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336B1 - 투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시트 - Google Patents

투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336B1
KR102595336B1 KR1020210065405A KR20210065405A KR102595336B1 KR 102595336 B1 KR102595336 B1 KR 102595336B1 KR 1020210065405 A KR1020210065405 A KR 1020210065405A KR 20210065405 A KR20210065405 A KR 20210065405A KR 102595336 B1 KR102595336 B1 KR 102595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heet
parts
mask pack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7635A (ko
Inventor
이진경
김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피알에스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피알에스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피알에스앤티
Priority to KR1020210065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336B1/ko
Publication of KR20220157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3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C01B33/18Preparation of finely divided silica neither in sol nor in gel form; After-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팩 시트에 관한 것으로, 투습성 멤브레인에 의한 선택적 투습기능이 도입되어 땀과 습기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하이드로겔층이 구비되어 밀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열방출을 막아 피부에 유효성분을 과량 공급할 수 있는 마스크팩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시트는, 화장료 조성물이 도포된 시트 원단; 및 도트 라미네이팅 방식으로 상기 시트 원단의 일면에 설치되는 투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 원단은, 베이스 시트층 및 상기 베이스 시트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이중층 구조의 하이드로겔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투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시트{Mask pack sheet containing a moisture-permeable membrane}
본 발명은 마스크팩 시트에 관한 것으로, 투습성 멤브레인에 의한 선택적 투습 기능이 도입되어 땀과 습기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고, 하이드로겔층이 구비되어 밀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열 방출을 막아 피부에 유효성분을 과량 공급할 수 있는 마스크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팩(mask pack)은 종이, 부직포, 면포, 편직물 등과 같은 소재로 제조한 마스크팩 본체 상에 피부 미용에 도움을 주는 각종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조하며, 얼굴에 부착한 다음 일정시간 동안 유지시킴으로서 유효성분이 피부에 도입되어 미백, 주름개선, 보습, 피부 진정, 피부 탄력 부여 등과 같은 다양한 피부 미용 효과를 발휘하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일반적인 마스크팩은 부착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마스크팩 본체에 도입된 각종 유효성분과 이에 수반되는 수분이 쉽게 증발하여 피부의 건조함 증가와 유효성분의 피부로의 흡수 없이 시트 밖에서 버려지게 되며, 일반 멤브레인 시트의 경우는, 땀과 수분이 배출되지 않아 착용감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례로, 문헌 1인 한국등록특허 제10-1500987호는 수용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문헌 1에는, 수용성 폴리우레탄, 천연 고분자 겔화제, 전해질, 피부 유효성분, 다가알코올 포함 가소제, 보존제 및 물을 포함한 용매를 함유하며, 탄성과 통기성이 개선된 마스크팩용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관한 내용이 개시된 바 있다.
또 다른 예로, 문헌 2인 한국등록특허 제10-2026830호는 투습성 멤브레인 미용시트에 관한 것으로, 문헌 2에는 피부팩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시트 원단; 및 상기 시트 원단의 일면에 부착되며, 무공성 및 투습성을 갖는 수지로 이루어진 멤브레인;을 포함하되, 상기 시트 원단은 폴리감마글루탐산, 폴리아크릴산 및 폴리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물질로 형성되는 용액을 이용하여 하이드로겔화하고, 상기 멤브레인의 두께는 5 μm 내지 100 μm 로 형성되며, 상기 멤브레인의 투습도는 24시간 기준 5,000 내지 10,000 g/m2이고, 상기 멤브레인의 모듈러스(modulus)는 10 내지 300 kg/cm2이며, 상기 멤브레인은 도트 라미네이팅(dot laminating) 방식으로 시트 원단에 부착되되, 전체 멤브레인 면적의 20% 내지 80%의 범위 내에서 도트(dot)가 형성되도록 시트 원단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성 멤브레인 미용시트에 관한 내용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수용성 폴리우레탄을 도입하여 통기성을 확보하여 피부 연화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확보하고 있으나, 마스크팩 본체에 도포된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이 피부에 쉽게 흡수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고, 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은 투습성 멤브레인 미용시트는 침적 또는 도포 방법을 통해 화장료 조성물을 도입하는 경우 땀과 수분의 선택적인 배출이 가능해 착용감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시트 원단에 화장료 조성물이 쉽게 도입되지 못해 제조 시간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00987호 (공고일 : 2015.03.12) 한국등록특허 제10-2026830호 (공고일 : 2019.09.30)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피부에서 발생되는 열의 방출을 감소시켜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각종 유효성분의 피부 흡수를 촉진시킬 수 있는 마스크팩 시트에 관한 기술 내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선택적 투습기능이 도입되어 땀과 습기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어 멤브레인 시트 내부에 땀으로 인한 시트의 무거움이 없고, 사용시 밀착성과 착용감이 우수한 마스크팩 시트에 관한 기술 내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효성분이 함침된 시트 원단으로부터 손에 유효성분이 묻어나거나 흘러내리지 않아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이 단시간에 흡수될 수 있어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마스크팩 시트에 관한 기술 내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이 도포된 시트 원단; 및 도트 라미네이팅 방식으로 상기 시트 원단의 일면에 설치되는 투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 원단은, 베이스 시트층, 상기 베이스 시트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하이드로겔층 및 상기 제1 하이드로겔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 하이드로겔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투습성 멤브레인은, 두께가 5 내지 100 ㎛일 수 있고, 투습도가 24시간 기준 5,000 내지 10,000 g/m2일 수 있으며, 모듈러스(modulus)가 10 내지 300 kg/cm2일 수 있다.
