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376B1 - IoT 기반 완전 방수기능을 가진 밀폐형 간판 - Google Patents

IoT 기반 완전 방수기능을 가진 밀폐형 간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376B1
KR102594376B1 KR1020230095178A KR20230095178A KR102594376B1 KR 102594376 B1 KR102594376 B1 KR 102594376B1 KR 1020230095178 A KR1020230095178 A KR 1020230095178A KR 20230095178 A KR20230095178 A KR 20230095178A KR 102594376 B1 KR102594376 B1 KR 102594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here
housing
seating groove
sign
sig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5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주용
김현정
임동선
손정은
엄춘녀
장현미
김동철
김보경
권준현
김보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드
Priority to KR1020230098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3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3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1Cleaning travelling 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2203/02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2201/00Weather detection, monitoring or forecasting for establishing the amount of global warm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제어 및 완전 방수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IoT 기반 완전 방수기능을 가진 밀폐형 간판에 관한 것으로,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간판 하우징; 상기 간판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조명 모듈; 및 상기 간판 하우징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IoT 기반 완전 방수기능을 가진 밀폐형 간판{Enclosed signboard with IoT-based complete waterproof function}
본 발명은 IoT 기반 완전 방수기능을 가진 밀폐형 간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제어 및 완전 방수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IoT 기반 완전 방수기능을 가진 밀폐형 간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판은 자신의 영업장을 타인에게 광고할 목적으로 설치 사용하게 되는데, 회사나 가게 등 영업장소나 영업내용을 소비자에게 알려주기 위하여 설치되는 표시물을 말한다.
상기에서와 같은 목적을 가지고 사용되어지는 간판은 크게 평면적인 것과 입체적인 입체간판으로 나누어진다.
한편, 이러한 입체간판은 소비자가 쉽게 그 내용을 인식할 수 있도록 차별화된 식별성 또는 시인성을 구비하여야 하며, 주간은 물론 야간에도 잘 보일 수 있도록 하는 조명장치가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종래의 입체간판은 상하부가 개구된 통형상에서 문자 또는 문양으로 성형된 성형 프레임과, 상기 성형 프레임의 상부에 얹혀지는 상부패널과, 상부패널과 성형 프레임의 기밀성을 위한 상부커버, 조명부가 장착된 베이스 모듈을 포함한다.
종래의 간판의 경우, 방수 방습에 취약하고, 외부의 급격한 환경 변화(비, 바람, 눈 등)에 취학하고, 내구성 및 쇼트 등의 안전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05826호 (2017.02.10. 공고)
본 발명의 일측면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제어 및 완전 방수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IoT 기반 완전 방수기능을 가진 밀폐형 간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완전 방수기능을 가진 밀폐형 간판은,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간판 하우징; 상기 간판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조명 모듈; 및 상기 간판 하우징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완전 방수기능을 가진 밀폐형 간판은, 상기 간판 하우징에 설치되어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완전 방수기능을 가진 밀폐형 간판은, 상기 간판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간판 하우징의 낙하를 감지하는 낙하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완전 방수기능을 가진 밀폐형 간판은, 상기 간판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간판 하우징 주변의 기상 데이터를 측정하는 기상 측정 센서; 및 상기 조명 모듈의 온/오프를 제어하며, 상기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화재 감지 신호, 상기 낙하 감시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낙하 감지 신호, 및 상기 기상 측정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기상 데이터를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간판 진단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완전 방수기능을 가진 밀폐형 간판은, 상기 간판 하우징의 전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간판 하우징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청소하는 하우징 청소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 청소 모듈은, 상기 간판 하우징의 상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 레일; 상기 간판 하우징의 저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 레일; 상단이 상기 제1 슬라이딩 레일에 연결 설치되고 하단이 상기 제2 슬라이딩 레일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간판 하우징의 전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연결 프레임; 및 상기 간판 하우징의 전면과 대향하는 상기 연결 프레임의 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 프레임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함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간판 하우징의 전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간판 하우징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분사 