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946B1 - 차량용 멀티미디어 및 스마트 기기 전원공급용 스마트 배터리 전원관리 모듈 - Google Patents

차량용 멀티미디어 및 스마트 기기 전원공급용 스마트 배터리 전원관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946B1
KR102594946B1 KR1020220042093A KR20220042093A KR102594946B1 KR 102594946 B1 KR102594946 B1 KR 102594946B1 KR 1020220042093 A KR1020220042093 A KR 1020220042093A KR 20220042093 A KR20220042093 A KR 20220042093A KR 102594946 B1 KR102594946 B1 KR 102594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wer
acc
inpu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2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43337A (ko
Inventor
이규영
Original Assignee
(주) 멀티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멀티패스 filed Critical (주) 멀티패스
Priority to KR1020220042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946B1/ko
Publication of KR20230143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3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62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ical power supply means, e.g. batte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60Electric Machine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61Arrangements of controllers for electric machines, e.g.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V2P에 외부기기를 연결할 때, ACC전원에서는 계속 사용하게 하나, B전원으로 사용할 때는 시동배터리 상태를 휴대단말로 전송하여 이용자가 시동배터리 상태를 확인하면서 외부 기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특히, V2P를 직접 시동배터리 측에 연결해서 사용하거나, 기존 전원모듈과 시동배터리 사이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호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표시항목으로 시동배터리의 현재 상태, 외부 기기의 연결 유무, 현재 소모전력, 현재 사용시간, 누적 사용 및 사용 가능 예상시간, 알림/알람 기능, V2P 모듈 동작 강제 ON/OFF, 축적된 사용 데이터 등을 확인할 수 있게 하여 휴대단말로 배터리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쉽게 확인하고 관리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멀티미디어 및 스마트 기기 전원공급용 스마트 배터리 전원관리 모듈{SMART BATTERY POWER MANAGEMENT MODULE FOR SUPPLYING POWER TO MULTIMEDIA AND SMART DEVICE OF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멀티미디어 및 스마트 기기 전원공급용 스마트 배터리 전원관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미디어 및 스마트 기기와 같은 외부 기기를 사용하려고 단자에 연결하면, ACC(Acessory) 모드 상태에서는 계속해서 전원을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시동배터리에서 직접 공급되는 B 전원을 사용할 때는 차량 시동에 지장을 주지 않을 정도로만 시동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이처럼 외부 기기에 B 전원을 공급할 때는 시동배터리의 상태를 휴대단말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바로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외부 기기 이용자는 시동배터리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안에서 멀티미디어나 스마트 기기와 같은 외부 기기를 사용하려면, [도 1]과 같은 전원모듈(M)에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원모듈(M)은 시동배터리(B)에서 직접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게 하거나, ACC(Accessory)를 통해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상기 전원모듈(M)은, [도 1]과 같이, 시동배터리(B) 전원을 직접 공급받은 마이콤의 제어로 ACC 단자가 ON 상태에 있을 때만 외부 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전원 연결이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DC-DC'는 직류를 교류로 변환한 다음 다시 정류하여 직류로 변압하는 변환기를, 마이콤(MCU)은 다른 모듈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게 하거나 암전류를 관리하는 통상의 기술로 이루어진 것이 사용된다.
이처럼 전원모듈을 통해 멀티미디어나 스마트 기기와 같은 외부 기기를 사용할 때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외부 기기를 사용하려면 항상 ACC 단자가 ON 상태에 있어야 한다.
(2) 이는, 때에 따라 화석연료를 사용하거나 하이브리드차처럼 엔진이 장착된 차량에서는 시동배터리 소모가 많아 엔진을 구동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3) 엔진 구동은 연료를 소비하게 되어 연비를 떨어뜨리는 한 가지 요인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차량이 주행하지 않을 때는 엔진에서 발생한 배기가스로 인해 주변을 오염시키거나 쾌적한 주변 환경을 해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3)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시동배터리에서 이러한 멀티미디어나 스마트 기기와 같은 외부 기기에 직접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4) 시동배터리의 전원 소모가 많아짐에 따라 엔진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확보하지 못해 필요할 때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5) 특히, 시동배터리의 상태, 즉 충전 상태나 사용할 수 있는 시간, 그리고 외부 기기의 사용 시간 등을 알 수 없음으로 외부 기기의 사용으로 시동배터리가 방전될 수도 있다.
(6) 이에, 동력 배터리의 전원을 시동배터리에 충전해야 하므로, 차량의 배터리 효율을 떨어뜨린다.
