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307B1 - 가로등형 스마트폴 - Google Patents

가로등형 스마트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307B1
KR102594307B1 KR1020220141752A KR20220141752A KR102594307B1 KR 102594307 B1 KR102594307 B1 KR 102594307B1 KR 1020220141752 A KR1020220141752 A KR 1020220141752A KR 20220141752 A KR20220141752 A KR 20220141752A KR 102594307 B1 KR102594307 B1 KR 102594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unit
installation hole
cover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1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정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정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정이엔지
Priority to KR1020220141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가로등형 스마트폴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면에 설치되는 기둥, 기둥의 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설치구, 복수의 설치구 중 일부에 설치되며, 일단이 설치구에 삽입되어 기둥에 결합되는 암대 유닛, 복수의 설치구 중 나머지에 설치되어 설치구를 커버하는 커버 유닛 및 기둥의 측면에 형성되어 기둥 주변으로 조명을 제공하는 제1 조명 유닛을 포함하는 가로등형 스마트폴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가로등형 스마트폴{STREET LIGHT TYPE SMART POLE}
본 발명은 가로등형 스마트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 설치되는 시설물로는 가로등이나 신호등, 각종 표지판 및 교통정보 수집을 위한 카메라 등이 있다. 이러한 도로시설물 중 신호등, 각종 표지판 및 교통정보 수집을 위한 카메라 등의 교통시설물들은 도로 상에 위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어, 교차로나 건널목의 도로변 또는 도로 중앙에 설치되는 지주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상술한 도로시설물의 기능을 포함하며 현대인들의 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한 스마트 폴(smart pole) 설치되고 있다. 스마트 폴이란 사전적으로 다양한 최첨단 기능을 탑재한 기둥을 의미하며, 설치되는 위치나 수요에 따라 다르지만 CCTV 기능을 통한 도시 보안 관리 및 교통사고 등의 긴급사태 대응, 날씨 검측, 공공 와이파이 제공, 땅속에 매설된 센서를 통한 지진 감지, 5G 통신망으로의 기능, LED판넬을 통한 광고 등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92511호(2020.03.17.)
본 발명은 기둥의 단부에 형성되는 설치구에 암대 유닛이 삽입되어 기둥에 설치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암대 유닛이 기둥에 지지될 수 있으며, 기둥의 측면에 조명이 설치되어 주변에 조명을 제공할 수 있는 가로등형 스마트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면에 설치되는 기둥, 기둥의 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설치구, 복수의 설치구 중 일부에 설치되며, 일단이 설치구에 삽입되어 기둥에 결합되는 암대 유닛, 복수의 설치구 중 나머지에 설치되어 설치구를 커버하는 커버 유닛 및 기둥의 측면에 형성되어 기둥 주변으로 조명을 제공하는 제1 조명 유닛을 포함하는 가로등형 스마트폴이 제공된다.
