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026B1 - 오토리턴 기능이 내장된 간편 조립식 스툴테이블 - Google Patents

오토리턴 기능이 내장된 간편 조립식 스툴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026B1
KR102595026B1 KR1020230072305A KR20230072305A KR102595026B1 KR 102595026 B1 KR102595026 B1 KR 102595026B1 KR 1020230072305 A KR1020230072305 A KR 1020230072305A KR 20230072305 A KR20230072305 A KR 20230072305A KR 102595026 B1 KR102595026 B1 KR 102595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support
built
frame
retur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2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프
Priority to KR1020230072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0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2Tables combined with seats
    • A47B83/021Tables combined with seats with seats stowable beneath table top
    • A47B83/0213Tables combined with seats with seats stowable beneath table top by pivotal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2Tables combined with seats
    • A47B83/024Tables combined with seats having opposed benches without backs, e.g. of the picnic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8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 A47C3/185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self-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29Dowels
    • A47B2230/0037Dowels or dowel-pin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석을 위해 회전 인출된 의자가 설정 탄성에 의해 제 위치로 즉시 복귀되는 메커니즘을 적용함에 있어 기존 대비 개선된 방식과 구조로 채용됨에 따라 전반적인 테이블의 운용 효율성이 향상됨은 물론, 제반 구성의 간소화로 인해 취급 및 사용과 유지 보수의 측면에서 크나큰 이점이 발휘되고, 의자의 회동 움직임을 보다 정밀 정확하게 제어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용 후 별도의 정리 과정 없이도 사용자에게 편의성이 제공될뿐 아니라 오토리턴에 관여하는 모든 구동품이 외부 노출되지 않고 내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방수성을 발휘함에 따라 부식의 위험이나 이물질의 끼임이 적극 예방되는 오토리턴 기능이 내장된 간편 조립식 스툴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상판(1);과, 상판을 지지한 상태로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대(2); 및 의자(3a)를 포함하고, 지지대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착석을 허용 내지 차단하는 체어부(3);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어부(3)는 지지대(2)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리턴유닛(10);과, 직각으로 절곡되어 일측은 리턴유닛에 삽입 설치되며 타측은 리턴유닛으로부터 상판에 이르도록 연장되어 의자(3a)가 설치되는 연결대(20);로 구성되며, 상기 리턴유닛은 착석자에 의해 지지대 상에서 회전된 의자를 상판으로부터 이격 유도하여 상판과 의자 사이에 확보된 공간으로 착석자의 진입을 허용하고, 착석자의 이탈 시 내장 설치된 코일의 복원력으로 회전된 연결대와 의자를 연계적으로 원위치시키는 형태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오토리턴 기능이 내장된 간편 조립식 스툴테이블{A Stool table}
본 발명은 스툴테이블의 기술사상에 관하여 개시되고, 더욱 상세하게는 착석을 위해 회전 인출된 의자가 설정 탄성에 의해 제 위치로 즉시 복귀되는 메커니즘을 적용함에 있어 기존 대비 개선된 방식과 구조로 채용됨에 따라 전반적인 테이블의 운용 효율성이 향상됨은 물론, 제반 구성의 간소화로 인해 취급 및 사용과 유지 보수의 측면에서 크나큰 이점이 발휘되고, 의자의 회동 움직임을 보다 정밀 정확하게 제어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용 후 별도의 정리 과정 없이도 사용자에게 편의성이 제공될 뿐 아니라 오토리턴에 관여하는 모든 구동품이 외부 노출되지 않고 내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방수성을 발휘함에 따라 부식의 위험이나 이물질의 끼임이 차단되면서 안전사고의 위험으로부터도 적극 예방되는 오토리턴 기능이 내장된 간편 조립식 스툴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학교나 기업의 급식소, 휴게소 구내식당 등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사용하고, 사용 후 의자의 정돈이 용이하도록 테이블에 의자가 일체로 연결된 스툴테이블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스툴테이블은 상판;과, 상판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프레임 상에서 외자를 회전되게 하는 회전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회전체를 기준으로 의자를 회전시켜 프레임 상에서 의자를 인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착석을 허용하고, 회전체를 기준으로 의자를 회전시켜 프레임 상으로 의자를 인입함으로써 의자가 정리되는 구조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스툴테이블은 회전체에 코일 등을 내장하여 인출된 의자를 자동으로 원위치로 복귀되게 한다.
