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743B1 - 유산균 유래 세포외소포체 및 코엔자임큐텐 리포좀이 융합된 하이브리드 리포좀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유산균 유래 세포외소포체 및 코엔자임큐텐 리포좀이 융합된 하이브리드 리포좀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743B1
KR102596743B1 KR1020220133241A KR20220133241A KR102596743B1 KR 102596743 B1 KR102596743 B1 KR 102596743B1 KR 1020220133241 A KR1020220133241 A KR 1020220133241A KR 20220133241 A KR20220133241 A KR 20220133241A KR 102596743 B1 KR102596743 B1 KR 102596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osome
coenzyme
hybrid
extracellular vesicles
lact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3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5378A (ko
Inventor
이경현
이경훈
최태원
Original Assignee
(주) 네이처인트로
주식회사 네이처인트로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네이처인트로, 주식회사 네이처인트로제약 filed Critical (주) 네이처인트로
Publication of KR20230055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5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7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61K8/355Quin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산균 유래 세포외소포체 및 코엔자임큐텐 리포좀이 융합된 하이브리드 리포좀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리포좀은 유산균 유래 세포외소포와 코엔자임큐텐 리포좀이 융합된 것으로, 유산균 유래 세포외소포 및 코엔자임큐텐 리포좀을 각각 처리한 경우보다 더욱 현저히 증가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항산화 활성에 기초한 다양한 기능성 화장품의 소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산균 유래 세포외소포체 및 코엔자임큐텐 리포좀이 융합된 하이브리드 리포좀 및 이의 용도{HYBRID LIPOSOME CONJUGATED EXTRACELLULAR VESICLES DERIVED LACTIC ACID BACTERIA AND COENZYME Q10 LIPOSOME AND THE USE THEREOF}
본 발명은 유산균 유래 세포외소포체 및 코엔자임큐텐 리포좀이 융합된 하이브리드 리포좀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크게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조직의 3개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부 환경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 중, 표피는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의 순서로 구분되는데 가장 최외각층인 각질층은 브릭 앤 모르타르(brick and mortar)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각질 세포들은 벽돌 역할을 하고 있고, 세포간 지질들은 벽돌인 각질 세포들을 단단하게 잡아주는 모르타르 역할을 함으로써 피부장벽을 형성하는 구조로, 체외로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한편, 외부의 물리적이거나 화학적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한다.
또한, 각질층에는 수분 보유능력이 있는 친수성의 천연 보습 인자가 존재하여 피부 보습에 기여하며, 피지선에서 나온 피지들과 땀샘에서 분비되는 땀으로 형성되는 적절한 유분은 피부의 수분 손실을 최소화시켜 피부 보습을 유지한다.
그러나, 보습이 잘 유지되어 있는 건강한 피부라 하더라도 현대사회의 환경오염으로 인한 스트레스나, 바람, 혹한, 자외선 등의 외부환경, 자연적인 노화, 화장에 의한 피부 스트레스 등 여러 요인들로 인해 피부가 건조해지고 푸석해지며 거칠어지는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 이에, 피부 당김을 개선하고 보습력을 높이면서 피부의 진피 치밀도를 높여 건강한 피부를 구현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20-0138142호는 수선화, 백합 및 은방울꽃 구근 추출물이 피부의 수분 보유능을 향상시키고, 각질 개선, 피부자극 감소, 피부 탄력성 증가, 주름 개선 등의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피부 개선용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20-013814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유산균 유래 세포외소포체 및 코엔자임큐텐 리포좀이 융합된 하이브리드 리포좀 및 이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산균 유래 세포외소포 및 코엔자임큐텐 리포좀이 융합된 하이브리드 리포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이브리드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이브리드 리포좀을 포함하는 피부외용제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리포좀을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리포좀은 유산균 유래 세포외소포와 코엔자임큐텐 리포좀이 융합된 것으로, 유산균 유래 세포외소포 및 코엔자임큐텐 리포좀을 각각 처리한 경우보다 더욱 현저히 증가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항산화 활성에 기초한 다양한 기능성 화장품의 소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분리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 유래 세포외소포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조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 유래 세포외소포체(A) 및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 유래 세포외소포체와 코엔자임큐텐 리포좀의 하이브리드 리포좀(B)을 사용하여 나노입자추적분석을 수행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 유래 세포외소포체외 코엔자임큐텐 리포좀의 하이브리드 리포좀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유산균 유래 세포외소포 및 코엔자임큐텐 리포좀이 융합된 하이브리드 리포좀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세포외소포(extracellular vesicles, EV)"는 세포에서 분비되는 물질로서, 인지질 이중층으로 둘러싸여 있는 30 내지 1,000 ㎚ 크기의 소포를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세포외소포는 세포사멸체(apoptotic bodies), 미세소포(microvesicles) 및 엑소좀(exosome) 등을 포함한다. 상기 세포외소포는 대부분의 진핵세포에서 분비되며 RNA나 DNA 단편이나, 단백질과 같은 다양한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미세 환경을 조절하는 전달 수단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은 발효를 통해 유산을 주된 산물로 생산하는 세균들을 의미한다. 상기 발효는, 기질이 분해되면서 이산화탄소와 물을 생산하면서 에너지를 얻는 과정인 호흡과 달리, 기질을 혐기적 상태에서 불완전하게 분해하여 다양한 유기물을 생산하면서 에너지를 얻는 과정이다. 상기 유산균은 그람양성균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후벽균(firmicutes) 문 및 방선균(actinobacteria) 문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후벽균은 에어로코커스(aerococcus) 과, 카르노박테리아(carnobacteria) 과,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과,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과, 류코노스톡(leuconostoc) 과 및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과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선균은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과 및 코리오박테리아(coriobacteria) 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과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속, 파라락토바실러스(paralactobacillus) 속,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속 및 샤피아(sharpea) 속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리포좀에 사용되는 세포외소포는 락토바실러스 속, 파라락토바실러스 속, 페디오코커스 속 및 샤피아 속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산균으로부터 수득된 세포외소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락토바실러스 속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luter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코엔자임큐텐(coenzyme Q10)"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인체에 존재하는 다양한 조효소 중 하나를 의미한다. 