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531B1 -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531B1
KR102597531B1 KR1020210155807A KR20210155807A KR102597531B1 KR 102597531 B1 KR102597531 B1 KR 102597531B1 KR 1020210155807 A KR1020210155807 A KR 1020210155807A KR 20210155807 A KR20210155807 A KR 20210155807A KR 102597531 B1 KR102597531 B1 KR 102597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rheumatoid arthritis
control device
electrically connected
mc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5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9621A (ko
Inventor
김남균
박경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칼라세븐
김남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칼라세븐, 김남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칼라세븐
Priority to KR1020210155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531B1/ko
Publication of KR20230069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9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4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2Visible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64Details
    • A61N2005/0668Apparatus adapted for operation in a moist environment, e.g. bath or show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손등, 팔목, 발등 또는 발목에 착용하는 착용밴드와; 광선 조사 온/오프, 시간설정, 알람을 제어할 수 있도록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착용밴드에 설치되는 제어장치와; 제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특정한 파장 대역과 특정한 세기의 광선을 방출하여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α(TNF-α)), 인터류킨(interleukin(IL-6) 및 IL-1β)를 억제하고, 총 면역 글로불린(total immunorglobulin G(IgG)), isotype-specific IgG1 및 IgG2, 수준을 감소시키는 광원과; 광원이 관절이 위치된 부분에 탈, 부착될 수 있도록 광원이 결합되는 부착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치료가 어려운 만성적인 질환인 류마티스 관절염을 약물을 사용하지 않고도 약물효과와 유사한 치료 효과를 제공하면서 약물과 달리 부작용이 없는 치료법을 제시함으로써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 분야에 새로운 치료방법을 제시하고, 그 결과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용 의료기기의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를 위한 장치{Devices for the treatment of rheumatoid arthritis}
본 발명은 동물이나 사람의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류마티스 관절염이 발생한 부위에 특정한 파장 대역과 세기를 가지는 가시광선을 방출하는 광선조사유닛을 접착시켜 일정한 시간 동안 광선을 조사함으로써 류마티스 관절염에서 발생하는 전염증성 사이토가인을 억제하고, 염증이나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면역글로블린을 감소시키는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류마티스 관절염은 골관절염에 이어 만성 관절염 중 두 번째로 많은 질병이며, 염증성 관절염 중에서는 가장 흔한 질환이다. 어느 연령에서도 발병할 수 있지만, 30~35세 사이에 가장 흔하게 나타나며, 남녀 비율은 1:3 정도로 여성에게 더욱 많다. 이 질병의 경과는 경한 소수 관절염부터 심한 기능적 장애를 수반하는 진행성 다기관 침범의 형태까지 매우 다양하다. 또한 제대로 치료를 받지 않은 경우, 질병 발생 10년 정도 경과 후에는 환자의 50%에서 일상생활에 장애를 갖게 된다. 이로 인해 발행되는 통증, 피로감, 우울 증상으로 인해 환자 삶의 질이 저하되고, 사회적 경제적 손실을 유발하며 심한 질병 상태로 인해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모든 환자에 적용할 수 있는 단일치료법은 없고 예방법이나 완치도 현재까지는 없기 때문에 각 개인의 질병 양상에 따라 적절한 영양 공급, 휴식, 부목 고정, 환자 교육, 물리 치료, 직업 치료, 약물요법, 수술 등의 종합적인 접근 방법이 요구된다. 약물치료는 염증을 완화하고 통증을 감소시키는 약제로 염증 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작용 기전이다.
최근에는 염증에 관여하는 형태만을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기존의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의 부작용인 위장관 출혈과 괘양, 혈소판 응집 억제의 위험을 감소시킨 특이적 약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여러 가지 항류마티스 약제들이 발견되었는데 하이드록시클로로퀸, 설파살라진, 아자씨오프린, 사이클로스포린, 세니실린민, 메토트렉세이트, 레플루노마이드, 타크로리무스 등이 여기에 속한다.
항류마티스 약제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진통 효과가 없는 대신 면역억제나 항염 작용으로 관절염을 완화시킨다. 약제에 따라 다르나 약물의 심각한 부작용이 큰 문제이므로 장기간 사용하는데, 여러 가지 제약조건이 있다.