설치구는 기둥의 단부에서 내측 폭이 외측 폭보다 넓게 형성되며, 기둥의 단부로부터 측면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암대 유닛은 일측이 설치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설치구에 삽입되어 기둥에 결합되는 결합 유닛 및 결합 유닛으로부터 연장되며 CCTV 유닛 및 조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되는 연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유닛은 일측이 기둥의 단부에서 설치구로 삽입 가능하도록 설치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설치구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삽입부 및 삽입부가 설치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기둥의 단부를 커버하도록 삽입부로부터 연장되어 기둥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의 하단에는 삽입부가 설치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부가 지지되도록 기둥에 삽입 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연장 유닛은 결합 유닛으로부터 서로 이격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 프레임 및 한 쌍의 연장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CCTV 유닛 및 조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 가능한 설치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유닛은 일측이 설치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설치구에 삽입되어 기둥에 결합되는 제1 커버부 및 제1 커버부가 설치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기둥의 단부를 커버하도록 제1 커버부로부터 연장되어 기둥에 결합되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부의 하단에는 제1 커버부가 설치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커버부가 지지되도록 기둥에 삽입 가능한 지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조명 유닛은 복수 개로 구성되며 기둥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기둥 주변으로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기둥에는 측면이 인입되어 복수의 제1 조명 유닛이 설치되는 인입부가 형성될 수 있고, 인입부는 서로 상이한 높이에서 기둥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상이한 방향을 향하도록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둥의 단부에 형성되는 설치구에 암대 유닛이 삽입되어 기둥에 설치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암대 유닛이 기둥에 지지될 수 있으며, 기둥의 측면에 조명이 설치되어 주변에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형 스마트폴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형 스마트폴의 암대 유닛 및 커버 유닛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형 스마트폴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형 스마트폴의 기둥 및 제1 조명 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형 스마트폴의 암대 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형 스마트폴의 기둥 단부 및 커버 유닛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형 스마트폴(100)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면에 설치되는 기둥(110), 기둥(110)의 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설치구(112), 복수의 설치구(112) 중 일부에 설치되며, 일단이 설치구(112)에 삽입되어 기둥(110)에 결합되는 암대 유닛(120), 복수의 설치구(112) 중 나머지에 설치되어 설치구(112)를 커버하는 커버 유닛(150) 및 기둥(110)의 측면에 형성되어 기둥(110) 주변으로 조명을 제공하는 제1 조명 유닛(160)을 포함하는 가로등형 스마트폴(100)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의 가로등형 스마트폴(100)은 기둥(110)의 단부에 형성되는 설치구(112)에 암대 유닛(120)이 삽입되어 기둥(110)에 설치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암대 유닛(120)이 기둥(110)에 지지될 수 있으며, 기둥(110)의 측면에 조명이 설치되어 주변에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암대 유닛(120)에는 제2 조명 유닛(170) 및 CCTV 유닛(180)이 설치되어 본 실시예 주변에 조명을 제공하고 주변 상황을 촬영할 수도 있으며, 기둥(110)에 전기차 충전을 위한 전기차 충전 유닛(190)이 설치되어 전기차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형 스마트폴(1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가로등형 스마트폴(100)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지면에 설치된 기둥(110), 기둥(110)의 측면에 설치된 복수의 제1 조명 유닛(160), 기둥(110)의 단부에 설치된 암대 유닛(120) 및 커버 유닛(150)이 나타나 있다.
도 2는 스마트폴의 암대 유닛(120) 및 커버 유닛(150)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기둥(110)의 단부에 형성된 설치구(112)로부터 암대 유닛(120) 및 커버 유닛(150)이 분해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3은 가로등형 스마트폴(100)의 측면도이며, 암대 유닛(120) 및 커버 유닛(150)이 기둥(110)에 삽입된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제1 조명 유닛(160)과 기둥(110)에 제1 조명 유닛(160)이 설치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암대 유닛(120)의 상세 구조, 도 6은 기둥(110) 단부 및 커버 유닛(150)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10)은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지면의 상태에 따라서 지면에 베이스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 위에 기둥(110)이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구(112)는 기둥(110)의 단부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치구(112)는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된 기둥(110)의 단부 각 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설치구(112)는 기둥(110)의 단부에서 내측 폭이 외측 폭보다 넓게 형성되며, 기둥(110)의 단부로부터 측면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대 유닛(120) 및 커버 유닛(150)은 기둥(110)의 단부, 즉 설치구(112)의 상측에서 삽입되어 기둥(1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대 유닛(120)은 복수의 설치구(112) 중 일부에 설치되며, 일단이 설치구(112)에 삽입되어 기둥(110)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암대 유닛(120)은 일측이 설치구(11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설치구(112)에 삽입되어 기둥(110)에 결합되는 결합 유닛(130) 및 결합 유닛(130)으로부터 연장되며 CCTV 유닛(180) 및 조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되는 연장 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합 유닛(130)은 일측이 기둥(110)의 단부에서 설치구(112)로 삽입 