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317B1 - 영유아용 고관절 외전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영유아용 고관절 외전 보조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97317B1 KR102597317B1 KR1020210072406A KR20210072406A KR102597317B1 KR 102597317 B1 KR102597317 B1 KR 102597317B1 KR 1020210072406 A KR1020210072406 A KR 1020210072406A KR 20210072406 A KR20210072406 A KR 20210072406A KR 102597317 B1 KR102597317 B1 KR 1025973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ient
- infants
- hip abduction
- thighs
- hip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44000309466 calf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5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6010073767 Developmental hip dysplasia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08000014906 developmental dysplasia of the hip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08000035790 developmental dysplasia of the hip 1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description 2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10000004394 hip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06010023204 Joint disloc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4392 genitalia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604 ultrason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0356 Congenital anomal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446 Hip Disloc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02 le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41 low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4133 primary 1 avascular necrosis of femoral head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01 radi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9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hip dislocation; Abduction spli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으로 진단된 영유아가 착용할 수 있으며 고정 블록을 통해 두 넓적다리를 벌린 다리 상태로 안정적이고 편안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는 영유아용 고관절 외전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환아의 두 넓적다리 사이에 끼워지는 고정 블록; 및 상기 고정 블록을 환아의 두 넓적다리에 각각 고정시키는 두 개의 다리 고정 벨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영유아용 고관절 외전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으로 진단된 영유아에서 치료 목적으로 착용할 수 있으며 고정 블록을 통해 두 넓적다리를 벌린 다리 상태로 안정적이고 편안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는 영유아용 고관절 외전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같은 영유아용 고관절 외전 보조기구는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으로 진단된 환아를 위한 보조기구이다.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이란 아이가 출생한 시기부터 발견되거나 출생후 성장하며 나타나는 고관절의 불안정성, 아탈구, 탈구 또는 비구 이형성증을 포함한 발달성ㄹ 병변을 말하는 것으로, 과거에는 선청성 고관절 탈구라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나, 탈구의 발생 시점 및 고관절 탈구 정도 등 여러 상황을 표현하기에 부적합하여 불안정한 고관절, 아탈구된 고관절, 탈구된 고관절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용어인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이 질환의 치료는 발달이 잘 이루어지지 않거나 탈구된 관절을 바로 잡아주고 관절의 정상적인 발달을 유도하며 치료 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대퇴골두의 무혈성 괴사를 방지하는 것이 치료의 목표이다.
이 질환은 이학적 검사 및 단순 방사선 검사, 고관절 초음파 검사를 통해 진단이 된다. 가장 객관적으로 신뢰도가 높은 검사는 고관절 초음파 검사이다. 보통 이학적 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확인될 경우 단순 방사선 검사 및 고관절 초음파를 시행하며 초음파 소견상 알파각을 측정하여 60도 이상을 정상으로 보고 있다. 60도 미만인 경우 값의 정도에 따라서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의 심한 정도를 판단한다.
아이가 걷기 시작하기 전의 보행기 이전의 치료로는 대표적으로 파브릭(Pavlik) 보장구를 이용한 치료가 있으며 이중 또는 삼중 기저귀, 본 로젠(Von Rosen) 부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보장구를 이용한 치료는 대개 6개월 이전의 신생아에서 유효하며 그 이상이 되면 착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보존적 치료는 환아의 고관절을 벌린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효과적인 치료이다.
이중 또는 삼중 기저귀를 하는 이유는 아이가 다리를 벌린 상태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파브릭 보장구는 가슴띠를 중심으로 하지를 앞에서와 뒤에서 잡아주는 끈으로 된 보조기이다. 앞부위의 끈은 아이가 무릎을 굴곡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뒤의 끈은 허벅지를 벌리고 고관절을 굴곡시켜서 유지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공개실용신안 제2019-0000227호가 공지된 바 있다.