일례로 등록특허공보 제10-2147942호 "오토리턴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스툴테이블"이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테이블의 일측 프레임에 제1하우징이 회전가능하게 연결설치되는 프레임로드;와, 프레임 로드의 제2하우징 하측에 고정설치되는 프레임 하부캡;과, 프레임 로드의 제2하우징의 상측에 고정설치되고 하향 개방된 돌기 가이드홈 내에 가이드레일이 구비된 프레임 상부캡;과, 프레임 상부캡과 프레임 하부캡을 관통하여 승하강되도록 좌판 지지대가 설치되고 좌판 지지대 상부에 좌판이 일체로 연결 설치된 의자;와, 프레임 상부캡과 프레임 하부캡 사이에 위치하도록 좌판지지대에 고정설치되는 스프링 부시;와, 스프링 부시와 제2하우징의 지지플레이트에 상/하단이 접촉 및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과, 프레임 상부캡의 돌기가이드홈내에 위치하도록 좌판지지대에 돌출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 돌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술은 테이블 내측으로 의자가 인입될 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좌판지지대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좌판지지대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돌기가 프레임 상부캡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어 좌판이 일정 상태로 자동 정렬되면서 의자의 인입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상기 스툴테이블의 다른 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94174호 "회전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식 스툴 테이블"이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테이블과 의자 사이에 설치된 회전절첩부재에 의해 의자를 테이블 안쪽에서 꺼내어 사용한 다음 자동으로 테이블 안쪽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고, 청소 작업 시 의자를 일정각도 이상 회전하여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청소 작업을 마치고 원터치 방식으로 의자를 간편하게 테이블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이 기존의 스툴테이블은 사용자의 편의와 주변 공간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회전 기능을 부여하였고, 사용 후에는 별도의 조작없이도 자동으로 복귀하여 관리와 보관을 편리하게 하는 오토리턴 기능을 부여하였다.
이러한 오토리턴은 회전축의 외주연 상에 코일이 스프링 형태로 권취되어 있고, 이러한 형태는 의자를 회전시킬수록 스프링이 코일을 조이거나 권취 부위가 풀리기 때문에 회전 범위에 제약이 있으며, 결과적으로 의자를 과도하게 회전시킬수록 스프링이 훼손되어 짧은 시간에 오토리턴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의자의 회전 범위를 확장시켜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가 부담없이 이용 가능하게 하고, 더불어 오토리턴 기능을 장시간 유지되게 하여 스툴테이블의 수명을 장기화시킬 수 있는 기능성 스툴테이블의 개발이 절실하다.
등록특허공보 제10-2147942호 "오토리턴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스툴테이블"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94174호 "회전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식 스툴 테이블"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기존에 고정식으로 일관되던 스툴테이블의 구조를 회전식으로 개선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하고, 나아가 제반 구조의 개선에 기인하여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가 부담없이 이용할 수 있는 기능성 스툴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 주된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부품 수의 간소화와 구조의 단조로움을 통해 비전문가도 쉽게 스툴테이블을 조립하거나 해체할 수 있는 조립식 스툴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 방향과 회전 범위를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 후에는 회전된 의자가 원위치로 자동 복귀될 수 있는 오토리턴 기능이 부여된 스툴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오토리턴 기능이 내장된 간편 조립식 스툴테이블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스툴테이블(100)은 상판(1);과, 상판을 지지한 상태로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대(2); 및 의자(3a)를 포함하고, 지지대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착석을 허용 내지 차단하는 체어부(3);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어부(3)는 지지대(2)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리턴유닛(10);과, 직각으로 절곡되어 일측은 리턴유닛에 삽입 설치되며 타측은 리턴유닛으로부터 상판에 이르도록 연장되어 의자(3a)가 설치되는 연결대(20);로 구성되며, 상기 리턴유닛은 착석자에 의해 지지대 상에서 회전된 의자를 상판으로부터 이격 유도하여 상판과 의자 사이에 확보된 공간으로 착석자의 진입을 허용하고, 착석자의 이탈 시 내장 설치된 코일의 복원력으로 회전된 연결대와 의자를 연계적으로 원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턴유닛(10)은 지지대(2)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며,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연결대(20)의 수직 개입 및 상호 결합을 허용하는 입설대(11);와, 입설대에 끼움되어 바닥을 지지하는 지지캡(12);과, 지지캡 상단에 적층된 상태로 입설대에 고정 설치되는 수용체(13);와, 권취된 상태로 수용체에 내장 설치되는 코일(14);과, 입설대에 내장된 상태로 수용체 상단에 적층되고, 저부는 코일이 끼움되며, 상부는 연결대가 결합하여 회전 시 코일의 권취력을 연결대로 전달하는 어뎁터(15);와, 입설대 상부에 끼움되어 연결대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는 