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220B1 - 중계서버를 이용한 mpm 결제 중계 시스템의 결제 중계 방법 - Google Patents

중계서버를 이용한 mpm 결제 중계 시스템의 결제 중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220B1
KR102598220B1 KR1020220094090A KR20220094090A KR102598220B1 KR 102598220 B1 KR102598220 B1 KR 102598220B1 KR 1020220094090 A KR1020220094090 A KR 1020220094090A KR 20220094090 A KR20220094090 A KR 20220094090A KR 102598220 B1 KR102598220 B1 KR 102598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terminal
information
cat
relay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상헌
경수현
김광철
김재영
Original Assignee
나이스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스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이스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4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220B1/ko
Priority to KR1020230100965A priority patent/KR20240017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2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5Establishing or using transaction specific r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47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electronic receip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06Q20/3267In-app pay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1Active cards, i.e. cards including their own processing means, e.g. including an IC or ch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2Verifyin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s [PI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7Cancellation of a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9Device specific authentication in transaction processing
    • G06Q20/4093Monitoring of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2Confirmation, e.g. check or permission by the legal debtor of pa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rket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계서버를 이용한 MPM 결제 중계 시스템의 중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중계서버를 이용한 MPM 결제 중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계서버는 가맹점 결제 단말기 또는 고객 단말기를 통해 수신한 가맹점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승인하는 단계, 상기 가맹점 정보를 이용하여 CAT 단말기와 연결하는 단계, 상기 CAT 단말기와 연결되면, 상기 CAT 단말기로부터 역 접속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 승인 정보를 상기 CAT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승인 정보에 따라 상기 CAT 단말기와 연동된 출력장치를 통해 상기 결제 승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중계서버를 이용한 MPM 결제 중계 시스템의 결제 중계 방법{SYSTEM FOR PROXY MPM PAYMENT USING PROXY SERVER OF PROXY METHOD}
본 발명은 중계서버를 이용한 MPM 결제 중계 시스템의 중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로페이(Zeropay)나 카카오페이(Kakaopay) 등과 같은 QR 셀프 결제 플랫폼들은 사용자가 사용자 이동단말을 통해 QR 셀프 결제 앱을 실행하여 가맹점에 구비된 QR 인식 보드나 QR 스티커 등으로부터 QR 코드를 인식하고, 사용자가 결제금액을 입력하여 결제 요청하면, QR 셀프 결제 플랫폼이 결제 승인을 처리한다.
종래의 QR 셀프 결제 플랫폼은 사용자 이동단말에 의한 QR 셀프 결제요청에 대한 결제 승인 처리 후, 등록된 가맹점 대표자(가맹점주) 이동단말로 QR 셀프 결제정보를 전송하는 가맹점 결제 단말기와는 무관한 결제 기술이다.
따라서, 대표자가 부재중인 가맹점에서는 점원이 결제 승인이 정상적으로 처리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어려웠고, 사용자(고객)가 실수로 결제금액을 오입력하거나, 사용자가 고의로 결제 오류를 발생시킬 경우 이를 즉시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으며, 현재 신용카드 결제 단말기 등과 같은 가맹점 결제 단말기는 리눅스(Linux)나 안드로이드(Android) 기반 OS를 탑재하고 있으며, SIP 기반 푸쉬(PUSH) 서비스를 지원하지 못하고 있어, QR 셀프 결제 플랫폼에 의해 수행되는 QR 셀프 결제에 대한 승인 결과를 가맹점 결제 단말기로 푸쉬(PUSH)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중계서버를 이용하여 결제 승인 정보를 CAT 단말기나 가맹점 결제 단말기로 제공하여 출력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가맹점에는 CAT 단말기가 존재하며, 해당 CAT 단말기는 오프라인에서의 신용카드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CAT 단말기에서 선택된 상품에 대해서 결제한다. 그러나 해당 물리적인 CAT 단말기는 수량이 한정적이라서 다수의 고객이 해당 CAT 단말기를 이용하여 주문할 경우, 특히 CAT 단말기로 결제를 승인하기 위해서 조작하는 동안 다른 고객은 해당 CAT 단말기에 저장된 사업자 정보로 결제하여, 해당 CAT 단말기에서 영수증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이 사실이다.
즉 고객은 물리적으로 설치된 소수의 CAT 단말기로 결제를 승인하는 다른 사람의 결제가 끝날 때까지 대기해야 하는 불필요한 시간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86995호(2019.07.24.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중계서버를 이용하여 가맹점 결제 단말기와 고객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결제 승인 정보를 연동된 CAT 단말기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중계서버를 이용한 MPM 결제 중계 시스템의 중계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가맹점에는 CAT 단말기가 존재하며, 해당 CAT 단말기는 오프라인에서의 신용카드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CAT 단말기에서 선택된 상품에 대해서 결제하는 방식으로 고객의 스마트폰에서도 결제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물리적인 CAT 단말기는 수량이 한정적이라도, 다수의 고객이 해당 CAT 단말기에서 동시에 주문하는 방법이 필요하면서, 이를 실직적인 영수증의 출력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그리고 CAT 단말기에 저장된 사업자 정보로 상품의 매출이 직접적으로 발생하도록 하여, 다른 사업자 정보로 위탁하여 다른 사업자 정보로 판매되는 상품에 대해서 받을 수 없었던 부가세 환급, 비용처리, 카드사 할인, 카드사 적립, 제휴할인을 기존 CAT 단말기에 저장된 사업자 정보로 고객에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중계서버를 이용한 MPM 결제 중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계서버는 가맹점 결제 단말기 또는 고객 단말기를 통해 수신한 가맹점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승인된 결제 승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중계서버와 상기 가맹점 정보를 이용하여 CAT 단말기가 연결하는 단계, 상기 중계서버와 상기 CAT 단말기가 연결되면, 상기 중계서버가 상기 CAT 단말기로부터 역 접속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 승인 정보를 상기 CAT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승인 정보에 따라 상기 CAT 단말기와 연동된 출력장치를 통해 상기 결제 승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CAT 단말기와 연결이 불안정하거나 오프라인인 경우, 상기 중계서버에 상기 CAT 단말기의 결제 승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맹점 결제 단말기는 상기 CAT 단말기와 연동되며, 상기 중계서버에 의해 승인된 결제 승인의 취소의 권한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맹점 결제 단말기는 상기 고객 단말기에 표시되는 상품의 판매 구성 또는 판매 단가를 수정하고, 상기 결제가 승인된 상품의 지급 여부를 확정할 수 있다.
상기 가맹점 정보는 상기 가맹점 주소에 위치하는 오프라인 CAT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이면서, 상기 고객 단말기에 표시되는 사업자번호일 수 있다.
