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058B1 -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058B1
KR102595058B1 KR1020210014318A KR20210014318A KR102595058B1 KR 102595058 B1 KR102595058 B1 KR 102595058B1 KR 1020210014318 A KR1020210014318 A KR 1020210014318A KR 20210014318 A KR20210014318 A KR 20210014318A KR 102595058 B1 KR102595058 B1 KR 102595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comments
comment
advertising content
adverti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1103A (ko
Inventor
김영민
이창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콜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콜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콜피아
Priority to KR1020210014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058B1/ko
Publication of KR20220111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사용자 단말로부터 호(Call)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음성발화한 광고 키워드를 인식하는 단계, 광고 키워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광고 콘텐츠의 링크를 삽입하여 메세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에서 광고 콘텐츠의 링크를 선택하는 경우, 광고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COMMERICAL REPLAY SERVICE}
본 발명은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광고 화면에 표시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링크를 수신하고 광고 콘텐츠를 크로스미디어 기반으로 출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최근 광고 매체가 다변화 되면서 방송 및 디지털 광고를 함께 진행하는 크로스미디어 광고(Cross-Media Advertising)의 집행률이 증가하고 있다. 크로스미디어 광고란 브랜드 콘텐츠 관련 커뮤니케이션에 사용하는 미디어 플랫폼이 한 개 이상인 경우로 정의되는데, 유형은 동종매체 결합, 이종매체 결합, 이벤트/스폰서 등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동종매체 결합은 TV와 TV처럼 동일한 매체에서의 광고 집행, 이종매체 결합은 TV와 인터넷처럼 타 매체 간 결합에서의 광고 집행, 이벤트/스폰서는 광고주가 방송사의 이벤트 진행, 프로그램 제작에 협찬하는 방식을 말한다. 디지털 시대 속에서 크로스미디어는 이종매체 결합으로 전통 매체의 대표인 TV의 방송광고와 뉴미디어로서의 디지털 광고를 동시 집행하는 의미로 빈번하게 쓰고 있다. 전통매체인 TV와 디지털 미디어인 유튜브의 크로스미디어 광고 효과를 밝힌 연구에 따르면 특정 브랜드를 TV 단독으로 집행한 것에 비해 TV와 유튜브를 연계해 광고를 집행했을 때 타겟 GRP(Gross Rating Points) 도달 효율성이 상승한것으로 밝혀졌다.
이때, 크로스미디어를 이용하여 광고를 진행할 때 시청자 맞춤형으로 진행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한국공개특허 제2020-0110035호(2020년09월23일 공개)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404710호(2014년06월11일 공고)에는, 광고주 단말로부터 광고 타겟을 지정한 후 서버에 등록하고, 서버는 양방향 셋탑박스를 통하여 광고장치에 광고 정보를 송신하며, 양방향 셋탑박스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의 흔들림이 감지되는 경우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 광고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IMEI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며, 양방향 셋탑박스에 송신된 광고 정보를 검색한 후 사용자 단말로 광고 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타겟으로 지정된 모든 광고를 사용자 단말로 함께 전송하는 구성과,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화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광고 데이터베이스를 추출하고 추출된 광고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면서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광고 보상인 리워드를 지급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중 전자의 경우 셋탑박스가 양방향 셋탑박스로 사용자 단말의 흔들림을 감지할 수 있어야 하고, 셋탑박스와 동일하지 않은 네트워크에 있다면 사용자 단말을 아무리 흔들더라도 광고 정보는 사용자 단말로 도달하지 않는다. 또, 사용자 단말에서 원하는 광고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단말의 정보에 기반하여 타겟으로 하는 모든 광고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치 않는 정보, 즉 스팸과 같은 광고까지 덤으로 받게 된다. 후자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전화를 걸었을 때 사용자 정보에 맞는 광고라면 모두 추출되어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기 때문에 원하지 않은 너무 많은 양의 정보를 위해 사용자는 데이터, 시간 및 에너지를 소비해야 한다. 이에, 크로스미디어 광고 플랫폼 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광고만 간편하게 볼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광고 콘텐츠를 출력할 때 전화번호를 삽입하여 출력되도록 설정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호(Call)를 발신하여 광고 키워드를 음성발화하면, 광고 키워드와 기 매핑되어 연결된 광고 링크가 포함된 메세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광고 링크를 이용하여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인프라 구축을 위한 비용 및 시간이 낭비되지 않으면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광고만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광고를 최소화하고 광고가 스팸으로 전락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는,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호(Call)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음성발화한 광고 키워드를 인식하는 단계, 광고 키워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광고 콘텐츠의 링크를 삽입하여 메세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에서 광고 콘텐츠의 링크를 선택하는 경우, 광고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매체에 표시된 전화번호로 호(Call)를 발신하고 광고 콘텐츠의 광고 키워드를 음성발화한 후,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는 링크가 포함된 메세지를 수신하고, 링크를 선택하여 링크로 엑세스한 후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호(Call)를 수신하는 수신부, 사용자 단말에서 음성발화한 광고 키워드를 인식하는 인식부, 광고 키워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광고 콘텐츠의 링크를 삽입하여 메세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사용자 단말에서 광고 콘텐츠의 링크를 선택하는 경우, 광고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광고 콘텐츠를 출력할 때 전화번호를 삽입하여 출력되도록 설정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호(Call)를 발신하여 광고 키워드를 음성발화하면, 광고 키워드와 기 매핑되어 연결된 광고 링크가 포함된 