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419B1 - 파스너 - Google Patents

파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419B1
KR102597419B1 KR1020197007726A KR20197007726A KR102597419B1 KR 102597419 B1 KR102597419 B1 KR 102597419B1 KR 1020197007726 A KR1020197007726 A KR 1020197007726A KR 20197007726 A KR20197007726 A KR 20197007726A KR 102597419 B1 KR102597419 B1 KR 102597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clip
substrate
fastening element
distal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7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2034A (ko
Inventor
존 범가너
마크 우들링
스캇 전
Original Assignee
아플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플릭스 filed Critical 아플릭스
Publication of KR20190042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8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the shank of the stud, pin or spigot having elevations, ribs, fins or prongs intended for deformation or tilting predominant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inse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12Roof or head l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00Devices for securing together, 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5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the plates being one on top of the other and distanced from each other, e.g. by using protrusions to keep contact and dist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multiple interengaging protrusions on the surfaces, e.g. hooks, co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1Use of a material of the hooks-and-loop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고정 요소는, 파지면 및 이 파지면에 대향하는 배면을 갖는 파지부와, 파지부에 부착되는 앵커 근위 단부 및 앵커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앵커부를 포함하며, 앵커부는, 기판 상의 장착 위치 내로 앵커부를 삽입하기 위해 필요한 삽입력보다 큰 유지력으로 고정 요소를 기판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클립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탄성 클립은, 앵커 원위 단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클립 근위 단부 및 앵커 근위 단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클립 원위 단부와, 클립 근위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기판의 수용기 내로의 앵커부의 삽입 중에 앵커부의 길이방향 축선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립의 변위를 야기하도록 구성되는 압축부와, 압축부의 종결부로부터 앵커부의 길이방향 축선을 향하여 연장되는 어깨부와, 적어도 하나의 클립의 탄성 작용에 기초하여 기판 상에 유지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유지부로서, 앵커부의 방사상 축선에 대하여 측정될 때 어깨부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클립 원위 단부를 향하여 비-직교 각도로 연장되는 유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스너
본 개시는 감소된 삽입력의 파스너(reduced insertion force fastene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기판과 함께 사용되도록 구성되는 앵커부를 갖는 감소된 삽입력의 파스너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기판은 상이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특정한 산업 분야에 있어서, 파스너는 다양한 제품의 조립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반복 공정 타입의 손상(repetitive process type injuries)을 감소시키면서 설치자의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파스너가 용이하게 삽입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파스너는 변화하는 응력 및 하중 하에서 견고하게 유지되는 한편, 다른 것들과의 사이에서, 진동으로 인해 소리가 발생하지 않을 것 또한 중요하다.
예를 들어, 자동차 산업에서, 차량의 많은 부분이 차량의 또 다른 부분에 대해 고정(예를 들어, 차량의 지붕에 대해 헤드라이너를 고정)되고, 이들 파스너는 침묵을 유지하면서 높은 폐쇄 강도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이들 파스너는 하루에도 수십 또는 수백 개의 파스너를 설치하기도 하는 설치자의 부상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설치가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어 자동차 적용분야에 있어서, 설치시, 다수의 구성이 존재한다. 단일 파스너 설계는, 예를 들어, 파스너가 설치될 기판의 두께에 기초하여, 다양한 설치 구성을 충족시키기에 종종 불충분하다. 그러므로, 설치시 일반적으로 다양한 파스너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제조업체가 다양한 적용분야에 맞는 다수의 맞춤 파스너 구성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비용 및 제조상의 문제가 추가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문헌 US 2015/0158437은, 구성요소에 끼워질 수 있고, 일측면 상에서, 편평한 캐리어 부분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부분을 가지는 고정 시스템을 개시하며, 이것은 일측면 상에서 돌출하는 부착 또는 후크 요소를 구비하고 타측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파스너를 갖는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높은 유지 강도 및 다양한 기판 두께에 대한 적응성을 갖춘 감소된 설치력 파스너(reduced installation force fastener)가 유익하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그러므로, 본 개시에 따르면, 고정 요소(fastening element)가 제공된다. 고정 요소는, 파지면 및 이 파지면에 대향하는 배면을 갖는 파지부(gripping portion)와, 파지부에 부착되는 앵커 근위 단부 및 앵커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앵커부(anchoring portion)를 포함하며, 앵커부는, 기판 상의 장착 위치 내로 앵커부를 삽입하기 위해 필요한 삽입력보다 큰 유지력으로 고정 요소를 기판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클립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탄성 클립은, 앵커 원위 단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클립 근위 단부 및 앵커 근위 단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클립 원위 단부와, 클립 근위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기판의 수용기(receiver) 내로의 앵커부의 삽입 중에 앵커부의 길이방향 축선(longitudinal axis)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립의 변위(deflection)를 야기하도록 구성되는 압축부와, 압축부의 종결부로부터 앵커부의 길이방향 축선을 향하여 연장되는 어깨부와, 적어도 하나의 클립의 탄성 작용에 기초하여 기판 상에 유지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유지부(retaining portion)로서, 앵커부의 방사상 축선(radial axis)에 대하여 측정될 때 어깨부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클립 원위 단부를 향하여 비-직교 각도(non-orthogonal angle)로 연장되는 유지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파스너를 제공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낮은 삽입력의 파스너가 얻어질 수 있는 한편, 비교적 높은 유지력이 초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갖는 파스너는 넓은 범위의 기판 두께에 설치될 수 있다. 넓은 범위의 기판 두께는 최대 두께 및 최소 두께를 포함한다. 최대 두께는 최소 두께의 적어도 105% 일 수 있고, 특히 최대 두께는 최소 두께의 적어도 150% 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최대 두께는 최소 두께의 적어도 200% 일 수 있다. 기판 두께의 범위는 특히 0.1mm 내지 2mm, 특히 0.7mm 내지 1.6mm, 또는 0.5mm 내지 1.2mm, 또는 0.1mm 내지 1.5mm 일 수 있다.