상기 결제 승인 정보는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중계서버로 결제요청이 가능한 외부 플랫폼을 통해 요청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업자번호로 발생되는 매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결제가 승인된 매출 정보는 상기 사업자번호와 제휴된 결제사의 제휴 서비스 또는 정부로부터 환급이 가능한 매출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결제사에게 결제 승인된 결제정보를 중계서버에 역 접속하여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한 결제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IC 칩으로부터 카드정보를 획득하여 가맹점 정보로 상품을 결제하는 결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IC 칩으로부터 카드정보를 추출하는 입력부, 상기 가맹점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중계서버 또는 벤사서버에 상기 추출된 카드정보의 카드사로 결제 승인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중계서버 또는 벤사서버에 역 접속하여 상기 결제승인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결제 승인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페이사로부터 결제 승인된 데이터를 획득하여 CAT 단말기가 해당 결제에대한 결제 영수증을 출력할 수 있어, 대표자가 없는 사업장에서 정상 처리 여부 확인이 어려움과 고객이 실수로 금액 입력오류 및 미 결제 처리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의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매출이 CAT단말기에 저장된 사업자 정보로 매출이 발생하기 때문에, CAT단말기에 저장된 사업자 정보의 매출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부가세 및 기타 할인 또는 적립 받을 수 있다.
그리고 CAT 단말기에 저장된 사업자 정보로 상품의 매출이 직접적으로 발생하도록 하여, 다른 사업자 정보로 위탁하여 다른 사업자 정보로 판매되는 상품에 대해서 받을 수 없었던 부가세 환급, 비용처리, 카드사 할인, 카드사 적립, 제휴할인을 기존 CAT 단말기에 저장된 사업자 정보로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PM 결제 중계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AT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결제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PM 결제 중계 시스템의 결제 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맵핑 아이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PM 결제 중계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AT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결제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먼저, 도 1에서 나타낸 것처럼, MPM 결제 중계 시스템(100)은 중계서버(110), CAT 단말기(120), 가맹점 결제 단말기(130), 고객 단말기(140), 결제사(150), VAN 서버(160) 및 신용카드사 서버(170)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서버(110)는 CAT 단말기(120)와 가맹점결제 단말기(130)를 고객 단말기(140), 결제사(150), VAN 서버(160) 및 신용카드사 서버(170)와 연동하도록 한다. 이러한 중계서버(110)는 후술할 결제 중계 방법의 설명시 자세히 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CAT 단말기(120)는 도 2에서 나타낸 것처럼, 통신부(121), 출력부(122) 및 결제부(123)를 포함한다. 먼저, 통신부(121)는 고객 단말기(140)의 요청에 의해 결제사(150)에게 결제 승인된 결제정보를 중계서버(110)에 역 접속하여 수신한다. 이때, 역 접속은 도 2에서 나타낸 것처럼, 변동아이피를 이용하여 CAT 단말기(120)가 중계서버(110)에 접속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출력부(122)는 통신부(121)가 수신한 결제 정보를 출력한다. 이때, 출력되는 결제정보는 영수증 출력, 주문내용 출력 및 주문 접수 출력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결제부(123)는 IC 칩으로부터 카드 정보를 획득하여 가맹점 정보로 상품을 결제한다. 여기서 가맹점 정보는 가맹점의 사업자번호를 의미한다. 이렇게 구성된 CAT 단말기(120)는 스마트폰에 부착되는 단말기이거나 가맹점에 고정형으로 설치되거나 가맹점에서 휴대형으로 이동이 가능한 단말기일 수 있으며, CAT 단말기(120)의 종류는 한정하지 아니한다.
그리고, 도 3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결제 단말기(130)는 입력부(131), 저장부(132), 통신부(133) 및 출력부(134)를 포함한다. 먼저, 입력부(131)는 IC 칩으로부터 카드정보를 추출한다. 즉, 입력부(131)는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에 구비된 IC 칩을 인식하는 경우, IC 칩에 저장되어 있는 카드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카드 정보는 카드번호, 카드사 정보 또는 CVC번호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저장부(132)는 가맹점 정보가 저장된다. 즉, 저장부(132)는 가맹점의 사업자번호를 저장한다. 그리고 통신부(133)는 중계서버(110) 또는 VAN서버(160)에 추출된 카드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카드사로 결제 승인 요청을 송신하고, 중계서버(110) 또는 VAN서버(160)에 역 접속하여 결제 승인 정보를 수신한다. 그러면 출력부(134)는 수신된 결제 승인 정보를 출력한다. 이러한, 가맹점 결제 단말기(130)는 사용자의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와 같은 IC 칩을 내장한 카드를 이용하여 물품에 대한 결제 및 출력을 제공하는 단말기로, POS기, 해당 매장 사장의 휴대용 단말기, 태블릿 PC 또는 일반 PC등과 같이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다른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가맹점 결제 단말기(130)는 CAT 단말기(120)와 연동되며, 중계서버(110)에 의해 승인된 결제 승인을 취소할 수 있으며, 고객 단말기(140)에 표시되는 상품의 판매 구성 또는 판매 단가를 수정하고, 결제 승인된 상품의 지급 여부를 확정할 수 있다. 즉, 가맹점 결제 단말기(130)는 판매 상품에 대한 구성, 단가를 수정하고, 잘못 승인된 결제 승인을 취소할 수 있어, 상품 판매를 유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고객 단말기(140)는 가맹점에 주문을 하기 위한 단말기로, 스마트폰, PDA 및 PC등과 같이 입출력이 가능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다음으로, 결제사(150)는 제로페이 또는 N페이와 같이 고객 단말기(140)를 통해 결제요청을 수신하면, 수신된 정보를 중계서버(110) 또는 VAN 서버(160)로 전송한다. 이때, 결제사(150)는 고객 단말기(140)에 설치되어 운영될 수 있으며, 가맹점 결제 단말기도 결제사(150)를 통해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VAN 서버(160)는 신용카드사 서버(170)와 중계서버(110)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로 획득된 카드정보를 이용하여 카드사 정보를 구분하고, 해당 카드 거래의 매입을 진행한다.
다음으로, 신용카드사 서버(170)는 결제 요청된 카드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VAN 서버(160)로부터 결제요청된 카드정보의 확인 요청을 수신하면, 신용카드가 서버(170)는 해당 카드 정보가 사용이 가능한 카드 정보인지 확인하고, 그 결과를 VAN 서버(160)에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PM 결제 중계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PM 결제 중계 시스템의 결제 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맵핑 아이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PM 결제 중계 방법은 결제 승인단계(S110), CAT 단말기와 중계서버의 연결을 확인하는 단계(S120), 결제 승인 정보를 CAT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130), 결제 승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40) 및 결제 승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50)를 포함한다.
중계서버(110)는 가맹점 결제 단말기(130) 또는 고객 단말기(140)를 통해 수신한 가맹점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승인한다(S110). 먼저, 중계서버(110)는 결제 승인이 요청된 CAT 단말기(120)와의 가입인증 상태를 확인한다. 이때, 중계서버(110)에 CAT 단말기(120)가 가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중계서버(110)는 해당 CAT 단말기(120)의 가입을 실시한다. 그러면, 중계서버(110)와 CAT 단말기(120) 사이에 통신을 하기 위한 메시지 큐가 생성된다. 이때, 메시지 큐의 이름은 해당 CAT 단말기(120)의 시리얼 번호와 CAT 단말기(120)의 아이디를 조합하여 제작되며, 예를 들어 CAT 단말기(120)의 시리얼 번호가 NG21010001이고, 아이디가 2393300001인 경우 메시지 큐의 이름은 2393300001NG21010001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메시지 큐는 각각의 CAT 단말기(120)마다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서로 다른 메시지 큐의 이름을 가진다.
