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370B1 -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for precisely editing drawing image of geographical feature using image - Google Patents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for precisely editing drawing image of geographical feature using 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370B1
KR102597370B1 KR1020230087504A KR20230087504A KR102597370B1 KR 102597370 B1 KR102597370 B1 KR 102597370B1 KR 1020230087504 A KR1020230087504 A KR 1020230087504A KR 20230087504 A KR20230087504 A KR 20230087504A KR 102597370 B1 KR102597370 B1 KR 102597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de
coupled
data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75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백기철
고동일
김동찬
조정민
김민호
Original Assignee
삼아항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아항업(주) filed Critical 삼아항업(주)
Priority to KR1020230087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37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3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36Videogrammetry, i.e. electronic processing of video signals from a single source or from different sources to give parallax or range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02Picture tak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mmetry or photographic surveying, e.g. controlling overlapping of pic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06Apparatus mounted on flying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55Segmentation; Edge detection involving morphological oper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06T7/73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using feature-based metho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4Map manufacture or repair; Tear or ink or water resistant maps; Long-life ma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이미지를 도화하여 도화영상 이미지를 생성해서 저장하는 도화영상 편집시스템 및 도화영상 편집시스템과 통신하여 수작업 처리가 가능한 입출력 처리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영상 도화 과정에서 파트별 영상이미지를 정확히 규격화해서 영상이미지의 합성 과정 중에 발생하는 중첩 구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영상이미지를 이용하여 지형지물의 도화이미지를 정밀하게 편집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a drawing image editing system that draws captured images to generate and store drawing video images, and an input/output processing system that communicates with the drawing image editing system and allows manual processing. A spatial image that can precisely edit the drawing images of geographical features using video images that can minimize the overlap section that occurs during the video image synthesis process by accurately standardizing the video images for each part in the video drawing process. It's about the painting system.

Description

영상이미지를 이용하여 지형지물의 도화이미지를 정밀하게 편집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SPATIAL IMAGE DRAWING SYSTEM FOR PRECISELY EDITING DRAWING IMAGE OF GEOGRAPHICAL FEATURE USING IMAGE}A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that can precisely edit drawing images of geographical features using video images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FOR PRECISELY EDITING DRAWING IMAGE OF GEOGRAPHICAL FEATURE USING IMAGE}

본 발명은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이미지를 이용하여 지형지물의 도화이미지를 정밀하게 편집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that can precisely edit drawing images of geographical features using video images.

컴퓨터와 소프트웨어의 발전, 정밀 광학 기계 및 레이저 계측기기의 발달 등으로 수치지도 제작이 가능하게 되면서 관련 기술들이 꾸준히 발전하여 종래 아날로그 방식의 지도 제작은 디지털 방식의 지도 제작으로 급속히 바뀌고 있다.As digital map production becomes possible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puters and software, precision optical machines, and laser measuring devices, related technologies are steadily advancing, and conventional analog map production is rapidly changing to digital map production.

지도 제작에 있어서 도화란 공간정보를 근거로 2차원 또는 3차원 이미지의 지도를 도시하는 작업을 지칭하는 것으로, 디지털 출력 기술의 개발과 더불어 근래에는 디지털 이미지 또는 3차원 그래픽 이미지로 도시할 수 있게 되면서 실사와 같다는 의미로 공간영상도화라고도 불린다.In map production, drawing refers to the work of drawing a map as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image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output technology, it has recently become possible to draw a map as a digital image or three-dimensional graphic image. It is also called spatial image painting because it is similar to real life.

이와 같이 공간영상도화 기술이 발달하면서 보다 사실적이고 정밀한 지도제작이 가능해졌으며, 공간정보의 변화에 따른 공간영상도화 정보의 갱신이 용이해졌다.As spatial imaging technology has developed in this way, more realistic and precise map production has become possible, and it has become easier to update spatial imaging information according to changes in spatial information.

이러한 발달에 따라 오늘날 공간정보는 대중적인 정보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정확성과 갱신효율이 크게 향상되면서 그 활용에 대한 신뢰도까지 높은 유용한 정보로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다.Due to these developments, spatial information is widely used as popular information today, and as its accuracy and update efficiency have greatly improved, it is widely applied in various fields as useful information with high reliability in its use.

종래 일반적인 방식으로 처리되는 도화 영상이미지의 편집은 파트별로 색상과 명도 및 축척 등을 일치시키는 작업이 요구된다. 특히 특정 구간에 대한 파트별 영상이미지를 업데이트해야 할 경우에는 해당 파트의 새로운 영상이미지를 편집 작업에 따라 해당 도화 영상이미지의 규격에 맞춰야 하므로, 파트별 영상이미지는 합성을 위해 반드시 규격화를 이루어야 한다. Editing of drawing video images, which are conventionally processed in a general manner, requires matching color, brightness, and scale for each part. In particular, when the video image for each part for a specific section needs to be updated, the new video image for that part must be adjusted to the standards of the drawing video image according to the editing work, so the video image for each part must be standardized for synthesis.

그러나 종래 도화 영상이미지 편집 기술은 서로 이웃하는 파트별 영상이미지끼리 서로 중첩하는 방식으로 합성해서 도화영상 편집을 진행하므로, 영상이미지 합성 과정에서 형성된 영상이미지의 중첩 구간을 편집해서 정리하는 공정상의 번거로움이 불가피했다.However, conventional drawing video image editing technology performs drawing image editing by compositing video images of neighboring parts in a way that overlaps each other, so there is a hassle in the process of editing and arranging the overlapping sections of video images formed during the video image synthesis process. This was inevitable.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The matters described as background technology above are only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taken as recognition that they correspond to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영상 도화 과정에서 파트별 영상이미지를 정확히 규격화해서 영상이미지의 합성 과정 중에 발생하는 중첩 구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영상이미지를 이용하여 지형지물의 도화이미지를 정밀하게 편집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In the video drawing process, the video image for each part is accurately standardized and the overlapping section that occurs during the video image synthesis process can be minimized by using video images to draw terrain feature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that can precisely edit images.