상기 투습성 멤브레인은 상기 투습성 멤브레인의 총면적 기준 10 내지 100%의 범위로 도트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이드로겔층은 함수율이 30 내지 100%이고, 상기 제2 하이드로겔층은 함수율이 50 내지 200%일 수 있다.
상기 투습성 멤브레인은, 미분쇄 실리카를 실록산(silanol), 실란(silane), 아닐린(anilin) 및 아민(am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과 반응시켜 실리카 표면의 실라놀의 일부를 실록산, 실란, 아닐린, 아민으로 치환하여 제조한 치환 실리케이트를 투습 촉진제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시트층은 펄프, 실크, 부직포, 면, 셀룰로오스 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소재로 제조한 직물 원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시트는 피부에서 발생되는 열방출을 감소시켜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각종 유효성분의 피부 흡수를 촉진시킬 수 있어 우수한 피부 미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투습성 멤브레인에 의해 선택적 투습기능이 도입되어 땀과 습기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고, 착용시 밀착성과 착용감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마스크팩 시트로부터 화장료 조성물이 흘러내리지 않아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이종 함수율을 갖는 2중층 구조의 하이드로겔이 구비되어 피부에 부착되는 제2 하이드로겔층에 화장료 조성물이 단시간에 흡수될 수 있어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사용시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시트 원단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유효성분의 피부 흡수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시트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 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시트(10)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시트(10)는, 시트 원단(100) 및 투습성 멤브레인(200)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먼저, 시트 원단(100)은 화장료 조성물이 도포되고, 사용자의 안면에 부착되어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각종 유효성분을 피부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하이드로겔 조성물과 혼합 도입, 함침, 스프레이 코팅, 롤 코팅, 등과 같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시트 원단(100) 상에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시트 원단(100)은 화장료 조성물이 도포되며, 안면에 부착되어 시간의 흐름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피부 미용 성분이 피부로 도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밀착력, 수분 보유 성능, 유효성분의 흡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베이스 시트층(110), 제1 하이드로겔층(120) 및 제2 하이드로겔층(1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베이스 시트층(110)은, 일면에 제1 하이드로겔층(120)이 형성되며, 하이드로겔층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펄프, 실크, 부직포, 면, 셀룰로오스 섬유 직물 또는 이들의 혼합 원료를 이용해 제조한 직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이드로겔층(120)은 상기 베이스 시트층(110)의 상면에 형성되고, 지지력을 유지하며, 보온 기능을 부여하고 유효성분이 멤브레인(200)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유효성분의 피부 흡수율을 높일 수 있고, 제2 하이드로겔층(130)의 수분 유실을 방지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하이드로겔층(120)은 하기 식 1에 따른 함수율(water content)이 30 내지 100%일 수 있으며, 상기 함수율은 특정 조성의 하이드로겔층이 실질적으로 비수화될 때 이의 체적에 대한 실질적으로 완전히 수화될 때 체적의 비를 의미한다.
상기 함수율은 하기 식 1에 따라 도출할 수 있다(단, 하기 식 1에서, Ws는 물에 침지시켜 함수율이 더 이상 변화되지 않아 최대 함수율을 갖도록 팽윤된 하이드로겔의 무게이고, Wd는 건조된 하이드로겔의 무게임).
[식 1]
함수율(W, 단위 : %) = [(Ws - Wd)/Ws] × 100
상기와 같은 함수율을 갖는 제1 하이드로겔층(120)은 함수율이 제2 하이드로겔층(130)에 비해 낮은 반면에 기계적 강도가 높아 우수한 밀착성과 지지력을 부여할 수 있고, 함수율의 차이로 인해 제2 하이드로겔층(130)에 포함된 수분과 유효성분이 멤브레인(200)으로의 이동이 억제되어 유효성분의 유실을 방지하고, 피부에서 발산되는 열을 흡수하는 단열 기능을 부여하여 마스크팩 시트(10) 부착시 피부에서 발생되는 열의 방출을 감소시켜 유효성분의 피부 흡수를 촉진시키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이드로겔층(120)은 두께가 0.01 내지 5 mm일 수 있다.
