브레이크 검사를 수행하는데 따른 전기 에너지의 사용 비용 및 생산원가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은, 검사 차량을 정 위치시키는 휠 베이스와, 상기 휠 베이스의 전후방 측에 각각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륜 및 후륜 구동롤러와, 상기 휠 베이스의 전후방 측에서 검사 차량의 각 차륜에 의해 프리 회전하는 리테이닝 롤러와, 검사 차량의 각 차륜에 휠 캡을 장착하는 휠 캡 장착유닛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ⅰ)상기 전륜 구동롤러 및 후륜 구동롤러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전륜 구동롤러 및 후륜 구동롤러에 회전 구동력을 각각 제공하며, 검사 차량의 전륜 및 후륜 구동으로 피동 회전하는 상기 전륜 구동롤러 및 후륜 구동롤러에 의하여 회생제동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전륜 및 후륜 회생제동 모터와, ⅱ)상기 전륜 및 후륜 구동롤러, 리테이닝 롤러, 그리고 상기 휠 캡 장착유닛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며, 회전 운동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유닛과, ⅲ)상기 전륜 및 후륜 회생제동 모터와 상기 발전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전륜 및 후륜 회생제동 모터와 상기 발전유닛으로부터 생성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은, 롤 앤 브레이크 검사 공정의 전반적인 운용 및 전력을 관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에너지 저장부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제어부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의해 전력 사용처로 분배하는 에너지 분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전륜 구동롤러와 벨트를 통해 연결되는 제1 알터네이터와, 상기 후륜 구동롤러와 벨트를 통해 연결되는 제2 알터네이터와, 상기 리테이닝 롤러와 벨트를 통해 각각 연결되는 제3 알터네이터와, 상기 휠 캡 장착유닛에 구비되는 제4 알터네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휠 캡 장착유닛은 상기 휠 캡을 그리핑 하며 검사 차량의 각 차륜에 장착하도록 휠 캡 장착 로봇의 아암 선단에 프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휠 캡 그리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휠 캡 그리퍼의 프리 회전 측과 벨트를 통해 연결되는 제4 알터네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검사 차량의 차종이 전륜 구동 차량인 경우, 상기 전륜 구동롤러는 전륜에 의해 피동 회전하며, 상기 제1 알터네이터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전륜 회생제동 모터는 상기 전륜 구동롤러에 의하여 회생제동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며, 상기 후륜 회생제동 모터는 상기 후륜 구동롤러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후륜 구동롤러는 상기 후륜 회생제동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2 알터네이터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검사 차량의 차종이 후륜 구동 차량인 경우, 상기 후륜 구동롤러는 후륜에 의해 피동 회전하며, 상기 제2 알터네이터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후륜 회생제동 모터는 상기 후륜 구동롤러에 의하여 회생제동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며, 상기 전륜 회생제동 모터는 상기 전륜 구동롤러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전륜 구동롤러는 상기 전륜 회생제동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1 알터네이터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검사 차량의 차종이 사륜 구동 차량인 경우, 상기 전륜 및 후륜 구동롤러는 전륜 및 후륜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1 및 제2 알터네이터에 회전 구동력을 각각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검사 차량을 정 위치시키는 휠 베이스와, 상기 휠 베이스의 전후방 측에 각각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륜 및 후륜 구동롤러와, 상기 휠 베이스의 전후방 측에서 검사 차량의 각 차륜에 의해 프리 회전하는 리테이닝 롤러와, 검사 차량의 각 차륜에 휠 캡을 장착하는 휠 캡 장착유닛을 포함하는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을 제어 하는 것으로서, (a) 검사 차량이 상기 휠 베이스 상으로 진입하면, 상기 검사 차량의 차종을 인식하고, (b) 상기 검사 차량의 차종에 맞게 상기 휠 베이스를 조정하며, 상기 검사 차량을 설정된 영역에 정 위치시키고, (c) 상기 휠 캡 장착유닛을 통해 상기 검사 차량의 각 차륜에 상기 휠 캡을 장착한 상태로 상기 검사 차량을 구동시키고, (d) 상기 검사 차량의 차종이 전륜, 후륜 및 사륜 구동 차량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전륜 및 후륜 구동롤러를 상기 전륜 및 후륜 회생제동 모터를 통해 선택적으로 구동 회전시키며, 상기 검사 차량의 롤 앤 브레이크 검사를 수행하고, (e) 상기 전륜 및 후륜 구동롤러, 상기 리테이닝 롤러, 그리고 상기 휠 캡 장착유닛의 회전 운동에너지를 발전유닛을 통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며, 검사 차량의 구동으로 피동 회전하는 상기 전륜 및 후륜 구동롤러에 의하여 상기 전륜 및 후륜 회생제동 모터가 