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614B1 - 케이블 교량의 케이블 정착 구조체 및 그 정착 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교량의 케이블 정착 구조체 및 그 정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614B1
KR102596614B1 KR1020220177910A KR20220177910A KR102596614B1 KR 102596614 B1 KR102596614 B1 KR 102596614B1 KR 1020220177910 A KR1020220177910 A KR 1020220177910A KR 20220177910 A KR20220177910 A KR 20220177910A KR 102596614 B1 KR102596614 B1 KR 102596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cable
wedge
strand
stra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7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현권
윤성문
이승길
강운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후레씨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후레씨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후레씨네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177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6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6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4Cable-stayed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4/00Arch-type b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4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wedging action, e.g. friction clamps
    • F16G11/044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wedging action, e.g. friction clamps friction clamps deforming the cable, wire, rope or cord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교량의 케이블 정착 구조체 및 정착 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탑이나 아치 부재 중 어느 하나와 바닥판을 연결하여 교량의 하중을 지지하는 다수의 강연선으로 이루어진 케이블을 정착하는 케이블 정착 구조체로서, 상기 강연선을 수용하는 덕트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을 중공부에서 수용하는 정착부 몸체와; 상기 정착부 몸체에 밀착되게 설치되고 상기 강연선이 하나씩 관통하는 다수의 쐐기공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쐐기공은 외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이 증가하는 경사 단면이 구비되는 앵커 블록과; 외주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다수의 분할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강연선마다 둘러싼 상태로 상기 쐐기공에 일부 이상 삽입되게 설치되는 쐐기 부재와; 상기 앵커 블록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강연선을 하나 이상 관통시키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위치 고정된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쐐기 부재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쐐기 부재를 탄성 복원력으로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공용 중에 돌풍이나 온도 변화에도 강연선의 단부가 앵커 블록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사장교나 아치교의 케이블의 설치 상태를 외력이나 계절 변화에 무관하게 항상 일정하게 하중을 분담하여, 교량의 고정 하중 및 활하중을 케이블에 의해 균일하고 신뢰성있게 지지하는 케이블 교량의 케이블 정착 구조체 및 그 정착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케이블 교량의 케이블 정착 구조체 및 그 정착 방법 {STRAND ANCHORAGE STRUCTURE OF CABLE-STAYED BRIDGE AND ANCHO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케이블 교량의 케이블 정착 구조체 및 그 정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의 하중을 지지하는 케이블이 풍하중 등의 활하중에 의하여 느슨해지는 것을 억제하여 교량의 내하 능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교량의 케이블 정착 구조체 및 그 정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교량 형식은 케이블의 인장 응력에 의해 교량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교량의 케이블의 상태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도1에 도시된 사장교(1)는, 서로 이격된 교대(50)의 사이에 주탑(10)을 세우고, 주탑(10)으로부터 연장된 케이블(30)을 바닥판(20)에 연결하여, 교량(1)에 작용하는 고정 하중 및 활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도2에 도시된 아치교(2)는, 서로 이격된 교대(50)의 사이에 아치 부재(10')를 세우고, 아치 부재(10')로부터 케이블(30)을 바닥판(20)에 연결하여, 교량(2)에 작용하는 고정 하중 및 활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1 및 도2에 도시된 교량(1, 2)의 케이블(30)은 양단부(A1, A2, A3, A4)에는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정착부(9, 9')에 의하여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30)은 다수의 강연선(ST)이 다발 형태로 형성되어 덕트(31)의 내부에 설치되며, 주탑(10)이나 아치 부재(10') 중 하나와 바닥판(20)을 연결하여 교량(1, 2)의 하중을 지지한다. 덕트(31)의 양끝단부에는 연결 튜브(32)가 연결되어, 정착부(9, 9')의 정착부 몸체(34)를 연결 튜브(32)와 연결시키는 매개 역할을 한다.
정착부 몸체(34)는 케이블(30)을 구성하는 다수의 강연선(ST)을 관통시키는 중앙 관통부를 구비한다. 정착부 몸체(34)의 외측 표면에 밀착 설치되는 앵커 블록(35)에 각각의 강연선(ST)을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쐐기를 이용하여 앵커 블록(35)에 강연선(ST)을 정착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사장교(1)나 아치교(2)에서 케이블(30)이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형태가 아니라 덕트(31)에 둘러싸인 상태로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풍하중 등의 활하중에 케이블(30)이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태풍이나 급작스러운 돌풍 등에 의한 풍하중에 의하여, 강연선(ST)의 단부를 하나씩 고정하는 쐐기 부재가 앵커 블록(35)으로부터 이탈하면서, 다수의 강연선 다발 중에 일부가 느슨해지면서 하중을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30)의 설치길이가 긴 경우에, 계절 변화에 따른 온도차로 인하여 케이블(30)이 신장되면서, 정착부(9, 9')의 앵커 블록(35)으로부터 쐐기 부재가 이탈할 가능성도 안고 있다.
