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780B1 -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780B1
KR102597780B1 KR1020220151370A KR20220151370A KR102597780B1 KR 102597780 B1 KR102597780 B1 KR 102597780B1 KR 1020220151370 A KR1020220151370 A KR 1020220151370A KR 20220151370 A KR20220151370 A KR 20220151370A KR 102597780 B1 KR102597780 B1 KR 102597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ch
monitoring device
wearable device
user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1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권
이문행
김성수
주영주
이송구
김기웅
조광연
구현모
Original Assignee
아이큐어 주식회사
엠지엠씨(주)
(주)바인디자인어소시에이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큐어 주식회사, 엠지엠씨(주), (주)바인디자인어소시에이츠 filed Critical 아이큐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51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7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Abstract

본 발명은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에 부착된 패치의 부착 유무와 패치 정보를 확인하는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이를 위해,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감지부와 센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Patch monitoring device for patch check linked wearable apparatus}
본 발명은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에 부착된 패치의 부착 유무와 패치 정보를 확인하는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 접착용 패치는 신체 부위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상처를 치료하거나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피부 접착용 패치는 피부조직에 약용 작용을 위한 치료용 형태를 가지며, 피부와 접촉되는 일측면에 약물을 덧발라 약물의 약효가 피부를 통해 전달되게 하고 있다. 약물의 형태는 마이크로 니들 구조체의 형태일 수도 있다.
패치의 소재와 패치에 사용되는 약재를 개발하는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패치는 의료, 미용 등의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그 활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최근 고령화 복지 사회가 되면서 각종 질병에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치료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치매는 기억상실, 지능의 퇴보, 성격의 변화, 행동이상 등으로 특징되는 복합 인지장애가 특징인 증후군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초래된 뇌기능의 손상으로 인지기능이 저하되어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초래하는 질병 중 하나이다.
치매는 증상에 따라 기억이 감퇴되기 시작하는 초기치매와, 혼자 지내는데 어려움이 생기는 중기치매와, 인지기능이 급격히 저하되며 독립생활이 거의 불가능한 말기치매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치매 증상을 가진 환자의 치료를 위해서는 빠른 진단과 적절한 조기치료가 필수적이며 지속적인 약물치료로 증상악화를 지연시켜 대상자(환자)의 독립성을 연장시키고 치매환자 간병에 따른 손실 또한 최소화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이다.
한편, 치매 환자의 중증 정도에 따라 환자 본인만의 노력 뿐만이 아니라 환자를 케어하는 가족의 도움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가족들 또한 일상생활을 영위하면서 환자를 케어하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으로, 대부분 별도의 간병인을 두거나 가족 본인의 일상적 생활은 포기하고 치매 환자의 치료에 전념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치매 증상을 완화하고 지연시키기 위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이의 일환으로 약물전달(Drug Delivery System, DDS) 기술을 이용하여 환자 개인의 상태에 따라서 필요한 양을 환부에 적절하게 투여하는 효율적인 의료적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를 위한 한 용도로 피부 접착용 패치가 이용되는데, 통상 패치의 약효는 4∼6일 정도 유용하며, 패치의 약효가 떨어지면 교체하면서 환자에게 지속적인 약물치료가 이루어지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패치를 환자의 신체에 언제 부착하였는지 약효가 다 되었는지를 기억하고 정확한 시기에 패치를 교체하기에는 환자 및 가족(간병인) 모두 매우 어려우며, 이에 따라 지속적인 약물치료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것이 실정이다.