비약물적인 요법으로는 적절한 운동과 휴식 및 영양섭취의 균형을 이루는 방법이 있다. 정기적으로 유산소 운동에 참여하도록 하거나 저강도 운동에 참여시키는 것이 관절 가동성과 근력 신체 기능을 증진시킬 뿐 아니라, 심리적인 안정을 유도하여 관절 증상을 완화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장시간 동안 꾸준하게 하지 못하면 효과를 보기가 어렵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문헌으로 공개특허공보 제2020-0134743호(2020.12.02. 공개)의 '능동형 관절염 광선 치료장치'는 인체의 관절 부위에 착용 가능하게 형성되고, 신축성을 갖는 직물 소재의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관절 부위로 설정된 파장 대역의 빛을 방출하는 복수의 광원모듈;을 구비하는 관절염 치료 및 완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내피부와, 상기 내피부의 외측에 부착 고정되는 외피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모듈은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내피부와 상기 외피부 사이에 각각 개재되고, 상기 개구부 측을 향하는 일면에 회로패턴이 형성되며, 신축성을 갖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실장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와, 상기 마이크로 LED를 각각 독립적으로 감싸 보호하는 제1봉지부와, 상기 제1봉지부를 감싸 보호하는 제2봉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선행문헌의 능동형 관절염 광선 치료장치는 크기가 크기 때문에 무릎과 같은 특정 부위에 국한되어 사용할 수 있으나, 발, 손 등과 같은 곳에는 사용하기 곤란한 점이 있고, 또한, 내피부와 외피부 사이에 설치된 마이크로 LED의 모두에 전원이 인가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전원이 소비되는 것은 물론 치료부위와 상관없이 광이 방출되어 마이크로 LED의 수면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약물치료와 유사한 효과를 가지면서도 장시간 사용해도 인체에 부작용을 주지 않는 새로운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공개특허공보 제2020-0134743호(2020.12.02.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를 위하여 양면 접착식 테이프나 하이드로겔 패드, 고무밴드, 벨트로 테이프 등에 의해 발이나 손, 무릎의 류마티스 관절염치료 부위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되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특정한 광선파장 대역의 광선을 발이나 손, 무릎의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 부위에 정해진 시간동안 조사함으로써 류마티스 관절염 동물이나 환자의 혈청에서 흔히 발생하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α(TNF-α)), 인터류킨(interleukin(IL-6) 및 IL-1β)를 억제하고, 총 면역 글로불린(total immunorglobulin G(IgG)), isotype-specific IgG1 및 IgG2, 수준을 감소시키는 원리로 류마티스 관절염을 치료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손등, 팔목, 발등 또는 발목에 착용하는 착용밴드와; 광선 조사 온/오프, 시간설정, 알람을 제어할 수 있도록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착용밴드에 설치되는 제어장치와; 제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특정한 파장 대역과 특정한 세기의 광선을 방출하여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α(TNF-α)), 인터류킨(interleukin(IL-6) 및 IL-1β)를 억제하고, 총 면역 글로불린(total immunorglobulin G(IgG)), isotype-specific IgG1 및 IgG2, 수준을 감소시키는 광원과; 광원이 관절이 위치된 부분에 탈, 부착될 수 있도록 광원의 광원케이스가 결합되는 부착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를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착용밴드는, 길이조절 및 착탈되게 구성되는 벨크로테이프, 버클,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착용이 용이하게 탄성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어장치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컨트롤러가 설치되는 제어장치케이스와; 치료 구동신호가 인가되면 치료 신호를 인가하여 소정시간 동안 관절염을 치료할 수 있도록 제어장치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연결잭, 스위치,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광원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컨트롤러는, 구동신호제어, 신호출력제어, 배터리 충전 및 방전제어, 광선조사제어, 스피커 알람, 충전상태표시를 제어하는 MCU가 구성되고, 상기 MCU, 광원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MCU와;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광원으로 전기가 인가되어 광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MCU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신호발생기와;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MCU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장치케이스에 설치되는 충전단자와; 충전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저장하고, 전원공급단자로 전원을 공급하는 MCU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장치케이스에 설치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광원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MCU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장치케이스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단자와; 상기 광원을 온/오프 할 수 있도록 MCU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장치케이스에 설치되는 스위치와; 상기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MCU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장치케이스에 설치되는 램프와; 광원을 전원이 인가되거나 전원이 차단될 시에 MCU에서 각각의 신호를 받아 치료시작과 끝을 알릴 수 있도록 MCU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알람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착용밴드는, 길이조절 및 착탈되게 구성되는 벨크로테이프, 버클 또는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착용이 용이하게 구성되는 탄성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어장치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컨트롤러가 설치되는 제어장치케이스와; 치료 구동신호가 인가되면 치료 신호를 인가하여 소정시간 동안 관절염을 치료할 수 있도록 제어장치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충전단자, 전원공급단자, 스위치, 램프, 연결잭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광원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컨트롤러는, 구동신호제어, 신호출력제어, 배터리 충전 및 방전제어, 광선조사제어, 스피커 알람, 충전상태표시를 제어하는 MCU가 구성되고, 상기 MCU, 광원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MCU와;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광원으로 전기가 인가되어 광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MCU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신호발생기와;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MCU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장치케이스에 설치되는 충전단자와; 충전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저장하고, 전원공급단자로 전원을 공급하는 MCU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장치케이스에 설치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광원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MCU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장치케이스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단자와; 상기 광원을 온/오프 할 수 있도록 MCU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장치케이스에 설치되는 스위치와; 상기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MCU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장치케이스에 설치되는 램프와; 광원을 전원이 인가되거나 전원이 차단될 시에 MCU에서 각각의 신호를 받아 치료시작과 끝을 알릴 수 있도록 MCU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알람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컨트롤러는 