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079B1 - 농업용 분사구조를 갖춘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 Google Patents

농업용 분사구조를 갖춘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079B1
KR102596079B1 KR1020230088745A KR20230088745A KR102596079B1 KR 102596079 B1 KR102596079 B1 KR 102596079B1 KR 1020230088745 A KR1020230088745 A KR 1020230088745A KR 20230088745 A KR20230088745 A KR 20230088745A KR 102596079 B1 KR102596079 B1 KR 102596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support
support member
pip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8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기원
Original Assignee
(주)썬로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썬로드테크 filed Critical (주)썬로드테크
Priority to KR1020230088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0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1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the grou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작지 내 또는 경작지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며, 기둥(200)과 기둥(200) 사이에 하나 이상의 태양전지판(100)이 설치되는 구조, 각 기둥(200)의 상단에 태양전지판(100)이 설치되는 구조 또는 기둥(100)과 기둥(100) 사이에 서로 대칭형태로 한 쌍의 태양전지판(100)이 하나 이상의 층으로 설치되는 구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구조로 설치된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에서, 상기 기둥(200)과 기둥(200) 사이를 연결하도록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경작지를 방향으로 분사되도록 분사공((30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배관(300)과, 상기 기둥(200)에 위치한 배관(300)을 결속하여 기둥(200)에 결합 고정되도록 결합부재(4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농업용 분사구조를 갖춘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Farming type Photovoltaic generation system with spray structure}
본 발명은 농업용 분사구조를 갖춘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경작지 또는 경작시 주변에 태양광발전장치를 설치하여 발전효율을 갖추면서 농작물에 대하여 수분공급 또는 농약살포를 겸하도록 설치하여 태양광 발전 및 농작물 생육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농업용 분사구조를 갖춘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배출 규제, 에너지 다소비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 제한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신재생 에너지의 중요도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 특히, 국가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의 하나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신재생 에너지의 의무 사용은 이미 법제화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정부청사 등에서는 신재생 에너지를 적용하여 설치·운용 중이다.
신재생 에너지의 하나인 태양광 전지판은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최근에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지역에서는 농작물 재배와 태양광 발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설치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은 농작물을 경작하는 경작지에 태양광 발전 구조물을 함께 설치하여, 해당 경작지에서 농작물의 수확과 전력 발전을 모두 할 수 있는 친환경적이면서도 경제적인 발전 방식이다. 즉, 영농형 태양광 발전은 친환경적인 것은 물론이고, 기존에 사용되는 경작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경제성이 매우 높다.
그리고, 농경지에 농작물의 경작 중에 물, 비료 또는 농약을 기계적으로 살포함에 있어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구성하는 태양전지판을 지지하는 기둥에 분사구조를 설치함에 있어 농작물에 균일한 분사 또는 살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3-0040156호(2023. 03. 22.)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68577호(2022. 02. 2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농작물을 경작하는 농업 용지를 활용하여 태양광발전설비를 갖춘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구현함과 함께 농업용지의 입지의 제약 없이 농업용지의 활용성에 대한 저해를 최소화하면서 태양에너지 수집의 효율성은 극대화하도록 하는 것과, 태양전지판을 고정 및 지지하는 기둥 간에 배관을 다단으로 설치하여 물이나 비료, 농약의 분사 및 살포 작업을 지원할 수 있는 농업용 분사구조를 갖춘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경작지 내 또는 경작지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며, 기둥과 기둥 사이에 하나 이상의 태양전지판이 설치되거나 각 기둥의 상단에 태양전지판이 설치된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둥과 기둥 사이를 연결하도록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경작지 방향으로 분사되도록 분사공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배관과,