가능하도록 설치구(11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설치구(112)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삽입부(132) 및 삽입부(132)가 설치구(112)에 삽입된 상태에서 기둥(110)의 단부를 커버하도록 삽입부(132)로부터 연장되어 기둥(110)에 결합되는 결합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13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의 (a)에 나타난 설치구(112)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일측의 폭이 타측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폭이 넓은 부분이 기둥(110)의 내측으로 배치되도록 설치구(112)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삽입부(132)는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설치구(112)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기둥(1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32)의 하단에는 삽입부(132)가 설치구(1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부(132)가 지지되도록 기둥(110)에 삽입 가능한 삽입홈(134)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암대 유닛(120)은 상술한 설치구(112) 및 삽입부(132)의 구조에 따른 지지력과 함께 삽입부(132)에 형성된 삽입홈(134)이 기둥(110)에 삽입되어 발생하는 지지력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기둥(110)에 지지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유닛(140)은 결합 유닛(130)으로부터 서로 이격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 프레임(142) 및 한 쌍의 연장 프레임(142) 사이에 배치되어 CCTV 유닛(180) 및 조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 가능한 설치 박스(144)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연장 프레임(142)은 일단이 결합 유닛(130)에 결합되며 서로 이격되어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연장 프레임(142) 사이에는 CCTV 유닛(180) 및 조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 가능한 설치 박스(144)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설치 박에서 설치된 CCTV 유닛(180) 및 조명(제2 조명 유닛(170))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기둥(110)으로부터 삽입부(132), 연장 프레임(142) 및 연장 박스 내부가 연결되며 전선 케이블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조명 유닛(170)은 연장 유닛(140)의 설치 박스(144)에 설치될 수 있으며, 기둥(110) 주변에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CCTV 유닛(180)도 연장 유닛(140)의 설치 박스(144)에 설치되어 기둥(110) 주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CCTV 유닛(180) 및 제2 조명 유닛(170)이 모두 설치되는 경우, 설치 박스(144)는 2 곳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설치 박스(144) 사이의 공간은 비워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연장 유닛(140) 상에 눈이나 기타 물건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자재를 적게 사용하여 비용을 줄이고 전체 중량을 줄여 보다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조명 유닛(170) 주변에는 조명 커버가 설치되어 제2 조명 유닛(170)을 보호함과 동시에 빛의 방향성을 제한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삽입부(132)에는 결합부(136)가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부(136)는 삽입부(132)가 설치구(112)에 삽입된 상태에서 기둥(110)의 내측으로 향하도록 연장되어 기둥(110)의 단부를 커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합부(136)에는 도 6의 (a)에 나타난 기둥(110)의 단면의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볼트가 삽입되어 암대 유닛(120)과 기둥(110)을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32)와 연장 유닛(140) 사이에는 지지부(138)가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138)는 연장 유닛(140)의 자중에 의해 연장 유닛(140)이 삽입부(132)로부터 이탈하거나 틸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유닛(150)은 복수의 설치구(112) 중 나머지에 설치되어 설치구(112)를 커버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커버 유닛(150)은 일측이 설치구(11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설치구(112)에 삽입되어 기둥(110)에 결합되는 제1 커버부(152) 및 제1 커버부(152)가 설치구(112)에 삽입된 상태에서 기둥(110)의 단부를 커버하도록 제1 커버부(152)로부터 연장되어 기둥(110)에 결합되는 제2 커버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부(152)의 하단에는 제1 커버부(152)가 설치구(1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커버부(152)가 지지되도록 기둥(110)에 삽입 가능한 지지홈(154)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커버 유닛(150)은 제1 커버부(152)와 설치구(112)의 구조에 의한 지지력과 지지홈(154)이 기둥(110)에 삽입되는 지지력을 통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기둥(110)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커버부(156)는 도 6의 (a)에 나타난 기둥(110)의 단면의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홀이 형성되어 볼트가 결합되어 기둥(110)과 커버 유닛(150)을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명 유닛(160)은 기둥(110)의 측면에 형성되어 기둥(110) 주변으로 조명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조명 유닛(160)은 복수 개로 구성되며 기둥(110)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기둥(110) 주변으로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10)에는 측면이 인입되어 복수의 제1 조명 유닛(160)이 설치되는 인입부(11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인입부(114)는 서로 상이한 높이에서 기둥(110)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상이한 방향을 향하도록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입부(114)는 양단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중앙부가 기둥(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인입부(114)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제1 조명 유닛(16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조명 유닛(160)은 서로 상이한 방향을 향하여 조명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인입부(114)에 제1 조명 유닛(160)이 설치되어 제1 조명 유닛(160)이 기둥(110)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외부의 충격을 받는 경우가 줄어들 수 있다.