스마트통신기기로부터 제어를 받을 수 있도록 무선송수신기가 더 포함되며, 상기 무선송수신기는 근거리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블루투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원부재의 특정한 파장 대역은, 중심파장이 600nm±20nm 또는 450nm±20n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원부재의 특정 세기는, 1mW/㎠ 내지 15mW/㎠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원은, 일측에 원형, 사각형, 다각형 형상 중 어느 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부착밴드에 설치되는 광원케이스와; 제어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가시광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광원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는 광원부재와; 광원케이스가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습기를 차단하는 것은 물론 이물질로부터 광원부재를 보호할 수 있도록 광원케이스에 형성된 광원방출구에 설치되는 방수막과; 다수의 광원부재과 각각 연결되게 형성되어 하나의 연결잭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거나, 두개의 광원부재과 각각 연결되어 하나의 연결잭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하나의 광원부재와 연결되게 형성되어 하나의 연결잭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착밴드는, 고무,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평평한 판 형상의 양면접착식 원 형상 또는 관절염이 발생된 부분에 끼워지는 '○'자 형상,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원은, 부착밴드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광원케이스와; 복수의 광원케이스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광원부재와; 광원케이스의 광선방출구에 설치되는 방수막과; 광원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장치의 전원공급단자에 결합되는 연결잭이 형성되는 전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원은, 부착부재에 인입되게 설치되는 광원부재와; 광원부재와 연결되는 전선과; 제어장치의 전원공급단자에 결합되어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전선의 일측단에 설치되는 연결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원은, 벨크로테이프로 이루어지는 부착부재의 내측에 설치되는 광원부재와; 광원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부착부재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단자와; 제어장치의 전원을 광원부재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전선과; 전선의 일측단에 설치되는 접속단자와; 접속단자가 설치되는 전선의 타측단에 설치되어 제어장치의 전원공급단자에 탈착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착밴드는,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C'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형태의 변형이 용이하도록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며, 광원이 접착제 또는 고정핀에 의해 부착되는 부분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류마티스 관절염이 발생된 부분의 피부로 조사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치료가 어려운 만성적인 질환인 류마티스 관절염을 약물을 사용하지 않고도 약물효과와 유사한 치료 효과를 제공하면서 약물과 달리 부작용이 없는 치료법을 제시함으로써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 분야에 새로운 치료방법을 제시하고, 그 결과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용 의료기기의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를 위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착용밴드와 제어장치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제어장치와 광원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어장치에 결합되는 광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3의 제어장치의 전원공급단자와 스위치가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
도 5b는 도 3의 제어장치의 전원공급단자와 충전단자가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는 도 3에 도시된 제어장치의 컨트롤러 구성을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를 위한 장치를 이용하여 류마티스 관절염을 치료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를 위한 장치의 다른 실시예로 부착밴드에 광원부재가 설치된 광원케이스가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광원의 다른 실시예로 부착밴드에 광원부재가 일체형으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광원과 부착부재의 다른 실시예로 부착밴드에 일체형으로 설치된 광원부재에 전선이 착탈되게 구성하면서 크기가 조절되는 부착밴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부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장치의 동물실험 프로토콜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장치를 이용하여 치료 동물의 발에 대한 실제영상과 마이크로(micro) CT 사진 영상이다.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장치를 이용하여 치료 동물의 발의 두께와 관절염 수치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장치에 의해 동물에서 각 실험 그룹별 전염증성 사이토가인 억제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장치에 의해 동물 실험그룹별 명역세포 감소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17는 본 발명에 따른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장치에 의해 광선치료가 마우스의 비장에서 Th17과 Tregtpvh 사이의 불균형을 중재하는지를 확인하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를 위한 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를 위한 장치는 손등, 팔목, 발등 또는 발목에 착용하는 착용밴드(100)와; 광선 조사 온/오프, 시간설정, 알람을 제어할 수 있도록 광원(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착용밴드(100)에 설치되는 제어장치(200)와; 제어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특정한 파장 대역과 특정한 세기의 광선을 방출하여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α(TNF-α)), 인터류킨(interleukin(IL-6) 및 IL-1β)를 억제하고, 총 면역 글로불린(total immunorglobulin G(IgG)), isotype-specific IgG1 및 IgG2, 수준을 감소시키는 광원(300)과; 광원(300)이 관절이 위치된 부분에 탈, 부착될 수 있도록 광원(300)이 결합되는 부착밴드(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를 위한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를 위한 장치는 착용밴드(100), 제어장치(200), 광원(300) 및 부착밴드(400)를 포함한다.
상기 착용밴드(100)는 손등, 팔목, 발등 또는 발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벨크로테이프(11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거나 또는 이완 및 수축 가능한 실리콘,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탄성링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착용밴드(100)에는 보관케이스(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보관케이스의 재질은 PVC 또는 비닐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비닐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제어장치케이스(210)에 설치된 충전단자(223), 전원공급단자(225), 스위치(226), 램프(227)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배터리 충전, 배터리 충전상태, 광원(300)으로 전원공급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장치(200)는 광선 조사 온/오프, 시간설정, 알람을 제어할 수 있도록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착용밴드(100)에 설치된다.
상기 제어장치(200)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컨트롤러(220)가 설치되는 제어장치케이스(210)가 구성되고, 치료 구동신호가 인가되면 치료 신호를 광원(300)으로 인가하여 소정시간 동안 관절염을 치료할 수 있도록 광원(300)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20)가 제어장치케이스(210)에 설치된다.