더욱이, 사장교(1)나 아치교(2)는 케이블(30)이 수직 방향 성분을 갖는 형태로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케이블(30)을 형성하는 다수의 강연선(ST)에는 중력에 의해 외력이나 열에 의한 신장에 의해 쐐기 부재가 앵커 블록으로부터 이탈하기 쉬운 환경이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교량의 안전성과 내하 능력 저하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상기의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일 이전에 공지된 구성이 아니며, 본 발명과 대비하기 위한 구성을 기재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장교나 아치교에서 하중을 지지하는 케이블의 단부를 정착하는 정착부에서, 각각의 강연선이 앵커 블록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교량의 성능 유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교량의 케이블 정착 구조체 및 그 정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경사지게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케이블이 돌풍이나 온도 변화에도 불구하고, 각 강연선에 고정된 쐐기 부재가 앵커 블록의 쐐기공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제자리를 안정되게 유지시켜, 설치 당시의 모든 강연선이 교량에 작용하는 하중을 예정된 비율로 일정하게 분담하여 지지함으로써, 교량의 내하 능력의 신뢰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다수의 강연선 다발의 끝단부에서 중력에 의한 처짐에 의해 균일하지 않은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강연선에 끼워진 쐐기 부재를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현장에서 쉽고 견고하게 설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탑이나 아치 부재 중 어느 하나와 바닥판을 연결하여 교량의 하중을 지지하는 다수의 강연선으로 이루어진 케이블을 정착하는 케이블 정착 구조체로서, 상기 강연선을 수용하는 덕트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을 중공부에서 수용하는 정착부 몸체와; 상기 정착부 몸체에 밀착되게 설치되고 상기 강연선이 하나씩 관통하는 다수의 쐐기공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쐐기공은 외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이 증가하는 경사 단면이 구비되는 앵커 블록과; 외주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다수의 분할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강연선마다 둘러싼 상태로 상기 쐐기공에 일부 이상 삽입되게 설치되는 쐐기 부재와; 상기 앵커 블록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강연선을 하나 이상 관통시키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위치 고정된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쐐기 부재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쐐기 부재를 탄성 복원력으로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교량의 케이블 정착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탑이나 아치 부재 중 어느 하나와 바닥판을 연결하여 교량의 하중을 지지하는 다수의 강연선으로 이루어진 케이블을 정착하는 케이블 정착 방법으로서, 주탑이나 아치 부재 중 어느 하나와 바닥판의 사이에 설치된 덕트와 연결된 정착부 몸체에 앵커 블록을 밀착시키는 정착블록 설치단계와; 상기 강연선을 상기 덕트 내부에 삽입 설치하되, 상기 강연선이 상기 앵커 블록의 쐐기공에 하나씩 통과되게 설치하는 케이블 설치단계와; 상기 강연선의 끝단부에 쐐기 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쐐기 부재의 일부가 상기 쐐기공의 경사부에 일부 이상 삽입시키는 쐐기부재 설치단계와; 상기 강연선의 끝단부의 상기 쐐기 부재의 외측에 가압 스프링을 하나씩 설치하는 가압 스프링 설치단계와; 상기 강연선의 끝단부를 지지 부재의 관통공에 관통시킨 상태로, 상기 가압 스프링을 상기 앵커 블록과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 부재를 설치하는 지지부재 설치단계와;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앵커 블록을 향하여 이동시켜 상기 가압 스프링을 압축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가압 스프링에 의한 탄성 복원력이 상기 쐐기 부재를 상기 쐐기공을 향하여 밀어내는 가압력으로 작용하게 하는 지지부재 가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가압 스프링에 의한 가압력이 상기 쐐기 부재에 작용한 상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교량의 케이블 정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케이블'은 스트랜드(strand)로 형성된 강연선이 다발 형태로 형성된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종방향' 또는 '길이 방향'은 강연선의 연장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외측' 및 이와 유사한 용어는 강연선의 중앙부로부터 끝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측' 및 이와 유사한 용어는 강연선의 끝단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하는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측방향' 및 이와 유사한 용어는 강연선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장교나 아치교에서 하중을 지지하는 케이블의 단부를 정착하는 정착부에서, 각각의 강연선을 앵커 블록에 고정하는 쐐기 부재가 가압 스프링에 의해 앵커 블록의 내측으로 밀착하도록 강제적으로 가압력을 가함으로써, 돌풍이나 온도 변화에도 강연선의 단부가 앵커 블록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케이블에 의하여 교량의 고정 하중 및 활하중을 신뢰성있고 균일하게 지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지지 부재를 2개 이상으로 분할 형성하고, 하나의 관통공에 다수의 강연선을 수용하는 슬롯 형태의 관통공으로 형성하여, 측방향에서 분할 형성된 지지 부재를 삽입하여 2개 이상의 강연선이 슬롯 형태의 관통공에 관통하도록 설치함으로써, 단부에서의 처짐량 편차가 있어서 끝단에서부터 강연선을 관통공에 삽입시키는 공정이 매우 곤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현장에서의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사장교나 아치교의 케이블의 설치 상태를 외력이나 계절 변화에 무관하게 항상 일정하게 하중을 분담하게 되어, 교량의 내하 능력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사장교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2는 일반적인 아치교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3a은 도1 및 도2의 개별 케이블의 설치 구성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3b는 도3a의 'A'부분의 확대도,
도4는 케이블 단부의 종래 정착부의 구성을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교량의 케이블 정착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도5의 'B'부분의 확대도,
도7은 도5의 지지 부재를 외측에서 바라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8a 내지 도8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교량의 케이블 정착 방법에 따른 순차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9a 및 도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할 형태의 지지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할 형태의 지지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11a 및 도1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할 형태의 지지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교량의 케이블 정착 구조체(100)를 상술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3a 및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교량의 케이블 정착 구조체(100)는, 도1 에 도시된 사장교(1)나 도2에 도시된 아치교(2)에 적용되며, 강연선 다발로 이루어진 케이블(30)의 끝단부를 중공부에서 수용하여 관통시키는 정착부 몸체(110)와, 정착부 몸체(110)의 외측면에 밀착 설치되고 강연선(ST)을 하나씩 관통시키는 쐐기공(122)이 형성된 앵커 블록(120)과, 강연선(ST)마다 하나씩 끼워져 쐐기공(122)에 끼워지는 쐐기 부재(130)와, 쐐기 부재(130)의 외측에서 가압력(Fk)을 작용하는 가압 스프링(140)과, 가압 스프링(140)의 외측단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블(30)은, 도1에 도시된 사장교(1)에서 주탑(10)과 바닥판(20)을 다수의 위치에서 연결하여 바닥판(20)을 지지하거나, 도2에 도시된 아치교(2)에서 아치 부재(10')와 바닥판을 다수의 위치에서 연결하여 바닥판(2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각 위치를 연결하는 케이블(30)은 다수의 강연선(ST)이 다발 형태로 형성되고, 주탑(10)이나 아치 부재(10') 중 어느 하나(이하, 간단히 도1을 기준으로 '주탑(10)'이라고 칭하기로 한다)와 바닥판(20)의 사이에 설치되는 케이블(30)의 대부분이 덕트(31)에 의하여 외부에 드러나지 않게 설치된다. 케이블(30)의 양단부에는 정착 구조체(100)가 설치되어, 강연선(ST)마다 미리 정해진 인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 때, 주탑(10)과 바닥판(2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정착 구조체는 인장잭이 설치되어 강연선(ST)마다 인장력을 도입하는 가동 정착부로서의 역할을 하고, 주탑(10)과 바닥판(20)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는 정착 구조체는 강연선에 인장력이 도입될 때에 강연선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 정착부로서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착 구조체(100)는 가동 정착부와 고정 정착부에 대하여 모두 적용 가능하다.