(7) 또한, 운전자는 시동배터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외부 기기를 사용하는데 언제까지 얼마나 사용할 수 있는지 알 수 없어 외부 기기를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시동배터리에 멀티미디어 및 스마트 기기와 같은 외부 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때, ACC 상태에서는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하나, 시동배터리에 직접 연결되어 사용할 때는 시동배터리 상태를 휴대단말로 전송하여 이용자가 시동배터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차량 시동에 방해되지 않게 하면서도 편리하게 외부 기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및 스마트 기기 전원공급용 스마트 배터리 전원관리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러한 스마트 배터리 전원관리 모듈을 직접 시동배터리 측에 연결해서 사용하거나, 기존 전원모듈과 시동배터리 사이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호환성을 높일 수 있게 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및 스마트 기기 전원공급용 스마트 배터리 전원관리 모듈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 표시되는 표시항목으로 시동배터리의 현재 상태, 외부 기기의 연결 유무, 현재 소모전력, 현재 사용시간, 누적 사용 및 사용가능 예상시간, 알림/알람 기능, V2P(Vehicle to Port) 모듈 동작 강제 ON/OFF, 충전단자의 충전상황, 각종 사용 데이터 축적 및 외부 클라우드 전송, 충전단자 및 V2P모듈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으로, 휴대단말로 배터리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쉽게 확인하고 관리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및 스마트 기기 전원공급용 스마트 배터리 전원관리 모듈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량용 멀티미디어 및 스마트 기기 전원공급용 스마트 배터리 전원관리 모듈(V2P, Vehicle to Port)은, 차량의 시동배터리(B)에 연결되어 상기 시동배터리(B)에서 직접 공급받는 B 전원과 차량의 ACC(Accessory)를 통해 공급받는 ACC 전원을 선택적으로 외부 기기에 공급하게 설치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및 스마트 기기 전원공급용 스마트 배터리 전원관리 모듈(V2P, Vehicle to Port)에서; 입력측과 출력측으로 나뉘되, 시동배터리(B)에서 ACC를 통해 공급받은 ACC 전원을 공급과 차단하게 입력측과 출력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구성된 입력측 ACC+단자와 출력측 ACC+단자, 시동배터리(B)에서 직접 공급받는 B 전원을 처리하도록 입력측과 출력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구성된 입력측 B+단자와 출력측 B+단자, 상기 입력측 ACC+단자로 ACC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 확인하기 위해 출력측과 입력측에 각각 구성된 입력측 CACC단자와 출력측 CACC단자, 입력측과 출력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구성된 입력측 GND 단자와 출력측 GND 단자, 입력측과 출력측에 각각 구성되어 작동 전원을 처리하는 입력측 VM+ 단자와 출력측 VM+ 단자, 입력측과 출력측에 각각 구성되어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입력측 CCHK 단자와 출력측 CCHK 단자, 입력측과 출력측에 각각 구성되어 슬립(Sleep) 해제하거나 상기 입력측 CCHK 단자와 출력측 CCHK 단자와 함께 시리얼 통신 단자로 활용되는 입력측 WU단자 및 출력측 WU단자, 및 입력측과 출력측에 각각 구성되어 입력측 CAN 단자와 출력측 CAN 단자를 포함하는 연결 단자(110); 상기 출력측 VM+단자로 외부에서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출력측 CCHK단자로 외부 장치에 연결 신호를 내보내고, 상기 입력측 ACC+단자로 공급된 ACC 전원과 상기 입력측 B+단자로 공급된 B 전원을 절환시켜 주는 스위칭수단(120); 상기 입력측 ACC+단자로 공급된 ACC 전원의 전압을 감지하는 ACC 전압 감지기(130); 상기 입력측 B+단자로 공급된 B 전원의 전압을 감지하는 B 전압 감지기(140); 상기 입력측 B+단자로 공급된 B 전원의 사용 전류를 감지하는 B 전류감지기(150); 및 상기 출력측 WU단자를 통해 슬립 해제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측 CAN단자를 통하여 차량의 발전기 또는 동력 배터리의 전원을 제어하는 LDC(Low voltage DC-DC Converter)를 통해 배터리(B) 충전을 모니터링하며, 휴대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근거리통신 모듈(161)을 갖춘 MCU(160);를 포함하되; 상기 MCU(160)는, 상기 입력측 B+단자로 입력된 B 전원을 공급받아 필요한 관리 전원으로 활용하는 제1단계(S10); 상기 ACC 전압 감지기(130)를 통해 시동배터리(B) 전원이 ACC를 거쳐 인가된 ACC 전원이 있는지 확인하며 대기하는 제2단계(S20); 상기 출력측 VM+ 단자를 통해 외부에서 상기 스위칭수단(120)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출력측 CCHK단자로 확인 신호 출력하여 상기 연결 단자(110)의 출력측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었는지 확인하고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2단계(S20)로 되돌아가는 제3단계(S30); 만일, 외부 기기가 연결되면, 상기 ACC 전압 감지기(130)로 ACC 전압이 검출되는지 확인하여 ACC 전압이 검출되면 이 ACC 전압으로 외부 기기를 이용하게 하는 제4단계(S40); 만일, ACC 전압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B 전압 감지기(140)로 검출된 전압이 정상 전압인 확인하여 정상 전압보다 낮으면 경고하게 하는 제5단계(S50); 만일, 상기 제5단계(S50)에서 정상 전압이면, 시동배터리(B)를 직접 외부 기기에 공급하게 하는 제6단계(S60); 이처럼 시동배터리(B)가 외부 기기에 공급되면, 상기 근거리통신 모듈(161)을 통해 휴대단말과 통신을 연결하게 하는 제7단계(S70); 상기 시동배터리 상태와 외부기기 연결 상태, 사용시간과 알람 그리고 상태 알림을 포함하는 휴대단말 표시 항목을 계산하는 제8단계(S80); 및 상기 휴대단말 표시항목을 상기 근거리통신 모듈(161)로 연결된 휴대단말로 송출하는 제9단계(S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차량용 멀티미디어 및 스마트 기기 전원공급용 스마트 배터리 전원관리 모듈(V2P, Vehicle to