상기 제2 하이드로겔층(130)은 상기 제1 하이드로겔층(120)의 상면에 형성되며,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하여 마스크팩 시트(10)를 사용자가 얼굴에 부착시 피부에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하이드로겔층(130)은 상기 식 1에 따른 함수율(water content)이 50 내지 300%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함수율을 갖는 제2 하이드로겔층(130)은 함수율이 제1 하이드로겔층(120)에 비해 높아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을 과량 함유할 수 있고, 침적 또는 코팅 등의 방법에 의해 단시간에 화장료 조성물이 도입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계적 강도가 낮은 반면에 유연성이 우수하여 피부 밀착성과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하이드로겔층(130)은 두께가 0.05 내지 10 mm일 수 있다.
상기 제1 하이드로겔층(120) 및 제2 하이드로겔층(130)은 각각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셀룰로오스(cellulose), 폴리아미노산(polyamino acid), 알긴산(alginate), 펙틴(pectin), 카라기난(carrageenan), 콘드로이틴 설페이트(chondroitin sulfate), 덱스트란 설페이트(dextran sulfate), 키토산(chitosan), 콜라겐(collagen), 젤라틴(gelatin), 카르복시메틸 키틴, 피브린(fibrin), 덱스트란(dextran), 아가로스(agarose), 플루란(pullulan)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천연 고분자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또는, 폴리감마글루탐산(poly-γ-glutamic acid),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리락트산(poly lactic acid), 폴리카프로락톤(poly caprolactone),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PEO-PCL), 폴리아크릴아마이드(PAAm),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합성 고분자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으며, 천연 고분자 및 합성 고분자의 혼합물을 이용해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하이드로겔층(120)은, 히알루론산 10 내지 40 중량부, 알긴산 5 내지 15 중량부, 알칼리 수용액 100 내지 200 중량부, 가교제 0.5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이용해 형성시켜 최대 함수율이 30 내지 100%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하이드로겔층(130)은 히알루론산 10 내지 40 중량부, 알긴산 5 내지 15 중량부, 글리세린 2 내지 20 중량부, 알칼리 수용액 100 내지 200 중량부, 가교제 0.01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2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이용해 형성시켜 최대 함수율이 50 내지 300%일 수 있다. 상기 제2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화장료 조성물 1 내지 30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하이드로겔층(120)은, 폴리비닐알코올 5 내지 40 중량부, 폴리아크릴산 10 내지 50 중량부, 글루타르알데히드 0.1 내지 5 중량부,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0.5 내지 5 중량부 및 물 80 내지 2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이용해 형성시켜 최대 함수율이 30 내지 100%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하이드로겔층(130)은, 폴리비닐알코올 5 내지 40 중량부, 글리세린 2 내지 20 중량부, 폴리아크릴산 10 내지 50 중량부, 글루타르알데히드 0.01 내지 5 중량부,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0.1 내지 2 중량부 및 물 80 내지 2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2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이용해 형성시켜 최대 함수율이 50 내지 300%일 수 있다.
상기 제1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제2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각각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화장료 조성물 1 내지 30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시트(10)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시트(10)는, (i) 도트 라미네이팅 방식으로 베이스 시트층의 일면에 투습성 멤브레인층을 형성시켜 접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ii) 상기 접합물의 베이스 시트층의 타면에 제1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1 하이드로겔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iii) 상기 제1 하이드로겔층의 상면에 제2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2 하이드로겔층을 형성시켜 멤브레인층, 베이스 시트층, 제1 하이드로겔층 및 제2 하이드로겔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마스크팩 시트(10)를 제조하는 단계; 및 (iv) 상기 마스크팩 시트(10)의 제2 하이드로겔층의 상면에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시트(10)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시트(10)는, 상기 제2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화장료 조성물을 추가로 혼합 도입하여, 별도의 화장료 도입 과정을 생략하여 마스크용팩 시트의 제조시간을 크게 단축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마스크팩 시트는, (a) 도트 라미네이팅 방식으로 베이스 시트층의 일면에 투습성 멤브레인층을 형성시켜 접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접합물의 베이스 시트층의 타면에 제1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1 하이드로겔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c) 상기 제1 하이드로겔층의 상면에 제2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2 하이드로겔층을 형성시켜 멤브레인층, 베이스 시트층, 제1 하이드로겔층 및 제2 하이드로겔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마스크팩 시트(10)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시트(10)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마스크팩 시트(10)에 도입되는 화장료 조성물은 주름개선, 미백, 보습, 영양 공급, 피부 탄력 개선 등과 같은 피부 미용 기능을 갖는 1종 이상의 유효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효성분, 