상기 기둥에 위치한 배관을 결속하여 기둥에 결합 고정되도록 결합부재가 포함되는 농업용 분사구조를 갖춘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는, 기둥 전면에 면접되는 부착면부와 상기 부착면부의 양단에서 각각 절곡되어 기둥의 측면에 면접되면서 후방으로 돌출되면서 양측의 돌출된 끝단부에 상호 마주한 제1체결공이 형성된 결합면부로 구성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부착면부 전면에 후면이 부착 고정되어 배관을 삽입 통과하도록 가로길이의 지지체로 이루어진 농업용 분사구조를 갖춘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지지체는 양측이 각각 개방된 수평길이의 원통형이거나 양측과 상부가 개방되면서 상호 마주한 전면 상단 및 후면 상단이 각각 소정의 수직길이로 연장된 “U”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농업용 분사구조를 갖춘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기둥의 수평단면이 원형일 경우 결합부재는, 기둥 전면에 면접되는 부착면부와 상기 부착면부의 양단에서 각각 절곡되어 기둥의 측면에 면접되면서 양측단 각각의 내측 일면에 결합구가 형성된 결합면부로 구성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부착면부 전면에 후면이 부착 고정되어 배관을 삽입 통과하도록 가로길이의 지지체 및,
상기 결합면부 각각에 결합되어 기둥 후면에 고정되도록 상호 대칭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고정체의 결합면부 결합구로 결속 고정되도록 전단의 내측으로 절곡된 결합탭과 후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제2체결공이 형성된 결합판이 형성된 연결부로 구성되는 농업용 분사구조를 갖춘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지지체의 내부 중앙의 하면에 관통된 고정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체의 양측으로 돌출 연장되며, 상기 고정공에 삽입되도록 하면 중앙에 하향 돌출된 지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배관의 하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면에 곡선홈이 형성된 받침부재가 더 포함되는 농업용 분사구조를 갖춘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농업용 분사구조를 갖춘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농작물을 경작하는 용지에서 농업과 동시에 태양광 발전이 가능하여 효율적인 농경지의 이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태양전지판을 고정 지지하는 기둥 간에 다단으로 배관을 설치하면서 배관을 통해 물이나 비료, 농약의 살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과의 연계를 통해 농작물의 병충해 등의 상황에 신속히 대응하여 농약 또는 비료를 살포하여 농작물 피해를 줄이거나 필요한 작물에 물을 공급하는 조치를 함으로 피해를 예방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분사구조를 갖춘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갖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분사구조를 갖춘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갖춘 다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분사구조를 갖춘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갖춘 또다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분사구조를 갖춘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에서 고정체와 지지체로 구성된 결합부재를 배치한 실시도(a), 고정체-지지체-연결로 구성된 결합부재를 배치한 실시도(b) 및 지지판과 "U"형의 볼트로 구성된 결합부재를 배치한 싱시도(c).
도 5는 도 4의 (a)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분사구조를 갖춘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에서 고정체와 지지체로 구성된 결합부재에 배관과 기둥이 결합하는 분리도.
도 6은 도 5의 (b)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분사구조를 갖춘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에서 고정체-지지체-연결부로 구성된 결합부재에 배관과 기둥이 결합하는 분리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분사구조를 갖춘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에서 상부가 개방된 지지체가 구성된 결합부재의 사시도(a)와 측면도(b).
도 8은 도 5의 (c)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분사구조를 갖춘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에서 지지판과 “U”형의 볼트로 구성된 결합부재에 기둥과 배관이 결합하는 분리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분사구조를 갖춘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에서 결합부재의 지지체 내부로 받침부재가 결합하는 분리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분사구조를 갖춘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에서 지지원부가 형성된 받침부재의 사시도(a)와 결합봉이 형성된 지지원부를 포함한 받침부재 간에 나사볼트와 너트가 체결되는 분리도(b).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경작지 내 또는 경작지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며, 기둥(200)과 기둥(200) 사이에 하나 이상의 태양전지판(100)이 설치되는 구조, 각 기둥(200)의 상단에 태양전지판(100)이 설치되는 구조 또는 기둥(100)과 기둥(100) 사이에 서로 대칭형태로 한 쌍의 태양전지판(100)이 하나 이상의 층으로 설치되는 구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구조로 설치된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둥(200)과 기둥(200) 사이를 연결하도록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경작지 방향으로 분사되도록 분사공((30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배관(300)과,
상기 기둥(200)에 위치한 배관(300)을 결속하여 기둥(200)에 결합 고정되도록 결합부재(400)가 포함되는 농업용 분사구조를 갖춘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이하, ‘태양광 발전시스템’이라 칭함.)을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농작물을 경작하는 농업용지의 내에 설치되거나 농업용지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며,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판(100)을 설치함에 있어 일실시예로는 기둥(200)과 기둥(200) 사이에 하나 이상의 태양전지판(100)을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설치되는 구조물이며, 또한 태양을 따라 자동 회전되도록 태양전지판(100)을 기둥(200)에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각 기둥(200)의 상단에 태양전지판(100)이 설치되는 구조물이며, 또한 기둥(200)과 기둥(200) 사이에 서로 대칭형태로 한 쌍의 태양전지판(100)이 하나 이상의 층으로 설치되는 구조물이며, 다른 실시예로는 기둥(200)의 상단에 태양전지판(100)이 설치되는 구조물에 적용된다.