이를 위해, 패치의 부착 시기 등을 쉽게 알 수 있고 이를 도와줄 수 있어, 환자에게 지속적인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와 함께, 패치를 교체할 때 손쉽게 패치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2388120호 (2022.04.14.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치료를 위해 신체 일측에 부착된 패치의 교환 시기 및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에 부담되지 않도록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패치 부착 유무에 따라 전력을 사용하는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 일측에 부착된 패치를 감싸며 착용된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패치가 부착되었는지 유무 및 패치의 정보를 확인하는 패치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로, 패치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전면커버와; 상기 전면커버와의 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결합한 후면커버와; 상기 내부공간 상에 배치된 PCB 기판부와; 상기 내부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패치의 태그 정보를 확인하고 외부 전송하는 RFID 리더 및 안테나부와; 상기 내부공간 상에 배치되되, 일측이 상기 후면커버를 관통하여 돌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상기 패치의 두께에 의해 일방향으로 물리적 이동되는 감지부와; 상기 내부공간 상에서 상기 감지부의 측방에 배치되되, 상기 감지부 측으로 돌출된 센싱바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가 일방향 이동하면서 상기 센싱바를 측방에서 접촉함에 따라 상기 감지부의 물리적 이동을 인식하는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연결 케이블에 의해 배터리부와 전기적 연결되고, 일측에 전원스위치와, 충전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후면커버에 형성된 관통홀을 감싸며 상기 내부공간 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벽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감지봉과; 상기 감지봉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은, 일단부가 상기 전면커버의 내측으로 돌출된 스프링 가이드에 끼워져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감지봉의 일측에 끼워져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봉은, 상부가 개구된 기둥 형태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부로 상방에서 하방으로 경사각도를 가지며 형성된 경사면과, 상기 바디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는 안착홈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감지봉은, 상기 경사면과 연장된 상부로 돌출된 가이드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봉은, 상기 바디의 상단부 일부 또는 전체 테두리를 따라 측방으로 연장형성된 걸림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봉은, 상기 안착홈의 내부에 상기 스프링의 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치 연계용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일측에 부착되는 패치를 감싸면서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패치가 노출되게 가이드 홀을 형성한 착용부와; 상기 가이드 홀을 개폐가능하게 덮으며 상기 착용부의 외측에 결합된 함체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되, 상기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와 전기적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이드 홀을 개폐 가능하게 덮으며 상기 착용부의 상부에 배치되되 일측에 상기 가이드 홀과 연통한 감지용 홀을 형성한 지지판과, 설정 높이를 가지며 상기 지지판의 테두리를 따라 상부에 배치되어 일체화된 격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부의 내부로 통합공간을 형성한 통합포켓부와; 상기 통합공간의 일측으로 상기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내부에 포함하여 안착되는 저면이 개구된 함체 형상의 제1포켓부와; 상기 통합공간의 일측으로 상기 배터리를 내부에 포함하여 안착되는 저면이 개구된 함체 형상의 제2포켓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상기 감지부는, 상기 지지판의 감지용 홀을 통해 상기 가이드 홀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패치의 두께에 의해 밀려 일방향으로 물리적 이동될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신체 일측에 부착된 패치의 교환 시기 및 사용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패치의 두께에 따라 일방향으로 밀리는 감지부를 측방에서 센싱부가 감지하는 구조로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더불어,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두께를 최소화함으로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전체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의 두께 또한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의 두께를 최소화함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이고 사용자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센싱부가 감지부를 인식하였을 때만 배터리부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저전력 설계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이용한 패치 관리 서비스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적용한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와 도 5는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적용한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에서 패치 교환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와 배터리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적용된 감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적용된 감지부와 센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가 사용자 신체에 부착된 패치를 감지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에 적용된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감지부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는, 환자(이하, '사용자'라 한다)의 치료를 위해 약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신체 일측에 부착된 패치(P)의 교환 시기 및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술의 패치(P) 정보를 읽고 외부 AP 디바이스(2)로 전송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는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두께(h1, 도10)를 최소화하여,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를 포함하는 전체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의 두께(h, 도2)를 최소화함으로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를 착용하는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인 착용감을 느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신체 일측에 부착된 약효를 가지는 패치(P)와 함께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는, 사용자(4, 도4)의 신체에 부착된 패치(P)의 유무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신체에 패치(P)가 부착되어 있다면 패치(P)의 태그 정보를 읽어 외부의 AP 디바이스(2)로 정보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AP 디바이스(2)는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를 통해 받은 정보를 사용자 또는 간병인의 관리 서비스 앱이 설치된 관리용 단말기(3)로 전송하여 사용자 또는 간병인이 패치(P)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패치(P) 정보는, 패치 종류, 유통 기간, 부착 후 약효 유효 기간 등을 포함한 정보일 수 있다.
한편, 관리용 단말기(3)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 공지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AP 디바이스(2)와 관리용 단말기(3)는 공지의 구조와 기능을 갖는 바,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해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는, 내부에 PCB 기판부(101), RFID 리더 및 안테나부(102)를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EXTERNAL 안테나부(1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7(b) 참조).
이러한, PCB 기판부(101), RFID 리더 및 안테나부(102) 및 EXTERNAL 안테나부(103)의 구조와 기능은 공지의 내용으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를 포함하는 전체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의 두께(h, 도2)를 최소화함으로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를 착용하는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으면서 안정적인 착용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 중 하나로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목적을 수행하는 구조와 구성의 이해를 위해, 먼저 패티 모니터링 디바이스(100)가 적용된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의 구조와 구성을 먼저 이해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에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를 포함하는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를 포함하는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는, 패치(P)를 사용하는 환자(이하, '사용자'라 한다)에 대한 약물전달(Drug Delivery System, DDS)이 병증에 따라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체 시기가 되면 사용자 또는 간병인이 손쉽게 패치(P)를 교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는, 본 발명의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패치(P)의 교환 시기 및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패치(P)는 패치 종류, 유통 기간, 부착 후 약효 유효 기간 등을 포함한 패치 정보가 담긴 태그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신체 허리 일측에 부착된 형태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의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는, 크게 착용부(10), 하우징(20), 배터리부(40)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를 포함한다.
먼저,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를 구성하는 착용부(10)는, 사용자의 신체 일측에 부착되는 패치(P)를 감싸면서 사용자(4)가 착용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부착된 패치(P)가 필요에 따라 외부 노출되게 가이드 홀(11)를 포함한다.