방부제, 계면활성제, 보습제, 물(H2O)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의 각종 성분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유효성분은 레티놀(retinol), 레티닐팔미테이트(retinyl palmitate), 레티닐 아세테이트(retinyl acetate), 레티노인산(retinoic acid), 코엔자임 큐텐(coenzyme Q10), 상피세포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에틸아스코빌에테르(ethyl ascorbyl ether), 엘라스틴(elastin), 콜라겐(collagen),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세라마이드(ceramide), 카페인(caffeine), 키토산(chitosan),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아스코르빌글루코사이드(ascorbyl glucoside), 마그네슘 아스코빌 포스테이트(magnesium ascorbyl phosphate), 알부민(albumin), 알파비사볼롤(alpha bisabolol), 토코페롤(tocopherol),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알부틴(arbutin), 니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아데노신(adenosine),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E, 천연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추출물은 알로에, 녹차, 인삼, 홍삼, 진주, 목초액, 솔잎, 은행잎, 뽕잎, 브로콜리, 닥나무, 감초, 초두구, 황기, 홍삼, 천궁, 황기, 감잎, 상지, 상백피, 뽕 나무 뿌리, 라즈베리, 산딸기, 블루베리, 에델바이스, 카모마일, 라벤더, 페퍼민트, 유칼립투스, 레몬밤, 오레가노, 티트리, 황금, 어성초, 산자나무, 유자, 하마멜리스, 마치현, 아세로라, 클로렐라, 망고스틴, 구아바, 산수유, 당근, 누에, 달팽이 점액, 카카두플럼, 카무카무, 야사이야자, 프로폴리스, 스쿠알란, 캐비어, 연어알, 스피룰리나, 감태, 자이언트켈프, 곤포, 파래, 우뭇가사리, 톳, 모자반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메틸파라벤(methyl paraben), 프로필파라벤(propyl paraben), 페녹시에탄올(phenoxy ethanol), 1,2-헥산디올(1,2-hexandiol), 카프릴하이드록사믹애씨드(caprylhydroxamic acid),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 hexyl glcerin), 천연 방부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레시틴(lecithin),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sorbitan sesquioleate), 소르비탄올리에이트(sorbitan oleate), 소르비탄팔미테이트(sorbitan palmitate), 탄소수 14 내지 22인 알코올, 탄소수 12 내지 20인 알킬글로코사이드(alkyl glucoside), 스테아릴알코올(stearyl alcohol), 스테아릴글루코사이드(stearyl glucoside), 폴리소르베이트 60(polysorbate 60), PEG-100 스테아레이트(PEG-100 stearate),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PEG-4 올리에이트(PEG-4 oleate), 폴리글리세릴-3 메틸글로코오스 디스테아레이트(poly glyceryl-3 methylglucose distear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glycerin),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소듐히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베타인(betaine), 트레할로스(trehalose), 젖산나트륨(sodium lactate), 솔비톨(sorbitol)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히팅 성분, 증점제, 향료, 항균제 등과 같은 기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점제는 카보머, 잔탄검, 구아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피부는 인체조직 중 가장 큰 기관으로, 전신을 둘러싸고, 표피, 진피, 피하지방의 3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피부는 인체의 최외각 조직으로 외부 자극으로부터 보호하고 방어하는 역할을 한다. 외부의 스트레스나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효과적으로 방어하기 위해 피부장벽이라는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피부 수분 증발을 억제하고 외부로부터 침투를 방어하게 된다. 이는 지질성 매트릭스의 단계적 구조 특성으로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 또한 쉽게 흡수되지 못하도록 하며 외부 물질에 대한 매우 낮은 투과성을 가지고 있다.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흡수는 유효성분의 물리적, 화학적 물성에 따라, 피부의 성상, 환경적 용인 등 다양한 조건에 영향을 받으며, 온도에 따라 경피 투과율과 피부 상태가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시트(10)는 화장료 조성물에 히팅 성분을 추가로 도입할 수 있으며, 히팅 성분은 피부와 상호작용에 의해 피부 온도를 37 내지 45 ℃로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며, 모세혈관을 확장시키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며, 모공을 확대시켜 유효성분의 흡수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피부 미용 개선 효능을 나타낼 수 있으며, 생강 추출물, 홍삼 추출물, 로열 젤리 추출물, 고추 추출물, 바닐릴부틸에텔, 감마리놀렌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마스크팩 시트(10)에 도입되는 멤브레인(200)은 수분은 외부로 배출시키고, 열방출을 차단하여 피부에 미용 성분의 공급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며, 시트 원단(100)의 일부면 또는 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200)은 투습성을 갖는 고분자 수지를 이용해 제조할 수 있으며,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고, 열방출은 차단하여 피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함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의 흡수를 촉진시킬 수 있다. 