탄성 클립의 휴지(at-rest) 위치에서, 어깨부는 앵커부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어깨부로부터 클립 원위 단부를 향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어깨 완충부(shoulder buffer portion)가 제공 될 수 있다.
비-직교 각도는 앵커부의 방사상 축선에 대하여 측정될 때 10도 내지 80도, 특히 앵커부의 방사상 축선에 대하여 측정될 때 10도 내지 50도의 범위일 수 있다.
삽입력은 약 25 내지 45N의 범위일 수 있고, 유지력은 133N보다 클 수 있으며, 특히 유지력은 약 133N 내지 250N의 범위일 수 있다.
파지면은 복수의 후크 및/또는 복수의 루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면은 고정 요소와 일체로 성형된 복수의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탄성 클립의 길이는 클립 원위 단부의 선단으로부터 클립 근위 단부의 베이스까지 측정될 때, 3.5 내지 5.5mm의 범위, 특히 4.5mm 내지 5.5mm의 범위일 수 있다.
앵커부는 파지부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앵커부는 배면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은 복수의 후크 및/또는 복수의 루프의 접착(gluing) 및 오버몰딩(overmolding)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클립 원위 단부와 배면 사이의 간극은 0.5mm 내지 2mm의 범위, 특히 1mm 내지 2mm의 범위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클립의 폭은 0.9 내지 2.6 mm의 범위일 수 있다.
고정 요소 및 앵커부는 열가소성 재료로 성형될 수 있다.
어깨부는 하나의 클립의 폭과 유사한 폭, 특히 0.4 내지 1.5mm 범위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고정 요소를 위한 다중-기판 앵커가 제공된다. 다중-기판 앵커는 앵커 근위 단부 및 앵커 원위 단부를 포함하며, 앵커부는, 복수의 기판들 중 어느 하나에 고정 요소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클립을 포함하고 각각의 기판은 다른 기판들과는 상이한 두께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탄성 클립은, 앵커 원위 단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클립 근위 단부 및 앵커 근위 단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클립 원위 단부와, 클립 근위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기판의 관통-구멍 내로의 다중-기판 앵커의 삽입 중에 다중-기판 앵커의 길이방향 축선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립의 변위를 야기하도록 구성되는 압축부와, 압축부의 종결부로부터 앵커부의 길이방향 축선을 향하여 연장되는 어깨부와, 어깨부 부근의 지점으로부터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클립의 탄성 작용에 기초하여 기판 내의 관통-구멍의 두께의 적어도 일부에 유지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기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유지부는 다중-기판 앵커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하여 예각의 각도로 클립 원위 단부를 향하여 연장된다.
이러한 앵커를 제공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낮은 삽입력을 갖는 한편, 상대적으로 높은 유지력이 초래될 수 있는 파스너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갖는 파스너는 넓은 범위의 기판 두께에 설치될 수 있다.
탄성 클립의 휴지 위치에서, 어깨부는 다중-기판 앵커의 길이방향 축선에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중-기판 앵커는 어깨부로부터 클립 원위 단부를 향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어깨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립은, 앵커에 인출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앵커가 설치 위치에 있을 때 어깨부가 기판에 지지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고정 요소가 제공된다. 고정 요소는, 파지면 및 이 파지면에 대향하는 배면을 갖는 파지부와, 파지부에 부착되는 앵커 근위 단부 및 앵커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앵커부를 포함하며, 앵커부는, 기판 상의 장착 위치 내로 앵커부를 삽입하기 위해 필요한 삽입력보다 큰 유지력으로 고정 요소를 기판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클립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탄성 클립은, 앵커 근위 단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클립 근위 단부 및 클립 원위 단부와, 클립 원위 단부로부터 각도를 가지면서 연장되고 기판의 수용기 내로의 앵커부의 삽입 중에 앵커부의 길이방향 축선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립의 변위를 야기하도록 구성되는 압축부와, 압축부의 종결부로부터 앵커부의 길이방향 축선을 향하여 연장되는 어깨부와, 적어도 하나의 클립의 탄성 작용에 기초하여 기판 상에 유지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유지부로서, 앵커부의 방사상 축선에 대하여 측정될 때 어깨부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클립 근위 단부를 향하여 비-직교 각도로 연장되는 유지부를 포함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명확하게 모순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상기 요소들의 다양한 조합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개시의 추가적인 목적 및 장점은 이어지는 설명 부분에 기술될 것이며, 어느 정도는 이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고, 또는 본 개시의 실시에 의해 습득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목적 및 이점은 첨부된 청구항에서 특별히 지적된 요소 및 조합에 의하여 실현되고 달성될 것이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 모두는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적인 것일 뿐이며, 청구항에 기재된 것처럼 본 개시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개시의 실시형태들을 도시하고, 설명과 함께 본 개시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a는 제1 두께의 기판에 설치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 요소의 예시적인 측면도이며, 여기서 기판은 2개의 탄성 클립과 고정 요소의 중간을 통과하는 절단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1b는 제2 두께의 기판에 설치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 요소의 예시적인 측면도이며, 여기서 기판은 2개의 탄성 클립과 고정 요소의 중간을 통과하는 절단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 요소의 정면도이고;
도 3a는 본 개시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 요소의 예시적인 측면도이며, 여기서 기판은 2개의 탄성 클립과 고정 요소의 중간을 통과하는 절단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3b는 도 3a의 고정 요소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 요소의 파지면 상의 파지 요소를 예시적으로 묘사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a, 1b 및 2에 도시된 예시적인 고정 요소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그 예들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가능한 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것이다.