이때 가이드 홀(11)은 패치(P)를 교체하거나 부착할 사용자 또는 간병인이 손쉽게 패치(P)를 부착하거나 제거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패치(P)의 크기보다 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시에서 이러한 가이드 홀(11)은 사각형의 형태로 표현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가이드 홀(11)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외형적 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착용부(10)는 패치(P)가 부착된 사용자(4)의 허리 부위에 따라 이를 감쌀 수 있는 길이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패치(P)가 사용자의 손목에 부착된 경우에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의 착용부(10)는 사용자의 손목을 감쌀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패치(P)가 사용자의 허리에 부착된 경우에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의 착용부(10)는 사용자의 허리를 감쌀 수 있는 길이로 벨트 타입의 형태일 수 있다(도1 참조).
패치(P)가 사용자(4)의 손이 닿지 않는 허리 측에 부착된 경우, 벨트 타입 형태를 가진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에서 패치(P)의 부착 및 교체는 간병인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의 착용부(10)는, 패치(P) 사용자의 허리 측에 배치되어 허리를 지지할 수 있는 크기의 폭과 크기를 가지는 판 상의 몸체(12)와, 몸체(12)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감쌀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날개(13)를 포함한다.
이때, 몸체(12)에는 패치(P)의 부착 부위 또는 이미 부착된 패치(P)가 필요에 따라 노출되게 상술한 가이드 홀(11)이 일측에 형성된다.
한편, 상술한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의 착용부(10)는 사용자가 착용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네오프랜 원단과 벨크로 원단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착용부(10)의 날개(13) 측에는 사용자의 신체적 차이를 고려해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별도의 벨크로를 이용한 고정부재(15)를 단부측에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고정부재(15)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스냅 단추 형태 등 사용자가 용이하게 착용부(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면 다양한 공지의 구조와 기능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착용부(10)의 날개(13) 측에는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보호 쿠션(14)을 일체형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보호 쿠션(14)은 날개(13)를 구성하는 외표면과 내표면 사이에 포함된 일체형의 형태일 수 있으며, 또는 필요에 따라 외표면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보호 쿠션(14)은 사용자(4)의 허리 둘레를 따라 배치됨으로 사용자의 허리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외부 충격으로 부터 허리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를 구성하는 하우징(20)은, 본 발명에 따른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와 배터리부(40)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는 함체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20)은 상술의 착용부(10)를 구성하는 몸체(12)의 상부에 배치되는데, 바람직하게 몸체(12)에 형성된 가이드 홀(11)을 개폐가능하게 덮으며 착용부(10)의 외측에 결합된 형태를 갖는다.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에 적용한 하우징(20)은 크게 통합포켓부(20a)를 가지며, 통합포켓부(20a)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포켓부(20b)와 제2포켓부(20c)를 포함한다.
먼저 통합포켓부(20a)는, 착용부(10)의 가이드 홀(11)을 덮으며 착용부(10)의 몸체(12) 상부에 배치된 지지판(21)과, 설정 높이를 가지며 지지판(21)의 테두리를 따라 상부에 배치되어 일체화된 격벽부(22)를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이러한 격벽부(22)는 단일 구조체 또는 하나 이상의 구조체가 연결된 형태일 수도 있다.
이러한 지지판(21)과 격벽부(22)를 포함한 구조에 따라 통합포켓부(20a)는 내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와 배터리부(40)가 안착될 통합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지지판(21)은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가 패치(P)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착용부(10)의 가이드 홀(11)과 연통한 위치로 감지용 홀(21a)을 더 형성한다.
후술에서 설명하겠지만, 이러한 감지용 홀(21a)은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감지부(110)가 통과하여 돌출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감지부(110)가 패치(P)의 부착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창(window) 역할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패치 웨어러블 장치(1)를 패치(P)가 부착된 부위에 착용하게 되면, 패치(P)는 사용자의 신체 피부와 패치 두께에 따라 높이를 가지게 된다.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는 후면커버(100b)의 외측으로 돌출된 감지부(110)를 갖고, 감지부(110)가 패치(P)의 두께에 밀려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이를 내부 센싱부(120)가 감지하는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지지판(21)의 일측에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 또는 간병인이 통합포켓부(20a)를 착용부(10)에 대하여 부분 또는 전체 탈부착할 수 있도록 통합포켓용 손잡이(23)를 일체로 더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통합포켓부(20a)를 구성하는 격벽부(22)는 상술의 착용부(10)에 구성된 보호 쿠션(14)과 동일하게 쿠션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격벽부(22)는 통합공간(S1)에 안착된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와 배터리부(40)를 외부에서 보호하고, 사용자의 일상적인 움직임에도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와 배터리부(40)가 이탈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는 제1포켓부(20b)에 포함되어 통합공간(S1)에 안착되며, 배터리부(40)는 제2포켓부(20c)에 포함되어 통합공간(S1)에 안착될 수 있다.
