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062B1 - 화재감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 트레이 - Google Patents

화재감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062B1
KR102595062B1 KR1020230070863A KR20230070863A KR102595062B1 KR 102595062 B1 KR102595062 B1 KR 102595062B1 KR 1020230070863 A KR1020230070863 A KR 1020230070863A KR 20230070863 A KR20230070863 A KR 20230070863A KR 102595062 B1 KR102595062 B1 KR 102595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ine
power
signal
fire
infr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0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건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건종합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건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230070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0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0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8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tunn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14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from gases, flam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25Interfacing a pyrometer to an external device or network; User interfa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18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using optical methods; using charged particle, e.g. electron, beams or X-ray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 트레이는 지중에 매립되고 중공된 내부에 배전선이 배선되는 공동구; 메쉬망 구조이고, 상기 공동구 내부의 천정면, 측벽면, 또는 바닥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배전선이 배선될 수 있도록 하며, 십(+)자형 구조로 중앙부분이 중공되어 이동경로가 형성된 트레이 부재; 및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트레이 부재에 놓인 배전선을 감시하고 감시결과를 원격지의 관리서버 또는 관리자 단말기에 전달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여, 화재발생 위험이 있는 지점을 신속하게 파악하여 관리자가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재감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 트레이{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TRAY WITH FIRE MONITORING}
본 발명은 화재감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수많은 전력 케이블이 배선되는 지중의 배전선에서 발생될 수 있는 화재를 감시하기 위한 화재감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주로 건물이나 아파트 단지와 같은 여러 가구가 함께 생활하는 공동체에 필요한 전화, 인터넷, 케이블 TV 등의 통신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케이블과, 전력을 배전하는 전기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케이블이 지중에 설치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지중의 배전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에 매립된 공동구 내부에 천정, 측벽면, 또는 지면의 지지를 받아 형성되는 선반에 적층되는 형태로 배선되어 있다.
하지만, 이렇게 배선되는 수 많은 배전선들은 적층된 상태로 서로 접촉되어 있어 전력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공동구에 설치되어 배전선을 지지하는 선반들은 상술한 문제점으로 인해 배전선 접촉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할 확률이 높고 그로 인해 배전선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결과적으로 공동구 전체의 화재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지중에 매립되는 공동구내에 배선된 배전선 케이블에 대한 화재 감시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382990호(2022. 04. 08)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가 중동된 십(+)자형 구조를 갖는 트레이 부재 내부로 열 감지센서, 연기 감지센서, 스파크 감지센서 등 각종 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모듈이 결합된 이동부재가 이동하면서 트레이 부재 외부에 놓인 배전선으로부터 화재발생 파라미터를 계측하여 화재를 감시할 수 있는 화재감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 트레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 트레이는 지중에 매립되고 중공된 내부에 배전선이 배선되는 공동구; 메쉬망 구조이고, 상기 공동구 내부의 천정면, 측벽면, 또는 바닥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배전선이 배선될 수 있도록 하며, 십(+)자형 구조로 중앙부분이 중공되어 이동경로가 형성된 트레이 부재; 및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트레이 부재에 놓인 배전선을 감시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부재는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이동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는 주제어부로 구성되고, 제2 전원소켓과 제2 신호소켓이 형성된 십(+)자형 구조의 본체모듈; 상기 제2 전원소켓과 제2 신호소켓에 결합되어 전원과 제어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게 일단에 제2 전원단자 및 제2 신호단자가 형성되고 타단에 제1 전원소켓과 제1 신호소켓이 형성되며 복수이 센서가 구비되어 화재발생을 판단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감지하는 센서모듈; 상기 센서모듈의 제1 전원소켓과 제1 신호소켓에 결합되어 전원과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구동하는 구동모듈; 및 상기 트레이 부재에 형성된 영구자석과 척력이 작용할 수 있게 상기 본체모듈을 중심으로 1사분면, 2사분면, 