한편, 제1 조명 유닛(160)은 단순히 조명을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상의 조명을 주변으로 제공하여 보행자가 바라보았을 때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조명 유닛(160)에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확산 플레이트(162)가 결합될 수 있으며, 광확산 플레이트(162)는 제1 조명 유닛(160)을 커버하여 제1 조명 유닛(160)으로부터 전달되는 빛을 확산시켜 어느 방향에서 본 실시예의 가로등형 스마트폴(100)을 바라보더라도 비슷한 조도의 조명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제1 조명 유닛(160)은 복수의 LED 소자가 기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각각의 LED 소자 사이에 배선이 되어 있고, 도 5의 (a)에 도시된 제2 조명 유닛(170)은 기판에 복수의 LED 소자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제1 조명 유닛(160) 및 제2 조명 유닛(170)의 발광 소자의 종류 및 발광 소자의 배치는 제조 용이성, 설치 용이성 또는 단가 등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변경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차 충전 유닛(190)은 기둥(1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기둥(110) 주변에 주차된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으며, 기둥(110) 내부에 연결된 전력 케이블과 연결되어 전력을 제공받아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가로등형 스마트폴
110: 기둥
112: 설치구
114: 인입부
120: 암대 유닛
130: 결합 유닛
132: 삽입부
134: 삽입홈
136: 결합부
138: 지지부
140: 연장 유닛
142: 연장 프레임
144: 설치 박스
150: 커버 유닛
152: 제1 커버부
154: 지지홈
156: 제2 커버부
160: 제1 조명 유닛
162: 광확산 플레이트
170: 제2 조명 유닛
180: CCTV 유닛
190: 전기차 충전 유닛

Claims (10)

  1. 지면에 설치되는 기둥;
    상기 기둥의 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설치구;
    복수의 상기 설치구 중 일부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설치구에 삽입되어 상기 기둥에 결합되는 암대 유닛;
    복수의 상기 설치구 중 나머지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구를 커버하는 커버 유닛; 및
    상기 기둥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기둥 주변으로 조명을 제공하는 제1 조명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구는 상기 기둥의 단부에서 내측 폭이 외측 폭보다 넓게 형성되며, 상기 기둥의 단부로부터 상기 측면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암대 유닛은,
    일측이 상기 설치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설치구에 삽입되어 상기 기둥에 결합되는 결합 유닛; 및
    상기 결합 유닛으로부터 연장되며 CCTV 유닛 및 조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되는 연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유닛은,
    일측이 상기 기둥의 단부에서 상기 설치구로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설치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설치구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가 상기 설치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기둥의 단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삽입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기둥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의 하단에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설치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가 지지되도록 상기 기둥에 삽입 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 유닛은,
    일측이 상기 설치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설치구에 삽입되어 상기 기둥에 결합되는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1 커버부가 상기 설치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기둥의 단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1 커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기둥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부의 하단에는 상기 제1 커버부가 상기 설치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커버부가 지지되도록 상기 기둥에 삽입 가능한 지지홈이 형성되는, 가로등형 스마트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유닛은,
    상기 결합 유닛으로부터 서로 이격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 프레임; 및
    한 쌍의 상기 연장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CCTV 유닛 및 조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 가능한 설치 박스를 포함하는, 가로등형 스마트폴.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명 유닛은 복수 개로 구성되며 상기 기둥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기둥 주변으로 조명을 제공하는, 가로등형 스마트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에는 측면이 인입되어 복수의 상기 제1 조명 유닛이 설치되는 인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부는 서로 상이한 높이에서 기둥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상이한 방향을 향하도록 이격되어 형성되는, 가로등형 스마트폴.