이 종래 기술은 환자의 두 넓적다리 사이에 끼워지는 본체부를 가지며 이를 환자에 고정하기 위해 다양한 다리 고정 벨트와 허리 고정부가 채용된 형태를 가진다.
하지만, 이 종래 기술의 기구는 중심 본체부의 형태상 환아의 다리를 90°로 벌린채 고정시키지 않아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을 가진 환아의 보존적 치료가 불가능하다.
또한 여러 다리 고정 벨트와 허리 고정부, 그리고 이를 연결하기 위한 각종 연장부가 어지럽고 복잡하게 부가된 구조이기 때문에 착용에 큰 번거로움이 따르며 환아가 쉽게 불편함을 느껴 장시간 착용이 어렵다는 문제도 가지고 있다.
더군다나 다리를 벌리고 좁히는 수평적 움직임만을 고려해 설계되었기 때문에 다리를 걷듯이 전후(앞뒤) 방향으로 움직이는 환아의 움직임에는 대처가 불가능하며, 이는 곧 환아의 고관절을 수평 방향으로 벌린 상태로 장시간 유지시키는 것을 어렵게 만드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으로 진단된 영유아에서 치료 목적으로 착용할 수 있으며 고정 블록을 통해 두 넓적다리를 벌린 다리 상태로 안정적이고 편안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는 영유아용 고관절 외전 보조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아의 두 넓적다리 사이에 끼워지는 고정 블록; 및 상기 고정 블록을 환아의 두 넓적다리에 각각 고정시키는 두 개의 다리 고정 벨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고관절 외전 보조기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블록은 외피의 내부에 쿠션재가 채워지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환아의 두 넓적다리를 양쪽 바깥으로 벌리는 자세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블록의 상부는 수평한 평면으로 형성되는 허벅지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허벅지 지지부의 외면에는 엠보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허벅지 지지부의 엠보싱은 내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커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허벅지 지지부에서 그 중심부에는 하부로 오목하게 파인 형태의 비접촉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접촉 홈부는 역아치형으로 오목하게 파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블록의 양 측부는 아래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게 사선형으로 형성되는 종아리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허벅지 지지부는 환아의 넓적다리 형태를 따라 호형의 골이 파여지는 안착 거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착 거터의 외면에는 엠보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착 거터의 엠보싱은 골의 중심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커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블록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 요 시트가 더 구비되며, 상기 보조 요 시트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부면의 하측에는 상기 고정 블록의 배면에 형성된 벨크로부와 결합될 수 있는 벨크로부가 구비되고, 그 상측에는 환아의 상체를 보조 요 시트에 고정시키는 상체 고정 벨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요 시트는 외피의 내부에 쿠션재가 채워지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환아의 등과 엉덩이를 받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으로 진단된 영유아에서 치료 목적으로 착용할 수 있으며 고정 블록을 통해 두 넓적다리를 벌린 다리 상태로 안정적이고 편안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 블록에서 생식기와 마주하는 부위를 역아치형 홈부로 구성함으로써 생식기의 통기를 돕고 착용상태에서 쉽게 기저귀를 갈 수 있도록 하며, 역아치형 홈부를 통해 부드러운 재질의 고정 블록에서 착용 환아가 앉는 자세를 취하더라도 상부로 전달되는 힘(압축력)을 분산시켜 고정 블록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여주는 효과도 가지고 있다.
또한 고정 블록에서 상부 허벅지 지지부의 외면을 엠보싱 처리함으로써 고정 블록에 장시간 접촉하는 허벅지 피부가 통기될 수 있도록 하며, 엠보싱의 부위별 크기를 조절하여 착용감과 통기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도 가지고 있다.
또한 상부 허벅지 지지부를 허벅지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호형의 안착 거터로 형성함으로써 허벅지의 안정적인 안착은 물론 넓적다리의 전후(앞뒤) 방향 움직임을 적절히 제한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가지고 있다.