연결캡(16);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용체(13)는 내부 일측에 수직 설치되는 안내핀(13-1)을 포함하고, 상기 어뎁터(15)는 외주면에 설정 깊이와 설정 범위의 홈(15-1a)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되, 홈에 안내핀(13-1)이 개재되어 홈의 범위 내에서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어뎁터(15)는 수용체(13)에 적층되며 측부에 홈(15-1a)이 구비된 회전체(15-1);와, 회전체의 저부에서 하향 돌출되어 수용체와 결합하고, 결합된 위치를 중심으로 회전체의 회전을 도모하는 돌출부(15-2);와, 회전체 상부에서 상향 돌출되어 연결대(20)의 결합 유도 및 회전 움직임을 돌출부로 전달하는 연결부(15-3);와, 돌출부 상에서 수직 절개되어 코일(14)의 끼움을 허용하는 절개부(15-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대(20)는 리턴유닛(10)의 입설대(11)에 수직으로 끼움되는 원통형의 제1프레임(21-1) 및 제1프레임 상단에서 수평 연장되는 제2프레임(21-2)으로 구성되는 프레임(21);과, 프레임 하단에 끼움되어 리턴유닛의 어뎁터(15)와 결합하는 도킹캡(22);과, 제1프레임 상단에 끼움되어 프레임과 입설대의 결합 부위를 마감하는 앤드캡(2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21-1)은 리턴유닛(10)에 수직 개입 시 연결캡(16)과의 걸림을 유도하여 상호 간편 결합에 기여하는 쐐기 형상의 원터치식 돌기(21-1a)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판(1)은 저부에 다수의 결합핀(1-1)이 하향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2)는 결합핀과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홀(2-1)이 구비되어 상판의 결합핀을 결합홀에 끼움 내지 탈거하는 행위만으로 조립과 해체가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결합핀에 의하여 상판과 지지대를 간편하게 설치 내지 해체할 수 있으므로, 설치나 해체를 위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치 않아 인건 비용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석을 위해 테이블로부터 회전 및 인출된 의자가 착석자의 이탈 시 리턴유닛에 의해 자동으로 원위치 복귀하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단조롭과 부품 수가 적으며, 대부분 원터치식 결합방식을 채용하였기 때문에 조립과 설치가 매우 편리하고, 추후 파손 시 수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향에 기여하는 모든 부품들이 하우징에 완벽히 내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방수성을 발휘함에 따라 급식실 내지 식당 등 주변 장소로부터 물의 유입 차단 및 이로 인한 부식이 적극 방지되고, 외부 이물질이 끼는 문제뿐 아니라 신체 부위가 의도치 않게 끼이는 안전사고가 원천적으로 예방되므로 유지와 관리 및 보수 등이 극히 용이한 이점을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오토리턴 기능이 내장된 스툴테이블의 체어부 사시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리턴유닛의 결합 관계를 통해 상세한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리턴유닛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조향유닛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스툴테이블의 결합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테이블과 의자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공간 확보에 탁월하고, 정돈이 용이한 스툴테이블에 관하여 개시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착석을 위해 회전 인출된 의자가 설정 탄성에 의해 제 위치로 즉시 복귀되는 메커니즘을 적용함에 있어 기존 대비 개선된 방식과 구조로 채용됨에 따라 전반적인 테이블의 운용 효율성이 향상됨은 물론, 제반 구성의 간소화로 인해 취급 및 사용과 유지 보수의 측면에서 크나큰 이점이 발휘되고, 의자의 회동 움직임을 보다 정밀 정확하게 제어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용 후 별도의 정리 과정 없이도 사용자에게 편의성이 제공될뿐 아니라 오토리턴에 관여하는 모든 구동품이 외부 노출되지 않고 내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방수성을 발휘함에 따라 부식의 위험이나 이물질의 끼임이 적극 예방되는 오토리턴 기능이 내장된 간편 조립식 스툴테이블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오토리턴 기능이 내장된 스툴테이블의 체어부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리턴유닛의 결합 관계를 통해 상세한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리턴유닛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조향유닛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스툴테이블의 결합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본 발명의 스툴테이블(100)은 상판(1);과, 상판을 지지한 상태로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대(2);와, 의자(3a)를 포함하고, 지지대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착석을 허용 내지 차단하는 체어부(3);로 구성된다.
상기 상판(1)은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직사각형의 넉넉한 길이를 가지며, 원목이나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로 구성하여 시각적, 사용성, 내구성 등 다양한 목적을 충족한다.
