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299B1 - Pc 기반의 탐지 음파를 이용한 도청 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Pc 기반의 탐지 음파를 이용한 도청 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299B1
KR102596299B1 KR1020230051115A KR20230051115A KR102596299B1 KR 102596299 B1 KR102596299 B1 KR 102596299B1 KR 1020230051115 A KR1020230051115 A KR 1020230051115A KR 20230051115 A KR20230051115 A KR 20230051115A KR 102596299 B1 KR102596299 B1 KR 102596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wave
wiretapping
detection
wiretap
wireless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1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종복 강
성준기
Original Assignee
(주)공공칠월드
(주)엘케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공공칠월드, (주)엘케이원 filed Critical (주)공공칠월드
Priority to KR1020230051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2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2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12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28Processing seismic data, e.g. for interpretation or for event detection
    • G01V1/30Analysi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2210/00Details of seismic processing or analysis
    • G01V2210/60Analysis
    • G01V2210/61Analysis by combining or comparing a seismic data set with other data
    • G01V2210/616Data from specific type of measurement
    • G01V2210/6161Seismic or acoustic, e.g. land or sea measur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청기가 설치된 것으로 의심되는 장소에 도청기를 탐지하도록 설치되고, 수신되는 무선 신호로부터 음파 신호를 분리하고, 분리된 음파 신호가 가청 주파수 특성이면 탐지 음파(비 가청 저주파 또는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탐지 음파 발생 후, 수신되는 무선 신호로부터 분리된 음파 신호가 비 가청 저주파 또는 초음파 특성이면 해당 장소에 도청기가 설치된 것으로 판단하여 도청기 설치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도청기 설치 위치 정보를 모니터링 화면에 표시할 수 있어, 관리자가 쉽게 도청기 설치 위치를 파악하고, 신속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발명으로, 도청 탐지부(100), 탐지 음파 발생부(200), 도청 모니터링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PC 기반의 탐지 음파를 이용한 도청 탐지 시스템{An eavesdropping detection system of based pc using detection sound wave}
본 발명은 PC 기반의 탐지 음파를 이용한 도청 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도청기가 설치된 것으로 의심되는 장소에 도청기를 탐지하도록 설치되고, 수신되는 무선 신호로부터 음파 신호를 분리하고, 분리된 음파 신호가 가청 주파수 특성이면 탐지 음파(비 가청 저주파 또는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탐지 음파 발생 후, 수신되는 무선 신호로부터 분리된 음파 신호가 초음파 또는 저주파 특성이면 해당 장소에 도청기가 설치된 것으로 판단하여 도청기 설치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도청기 설치 위치 정보를 모니터링 화면에 표시하는 도청기 탐지에 관한 기술이다.
최근 각종 통신, 영상 장비를 이용한 기술적 범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범죄의 대표적 유형은 불특정 다수를 향한 보이스피싱, 몰래 카메라에 의한 도촬, 도청기에 의한 도청 범죄 등이 있다.
특히, 도청 범죄의 경우, 과거에는 대화 장소에 녹음형 도청기를 설치하여 대화를 녹음하는 방식이었으나, 최근, 통신 기술의 발달로 대화 장소에 원격형 도청기를 설치한 후, 원격형 도청기가 대화 내용을 통신을 이용해 전송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변모하고 있다.
도청을 통해 국가 기밀이나 기업 기밀이 불법적으로 유출되고, 개인의 약점과 사생활이 불법적으로 유출되고 있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도청 범죄를 예방하는 방안으로 도청기가 설치된 의심 장소를 도청 탐지기를 이용해 주기적으로 도청기 탐지를 하고 있으나, 이는 주기적으로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도청기 자체에 도청 탐지기에 탐지되지 않도록 하는 탐지 방해 장치가 구비 된 경우, 기존의 도청 탐지기로는 도청기 탐지 확률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도청기 탐지를 하지 않아도 되고, 도청기 자체에 탐지 방해 장치가 구비 되어 있어도 원격형 도청 탐지기를 확실하게 탐지하는 방안 개발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 해결과 상기 필요성에 의한 것으로, 도청기가 설치된 것으로 의심되는 장소에 도청기를 탐지하도록 설치되고, 수신되는 무선 신호로부터 음파 신호를 분리하고, 분리된 음파 신호가 가청 주파수 특성이면 탐지 음파(비 가청 저주파 또는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탐지 음파 발생 후, 수신되는 무선 신호로부터 분리된 음파 신호가 저주파 또는 초음파 특성이면 해당 장소에 도청기가 설치된 것으로 판단하여 도청기 설치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도청기 설치 위치 정보를 모니터링 화면에 표시하는 도청기 탐지에 관한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85995호 불법 송신장치 탐지기 및 그 탐지방법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28265호 불법 송신기 탐지 시스템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408559호 불법적으로 수집한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신호를 패턴 분석으로 탐지하는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도청기가 설치된 것으로 의심되는 장소에 도청기를 탐지하도록 설치되고, 수신되는 무선 신호로부터 음파 신호를 분리하고, 분리된 음파 신호가 가청 주파수 특성이면 탐지 음파(비 가청 저주파 또는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탐지 음파 발생 후, 수신되는 무선 신호로부터 분리된 음파 신호가 비 가청 저주파 또는 초음파 특성이면 해당 장소에 도청기가 설치된 것으로 판단하여 도청기 설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성된 도청기 설치 위치 정보를 모니터링 화면에 표시하여 관리자가 쉽게 도청기 설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PC 기반의 탐지 음파를 이용한 도청 탐지 시스템은,
수신되는 무선 신호 분석을 통해 도청기 설치 가능성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 도청기 설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탐지 음파가 발생하도록 탐지 음파 발생부(200)를 제어하고, 탐지 음파 발생 제어 후, 수신되는 무선 신호 분석을 통해 도청기 설치 여부를 최종 판단하고, 도청기가 설치된 것으로 최종 판단되는 경우, 도청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도청기 위치 정보를 도청 모니터링 단말기(300)로 제공하는 도청 탐지부(100)와;
도청 탐지부(100)의 제어에 따라 탐지 음파를 발생시키는 탐지 음파 발생부(200)와;
도청 탐지부(100)가 제공한 도청기 위치 정보를 이용해 도청기 설치 위치를 화면에 표시함과 동시에 경고 알람을 출력하는 도청 모니터링 단말기(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청기가 설치된 것으로 의심되는 장소에 도청기를 탐지하도록 설치되고, 수신되는 무선 신호로부터 음파 신호를 분리하고, 분리된 음파 신호가 가청 주파수 특성이면 탐지 음파(비 가청 저주파 또는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탐지 음파 발생 후, 수신되는 무선 신호로부터 분리된 음파 신호가 비 가청 저주파 또는 초음파 특성이면 해당 장소에 도청기가 설치된 것으로 판단하여 도청기 설치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도청기 설치 위치 정보를 모니터링 화면에 표시할 수 있어, 관리자가 쉽게 도청기 설치 위치를 파악하고, 신속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탐지 음파가 초음파인 경우의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탐지 음파가 비 가청 저주파인 경우의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청 모니터링 단말기의 도청기 위치 표시 예시도 1
도 5는 본 발명의 도청 모니터링 단말기의 도청기 위치 표시 예시도 2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인 PC 기반의 탐지 음파를 이용한 도청 탐지 시스템은 도청기가 설치된 것으로 의심되는 장소에 도청기를 탐지하도록 설치되고, 수신되는 무선 신호로부터 음파 신호를 분리하고, 분리된 음파 신호가 가청 주파수 특성이면 탐지 음파(비 가청 저주파 또는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탐지 음파 발생 후, 수신되는 무선 신호로부터 분리된 음파 신호가 비 가청 저주파 또는 초음파 특성이면 해당 장소에 도청기가 설치된 것으로 판단하여 도청기 설치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도청기 설치 위치 정보를 모니터링 화면에 표시할 수 있어, 관리자가 쉽게 도청기 설치 위치를 파악하고, 신속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발명으로, 도청 탐지부(100), 탐지 음파 발생부(200), 도청 모니터링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인 PC 기반의 탐지 음파를 이용한 도청 탐지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되는 무선 신호 분석을 통해 도청기 설치 가능성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 도청기 설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탐지 음파가 발생하도록 탐지 음파 발생부(200)를 제어하고, 탐지 음파 발생 제어 후, 수신되는 무선 신호 분석을 통해 도청기 설치 여부를 최종 판단하고, 도청기가 설치된 것으로 최종 판단되는 경우, 도청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도청기 위치 정보를 도청 모니터링 단말기(300)로 제공하는 도청 탐지부(100)와;
도청 탐지부(100)의 제어에 따라 탐지 음파를 발생시키는 탐지 음파 발생부(200)와;
도청 탐지부(100)가 제공한 도청기 위치 정보를 이용해 도청기 설치 위치를 화면에 표시함과 동시에 경고 알람을 출력하는 도청 모니터링 단말기(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청기는 크게 녹음용 도청기와 원격 도청기로 구분되며, 녹음용 도청기는 수신된 음파 대역(3GHz 이하 대역)의 신호를 녹음 저장하는 도청기이고, 원격 도청기는 수신된 음파 대역의 신호를 녹음 저장하지 않고, 수신된 음파 대역의 신호를 변조하여 특정 송출 주파수에 실어 외부로 전송하는 도청기이다.