도 1a 및 1b는 기판(3)에 설치된 고정 요소(fastening element)(1)의 예시적인 측면도이며, 여기서 기판은 고정 요소의 중간과 2개의 탄성 클립을 통과하는 절단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a 및 1b의 기판(3)은 상이한 두께(S)를 갖는다. 도 1a의 기판(3)의 두께(S)는 도 1b의 기판(3)의 두께(S)보다 두껍다. 그러나, 도시된 두께는 기판의 최대 두께 및 최소 두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되거나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이 기판에는 본 개시에 따른 고정 요소가 장착 될 수 있다. 도 1a 및 1b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고정 요소(1)는 기판(3)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 고정 요소(1)는 기판(3) 상의 장착 위치에 고정 요소의 앵커부(anchoring portion)(15)를 삽입하기 위해 필요한 삽입력보다 큰 유지력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삽입력에 대해 말하자면, 이 힘은 예를 들어 삽입 중에 고정 요소(1)에 힘을 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푸시/풀 게이지(예컨대, IMADA push pull scale)에 의해 측정되도록 의도된다. 유지력에 대해 말하자면, 이 힘은 유사한 방법, 예를 들어 푸시/풀 게이지의 당김부(pull portion)를 사용하여 측정되도록 의도된다.
고정 요소(1)는 다양한 재료, 예를 들어 열가소성 재료, 복합 재료 및/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사출 성형, 오버몰딩 등으로 성형될 수 있다. 열가소성 재료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의 경우, 50% 호모폴리머 및 50% 코폴리머로 구성되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혼합물이 선택될 수 있으며, 22g/10mn의 용융 상태에서의 유동성 지수(fluidity index) 및 130,000 내지 150,000 psi의 굴곡 모듈(flexion module)을 갖는다. 다른 가능한 재료로는, 7의 용융 상태에서의 유동성 지수 및 175,000 psi의 굴곡 모듈을 갖는 Atofina의 폴리프로필렌 PPC 5660, 35 내지 100의 용융 상태에서의 유동성 지수 값과 190,000 내지 250,000 psi의 굴곡 모듈을 갖는 BP Amoco의 프로필렌 코폴리머(Acclear 8949 및 Acctuf 임팩트 코폴리머 3934X);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선형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를 들 수 있다. 용융 상태에서의 지수는 1 내지 100 이며, 굴곡 모듈은 30,000 내지 1,141,000 이고, 바람직하게는 100,000 내지 1,000,00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00 내지 1,000,000 이다.
적합할 수 있는 프로필렌-계 수지 이외의 수지로는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나일론,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선형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및 올레핀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매우 높은 굴곡 모듈을 갖는, 긴 유리 섬유에 의해 강화된 폴리프로필렌 (StaMax에 의해 판매되는, 856,000 psi의 굴곡 모듈을 갖는 수지 30YM240/10010 및 1,140,000 psi의 굴곡 모듈을 갖는 수지 40YM240/10010)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긴 유리 섬유는 공동(cavities) (긴 섬유가 내부로 들어가기에는 너무 작거나 너무 얇음) 내로 이동하지 않으며, 매우 단단한 판이 가요성 후크로 얻어진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고정 요소(1)는 최종 장치가 단일 구조를 갖도록, 즉 고정 요소(1)의 모든 요소들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단일-단계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된다. 이러한 형성은, 소망하는 강도 및 제조의 용이성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베이스 층에 대한 적층 부분(예를 들면, 파지부(gripping portion) 층)의 후속적인 조립을 제거할 수 있다.
이 장치는 가시적인 주입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고정 요소(1)의 일부는 단일 단계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파지 요소(gripping elements) 및/또는 앵커부(15)는 접착제 또는 다른 적절한 결합(예컨대, 용융 및 재-응고, 오버-몰딩 등)에 의해 고정 요소(1)에 결합될 수 있다. 앵커부와 파지부의 베이스는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고정 요소(1)의 일부가 단일 단계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될 때, 몰딩은 열가소성 재료를 몰드 내로 도입 또는 사출하는 단일 단계로 수행되기 때문에, 후크를 성형(mould)하고 나서 후크를 형성(form)하기 위해 기다릴 필요가 없으며, 결과적으로 후크의 필드와 성형품의 나머지 사이에서 재료에 있어서 계면(interface)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에 따라 성형품과 후크는 단일체로 균일하게 형성된다. 얻어진 제품의 특정 특징들 중 하나는, 후크의 필드의 형태에 따라, 점, 선, 또는 별모양일 수 있는 패턴에 따라서 중앙 영역에 수집되는 동안, 쓰러스트(thrust)되는 영역의 대부분 또는 심지어는 전체 주변부(entire periphery)를 경유하여 재료가 침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재료 전방은 작업 속도 때문에 냉각을 위한 시간을 갖지 못할 수 있으므로, 결합 영역은 후크와 성형품의 나머지와의 사이에서의 실제 계면(특히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계면이 없을 수 있음)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이는 부품의 더 큰 부서지기 쉬운 영역을 초래하지 않을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분자배향의 분석만이 이러한 영역을 드러낼 수 있다.
고정 요소(1)는, 파지면(gripping face)(6)과, 이 파지면(6)에 대향하는 배면(back face)(7)을 갖는 파지부(5)를 포함한다. 고정 요소(1)는, (예컨대, 배면(7)의 기하학적 중심에서) 파지부(5)에 부착되는 앵커 근위 단부(anchor proximal end)(16) 및 앵커 원위 단부(anchor distal end)(17)를 포함하는 앵커부(anchoring portion)(15)를 더 포함한다.
파지부(5)는 높이 H1만큼 파지부(5)로부터 (예컨대, 파지면(6)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파지 요소(21 및/또는 22)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지면(6)은 고정 요소(1)와 일체로 성형 및/또는 오버-몰딩 되는 복수의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파지 요소(21 및/또는 22)는, 파지 요소(21 및/또는 22)의 말단부가 파지면(6) 및 배면(7)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파지부(5)로부터 떨어져 수직으로 열을 지어 연장될 수 있다. 중요하게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파지 요소(21 및/또는 22)는 소망하는 고정을 성취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임의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복수의 파지 요소(21 및/또는 22) 전체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필요는 없지만 복수의 파지 요소 전체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높이(H1)는 파지 요소(21 및/또는 22)들 사이에서 변할 수 있거나, 실질적으로 균일할 수 있다. 후크를 포함하는 파지 요소의 높이(H1)는 0.1mm 내지 2mm 일 수 있고, 특히 0.2mm 내지 1.7mm, 또는 0.9mm 내지 1.43mm 일 수 있다.