또한, 본 발명은 통일된 규격으로 파트별 영상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는 영상이미지를 이용하여 지형지물의 도화이미지를 정밀하게 편집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that can precisely edit drawing images of geographical features using video images that can complete video images for each part in a unified standar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촬영이미지를 도화하여 도화영상 이미지를 생성해서 저장하는 도화영상 편집시스템; 및 도화영상 편집시스템과 통신하여 수작업 처리가 가능한 입출력 처리시스템;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drawing image editing system for drawing a captured image to generate and store a drawing video image; and an input/output processing system capable of manual processing by communicating with a drawing image editing system;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를 이용하여 지형지물의 도화이미지를 정밀하게 편집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도화영상 편집시스템은, GNSS값이 링크된 촬영이미지를 저장하는 촬영이미지DB; 촬영이미지에서 도로 이미지를 경계로 구획된 파트 이미지 내에 구역 이미지와 구성요소 이미지 각각의 이전 버전 및 최신 버전과, 이미지들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정보DB; 파트 이미지와 구역 이미지와 구성요소 이미지가 GNSS값에 따라 조합 편집된 영상이미지의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을 저장하는 영상이미지DB; 영상이미지에 따라 도화, 편집 및 갱신된 도화영상 이미지의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을 저장하는 도화정보DB; 촬영이미지DB에 저장된 촬영이미지 내에 구성된 도로, 파트 및 구성요소를 구분하여 각각의 데이터로 분류하는 형태식별모듈; 도로와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각각의 외곽라인이 이루는 꼭지점의 좌표값과,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각각의 중심점의 좌표값과, 도로와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각각의 이미지 색깔 정보를 확인해서 데이터화 해서 해당 데이터를 영상정보DB에 저장하는 파트정의모듈; 영상정보DB에서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각각의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의 데이터를 검색하고 이전 버전의 데이터와 최신 버전의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는 파트비교모듈; 파트비교모듈의 비교결과, 유지와 편집과 갱신이 완료된 코드별 이미지와 코드 데이터는 영상정보DB에 저장시키고, 코드별 이미지가 조합된 영상이미지는 영상이미지DB에 저장시키는 영상이미지 편집모듈; 및 유지와 편집과 갱신이 완료된 영상이미지 및 외곽라인에 따라 도화영상 이미지를 생성해서 도화정보DB에 저장시키는 영상도화모듈;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that can precisely edit drawing images of geographical features using video im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ing image editing system includes a captured image DB that stores captured images linked to GNSS values; An image information DB that stores the previous and latest versions of each section image and component image within the part image divided by the road image in the captured image, and data about the images; A video image DB that stores the previous and latest versions of video images in which part images, zone images, and component images are combined and edited according to GNSS values; A drawing information DB that stores the previous and latest versions of drawing video images that have been drawn, edited, and updated according to the video image; A shape identification module that separates roads, parts, and components comprised in captured images stored in the captured image DB and classifies them into respective data; By checking the coordinates of the vertices formed by the outline of each road, part, area, and component, the coordinates of the center point of each part, area, and component, and the image color information of each road, part, area, and component, A part definition module that converts the data into data and stores the data in the image information DB; A part comparison module that searches the previous and latest version of data for each part, section, and component in the image information DB and compares the previous version and the latest version of the data with each other;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e part comparison module, images and code data for each code that have been maintained, edited, and updated are stored in a video information DB, and a video image combining images for each code is stored in a video image DB; and a video drawing module that generates a drawing video image according to the video image and outline lines for which maintenance, editing and updating have been completed and stores it in the drawing information DB; It is desirable to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를 이용하여 지형지물의 도화이미지를 정밀하게 편집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형태식별모듈은, 촬영이미지DB에 저장된 촬영이미지에서 색깔과 연속성과 폭을 기준으로 도로를 분류하고 외곽라인 생성을 통해 구분해서 제1코드로 식별하고, 도로를 경계로 구획된 블록 형태의 파트를 외곽라인 생성을 통해 구분해서 제2코드로 식별하고, 파트의 형태와 범위를 구역으로 해서 제3코드로 식별하며, 파트 내에서 색깔 변화 구간으로 된 외곽라인이 폐쇄 공간을 이루는 블록 형태의 구성요소를 제4코드로 식별하되, 서로 이웃하는 2 개의 폐쇄 공간이 공유한 해당 외곽라인은 상대적으로 넓은 폐쇄 공간의 외곽라인으로 지정하며 해당 폐쇄 공간을 구성요소로 확정하고, 2 개의 폐쇄 공간 중 상대적으로 좁은 폐쇄 공간은 개방 공간으로 확정하며, 폐쇄 공간으로 확정된 구성요소는 개방 공간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4코드를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that can precisely edit drawing images of geographical features using video im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identification module is based on color, continuity, and width in the captured images stored in the captured image DB. Roads are classified and identified through the creation of outline lines and identified with a first code. Block-shaped parts demarcated by roads are identified through the creation of outline lines and identified with a second code. The shape and scope of the parts are classified into zones. This is identified by the third code, and the block-shaped component where the outline of the color change section within the part forms a closed space is identified by the fourth code, and the corresponding outline shared by two adjacent closed spaces is identified by the fourth code. is designated as the outline of a relatively wide closed space, and the closed space is confirmed as a component. Among the two closed spaces, the relatively narrow closed space is confirmed as an open space, and the component confirmed as a closed space is directed to the open space. It is desirable to correct the fourth code by moving to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를 이용하여 지형지물의 도화이미지를 정밀하게 편집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파트정의모듈은, 제1코드 내지 제4코드에 각각 구성된 외곽라인이 이루는 꼭지점의 좌표값과, 제2코드 내지 제4코드 각각의 중심점의 좌표값과, 제1코드 내지 제4코드 각각의 이미지 색깔 정보를 해당 코드의 코드 데이터로 각각 설정하고, 꼭지점 또는 중심점을 서로 다른 제1코드 내지 제4코드 내에 둘 이상의 꼭지점 또는 중심점과 서로 링크해 확인된 길이를 연계 데이터로 설정하며, 이렇게 설정된 제1코드 내지 제4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영상정보DB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that can precisely edit the drawing image of a geographical feature using a video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 definition module defines the vertices formed by the outline lines respectively configured in the first to fourth codes. The coordinate value, the coordinate value of the center point of each of the second to fourth codes, and the image color information of each of the first to fourth codes are set as the code data of the corresponding code, and the vertex or center point is set to different first codes. It is desirable to set the confirmed length by linking two or more vertices or center points within the code to the fourth code as linked data, and to store the code data of the first to fourth codes set in this way in the image information DB.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를 이용하여 지형지물의 도화이미지를 정밀하게 편집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파트비교모듈은, 영상정보DB에서 제1코드 내지 제4코드 각각의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의 코드 데이터를 검색하고, 해당 코드 단위로 이전 버전의 코드 데이터와 최신 버전의 코드 데이터를 서로 비교해서, 차이 정도가 동일에 해당하는 것으로 설정된 기준범위 내에 속하는지, 유사에 해당하는 것으로 설정된 기준범위 내에 속하는지, 불일치에 해당하는 것으로 설정된 기준범위 내에 속하는지에 따라 동일, 유사, 불일치 여부를 판단하되, 이러한 차이 정도는 이전 버전의 코드 데이터와 최신 버전의 코드 데이터 각각의 해당 구역의 면적 대비 동일 구역 내 구성요소의 면적 비율 간에 차이고, 면적 비율 간 차에 따라 동일, 유사, 불일치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that can precisely edit the drawing image of a geographical feature using the video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 comparison module is the previous version of each of the first to fourth codes in the image information DB. Search for the latest version of code data, compare the previous version's code data with the latest version's code data for each code unit, and determine whether the degree of difference falls within the standard range set as equivalent or similar. Determine whether it is the same, similar, or inconsistent depending on whether it falls within the standard range or within the standard range set for inconsistency, but the degree of such difference is compared to the area of the corresponding area between the previous version of the code data and the latest version of the code data.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area ratios of components within the same area, and it is desirable to determine whether they are identical, similar, or inconsistent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area ratio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를 이용하여 지형지물의 도화이미지를 정밀하게 편집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영상이미지 편집모듈은, 파트비교모듈의 비교결과, 면적 비율이 동일로 판단되면 이전 버전 코드의 연계 데이터와 최신 버전 코드의 연계 데이터에 일치 여부를 확인해서, 일치로 확인되면 이전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유지하고, 면적 비율이 유사로 판단되면 이전 버전 코드의 연계 데이터에 맞춰서 최신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 및 연계 데이터를 편집하고, 면적 비율이 불일치로 판단되면 철거 또는 신축 없이 유지 중인 구성요소의 최신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이전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에 맞춰서 우선 편집하고, 우선 편집된 해당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기준으로 최신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편집해서 이전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갱신하며, 유지와 편집과 갱신이 완료된 코드별 이미지와 코드 데이터는 영상정보DB에 저장시키고, 코드별 이미지가 조합된 영상이미지는 영상이미지DB에 저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that can precisely edit the drawing image of a geographical feature using the video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deo image editing module performs the transfer if the area ratio is determined to be the sam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e part comparison module. Check whether the linkage data of the version code matches the linkage data of the latest version code. If a match is confirmed, the code data of the previous version code is maintained. If the area ratio is judged to be similar, the latest version is updated according to the linkage data of the previous version code. Edit the code data and linked data of the code, and if the area ratio is judged to be inconsistent, the code data of the latest version code of the component being maintained without demolition or new construction is first edited to match the code data of the previous version code, and the edited corresponding data is first edited. Based on the code data of the code, the code data of the latest version of the code is edited to update the code data of the previous version of the code. Images and code data for each code that have been maintained, edited, and updated are stored in the video information DB, and images for each code are stored in the video information DB. It is desirable to store the combined video image in the video image DB.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를 이용하여 지형지물의 도화이미지를 정밀하게 편집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입출력 처리시스템은, 입출력 처리시스템의 상부에 장착되는 탈착체결부; 탈착체결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안착대; 안착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하구동유닛; 상하구동유닛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평위치부; 수평위치부의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대; 수평지지대의 하단에 직립 설치되는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를 연결하면서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흡수연결유닛; 및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하단에 결합되며 지면에 설치되는 기초대;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that can precisely edit drawing images of geographical features using video im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output processing system includes a detachable fastener mounted on an upper part of the input/output processing system; A mounting bas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detachable fastener; A vertical drive unit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seating table; A horizontal position part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upper and lower driving unit; A horizontal support bar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upper part of the horizontal position; A first vertical supporter and a second vertical supporter installed upright at the lower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er; An absorption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first vertical support and the second vertical support and cushioning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first vertical support and the second vertical support; and a base coupled to the lower ends of the first vertical support and the second vertical support and installed on the ground. It is desirable to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를 이용하여 지형지물의 도화이미지를 정밀하게 편집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흡수연결유닛은,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부; 흡수베이스부의 양측에 탈착 결합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한 쌍의 제1연결부; 한 쌍의 제1연결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연결부; 및 일측부는 한 쌍의 제2연결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수직지지대와 상기 제2수직지지대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기둥브래킷;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that can precisely edit drawing images of geographical features using video im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sorption connection unit includes an absorption base dispos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support and the second vertical support. wealth; A pair of first connection parts that are detach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absorption base and have variable lengths; a pair of second connectors each detachably coupled to the pair of first connectors; and a pair of column brackets, one side of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a pair of second connectors,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vertical support and the second vertical support. It is desirable to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를 이용하여 지형지물의 도화이미지를 정밀하게 편집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흡수베이스부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을 체결시키는 체결레버; 및 일측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커넥터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that can precisely edit drawing images of geographical features using video im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sorption base unit includes a pair of absorption base plat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fastening lever for fastening a pair of absorption base plates; and a pair of connector parts,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a pair of absorbent base plates,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It is desirable to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를 이용하여 지형지물의 도화이미지를 정밀하게 편집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한 쌍의 베이스판에 마련된 판홀에 회전되게 지지되는 커넥터볼; 커넥터볼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커넥터로드; 커넥터로드에 마련되는 커넥터헤드; 및 커넥터헤드에 마련되어 제1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커넥터볼트;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that can precisely edit drawing images of geographical features using video im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unit includes a connector ball rotatably supported in a plate hole provided in the pair of base plates; A connector rod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nector ball; A connector head provided on the connector rod; And a connector bolt provided on the connector head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It is desirable to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를 이용하여 지형지물의 도화이미지를 정밀하게 편집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제1연결부는, 커넥터볼트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디; 제1연결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스프링부재; 및 일측부는 연결스프링부재에 지지되고 타측부는 제2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that can precisely edit drawing images of geographical features using video im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nection part includes a first connection body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a connector bolt; A connection spring member provided inside the first connection body; and a first connection bar, one side of which is supported by a connection spring member,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It is desirable to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를 이용하여 지형지물의 도화이미지를 정밀하게 편집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서로 근접된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중 어느 하나에 충격이 가해지면 커넥터볼에 의해 흡수베이스부는 회전됨과 아울러 제1연결바가 제1연결바디에서 이동되어 충격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that can precisely edit drawing images of geographical features using video im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supports adjacent to each other, the connector ball It is preferable that the absorption base is rotated and the first connection bar is moved from the first connection body to reduce imp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를 이용하여 지형지물의 도화이미지를 정밀하게 편집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수평위치부는, 상기 수평지지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연결플레이트; 연결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볼하우징; 다수의 볼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배치되는 볼부재; 볼부재의 하단에 형성되며 볼부재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볼포스트; 및 볼하우징과 볼부재의 사이에 마련되어 볼하우징에서 볼부재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볼댐핑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that can precisely edit drawing images of geographical features using video im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position part includes a connection plat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support part; A plurality of ball housing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on plate; Ball members each rotatably disposed inside a plurality of ball housings; A ball post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all member and having a relatively smaller diameter than the ball member; and a ball damping part provided between the ball housing and the ball member to reduce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ball housing to the ball member. It is desirable to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를 이용하여 지형지물의 도화이미지를 정밀하게 편집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상하구동부는, 수평위치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구동유닛바디; 구동유닛바디의 내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회전바디; 상단이 회전바디에 결합되며 승강 가능한 승강구동부; 일측부는 구동유닛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회전바디에 결합되어 차폐부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회전부; 구동유닛바디의 내부에 마련되어 회전되는 회전바디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회전댐핑부; 및 구동유닛바디에 마련되어 승강구동부와 수평회전부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that can precisely edit drawing images of geographical features using video im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driving parts include a driving unit body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positioning part; A rotating body rotat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drive unit body; A lifting mechanism whose upper part is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and which can be raised and lowered; A horizontal rotating part where one side is coupled to the drive unit body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a rotating body to rotate the shiel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 rotation damping unit provided inside the drive unit body to reduce vibration of the rotating body; and a battery provided in the drive unit body to supply electrical energy to the elevation drive unit and the horizontal rotation unit. It is desirable to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를 이용하여 지형지물의 도화이미지를 정밀하게 편집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탈착체결부는, 상기 안착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탈착케이스; 탈착케이스의 수용공간을 기준으로 하부면에 함몰 형성되는 탈착함몰부; 탈착함몰부의 내측 하단에 결합되는 탈착모터; 탈착모터의 상부에 결합되며 탈착모터의 작동에 따라 수평 회전할 수 있는 탈착기어; 탈착기어의 상부에 결합되는 탈착스프링; 탈착스프링의 상부에 결합되며 탈착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탈착승강부; 탈착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삽입 체결될 수 있는 탈착삽입부; 및 탈착삽입부의 상부면에 함몰 형성되며 탈착승강부가 상승하여 진입할 수 있는 승강진입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that can precisely edit drawing images of geographical features using video im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chable and fastening part includes: a detachable cas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mounting part and form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 detachable reces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based o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detachable case; A detachment motor coupled to the inner bottom of the detachment depression; A detachment gear that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detachment motor and can rotate horizontal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etachment motor; A detachment spring coupled to the top of the detachment gear; A detachable lifting part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detachable spring and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detachable spring; A detachable insertion portion that can be inserted and fastened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detachable case; and an elevating entry part that is recess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detachable insertion part and allows the detachable elevating part to rise and enter. It is desirable to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를 이용하여 지형지물의 도화이미지를 정밀하게 편집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승강진입부의 내측 전방에는 탈착스토퍼가 더 결합되며, 탈착스토퍼는 승강진입부의 내측 하단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탈착경사면 및 탈착경사면의 상부에 배치되어 승강진입부의 상부면에 대해 직교하며 진입한 탈착승강부에 접촉되는 탈착높이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that can precisely edit drawing images of geographical features using video im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chment stopper is further coupled to the inner front of the elevating entrance, and the detachment stopper is installed from the bottom of the inside of the elevating entranc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detachment slope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and a detachment height surfac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detachment slope and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entrance part and in contact with the entering detachment elevating part.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영상 도화 과정에서 파트별 영상이미지를 정확하게 규격화하여 영상이미지의 합성 과정 중에 발생하는 중첩 구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통일된 규격에 따라 파트별 영상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the above configuration, can minimize the overlap section that occurs during the video image synthesis process by accurately standardizing the video image for each part during the video drawing process, and can complete the video image for each part according to unified standards. There is an effect.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를 이용하여 지형지물의 도화이미지를 정밀하게 편집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전 버전의 촬영이미지와 최신 버전의 촬영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을 이용하여 도화영상을 편집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이 이전 버전의 촬영이미지를 분석해서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를 확인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이 파트 및 구역의 해당 데이터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이 데이터 비교를 통해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중 수정 대상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각각의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이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각각의 이미지를 수정하기 위하여 서로 링크된 중심점 및 꼭지점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이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각각의 이미지를 도시하고, 이러한 이미지가 수정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이 이전 버전 영상이미지에 최신 버전 영상이미지의 합성을 처리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이 이전 버전의 도화영상을 최신 버전의 도화영상으로 수정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처리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연결유닛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연결유닛이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위치부와 상하구동유닛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하우징의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핑바디와 지지블록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체결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The attached drawings are intended as reference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each configuration of a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that can precisely edit a drawing image of a geographical feature using a video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evious version of a captured image and a latest version of a captured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editing a drawing image using a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how the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a previous version of the captured image to identify parts, areas, and components.
Fig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appearance of corresponding data of parts and areas of the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images of each part, region, and component to be modified among the parts, regions, and components through data comparison by the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center point and vertex linked to each other in order for the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to modify the images of each part, section, and compon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how the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images of each part, section, and component, and how these images are modified.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how the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es the synthesis of the latest version of the video image with the previous version of the video image.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how the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difies the previous version of the drawing image to the latest version of the drawing image.
Figure 11 is a diagram showing an input/output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view showing each part of the absorption connection unit disassemb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absorption connection unit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orizontal positioning portion and a vertical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n enlarged view of the area of the ball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amping body and a support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tachable fasten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based on the attache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i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In addition,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patent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ust appropriately use the concept of terms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defin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를 이용하여 지형지물의 도화이미지를 정밀하게 편집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전 버전의 촬영이미지와 최신 버전의 촬영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each configuration of a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that can precisely edit drawing images of geographical features using video im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rawing to explain the previous version of the captured image and the latest version of the captured imag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은 촬영이미지를 도화하여 도화영상 이미지를 생성해서 저장하는 도화영상 편집시스템(10) 및 도화영상 편집시스템과 통신하여 수작업 처리가 가능한 입출력 처리시스템(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the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awing image editing system 10 that draws a captured image to generate and store a drawing image image, and an input/output processing system capable of manual processing by communicating with the drawing image editing system ( 20) is included.

상기 도화영상 편집시스템(10)은, 촬영이미지DB(11)와 영상정보DB(12)와 영상이미지DB(13)와 도화정보DB(14)와 형태식별모듈(15)와 파트정의모듈(16)와 파트비교모듈(17)와 영상이미지 편집모듈(18)와 영상도화모듈(19)을 포함한다. The drawing image editing system 10 includes a captured image DB 11, an image information DB 12, a video image DB 13, a drawing information DB 14, a shape identification module 15, and a part definition module 16. ) and a part comparison module (17), a video image editing module (18), and a video drawing module (19).

이러한 도화영상 편집시스템(10)은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검토하고 수작업 처리가 가능하도록 별도의 입출력 처리시스템(20)과 통신한다.This drawing video editing system 10 communicates with a separate input/output processing system 20 to allow managers to review and manually process in real time.

촬영이미지DB(11)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값이 링크된 도 2의 촬영이미지를 저장한다. 항공촬영을 통해 최초 수집된 촬영이미지는 해당 촬영 지점의 GNSS값이 링크되어 있지 않으므로, 해당 촬영이미지의 GNSS값을 확인해서 사전에 링크하고, 이렇게 수정된 촬영이미지는 촬영이미지DB(11)에 저장된다.The captured image DB 11 stores the captured image of FIG. 2 linked to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values. Since the captured image first collected through aerial photography is not linked to the GNSS value of the corresponding shooting point, the GNSS value of the captured image is checked and linked in advance, and the captured image modified in this way is stored in the captured image DB (11). do.

영상정보DB(12)는, 상기 촬영이미지에서 도로 이미지를 경계로 구획된 파트 이미지 내에 구역 이미지와 구성요소 이미지 각각의 이전 버전 및 최신 버전과, 상기 이미지들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The image information DB 12 stores the previous and latest versions of the area image and the component image within the part image divided by the road image as a boundary in the captured image, as well as data regarding the images.

참고로, 영상정보는 도로와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각각의 데이터에 해당하며, 상기 데이터는 GNSS값과, 외곽라인 내에 꼭지점 및 중심점 좌표값과, 상기 꼭지점 및 중심점 간에 링크 정보를 포함한다. For reference, image information corresponds to data for each road, part, area, and component, and the data includes GNSS values, coordinate values of vertices and center points within the outline line, and link information between the vertices and center points.

본 실시에서 후술되는 도 5와 같이 상기 좌표값은 해당 촬영이미지를 입출력 처리시스템(20)의 모니터에 픽셀 좌표계를 바탕으로 지정위치에 출력할 때의 픽셀값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is embodiment, the coordinate value may be a pixel value when the captured image is output to the monitor of the input/output processing system 20 at a designated location based on the pixel coordinate system.

또한 해당 촬영이미지에 포함된 구역과 구성요소에 대한 GNSS값일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촬영이미지는 구역과 구성요소를 GNSS값에 맞춰 1차 보정한 것이며, 이에 맞춰 상기 촬영이미지에는 GNSS좌표계가 적용된다. 상기 좌표값에 대한 실시 예는 이외에도 다양할 수 있으며,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It may also be GNSS values for areas and components included in the captured image. In this case, the area and components of the captured image are first corrected according to GNSS values, and the GNSS coordinate system is applied to the captured image accordingly. Embodiments of the above coordinate values may vary in addition, and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below.

영상이미지DB(13)는, 상기 파트 이미지와 구역 이미지와 구성요소 이미지가 GNSS값에 따라 조합 편집된 영상이미지의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을 저장한다. 여기서 영상이미지는 해당 도로와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각각의 이미지가 조합되어 이루어진 이미지이며, 해당 영상이미지는 영상정보와의 연계를 위해 GNSS값이 링크된다.The video image DB 13 stores the previous and latest versions of video images in which the part image, zone image, and component image are combined and edited according to GNSS values. Here, the video image is an imag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images of the road, part, area, and component, and the GNSS value is linked to the video image to link with video information.

도화정보DB(14)는 상기 영상이미지에 따라 도화, 편집 및 갱신된 도화영상 이미지를 저장한다. 상기 도화영상 이미지는 해당 도로와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별로 독립하게 도화 생성되며, 영상이미지DB(13)에 저장된 영상이미지와의 연계를 위해 해당 GNSS값이 링크된다.The drawing information DB 14 stores drawing video images that are drawn, edited, and updated according to the video images. The graphic video image is created independently for each road, part, area, and component, and the corresponding GNSS value is linked to link with the video image stored in the video image DB 13.

형태식별모듈(15)은, 촬영이미지DB(11)에 저장된 촬영이미지에서 색깔과 연속성과 폭을 기준으로 도로를 제1코드로 식별하고; 상기 도로를 경계로 블록 형태의 파트를 제2코드로 식별하고; 상기 파트의 형태와 범위를 구역 단위의 제3코드로 식별하며; 상기 파트 내에서 색깔 변화의 경계에 따라 생성된 외곽라인이 폐쇄 공간을 이루는 블록 형태의 구성요소를 제4코드로 식별하되; 하나의 외곽라인을 경계로 서로 이웃하는 둘 이상의 폐쇄 공간이 공유한 해당 외곽라인은 상대적으로 넓은 폐쇄 공간의 외곽라인으로 지정하며 해당 폐쇄 공간을 구성요소로 확정하고, 상기 구성요소를 남은 하나의 폐쇄 공간 방향으로 이동시켜 보정한다. The shape identification module 15 identifies the road with a first code based on color, continuity, and width in the captured image stored in the captured image DB 11; Identifying block-shaped parts bordering the road with a second code; The type and scope of the part are identified by a third code on a regional basis; Within the part, a fourth code identifies a block-shaped component in which an outline created according to the boundary of color change forms a closed space; The outer line shared by two or more closed spaces that are adjacent to each other with one outer line as the boundary is designated as the outer line of a relatively wide closed space, the closed space is confirmed as a component, and the component is designated as the remaining closed space. Compensate by moving in the spatial direction.