Port)은, 차량의 시동배터리(B)와, 상기 시동배터리(B)에서 직접 공급받는 B 전원과 차량의 ACC(Accessory)를 통해 공급받는 ACC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외부 기기를 사용하게 하는 차량의 전원모듈(M) 사이에 설치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및 스마트 기기 전원공급용 스마트 배터리 전원관리 모듈(V2P)에서; 입력측과 출력측으로 나뉘되, 시동배터리(B)에서 ACC를 통해 공급받은 ACC 전원을 공급과 차단하게 입력측과 출력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구성된 입력측 ACC+단자와 출력측 ACC+단자, 시동배터리(B)에서 직접 공급받는 B 전원을 처리하도록 입력측과 출력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구성된 입력측 B+단자와 출력측 B+단자, 상기 입력측 ACC+단자로 ACC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 확인하기 위해 출력측과 입력측에 각각 구성된 입력측 CACC단자와 출력측 CACC단자, 입력측과 출력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구성된 입력측 GND 단자와 출력측 GND 단자, 입력측과 출력측에 각각 구성되어 작동 전원을 처리하는 입력측 VM+ 단자와 출력측 VM+ 단자, 입력측과 출력측에 각각 구성되어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입력측 CCHK 단자와 출력측 CCHK 단자, 입력측과 출력측에 각각 구성되어 슬립(Sleep) 해제를 위한 입력측 WU단자 및 출력측 WU단자, 및 입력측과 출력측에 각각 구성되어 입력측 CAN 단자와 출력측 CAN 단자를 포함하는 연결 단자(110); 상기 출력측 VM+단자로 외부에서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출력측 CCHK단자로 외부 장치에 연결 신호를 내보내고, 상기 입력측 ACC+단자로 공급된 ACC 전원과 상기 입력측 B+단자로 공급된 B 전원을 절환시켜 주는 스위칭수단(120); 상기 입력측 ACC+단자로 공급된 ACC 전원의 전압을 감지하는 ACC 전압 감지기(130); 상기 입력측 B+단자로 공급된 B 전원의 전압을 감지하는 B 전압 감지기(140); 상기 입력측 B+단자로 공급된 B 전원의 사용 전류를 감지하는 B 전류감지기(150); 및 상기 출력측 WU단자를 통해 슬립 해제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측 CAN단자를 통하여 차량의 발전기 또는 동력 배터리의 전원을 제어하는 LDC(Low voltage DC-DC Converter)를 통해 배터리(B) 충전을 모니터링하며, 휴대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근거리통신 모듈(161)을 갖춘 MCU(160);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측 B+단자로 입력된 B 전원을 상기 출력측 B+단자를 통해 전원모듈(M)에 공급하여 필요한 관리 전원으로 사용하게 하는 제1단계(S100); 상기 출력측 ACC+단자를 통해 ACC 전원이 전원모듈(M)에 공급되는지 전원모듈(M)에서 모니터링하며 대기하는 제2단계(S200); 상기 전원모듈(M)에서 그 커넥터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었는지 확인하고, 외부 기기가 연결되지 않으면 상기 제2단계(S200)로 돌아가게 하는 제3단계(S300); 만일, 외부 기기가 연결되고, 상기 출력측 CACC단자 확인을 통해 상기 전원모듈(M)로 ACC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면, ACC 전원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를 사용하게 하는 제4단계(S400); 만일, 상기 전원모듈(M)에 ACC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전원모듈(M)에서 상기 출력측 VM+단자를 통해 V2P에 작동 전원을 공급하고, 작동 전원을 공급받은 V2P에서 출력측 CCHK 단자를 통해 연결 신호가 있는지 전원모듈(M)에서 확인한 다음, 상기 연결 신호가 없으면 상기 제2단계(S200)로 되돌아가게 하는 제5단계(S500); 만일, 상기 전원모듈(M)에서 상기 출력측 CCHK 단자의 연결 신호를 확인하면, 상기 출력측 WU단자를 통해 작동신호를 V2P로 전송하여 작동(WAKE UP)하게 하고 상기 근거리통신 모듈(161)을 통해 휴대단말과 통신하게 하는 제6단계(S600); 상기 B 전원의 전압을 확인하되, 만일 정상 전압이 아니면 휴대단말로 알람을 발령하게 하는 제7단계(S700); 만일 정상 압력이면 상기 스위칭수단(120)을 통해 B 전원으로 전환하게 하여 외부 기기에 공급하게 하는 제8단계(S800); 및 상기 시동배터리 상태와 외부기기 연결 상태, 사용시간과 알람 그리고 상태 알림을 포함하는 휴대단말 표시 항목을 계산하고 상기 휴대단말 표시항목을 상기 근거리통신 모듈(161)로 연결된 휴대단말로 송출하는 제9단계(S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휴대단말 표시항목은, 시동배터리의 현재 상태, 외부 기기의 연결 유무, 현재 소모전력, 현재 사용시간, 누적 사용 및 사용 가능 예상시간, 알림/알람 기능, 상기 V2P 모듈 동작 강제 ON/OFF, 충전단자의 충전상황, 각종 사용 데이터 축적 및 외부 클라우드 전송, 충전단자 및 V2P모듈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미디어 및 스마트 기기 전원공급용 스마트 배터리 전원관리 모듈(V2P, Vehicle to Port)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시동배터리에 멀티미디어 및 스마트 기기와 같은 외부 기기를 연결해서 사용할 때 ACC를 통해 인가된 ACC 전원을 사용할 때는 계속해서 사용하게 하고, 시동배터리에서 직접 인가된 B 전원을 사용할 때는 시동배터리 상태를 휴대단말로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외부 기기 이용자가 차량 시동에 필요한 시동배터리 상태를 쉽게 확인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2) 본 발명에 따른 전원관리 모듈을 시동배터리 측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시동배터리와 이 시동배터리에 연결되는 전원모듈 사이에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확장성을 높일 수 있다.
(3) 특히, 휴대단말로 전송되는 휴대단말 표시항목에는, 시동배터리의 현재 상태, 외부 기기의 연결 유무, 현재 소모전력, 현재 사용시간, 누적 사용 및 사용 가능 예상시간, 알림/알람 기능, 상기 V2P 모듈 동작 강제 ON/OFF, 충전단자의 충전상황, 각종 사용 데이터 축적 및 외부 클라우드 전송, 충전단자 및 V2P모듈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게 구성함으로써, 시동배터리의 상태나 그 사용상태, 그리고 제어까지도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4) 본 발명에 따른 전원관리 모듈은 커넥터를 분리하거나 다른 커넥터로 연결하지 않고도 ACC 전원이나 B 전원일 때에 따라 절환하게 구성하여 감시할 수 있어 편리하다.
