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299B1 - 담즙 분비 촉진 효능이 있는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담즙 분비 촉진 효능이 있는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299B1
KR102595299B1 KR1020200131483A KR20200131483A KR102595299B1 KR 102595299 B1 KR102595299 B1 KR 102595299B1 KR 1020200131483 A KR1020200131483 A KR 1020200131483A KR 20200131483 A KR20200131483 A KR 20200131483A KR 102595299 B1 KR102595299 B1 KR 102595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e
secretion
weight
parts
concen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8388A (ko
Inventor
류형준
Original Assignee
류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형준 filed Critical 류형준
Priority to KR1020200131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299B1/ko
Publication of KR20220048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388A/ko
Priority to KR1020220173320A priority patent/KR20230014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2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23L2/06Extraction of juices from citrus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8Concentrating or drying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2Apparatus or processes for applying powders or particles to foodstuffs, e.g. for breading; Such apparatus combined with means for pre-moistening or battering
    • A23P20/13Apparatus or processes for applying powders or particles to foodstuffs, e.g. for breading; Such apparatus combined with means for pre-moistening or battering involving agitation of the foodstuff inside a rotating apparatus, e.g. a dr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담즙 분비 촉진 효능이 있는 식품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담즙 분비 촉진 효능이 있는 식품 조성물은 깔라만시 과즙, 레몬 과즙, 라임 과즙 및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고, 담췌관 조임근을 자극하여 담즙의 분비를 촉진할 수 있다.