형태식별모듈(15)은 촬영이미지 내에 구성된 도로와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를 구분해서 각각의 데이터로 분류하며,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프로세스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The shape identification module 15 classifies the roads, parts, areas, and components comprised in the captured image into individual data, and a more detailed process for this is explained below.

파트정의모듈(16)은, 상기 도로와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각각의 외곽라인이 이루는 꼭지점의 좌표값과, 상기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각각의 중심점의 좌표값과, 상기 도로와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각각의 이미지 색깔 정보를 확인해서 데이터화 해서 해당 데이터를 상기 영상정보DB(12)에 저장한다. The part definition module 16 includes coordinate values of vertices formed by the outline lines of each of the road, part, and section, coordinate values of the center point of each of the part, section, and component, and The image color information of each component is checked, converted into data, and the data is stored in the image information DB 12.

아울러 서로 다른 도로와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각각의 외곽라인 내에 꼭지점 또는 중심점 중 둘 이상을 서로 링크해서 해당 길이를 연계 데이터로 생성한다. In addition, two or more vertices or center points within the outline lines of different roads, parts, areas, and components are linked to each other to generate the corresponding lengths as linked data.

형태식별모듈(15)에서 식별된 도로와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에 대한 기초 정보를 데이터화 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프로세스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Th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roads, parts, areas and components identified in the form identification module 15 is converted into data, and a more specific process for this is described again below.

파트비교모듈(17)은, 영상정보DB(12)에서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각각의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의 데이터를 검색하고; 해당 코드 단위로 상기 이전 버전의 데이터와 최신 버전의 데이터를 서로 비교해서 기준범위에 따라 해당 데이터의 동일, 유사, 불일치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의 차이 여부는 구역의 면적 대비 구성요소의 면적 비율에 따라 처리한다. The part comparison module 17 searches the image information DB 12 for data of the previous version and the latest version of each part, section, and component; Compare the previous version of data and the latest version of data in each code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data is identical, similar, or inconsistent according to the standard range; Differences between the previous version and the latest version are handled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component to the area of the area.

영상정보DB(12)에 저장된 데이터는 구역과 구성요소 각각의 외곽라인 내에 꼭지점의 좌표값을 포함하므로, 해당 좌표값을 기초로 각각의 면적이 연산된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프로세스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Since the data stored in the image information DB 12 includes coordinate values of vertices within the outline of each region and component, each area is calculated based on the corresponding coordinate values. The more specific process for this is explained below.

영상이미지 편집모듈(18)은, 파트비교모듈(17)의 비교결과, 유사로 판단된 데이터는 이전 버전의 데이터와 동일하게 편집하고; 불일치로 판단된 데이터는 최신 버전의 데이터로 변경하게 편집하되; 해당 데이터의 일치 프로세스와 보정 프로세스에서의 영상이미지 편집은 서로 링크된 꼭지점 또는 중심점을 기초로 처리하고; 처리된 영상이미지를 영상이미지DB(13)에 저장한다. 참고로, 동일과 유사와 불일치에 대한 기준범위는 영상이미지에 상관없이 획일적으로 지정될 수 있고, 영상이미지에 따라 가변적으로 지정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프로세스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The video image editing module 18 edits data determined to be similar as a result of comparison by the part comparison module 17 to be the same as the previous version of the data; Data determined to be inconsistent shall be edited and changed to the latest version of the data; Video image editing in the data matching process and correction process is processed based on vertices or center points that are linked to each other; The processed video image is stored in the video image DB (13). For reference, the reference ranges for identical, similar, and dissimilarity may be uniformly specified regardless of the video image, and may be specified variably depending on the video image. The more specific process for this is explained below.

영상도화모듈(19)은, 상기 편집이 완료된 영상이미지 및 외곽라인에 따라 도 10과 같은 도화영상 이미지를 생성해서 도화정보DB(14)에 저장한다.The video drawing module 19 generates a drawing video image as shown in FIG. 10 according to the edited video image and the outline and stores it in the drawing information DB 14.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을 이용하여 도화영상을 편집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이 이전 버전의 촬영이미지를 분석해서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를 확인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이 파트 및 구역의 해당 데이터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이 데이터 비교를 통해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중 수정 대상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각각의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이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각각의 이미지를 수정하기 위하여 서로 링크된 중심점 및 꼭지점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이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각각의 이미지를 도시하고, 이러한 이미지가 수정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이 이전 버전 영상이미지에 최신 버전 영상이미지의 합성을 처리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이 이전 버전의 도화영상을 최신 버전의 도화영상으로 수정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3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editing a drawing image using a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editing a drawing image using a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to explain how parts, areas and components are identified by analyzing an image, and Figure 5 is a drawing to explain the appearance of the corresponding data of parts and areas by the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diagram showing images of each part, region, and component to be modified among the parts, regions, and components through data comparison by the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images of each part, region, and component to be modified through data comparison, and FIG. A diagram showing the center point and vertex linked to each other in order for the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odify the images of each part, section, and component, and Figure 8 is a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drawing system shows images of each part, section, and component, and shows how these images are modified. Figure 9 shows the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revious version of the image image. This is a diagram showing how to process the synthesis of the latest version of the video image, and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how the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difies the previous version of the drawing image to the latest version of the drawing image. am.

S11; 촬영이미지 분석 단계S11; Captured image analysis stage

형태식별모듈(15)은 촬영이미지DB(11)에서 도 2의 (b)도면을 검색하고, 해당 촬영이미지 내에 도로 이미지와 파트 이미지와 구역 이미지와 구성요소 이미지를 분석한다. The shape identification module 15 searches the drawing in Figure 2 (b) in the captured image DB 11 and analyzes the road image, part image, zone image, and component image in the captured image.

여기서 도 2의 (a)도면은 이전 버전의 촬영이미지이고, 도 2의 (b)도면은 최신 버전의 촬영이미지인데, 이전 버전의 촬영이미지 내에 도로 이미지와 파트 이미지와 구역 이미지와 구성요소 이미지와 기타 관련 데이터는 영상정보DB(12)에 저장 및 관리되고 있으므로, 본 단계(S11)에서는 최신 버전의 촬영이미지만을 분석한다.Here, the drawing in FIG. 2 (a) is a previous version of the captured image, and the drawing in FIG. 2 (b) is the latest version of the captured image. In the previous version of the captured image, there is a road image, a part image, a zone image, and a component image. Since other related data is stored and managed in the image information DB 12, only the latest version of the captured image is analyzed in this step (S11).

형태식별모듈(15)은 촬영이미지에 대한 분석은 채도와 명도 등의 색깔 비교를 통해 이루어진다. The shape identification module 15 analyzes captured images by comparing colors such as saturation and brightness.

S12; 파트별 형태 식별 단계S12; Shape identification steps for each part

형태식별모듈(15)에 의해 상기 도로는 회색 계열의 지정된 색깔로 우선 식별되고, 상기 식별된 범위를 연속성 여부와 폭의 균일성 여부 등에 따라 분류해서 최종적으로 도로 이미지를 파악하며, 이렇게 파악된 상기 도로 이미지는 외곽라인 형성을 통해 경계 위치를 설정한다. 이렇게 구분된 도로 이미지는 제1코드로 식별된다.The road is first identified by a designated gray color by the shape identification module 15, and the identified range is classified according to continuity and uniformity of width, etc. to finally identify the road image. Road images establish boundary positions by forming outline lines. Road images classified in this way are identified with a first code.

한편, 상기 파트는 상기 도로 이미지를 경계로 하는 블록 형태로 식별된다. 도심지는 일반적으로 도로를 경계로 해서 구간이 분리 및 관리되므로, 형태식별모듈(15)은 이를 응용해서 파트를 구분한다. 이렇게 구분된 파트는 외곽라인 형성을 통해 구분되고 제2코드로 식별된다.Meanwhile, the part is identified in the form of a block bordering the road image. Since downtown areas are generally separated and managed with roads as boundaries, the form identification module 15 applies this to distinguish parts. These divided parts are distinguished through the formation of an outline line and identified with a second code.

한편, 상기 구역은 파트의 전체 형태와 범위로 해서 지정되고, 형태식별모듈(15)은 이렇게 지정된 구역은 외곽라인 형성을 통해 구분되고 제3코드로 식별된다. 상기 파트와 구역은 사실상 동일한 범위이나, 상기 구역은 구성요소의 점유 범위를 필요에 따라 제외시킬 수도 있다.Meanwhile, the area is designated based on the overall shape and scope of the part, and the shape identification module 15 distinguishes the designated area through the formation of an outline line and identifies it with a third code. The parts and zones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cope, but the zones may exclude the occupied scope of the components as needed.

한편, 상기 구성요소는 파트 내에서 색깔 변화로 생성된 경계에 따른 외곽라인이 폐쇄 공간을 이루는 블록 형태이고, 형태식별모듈(15)은 이렇게 확인된 구성요소를 외곽라인 형성을 통해 구분하고 제4코드로 식별한다. 여기서 폐쇄 공간이란, 도 4와 같이 서로 연속된 다수의 외곽라인이 둘러싼 공간을 의미하며, 상기 파트 및 구역과 같이 다수의 외곽라인에 의해서 다른 범위와는 구분된다.Meanwhile, the component is in the form of a block in which the outer line along the boundary created by color change within the part forms a closed space, and the form identification module 15 distinguishes the components identified in this way through the formation of the outer line and forms a fourth Identified by code. Here, the closed space refers to a space surrounded by a plurality of continuous outline lines as shown in FIG. 4, and is distinguished from other areas by a plurality of outline lines, such as the parts and areas mentioned above.

그런데, 상기 구성요소는 건축물과 같이 지상으로부터 높이를 갖는 구조물이므로, 항공촬영 시 기울어진 형태를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건축물이라도 도 4에 표시된 'A' 및 'B'와 같이 하나의 외곽라인이 둘 이상의 폐쇄 공간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의 형태식별모듈(15)은 해당 외곽라인을 상대적으로 넓은 폐쇄 공간인 'A'의 외곽라인으로 지정되고, 'B'는 폐쇄 공간이 아닌 개방 공간으로 확정된다.However, since the component is a structure that has a height from the ground like a building, it may appear tilted when taking aerial photographs. Therefore, even in the same building, one outline line may be shared by two or more closed spaces, such as 'A' and 'B' shown in FIG. 4. Therefore, the shape identification module 15 of this embodiment designates the outer line as the outer line of 'A', which is a relatively wide closed space, and 'B' is confirmed to be an open space rather than a closed space.

계속해서, 형태식별모듈(15)은 폐쇄 공간으로 확정된 범위를 구성요소로 해서 제4코드로 구분하고, 상기 구성요소를 남은 하나의 폐쇄 공간(B), 즉 개방 공간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제4코드의 위치정보를 보정한다. Subsequently, the shape identification module 15 divides the range determined as a closed space into a fourth code as a component, moves the component to the remaining closed space (B), that is, an open space, and moves the fourth code to the remaining closed space (B), that is, an open space. Correc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de.

S13; 파트 정의 단계S13; Part definition steps

파트정의모듈(16)은, 상기 제1코드 내지 제4코드에 각각 구성된 외곽라인이 이루는 꼭지점의 좌표값과, 상기 제2코드 내지 제4코드 각각의 중심점의 좌표값과, 상기 제1코드 내지 제4코드 각각의 이미지 색깔 정보를 확인해서 코드 데이터로 생성한다.The part definition module 16 includes coordinate values of the vertices formed by the outline lines formed in each of the first to fourth codes, coordinate values of the center points of each of the second to fourth codes, and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center points of the first to fourth codes, respectively. Fourth code: Check the image color information for each code and generate code data.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촬영이미지에 대한 좌표값은 촬영이미지가 입출력 처리 시스템(20)의 모니터에 출력될 때 해당 지점이 출력되는 픽셀의 위치이거나, 해당 촬영이미지에 포함된 도로와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에 대한 실제 지리적 좌표인 GNSS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의 좌표값은 상기 제1코드 내지 제4코드에 속하는 중심점 또는 꼭지점의 픽셀 위치이거나 GNSS값이다. 이를 통해 형태가 4각형인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는 4개 꼭지점의 좌표값들과 1개 중심점의 좌표값을 각각 포함하고, 도로는 중심점을 제외하고 다수 꼭지점의 좌표값들만을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 the coordinate value for the captured image is the location of the pixel at which the corresponding point is output when the captured image is output to the monitor of the input/output processing system 20, or the road and the road included in the captured image. These can be GNSS values, which are actual geographic coordinates for parts, districts and components. Therefore, the coordinate value in this embodiment is the pixel position or GNSS value of the center point or vertex belonging to the first to fourth codes. Through this, parts, areas, and components that are square in shape include the coordinate values of four vertices and one center point, and the road only contains the coordinate values of multiple vertices excluding the center point.

이렇게 확인된 좌표값들은 제1코드 내지 제4코드 각각의 정보로 정의된다.The coordinate values confirmed in this way are defined as information for each of the first to fourth codes.

계속해서, 파트정의모듈(16)은 상기 꼭지점 또는 중심점 별로 서로 다른 제1코드 내지 제4코드 각각의 외곽라인 내에 꼭지점 또는 중심점 중 둘 이상을 서로 링크해서 해당 길이를 연계 데이터로 생성한다.Subsequently, the part definition module 16 links two or more of the vertices or center points within the outline lines of each of the first to fourth codes that are different for each vertex or center point and generates the corresponding length as linked data.

파트정의모듈(16)은 상기 제1코드 내지 제4코드의 정의를 위해 적어도 꼭지점의 좌표값을 데이터화 하므로, 해당 좌표값들을 기초로 도로와 파트와 구역 및 구성요소의 위치를 확인하고 이미지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도화영상 편집시스템(10)은 광대한 촬영이미지 내에서 구성요소 등의 변화가 있는 파트만을 전체적으로 교체하므로, 해당 파트의 형태와 면적 등이 이전 버전과 일치해야 하고, 상기 파트 내에 구성요소 또한 수정된 구성요소만을 제외하고 이전 버전의 형태와 범위와 면적 등과 일치해야 한다. Since the part definition module 16 converts at least the coordinate values of vertices into data for the definition of the first to fourth codes, the locations of roads, parts, areas, and components can be confirmed and imaged based on the corresponding coordinate values. there is. However, since the drawing image editing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tirely replaces only the parts with changes in components, etc. within a vast captured image, the shape and area of the relevant part must match the previous version, and the part within the part must match the previous version. Components must also match the shape, scope, and area of the previous version, except for modified components.

참고로, 파트 단위의 교체 편집 방식으로 영상이미지를 갱신하기 위해서, 파트정의모듈(16)은 도 6의 파트1 내지 파트4와 같이 각각의 파트 영상을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위해 해당 정보를 영상정보DB(12)에 저장한다.For reference, in order to update the video image by part-wise replacement editing, the part definition module 16 individually manages each part video as shown in Parts 1 to 4 of FIG. 6, and for this purpos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video image. Save it in the information DB (12).

더욱이 촬영이미지는 촬영 환경에 따라 구성요소의 모습이 달라지므로, 구성요소 등에 변화가 없는 파트라 하더라도 촬영 시 마다 해당 파트의 구성요소 이미지는 그 형태와 범위와 면적 등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의 파트정의모듈(16)은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영상 이미지에서 버전에 상관없이 도로와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가 항시 동일한 위치에 표시될 수 있도록, 서로 이웃하는 도로와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끼리 연계해 저장한다.Moreover, since the appearance of the components of a captured image varies depending on the shooting environment, even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components, the shape, scope, and area of the component image of the part may change each time it is captured. Therefore, the part definition module 16 of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with neighboring roads, parts, and areas so that the roads, parts, areas, and components can always be displayed at the same location regardless of the version in the video image or drawing video image. Elements are linked and stored.