KR1020220141752A 2022-10-28 2022-10-28 가로등형 스마트폴 KR102594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752A KR102594307B1 (ko) 2022-10-28 2022-10-28 가로등형 스마트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752A KR102594307B1 (ko) 2022-10-28 2022-10-28 가로등형 스마트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4307B1 true KR102594307B1 (ko) 2023-10-30

Family

ID=88557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1752A KR102594307B1 (ko) 2022-10-28 2022-10-28 가로등형 스마트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30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375Y1 (ko) * 2004-08-20 2004-11-15 박천돈 횡단보도용 가로등
KR101140316B1 (ko) * 2012-02-03 2012-05-02 (주)비에스아이조명 가로등
KR101676633B1 (ko) * 2016-05-16 2016-11-16 주식회사 창우 다기능 지주
KR101971820B1 (ko) * 2018-01-05 2019-04-23 주식회사 에스앤더블유 그린에너지 기반의 하이브리드 기능 폴 구조물
KR102092511B1 (ko) 2019-09-03 2020-03-23 주식회사 레젠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375Y1 (ko) * 2004-08-20 2004-11-15 박천돈 횡단보도용 가로등
KR101140316B1 (ko) * 2012-02-03 2012-05-02 (주)비에스아이조명 가로등
KR101676633B1 (ko) * 2016-05-16 2016-11-16 주식회사 창우 다기능 지주
KR101971820B1 (ko) * 2018-01-05 2019-04-23 주식회사 에스앤더블유 그린에너지 기반의 하이브리드 기능 폴 구조물
KR102092511B1 (ko) 2019-09-03 2020-03-23 주식회사 레젠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3916A (en) Modular safety light system
US3663808A (en) Illuminated safety curbing
WO2020151163A1 (zh) 一种发光地砖
ES2862377T3 (es) Plancha de señalización luminosa y sistema que puede utilizar una plancha de este tipo
KR102594307B1 (ko) 가로등형 스마트폴
KR100895722B1 (ko) 솔라 시선유도봉
CN111519559A (zh) 一种用于城市道路的多功能组合杆及其设计方法
US20060028808A1 (en) Light emitting diode roadway lighting system
KR102117199B1 (ko) 내부 열 및 습기 배출장치를 갖는 바닥형 보행 신호등
KR101007729B1 (ko) 다목적설치대
KR101975331B1 (ko) 횡단보도 조명시스템
KR102413819B1 (ko) 폴 베이스 안전시스템
KR101074743B1 (ko) 다 방향 장착이 가능한 다목적 가로등주
KR102597122B1 (ko) 가로등형 스마트폴
US8947264B2 (en) Structure for crosswalk providing both advertising effect and pedestrian safety
JP2005276772A (ja) 太陽電池照明装置
KR101036237B1 (ko)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
KR101139867B1 (ko) 시선 유도봉
KR102538617B1 (ko) 보조신호등을 갖는 교통신호장치
CN212452363U (zh) 一种用于城市道路的多功能组合杆
KR200462052Y1 (ko)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CN206352260U (zh) 一种透光水泥景观护栏
KR20110126385A (ko) 발광형 노면표시 겸용 케이블관로
WO2023152963A1 (ja) ポール及びポールユニット
KR20190078191A (ko)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횡단보도 신호등 연계형 발광블록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