중계서버(110)는 결제 승인 이전에 가맹점 결제 단말기(130) 또는 고객 단말기(140)로부터 획득한 가맹점 정보와 CAT 단말기(120)의 정보를 입력받아 맵핑 아이디를 생성하여 등록한다. 도 5에서 나타낸 것처럼, 맵핑 아이디는 CAT 단말기(120)의 아이디와 시리얼 번호 및 CAT 단말기(120)의 서비스를 함께 포함한다. 여기서, 서비스는 CAT 단말기(120)의 서비스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영수증 출력 및 주문 출력과 같은 서비스를 의미한다. 즉 도 6에서 나타낸 것처럼, 중계서버(110)는 가맹점 결제 단말기(130) 또는 고객 단말기(140)로부터 맵핑 아이디를 통해 수신한 가맹점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승인한다. 이렇게 맵핑 아이디를 통해 결제를 승인함으로써, 복수의 결제 단말기(130) 또는 고객 단말기(140)로부터 들어오는 결제 승인을 순차적으로 실행하여 중계서버(110)의 과부하를 저하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중계서버(110)는 가맹점 정보와 맵핑 아이디를 통해 CAT 단말기(120)와 연결 여부를 확인한다(S120). 즉, 중계서버(110)는 CAT 단말기(120)의 현재 상태가 온라인인지 오프라인인지 판단한다. 이때, CAT 단말기(120)가 온라인 상태인 경우, 중계서버(110)는 결제 승인 정보를 CAT 단말기(120)로 전송한다(S130). 여기서, 중계서버(110)는 맵핑 아이디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메시지 큐 이름을 생성하고, 생성한 메시지 큐 이름과 중계서버(110)에 등록된 메시지 큐 중에서 동일한 이름을 가지는 메시지 큐와 연동하고, 연동된 메시지 큐를 이용하여 결제 승인 정보를 CAT 단말기(120)에 제공한다. 이때, 맵핑 아이디에 있는 서비스 정보도 함께 메시지 큐를 통해 CAT 단말기(120)에 제공된다. 이렇게 각각 설정된 고유의 메시지 큐를 통해 CAT 단말기(120)로 결제 승인 정보 및 서비스 정보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다른 CAT 단말기(120)로 결제 승인 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으며, 중계서버(110)와 CAT 단말기(120)가 1:1로 연결되어 통신을 원활하게 제공될 수 있다.
반면에 CAT 단말기(120)가 오프라인 상태이거나 CAT 단말기(120)와 중계서버(110) 사이의 연결이 불안정한 경우, 중계서버(110)는 해당 결제 승인 정보를 저장한다(S140). 즉, CAT 단말기(120)와 중계서버(110) 사이의 연결이 끊어져 있는 경우, 중계서버(110)는 해당 CAT 단말기(120)와 설정되어 있는 고유의 메시지 큐에 해당 결제 승인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CAT 단말기(120)가 오프라인 상태에서 온라인 상태로 변하면, CAT 단말기(120)는 중계서버(130)로 역 접속하여 메시지 큐에 저장되어 있는 결제 승인 정보를 수신한다. 그러면, 중계서버(130)는 이후에 수신되는 결제 승인 정보를 CAT 단말기(120)에 송부한다.
다음으로, CAT 단말기(120) 또는 가맹점 결제 단말기(130)는 결제 승인 정보에 따라 결제 승인 정보를 출력한다(S150). 즉, CAT 단말기(120)는 부착 또는 연동된 출력부(122)를 이용하여 해당 결제 승인 정보를 출력하며, 가맹점 결제 단말기(130)도 연동된 출력부(134)를 이용하여 해당 결제 승인 정보를 출력한다. 그러면, 도 6에서 나타낸 것처럼, 결제 승인 정보가 출력된다. 이때, 결제 승인 정보는 해당 사업자번호로 발생되는 매출 정보이고, 이러한 결제 승인 정보를 이용하여 사업자번호와 제휴된 결제사의 제휴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정부로부터 세금 환급과 같은 환급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결제 승인 정보를 CAT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130)에서 하나의 CAT 단말기(120)에 서로 다른 결제사(150)로부터 동시에 결제 승인 정보를 획득하면, 중계서버(110)는 서로 다른 결제사(150)로부터 전문을 수신하고, 해당 전문을 분석한다. 이때, 전문은 헤더와 바디를 포함하고, 헤더는 결제사(150)의 플랫폼, 그룹, 가맹점 코드를 포함하며, 바디는 CAT 단말기(120)의 기능과 데이터를 포함한다. 그러면, 중계서버(110)는 서비스, 플랫폼 및 기능의 구분이 가능하도록 중계서버(110)와 CAT 단말기(120) 사이에 정의된 전문으로 변환한다. 이때, 변환된 전문은 처리번호, 헤더 및 바디를 포함하고, 처리번호는 고유값으로 생성되는 전문별로 중복되지않는 값을 의미하고, 헤더는 서비스 코드, 기능코드 및 메시지 코드를 포함하고, 바디는 결제사(150)에서 CAT 단말기(120)에 전송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도 7에서 나타낸 것처럼, 중계서버(110)에서 CAT 단말기(120)로 전송하는 정보는 좌측에 해당하는 것처럼, 각각의 결제사(150)별로 승인 및 취소에 대한 탭으로 설정되며, 각각의 승인 및 취소 탭은 하위에 각각에 서비스별로 서비스 코드를 포함한다. 또한, 기능코드는 우측에 나타낸 입력 공통부와 출력 공통부에 표시된 것으로, 각각의 서비스 코드별로 포함하는 기능코드는 다를 수 있다. 이러한 기능코드는 필드명, 설명, 타입, 크기, 배열크기, 자릿수, 기본값, 암호화 유형 및 TRIM 여부를 포함하고, 헤더에 작성되는 기능코드는 필드명으로 작성된다. 이러한 전문은 결제사(150)와 중계서버(110) 및 중계서버(110)와 CAT 단말기(120) 사이에 정의된 전문이며, 도 7에서는 기 정의된 전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중계서버(110)의 구성, 결제사(150)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전문을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전문은 CAT 단말기(120)와 중계서버(110) 사이에 기 형성된 메시지 큐를 통해 중계서버(110)에서 CAT 단말기(120)로 전송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페이사로부터 결제 승인된 데이터를 획득하여 CAT 단말기가 해당 결제에대한 결제 영수증을 출력할 수 있어, 대표자가 없는 사업장에서 정상 처리 여부 확인이 어려움과 고객이 실수로 금액 입력오류 및 미 결제 처리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고객 단말기(140)은 상기 CAT단말기(120)에 등록된 소정의 메뉴에 속하는 상품(또는 서비스 상품) 또는 상기 상품(또는 서비스 상품)의 상태를 상기 고객 단말기(14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소정의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소정의 메뉴는 고객 단말기(140)에서 판매가 가능한 상품의 정보와 cat 단말기(120)에서 판매되는 상품의 정보가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으며, 소정의 메뉴는 상품의 정보 중에서 일부일 수도 있다. 즉, 고객 단말기(140)과 CAT 단말기(120)가 표시하는 정보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다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일부의 상품이 연동된 경우, 고객 단말기(140) 또는 CAT 단말기(120)에서 상품의 옵션 또는 가격이 변경될 경우, 동시에 같이 변경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중계서버(110)에 접속이 가능한 메뉴 설정 프로그램에 의해서, 중계서버(110)에 생성된 메뉴가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때 메뉴 설정 프로그램은 상기 가맹점 정보에 해당하는 가맹점 결제 단말기(130)를 구성하는 일부의 프로그램이거나 cat 단말기(120)에 배정되어 저장된 다른 하나의 프로그램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생성되거나 또는 수정된 메뉴는 중계서버(110)에 저장되고, 고객 단말기(140)에 설치된 프로그램이 동작하면, 중계서버(110)에 저장된 상품의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고객 단말(140)에서 선택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메뉴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계서버(140)에 고객 단말기(140)과 cat 단말기(120)에서 생성되거나 수정되는 상품의 정보는 별도의 pc 또는 전자장치의 입력장치에 의해서 설정되어 전송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cat 단말기(120)의 전원이 꺼지면, 고객 단말기(140)의 화면에 판매가 종료되거나 기 설정된 프로세스에 의해서 상품(또는 서비스 상품)을 선택하여 결제(또는 주문)하는 소정의 메뉴를 제약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것은 cat 단말기(120)의 전원이 꺼지면, 특정 상품(또는 서비스 상품)의 판매가 제약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다른 