멤브레인(200)은 필요에 따라, 부드럽고 유연한 특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고분자 물질과 이들의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로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염화비닐리덴(PVDC), 테프론(teflon), 나일론(nylon)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재로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멤브레인(200)은 제조시 사용된 소재가 친수성 기능을 발휘함으로써, 분자간의 물분자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투습성 기능을 발현하며, 친수성 폴리올을 이용해 제조한 멤브레인(200)을 도입할 수 있으며, 친수기와 소수기의 적절한 브렌딩 비율로 원하는 투습도의 제품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멤브레인(200)은 물 분자의 이동을 촉진시켜 투습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투습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투습 첨가제는 치환형 실리케이트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치환형 실리케이트는, 미분쇄 실리카를 실록산(silanol), 실란(silane), 아닐린(anilin), 아민(amine)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반응시켜 실리카 표면의 실라놀의 일부를 실록산, 실란, 아닐린, 아민으로 치환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디메틸실록산(dimethylsiloxane), 트리메틸실록산(trimethylsiloxane) 등의 실록산, 테트라메톡시 실란(tetramethoxysilane), 글리시딜옥시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glycidyloxypropyl trimethoxysilane) 등의 실란, N-[3-트리 메톡시 실란] 프로필 아닐린(N-[3-trimethoxy silane] propyl aniline) 등과 같은 아닐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투습성 멤브레인(200)은 도트 라미네이팅 방식으로 시트 원단(100)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전체 멤브레인(200) 면적은 10 내지 100% 범위 내에서 도트가 형성되도록 시트 원단(100)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도트 라미네이팅 방식은 접착제를 활용하여 원형 또는 사각형 도트를 시트 원단의 일면에 부착시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습성 멤브레인은 일정한 규격의 도트가 형성된 도트 스크린을 이용하고, 시트 원단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며, 도트 스크린을 배치한 다음, 압력 로울러 등을 이용해 가압하여 라미네이팅하는 도트 라미네이팅 방식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멤브레인은 복수 개의 사각형 도트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사각 도트 패턴 무늬를 갖는 도트 스크린을 이용해 형성시킬 수 있으며, 투습도가 24시간 기준 5,000 내지 10,000 g/m2가 될 수 있도록 시트 원단상에 사각형 도트를 형성시켜 멤브레인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200)과 시트 원단(100)의 부착은 친수성 폴리우레탄 접착 수지를 사용하여 부착할 수 있으며, 멤브레인(200) 전체 면적에서 도트가 차지하는 비율이 10%보다 낮은 경우에는 기포제와 멤브레인(200)의 접착력이 낮아 작업 중 또는 사용 중 분리 되는 기능저하가 일어날 수 있고, 멤브레인(200) 전체 면적에서 도트(dot)가 차지하는 비율이 100%가 되면 투습성능이 크게 저하되고 소프트하고 플렉시블(flexible)한 촉감과 밀착성을 유지하기 어렵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습성 멤브레인(200)은 멤브레인의 총면적 기준 50 내지 80%의 범위 내에서 도트가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200) 부착 시, 도트 라미네이팅 방식을 채용하면, 시트 원단(100)에 부드럽게 접착이 가능하며 시트 원단(100) 부착면의 반대면으로 접착제가 베어나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시트(10)는 필요에 따라 멤브레인(200) 및 시트 원단(100)을 부착시 용융 부착 또는 접착제를 이용한 부착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200)은 두께가 5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며, 멤브레인(200)의 두께가 5 ㎛ 미만일 경우 투습성은 향상되나 시트 성형 등 작업성 측면에서 불리하고, 멤브레인(200)의 두께가 100 ㎛를 초과할 경우 투습성이 크게 저하되고, 착용감, 탄성, 피부 밀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멤브레인(200)은 투습도(인버티드 워터법, ASTME)가 24시간 기준 5,000 내지 10,000 g/m2인 것이 바람직하며, 투습도가 5,000 g/m2 미만일 경우 원단과 피부 사이에 수막이 형성되어 피부 미용 성분의 흡수가 저해되고, 착용감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10,000 g/m2을 초과할 경우 보습 효과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멤브레인(200)은 탄성계수, 즉, 모듈러스(modulus)가 10 내지 300 kg/cm2인 것이 바람직하며, 모듈러스가 10 kg/cm2 미만인 경우 마스크팩의 밀착력과 착용감이 저하되고, 300 kg/cm2을 초과할 경우 지지체로서의 기능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시트(10)는 피부에서 발생되는 열방출을 감소시켜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각종 유효성분의 피부 흡수를 촉진시킬 수 있어 우수한 피부 미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투습성 멤브레인(200)에 의해 선택적 투습기능이 도입되어 땀과 습기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고, 착용시 밀착성과 착용감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마스크팩 시트(10)로부터 화장료 조성물이 흘러내리지 않아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이종 함수율을 갖는 2중층 구조의 하이드로겔이 구비되어 피부에 부착되는 제2 하이드로겔층에 화장료 조성물이 단시간에 흡수될 수 있어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사용시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시트 원단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유효성분의 피부 흡수율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
두께가 50 ㎛인 부직포 시트 원단의 일면에 도트 라미네이팅 방식으로 도트를 형성시키고, 시트 원단의 전체 면적의 70%에 사각형 도트를 형성시켜 복수 개의 도트에 의한 투습성 멤브레인층이 형성된 접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접합물에 포함된 부직포 시트 원단의 상면에 제1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도포하여 일정시간 동안 경화시킨 다음, 제1 하이드로겔층의 상면에 제2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도포하여 투습성 멤브레인층, 시트 원단층, 제1 하이드로겔층 및 제2 하이드로겔층이 각각 형성된 구조의 화장료 조성물이 도입된 마스크팩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2 하이드로겔층의 상면에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피부 미용 성능을 갖는 마스크팩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1 하이드로겔층은 히알루론산 20 중량부, 알긴산 5 중량부, 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00 중량부, 디비닐설폰 2 중량부, 염화마그네슘 1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시켰으며, 제1 하이드로겔층은 최대 함수율이 60%이고, 두께가 0.5 mm가 되도록 제조한 것을 사용하다.