또한 호형의 안착 거터의 외면을 엠보싱 처리함으로써 고정 블록에 장시간 접촉하는 허벅지 피부가 통기될 수 있도록 하며, 엠보싱의 부위별 크기를 조절하여 착용감과 통기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도 가지고 있다.
또한 고정 블록에서 종아리 부위가 맞닿게 되는 측부의 종아리 지지부를 사면 처리함으로써 무릎 아래 종아리 부위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해 사용성을 높인 효과도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고관절 외전 보조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고관절 외전 보조기구에서 허벅지 지지부의 안착 거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고관절 외전 보조기구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고관절 외전 보조기구에서 부가될 수 있는 보조 요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요 시트가 부가된 영유아용 고관절 외전 보조기구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고관절 외전 보조기구에서 허벅지 지지부의 안착 거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고관절 외전 보조기구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고관절 외전 보조기구에서 부가될 수 있는 보조 요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요 시트가 부가된 영유아용 고관절 외전 보조기구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고관절 외전 보조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고관절 외전 보조기구는, 환아의 두 넓적다리 사이에 끼워지는 고정 블록(100)과, 상기 고정 블록(100)을 환아의 두 넓적다리에 각각 고정시키는 두 개의 다리 고정 벨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블록(100)은 내부에 쿠션재인 스폰지가 채워지고 이를 부드러운 외피가 감싸게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박스 형태로 형성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 블록(100)의 상부는 수평한 평면으로 형성되는 허벅지 지지부(110)가 형성된다. 이 허벅지 지지부(110)는 환아의 두 넓적다리를 양쪽 바깥으로 벌려 상체와 대비해 두 넓적 다리를 모두 90°각도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수평한 평면(H)을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허벅지 지지부(110)의 외면은 치료 기간 중 환아의 넓적다리가 지속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연성을 가져야 함은 물론 통기성의 확보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이 허벅지 지지부(110)의 외면에는 연성의 엠보싱(1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평한 평면인 허벅지 지지부(110)의 엠보싱(111)은 내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커지고 외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실제 치료 기간 중 환아의 넓적다리를 양쪽 바깥으로 벌려 유지시킬 때, 환아의 넓적다리는 안쪽으로 좁혀지는 힘을 고정 블록(100)에 지속적으로 가하게 될 것이다. 이때 넓적다리의 안쪽으로 갈수록 조이는 힘이 강해지기 때문에 허벅지 지지부(110)의 안쪽일수록 엠보싱(111)의 직경이 크고 허벅지 지지부(111)의 바깥일수록 엠보싱(111)의 직경이 작아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1의 D를 통해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이 허벅지 지지부(110) 외면의 엠보싱(111)은 안쪽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 블록(100)의 상부 허벅지 지지부(110)에서 그 중심부에는 하부로 오목하게 파인 형태의 비접촉 홈부(120)가 형성된다.
이 비접촉 홈부(120)는 환아가 두 넓적다리를 벌린 상태에서 환아의 생식기와 면하는 부위인 허벅지 지지부(110)의 중심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환아의 생식기가 고정 블록(100)에 의해 눌리는 것을 보호하고 생식기 부위의 통기를 도울 수 있으며, 고정 블록(100)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쉽게 기저귀를 갈 수 있도록 하여 환아 관리의 편리성을 획득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상기 비접촉 홈부(1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아치형으로 오목하게 파여 형성된다. 따라서 부드러운 쿠션 재질의 고정 블록(100)에서 착용 환아가 앉는 자세를 취하더라도 상부로 전달되는 힘(압축력)을 분산시켜 고정 블록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게 될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 블록(100)의 양 측부는 아래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게 사선형으로 형성되는 종아리 지지부(130)가 형성된다. 이 종아리 지지부(130)는 환아의 무릎 아래 종아리 부위가 맞닿게 되는데, 이 양 측부의 종아리 지지부(130)를 사면 처리함으로써 무릎 아래 종아리 부위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만들 것이다.