회생제동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f) 상기 전륜 및 후륜 회생제동 모터와 상기 발전유닛으로부터 생성한 전기 에너지를 에너지 저장부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에너지 저장부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전력 분배부를 통해 설정된 전력 사용처로 분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b) 과정에서는 휠 캡 장착 로봇의 아암 선단에서 프리 회전하는 휠 캡 그리퍼를 통해 상기 휠 캡을 그리핑 하며, 상기 휠 캡을 검사 차량의 각 차륜에 장착하고, 상기 휠 캡 그리퍼의 휠 캡 그리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e) 과정에서는 상기 휠 캡 그리퍼의 프리 회전을 통해 발전유닛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e) 과정에서는 상기 검사 차량의 전륜 및 후륜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리테이닝 롤러를 통하여 발전유닛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d) 과정에서는 상기 검사 차량의 차종이 전륜 구동 차량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후륜 회생제동 모터를 작동시키며, 상기 후륜 구동롤러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e) 과정에서는 상기 검사 차량의 전륜에 의해 피동 회전하는 상기 전륜 구동롤러에 의하여 상기 전륜 회생제동 모터가 회생제동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며, 상기 후륜 회생제동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후륜 구동롤러를 통해 발전유닛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검사 차량의 전륜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전륜 구동롤러를 통해 발전유닛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d) 과정에서는 상기 검사 차량의 차종이 후륜 구동 차량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륜 회생제동 모터를 작동시키며, 상기 전륜 구동롤러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e) 과정에서는 상기 검사 차량의 후륜에 의해 피동 회전하는 상기 후륜 구동롤러에 의하여 상기 후륜 회생제동 모터가 회생제동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며, 상기 전륜 회생제동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전륜 구동롤러를 통해 발전유닛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검사 차량의 후륜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후륜 구동롤러를 통해 발전유닛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d) 과정에서는 상기 검사 차량의 차종이 사륜 구동 차량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륜 및 후륜 회생제동 모터에 정지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e) 과정에서는 상기 검사 차량의 전륜 및 후륜에 의해 프리 회전하는 상기 전륜 및 후륜 구동롤러를 통해 발전유닛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조립이 완성된 검사 차량의 롤 앤 브레이크 검사를 수행하는 과정에, 전륜/후륜 회생제동 모터 및 발전유닛으로부터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며, 전력 사용처로 분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검사 차량의 롤 앤 브레이크 검사를 수행하는데 따른 전기 에너지의 사용 비용 절감 및 생산원가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친환경 및 에너지 절감형 기반의 생산시설을 구축함으로써 친환경적인 기업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에 적용되는 휠 캡 장착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100)은 각종 차량 조립 공정들을 거치며 조립이 완성된 차량의 각종 성능을 검사하는 차량 검사 공정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100)은 각종 차량, 예를 들면 전륜 구동 차량, 후륜 구동 차량, 및 사륜 구동 차량의 가속, 자연감속, 중립, 제동, 및 정지 동작 등의 롤 앤 브레이크 성능을 검사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당 업계에서는 차체 길이방향(조립 이송방향)을 T 방향, 차폭 방향을 L 방향, 차체의 높이방향을 H 방향이라고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LTH 방향을 기준방향으로 설정하지 않고, 도면에서의 차량을 기준으로 하여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을 기준방향으로 설정하기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준방향의 설정은 상대적인 의미로서, 본 시스템(100)의 기준위치 또는 차량의 기준위치 등에 따라서 그 방향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한 기준방향이 본 실시 예의 기준방향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설명될 각종 구성 요소들은 프레임에 설치되는 바, 프레임은 작업장의 바닥에 평면 방향으로 배치되며, 하나의 프레임 또는 둘 이상으로 구획된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각종 구성요소들을 지지하기 위한 플레이트, 하우징, 케이스, 칼라, 로드 및 블록 등과 같은 각종 