(5) 본 발명에 따른 전원관리 모듈을 차량의 전원모듈에 연결해서 사용할 때 기본적으로 대기(Sleep) 모드에서 작동(Wake up) 모드로 변환하게 구성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시동배터리에 연결하여 멀티미디어 및 스마트 기기와 같은 외부 기기에 연결해서 사용되는 전원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차량용 멀티미디어 및 스마트 기기 전원공급용 스마트 배터리 전원관리 모듈(V2P)을 시동배터리에 직접 연결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차량용 멀티미디어 및 스마트 기기 전원공급용 스마트 배터리 전원관리 모듈(V2P)을 시동배터리에 직접 연결한 상태에서 제어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차량용 멀티미디어 및 스마트 기기 전원공급용 스마트 배터리 전원관리 모듈(V2P)을 시동배터리와 기존 전원모듈 사이에 연결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차량용 멀티미디어 및 스마트 기기 전원공급용 스마트 배터리 전원관리 모듈(V2P)을 시동배터리와 기존 전원모듈 사이에 연결한 상태에서 제어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량용 멀티미디어 및 스마트 기기 전원공급용 스마트 배터리 전원관리 모듈(V2P, Vehicle to Port)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연결 단자(110), 스위칭수단(120), ACC 전압 감지기(130), B 전압 감지기(140), B 전류감지기(150), 그리고 MCU가 포함된다.
특히, 상기 연결 단자(110)는 입력측과 출력측 단자가 같은 것을 이용하여 호환성을 높일 수 있게 하고, 또한 외부 장치에서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ACC 전원과 시동배터리(B) 전원을 절환할 수 있게 구성하고 시동배터리(B)를 사용할 때는 시동배터리 상태와 외부기기 연결 상태, 사용시간과 알람 그리고 상태 알림을 포함하는 휴대단말 표시 항목을 본 발명에 따른 V2P에서 사용자의 휴대단말로 송출하여 사용자가 시동배터리(B) 상태를 확인하면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V2P(Vehicle to Port)"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미디어 및 스마트 기기 전원공급용 스마트 배터리 전원관리 모듈을, "외부 기기"는 차량 안에서 시동배터리에 연결하여 충전과 방전에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및 스마트 기기를, "ACC" 전원은 시동배터리에서 ACC 단자가 ON일 때 공급되는 전원을, "B 전원"은 시동배터리에서 직접 공급되는 전원을 각각 나타낸다.
가. 연결 단자
연결 단자(110)는, [도 2]와 같이, V2P에서 전원이나 신호를 받는 입력측과 반대로 전원이나 신호를 내보내는 출력측에 각각 하나씩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입력측과 출력측은 그 단자 구성이 같으므로, 여기서는 입력측의 구성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특히, 상기 입력측에는, [도 2]와 같이, CACC 단자, ACC+ 단자, B+ 단자, GND 단자, VM+ 단자, CCHK 단자, WU 단자, CAN(CAN+와 CAN-) 단자가 포함된다. 여기서, CACC 단자는 입력측 ACC+ 단자로 ACC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자이고, ACC+ 단자는 시동배터리(B)에서 ACC 단자를 거쳐 인가된 ACC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이며, B+ 단자는 시동배터리(B)에서 ACC 단자를 거치지 않고 직접 공급되는 B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이다. 또한, GND 단자는 V2P에 공급되는 전원에서 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접지단자이고, VM+ 단자는 외부에서 V2P가 동작할 수 있게 외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이며, CCHK 단자는 전원모듈(M)과 같은 외부 장치에 V2P가 연결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단자이다. 그리고 상기 WU 단자는 외부 장치에서 작동 신호(Wake Up) 신호를 받아 V2P가 동작하게 하거나 상술한 CCHK 단자와 함께 시리얼 통신 단자로도 활용하기 위한 단자이고, CAN 단자는 CAN+ 단자와 CAN- 단자를 포함하여 시동배터리(B)에 충전 제어하는 LDC(Low DC-DC-Conver)와 통신하여 차량의 발전기 또는 동력 배터리 전원을 시동배터리에 충전하게 하기 위한 통신 단자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단자(110)는 입력측을 시동배터리 측에 바로 연결하고, 출력측으로 외부 기기에 직접 연결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입력측과 출력측의 단자 구성이 같아 서로 호환할 수 있게 하여 확장성을 넓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과 분리를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도 2]에서는 입력측과 출력측이 서로 마주하게 설치된 것을 예로 보여주고 있으나, 서로 인접하게 배치하더라도 연결에 간섭이 생기지 않는 위치라면 어떻게 배치하더라도 상관없다.
나. 스위칭수단
스위칭수단(120)은, [도 2]와 같이, 입력측의 ACC+ 단자로 입력된 ACC 전원과 입력측의 B+ 단자로 입력된 B 전원을 절환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때, 상기 스위칭 수단(120)은 상술한 출력측 VM+단자를 통해 외부에서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상술한 출력측 CCHK단자를 통해 외부로 확인 신호를 내보내게 된다. 상기 절환은 상술한 CCHK단자 및 WU단자를 함께 사용하여 시리얼 통신 방식으로 인지하여 동작하게 제어할 수도 있다.
다. ACC 전압 감지기
ACC 전압 감지기(130)는, [도 2]와 같이, 상술한 입력측 ACC+단자로 공급된 ACC 전원의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기이다. 이때, 검출된 전압은 후술할 MCU로 전송되어 시동배터리 상태를 확인하는데 이용된다.
라. B 전압 감지기
B 전압 감지기(140)는, [도 2]와 같이, 상술한 입력측 B+단자로 공급된 B 전원의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기이다. 이때, 검출된 전압은, 상술한 ACC 전압과 마찬가지로 후술할 MCU로 전송되어 시동배터리 상태를 확인하는데 이용된다.