그리고, 도 4의 결합부재에 대한 3가지 타입과 같이 상기 농경지의 농작물로 물, 농약 또는 비료를 살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구조는 기둥(200)과 기둥(200) 사이에 가로길이로 하나 이상이 설치되는 배관(300)과 상기 기둥(200)에 배관(300)을 고정시키는 결합부재(400)로 구성된다.
상기 배관(300)은 외부의 물, 농약 또는 비료 등의 수용물이 저장된 탱크(미도시)에 연계되어 동력수단(미도시)을 통해 탱크 내의 수용물을 배관(300)으로 이동시키며, 이때 기둥(200)과 기둥(200) 사이의 배관(300)에 농작물을 향하도록 등간격으로 다수 개의 분사공(301)이 형성되며, 상기 분사공(301)을 통해 수용물이 분사되거나 상기 분사공(301)에 노즐(미도시)이 장착되어 노즐을 통해 수용물이 분산되어 농작물로 뿌려주게 된다.
또한, 상기 기둥(200)과 기둥(200) 사이에 다단으로 배관(300)이 설치됨으로서 최하단의 배관(300)은 근거리에 위치한 농작물 그리고 최상단의 배관(300)은 장거리에 위치한 농작물로 수용물을 분사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관(300)의 분사공(301)에 스프링쿨러방식의 분사장치(미도시)가 설치되어 불규칙한 방향으로 수용물이 분사되도록 하여 설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 4의 (a)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400)는, 기둥(200) 전면에 면접되는 부착면부(411)와 상기 부착면부(411)의 양단에서 각각 절곡되어 기둥(200)의 측면에 면접되면서 후방으로 돌출되면서 양측의 돌출된 끝단부에 상호 마주한 제1체결공(412-1)이 형성된 결합면부(412)로 구성된 고정체(410)와,
상기 고정체(410)의 부착면부(411) 전면에 후면이 부착 고정되어 배관(300)을 삽입 통과하도록 가로길이의 지지체(420)로 이루어진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결합부재(400)는 단면이 사각형인 기둥(200)에 고정시키는 고정체(410)와 상기 고정체(410)에 연결되어 배관(300)을 결속시키는 지지체(420)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체(410)는 기둥(200)의 전면에 면접되는 부착면부(411)와 상기 부착면부(411)의 양단에서 각각 절곡되어 기둥(200)의 양측면을 면접하면서 끝단이 후방으로 돌출되는 결합면부(412)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면부(412) 각각의 끝단에 서로 마주한 제1체결공(412-1)이 형성되며, 이때 기둥(200)의 후방으로 돌출된 결합면부(412)의 끝단에 형성된 제1체결공(412-1)으로 볼트/너트를 채워 양측 결합면부(412) 사이를 압박함으로서 기둥(200)에 고정체(410)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지지체(420)는 배관(300)이 삽입되도록 양측이 개방되면서 내부로 관로가 형성된 파이프형태로 형성되며, 이때 관로의 직경은 배관(300) 직경에 대응된 직경이거나 배관(300)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지지체(420)로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지지체(420)는 고정체(410)의 부착면부(411)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마련된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체(420)는 양측이 각각 개방된 수평길이의 원통형이거나 양측과 상부가 개방되면서 상호 마주한 전면 상단 및 후면 상단이 각각 소정의 수직길이로 연장된 “U”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지지체(420)는 상부가 개방된 수직단면이 “U”형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체(420)의 내부로 배관(300)이 수용 안착된 형태로 설치되며, 또한 지지체(420)의 내측면에 수용된 배관(3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돌출턱(421)이 형성되며, 이때 수용된 배관(300)의 외주를 돌출턱(421)이 가압하여 지지체(420) 상부로 배관(3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의 (b)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둥(200)의 수평단면이 원형일 경우 결합부재(400)는, 기둥(200) 전면에 면접되는 부착면부(411)와 상기 부착면부(411)의 양단에서 각각 절곡되어 기둥의 측면에 면접되면서 양측단 각각의 내측 일면에 결합구(412-2)가 형성된 결합면부(412)로 구성된 고정체(410)와,
상기 고정체(410)의 부착면부(411) 전면에 후면이 부착 고정되어 배관(300)을 삽입 통과하도록 가로길이의 지지체(420) 및,
상기 결합면부(412) 각각에 결합되어 기둥(200) 후면에 고정되도록 상호 대칭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고정체(410)의 결합면부(412) 결합구(412-2)로 결속 고정되도록 전단의 내측으로 절곡된 결합탭(431)과 후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제2체결공(432-1)이 형성된 결합판(432)이 형성된 연결부(430)로 구성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기둥(200)의 수평단면이 원형일 경우 사용되는 결합부재(400)는 고정체(410), 지지체(420) 및 상호 대칭형의 연결부(430)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430)는 고정체(410)의 양측 결합면부(412)에 각각 결합되어 기둥(200)의 후방에서 볼트/너트로 체결되어 고정체(410) 및 연결부(430)를 기둥(200)에 고정시키게 되며, 즉 기둥(200)에 상호 대칭형태로 한 쌍이 배치되는 연결부(430)는 전단에 결합면부(412)의 결합구(412-2)에 결합되도록 결합탭(431)이 형성되며, 후단에 기둥(200) 후방으로 돌출되면서 제2체결공(432-1)이 형성된 결합판(432)이 형성되며, 이때 결합탭(431)과 결합판(432) 사이의 면(面)은 기둥(200)의 측면에 대응된 형태로 형성되어 기둥(200) 측면을 면접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체(410)의 양측 결합면부(412) 끝단을 상호 가로질러 연결한 지지면부(미도시)가 더 형성되며, 이때 지지면부는 기둥(200)의 외면에 대향된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4의 (c)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둥(200)의 수평단면이 사각형 또는 원형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결합부재(400)는, 기둥(20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양측단이 기둥(200)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면서 기둥(200) 양측으로 돌출된 양단부에 각각 한 쌍의 제3체결공(441)이 형성된 지지판(440)과,
상기 지지판(440) 양측으로 각각 체결되며, 기둥(200) 전면에 위치한 지지판(440)의 제3체결공(441)을 통해 기둥(200) 후면에 위치한 지지판(440)의 제3체결공(441)으로 “U”형의 볼트(451)가 결속되어 너트(452)로 체결되는 체결수단(450)이 포함되되, 상기 기둥(200)의 전면에 위치한 지지판(440)의 전면에 배관(300)이 면접되면서 볼트(451)의 절곡부(451-1) 내측에 배관(300)이 수용되도록 하는 구조로 제공된다.