3사분면, 및 4사분면에 형성된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 트레이의 구동모듈은 내부가 중공되어 있고, 일측으로 상기 제1 전원소켓과 제1 신호소켓과 각각 결합되는 제1 전원단자와 제1 신호단자가 형성된 암형 하우징; 상기 암형 하우징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암형 하우징을 소정 거리만큼 삽입과 인출이 가능한 숫형 하우징; 상기 숫형 하우징과 상기 암형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 상기 숫형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전원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1 신호단자를 통해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 상기 숫형 하우징의 말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바퀴;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바퀴의 회전축을 연결하여 모터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바퀴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벨트; 및 상기 숫형 하우징 외주면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암형 하우징에서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 트레이의 센서모듈은 상기 이동부재가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트레이 부재의 배전선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열을 감지하는 열 감지센서; 화재 발생시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 경보를 울리 수 있도록 하는 연기 감지센서; 및 Pbs(황화납), PbSe(셀레늄화납)을 검출소자로 이용하여 반도체에 빛이 조사되면 자유전자와 정공이 증가하고, 광량에 비례하여 전류가 증가하며, 빛에 대하여 전기저항이 변화하는 광도전효과를 이용하여 스파크를 감지하는 스파크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 트레이의 열 감지센서는 볼록렌즈 구조로 배전선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이 열 감지센서에 집중적으로 포집될 수 있도록 하는 적외선 포집 렌즈; 상기 적외선 포집 렌즈를 통해 입사된 적외선 중 불필요한 가장자리 신호를 제거하고, 적외선 파장 대역 신호만 통과시켜 필터링하는 파장 필터; 상기 파장 필터를 통과한 적외선의 광학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적외선 센서; 및 상기 적외선 신호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온도로 환산함으로써 배전선에서 발생되는 열의 온도를 산출하는 온도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 트레이는 이동부재가 상시적으로 이동하면서 배전선의 화재발생 파라미터를 계측함으로써 화재발생 위험이 있는 지점을 신속하게 파악하여 관리자가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 트레이는 이동부재에 소화액 분사부가 구비되어 화재발생시 초기진압을 통해 큰 화재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지중 배전선의 배선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 트레이에 배선된 지중 배전선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 트레이의 트레이 부재를 이동하는 이동부재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 트레이의 트레이 부재 내부를 이동하는 이동부재의 상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 트레이의 이동부재의 센서모듈 양면으로 각종 센서가 형성되어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 트레이의 센서모듈 상세 블록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 트레이의 트레이 부재를 이동부재가 이동하는 상태의 단면도 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 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 트레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 트레이는 공동구(100), 트레이 부재(200) 및 이동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공동구(100)는 사각구조, 원통형 구조, 또는 터널형 구조로 상기 트레이 부재(200) 등 시설물을 설치할 수 있게 내부가 중공되어 있고 지중에 매립된다.
상기 트레이 부재(200)는 단면이 십(+)자형으로 공동구 내부의 천정면, 측벽면, 또는 바닥면 등에 고정설치되어, 배전선의 종류별(두께, 배전되는 저력량 등)로 정리되어 배선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트레이 부재(200)는 중앙부분이 중공된 십(+)자형의 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재(300)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경로(21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 부재(200)는 작은 구멍들이 형성된 메쉬망 구조로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선반에 배선되는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열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트레이 부재(200)에 형성된 구멍들은 후술된 바퀴가 빠지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이다.
한편, 상기 이동부재(300)는 십(+)자형의 상기 트레이 부재(200)와 대응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이동경로(2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선반에 놓인 배전 케이블을 감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부재(30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기둥형 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모듈(310), 구동모듈(320), 센서모듈(330), 및 전자석(34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구동모듈(320) 및 센서모듈(330)은 상기 본체모듈(310)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자석(340)은 상기 본체모듈(310)을 중심으로 1사분면, 2사분면, 3사분면, 및 4사분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모듈(320)은 제1 전원단자(321)와 제1 신호단자(322)가 형성되어 상기 센서모듈(330)의 일단에 형성된 제1 전원소켓(331)과 제1 신호소켓(332)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모듈(310)의 전원부(312)와 주제어부(311)로부터 각각 전달되는 전원과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된다.