마. B 전류 감지기
B 전류 감지기(150)는, [도 2]와 같이, 상술한 입력측 B+단자로 공급된 B 전원의 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기이다. 이때, 검출된 전류는, 상술한 ACC 전압 및 B 전압과 마찬가지로 후술할 MCU로 전송되어 시동배터리 상태를 확인하는데 이용된다.
바. MCU
MCU(16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술한 구성을 제어하고, 이들 구성으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정리하여 휴대단말 표시항목을 계산하고, 근거리통신 모듈(161)로 연결된 휴대단말에 이 휴대단말 표시항목을 표시하게 해서 이용자가 이 휴대단말 표시항목을 통해 시동배터리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MCU(16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9단계에 걸쳐 제어하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각 단계로 나눠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제1단계
제1단계(S1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제어에 필요한 전원을 상술한 MCU(160)에 공급하는 단계이다. 이때, 전원은 상술한 입력측 B+단자를 통해 시동배터리(B)에서 직접 공급받게 된다.
2. 제2단계
제2단계(S2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ACC 전원이 인가되었는지 확인하고 대기하는 단계이다. 이때의 ACC 전원은 시동배터리(B)에서 입력측 ACC+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으로, 상술한 ACC 전압 감지기(130)로 검출된 전압을 이용하여 MCU(160)에서 판단한다.
3. 제3단계
제3단계(S3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술한 연결단자(110)의 출력측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단계이다. 이때의 기기 연결 확인은 상술한 VM+을 통해 충전기와 같은 외부 장치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스위칭수단(120)에 인가하고, 이 스위칭수단(120)에서 출력측 CCHK 단자로 출력되는 확인 신호를 통해 확인한다.
이때, 출력측 CCHK단자를 통해 외부 기기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술한 제2단계(S20)로 돌아가서 대기 상대로 있게 되고, 외부 기기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4단계(S40)가 수행된다.
4. 제4단계
제4단계(S4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외부 기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CACC 단자리를 ACC 전압이 연결되었는지 확인하고, ACC 전압이 연결되어 있으면 외부 기기가 이 ACC 전압을 이용할 수 있게 하고 처리 과정을 끝내게 된다. 하지만, ACC 전압이 검출되지 않으면 제5단계(S50)를 수행하게 한다.
5. 제5단계
제5단계(S5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ACC 전압이 검출되지 않으면 B 전원이 인가된 것으로 보아 B 전압 감지(140)로 감지되는 전압이 정상 전압인지 확인하고., 정상 전압보다 낮으면 경고하게 한다. 이는, 시동배터리(B)에서 직접 외부 기기에 B 전원을 공급하기 전에 시동할 때 충분한 전원을 확보하고 남은 전원을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에, 상기 정상 전압은 시동배터리로 시동할 수 있는 충분한 전력이 있을 때만 외부 기기에 B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하고, 그렇지 않으면 근거리통신 모듈(161)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가지고 다니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과 통신하여 B 전원이 충분하지 않아 외부 기기를 사용할 수 없음을 통지할 수 있게 한다. 이때의 통지는 휴대단말뿐만 아니라, 차량 실내에 있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통해서도 경고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제6단계
제6단계(S6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B 전원의 전압이 정상 범위일 때 B 전원을 외부 기기에 직접 공급할 수 있게 하는 단계이다. 이때 B 전원은 ACC 단자를 거치지 않고 시동배터리(B)에서 바로 외부 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말한다.
7. 제7단계
제7단계(S7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근거리통신 모듈(161)을 통해 미리 정해놓은 휴대단말과 통신할 수 있게 준비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준비 단계는 상술한 제5단계(S50)에서 미리 이루어질 수도 있고, 후술할 제8단계(S80) 후에 통신할 수 있게 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통신 모듈(161)은 본 발명에 따른 V2P와 사용자가 지정한 휴대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은 스마트폰, PDA, 랩톱, 스마트 워치 등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8. 제8단계
제8단계(S8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휴대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휴대단말 표시 항목을 계산하는 단계이다. 이때, 휴대단말 표시 항목은 시동배터리의 현재 상태, 외부 기기의 연결 유무, 현재 소모전력, 현재 사용시간, 누적 사용 및 사용 가능 예상시간, 알림/알람 기능, 상기 V2P 모듈 동작 강제 ON/OFF, 충전단자의 충전상황, 각종 사용 데이터 축적 및 외부 클라우드 전송, 충전단자 및 V2P모듈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전송받은 휴대단말 표시 항목을 통해 외부기기의 사용 시간을 확인하거나 강제로 전원을 차단하거나 누적 사용 등을 통해 사용 시간 등을 예상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한다.
9. 제9단계
제9단계(S9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술한 휴대단말 표시항목을 상기 근거리통신 모듈(161)로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시동배터리에 V2P를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때 ACC 전원이 외부 기기에 인가되었을 때는 바로 사용하게 하나, B 전원이 인가될 때는 시동에 악영향을 주지 않도록 충분한 전압인지 확인한 다음, B 전원을 인가하고 휴대단말 표시 항목을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시동배터리 상황을 쉽게 확인하고 사용을 제한하거나 원하는 대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차량용 멀티미디어 및 스마트 기기 전원공급용 스마트 배터리 전원관리 모듈(V2P)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이나, [실시예 1]과 달리, 시동배터리(B)와 기존 전원모듈(M) 사이에 장착함에 따라 그 제어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여기서는 V2P에 관한 상세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제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실시예 2]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9단계에 걸쳐 이루어지게 되므로 각 단계로 나눠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전원 모듈(M)의 입력측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단자(110)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연결단자를 구성함으로써, 호환성을 높일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 제1단계
제1단계(S10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시동배터리(B) 전원인 B 전원을 전원모듈(M)에 인가하여 관리 전원으로 사용하게 하는 단계이다. 이때, B 전원은 V2P의 연결 단자 중 입력측 B+단자와 출력측 B+단자를 거쳐 전원모듈(M)의 마이콤에 인가된다.