상기 코엔자임큐텐은 고큐텐 또는 유비퀴논으로 표시하기도 하며, 체내에서 합성이 가능하다. 상기 코엔자임큐텐은 비타민 E와 유사작용을 하며, 피로회복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화학식 1]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리포좀(liposome)"은 인지질 이중층으로 형성된 작은 주머니 형태의 물질로서, 친수성 및 소수성 물질이 적절히 조합되어 양친매성을 나타내어, 체내에서 활성물질을 전달하는 전달체로서 주로 사용된다. 상기 리포좀은 인지질 이중층을 가지면서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통상적인 의미의 구형 입자일 수 있고, 인지질 이중층을 형성하는 인지질의 종류나 제조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일례로, 상기 인지질은 대두 레시틴, 난황 레시틴,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라이소레시틴 및 하이드로옥실레이티드 레시틴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지질은 필요에 따라 페길화된 인지질 또는 콜레스테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지질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일 수 있다.
상기 코엔자임큐텐 리포좀은 통상의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코엔자임큐텐은 리포좀을 제조한 후 포집되거나, 리포좀을 제조하는 과정에 함게 첨가되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포좀은 이의 내부에 코엔자임큐텐을 포집한 리포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엔자임큐텐 리포좀은 코엔자임큐텐 이외에도 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활성을 갖는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추가 성분은 하이드록시데실유비퀴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리포좀은 상기 식물 유래 세포외소포 및 코엔자임큐텐 리포좀을 융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융합은 통상적인 조건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 리포좀은, 식물 유래 세포외소포 및 코엔자임큐텐 리포좀을 구성하는 인지질 이중층이 융합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이브리드 리포좀은 식물 유래 세포외소포 및 코엔자임큐텐 리포좀은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이브리드 리포좀을 이의 전체를 기준으로 식물 유래 세포외소포를 1 내지 30%(v/v), 1 내지 25%(v/v), 1 내지 20%(v/v), 1 내지 15%(v/v), 1 내지 12%(v/v), 5 내지 25%(v/v), 5 내지 20%(v/v), 5 내지 15%(v/v), 5 내지 12%(v/v), 8 내지 25%(v/v), 8 내지 20%(v/v), 8 내지 15%(v/v) 또는 8 내지 12%(v/v)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리포좀은 폴리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통상의 기술분야에 알려진 모든 종류의 폴리올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한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폴리올은 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글리세롤, 프로판올, 1,2-헥산디올, 1,3-부칠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이소프렌글리콜, 솔비톨, 자일리톨, 에리스톨, 과당, 유당, 만니톨, 포도당, 설탕, 말토스 및 말디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올은 부틸렌글라이콜 및 글리세린일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 리포좀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이브리드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하이브리드 리포좀은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용어, "항산화 활성(antioxidant activity)"는 산화를 억제하는 작용으로서, 산소의 활성 및 반응 과정을 통해 생산되는 부산물인 활성산소종을 제거하고, 산화반응에 의해 손상된 DNA, 단백질, 지방 등을 보호하는 활성을 의미한다. 일례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미백, 주름개선, 항노화 및 탄력증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하이브리드 리포좀을 0.1 내지 50 중량%, 구체적으로 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을 목적으로 피부에 직접 도포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화장료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크림,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하이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로 클로로플루오로하이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로서 용매, 용매화제, 유탁화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의 예로는,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벤질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트라가칸트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설페이트, 알칼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담체 성분 이외에도, 보조제로서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보습제, 안료, 향료,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계면활성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이라면 모두 사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이브리드 리포좀을 포함하는 피부외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외용제에 포함되는 하이브리드 리포좀은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및 부형제는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유화 촉진제 및 완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형제는 유당, 덱스트린, 전분, 만니톨, 소르비톨, 글루코스, 사카로스, 미세결정 셀룰로스,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에 따라 적절히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파우더, 젤, 연고, 크림, 액체 및 에어로졸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리포좀을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을 가질 수 있으며, 항산화 활성에 기초하여 나타나는 다양한 기능성 소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 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1.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의 배양
세포외소포의 제조를 위해, 먼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을 다음과 같이 배양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을 갖는 혼합물을 1,000 rpm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여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의 배양배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배지를 121℃에서 15분 동안 고압으로 멸균하고, 이를 식혀 TBS(tryptic soy broth) 배양배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7 ℓ의 TSB 배양배지에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을 접종하고, 37℃의 조건에서 2일동안 교반배양하였다.