상기 지지대(2)는 다수의 각관을 설정 형태로 연결 및 용접하여 이루어지는 테이블의 틀로써, 상판의 저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양측에서 연직하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상판을 지면으로부터 설정 높이 이격 배치시키는 수직프레임;과, 좌우 양측의 수직프레임 하단에 가로질러 배치되는 보강프레임;과, 보강프레임 상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되 보강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 배열되는 연장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2)는 철제로 구성하는 것이 내구성 면이나 무게감에 있어서 유리하나, 소재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고, 목재나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상판은 지지대의 지지프레임 상에 안착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상판을 지지대에 결부시키기 위해서는 상판에 천공을 내고, 지지프레임에 나사홀을 가공하며, 상판의 천공과 지지프레임의 나사홀을 동심원상에 배치한 후 볼트를 개입시켜 조립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기존의 테이블 조립방식은 상판을 천공하는 공정과 지지프레임에 나사홀을 가공하는 공정 및 상판의 천공과 지지프레임의 나사홀을 동심원상에 배치하는 작업과 볼트를 개입시켜 조립하는 작업 등 매우 번거롭고 복잡한 과정이 필요하였다. 더구나 상판의 천공과 지지프레임의 나사홀을 동심원상에 배치하는 작업은 작업자의 육안에 의해서 이루어졌기에 그날 작업자의 기준이나 컨디션에 따라 정확성에 많은 오류가 있었다. 이러한 오류는 볼트가 비스듬하게 개입되어 나사홀의 나사산을 훼손하거나 원목 상판의 경우 갈라짐 등의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판(1)의 저부에 다수의 결합핀(1-1)이 하향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2)는 결합핀과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홀(2-1)이 구비되어 상판의 결합핀을 결합홀에 끼움 내지 탈거하는 행위만으로 조립과 해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판을 관통시켜 홀을 가공하지 않기 때문에 상판의 훼손을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지지대(2)는 나사홀이 아닌 단순 드릴 홀로 이루어져 결합핀(1-1)이 비스듬하게 개입되더라도 나사산이 훼손될 일이 없고, 상판에 결합핀을 결합한 상태에서 결합핀의 위치와 안내를 받아 지지대의 결합홀에 쉽게 안착시켜 조립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조립의 편의성과 신속성, 내구성 등의 효과를 취할 수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체어부(3)는 지지대(2)의 보강프레임 양부에 각 1개소씩 설치되며, 상판(1)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체어부(3)는 지지대(2)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리턴유닛(10);과, 직각으로 절곡되어 일측은 리턴유닛에 삽입 설치되며 타측은 리턴유닛으로부터 상판에 이르도록 연장되는 연결대(20);로 구성되며, 더불어 의자가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대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장된 축과 회전편에 각각 형성된 경사면의 위치 선정에 기인하여 의자의 회전 방향과 회전 반경이 제어되는 조향유닛(30);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상기 리턴유닛(10)은 착석자에 의해 지지대(2) 상에서 회전된 의자(3a)를 상판(1)으로부터 이격 유도하여 상판과 의자 사이에 확보된 공간으로 착석자의 진입을 허용하고, 착석자의 이탈 시 내장 설치된 코일(14)의 복원력으로 회전된 연결대와 의자를 연계적으로 원위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리턴유닛(10)은 지지대(2)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며,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연결대(20)의 수직 개입 및 상호 결합을 허용하는 입설대(11);와, 입설대에 끼움되어 바닥을 지지하는 지지캡(12);과, 지지캡 상단에 적층된 상태로 입설대에 고정 설치되는 수용체(13);와, 권취된 상태로 수용체에 내장 설치되는 코일(14);과, 입설대에 내장된 상태로 수용체 상단에 적층되고, 저부는 코일이 끼움되며, 상부는 연결대가 결합하여 회전 시 코일의 권취력을 연결대로 전달하는 어뎁터(15);와, 입설대 상부에 끼움되어 연결대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는 연결캡(16);으로 구분 구성된다.
상기 입설대(11)는 지지대(2)의 보강프레임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가 빈 원통형의 관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측으로는 지면을 지지하고, 상측으로는 연결대(20)의 수직 개입을 허용한다.
상기 지지캡(12)는 고무나 실리콘 또는 플라스틱 소재 등으로 이루어져 완충, 논슬립, 끌림에 의한 소음방지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수용체(13)는 상부가 개방된 원형의 함체로 이루어져 지지캡(12) 상에 적층 안착되며, 저부가 지지캡에 지지된 상태에서 입설대(11)의 내부공간에 삽입된다. 상기 수용체(13)는 외면에 소정의 고정돌기(13-2)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입설대(11)는 고정돌기와 대응하는 형상의 고정홈(11-1)이 형성되어 있어 상호 끼움에 기인하여 수용체가 입설대 내에서 회전하지 못하고 고정된다.
상기 수용체(13)는 내부 바닥면에 설정 직경과 설정 깊이로 함몰된 공간이 구비되어 있고, 해당 함몰 공간에 앞서 언급한 코일이 개입 설치된다.
상기 코일(14)은 설정 길이의 박판을 스파이럴 형상으로 권취한 것으로, 이렇게 권취된 상태의 코일을 수용체(13)의 함몰 공간에 설치한다. 상기 코일(14)은 일측 단부가 권취 과정에서 코일의 중심부에 위치하게 되고, 타측 단부는 코일의 외곽에 위치하게 되는데, 중심부에 위치한 단부는 어뎁터(15)에 끼움되고, 외곽에 위치한 단부는 수용체(13)에 끼움된다.
따라서, 어뎁터(15)가 회전할 때마다 코일(14)은 수용체(13) 상에서 점차 권취되어 응축력이 발생하고, 어뎁터에 회전력이 제거되면 응축되었던 코일이 원상복구되면서 어뎁터를 최초 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상기 어뎁터(15)는 수용체(13)에 적층되며 측부에 홈(15-1a)이 구비된 회전체(15-1);와, 회전체의 저부에서 하향 돌출되어 수용체와 결합하고, 결합된 위치를 중심으로 회전체의 회전을 도모하는 돌출부(15-2);와, 회전체 상부에서 상향 돌출되어 연결대(20)의 결합 유도 및 회전 움직임을 돌출부로 전달하는 연결부(15-3);와, 돌출부 상에서 수직 절개되어 코일(14)의 끼움을 허용하는 절개부(15-4);로 구분 구성된다.
상기 회전체(15-1)는 원형 블록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수용체(13)의 내경과 일대일 대응하는 외경으로 이루어져 수용체 내에서 밀접하게 배치되어 정밀하게 회전한다.