Description

담즙 분비 촉진 효능이 있는 식품 조성물{FOOD COMPOSITION FOR PROMOTING BILE SECRETION}
본 발명은 담즙 분비 촉진 효능이 있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담췌관 조임근을 자극하여 담즙의 분비를 촉진할 수 있는 담즙 분비 촉진 효능이 있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간으로부터 분비되는 담즙은 97%의 물, 및 담즙염(담즙산), 담즙 색소, 포스파티딜콜린, 콜레스테롤, 미량 알부민, 전해질 등을 포함하는 기타 성분으로 구성되고, 독성물질 및 지방분해 산물의 배설을 위한 통로일 뿐만 아니라, 지방의 소화 및 흡수에 관여하여 다양한 생리 기능을 수행하며, 빌리루빈(Bilirubin)과 같은 내인성 노폐물 및 약물과 여러 가지 독성물질을 배출하고, 장에서 정상적 지방 흡수를 증가시키며, 인체 콜레스테롤(cholesterol) 대사의 평형유지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한다. 이 가운데서도, 담즙의 주요 기능은 담즙산에 의한 지방산 소화 및 흡수의 촉진이다. 담즙산은 콜레스테롤 유도체(cholesterol derivatives)로서 간에서 1차 담즙산(primary bile acid)인 콜산(cholic acid)과 케노디옥시콜산(chenodeoxycholic acid)을 합성한다. 1차 담즙산에 타우린(taurine) 또는 글리신(glycine)과 결합되어 타우로콜산염(taurocholic acid) 또는 글리코콜산염(glycocholic acid)이 되는데, 이렇게 담즙산의 나트륨 및 칼륨 염을 담즙염(bile salt)이라고 한다. 음식물에 포함된 지방질을 미셀로 유화시키는 계면 활성제로 작용하여 식이 지방과 비타민 등의 소화와 흡수를 도와준다. 장으로 분비된 담즙산은 간문맥을 이용하여 대부분이 간으로 재흡수되는 장-간 순환을 하게 되며, 변으로 배출된 만큼의 담즙산은 간에서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체내의 담즙산 수치를 유지하게 된다.
담즙의 분비가 부족할 경우, 음식물에 포함된 지방의 소화 흡수가 어렵고, 혈중 콜레스테롤의 농도가 올라가고, 배변이 원활하지 않아 변비가 발생하기 쉽고, 부신수질에서 혈중으로 분비되는 아드레날린과 노르아드레날린의 과다 축적 및 배출 지연으로 인하여 스트레스 및 혈압 상승, 혈당 증가, 수면장애 등이 발생할 수 있고, 노폐물과 독성물질의 과다 축적 및 배출 지연으로 이상 발열, 두통, 구토, 구역 등의 불편한 증상이 유발될 수 있다.
담즙의 배출을 촉진하는 물질로는 우르소데옥시콜릭 산(Ursodeoxycholic acid(UDCA)), 감초에서 추출한 리퀴리티게닌(Liquiritigenin)(등록특허 제10-1003900), 15-케토-프로스타그란딘 화합물(등록특허 제10-0874626호)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가운데 우르소데옥시콜릭 산은 의약품으로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으나, 리퀴리티게닌(Liquiritigenin)이나 15-케토-프로스타그란딘 화합물 등은 의약품으로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담즙 배출의 원활하지 않아 위와 같은 증상이 발생할 경우, 일반 식품이나 건강기능식품 처럼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고, 단순한 소화제의 역할뿐 아니라 위급한 병적상태를 개선하는 구급약으로 작용할 수 있는 담즙 분비 촉진 효능이 있는 식품 조성물이 필요하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74626호(등록일자 : 2008. 12. 11)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03900호(등록일자 : 2010. 12. 17)
본 발명은 담즙 분비가 원활하지 않아 발생할 수 있는 상술한 문제점을 예방하거나 개선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담췌관 조임근을 자극하여 담즙의 분비를 촉진할 수 있는 담즙 분비 촉진 효능이 있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깔라만시 과즙, 레몬 과즙, 라임 과즙 및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담즙 분비 촉진 효능이 있는 식품 조성물에 의하여 해결할 수 있다.
담낭에 연결된 담관과 췌장에 연결된 췌관이 만나 담췌관을 이루고 담췌관의 끝이 십이지장과 만나는 부위에 담췌관 조임근이 있다. 담췌관 조임근은 담낭에 저장된 담즙과 췌장에서 분비되는 소화액의 배출을 조절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깔라만시 과즙, 레몬 과즙, 라임 과즙 및 진피 추출물은 모두 맛과 향이 강한 성분들로, 담췌관 조임근을 자극하고 확장해서, 담즙과 췌장 소화액의 분비를 원활히 한다.