상기 제2 하이드로겔층은 히알루론산 15 중량부, 알긴산 10 중량부, 글리세린 5 중량부,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00 중량부, 디비닐설폰 0.1 중량부, 염화마그네슘 0.5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2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시켰으며, 최대 함수율이 130%이고, 두께가 1.5 mm가 되도록 제조한 것을 사용하다.
또한,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2>
디비닐설폰 1.5 중량부 및 염화마그네슘 1 중량부가 혼합되도록 가교제의 함량을 조절한 제1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도포하여 최대 함수율이 90%인 제1 하이드로겔층을 형성시키고, 디비닐설폰 0.05 중량부, 염화마그네슘 0.5 중량부가 혼합되도록 가교제의 함량을 조절한 제2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도포하여 최대 함수율이 170%인 제2 하이드로겔층을 형성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이 도입된 마스크팩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디비닐설폰 3 중량부 및 염화마그네슘 2 중량부가 혼합되도록 가교제의 함량을 조절한 제1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도포하여 최대 함수율이 35%인 제1 하이드로겔층을 형성시키고, 디비닐설폰 0.05 중량부, 염화마그네슘 0.5 중량부가 혼합되도록 가교제의 함량을 조절한 제2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도포하여 최대 함수율이 170%인 제2 하이드로겔층을 형성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이 도입된 마스크팩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1>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접합물에 제1 하이드로겔층 및 제2 하이드로겔층을 각각 형성시켜 마스크팩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1 하이드로겔층은 폴리비닐알코올 25 중량부, 폴리아크릴산 20 중량부, 글루타르알데히드 2.5 중량부,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2 중량부 및 물 9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이용해 형성시켜 최대 함수율이 50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상기 제2 하이드로겔층은 폴리비닐알코올 25 중량부, 폴리아크릴산 15 내지 50 중량부, 글리세린 10 중량부, 글루타르알데히드 0.5 중량부,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0.3 중량부 및 물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2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이용해 형성시켜 최대 함수율이 150%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실시예 2-2>
글루타르알데히드 1.5 중량부,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 중량부가 혼합되도록 가교제의 함량을 조절한 제1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도포하여 최대 함수율이 80%인 제1 하이드로겔층을 형성시키고, 글루타르알데히드 0.7 중량부,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0.4 중량부가 혼합되도록 가교제의 함량을 조절한 제2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도포하여 최대 함수율이 120%인 제2 하이드로겔층을 형성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이 도입된 마스크팩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로열 젤리 추출물 1 중량%를 추가로 혼합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마스크팩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1>
히알루론산 20 중량부, 알긴산 5 중량부, 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00 중량부, 디비닐설폰 2 중량부, 염화마그네슘 1 중량부, 화장료 조성물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이용해 2 mm 두께의 하이드로겔층을 형성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이 도입된 마스크팩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2>
히알루론산 15 중량부, 알긴산 10 중량부, 글리세린 5 중량부,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00 중량부, 디비닐설폰 0.1 중량부, 염화마그네슘 0.5 중량부 및 화장료 조성물 20 중량부을 이용해 2 mm 두께의 하이드로겔층을 형성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이 도입된 마스크팩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3>
히알루론산 20 중량부, 알긴산 5 중량부, 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00 중량부, 디비닐설폰 0.1 중량부, 염화마그네슘 0.5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도포한 다음, 히알루론산 20 중량부, 알긴산 5 중량부, 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00 중량부, 디비닐설폰 0.1 중량부, 염화마그네슘 0.5 중량부 및 화장료 조성물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2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도포하여 함수율이 각각 130 및 140%인 이중 하이드로겔층을 형성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스크팩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보습 성능 평가