상기 결합부재(400)는 기둥(200)의 전후에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지지판(440)과 상기 기둥(200) 양측으로 돌출된 지지판(440) 양측에 각각 설치하여 기둥(440) 전/후측에 위치한 전/후측 지지판(440)을 동시에 결속시키면서 배관(300)을 수용 지지하도록 하는 “U”형의 볼트(451) 및 너트(452)로 체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지지판(440) 양측 단부에 각각 제3체결공(441) 한 쌍이 상하로 형성되며, 상기 기둥(200)의 전측 및 하측에 위치한 지지판(440)이 상호 마주하면서 제3체결공(441)도 이웃하도록 형성되며, 이때 지지판(440) 양측에 각각 “U”형의 볼트(451)를 제3체결공(441)으로 삽입시킨 후 기둥(200) 후측에 위치한 지지판(440) 후방으로 돌출된 볼트(451)의 단부에 너트(452)를 채워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체(420)의 내부 중앙의 하면에 관통된 고정공(422)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체(4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체(420)의 양측으로 돌출 연장되며, 상기 고정공(422)에 삽입되도록 하면 중앙에 하향 돌출된 지지돌기(510)가 형성되며, 상기 배관(300)의 하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면에 곡선홈(501)이 형성된 받침부재(500)가 더 포함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받침부재(500)는 지지체(4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체(420)의 양단으로 소정 길이로 돌출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받침부재(500)의 상면이 배관(300)의 외주면 하면 형상에 대응된 곡선홈(501)이 형성되면서 하면은 지지체(420)의 내부 바닥면에 대응된 형상을 가지거나 수직단면이 상면이 오목형 그리고 하면이 볼록형의 반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500)가 지지체(420)의 내부에 안착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받침부재(500)의 하면 중앙에 하향 돌출된 지지돌기(510)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체(420)로 내부로 받침부재(420) 안착시 받침부재(500)의 지지돌기(510)가 삽입 고정되도록 지지체(420)의 내부 바닥면 중앙에 고정공(422)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지지체(420) 내부로 안착 고정된 받침부재(500)의 상부로 배관(300)을 안착시키며, 상기 받침부재(500)의 상면에 배관(300)의 소정길이를 지지하여 기둥 간에 위치한 배관(30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체(420)의 양단으로 돌출된 받침부재(500)의 양단에 각각 배관(300)이 삽입되도록 링형태의 지지원부(520)가 형성되며, 상기 받치부재(500)의 양단에 지지원부(520)가 형성됨으로서 배관(300)이 지지원부(520)를 통과하여 받침부재(500)의 상면에 직선으로 안착시 배관(300) 내부로 이동되는 수용물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감소시켜 받침부재(500)에 안정적으로 안착된 구조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기둥(200)과 기둥(200) 사이에 다수 개의 배관(300)이 가로길이로 배열시 상측에 위치한 상측의 배관(300)과 상기 상측의 배관(300)에 이웃한 하측에 위치한 하측의 배관(300) 사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배관(300)을 지지하도록 다음과 같은 구조가 더 포함된다.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재(500)의 지지원부(510) 외주면의 전측 및 후측에 각각 상하 관통된 관형의 결합봉(521)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봉(521)에 통과하여 너트(531)를 채워 고정되는 나사볼트(530)를 포함하는 구조가 더 포함된다.
상기 받침부재(500)의 지지원부(520)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상하 관통된 관형의 결합봉(521)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봉(521)으로 통과되도록 외주에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볼트(530)가 배치되며, 이때 결합봉(521)을 통과한 나사볼트(530)의 단부에 너트(531)를 채워 체결하게 된다.