이를 위해 파트정의모듈(16)은 도 7과 같이 제1구성요소(T1)의 중심점(C1)은 최인접한 제1파트(T1)의 제1꼭지점(PP1)과 제2구성요소(T2)의 제5꼭지점(CP5)에 각각 링크되고, 제1구성요소(CP1)의 제1꼭지점(CP1)은 최인접한 제2구성요소(T2)의 제5꼭지점(CP5) 및 제6꼭지점(CP6)에 각각 링크되고, 제1구성요소(CP1)의 제2꼭지점(CP2)은 제1파트(T1)의 제1꼭지점(PP1)과 제2구성요소(T2)의 제5꼭지점(CP5)에 각각 링크되고, 제1구성요소(CP1)의 제3꼭지점(CP3)은 제3구성요소(CP3)의 제7꼭지점(CP7)과 제1파트(T1)의 제2꼭지점(PP2)에 각각 링크되고, 제1구성요소(CP1)의 제4꼭지점(CP4)은 제2구성요소(T2)의 제5꼭지점(CP5) 및 제6꼭지점(CP6)에 각각 링크되는 방시으로, 상기 꼭지점 또는 중심점이 서로 다른 제1코드 내지 제4코드 각각의 외곽라인 내에 둘 이상의 꼭지점 또는 중심점과 서로 링크해서 해당 길이를 연계 데이터로 생성한다.For this purpose, the part definition module 16, as shown in FIG. 7, is the center point (C1) of the first component (T1) between the first vertex (PP1) of the most adjacent first part (T1) and the second component (T2). They are each linked to the fifth vertex (CP5), and the first vertex (CP1) of the first component (CP1) is connected to the fifth vertex (CP5) and the sixth vertex (CP6) of the most adjacent second component (T2). Each is linked, and the second vertex (CP2) of the first component (CP1) is linked to the first vertex (PP1) of the first part (T1) and the fifth vertex (CP5) of the second component (T2), respectively. The third vertex (CP3) of the first component (CP1) is linked to the seventh vertex (CP7) of the third component (CP3) and the second vertex (PP2) of the first part (T1), respectively, The fourth vertex (CP4) of the first component (CP1) is linked to the fifth vertex (CP5) and the sixth vertex (CP6) of the second component (T2), respectively, so that the vertices or center point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wo or more vertices or center points within the outline of each of the first to fourth codes are linked to each other to generate the corresponding length as linked data.

전술한 데이터화가 완료되면, 파트정의모듈(16)은 해당 코드 데이터를 영상정보DB(12)에 저장한다.When the above-mentioned data conversion is completed, the part definition module 16 stores the corresponding code data in the image information DB 12.

S15; 1차 영상도화 단계S15; 1st video drawing stage

영상도화모듈(19)은 파트정의모듈(16)이 정의한 제1코드 내지 제4코드에 따라 촬영이미지의 모습을 도화해서 도 8과 같이 도화영상 이미지를 1차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한 도화영상 이미지는 도화정보DB(14)에 저장되고, 도 8의 (b)도면과 같이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의 차이를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참고 자료로서 활용된다.The image drawing module 19 draws the shape of the captured image according to the first to fourth codes defined by the part definition module 16 and primarily generates a drawing video image as shown in FIG. 8. The drawing video image created in this way is stored in the drawing information DB 14, and is used as reference material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visually check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vious version and the latest version, as shown in (b) of FIG. 8.

S16 내지 S18; 구역 및 구성요소 넓이 확인 단계S16 to S18; Zone and component width verification steps

파트비교모듈(17)은, 영상정보DB(12)에서 제1코드 내지 제4코드 각각의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의 코드 데이터를 검색하고; 해당 코드 단위로 상기 이전 버전의 코드 데이터와 최신 버전의 코드 데이터를 서로 비교해서 기준범위에 따라 해당 코드 데이터의 동일, 유사, 불일치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의 차이 여부는 해당 구역의 면적 대비 구성요소의 면적 비율에 따라 처리한다.The part comparison module 17 searches the image information DB 12 for code data of the previous version and the latest version of each of the first to fourth codes; Compare the previous version of the code data and the latest version of the code data in each code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code data is identical, similar, or inconsistent according to the standard range; Differences between the previous version and the latest version are handled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component to the area of the relevant area.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영상정보DB(12)는 파트정의모듈(16)이 앞서 정의한 제1코드 내지 제4코드의 코드 데이터에 따라 영상이미지에서 각각의 도로와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를 식별하고, 이렇게 식별된 각각의 꼭지점을 기초로 파트비교모듈(17)은 구역의 면적과 해당 구성요소의 면적을 각각 연산한다. 즉, 파트비교모듈(17)은 도 8의 (a)도면과 같이 이전 버전의 제1파트(P1)의 구역에 대한 전체 면적과, 제1파트(P1)의 구역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T4 내지 T8)의 모든 면적을 연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파트비교모듈(17)은 도 8의 (b)도면과 같이 최신 버전의 제1파트(P1)의 구역에 대한 전체 면적과, 제1파트(P1)의 구역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NT1 내지 NT4)의 모든 면적을 연산한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the image information DB 12 identifies each road, part, area, and component in the image image according to the code data of the first to fourth codes previously defined by the part definition module 16. and, based on each identified vertex, the part comparison module 17 calculates the area of the region and the area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respectively. That is, the part comparison module 17 includes the total area of the area of the first part (P1) of the previous version, as shown in (a) of FIG. 8, and one or more components located within the area of the first part (P1) All areas of (T4 to T8) can be calculated. In addition, the part comparison module 17 includes the total area of the area of the latest version of the first part (P1), as shown in (b) of FIG. 8, and one or more components located within the area of the first part (P1). Calculate all areas of (NT1 to NT4).

이렇게 연산된 구역 및 구성요소의 면적을 활용해서, 파트비교모듈(17)은 구역의 전체 면적 대비 구성요소의 면적 비율을 연산한다.Using the area of the zone and component calculated in this way, the part comparison module 17 calculates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component to the total area of the zone.

상기 면적 비율 연산 결과, 이전 버전 내에 임의 구역 대비 해당 구성요소의 면적 비율과 최신 버전의 면적 비율이 동일하면, 파트비교모듈(17)은 이전 버전의 영상이미지와 최신 버전의 영상이미지는 구역과 구성요소의 배치와 범위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한다. As a result of the area ratio calculation, if the area ratio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compared to any area in the previous version and the area ratio of the latest version are the same, the part comparison module 17 determines the area and configuration of the video image of the previous version and the video image of the latest version. The arrangement and scope of elements are assumed to be the same.

한편, 이전 버전 내에 임의 구역 대비 해당 구성요소의 면적 비율과 최신 버전의 면적 비율의 차가 기준범위 내에 속하면, 파트비교모듈(17)은 이전 버전의 영상이미지와 최신 버전의 영상이미지에서 구역 이미지와 구성요소 이미지의 표시 위치와 표시 범위가 유사한 것으로 간주한다. 여기서 상기 '유사'는 해당 구역 내에 위치하는 구성요소의 대상과 범위가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나, 영상이미지의 제작 과정에서 일어난 오차로 인해 구성요소 이미지의 표시 위치와 표시 범위에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area ratio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compared to any area in the previous version and the area ratio of the latest version is within the standard range, the part comparison module 17 compares the area image and the area ratio in the video image of the previous version and the video image of the latest version. The display position and display range of component images are considered similar. Here, the 'similar' means that the object and scope of the component located within the area are substantially the same between the previous version and the latest version, but there is a change in the display position and display range of the component image due to errors that occurred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video image. is considered to have occurred.

계속해서 이전 버전 내에 임의 구역 대비 해당 구성요소의 면적 비율과 최신 버전의 면적 비율의 차가 기준범위를 벗어나면, 파트비교모듈(17)은 이전 버전의 영상이미지와 최신 버전의 영상이미지에서 구역 이미지와 구성요소 이미지의 표시 위치와 표시 범위가 불일치한 것으로 간주한다. 일 예로, 동일한 구역 내에 위치하는 구성요소가 철거 또는 신축 등을 이유로 변화가 발생하면, 해당 구역의 구성요소에 변화가 발생하고, 이를 통해 면적 비율에 큰 차이가 발생한다.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area ratio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compared to any area in the previous version and the area ratio of the latest version is outside the standard range, the part comparison module 17 compares the area image and the area image in the video image of the previous version and the video image of the latest version. The display position and display range of the component image are considered inconsistent. For example, when components located within the same area change due to demolition or new construction, changes occur in the components of the area, resulting in a large difference in area ratio.

참고로, 도 8의 (a)도면은 이전 버전의 구역(P1)과, 해당 구역(P1) 내에 위치하는 구성요소(T4 내지 T8)에 대한 이미지이고, 도 8의 (b)도면은 최신 버전의 구역(P1)과, 해당 구역(P1) 내에 위치하는 구성요소(NT1 내지 NT4)에 대한 이미지이다. 이와 같이, 이전 버전에 있던 공사공간(Z1)에 신규 구성요소(NT1, NT2)가 신축되고, 이전 버전에 존재했던 구성요소(T4 내지 T8)는 철거를 통해 소멸됐다. 물론, 해당 위치에는 새로운 공사공간(Z2)이 형성되었다. 또한 이전 버전에 있던 구성요소(T8)은 철거되고, 해당 위치에 새로운 구성요소(NT3, NT4)가 신축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구성공간 이미지의 면적에 큰 변화를 초래하고, 따라서 해당 구역(P1) 대비 구성공간에 대한 면적 비율에 큰 차이를 일으킨다.For reference, the drawing in Figure 8 (a) is an image of the previous version of the area (P1) and the components (T4 to T8) located within the area (P1), and the drawing in Figure 8 (b) is the latest version. This is an image of the area (P1) and the components (NT1 to NT4) located within the area (P1). In this way, new components (NT1, NT2) were built in the construction space (Z1) that existed in the previous version, and components (T4 to T8) that existed in the previous version were destroyed through demolition. Of course, a new construction space (Z2) was formed at that location. Additionally, the component (T8) in the previous version was demolished, and new components (NT3, NT4) were built in its place. This change causes a large change in the area of the configuration space image, and thus causes a large difference in the area ratio of the configuration space to the corresponding area (P1).

S20; 연계성 검증 단계S20; Linkage verification stage

이전 버전의 상기 면적 비율과 최신 버전의 면적 비율이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영상이미지 편집모듈(18)은 최소한의 오차 방지를 위해서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 각각의 객체 이미지의 해당 중심점과 꼭지점에 각각 링크된 둘 이상의 다른 중심점과 꼭지점 간에 길이인 연계 데이터를 확인한다. 상기 길이가 일치하면 해당 구역 이미지는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이 일치하는 것으로 확정하고, 최신 버전의 파트 이미지를 도 6과 같이 개별 관리한다. 또한, 영상이미지 및 도화영상 이미지에서 해당 파트 이미지는 갱신 없이 이전 버전의 파트 이미지를 그대로 유지한다.If it is confirmed that the area ratio of the previous version and the area ratio of the latest version are the same, the video image editing module 18 links to the corresponding center point and vertex of the object image of the previous version and the latest version, respectively, to prevent minimum errors. Check linkage data, which is the length between two or more other center points and vertices. If the lengths match, the corresponding area image is confirmed to be the same as the previous version and the latest version, and the part image of the latest version is individually managed as shown in FIG. 6. In addition, the part image in the video image and drawing video image maintains the previous version of the part image without update.

S23; 파트 이미지 편집 단계S23; Part image editing steps

파트비교모듈(17)의 면적 비율 확인 결과, 영상이미지 편집모듈(18)은 면적 비율이 동일로 판단되면 이전 버전 코드의 연계 데이터와 최신 버전 코드의 연계 데이터에 일치 여부를 확인해서, 일치로 확인되면 이전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유지한다. 여기서 이전 버전 코드의 연계 데이터와 최신 버전 코드의 연계 데이터에 일치 여부 확인은 연계성 검증 단계(S20)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As a result of checking the area ratio of the part comparison module (17), if the video image editing module (18) determines that the area ratio is the same, it checks whether the linkage data of the previous version code and the linkage data of the latest version code match, and confirms that they match. If so, the code data of the previous version of the code is maintained. Here, the confirmation of whether the linkage data of the previous version code matches the linkage data of the latest version code has already been explained in the linkage verification step (S20), so further explanation is omitted.

상기 면적 비율이 유사로 판단되면, 영상이미지 편집모듈(18)은 이전 버전의 연계 데이터에 맞춰서 최신 버전 코드의 연계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를 편집한다. 상기 면적 비율이 유사라는 것은 구성요소와 파트의 꼭지점 또는 중심점 간에 연계 데이터에 오차가 있을 뿐, 구역 내에 존재하는 구성요소가 신축 또는 철거 없이 유지됨을 의미하므로, 최신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이전 버전 코드의 연계 데이터에 맞춰 편집한다. If the area ratio is determined to be similar, the video image editing module 18 edits the data including the linkage data of the latest version code according to the linkage data of the previous version. The fact that the area ratio is similar means that there is only an error in the linkage data between the component and the vertex or center point of the part, and that the components existing within the area are maintained without new construction or demolition. Therefore, the code data of the latest version code is replaced with the previous version code. Edit according to the linked data.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이전 버전 코드인 구성요소에서 해당 꼭지점과 다른 꼭지점 간에 길이인 연계 데이터가 '3'으로 정의된 반면, 최신 버전 코드의 꼭지점과 다른 꼭지점 간에 길이인 연계 데이터는 오차로 인해 '4'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이미지 편집모듈(18)은 최신 버전 코드의 연계 데이터를 '4'에서 '3'으로 편집하고, 이에 따른 해당 코드의 관련 코드 데이터인 꼭지점의 좌표값과 중심점의 좌표값과 구성요소 이미지의 배치 형태 등을 일괄해 편집한다.To explain as an example, the linkage data, which is the length between the vertex and another vertex in the component with the previous version code, is defined as '3', while the linkage data, which is the length between the vertex and other vertices in the latest version code, is due to an error. It can be defined as '4'. Therefore, the video image editing module 18 edits the linkage data of the latest version code from '4' to '3', and accordingly, the coordinates of the vertex and center point, which are the related code data of the code, and the component images. Edit the layout format, etc. in batches.

이러한 편집 절차에 따라 최신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는 이전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와 일치된다.According to this editing procedure, the code data of the latest version code is matched with the code data of the previous version code.

계속해서, 상기 면적 비율이 불일치로 판단되면, 영상이미지 편집모듈(18)은 철거 또는 신축 없이 유지 중인 구성요소의 최신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이전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에 맞춰서 우선 편집하고, 상기 우선 편집된 해당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기준으로 최신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편집해서 이전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갱신한다.Subsequently, if the area ratio is determined to be inconsistent, the video image editing module 18 first edits the code data of the latest version code of the component being maintained without demolition or new construction to match the code data of the previous version code, and Based on the code data of the edited code, the code data of the latest version code is edited to update the code data of the previous version code.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8의 (a)도면에 도시된 이전 버전의 제1파트(P1)에 위치하는 구성요소(T4 내지 T8)는 도 8의 (b)도면에 도시된 최신 버전의 제1파트(P1)에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고, 이와는 반대로 최신 버전의 제1파트(P1)에 위치하는 구성요소(NT1 내지 NT4)가 이전 버전의 제1파트(P1)에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대로 최신 버전의 면적 비율과 이전 버전 간의 면적 비율을 불일치한다. 그러나 해당 구성요소(T4 내지 T8, NT1 내지 NT4)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T)는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에 모두 존재한다. 따라서 영상이미지 편집모듈(18)은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 모두에 존재하는 구성요소의 최신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이전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에 맞춰 편집한다. 즉, 해당 구성요소의 최신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이전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와 일치하도록 우선 편집하는 것이다. 이때 편집되는 데이터는 연계 데이터를 포함한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the components (T4 to T8) located in the first part (P1) of the previous version shown in (a) of FIG. 8 are the latest version shown in (b) of FIG. 8. may not exist in the first part (P1) of there is. As mentioned above, there is a discrepancy between the area ratio of the latest version and the area ratio of the previous version. However, except for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T4 to T8, NT1 to NT4), other components (T) exist in both the previous version and the latest version. Therefore, the video image editing module 18 edits the code data of the latest version code of components that exist in both the previous version and the latest version to match the code data of the previous version code. In other words, the code data of the latest version code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first edited to match the code data of the previous version code. At this time, the data edited includes linked data.