노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제1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되는 상기 간판 하우징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1 수평 프레임; 상기 제2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되는 상기 간판 하우징의 저면에 안착되는 제2 수평 프레임;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 레일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제1 슬라이더;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 레일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제2 슬라이더; 및 상기 제1 수평 프레임과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의 각 전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간판 하우징의 전면과 대향하면서 배치되며, 상기 간판 하우징의 전면과 대향하는 후단을 따라 상기 분사 노즐부가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사 노즐부는, 세척수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상기 간판 하우징의 전면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의 후단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되는 노즐 하우징; 및 상기 노즐 하우징의 개구부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이격 설치되며, 상기 노즐 하우징의 개구부의 형상을 가변시켜 상기 노즐 하우징으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 패턴을 변경시켜 주는 분사 패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사 패턴 조절부는, 상기 노즐 하우징의 내주면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세척수의 배출 방향과 직각되도록 상기 노즐 하우징의 내측에 연장 형성되는 구체 안착홈; 상기 구체 안착홈의 지름에 대응하는 지름을 형성하는 원형의 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구체 안착홈에 안착되는 가변 구체; 상기 구체 안착홈의 내측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가변 구체를 자성을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자성을 형성하며, 상기 구체 안착홈의 내측의 상단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전진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변 구체를 하강 이동시켜 상기 가변 구체의 하단이 상기 구체 안착홈으로부터 노출되도록 하고, 전진 이동 후 다시 후진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변 구체를 다시 상기 구체 안착홈의 내측으로 삽입 이동시켜 주는 구체 이동 블록; 상기 구체 안착홈의 내측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구체 이동 블록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구체 이동 블록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블록 승강 실린더; 상기 구체 안착홈의 하단 개구부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구체 안착홈으로부터 상기 가변 구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구체 안착홈의 입구로 하강 이동된 상기 가변 구체와 상기 구체 안착홈 간의 간격을 밀폐시켜 상기 구체 안착홈으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밀폐 오링; 및 상기 구체 안착홈의 중단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가변 구체가 승강 이동시 상기 가변 구체와 상기 구체 안착홈 간의 간격을 밀폐시켜 상기 구체 안착홈으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밀폐 오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체 이동 블록은, 후단의 상하 길이가 전단의 상하 길이보다 길도록 상기 가변 구체가 밀착되는 저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사 패턴 조절부는, 전단이 상기 구체 안착홈의 입구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노즐 하우징의 내주면으로 밀착되어 상기 구체 안착홈을 덮고 안착되며, 상기 가변 구체의 하단이 상기 구체 안착홈으로부터 노출됨에 따라 상기 가변 구체에 의해 밀려 후단이 상기 노즐 하우징의 내주면으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노즐 하우징으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액에 의해 회동되어 전단이 상기 노즐 하우징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안착홈 덮개; 및 상기 안착홈 덮개의 후단이 안착되는 상기 노즐 하우징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홈 덮개의 후단이 안착되면 자성을 이용하여 상기 안착홈 덮개의 후단을 체결하는 덮개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착홈 덮개는, 회동 후 리턴 스프링에 의해 다시 복귀되어 덮개 지지대에 안착되며, 노즐 하우징으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가 퍼지면서 배출될 수 있도록 후단이 노즐 하우징의 전방으로 노출 시 노즐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제어 및 완전 방수가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완전 방수기능을 가진 밀폐형 간판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완전 방수기능을 가진 밀폐형 간판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하우징 청소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분사 노즐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분사 패턴 조절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완전 방수기능을 가진 밀폐형 간판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완전 방수기능을 가진 밀폐형 간판(10)은, 간판 하우징(100), 조명 모듈(200) 및 브라켓(300)을 포함한다.
간판 하우징(100)은, 조명 모듈(20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되기 위한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전면 등에 광고 등을 위한 문구가 도시(110)된다.
조명 모듈(200)은, 간판 하우징(100)의 내측에 설치되어 발광하여 빛을 조사한다.
브라켓(300)은, 간판 하우징(100)을 건물의 외벽 등에 고정 설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완전 방수기능을 가진 밀폐형 간판(10)은, 화재 감지 센서(S1), 낙하 감지 센서(S2), 기상 측정 센서(S3) 및 간판 진단 모듈(400)을 포함한다.
화재 감지 센서(S1)는, 간판 하우징(100)에 설치되어 화재의 발생을 감지한다.