담즙에는 콜레스테롤 유도체(담즙산)뿐 아니라, 간에서 걸러지는 노폐물과 병적 산물 그리고 혈액으로 분비되는 각종의 호르몬들이 모두 포함되어 배출된다. 따라서, 담즙의 원활한 배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첫째, 혈중 콜레스테롤 유도체의 배출을 도와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한다.
① 음식물에 포함된 지방의 소화를 돕는다. 담즙에 포함된 콜레스테롤 유도체는 음식물에 포함된 지방의 유화를 도와서 소화 흡수를 원활히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육류 등의 과다 섭취 후 발생할 수 있는 소화불량 등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② 혈중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낮춘다. 담즙의 성분은 수분을 제외하면 주로 콜레스테롤 유도체로 구성되어 있다. 과잉의 혈중 콜레스테롤은 간에서 걸러지고, 담낭으로 보내져서 저장되었다가 십이지장으로 배출되고, 일부는 소장에서 흡수되어 간으로 돌아가는 장간순환을 하고, 나머지는 대변과 섞여서 배설되어, 혈중 콜레스테롤를 낮추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③ 배변 활동을 돕는다. 대변과 섞이는 콜레스테롤은 변을 무르고 윤활하게 하여, 배변을 돕는다. 본 발명의 복용 시 과량의 담즙분비로 인한 진한 쑥색의 담즙성 연변을 보기도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담췌관 조임근은 담낭에 저장된 담즙 뿐만 아니라 췌장에서 분비되는 소화액의 배출을 조절한다. 만약 담췌관 조임근을 자극하고 확장하게 하면, 위와 같이 담즙이 원활해 질 뿐만 아니라 췌장 소화액의 분비를 원활히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담즙 분비 촉진 효능이 있는 식품 조성물은 위, 십이지장, 소장 등의 점막을 자극하여, 가스트린, 소장가스트린, 세크레틴, 콜레시스토키닌 등의 위장관 호르몬의 분비를 활성화한다. 위벽 세포에서 분비되는 가스트린은 위샘의 분비를 활성화한다. 위샘은 알카리성 점액을 분비하여, 위벽을 보호한다. 가스트린은 염산과 펩시노겐의 분비를 촉진하고, 비활성형인 펩시노겐은 염산에 의해 활성형인 펩신으로 전환되어, 단백질을 소화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담즙 분비 촉진 효능이 있는 식품 조성물은 위, 십이지장, 소장, 대장, 담관, 담낭, 췌장, 췌관 등의 점액 및 분비샘을 활성화한다. 세크레틴은 췌장에서 중탄산염의 분비를 촉진하고, 위의 벽 세포에서 분비된 염산을 중화하여, 십이지장궤양을 예방한다. 콜레시스토키닌은 췌장에서 고농도의 소화액 분비를 자극하고, 담즙의 분비를 촉진한다. 췌장 소화액의 분비 촉진과 위장관운동 촉진은 음식물을 소화를 돕고, 변비를 개선하기도 한다.
도 1은 시험군1의 담즙 배출량을 도표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시험군2의 담즙 배출량을 도표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대조군2의 담즙 배출량을 도표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시험군1, 시험군2 및 대조군의 담즙 배출량 평균값을 비교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담즙 분비 촉진 효능이 있는 식품 조성물은, 깔라만시 과즙, 레몬 과즙, 라임 과즙 및 진피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담즙 분비 촉진 효능이 있는 식품 조성물은 맛과 향으로 담췌관 조임근 또는 위점막 등에 적절한 자극 효과가 있고, 흡수되어도 간이나 신장에 부작용이 없는 안전성이 확보된 것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담즙 분비 촉진 효능이 있는 식품 조성물은 소화 흡수되어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위와 장에 머물면서 맛과 향이 강한 성분들이 담췌관 조임근 등에 적절한 자극을 줌으로써 담즙 분비의 효과를 나타낸다.
깔라만시는,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인 운향과에 속하는 식물의 열매로 특유의 맛과 향이 강하다. 칼라만시에는 비타민C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마른기침과 감기에도 효과가 있으며, 피로 회복, 피부 미용, 면역력 강화 등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레몬은, 히말라야가 원산지인 운향과에 속하는 식물의 열매로 과량의 비타민C와 구연산으로 인한 신맛과 특유의 향이 강하다.