일반적으로, 가청 주파는 사람이 들을 수 있는 대역으로 20Hz~20KHz 범위의 주파수 대역이고, 비 가청 저주파는 사람이 들을 수 없는 대역으로 20Hz 이하 범위의 주파수 대역이고, 초음파는 사람이 들을 수 없는 대역으로 20KHz~3GHz 범위의 주파수 대역이다.
녹음용 도청기는 도청을 당해도 도청기를 찾아 제거하면 도청 내용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지만, 원격 도청기는 실시간으로 도청 내용을 외부로 전송하기 때문에, 도청기를 발견하더라도 이미 많은 도청 내용이 외부로 누출된 상태가 되어, 녹음용 도청기보다 문제가 심각하다. 따라서 최대한 빨리 원격형 도청기를 발견해 내는 것이 피해를 줄이는 방안이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원격형 도청기를 탐지하는 발명으로, 본 발명에서 탐지 대상인 도청기는 음파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파 대역의 신호를 특정 송출 주파수로 송출하는 원격 도청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청 탐지부(100)는 수신되는 무선 신호 분석을 통해 도청기 설치 가능성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 도청기 설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탐지 음파가 발생하도록 탐지 음파 발생부(200)를 제어하고, 탐지 음파 발생 제어 후, 수신되는 무선 신호 분석을 통해 도청기 설치 여부를 최종 판단하고, 도청기가 설치된 것으로 최종 판단되는 경우, 도청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도청기 위치 정보를 도청 모니터링 단말기(300)로 제공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탐지 음파가 초음파인 경우, 상기 도청 탐지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신호를(제1 무선 신호, 제2 무선 신호)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신호를 탐지 제어부(120)로 제공하는 무선 수신기(110)와,
무선 수신기(110)가 제공한 제1 무선 신호로부터 음파 신호를 분리 획득하고, 획득한 음파 신호의 주파수 특성이 가청 주파수 특성인 경우, 초음파를 발생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유선을 통해 탐지 음파 발생부(200)로 제공하고, 탐지 음파 발생부(200)로 제어 신호 제공 후, 수신되는 제2 무선 신호들을 분석하여 도청기 설치 여부를 판단하고, 도청기가 설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도청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도청 모니터링 단말기(300)로 제공하는 탐지 제어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 수신기(110)는 무선 신호를(제1 무선 신호, 제2 무선 신호)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신호를 탐지 제어부(120)로 제공하는 구성이다.
상기 무선 수신기(110)가 수신하는 무선 신호는(제1 무선 신호, 제2 무선 신호) 방송국에서 송출된 방송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일 수도 있고, 휴대 전화나 무전기에서 송출된 통신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일 수도 있고, 도청기에서 송출된 무선 신호일 수도 있다.
즉, 상기 무선 수신기(110)는 수신이 가능한 범위의 모든 무선 신호(본 발명의 제1, 2 무선 신호)를 일단 수신하고, 수신한 무선 신호를 탐지 제어부(120)에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무선 수신기(110)가 수신하는 무선 신호를 제1 무선 신호와 제2 무선 신호로 구분 설명하는 이유는 수신 시차 구분을 하기 위한 것으로, 탐지 음파 발생 제어 전에 수신된 무선 신호를 제1 무선 신호, 탐지 음파 발생 제어 후에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제2 무선 신호로 정의한다.
상기 탐지 제어부(120)는 무선 수신기(110)가 제공한 제1 무선 신호로부터 음파 신호를 분리 획득하고, 획득한 음파 신호의 주파수 특성이 가청 주파수 특성인 경우, 초음파를 발생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유선을 통해 탐지 음파 발생부(200)로 제공하고, 탐지 음파 발생부(200)로 제어 신호 제공 후, 수신되는 제2 무선 신호들을 분석하여 도청기 설치 여부를 판단하고, 도청기가 설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도청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도청 모니터링 단말기(300)로 제공하는 구성이다.
특히, 상기 탐지 제어부(120)에는 탐지 음파 발생부(200)를 구성하는 다수의 초음파 발생기(#1~#n)들의 초음파 송출 방위 정보와 초음파 송출 시차 정보가 사전 저장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탐지 음파가 초음파인 경우, 탐지 제어부(120)의 도청기 설치 여부 판단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기 탐지 제어부(120)는 무선 수신기(110)가 제공한 제1 무선 신호로부터 음파 신호를 분리 획득한다.
무선 수신기(110)가 제공한 제1 무선 신호는 방송국에서 송출된 방송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일 수도 있고, 휴대 전화나 무전기에서 송출된 통신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일 수도 있고, 도청기에서 송출된 무선 신호일 수도 있으며, 제1 무선 신호를 복조(demodulation) 처리하여 제1 무선 신호로부터 음파 신호를 분리 획득한다.
이어서, 상기 탐지 제어부(120)는 제1 무선 신호로부터 분리 획득한 음파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해 도청기 설치 가능성을 판단하게 되는데, 만일, 분리 획득한 음파 신호의 주파수 특성이 가청 주파수 특성이면 도청기 설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일단 판단한다.
음파 신호가 분리되는 제1 무선 신호는 방송국에서 송출된 방송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이거나 휴대 전화나 무전기에서 송출된 통신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일 수도 있지만, 도청기가 설치된 장소에 있는 사람들이 나눈 대화의 음성 신호가 실린 도청기에서 송출된 무선 신호일 수도 있어, 일단, 제1 무선 신호에서 분리 획득한 음파 신호의 주파수 특성이 가청 주파수 특성이면 도청기 설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분리 획득한 음파 신호의 주파수 특성이 가청 주파수 특성이어서 도청기 설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탐지 제어부(120)는 음파 신호가 분리된 제1 무선 신호가 도청기에서 송출된 무선 신호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초음파를 발생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유선을 통해 탐지 음파 발생부(200)로 제공한다. 이때, 제어 신호에 따라 탐지 음파 발생부(200)는 초음파를 발생시킨다.