상기 제어장치케이스(210)는 사각, 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용밴드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케이스(210)의 하부에는 벨크로테이프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착용밴드(100)에 고정되거나 또는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장치케이스(210)는 착용밴드(100)에 설치된 보관케이스의 내측에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케이스(210)의 고정은 착용밴드(1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착용밴드(1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이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장치(200)는 구동신호제어, 신호출력제어, 배터리 충전 및 방전제어, 광선조사제어, 스피커 알람, 충전상태표시를 제어하는 MCU(221)가 구성되고, 상기 MCU(221), 광원(30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24)가 MCU(2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스위치(226)의 조작에 따라 광원(300)으로 전기가 인가되어 광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MCU(2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신호발생기(222)가 구성되고, 배터리(224)를 충전할 수 있도록 MCU(2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단자(223)가 제어장치케이스(210)에 설치되고, 상기 충전단자(223)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저장하고, 전원공급단자(225)로 전원을 공급하는 MCU(2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224)가 제어장치케이스(210)에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224)의 전원을 광원(300)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MCU(2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장치케이스(210)에 전원공급단자(225)가 설치되며, 상기 광원(300)을 온/오프 할 수 있도록 MCU(2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장치케이스(210)에 스위치(226)가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224)의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MCU(2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장치케이스(210)에 램프(227)가 설치되며, 광원(300)을 전원이 인가되거나 전원이 차단될 시에 MCU(221)에서 각각의 신호를 받아 치료시작과 끝을 알릴 수 있도록 MCU(2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알람스피커(228)가 구비된다.
상기 MCU(221), 구동신호발생기(222), 알람스피커(228)는 하나의 PCB에 실장되며, 상기 충전단자(223), 전원공급단자(225), 스위치(226), 램프(227)는 제어장치케이스(210)에 각각 설치된 상태에서 PCB에 실장된 MCU(221)와 연결전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장치케이스(210) 내측에는 배터리고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고정부재에는 배터리(224)의 음극과 양극에 각각 밀착되는 배터리단자가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는 배터리단자가 설치된 배터리고정부재에 결합되어 MCU(2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단자(225)는 적어도 1개 이상 설되거나 또는 광원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220)는 무선송수신기(229)가 더 포함되며, 상기 무선송수신기(229)는 근거리무선통신 이루어지도록 블루투스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무선송수신기(229)는 인접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 등을 스마트통신기기(미도시)에 의해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광원(300)은 제어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특정한 파장 대역과 특정한 세기의 광선을 방출하여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α(TNF-α)), 인터류킨(interleukin(IL-6) 및 IL-1β)를 억제하고, 총 면역 글로불린(total immunorglobulin G(IgG)), isotype-specific IgG1 및 IgG2, 수준을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광원(300)은 제어장치(200)와 분리되게 이루어져 사용자의 관절염이 발생된 부분에 위치될 수 있도록 복수의 부착밴드(400)에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광원(300)은 손가락 마디 또는 발가락 마디에 각각 위치될 수 있도록 복수로 구성된다.
상기 광원(300)은 일측에 원형, 사각형, 다각형 형상 중 어느 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광원케이스(310)가 형성되고, 상기 광원케이스(310)의 일측에는 광원케이스(310) 내측에 설치되는 광원부재(320)에 의해 광선이 조사되어 관절염이 발생된 부분을 조사할 수 있도록 광선방출구(311)가 형성된다.
상기 광선방출구(311)는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거나 또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광원부재(320)와 같은 개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원케이스(310)의 내측에는 광원부재(320)가 설치되어 제어장치(20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가시광선을 조사한다.
그리고 상기 광원케이스(310)에 형성된 광선방출구(311)에는 방수막(330)이 설치되며, 상기 방수막(330)은 광원케이스(310)가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습기를 차단하는 것은 물론 이물질로부터 광원부재(320)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광원케이스(310)에는 전선(340)이 소정 길이로 설치되며, 상기 전선(340)의 길이는 손목 또는 발목에 착용밴드(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손가락 마디 또는 발가락 마디에 광원케이스(310)가 위치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선(340)은 다수의 광원부재(320)과 연결되게 형성되어 하나의 연결잭(350)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두개의 광원부재(320)와 전선(340)이 연결되어 하나의 연결잭(350)에 의해 형성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나의 광원에 하나의 전선이 연결된 상태에서 하나의 연결잭(350)이 형성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광원케이스(310), 전선(340) 및 연결잭(350)의 개수는 제조 시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하기 위해 그 개수는 조절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선(340)의 일측에는 연결잭(350)이 설치되며, 상기 연결잭(350)은 제어장치케이스(210)에 설치된 전원공급단자(225)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착밴드(400)는 광원케이스(310)이 설치될 수 있는 통공(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의 내측으로 광원케이스(310)가 결합된 상태에서 관절염이 발생된 부분에 광원부재(320)가 위치되도록 착용밴드(100)와 같이 길이조절 및 착탈되게 구성되는 벨크로테이프 또는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착용이 용이하게 구성되는 착용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부착밴드(400)는 상기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원케이스(310)의 광선방출구(311)가 형성된 외주연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양면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를 위한 장치의 광원은 도 8과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광원(300)은 부착밴드(4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광원케이스(310)와, 복수의 광원케이스(310)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광원부재(320)와, 광원케이스(310)의 광선방출구(311)에 설치되는 방수막(330)과, 광원부재(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장치(200)의 전원공급단자(225)에 결합되는 연결잭(350)이 형성되는 전선(3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지는 광원(300)은 도 1에 도시된 광원(300)과 동일하게 구성되나, 다만, 광원부재(320)가 설치된 광원케이스(310)가 부착밴드(400)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어 류마티스 관절염이 발생된 관절 부분의 상부와 하부에 광선을 조사한다.