메세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광고 링크를 이용하여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인프라 구축을 위한 비용 및 시간이 낭비되지 않으면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광고만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광고를 최소화하고 광고가 스팸으로 전락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미디어 플랫폼(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미디어 플랫폼(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미디어 플랫폼(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호를 발신하고 광고 키워드를 음성발화한 후, 광고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링크를 메세지, 예를 들어, SMS로 수신한 후, 링크에 접속하여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미디어 플랫폼(400)으로 광고 콘텐츠가 중계되도록 하고, 이때 광고 화면 상에 광고다시보기 전화번호 및 광고 키워드를 삽입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 콘텐츠와 적어도 하나의 광고 키워드를 매핑하여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광고 콘텐츠가 업로드된 링크도 함께 매핑하여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호를 수신한 후, 음성발화된 광고 키워드를 수신하여 STT(Speech to Text)로 텍스트로 변환한 후, 광고 키워드와 기 매핑되어 저장된 링크를 포함하여 문자메세지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0에서 문자메세지 내 링크를 선택하는 경우 링크에 접속하여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미디어 플랫폼(400)은,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는 TV, 사이니지 등을 포함하는 플랫폼일 수 있다. 크로스미디어 플랫폼(400)은,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할 때, 광고다시보기 전화번호 및 광고 키워드를 삽입하여 송출하는 플랫폼일 수 있다. 이때, 크로스미디어의 제 1 미디어는 TV나 사이니지 등이고, 제 2 미디어는 사용자 단말(100)이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미디어 플랫폼(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미디어 플랫폼(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미디어 플랫폼(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신부(310), 인식부(320), 전송부(330), 출력부(340), 매체관리부(350), 리스트부(360), 메인구성부(370), 유료광고부(380) 및 분배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미디어 플랫폼(400)으로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미디어 플랫폼(400)은,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미디어 플랫폼(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호(Call)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V에 LG 롤러블폰 광고가 송출되었는데, LG 롤러블폰 광고 내에 "광고바로가기 1636 통화 후 롤러블폰"이라고 기재되어 있고, 사용자는 자유자재로 스마트폰 화면이 작아졌다 커졌다 하는 롤러블폰이 신기해서 광고를 한 번 더 보고싶거나 롤러블폰에 대하여 사람들의 반응을 보고싶을 때 사용자는 "1636+통화" 버튼을 누를 수 있다.
인식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음성발화한 광고 키워드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삼성의 봇핸디, 즉 사람처럼 손을 쓸 수 있는 로봇 광고를 보고, 한 번 더 보고 싶거나 이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어서 "1636+통화" 버튼"을 눌렀다고 가정하자. 이때, 서버 입장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이 어떠한 광고를 보고 전화를 했는지 모른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원하는 광고가 무엇인지를 알아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광고 콘텐츠 화면 내에 "광고바로가기 1636 통화 후 봇핸디"라고 기재되어 있고, 사용자가 "봇핸디"라고 발화하면 봇핸디가 광고 키워드이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광고가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전송부(330)는, 광고 키워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광고 콘텐츠의 링크를 삽입하여 메세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광고 콘텐츠는 크로스미디어, 즉 적어도 두 가지의 매체인 미디어에 출력된다. 사용자가 본 광고가 제 1 미디어인 TV 에서 보았다면, 링크에 업로드된 광고 콘텐츠는 온라인 페이지나 앱 페이지 등에 게재된 제 2 미디어인 온라인 미디어이다. 이때, 제 1 미디어와 제 2 미디어가 다르다면 TV, 소셜미디어, 웹 페이지 등 다양한 크로스오버가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되는 링크는 상술한 예에서는, TV로의 링크가 아닌 광고 콘텐츠를 다시 볼 수 있는 웹 페이지, 앱 페이지나 소셜미디어 또는 애플리케이션 등일 수 있다. 이에,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는 TV에서 광고를 한 번 보고, 다시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광고를 보게 된다. 이때, 메세지는 SMS인 문자메세지일 수 있지만,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메신저, 예를 들어, 카카오톡과 같은 메신저를 이용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출력부(34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광고 콘텐츠의 링크를 선택하는 경우, 광고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100)에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미 업로드된 광고 콘텐츠이므로 실시간 스트리밍은 아니고 일반 스트리밍일 수 있다. 이때, A 브랜드의 B 기기의 광고를 보았다면, 이전 광고, 즉 B 기기의 최신 광고부터 이전 광고까지 함께 보도록 리스트업해줄 수도 있다. 출력부(340)에서 사용자 단말(100)에서 광고 콘텐츠의 링크를 선택하는 경우, 광고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100)에서 출력되도록 할 때, 광고 콘텐츠가 출력되는 페이지 내에 좋아요 아이콘, 싫어요 아이콘, 공유 아이콘, 댓글 아이콘, 이벤트참여 아이콘 및 광고개선의견 아이콘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광고에 대한 느낌, 선호도, 댓글을 통한 사용자의 감정(부정, 중립, 긍정) 등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가짜 댓글 필터링>
이때, 의견 스팸(Opinion Spam)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특정 그룹의 의도에 의해 커뮤니티 내의 여론을 조성하는 행위를 이르는 말로 소셜미디어를 사용하는 사용자 혹은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여 상품,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에게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의견 스팸은 사용하지 않은 상품에 대한 댓글을 작성하는 행위, 리트윗 등을 통한 게시물에 대한 평판 조작, 특정 사이트 회원 수 조작을 위한 가입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대부분 상품 홍보, 상품 평판 조작 등의 목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댓글을 분석하기 위한 전처리로 의견 스팸을 제거하고 시작할 수 있도록 LSTM(Long Short-Term Memory)을 이용하여 가짜 댓글을 생성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학습하고, 이의 출력과 유사한 댓글이나 댓글을 제거하면서 전처리를 하는 방식을 수행할 수 있다.