상기 편집이 완료되면 영상이미지 편집모듈(18)은, 최신 버전에만 존재하며 앞의 편집 대상인 구성요소와의 연계 데이터를 갖는 구성요소(코드)를 해당 연계 데이터에 맞춰 배치 위치를 이동시킨다. 즉, 이전 버전 및 최신 버전에 모두 존재하는 기존 구성요소와의 연계 데이터를 갖는 새로운 구성요소를, 상기 기존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연계 데이터에 맞춰 이동시키는 것이다.When the editing is completed, the video image editing module 18 moves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component (code) that exists only in the latest version and has linkage data with the component that is the subject of previous editing in accordance with the linkage data. In other words, a new component having linkage data with existing components that exist in both the previous version and the latest version is moved according to the linkage data based on the existing component.

상기 유지와 편집과 갱신이 각각 완료된 코드별 이미지와 코드 데이터는 영상이미지 편집모듈(18)이 영상정보DB(12)에 저장시키고, 상기 코드별 이미지가 조합된 영상이미지는 영상이미지DB(13)에 저장시킨다.The video image editing module 18 stores the images and code data for each code for which maintenance, editing, and updating have been completed, respectively, in the video information DB 12, and the video image combined with the images for each code is stored in the video image DB 13. Save it to

S24; 2차 영상 도화 단계S24; 2nd video drawing stage

영상도화모듈(19)은 상기 유지와 편집과 갱신이 완료된 영상이미지 및 외곽라인에 따라 도 8의 (b)도면과 같이 도화영상 이미지를 생성한다. 1차 영상 도화된 도화영상 이미지와 2차 영상 도화된 도화영상 이미지는, 도 8의 (b)도면과 같이 T 구성요소 이미지(2차 도화영상 이미지)와 T' 구성요소 이미지(1차 도화영상이미지)에 위치적 차이가 발생하는데, 상기 유지와 편집과 갱신 절차로 인해 T' 구성요소 이미지는 T 구성요소 이미지로 편집된다.The video drawing module 19 generates a drawing video image as shown in (b) of FIG. 8 according to the video image and outline lines for which maintenance, editing, and updating have been completed. The drawn image image of the first image and the drawn image of the second image are a T component image (secondary drawing image) and a T' component image (first drawing image), as shown in (b) of FIG. 8. A positional difference occurs in the image), and the T' component image is edited into a T component image due to the above maintenance, editing, and updating procedures.

S25; 도화영상 갱신 단계S25; Drawing video update stage

영상도화모듈(19)은 2차 영상 도화된 도화영상 이미지를 도화정보DB(14)에 저장해서, 이전 버전의 도화영상 이미지를 최신 버전의 도화영상 이미지로 갱신한다. 이때 영상도화모듈(19)은 파트 단위로 도화영상 이미지를 갱신할 수 있으며, 따라서 도 10의 (a)도면에서 보인 이전 버전의 도화영상 이미지 전체 중에서 도 10의 (b)도면과 같이 구성요소에 변화가 있는 파트1 내지 파트4만을 교체하여 갱신할 수 있다.The video drawing module 19 stores the secondary video drawing image in the drawing information DB 14, and updates the previous version of the drawing video image with the latest version of the drawing video image. At this time, the image drawing module 19 can update the drawing image image on a part-by-part basis, and therefore, among the entire drawing image images of the previous version shown in (a) of FIG. Only parts 1 to 4 that have changes can be replaced and updated.

아울러 영상이미지 편집모듈(18) 역시 도 9의 (a)도면에서 보인 이전 버전의 영상이미지 전체 중에서 도 9의 (b)도면과 같이 구성요소에 변화가 있는 파트3만을 교체하여 갱신할 수 있다. 이렇게 갱신한 최신 버전의 영상이미지는 영상이미지DB(13)에 저장된다.In addition, the video image editing module 18 can also replace and update only Part 3, which has changes in components, as shown in (b) of FIG. 9 among the entire video images of the previous version shown in (a) of FIG. 9. The latest version of the video image updated in this way is stored in the video image DB 13.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처리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연결유닛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연결유닛이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1 is a diagram showing the input/output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2 is a diagram showing each part of the absorption connection unit disassemb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absorption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d.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입출력 처리시스템(20)은, 입출력 처리시스템(20)의 상부에 장착되는 탈착체결부(300), 탈착체결부(3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안착대(200), 안착대(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하구동유닛(500), 상하구동유닛(5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평위치부(600), 수평위치부(600)의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대(120), 수평지지대(120)의 하단에 직립 설치되는 제1수직지지대(100)와 제2수직지지대(110), 제1수직지지대(100)와 제2수직지지대(110)를 연결하면서 제1수직지지대(100)와 제2수직지지대(11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흡수연결유닛(400) 및 제1수직지지대(100)와 제2수직지지대(110)의 하단에 결합되며 지면에 설치되는 기초대(210)를 더 포함한다.As shown, the input/output processing system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movable fastening part 300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put/output processing system 20, and a seating table ( 200), a vertical driving unit 500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seating stand 200, a horizontal positioning part 600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driving unit 500, and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rizontal positioning part 600 a horizontal support 120, a first vertical support 100 and a second vertical support 110 installed upright at the bottom of the horizontal support 120, and a first vertical support 100 and a second vertical support 110. An absorption connection unit 400 that cushions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first vertical support 100 and the second vertical support 110 while connecting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support 100 and the second vertical support 110. and further includes a foundation 210 installed on the ground.

상기 흡수연결유닛(400)은 제1수직지지대(100)와 제2수직지지대(11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제1수직지지대(100)와 제2수직지지대(110)를 연결시킨다. 또한, 흡수연결유닛(400)은 자체적으로 회전 및 길이 조절이 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absorption connection unit 400 alleviates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first vertical support 100 and the second vertical support 110 and simultaneously connects the first vertical support 100 and the second vertical support 110. . Additionally, the absorption connection unit 400 can rotate and adjust its length on its own to prevent damage.

상기 흡수연결유닛(400)은, 제1수직지지대(100)와 제2수직지지대(110)의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부(410), 흡수베이스부(410)의 양측에 탈착 결합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한 쌍의 제1연결부(420), 한 쌍의 제1연결부(420)에 각각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연결부(430) 및 일측부는 한 쌍의 제2연결부(430)에 각각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수직지지대(100)와 제2수직지지대(110)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기둥브래킷(440)을 포함한다.The absorption connection unit 400 is detach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absorption base portion 410 and the absorption base portion 410 dispos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support 100 and the second vertical support 110, and has a length. A pair of variable first connection parts 420, a pair of second connection parts 430 that are each detachably coupled to the pair of first connection parts 420, and one side part is each detachable to the pair of second connection parts 430. The other side is coupled and includes a pair of column brackets 440 that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vertical support 100 and the second vertical support 110.

상기 흡수베이스부(410)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을 체결시키는 체결레버(412) 및 일측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연결부(420)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커넥터부(413)를 포함한다.The absorption base portion 410 includes a pair of absorption base plates 41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fastening lever 412 for fastening the pair of absorption base plates 411, and a pair of absorption base plates on one side ( 411) and includes a pair of connector parts 413 that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and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420.

상기 흡수베이스부(410)의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에는 판홀(411a)이 마련되어 커넥터부(413)의 커넥터볼(413a)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판홀(411a)은 커넥터볼(413a)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며, 상부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판(411)에 한 쌍이 이격 마련되고, 하부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판(411)에 한 쌍이 이격 마련될 수 있다.A plate hole 411a is provided in the pair of absorbent base plates 411 of the absorbent base portion 410 to allow the connector ball 413a of the connector portion 413 to rotate smoothly. The plate hole 411a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or ball 413a, and a pair of plate holes 411a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absorption base plate 411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and a pair of plate holes 411a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absorption base plate 411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It can be.

상기 흡수베이스부(410)의 체결레버(412)는 하부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판(411)에 하단부가 나사 결합되어 한 쌍의 커넥터볼(413a)을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이 가압하도록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을 결합시킬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fastening lever 412 of the absorbent base portion 410 is screwed to the absorbent base plate 411 disposed below, so that the pair of absorbent base plates 411 presses a pair of connector balls 413a. A pair of absorbent base plates 411 can be combined to do so.

상기 흡수베이스부(410)의 커넥터부(413)는 일측부가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에 회전되게 결합되어 외력이 가해질 경우 흡수베이스부(410)가 위치 변형되어 흡수베이스부(410)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connector portion 413 of the absorbent base portion 410 is rotatably coupled to a pair of absorbent base plates 411, so tha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absorbent base portion 410 is deformed in position to form the absorbent base portion 410. The impact applied can be alleviated.

상기 커넥터부(413)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에 마련된 판홀(411a)에 회전되게 지지되는 커넥터볼(413a), 커넥터볼(413a)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커넥터로드(413b), 커넥터로드(413b)에 마련되는 커넥터헤드(413c), 커넥터헤드(413c)에 마련되어 제1연결부(4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볼트(413d) 및 커넥터볼(413a)의 외벽에 마련되어 커넥터볼(413a)이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마찰력을 제공하는 제1패킹부재(413e)를 포함한다.The connector portion 413 includes a connector ball 413a rotatably supported in a plate hole 411a provided in a pair of absorption base plates 411, and a connector rod 413b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nector ball 413a. , a connector head 413c provided on the connector rod 413b, a connector bolt 413d provided on the connector head 413c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420, and a connector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connector ball 413a. It includes a first packing member 413e that prevents the ball 413a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air of absorbent base plates 411 and provides frictional force.

상기 커넥터부(413)의 커넥터볼트(413d)는 제1연결부(420)의 제1연결바디(421)에 마련된 나사홈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부(413)의 제1패킹부재(413e)는 판홀(411a)의 중앙부와 커넥터볼(413a)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connector bolt 413d of the connector portion 413 may be detachably screwed into a screw groove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ion body 421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420. The first packing member 413e of the connector portion 413 may be provided to b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plate hole 411a and the center of the connector ball 413a.

상기 제1연결부(420)는 일측부는 커넥터부(413)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연결부(430)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제1연결부(420)는 인접하는 제1수직지지대(100)와 제2수직지지대(110) 중 어느 하나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길이가 가변되어 외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흡수베이스부(410)로 충격이 전달되는 감소시킬 수 있다.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42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or portion 413 and the other side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430 .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either the adjacent first vertical support 100 or the second vertical support 110, the first connection part 420 has a variable length to reduce the external force, and the absorption base part 410 ) can reduce the transmission of shock.

상기 제1연결부(420)는, 커넥터부(413)의 커넥터볼트(413d)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디(421), 제1연결바디(421)의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스프링부재(422) 및 일측부는 연결스프링부재(422)에 지지되고 타측부는 제2연결부(430)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423)를 포함한다.The first connection part 42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body 421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or bolt 413d of the connector part 413, and a connection spring member 422 provided inside the first connection body 421. And a first connection bar 423, one side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connection spring member 422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430.

상기 제1연결바디(421)에는 절개홀(421a)이 마련되어 연결스프링부재(422)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연결스프링부재(422)의 신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body 421 is provided with a cut hole 421a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connection spring member 422, so that the connection spring member 422 can be easily expanded and contracted.

상기 제1연결바(423)의 일측 단부는 제2연결부(430)의 제2연결바디(431)에 나사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제1연결바디(421)의 내부에 제1연결바디(42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게 마련될 수 있다. 그 결과 인접하는 제1수직지지대(100)와 제2수직지지대(11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제1연결바디(421)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때 연결스프링부재(422)는 팽창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제1연결바(423)에는 스토퍼 돌기가 마련되어 제1연결바(423)가 제1연결바디(4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bar 423 is screwed to the second connection body 431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43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body 421 inside the first connection body 421. It can be arranged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a resul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adjacent first vertical support 100 and the second vertical support 110, the first connection body 421 can be moved in the right direction, and at this time, the connection spring member 422 expands. do. And in this embodiment, a stopper protrusion is provided on the first connection bar 423 to prevent the first connection bar 423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connection body 421.

상기 제2연결부(430)는, 일측부는 제1연결부(420)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기둥브래킷(440)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제2연결부(430)는 인접하는 제1수직지지대(100)와 제2수직지지대(110) 중 어느 하나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각도가 가변되어 외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흡수베이스부(410)로 충격이 전달되는 감소시킬 수 있다.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43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420 and the other side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pillar bracket 440.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one of the adjacent first vertical support 100 and the second vertical support 110,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430 has a variable angle to reduce the external force, and the absorption base portion 410 ) can reduce the transmission of shock.

이때, 흡수베이스부(410)는 커넥터볼(413a)이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411)에 회전되게 마련되어 충격이 완화될 수 있고, 제2연결부(430)에서 흡수베이스부(410)로 전달되는 충격은 제1연결부(420)의 길이 가변과 연결스프링부재(422)의 신축에 의해서도 감소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bsorption base unit 410 is provided so that the connector ball 413a rotates on the pair of absorption base plates 411, so that the impact can be alleviated and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connection unit 430 to the absorption base unit 410. The impact can also be reduced by varying the length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420 and expanding and contracting the connection spring member 422.

상기 제2연결부(430)는, 제1연결바(423)에 탈착 결합되는 제2연결바디(431), 제2연결바디(431)에 마련되는 연결로드(432), 연결로드(432)에 마련되어 기둥브래킷(440)에 탈착 결합되는 연결볼(433) 및 연결볼(433)의 외벽에 마련되어 연결볼(433)이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44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마찰력을 제공하는 제2패킹부재(434)를 포함한다.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430 is connected to a second connection body 431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bar 423, a connection rod 432 provided on the second connection body 431, and a connection rod 432. A connection ball 433 is provided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column bracket 440, and is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connection ball 433 to prevent the connection ball 433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air of bracket flanges 441 and to provide friction. Includes a second packing member 434.

상기 제2연결부(430)의 연결볼(433)은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441)에 마련된 볼록부(442)에 지지되어 원활히 회전될 수 있다.The connection ball 433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430 is supported by the convex portion 442 provided on the pair of bracket flanges 441 and can rotate smoothly.

상기 기둥브래킷(440)은 제1수직지지대(100)과 제2수직지지대(110)에 각각 결합되며 제2연결부(430)의 연결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 기둥브래킷(440)의 일측부에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441)가 마련되고, 이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441)는 너트와 볼트로 이루어진 결합부재(443)에 의해 조여져서 연결볼(433)을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The pillar bracket 440 is coupled to the first vertical support 100 and the second vertical support 110, respectively, and may be provided as a connection location for the second connection part 430. A pair of bracket flanges 441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lumn bracket 44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pair of bracket flanges 441 are fastened and connected by a coupling member 443 made of a nut and a bolt. The position of the ball 433 can be fixed.