한편, 상술의 통합포켓부(20a)는 착용부(10)의 가이드 홀(11) 개폐가 가능한 구조를 가져 패치(P)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통합포켓부(20a)는 격벽부(22)를 포함한 지지판(21)의 일부 또는 전체가 착용부(10)의 몸체(12)에 대하여 착탈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일 실시예로, 통합포켓부(20a)의 저면은 착용부(10)에 대하여 벨크로 부착된 상태로, 간병인은 손잡이(23)를 잡고 통합포켓부(20a)를 착용부(10)에서 분리하여 가이드 홀(11)을 오픈시키고, 오픈된 가이드 홀(11)을 통해 패치(P)를 손쉽게 부착 또는 교체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다른 실시예로, 통합포켓부(20a)는 착용부(10)에 대하여 일측이 융착 또는 박음질 등을 통해 일체화된 형태로, 간병인은 손잡이(23)를 잡고 통합포켓부(20a)를 일체화 라인(25, 도4)을 힌지축으로 회전하여 가이드 홀(11)을 오픈시키고, 오픈된 가이드 홀(11)을 통해 패치(P)를 손쉽게 부착 또는 교체 할 수 있다.
이어서, 제1포켓부(2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를 내부에 포함하고 저면(하면)이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통합포켓부(20a)의 통합공간(S1) 일측에 안착된다.
제1포켓부(20b)는 지지판(21)에 형성된 감지용 홀(21a)을 통해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감지부(110)가 패치(P)의 부착 유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착용부(10)의 가이드 홀(11)의 상부측 통합공간(S1) 상에 안착된다.
한편, 제1포켓부(20b)는 내부에 포함된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가 필요에 따라 노출될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덮개를 포함한다.
그리고, 덮개의 일측에는 사용자 또는 간병인이 용이하게 덮개(26)를 오픈할 수 있도록 제1포켓용 손잡이(24, 도2)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제2포켓부(20c)는 배터리부(40)를 내부에 포함하고 저면(하면)이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통합포켓부(20a)의 통합공간(S1) 일측에 안착된다.
바람직하게 제2포켓부(20c)는 제1포켓부(20b)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제2포켓부(20c)에 포함된 배터리부(40)는 제1포켓부(20b)에 포함된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와 연결 케이블(50, 도6)을 통해 전기적 연결된다.
도시에서 연결 케이블(50)은 일체형으로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연결 케이블(50)은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 및 배터리부(40)와 분리 가능한 구조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배터리부(40)는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가 작동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필요에 따라, 상술의 제1포켓부(20b)와 제2포켓부(20c)는 필요에 따라 내부에 별도의 쿠션 부재를 포함하여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와 배터리부(40)가 사용 중 흔들리지 않고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외부 충격으로부터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와 배터리부(40)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를 구성하는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는, 제1포켓부(20b)에 포함되어 하우징(20)을 구성하는 통합포켓부(20a)의 통합공간(S1) 내에서 착용부(10)의 가이드 홀(11) 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배터리부(40)는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 제2포켓부(20c)에 포함되어 하우징(20)을 구성하는 통합포켓부(20c)의 통합공간(S1) 내에서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와 이웃하게 배치된다.
한편, 배터리부(40)는 외측에 배터리 잔량을 보여주는 배터리 잔량표시창(41, 도6)을 포함한다.
이러한 배터리 잔량표시창(41)에 표시되는 배터리 잔량 표시는 숫자 또는 바 형태로 사용자 또는 간병인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배터리 잔량표시창(41)을 통해 배터리부(40)의 배터리 잔량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충전이 필요할 경우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충전포트(33)에 충전용 케이블(미도시)을 연결하여 전기적 연결된 배터리부(4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한편, 제2포켓부(20c)는 상술의 배터리 잔량표시창(41)이 외부 노출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창 홀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배터리 잔량표시창(41)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와 기능은 다양한 공지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가 구비된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는, 약물전달(Drug Delivery System, DDS)이 병증에 따라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패치(P)의 교체 시기가 되면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패치(P) 부착 유무 및 패치 정보를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는 하우징(20)을 구성하는 통합포켓부(20a)를 열어 가이드 홀(11)을 노출시키고, 이러한 가이드 홀(11)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에 패치(P)를 부착 또는 교체할 수 있게 한다.
도 4 와 도 5를 참조하여,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의 패치(P) 부착 과정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먼저, 사용자(4)는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를 착용한 상태로, 도시에서는 사용자(4)의 허리에 착용된 상태로 표현하였다.
그리고, 패치(P)를 부착하기 위해 간병인은 통합포켓부(20a)의 통합포켓용 손잡이(23)를 잡고 통합포켓부(20a)를 일체화 라인(25)을 축으로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이에 따라, 통합포켓부(20a) 하부에 있던 착용부(10)의 가이드 홀(11)이 외부 노출되며, 사용자(4)의 패치(P)가 부착될 허리 또한 가이드 홀(11)을 통해 노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간병인은 가이드 홀(11)을 통해 사용자(4)의 허리에 패치(P)를 부착한다.