성분 함량(%)
정제수 90.000
펩톤 비-동물성 기원(peptone non-amino origin) 1.810
효모추출물(yeast extract) 2.175
글루코스(glucose) 3.620
구연산 트리암모늄(triammonium citrate) 0.362
아세트산나트륨(sodium acetate) 0.905
황산마그네슘(magnesium) 0.036
황산망간(maganese) 0.009
인산이칼륨(dipotassium phosphate) 0.362
트윈 80(tween 80) 0.181
그 결과,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유산균 유래 세포외소포의 분리
상기에서 수득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을 이용하여 세포외소포를 다음과 같이 분리하였다.
먼저, 상기 실시예 1에서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을 모아 호모믹서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이때 분쇄는 1,500 watt 및 20 ㎑의 조건으로 30분 동안 수행하였고, 5초 동안 펄스(pulse)를 켜고, 10초 동안 펄스를 중단하는 과정을 반복하였다. 분쇄된 분쇄물을 7,000 rpm으로 3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청액을 회수하고, 회수된 상청액을 12,000 rpm의 조건으로 30분 동안 다시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 후, 상청액만을 회수하여 0.2 ㎛의 포어(pore) 크기를 갖는 여과지로 여과하여 최종적으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 유래 세포외소포를 수득하였다.
그 결과,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의 세포외소포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을 도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 유래 세포외소포 및 코엔자임큐텐 리포좀의 하이브리드 리포좀의 제조
상기 수득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 유래 세포외소포를 코엔자임큐텐 리포좀과 혼합하여 하이브리드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먼저,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성분들을 혼합하고 700 rpm으로 30분 동안 교반하여 수득된 혼합물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조건으로 호모믹서기로 균질화시켰다.
성분 함량(%)
글리세린(glycerin) 40.75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20
정제수 18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9
하이드록시데실유비퀴논(hydroxydecyl ubiquinone) 2
유비퀴논(코엔자임큐텐)(ubiquinone(coenzyme Q10)) 0.25
여기에 실시예 2에서 수득된 세포외소포를 10% 첨가하고 동일한 조건으로 호모믹서기 처리하여 균질화시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 유래 세포외소포 및 코엔자임큐텐 리포좀의 하이브리드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하이브리드 엑소좀의 분석
상기에서 제조된 하이브리드 리포좀의 크기, 크기분포 및 수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나노입자추적분석(nanoparticle tracking analysis, NTA)을 수행함으로써 확인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서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 유래 세포외소포체를 사용하였고, 그 결과 수득된 그래프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리포좀은 약 100 내지 250 ㎚의 크기를 보였으며, 제조된 하이브리드 리포좀의 입자 크기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 유래 세포외소포체와 비교하여 증가하였다.
실험예 1. 하이브리드 리포좀의 항산화 활성
상기에서 제조된 하이브리드 리포좀의 항산화 활성을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분석함으로써 확인하였다. 실험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되었으며, 양성 대조군으로서 L-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을, 대조군으로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 유래 세포외소포체 및 코엔자임큐텐 리포좀을 각각 사용하였다. 그 결과, L-아스코르브산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값으로 계산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리포좀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 유래 세포외소포체 및 코엔자임큐텐을 각각 처리한 경우보다 더욱 현저히 증가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리포좀은 항산화 활성에 기초하는 기능적 소재로서 기능성 화장품 등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유산균 유래 세포외소포 및 코엔자임큐텐 리포좀이 융합된 하이브리드 리포좀으로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luteri)이고,
    상기 세포외소포는 하이브리드 리포좀 전체를 기준으로 10%(v/v) 포함하며,
    상기 하이브리드 리포좀의 크기는 100 내지 250 ㎚이고,
    상기 리포좀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으로 구성되며,
    하이브리드 리포좀의 내부에 하이드록시데실유비퀴논이 더 포집된 하이브리드 리포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엔자임큐텐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하이브리드 리포좀:
    [화학식 1]
    .