탐지 음파 발생부(200)로 제어 신호 제공 후, 상기 무선 수신기(110)가 제공하는 제2 무선 신호들을 분석하여 도청기 설치 여부를 최종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탐지 제어부(120)는 탐지 음파 발생부(200)에 대한 초음파 발생 제어 후, 일정 시차를 두고 수신되는 제2 무선 신호 중, 상기 제1 무선 신호의 수신 주파수와 동일한 수신 주파수로 수신된 제2 무선 신호의 수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적어도 하나 이상인 제2 무선 신호로부터 분리 획득한 음파 신호의 주파수 특성이 초음파 특성인 경우, 도청기가 설치된 것으로 판단한다.
탐지 제어부(1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탐지 음파 발생부(200)는 초음파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탐지 음파 발생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초음파 발생기(#1~#n)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초음파 발생기는 개별적으로 설정된 특정 방위로 초음파를 일정 시차를 두고 발생시킨다.
도 2를 예를 들면, #1 초음파 발생기가 제1 방위로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이후 일정 시차(예: 10초)를 두고 #2 초음파 발생기가 제2 방위로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이후 일정 시차(예: 10초)를 두고 #3 초음파 발생기가 제3 방위로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이후 일정 시차(예: 10초)를 두고 #4 초음파 발생기가 제4 방위로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이후 일정 시차(예: 10초)를 두고 #5 초음파 발생기가 제5 방위로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이후 일정 시차(예: 10초)를 두고 #6 초음파 발생기가 제6 방위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다수의 초음파 발생기(#1~#n)에 의해 다수의 특정 방위로 초음파들이 순차 발생되는 경우, 도청기가 설치되어 있다면, 도청기는 초음파에 반응해 초음파 신호가 실린 무선 신호(제2 무선 신호를 의미함)를 외부로 송출하게 된다.
초음파 신호가 실린 무선 신호는 도청 탐지부(100)의 무선 수신기(110)에 제2 무선 신호로 수신되어 탐지 제어부(120)로 제공되고, 탐지 제어부(120)는 제2 무선 신호로부터 음파 신호를 분리하여 주파수 특성을 분석한다.
만일, 초음파 발생 제어 후, 일정 시차를 두고 수신되는 제2 무선 신호 중, 초음파 발생 전에 수신되고 음파 신호가 분리되었던 제1 무선 신호의 수신 주파수와 동일한 수신 주파수로 수신된 제2 무선 신호의 수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적어도 하나 이상인 제2 무선 신호로부터 분리 획득한 음파 신호의 주파수 특성이 초음파 특성이면 도청기가 설치된 것으로 판단한다.
초음파 발생 전에 수신되고 음파 신호가 분리되었던 제1 무선 신호의 수신 주파수와 동일한 수신 주파수로 수신된 제2 무선 신호의 수가 하나라는 것은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초음파의 송출 방위 중, 어느 하나의 방위에 도청기가 설치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고, 초음파 발생 전에 수신되고 음파 신호가 분리되었던 제1 무선 신호의 수신 주파수와 동일한 수신 주파수로 수신된 제2 무선 신호의 수가 2개 이상이라는 것은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초음파의 송출 방위 중, 중첩 방위에 도청기가 설치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청기 설치 여부 판단 시, 판단 조건의 하나를 초음파 발생 전 수신된 제1 무선 신호의 수신 주파수와 동일한 수신 주파수로 수신된 제2 무선 신호의 수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하는 것이다.
또 다른 도청기 설치 여부 판단 조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인 제2 무선 신호로부터 분리 획득한 음파 신호의 주파수 특성이 초음파 특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초음파 발생 전에 수신되고 음파 신호가 분리되었던 제1 무선 신호의 수신 주파수와 동일한 수신 주파수로 수신된 제2 무선 신호의 수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적어도 하나 이상인 제2 무선 신호로부터 분리 획득한 음파 신호의 주파수 특성이 초음파 특성인 경우, 도청기가 설치된 것으로 최종 판단하는 것이다.
도 2를 예를 들면, 제1 방위에 도청기가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도청 탐지부(100)의 초음파 송출 제어 시점을 기준으로 10~20초 사이의 시간대에 초음파 발생 전 수신된 제1 무선 신호의 수신 주파수와 동일한 수신 주파수를 갖는 하나의 제2 무선 신호가 수신되고, 수신된 하나의 제2 무선 신호로부터 분리 획득한 음파 신호의 주파수 특성이 초음파 특성을 갖게 된다.
또 다른 예로, 제1 방위와 제2 방위의 중첩 방위에 도청기가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도청 탐지부(100)의 초음파 송출 제어 시점을 기준으로 10~20초 사이의 시간대와 20~30초 사이의 시간대에 초음파 발생 전 수신된 제1 무선 신호의 수신 주파수와 동일한 수신 주파수를 갖는 두 개의 제2 무선 신호가 순차 수신되고, 순차 수신된 두 개의 제2 무선 신호로부터 분리 획득한 음파 신호의 주파수 특성이 모두 초음파 특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탐지 음파가 초음파인 경우, 탐지 제어부(120)의 도청기 위치 정보 생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청기가 설치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탐지 제어부(120)는 탐지 음파 발생부(200)에 대한 초음파 발생 제어 시점을 기준으로 제1 무선 신호의 수신 주파수와 동일한 수신 주파수로 수신된 제2 무선 신호의 수신 시간을 파악하고, 파악된 수신 시간 정보와 사전 저장된 다수의 초음파 발생기들의 초음파 송출 시차 정보를 이용해 도청기 설치 영역으로 초음파를 송출한 초음파 발생기를 파악하고, 도청기 설치 영역으로 초음파를 송출한 초음파 발생기 정보와 사전 저장된 다수의 초음파 발생기들의 초음파 송출 방위 정보를 이용해 도청기 설치 위치의 방위 정보를 생성하고, 파악된 수신 시간 정보와 초음파 전파 속도 정보를 이용해 도청기 설치 위치의 거리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도청기 설치 위치의 방위 정보와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도청기 위치 정보를 도청 모니터링 단말기(30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도청기 설치 위치의 방위 정보와 거리 정보는 탐지 음파 발생부(200)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탐지 제어부(120)는 탐지 음파 발생부(200)에 대한 초음파 발생 제어 시점을 기준으로 제1 무선 신호의 수신 주파수와 동일한 수신 주파수로 수신된 제2 무선 신호의 수신 시간을 파악하는데, 도 2를 예를 들면, △T1, △T2 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후, 탐지 제어부(120)는 파악된 수신 시간 정보와 사전 저장된 다수의 초음파 발생기들의 초음파 송출 시차 정보를 이용해 도청기 설치 영역으로 초음파를 송출한 초음파 발생기를 파악한다.
상기 탐지 제어부(120)에는 탐지 음파 발생부(200)를 구성하는 다수의 초음파 발생기(#1~#n)들의 초음파 송출 방위 정보와 초음파 송출 시차 정보가 사전 저장되어 있다.