상기 돌출부(15-2)는 코일(14)과 수용체(13)의 중심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지지캡(12)의 중심부에 결부되며, 원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져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돌출부(15-2) 상에는 수직 방향으로 절개부(15-4)가 형성되어 코일(14)의 중심부를 관통할 때 코일의 중심부에 위치한 단부가 끼움되게 된다. 이에 따라 어뎁터(15)가 회전할 때마다 절개부(15-4)에 끼움된 코일(14)이 회전력을 인계받아 응축이 이루어지고, 어뎁터에 회전력이 제거되면 응축된 코일이 복원되면서 어뎁터의 원래 위치로 복귀 유도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15-3)는 회전체(15-1)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된 부위를 말하는 것으로, 형태는 사각형의 돌기로 이루어진다. 사각형의 돌기는 아래 후술할 연결대(20)와 결합되며, 연결대는 어뎁터(15)의 연결부(15-3)와 대응하는 사각형의 홈으로 이루어져 상호 끼움 결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각형의 연결부(15-3)가 연결대(20)의 회전력을 어뎁터(15)로 고스란히 전달한다.
한편, 상기 수용체(13)는 내부 일측에 수직 설치되는 안내핀(13-1)을 포함하고, 상기 어뎁터(15)는 외주면에 설정 깊이와 설정 범위의 홈(15-1a)이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안내핀(13-1)은 어뎁터(15)의 홈(15-1a)에 개재되며, 어뎁터는 안내핀(13-1)에 의해 홈의 범위만큼만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리턴유닛(10)은 안내핀(13-1)과 홈(15-1a)의 단순 조합만으로도 과도한 회전이 방지되어 스툴테이블(100)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대(20)는 리턴유닛(10)의 입설대(11)에 수직으로 끼움되는 원통형의 제1프레임(21-1) 및 제1프레임 상단에서 수평 연장되는 제2프레임(21-2)으로 구성되는 프레임(21);과, 프레임 하단에 끼움되어 리턴유닛의 어뎁터(15)와 결합하는 도킹캡(22);과, 제1프레임 상단에 끼움되어 프레임과 입설대의 결합 부위를 마감하는 앤드캡(23);으로 구분 구성된다.
상기 제1프레임(21-1)은 연결대(20) 상에서 수직 부위를 말하며,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리턴유닛(10)의 입설대(11) 내부로 삽입 설치된다. 상기 제1프레임(21-1)은 입설대(11)의 내경과 일대일 대응하는 직경으로 이루어져 서로 밀착된 상태로 정밀한 회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프레임(21-1)은 외주면에 돌기(21-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21-1a)는 저부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노출되는 쐐기 형태를 가진다. 상기 제1프레임(21-1)은 입설대(11)에 수직 개입 시 연결캡(16)의 내경에 의해 돌기가(21-1a) 가압된 상태로 입설대에 진입하게 되고, 연결캡을 벗어나 입설대에 도달하게 되면 가압된 돌기가 원상복구되면서 연결캡의 하단에 걸림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1프레임(21-1)은 돌기(21-1a)에 의해 입설대(11)와 원터치 방식으로 조립 내지 해체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21-1)은 하단에 도킹캡(22)이 설치된다.
상기 도킹캡(22)은 제1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며, 도킹캡의 외주면에 돌기가 구비되고 제1프레임에는 돌기와 대응하는 절개홈이 구비되어 상호 끼움 결합에 의해 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제1프레임에 체결된다.
상기 도킹캡(22)은 저부에 사각홈(2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사각홈은 앞에 언급한 어뎁터(15)의 연결부(15-3)가 결합되는 홈을 의미한다.
상기 앤드캡(23)은 연결대(20)의 직각 부위를 포위하며, 고무 또는 실리콘,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스툴테이블(100) 사용자나 그 주변 보행자들이 연결대의 직각 부위에 부딪혀 상처입는 것을 소정 완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조향유닛(30)은 연결대(20)의 제2프레임(21-2) 상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원형 관체 형상의 하우징(31);과, 하우징 상에 수직 개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측에 의자(3a)가 결합되는 커버체(32);와, 하우징에 내장된 회전축(32-3)과 승강블록(33-1)에 각 형성된 경사홈(32-3a) 및 경사편(33-1b)의 상호 위치 선정에 기인하여 의자의 회전 방향과 회전 반경을 제어하는 구동부(33);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하우징(31)은 내부에 수용관체(33-4)가 삽입되며, 하우징과 수용관체는 서로 밀착된 상태로 중첩 설치된다. 상기 수용관체(33-4)는 상단 외주면에 돌기가 구비되고 하우징 상단에는 돌기와 대응하는 절개홈이 구비되어 상호 끼움 결합에 의해 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체결된다.