부속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한 각종 부속요소들은 이하에서 설명될 본 시스템(100)의 구성 요소들을 프레임에 설치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상기한 부속 요소들을 프레임으로 통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100)은 기본적으로, 프레임에 설치되는 휠 베이스(2), 전륜 구동롤러(3), 후륜 구동롤러(4), 리테이닝 롤러(5)들, 그리고 휠 캡 장착유닛(6)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휠 베이스(2)는 검사 차량(1)의 차종에 따라 그 검사 차량(1)을 설정된 위치로 정 위치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당 업계에서는 차량 정 위치 장치라고도 하며, 구동원을 통해 프레임에 전후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전륜 구동롤러(3)는 검사 차량(1)의 전륜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거나 그 전륜의 구동에 의해 피동 회전하는 것으로서, 프레임의 전방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후륜 구동롤러(4)는 검사 차량(1)의 후륜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거나그 후륜의 구동에 의해 피동 회전하는 것으로서, 프레임의 후방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리테이닝 롤러(5)들은 검사 차량(1)의 각 차륜에 의해 프리 회전하는 것으로서,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리테이닝 롤러(5)들은 검사 차량(1)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휠 캡 장착유닛(6)은 검사 차량(1)의 각 차륜에 휠 캡(7)을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휠 캡 장착유닛(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캡 장착로봇(8)의 아암 선단에 설치되는 휠 캡 그리퍼(9)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휠 캡 그리퍼(9)는 휠 캡(7)을 그리핑 하며, 그 휠 캡(7)을 검사 차량(1)의 각 차륜에 장착하는 것으로서, 휠 캡 장착로봇(8)의 아암 선단에 프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휠 캡 그리퍼(9)는 구동원에 의한 그리핑 동작 및 그리핑 해제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휠 캡(7)을 그리핑 한 상태에서, 휠 캡 장착로봇(8)의 로봇 이동에 의해 휠 캡(7)을 각 차륜의 설정된 고정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휠 캡 그리퍼(9)는 휠 캡 장착로봇(8)의 아암 선단에 프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회전체에 연결되며, 그 회전체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 차량(1)의 가속, 자연감속, 중립, 제동, 및 정지 동작 등을 검사할 수 있는 공지 기술의 테스터기(T)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테스터기(T)는 액슬 롤 테스터기와 브레이크테스터기의 기능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당 업계에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의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100)은 검사 차량(1)의 롤 앤 브레이크 검사를 수행하는데 따른 전기 에너지의 사용 비용 절감 및 생산원가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구성을 더 포함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100)은 전륜 회생제동 모터(MG1)(10), 후륜 회생제동 모터(MG2)(20), 발전유닛(30), 에너지 저장부(40), 제어부(50), 그리고 에너지 분배부(6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전륜 회생제동 모터(10)는 전륜 구동롤러(3)와 연결되며, 프레임에 설치된다. 상기 전륜 회생제동 모터(10)는 전륜 구동롤러(3)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륜 회생제동 모터(10)는 검사 차량(1)의 후륜 구동 시, 전륜 구동롤러(3)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륜 회생제동 모터(10)는 검사 차량(1)의 전륜 구동에 의하여 전륜 구동롤러(3)가 피동 회전하는 경우, 발전기의 역할을 하며, 전륜 구동롤러(3)의 피동 회전에 의하여 회생제동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후륜 회생제동 모터(20)는 후륜 구동롤러(4)와 연결되며, 프레임에 설치된다. 상기 후륜 회생제동 모터(20)는 후륜 구동롤러(4)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륜 회생제동 모터(20)는 검사 차량(1)의 전륜 구동 시, 후륜 구동롤러(4)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륜 회생제동 모터(20)는 검사 차량(1)의 후륜 구동에 의하여 후륜 구동롤러(4)가 피동 회전하는 경우, 발전기의 역할을 하며, 후륜 구동롤러(4)의 피동 회전에 의하여 회생제동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발전유닛(30)은 전륜 구동롤러(3), 후륜 구동롤러(4), 리테이닝 롤러(5), 그리고 휠 캡 장착유닛(6)과 연결되며, 이들의 회전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러한 발전유닛(30)은 전륜 구동롤러(3)와 벨트(B)를 통해 연결되는 제1 알터네이터(31)와, 후륜 구동롤러(4)와 벨트(B)를 통해 연결되는 제2 알터네이터(3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발전유닛(30)은 