낙하 감지 센서(S2)는, 간판 하우징(100)에 설치되어 간판 하우징(100)의 낙하를 감지한다.
기상 측정 센서(S3)는, 간판 하우징(100)에 설치되어 간판 하우징(100) 주변의 기상 데이터를 측정한다.
간판 진단 모듈(400)은, 조명 모듈(200)의 온/오프를 제어하며, 화재 감지 센서(S1)로부터 수신되는 화재 감지 신호, 낙하 감시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낙하 감지 신호, 및 기상 측정 센서(S3)로부터 수신되는 기상 데이터를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자 단말기(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로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완전 방수기능을 가진 밀폐형 간판(10)은, 1) 방수 방습 기능을 통해 화재 등의 방지를 통한 안전성 제고하고 내구성을 상승시킬 수 있고, 2) IoT 기능을 통해 외부 기상 측정 및 간판 상태 표시 기능을 통해 화재 및 낙하 감지 등의 실시간 상태 파악이 가능하고, 무선으로 ON/OFF 기능을 통해 외부에서 언제든지 키고 끌 수 있으며, 스마트폰 등 휴대용 단말기에 연동시켜 활용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며, 전구 등 일부 구간 ON 또는 OFF(예를 들어, 간판 표면만 켜기 / 네온사인 패턴 설정 조작 가능)가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의 ON 상태 설정 및 수정 가능(예를 들어, 항상 켜기 / 상→하, 좌→우 같은 빛의 이동 표현 등)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완전 방수기능을 가진 밀폐형 간판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완전 방수기능을 가진 밀폐형 간판(20)은, 간판 하우징(100), 조명 모듈(200), 브라켓(300) 및 하우징 청소 모듈(500)을 포함한다.
여기서, 간판 하우징(100), 조명 모듈(200) 및 브라켓(300)은,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하우징 청소 모듈(500)은, 간판 하우징(100)의 전면에 연결 설치되어 간판 하우징(100)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청소함으로써, 간판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완전 방수기능을 가진 밀폐형 간판(20)은, 간판 하우징(100)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청소함으로써, 간판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하우징 청소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 청소 모듈(500)은, 1 슬라이딩 레일(510), 제2 슬라이딩 레일(520), 연결 프레임(530) 및 분사 노즐부(600)를 포함한다.
제1 슬라이딩 레일(510)은, 제1 슬라이더(533)가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간판 하우징(100)의 상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슬라이딩 레일(520)은, 제2 슬라이더(534)가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간판 하우징(100)의 저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연결 프레임(530)은, 상단이 제1 슬라이딩 레일(510)에 연결 설치되고 하단이 제2 슬라이딩 레일(520)에 연결 설치되며, 간판 하우징(100)의 전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프레임(530)은, 제1 수평 프레임(531), 제2 수평 프레임(532), 제1 슬라이더(533), 제2 슬라이더(534) 및 수직 프레임(5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평 프레임(531)은, 제1 슬라이딩 레일(510)이 형성되는 간판 하우징(100)의 상면에 안착된다.
제2 수평 프레임(532)은, 제2 슬라이딩 레일(520)이 형성되는 간판 하우징(100)의 저면에 안착된다.
제1 슬라이더(533)는, 제1 수평 프레임(531)의 하측에 설치되어 제1 슬라이딩 레일(510)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간판 진단 모듈(400)의 구동 제어에 의해 제1 슬라이딩 레일(5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제1 수평 프레임(531)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제2 슬라이더(534)는, 제2 수평 프레임(532)의 상측에 설치되어 제2 슬라이딩 레일(520)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간판 진단 모듈(400)의 구동 제어에 의해 제2 슬라이딩 레일(52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제2 수평 프레임(532)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수직 프레임(535)은, 제1 수평 프레임(531)과 제2 수평 프레임(532)의 각 전단 사이에 설치되어 간판 하우징(100)의 전면과 대향하면서 배치되며, 간판 하우징(100)의 전면과 대향하는 후단을 따라 분사 노즐부(600)가 설치된다.
분사 노즐부(600)는, 간판 하우징(100)의 전면과 대향하는 연결 프레임(530)의 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연결 프레임(530)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함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간판 하우징(100)의 전면으로 세척수(W)를 분사하여 간판 하우징(100)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도 4는 도 3의 분사 노즐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분사 노즐부(600)는, 노즐 하우징(610) 및 분사 패턴 조절부(620)를 포함한다.