제조한 마스크팩 시트의 보습 성능을 평가하였다. 보습 성능 평가는, 30 내지 40세 성인 여성 40명을 실험 대상으로 선정하고, 실험대상자를 5명씩 한 팀으로 구분하고, 상대습도 40 내지 50%, 실온에서 마스크팩 시트를 얼굴에 부착한 다음 20분 동안 착용하도록 하고, 밀착감을 포함하는 관능 평가를 수행하고, 피부 온도,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밀착감과 자극성은 10점 평가법(10점에 가까울수록 만족도가 높고, 0점에 가까울수록 만족감이 낮음)으로 평가하였고, 피부 온도(단위 : ℃)는 마스크팩 시트를 사용 전과 후의 얼굴피부 온도를 열화상카메라로 측정하였으며, 피부수분량(단위 : A.U.)은 수분 측정기(corneometer)를 이용해 마스크팩 시트 사용 전과 후에 각각 측정하여 평가하였고, 측정 단위는 기기에서 부여하는 단위 A.U.(Arbitrary Unit)로 표현했으며, 측정값이 높을수록 피부표면에 수분량이 높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단, 하기 표 2에서 모든 값은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한 마스크팩 시트는 피부 온도와 수분량을 올릴 수 있어 보습피부 미용 개선 효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2중층 구조의 하이드로겔이 형성되어 단일층 구조의 하이드로겔이 구비된 마스크팩 시트에 비해 밀착감 등 관능 특성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수분이 쉽게 유실되지 않아 마스크팩 시트의 사용시간이 긴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보습 효과를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2) 물성 평가
제조한 마스크팩 시트의 물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물성 평가는 제조한 마스크팩 시트를 절단하여 시편(5 × 5 cm)을 제조하고, 제조한 시편을 1 ℃, 10 ℃, 40 ℃의 챔버에 각각 72시간 동안 보관한 후 마스크팩 시트의 상태를 평가하였다. 안정성의 평가기준(○ : 특이 사항 없음, □ : 마스크팩의 각층이 전체면적의 10% 미만으로 분리됨, △ : 마스크팩의 전체면적의 30% 미만으로 분리되거나, 화장료 조성물이 용출됨, X : 마스크팩의 화장료 조성물 또는 각 층이 전체면적의 70% 이상으로 분리됨)
또한, 수분유지 성능(단위 : %)은 동일 중량의 마스크팩 시편을 준비하고, 준비한 시편을 온도 20 ℃, 습도 40 %의 환경에서 마스크팩 시트의 하이드로겔층이 유리판에 면접촉되도록 부착시킨 다음 12 시간 경과한 시점에서, 마스크팩 시트의 무게 변화를 측정하고, 초기 무게 대비 무게 변화를 평가하여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한 마스크팩 시트는 2중층 구조의 하이드로겔이 형성되어 단일층 구조의 하이드로겔이 구비된 마스크팩 시트에 비해 저온 및 고온 환경에서 화장료 조성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안정하고, 수분이 유실되지 않아 피부 미용 개선 성능을 장시간 보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수분 유지 성능이 향상되어 하이드로겔층에서 수분이 쉽게 유실되지 않아 장시간 동안 마스크팩 시트를 착용하는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피부 미용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피부 유효성분의 경피 흡수율 평가
제조한 마스크팩 시트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피부 유효성분의 경피 흡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경피 흡수 장치(Franz diffusion cell)를 이용해 경피 흡수율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경피 흡수율 평가는 화장료 조성물이 도입된 마스크팩 시트를 인공 피부에 부착하고, 부착 30분, 부착 2시간 경과 후 흡수된 피부 유효성분인 아데노신(AD), 니아신아마이드(NA), 토코페릴아세테이트(TA)의 경피 흡수량(단위 : ppm)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한 마스크팩 시트의 피부에 대한 유효성분의 경피 흡수 성능을 평가한 결과, 단일층 구조의 하이드로겔층이 도입된 마스크팩 시트에 비해, 2중층 구조를 갖는 하이드로겔층이 도입된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시트의 경피 흡수율이 크게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한 마스크팩 시트는 피부 유효성분을 피부 속으로 효율적으로 전달하여 피부 개선 성능이 우수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 마스크팩 시트
100 : 시트 원단
110 : 베이스 시트층
120 : 제1 하이드로겔층
130 : 제2 하이드로겔층
200 : 멤브레인

Claims (8)

  1. 화장료 조성물이 도포된 시트 원단; 및
    도트 라미네이팅 방식으로 상기 시트 원단의 일면에 설치되는 투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히팅 성분으로 생강 추출물, 홍삼 추출물, 로열 젤리 추출물, 고추 추출물, 바닐릴부틸에텔 및 감마리놀렌산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 원단은, 베이스 시트층, 상기 베이스 시트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하이드로겔층 및 상기 제1 하이드로겔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 하이드로겔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이드로겔층은 히알루론산 20 중량부, 알긴산 5 중량부, 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00 중량부, 디비닐설폰 1.5 중량부, 염화마그네슘 1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하고, 함수율이 90%이고, 두께가 0.5 mm이며,
    상기 제2 하이드로겔층은 히알루론산 15 중량부, 알긴산 10 중량부, 글리세린 5 중량부,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00 중량부, 디비닐설폰 0.05 중량부, 염화마그네슘 0.5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2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하고, 함수율이 170%이고, 두께가 1.5 mm이며,