리테이닝 롤러(5)와 벨트(B)를 통해 각각 연결되는 제3 알터네이터(33)와, 휠 캡 장착유닛(6)에 구비되는 제4 알터네이터(34)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 내지 제4 알터네이터(31~34)는 소정의 회전 구동력을 제공받아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전기로서, 예를 들면 전파의 장애가 없고, 저속 회전에서도 발전력이 강한 3상 교류 발전기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 알터네이터(3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휠 캡 그리퍼(9)의 프리 회전 측과 벨트(B)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검사 차량(1)의 차종이 전륜 구동 차량인 경우, 전륜 구동롤러(3)는 검사 차량(1)의 전륜 구동에 의해 피동 회전하며, 제1 알터네이터(31)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륜 회생제동 모터(10)는 전륜 구동롤러(3)의 피동 회전에 의하여 회생제동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륜 회생제동 모터(20)는 후륜 구동롤러(4)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고, 그 후륜 구동롤러(4)는 후륜 회생제동 모터(20)에 의해 회전하며, 제2 알터네이터(32)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사 차량(1)의 차종이 후륜 구동 차량인 경우, 후륜 구동롤러(4)는 검사 차량(1)의 후륜 구동에 의해 피동 회전하며, 제2 알터네이터(32)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륜 회생제동 모터(20)는 후륜 구동롤러(4)의 피동 회전에 의하여 회생제동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륜 회생제동 모터(10)는 전륜 구동롤러(3)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고, 그 전륜 구동롤러(3)는 전륜 회생제동 모터(10)에 의해 회전하며, 제1 알터네이터(31)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 차량(1)의 차종이 사륜 구동 차량인 경우, 전륜 및 후륜 구동롤러(3, 4)는 검사 차량(1)의 전륜 및 후륜에 의해 피동 회전하며, 제1 및 제2 알터네이터(31, 32)에 회전 구동력을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륜 회생제동 모터(10)는 전륜 구동롤러(3)의 피동 회전에 의하여 회생제동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고, 후륜 회생제동 모터(20)는 후륜 구동롤러(4)의 피동 회전에 의하여 회생제동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에너지 저장부(40)는 전륜 회생제동 모터(10), 후륜 회생제동 모터(20) 및 발전유닛(30)의 알터네이터(31~34)들로부터 생성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것이다.
상기 에너지 저장부(40)는 당 업계에서 ESS라고도 하며, 대용량 배터리로서의 축전기로 구비되는 바, 정류를 통하여 직류 전기를 저장할 수 있고, 배터리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50)는 본 시스템(100)의 전반적인 운용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서,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내용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0)는 롤 앤 브레이크 검사 공정의 전반적인 운용 및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에너지 분배부(60)는 에너지 저장부(40)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제어부(50)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의해 전력 사용처로 분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에너지 분배부(60)는 에너지 저장부(40)에 저장된 고전압의 전력을 사용 유틸리티, 예를 들면 전륜 및 후륜 회생제동 모터(10, 20), 본 시스템(100)의 주변 설비인 공기 청정기, UPS, 조명, 외부 전자기기 등의 전력 사용처로 전력을 분배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100)의 제어 방법을 앞서 개시한 도면들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검사 차량(1)이 휠 베이스(2) 상으로 진입하면(S11), 그 검사 차량(1)의 차종을 인식한다(S12). 여기서, 상기 검사 차량(1)의 차종 인식은 예를 들어, 차량 바코드, 무선 OBD, 스마트 태그 등과 같은 통신수단을 통해 가능하다.
그 후,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검사 차량(1)의 차종에 맞게 휠 베이스(2)를 조정하며, 그 검사 차량(1)을 설정된 검사 영역에 정 위치시킨다(S13).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휠 캡 장착유닛(6)을 통해 상기 검사 차량(1)의 각 차륜에 휠 캡(7)을 장착한 상태에서(S14), 검사 차량(1)을 구동시킨다(S15).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휠 캡 장착로봇(8)의 아암 선단에서 프리 회전하는 휠 캡 그리퍼(9)를 통해 휠 캡(7)을 그리핑 하며, 그 휠 캡(7)을 검사 차량(1)의 각 차륜에 장착한 상태로, 휠 캡 그리퍼(9)의 휠 캡 그리핑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상기한 과정을 거친 후,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검사 차량(1)의 차종이 전륜, 후륜 및 사륜 구동 차량인지를 판단하는데, 우선 검사 차량(1)의 차종이 전륜 구동 차량인지를 판단한다(S16).