상품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고객 단말기(140)에서 선택할 수 있거나 또는 선택할 수 없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cat 단말기(120)의 전원이 켜지면 고객 단말기(140)에서 소정의 상품(또는 서비스 상품)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메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것은 CAT 단말기(140)에서 선택된 상품의 판매여부 등에 대한 수정 정보를 CAT 단말기(120,130)에서 중계서버(110) 순방향으로 전송하면, 중계서버(110)로 접속하는 고객 단말기(140)에 수정된 상품의 대한 정보가 중계서버(110)에서 고객 단말기(140)으로 전송되어, 고객 단말기(140)의 화면에 상기 수정된 상품에 대해서 선택이 가능하도록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계서버(110)은 N개 이상의 고객 단말기(140)에 수정된 상품의 판매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며, N개 이상의 고객 단말기(140)에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N개는 1000개인 것이 바람직하며, 1,000개의 CAT단말기(140)로 동작하는 고객 단말기(140)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CAT 단말기(140)에서는 상품의 판매여부를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하지만, 고객 단말기(140)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제한하도록 하여, 적어도 하나의 CAT 단말기(140)를 통하여 N개의 고객 단말기(140)를 CAT 단말기(140)에 저장된 사업자 정보로 매출이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그리고 고객 단말기(140)에서 수정된 상품의 정보를 근거로 상품을 선택하여 결제하면, 고객 단말기(140)은 접속되었던 중계서버(110)에 결제된 정보가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중계서버(110)는 버퍼 서버(110)로 해석될 수 있다. 버퍼(buffer)란 사전적의미로는, 동작 속도가 크게 다른 두 장치 사이에 접속되어 속도 차를 조정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일시적인 저장 장치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버퍼는 고객 단말기(140)에서 발생하는 매출정보가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반면, cat 단말기(120)에서 역으로 중계서버(110)으로 접속하는 시간적인 타이밍에 따라서 cat 단말기(120, 130)과 중계서버(110)간에 총체적인 접속되는데 대한 속도의 차이가 존재하고, 버퍼 서버(110)은 접속하는데 발생하는 시간적인 속도를 조정하여 고객 단말기(140)와 중계서버(110)간의 송수신 속도보다 느리게 접속되는 cat 단말기(120, 130)로 안정적으로 고객 단말기(140)의 결제 요청에 의한 결제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IC신용카드로 CAT 단말기(120)에서 결제를 승인하는 동안에도 CAT단말기(120)의 사업자 정보를 근거로 에러없이 결제가 가능하고, CAT 단말기(120)에서 물리적인 IC신용카드로 결제가 완료된 이후에, 안정적으로 CAT 단말기(12)의 사업자 정보로 결제승인된 결제내역을 영수증으로 출력하도록 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즉, 고객의 무선 단말기(140)에서 결제 요청되거나 또는 선택되어 결제된 상품에 대한 정보를 cat 단말기(120,130)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중계서버(110)가 cat 단말기(120,130)와 무선단말기(140)간에 버퍼 기능을 갖는 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렇게 중계서버(110)가 CAT단말기(120)와 N개의 고객 단말기(140)에서, CAT 단말기(120)에 저장된 사업자 정보로 동시에 결제가 되어도, 결제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며, CAT단말기(120)에서 물리적인 IC신용카드로 결제가 완료된 후 영수증을 출력하여 CAT 단말기(120)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에도, 결제의 승인을 받은 후 순차적으로 고객의 무선 단말기(140)에서 결제가 완료된 내역에 대한 영수증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고객 단말기(140)에서 제공되는 소정의 메뉴에 의해서 선택되어 결제되는 상품(본 발명에서 상품은 일반적인 판매가 가능한 상품을 의미할 수도 있고, 서비스 상품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명세서 전체에서 상품의 지급이라는 의미는 서비스 상품의 이행이라고 해석될 수도 있다.)은 CAT단말기(120)에 저장된 가맹점 정보에 해당하는 사업자 번호로 매출이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은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 번호의 속성을 갖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은 고객 단말기(140)에는 다양한 사업자 번호의 속성을 갖는 상품에 대해서 특정 프로그램(APP)를 설치하면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VAN서버(160), 중계서버(110), 고객 단말기(14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CAT 단말기(120)에서 오프라인으로 판매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고객 단말기(140)에서 선택할 때, 선택된 상품에 대한 판매대금을 결제사가 송금할 수 있는 계좌정보의 소유주에 해당하는 사업자 정보가 연계(또는 연동)되어 저장되어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객 단말기(140)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은 오프라인에 설치된 CAT 단말기(또는 가맹점 결제 단말기, 본 발명의 전체에서 CAT단말기는 가맹점 단말이기고, 가맹점 단말기는 CAT단말기라고 해석될 수도 있고, 각각 독립적인 기능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의 사업장 정보로 매출이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고객 단말기(140)에서 표시되면서 선택되어 결제되는 상품이 CAT 단말기(120)에 저장된 사업자 정보로 매출이 발생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CAT 단말기(120)에 저장된 사업자 정보와 동일한 사업자 정보의 속성을 가진 상품이 고객 단말기(140)를 통해 선택되고, 고객 단말기(40)에서 VAN 서버(160)로 결제될 때, 상품의 결제정보와 사업자 정보에 해당하는 결제 내역의 정보가 자동으로 중계서버(110)에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중계서버(110)는 CAT 단말기(120)로 결제 내역을 전송한 후, 결제 내역에 대한 확인이 완료되었다는 정보를 다시 전송받아 중게서버(11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되었다는 정보를 근거로, 고객 단말기(140)에서는 “지급 완료”에 해당하는 소정의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고객 단말기에서는 다양한 APP이 설치될 수 있고, 다양한 APP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CAT 단말기(120)의 사업자 정보를 근거로 신용카드사 서버에 전달되어 사업자 정보로 매출이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설치된 APP으로 표시된 고객 단말기(140)의 화면에 선택한 상품을 선택하여 결제할 경우, 결제사(150)의 사업자 번호로 VAN 서버를 통하여 매출이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CAT 단말기(120)에서 판매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은 고객 단말기(140)에서 선택되어 결제된 후의 매출이 결제사(150)의 사업자 정보로 매출이 발생할 수도 있고, CAT 단말기(120)의 사업자 번호로 매출이 발생할 수도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사업자 번호에 해당하는 매출의 분류는 고객 단말기(140)에 설치된 APP 또는 고객 단말기(140)에서 선택하는 상품의 속성에 따라서 결제사(150)의 사업자번호, 또는 CAT단말기(120)의 사업자 번호로 매출이 발생할 것인가가 고객 단말기(140)에서 제공되는 소정의 메뉴의 선택에 의해서 정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CAT 단말기(120)는 고객 단말기(140)에서 판매가 가능한 상품의 판매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품의 판매여부의 제어는 CAT 단말기(120)에서 선택되는 소정의 메뉴에 대한 선택에 의해서, 중계서버(110)를 통하여, 고객 단말기(140)에 표시될 수도 있다. 