상기 구동모듈(320)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구동모듈(320)은 도 4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하우징(323), 숫형 하우징(324), 스프링(325), 모터(326), 바퀴(327), 동력 전달 벨트(328), 및 이탈방지 돌기(329)를 포함한다.
상기 암형 하우징(323)은 내부가 중공되어 있고, 일측으로 상기 제1 전원단자(321)와 제1 신호단자(3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숫형 하우징(324)는 상기 암형 하우징(323)에 삽입될 수 있게 해당 암형 하우징(323)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암형 하우징(323)을 소정 거리만큼 삽입과 인출이 가능하다.
상기 스프링(325)은 상기 숫형 하우징(324)과 상기 암형 하우징(323)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숫형 하우징(324)의 상기 암형 하우징(323)으로의 삽입과 인출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325)는 테이퍼지게 형성된 원추형의 스프링으로써 가장 큰 원형의 링이 다음으로 큰 원형의 링을 포함하는 구조로 상기 숫형 하우징(324)에 의해 압축되었을 때 완전히 압축되어 스프링을 구성하는 와이어의 두께까지 압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325)이 원추형 스프링으로 구성됨에 따라 공간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암형 하우징(323), 숫형 하우징(324), 및 스프링(325)에 의해 상기 구동모듈(320)의 길이가 소정 길이만큼 신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트레이 부재(200)의 이동경로(210) 방향이 전환되는 지점에서 용이하게 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모터(326)는 상기 숫형 하우징(324)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전원단자(321)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1 신호단자(322)를 통해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회전방향, 또는 속도 등이 제어된다.
상기 바퀴(327)는 상기 숫형 하우징(324)의 말단에 바퀴 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모터(326)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이때, 상기 바퀴(327)에 공회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바퀴(327) 표면에는 기어잇이 형성되어 트레이 부재(200)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 전달 벨트(328)는 상기 모터(326)의 회전축과 상기 바퀴(327)의 회전축을 연결하여 모터(326)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바퀴(327)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동력 전달 벨트(328)는 타이밍 벨트와 같이 기어잇이 형성되어 상기 바퀴(327)에 상기 모터(326) 회전력의 전달효율을 향상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326)의 회전동력이 상기 바퀴(327)에 벨트 방식으로 전달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어방식 등 다른 방식에 의해서도 동력전달이 가능하다.
상기 이탈방지 돌기(329)는 상기 숫형 하우징(324) 외주면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암형 하우징(323)에서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센서모듈(330)은 상기 본체모듈(310)과 상기 구동모듈(320)을 연결하는 구성으로써, 타단에 제2 전원단자(333) 및 제2 신호단자(334)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모듈(310)에 형성된 제2 전원소켓과 제2 신호소켓에 결합되어 전원과 제어신호를 제공받아 작동한다.
상기 센서모듈(330)은 상기 본체모듈(310)에서 사방(x, -x, y, 및 -y 방향)으로 형성되어 트레이 부재에 놓인 통신 케이블 또는 전력 케이블의 화재를 감시한다.
상기 센서모듈(330)은 양방향으로 대칭되게 센서들이 형성되어 화재를 판단하는 파라미터를 감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모듈(3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감지센서(335), 연기 감지센서(336), 스파크 감지센서(337), 및 소화액 분사부(338)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센서모듈(330)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양한 화재 감지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열 감지센(335)는 상기 이동부재(300)가 상기 이동경로(210)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배전선(케이블)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열을 감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 감지센서(33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포집 렌즈(335a), 파장 필터(335b), 적외선 센서(335c), 및 온도 산출부(335d)를 포함한다.
상기 적외선 포집 렌즈(335a)는 볼록렌즈 구조로 배전선(케이블)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이 해당 열 감지센서(335)에 집중적으로 입사(포집)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파장 필터(335b)는 상기 적외선 포집 렌즈(335a)를 통해 입사한 적외선 중 불필요한 가장자리 신호를 제거하고, 적외선 센서(335c)에서 감지가 용이하도록 적외선 파장 대역 신호만 통과시키는 필터링을 수행한다.