도 2를 예를 들면, 사전 저장된 다수의 초음파 발생기(#1~#n)들의 초음파 송출 방위 정보와 초음파 송출 시차 정보는 #1 초음파 발생기의 송출 방위는 제1 방위(예: 11시 ~1시 사이 방향), 송출 시차는 탐지 제어부(120)의 초음파 발생 제어 시점을 기준으로 10초, #2 초음파 발생기의 송출 방위는 제2 방위(예: 1시 ~3시 사이 방향), 송출 시차는 탐지 제어부(120)의 초음파 발생 제어 시점을 기준으로 20초, #3 초음파 발생기의 송출 방위는 제3 방위(예: 3시 ~5시 사이 방향), 송출 시차는 탐지 제어부(120)의 초음파 발생 제어 시점을 기준으로 30초, #4 초음파 발생기의 송출 방위는 제4 방위(예: 5시 ~7시 사이 방향), 송출 시차는 탐지 제어부(120)의 초음파 발생 제어 시점을 기준으로 40초, #5 초음파 발생기의 송출 방위는 제5 방위(예: 7시 ~9시 사이 방향), 송출 시차는 탐지 제어부(120)의 초음파 발생 제어 시점을 기준으로 50초, #6 초음파 발생기의 송출 방위는 제6 방위(예: 9시 ~11시 사이 방향), 송출 시차는 탐지 제어부(120)의 초음파 발생 제어 시점을 기준으로 60초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탐지 음파 발생부(200)에 대한 초음파 발생 제어 후, 10~20초 사이의 시간대인 △T1에 제2 무선 신호가 수신되면 도청기 설치 영역으로 초음파를 송출한 초음파 발생기가 #1 초음파 발생기인 것으로 파악하고, 탐지 음파 발생부(200)에 대한 초음파 발생 제어 후, 20~30초 사이의 시간대인 △T2에 제2 무선 신호가 수신되면 도청기 설치 영역으로 초음파를 송출한 초음파 발생기가 #2 초음파 발생기인 것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만일, 탐지 음파 발생부(200)에 대한 초음파 발생 제어 후, 10~20초 사이의 시간대인 △T1과 20~30초 사이의 시간대인 △T2에 제2 무선 신호가 순차 수신되면 도청기 설치 영역으로 초음파를 송출한 초음파 발생기가 #1 초음파 발생기와 #2 초음파 발생기인 것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이후, 탐지 제어부(120)는 도청기 설치 영역으로 초음파를 송출한 초음파 발생기 정보와 사전 저장된 다수의 초음파 발생기들의 초음파 송출 방위 정보를 이용해 도청기 설치 위치의 방위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청기 설치 영역으로 초음파를 송출한 초음파 발생기가 #1 초음파 발생기인 것으로 파악된 경우, #1 초음파 발생기의 초음파 송출 방위를 사전 저장된 다수의 초음파 발생기들의 초음파 송출 방위 정보를 이용해 제1방위인 것으로 파악하고, 도청기 설치 위치의 방위 정보가 제1방위(예: 11시 ~1시 사이 방향)인 것으로 생성한다.
또 다른 예로, 도청기 설치 영역으로 초음파를 송출한 초음파 발생기가 #2 초음파 발생기인 것으로 파악된 경우, #2 초음파 발생기의 초음파 송출 방위를 사전 저장된 다수의 초음파 발생기들의 초음파 송출 방위 정보를 이용해 제2방위인 것으로 파악하고, 도청기 설치 위치의 방위 정보가 제2방위(예: 1시 ~3시 사이 방향)인 것으로 생성한다.
만일, 도청기 설치 영역으로 초음파를 송출한 초음파 발생기가 #1 초음파 발생기와 #2 초음파 발생기인 것으로 파악된 경우, 도청기 설치 위치의 방위 정보가 제1 방위와 제2방위의 중첩 방위인 것으로 생성한다.
이때, 생성되는 도청기 설치 위치의 방위 정보는 탐지 음파 발생부(200)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도청기 설치 위치의 방위 정보가 제1방위(예: 11시 ~1시 사이 방향)인 경우, 도청기는 탐지 음파 발생부(200)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11시 ~1시 사이 방향에 설치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탐지 제어부(120)는 파악된 제2 무선 신호의 수신 시간 정보와 초음파 전파 속도 정보를 이용해 도청기 설치 위치의 거리 정보를 생성한다.
제2 무선 신호의 수신 시간(△T1, △T2 등)은 초음파가 탐지 음파 발생부(200)에서 도청기로 전파되는 시간(t1)과 도청기에서 송출된 제2 무선 신호가 도청기에서 무선 수신기(110)로 전파되는 시간(t2)을 포함하는 시간이나, 초음파 전파 속도는 음속인 약 340m/s이고, 제2 무선 신호 전파 속도는 빛의 속도인 약 30만km/s이어서, 초음파가 탐지 음파 발생부(200)에서 도청기로 전파되는 시간(t1)은 미리(m) 단위이고 제2 무선 신호가 도청기에서 무선 수신기(110)로 전파되는 시간(t2)은 나노(n) 단위이다.
따라서 제2 무선 신호의 수신 시간(△T1, △T2 등)을 초음파가 탐지 음파 발생부(200)에서 도청기로 전파되는 시간(t1)만으로 정의해도 큰 오차가 없어, 도청기 설치 위치의 거리 정보 산출 시, 제2 무선 신호의 수신 시간(△T1, △T2 등)을 초음파가 탐지 음파 발생부(200)에서 도청기로 전파되는 시간(t1)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제2 무선 신호의 수신 시간(△T1)이 14.5ms인 경우, 도청기 설치 위치의 거리 정보는 5M가 되고, 제2 무선 신호의 수신 시간(△T2)이 23.2ms인 경우, 도청기 설치 위치의 거리 정보는 8M가 되는 것이다.
이때, 생성되는 도청기 설치 위치의 거리 정보는 탐지 음파 발생부(200)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도청기 설치 위치의 거리 정보가 5M인 경우, 도청기는 탐지 음파 발생부(200) 설치 위치를 원점으로 5M 떨어진 지점에 설치된 것을 의미한다.
만일, 제2 무선 신호가 수신 시간(△T1)과 수신 시간(△T2)에 순차 수신되었으면, 도청기 설치 위치의 거리 정보는 탐지 음파 발생부(200)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제1 방위로 5M 떨어지고 제2 방위로 8M 떨어진 지점으로 생성한다.
이후, 탐지 제어부(120)는 생성된 도청기 설치 위치의 방위 정보와 거리 정보를 도청기 위치 정보로 도청 모니터링 단말기(300)에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탐지 음파가 비 가청 저주파인 경우의 상기 도청 탐지부(100)의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탐지 음파가 비 가청 저주파인 경우, 상기 도청 탐지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신호를(제1 무선 신호, 제2 무선 신호)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신호를 탐지 제어부(120)로 제공하는 무선 수신기(110)와,
무선 수신기(110)가 제공한 제1 무선 신호로부터 음파 신호를 분리 획득하고, 획득한 음파 신호의 주파수 특성이 가청 주파수 특성인 경우, 비 가청 저주파를 발생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유선을 통해 탐지 음파 발생부(200)로 제공하고, 탐지 음파 발생부(200)로 제어 신호 제공 후, 수신되는 제2 무선 신호들을 분석하여 도청기 설치 여부를 판단하고, 도청기가 설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도청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도청 모니터링 단말기(300)로 제공하는 탐지 제어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 수신기(110)는 무선 신호를(제1 무선 신호, 제2 무선 신호)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신호를 탐지 제어부(120)로 제공하는 구성으로, 동작 특징은 탐지 음파가 초음파인 경우와 동일한 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탐지 제어부(120)는 무선 수신기(110)가 제공한 제1 무선 신호로부터 음파 신호를 분리 획득하고, 획득한 음파 신호의 주파수 특성이 가청 주파수 특성인 경우, 비 가청 저주파를 발생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유선을 통해 탐지 음파 발생부(200)로 제공하고, 탐지 음파 발생부(200)로 제어 신호 제공 후, 수신되는 제2 무선 신호들을 분석하여 도청기 설치 여부를 판단하고, 도청기가 설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도청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도청 모니터링 단말기(300)로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탐지 음파가 비 가청 저주파인 경우, 탐지 제어부(120)의 도청기 설치 여부 판단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기 탐지 제어부(120)는 무선 수신기(110)가 제공한 제1 무선 신호로부터 음파 신호를 분리 획득한다.