여기서, 상기 검사 차량(1)의 차종이 전륜 구동 차량인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전륜 구동롤러(3)는 검사 차량(1)의 전륜 구동에 의해 피동 회전한다(S17).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후륜 회생제동 모터(20)를 구동시키며(S18), 후륜 구동롤러(4)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한다(S19). 이 경우, 상기 후륜 회생제동 모터(20)는 전륜 구동롤러(3)의 회전 속도와 동기화 하는 회전 구동력을 후륜 구동롤러(4)에 제공하며, 상기 후륜 구동롤러(4)는 후륜 회생제동 모터(20)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구동 회전한다.
이 과정에, 전륜 회생제동 모터(10)는 구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전륜 구동롤러(3)의 피동 회전에 의하여 회생제동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고(S21), 후륜 회생제동 모터(20)에 의해 회전하는 후륜 구동롤러(4)를 통해 발전유닛(30)의 제2 알터네이터(32)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검사 차량(1)의 전륜 구동에 의해 피동 회전하는 전륜 구동롤러(3)를 통해 발전유닛(30)의 제1 알터네이터(31)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에, 상기 발전유닛(30)의 제1 및 제2 알터네이터(31, 32)는 회전 구동력을 제공받아 구동하며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킨다(S22).
한편, 상기 S16 과정에서, 검사 차량(1)의 차종이 전륜 구동 차량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검사 차량(1)의 차종이 후륜 구동 차량인지를 판단한다(S31).
여기서, 상기 검사 차량(1)의 차종이 후륜 구동 차량인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후륜 구동롤러(4)는 검사 차량(1)의 후륜 구동에 의해 피동 회전한다(S32).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전륜 회생제동 모터(10)를 구동시키며(S33), 전륜 구동롤러(3)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한다(S34). 이 경우, 상기 전륜 회생제동 모터(10)는 후륜 구동롤러(4)의 회전 속도와 동기화 하는 회전 구동력을 전륜 구동롤러(3)에 제공하며, 상기 전륜 구동롤러(3)는 전륜 회생제동 모터(10)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구동 회전한다.
이 과정에, 상기 후륜 회생제동 모터(20)는 구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후륜 구동롤러(4)의 피동 회전에 의하여 회생제동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고(S21), 전륜 회생제동 모터(10)에 의해 회전하는 전륜 구동롤러(3)를 통해 발전유닛(30)의 제1 알터네이터(31)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검사 차량(1)의 후륜 구동에 의해 피동 회전하는 후륜 구동롤러(4)를 통해 발전유닛(30)의 제2 알터네이터(32)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에, 상기 발전유닛(30)의 제1 및 제2 알터네이터(31, 32)는 회전 구동력을 제공받아 구동하며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킨다(S22).
다른 한편, 상기 S31 과정에서, 검사 차량(1)의 차종이 후륜 구동 차량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검사 차량(1)의 차종을 사륜 구동 차량으로 인식한다(S41).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전륜 및 후륜 회생제동 모터(10, 20)에 정지 신호를 인가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검사 차량(1)의 전륜 및 후륜에 의해 전륜 및 후륜 구동롤러(3, 4)가 피동 회전하며(S42), 그 전륜 및 후륜 구동롤러(3, 4)를 통해 발전유닛(30)의 제1 및 제2 알터네이터(31, 32)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발전유닛(30)의 제1 및 제2 알터네이터(31, 32)는 회전 구동력을 제공받아 구동하며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킨다(S22). 더 나아가, 상기 전륜 회생제동 모터(10)는 전륜 구동롤러(3)의 피동 회전에 의하여 회생제동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고, 후륜 회생제동 모터(20)는 후륜 구동롤러(4)의 피동 회전에 의하여 회생제동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상기한 경우들의 과정에서와 같이, 검사 차량(1)의 전륜 및 후륜이 회전하게 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전륜 및 후륜에 의해 리테이닝 롤러(5)들이 (피동)회전한다(S43).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리테이닝 롤러(5)를 통하여 통하여 발전유닛(30)의 제3 알터네이터(33)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에 상기 발전유닛(30)의 제3 알터네이터(33)는 회전 구동력을 제공받아 구동하며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킨다(S22).