상기 수용관체(33-4)는 일측에 수직으로 절개된 절개홈(33-4a)이 형성되고, 이 절개홈(33-4a)에는 아래 후술할 승강블록(33-1)의 돌출부(33-1c)가 개재되며, 상기 승강블록(33-1)은 교합된 회전축(32-3)이 회전력을 제공하더라도 절개홈에 돌출부가 구속되어 승강블록이 회전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커버체(32)는 의자(3a)가 적층 결합되는 평판(32-1);과, 평판 저부에서 원통형으로 하향 돌출되어 구동부(33)를 수용하는 수용부(32-2);와, 평판에 결합하여 연직하방으로 배치되며, 외주면 일측에 '시옷'자 형태의 경사홈(32-3a)이 구비된 회전축(3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수용부(32-2)는 일측이 수평 절개되어 구동부(33)의 걸림을 유도함에 따라 구동부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는 안내홈(32-2a)이 더 포함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평판(32-1)은 설정 두께로 이루어진 정사각형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그 넓이는 의자(3a)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되며, 평판과 의자는 나사나 피스 등을 매개로 상호 결합된다.
상기 수용부(32-2)는 평판 저부에서 원통형으로 하향 돌출된 부위를 말하며, 수용관체(33-4)의 내경과 일대일 대응하는 직경을 가진다. 상기 수용부(32-2)는 하우징(31) 내부에 중첩 설치된 수용관체(33-4)의 내부공간으로 수직 개입이 이루어져 하우징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축(32-3)에 의하여 하우징에 체결된다.
상기 구동부(33)는 회전축(32-3)에 관통되어 중첩 결부되며, 외주면 일측에 회전축의 경사홈(32-3a)과 대응하는 경사편(33-1b)이 구비되어 경사홈의 안내를 받아 승하강하는 승강블록(33-1);과, 승강블록 하단에 배치되어 하강된 승강블록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33-2);과, 회전축의 하단에 체결되어 승강블록과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편(33-3);으로 구분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33)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회전축(32-3)은 설정 길이의 축으로 이루어졌으며, 하우징(31)과 커버체(32) 사이에 수직 개재되어 상측은 커버체의 평판(32-1)과 너트를 매개로 결합되고, 하측은 지지편(33-3)과 너트를 매개로 결합된다. 예컨대 지지편(33-3)은 수용관체(33-4)에 비해 확장된 직경으로 이루어져 수용관체의 저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회전축(32-3) 상측의 너트나 회전축 하측의 너트를 조일수록 커버체(32)의 평판(32-1)과 지지편(33-3)이 수용관체(33-4)의 상부와 하부를 압박하여 견고하게 조립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상기 승강블록(33-1)은 도넛 형태로 이루어져 회전축(32-3)에 끼움된 상태로 수용부(32-2) 내부에 배치되는 몸체(33-1a);와, 몸체의 상면에서 '시옷'자 형태로 상향 돌출되어 회전축의 경사홈(32-3a)에 치합되는 경사편(33-1b);과, 몸체의 일 측부에 돌출 형성되어 수용부의 안내홈(32-2a)에 배치됨에 따라 커버체(32)의 회전 반경을 제한되게 하는 돌출부(33-1c);로 구분 구성된다.
상기 승강블록(33-1)은 회전축(32-3)과 결합된 상태에서 돌출부(33-1c)가 커버체(32)의 수용부(32-2)에 형성된 안내홈(32-2a)에 의해 외부 노출되고, 이렇게 노출된 돌출부는 수용관체(33-4) 일측에 수직으로 절개된 절개홈(33-4a)에 개재되며, 상기 승강블록(33-1)은 교합된 회전축(32-3)이 회전력을 제공하더라도 절개홈에 돌출부가 구속되어 승강블록이 회전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자(3a)를 테이블로부터 인출하는 과정에서 의자가 회전하게 되면 커버체(32)와 회전축(32-3)이 동반 회전이 이루어지고, 회전축의 회전력 전달에도 승강블록은 절개홈(33-4a)에 의해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회전축은 승강블록의 중심부에서 회전하게 되며, 회전축이 승강블록 중심부에서 회전하면서 회전축의 경사홈(32-3a)을 따라 승강블록의 경사편(33-1b)이 맞물려 하강이 이루어진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블록(33-1)과 지지편(33-3) 사이에는 스프링(33-2)이 내장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은 승강블록이 경사홈(32-3a)과 경사편(33-1b)의 상호 조합에 의해 하강하면서 가압되어 응축력이 형성되고, 사용자가 의자로부터 이탈하여 회전력이 제거되며 응축되었던 스프링이 원상복구되면서 승강블록(33-1)을 밀어올리게 되고, 승강블록이 밀어올려지면서 경사편(33-1b)에 맞물린 경사홈(32-3a)에 의해 회전축(32-3)과 커버체(32) 및 의자의 방향이 최초의 상태로 원위치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스툴 테이블은 상판(1);과, 상판을 지지한 상태로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대(2); 및 의자(3a)를 포함하고, 지지대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착석을 허용 내지 차단하는 체어부(3);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어부(3)는 지지대(2)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리턴유닛(10);과, 직각으로 절곡되어 일측은 리턴유닛에 삽입 설치되며 타측은 리턴유닛으로부터 상판에 이르도록 연장되어 의자(3a)가 설치되는 연결대(20);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리턴유닛(10)은 착석자에 의해 지지대(2) 상에서 회전된 의자(3a)를 상판(1)으로부터 이격 유도하여 상판과 의자 사이에 확보된 공간으로 착석자의 진입을 허용하고, 착석자의 이탈 시 내장 설치된 코일(14)의 복원력으로 회전된 연결대(20)와 의자를 연계적으로 원위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리턴유닛(10)은 지지대(2)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며,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연결대(20)의 수직 개입 및 상호 결합을 허용하는 입설대(11);와, 입설대에 끼움되어 바닥을 지지하는 지지캡(12);과, 지지캡 상단에 적층된 상태로 입설대에 고정 