이어서, 도 5에서와 같이, 간병인은 패치(P)를 사용자의 허리에 부착한 다음 하우징(20)의 통합포켓부(20a)를 회전시켜 복귀시킨다.
이에 따라, 하우징(20)의 통합포켓부(20a)는 부착된 패치(P)를 포함한 가이드 홀(11)를 덮어 패치(P) 및 가이드 홀(11) 그리고 사용자(4)의 신체가 외부 노출되지 않게 한다.
이때, 하우징(20)의 제1포켓부(20a)에 위치한 상술의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는, 후술의 감지부(110)가 패치(P)에 눌림에 따라 패치(P)가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었음을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는 패치(P)의 태그 정보를 확인하고, 이러한 패치 정보를 AP 디바이스(2, 도1)로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는, 사용자가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를 착용한 상태에서 패치(P)의 교체 시기가 되면 패치(P)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재차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를 포함한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됨에 있어 하우징(20)을 포함한 두께(h)를 가질 수 밖에 없다.
그런데, 이러한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를 허리에 착용할 시,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의 두께(h)가 두꺼울 수록 사용자는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를 착용하기 불편할 수 밖에 없다.
또한,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의 두께(h)가 두터울 경우, 사용자가 착용하더라도 무게 중심이 두께(h)에 의해 사용자 신체에서 멀어지는 쪽에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일 예, 허리-에 부담감이 올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가능한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의 두께(h)를 줄일 필요가 있다.
그러나,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를 구성하는 착용부(10) 자체의 재질 변경으로는 한계가 있고, 착용부(10)의 두께를 너무 줄이게 되면 오히려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를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신체와 닿는 부분에 이질감이 발생해 착용감이 오히려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가능한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 및 배터리부(40)의 두께를 줄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를 이용해 패치(P)의 유무를 확인하고 패치 교환시기 등을 AP 디바이스(2)에 전달한다.
이때, 연속적으로 계속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가 ON 상태(작동 상태)를 유지할 경우 배터리부(40)의 배터리 소모, 즉 전력 소모가 많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이에 따라,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감지부(110)가 패치(P)가 부착되어 있음을 확인한 다음,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가 패치(P)를 인식하게 되면 배터리(전력) 소모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사용상태).
만약,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감지부(110)가 패치(P)를 인식하지 못하면,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는 AP 디바이스(2)와 통신하지 않으며 전력을 소모하지 않게 해야 할 것이다(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대기상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가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에 적용됨에 따라, 저전력 소모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전체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의 두께(h)를 줄여 사용자의 사용 착용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임을 후술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는, 일측에 작동스위치(130)와 충전포트(140)를 구비한다.
그리고,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는 연결 케이블(50)을 통해 배터리부(40)와 전기적 연결된다.
그리고,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는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의 착용부(10)의 가이드 홀(11)을 통해 부착된 패치(P)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감지부(110)와 센싱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패치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신체 일측에 부착된 패치(P)를 감싸며 착용된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패치가 부착되었는지 유무 및 패치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패치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는, 크게 전면커버(100a)와 후면커버(100b)의 결합을 통해 본체를 구성한다.
전면커버(100a)와 후면커버(100b)는 볼트 등의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거나 억지끼움 형태로 결합되어 일체화되나, 필요에 따라 분리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면커버(100a)와 후면커버(100b)는 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내부공간 상에는 PCB 기판부(101)와, 패치(P)의 태그 정보를 확인하여 외부 전송하는 RFID 리더 및 안테나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EXTERNAL 안테나부(1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PCB 기판부(101), RFID 리더 및 안테나부(102) 및 EXTERNAL 안테나부(103)의 구조와 기능은 공지의 내용으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는, 일측에 작동스위치(130)와 충전포트(140)를 구비하고,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부(10)의 가이드 홀(11)을 통해 패치(P)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감지부(110)와 센싱부(120)를 포함한다.
먼저, 감지부(110)는 전면커버(100a)와 후면커버(100b) 사이의 내부공간 상에 배치된다.
이때, 감지부(110)는, 바람직하게 일측이 후면커버(100b)를 관통하여 돌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패치(P)의 두께에 의해 일방향으로 물리적 이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센싱부(120)는 전면커버(100a)와 후면커버(100b) 사이의 내부공간 상에 배치된다.
이때 센싱부(120)는 상술의 감지부(110) 측방에 배치되는데, 감지부(110) 측으로 돌출된 센싱바(121)를 포함한 구조를 갖는다.
센싱부(120)는, 감지부(110)가 패치(P)의 두께에 밀려 일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감지부(110)가 센싱바(121)를 측방에서 접촉하게 되고, 센싱부(120)는 감지부(110)의 물리적 이동을 인식하게 된다.