이때, 고객 단말기(140)은 로그인 정보에 따라서, 단말기(140)에 표시되면서, CAT 단말기(120)에도 등록된 동일한 상품에 대해서 CAT 단말기(120)에 저장된 사업자 정보로 매출을 발생하거나 또는 결제사(150)의 사업자 정보로 매출이 발생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CAT 단말기(120)은 고객 단말기(140)의 로그인의 방식과 상관없이, 결제사(150)에서 발생한 상품의 정보와 결제사(150)에서 발생한 상품의 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이때 인지된 상품의 정보는 CAT 단말기(120)에서 중계서버(110)으로 역접속하여, CAT 단말기(120)의 출력부(122)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중계서버(110)가 결제사(150)와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그리고 고객 단말기(140)에는 결제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영수증을 받아보거나, 또는 고객 단말기(140)에 저장된 고객정보에 해당하는 계정(또는 이메일)로 전송된 정보를 고객 단말기(14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어떤 부분에서의 영수증은 결제내역으로 또는 결제된 상품의 정보로 해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된 영수증의 사업자 번호는 CAT 단말기(120)의 사업자일 수도 있고, 결제사(150)의 사업자일 수도 있다. CAT 단말기(120)에서는 고객 단말기(140)의 상품 선택에 의한 상품의 결제에 대한 취소를 결제사(150)의 시스템을 연결하지 않고 취소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고객 단말기(140)가 결제사(150)에 접속하여 특정 상품을 선택하더라도, CAT 단말기(120)에 저장된 사업자 정보의 매출로 발생할 수도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CAT 단말기(120)의 사업자 번호로 고객 단말기(140)에서의 선택에 의해서 발생한, 매출에 대해서 결제사(150)가 거부하더라고 취소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CAT 단말기(120)는 상기 오프라인 위치에 존재하는 가맹점의 사업자 정보(또는 사업자 번호, 본 발명에서 사업자 정보는 사업자 번호에 해당하는 정보를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로, 고객 단말기(140)의 요청에 의해서 발생한 상품의 매출은, CAT 단말기(120)의 매출이기 때문에, 결제사(150)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취소할 수 있는 권한을 CAT 단말기(120)에서 제공할 수 있는 소정의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CAT 단말기(120)에서 취소 요청된 상품의 결제취소는 VAN서버에 정보를 전송하여 결제 취소를 요청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결제사(150)는 PG사일 수 있고, 자체 결제 기능을 갖는 쇼핑몰일 수도 있다. 만약 쇼핑몰일 경우, 쇼핑몰의 결제 기능에 CAT 단말기(120)에 저장된 사업자 정보의 상품에 해당하는 사업자 정보로 매출을 발생할 것인지 또는 쇼핑몰에서 제공하는 PG사의 사업자 정보로 매출을 발생할 것인지는 선택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메뉴를 고객 단말기(140)에서 제공하고, 이를 통하여 어떤 사업자로의 매출을 발생할 것인가를 고객 단말기(140)에서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PG는 결제대행사를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 가맹점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중계서버(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계서버(110)는 CAT 단말기(120)로부터 역접속을 통하여, 고객 단말기(140)에서 선택되어 결제된 상품정보를 CAT 단말기(120)의 출력부(122)를 통하여 영수증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CAT 단말기(120)는 결제사(150)의 사업자 정보로 발생하는 매출에 대해서 지급이 완료되었다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소정의 매뉴를 선택입력 받아 결제사(150)에 전송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지급 완료된 정보는 결제사(150)에 전송되어, 지급 완료된 상품에 해당하는 매출에 대해서 결제사(150)에서 지급된다는 내용으로 중계서버(110) 또는 CAT 단말기(120)와 연동된 별도의 서버에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지급 완료된 정보는 중게서버(110)으로부터 전송받아 출력되는 출력물이 영수증일 수도 있지만, 고객 단말기(140)에서 선택된 결제사(150)의 매출로 발생한 상품에 대해서 지급을 요청하는 메시지에 대한 정보의 출력일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CAT 단말기(120)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메뉴로 확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확정되어 지급된 내역에 대해서 집계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결제사(150)로부터 상품에 대한 비용을 청구할 수 있도록 집계가 가능하도록 CAT 단말기(120)를 구성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급 완료된 정보는 CAT 단말기(120)에서 CAT 단말기(120)에 저장되어 있으면서, CAT 단말기(120)의 가맹점 정보와 일치하는 사업자 정보가 아닌, 사업자 정보로 발생한 매출에 대해서 집계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급 완료된 정보는 발생하는 매출의 사업자 정보가 틀린 영수증이 출력되도록 CAT 단말기(120)를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때 틀린 사업자 정보라고 하더라도 CAT 단말기(120)에 저장된 상품에 대한 매출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즉, CAT 단말기(120)에서 제공되는 상품에 대해서, 다양한 사업자 정보로 발생한 매출을 추출하여 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지급 완료된 정보는 결제사(150)에서 CAT 단말기(120)와 상이한 정보에 해당하는 사업자 정보로 발생한 CAT 단말기(120)에서 지급을 승인할 수 있는 상품의 매출에 대해서 집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급 완료된 정보는 결제사(150)에서 판매되는 CAT 단말기(120)에서 지급이 가능한 상품에 대해서, 결제사(150)가 누락되어 지급될 수 있는 대금에 대해서, CAT 단말기(120)에서 인지하거나 또는 검증할 수 있는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검증할 수 있는 정보는 중계서버(110)에 저장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중계서버(110)와 연동이 가능한 CAT 단말기(120)에 표시될 수 있거나, 다른 연동된 출력장치(디스플레이 또는 인쇄장치 또는 모바일 또는 스마트폰 또는 POS)에서 인쇄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CAT 단말기(120, 130), 중계서버(110), VAN서버(160), 신용카드사 서버(170)는 환급을 위한 환급서버에, 고객 단말기(140)에서 상기 CAT 단말기(120, 130)의 사업자 정보의 매출로 발생한 상품의 금액에 대해서 자동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검증할 수 있는 정보는 환급서버에 의해서, 전송된 사업자 정보가 VAT(부가세)의 환급이 인정되는 정보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분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검증할 수 있는 정보는 고객 단말기(140)에서 CAT 단말기(120)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서도 CAT 단말기(120)과 동일한 가맹점의 사업자 정보(사업자 번호)에서 발생한 매출로 처리가 될 수 있도록 CAT 단말기(120)에서 지급 확정이라는 소정의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환급서버는 국토부의 서버가 될 수도 있다. 