상기 광원부재(320)로부터 방출되는 특정한 광선파장 대역의 광선을 발이나 손, 무릎의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 부위에 정해진 시간동안 조사함으로써 류마티스 관절염 동물이나 환자의 혈청에서 흔히 발생하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α(TNF-α)), 인터류킨(interleukin(IL-6) 및 IL-1β)를 억제하고, 총 면역 글로불린(total immunorglobulin G(IgG)), isotype-specific IgG1 및 IgG2, 수준을 감소시키는 원리로 류마티스 관절염을 치료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광원(3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9와 같이 광원(300)을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9에 도시된 광원(300)은 광원부재(320), 전선(340)으로 구성되어 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류마티스 관절염을 치료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광원(300)은 도 8에 도시된 광원케이스(310)를 구성을 생략하고, 광원부재(320), 전선(340), 연결잭(350)으로만 구성하여 제어장치(200)에 의해 제어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광원(300)은 부착부재(400)에 인입되게 설치되는 광원부재(320), 광원부재(320)와 연결되는 전선(340), 제어장치(200)의 전원공급단자(225)에 결합되어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전선(340)의 일측단에 설치되는 연결잭(3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광원부재(320)는 부착부재(400)의 내측에 인입되게 설치되며, 상기 전선(340)은 부착부재(400)의 내측에 설치된 광원부재(320)와 연결되어 제어장치(20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광원부재(320)에서 광선이 조사되어 류마티스 관절염을 치료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부착부재(400)에 일체형으로 설치된 광원부재(320)에서 조사되는 광선이 류마티스 관절염이 발생된 부분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300)에 의해 사용자가 류마티스 관절염이 발생된 부분에 부착부재(400)의 착용이 용이한다. 상기 광원부재(320)로부터 방출되는 특정한 광선파장 대역의 광선을 발이나 손, 무릎의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 부위에 정해진 시간동안 조사함으로써 류마티스 관절염 동물이나 환자의 혈청에서 흔히 발생하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α(TNF-α)), 인터류킨(interleukin(IL-6) 및 IL-1β)를 억제하고, 총 면역 글로불린(total immunorglobulin G(IgG)), isotype-specific IgG1 및 IgG2, 수준을 감소시키는 원리로 류마티스 관절염을 치료할 수 있다.
도 9에서 도시된 광원(300) 및 부착부재(400)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0과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광원(300)은 도 8에 도시된 광원케이스(310)의 구성을 생략하고, 도 9와 같이 광원부재(320)에 전선(340)을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구성과는 다르게 부착부재(400)에 설치되는 고정단자(321)에 전선(340)의 일측에 설치된 접속단자(360)를 꼽아 제어장치(200)의 제어를 받을 수 있도록 전선(340), 연결잭(350), 접속단자(360)로 구성된다.
또한, 부착밴드(400)는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상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발가락 또는 손가락의 두께에 따라 그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벨크로테이프로 구성된다.
도 10을 참조하여 광원(300) 및 부착밴드(4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광원(300)은 벨크로테이프로 이루어지는 부착부재(400)의 내측에 설치되는 광원부재(320)와, 광원부재(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부착부재(400)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단자(321)와, 제어장치(200)의 전원을 광원부재(320)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전선(340)과, 전선(340)의 일측단에 설치되는 접속단자(360)와, 접속단자(360)가 설치되는 전선(340)의 타측단에 설치되어 제어장치(200)의 전원공급단자(225)에 탈착되는 접속단자(3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부착부재(400)의 내측에는 광원부재(32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광원부재(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정단자(321)가 부착부재(4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단자(321)에 착탈가능하게 접속단자(360)가 전선(340)의 일측단에 설치되어 제어장치(200)의 전원이 인가될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부착부재(400)는 벨크로테이프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발가락 또는 손가락의 두께에 따라 조절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부착부재(400)를 발가락 또는 손가락 등에서 류마티스 과절염이 발생한 곳에 착용한 후 전선(340)의 일측단에 설치된 접속단자(360)를 고정단자(321)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제어장치를 통해 전원을 인가하여 부착부재(400) 내측에 설치된 광원부재(320)에서 광선이 조사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벨크로테이프로 형성되는 부착부재(400)는 손가락 또는 발가락 등과 같이 그 두께에 맞게 폭을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여성, 남성에 따라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두께 차이와는 무관하게 착용하여 류마티스 관절염을 치료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부착밴드(400)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발가락 또는 손가락의 두께에 조절하면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연질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부착밴드(400)는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C'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형태의 변형이 용이하도록 연질의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광원케이스(310)가 접착제 또는 고정핀에 의해 부착되는 부분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류마티스 관절염이 발생된 부분의 피부로 광원부재(320)의 광선의 조사가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연질의 금속재질로 부착밴드()를 구성함으로써 손가락 또는 발가락 등의 두께에 맞게 폭을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여성, 남성에 따라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두께와는 무관하게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를 위한 장치를 류마티스 관절염이 발생된 부분에 부착하여 광선에 의해 치료하기 위해서는 먼저, 착용밴드(100)를 손목 또는 발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광원케이스(310)가 설치된 부착밴드(400)를 이용하여 손가락 마디 또는 발가락 마디에 착용한 상태에서 광원부재(320)와 전선(340)으로 연결된 연결잭(350)을 제어장치(200)의 제어장치케이스(210)에 설치된 전원공급단자(225)에 결합시켜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장치케이스(210)에 스위치(226)를 누르면, 스위칭 신호가 PCB에 실장된 MCU(221)로 인가되고, 상기 신호를 인가받은 MCU(221)는 배터리(224)의 전원이 전원공급단자(225)로 인가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구동신호발생기(222)로 신호를 인가하여 전원공급단자(225)를 통해 연결잭(350)과 전선(340)을 거쳐 광원케이스(310)에 설치된 광원부재(320)로 전원이 인가된다.