이때 센싱바(121)는 탄성을 가지는 탄성재질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감지부(110)는 물리적 작동구조에 따라 패치(P)의 부착 유무를 확인하게 되고, 센싱부(120)는 감지부(110)의 물리적 접촉여부에 따라 패치(P)가 부착되었음을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센싱부(120)는 패치(P) 부착을 인식하였을 때만 연결된 PCB 기판부(101)의 회로 패턴을 통해 다른 구성요소들이 작동되게 한다.
도 7(a)(b) 내지 도 10을 재차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를 구성하는 감지부(110)는 일 실시예로 하기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 일측에 부착된 패치(P)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4)의 신체 피부면에 대하여 높이(두께)를 가지면서 부착된다.
그리고, 상술의 감지부(110)는 상술의 패치(P)에 눌려 전면커버(100a)와 후면커버(100b)가 형성하는 내부공간 측으로 일방향 이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한 일 실시예로, 감지부(110)는, 후면커버(100b)에 형성된 관통홀(191, 도7b)을 감싸며 내부공간 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벽(19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기둥 형태의 감지봉(110a)과, 감지봉(110a)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10b)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에서 스프링(110b)은 탄성부재의 일 실시예로 도시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판 스프링 등 다양한 형태의 탄성부재가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스프링(110b)은 감지봉(110a)을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일단부는 전면커버(100a)의 스프링 가이드(180, 도7a)에 끼워져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술의 감지봉(110a)에 끼워져 안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감지부(110)를 구성하는 감지봉(110a)은 상술의 패치 연계웨어러블 장치(1)를 구성하는 하우징(20)의 지지판(21) 일측에 형성된 감지용 홀(21a, 도4)을 통과할 수 있는 형태를 갖는다.
도 8을 참조하면, 바람직한 실시예로, 감지봉(110a)은, 상부가 개구된 기둥 형태의 바디(111)와, 바디(111)의 상부로 상방에서 하방으로 경사각도를 가지며 형성된 경사면(112)과, 바디(111)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술의 스프링(110b)이 안착되는 안착홈(113)을 포함한다.
바디(111)는 도시에서 원기둥 형태로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그 단면이 다각형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경사면(112)은 센싱부(120)의 센싱바(121)와 접촉하고, 상방(일방향)으로 감지봉(110a)이 이동됨에 따라 센싱바(121)를 측방으로 밀어내게 된다.
한편, 필요에 따라 감지봉(110a)은 상술의 경사면(112)과 연장된 상부로 돌출된 가이드돌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돌부(114)는 감지봉(110a)이 상방(일방향)으로 이동될 때 센싱바(121)가 경사면(112)으로 유도되게 한다.
한편, 감지봉(110a)은 바디(111)의 상단부 일부 또는 전체 테두리를 따라 측방으로 연장형성된 걸림턱(115)을 더 형성한다.
걸림턱(115)은 감지봉(110a)의 물리적 이동 중 후면커버(100b)의 걸림판(100b-1)에 걸릴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걸림턱(115)은 감지봉(110a)이 후면커버(100b)의 관통홀(191)을 통과해 외부 이탈됨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감지봉(110a)은 바디(111)의 안착홈(113) 내부에 상술의 스프링(110b) 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대(116)를 더 포함한다.
스프링 지지대(116)는 스프링(110b)의 길이와 탄성력에 따라 높이(위치)가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와 도 5 및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감지부(110)와 센싱부(120)를 통한 패치(P) 부착 유무 확인 과정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를 포함한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를 사용자(4)는 허리에 착용한 상태일 것이다.
이때,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에 패치(P)가 부착되지 않은 상태라면 감지부(110)의 감지봉(110a)은 센싱부(120)의 센싱바(121)와 경사면(112)이 접촉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는 패치(P)가 부착되지 않은 상태로 인식하고,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는 대기 상태로 전력을 소모하지 않게 된다(도 11 참조).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패치(P)를 교체하거나 새로 부착하기 위해 간병인은 통합포켓부(20a)의 통합포켓용 손잡이(23)를 잡고 통합포켓부(20a)를 일체화 라인(25)을 축으로 회전시켜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이에 따라, 통합포켓부(20a) 하부에 있던 착용부(10)의 가이드 홀(11)이 외부 노출되며, 사용자(4)의 패치(P)가 부착될 허리 또한 가이드 홀(11)을 통해 노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간병인은 패치(P)를 사용자의 허리에 부착한 다음 하우징(20)의 통합포켓부(20a)를 회전시켜 부착된 패치(P)를 포함한 가이드 홀(11)를 덮어 패치(P) 및 가이드 홀(11) 그리고 사용자(4)의 신체가 외부 노출되지 않게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포켓부(20b)에 있던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감지부(110)는 하우징(20)를 구성하는 지지판(21)의 감지용 홀(21a)을 통해 가이드 홀(11)와 연통한 위치에 놓여있는 상태이다.
이에 따라 간병인이 통합포켓부(20a)를 회전시켜 가이드 홀(11)을 덮을 때,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감지부(110)를 구성하는 감지봉(110a)은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패치(P)에 하단부가 닿게 된다.