케이블(30)을 형성하는 각각의 강연선(ST)은 공용 중에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피복(CST)이 입혀진 피복 강연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블록(120)의 쐐기공(122)을 통과하는 영역에서의 각 강연선은 쐐기 부재(130)와의 밀착을 위하여 피복이 벗겨진 상태의 강연선으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커 블록(120)의 내측으로부터 끝단까지의 강연선은 피복이 제거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정착부 몸체(110)는, 케이블(30)을 둘러싸는 덕트(31)로부터 연결되며, 그 사이에 연결 튜브(32) 등이 개재될 수 있다. 정착부 몸체(110)는 설치되는 주탑(10)이나 바닥판(20) 등에 고정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112)가 마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형태로 주탑(10)이나 바닥판(20)에 고정되는 형상을 모두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정착부 몸체(110)의 외주면에는 너트(미도시)가 구비되어, 주탑(10)이나 바닥판(20)에 정착부 몸체(110)를 위치 고정시키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정착부 몸체(110)에는 중앙부에 중공부(110s)가 마련되어, 강연선 다발이 위치 구속되지 않은 상태로 통과하는 형태로 정착부 몸체(110)에 수용된다.
상기 앵커 블록(120)은 정착부 몸체(110)의 외측 표면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가동 정착부에 설치된 인장잭에 의해 강연선에 도입되는 인장력의 반력을 정착부 몸체(110)에 지지한다. 필요에 따라, 앵커 블록(120)과 정착부 몸체(110)의 사이에 추가적인 추가 부재가 개재될 수 있는데,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정착부 몸체에는 추가 부재가 포함되는 구성으로 본다.
앵커 블록(120)에는 미리 정해진 패턴으로 강연선(ST)을 하나씩 통과시키는 쐐기공(122)이 마련된다.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공(122)의 외측 끝단부에는 쐐기 부재(130)를 하나씩 일부 이상 수용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이 증가하는 경사단면(122a)이 형성된다.
앵커 블록(120)에는 지지 부재(150)를 위치 고정시키기 위하여 암나사산이 형성된 고정공(124)이 구비되고, 강연선(ST)의 끝단부에 밀봉재를 채울 수 있도록 커버(160)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암나사산이 형성된 결합공(126)이 구비된다.
상기 쐐기 부재(130)는, 원뿔과 유사한 외주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쐐기공(122)의 경사 단면(122a)에 밀착하도록 강연선(ST)마다 설치된다. 쐐기 부재(130)는 강연선의 둘레를 따라 다수로 분할 형성되고, 탄성링에 의해 강연선(ST)의 둘레를 감은 상태로 다수의 분할 쐐기 부재가 하나로 거동할 수 있게 결합된다. 대체로, 하나의 쐐기 부재(130)는 120도의 원주각을 이루는 3개의 분할 쐐기 부재로 형성되어, 일측과 타측의 요홈에 탄성링이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각각의 쐐기 부재(130)는 강연선(ST)을 둘러싼 형태로 쐐기공(122)의 경사 단면(122a)에 경사진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설치되며, 일부 또는 전부가 쐐기공(122)에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가압 스프링(140)은, 내측단이 쐐기 부재(130)에 접촉하고, 외측단이 지지 부재(150)에 접촉하는 형태로, 강연선(ST)마다 설치된다. 가압 스프링(140)은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어,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려는 탄성 복원력에 의한 가압력(Fk)을 쐐기 부재(130)에 작용시켜, 쐐기 부재(130)로 하여금 쐐기공(122)에 삽입되게 하는 힘을 항상 작용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가압 스프링은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쐐기 부재(130)에 가압력(Fk)을 작용시키는 판스프링 등 다양한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스프링(140)은 강연선(ST)마다 하나씩 지지 부재(150)와 쐐기 부재(130)의 사이에 개재된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된다. 이를 통해, 강연선(ST)에 설치된 가압 스프링(140)이 일단 설치된 이후에 제위치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며, 가압 스프링(140)의 내측단이 쐐기 부재(130)에 항상 접촉하는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쐐기 부재(130)가 쐐기공(122)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정확하게 가압력(Fk)을 도입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은 자유 길이로부터 미리 정해진 압축 길이만큼 압축시키는 것에 의하여, 탄성 복원력을 일정하게 발현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쐐기 부재(130)를 밀어내는 가압력(Fk)의 크기를 일정하게 구현하는 이점도 얻을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150)는, 앵커 블록(120)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강연선(ST)을 관통시키는 관통공(152)이 마련되어 위치 고정된다. 지지 부재(150)의 이격 위치는 가압 스프링(140)을 압축시키는 압축 길이를 조절하도록 앵커 블록(120)의 외측면으로부터의 간격이 정해진다.