파지 요소(21 및/또는 22)는, 파지 요소(21 및/또는 22)가 다른 소망하는 표면, 예를 들어 고정을 유효하게 하기 위해 파지 요소(20 및/또는 20')와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된 복수의 루프 또는 후크를 포함하는 표면과의 고정을 성취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갖는 후크 및/또는 루프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 요소(21 및/또는 22)는 행 및 열로 배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파지 요소(21 및/또는 22)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표면과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행 내에서, 그리고 실질적으로 전체 파지면(6)에 걸쳐서, 머리부의 배향을 번갈아 배열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파지 요소(21 및/또는 22)는 파지면(6)의 전체 표면에 걸쳐 단일 배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파지 요소(21 및/또는 22)에 관한 용어 "머리부(head)"는 후크의 활동 부분(active portion)이 위치되는 파지 요소(21 및/또는 22)의 말단부(즉, 만곡된 걸림 표면)를 지칭한다.
파지 요소(21 및/또는 22)는 파지면(6)과 관련된 실질 영역(substantial area)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50, 60, 70, 80 및 심지어 90%의 파지면 영역의 커버리지(coverage)는 파지 요소(21 및/또는 22)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파지 요소(21 및/또는 22)에 대한 임의의 바람직한 커버리지 양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파지 기능을 최대화하기 위해서 적어도 80, 85, 90, 95%의 파지면 영역의 커버리지가 파지 요소(21 및/또는 22)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파지 요소(21 및/또는 22)가 후크로서 구현될 때, 후크(21 및/또는 22)는 별개의 배향/바이어스(distinct orientation/bias)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단일의 후크는 걸림이 유효하게 될 수 있는 단일의 방향을 갖는다는 것을 통상의 기술자는 이해한다. 그러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내에서 단일 배향을 가지는 후크(21)의 열을 배열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단일 배향을 갖는 열은 파지면(6) 상에 독점적으로 위치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기판(3)과의 설치 위치에 기초하여, 파스너(1)에 대하여 복수의 배향을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후크(21 및/또는 22)의 배향은, 교번하는 배향을 제공하도록, 후크(21 및 22)의 열 전체에 걸쳐 교대로 이루어질(alternated)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은 기판(3) 내의 파스너(1)에 대한 별개의 배향의 수를 감소시키지만, 고정되는 재료에 대해서는 보다 큰 유연성(예컨대, 고정 루프가 후크에 걸리는 더 큰 기회)을 제공한다.
앵커부(15)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무엇보다도, 기판(3)에 존재하는 관통-구멍에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앵커 원위 단부(17)에 테이퍼부를 구비할 수 있다. 테이퍼부의 테이퍼 각도는 파지부(5)에 대하여 약 60도 내지 85도의 범위일 수 있고, 특히 약 75도일 수 있다. 중요하게, 원통형이라는 용어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앵커부(15)의 형상을 기술하는데 사용되었지만, 앵커부(15)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3차원 다각형, 예컨대 직사각형 실린더, 타원형 실린더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라는 용어는, 예컨대 탄성 클립(20) 및/또는 회전 잠금 수단(24)과 같이, 이하에 설명되는 추가적인 특징부를 제외한 앵커부의 형상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앵커부(15)는 기판(3) 상의 장착 위치 내로 앵커부(15)를 삽입하기 위해 필요한 삽입력보다 큰 유지력으로 기판(3) 내에 고정 요소(1)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클립(resilient clip)(20)(예컨대, 하나의 클립, 2개의 클립, 3개의 클립 등)을 포함한다. 고정 요소와 관련하여 앵커부(15)를 기판(3) 상의 장착 위치로부터 인출(extracting)하기 위한 인출력은, 파지 부분과 함께 고정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른 소망하는 표면과 파지 요소들의 부분과의 사이에서의 분리력(separation force)(박리 및/또는 전단, ...)보다 클 수 있다. 탄성 클립은, 예를 들어, 존재하는 탄성 클립(20)의 개수에 기초하여 원통형 앵커부(15)의 원주 둘레에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탄성 클립이 원통형 앵커부(15) 상에 제공되는 경우, 탄성 클립(20)은 서로에 대해 180도 간격을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다각형 실린더가 앵커부(15)로서 구현되는 경우, 다각형 실린더의 각각의 면은 탄성 클립(20)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대안적으로, 다각형 실린더의 면들에 대해 교대로 탄성 클립(20)을 제공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그러한 임의의 구성이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탄성 클립(20)은 앵커 원위 단부(17)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클립 근위 단부(clip proximal end)(29) 및 앵커 근위 단부(16)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클립 원위 단부(clip distal end)(28)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립 근위 단부(29)는 길이방향 축선(Y)을 따라 측정될 때 앵커 원위 단부의 테이퍼 종단부(termination)에 또는 종단부 부근에 위치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고정 요소(1)를 기판(3)에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삽입력을 변경하기 위해서 탄성 클립(20)의 폭 및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탄성 클립(20)의 길이(H2)(즉, 배면(6)으로부터 클립 근위 단부(29)까지)는 고정 요소(1)의 전체 두께(T)의 약 40% 내지 70%의 범위(예컨대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3.5mm 내지 5.5mm)일 수 있으며,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약 4.5mm 내지 5.5mm 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술한 비율을 갖는 탄성 클립(20)의 폭(W)은, 예를 들어, 탄성 클립의 길이(H2)의 약 20 내지 40%의 범위, 예컨대 약 0.9mm 내지 2.6mm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된 측정값은 단지 예시일 뿐이며, 통상의 기술자는 고정 요소(1)의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의 유형에 따라 삽입력이 조정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클립 원위 단부(28)와 배면(7) 사이의 간극(C)은 탄성 클립(20)의 길이(H2)의 약 2 내지 5%의 범위, 예컨대 약 0.5 내지 2mm, 특히 1mm 내지 2mm의 범위일 수 있다.
각각의 탄성 클립(20)은, 압축부(compression portion)(30), 어깨부(shoulder)(35), 및 유지부(retaining portion)(37)를 포함한다.