  6. 제1항의 하이브리드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20133241A 2021-10-18 2022-10-17 유산균 유래 세포외소포체 및 코엔자임큐텐 리포좀이 융합된 하이브리드 리포좀 및 이의 용도 KR1025967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38197 2021-10-18
KR1020210138197 2021-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378A KR20230055378A (ko) 2023-04-25
KR102596743B1 true KR102596743B1 (ko) 2023-11-02

Family

ID=86101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3241A KR102596743B1 (ko) 2021-10-18 2022-10-17 유산균 유래 세포외소포체 및 코엔자임큐텐 리포좀이 융합된 하이브리드 리포좀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674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46851A2 (en) 2017-06-29 2020-05-06 Amorepacific Corporation Anti-aging composition comprising lactic acid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958B1 (ko) 2015-03-24 2021-10-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구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46851A2 (en) 2017-06-29 2020-05-06 Amorepacific Corporation Anti-aging composition comprising lactic acid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착한피부 현명한 선택 스킨 부스터 셀엑소좀", 인터넷 URL: https://blog.naver.com/s9914112/222438585482*
에코팩토리 홈페이지, "코엔자임 Q10 [리포좀]", 인터넷 URL: https://www.ecofactory.co.kr/goods/view?no=9479
에코팩토리레시피, "코엔자임 파워엠플", 인터넷 URL: https://m.ecofactory.co.kr/board/view?id=recipe&seq=1080*
코스메틱저널코리아, "CJK 2021년 8월호 [특집] 주름 연구와 주름 개선 소재의 개발 5", 인터넷 URL: https://www.cosinkorea.com/news/article.html?no=40239*
코스모닝, "프로스테믹스, 하반기도 쾌속행진 예고", 인터넷 URL: https://www.cosmorning.com/mobile/article.html?no=37398*
코스인코리아닷컴, "에이치엔에이파마켐, 영국 IFSCC 2022서 '미래형 피부전달체' 4개 기술 발표", 인터넷 URL: https://wwwcosinkoreacom/news/articlehtml?no=4596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378A (ko) 202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2024B1 (ko) 다당체를 포함하는 유화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6028148A (ja) 外用組成物
KR101908977B1 (ko) 렌즈콩, 캐럽콩, 연꽃씨 및 퀴노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 수축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96741B1 (ko) 식물 캘러스 유래 세포외소포체 및 코엔자임큐텐 리포좀이 융합된 하이브리드 리포좀 및 이의 용도
KR102309300B1 (ko) 피부 주름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104214B1 (ko) 포타슘 알룸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09054A (ko) 나노베지클 비타톡스를 함유하여 항산화 효과 및 눈가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96743B1 (ko) 유산균 유래 세포외소포체 및 코엔자임큐텐 리포좀이 융합된 하이브리드 리포좀 및 이의 용도
WO2006101119A1 (ja) コラーゲン合成促進剤
KR102111058B1 (ko) 식물유래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ami-1109) 청보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73412B1 (ko) 유기농 에버라스팅의 미생물 발효를 통한 저분자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보호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0981343B1 (ko)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3676B1 (ko) 악마의 발톱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96745B1 (ko) 줄기세포 유래 세포외소포체 및 코엔자임큐텐 리포좀이 융합된 하이브리드 리포좀 및 이의 용도
KR102321532B1 (ko) 피부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는 리포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83326B1 (ko) 락토바실러스발효물, 락토코쿠스발효물, 효모폴리펩타이드,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포도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62224A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소루쟁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69684B1 (ko) 천연 미세침 분말과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및 모공축소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KR101865181B1 (ko) 피부 활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43628B1 (ko) 유산균을 함유하는 비립종 개선용 조성물
KR100858626B1 (ko) 세라마이드 및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입술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15076B1 (ko) 각질제거, 피부장벽 개선, 가려움증 완화, 색소침착 및 피부염증 완화의 복합효능을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83756B1 (ko) 복합효소가 처리된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77308B1 (ko) 역미셀을 형성하는 발효유화제를 이용한 감잎 추출물 및 비타민 b 포집 조성물
KR101865764B1 (ko) 천연 복합 추출물 및 미세침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