상기 기둥브래킷(440)에는 복수의 브래킷홀(444)이 마련되어 기둥브래킷(440)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The pillar bracket 44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racket holes 444 to reduce the weight of the pillar bracket 440.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위치부와 상하구동유닛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하우징의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핑바디와 지지블록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rizontal positioning portion and the vertical driv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5 is an enlarged view of the area of the ball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amping body and a support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상하구동유닛(500)은 수평위치부(600)의 하부에 결합되며 그 하부에 결합된 안착대(200) 및 입출력 처리시스템(20)을 승강시키거나 안착대(200) 및 입출력 처리시스템(20)을 반시계 방향이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The vertical driving unit 500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positioning portion 600 and lifts and lowers the seating table 200 and the input/output processing system 20 coupled to the lower part, or the seating table 200 and the input/output processing system ( 20) can be rotated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상기 상하구동유닛(500)은, 안착대(200)와 수평위치부(600)의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유닛바디(510)와, 구동유닛바디(510)의 내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회전바디(520)와, 일측부는 회전바디(52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안착대(200)에 결합되어 안착대(200)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530)와, 일측부는 구동유닛바디(51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회전바디(520)에 결합되어 안착대(20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회전부(540)와, 구동유닛바디(510)의 내부에 마련되어 회전되는 회전바디(520)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회전댐핑부(550)와, 구동유닛바디(510)에 마련되어 승강구동부(530)와 수평회전부(540)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560)를 포함한다.The vertical driving unit 500 includes a driving unit body 510 disposed between the seating base 200 and the horizontal positioning portion 600, and a rotating body rotat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driving unit body 510 ( 520),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520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seating base 200, and a lifting and lowering drive unit 530 that raises and lowers the seating base 200, and one side is coupled to the driving unit body 510.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520 and includes a horizontal rotating portion 540 that rotates the seating base 200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nd a rotating body 520 provided inside the driving unit body 510 and rotating. ) includes a rotation damping unit 550 that reduces vibration, and a battery 560 provided in the drive unit body 510 to supply electrical energy to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e unit 530 and the horizontal rotation unit 540.

상기 상하구동유닛(500)의 구동유닛바디(510)에는 제1베어링(511)이 마련되어 회전바디(520)의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A first bearing 511 is provided in the drive unit body 510 of the vertical drive unit 500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rotary body 520.

상기 상하구동유닛(500)의 승강구동부(530)는 안착대(200)에 연결되어 안착대(200) 및 그 하부에 장착된 입출력 처리시스템(20)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The lifting unit 530 of the vertical driving unit 500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base 200 and can lift the seating base 200 and the input/output processing system 20 mounted below it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승강구동부(530)는 회전바디(520)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승강실린더(531)와, 승강실린더(531)에 마련되어 안착대(200)의 방향으로 승강되는 승강로드(532)와, 일측부는 승강로드(532)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안착대(200)에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533)를 포함한다.The lifting drive unit 530 includes a lifting cylinder 531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rotating body 520, a lifting rod 532 provided on the lifting cylinder 531 and lifted in the direction of the seating base 200, and one side. One part is coupled to the lifting rod 532, and the other side includes a coupling plate 533 coupled to the seating base 200.

상기 승강구동부(530)의 승강실린더(531)는 배터리(560)에 연결되어 배터리(560)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승강실린더(531)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각각의 승강실린더(531)는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The lifting cylinder 531 of the lifting drive unit 530 is connected to the battery 560 and can be operated by receiving electrical energy from the battery 560. A plurality of lifting cylinders 531 may be provided, and each lifting cylinder 53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승강구동부(530)의 결합플레이트(533)는 승강로드(532)와 안착대(200)에 탈착 가능하게 볼트 또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The coupling plate 533 of the lifting drive unit 53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lifting rod 532 and the mounting base 200 with bolts or screws.

상기 상하구동유닛(500)의 수평회전부(540)는 안착대(20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The horizontal rotation unit 540 of the vertical driving unit 500 can rotate the seating base 200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상기 수평회전부(540)는, 구동유닛바디(510)에 결합되는 구동모터(541)와, 구동모터(541)에 연결되어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베벨기어(542)와, 일측부는 회전바디(52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구동베벨기어(542)와 기어 맞물림되어 회전되는 피동베벨기어(543)를 포함한다.The horizontal rotating part 540 includes a drive motor 541 coupled to the drive unit body 510, a drive bevel gear 542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541 and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nd one side The part is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520, and the other part includes a driven bevel gear 543 that is rotated by engaging with the driving bevel gear 542.

본 실시 예에서 피동베벨기어(543)의 중심축은 회전바디(520)에 고정 결합되어 피동베벨기어(543)와 회전바디(520)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entral axis of the driven bevel gear 543 is fixedly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520, so that the driven bevel gear 543 and the rotating body 520 can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상기 상하구동유닛(500)의 회전댐핑부(550)는 구동유닛바디(510)에서 회전바디(520)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다.The rotation damping unit 550 of the vertical driving unit 500 can reduce vibration or shock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unit body 510 to the rotating body 520.

상기 회전댐핑부(550)는, 구동유닛바디(510)에 일측부가 마련되는 제1프레임(551)과, 제1프레임(551)과 수직되게 마련되는 제2프레임(552)과, 일측부가 제2프레임(552)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제1스프링(553)과, 제1스프링(553)의 타측부에 결합되는 롤러지지바디(554)와, 롤러지지바디(554)에 회전되게 결합되어 회전바디(520)의 상면부를 가압하는 롤러부재(555)를 포함한다.The rotational damping unit 550 includes a first frame 551 having one side provided on the drive unit body 510, a second frame 552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frame 551, and one side having a 2 The first spring 553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frame 552, the roller support body 554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pring 553,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ller support body 554. It includes a roller member 555 that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520.

상기 회전바디(520)의 회전 시 롤러부재(555)의 상면부를 가압하므로 회전바디(520)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When the rotary body 520 rotates, the upper surface of the roller member 555 is pressed, so the vibration of the rotary body 520 can be reduced.

또한, 회전바디(520)로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 롤러부재(555)를 통해 진동이 제1스프링(553)으로 전달되고, 제1스프링(553)으로 전달된 진동은 제1스프링(553)의 진동에 의해 상쇄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rotating body 520, the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first spring 553 through the roller member 555, and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first spring 553 is transmitted to the first spring 553. Can be canceled out by vibration.

상기 상하구동유닛(500)의 배터리(560)는 구동유닛바디(510)의 벽부에 결합되며, 승강실린더(531)와 구동모터(541)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The battery 560 of the vertical driving unit 500 is coupled to the wall of the driving unit body 510 and can supply electric energy to the lifting cylinder 531 and the driving motor 541.

상기 수평위치부(600)는 상측부는 수평지지대(120)에 결합되고 하측부는 상하구동유닛(500)에 연결되어 수평지지대(120)의 기울어짐에도 안착대(200) 및 입출력 처리시스템(20)의 수평을 유지시킬 수 있다.The horizontal position part 600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support 120 at the upper part and to the upper and lower driving unit 500, so that the seating 200 and the input/output processing system 20 are maintained even when the horizontal support 120 is tilted. can be maintained horizontally.

상기 수평위치부(600)는, 구동유닛바디(510)의 상부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볼포스트(610)와, 볼포스트(610)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볼포스트(610)보다 직경이 크게 마련되는 볼부재(620)와, 볼부재(620)가 내부에 회전되게 배치되는 볼하우징(630)과, 볼하우징(630)과 볼부재(620)의 사이에 마련되어 볼하우징(630)에서 볼부재(620)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볼댐핑부(640)와, 일측부는 볼하우징(63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수평지지대(120)에 결합되는 연결플레이트(650)를 포함한다.The horizontal position portion 600 includes a ball post 610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top of the drive unit body 51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all post 610, and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ball post 610. A ball member 620 is provided, a ball housing 630 in which the ball member 620 is rotatably disposed inside, and a ball housing 630 provided between the ball housing 630 and the ball member 620. It includes a ball damping part 640 that reduces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member 620, and a connection plate 650,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ball housing 630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support 120.

상기 수평위치부(600)의 볼포스트(610)는, 구동유닛바디(510)의 상면부에 볼트 또는 용접 결합될 수 있다.The ball post 610 of the horizontal position portion 600 may be bolted or wel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e unit body 510.

본 실시 예에서 볼포스트(610)는 총 4개가 마련될 수 있고, 각각의 볼포스트(610)는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total of four ball posts 610 may be provided, and each ball post 61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수평위치부(600)의 볼부재(620)는 볼댐핑부(640)에 둘러 싸여서 볼하우징(6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ball member 620 of the horizontal position portion 600 may be surrounded by the ball damping portion 640 and disposed inside the ball housing 630.

상기 볼부재(620)는 수평지지대(120)의 기울어짐으로 인해 볼하우징(630)이 기울어지는 경우 볼하우징(630)의 내부에서 볼댐핑부(640)와 같이 지구 중심 방향으로 회전되어 안착대(200) 및 입출력 처리시스템(2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ball housing 630 is tilted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horizontal support 120, the ball member 620 is rotated toward the center of the earth like the ball damping part 640 inside the ball housing 630 to form a seating base. (200) and the input/output processing system (20) can be maintained horizontally.

상기 수평위치부(600)의 볼하우징(630)은 가장자리에 볼플랜지(631)가 마련되고, 볼플랜지(631)는 볼트를 포함하는 체결부재(632)에 의해 연결플레이트(65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ball housing 630 of the horizontal position portion 600 is provided with a ball flange 631 at the edge, and the ball flange 631 is detachable from the connection plate 650 by a fastening member 632 including a bolt. can be combined.

상기 수평위치부(600)의 볼댐핑부(640)는 볼하우징(630)의 내부에 배치되어 볼부재(620)를 둘러싸며 볼부재(620)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켜 안착대(200)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다.The ball damping portion 640 of the horizontal position portion 600 is disposed inside the ball housing 630, surrounds the ball member 620, and reduces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ball member 620 to secure the seat 200. It is possible to attenuate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

상기 볼댐핑부(640)는, 볼하우징(630)과 볼부재(620)의 사이에 배치되어 볼부재(620)의 일측부를 덮으며 볼포스트(610)가 관통되는 제1댐핑바디(641)와, 볼하우징(630)과 볼부재(620)의 사이에 배치되어 볼부재(620)의 타측부를 덮는 제2댐핑바디(642)와, 제1댐핑바디(641)에 마련된 제1블록결합홈(641b)에 결합되는 제1지지블록(643)과, 제1지지블록(643)에 일측부가 결합되는 제2스프링(644)과, 제2댐핑바디(642)에 마련된 제2블록결합홈(642a)에 결합되며 제2스프링(644)의 타측부에 결합되는 제2지지블록(645)과, 제1댐핑바디(641)와 제2댐핑바디(642)의 외벽에 마련되어 제1댐핑바디(641)와 제2댐핑바디(642)의 회전시 볼하우징(630)과 제1댐핑바디(641), 볼하우징(630)과 제2댐핑바디(642)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윤활부재(646)를 포함한다.The ball damping part 640 is disposed between the ball housing 630 and the ball member 620, covers one side of the ball member 620, and is a first damping body 641 through which the ball post 610 penetrates. and a second damping body 642 disposed between the ball housing 630 and the ball member 620 and covering the other side of the ball member 620, and a first block provided on the first damping body 641. A first support block 643 coupled to the groove 641b, a second spring 644 with one side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block 643, and a second block coupling groove provided in the second damping body 642. A second support block 645 is coupled to (642a) and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pring 644, and is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first damping body 641 and the second damping body 642 to form a first damping body. A lubricating member 646 that reduces friction between the ball housing 630 and the first damping body 641, the ball housing 630 and the second damping body 642 when the rotation of the 641 and the second damping body 642 ) includes.

상기 볼댐핑부(640)의 제1댐핑바디(641)는 고무를 포함하는 탄성 재질로 마련되어 볼하우징(63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다.The first damping body 641 of the ball damping unit 64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containing rubber and can reduce vibration or shock transmitted from the ball housing 630.

상기 제1댐핑바디(641)에는 볼포스트(610)가 관통되는 포스트홀(641a)이 마련될 수 있고, 제1지지블록(643)이 끼우 맞춤 결합되는 제1블록결합홈(641b)이 마련될 수 있고, 윤활부재(646)가 결합되는 바디홈(641c)이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damping body 641 may be provided with a post hole 641a through which the ball post 610 passes, and a first block coupling groove 641b into which the first support block 643 is fitted. may be provided, and a body groove 641c into which the lubricating member 646 is coupled may be provided.

상기 볼댐핑부(640)의 제2댐핑바디(642)는 제1댐핑바디(641)와 같이 볼부재(620)를 둘러싸서 볼하우징(63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다.The second damping body 642 of the ball damping unit 640 surrounds the ball member 620 like the first damping body 641 and can reduce vibration or shock transmitted from the ball housing 630.

본 실시 예에서 제2댐핑바디(642)는 고무를 포함하는 탄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제1댐핑바디(641)와 합쳐서 볼부재(620)를 원형 형상으로 둘러쌀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damping body 642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ncluding rubber, and may be combined with the first damping body 641 to surround the ball member 620 in a circular shape.

상기 제2댐핑바디(642)에는 제2지지블록(645)이 끼워 맞춤 결합되는 제2블록결합홈(642a)이 마련될 수 있다.The second damping body 642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block coupling groove 642a into which the second support block 645 is fitted and coupled.

상기 제1댐핑바디(641)와 제2댐핑바디(642)는 제2스프링(644)에 의해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볼부재(62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고, 볼하우징(630)으로부터 볼부재(620)로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제2스프링(644)의 수축이나 팽창에 의해 제1댐핑바디(641), 제2댐핑바디(642)와 같이 상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first damping body 641 and the second damping body 642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by a second spring 644. In this case, the rotation of the ball member 620 can be performed smoothly, and the shock or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ball housing 630 to the ball member 620 can be reduced to the first by contraction or expansion of the second spring 644.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offset like the damping body 641 and the second damping body 642.

상기 볼댐핑부(640)의 윤활부재(646)는 제1댐핑바디(641)의 외벽에 마련된 바디홈(641c)에 마련되어 제1댐핑바디(641)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lubricating member 646 of the ball damping unit 640 is provided in the body groove 641c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first damping body 641 to allow the first damping body 641 to rotate smoothly.

본 실시 예에서 윤활부재(646)는 제2댐핑바디(642)에도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윤활부재(646)는 그리스(grease)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lubricating member 646 may be provided in the same way on the second damping body 642. Additionally, in this embodiment, the lubricating member 646 may include grease.

상기 수평위치부(600)의 연결플레이트(650)는 수평지지대(12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볼트 또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plate 650 of the horizontal position portion 600 may be detachably bolted or screwed to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support 120.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체결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tachable fasten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탈착체결부(300)는 안착대(200)의 하부에 장착되며, 탈착체결부(300)의 하부에는 입출력 처리시스템(20)이 결합된다. 탈착체결부(300)는 입출력 처리시스템(20)을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다.The detachable fastening par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mounting base 200, and the input/output processing system 20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detachable fastening part 300. The detachable fastening part 300 can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input/output processing system 20.