이것은 국가보조금 또는 유가보조금을 받는 고객 단말기(140)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보조금을 환급 받을 수 있도록, 고객 단말기(140)에서 선택되어 결제된 상품이 CAT 단말기(120)의 사업자 정보로 매출이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품은 경유, 전기, LPG, 수소등이 될 수도 있다. 여기서 환급서버는 경차와 같은 특정 차량에 대해서 할인 또는 환급할 수 있는 서버일 수도 있다. 이러한 환급서버는 고객 단말기(140)의 사용자가 고객 단말기(140)에 저장된 카드가 경차할인 카드와 같은 특정 할인 또는 특정 환급을 받기 위한 카드이고, 해당 카드가 특정 사업자 정보의 속성일 때 적용해는 카드일 경우, 상기 환급 서버는 고개 단말기(140)에서 발생한 매출에 대해서 할인 또는 환급이 가능하도록, 상기 환급서버로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고객 단말기(140)에서 선택된 상품에 대한 결제가 이루어지고, 상기 결제된 상품이 CAT 단말기(120, 130)에 출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후 출력된 정보에 대해서 상품의 지급을 확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CAT 단말기(120,130)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메뉴에 의한 선택에 의해서, 신용카드사에서 제휴되는 마일리지에 대한 적립이 결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출력된 정보는 신용사드사가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발생하는 매출에 따라서 특정 기준으로 신용카드사의 마일리지를 적립되도록 구성된 적립을, 고객 단말기가 결제사(150)에서 제공하는 상품을 고객 단말기(140)에서 선택하여 결제하더라도, CAT 단말기(120)에 저장된 사업자 정보로 결제가 되도록 구성하여, 상품에 대한 매출이 결제사에서 제공하는 상품의 선택을 선택하여 매출이 발생하더라도, 기존의 제휴된 사업자 정보에 해당하는 마일리지에 대해서 기존 신용카드사가 제공하는 적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출력된 정보는 결제사(150)에서 선택되어 결제된 상품에 대해서, CAT 단말기(120,130)의 영수증으로 출력되도록 구성하고, 이후 출력된 영수증과 상이한 상품의 매출정보가 CAT 단말기(120)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메뉴에 의해서 입력되면, 상이한 매출정보에 해당하는 상품의 매출에 해당하는 신용카드사가 제공하는 기존 마일리지가, 고객 단말기(140)를 사용하고 있는 고객 계정의 신용카드로 적립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결제사(150)에서 소정의 메뉴로 제공하는 상품의 결제는 결제사(150)의 사업자 정보로 발생하고, 결제사(150)와 신용카드사 서버를 운영하는 신용카드사와의 마일리지 적립에 대한 프로세스가 없더라도, CAT 단말기(120, 130)에서 최종 확정하도록 하고, 이때 최종 확정된 상품의 매출에 대해서 VAN서버를 통하여 CAT 단말기(120,130)의 사업자 정보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정보를 CAT 단말기(120)에게 제공하는 소정의 메뉴의 확정에 의해서 최종 결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중계 서버(1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업자 정보를 가지는 각각의 CAT 단말기(120)들의 사업자 정보에 해당하는 가맹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가맹점 정보에 해당하는 매출이 고객 단말기(140)에서 VAN 서버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결제된, 고객 단말기에서 선택된 상품에 대해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가 있으며, 고객 단말기(140)이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된 CAT 단말기(120)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고객 단말기(140)에서 특정 프로그램(또는 app)을 설치되도록 구성하여, 고객 단말기(14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cat 단말기(120)의 프로그램이 설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고객 단말기가 상기 가맹점의 cat 단말기(120)로 변경될수 있다는 것을 의민한다. 고객 단말기(140)에서 소정의 메뉴의 의해서 선택된 상품이, 결제사(150)의 프로그램을 통하지 않고, 바로 VAN서버로 상품의 결제를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하여, 결제사(150)의 통로없이 바로 VAN서보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CAT 단말기(120)는 VAN서버와 다이렉트로 연결되어 있어서, CAT 단말기(120)에서 결제요청하여 VAN서버로부터 결제 승인된 정보를 상기 CAT 단말기(120)이 전달받야 결제된 영수증을 출력함으로써, CAT 단말기(120)가 설치된 가맹점에서는 출력되는 영수증을 자연인이 인지할 수 있어서, 결제의 실패 유무를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CAT 단말기(120)는 고객이 오프라인으로 제공되는 IC신용카드의 IC칩을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CAT 단말기(120)을 구성하는 입력장치로부터, IC칩에 저장된 결제정보(또는 신용카드 정보)를 리딩하고, CAT 단말기(120)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을 CAT 단말기(120)가 제공하는 소정의 메뉴에 의해서 선택된 상품에 대한 금액을 상기 VAN 서버로 전송하여, 신용카드사의 서버로부터 승인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고객 단말기(140)에 프로그램으로 설치된 VAN기반의 결제를 고객 단말기(140)에서 CAT 단말기(120, 130)과 직접적인 송수신을 하지 않더라도, 중계서버(110)에 저장되도록 구성하면, CAT 단말기(120,130)에서 이를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CAT 단말기(120, 130)은 물리적인 접촉에 의한 IC신용카드를 통한 결제정보를 VAN서버(160)로 요청할 수 있으면서도, 고객 단말기(140)에 설치된 가상의 CAT 단말기의 프로그램에 의해서, 고객 단말기(140)에서 선택된 상품의 결제가 VAN서버(160)을 통하여 결제되도록 구성되더라도, cat 단말기(120)에서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결제된 ic신용카드의 매출을 포함하는 집계를 추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cat 단말기(120)는 cat 단말기(120)에 저장된 cat 단말기(120)의 사업자 정보에 해당하는 주소정보에 실물로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cat 단말기의 기능을 탑재한 고객의 무선 단말기(140)에서, 주소정보에 존재하는 cat 단말기(120)의 결제프로세스와 독립적으로 사업자 정보로 결제된 내역이 저장된 중계서버(110)로 역접속하여, 중계서버(110)에 저장된 내역을 전송받아 출력부(122)에서 영수증으로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고객의 무선 단말기(140)에서 요청된 상품이, cat 단말기(120)가 설치되어 있는 저장되어 있는 사업자 정보로 신용카드사 서버(170)에서 매출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때 상기 고객의 무선 단말기(140)에서 요청되는 결제프로세스는 van서버(160)를 통하여, 사업자 정보로 신용카드 승인이 발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하면서, 독립적으로 고객의 무선 단말기(140)가 아닌, 주소정보에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cat 단말기(120,130)의 프로세스에 의해서 신용카드사 서버(170)에서 van서버(160)를 경유하여 주소정보의 사업자 정보로 신용카드 승인이 발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주소정보에 위치하는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cat 단말기(120)를 통하여 결제되는 시간이 존재하여, cat 단말기(120)를 통하여 van으로 신용카드 결제승인을 낼 경우에, cat 단말기(120)에서 상품을 선택하는 소정의 메뉴를 자연인이 선택하는 동안에, 다른 가상의 cat 단말기(120)을 가진 고객 단말기(140)에서 cat 단말기(120)에서 결제가 승인된 것과 같은 신용카드 매출을 병행하여 결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cat 단말기(120)를 조작하는 동안에, 다른 제3자가 가상의 cat 단말기(120)의 프로세스를 탑재한 고객 단말기(140)에서 cat 단말기(120)가 동작되고 있는 순간에도 다른 상품에 대해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이후 