그리고, 감지부(110)의 감지봉(110a)은 스프링(110b)의 탄성력에 의해 패치(P)의 두께에 의해 상방(일방향)으로 물리적 이동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를 구성하는 감지부(110)의 감지봉(110a)은 스프링(110b)의 탄성력에 의해 패치(P) 두께에 밀려 상방인 전면커버와 후면커버가 형성하는 내부공간 측으로 물리적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감지부(110)의 감지봉(110a)에 형성된 경사면(112)이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센싱부(120)의 탄성바(121)를 측방에서 접촉하면서 밀게 된다(도 12 내지 도 14 참조).
이때 감지봉(110a)의 가이드돌부(114, 도8)는 센싱부(120)의 탄성바(121)를 경사면(112) 측으로 유도하여, 탄성바(121)와 경사면(112)의 접촉이 명확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이와 같은 감지부(110)의 경사면(112)과 센싱부(120)의 탄성바(121)의 접촉에 따라 센싱부(120)는 사용자의 신체에 패치(P)가 부착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센싱부(120)는 감지부(110)의 물리적 이동되는 중심선상과 동일선에 위치하지 않고, 감지부(110)의 상단부 측방에 위치하면서 감지부(110)의 물리적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는 두께(h1, 도10)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두께를 줄임에 따라 전체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의 두께(h, 도2) 또한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한 감지부(110)를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 내부의 센싱부(120)가 감지하면서 패치(P)의 부착을 확인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감지부(110)가 패치(P)가 부착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가 이를 인식하게 되면 배터리(전력) 소모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만약,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감지부(110)가 패치(P)를 인식하지 못하면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는 AP 디바이스(2)와 통신하지 않으며 전력을 소모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1)는 저전력 소모를 구현해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100)의 제품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
P : 패치 2 : AP 디바이스
3 : 관리용 단말기 4 : 사용자
100 :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
110 : 감지부 110a : 감지봉
110b : 스프링 112 : 경사면
120 : 센싱부 121 : 센싱바

Claims (11)

  1. 사용자의 신체 일측에 부착된 패치를 감싸며 착용된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패치가 부착되었는지 유무 및 패치의 정보를 확인하는 패치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로서,
    전면커버;
    상기 전면커버와의 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결합한 후면커버;
    상기 내부공간 상에 배치된 PCB 기판부;
    상기 내부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패치의 태그 정보를 확인하고 외부 전송하는 RFID 리더 및 안테나부;
    상기 내부공간 상에 배치되되, 일측이 상기 후면커버를 관통하여 돌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상기 패치의 두께에 의해 일방향으로 물리적 이동되는 감지부; 및,
    상기 내부공간 상에서 상기 감지부의 측방에 배치되되, 상기 감지부 측으로 돌출된 센싱바를 구비하고, 상기 감지부가 일방향 이동하면서 상기 센싱바를 측방에서 접촉함에 따라 상기 감지부의 물리적 이동을 인식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되,
    상기 감지부는,
    상기 후면커버에 형성된 관통홀을 감싸며 상기 내부공간 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벽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감지봉과,
    상기 감지봉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패치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연결 케이블에 의해 배터리부와 전기적 연결되고,
    일측에 전원스위치와,
    충전포트를 더 포함하는, 패치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일단부가 상기 전면커버의 내측으로 돌출된 스프링 가이드에 끼워져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감지봉의 일측에 끼워져 지지되는, 패치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봉은,
    상부가 개구된 기둥 형태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부로 상방에서 하방으로 경사각도를 가지며 형성된 경사면과,
    상기 바디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패치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봉은,
    상기 경사면과 연장된 상부로 돌출된 가이드돌부를 더 포함하는, 패치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봉은,
    상기 바디의 상단부 일부 또는 전체 테두리를 따라 측방으로 연장형성된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패치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봉은,
    상기 안착홈의 내부에 상기 스프링의 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패치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
  9. 사용자의 신체 일측에 부착된 패치를 감싸며 착용된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패치가 부착되었는지 유무 및 패치의 정보를 확인하는 패치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로서,
    전면커버;
    상기 전면커버와의 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결합한 후면커버;
    상기 내부공간 상에 배치된 PCB 기판부;
    상기 내부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패치의 태그 정보를 확인하고 외부 전송하는 RFID 리더 및 안테나부;