노즐 하우징(610)은, 세척수 공급 장치(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W)를 간판 하우징(100)의 전면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수직 프레임(535)의 후단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수직 프레임(535)의 내측에 형성된다.
분사 패턴 조절부(620)는, 노즐 하우징(610)의 개구부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이격 설치되며, 노즐 하우징(610)의 개구부의 형상을 가변시켜 노즐 하우징(610)으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W)의 분사 패턴(예를 들어, 직선 형태로 분사 또는 넓게 퍼지는 형상으로 분사 등)을 변경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분사 노즐부(600)는, 간판 하우징(100)의 전면으로 세척수(W)를 분사하여 간판 하우징(100)의 전면이 항상 청결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분사 패턴 조절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분사 패턴 조절부(620)는, 구체 안착홈(621), 가변 구체(622), 구체 이동 블록(623), 블록 이동 실린더(624), 제1 밀폐 오링(625) 및 제2 밀폐 오링(626)을 포함한다.
구체 안착홈(621)은, 노즐 하우징(610)의 내주면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세척수(W)의 배출 방향과 직각되도록 노즐 하우징(610)의 내측에 연장 형성된다.
가변 구체(622)는, 구체 이동 블록(623)에 자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철 등의 재질로 제작되며, 구체 안착홈(621)의 지름에 대응하는 지름을 형성하는 원형의 구 형태로 형성되어 구체 안착홈(621)에 안착되며, 구체 이동 블록(623)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된다.
구체 이동 블록(623)은, 구체 안착홈(621)의 내측 상단에 설치되며, 가변 구체(622)를 자성을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자성을 형성하는 영구 자석 등으로 제작되며, 블록 이동 실린더(624)가 신장 구동됨에 따라 구체 안착홈(621)의 내측의 상단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전진 이동함에 따라 가변 구체(622)를 하강 이동시켜 가변 구체(622)의 하단이 구체 안착홈(621)으로부터 노출되도록 하고, 블록 이동 실린더(624)가 수축 구동됨에 따라 전진 이동 후 다시 후진 이동함에 따라 가변 구체(622)를 다시 구체 안착홈(621)의 내측으로 삽입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구체 이동 블록(623)은, 후단의 상하 길이가 전단의 상하 길이보다 길도록 가변 구체(622)가 밀착되는 저면(6231)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블록 이동 실린더(624)는, 구체 안착홈(621)의 내측 상단에 설치되어 구체 이동 블록(623)을 지지하는 동시에 구체 이동 블록(623)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제1 밀폐 오링(625)은, 구체 안착홈(621)의 하단 개구부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구체 안착홈(621)으로부터 가변 구체(622)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구체 안착홈(621)의 입구로 하강 이동된 가변 구체(622)와 구체 안착홈(621) 간의 간격을 밀폐시켜 구체 안착홈(621)으로 세척수(W)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밀폐 오링(626)은, 구체 안착홈(621)의 중단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가변 구체(622)가 승강 이동시 가변 구체(622)와 구체 안착홈(621) 간의 간격을 밀폐시켜 구체 안착홈(621)으로 세척수(W)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분사 패턴 조절부(620)는, 안착홈 덮개(627) 및 덮개 지지대(6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착홈 덮개(627)는, 전단이 구체 안착홈(621)의 입구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노즐 하우징(610)의 내주면으로 밀착되어 구체 안착홈(621)을 덮고 안착되며, 가변 구체(622)의 하단이 구체 안착홈(621)으로부터 노출됨에 따라 가변 구체(622)에 의해 밀려 후단(6271)이 노즐 하우징(610)의 내주면으로부터 분리된 후 노즐 하우징(610)으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액에 의해 회동되어 전단이 노즐 하우징(610)의 전방으로 노출된다.