더 나아가, 상기한 바와 같이 검사 차량(1)의 전륜 및 후륜이 회전하게 되면, 휠 캡 장착유닛(6)의 휠 캡 그리퍼(9)가 휠 캡(3)을 검사 차량(1)의 각 차륜에 장착한 상태로, 그 휠 캡(7)의 그리핑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전륜 및 후륜의 회전에 의해 휠 캡 그리퍼(9)가 회전한다(S44).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휠 캡 그리퍼(9)의 회전을 통해 발전유닛(30)의 제4 알터네이터(34)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에 상기 발전유닛(30)의 제4 알터네이터(34)는 회전 구동력을 제공받아 구동하며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킨다(S22).
상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거친 후,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테스터기(T)를 통하여 검사 차량(1)의 가속, 자연감속, 중립, 제동, 및 정지 동작 등과 같은 롤 앤 브레이크 검사를 수행한다(S51).
이러는 과정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전륜 및 후륜 회생제동 모터(10, 20)와 발전유닛(30)의 알터네이터(31~34)들로부터 생성한 전기 에너지를 에너지 저장부(40)에 저장한다(S52).
그 후,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에너지 저장부(40)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에너지 분배부(60)를 통해 전력 사용처로 분배하는데(S53), 에너지 분배부(60)는 제어부(50)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전륜 및 후륜 회생제동 모터(10, 20), 본 시스템(100)의 주변 설비인 공기 청정기, UPS, 조명, 외부 전자기기 등과 같은 전력 사용처로 분배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100)에 의하면, 조립이 완성된 검사 차량(1)의 롤 앤 브레이크 검사를 수행하는 과정에, 전륜/후륜 회생제동 모터(10, 20) 및 발전유닛(30)의 알터네이터(31~34)들로부터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며, 전력 사용처로 분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검사 차량(1)의 롤 앤 브레이크 검사를 수행하는데 따른 전기 에너지의 사용 비용 절감 및 생산원가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친환경 및 에너지 절감형 기반의 생산시설을 구축함으로써 친환경적인 기업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검사 차량 2: 휠 베이스
3: 전륜 구동롤러 4: 후륜 구동롤러
5: 리테이닝 롤러 6: 휠 캡 장착유닛
7: 휠 캡 8: 휠 캡 장착로봇
9: 휠 캡 그리퍼 10: 전류 회생제동 모터
20: 후륜 회생제동 모터 30: 발전유닛
31: 제1 알터네이터 32: 제2 알터네이터
33: 제3 알터네이터 34: 제4 알터네이터
40: 에너지 저장부 50: 제어부
60: 에너지 분배부 B: 벨트
T: 테스터기

Claims (19)

  1. 검사 차량을 정 위치시키는 휠 베이스와, 상기 휠 베이스의 전후방 측에 각각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륜 및 후륜 구동롤러와, 상기 휠 베이스의 전후방 측에서 검사 차량의 각 차륜에 의해 프리 회전하는 리테이닝 롤러와, 검사 차량의 각 차륜에 휠 캡을 장착하는 휠 캡 장착유닛을 포함하는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으로서,
    상기 전륜 구동롤러 및 후륜 구동롤러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전륜 구동롤러 및 후륜 구동롤러에 회전 구동력을 각각 제공하며, 검사 차량의 전륜 및 후륜 구동으로 피동 회전하는 상기 전륜 구동롤러 및 후륜 구동롤러에 의하여 회생제동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전륜 및 후륜 회생제동 모터;
    상기 전륜 및 후륜 구동롤러, 리테이닝 롤러, 그리고 상기 휠 캡 장착유닛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며, 회전 운동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유닛; 및
    상기 전륜 및 후륜 회생제동 모터와 상기 발전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전륜 및 후륜 회생제동 모터와 상기 발전유닛으로부터 생성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부;
    를 포함하는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롤 앤 브레이크 검사 공정의 전반적인 운용 및 전력을 관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에너지 저장부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제어부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의해 전력 사용처로 분배하는 에너지 분배부
    를 더 포함하는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전륜 구동롤러와 벨트를 통해 연결되는 제1 알터네이터와,
    상기 후륜 구동롤러와 벨트를 통해 연결되는 제2 알터네이터와,
    상기 리테이닝 롤러와 벨트를 통해 각각 연결되는 제3 알터네이터와,
    상기 휠 캡 장착유닛에 구비되는 제4 알터네이터
    를 포함하는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휠 캡 장착유닛은,
    상기 휠 캡을 그리핑 하며 검사 차량의 각 차륜에 장착하도록 휠 캡 장착 로봇의 아암 선단에 프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휠 캡 그리퍼