상기 전원이 인가되는 광원부재(320)는 광선의 세기가 1mW/㎠ 내지 15mW/㎠ 중 어느 한 세기로 이루어지면서 중심파장이 600nm±20nm 또는 450nm±20nm 중 하나가 류마티스 관절염이 발생된 부분으로 조사된다.
또한, 상기 광원(300)으로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알람스피커(228)로 MCU(221)의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MCU(221)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알람스피커에서는 광원(300)이 조사되어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를 시작한다는 음향, 소리 등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치료 시간이 완료되면, MCU(221)에 다시 전기적 신호에 의해 알람스피커(228)에 인가하여 치료가 완료되었다는 음향, 소리 등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광원(300)으로 인가하던 전원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케이스(210)에 설치된 램프(227)를 통해 배터리(224)의 전원의 충전상태를 표시하여 어댑터에 의해 정류된 직류전원이 저장될 수 있도록 마이크로 5핀 충전잭(미도시)을 제어장치(200)의 충전단자(223)에 꼽아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200)에 전원공급단자(225)에 결합되는 전원을 공급받는 광원부재(320)가 설치된 광원케이스(310)가 하나의 전선에 1개, 2개 또는 5개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광원케이스(310)를 부착부재에 의해 류마티스 관절염이 발생된 부분에 쉽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류마티스 관절염이 발생된 부분으로 광선이 정해진 시간동안 조사됨으로써 류마티스 관절염 동물이나 환자의 혈청에서 흔히 발생하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α(TNF-α)), 인터류킨(interleukin(IL-6) 및 IL-1β)를 억제하고, 총 면역 글로불린(total immunorglobulin G(IgG)), isotype-specific IgG1 및 IgG2, 수준을 감소시킨다.
상기와 같은 원리에 의해 류마티스 관절염을 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선이 조사되어 동물의 관절에서 변화되는 상태는 도 12 내지 1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2 내지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7~8주령 수컷 DBA/1J 마우스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바인(Bovine) 제2형 콜라겐 용액(2mg/mL)을 동일한 농도의 컴플레이트 프로인트 애쥬벤트(Complete Freund's Adjuvant)(IFA)와 1:1의 lq율로 혼합한 용액 0.1mL를 꼬리의 기저부에서 3cm 아래쪽의 피내를 통해 주입하였다. 일차 주사를 시행한 후 3주 뒤에 보바인(Bovine) 제2형 콜라겐 용액(2mg/mL)을 동일한 농도의 인컴플레이트 프로인트 애쥬벤트(Incomplete Freund's adjuant(IFA))와 혼합한 용액 0.1mL을 꼬리로 투여하였다. 이차 주사 후 다음날인 22일째부터 실험 종료일인 36일까지 하루에 40분간 매일 같은 시간에 광선치료(L-PBM)를 발목 부분에 실시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de, MTX: 1mg/kg)는 3일에 한 번씩 복강 내 주사하였다.
도 13은 치료동물의 발에 대한 실제 영상과 마이크로 CT 사진영상으로, 각 실험 그룹 간 차이를 보이며, 빛 치료그룹과 빛치료와 약물과 병행했을 때 치료효과가 더욱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장치를 이용하여 동물 발의 두께와 관절염 수치에 관한 것으로, 비이클(Vehicle)은 면역화에 신속하게 반응하여 관절염이 유발하였며, 심한 부종, 및 접합부 강성과 같은 증상을 보였다. 광선에 의한 치료(L-PBM)는 이러한 관절염 증상을 개선하여 발의 두께 및 관절염 수치를 현저하게 감소시켰는데, MTXdhk 광선에 의한 치료(L-PBM)를 병합하여 치료하는 경우에는 그 효과가 더욱 상승하였다.