일 실시예에서, 안착홈 덮개(627)는, 회동 후 리턴 스프링에 의해 다시 복귀되어 덮개 지지대(628)에 안착되며, 노즐 하우징(610)으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W)가 퍼지면서 배출될 수 있도록 후단이 노즐 하우징(610)의 전방으로 노출 시 노즐 하우징(6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덮개 지지대(628)는, 안착홈 덮개(627)의 후단이 안착되는 노즐 하우징(610)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안착홈 덮개(627)의 후단이 안착되면 자성을 이용하여 안착홈 덮개(627)의 후단을 체결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IoT 기반 완전 방수기능을 가진 밀폐형 간판
100: 간판 하우징
200: 조명 모듈
300: 브라켓
400: 간판 진단 모듈

Claims (5)

  1.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간판 하우징;
    상기 간판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조명 모듈; 및
    상기 간판 하우징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간판 하우징의 전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간판 하우징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청소하는 하우징 청소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청소 모듈은,
    상기 간판 하우징의 상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 레일;
    상기 간판 하우징의 저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 레일;
    상단이 상기 제1 슬라이딩 레일에 연결 설치되고 하단이 상기 제2 슬라이딩 레일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간판 하우징의 전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연결 프레임; 및
    상기 간판 하우징의 전면과 대향하는 상기 연결 프레임의 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 프레임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함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간판 하우징의 전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간판 하우징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분사 노즐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제1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되는 상기 간판 하우징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1 수평 프레임;
    상기 제2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되는 상기 간판 하우징의 저면에 안착되는 제2 수평 프레임;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 레일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제1 슬라이더;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 레일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제2 슬라이더; 및
    상기 제1 수평 프레임과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의 각 전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간판 하우징의 전면과 대향하면서 배치되며, 상기 간판 하우징의 전면과 대향하는 후단을 따라 상기 분사 노즐부가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 노즐부는,
    세척수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상기 간판 하우징의 전면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의 후단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되는 노즐 하우징; 및
    상기 노즐 하우징의 개구부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이격 설치되며, 상기 노즐 하우징의 개구부의 형상을 가변시켜 상기 노즐 하우징으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 패턴을 변경시켜 주는 분사 패턴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 패턴 조절부는,
    상기 노즐 하우징의 내주면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세척수의 배출 방향과 직각되도록 상기 노즐 하우징의 내측에 연장 형성되는 구체 안착홈;
    상기 구체 안착홈의 지름에 대응하는 지름을 형성하는 원형의 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구체 안착홈에 안착되는 가변 구체;
    상기 구체 안착홈의 내측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가변 구체를 자성을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자성을 형성하며, 상기 구체 안착홈의 내측의 상단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전진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변 구체를 하강 이동시켜 상기 가변 구체의 하단이 상기 구체 안착홈으로부터 노출되도록 하고, 전진 이동 후 다시 후진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변 구체를 다시 상기 구체 안착홈의 내측으로 삽입 이동시켜 주는 구체 이동 블록;
    상기 구체 안착홈의 내측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구체 이동 블록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구체 이동 블록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블록 승강 실린더;
    상기 구체 안착홈의 하단 개구부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구체 안착홈으로부터 상기 가변 구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구체 안착홈의 입구로 하강 이동된 상기 가변 구체와 상기 구체 안착홈 간의 간격을 밀폐시켜 상기 구체 안착홈으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밀폐 오링; 및
    상기 구체 안착홈의 중단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가변 구체가 승강 이동시 상기 가변 구체와 상기 구체 안착홈 간의 간격을 밀폐시켜 상기 구체 안착홈으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밀폐 오링;을 포함하며,
    상기 구체 이동 블록은,
    후단의 상하 길이가 전단의 상하 길이보다 길도록 상기 가변 구체가 밀착되는 저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IoT 기반 완전 방수기능을 가진 밀폐형 간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판 하우징에 설치되어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IoT 기반 완전 방수기능을 가진 밀폐형 간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판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간판 하우징의 낙하를 감지하는 낙하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IoT 기반 완전 방수기능을 가진 밀폐형 간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판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간판 하우징 주변의 기상 데이터를 측정하는 기상 측정 센서; 및
    상기 조명 모듈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간판 진단 모듈;을 더 포함하는, IoT 기반 완전 방수기능을 가진 밀폐형 간판.