압축부(30)는 클립 근위 단부(29)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기판(3)의 수용기(receiver) 내로의 앵커부(15)의 삽입 중에 앵커부(15)의 방사상 축선(Y)을 향하여 적어도 하나의 탄성 클립(20)의 변위(deflection)를 야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부(30)는 앵커부(15)의 방사상 축선(Y)에 대해 약 20도 내지 70도의 범위에 있는 예각의 각도 Θ를 가질 수 있어서, 기판(3)의 구멍 내로 삽입될 때, 압축부는 탄성 클립(20)이 앵커부(15)의 방사상 축선(Y)를 향하여 내측으로 변위하도록 야기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도 Θ는 앵커 원위 단부(17)에 적용되는 테이퍼와 관련된 각도에 상응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예각의 각도 Θ에 기초하여, 어깨부(35)에 도달할 때까지 탄성 클립(20)의 변위는 압축부(30)가 구멍 내로 전진하면 할수록 더 커진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어깨부(35)는 압축부(30)의 종단부로부터 앵커부(15)의 방사상 축선(Y)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깨부는 앵커부(15)의 방사상 축선(Y)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어깨부(35)는 탄성 클립(20)의 길이(H2)의 5 내지 20%, 예를 들어, 약 0.5 내지 2mm, 특히 약 1mm 내지 2mm로 연장될 수 있다.
어깨 완충부(38)가 제공될 수 있고 이 어깨 완충부는 어깨부의 종단 부분으로부터 클립 원위 단부를 향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어깨 완충부(38)는 탄성 클립(20)의 전체 길이의 약 5 내지 20%, 예를 들어 약 0.4 내지 1.5㎜의 범위일 수 있다.
유지부(37)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클립(20)의 탄성 작용에 기초하여 기판(3)에 유지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탄성 클립(20)의 탄성 특성의 결과로서 가압력이 생성된다. 이러한 힘은 기판(3)에 앵커부를 유지시킴에 있어서 도움이 된다. 다시 말해서, 적어도 하나의 탄성 클립은, 고정 요소(1)가 기판(3)의 관통-구멍 내에 설치될 때 적어도 하나의 클립의 일부가 기판(3)의 관통-구멍 내부에서/내부로 연장되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기판(3)의 관통-구멍 내부로 연장되는 클립의 일부는 기판에 힘을 발휘하여, 파스너가 제 위치에 유지되도록 하고 진동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여 진동에 의해 야기되는 소리를 발생시키지 않게 한다. 탄성 클립(20)의 유지부(37)는, 앵커부(15)의 방사상 축선(Y)에 대해 측정 된 바와 같이, 어깨부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클립 원위 단부를 향하여 비-직교 각도(α)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비-직교 각도는 약 10도 내지 80도의 범위, 특히 20도 내지 60도의 범위일 수 있다. 따라서, 인출력이 가해질 때, 인출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유지부에서의 힘이 증가한다. 이것은 적절하게 높은 유지력을 초래한다.
유지부(37)의 유지력을 극복하는 인출력이 고정 요소(1)에 가해지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유지부(37)의 존재에 기초하여 어깨부(35)가 기판(3) 상에 지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어깨부(35)는 기판(3)으로부터의 앵커부(15)의 완전한 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 1b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스너는 회전 잠금 수단(rotational locking means)(24)을 포함한다. 회전 잠금 수단(24)은, 기판의 관통-구멍 내에서의 고정 요소(1)의 선회(회전)시, 고정 요소(1)가 소정 지점보다 더 회전하는 것을 회전 잠금 수단(24)이 방지할 수 있도록, 그리고 고정 요소(1)가 삽입 위치로 회전하여 되돌아가는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 고정 수단(24)은 또한 탄성 클립(20)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즉, 일단 고정 요소(1)가 잠금 위치로 회전되면 회전 잠금 수단(24)은 기판(3)으로부터의 고정 요소(1)의 인출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3)의 관통-구멍은 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등 상이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고정 요소(1)가 기판(3)의 관통-구멍에 설치될 때 고정 요소(1)는 파스너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 잠금 수단(24)을 가질 수 있다. 회전 잠금 수단(24)은, 예를 들어, 경사 및 받침 구성(ramp and abutment configuration)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경사부는 고정 요소(1)가 회전함에 따라 기판(3)의 일부분에 증가하는 힘(increasing force)을 가할 수 있고, 받침부는 추가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램프에 의해 가해지는 증가하는 힘에 기초하여, 회전 잠금 수단(24)은 고정 요소(1)가 삽입 위치를 향해 다시 회전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삭제
도 2, 3b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요소의 앵커부는 중간에 재료가 비어 있어 공동(50)을 형성한다.
도 1a, 1b, 2, 3a, 3b 및 5에는 복수의 파지 요소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 근위 단부(29)는 앵커 근위 단부(16)에 근접하여 위치될 수 있고 클립 원위 단부(28)는 앵커 원위 단부(17)에 근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클립 원위 단부(28)와 앵커부(15)의 선단(즉, 앵커부(15)의 원위 단부) 사이의 간극은 탄성 클립(20)의 길이의 약 2 내지 5%, 예컨대 0.5 내지 2mm, 특히 1mm 내지 2mm의 범위일 수 있다.