도 15는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장치에 의해 동물에서 각 실험 그룹별 전염증성 사이토가인 억제에 대하여 나타낸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이클(Vehicle) 마우스의 혈청에서 전 염증성(pro-inflammatory) 사이토카인인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α(TNF-α)), 인터류킨(interleukin(IL-6) 및 IL-1β) 수준이 현저하게 증가 되었으나, 광선에 의한 치료(L-PBM) 또는 MTX와 광선에 의한 치료를 병합 치료하여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도 16은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장치에 의해 동물 실험 그룹별 명역세포 감소에 관한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광선치료(L-PBM)는 비이클(Vehicle)과 비교할 때, 혈청 종합 면역글로불린 G((total Immunoglobulin G(IgG)), 동형 특이적 종합 면역글로불린 G1(isotype-specific IgG1) 및 종합 면역글로불린 G2a(IgG2a) 수준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도 17은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장치에 의해 광선치료가 마우스의 비장에서 Th17과 조절T세포(Treg세포(Regulatory T cell)) 사이의 불균형을 중재하는지를 확인하는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이클(Vehicle)은 노말 마이스(normal mice)에 비해 CD4+1L-17A+ T cell의 분호가 높았으나, 메토트렉세이트(MTX) 및 L-PBM 치료에 의하여 감소되었다. CD4+Foxp3+ T cell의 분포는 노말(normal)에 비해 비이클(Vehicle)에서 낮았으나, 광선에 의한 치료(L-PBM)에 의해 회복되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치료가 어려운 만성적인 질환인 류마티스 관절염을 약물을 사용하지 않고도 약물효과와 유사한 치료 효과를 제공하면서 약물과 달리 부작용이 없는 치료법을 제시함으로써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 분야에 새로운 치료방법을 제시하고, 그 결과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용 의료기기의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착용밴드 110: 벨크로테이프
200: 제어장치 210: 제어장치케이스
220: 컨트롤러 221: MCU
222: 구동신호발생기 223: 충전단자
224: 배터리 225: 전원공급단자
226; 스위치 227: 램프
228: 알람스피커 229: 무선송수신기
300: 광원 310: 광원케이스
311: 광선방출구 320: 광원부재
321: 고정단자 330: 방수막
340: 전선 350: 연결잭
360: 접속단자 400: 부착밴드

Claims (13)

  1. 손목 또는 발목에 착용하는 착용밴드(100)와;
    광선 조사 온/오프, 시간설정, 알람을 제어할 수 있도록 광원(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착용밴드(100)에 설치되는 제어장치(200)와;
    제어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중심파장이 600nm±20nm 또는 450nm±20nm인 파장 대역과 1mW/㎠ 내지 15mW/㎠ 중 어느 하나인 세기의 광선을 방출하여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α(TNF-α)), 인터류킨(interleukin(IL-6) 및 IL-1β)를 억제하고, 총 면역 글로불린(total immunorglobulin G(IgG)), isotype-specific IgG1 및 IgG2, 수준을 감소시키는 광원(300)과;
    광원(300)이 손가락 마디 또는 발가락 마디가 위치된 부분에 탈, 부착될 수 있도록 광원이 결합되는 부착밴드(400);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밴드(400)는,
    고무,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평평한 판 형상의 양면접착식 원 형상 또는 관절염이 발생된 부분에 끼워지는 '○'자 형상,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광원(300)이 접착제 또는 고정핀에 의해 부착되는 부분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류마티스 관절염이 발생된 부분의 피부로 조사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를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밴드(100)는,
    길이조절 및 착탈되게 구성되는 벨크로테이프, 버클 또는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착용이 용이하게 구성되는 탄성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를 위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200)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컨트롤러(220)가 설치되는 제어장치케이스(210)와;
    치료 구동신호가 인가되면 치료 신호를 인가하여 소정시간 동안 관절염을 치료할 수 있도록 제어장치케이스(210) 내부에 설치되는 충전단자(223), 전원공급단자(225), 스위치(226), 램프(227), 연결잭(3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광원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를 위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220)는,
    구동신호제어, 신호출력제어, 배터리 충전 및 방전제어, 광선조사제어, 스피커 알람, 충전상태표시를 제어하는 MCU(221)가 구성되고, 상기 MCU(221), 광원(30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MCU(221)와;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광원으로 전기가 인가되어 광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MCU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신호발생기(222)와;
    배터리(224)를 충전할 수 있도록 MCU(2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장치케이스(210)에 설치되는 충전단자(223)와;
    충전단자(223)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저장하고, 전원공급단자(225)로 전원을 공급하는 MCU(2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장치케이스(210)에 설치되는 배터리(224)와;
    상기 배터리(224)의 전원을 광원(300)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MCU(2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장치케이스(210)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단자(225)와;
    상기 광원(300)을 온/오프 할 수 있도록 MCU(2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장치케이스(210)에 설치되는 스위치(226)와;
    상기 배터리(224)의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MCU(2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장치케이스(210)에 설치되는 램프(227)와;
    광원(300)을 전원이 인가되거나 전원이 차단될 시에 MCU(221)에서 각각의 신호를 받아 치료시작과 끝을 알릴 수 있도록 MCU(2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알람스피커(22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를 위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220)는,
    스마트통신기기로부터 제어를 받을 수 있도록 무선송수신기(229)가 더 포함되며,
    상기 무선송수신기(229)는 근거리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블루투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를 위한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300)은,