나. 제2단계
제2단계(S20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시동배터리(B)가 ACC 단자를 통해 입력측 ACC+단자에 인가되었는지 확인하여 대기하는 단계이다. 이때의 확인은 전원모듈(M)에서 V2P의 출력측 CACC 단자를 통해 ACC 전원이 인가되었는지 확인한 다음 대기한다.
다. 제3단계
제3단계(S30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전원모듈(M)의 커넥터에 ACC 전원 또는 B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외부 기기가 연결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외부 기기의 연결 확인은 이 커넥터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었을 때 그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콤을 통해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모듈(M)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지 않으면 상기 제2단계(S200)로 되돌아가고, 연결되었으면 후술할 제4단계(S400)를 수행한다.
라. 제4단계
제4단계(S40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전원모듈(M)의 커넥터에 외부 기기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었을 때 마이콤의 제어를 통해 ACC 전원을 외부 기기에 공급하여 외부 기기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마이콤은 상술한 출력측 CACC단자를 통해 ACC 전원이 인가되었는지 확인하고, ACC 전원이 인가되었으면 인가된 ACC 전원을 외부 기기에 연결하고, ACC 전원이 인가되지 않았으면 제5단계(S500)를 수행한다.
마. 제5단계
제5단계(S50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전원모듈(M)에서 V2P에 작동 전원을 공급하여 이들 전원모듈(M)과 V2P를 연결하는 단계이다. 이때, 작동 전원은 전원모듈(M)의 VM+ 단자와 V2M의 출력측 VM+ 단자를 통해 V2P의 스위칭수단(120)에 공급된다. 이어, V2P에서 출력측 CCHK 단자를 통해 전원모듈(M)의 CCHK 단자로 연결 신호가 있는지 확인하여, 연결 신호가 없으면 제2단계(S200)로 되돌아가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모듈(M)에서 V2P의 출력측 CCHK 단자를 통해 연결 신호를 받으면, 이들 전원모듈(M)과 V2P를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여 전원모듈(M)에서 V2P가 동작할 수 있게 동작 신호(Wake Up)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동작 신호는 V2P의 출력측 WU단자를 통해 MCU에 입력된다.
바. 제6단계
제6단계(S60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V2P에서 휴대단말과 통신할 수 있게 연결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V2P는 전원모듈(M)에서 출력된 동작 신호(Wake Up)를 입력받아 작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V2P는 근거리통신 모듈(161)을 통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휴대단말과 통신할 수 있게 망을 구축한다.
사. 제7단계
제7단계(S70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B 전원을 외부 기기에 인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정상 전압 상태인지 확인하고, 정상 전압이 아니면 상기 근거리통신 모듈(161)로 연결된 휴대단말을 통해 알람을 발령하게 하여 외부 기기를 사용할 수 없게 하거나 충전하게 하는 등의 조치를 하게 한다.
아. 제8단계
제8단계(S80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휴대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휴대단말 표시 항목을 계산하는 단계이다. 이때, 휴대단말 표시 항목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시동배터리의 현재 상태, 외부 기기의 연결 유무, 현재 소모전력, 현재 사용시간, 누적 사용 및 사용 가능 예상시간, 알림/알람 기능, 상기 V2P 모듈 동작 강제 ON/OFF, 충전단자의 충전상황, 각종 사용 데이터 축적 및 외부 클라우드 전송, 충전단자 및 V2P모듈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전송받은 휴대단말 표시 항목을 통해 외부기기의 사용 시간을 확인하거나 강제로 전원을 차단하거나 누적 사용 등을 통해 사용 시간 등을 예상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자. 제9단계
제9단계(S90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술한 휴대단말 표시항목을 상기 근거리통신 모듈(161)로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이렇게 전송된 휴대단말 표시항목을 통해 사용자는 시동배터리 상태를 확인하고 B 전원을 너무 과하게 사용하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때에 따라 B 전원 사용을 차단하게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시동배터리와 전압 모듈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V2P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확장성을 넓힐 수 있다.