바람직하게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블록(120)의 고정공(124)에 볼트봉(153)이 체결 고정되고, 볼트봉(153)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 너트(154)가 앵커 블록(120)의 외표면에 밀착설치된 상태에서, 지지 부재(150)는 볼트봉(153)을 따라 이동(150d) 가능해진다. 그리고, 볼트봉(153)에 체결된 2개의 조절 너트(153a, 155)의 사이에 배치된 지지 부재(150)는, 볼트봉(153)에서의 조절 너트(153a, 155)의 위치에 의해 지지 부재(150)와 앵커 블록(120)의 외표면 사이의 이격 거리가 정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볼트봉(153)을 따라 이동하는 조절 너트(153a, 155) 중 외측에 위치한 조절 너트(153a)는 볼트봉(153)의 머리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지지 부재(150)는, 앵커 블록(120)에 고정된 볼트봉(153)을 따라 이동하는 조절 너트(153a, 155)에 의하여 앵커 블록(120)으로부터 거리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볼트봉(153)에서의 조절 너트(153a, 155)에 의하여 지지 부재(150)가 가압 스프링(140)을 압축시켜 가압 스프링(140)의 쐐기 부재(130)에 대한 가압력(Fk)이 조절된다. 따라서, 지지 부재(150)의 최종 설치 위치는 가압 스프링(140)의 미리 정해진 압축 길이만큼 가압 스프링(140)을 압축시키는 위치로 정해진다.
따라서, 동일한 자유장을 갖는 가압 스프링(140)이 다수의 강연선(ST)에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 부재(150)를 미리 정해진 위치로 조절 너트(153a, 155)로 이동시키면, 각각의 가압 스프링(140)이 동일한 압축 길이만큼 압축되면서, 가압 스프링(140)의 쐐기 부재(130)를 쐐기공(122)을 향하여 밀어내는 가압력(Fk)을 균일하게 맞출 수 있다.
한편, 지지 부재(150)는 가압 스프링(140)을 압축시키면서 휨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휨 강성을 갖는 두께와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150)는 강재 등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50)는 앵커 블록(120)의 쐐기공(122)과 동일한 패턴의 관통공(152)이 형성되어 강연선(ST)을 하나씩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30)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앵커 블록(120)의 쐐기공(122)을 관통한 각 강연선(ST)의 끝단부는 중력에 의해 처짐(e)이 발생된다. 강연선(ST)의 끝단부는 앵커 블록(120)의 외측으로 동일한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의도되지만, 실제로 교량의 시공 현장에서는, 앵커 블록(120)의 외측으로 돌출된 강연선(ST)의 끝단부 길이는 제각각 차이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연선(ST)을 하나씩 관통시키는 관통공(152)이 형성된 지지 부재(150)를 이용하면, 강연선(ST)의 단부 외측으로부터 지지 부재(150)를 접근시켜 관통공(152)에 강연선(ST)의 끝단부를 하나씩 삽입해야 한다. 그러나, 이 공정은 매우 까다롭고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강연선(ST)의 높은 휨 강성을 고려하면, 현장에서 수작업으로 작업자가 지지 부재(150)의 관통공(152)에 강연선(ST)의 끝단부를 삽입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시공상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9a 내지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250)는 제1지지부재(250A)와 제2지지부재(250B)를 포함하는 2개 이상으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각 지지부재(250A, 250B)의 다수의 관통공(252A, 252B)은 강연선의 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롯 형태로 형성되어, 각 지지부재(250A, 250B)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슬롯 형태의 관통공(252A, 252B)에 2개 이상의 강연선(ST)이 하나씩 삽입되면서 수용되게 한다.
그러면, 서로 분할된 제1지지부재(250A)와 제2지지부재(250B)는, 강연선(ST)의 단부 외측으로부터 접근하는 대신에, 도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연선(ST)의 측방향에서 강연선(ST)에 접근(150x)하여 상호 결합면이 맞닿도록 이동시키면,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 형태의 관통공(250A, 250B)에 강연선(ST)을 서로 이격 배치되게 수용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앵커 헤드(120)의 외측으로 돌출된 강연선(ST)의 길이와 처짐량(e)이 서로 다르더라도, 앵커 헤드(120)의 쐐기공(122)의 일직선 배열 방향으로 분할된 제1지지부재(250A)와 제2지지부재(250B)를 상호 접근(150x)시킴으로써, 제1지지부재(250A)와 제2지지부재(250B)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각 관통공(252A, 252B)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슬롯 형태의 각 관통공에 강연선(ST)을 하나씩 수용하여 강연선(ST)을 이격되게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삭제
그리고, 슬롯 형태의 관통공(252A, 252B; 252)을 관통하는 강연선(ST)에 끼워진 가압 스프링(140)은 슬롯 형태의 관통공(252)의 바깥부분(140s)과 지지 부재(250)와 접촉하면서, 지지 부재(250)의 조절된 위치에 따라 압축 길이만큼 압축되어, 가압 스프링(140)이 탄성 복원력에 의한 가압력(Fk)으로 쐐기 부재(130)를 내측을 향하여 밀어낼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도9a 및 도9b에 도시된 지지 부재(250)의 설치 공정은 도7에 도시된 지지 부재(150)에 비하여 훨씬 쉽고 간단하게 행해질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제1지지부재(250A)와 제2지지부재(250B)가 서로 맞닿는 면에는 서로 맞물리는 돌기(258B)과, 돌기(258B)를 수용하는 요홈부(258A)가 마련된다. 이를 통해, 제1지지부재(250A)와 제2지지부재(250B)가 결합을 위하여 상호 밀착한 상태에서 돌기(258B)와 요홈부(258A)가 전단키 역할을 하면서, 2개 이상으로 형성된 분할 지지 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휨 강성을 보다 높게 확보할 수 있다.