무선 수신기(110)가 제공한 제1 무선 신호는 방송국에서 송출된 방송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일 수도 있고, 휴대 전화나 무전기에서 송출된 통신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일 수도 있고, 도청기에서 송출된 무선 신호일 수도 있으며, 제1 무선 신호를 복조(demodulation) 처리하여 제1 무선 신호로부터 음파 신호를 분리 획득한다.
이어서, 상기 탐지 제어부(120)는 제1 무선 신호로부터 분리 획득한 음파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해 도청기 설치 가능성을 판단하게 되는데, 만일, 분리 획득한 음파 신호의 주파수 특성이 가청 주파수 특성이면 도청기 설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일단 판단한다.
음파 신호가 분리되는 제1 무선 신호는 방송국에서 송출된 방송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이거나 휴대 전화나 무전기에서 송출된 통신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일 수도 있지만, 도청기가 설치된 장소에 있는 사람들이 나눈 대화의 음성 신호가 실린 도청기에서 송출된 무선 신호일 수도 있어, 일단, 제1 무선 신호에서 분리 획득한 음파 신호의 주파수 특성이 가청 주파수 특성이면 도청기 설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분리 획득한 음파 신호의 주파수 특성이 가청 주파수 특성이어서 도청기 설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탐지 제어부(120)는 음파 신호가 분리된 제1 무선 신호가 도청기에서 송출된 무선 신호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비 가청 저주파를 발생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유선을 통해 탐지 음파 발생부(200)로 제공한다. 이때, 제어 신호에 따라 탐지 음파 발생부(200)는 비 가청 저주파를 발생시킨다.
탐지 음파 발생부(200)로 제어 신호 제공 후, 상기 무선 수신기(110)가 제공하는 제2 무선 신호들을 분석하여 도청기 설치 여부를 최종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탐지 제어부(120)는 탐지 음파 발생부(200)에 대한 비 가청 저주파 발생 제어 후, 제1 무선 신호의 수신 주파수와 동일한 수신 주파수로 수신된 제2 무선 신호가 있고, 수신된 제2 무선 신호로부터 분리 획득한 음파 신호의 주파수 특성이 비 가청 저주파 특성인 경우, 도청기가 설치된 것으로 판단한다.
탐지 제어부(1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탐지 음파 발생부(200)는 비 가청 저주파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탐지 음파 발생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비 가청 저주파 발생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하나의 비 가청 저주파 발생기는 사방으로 일회성 비 가청 저주파를 발생시킨다.
하나의 비 가청 저주파 발생기에 의해 사방으로 비 가청 저주파가 전파되는 경우, 도청기가 설치되어 있다면, 도청기는 비 가청 저주파에 반응해 비 가청 저주파 신호가 실린 무선 신호(제2 무선 신호를 의미함)를 외부로 송출하게 된다.
비 가청 저주파 신호가 실린 무선 신호는 도청 탐지부(100)의 무선 수신기(110)에 제2 무선 신호로 수신되어 탐지 제어부(120)로 제공되고, 탐지 제어부(120)는 제2 무선 신호로부터 음파 신호를 분리하여 주파수 특성을 분석한다.
만일, 비 가청 저주파 발생 제어 후, 비 가청 저주파 발생 전에 수신되고 음파 신호가 분리되었던 제1 무선 신호의 수신 주파수와 동일한 수신 주파수로 수신된 제2 무선 신호가 있고, 수신된 제2 무선 신호로부터 분리 획득한 음파 신호의 주파수 특성이 비 가청 저주파 특성이면 도청기가 설치된 것으로 판단한다.
비 가청 저주파 발생 전에 수신되고 음파 신호가 분리되었던 제1 무선 신호의 수신 주파수와 동일한 수신 주파수로 수신된 제2 무선 신호가 있다는 것은 도청기가 설치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또 다른 도청기 설치 여부 판단 조건은 수신된 제2 무선 신호로부터 분리 획득한 음파 신호의 주파수 특성이 비 가청 저주파 특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비 가청 저주파 발생 전에 수신되고 음파 신호가 분리되었던 제1 무선 신호의 수신 주파수와 동일한 수신 주파수로 수신된 제2 무선 신호가 있고, 수신된 제2 무선 신호로부터 분리 획득한 음파 신호의 주파수 특성이 비 가청 저주파 특성인 경우, 도청기가 설치된 것으로 최종 판단하는 것이다.
도 3을 예를 들면, 특정 위치에 도청기가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도청 탐지부(100)의 비 가청 저주파 송출 제어 시점을 기준으로 10~20초 사이의 시간대에 비 가청 저주파 발생 전에 수신되고 음파 신호가 분리되었던 제1 무선 신호의 수신 주파수와 동일한 수신 주파수를 갖는 제2 무선 신호가 수신되고, 수신된 제2 무선 신호로부터 분리 획득한 음파 신호의 주파수 특성이 비 가청 저주파 특성을 갖게 된다.
이하에서는 탐지 음파가 비 가청 저주파인 경우, 탐지 제어부(120)의 도청기 위치 정보 생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청기가 설치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탐지 제어부(120)는 탐지 음파 발생부(200)에 대한 비 가청 저주파 발생 제어 시점을 기준으로 제1 무선 신호의 수신 주파수와 동일한 수신 주파수로 수신된 제2 무선 신호의 수신 시간을 파악하고, 파악된 제2 무선 신호의 수신 시간 정보와 비 가청 저주파 전파 속도 정보를 이용해 도청기 설치 위치의 거리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도청기 설치 위치의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도청기 위치 정보를 도청 모니터링 단말기(30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도청기 설치 위치의 거리 정보는 탐지 음파 발생부(200)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탐지 제어부(120)는 탐지 음파 발생부(200)에 대한 비 가청 저주파 발생 제어 시점을 기준으로 제1 무선 신호의 수신 주파수와 동일한 수신 주파수로 수신된 제2 무선 신호의 수신 시간을 파악하는데, 도 3을 예를 들면, △T1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후, 탐지 제어부(120)는 파악된 제2 무선 신호의 수신 시간 정보와 비 가청 저주파 전파 속도 정보를 이용해 도청기 설치 위치의 거리 정보를 생성한다.