구체적으로 상기 탈착체결부(300)는, 안착대(200)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311)이 형성되는 탈착케이스(310), 탈착케이스(310)의 수용공간(311)을 기준으로 하부면에 함몰 형성되는 탈착함몰부(312), 탈착함몰부(312)의 내측 하단에 결합되는 탈착모터(330), 탈착모터(330)의 상부에 결합되며 탈착모터(330)의 작동에 따라 수평 회전할 수 있는 탈착기어(331), 탈착기어(331)의 상부에 결합되는 탈착스프링(332), 탈착스프링(332)의 상부에 결합되며 탈착스프링(33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탈착승강부(320), 탈착케이스(310)의 수용공간(311)에 삽입 체결될 수 있는 탈착삽입부(340) 및 탈착삽입부(340)의 상부면에 함몰 형성되며 탈착승강부(320)가 상승하여 진입할 수 있는 승강진입부(3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Specifically, the detachable and fastening portion 300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mounting base 200 and has an accommodating space 311 formed therein, and is based on the accommodating space 311 of the detachable case 310. A detachment depression 312 formed in the lower surface, a detachment motor 330 coupled to the inner bottom of the detachment recess 312, and a detachment motor 330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detachment motor 330 and used for the operation of the detachment motor 330. A detachable gear 331 that can rotate horizontally, a detachment spring 332 coupled to the top of the detachment gear 331, and a detachment spring 332 coupled to the top of the detachment spring 332 and moving up and dow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detachment spring 332. A movable detachable lifting part 320, a detachable insertion part 340 that can be inserted and fastened into the receiving space 311 of the detachable case 310, and a depression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tachable insertion part 340, and a detachable lifting part ( 320) includes an elevator entry section 342 that can be entered by rising.

상기 탈착케이스(310)는 내부에 수용공간(311)이 형성되어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수용공간(311)을 기준으로 상부면 및 하부면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The detachable case 310 has an accommodating space 311 formed therein and has a 'L' shaped cross section, and can be divided into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based on the accommodating space 311.

상기 탈착함몰부(312)는 수용공간(311)의 하부에 배치되며, 탈착함몰부(312)에는 탈착모터(330), 탈착기어(331), 탈착스프링(332) 및 탈착승강부(320)가 수용될 수 있다. 탈착승강부(320)는 하강하였을 때 탈착함몰부(312) 내부에 수용되고, 상승하였을 때 탈착함몰부(312)로부터 이탈된다.The detachable recessed portion 312 is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receiving space 311, and the removable recessed portion 312 includes a detachable motor 330, a detachable gear 331, a detachable spring 332, and a detachable lifting part 320. can be accepted. The detachable lifting part 320 is accommodated inside the detachable depression 312 when lowered, and is separated from the detachable depression 312 when it rises.

상기 탈착모터(330)가 작동하면 탈착기어(331)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수평 회전할 수 있으며, 탈착기어(331)의 회전에 따라 탈착스프링(332)도 회전할 수 있다. 탈착스프링(332)이 회전하면 그 상단에 결합된 탈착승강부(320)도 회전할 수 있다.When the detachment motor 330 operates, the detachment gear 331 can rotate horizontally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nd the detachment spring 332 can also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etachment gear 331. When the detachable spring 332 rotates, the detachable lifting part 320 coupled to its upper end can also rotate.

상기 탈착스프링(332)은 탈착기어(331)와 탈착승강부(320) 사이를 연결하여 탈착승강부(32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탈착스프링(33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탈착승강부(320)는 평상시 상승되어 있다.The detachable spring 332 connects the detachable gear 331 and the detachable lifting part 320 and provides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detachable lifting part 320. The detachable lifting part 320 is normally raised due to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detachable spring 332.

상기 탈착승강부(320)의 일측면에는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는 승강경사면(321)이 형성된다. 승강경사면(321)에 의해 탈착승강부(320)는 직각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게 된다. A lifting slope 321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etachable lifting part 320. Due to the lifting slope 321, the detachable lifting part 320 has a cross-section in the shape of a right triangle.

상기 탈착삽입부(340)는 탈착케이스(310)의 수용공간(311)에 삽입 체결될 수 있으며, 탈착삽입부(340)의 하부에는 입출력 처리시스템(20)이 결합된다. 탈착삽입부(340)는 수용공간(311)에 삽입되는 상부면과 삽입시 탈착케이스(310)의 하부에 놓이는 하부면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The removable insertion part 340 can be inserted and fastened into the receiving space 311 of the removable case 310, and the input/output processing system 20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removable insertion part 340. The detachable insertion part 340 may be divided into an upper surfac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311 and a lower surface placed at the bottom of the detachable case 310 when inserted.

상기 승강진입부(342)는 탈착삽입부(340)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탈착삽입부(340)가 탈착케이스(310)의 수용공간(311)에 삽입되었을 때 탈착승강부(320)는 상승하여 승강진입부(342)에 진입할 수 있다.The lifting and lowering entry part 34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tachable insertion part 340, and when the removable insertion part 34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311 of the detachable case 310, the detachable and lifting part 320 is You can ascend and enter the elevator entry section 342.

상기 탈착삽입부(340)의 상부면 전단에는 탈착승강부(320)의 승강경사면(321)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가지는 삽입경사면(341)이 형성된다.An insertion slope 341 having an inclina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elevation slope 321 of the detachment and elevation part 320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etachable insertion part 340.

상기 탈착삽입부(340)가 탈착케이스(31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진입함에 따라 삽입경사면(341)은 승강경사면(321)에 접촉되어 승강경사면(321)을 밀어서 내리고, 탈착승강부(320)는 하강하게 된다. 하강된 탈착승강부(320)는 승강진입부(342)가 위치한 지점에서 탈착스프링(332)에 의해 상승하여 승강진입부(342)에 삽입된다.As the detachable insertion part 340 enters the detachable case 310 from the rear to the front, the insertion inclined surface 341 contacts the elevating incline surface 321 and pushes down the elevating incline surface 321, and the detachable elevating part 320 goes down. The lowered detachable lifting part 320 is raised by the detachable spring 332 at the point where the lifting entering part 342 is located and is inserted into the lifting entering part 342.

상기 승강진입부(342)의 내측 전방에는 탈착스토퍼(350)가 더 결합된다. 탈착스토퍼(350)는 승강진입부(342)의 내측 하단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탈착경사면(351) 및 탈착경사면(351)의 상부에 배치되어 승강진입부(342)의 상부면에 대해 직교하며 진입한 탈착승강부(320)에 접촉되는 탈착높이면(352)을 포함한다.A detachment stopper 350 is further coupled to the inner front of the elevating and lowering entrance portion 342. The detachment stopper 350 is disposed on the detachment slope 351 and the upper part of the detachment slope 351, which are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from the inner bottom of the elevating entrance part 342, and ar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entrance part 342. It includes a detachment height surface 352 that is perpendicular to and contacts the detachment and elevation part 320 that enters.

평상시 탈착승강부(320)는 탈착스프링(332)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되어 있다. 탈착삽입부(340)가 탈착케이스(310)의 후방에서부터 전방으로 진입함에 따라 삽입경사면(341)이 승강경사면(321)에 접촉되어 탈착승강부(320)를 하강시킨다. 이때,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승강경사면(321)은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Normally, the detachable lifting part 320 is rai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detachable spring 332. As the detachable insertion part 340 enters the detachable case 310 from the rear to the front, the insertion inclined surface 341 contacts the lifting and lowering slope surface 321 to lower the detachable and lowering part 320. At this time, a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lifting slope 321 is arranged to face rearward.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삽입부(340)가 전방으로 진입하여 탈착승강부(320)가 승강진입부(342)에 위치하면 탈착스프링(332)의 탄성력에 의해 탈착승강부(320)는 상승하여 승강진입부(342)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탈착삽입부(340)는 탈착케이스(310)에 체결될 수 있다.As shown, when the detachable insertion part 340 enters the front and the detachable elevating part 320 is located at the elevating entry part 342, the detachable elevating part 320 rises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detachable spring 332. It is inserted into the elevator entry section 342. Accordingly, the detachable insertion part 340 can be fastened to the detachable case 310.

이때, 상기 탈착스토퍼(350)의 탈착높이면(352)은 탈착승강부(320)의 전방을 접촉 지지하므로 탈착삽입부(340)는 후방으로 이탈되지 못하고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detachment height surface 352 of the detachment stopper 350 contacts and supports the front of the detachable lifting part 320, so the detachable insertion part 340 cannot be separated to the rear and remains fastened.

상기 탈착삽입부(340)를 탈착케이스(31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탈착모터(330)가 작동하여 탈착기어(331)를 회전시키고, 탈착스프링(332) 및 탈착승강부(320)는 180도 회전하게 된다. 이때, 승강경사면(321)은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When the detachable insertion part 340 is to be separated from the detachable case 310, the detachable motor 330 operates to rotate the detachable gear 331, and the detachable spring 332 and the detachable lifting part 320 rotate 180 degrees. It rotates. At this time, the lifting slope 321 is arranged to face forward.

상기 탈착삽입부(34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승강경사면(321)은 탈착스토퍼(350)의 탈착경사면(351)에 접촉되어 탈착경사면(351)을 타고 넘어가게 되며 탈착승강부(320)는 하강된다. 탈착승강부(320)가 하강되면 탈착삽입부(340)는 탈착케이스(310)로부터 이탈될 수 있고, 입출력 처리시스템(20)은 분리된다.When the detachable insertion part 340 moves rearward, the elevating slope 32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etachment incline surface 351 of the detachment stopper 350 and goes over the detachment incline 351, and the detachable elevating part 320 descends. When the detachable lifting part 320 is lowered, the detachable insertion part 340 can be separated from the detachable case 310, and the input/output processing system 20 is separat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ly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100 : 제1수직지지대 110 : 제2수직지지대 120 : 수평지지대
200 : 안착대 210 : 기초대 300 : 탈착체결부
310 : 탈착케이스 311 : 수용공간 312 : 탈착함몰부
320 : 탈착승강부 321 : 승강경사면 330 : 탈착모터
331 : 탈착기어 332 : 탈착스프링 340 : 탈착삽입부
341 : 삽입경사면 342 : 승강진입부 350 : 탈착스토퍼
351 : 탈착경사면 352 : 탈착높이면 400 : 흡수연결유닛
410 : 흡수베이스부 411 : 흡수베이스판 411a : 판홀
412 : 체결레버 413 : 커넥터부 413a : 커넥터볼
413b : 커넥터로드 413c : 커넥터헤드 413d : 커넥터볼트
413e : 제1패킹부재 420 : 제1연결부 421 : 제1연결바디
421a : 절개홀 422 : 연결스프링부재 423 : 제1연결바
430 : 제2연결부 431 : 제2연결바디 432 : 연결로드
433 : 연결볼 434 : 제2패킹부재 440 : 기둥브래킷
441 : 브래킷플랜지 442 : 볼록부 443 : 결합부재
444 : 브래킷홀 500 : 상하구동유닛 510 : 구동유닛바디
511 : 제1베어링 520 : 회전바디 530 : 승강구동부
531 : 승강실린더 532 : 승강로드 533 : 결합플레이트
540 : 수평회전부 541 : 구동모터 542 : 구동베벨기어
543 : 피동베벨기어 550 : 회전댐핑부 551 : 제1프레임
552 : 제2프레임 553 : 제1스프링 554 : 롤러지지바디
555 : 롤러부재 560 : 배터리 600 : 수평위치부
610 : 볼포스트 620 : 볼부재 630 : 볼하우징
631 : 볼플랜지 632 : 체결부재 640 : 볼댐핑부
641 : 제1댐핑바디 641a : 포스트홀 641b : 제1블록결합홈
641c : 바디홈 642 : 제2댐핑바디 642a : 제2블록결합홈
643 : 제1지지블록 644 : 제2스프링 645 : 제2지지블록
646 : 윤활부재 650 : 연결플레이트
100: first vertical support 110: second vertical support 120: horizontal support
200: Seating base 210: Base base 300: Removable fastening part
310: Detachable case 311: Accommodating space 312: Detachable depression
320: Detachable lifting part 321: Elevating slope 330: Detachable motor
331: Removable gear 332: Removable spring 340: Removable insertion part
341: Insertion slope 342: Elevating entrance 350: Detachment stopper
351: Detachment slope 352: Detachment height 400: Absorption connection unit
410: Absorbing base portion 411: Absorbing base plate 411a: Plate hole
412: Fastening lever 413: Connector portion 413a: Connector ball
413b: Connector rod 413c: Connector head 413d: Connector bolt
413e: first packing member 420: first connection part 421: first connection body
421a: Cut hole 422: Connection spring member 423: First connection bar
430: Second connection part 431: Second connection body 432: Connection rod
433: Connection ball 434: Second packing member 440: Column bracket
441: Bracket flange 442: Convex portion 443: Coupling member
444: Bracket hole 500: Top and bottom drive unit 510: Drive unit body
511: First bearing 520: Rotating body 530: Elevating drive unit
531: Elevating cylinder 532: Elevating rod 533: Coupling plate
540: Horizontal rotating part 541: Drive motor 542: Drive bevel gear
543: Passive bevel gear 550: Rotation damping part 551: First frame
552: Second frame 553: First spring 554: Roller support body
555: Roller member 560: Battery 600: Horizontal position part
610: Ball post 620: Ball member 630: Ball housing
631: Ball flange 632: Fastening member 640: Ball damping part
641: 1st damping body 641a: post hole 641b: 1st block coupling groove
641c: Body groove 642: Second damping body 642a: Second block coupling groove
643: first support block 644: second spring 645: second support block
646: Lubricating member 650: Connection plate

Claims (1)