실제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을 가진 환아에 대한 보존적 치료는 환아의 고관절을 벌린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이는 고정 블록(100)의 수평한 평면인 허벅지 지지부(110)에 의해 환아의 두 넓적다리를 양쪽 바깥으로 곧게 벌림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즉 환아의 무릎 아래 부위는 굽히던 펴던 치료와 무관하다.
따라서 고정 블록(100)에서 양 측부의 종아리 지지부(130)를 사면 처리함으로써 무릎 아래 종아리 부위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은 환아에게 다리 움직임의 제한을 일정 부분 풀어주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 블록(100)에는 쉽게 결착할 수 있는 다리 고정 벨트(200)가 고정 블록(100)의 상부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다리 고정 벨트(200)는 양 말단이 고정 블록(100)의 전후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중간에 결착이 가능한 결착 부재가 구비되어 보호자가 쉽게 다리 고정 벨트(200)를 환아의 넓적다리에 결착할 수 있게 하며, 결착 부재와 함께 조임 부재가 구비되어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고관절 외전 보조기구에서 허벅지 지지부의 안착 거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블록(100)의 상부는 수평한 평면으로 형성되는 허벅지 지지부(110)가 형성되어 환아의 두 넓적다리를 양쪽 바깥으로 벌리게 된다.
이 같은 수평한 평면 형상의 허벅지 지지부(110)는 다리를 벌리고 좁히는 수평적 움직임을 고려한 설계이기 때문에 다리를 더이상 좁히지 못하도록 하는 치료 목적에는 부합하지만 환아가 다리를 걷듯이 전후(앞뒤) 방향으로 움직이는 움직임에는 대처가 불가능하다는 미비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고정 블록(100)의 상부 허벅지 지지부(110)를 허벅지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호형의 안착 거터(112)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 안착 거터(112)는 허벅지 안착 방향(T, 도 1을 함께 참조)을 따라 상부 허벅지 지지부(110)에 길게 형성되게 된다.
상기 안착 거터(112)는 환아의 넓적다리 형태를 따라 호형의 골이 파여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넓적다리는 이 안착 거터(112)의 골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자세유지될 것이다.
이 같은 안착 거터(112)는 허벅지의 안정적인 안착은 물론 호형의 골에 안착된 넓적다리의 전후(앞뒤) 방향 움직임을 적절히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안착 거터(112)의 외면은 치료 기간 중 환아의 넓적다리가 지속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연성을 가져야 함은 물론 통기성의 확보가 반드시 필요하며, 이 안착 거터(112)의 외면에는 연성의 엠보싱(11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호형의 골로 형성되는 안착 거터(112)에서 상기 엠보싱(113)은 하중을 많이 받게 되는 골의 중심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커지도록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실제 치료 기간 중 환아의 넓적다리를 양쪽 바깥으로 벌려 유지시킬 때, 환아의 넓적다리는 안쪽으로 좁혀지는 힘을 고정 블록(100)에 지속적으로 가하게 될 것이다. 이때 넓적다리가 더 큰 하중을 가하게 되는 골의 중심측으로 갈수록 엠보싱(113)의 직경이 커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2를 통해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이 안착 거터(112) 외면의 엠보싱(113)은 골의 중심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고관절 외전 보조기구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환아의 두 넓적다리에는 다리 고정 벨트(200)를 각각 채우고 이 두 넓적다리의 사이에 고정 블록(100)을 끼움으로써 간단히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을 가진 환아에 대한 보존적 치료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고정 블록(100)의 상부 허벅지 지지부(110)가 수평한 평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 허벅지 지지부(110)는 환아의 두 넓적다리를 양쪽 바깥으로 벌려 상체와 대비해 두 넓적 다리를 모두 90°각도로 유지시키게 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용 고관절 외전 보조기구에서 부가될 수 있는 보조 요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고정 블록(100)을 보조하기 위해 보조 요 시트(300)가 더 구비되어 영유아용 고관절 외전 보조기구가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보조 요 시트(300)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부면의 하측에는 상기 고정 블록(100)과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는 벨크로부(310)가 구비되고 그 상측에는 환아의 상체를 보조 요 시트(300)에 고정시키는 상체 고정 벨트(320)가 구비되게 된다.