제2 무선 신호의 수신 시간(△T1)은 비 가청 저주파가 탐지 음파 발생부(200)에서 도청기로 전파되는 시간(t1)과 도청기에서 송출된 제2 무선 신호가 도청기에서 무선 수신기(110)로 전파되는 시간(t2)을 포함하는 시간이나, 비 가청 저주파 전파 속도는 음속인 약 340m/s이고, 제2 무선 신호 전파 속도는 빛의 속도인 약 30만km/s이어서, 비 가청 저주파가 탐지 음파 발생부(200)에서 도청기로 전파되는 시간(t1)은 미리(m) 단위이고 제2 무선 신호가 도청기에서 무선 수신기(110)로 전파되는 시간(t2)은 나노(n) 단위이다.
따라서 제2 무선 신호의 수신 시간(△T1)을 비 가청 저주파가 탐지 음파 발생부(200)에서 도청기로 전파되는 시간(t1)만으로 정의해도 큰 오차가 없어, 도청기 설치 위치의 거리 정보 산출 시, 제2 무선 신호의 수신 시간(△T1)을 비 가청 저주파가 탐지 음파 발생부(200)에서 도청기로 전파되는 시간(t1)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제2 무선 신호의 수신 시간(△T1)이 14.5ms인 경우, 도청기 설치 위치의 거리 정보는 5M가 되고, 제2 무선 신호의 수신 시간(△T2)이 23.2ms인 경우, 도청기 설치 위치의 거리 정보는 8M가 되는 것이다.
이때, 생성되는 도청기 설치 위치의 거리 정보는 탐지 음파 발생부(200)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도청기 설치 위치의 거리 정보가 5M인 경우, 도청기는 탐지 음파 발생부(200) 설치 위치를 원점으로 5M 떨어진 지점에 설치된 것을 의미한다.
이후, 탐지 제어부(120)는 생성된 도청기 설치 위치의 거리 정보를 도청기 위치 정보로 도청 모니터링 단말기(300)에 제공한다.
상기 탐지 음파 발생부(200)는 도청 탐지부(100)의 제어에 따라 탐지 음파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도청 탐지부(100)로부터 탐지 음파를 발생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시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특정 방위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초음파 발생기(#1~#6)이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방으로 비 가청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비 가청 저주파 발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초음파(20KHz~3GHz 대역의 주파수)는 직진성이 있어 음원을 기준으로 사방으로 전파되는 가청 음파(20Hz~20KHz 대역의 주파수)와는 달리 제한된 전파 각(약 30도)을 갖고, 비 가청 저주파(20Hz 이하 대역의 주파수)는 직진성이 없어, 가청 음파처럼 사방으로 전파된다.
본 발명은 초음파 또는 비 가청 저주파를 도청기를 탐지하는 탐지 음파로 사용하는데, 탐지 음파로 초음파를 이용하는 경우, 탐지 음파 발생부(200)는 순차적으로 초음파를 발생하는 다수의 초음파 발생기(#1~#n)로 구성하는 것이며, 도 2에는 6개의 초음파 발생기(#1~#6)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청 탐지부(100)(구체적으로 탐지 제어부(120))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다수의 초음파 발생기(#1~#n)들은 일정 시차(예: 10초)를 두고 특정 방위로 순차적으로 초음파를 발생시킨다.
도 2를 예를 들면, 도청 탐지부(100)(구체적으로 탐지 제어부(120))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된 시간을 기준으로, 10초 뒤 #1 초음파 발생기가 제1 방위(예: 11~1시 사이 방향)로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10초 뒤 #2 초음파 발생기가 제2 방위(예: 1~3시 사이 방향)로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10초 뒤 #3 초음파 발생기가 제3 방위(예: 3~5시 사이 방향)로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10초 뒤 #4 초음파 발생기가 제4 방위(예: 5~7시 사이 방향)로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10초 뒤 #5 초음파 발생기가 제5 방위(예: 7~9시 사이 방향)로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10초 뒤 #6 초음파 발생기가 제6 방위(예: 9~11시 사이 방향)로 초음파를 발생시키며, 이때, 탐지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와 같은 초음파 발생 과정을 반복할 수도 있다.
또한, 탐지 음파로 비 가청 저주파를 이용하는 경우, 탐지 음파 발생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회성 비 가청 저주파를 발생하는 하나의 비 가청 저주파 발생기로 구성하는 것이며, 이때, 탐지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비 가청 저주파 발생을 여러 번 반복할 수도 있다.
도 3을 예를 들면, 도청 탐지부(100)(구체적으로 탐지 제어부(120))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된 시간을 기준으로, 10초 뒤 첫 번째 비 가청 저주파를 발생시키고, 10초 뒤 두 번째 비 가청 저주파를 발생시키고, 10초 뒤 세 번째 비 가청 저주파를 발생시킨다.
상기 도청 모니터링 단말기(300)는 도청 탐지부(100)가 제공한 도청기 위치 정보를 이용해 도청기 설치 위치를 화면에 표시함과 동시에 경고 알람을 출력하는 구성으로, 관리자는 도청 모니터링 단말기(300) 화면에 표시되는 도청기 위치 정보를 이용해 해당 장소에 설치된 도청기를 찾아 제거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청 모니터링 단말기(300)는,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청 탐지부(100)와 탐지 음파 발생부(200)가 설치된 장소의 3차원 도면 또는 2차원 도면을 화면에 표시하고, 화면에 표시된 도면상에 도청기 설치 위치를 표시하되,
상기 탐지 음파 발생부(200)가 다수의 초음파 발생기인 경우, 상기 3차원 도면 또는 2차원 도면상에서 탐지 음파 발생부(200) 설치 지점을 원점으로 하고, 원점을 기준으로 도청 탐지부(100)가 제공한 도청기 설치 위치의 방위 정보와 거리 정보에 대응되는 영역을 도면상에 표시하여 도청기 설치 위치를 표시하고,
상기 탐지 음파 발생부(200)가 저주파 발생기인 경우, 상기 3차원 도면 또는 2차원 도면상에서 탐지 음파 발생부(200) 설치 지점을 원점으로 하고, 원점을 기준으로 도청 탐지부(100)가 제공한 도청기 설치 위치의 거리 정보에 대응되는 영역을 도면상에 표시하여 도청기 설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청 모니터링 단말기(300)로 도청기 위치 정보가 제공되면, 도청 모니터링 단말기(300)는 경고 알람을 제공하여 관리자가 도청기가 설치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청 탐지부(100)와 탐지 음파 발생부(200)가 설치된 장소의 3차원 도면 또는 2차원 도면을,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 표시하고, 화면에 표시된 도면상에 도청기 설치 위치를 표시한다.
이하에서는 탐지 음파가 초음파인 경우, 도청기 설치 위치 표시에 대해 설명한다.
도청 모니터링 단말기(300)는 도청 탐지부(100)가 제공한 도청기 위치 정보(도청기가 설치된 지점에 대한 방위 정보와 거리 정보)를 이용해 상기 3차원 도면 또는 2차원 도면상에 도청기 설치 위치를 표시하게 되는데, 탐지 음파 발생부(200) 설치 지점을 원점으로 하고, 원점을 기준으로 도청 탐지부(100)가 제공한 도청기 설치 위치의 방위 정보와 거리 정보에 대응되는 영역을 도면상에 표시하여 도청기 설치 위치를 표시한다.