비록 본 개시 내용이 특정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단지 본 개시의 원리 및 적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용어 "포함하는"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과 동의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범위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그 끝 값(들) (end valu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기술된 요소들에 대한 특정 값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허용 제조 또는 산업 공차 내에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실질적으로" 및/또는 "약" 및/또는 "일반적으로"라는 용어의 사용은 여기에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러한 허용 공차 내에 속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임의의 국가 표준, 국제 표준 또는 다른 표준이 참조되는 경우(예컨대, ISO 등), 그러한 참조는 본 명세서의 우선일 현재 국내 또는 국제 표준에 의해 정의된 것과 같은 표준을 참조하도록 의도된다. 그러한 표준에 대한 후속하는 실질적인 변경은 본 개시 및/또는 청구항의 범위 및/또는 정의를 수정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다음의 양상들은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특징들의 다양한 예시적인 조합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양상 1. 고정 요소는:
파지면 및 이 파지면에 대향하는 배면을 갖는 파지부와;
파지부에 부착되는 앵커 근위 단부 및 앵커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앵커부로서, 기판 상의 장착 위치 내로 앵커부를 삽입하기 위해 필요한 삽입력보다 큰 유지력으로 고정 요소(1)를 기판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클립을 포함하는 상기 앵커부;
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탄성 클립은:
앵커 원위 단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클립 근위 단부 및 앵커 근위 단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클립 원위 단부와;
클립 근위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기판 내로의 앵커부의 삽입 중에 앵커부의 길이방향 축선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립의 변위를 야기하도록 구성되는 압축부와;
압축부의 종결부로부터 앵커부의 길이방향 축선을 향하여 연장되는 어깨부와;
적어도 하나의 클립의 탄성 작용에 기초하여 기판 상에 유지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유지부로서, 앵커부의 방사상 축선에 대하여 측정될 때 어깨부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클립 원위 단부를 향하여 비-직교 각도로 연장되는 유지부;
를 포함하는, 고정 요소.
양상 2. 고정 요소를 위한 다중-기판 앵커는:
앵커 근위 단부 및 앵커 원위 단부를 포함하며, 앵커부는, 복수의 기판들 중 어느 하나에 고정 요소(1)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클립을 포함하고 각각의 기판은 다른 기판들과는 상이한 두께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탄성 클립은:
앵커 원위 단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클립 근위 단부 및 앵커 근위 단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클립 원위 단부와;
클립 근위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기판의 관통-구멍 내로의 다중-기판 앵커의 삽입 중에 다중-기판 앵커의 길이방향 축선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립의 변위를 야기하도록 구성되는 압축부와;
압축부의 종결부로부터 앵커부의 길이방향 축선을 향하여 연장되는 어깨부와;
어깨부 부근의 지점으로부터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클립의 탄성 작용에 기초하여 기판 내의 관통-구멍의 두께의 적어도 일부에 유지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기판 인터페이스로서, 다중-기판 앵커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하여 예각의 각도로 클립 원위 단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유지부;
를 포함하는, 고정 요소를 위한 다중-기판 앵커.
양상 3. 고정 요소는:
파지면 및 이 파지면에 대향하는 배면을 갖는 파지부와;
파지부에 부착되는 앵커 근위 단부 및 앵커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앵커부로서, 기판 상의 장착 위치 내로 앵커부를 삽입하기 위해 필요한 삽입력보다 큰 유지력으로 고정 요소를 기판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클립을 포함하는 상기 앵커부;
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탄성 클립은:
앵커 근위 단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클립 근위 단부 및 클립 원위 단부와;
클립 원위 단부로부터 각도를 가지면서 연장되고 기판의 수용기 내로의 앵커부의 삽입 중에 앵커부의 길이방향 축선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립의 변위를 야기하도록 구성되는 압축부와;
압축부의 종결부로부터 앵커부의 길이방향 축선을 향하여 연장되는 어깨부와;
적어도 하나의 클립의 탄성 작용에 기초하여 기판 상에 유지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유지부로서, 앵커부의 방사상 축선에 대하여 측정될 때 어깨부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클립 근위 단부를 향하여 비-직교 각도로 연장되는 유지부;
를 포함하는, 고정 요소.
양상 4. 이전 양상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고정 요소로서, 탄성 클립의 휴지 위치에서, 어깨부는 앵커부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고정 요소.
양상 5. 이전 양상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고정 요소로서, 어깨부로부터 클립 원위 단부를 향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어깨 완충부를 포함하는, 고정 요소.
양상 6. 이전 양상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고정 요소로서, 비-직교 각도는 앵커부의 방사상 축선에 대하여 측정될 때 10 내지 80도의 범위인, 고정 요소.
양상 7. 이전 양상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고정 요소로서, 삽입력은 약 25 내지 45N의 범위이고, 유지력은 133N보다 크고, 특히 약 133 내지 250N의 범위인, 고정 요소.
양상 8. 이전 양상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고정 요소로서, 파지면은 복수의 후크 및/또는 복수의 루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정 요소.
양상 9. 양상 6에 따른 고정 요소로서, 파지면은 고정 요소와 일체로 성형된 복수의 후크를 포함하는, 고정 요소.
양상 10. 양상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고정 요소로서, 적어도 하나의 탄성 클립의 길이는 클립 원위 단부의 선단으로부터 클립 근위 단부의 베이스까지 측정될 때, 3.5 내지 5.5mm의 범위, 특히 4.5mm 내지 5.5mm의 범위인, 고정 요소.
양상 11. 양상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고정 요소로서, 앵커부는 파지부와 일체로 성형되는, 고정 요소.
양상 12. 양상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고정 요소로서, 앵커부는 배면에 고정되는, 고정 요소.
양상 13. 양상 10에 따른 고정 요소로서, 고정은 접착 및 오버몰딩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되는, 고정 요소.
양상 14. 양상 1, 2, 및 4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고정 요소로서, 클립 원위 단부와 배면 사이의 간극은 0.5mm 내지 2mm의 범위, 특히 1mm 내지 2mm의 범위인, 고정 요소.
양상 15. 이전 양상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고정 요소로서, 적어도 하나의 클립의 폭은 0.9 내지 2.6mm의 범위인, 고정 요소.
양상 16. 이전 양상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고정 요소로서, 고정 요소 및 앵커부는 열가소성 재료로 성형되는, 고정 요소.
양상 17. 이전 양상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고정 요소로서, 어깨부는 0.4 내지 1.5mm 범위의 폭을 갖는, 고정 요소.