도면에는 지지 부재(250)가 2개의 분할 지지 부재(250A, 250B)로 구성된 것으로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3개 이상의 분할 지지 부재로 형성되는 구성을 포함한다.
각각의 분할 지지 부재(250A, 250B)에는 앵커 블록(120)에 고정되는 볼트봉(153)의 조절 너트(155)에 의해 위치 조절을 위한 조절공(251)이 2개 이상씩 구비되어, 각각의 분할 지지 부재(250A, 250B)가 앵커 블록(120)의 외표면으로부터의 이격 거리를 조절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연선(ST)의 측방향으로 접근한 제1지지부재(250A)와 제2지지부재(250B)는 상태에서 돌기(258A)와 요홈부(258B)가 서로 끼워져 밀착되고, 이 상태에서 조절 너트(153a, 155)에 의하여 지지 부재(250)와 앵커 블록(12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면서, 미리 정해진 압축 높이만큼 가압 스프링(140)을 압축하면서 쐐기 부재(130)를 쐐기공(122)의 내측으로 밀어내는 가압력(Fk)을 작용시킨 상태로 케이블 정착 구조체(100)가 설치됨으로써, 공용 중에 강연선에 갑작스럽게 큰 풍하중이 작용하거나 온도 변화에 의해 인장되더라도, 가동정착부와 고정정착부에서의 강연선의 단부가 앵커 블록(120)의 쐐기공(12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교량의 안정된 내하 능력을 발현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350)는 2개 이상의 분할된 제1지지부재(350A)와 제2지지부재(350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강연선(ST)의 측방향에서 접근(150x)하여 이들(350A, 350B)이 서로 접촉하여 결합되고, 이들(350A, 350B)의 결합 상태에서 서로 맞물리는 돌기(358B)와 요홈부(358A)가 마련될 수 있다.
제1지지부재(350A)와 제2지지부재(350B)의 결합을 위하여, 제1지지부재(350A)의 외주면의 일부 이상과 제2지지부재(350B)의 외주면의 일부 이상을 동시에 둘러싸는 결합 부재(357)가 구비되고, 결합 부재(357)를 관통하여 제1지지부재(350A)와 제2지지부재(350B)에 고정되는 고정 수단(357a)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지지부재(350A)와 제2지지부재(350B)는 전단키 역할을 하는 돌기(358B)와 요홈부(358A) 이외에 결합 부재(357)와 고정 수단(357a)에 의하여 견고하게 결합되어 하나의 몸체로 형성된 것처럼 거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고정 수단(357a)은 핀, 볼트 등 다양한 체결 수단이나 결합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지지부재(350A)와 제2지지부재(350B)의 외주면에 평탄면이 구비되어, 일직선 형태의 결합 부재(357)가 제1지지부재(350A)와 제2지지부재(350B)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제1지지부재(350A)와 제2지지부재(350B)의 외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더라도, 결합 부재가 제1지지부재(350A)와 제2지지부재(350B)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이들(350A, 350B)을 외주면에서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인 351은 볼트봉(122)이 관통하는 조절공을 도시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11a 및 도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450)는 2개 이상의 분할된 제1지지부재(450A)와 제2지지부재(450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강연선(ST)의 측방향에서 접근(150x)하여 이들(450A, 450B)이 서로 접촉하여 결합된다.
여기서, 제1지지부재(450A)와 제2지지부재(450B)는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두께가 더 얇아 서로 중첩되는 중첩 영역(A15)이 구비되고, 중첩 영역(A15)에 서로 정렬되는 관통공(459)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지지부재(450A)와 제2지지부재(450B)가 결합되는 결합 위치에서, 중첩 영역(A15)에서 정렬되는 관통공(159)을 관통하는 볼트나 핀 등의 연결 수단(459x)에 의해 제1지지부재(450A)와 제2지지부재(450B)가 결합된다. 이를 통해, 제1지지부재(450A)와 제2지지부재(450B)가 보다 견고하게 일체로 결합되어 가압 스프링(140)에 큰 힘을 인가하는 데 유리해지며, 돌기와 요홈부 형태가 아니더라도 전단키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인 451은 볼트봉(122)이 관통하는 조절공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케이블 교량의 케이블 정착 구조체(100)를 주탑(10)이나 아치 부재(10') 중 어느 하나와 바닥판(20)을 연결하여 교량의 하중을 지지하는 다수의 강연선으로 이루어진 케이블을 정착하는 케이블 정착 방법(S100)을 상술한다.
단계 1: 먼저, 시공하고자 하는 교량의 주탑(10)과 아치 부재(10') 중 어느 하나와 바닥판(20)의 사이에,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31)와, 연결 튜브(32)와, 정착부 몸체(110)를 연결 설치하고, 앵커 블록(120)을 정착부 몸체(110)의 외측에 위치시킨다.