cat 단말기(120)에서 조작되고 있는 소정의 메뉴가 완료되면, 이후에 cat 단말기(120)의 출력부(122)에서 중계서버(110)에 결제되어 저장되어 있으면서 대기중인 결제된 상품의 정보를, 통신부(121)를 통하여 전송받은 고객 단말기(140)에서 결제된 내역을 출력(영수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출력부는 특정 날자의 특정 시간의 예약정보를 영수증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출력부는 고객 단말기(140)에서 예약되지 않은 날자의 특정 시간에 서비스 받을 수 있는 서비스 상품에 대해서 선택하는 소정의 메뉴에 의해선 선택된 정보를 영수증에 출력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출력부에 출력되는 정보는 고객 단말기(140)에서 제공되는 금액의 일부에 대한 결제가 되었다는 내용의 금액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cat 단말기(120)에서 ic신용카드의 물리적인 접촉으로 cat 단말기(120)에서 선택 가능한 상품을 선택하여 결제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하기 시작한 특정 시점과 결제하는 프로세스가 종료되는 특점 다른 시점의 사이에 고객의 무선단말기(140)에서 설치되어 CAT 단말기의 사업자 정보와 동일한 사업자 정보로 결제가 동시에 진행되도록 구성하고, 고객의 무선단말기(140)에서 선택되어 결제된 상품의 결제내역의 정보가 중계서버(110)에 임시 저장되어 있다가, CAT 단말기(120)에서 결제하는 프로세스가 종료되는 다른 시점 이후에, CAT 단말기(120)가 중계서버(110)에 역 접속하여 결제 내역의 정보를 통신부(121)가 출력부(122)를 통하여 영수증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CAT 단말기(120, 130)으로 동시 결제하는 다수의 고객이 CAT 단말기(120, 130)에서 대기하지 않으면서, CAT 단말기(120, 130)으로 결제하는 가맹점의 직원이 존재하더라도 고객 단말기(140)를 통하여, CAT 단말기(120,130)에 저장된 사업자 정보로 실시간 결제가 가능할 수 있으면서, CAT 단말기(120, 130)의 조작을 가맹점 직원이 종료하는 시점에, 자동으로 영수증 형태로 출력하게 함으로써, 결제된 내역을 바로 가맹점 직원에게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가맹점 직원이 CAT 단말기(120)을 조작하는 시작시점 이전에 실시간으로 전송된 고객 단말기(140)에서 결제된 상품의 정보를 가맹점 직원이 출력부(122)에 의해서 출력된 영수증의 실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오프라인에서 다른 고객에 대한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서, CAT 단말기(120)를 조작하는 시점에 출력된 영수증을 볼 수 없기 때문에, 고객 단말기(140)에서 독립적으로 결제 승인된 상품 정보를 누락하지 않게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물리적인 접촉으로 IC신용카드로부터 결제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는 입력부와 신용카드사 서버에서 결제승인되는 대금을 받을 수 있는 가맹점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와 입력부에서 전달받은 결제정보로 상품의 결제가 진행되는 과정 중에 독립적으로 고객 무선단말기에서 저장부에 저장된 가맹점 정보와 동일한 사업자 정보로 결제가 완료된 결제내역이 저장된 중계서버와 역 접속하여 완료된 결제내역을 전송받는 통신부와 상품의 결제의 진행이 완료된 후, 결제내역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CAT 단말기를 구성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완료된 결제내역의 대금은 가맹점 정보의 사업자 정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객 단말기(140)에는 독립적이면서 주소정보에 위치하는 CAT단말기(120)가 결제하기 위해서, CAT단말기(120)에서 VAN서버(160)로 IC신용카드로부터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추출한 신용카드 번호를 결제하기 위해서 순방향으로 전송하는 방법과 독립적으로, IC신용카드의 정보를 신규 입력받은 고객 단말기(140)에서 CAT 단말기(120)에서 제공 가능한 상품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고객 단말기(140)에 선택된 상품의 속성과 동일한 사업자 정보를 갖는 CAT 단말기(120)가 IC신용카드의 물리적인 접촉으로 인한 결제가 아닌, 고객의 단말기(120)에 설치된 가상의 CAT 단말기에 저장된 사업자 정보로 결제가 완료된 결제내역 정보가 저장된 중계서버(110)으로 접속하여, 고객 단말기(140)에서 결제된 결제내역을 전송받은 후, 결제내역에 대한 지급이 되었다는 결정을, CAT 단말기(120)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메뉴에 의해서 확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CAT 단말기(120)에서 상품을 선택 후 IC신용카드로 결제를 승인한 경우에는 상품의 지급을 확인하는 소정의 메뉴가 표시되지 않다가, 동일한 IC신용카드를 저장한 상기 고객 단말기(140)에서 CAT 단말기(120)와 독립적으로 결제한 상품에 대해서는 상품의 지급을 확인하는 소정의 메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CAT단말기(140)를 구성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여기서 경우에 따라서 어떤 상품의 경우, 물리적인 IC신용카드로 결제가 승인된 이후, 상품이 지급되었다는 소정의 메뉴가 상기 CAT 단말기(140)에서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청구범위를 통해 한정되지 않은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결제 중계 시스템 110: 중계서버
120: CAT 단말기 121: 통신부
122: 출력부 123: 결제부
130: 가맹점 결제 단말기 131: 입력부
132: 저장부 133: 통신부
134: 출력부 140: 고객 단말기
150: 결제사 160: VAN 서버
170: 신용카드사 서버

Claims (9)

  1. 중계서버를 이용한 MPM 결제 중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계서버는 가맹점 결제 단말기 또는 고객 단말기를 통해 수신한 가맹점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승인된 결제 승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중계서버와 상기 가맹점 정보를 이용하여 CAT 단말기가 연결하는 단계;
    상기 중계서버와 상기 CAT 단말기가 연결되면, 상기 중계서버가 상기 CAT 단말기로부터 역 접속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 승인 정보를 상기 CAT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승인 정보에 따라 상기 CAT 단말기와 연동된 출력장치를 통해 상기 결제 승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승인된 결제 승인 정보는
    상기 중계서버에서 상기 CAT 단말기의 가맹점정보의 사업자번호로 결제되어 승인되는 정보인 MPM 결제 중계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AT 단말기와 연결이 불안정하거나 오프라인인 경우,
    상기 중계서버에 상기 CAT 단말기의 결제 승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MPM 결제 중계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 결제단말기는,
    상기 CAT 단말기와 연동되며, 상기 중계서버에 의해 승인된 결제승인의 취소의 권한을 가진 MPM 결제 중계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 결제단말기는,
    상기 고객 단말기에 표시되는 상품의 판매 구성 또는 판매 단가를 수정하고, 상기 결제승인된 상품의 지급 여부를 확정하는 MPM 결제 중계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 정보는,
    상기 가맹점 주소에 위치하는 오프라인 CAT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이면서, 상기 고객 단말기에 표시되는 사업자번호인 MPM 결제 중계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결제 승인 정보는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중계서버로 결제요청이 가능한 외부 플랫폼을 통해 요청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업자 번호로 발생되는 매출 정보인 MPM 결제 중계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결제승인된 매출 정보는,
    상기 사업자번호와 제휴된 결제사의 제휴 서비스 또는 정부로부터 환급이 가능한 매출 정보인 MPM 결제 중계 방법.