즉, 상측의 배관(300)을 안착시키는 받침부재(500)의 지지원부(520)와 하측의 배관(300)을 안착시키는 받침부재(500)의 지지원부(520) 사이에 한 쌍의 나사볼트(530)가 결합되도록 설치하며, 이때 나사볼트(530) 상단을 상측의 배관(300)에 위치한 받침부재(500)의 지지원부(520)에 형성된 결합봉(521)에 삽입하며, 그리고 나사볼트(530)의 하단을 하측의 배관(300)에 위치한 받침부재(500)의 지지원부(520)에 형성된 결합봉(521)에 삽입한 후 결합봉(521)을 통과한 나사볼트(530)의 각 단부에 너트(531)를 채워 고정하게 되며, 상기 나사볼트(530)의 체결시 각각의 지지원부(520)에 위치한 결합봉(521)이 상호 마주하게 하여 나사볼트(530)의 각 단부가 통과하여 너트(531)로 체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둥(200)의 하부에 폐전주(250)를 결합시켜 기둥(200)을 보강할 수 있으며, 더욱이 폐전주(250)를 재활용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1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가 지중에 고정되면서 지면으로 상부가 돌출된 폐전주(250)의 상단부와 기둥(200)의 하단부를 면접하며, 이때 폐전주(250)의 상단부와 기둥(200)의 하단부가 면접되는 위치의 외주에 고정밴드(260)로 결합 고정되며, 상기 고정밴드(260)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절개된 양 선단에는 볼트/너트의 체결부재를 통해 상호 면접 위치의 외주면에 밀착 설치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절곡된 조임부가 형성되며, 구분된 고정밴드(260)의 조임부를 겹쳐 볼트/너트의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폐전부(250)의 상부로 중공형의 기둥(200) 하부의 내부가 삽입된 후 장공의 볼트(50)와 너트(51)를 통해 폐전부(250)와 기둥(200)이 동시에 체결 고정되게 되며, 이때 상기 기둥(200) 내부의 내경은 폐전주(250)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태양전지판 100 기둥 200 폐전주 250
배관 300 결합부재 400 고정체 410
부착면부 411 결합면부 412 지지체 420
연결부 430 결합탭 431 결합판 432
지지판 440 제3체결공 441 “U”형 볼트 451
받침부재 500 지지돌기 510 지지원부 520
결합봉 521 나사볼트 530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경작지 내 또는 경작지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며, 기둥(200)과 기둥(200) 사이에 하나 이상의 태양전지판(100)이 설치되는 구조, 각 기둥(200)의 상단에 태양전지판(100)이 설치되는 구조 또는 기둥(100)과 기둥(100) 사이에 서로 대칭형태로 한 쌍의 태양전지판(100)이 하나 이상의 층으로 설치되는 구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구조로 설치된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둥(200)과 기둥(200) 사이를 연결하도록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경작지 방향으로 분사되도록 분사공((30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배관(300)과,
    상기 기둥(200)에 위치한 배관(300)을 결속하여 기둥(200)에 결합 고정되며, 상기 기둥(200) 전면에 면접되는 부착면부(411)와 상기 부착면부(411)의 양단에서 각각 절곡되어 기둥(200)의 측면에 면접되면서 후방으로 돌출되면서 양측의 돌출된 끝단부에 상호 마주한 제1체결공(412-1)이 형성된 결합면부(412)로 구성된 고정체(410)와, 상기 고정체(410)의 부착면부(411) 전면에 후면이 부착 고정되어 배관(300)을 삽입 통과하도록 가로길이로 형성되며, 양측이 각각 개방된 수평길이의 원통형이거나 양측과 상부가 개방되면서 상호 마주한 전면 상단 및 후면 상단이 각각 소정의 수직길이로 연장된 “U”형의 형태로 형성된 지지체(420)로 구성된 결합부재(400)와,
    상기 지지체(420)의 내부 중앙의 하면에 관통된 고정공(422)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체(4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체(420)의 양측으로 돌출 연장되며, 상기 고정공(422)에 삽입되도록 하면 중앙에 하향 돌출된 지지돌기(510)가 형성되며, 상기 배관(300)의 하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면에 곡선홈(501)이 형성된 받침부재(500)가 포함되되,
    상기 지지체(420)의 양단으로 돌출된 받침부재(500)의 양단에 각각 배관(300)이 삽입되도록 링형태의 지지원부(520)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재(500)의 지지원부(520) 외주면의 전측 및 후측에 각각 상하 관통된 관형의 결합봉(521)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재(500)의 지지원부(520) 사이에 한 쌍의 나사볼트(530)가 결합되도록 설치하며, 이때 나사볼트(530) 상단을 상측의 배관(300)에 위치한 받침부재(500)의 지지원부(520)에 형성된 결합봉(521)에 삽입하며, 그리고 나사볼트(530)의 하단을 하측의 배관(300)에 위치한 받침부재(500)의 지지원부(520)에 형성된 결합봉(521)에 삽입한 후 결합봉(521)을 통과한 나사볼트(530)의 각 단부에 너트(531)를 채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분사구조를 갖춘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하부가 지중에 고정되면서 지면으로 상부가 돌출된 폐전주(250)의 상단부와 기둥(200)의 하단부를 면접하며, 이때 폐전주(250)의 상단부와 기둥(200)의 하단부가 면접되는 