크라우드소싱 서비스에 의해 생성되는 댓글, 계정, 평판은 특정 시간에 집중되고 실제 사용자가 작성한 댓글와 비슷한 단어 분포를 가지는 등의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특징들은 댓글 만으로 크라우드소싱 서비스 이용자의 의해 작성된 댓글인지, 실제 댓글인지 분류하기 어렵다. 댓글 만을 이용한 판별은 사용자의 댓글에 의해 판매자 평판이 좌우되는 댓글 플랫폼에서 가짜 댓글이 판매자의 상품 혹은 서비스에 대한 의도적인 공격을 더 효과적이고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댓글 생성 모델은 웹 크롤링을 통해 얻은 댓글 말뭉치를 LSTM 모델에 학습시킨다. 이후, 댓글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특정 단어를 대체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을 실시하는 이유로는 단순히 인공 신경망을 이용해 만든 댓글은 명사와 같은 문장의 요소가 문장 전체 맥락과 어울리지 않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기 때문이다.
문장 내 연관성 없는 단어는 생성된 문장의 품질을 떨어뜨리고, 기계가 생성한 문장임을 명백히 보일 수 있고 단순히 인공 신경망을 이용해 생성한 댓글은 타겟으로 하는 상품 혹은 서비스에 대한 내용을 담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초기 문장 생성 이후 대체 과정을 추가할 수 있다. 단어 대체 과정은 Word2Vec 모델에 LSTM 모델에서 생성된 댓글 말뭉치를 학습시키고, 학습된 Word2Vec 모델을 이용해 키워드와 비슷한 단어 뭉치를 얻는다. 이 과정에서 얻은 단어 뭉치가 오타일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메타데이터에서 얻은 말뭉치와 대체 단어를 비교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유사도를 보이는 단어는 메타데이터 말뭉치의 단어로 대체되고, 메타데이터 말뭉치를 통해 정제된 단어는 최초 Word2Vec에 학습된 LSTM 모델을 통해 생성된 댓글의 해당 단어 자리에 대체 된다.
알고리즘 중 similarity_Word2Vec 함수는 학습된 Word2Vec을 이용해 입력된 두 단어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출력한다. 키워드와 관련된 단어들을 찾는 similarity_Word2Vec은 Word2Vec 모델이 단어 사이의 의미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단어의 의미를 벡터로 수치화 하게 된다. 단어들이 실수의 다차원 공간에 흩어져 있기에 단어들의 유사도를 측정하는 등의 작업에 타 모델에 비해 실행 속도, 성능이 우수하다. 이때, similarity_Word2Vec 함수는 코사인 유사도할 수 있지만 유클라디안 거리 등을 이용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렇게 실제 댓글와 가짜 댓글 생성 모델로부터 생성된 댓글을 모두 학습시키는 경우, 이후 댓글에 나타난 댓글이 실제 댓글인지, 의견 스패머에 의한 가짜 댓글인지 또는 봇에 의해 만들어진 가짜 댓글인지를 판별할 수 있고 의견 스패머 또는 봇에 의해 만들어진 가짜 댓글은 삭제하는 전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실제 고객의 댓글을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댓글 분석>
수집된 댓글 텍스트의 처리를 위해 한국어 처리 공개 소프트웨어인 Python 기반의 KoNLPy를 이용할 수 있다. KoNLPy의 태거(Tagger)를 이용하여 모든 단어를 형태소로 변형한 후, 역시 Python 기반 공개소프트웨어인 gensim을 이용하여 임베딩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Skip-Gram 방식의 임베딩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댓글에 포함된 언어심리학적 변수들과 댓글에 대한 반응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회귀 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언어심리학적 변수인 사회적 어휘와 인지적 어휘, 감정분석에서 많이 활용되는 감정 어휘(긍정 및 부정 각각), 임베딩 기반의 주제별 어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사회적 어휘, 인지적 어휘, 감정 어휘들의 경우 LIWC(Linguistic Inquiry and Word Count)를 바탕으로 제작된 한국어 분석 도구인 HLIWC를 이용하여 추출된 값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앞서 생성된 임베딩 벡터를 이용하여 댓글의 각 어휘들과 광고 콘텐츠의 주제어와의 코사인(Cosine) 기반의 유사도를 계산하고, 그 값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각 주제 범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그 다음 해당 어휘들의 유사도 합을 각 댓글에 대해 각각의 주제를 대표하는 변수로 이용할 수 있다. 종속변수는 댓글에 대한 반응으로 좋아요, 싫어요, 그리고 이 둘을 합한 값 등 총 세 가지를 이용할 수 있다. 통제변수로는 전체 어절 수, 광고 콘텐츠 자체에 대한 긍정 혹은 부정 반응 수, 댓글 작성 시간과 광고 콘텐츠 업로드 시간 간의 차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광고효과 분석>
상술한 바와 같이 전처리 및 댓글 분석이 완료되었으면, 이를 기반으로 광고효과도 분석해볼 수 있다. 이때에는 댓글 내에 포함된 이모티콘, 비속어, 은어, 등을 포함하는데, 댓글에서 많이 쓰이는 이모티콘 및 이모지들에 감성 값을 주어 분류한 이모티콘 리스트(Emoticon List)를 구축하고 감성 분석(Sentiment Analysis)을 진행할 수 있다. 또, 비속어 해석을 통한 감성사전을 만들 수 있는데, 인터넷 댓글은 그 특성상 표준어보다 비속어 및 은어 등이 더 많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비속어를 해석하기 위해 댓글 문장들을 학습하여, 문장 내에서 유사한 관계에 있는 단어들을 찾아내는 word2vec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해석하기 위해서, 감성 사전에서 단어, 품사 긍정확률, 부정확률, 중립확률을 계산하고, 댓글 데이터를 수집하고 댓글 문장의 단어 품사를 분석하고, 전처리한 댓글들을 word2vec모델에 적용하여 학습시키며, 댓글의 단어 중 비속어를 학습된 모델에 넣어 유의어를 분석하고, 이 결과로 나온 단어 중 유사도가 높은 상위 N 개의 단어를 추출하며, 저장된 단어 중 감성사전에 있는 단어들의 감성 값을 적용하여 비속어의 감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비속어는 비속어 사전에 추가한다. 이 과정을 통해 비속어를 해석하고 비속어 사전을 구축한다.