상기 적외선 센서(335c)는 상기 파장 필터(335b)를 통과한 적외선의 광학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 한다.
상기 온도 산출부(335d)는 상기 적외선 신호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온도로 환산함에 따라 상기 열 감지센서(335)가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열의 온도를 비접촉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온도 산출부(335d)는 복사온도 측정, 밝기온도 측정, 컬러온도 또는 이색컬러(two color) 측정을 통해 온도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연기 감지센서(336)는 공동구(100)에 화재 발생시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 경보를 울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해당 연기는 가장 빨리 화재를 감지하는 파라미터이다.
상기 연기 감지센서(336)는 소정의 공간을 가진 제1 챔버(336a) 내에 광 발신부(336b)와 광 수신부(336c)가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기 광 발신부(336b)에서 발신되는 광을 상기 광 수신부(336c)에서 수신하는 과정에서, 상기 챔버(336) 내로 연기 입자가 유입되는 경우, 해당 연기 입자와 상기 광 발신부(336a)에서 발생된 광과 충돌로 인한 산란에 의해 상기 광 수신부(336c)에서 감지하는 광의 세기 또는 양의 변화를 통해 연기를 광학방식으로 감지한다.
한편, 상기 연기 감지센서(336)는 개방챔버(336d)와 기준챔버(336e)를 더 포함하는데, 해당 개방챔버(336d)는 내부의 아메리슘에서 방출하는 알파입자에 의해 일부 공기가 이온화된다.
이런 상태에서 상기 개방챔퍼(336d)에 구비된 +전극(336f)와 -전극(336g)에 전압이 걸림에 따라 챔버 내 이온화된 분자는 전하에 의해 전극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전류가 흐르는 상기 개방챔버(336d)에 화재로 인한 연기입자가 유입되면, 이온화된 분자의 일부가 상기 연기입자에 부착됨에 따라 전류를 운반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연기 감지센서(336)의 비교 회로부(336h)는 연기입자가 유입된 개방챔버(336d)와 연기입자가 유입되지 않은 기준챔버(336e)의 전류에 대한 변화를 비교하여 그 차이로 연기를 이온화 방식에 의해 감지한다.
상기 스파크 감지센서(337)는 Pbs(황화납), PbSe(셀레늄화납)을 검출소자로 이용하여 반도체에 빛이 조사되면 자유전자와 정공이 증가하고, 광량에 비례하여 전류가 증가하고, 빛에 대하여 전기저항이 변화하는 광도전효과를 이용하여 스파크를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모듈(330)은 상기 열 감지센서(335), 연기 감지센서(336), 스파크 감지센서(337)가 한 쌍씩 양면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섹터에 있는 케이블의 화재발생을 판단하는 파라미터를 감지한다.
즉, x축의 센서모듈(330)은 4사분면과 1사분면에 배선된 케이블의 화재발생 감지하고, y축의 센서모듈(330)은 1사분면과 2사분면에 배선된 케이블의 화재발생 감지하고, -x축의 센서모듈(330)은 2사분면과 3사분면에 배선된 케이블의 화재발생 감지하며, -y축의 센서모듈(330)은 3사분면과 4사분면에 배선된 케이블의 화재발생 감지한다.
한편, 상기 센서모듈(330)은 소화액 분사부(338)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해당 센서모듈(330)에 포함된 센서들이 불꽃 또는 연기와 같이 화재발생에 따른 파라미터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소화액 분사부(338)는 해당 파라미터 정보를 전달받은 상기 본체모듈(310)의 제어를 받아 소화액을 분사함으로써 긴급하게 화재를 진화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석(340)은 상기 이동부재(300)가 교차하는 본체모듈(310)의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모듈(310)의 전원부(312)의 전원을 공급받아 자력을 발생시키고 전원의 공급이 중단됨에 따라 자력을 소멸시킨다.