촬영이미지를 도화하여 도화영상 이미지를 생성해서 저장하는 도화영상 편집시스템; 및 도화영상 편집시스템과 통신하여 수작업 처리가 가능한 입출력 처리시스템; 을 포함하되,
상기 도화영상 편집시스템은,
GNSS값이 링크된 촬영이미지를 저장하는 촬영이미지DB; 촬영이미지에서 도로 이미지를 경계로 구획된 파트 이미지 내에 구역 이미지와 구성요소 이미지 각각의 이전 버전 및 최신 버전과, 이미지들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정보DB; 파트 이미지와 구역 이미지와 구성요소 이미지가 GNSS값에 따라 조합 편집된 영상이미지의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을 저장하는 영상이미지DB; 영상이미지에 따라 도화, 편집 및 갱신된 도화영상 이미지의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을 저장하는 도화정보DB; 촬영이미지DB에 저장된 촬영이미지 내에 구성된 도로, 파트 및 구성요소를 구분하여 각각의 데이터로 분류하는 형태식별모듈; 도로와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각각의 외곽라인이 이루는 꼭지점의 좌표값과,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각각의 중심점의 좌표값과, 도로와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각각의 이미지 색깔 정보를 확인해서 데이터화 해서 해당 데이터를 영상정보DB에 저장하는 파트정의모듈; 영상정보DB에서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각각의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의 데이터를 검색하고 이전 버전의 데이터와 최신 버전의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는 파트비교모듈; 파트비교모듈의 비교결과, 유지와 편집과 갱신이 완료된 코드별 이미지와 코드 데이터는 영상정보DB에 저장시키고, 코드별 이미지가 조합된 영상이미지는 영상이미지DB에 저장시키는 영상이미지 편집모듈; 및 유지와 편집과 갱신이 완료된 영상이미지 및 외곽라인에 따라 도화영상 이미지를 생성해서 도화정보DB에 저장시키는 영상도화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형태식별모듈은,
촬영이미지DB에 저장된 촬영이미지에서 색깔과 연속성과 폭을 기준으로 도로를 분류하고 외곽라인 생성을 통해 구분해서 제1코드로 식별하고, 도로를 경계로 구획된 블록 형태의 파트를 외곽라인 생성을 통해 구분해서 제2코드로 식별하고, 파트의 형태와 범위를 구역으로 해서 제3코드로 식별하며, 파트 내에서 색깔 변화 구간으로 된 외곽라인이 폐쇄 공간을 이루는 블록 형태의 구성요소를 제4코드로 식별하되, 서로 이웃하는 2 개의 폐쇄 공간이 공유한 해당 외곽라인은 상대적으로 넓은 폐쇄 공간의 외곽라인으로 지정하며 해당 폐쇄 공간을 구성요소로 확정하고, 2 개의 폐쇄 공간 중 상대적으로 좁은 폐쇄 공간은 개방 공간으로 확정하며, 폐쇄 공간으로 확정된 구성요소는 개방 공간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4코드를 보정하며,
상기 파트정의모듈은,
제1코드 내지 제4코드에 각각 구성된 외곽라인이 이루는 꼭지점의 좌표값과, 제2코드 내지 제4코드 각각의 중심점의 좌표값과, 제1코드 내지 제4코드 각각의 이미지 색깔 정보를 해당 코드의 코드 데이터로 각각 설정하고, 꼭지점 또는 중심점을 서로 다른 제1코드 내지 제4코드 내에 둘 이상의 꼭지점 또는 중심점과 서로 링크해 확인된 길이를 연계 데이터로 설정하며, 이렇게 설정된 제1코드 내지 제4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영상정보DB에 저장하고,
상기 파트비교모듈은,
영상정보DB에서 제1코드 내지 제4코드 각각의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의 코드 데이터를 검색하고, 해당 코드 단위로 이전 버전의 코드 데이터와 최신 버전의 코드 데이터를 서로 비교해서, 차이 정도가 동일에 해당하는 것으로 설정된 기준범위 내에 속하는지, 유사에 해당하는 것으로 설정된 기준범위 내에 속하는지, 불일치에 해당하는 것으로 설정된 기준범위 내에 속하는지에 따라 동일, 유사, 불일치 여부를 판단하되, 이러한 차이 정도는 이전 버전의 코드 데이터와 최신 버전의 코드 데이터 각각의 해당 구역의 면적 대비 동일 구역 내 구성요소의 면적 비율 간에 차이고, 면적 비율 간 차에 따라 동일, 유사, 불일치를 판단하며,
상기 영상이미지 편집모듈은,
파트비교모듈의 비교결과, 면적 비율이 동일로 판단되면 이전 버전 코드의 연계 데이터와 최신 버전 코드의 연계 데이터에 일치 여부를 확인해서, 일치로 확인되면 이전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유지하고, 면적 비율이 유사로 판단되면 이전 버전 코드의 연계 데이터에 맞춰서 최신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 및 연계 데이터를 편집하고, 면적 비율이 불일치로 판단되면 철거 또는 신축 없이 유지 중인 구성요소의 최신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이전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에 맞춰서 우선 편집하고, 우선 편집된 해당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기준으로 최신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편집해서 이전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갱신하며, 유지와 편집과 갱신이 완료된 코드별 이미지와 코드 데이터는 영상정보DB에 저장시키고, 코드별 이미지가 조합된 영상이미지는 영상이미지DB에 저장시키고,
상기 입출력 처리시스템은,
입출력 처리시스템의 상부에 장착되는 탈착체결부; 탈착체결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안착대; 안착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하구동유닛; 상하구동유닛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평위치부; 수평위치부의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대; 수평지지대의 하단에 직립 설치되는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를 연결하면서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흡수연결유닛; 및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하단에 결합되며 지면에 설치되는 기초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흡수연결유닛은,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부; 흡수베이스부의 양측에 탈착 결합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한 쌍의 제1연결부; 한 쌍의 제1연결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연결부; 및 일측부는 한 쌍의 제2연결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수직지지대와 상기 제2수직지지대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기둥브래킷; 을 포함하고,
상기 흡수베이스부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을 체결시키는 체결레버; 및 일측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커넥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한 쌍의 베이스판에 마련된 판홀에 회전되게 지지되는 커넥터볼; 커넥터볼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커넥터로드; 커넥터로드에 마련되는 커넥터헤드; 및 커넥터헤드에 마련되어 제1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커넥터볼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는,
커넥터볼트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디; 제1연결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스프링부재; 및 일측부는 연결스프링부재에 지지되고 타측부는 제2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 를 포함하며,
서로 근접된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중 어느 하나에 충격이 가해지면 커넥터볼에 의해 흡수베이스부는 회전됨과 아울러 제1연결바가 제1연결바디에서 이동되어 충격을 감소시키고,
상기 수평위치부는,
상기 수평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는 연결플레이트; 연결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볼하우징; 다수의 볼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배치되는 볼부재; 볼부재의 하단에 형성되며 볼부재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볼포스트; 및 볼하우징과 볼부재의 사이에 마련되어 볼하우징에서 볼부재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볼댐핑부; 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구동유닛은,
수평위치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구동유닛바디; 구동유닛바디의 내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회전바디; 상단이 회전바디에 결합되며 승강 가능한 승강구동부; 일측부는 구동유닛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회전바디에 결합되어 차폐부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회전부; 구동유닛바디의 내부에 마련되어 회전되는 회전바디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회전댐핑부; 및 구동유닛바디에 마련되어 승강구동부와 수평회전부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 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체결부는,
상기 안착대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탈착케이스; 탈착케이스의 수용공간을 기준으로 하부면에 함몰 형성되는 탈착함몰부; 탈착함몰부의 내측 하단에 결합되는 탈착모터; 탈착모터의 상부에 결합되며 탈착모터의 작동에 따라 수평 회전할 수 있는 탈착기어; 탈착기어의 상부에 결합되는 탈착스프링; 탈착스프링의 상부에 결합되며 탈착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탈착승강부; 탈착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삽입 체결될 수 있는 탈착삽입부; 및 탈착삽입부의 상부면에 함몰 형성되며 탈착승강부가 상승하여 진입할 수 있는 승강진입부; 를 포함하며,
승강진입부의 내측 전방에는 탈착스토퍼가 더 결합되며, 탈착스토퍼는 승강진입부의 내측 하단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탈착경사면 및 탈착경사면의 상부에 배치되어 승강진입부의 상부면에 대해 직교하며 진입한 탈착승강부에 접촉되는 탈착높이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이미지를 이용하여 지형지물의 도화이미지를 정밀하게 편집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A drawing video editing system that draws a captured image to create and save a drawing video image; and an input/output processing system capable of manual processing by communicating with a drawing image editing system; Including,
The drawing video editing system is,
Captured image DB that stores captured images linked to GNSS values; An image information DB that stores the previous and latest versions of each section image and component image within the part image divided by the road image in the captured image, and data about the images; A video image DB that stores the previous and latest versions of video images in which part images, zone images, and component images are combined and edited according to GNSS values; A drawing information DB that stores the previous and latest versions of drawing video images that have been drawn, edited, and updated according to the video image; A shape identification module that separates roads, parts, and components comprised in captured images stored in the captured image DB and classifies them into respective data; By checking the coordinates of the vertices formed by the outline of each road, part, area, and component, the coordinates of the center point of each part, area, and component, and the image color information of each road, part, area, and component, A part definition module that converts the data into data and stores the data in the image information DB; A part comparison module that searches the previous and latest version of data for each part, section, and component in the image information DB and compares the previous version and the latest version of the data with each other;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e part comparison module, images and code data for each code that have been maintained, edited, and updated are stored in a video information DB, and a video image combining images for each code is stored in a video image DB; and a video drawing module that generates a drawing video image according to the video image and outline lines for which maintenance, editing and updating have been completed and stores it in the drawing information DB; Including,
The shape identification module is,
In the captured images stored in the captured image DB, the roads are classified based on color, continuity, and width, and are identified by the first code by creating an outline line, and the block-shaped parts divided by the road boundary are created by creating an outline line. They are classified and identified with the second code, the shape and scope of the part are identified by the zone and identified with the third code, and the block-shaped components where the outline of the color change section within the part forms a closed space are identified with the fourth code. However, the outline shared by two adjacent closed spaces is designated as the outline of the relatively wide closed space, and the closed space is confirmed as a component, and the relatively narrow closed space among the two closed spaces is open. It is confirmed as a space, and the components determined as a closed space are moved toward the open space to correct the fourth code.
The part definition module is,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vertices formed by the outline lines formed in each of the first to fourth codes,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center points of each of the second to fourth codes, and the image color information of each of the first to fourth codes are stored in the corresponding code. Each is set to code data, and the vertex or center point is linked with two or more vertices or center points within different first codes to fourth codes, and the confirmed length is set as linked data, and the first to fourth codes set in this way are set as linked data. Save the code data in the video information DB,
The part comparison module is,
Search the video information DB for the code data of the previous and latest versions of each of the first to fourth codes, compare the code data of the previous version and the latest version for each code, and determine if the degree of difference is the same. Whether it is identical, similar, or inconsistent is judged based on whether it falls within the standard range set as corresponding, within the standard range set as similar, or within the standard range set as inconsistent, but the degree of such difference is determined by the previous version.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area ratio of the components within the same area compared to the area of each corresponding area of the code data and the latest version of the code data,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area ratios determines whether they are identical, similar, or inconsistent.
The video image editing module is,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e part comparison module, if the area ratio is determined to be the same, it is checked whether the linkage data of the previous version code and the linkage data of the latest version code match. If a match is confirmed, the code data of the previous version code is maintained and the area ratio is checked. If this similarity is determined, the code data and linkage data of the latest version code are edited to match the linkage data of the previous version code, and if the area ratio is judged to be inconsistent, the code data of the latest version code of the component being maintained is transferred without demolition or new construction. Edit first according to the code data of the version code, update the code data of the previous version code by editing the code data of the latest version code based on the code data of the edited code, and update the code data of the previous version code for each code that has been maintained, edited, and updated. Image and code data are stored in the video information DB, and video images combining images for each code are stored in the video image DB.
The input/output processing system is,
A detachable fastening part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put/output processing system; A mounting bas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detachable fastener; A vertical drive unit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seating table; A horizontal position part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upper and lower driving unit; A horizontal support bar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upper part of the horizontal position; A first vertical supporter and a second vertical supporter installed upright at the lower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er; An absorption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first vertical support and the second vertical support and cushioning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first vertical support and the second vertical support; and a base coupled to the lower ends of the first vertical support and the second vertical support and installed on the ground. It further includes,
The absorption connection unit is,
An absorption base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support and the second vertical support; A pair of first connection parts that are detach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absorption base and have variable lengths; a pair of second connectors each detachably coupled to the pair of first connectors; and a pair of column brackets, one side of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a pair of second connectors,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vertical support and the second vertical support. Including,
The absorption base part,
A pair of absorbent base plat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fastening lever for fastening a pair of absorption base plates; and a pair of connector parts,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a pair of absorbent base plates,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Includes,
The connector part,
a connector ball rotatably supported in a plate hole provided in the pair of base plates; A connector rod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nector ball; A connector head provided on the connector rod; And a connector bolt provided on the connector head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Includ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is,
A first connection body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or bolt; A connection spring member provided inside the first connection body; and a first connection bar, one side of which is supported by a connection spring member,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Includes,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supports that are close to each other, the absorbing base is rotated by the connector ball and the first connection bar is moved from the first connection body to reduce the impact,
The horizontal position part is,
A connection plat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support; A plurality of ball housing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on plate; Ball members each rotatably disposed inside a plurality of ball housings; A ball post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all member and having a relatively smaller diameter than the ball member; and a ball damping part provided between the ball housing and the ball member to reduce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ball housing to the ball member. Includes,
The upper and lower driving unit is,
A drive unit body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position; A rotating body rotat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drive unit body; A lifting mechanism whose upper part is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and which can be raised and lowered; A horizontal rotating part where one side is coupled to the drive unit body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a rotating body to rotate the shiel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 rotation damping unit provided inside the drive unit body to reduce vibration of the rotating body; and a battery provided in the drive unit body to supply electrical energy to the elevation drive unit and the horizontal rotation unit. Including,
The detachable fastening part,
A detachable cas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mounting table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 detachable reces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based o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detachable case; A detachment motor coupled to the inner bottom of the detachment depression; A detachment gear that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detachment motor and can rotate horizontal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etachment motor; A detachment spring coupled to the top of the detachment gear; A detachable lifting part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detachable spring and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detachable spring; A detachable insertion portion that can be inserted and fastened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detachable case; and an elevating entry part that is recess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detachable insertion part and allows the detachable elevating part to rise and enter. Includes,
A detachment stopper is further coupled to the inner front of the elevating entrance, and the detachment stopper is disposed on a detachment slop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from the inner bottom of the elevating entrance and on the upper part of the detachment slope,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entrance. A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that can precisely edit drawing images of geographical features using video image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detachable height surface in contact with one detachable lifting part.
KR1020230087504A 2023-07-06 2023-07-06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for precisely editing drawing image of geographical feature using image KR1025973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7504A KR102597370B1 (en) 2023-07-06 2023-07-06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for precisely editing drawing image of geographical feature using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7504A KR102597370B1 (en) 2023-07-06 2023-07-06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for precisely editing drawing image of geographical feature using im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7370B1 true KR102597370B1 (en) 2023-11-02

Family

ID=88747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7504A KR102597370B1 (en) 2023-07-06 2023-07-06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for precisely editing drawing image of geographical feature using im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37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441B1 (en) * 2008-06-27 2009-04-14 대한항업(주) Surveying system
KR100962348B1 (en) * 2009-10-29 2010-06-10 (주)새한지오텍 Filtering system for drawing
KR101221508B1 (en) * 2011-11-17 2013-01-15 주식회사 공간정보 Digital map making system improving the accuracy of gps information applicated the topography
KR101491610B1 (en) * 2014-06-19 2015-02-06 천우항측 주식회사 System applied numerical image processing applied image updata using geodetic surveying groun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441B1 (en) * 2008-06-27 2009-04-14 대한항업(주) Surveying system
KR100962348B1 (en) * 2009-10-29 2010-06-10 (주)새한지오텍 Filtering system for drawing
KR101221508B1 (en) * 2011-11-17 2013-01-15 주식회사 공간정보 Digital map making system improving the accuracy of gps information applicated the topography
KR101491610B1 (en) * 2014-06-19 2015-02-06 천우항측 주식회사 System applied numerical image processing applied image updata using geodetic surveying grou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95062A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engagement of wing to main body
KR102307334B1 (en)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for editing drawing image by synthesizing part-by-part images
KR102503630B1 (en)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updating digital map by comparing geographic information
KR102512699B1 (en) Image processing system for editing image for obtaining 3d data using coordinate information of target object
KR102597370B1 (en)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for precisely editing drawing image of geographical feature using image
KR102337839B1 (en)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for correcting and updating drawing images
CN113697122B (en) Unmanned aerial vehicle mapping device and mapping method based on BIM
CN113390336B (en) Adjustable screen laminating and aligning device and calibration method based on machine vision
KR102512694B1 (en)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updating digital map by comparing geographic information
KR102584475B1 (en) Aerial photograph system for capturing 3d geometric image of ground feature
CN111828017B (en) Tunnel construction monitoring devices
CN111798522A (en) Automatic plane position checking method, system and equipment for test prototype
KR102476569B1 (en) Image processing system for automatically checking and updating error point of image
KR102668542B1 (en) Image processing system for correction of blind spot and shaded part of feature
KR102642146B1 (en)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updating map by section by constructing unit of object by ufid
KR102648995B1 (en) Image processing system for automatically checking and updating error point of image
KR102617679B1 (en) Image processing system for correcting distortion of image
KR102603927B1 (en) Image drawing system for extracting drawing image from image
KR102512697B1 (en)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for editing changed terrain based on image
KR102573678B1 (en) Precision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synthesis of spatial information and coordinate information
KR102619917B1 (en) Numerical map system modifing the drawing image by GNSS
KR102584474B1 (en) Image processing system for improving precision of undulating image and minimizing error part
KR102605302B1 (en) Numerical map production system for acquiring 3d data using image information and aerial photographic data
KR102668541B1 (en)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updating roadside facility using gnss and image information
KR102596659B1 (en)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improving precision and reliability using field survey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