이 같은 보조 요 시트(300)는 평판 형상은 유지하면서 부드러운 외면의 질감을 가져야 하며 장시간의 보존적 치료를 위해 통기가 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보조 요 시트(300)는 내부에는 쿠션재인 판형의 스폰지가 채워지고 이를 부드러은 매쉬 재질의 외피가 감싸게 형성함으로써 통기성을 향상시키고 연약한 피부를 갖는 환아의 피부를 보호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상기 보조 요 시트(300)의 벨크로부(310)와 결합될 수 있는 고정 블록(100)의 벨크로부(140)는 고정 블록(100)의 배면에 동일한 크기로 형성됨은 물론이다.
상기 상체 고정 벨트(320)는 양 말단이 보조 요 시트(300)의 전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중간에 결착이 가능한 결착 부재가 구비되어 보호자가 쉽게 상체 고정 벨트(320)를 환아의 상체에 결착할 수 있게 하며, 결착 부재와 함께 조임 부재가 구비되어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 같은 보조 요 시트(300)는 상하체 모두 움직임이 많은 환아를 대비한 보조적 구성으로 고정 블록(100)이 의도된 넓적다리 사이에 유지되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요 시트가 부가된 영유아용 고관절 외전 보조기구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보조 요 시트(300)에 누운 환아의 두 넓적다리에는 다리 고정 벨트(200)를 각각 채우고 이 두 넓적다리의 사이에 고정 블록(100)을 끼우며 상체에는 상체 고정 벨트(200)를 채움으로써 간단히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을 가진 환아에 대한 보존적 치료가 이루어지게 된다.
등과 엉덩이를 보조 요 시트(300)에 맞닿은 상태의 환아는 몸을 뒤집거나 다리를 엇갈리게 놓는 행동에 제약을 받게 되며, 다리 사이의 고정 블록(100)이 보조 요 시트(300)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의도된 다리 벌림 자세에서 쉽게 벗어나지 못하며, 특히 다리의 전후(앞뒤) 방향 움직임이 완벽히 제한되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고정 블록 110 : 허벅지 지지부
111 : 엠보싱 112 : 안착 거터
113 : 엠보싱 120 : 비접촉 홈부
130 : 종아리 지지부 140 : 벨크로부
200 : 다리 고정 벨트 300 : 보조 요 시트
310 : 벨크로부 320 : 상체 고정 벨트
111 : 엠보싱 112 : 안착 거터
113 : 엠보싱 120 : 비접촉 홈부
130 : 종아리 지지부 140 : 벨크로부
200 : 다리 고정 벨트 300 : 보조 요 시트
310 : 벨크로부 320 : 상체 고정 벨트
Claims (13)
- 환아의 두 넓적다리 사이에 끼워지는 고정 블록; 및
상기 고정 블록을 환아의 두 넓적다리에 각각 고정시키는 두 개의 다리 고정 벨트;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블록은 외피의 내부에 쿠션재가 채워지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환아의 두 넓적다리를 양쪽 바깥으로 벌리는 자세를 유지시키며,
상기 고정 블록의 상부는 수평한 평면으로 형성되는 허벅지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허벅지 지지부는 환아의 넓적다리 형태를 따라 호형의 골이 파여지는 안착 거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고관절 외전 보조기구.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허벅지 지지부에서 그 중심부에는 하부로 오목하게 파인 형태의 비접촉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고관절 외전 보조기구.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홈부는 역아치형으로 오목하게 파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고관절 외전 보조기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록의 양 측부는 아래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게 사선형으로 형성되는 종아리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고관절 외전 보조기구.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거터의 외면에는 엠보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고관절 외전 보조기구.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거터의 엠보싱은 골의 중심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커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고관절 외전 보조기구.