한편, 상기 트레이 부재(200)의 이동경로(210)에 상기 본체모듈(310)에 형성된 전자석(340)과 대응되는 위치에 영구자석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자석(340)은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영구자석과 동일한 극성의 자력을 발생시켜 자석 상호간 척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동부재(300)가 트레이 부재(200)에 충돌하지 않고 상기 이동경로(210)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이동부재(300)는 통신모듈(도시 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센서모듈(330)이 화재발생을 판단하는 파라미터를 감지한 경우, 원격지의 관리자 서버 또는 관리자 단말기에 파라미터 감지정보와 함게 파라미터가 감지된 위치를 전달해준다.
이후, 관리자는 파라미터가 감지된 위치에 대한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공동구
200 : 트레이 부재
210 : 이동경로
300 : 이동부재
310 : 본체모듈
311 : 주제어부
312 : 전원부
313 : 제2 전원소켓
314 : 제2 신호소켓
320 : 구동모듈
321 : 제1 전원단자
322 : 제1 신호단자
323 : 암형 하우징
324 : 숫형 하우징
325 : 스프링
326 : 모터
327 : 바퀴
328 : 동력 전달 벨트
329 : 이탈방지 돌기
330 : 센서모듈
331 : 제1 전원소켓
332 : 제1 신호소켓
333 : 제2 전원단자
334 : 제2 신호단자
335 : 열 감지센서
336 : 연기 감지센서
337 : 스파크 감지센서
338 : 소화액 분사부
340 : 전자석

Claims (4)

  1. 지중에 매립되고 중공된 내부에 배전선이 배선되는 공동구;
    메쉬망 구조이고, 상기 공동구 내부의 천정면, 측벽면, 또는 바닥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배전선이 배선될 수 있도록 하며, 십(+)자형 구조로 중앙부분이 중공되어 이동경로가 형성된 트레이 부재; 및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트레이 부재에 놓인 배전선을 감시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부재는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이동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는 주제어부로 구성되고, 제2 전원소켓과 제2 신호소켓이 형성된 십(+)자형 구조의 본체모듈;
    상기 제2 전원소켓과 제2 신호소켓에 결합되어 전원과 제어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게 일단에 제2 전원단자 및 제2 신호단자가 형성되고 타단에 제1 전원소켓과 제1 신호소켓이 형성되며 복수이 센서가 구비되어 화재발생을 판단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감지하는 센서모듈;
    상기 센서모듈의 제1 전원소켓과 제1 신호소켓에 결합되어 전원과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구동하는 구동모듈; 및
    상기 트레이 부재에 형성된 영구자석과 척력이 작용할 수 있게 상기 본체모듈을 중심으로 1사분면, 2사분면, 3사분면, 및 4사분면에 형성된 전자석;을 포함하되,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이동부재가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트레이 부재의 배전선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열을 감지하는 열 감지센서;
    화재 발생시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 경보를 울리 수 있도록 하는 연기 감지센서; 및
    Pbs(황화납), PbSe(셀레늄화납)을 검출소자로 이용하여 반도체에 빛이 조사되면 자유전자와 정공이 증가하고, 광량에 비례하여 전류가 증가하며, 빛에 대하여 전기저항이 변화하는 광도전효과를 이용하여 스파크를 감지하는 스파크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 트레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듈은
    내부가 중공되어 있고, 일측으로 상기 제1 전원소켓과 제1 신호소켓과 각각 결합되는 제1 전원단자와 제1 신호단자가 형성된 암형 하우징;
    상기 암형 하우징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암형 하우징을 소정 거리만큼 삽입과 인출이 가능한 숫형 하우징;
    상기 숫형 하우징과 상기 암형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
    상기 숫형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전원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1 신호단자를 통해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
    상기 숫형 하우징의 말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바퀴;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바퀴의 회전축을 연결하여 모터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바퀴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벨트; 및
    상기 숫형 하우징 외주면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암형 하우징에서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 트레이.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 감지센서는
    볼록렌즈 구조로 배전선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이 열 감지센서에 집중적으로 포집될 수 있도록 하는 적외선 포집 렌즈;
    상기 적외선 포집 렌즈를 통해 입사된 적외선 중 불필요한 가장자리 신호를 제거하고, 적외선 파장 대역 신호만 통과시켜 필터링하는 파장 필터;
    상기 파장 필터를 통과한 적외선의 광학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적외선 센서; 및
    상기 적외선 신호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온도로 환산함으로써 배전선에서 발생되는 열의 온도를 산출하는 온도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 트레이.