설치되는 수용체(13);와, 권취된 상태로 수용체에 내장되고, 일 단부가 수용체에 구속되는 코일(14);과, 입설대에 내장된 상태로 수용체에 내장된 코일의 상부에 적층되고, 저부는 코일의 중심부로 진입하여 코일의 타 단부가 끼움되며, 상부는 연결대가 결합하여 연결대의 회전 시 코일의 감김과 풀림에 대한 권취력과 복원력에 의해 연결대의 회전 위치를 복귀 유도하는 어뎁터(15);와, 입설대 상부에 끼움되어 연결대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는 연결캡(16);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결합핀에 의하여 상판과 지지대를 간편하게 설치 내지 해체할 수 있으므로, 설치나 해체를 위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치 않아 인건 비용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착석을 위해 테이블로부터 회전 및 인출된 의자가 착석자의 이탈 시 리턴유닛에 의해 자동으로 원위치 복귀하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극대화 유도된다. 또한, 조향유닛에 의해 의자가 상시 정면을 향한 상태로 회전하기 때문에 착석을 위한 구동이나 조작에 소모되는 힘을 적극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구조가 단조롭과 부품 수가 적으며, 대부분 원터치식 결합방식을 채용하였기 때문에 조립과 설치가 매우 편리하고, 추후 파손 시 수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향에 기여하는 모든 부품들이 하우징에 완벽히 내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방수성을 발휘함에 따라 급식실 내지 식당 등 주변 장소로부터 물의 유입 차단 및 이로 인한 부식이 적극 방지되고, 외부 이물질이 끼는 문제뿐 아니라 신체 부위가 의도치 않게 끼이는 안전사고가 원천적으로 예방되므로 유지와 관리 및 보수 등이 극히 용이한 이점을 발휘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스툴테이블
1. 상판 2. 지지대
3. 체어부 10. 리턴유닛
20. 연결대 30. 조향유닛

Claims (7)

  1. 상판(1);과, 상판을 지지한 상태로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대(2); 및 의자(3a)를 포함하고, 지지대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착석을 허용 내지 차단하는 체어부(3);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어부(3)는 지지대(2)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리턴유닛(10);과, 직각으로 절곡되어 일측은 리턴유닛에 삽입 설치되며 타측은 리턴유닛으로부터 상판에 이르도록 연장되어 의자(3a)가 설치되는 연결대(20);로 구성되며, 상기 리턴유닛은 착석자에 의해 지지대 상에서 회전된 의자를 상판으로부터 이격 유도하여 상판과 의자 사이에 확보된 공간으로 착석자의 진입을 허용하고, 착석자의 이탈 시 내장 설치된 코일의 복원력으로 회전된 연결대와 의자를 연계적으로 원위치시키는 스툴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리턴유닛(10)은 지지대(2)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며,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연결대(20)의 수직 개입 및 상호 결합을 허용하는 입설대(11);와, 입설대에 끼움되어 바닥을 지지하는 지지캡(12);과, 지지캡 상단에 적층된 상태로 입설대에 고정 설치되는 수용체(13);와, 권취된 상태로 수용체에 내장되고, 일 단부가 수용체에 구속되는 코일(14);과, 입설대에 내장된 상태로 수용체에 내장된 코일의 상부에 적층되고, 저부는 코일의 중심부로 진입하여 코일의 타 단부가 끼움되며, 상부는 연결대가 결합하여 연결대의 회전 시 코일의 감김과 풀림에 대한 권취력과 복원력에 의해 연결대의 회전 위치를 복귀 유도하는 어뎁터(15);와, 입설대 상부에 끼움되어 연결대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는 연결캡(1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리턴 기능이 내장된 간편 조립식 스툴테이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13)는 내부 일측에 수직 설치되는 안내핀(13-1)을 포함하고,
    상기 어뎁터(15)는 외주면에 설정 깊이와 설정 범위의 홈(15-1a)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되, 홈에 안내핀(13-1)이 개재되어 홈의 범위 내에서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오토리턴 기능이 내장된 간편 조립식 스툴테이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뎁터(15)는,
    수용체(13)에 적층되며 측부에 홈(15-1a)이 구비된 회전체(15-1);
    회전체의 저부에서 하향 돌출되어 수용체와 결합하고, 결합된 위치를 중심으로 회전체의 회전을 도모하는 돌출부(15-2);
    회전체 상부에서 상향 돌출되어 연결대(20)의 결합 유도 및 회전 움직임을 돌출부로 전달하는 연결부(15-3);
    돌출부 상에서 수직 절개되어 코일(14)의 끼움을 허용하는 절개부(15-4);
    를 포함하는 오토리턴 기능이 내장된 간편 조립식 스툴테이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20)는,
    리턴유닛(10)의 입설대(11)에 수직으로 끼움되는 원통형의 제1프레임(21-1) 및 제1프레임 상단에서 수평 연장되는 제2프레임(21-2)으로 구성되는 프레임(21);
    프레임 하단에 끼움되어 리턴유닛의 어뎁터(15)와 결합하는 도킹캡(22);
    제1프레임 상단에 끼움되어 프레임과 입설대의 결합 부위를 마감하는 앤드캡(23);
    을 포함하는 오토리턴 기능이 내장된 간편 조립식 스툴테이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21-1)은 리턴유닛(10)에 수직 개입 시 연결캡(16)과의 걸림을 유도하여 상호 간편 결합에 기여하는 쐐기 형상의 원터치식 돌기(21-1a)를 포함하는 오토리턴 기능이 내장된 간편 조립식 스툴테이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은 저부에 다수의 결합핀(1-1)이 하향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2)는 결합핀과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홀(2-1)이 구비되어 상판의 결합핀을 결합홀에 끼움 내지 탈거하는 행위만으로 조립과 해체가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오토리턴 기능이 내장된 간편 조립식 스툴테이블.