- 제 1항, 제 6항 내지 제 8항 그리고 제 10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록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 요 시트가 더 구비되며,
상기 보조 요 시트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부면의 하측에는 상기 고정 블록의 배면에 형성된 벨크로부와 결합될 수 있는 벨크로부가 구비되고, 그 상측에는 환아의 상체를 보조 요 시트에 고정시키는 상체 고정 벨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고관절 외전 보조기구.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요 시트는 외피의 내부에 쿠션재가 채워지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환아의 등과 엉덩이를 받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고관절 외전 보조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2406A KR102597317B1 (ko) | 2021-06-03 | 2021-06-03 | 영유아용 고관절 외전 보조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2406A KR102597317B1 (ko) | 2021-06-03 | 2021-06-03 | 영유아용 고관절 외전 보조기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3799A KR20220163799A (ko) | 2022-12-12 |
KR102597317B1 true KR102597317B1 (ko) | 2023-11-02 |
Family
ID=84391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72406A KR102597317B1 (ko) | 2021-06-03 | 2021-06-03 | 영유아용 고관절 외전 보조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97317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524874A (ja) * | 2010-03-31 | 2013-06-20 | ハロ イノベーションズ、インク. | 乳幼児股関節位置調整装置および関連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33678A (en) * | 1979-01-22 | 1984-02-28 | Spann Donald C | Disposable orthopedic support |
GB2109679B (en) * | 1981-04-22 | 1985-08-21 | Kassai Kk | Infant rearing instrument with seat |
KR20190000227U (ko) * | 2017-07-18 | 2019-01-28 | (주)월드케어 | 의료용 고관절 고정 기구 |
-
2021
- 2021-06-03 KR KR1020210072406A patent/KR10259731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524874A (ja) * | 2010-03-31 | 2013-06-20 | ハロ イノベーションズ、インク. | 乳幼児股関節位置調整装置および関連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3799A (ko) | 2022-12-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837040B2 (ja) | 乳幼児股関節位置調整装置および関連方法 | |
US8382692B1 (en) | Neck and spine support device for a neck in flexion | |
US5040525A (en) | Undergarment device for treating hip displacement and dislocation | |
US9827133B1 (en) | Selectively adjustable arm and shoulder support | |
US2935984A (en) | Abduction splint for correcting hip dysplasia | |
KR20200009787A (ko) | 아기 침대 | |
US10610400B1 (en) | Selectively adjustable arm and shoulder support | |
US20180071128A1 (en) | Removable Pediatric Hip Orthotic | |
KR102597317B1 (ko) | 영유아용 고관절 외전 보조기구 | |
KR20160087084A (ko) | 힙시트 허리밴드 보강 구조체 | |
US11051967B2 (en) | Functional fracture brace for femur fractures | |
KR200436422Y1 (ko) | 의료용 조립식 바지 | |
JP4930826B2 (ja) | 介護補助具 | |
WO2018117888A1 (en) | Diapers with inflatable segment for the prevention of hip displasia in newborn infants | |
EP2022450B1 (en) | Antirotation orthopedic cushion, in particular for post-traumatic and post-surgical treatment of the shoulder | |
Katz et al. | SEAT INSERT FOR CEREBRAL‐PALSIED CHILDREN WITH TOTAL BODY INVOLVEMENT | |
CN210812143U (zh) | 髋脱位石膏固定患儿坐凳 | |
JPH0218847B2 (ko) | ||
KR101640056B1 (ko) | 수유 시트 | |
CN211985836U (zh) | 一种髋关节固定支具 | |
CN221786872U (zh) | 一种组合式预防足外翻足下垂护理体位垫 | |
CN2403385Y (zh) | 婴幼儿先天性髋脱位校正架 | |
CN216725026U (zh) | 一种髋关节骨折后侧体位支撑器及支撑装置 | |
KR200414819Y1 (ko) | 배낭형 아기포대기 | |
KR20230002065U (ko) | 욕창 방지용 신체 고정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