광고 콘텐츠의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세밀한 감성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 오피니언 마이닝 알고리즘들을 확장하여 콘텐츠 만족도 도출을위한 감성 분석 알고리즘을 구축할 수 있다. 이때, 감정표현 단어의 의미 강도를 부여하기 위해 이모티콘과 감성어가 같이 쓰이는 경우를 분류하고, 부사어의 경우와 유사하게 이모티콘과 이모지에 가중치를 주어 감성 분석을 세밀화할 수 있다. 또한, 도출된 감성 결괏값을 통계적 기법에 적용하여 만족도를 계산할 수 있는데, 만족도의 계산은 특정 대상에 대한 개인의 태도를 측정하는 통계적 기법인 리커트 5점 척도를 이용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댓글 텍스트 파일에 대해서 형태소 분석을 하고, [단어, 품사] 형태로 배열에 집어넣는다. 각 문장의 단어의 품사가 명사라면, 앞뒤 3 어절 이내에 용언이 있는지 확인한다. 이 용언의 극성이 감성사전에 분류되어 있다면, 감성 값을 받아온다. 이때, 감성 단어가 있다면, 앞뒤 3 어절 이내에 가중치를 주는 부사어와 이모티콘 및 이모지가 있는지 확인한다. 부사어가 있다면, 부사어의 가중치를 계산하여 곱해준다. 이모티콘 및 이모지가 있다면, 이모티콘 리스트로부터 이모티콘의 감성 확률값을 가져온다. 한국어 문법 규칙에 따라 이모티콘의 감성 확률값과 감성 단어의 감성 값 조합의 긍정, 부정을 파악한 뒤, 가중치를 계산하여 곱해준다. 명사에 대한 감성 값 계산이 끝났으므로, 명사와 감성 값을 벡터에 넣어주고, 전체 댓글에 대한 감성 값을 계산하기 위해 명사의 감성 값이 양수일 경우에는 긍정 감성점수에, 음수일 경우에는 부정 감성점수에 넘긴다. 영상의 전체 댓글에 대해 리커트 5점 척도로 구해진 만족도를 평균을 낸다.
매체관리부(350)는, 수신부(310)에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호(Call)를 수신하기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매체를 통하여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고, 광고 콘텐츠 화면 내에 광고다시보기 전화번호를 삽입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광고다시보기 전화번호가 시각적으로 삽입될 수도 있지만 청각적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미디어가 TV가 아닌 라디오 방송이라면, 광고를 하면서 "광고바로가기 1636 통화 후 불닭볶음면"이라고 음성으로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매체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리스트부(360)는, 출력부(340)에서 사용자 단말(100)에서 광고 콘텐츠의 링크를 선택하는 경우, 광고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100)에서 출력되도록 한 후, 광고 키워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지난(Previous) 광고 콘텐츠의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스 사운드링크 스피커는 몇 년간 스테디셀러인 제품 중 하나인데, 광고는 매 년 제작된다고 가정하면, 최신 광고를 기준으로 그 이전 광고도 함께 볼 수 있도록 리스트업해줄 수 있다.
메인구성부(370)는, 수신부(310)에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호(Call)를 수신하기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미도시)로부터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로부터 광고의뢰 및 광고집행의 수가 증가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에 대응하는 기업의 광고 콘텐츠를 메인페이지 내에 배치하여 출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주의 의뢰가 적은 초기에는 1 개당 1 개의 페이지를 할애하여 제공하겠지만, 이후 광고주로부터 의뢰되는 광고의 개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이를 하나의 페이지에 모아서 보여주는 형식으로 메인페이지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부터 N 번까지의 광고가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AXB로 구성된 영역에 N 개의 광고를 배치하는 방식으로 모아서 보여줄 수도 있다.
이때, 메인페이지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광고 콘텐츠는 적어도 하나의 점수부여기준에 따라 랭킹이 부여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점수부여기준은, 적어도 하나의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해 수신된 호(Call)의 수, 적어도 하나의 광고 콘텐츠가 재생된 수, 적어도 하나의 광고 콘텐츠가 공유된 수, 적어도 하나의 광고 콘텐츠에 달린 댓글의 수 및 적어도 하나의 광고 콘텐츠에 부여된 좋아요 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점수부여기준에 따라 일별(Daily), 주별(Weekly), 월별(Monthly) 및 연도별(Yearly)로 리스트업된 적어도 하나의 광고 콘텐츠를 정렬 및 배치할 수 있다.
유료광고부(380)는, 출력부(340)에서 사용자 단말(100)에서 광고 콘텐츠의 링크를 선택하는 경우, 광고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100)에서 출력되도록 한 이후,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접속 링크에 접속 트래픽이 증가하는 경우,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메인페이지 상단에 유료광고를 삽입할 수 있다. 초기에는 제 1 미디어에서 제 2 미디어로 고객을 유도했다면, 제 2 미디어 자체의 인기가 높아져서 다수의 사람들이 접속을 하고 들어온다면, 제 2 미디어 자체 내에서도 광고 페이지 속 광고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제 2 미디어에 접속하는 트래픽이 광고를 할 만큼 충분히 많다면, 제 2 미디어를 주로 보는 고객을 타겟으로 다시 광고를 할 수도 있다.