위치의 외주에 고정밴드(260)로 결합 고정되거나 폐전주(250)의 상부로 중공형의 기둥(200) 하부의 내부가 삽입된 후 장공의 볼트(50)와 너트(51)을 통해 폐전부(250)와 기둥(200)이 동시에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분사구조를 갖춘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0230088745A 2023-07-09 2023-07-09 농업용 분사구조를 갖춘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596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8745A KR102596079B1 (ko) 2023-07-09 2023-07-09 농업용 분사구조를 갖춘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8745A KR102596079B1 (ko) 2023-07-09 2023-07-09 농업용 분사구조를 갖춘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6079B1 true KR102596079B1 (ko) 2023-10-31

Family

ID=88543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8745A KR102596079B1 (ko) 2023-07-09 2023-07-09 농업용 분사구조를 갖춘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607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907Y1 (ko) * 2009-07-30 2011-08-04 서울메트로 급전분기선용 절연 지지클램프
KR101183198B1 (ko) * 2011-06-07 2012-09-14 주식회사 대영통신 통신전주용 보조전주
KR101864438B1 (ko) * 2017-12-11 2018-06-04 김재훈 태양광 패널 지지장치
KR20210135748A (ko) * 2020-05-06 2021-11-16 김은일 영농병행 등의 다용도 태양광발전시스템과 이의 건설방법
JP2022082262A (ja) * 2020-11-20 2022-06-01 中国電力株式会社 装柱バンド
KR102468463B1 (ko) * 2021-11-23 2022-11-18 (주)제이에스파워 전기 에너지 저장이 가능한 영농형 태양광 시스템
KR20230040156A (ko) 2021-09-15 2023-03-22 주식회사 야베스 분사부가 구비된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907Y1 (ko) * 2009-07-30 2011-08-04 서울메트로 급전분기선용 절연 지지클램프
KR101183198B1 (ko) * 2011-06-07 2012-09-14 주식회사 대영통신 통신전주용 보조전주
KR101864438B1 (ko) * 2017-12-11 2018-06-04 김재훈 태양광 패널 지지장치
KR20210135748A (ko) * 2020-05-06 2021-11-16 김은일 영농병행 등의 다용도 태양광발전시스템과 이의 건설방법
KR102368577B1 (ko) 2020-05-06 2022-02-28 김은일 영농병행 등의 다용도 태양광발전시스템과 이의 건설방법
JP2022082262A (ja) * 2020-11-20 2022-06-01 中国電力株式会社 装柱バンド
KR20230040156A (ko) 2021-09-15 2023-03-22 주식회사 야베스 분사부가 구비된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2468463B1 (ko) * 2021-11-23 2022-11-18 (주)제이에스파워 전기 에너지 저장이 가능한 영농형 태양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540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2596079B1 (ko) 농업용 분사구조를 갖춘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251394B1 (ko)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CN206686978U (zh) 一种果蔬杀虫灯
CN214902493U (zh) 小型庭院经济实用型可移动式日光温室
CN210143444U (zh) 一种园林幼苗种植用辅助支撑装置
KR101984872B1 (ko) 태양광 모듈을 이용하여 동애등에 유충의 사육이 가능한 구조물
CN209509002U (zh) 一种适用于管桩基础的农业大棚柱脚连接结构
CN210695205U (zh) 一种便于安装拆卸的农业种植大棚
CN205682012U (zh) 一种新型光伏温室大棚
CN212813841U (zh) 一种农学植物保护装置
CN207783731U (zh) 果蔬温室大棚
CN218814396U (zh) 温室大棚拼装用骨架稳固机构
CN203327645U (zh) 大棚收放组合支架
CN207897530U (zh) 农业大棚的光伏电池组件安装架
CN110839450A (zh) 一种带有洒水结构的大棚结构
JP3183330U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CN206458677U (zh) 一种光伏大棚用天沟与天沟连接件的连接结构
CN204498964U (zh) 一种板栗幼树整形器
CN210808476U (zh) 一种便于搭建的农业温室大棚
CN218126028U (zh) 持续滴灌器
CN217986235U (zh) 一种用于猕猴桃密植栽培的栽培架
CN212728227U (zh) 一种具有结构加固的大棚膜装置
CN220674590U (zh) 一种农业种植用遮阳棚
JP3215966U (ja) 園芸用トンネル支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