라임은, 인도 북동부와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인 운향과에 속하는 식물의 열매로 레몬과 비슷한 신맛과 향은 강력하다.
진피는, 운향과 식물의 열매인 귤 또는 동속 근연식물의 성숙한 과피이다.
깔라만시 과즙, 레몬 과즙 및 라임 과즙은 착즙과즙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이들 과즙을 원래 용량의 50% 이하로 농축한 농축과즙을 사용할 수 있다. 진피 추출물은 진피 추출물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액상차로 만들기 위하여 깔라만시 과즙, 레몬 과즙, 라임 과즙 및 진피 추출물에 오렌지 과즙, 귤 과즙, 흑당분말, 자일리톨분말, 구연산 및 자몽종자추출물을 더 첨가하고, 정제수를 이용하여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시료의 제조>
<시료1>
칼라만시 30%농축액 450g, 레몬 30%농축액 280g, 라임 30%농축액 390g, 진피 추출물 분말 100g 및 정제수 780g을 준비하고, 혼합탱크에 정제수를 투입하여 70~80℃를 유지하면서, 진피 추출물 분말을 투입하고 진피 추출물이 녹을 때까지 교반한 후, 칼라만시 농축액, 레몬 농축액, 라임 농축액을 투입하고 원료가 혼합될 때까지 교반하고, 90℃ 이내의 살균 온도를 유지하면서 30분간 살균하여, 2kg의 시료1을 얻었다.
<시료2>
칼라만시 30%농축액 45g, 오렌지 30%농축액 278g, 감귤 30%농축액 278g, 레몬 30%농축액 28g, 라임 30%농축액 39g, 진피 추출물 분말 10g, 흑당 분말 2,056g, 자일리톨 분말 1,834g, 구연산 30g, 자몽종자추출물 5g, 정제수 5,397g을 준비하고, 혼합탱크에 정제수를 투입하여 70~80℃를 유지하면서, 자일리톨 분말, 흑당 분말, 진피 추출물 분말 및 구연산을 투입하고 원료가 녹을 때까지 교반한 후, 칼라만시 농축액, 오렌지 농축액, 감귤 농축액, 레몬 농축액, 라임 농축액 및 자몽종자 추출물을 투입하고 원료가 혼합될 때까지 교반하고, 90℃ 이내의 살균 온도를 유지하면서 30분간 살균하여, 10kg의 시료2를 얻었다.
<동물 시험>
특정병원체 부재 (SPF) rat 수컷 6 주령, 30 마리를 사용하였다. 본 시험에 사용하는 rat는 각종 약효 및 독성시험에 널리 사용되고 있고, 풍부한 시험기초자료가 축적되어 있으며, 이러한 자료를 이용하여 시험결과의 해석 및 평가가 용이하기 때문에 선택하였다. 사육상자에는 색으로 구별되는 개체식별카드를 부착하고, 사육실 입구에는 동물실 사용기록지를 부착하였다. 본 시험은 온도 23±3 ℃, 상대습도 55±15 %, 환기횟수 10∼20 회/hr, 조명시간 12시간 (오전 8 시 점등∼오후 8 시 소등) 및 조도 150∼300 Lux로 설정한 설치류 사육구역에서 실시하였다. 사육기간 중 동물실의 온/습도, 환기횟수 및 조도 등의 환경조건은 정기적으로 측정하였다. 사료는 실험동물용 사료를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며, 물은 정수된 물을 폴리카보네이트제 음수병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한다. 깔개는 나무깔개를 사용하였다. 순화 및 실험 기간 동안 설치류용 폴리카보네이트 사육상자 (W 235 x L 380 x H 175 mm)에서 5 마리/사육상자 이하로 사육하였다. 사육상자, 깔개 및 물병은 주 1 회 이상 교환하였다. 순화기간 중 건강한 것으로 판정된 동물들의 체중을 측정하고 순위화한 체중에 따라 각 군의 평균체중이 최대한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무작위법으로 시험군 20마리와 대조군 10마리를 군분리하였다.
1) 시험군 1의 시료 및 투여량
본 발명에 따른 시료1을 300 ㎍/kg 단위로 3일 동안 매일 6 회씩 10마리(M1~M10)의 시험군 rat에 경구 투여하였다.
2) 시험군 2의 시료 및 투여량
본 발명에 따른 시료2를 300 ㎍/kg 단위로 3일 동안 매일 6 회씩 10마리(M11~M20)의 시험군 rat에 경구 투여하였다.
3) 대조군
10마리의 대조군 rat(m1~m10)에도 300 ㎍/kg의 운반체, 즉 증류수 중 0.01% 폴리소르베이트 80, 0.5% 에탄올을 투여하였다.
4) 담즙 배출량 측정
최종 투여 다음날 (4 일째), 각 rat의 총담관에 에테르 마취하에 세관을 삽입하고, 마취에서 회복시키기 위해 2 시간 동안 rat를 볼 맨 게이지 (ball man guage) 에 놓았다. 세관 삽입 2 시간 동안 배출된 담즙을 수집하여 담즙 배출량을 측정하였다.
5) 측정결과
측정 결과 정상 rat의 담즙 흐름에 대한 본 발명의 효과를 표 1 내지 표 3, 또는 도 1 내지 도 3으로 나타내었다. 도 1은 시험군1의 담즙 배출량, 도 2는 시험군2의 담즙 배출량을, 도 3은 대조군2의 담즙 배출량을 각각 나타내고, 도 4는 시험군1, 시험군2 및 대조군의 담즙 배출량 평균값을 비교한 것이다.
<시험군1 10마리에 대한 2시간 동안의 담즙 배출량>