분배부(390)는, 유료광고부(380)에서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접속 링크에 접속 트래픽이 증가하는 경우,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메인페이지 상단에 유료광고를 삽입한 후, 유료광고로 인한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수익의 기 설정된 퍼센트를 분배할 수 있다. 이때, 트래픽이란 어떤 통신장치나 시스템에 걸리는 부하를 말하지만, 광고 분야에서 웹 트래픽 분석은 유입자 분석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므로 후자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동영상 플랫폼은 방송시청과 정보검색의 통합을 위한 시스템과 간접광고의 정보 검색을 지원하는 기능, 이로 인해 나타난 이용자들의 반응을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첫째, 방송 시청과 정보 검색의 통합을 위한 시스템에서는 한 페이지 안에서 방송시청과 정보제공 그리고 채팅까지 가능하게 하여 보다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간접광고 정보 검색을 지원하는 기능은 방송제작시 PPL 정보를 함께 영상 안에 포함시켜 이용자들의 즉각적 검색을 지원한다. 방송을 시청하는 도중 관심이 가는 제품이 나왔을 때 시청자가 버튼을 누르게 되면 해당 시점에 해당하는 제품의 정보를 가져와 같이 출력해줄 수 있다. 정보에는 제품의 대표 사진, 브랜드 이름, 제품 이름, 가격, 설명, 링크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정보를 접한 후 다른 시청자와의 채팅을 통해 해당 제품에 대한 반응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시청자는 출력된 제품 정보에 ‘좋아요’ 버튼을 눌러 제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용자의 반응을 제공기능을 통해 제품회사는 본방송 중 이용자 채팅창을 모니터링 하여 이용자들의 피드백을 제공받을 수 있고 방송이 종료된 후 제품별로 시청자가 누른 모든 ‘좋아요’수를 바탕으로 통계를 내어 각 제품에 대한 시청자들의 관심도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미디어 플랫폼(400)으로 광고를 송출하고, 광고 콘텐츠에 문구를 삽입하여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00)에서 간단하게 광고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b) 사용자 단말(100)에서 광고에 나온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면,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음성인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에서 원하는 광고가 무엇인지를 파악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스타벅스"라고 음성발화한 경우, 스타벅스 상품에 대한 광고를 원하는 경우,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스타벅스 광고 콘텐츠가 게재된 링크를 문자 메세지에 삽입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고, (c) 사용자 단말(100)은 이에 대한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에 접속하는 접속자나 유입인원이 증가하는 경우 광고 속 광고로 유료광고를 넣을 수도 있다.
이때, 도 3의 (a)와 같이 TV나 사이니지 등 제 1 미디어에 송출되는 광고는 도 4a와 같을 수 있다. 도 4a는 코카콜라 광고 콘텐츠인데, 동영상 중 어느 한 장면을 캡쳐한 화면이다. 이때, 광고 하단에 "광고다시보기 1636 통화 후 코카콜라"라고 기재되어 있다. 1636으로 전화를 한 사용자는 "코카콜라"라고 음성발화하는 경우, 도 4b와 같은 문자 메세지를 받게 되고, 문자 메세지에 삽입된 링크로 엑세스를 하는 경우 도 4c와 같은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이 페이지에서 댓글도 쓰고 좋아요나 싫어요 등을 할 수도 있다. 회원 가입이 없더라도 바로 좋아요나 싫어요를 누를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광고 다시보기 이외에도 광고를 출력하면서 TV 화면에 도 4d와 같이 제품 구매하기, 이벤트 참여하기, 할인쿠폰 받기, 창업자료 받기, 애플리케이션 설치하기, 영화 예매하기 및 설문조사 참여하기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실행하기 위한 콘텐츠로 출력할 수도 있다. 광고 다시보기로 호를 발신하고 키워드를 음성발화하는 과정은 동일하므로 그 과정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문자 메세지로 삽입된 링크로 엑세스를 하는 경우,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사이트로 이동하거나, 이벤트 참여 페이지로 이동, 또 할인쿠폰을 받을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창업자료를 받을 수 있는 페이지,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영화를 예매하거나 설문조사에 참여할 수 있는 페이지로 각각 이동할 수도 있다. 물론, 나열된 예 이외에도 다양한 활용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호(Call)를 수신하고(S5100), 사용자 단말에서 음성발화한 광고 키워드를 인식한다(S5200).