KR1020230072305A 2023-06-05 2023-06-05 오토리턴 기능이 내장된 간편 조립식 스툴테이블 KR102595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2305A KR102595026B1 (ko) 2023-06-05 2023-06-05 오토리턴 기능이 내장된 간편 조립식 스툴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2305A KR102595026B1 (ko) 2023-06-05 2023-06-05 오토리턴 기능이 내장된 간편 조립식 스툴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5026B1 true KR102595026B1 (ko) 2023-10-30

Family

ID=88557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2305A KR102595026B1 (ko) 2023-06-05 2023-06-05 오토리턴 기능이 내장된 간편 조립식 스툴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02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784B1 (ko) * 2007-03-14 2008-02-21 조국환 의자 일체형 다용도 데스크
KR101187495B1 (ko) * 2012-03-09 2012-10-02 (주)대우가구 일체형 식탁
KR101578838B1 (ko) * 2015-05-19 2015-12-18 송춘식 절첩식 의자가 일체로 구비되는 테이블
KR20180094174A (ko) 2017-02-13 2018-08-23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회전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식 스툴 테이블
KR102147942B1 (ko) 2019-12-30 2020-08-25 (주) 파트라 오토리턴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스툴테이블
KR102422942B1 (ko) * 2022-02-08 2022-07-21 주식회사 이노프 홀더부재와 어뎁터에 의해 결합부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간편 조립형 테이블
KR102505710B1 (ko) * 2022-08-10 2023-03-06 주식회사 이노프 간편 조립형 테이블의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784B1 (ko) * 2007-03-14 2008-02-21 조국환 의자 일체형 다용도 데스크
KR101187495B1 (ko) * 2012-03-09 2012-10-02 (주)대우가구 일체형 식탁
KR101578838B1 (ko) * 2015-05-19 2015-12-18 송춘식 절첩식 의자가 일체로 구비되는 테이블
KR20180094174A (ko) 2017-02-13 2018-08-23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회전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식 스툴 테이블
KR102147942B1 (ko) 2019-12-30 2020-08-25 (주) 파트라 오토리턴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스툴테이블
KR102422942B1 (ko) * 2022-02-08 2022-07-21 주식회사 이노프 홀더부재와 어뎁터에 의해 결합부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간편 조립형 테이블
KR102505710B1 (ko) * 2022-08-10 2023-03-06 주식회사 이노프 간편 조립형 테이블의 체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279868B2 (en) Seating support system
KR102595026B1 (ko) 오토리턴 기능이 내장된 간편 조립식 스툴테이블
KR102595032B1 (ko) 착석 방향 제어 및 오토리턴 기능이 내장된 간편 조립식 스툴테이블
KR102107671B1 (ko) 높이 및 경사 조절식 맨홀
US4997165A (en) Safety rail for collapsible bleachers
US20070210294A1 (en) System for mounting a hollow post about a pipe
KR102569324B1 (ko) 착석 방향 제어 기능이 내장된 간편 조립식 스툴테이블
CN212078477U (zh) 装配式楼梯结构
US20060118682A1 (en) Furniture leg assembly
CN115198654A (zh) 一种钢结构桥梁施工方法
KR101379690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결합구조
KR102272103B1 (ko)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
KR101097928B1 (ko) 조립용 난간
CN209924397U (zh) 一种工地安全施工平台
KR102575860B1 (ko) 스툴테이블의 자동 정렬장치
KR101804252B1 (ko) 지반굴착기용 리더모듈
KR101546415B1 (ko) 기초공사용 강관 파일 절단장치
US4133398A (en) Collapsible spider for use in supporting casing during upward drilling operations
CN220298185U (zh) 一种气球拱门底座
AU2007201121B2 (en) A furniture leg assembly
US11598101B2 (en) Vehicle service pit
US6216997B1 (en) Tree stand
CN217439697U (zh) 一种便携式不锈钢铁马围栏
CN218990861U (zh) 一种施工吊篮
JP5081192B2 (ja) グレーチ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