    상기 투습성 멤브레인은, 미분쇄 실리카를 아닐린(anilin) 및 아민(am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과 반응시켜 실리카 표면의 실라놀의 일부를 아닐린, 아민으로 치환하여 제조한 치환 실리케이트를 투습 촉진제로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습성 멤브레인은, 두께가 5 내지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습성 멤브레인은, 투습도가 24시간 기준 5,000 내지 10,000 g/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습성 멤브레인은, 모듈러스(modulus)가 10 내지 300 kg/c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습성 멤브레인은 상기 투습성 멤브레인의 총면적 기준 10 내지 100%의 범위 내에서 도트가 형성되도록 상기 시트 원단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시트.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층은 펄프, 실크, 부직포, 면, 셀룰로오스 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소재로 제조한 직물 원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시트.
KR1020210065405A 2021-05-21 2021-05-21 투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시트 KR102595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405A KR102595336B1 (ko) 2021-05-21 2021-05-21 투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405A KR102595336B1 (ko) 2021-05-21 2021-05-21 투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635A KR20220157635A (ko) 2022-11-29
KR102595336B1 true KR102595336B1 (ko) 2023-10-30

Family

ID=84235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405A KR102595336B1 (ko) 2021-05-21 2021-05-21 투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33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830B1 (ko) * 2019-02-28 2019-09-30 주식회사 씨피알에스앤티 투습성 멤브레인 미용시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4139A1 (ko) * 2012-07-18 2014-01-23 Shin Hyunwoo 2액형 타입 미용용 팩류 및 패취류 조성물
KR101500987B1 (ko) 2014-12-10 2015-03-12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수용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KR20170041946A (ko) * 2015-10-07 2017-04-18 주식회사 제닉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함수 하이드로겔 팩
KR102148573B1 (ko) * 2018-12-11 2020-08-26 전우선 복합미용마스크팩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830B1 (ko) * 2019-02-28 2019-09-30 주식회사 씨피알에스앤티 투습성 멤브레인 미용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635A (ko) 202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3301B1 (ko) 이수 방지 기능을 갖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포함하는 성형체
US11717657B2 (en) Dermal adhesive patch
KR100739386B1 (ko) 유화된 액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마스크 조성물
KR101372799B1 (ko) 전도성 팩 및 이의 사용방법
KR101985368B1 (ko) 보습력이 우수한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
KR101735384B1 (ko) 시트형 팩용 클레이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형 클레이 마스크 팩
CN110167391B (zh) 具有可溶性膜的阻隔贴片
KR20100107419A (ko) 화장품 팩용 겔 시트
KR102371114B1 (ko)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CA3025219C (en) A structured gel-filled cosmetic mask
KR20180088313A (ko) 겔 마스크팩의 제조 방법
KR20190040672A (ko) 센텔라아시아티카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JP2009108006A (ja) ゲルシートの製造方法、ゲルシート、およびシート状化粧料
KR102595336B1 (ko) 투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시트
KR102026830B1 (ko) 투습성 멤브레인 미용시트
JP6193846B2 (ja) パック
US20070148219A1 (en) Liposomal Nanowater-Containing Patch-Type Nanodermal Gel for Transdermal Deliver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2009108005A (ja) ゲルシートおよびシート状化粧料
KR20140143973A (ko) 색상을 갖는 천연섬유 마스크팩
CN111542245B (zh) 面膜及其制造方法
KR20180013627A (ko) 하이드로겔의 지지체로 다공성 수지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205054927U (zh) 含壳聚糖的高分子面膜结构
KR102621024B1 (ko) 심미감 및 피부 흡수력이 개선된 하이드로겔 패치
KR102580802B1 (ko) 피부 리프팅용 하이브리드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CN219501585U (zh) 一种带有屏障修复功能的神经酰胺面膜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