시험군

M1

M2

M3

M4

M5

M6

M7

M8

M9

M10

평균

표준 편차

담즙
배출량(㎕/
100g B.W.)



710



723



718



731



709



715



724



715



718



707



717.0



7.09
<시험군2 10마리에 대한 2시간 동안의 담즙 배출량>

시험군

M11

M12

M13

M14

M15

M16

M17

M18

M19

M20

평균

표준
편차

담즙
배출량(㎕/
100g B.W.)



730



722



748



710



750



715



768



716



717



759



733.5



18.97
<대조군 10마리에 대한 2시간 동안의 담즙 배출량>

시험군

m1

m2

m3

m4

m5

m6

m7

m8

m9

m10

평균

표준
편차

담즙
배출량(㎕/
100g B.W.)



592



584



575



599



601



579



588



605



612



581



591.6



11.64
표 1 내지 표 3 또는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험군1의 담즙 배출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21. 20% 증가하고 시험군2의 담즙 배출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23.99%가량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시험군1과 시험군2의 답즙 배출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한편, 시험군 1의 측정치 편차가 가장 적고, 시험군 2의 측정치 편차가 가장 크다. 추가로 첨가된 첨가물의 영향에 의한 편차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맛과 향이 강한 성분들은 십이지장의 담췌관 조임근을 자극하여, 담즙과 췌장 소화액의 분비를 원활히 한다. 또한, 음식물에 포함된 지방은 소장에서 콜레시스토키닌의 분비를 촉진하고, 분비된 콜레시스토키닌은 담낭을 수축시켜서 담즙의 분비를 촉진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을 적용한 시험군1 및 시험군 2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미할 정도의 담즙 배출 결과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담즙 분비 촉진은 디톡스(Detox) 기능을 하며, 해독, 몸 안의 독소를 없애 염증을 개선하고, 병적 증상을 줄이며, 몸 상태를 양호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담즙 분비 촉진은 소화불량과 식욕부진을 해결하고, 오심이나 구토를 개선하고, 숙취의 원인인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분비를 촉진하여 숙취를 개선하고, 피로물질의 배출을 촉진하여 피로회복을 돕고, 스트레스시 부신수질에서 혈중으로 분비되는 부신수질호르몬의 배출을 촉진하여 스트레스를 개선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담즙 분비 촉진은 담즙에 포함된 지방성 물질들에 의하여 변을 무르고, 매끄럽게 하고, 촉진된 위장관운동과 합쳐서 배변 활동에 도움을 준다. 지방세포에 안에 있는 지방들은 대부분 분자량이 높아서 모세혈관으로 바로 들어가지 못하고, 대신, 림프관으로 들어가서 대정맥으로 들어가서 전신을 순환하다가 간에서 걸러져서 담즙으로 배출되는 과정을 따라 몸 밖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담즙 분비 촉진은 다이어트에도 도움을 준다. 상한론에 소개된 소시호탕은 소양병의 대표적인 처방으로, 적응증은 입맛이 쓰고, 입안이 마르고, 눈이 피로하고 어지러우며, 추웠다가 덥기를 반복하며, 갈비뼈 밑을 누르면 불편한 감각을 호소하는 증상이다. 이러한 소시호탕의 적응증은 담즙과 췌장액이 합쳐져서 분비되는 담췌관 조임근의 이완이 충분하지 못하고 이로인해 담즙과 췌장액의 배출이 원활치 못해서 생기는 증상이다. 담즙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면, 배출되지 못하고 간에 쌓인 담즙이 혈액으로 역류하면서 입맛이 쓰고, 입안이 마르고, 눈이 피로하고 어지러우며, 추웠다가 더웠다를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간과 췌장이 모두 부어 있게 되는데 간은 신경이 없는 침묵의 장기이므로 간이 있는 오른쪽 갈비뼈 밑을 누를 때보다 췌장이 있는 왼쪽 갈비뼈 밑을 누를 때 더욱 민감하게 통증이나 불편감을 느끼게 된다. 심한 경우, 급성췌장염으로 인해 극심한 통증을 느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담즙 분비 촉진은 소시호탕에 포함된 이러한 상황을 빠르게 개선한다. 적혈구의 헤모글로빈이 분해되면서 생성되는 빌리루빈은 대부분 간에서 담즙으로 배출된다. 황달은 간질환이나 기타의 원인으로 담즙 생성이 과도하거나 담즙 배출에 장애가 생겨서 빌리루빈이 몸에 과도하게 쌓여서 눈의 흰자위나 피부, 점막 등에 노랗게 착색되는 것이다. 본 발명으로 간에서 담즙 배출을 촉진하면, 빌리루빈의 배설도 함께 촉진되어, 황달 개선에 도움이 된다. 간경변증은 만성 B형간염이나 만성 C형간염, 지속적인 과도한 음주, 간 독성 물질로 인한 만성 염증 등으로 인해 정상적인 간 조직이 섬유화된 재생결절로 바뀌어 간 기능이 저하되는 것이다. 간 기능이 심하게 저하되었을 때는 정도에 따라 지방과 단백질의 섭취를 제한하기도 한다. 간세포의 재생능력은 다른 세포보다도 빠르고 확실하여 정상인의 경우 80% 절제해도 6개월이 지나면 정상화된다. 이러한 간세포가 섬유화된 재생결절로 바뀌는 것은 간세포의 환경이 정상적인 세포 재생을 방해하는 환경이기 때문이다. 간세포가 섬유화된 재생결절은 상처 면에서 생기는 켈로이드와 같은 종류로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섬유화된 재생 결절을 만들지 않으려면 간세포를 세포 재생이 원활한 환경으로 만들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담즙 분비 촉진으로 간에 쌓인 염증 물질과 노폐물의 배출이 가능하므로 간세포 환경의 정상화가 가능하여 간세포의 섬유화된 재생결절을 예방할 수 있다.