그리고,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광고 키워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광고 콘텐츠의 링크를 삽입하여 메세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S5300) 사용자 단말에서 광고 콘텐츠의 링크를 선택하는 경우, 광고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도록 한다(S5400).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호(Call)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음성발화한 광고 키워드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광고 키워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광고 콘텐츠의 링크를 삽입하여 메세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광고 콘텐츠의 링크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광고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광고 키워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지난(Previous) 광고 콘텐츠의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리스트는, 상기 출력에 의해 보는 광고 콘텐츠가 A 브랜드의 B 기기에 대한 광고 콘텐츠인 경우, 상기 A 브랜드의 B 기기에 대한 최신 광고부터 상기 최신 광고를 기준으로 한 그 이전 광고가 포함된 리스트이고,
    상기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도록 할 때 상기 광고 콘텐츠가 출력되는 페이지 내에 좋아요 아이콘, 싫어요 아이콘, 공유 아이콘, 댓글 아이콘, 이벤트참여 아이콘 및 광고개선의견 아이콘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출력하고, 출력된 상기 광고 콘텐츠에 대한 광고효과를 분석하되,
    상기 광고효과의 분석은, 댓글의 분석을 위해 가짜 댓글을 삭제하는 전처리의 수행 및 댓글 분석의 수행을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처리의 수행시, 의견 스팸의 제거를 위해 LSTM(Long Short-Term Memory)을 이용하여 가짜 댓글을 생성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학습하고,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출력과 유사한 댓글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전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인 가짜 댓글 생성 모델은, 웹 크롤링을 통해 얻은 댓글 말뭉치를 LSTM 모델에 학습시키되, 학습 이후 댓글의 품질 개선을 위해 특정 단어를 대체하는 단어 대체 과정을 추가로 수행하며,
    상기 단어 대체 과정은, Word2Vec 모델에 LSTM 모델에서 생성된 댓글 말뭉치를 학습시키고, 학습된 Word2Vec 모델을 이용해 키워드와 비슷한 단어 뭉치를 획득하되, 상기 획득된 단어 뭉치가 오타일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메타데이터에서 얻은 말뭉치와 대체 단어인 상기 획득된 단어 뭉치를 비교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유사도를 보이는 상기 획득된 단어 뭉치를 상기 Word2Vec 모델에서 최초 학습된 LSTM 모델에서 생성된 댓글 말뭉치 내 상기 특정 단어에 대응하는 단어 자리에 대체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가짜 댓글 생성 모델에 의해 생성된 댓글의 학습을 토대로 상기 광고 콘텐츠에 달린 댓글이 실제 댓글인지, 의견 스패머에 의한 가짜 댓글인지, 봇에 의해 만들어진 가짜 댓글인지의 판별이 가능하고, 상기 의견 스패머 또는 봇에 의해 만들어진 가짜 댓글을 삭제하는 전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실제 고객의 댓글에 대한 상기 댓글 분석을 수행하고,
    상기 댓글 분석의 수행시, 수집된 댓글 텍스트의 처리를 위해 한국어 처리 공개 소프트웨어인 Python 기반의 KoNLPy를 이용하고, KoNLPy의 태거(Tagger)를 이용하여 모든 단어를 형태소로 변형한 후, Python 기반 공개소프트웨어인 gensim을 이용하여 임베딩으로 변환하되 Skip-Gram 방식의 임베딩을 이용하고,
    이후 댓글에 포함된 언어심리학적 변수들과 댓글에 대한 반응 간의 관계 분석을 위해 회귀 분석을 수행하되, 상기 회귀 분석의 수행시 언어심리학적 변수인 사회적 어휘와 인지적 어휘, 감정분석에서 활용되는 감정 어휘 및 임베딩 기반의 주제별 어휘를 사용하고, 상기 사회적 어휘, 상기 인지적 어휘 및 상기 감정 어휘의 경우 LIWC(Linguistic Inquiry and Word Count)를 바탕으로 제작된 한국어 분석 도구인 HLIWC를 이용하여 추출된 값을 이용하며, 이후 상기 임베딩의 벡터를 이용하여 댓글의 각 어휘들과 광고 콘텐츠의 주제어와의 코사인 기반의 유사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유사도 값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각 주제 범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고려하여 상기 어휘들의 유사도 합을 각 댓글의 주제를 대표하는 변수로 이용하되, 종속변수로는 댓글에 대한 반응으로서 좋아요 수, 싫어요 수, 및 좋아요 수와 싫어요 수의 합계 값을 포함한 세 가지 값을 이용하고, 통제 변수로는 전체 어절 수, 광고 콘텐츠에 대한 긍정 혹은 부정의 반응 수, 댓글 작성 시간과 광고 콘텐츠 업로드 시간 간의 차이 값을 이용하며,
    상기 댓글 분석의 완료 후 광고효과의 분석을 수행하되, 댓글 내에 이모티콘과 비속어가 포함되어 있음을 고려하여 댓글에서 사용되는 이모티콘에 감성 값을 주어 분류한 이모티콘 리스트(Emoticon List)를 구축하여 감성 분석(Sentiment Analysis)을 진행하고, 비속어 해석을 통해 감성사전을 구축하되,
    상기 비속어의 해석을 위해 댓글 문장들을 학습하여 문장 내에서 유사 관계에 있는 단어들을 찾아내는 word2vec 알고리즘을 이용하고, 감성사전에서 단어, 품사 긍정확률, 부정확률, 중립확률을 계산하고, 댓글 데이터를 수집하고 댓글 문장의 단어 품사를 분석하고, 전처리한 댓글들을 word2vec모델에 적용하여 학습시키며, 댓글의 단어 중 비속어를 학습된 모델에 넣어 유의어를 분석하고, 유의어의 분석 결과로 나온 단어 중 유사도가 높은 상위 N 개의 단어를 추출하며, 저장된 단어 중 감성사전에 있는 단어들의 감성 값을 적용하여 비속어의 감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비속어를 비속어 사전에 추가하는 과정을 통해 비속어를 해석하고 비속어 사전을 구축하고,
    상기 광고 콘텐츠는, 광고 다시보기 외에 제품 구매하기, 이벤트 참여하기, 할인쿠폰 받기, 창업자료 받기, 애플리케이션 설치하기, 영화 예매하기 및 설문조사 참여하기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실행하기 위한 콘텐츠로 대체가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메세지에 삽입된 링크로 엑세스를 하는 경우,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사이트, 이벤트 참여 페이지, 할인쿠폰을 받을 수 있는 페이지, 창업자료를 받을 수 있는 페이지,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페이지, 영화를 예매할 수 있는 페이지, 설문조사에 참여할 수 있는 페이지 각각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것인,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호(Call)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매체를 통하여 상기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고, 광고 콘텐츠 화면 내에 광고다시보기 전화번호를 삽입하도록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호(Call)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로부터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로부터 