110: 연결 단자
120: 스위칭수단
130: ACC 전압 감지기
140: B 전압 감지기
150: B 전류감지기
160: MCU
161: 근거리통신 모듈

Claims (3)

  1. 차량의 시동배터리(B)에 연결되어 상기 시동배터리(B)에서 직접 공급받는 B 전원과 차량의 ACC(Accessory)를 통해 공급받는 ACC 전원을 선택적으로 외부 기기에 공급하게 설치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및 스마트 기기 전원공급용 스마트 배터리 전원관리 모듈(V2P, Vehicle to Port)에서,
    입력측과 출력측으로 나뉘되, 시동배터리(B)에서 ACC를 통해 공급받은 ACC 전원을 공급과 차단하게 입력측과 출력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구성된 입력측 ACC+단자와 출력측 ACC+단자, 시동배터리(B)에서 직접 공급받는 B 전원을 처리하도록 입력측과 출력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구성된 입력측 B+단자와 출력측 B+단자, 상기 입력측 ACC+단자로 ACC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 확인하기 위해 출력측과 입력측에 각각 구성된 입력측 CACC단자와 출력측 CACC단자, 입력측과 출력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구성된 입력측 GND 단자와 출력측 GND 단자, 입력측과 출력측에 각각 구성되어 작동 전원을 처리하는 입력측 VM+ 단자와 출력측 VM+ 단자, 입력측과 출력측에 각각 구성되어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입력측 CCHK 단자와 출력측 CCHK 단자, 입력측과 출력측에 각각 구성되어 슬립(Sleep) 해제하거나 상기 입력측 CCHK 단자와 출력측 CCHK 단자와 함께 시리얼 통신 단자로 활용되는 입력측 WU단자 및 출력측 WU단자, 및 입력측과 출력측에 각각 구성되어 입력측 CAN 단자와 출력측 CAN 단자를 포함하는 연결 단자(110); 상기 출력측 VM+단자로 외부에서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출력측 CCHK단자로 외부 장치에 연결 신호를 내보내고, 상기 입력측 ACC+단자로 공급된 ACC 전원과 상기 입력측 B+단자로 공급된 B 전원을 절환시켜 주는 스위칭수단(120); 상기 입력측 ACC+단자로 공급된 ACC 전원의 전압을 감지하는 ACC 전압 감지기(130); 상기 입력측 B+단자로 공급된 B 전원의 전압을 감지하는 B 전압 감지기(140); 상기 입력측 B+단자로 공급된 B 전원의 사용 전류를 감지하는 B 전류감지기(150); 및 상기 출력측 WU단자를 통해 슬립 해제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측 CAN단자를 통하여 차량의 발전기 또는 동력 배터리의 전원을 제어하는 LDC(Low voltage DC-DC Converter)를 통해 배터리(B) 충전을 모니터링하며, 휴대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근거리통신 모듈(161)을 갖춘 MCU(160);를 포함하되,
    상기 MCU(160)는,
    상기 입력측 B+단자로 입력된 B 전원을 공급받아 필요한 관리 전원으로 활용하는 제1단계(S10);
    상기 ACC 전압 감지기(130)를 통해 시동배터리(B) 전원이 ACC를 거쳐 인가된 ACC 전원이 있는지 확인하며 대기하는 제2단계(S20);
    상기 출력측 VM+ 단자를 통해 외부에서 상기 스위칭수단(120)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출력측 CCHK단자로 확인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연결 단자(110)의 출력측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었는지 확인하고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2단계(S20)로 되돌아가는 제3단계(S30);
    만일, 외부 기기가 연결되면, 상기 ACC 전압 감지기(130)로 ACC 전압이 검출되는지 확인하여 ACC 전압이 검출되면 이 ACC 전압으로 외부 기기를 이용하게 하는 제4단계(S40);
    만일, ACC 전압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B 전압 감지기(140)로 검출된 전압이 정상 전압인 확인하여 정상 전압보다 낮으면 경고하게 하는 제5단계(S50);
    만일, 상기 제5단계(S50)에서 정상 전압이면, 시동배터리(B)를 직접 외부 기기에 공급하게 하는 제6단계(S60);
    이처럼 시동배터리(B)가 외부 기기에 공급되면, 상기 근거리통신 모듈(161)을 통해 휴대단말과 통신을 연결하게 하는 제7단계(S70);
    상기 시동배터리 상태와 외부기기 연결 상태, 사용시간과 알람 그리고 상태 알림을 포함하는 휴대단말 표시 항목을 계산하는 제8단계(S80); 및
    상기 휴대단말 표시항목을 상기 근거리통신 모듈(161)로 연결된 휴대단말로 송출하는 제9단계(S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및 스마트 기기 전원공급용 스마트 배터리 전원관리 모듈(V2P).
  2. 차량의 시동배터리(B)와, 상기 시동배터리(B)에서 직접 공급받는 B 전원과 차량의 ACC(Accessory)를 통해 공급받는 ACC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외부 기기를 사용하게 하는 차량의 전원모듈(M) 사이에 설치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및 스마트 기기 전원공급용 스마트 배터리 전원관리 모듈(V2P, Vehicle to Port)에서,
    입력측과 출력측으로 나뉘되, 시동배터리(B)에서 ACC를 통해 공급받은 ACC 전원을 공급과 차단하게 입력측과 출력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구성된 입력측 ACC+단자와 출력측 ACC+단자, 시동배터리(B)에서 직접 공급받는 B 전원을 처리하도록 입력측과 출력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구성된 입력측 B+단자와 출력측 B+단자, 상기 입력측 ACC+단자로 ACC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 확인하기 위해 출력측과 입력측에 각각 구성된 입력측 CACC단자와 출력측 CACC단자, 입력측과 출력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구성된 입력측 GND 단자와 출력측 GND 단자, 입력측과 출력측에 각각 구성되어 작동 전원을 처리하는 입력측 VM+ 단자와 출력측 VM+ 단자, 입력측과 출력측에 각각 구성되어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입력측 CCHK 단자와 출력측 CCHK 단자, 입력측과 출력측에 각각 구성되어 슬립(Sleep) 해제를 위한 입력측 WU단자 및 출력측 WU단자, 및 입력측과 출력측에 각각 구성되어 입력측 CAN 단자와 출력측 CAN 단자를 포함하는 연결 단자(110); 상기 출력측 VM+단자로 외부에서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출력측 CCHK단자로 외부 장치에 연결 신호를 내보내고, 상기 입력측 ACC+단자로 공급된 ACC 전원과 상기 입력측 B+단자로 공급된 B 전원을 절환시켜 주는 스위칭수단(120); 상기 입력측 ACC+단자로 공급된 ACC 전원의 전압을 감지하는 ACC 전압 감지기(130); 상기 입력측 B+단자로 공급된 B 전원의 전압을 감지하는 B 전압 감지기(140); 상기 입력측 B+단자로 공급된 B 전원의 사용 전류를 감지하는 B 전류감지기(150); 및 상기 출력측 WU단자를 통해 슬립 해제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측 CAN단자를 통하여 차량의 발전기 또는 동력 배터리의 전원을 제어하는 LDC(Low voltage DC-DC Converter)를 통해 배터리(B) 충전을 모니터링하며, 휴대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근거리통신 모듈(161)을 갖춘 MCU(160);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측 B+단자로 입력된 B 전원을 상기 출력측 B+단자를 통해 전원모듈(M)에 공급하여 필요한 관리 전원으로 사용하게 하는 제1단계(S100);