Claims (2)

  1. 칼라만시 30%농축액 45중량부, 오렌지 30%농축액 278중량부, 감귤 30%농축액 278중량부, 레몬 30%농축액 28중량부, 라임 30%농축액 39중량부, 진피 추출물 분말 10중량부, 흑당 분말 2,056중량부, 자일리톨 분말 1,834중량부, 구연산 30중량부, 자몽종자추출물 5중량부, 정제수 5,397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즙 분비 촉진 효능이 있는 식품 조성물.

  2. 삭제
KR1020200131483A 2020-10-12 2020-10-12 담즙 분비 촉진 효능이 있는 식품 조성물 KR102595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483A KR102595299B1 (ko) 2020-10-12 2020-10-12 담즙 분비 촉진 효능이 있는 식품 조성물
KR1020220173320A KR20230014676A (ko) 2020-10-12 2022-12-13 담즙 분비 촉진 효능이 있는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483A KR102595299B1 (ko) 2020-10-12 2020-10-12 담즙 분비 촉진 효능이 있는 식품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3320A Division KR20230014676A (ko) 2020-10-12 2022-12-13 담즙 분비 촉진 효능이 있는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388A KR20220048388A (ko) 2022-04-19
KR102595299B1 true KR102595299B1 (ko) 2023-10-26

Family

ID=813917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483A KR102595299B1 (ko) 2020-10-12 2020-10-12 담즙 분비 촉진 효능이 있는 식품 조성물
KR1020220173320A KR20230014676A (ko) 2020-10-12 2022-12-13 담즙 분비 촉진 효능이 있는 식품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3320A KR20230014676A (ko) 2020-10-12 2022-12-13 담즙 분비 촉진 효능이 있는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95299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139002D1 (de) 2000-04-06 2009-07-30 Sucampo Ag Gallensäurefördernde zusammensetzung für lebertransplantation welche ein 15-keto prostaglandin enthält
KR101003900B1 (ko) 2008-10-08 2010-12-3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감초 가공 추출 분획물 또는 이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리퀴리티게닌〔Liquiritigen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담작용 및 담즙정체성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76751B1 (ko) * 2015-03-20 2016-11-17 주식회사 뉴트라팜텍 감귤류 과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간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54180B1 (ko) * 2016-06-16 2018-05-03 주식회사 뉴트라팜텍 감귤류 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ohanapriya et al., HEALTH AND MEDICINAL PROPERTIES OF LEMON (CITRUSLIMONUM). International journal of ayurvedic & herbal medicine. 2013, Vol. 3, No. 1, pp. 1095-1100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388A (ko) 2022-04-19
KR20230014676A (ko) 202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6448B1 (en) Method for the treatment of lymphedema using guaifenesin
CN103421608B (zh) 一种含有天然金银花提取物的香精及牙膏制备方法
KR20150105714A (ko) 관절건강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US20070065500A1 (en) Northern white kidney bean extract and red kidney bean extract in combination with green tea extract in the treatment of obesity
KR100725926B1 (ko) 마늘을 함유하는 닭 사료 조성물
JP2007277128A (ja) 生活習慣病の予防・改善方法及び予防・改善剤
KR100463130B1 (ko) 남성 성기능 개선용 기능성 식품
WO2016202183A1 (zh) 一种配合狗粮及其制备方法
KR102595299B1 (ko) 담즙 분비 촉진 효능이 있는 식품 조성물
CN108096502A (zh) 一种降尿酸代用茶及其制备方法
CN110898201A (zh) 一种小儿消积的外用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005439B (zh) 一种苦瓜复方降脂口服液及其制备方法
KR20080012457A (ko) 변비 및 복부 비만 치료용 조성물
CN1127349C (zh) 降脂减肥茶制剂
KR102180363B1 (ko) 검은 참깨와 효모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0573245B1 (ko)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0670155B1 (ko) 복방차료제를 함유하는 숙취완화용 드링크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CN101112457B (zh) 一种用于降脂减肥、养颜排毒、健康肠胃的保健口服液
WO2008096171A2 (en) Natural laxative composition comprising prunes, raisins, apricots, dates, figs, olive oil, senna and honey
Zadpe et al. Study on the efficacy of Shunthyadi syrup in children with Vibandha (constipation)
CN103705835A (zh) 用于治疗僵猪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3689298B (zh) 用于治疗僵猪的饲料及其制备方法
CN100438894C (zh) 阿胶强骨组合物及其生产方法
Dubey Etymology (nirukti)
CN101716213B (zh) 一种用于解毒降脂的中药有效部位组合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