광고의뢰 및 광고집행의 수가 증가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에 대응하는 기업의 광고 콘텐츠를 메인페이지 내에 배치하여 출력하도록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페이지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광고 콘텐츠는 적어도 하나의 점수부여기준에 따라 랭킹이 부여되는 것인,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수부여기준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해 수신된 호(Call)의 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고 콘텐츠가 재생된 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고 콘텐츠가 공유된 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고 콘텐츠에 달린 댓글의 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고 콘텐츠에 부여된 좋아요 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수부여기준에 따라 일별(Daily), 주별(Weekly), 월별(Monthly) 및 연도별(Yearly)로 리스트업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고 콘텐츠를 정렬 및 배치하는 것인,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광고 콘텐츠의 링크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광고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접속 링크에 접속 트래픽이 증가하는 경우, 상기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메인페이지 상단에 유료광고를 삽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접속 링크에 접속 트래픽이 증가하는 경우, 상기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메인페이지 상단에 유료광고를 삽입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유료광고로 인한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수익의 기 설정된 퍼센트를 분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10. 삭제
  11. 적어도 하나의 매체에 표시된 전화번호로 호(Call)를 발신하고 광고 콘텐츠의 광고 키워드를 음성발화한 후, 상기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는 링크가 포함된 메세지를 수신하고, 링크를 선택하여 링크로 엑세스한 후 상기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호(Call)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음성발화한 광고 키워드를 인식하는 인식부, 상기 광고 키워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광고 콘텐츠의 링크를 삽입하여 메세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광고 콘텐츠의 링크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광고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출력되도록 한 이후에, 상기 광고 키워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지난(Previous) 광고 콘텐츠의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리스트는, 상기 출력에 의해 보는 광고 콘텐츠가 A 브랜드의 B 기기에 대한 광고 콘텐츠인 경우, 상기 A 브랜드의 B 기기에 대한 최신 광고부터 상기 최신 광고를 기준으로 한 그 이전 광고가 포함된 리스트이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광고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도록 할 때 상기 광고 콘텐츠가 출력되는 페이지 내에 좋아요 아이콘, 싫어요 아이콘, 공유 아이콘, 댓글 아이콘, 이벤트참여 아이콘 및 광고개선의견 아이콘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출력하고, 출력된 상기 광고 콘텐츠에 대한 광고효과를 분석하되,
    상기 광고효과의 분석은, 댓글의 분석을 위해 가짜 댓글을 삭제하는 전처리의 수행 및 댓글 분석의 수행을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처리의 수행시, 의견 스팸의 제거를 위해 LSTM(Long Short-Term Memory)을 이용하여 가짜 댓글을 생성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학습하고,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출력과 유사한 댓글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전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인 가짜 댓글 생성 모델은, 웹 크롤링을 통해 얻은 댓글 말뭉치를 LSTM 모델에 학습시키되, 학습 이후 댓글의 품질 개선을 위해 특정 단어를 대체하는 단어 대체 과정을 추가로 수행하며,
    상기 단어 대체 과정은, Word2Vec 모델에 LSTM 모델에서 생성된 댓글 말뭉치를 학습시키고, 학습된 Word2Vec 모델을 이용해 키워드와 비슷한 단어 뭉치를 획득하되, 상기 획득된 단어 뭉치가 오타일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메타데이터에서 얻은 말뭉치와 대체 단어인 상기 획득된 단어 뭉치를 비교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유사도를 보이는 상기 획득된 단어 뭉치를 상기 Word2Vec 모델에서 최초 학습된 LSTM 모델에서 생성된 댓글 말뭉치 내 상기 특정 단어에 대응하는 단어 자리에 대체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가짜 댓글 생성 모델에 의해 생성된 댓글의 학습을 토대로 상기 광고 콘텐츠에 달린 댓글이 실제 댓글인지, 의견 스패머에 의한 가짜 댓글인지, 봇에 의해 만들어진 가짜 댓글인지의 판별이 가능하고, 상기 의견 스패머 또는 봇에 의해 만들어진 가짜 댓글을 삭제하는 전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실제 고객의 댓글에 대한 상기 댓글 분석을 수행하고,
    상기 댓글 분석의 수행시, 수집된 댓글 텍스트의 처리를 위해 한국어 처리 공개 소프트웨어인 Python 기반의 KoNLPy를 이용하고, KoNLPy의 태거(Tagger)를 이용하여 모든 단어를 형태소로 변형한 후, Python 기반 공개소프트웨어인 gensim을 이용하여 임베딩으로 변환하되 Skip-Gram 방식의 임베딩을 이용하고,
    이후 댓글에 포함된 언어심리학적 변수들과 댓글에 대한 반응 간의 관계 분석을 위해 회귀 분석을 수행하되, 상기 회귀 분석의 수행시 언어심리학적 변수인 사회적 어휘와 인지적 어휘, 감정분석에서 활용되는 감정 어휘 및 임베딩 기반의 주제별 어휘를 사용하고, 상기 사회적 어휘, 상기 인지적 어휘 및 상기 감정 어휘의 경우 LIWC(Linguistic Inquiry and Word Count)를 바탕으로 제작된 한국어 분석 도구인 HLIWC를 이용하여 추출된 값을 이용하며, 이후 상기 임베딩의 벡터를 이용하여 댓글의 각 어휘들과 광고 콘텐츠의 주제어와의 코사인 기반의 유사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유사도 값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각 주제 범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고려하여 상기 어휘들의 유사도 합을 각 댓글의 주제를 대표하는 변수로 이용하되, 종속변수로는 댓글에 대한 반응으로서 좋아요 수, 싫어요 수, 및 좋아요 수와 싫어요 수의 합계 값을 포함한 세 가지 값을 이용하고, 통제 변수로는 전체 어절 수, 광고 콘텐츠에 대한 긍정 혹은 부정의 반응 수, 댓글 작성 시간과 광고 콘텐츠 업로드 시간 간의 차이 값을 이용하며,