KR1020230070863A 2023-06-01 2023-06-01 화재감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 트레이 KR102595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0863A KR102595062B1 (ko) 2023-06-01 2023-06-01 화재감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0863A KR102595062B1 (ko) 2023-06-01 2023-06-01 화재감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5062B1 true KR102595062B1 (ko) 2023-10-27

Family

ID=88514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0863A KR102595062B1 (ko) 2023-06-01 2023-06-01 화재감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0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8178B1 (ko) 2023-12-21 2024-05-22 주식회사 해림종합기술 화재 감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 트레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860B1 (ko) * 2009-02-19 2009-06-30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송배전 케이블 지중전력구 배열대
KR101657478B1 (ko) * 2016-05-02 2016-09-21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개선된 구조의 전기케이블 트레이 및 그 설치시공법
KR101814781B1 (ko) * 2017-11-10 2018-01-03 (주)나이스에너지 배전지중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KR102053592B1 (ko) * 2019-10-04 2019-12-09 송영복 지중배전선로 고장구간 검출 장치
KR102112534B1 (ko) * 2020-03-18 2020-05-20 김기동 지중송전케이블의 누전차단용 감시장치
KR102382990B1 (ko) 2021-06-16 2022-04-08 주식회사 더블유이앤지 지중배전상태 점검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지지 트레이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860B1 (ko) * 2009-02-19 2009-06-30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송배전 케이블 지중전력구 배열대
KR101657478B1 (ko) * 2016-05-02 2016-09-21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개선된 구조의 전기케이블 트레이 및 그 설치시공법
KR101814781B1 (ko) * 2017-11-10 2018-01-03 (주)나이스에너지 배전지중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KR102053592B1 (ko) * 2019-10-04 2019-12-09 송영복 지중배전선로 고장구간 검출 장치
KR102112534B1 (ko) * 2020-03-18 2020-05-20 김기동 지중송전케이블의 누전차단용 감시장치
KR102382990B1 (ko) 2021-06-16 2022-04-08 주식회사 더블유이앤지 지중배전상태 점검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지지 트레이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8178B1 (ko) 2023-12-21 2024-05-22 주식회사 해림종합기술 화재 감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973929U (zh) 一种智慧式消防系统
KR102574839B1 (ko) 전기설비용 스마트 퀵 연결장치
AU652173B2 (en) Self-balancing bipolar air ionizer
US9618714B2 (en) Optical wiring systems and methods
CN104680703B (zh) 用于危险警报器的功能监视的构造为点型检测器的危险警报器的辅助设备及其装置和使用
US10121343B2 (en) Adapter bracket for notification appliance
DE10125687B4 (de) Vorrichtung zum Detektieren von Brandherden oder Gasverunreinigungen
US105343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d managing electricity
KR102235308B1 (ko) 실내공간 지능형 화재 초기 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590876A (zh) 综合管廊巡检机器人及综合管廊巡检系统
KR20180030484A (ko) 먼지센서와 iot통신을 이용한 산불 감시시스템
WO2016137055A1 (ko) 정보통신기술 기반 무인 경계 시스템
KR102595062B1 (ko) 화재감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 트레이
US20020171557A1 (en) Security electronic system
US10310464B1 (en) Smart devices kit for recessed light housing
CN214202124U (zh) 配电房智能监视屏柜
JP2009146777A (ja) 直流接続装置
CN101283385A (zh) 报警设备和用于报警设备的壳体
KR102523041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고장구간 점검 시스템
KR100946574B1 (ko) 수동형 침입감지 휀스시스템
KR100985108B1 (ko) 지능형 방범설비
CN210428226U (zh) 机房环境监控系统
CN104392576A (zh) 新型烟传感器
KR200344686Y1 (ko) 화재 수신기의 연동 감시 장치
KR101852611B1 (ko) 전기 집진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