    를 포함하는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휠 캡 그리퍼의 프리 회전 측과 벨트를 통해 연결되는 제4 알터네이터를 포함하는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차량의 차종이 전륜 구동 차량인 경우,
    상기 전륜 구동롤러는 전륜에 의해 피동 회전하며, 상기 제1 알터네이터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전륜 회생제동 모터는 상기 전륜 구동롤러에 의하여 회생제동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며,
    상기 후륜 회생제동 모터는 상기 후륜 구동롤러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후륜 구동롤러는 상기 후륜 회생제동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2 알터네이터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차량의 차종이 후륜 구동 차량인 경우,
    상기 후륜 구동롤러는 후륜에 의해 피동 회전하며, 상기 제2 알터네이터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후륜 회생제동 모터는 상기 후륜 구동롤러에 의하여 회생제동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며,
    상기 전륜 회생제동 모터는 상기 전륜 구동롤러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전륜 구동롤러는 상기 전륜 회생제동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1 알터네이터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차량의 차종이 사륜 구동 차량인 경우,
    상기 전륜 및 후륜 구동롤러는 전륜 및 후륜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1 및 제2 알터네이터에 회전 구동력을 각각 제공하는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
  9. 검사 차량을 정 위치시키는 휠 베이스와, 상기 휠 베이스의 전후방 측에 각각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륜 및 후륜 구동롤러와, 상기 휠 베이스의 전후방 측에서 검사 차량의 각 차륜에 의해 프리 회전하는 리테이닝 롤러와, 검사 차량의 각 차륜에 휠 캡을 장착하는 휠 캡 장착유닛을 포함하는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a) 검사 차량이 상기 휠 베이스 상으로 진입하면, 상기 검사 차량의 차종을 인식하고;
    (b) 상기 검사 차량의 차종에 맞게 상기 휠 베이스를 조정하며, 상기 검사 차량을 설정된 영역에 정 위치시키고;
    (c) 상기 휠 캡 장착유닛을 통해 상기 검사 차량의 각 차륜에 상기 휠 캡을 장착한 상태로 상기 검사 차량을 구동시키고;
    (d) 상기 검사 차량의 차종이 전륜, 후륜 및 사륜 구동 차량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전륜 및 후륜 구동롤러를 전륜 및 후륜 회생제동 모터를 통해 선택적으로 구동 회전시키며, 상기 검사 차량의 롤 앤 브레이크 검사를 수행하고;
    (e) 상기 전륜 및 후륜 구동롤러, 상기 리테이닝 롤러, 그리고 상기 휠 캡 장착유닛의 회전 운동에너지를 발전유닛을 통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며, 검사 차량의 구동으로 피동 회전하는 상기 전륜 및 후륜 구동롤러에 의하여 상기 전륜 및 후륜 회생제동 모터가 회생제동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f) 상기 전륜 및 후륜 회생제동 모터와 상기 발전유닛으로부터 생성한 전기 에너지를 에너지 저장부에 저장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부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전력 분배부를 통해 설정된 전력 사용처로 분배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b) 과정에서는,
    휠 캡 장착 로봇의 아암 선단에서 프리 회전하는 휠 캡 그리퍼를 통해 상기 휠 캡을 그리핑 하며, 상기 휠 캡을 검사 차량의 각 차륜에 장착하고,
    상기 휠 캡 그리퍼의 휠 캡 그리핑 상태를 유지하는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e) 과정에서는,
    상기 휠 캡 그리퍼의 프리 회전을 통해 발전유닛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e) 과정에서는,
    상기 검사 차량의 전륜 및 후륜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리테이닝 롤러를 통하여 발전유닛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d) 과정에서는,
    상기 검사 차량의 차종이 전륜 구동 차량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후륜 회생제동 모터를 작동시키며, 상기 후륜 구동롤러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e) 과정에서는,
    상기 검사 차량의 전륜에 의해 피동 회전하는 상기 전륜 구동롤러에 의하여 상기 전륜 회생제동 모터가 회생제동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며,
    상기 후륜 회생제동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후륜 구동롤러를 통해 발전유닛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검사 차량의 전륜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전륜 구동롤러를 통해 발전유닛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6.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d) 과정에서는,
    상기 검사 차량의 차종이 후륜 구동 차량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륜 회생제동 모터를 작동시키며, 상기 전륜 구동롤러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e) 과정에서는,