    상기 출력측 ACC+단자를 통해 ACC 전원이 전원모듈(M)에 공급되는지 전원모듈(M)에서 모니터링하며 대기하는 제2단계(S200);
    상기 전원모듈(M)에서 그 커넥터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었는지 확인하고, 외부 기기가 연결되지 않으면 상기 제2단계(S200)로 돌아가게 하는 제3단계(S300);
    만일, 외부 기기가 연결되고, 상기 출력측 CACC단자 확인을 통해 상기 전원모듈(M)로 ACC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면, ACC 전원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를 사용하게 하는 제4단계(S400);
    만일, 상기 전원모듈(M)에 ACC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전원모듈(M)에서 상기 출력측 VM+단자를 통해 V2P에 작동 전원을 공급하고, 작동 전원을 공급받은 V2P에서 출력측 CCHK 단자를 통해 연결 신호가 있는지 전원모듈(M)에서 확인한 다음, 상기 연결 신호가 없으면 상기 제2단계(S200)로 되돌아가게 하는 제5단계(S500);
    만일, 상기 전원모듈(M)에서 상기 출력측 CCHK 단자의 연결 신호를 확인하면, 상기 출력측 WU단자를 통해 작동신호를 V2P로 전송하여 작동(WAKE UP)하게 하고 상기 근거리통신 모듈(161)을 통해 휴대단말과 통신하게 하는 제6단계(S600);
    상기 B 전원의 전압을 확인하되, 만일 정상 전압이 아니면 휴대단말로 알람을 발령하게 하는 제7단계(S700);
    만일 정상 압력이면 상기 스위칭수단(120)을 통해 B 전원으로 전환하게 하여 외부 기기에 공급하게 하는 제8단계(S800); 및
    상기 시동배터리 상태와 외부기기 연결 상태, 사용시간과 알람 그리고 상태 알림을 포함하는 휴대단말 표시 항목을 계산하고 상기 휴대단말 표시항목을 상기 근거리통신 모듈(161)로 연결된 휴대단말로 송출하는 제9단계(S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및 스마트 기기 전원공급용 스마트 배터리 전원관리 모듈(V2P).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휴대단말 표시항목은,
    시동배터리의 현재 상태, 외부 기기의 연결 유무, 현재 소모전력, 현재 사용시간, 누적 사용 및 사용 가능 예상시간, 알림/알람 기능, 상기 V2P 모듈 동작 강제 ON/OFF, 충전단자의 충전상황, 각종 사용 데이터 축적 및 외부 클라우드 전송, 충전단자 및 V2P모듈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및 스마트 기기 전원공급용 스마트 배터리 전원관리 모듈(V2P).
KR1020220042093A 2022-04-05 2022-04-05 차량용 멀티미디어 및 스마트 기기 전원공급용 스마트 배터리 전원관리 모듈 KR102594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093A KR102594946B1 (ko) 2022-04-05 2022-04-05 차량용 멀티미디어 및 스마트 기기 전원공급용 스마트 배터리 전원관리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093A KR102594946B1 (ko) 2022-04-05 2022-04-05 차량용 멀티미디어 및 스마트 기기 전원공급용 스마트 배터리 전원관리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3337A KR20230143337A (ko) 2023-10-12
KR102594946B1 true KR102594946B1 (ko) 2023-10-27

Family

ID=88291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2093A KR102594946B1 (ko) 2022-04-05 2022-04-05 차량용 멀티미디어 및 스마트 기기 전원공급용 스마트 배터리 전원관리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94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7654A (ko) * 2008-06-09 2009-12-14 한정남 차량용 시동 제어 장치
KR20120063337A (ko) * 2010-12-07 2012-06-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80045954A (ko) * 2016-10-26 2018-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21858A (ko) * 2019-08-19 2021-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관리를 위한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3337A (ko) 2023-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1019B2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749091B2 (en) Battery emulator and methods of use
JP5506052B2 (ja) 車両用充電装置
CN106364429B (zh) 一种充电控制方法、设备及系统
KR101617292B1 (ko) 전기자동차 및 그 보조배터리의 충전제어방법.
US20100207772A1 (en)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plug-in vehicle
US6545445B1 (en) Multiple battery system and method
US8981917B2 (en) In-vehicle emergency report apparatus
EP3246215B1 (en) Vehicular starter battery management system
EP2782211A1 (en) Electronic apparatus, charge control method, charging system, and data transfer system
AU2009202248A1 (en) Charging system and vehicle and charge controller for the charging system
JPH1117721A (ja) 光バスに接続された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9120030B (zh) 无线充电器以及电子设备遗忘提醒方法
KR102594946B1 (ko) 차량용 멀티미디어 및 스마트 기기 전원공급용 스마트 배터리 전원관리 모듈
CN112311071A (zh) 混动车辆的电池包的保护方法和装置
CN103010126B (zh) 一种整车断电控制系统
CN204809348U (zh) 一种防盗电池组件及电动车
CN109167421A (zh) 一种基于触控功能的车载无线充电装置
KR101262296B1 (ko) 전기자동차용 비상충전 전력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CN216546062U (zh) 可脱离车载电池的车载信息娱乐系统、车联网系统及汽车
CN211809373U (zh) 一种车辆测距系统
CN105438094A (zh) 一种车载hud开关机的控制方法及系统
CN213138538U (zh) Can隔离通信的充电唤醒电路
CN220865362U (zh) 一种车载电源及车辆
CN112416110B (zh) 一种星载存储设备长短期工作模块的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