도 4를 예로 들면, 도청기 위치 정보에 의해 도청기 위치의 방위가 제2방위이고(예 : 1~3시 사이 방향), 도청기 위치의 거리가 5M라면, 상기 도청 모니터링 단말기(300)는 도청 탐지부(100)와 탐지 음파 발생부(200)가 설치된 장소의 3차원 도면 또는 2차원 도면상에 탐지 음파 발생부(200)가 설치된 지점을 원점으로 표시하고, 원점을 기준으로 제2방위(예 : 1~3시 사이 방향)이면서 5M 떨어진 지점을 도청기 설치 위치로 도면상에 표시하되, 탐지 오차를 고려해, 원점을 기준으로 제2방위(예 : 1~3시 사이 방향)이면서 4.8~ 5.2M 떨어진 영역을 도청기 설치 위치로 표시한다.
이후, 관리자는 화면에 표시된 영역에 해당하는 실제 장소의 영역에 설치된 도청기를 찾아 제거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탐지 음파가 비 가청 저주파인 경우, 도청기 설치 위치 표시에 대해 설명한다.
도청 모니터링 단말기(300)는 도청 탐지부(100)가 제공한 도청기 위치 정보(도청기가 설치된 지점에 대한 거리 정보)를 이용해 상기 3차원 도면 또는 2차원 도면상에서 탐지 음파 발생부(200) 설치 지점을 원점으로 하고, 원점을 기준으로 도청 탐지부(100)가 제공한 도청기 설치 위치의 거리 정보에 대응되는 영역을 도면상에 표시하여 도청기 설치 위치를 표시한다.
도 5를 예로 들면, 도청기 위치 정보에 의해 도청기 위치의 거리가 5M라면, 상기 도청 모니터링 단말기(300)는 도청 탐지부(100)와 탐지 음파 발생부(200)가 설치된 장소의 3차원 도면 또는 2차원 도면상에 탐지 음파 발생부(200)가 설치된 지점을 원점으로 표시하고, 원점을 기준으로 5M 떨어진 지점을 도청기 설치 위치로 도면상에 표시하되, 탐지 오차를 고려해, 원점을 기준으로 4.8~ 5.2M 떨어진 영역을 도청기 설치 위치로 표시한다.
이후, 관리자는 화면에 표시된 영역에 해당하는 실제 장소의 영역에 설치된 도청기를 찾아 제거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주 내에서 변형한 것까지 포함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 도청 탐지부
200 : 탐지 음파 발생부
300 : 도청 모니터링 단말기

Claims (11)

  1. PC 기반의 탐지 음파를 이용한 도청 탐지 시스템에 있어서,
    수신되는 무선 신호 분석을 통해 도청기 설치 가능성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 도청기 설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탐지 음파가 발생하도록 탐지 음파 발생부(200)를 제어하고, 탐지 음파 발생 제어 후, 수신되는 무선 신호 분석을 통해 도청기 설치 여부를 최종 판단하고, 도청기가 설치된 것으로 최종 판단되는 경우, 도청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도청기 위치 정보를 도청 모니터링 단말기(300)로 제공하는 도청 탐지부(100)와;
    도청 탐지부(100)의 제어에 따라 탐지 음파를 발생시키는 탐지 음파 발생부(200)와;
    도청 탐지부(100)가 제공한 도청기 위치 정보를 이용해 도청기 설치 위치를 화면에 표시함과 동시에 경고 알람을 출력하는 도청 모니터링 단말기(300)를 포함하되,

    상기 탐지 음파가 초음파인 경우,
    상기 도청 탐지부(100)는,
    무선 신호를(제1 무선 신호, 제2 무선 신호)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신호를 탐지 제어부(120)로 제공하는 무선 수신기(110)와,
    무선 수신기(110)가 제공한 제1 무선 신호로부터 음파 신호를 분리 획득하고, 획득한 음파 신호의 주파수 특성이 가청 주파수 특성인 경우, 초음파를 발생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유선을 통해 탐지 음파 발생부(200)로 제공하고, 탐지 음파 발생부(200)로 제어 신호 제공 후, 수신되는 제2 무선 신호들을 분석하여 도청기 설치 여부를 판단하고, 도청기가 설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도청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도청 모니터링 단말기(300)로 제공하는 탐지 제어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탐지 음파 발생부(200)는,
    도청 탐지부(100)로부터 탐지 음파를 발생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일정 시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특정 방위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초음파 발생기이고,

    상기 탐지 제어부(120)에는 탐지 음파 발생부(200)를 구성하는 다수의 초음파 발생기들의 초음파 송출 방위 정보와 초음파 송출 시차 정보가 사전 저장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기반의 탐지 음파를 이용한 도청 탐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청기는 음파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파 대역의 신호를 특정 송출 주파수로 송출하는 원격 도청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기반의 탐지 음파를 이용한 도청 탐지 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탐지 제어부(120)는,
    탐지 음파 발생부(200)에 대한 초음파 발생 제어 후, 일정 시차를 두고 수신되는 제2 무선 신호 중, 상기 제1 무선 신호의 수신 주파수와 동일한 수신 주파수로 수신된 제2 무선 신호의 수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적어도 하나 이상인 제2 무선 신호로부터 분리 획득한 음파 신호의 주파수 특성이 초음파 특성인 경우, 도청기가 설치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기반의 탐지 음파를 이용한 도청 탐지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탐지 제어부(120)는,
    도청기가 설치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탐지 음파 발생부(200)에 대한 초음파 발생 제어 시점을 기준으로 제1 무선 신호의 수신 주파수와 동일한 수신 주파수로 수신된 제2 무선 신호의 수신 시간을 파악하고, 파악된 수신 시간 정보와 사전 저장된 다수의 초음파 발생기들의 초음파 송출 시차 정보를 이용해 도청기 설치 영역으로 초음파를 송출한 초음파 발생기를 파악하고, 도청기 설치 영역으로 초음파를 송출한 초음파 발생기 정보와 사전 저장된 다수의 초음파 발생기들의 초음파 송출 방위 정보를 이용해 도청기 설치 위치의 방위 정보를 생성하고, 파악된 제2 무선 신호의 수신 시간 정보와 초음파 전파 속도 정보를 이용해 도청기 설치 위치의 거리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도청기 설치 위치의 방위 정보와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도청기 위치 정보를 도청 모니터링 단말기(300)로 제공하되,
    상기 도청기 설치 위치의 방위 정보와 거리 정보는 탐지 음파 발생부(200)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기반의 탐지 음파를 이용한 도청 탐지 시스템.