    상기 댓글 분석의 완료 후 광고효과의 분석을 수행하되, 댓글 내에 이모티콘과 비속어가 포함되어 있음을 고려하여 댓글에서 사용되는 이모티콘에 감성 값을 주어 분류한 이모티콘 리스트(Emoticon List)를 구축하여 감성 분석(Sentiment Analysis)을 진행하고, 비속어 해석을 통해 감성사전을 구축하되,
    상기 비속어의 해석을 위해 댓글 문장들을 학습하여 문장 내에서 유사 관계에 있는 단어들을 찾아내는 word2vec 알고리즘을 이용하고, 감성사전에서 단어, 품사 긍정확률, 부정확률, 중립확률을 계산하고, 댓글 데이터를 수집하고 댓글 문장의 단어 품사를 분석하고, 전처리한 댓글들을 word2vec모델에 적용하여 학습시키며, 댓글의 단어 중 비속어를 학습된 모델에 넣어 유의어를 분석하고, 유의어의 분석 결과로 나온 단어 중 유사도가 높은 상위 N 개의 단어를 추출하며, 저장된 단어 중 감성사전에 있는 단어들의 감성 값을 적용하여 비속어의 감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비속어를 비속어 사전에 추가하는 과정을 통해 비속어를 해석하고 비속어 사전을 구축하고,
    상기 광고 콘텐츠는, 광고 다시보기 외에 제품 구매하기, 이벤트 참여하기, 할인쿠폰 받기, 창업자료 받기, 애플리케이션 설치하기, 영화 예매하기 및 설문조사 참여하기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실행하기 위한 콘텐츠로 대체가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메세지에 삽입된 링크로 엑세스를 하는 경우,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사이트, 이벤트 참여 페이지, 할인쿠폰을 받을 수 있는 페이지, 창업자료를 받을 수 있는 페이지,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페이지, 영화를 예매할 수 있는 페이지, 설문조사에 참여할 수 있는 페이지 각각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것인,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10014318A 2021-02-01 2021-02-01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95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318A KR102595058B1 (ko) 2021-02-01 2021-02-01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318A KR102595058B1 (ko) 2021-02-01 2021-02-01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103A KR20220111103A (ko) 2022-08-09
KR102595058B1 true KR102595058B1 (ko) 2023-10-27

Family

ID=82844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318A KR102595058B1 (ko) 2021-02-01 2021-02-01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058B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7045A (ko) * 2000-12-30 2002-07-11 구자홍 음성 인식을 이용한 이동 무선 단말기의 인터넷 검색 방법
KR20040024344A (ko) * 2002-09-13 2004-03-20 한경구 기획된 전화번호를 이용한 피피엘 시스템 및 방법
KR20090116508A (ko) * 2008-05-07 2009-11-11 주식회사 케이티 동영상 객체의 키워드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597248B1 (ko) * 2011-06-15 2016-02-25 네이버 주식회사 VoIP 기반 음성 통화 시 음성 인식을 이용한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448228B1 (ko) * 2013-02-12 2014-10-10 이주양 소셜 데이터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200097429A (ko) * 2019-02-08 2020-08-19 주식회사 열일하는사람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00115976A (ko) * 2019-03-30 2020-10-08 이상윤 인터넷 소셜 플랫폼 웹사이트 댓글창의 광고연동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103A (ko) 202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1160B2 (en) Automatic generation of statement-response sets from conversational text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US10832008B2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transforming and providing domain specific chatbot responses
KR20160055930A (ko) 연속적인 소셜 커뮤니케이션에 사용되는 콘텐츠를 능동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Squires Twitter: Design, discourse, and the implications of public text
US8060390B1 (en) Computer based method for generating representative questions from an audience
US20120259891A1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analytics data delivering
US106211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screening social media content
US9710436B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modified website
US20100086107A1 (en) Voice-Recognition Based Advertising
KR20080091822A (ko) 휴먼 검색자들을 이용한 스케일러블 검색 시스템
KR102155342B1 (ko) 다중파라미터 분석 기반 인플루언서 매칭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08052449A (ja) 対話型エージェントシステム及び方法
Balasudarsun et al. Optimal ways for companies to use Facebook Messenger Chatbot as a Marketing Communication Channel
US1156201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ments to user experience testing
US20100318427A1 (en) Enhancing database management by search, personal search, advertising, and databases analysis efficiently using core-set implementations
KR102378238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광고주 및 1인 마케터 매칭 시스템
CN109313649B (zh) 用于聊天机器人的基于语音的知识共享的方法和装置
CN113111264B (zh) 界面内容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5726359B1 (ja) テレビ番組関連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および提供方法
US20180315092A1 (en) Server For Providing Internet Conten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ing Implemented Internet Content Providing Method
JP2016059028A (ja) テレビ番組関連コンテンツ提供方法
US10657957B1 (en) Real-time voice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KR102595058B1 (ko) 광고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80005793A (ko) 실시간 방송참여를 위한 폰페이지 및 홈페이지간 연동시스템 및 방법
JP2017182527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