    상기 검사 차량의 후륜에 의해 피동 회전하는 상기 후륜 구동롤러에 의하여 상기 후륜 회생제동 모터가 회생제동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며,
    상기 전륜 회생제동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전륜 구동롤러를 통해 발전유닛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검사 차량의 후륜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후륜 구동롤러를 통해 발전유닛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8.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d) 과정에서는,
    상기 검사 차량의 차종이 사륜 구동 차량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륜 및 후륜 회생제동 모터에 정지 신호를 인가하는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e) 과정에서는,
    상기 검사 차량의 전륜 및 후륜에 의해 프리 회전하는 상기 전륜 및 후륜 구동롤러를 통해 발전유닛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80139339A 2018-11-13 2018-11-13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2598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339A KR102598406B1 (ko) 2018-11-13 2018-11-13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339A KR102598406B1 (ko) 2018-11-13 2018-11-13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565A KR20200055565A (ko) 2020-05-21
KR102598406B1 true KR102598406B1 (ko) 2023-11-03

Family

ID=70910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339A KR102598406B1 (ko) 2018-11-13 2018-11-13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4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44072A (zh) * 2020-12-21 2021-05-04 金建凡 电动滚筒推动车辆在道路上行驶装置总成
FR3120591B1 (fr) * 2021-03-11 2023-02-10 Psa Automobiles Sa Procédé de conduite par robot d’un groupe motopropulseur monté sur banc d’essai et robot de conduite
KR102384080B1 (ko) * 2021-07-06 2022-04-08 근로복지공단 전동 보조기기의 주행 신뢰성 실증 테스트 방법
KR102413586B1 (ko) * 2021-07-06 2022-06-28 근로복지공단 전동 보조기기의 주행 신뢰성 실증 테스트 장치
CN114705456B (zh) * 2022-04-21 2022-11-25 中国汽车工程研究院股份有限公司 商用车制动器带轮边电驱动总成的试验台架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5336A (ja) 2008-12-22 2010-07-01 Kanto Auto Works Ltd 自動車用走行検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528B1 (ko) * 2008-09-08 2016-06-21 버크 이. 포터 머쉬너리 컴퍼니 차량 검사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5336A (ja) 2008-12-22 2010-07-01 Kanto Auto Works Ltd 自動車用走行検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565A (ko) 2020-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8406B1 (ko) 롤 앤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N108045234B (zh) 一种高安全性的电动汽车制动能量回收方法
CN106541834A (zh) 一种调控增程式前驱混动汽车制动扭矩的方法
CN102431527B (zh) 一种汽车电池组更换装置的使用方法
JP2015210259A (ja) 車両性能試験システム
CN115184798A (zh) 一种节能式轮毂电机车轮负荷加载试验装置
CN201030800Y (zh) 一种电机回馈制动与气压制动联合控制的制动装置
CN202089044U (zh) 电动乘用车底盘电池快换机器人
CN111762039A (zh) 不同车型电动小客车共享换电的电池智能储存充电系统
CN104470695A (zh) 用于操纵生产风能设备的转子叶片的转子叶片模具的操纵设备
CN110015131A (zh) 一种燃料电池车辆动力系统控制方法和装置
CN208666919U (zh) 具有新型供电系统的集装箱岸桥牵引式小车
CN102431528B (zh) 电动乘用车底盘电池组更换定位装置及其使用方法
CN110758011A (zh) 一种矿用卡车轮距可调式电动力车厢
Premkumar et al. Design, analysis and fabrication of solar PV powered BLDC hub motor driven electric car
CN201761374U (zh) 一种新型自动双供清洁能源电动汽车
CN101830182A (zh) 一种电动汽车的在线充电和能量回收方法
CN104842733B (zh) 一种基于轮毂直驱电机的电动汽车悬架系统
CN210821848U (zh) 一种用于草原无人巡检的多能量源履带式电驱动平台
CN208762871U (zh) 一种钢丝绳轨道行走机构
CN103465780A (zh) 双电机四轮电动汽车驱动及其控制系统
CN203805714U (zh) 一种纯电动汽车电子辅助制动系统
CN106740143A (zh) 电动汽车或混合动力汽车的制动装置的控制方法
CN207644358U (zh) 一种智能泊车摆渡机器人
CN208765970U (zh) 一种四驱车滚筒同步速度检测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