이 때, 케이블의 양단부의 정착부 중에 강연선이 삽입될 정착부에서는 앵커 블록(120)을 미리 정착부 몸체(110)의 외측면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단계 2: 그리고,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강연선(ST)을 덕트(31)의 내부에 삽입 설치한다. 이 때, 삽입되는 각각의 강연선(ST)이 앵커 블록(120)의 쐐기공(122)에 하나씩 통과되게 케이블(30)을 설치하며, 강연선의 양단부에서 피복을 제거하여, 케이블(30)을 이루는 다발 형태의 다수의 강연선(ST)은 피복(CST)이 벗겨진 상태로 쐐기공(122)을 통과하도록 한다.
그 다음, 앵커 블록(120)을 정착부 몸체(110)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위치 고정시킨다. 예를 들어, 앵커 블록(120)을 관통하는 구멍(미도시)에 고정 볼트(미도시)를 관통시켜 정착부 몸체(110)의 볼트공에 결합시키는 방식에 의해 앵커 블록(120)을 정착부 몸체(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단계 3: 그리고 나서,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블록(120)의 쐐기공(122)을 통과한 강연선(ST)의 끝단부마다 쐐기 부재(130)를 설치하여, 쐐기 부재(130)의 경사면이 쐐기공(122)의 경사부(122a)에 밀착되도록, 쐐기 부재(130)를 쐐기공(122)에 일부 이상 삽입(130x)되게 설치한다.
단계 4: 그 다음, 도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연선(ST)의 끝단부마다 가압 스프링(140)이 감싸는 형태로 형태로 삽입(140x)하여 설치한다.
단계 5: 그리고 나서, 도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50)의 관통공(152)에 강연선(ST)이 통과하도록 지지 부재(15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앵커 블록(112)의 고정공(124)에 볼트봉(153)을 고정시켜 조절 너트(153a, 155)에 의해 지지 부재(150)가 앵커 블록(12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시킨다.
예를 들어, 이는, 앵커 블록(120)에 볼트봉(122)을 고정시키고, 지지 부재(150, 250, 350, 450)의 조절공(151, 251, 351, 451)에 볼트봉(122)을 관통시키되, 지지 부재(150, 250, 350, 450)의 양면에 조절 너트(153a, 155)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가압 스프링(140)은 앵커 블록(120)과 지지 부재(15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도7에 도시된 지지 부재(150)는 강연선(ST)의 끝단을 관통공(152)에 통과시키는 방식으로 설치되지만, 도9a 내지 도11b에 도시된 분할 형태의 지지 부재(250, 350, 450)를 이용함으로써, 강연선(ST)의 측방향에서 접근(150x)시켜 슬롯 형태의 관통공(252, 352, 452) 중 어느 하나 이상에 2개 이상의 강연선이 수용되도록 상호 결합되게 설치되므로, 설치 시간과 공정이 매우 단순하면서도 쉽게 행해질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단계 6: 그리고 나서, 도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50, 250, 350, 450)를 앵커 블록(120)을 향하여 이동시켜 가압 스프링(140)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압축 변형시킨다.
즉, 앵커 블록(120)에 고정된 볼트봉(122)이 지지 부재(150, 250, 350, 450)의 조절공(151, 251, 351, 451)에 관통하고, 지지 부재(150, 250, 350, 450)의 양면에 조절 너트(153a, 155)를 배치시킨 상태에서, 볼트봉(122)에 체결된 조절 너트(153a, 155)의 체결 위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지지 부재(150, 250, 350, 450)와 앵커 블록(120) 사이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면서, 가압 스프링(140)이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압축된다.
이를 통해, 가압 스프링(140)은 원래의 모양으로 복귀하려는 탄성 복원력이, 가압 스프링(140)의 내측단에 접촉하는 쐐기 부재(130)에 가압력(Fk)으로 작용하여, 강연선(ST)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쐐기 부재(130)를 쐐기공(122)을 향하여 밀어내는 힘이 가해지는 상태가 된다.
단계 7: 그리고나서, 정착부 몸체(110)에 커버(160)를 씌우고, 앵커 블록(120)에 고정 볼트(162)를 이용하여 커버(160)를 고정시킨다. 이 때, 커버(160)와 정착부 몸체(110)의 사이에는 밀봉링이 구비되어 외부와 차단된 상태가 되며, 커버(160)에 형성된 주입구(미도시)를 통해 밀봉액을 충진하여, 강연선(ST)의 부식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가압 스프링(140)에 의한 가압력(Fk)이 쐐기 부재(140)에 작용한 상태로 설치됨에 따라, 교량의 시공 이후에, 돌풍이나 태풍에 의해 강연선(ST)에 갑작스런 큰 풍하중이 작용하더라도, 강연선(ST)과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는 쐐기 부재(130)가 쐐기공(12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교량의 안정된 내하 능력을 발현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쐐기 부재(130)에 가압력(Fk)을 인가하는 지지 부재를 2개 이상의 분할 지지 부재로 형성하고, 슬롯 형태의 관통공을 형성하여, 분할 지지 부재를 강연선(ST)의 측방향에서 접근(150x)시켜 상호 결합시킴에 따라, 앵커 블록(120)을 통과한 강연선의 길이 편차와 처짐 편차에도 불구하고, 짧은 시간에 지지 부재의 설치가 용이해지므로, 케이블 교량의 정착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면서도 강연선을 견고하게 앵커 블록에 고정시키는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전술한 실시예의 일부 구성만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포함한다.