명세서 및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본 개시의 진정한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 지시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0)

  1. 고정 요소로서,
    파지면 및 상기 파지면에 대향하는 배면을 갖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 부착되는 앵커 근위 단부 및 앵커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앵커부로서, 기판 상의 장착 위치 내로 상기 앵커부를 삽입하기 위해 필요한 삽입력보다 큰 유지력으로 상기 고정 요소를 기판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클립을 포함하는 상기 앵커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클립은:
    상기 앵커 원위 단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클립 근위 단부 및 상기 앵커 근위 단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클립 원위 단부와;
    상기 클립 근위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기판 내로의 상기 앵커부의 삽입 중에 상기 앵커부의 길이방향 축선을 향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클립의 변위를 야기하도록 구성되는 압축부와;
    상기 압축부의 종결부로부터 상기 앵커부의 상기 길이방향 축선을 향하여 연장되는 어깨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클립의 탄성 작용에 기초하여 상기 기판 상에 유지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유지부로서, 상기 앵커부의 방사상 축선에 대하여 측정될 때 상기 어깨부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상기 클립 원위 단부를 향하여 비-직교 각도로 연장되는 상기 유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요소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삼각형 형태를 갖는 기판의 관통-구멍 내에서의 상기 고정 요소의 회전시, 상기 고정 요소가 소정 지점보다 더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리고 상기 고정 요소가 삽입 위치로 회전하여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하나의 회전 잠금 수단을 더 포함하며,
    하나의 상기 회전 잠금 수단은 하나의 경사부 및 하나의 받침부를 포함하는, 고정 요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클립의 휴지 위치에서, 상기 어깨부는 상기 앵커부의 상기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고정 요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깨부로부터 상기 클립 원위 단부를 향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어깨 완충부를 포함하는, 고정 요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직교 각도는 상기 앵커부의 방사상 축선에 대하여 측정될 때 10 내지 80도의 범위인, 고정 요소.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력은 25 내지 45N의 범위이고, 상기 유지력은 133N보다 크고 133N 내지 250N의 범위인, 고정 요소.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면은 복수의 후크 및/또는 복수의 루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정 요소.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파지면은 상기 고정 요소와 일체로 성형된 복수의 후크를 포함하는, 고정 요소.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클립의 길이는 상기 클립 원위 단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클립 근위 단부의 베이스까지 측정될 때, 3.5 내지 5.5mm의 범위, 또는 4.5mm 내지 5.5mm의 범위인, 고정 요소.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는 상기 파지부와 일체로 성형되는, 고정 요소.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는 상기 배면에 고정되는, 고정 요소.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고정은 접착 및 오버몰딩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되는, 고정 요소.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립 원위 단부와 상기 배면 사이의 간극은 0.5 내지 2mm의 범위, 또는 1mm 내지 2mm의 범위인, 고정 요소.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클립의 폭은 0.9 내지 2.6mm의 범위인, 고정 요소.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 및 상기 앵커부는 열가소성 재료로 성형되는, 고정 요소.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깨부는 상기 탄성 클립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가지거나, 또는 0.4 내지 1.5mm 범위의 폭을 갖는, 고정 요소.
  16. 고정 요소를 위한 다중-기판 앵커로서,
    앵커 근위 단부 및 앵커 원위 단부를 포함하며, 앵커부는, 복수의 기판들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고정 요소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클립을 포함하고 각각의 기판은 다른 기판들과는 상이한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클립은:
    상기 앵커 원위 단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클립 근위 단부 및 상기 앵커 근위 단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클립 원위 단부와;
    상기 클립 근위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기판의 관통-구멍 내로의 상기 다중-기판 앵커의 삽입 중에 상기 다중-기판 앵커의 길이방향 축선을 향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클립의 변위를 야기하도록 구성되는 압축부와;
    상기 압축부의 종결부로부터 상기 앵커부의 상기 길이방향 축선을 향하여 연장되는 어깨부와;
    상기 어깨부 부근의 지점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클립의 탄성 작용에 기초하여 상기 기판 내의 상기 관통-구멍의 두께의 적어도 일부에 유지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기판 인터페이스로서, 상기 다중-기판 앵커의 상기 길이방향 축선에 대하여 예각의 각도로 상기 클립 원위 단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유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요소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삼각형 형태를 갖는 기판의 관통-구멍 내에서의 상기 고정 요소의 회전시, 상기 고정 요소가 소정 지점보다 더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리고 상기 고정 요소가 삽입 위치로 회전하여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하나의 회전 잠금 수단을 더 포함하며,
    하나의 상기 회전 잠금 수단은 하나의 경사부 및 하나의 받침부를 포함하는, 고정 요소를 위한 다중-기판 앵커.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탄성 클립의 휴지 위치에서, 상기 어깨부는 상기 다중-기판 앵커의 상기 길이방향 축선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고정 요소를 위한 다중-기판 앵커.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어깨부로부터 상기 클립 원위 단부를 향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어깨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고정 요소를 위한 다중-기판 앵커.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탄성 클립은, 앵커에 인출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앵커가 설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어깨부가 상기 기판에 지지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고정 요소를 위한 다중-기판 앵커.
  20. 고정 요소로서,
    파지면 및 상기 파지면에 대향하는 배면을 갖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 부착되는 앵커 근위 단부 및 앵커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앵커부로서, 기판 상의 장착 위치 내로 상기 앵커부를 삽입하기 위해 필요한 삽입력보다 큰 유지력으로 상기 고정 요소를 기판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클립을 포함하는 상기 앵커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클립은:
    상기 앵커 근위 단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클립 근위 단부 및 클립 원위 단부와;
    상기 클립 원위 단부로부터 각도를 가지면서 연장되고 상기 기판의 수용기 내로의 상기 앵커부의 삽입 중에 상기 앵커부의 길이방향 축선을 향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클립의 변위를 야기하도록 구성되는 압축부와;
    상기 압축부의 종결부로부터 상기 앵커부의 상기 길이방향 축선을 향하여 연장되는 어깨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클립의 탄성 작용에 기초하여 상기 기판 상에 유지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유지부로서, 상기 앵커부의 방사상 축선에 대하여 측정될 때 상기 어깨부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상기 클립 근위 단부를 향하여 비-직교 각도로 연장되는 상기 유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요소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삼각형 형태를 갖는 기판의 관통-구멍 내에서의 상기 고정 요소의 회전시, 상기 고정 요소가 소정 지점보다 더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리고 상기 고정 요소가 삽입 위치로 회전하여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하나의 회전 잠금 수단을 더 포함하며,
    하나의 상기 회전 잠금 수단은 하나의 경사부 및 하나의 받침부를 포함하는, 고정 요소.