    상기 내부공간 상에 배치되되, 일측이 상기 후면커버를 관통하여 돌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상기 패치의 두께에 의해 일방향으로 물리적 이동되는 감지부; 및,
    상기 내부공간 상에서 상기 감지부의 측방에 배치되되, 상기 감지부 측으로 돌출된 센싱바를 구비하고, 상기 감지부가 일방향 이동하면서 상기 센싱바를 측방에서 접촉함에 따라 상기 감지부의 물리적 이동을 인식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되,
    상기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일측에 부착되는 패치를 감싸면서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패치가 노출되게 가이드 홀을 형성한 착용부와;
    상기 가이드 홀을 개폐가능하게 덮으며 상기 착용부의 외측에 결합된 함체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되, 상기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와 전기적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패치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이드 홀을 개폐 가능하게 덮으며 상기 착용부의 상부에 배치되되 일측에 상기 가이드 홀과 연통한 감지용 홀을 형성한 지지판과, 설정 높이를 가지며 상기 지지판의 테두리를 따라 상부에 배치되어 일체화된 격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부의 내부로 통합공간을 형성한 통합포켓부와;
    상기 통합공간의 일측으로 상기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내부에 포함하여 안착되는 저면이 개구된 함체 형상의 제1포켓부와;
    상기 통합공간의 일측으로 상기 배터리를 내부에 포함하여 안착되는 저면이 개구된 함체 형상의 제2포켓부를; 포함하는, 패치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상기 감지부는,
    상기 지지판의 감지용 홀을 통해 상기 가이드 홀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패치의 두께에 의해 밀려 일방향으로 물리적 이동되는, 패치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
KR1020220151370A 2022-11-14 2022-11-14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 KR102597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1370A KR102597780B1 (ko) 2022-11-14 2022-11-14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1370A KR102597780B1 (ko) 2022-11-14 2022-11-14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7780B1 true KR102597780B1 (ko) 2023-11-03

Family

ID=88745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1370A KR102597780B1 (ko) 2022-11-14 2022-11-14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78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9930A (ko) * 2016-03-22 2017-10-10 이태규 생체정보 유효기간에 기초한 타임패치 장치
KR20180045118A (ko) * 2016-10-24 2018-05-04 (주)오상헬스케어 패치 타입 건강 관리 장치
KR20210004357A (ko) * 2019-07-04 2021-01-13 김종열 약물주입장치
JP2022516608A (ja) * 2019-01-04 2022-03-01 イネーブル インジェクションズ,インク. 着脱可能なパッチならびにモニタリングを用いた、医療用流体注射デバイスおよび方法
KR102388120B1 (ko) 2021-10-12 2022-04-19 주식회사 메디셀 미세전류가 공급되는 당뇨치료용 인슐린 경피약물 전달 패치
US20220338762A1 (en) * 2017-10-24 2022-10-27 Dexcom, Inc. Pre-connected analyte sensor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9930A (ko) * 2016-03-22 2017-10-10 이태규 생체정보 유효기간에 기초한 타임패치 장치
KR20180045118A (ko) * 2016-10-24 2018-05-04 (주)오상헬스케어 패치 타입 건강 관리 장치
US20220338762A1 (en) * 2017-10-24 2022-10-27 Dexcom, Inc. Pre-connected analyte sensors
JP2022516608A (ja) * 2019-01-04 2022-03-01 イネーブル インジェクションズ,インク. 着脱可能なパッチならびにモニタリングを用いた、医療用流体注射デバイスおよび方法
KR20210004357A (ko) * 2019-07-04 2021-01-13 김종열 약물주입장치
KR102388120B1 (ko) 2021-10-12 2022-04-19 주식회사 메디셀 미세전류가 공급되는 당뇨치료용 인슐린 경피약물 전달 패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12397A1 (en) Garments for wearable medical devices
ES2962337T3 (es) Desfibrilador externo
US20200238076A1 (en) Nasal stimul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dry eye
ES2689151T3 (es) Sistema de electroencefalografía implantable e inalámbrico
US20150217121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wearable defibrillator
CN103997994A (zh) 用于治疗高血压的方法和设备
CN102946942A (zh) 给送对于个体对象可定制的前庭刺激的系统和方法
KR102597780B1 (ko)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용 패치 모니터링 디바이스
KR102597779B1 (ko) 패치 연계 웨어러블 장치
CN213634781U (zh) 一种医用报警装置
CN108789347A (zh) 适于老年不便者的家庭护理设备
CN111671530A (zh) 一种医用智能腕带
KR20180079122A (ko) 뇌파 측정용 헤드셋
CN109377721A (zh) 连接医患系统的防跌倒报警腕带
CN109982634A (zh) 带有心率测量箍带的睡眠训练器
KR102113638B1 (ko) 손목 밴드형 심폐 전기 뜸기
CN217902066U (zh) 一种适用于临床老年痴呆患者的预警安全绳
KR102514367B1 (ko) 안구 림프 혈류 순환 촉진 스마트 디바이스
WO2022264591A1 (ja) センサ装置
CN219071843U (zh) 一种装有智能芯片的生物电细胞共振眼镜
CN208331850U (zh) 护士夜间巡视液体的手电筒
WO2023163547A1 (ko) 비침습적 자극 장치
AU2017204782B2 (en) Nasal stimulation devices and methods
CN117694661A (zh) 一种具有预防和辅助矫正功能的智能儿童背包
CN108436881A (zh) 适于行动不便者的家庭护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