  5. 삭제
KR1020230095178A 2023-07-10 2023-07-21 IoT 기반 완전 방수기능을 가진 밀폐형 간판 KR102594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8912A KR102594379B1 (ko) 2023-07-10 2023-07-28 다기능 안전간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30089102 2023-07-10
KR1020230089102 2023-07-1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8912A Division KR102594379B1 (ko) 2023-07-10 2023-07-28 다기능 안전간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4376B1 true KR102594376B1 (ko) 2023-10-26

Family

ID=885087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5178A KR102594376B1 (ko) 2023-07-10 2023-07-21 IoT 기반 완전 방수기능을 가진 밀폐형 간판
KR1020230098912A KR102594379B1 (ko) 2023-07-10 2023-07-28 다기능 안전간판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8912A KR102594379B1 (ko) 2023-07-10 2023-07-28 다기능 안전간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9437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2036U (ko) * 2012-09-28 2014-04-07 주식회사 엠아이에스 간판 방수 구조
KR101705826B1 (ko) 2015-02-23 2017-02-10 김준열 방수몰딩형 입체 간판의 제조방법
KR101923940B1 (ko) * 2018-05-15 2018-12-03 (주)에스티씨네트웍스 화재연기센서에 의해 화재 감지 기능을 갖는 전광판
KR20200034049A (ko) * 2018-09-20 2020-03-3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시설물의 붕괴와 낙하 감지장치
KR102425732B1 (ko) * 2021-09-30 2022-07-29 주식회사 천일 재난 위험도 알림 표시판 및 재난 예·경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8133A (ja) * 1995-12-05 1997-06-17 Azuma Shokai:Kk 表示盤の清掃装置
KR20030088713A (ko) * 2002-05-14 2003-11-20 박일수 고소 설치 간판의 세척장치
KR20060134617A (ko) * 2005-06-23 2006-12-28 (주)아이멀티비젼 간판의 세척장치 및 그 장치가 장착된 차량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2036U (ko) * 2012-09-28 2014-04-07 주식회사 엠아이에스 간판 방수 구조
KR101705826B1 (ko) 2015-02-23 2017-02-10 김준열 방수몰딩형 입체 간판의 제조방법
KR101923940B1 (ko) * 2018-05-15 2018-12-03 (주)에스티씨네트웍스 화재연기센서에 의해 화재 감지 기능을 갖는 전광판
KR20200034049A (ko) * 2018-09-20 2020-03-3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시설물의 붕괴와 낙하 감지장치
KR102425732B1 (ko) * 2021-09-30 2022-07-29 주식회사 천일 재난 위험도 알림 표시판 및 재난 예·경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4379B1 (ko) 2023-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1144A (en) Security housing with motion detector
US8622561B2 (en) Covert security camera within a lighting fixture
KR102594376B1 (ko) IoT 기반 완전 방수기능을 가진 밀폐형 간판
CN109313282A (zh) 传感器的探测区域调整系统、自动门传感器、标记以及传感器的探测区域调整方法
CN109872658A (zh) 视觉显示系统和方法
CN109300319A (zh) 一种地埋式人行横道灯
CN205292234U (zh) 车顶遮板组件及车辆
CN209388608U (zh) 一种智能交互河长制公示牌及管理系统
CN206739015U (zh) Led灯板以及led灯板系统
KR101023531B1 (ko) 조명장치 일체형 방범카메라
KR102181857B1 (ko) 미세먼지 측정 지능형 가로보안등을 이용한 아파트 단지 내 미스트 경관등 시스템
MacCarley et al. Evaluation of video traffic sensors for intersection signal actuation: Methods and metrics
CN207537916U (zh) 警示柱及警示系统
KR102227390B1 (ko) 조도감지에 따른 자동조명시스템이 적용된 에어간판
CN116311741B (zh) 一种可检测环境光并自动调节灯光亮度的消防报警器
KR102030380B1 (ko) 스마트 조명 장치
US20100156767A1 (en) Electronic led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pattern on rotatable object
CN205900378U (zh) 一种触摸开关
CN220796042U (zh) 一种智能行人过街警示装置
CN216486808U (zh) 行人过街触摸装置
Liu Robust vehicle detection from parking lot images
CN221055965U (zh) 一种车载摄像头的淋雨试验设备
KR102243252B1 (ko) 멀티 라인 광고판
CN209691313U (zh) 交通展示装置
CN116834552A (zh) 适用于人车交互的智能显示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