  6. PC 기반의 탐지 음파를 이용한 도청 탐지 시스템에 있어서,
    수신되는 무선 신호 분석을 통해 도청기 설치 가능성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 도청기 설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탐지 음파가 발생하도록 탐지 음파 발생부(200)를 제어하고, 탐지 음파 발생 제어 후, 수신되는 무선 신호 분석을 통해 도청기 설치 여부를 최종 판단하고, 도청기가 설치된 것으로 최종 판단되는 경우, 도청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도청기 위치 정보를 도청 모니터링 단말기(300)로 제공하는 도청 탐지부(100)와;
    도청 탐지부(100)의 제어에 따라 탐지 음파를 발생시키는 탐지 음파 발생부(200)와;
    도청 탐지부(100)가 제공한 도청기 위치 정보를 이용해 도청기 설치 위치를 화면에 표시함과 동시에 경고 알람을 출력하는 도청 모니터링 단말기(300)를 포함하되,

    상기 탐지 음파가 비 가청 저주파인 경우,
    상기 도청 탐지부(100)는,
    무선 신호를(제1 무선 신호, 제2 무선 신호)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신호를 탐지 제어부(120)로 제공하는 무선 수신기(110)와,
    무선 수신기(110)가 제공한 제1 무선 신호로부터 음파 신호를 분리 획득하고, 획득한 음파 신호의 주파수 특성이 가청 주파수 특성인 경우, 비 가청 저주파를 발생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유선을 통해 탐지 음파 발생부(200)로 제공하고, 탐지 음파 발생부(200)로 제어 신호 제공 후, 수신되는 제2 무선 신호들을 분석하여 도청기 설치 여부를 판단하고, 도청기가 설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도청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도청 모니터링 단말기(300)로 제공하는 탐지 제어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탐지 음파 발생부(200)는,
    도청 탐지부(100)로부터 탐지 음파를 발생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사방으로 비 가청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비 가청 저주파 발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기반의 탐지 음파를 이용한 도청 탐지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탐지 제어부(120)는,
    탐지 음파 발생부(200)에 대한 비 가청 저주파 발생 제어 후, 상기 제1 무선 신호의 수신 주파수와 동일한 수신 주파수로 수신된 제2 무선 신호가 있고, 수신된 제2 무선 신호로부터 분리 획득한 음파 신호의 주파수 특성이 비 가청 저주파 특성인 경우, 도청기가 설치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기반의 탐지 음파를 이용한 도청 탐지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탐지 제어부(120)는,
    도청기가 설치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탐지 음파 발생부(200)에 대한 비 가청 저주파 발생 제어 시점을 기준으로 제1 무선 신호의 수신 주파수와 동일한 수신 주파수로 수신된 제2 무선 신호의 수신 시간을 파악하고, 파악된 제2 무선 신호의 수신 시간 정보와 비 가청 저주파 전파 속도 정보를 이용해 도청기 설치 위치의 거리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도청기 설치 위치의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도청기 위치 정보를 도청 모니터링 단말기(300)로 제공하되,
    상기 도청기 설치 위치의 거리 정보는 탐지 음파 발생부(200)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기반의 탐지 음파를 이용한 도청 탐지 시스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청 모니터링 단말기(300)는,
    도청 탐지부(100)와 탐지 음파 발생부(200)가 설치된 장소의 3차원 도면 또는 2차원 도면을 화면에 표시하고, 화면에 표시된 도면상에 도청기 설치 위치를 표시하되,
    상기 3차원 도면 또는 2차원 도면상에서 탐지 음파 발생부(200) 설치 지점을 원점으로 하고, 원점을 기준으로 도청 탐지부(100)가 제공한 도청기 설치 위치의 방위 정보와 거리 정보에 대응되는 영역을 도면상에 표시하여 도청기 설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기반의 탐지 음파를 이용한 도청 탐지 시스템.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도청 모니터링 단말기(300)는,
    도청 탐지부(100)와 탐지 음파 발생부(200)가 설치된 장소의 3차원 도면 또는 2차원 도면을 화면에 표시하고, 화면에 표시된 도면상에 도청기 설치 위치를 표시하되,
    상기 3차원 도면 또는 2차원 도면상에서 탐지 음파 발생부(200) 설치 지점을 원점으로 하고, 원점을 기준으로 도청 탐지부(100)가 제공한 도청기 설치 위치의 거리 정보에 대응되는 영역을 도면상에 표시하여 도청기 설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기반의 탐지 음파를 이용한 도청 탐지 시스템.

KR1020230051115A 2023-04-19 2023-04-19 Pc 기반의 탐지 음파를 이용한 도청 탐지 시스템 KR102596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1115A KR102596299B1 (ko) 2023-04-19 2023-04-19 Pc 기반의 탐지 음파를 이용한 도청 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1115A KR102596299B1 (ko) 2023-04-19 2023-04-19 Pc 기반의 탐지 음파를 이용한 도청 탐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6299B1 true KR102596299B1 (ko) 2023-10-31

Family

ID=88543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1115A KR102596299B1 (ko) 2023-04-19 2023-04-19 Pc 기반의 탐지 음파를 이용한 도청 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629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7152A (ko) * 2003-11-17 2005-05-20 주식회사 우주아이티 화상을 이용한 도청장치 감지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100885995B1 (ko) 2006-11-13 2009-03-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불법 송신장치 탐지기 및 그 탐지방법
JP2010011412A (ja) * 2008-06-30 2010-01-14 Rhythm Watch Co Ltd 盗聴器検出器および時計
KR20150002730U (ko) * 2015-06-20 2015-07-09 성준기 음향파 초음파를 이용한 사운드 마스킹에 의한 녹음.도청 차단,방지방법 및 장치
KR102228265B1 (ko) 2019-12-23 2021-03-16 주식회사 엠티에스컴퍼니 불법 송신기 탐지 시스템
KR102408559B1 (ko) 2021-05-24 2022-06-14 주식회사 케이앤어스 불법적으로 수집한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신호를 패턴 분석으로 탐지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7152A (ko) * 2003-11-17 2005-05-20 주식회사 우주아이티 화상을 이용한 도청장치 감지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100885995B1 (ko) 2006-11-13 2009-03-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불법 송신장치 탐지기 및 그 탐지방법
JP2010011412A (ja) * 2008-06-30 2010-01-14 Rhythm Watch Co Ltd 盗聴器検出器および時計
KR20150002730U (ko) * 2015-06-20 2015-07-09 성준기 음향파 초음파를 이용한 사운드 마스킹에 의한 녹음.도청 차단,방지방법 및 장치
KR102228265B1 (ko) 2019-12-23 2021-03-16 주식회사 엠티에스컴퍼니 불법 송신기 탐지 시스템
KR102408559B1 (ko) 2021-05-24 2022-06-14 주식회사 케이앤어스 불법적으로 수집한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신호를 패턴 분석으로 탐지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2351B2 (en) Systems and methods associated with detection of indoor gunfire
Wei et al. Acoustic eavesdropping through wireless vibrometry
EP1552490B1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detecting, locating and discerning an approach towards a linear installation
US6175307B1 (en) Security system with audible link and two-way communication
PL1606638T3 (pl) Sposób dokładnego określania lokalizacji uszkodzenia w elektrycznym systemie przesyłowym
US3192516A (en) Vibration detector
KR101384781B1 (ko) 이상 음원 탐지 장치 및 방법
KR20050047152A (ko) 화상을 이용한 도청장치 감지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102596299B1 (ko) Pc 기반의 탐지 음파를 이용한 도청 탐지 시스템
US9148796B2 (en) Resilient antenna disturbance detector
US3939420A (en) Debugging arrangement
US201000136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infrastructure
KR102466059B1 (ko) 사운드 커튼 방식의 도청 및 녹음 방지 시스템
US20230112743A1 (en)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emergency alerts
Freeman et al. High-frequency, highly directional short-range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s
US20140313857A1 (en) Acoustic propagation method
KR100330091B1 (ko) 인터넷망을 이용한 도청기/몰래카메라 감지시스템 및 그작동방법
US11595761B2 (en) Detecting and localizing acoustic signals with an optical network
US7952961B2 (en) Audio compass for motion tracking
KR200424396Y1 (ko) 레이저 도청 방지장치의 2중 난수잡음발생 및 선로 감시기능
EP3207536B1 (en) Co-operative lock system
JP5059931B2 (ja) 侵入検知システム
JP6058871B1 (ja) 疑惑電波探索装置
Sergeevich CURRENT STATE AND TACTICAL POSSIBILITIES OF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INDICATORS..
TWI590595B (zh) Wireless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