    일측에 원형, 사각형, 다각형 형상 중 어느 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부착밴드(400)에 설치되는 광원케이스(310)와;
    제어장치(20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가시광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광원케이스(310)의 내측에 설치되는 광원부재(320)와;
    광원케이스(310)가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습기를 차단하는 것은 물론 이물질로부터 광원부재(320)를 보호할 수 있도록 광원케이스에 형성된 광원방출구에 설치되는 방수막(330)과;
    다수의 광원부재(320)과 각각 연결되게 형성되어 하나의 연결잭(350)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거나, 두개의 광원부재(320)과 각각 연결되어 하나의 연결잭(350)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하나의 광원부재(320)와 연결되게 형성되어 하나의 연결잭(350)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전선(3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를 위한 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300)은,
    부착밴드(4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광원케이스(310)와;
    복수의 광원케이스(310)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광원부재(320)와;
    광원케이스(310)의 광선방출구(311)에 설치되는 방수막(330)과;
    광원부재(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장치(200)의 전원공급단자(225)에 결합되는 연결잭(350)이 형성되는 전선(34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를 위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300)은,
    부착부재(400)에 인입되게 설치되는 광원부재(320)와;
    광원부재(320)와 연결되는 전선(340)과;
    제어장치(200)의 전원공급단자(225)에 결합되어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전선(340)의 일측단에 설치되는 연결잭(35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를 위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300)은,
    벨크로테이프로 이루어지는 부착부재(400)의 내측에 설치되는 광원부재(320)와;
    광원부재(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부착부재(400)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단자(321)와;
    제어장치(200)의 전원을 광원부재(320)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전선(340)과;
    전선(340)의 일측단에 설치되는 접속단자(360)와;
    접속단자(360)가 설치되는 전선(340)의 타측단에 설치되어 제어장치(200)의 전원공급단자(225)에 탈착되는 접속단자(36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를 위한 장치.
  13. 삭제
KR1020210155807A 2021-11-12 2021-11-12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를 위한 장치 KR102597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807A KR102597531B1 (ko) 2021-11-12 2021-11-12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807A KR102597531B1 (ko) 2021-11-12 2021-11-12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621A KR20230069621A (ko) 2023-05-19
KR102597531B1 true KR102597531B1 (ko) 2023-11-03

Family

ID=86546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5807A KR102597531B1 (ko) 2021-11-12 2021-11-12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5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9414A (ja) * 2007-08-10 2009-02-26 Panasonic Corp リウマチ治療用光照射装置
CN110123612A (zh) * 2019-04-16 2019-08-16 永康国科康复工程技术有限公司 手功能康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712B1 (ko) * 2011-12-16 2014-04-18 주식회사 칼라세븐 부종과 신경병증 치료기
KR101642839B1 (ko) * 2014-10-06 2016-07-27 주식회사 칼라세븐 이동통신기기를 이용한 팜스 기술기반의 피부접착식 저출력광선조사기 시스템
KR102262458B1 (ko) 2019-05-23 2021-06-09 한국광기술원 능동형 관절염 개선 광선 조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9414A (ja) * 2007-08-10 2009-02-26 Panasonic Corp リウマチ治療用光照射装置
CN110123612A (zh) * 2019-04-16 2019-08-16 永康国科康复工程技术有限公司 手功能康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621A (ko) 202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4224B2 (en) Modularized light processing of body components
US6955684B2 (en) Portable light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s
US9968799B2 (en) Shapeable light therapy device and method
US20150112411A1 (en) High powered light emitting diode photobiology compositions, methods and systems
US8771326B2 (en) Adipose resolve apparatus for low-power laser
US78197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physical and mental disorders with low frequency, low flux density magnetic fields
US20090038179A1 (en) Massage Shoe Equipped With Germanium
US20120197358A1 (en) Light Therapy for Treating or Managing Diabetes and Metabolic Syndrome
WO200903872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light therapy
CN206652088U (zh) 一种led光热理疗腰带
KR102201967B1 (ko) 요실금 치료를 위한 의료 복합 기기
KR101652169B1 (ko) 복부벨트
KR101385712B1 (ko) 부종과 신경병증 치료기
EP1841377A2 (en) Light processing of selected body components
KR102597531B1 (ko)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를 위한 장치
CN105939757B (zh) 脚穿型生长刺激装置
ES2446244T3 (es) Aparato para terapia auricular
KR20200136298A (ko) 근적외선 엘이디를 이용한 팬티형 전립선 및 요실금 치료기
US20180028116A1 (en) Proprioceptive enhancement device and method of use
TWM621219U (zh) 鞋體血脈活絡裝置
CN210277715U (zh) 中医治未病香薰温灸音疗健康养生仓
CN208511498U (zh) 脚底按摩器
RU186079U1 (ru) Оптоэлектронное моду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тотерапии
RU15634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тотерапии и массажа нижних конечностей
RU16377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томагнитотерапии и массажа нижних конечност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