  8. 고객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결제사에게 결제 승인된 결제정보를 중계서버에 역 접속하여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한 결제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IC 칩으로부터 카드정보를 획득하여 가맹점 정보로 상품을 결제하는 결제부;를 포함하는 CAT 단말기.
  9. IC 칩으로부터 카드정보를 추출하는 입력부;
    상기 가맹점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중계서버 또는 벤사서버에 상기 추출된 카드정보의 카드사로 결제 승인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중계서버 또는 벤사서버에 역 접속하여 상기 결제승인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결제 승인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가맹점 결제 단말기.
KR1020220094090A 2022-07-28 2022-07-28 중계서버를 이용한 mpm 결제 중계 시스템의 결제 중계 방법 KR102598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090A KR102598220B1 (ko) 2022-07-28 2022-07-28 중계서버를 이용한 mpm 결제 중계 시스템의 결제 중계 방법
KR1020230100965A KR20240017326A (ko) 2022-07-28 2023-08-02 중계서버를 이용한 mpm 결제 중계 시스템의 결제 중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090A KR102598220B1 (ko) 2022-07-28 2022-07-28 중계서버를 이용한 mpm 결제 중계 시스템의 결제 중계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0965A Division KR20240017326A (ko) 2022-07-28 2023-08-02 중계서버를 이용한 mpm 결제 중계 시스템의 결제 중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8220B1 true KR102598220B1 (ko) 2023-11-03

Family

ID=887453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090A KR102598220B1 (ko) 2022-07-28 2022-07-28 중계서버를 이용한 mpm 결제 중계 시스템의 결제 중계 방법
KR1020230100965A KR20240017326A (ko) 2022-07-28 2023-08-02 중계서버를 이용한 mpm 결제 중계 시스템의 결제 중계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0965A KR20240017326A (ko) 2022-07-28 2023-08-02 중계서버를 이용한 mpm 결제 중계 시스템의 결제 중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982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0510A (ko) * 2011-12-19 2013-06-27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과,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KR20140094338A (ko) * 2013-01-22 2014-07-30 주식회사 솔라시아 매출정보 관리 시스템, 매출정보 관리 블랙박스 및 매출정보 관리 방법
KR20200008495A (ko) * 2019-03-28 2020-01-28 나이스정보통신주식회사 Qr 코드와 거래 중개 서버를 이용하여 가맹점 결제단말과 사용자 이동단말간을 연결하는 간편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37714A (ko) * 2020-09-18 2022-03-25 주식회사 천조아이비에스 간편결제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편결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0510A (ko) * 2011-12-19 2013-06-27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과,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KR20140094338A (ko) * 2013-01-22 2014-07-30 주식회사 솔라시아 매출정보 관리 시스템, 매출정보 관리 블랙박스 및 매출정보 관리 방법
KR20200008495A (ko) * 2019-03-28 2020-01-28 나이스정보통신주식회사 Qr 코드와 거래 중개 서버를 이용하여 가맹점 결제단말과 사용자 이동단말간을 연결하는 간편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37714A (ko) * 2020-09-18 2022-03-25 주식회사 천조아이비에스 간편결제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편결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7326A (ko) 202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506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bill payment functionality in mobile commerce
US1162577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funds using a wireless device
AU2008245880B2 (en) Mobile payments system and method
US10679207B1 (en) Bill splitting and account delegation for NFC
US111204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express return of products
US9595030B2 (en) Flexible electronic payment transaction process
KR20130008000A (ko)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24325A (ko) Pos 단말기와 서버의 정보 연동을 이용한 온라인 주문 결제 방법
US201203035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eiver staged money transfer transactions
KR102598220B1 (ko) 중계서버를 이용한 mpm 결제 중계 시스템의 결제 중계 방법
US20180060841A1 (en) Method and system for effecting a pre-paid redeemable transaction
US201800399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ttlement
US116513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action handoff and completion employing indirect token
KR101899327B1 (ko) 신용카드 지능형 결제 시스템 및 결제 처리 방법
US9984404B2 (en) Method, medium, and system for e-product vending
KR102430416B1 (ko) 결제 매칭 정보를 이용한 전자영수증 제공 장치 및 방법
JP5745551B2 (ja) 複数言語ユーザ選択及び通貨換算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114754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action handoff and completion employing ephemeral token
US20230401545A1 (en) Intelligent credit card payment system and payment processing method
KR20090028387A (ko) 배송시 결제를 위한 휴대형 결제 단말기
KR20220096201A (ko) 가맹점 단말 및 가맹점 단말을 이용한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방법
CN117436881A (zh) 信息处理装置以及信息处理方法
KR20060095935A (ko) 커뮤니티에 대응하는 가맹점 선정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서버, 결제단말 및 기록매체
KR20060095934A (ko) 커뮤니티에 대응하는 가맹점 선정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서버, 결제단말 및 기록매체
KR20060097698A (ko) 커뮤니티에 대응하는 가맹점 선정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서버, 결제단말 및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