1: 사장교 2: 아치교
100: 케이블 정착 구조체 110: 정착부 몸체
120: 앵커 블록 122: 쐐기공
130: 쐐기 부재 140: 가압 스프링
150, 250, 350, 450: 지지 부재 151, 251, 351, 451: 조절공
152, 252, 352, 452: 관통공 160: 커버

Claims (16)

  1. 주탑이나 아치 부재 중 어느 하나와 바닥판을 연결하여 교량의 하중을 지지하는 다수의 강연선이 다발 형태로 이루어진 케이블을 정착하는 케이블 정착 구조체로서,
    상기 강연선을 수용하는 덕트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을 중공부에서 수용하는 정착부 몸체와;
    상기 정착부 몸체에 밀착되게 설치되고 상기 강연선이 하나씩 관통하는 다수의 쐐기공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쐐기공은 외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이 증가하는 경사 단면이 구비되는 앵커 블록과;
    외주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다수로 분할 형성되어, 상기 강연선마다 둘러싼 상태로 상기 쐐기공에 일부 이상 삽입되게 설치되는 쐐기 부재와;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여 2개 이상으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강연선의 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롯 형태의 관통공이 다수 구비되어, 상기 강연선의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강연선이 하나씩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면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관통공에서 2개 이상의 강연선이 각각 수용되게 하고,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다수의 상기 강연선이 상기 관통공에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앵커 블록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위치 고정되게 설치되는 지지 부재와;
    상기 강연선을 감싸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쐐기 부재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쐐기 부재를 탄성 복원력으로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가압 스프링에 의한 가압력이 상기 쐐기 부재에 작용한 상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교량의 케이블 정착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연선은 피복이 입혀진 피복 강연선이고, 상기 쐐기공을 통과하는 영역에서의 상기 강연선은 피복이 제거된 강연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교량의 케이블 정착 구조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앵커 블록에 고정된 볼트봉을 따라 이동하는 조절 너트에 의해 상기 앵커 블록으로부터 거리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볼트봉에서의 상기 조절 너트에 의하여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가압 스프링을 압축시켜 상기 가압 스프링의 상기 쐐기 부재에 대한 가압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교량의 케이블 정착 구조체.
  4.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는 일부에 걸쳐 중첩되고, 중첩되는 부분을 관통하는 연결 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교량의 케이블 정착 구조체.
  5.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의 외주면의 일부 이상과 상기 제2지지부재의 외주면의 일부 이상을 동시에 둘러싸는 결합 부재와;
    상기 결합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에 고정되는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교량의 케이블 정착 구조체.
  6.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의 서로 맞닿는 면에는 서로 맞물리는 돌기와 요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교량의 케이블 정착 구조체.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주탑이나 아치 부재 중 어느 하나와 바닥판을 연결하여 교량의 하중을 지지하는 다수의 강연선이 다발 형태로 이루어진 케이블을 정착하는 케이블 정착 방법으로서,
    주탑이나 아치 부재 중 어느 하나와 바닥판의 사이에 설치된 덕트와 연결된 정착부 몸체에 다수의 강연선을 상기 덕트 내부에 삽입 설치하면서, 강연선이 앵커 블록의 쐐기공에 하나씩 통과되게 케이블을 설치하는 케이블 설치단계와;
    상기 강연선의 끝단부에 쐐기 부재를 설치하되, 상기 쐐기 부재의 일부가 상기 쐐기공에 일부 이상 삽입되게 설치하는 쐐기부재 설치단계와;
    상기 강연선의 끝단부의 상기 쐐기 부재의 외측에 각각의 상기 강연선을 감싸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된 가압 스프링을 설치하는 가압 스프링 설치단계와;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여 2개 이상으로 분할 형성된 지지 부재를 결합하여 상기 앵커 블록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위치 고정되게 설치하되,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강연선의 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롯 형태의 관통공이 다수 구비되어, 상기 강연선의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강연선이 하나씩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면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관통공에서 2개 이상의 강연선이 각각 수용되게 하고,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를 서로 결합시키고,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다수의 상기 강연선이 상기 관통공에서 이격 배치되어, 상기 가압 스프링을 상기 앵커 블록과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되게 설치하는 지지부재 설치단계와;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앵커 블록을 향하여 이동시켜 상기 가압 스프링을 압축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가압 스프링에 의한 탄성 복원력이 상기 쐐기 부재를 상기 쐐기공을 향하여 밀어내는 가압력으로 작용하게 하는 지지부재 가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가압 스프링에 의한 가압력이 상기 쐐기 부재에 작용한 상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교량의 케이블 정착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설치단계는,
    상기 앵커 블록에 볼트봉을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 부재에 미리 형성된 조절공에 상기 볼트봉을 관통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교량의 케이블 정착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가압단계는,
    상기 볼트봉에 체결된 조절 너트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앵커 블록에 대한 이격 거리가 조절되면서,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쐐기 부재 사이의 상기 스프링의 압축 길이가 조절되면서 상기 쐐기 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교량의 케이블 정착 방법.
  14. 제 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여 2개 이상으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의 상기 관통공은 슬롯 형태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 설치단계는,상기 제1지지부재를 상기 강연선의 측방향으로 삽입하여 상기 슬롯 형태의 관통공에 2개 이상의 상기 케이블이 수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교량의 케이블 정착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 설치단계와 상기 지지부재 가압단계의 사이에,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를 서로 결합하는 지지부재 결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교량의 케이블 정착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의 서로 맞닿는 위치에 서로 맞물리는 돌기와 요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교량의 케이블 정착 방법.