KR1020197007726A 2016-08-25 2017-08-24 파스너 KR1025974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246,563 US10202085B2 (en) 2016-08-25 2016-08-25 Fastener
US15/246,563 2016-08-25
PCT/EP2017/071302 WO2018037068A1 (en) 2016-08-25 2017-08-24 Faste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034A KR20190042034A (ko) 2019-04-23
KR102597419B1 true KR102597419B1 (ko) 2023-11-03

Family

ID=59791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7726A KR102597419B1 (ko) 2016-08-25 2017-08-24 파스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202085B2 (ko)
EP (1) EP3504446A1 (ko)
JP (1) JP7051817B2 (ko)
KR (1) KR102597419B1 (ko)
CN (1) CN109642598B (ko)
BR (1) BR112019002522B1 (ko)
WO (1) WO20180370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97089B2 (en) * 2016-09-01 2019-02-05 Nifco America Corp. Clip and clip attaching structure
JP6530002B2 (ja) * 2017-04-12 2019-06-1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コンテンツ探索装置、コンテンツ探索方法、プログラム
KR102496813B1 (ko) * 2020-08-31 2023-02-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푸시 너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3489A (ja) 2007-11-15 2011-01-2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多角度のポップイン式機械的ファスナー
JP2015203480A (ja) * 2014-04-16 2015-11-16 大和化成工業株式会社 クリップ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36215A (en) * 1954-08-11 1958-05-27 Illinois Tool Works Plastic nut-like fastener with resilient wings
US3851357A (en) 1971-02-03 1974-12-03 American Velcro Inc Fastener
USD269589S (en) * 1980-05-31 1983-07-05 Nifco, Inc. Combined fixing and retaining clip for elongate bodies
US5058245A (en) 1989-10-31 1991-10-22 Kuraray Co., Ltd. Fastening device and method for fixing adherend by using the same
US5012995A (en) * 1990-03-16 1991-05-07 General Motors Corporation Adjustable wiring harness clip
JPH0741364Y2 (ja) * 1990-07-03 1995-09-27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板体固定用係着具
US5242646A (en) * 1992-05-07 1993-09-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making an interengaging fastener member
USD360574S (en) * 1993-04-19 1995-07-25 Yoshida Kogyo K.K. Surface fastener with elastic double hook for fastening platelike article
JPH08270624A (ja) * 1995-03-29 1996-10-15 Piolax Inc クリップ
USD392877S (en) * 1995-10-12 1998-03-31 Nifco Inc. Face attachment
US7018496B1 (en) 1999-04-26 2006-03-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urable mechanical fasteners
JP2003322130A (ja) 2002-05-08 2003-11-14 Aoyama Seisakusho Co Ltd 締結部品
US7594629B2 (en) * 2006-06-09 2009-09-29 Delphi Technologies, Inc. Clip for fastening an article to a panel
US20080066266A1 (en) 2006-09-14 2008-03-20 Derek Scroggie Fastener assembly
US7337505B1 (en) 2007-03-13 2008-03-04 Illinois Tool Works Inc Panel fastener
FR2938025B1 (fr) * 2008-11-04 2013-05-24 Trw Automotive Electron & Comp Agrafe pour la fixation d'un equipement sur une structure
DE102012001457A1 (de) * 2012-01-25 2013-07-2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efestigungssystem
FR2991407B1 (fr) * 2012-06-01 2014-07-25 Illinois Tool Works Attache comportant un pied d'encliquetage a enfoncer au travers un trou d'un panneau et une tete d'engagement configuree pour etre en debord dudit panneau
DE102012010893A1 (de) 2012-06-01 2013-12-05 Gottlieb Binder Gmbh & Co. Kg Befestigungssystem
JP6310644B2 (ja) 2013-05-16 2018-04-1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ファスナ部材、ファスナ構造体、及び支持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3489A (ja) 2007-11-15 2011-01-2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多角度のポップイン式機械的ファスナー
JP2015203480A (ja) * 2014-04-16 2015-11-16 大和化成工業株式会社 クリ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42598B (zh) 2021-08-20
WO2018037068A1 (en) 2018-03-01
US20180056893A1 (en) 2018-03-01
JP2019532230A (ja) 2019-11-07
KR20190042034A (ko) 2019-04-23
BR112019002522B1 (pt) 2022-12-13
EP3504446A1 (en) 2019-07-03
CN109642598A (zh) 2019-04-16
JP7051817B2 (ja) 2022-04-11
BR112019002522A2 (pt) 2019-05-28
US10202085B2 (en) 201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7419B1 (ko) 파스너
US20040137192A1 (en) Injection molded fastening article for use as a mold insert
US5500268A (en) Fastener assembly with magnetic side and end seals and method
KR102291541B1 (ko) 파스너
EP0440286B1 (en) Plastics fastener to attach door trim panel
KR100546426B1 (ko) 몰드-인 성형용 걸림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지성형체의제조방법
US6176660B1 (en) Releasable fastener with lateral stabilizing brace members and latch legs carrying fastener insertion guide
CN109563864A (zh) 紧固夹
US20160052433A1 (en) Sheet having tilted stems on both surfaces thereof and seat using same
EP2374643B1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
US10188179B2 (en) Fastener
EP3973811A1 (en) Hook-and-loop fastener-equipped resin molded body,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method for fixing automobile ceiling material to vehicle body
KR20150097460A (ko) 차량 몸체 중공 부재의 공강 내에서 구조적 강화 및/또는 음향 및 진동 제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1988539B (zh) 隔离振动的紧固组件和提供振动隔离的固定方式的方法
US11659899B2 (en) Touch fastener p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