KR1020220177910A 2022-12-19 2022-12-19 케이블 교량의 케이블 정착 구조체 및 그 정착 방법 KR102596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7910A KR102596614B1 (ko) 2022-12-19 2022-12-19 케이블 교량의 케이블 정착 구조체 및 그 정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7910A KR102596614B1 (ko) 2022-12-19 2022-12-19 케이블 교량의 케이블 정착 구조체 및 그 정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6614B1 true KR102596614B1 (ko) 2023-10-31

Family

ID=88543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7910A KR102596614B1 (ko) 2022-12-19 2022-12-19 케이블 교량의 케이블 정착 구조체 및 그 정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6614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3078A (ko) * 1999-09-15 2001-10-27 쟝-삐에르 마르상-아르뿌메 건축물요소에 구조용 케이블을 고정하는 고정장치
KR20070042625A (ko) * 2005-10-19 2007-04-24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어스앵커 설치 및 재인장용 간격유지기구
JP2007313692A (ja) * 2006-05-24 2007-12-06 Kawada Construction Co Ltd Pc緊張材の中間定着装置および中間定着方法
KR20120074165A (ko) * 2010-12-27 2012-07-0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구조용 케이블 정착장치
JP2013256797A (ja) * 2012-06-12 2013-12-26 Sumitomo Denko Steel Wire Kk 緊張材の定着構造体
KR101849254B1 (ko) * 2017-06-28 2018-05-24 주식회사 후레씨네코리아 강연선의 내부식성과 프리스트레스의 도입 특성이 향상된 교량용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교량용 거더
JP2019039141A (ja) * 2017-08-22 2019-03-14 三井住友建設株式会社 緊張材の中間定着具
KR102013736B1 (ko) * 2018-12-17 2019-08-23 박무수 볼조인트 카르단을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스트랜드 교체방법
KR20200001836A (ko) * 2018-06-28 2020-01-07 다올이앤씨 주식회사 케이블 교량의 낙뢰보호 케이블 장력 도입방법
CN212801218U (zh) * 2020-05-14 2021-03-26 四川路桥桥梁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低应力状态下夹片防松装置
KR102292311B1 (ko) * 2021-03-12 2021-08-25 주식회사 한국교량 이중튜브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3078A (ko) * 1999-09-15 2001-10-27 쟝-삐에르 마르상-아르뿌메 건축물요소에 구조용 케이블을 고정하는 고정장치
KR20070042625A (ko) * 2005-10-19 2007-04-24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어스앵커 설치 및 재인장용 간격유지기구
JP2007313692A (ja) * 2006-05-24 2007-12-06 Kawada Construction Co Ltd Pc緊張材の中間定着装置および中間定着方法
KR20120074165A (ko) * 2010-12-27 2012-07-0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구조용 케이블 정착장치
JP2013256797A (ja) * 2012-06-12 2013-12-26 Sumitomo Denko Steel Wire Kk 緊張材の定着構造体
KR101849254B1 (ko) * 2017-06-28 2018-05-24 주식회사 후레씨네코리아 강연선의 내부식성과 프리스트레스의 도입 특성이 향상된 교량용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교량용 거더
JP2019039141A (ja) * 2017-08-22 2019-03-14 三井住友建設株式会社 緊張材の中間定着具
KR20200001836A (ko) * 2018-06-28 2020-01-07 다올이앤씨 주식회사 케이블 교량의 낙뢰보호 케이블 장력 도입방법
KR102013736B1 (ko) * 2018-12-17 2019-08-23 박무수 볼조인트 카르단을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스트랜드 교체방법
CN212801218U (zh) * 2020-05-14 2021-03-26 四川路桥桥梁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低应力状态下夹片防松装置
KR102292311B1 (ko) * 2021-03-12 2021-08-25 주식회사 한국교량 이중튜브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1572A (en) Method for externally reinforcing girders
KR100487142B1 (ko) 하중 전달 요소를 케이블에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과 그 장치를 포함하는 현수교
EP3284865B1 (en) Cable anchorage with seal element and prestressing system comprising such anchorage
US4594827A (en) Tension member, particularly for use as a diagonal cable in a stayed girder bridge
US4442646A (en) Device for anchoring tensioning elements
CN111219014B (zh) 使用双腹板的中空复合梁及其构造方法
WO2004106635A1 (en) Method for anchoring parallel wire cables
KR102098014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596614B1 (ko) 케이블 교량의 케이블 정착 구조체 및 그 정착 방법
CN110541580A (zh) 一种预应力碳纤维板锚具系统
JP4423644B2 (ja) 中空プレキャスト柱
US20020194808A1 (en) Lightweight high load capacity reinforced beam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709279B2 (ja) 斜張橋の主塔側斜張ケーブル用サドル構造体
US3300921A (en) Post-tensioned prestressed concrete members
CN110924522A (zh) 一种钢筋混凝土梁与柱的钢板界面连接结构及连接方法
KR20040094075A (ko) 세그먼트 프리플렉스 합성빔의 가설 공법을 이용한교량시공방법
US9315998B1 (en) Cable lock-off block for repairing a plurality of post-tensioned tendons
JP4944679B2 (ja) トラス構造の施工方法
KR20180011528A (ko) 트러스 작용을 활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하이브리드 합성보
KR101849254B1 (ko) 강연선의 내부식성과 프리스트레스의 도입 특성이 향상된 교량용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교량용 거더
KR101874755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 및 그 제작방법
KR101561043B1 (ko) 합성가압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부재 보강방법
EP3118386B1 (en) Wedge for post tensioning tendon
JP2927671B2 (ja) 外ケーブルの架設方法
CN212077624U (zh) 一种斜拉桥拉索的桥塔索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