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192B1 - 자동 채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채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192B1
KR102594192B1 KR1020220185094A KR20220185094A KR102594192B1 KR 102594192 B1 KR102594192 B1 KR 102594192B1 KR 1020220185094 A KR1020220185094 A KR 1020220185094A KR 20220185094 A KR20220185094 A KR 20220185094A KR 102594192 B1 KR102594192 B1 KR 102594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collection
collection bottle
water sampling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5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승 현 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결가치
(주) 자연과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결가치, (주) 자연과환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결가치
Priority to KR1020220185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1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1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with provision for splitting samples into por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31Sampling from special places
    • G01N2001/1043Sampling from special places from se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채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공 하수처리시설의 유입수를 멸균된 1리터 채수병에 곧바로 자동 채수할 수 있는 자동 채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채수장치는 내부에 소정 공간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맨홀 내의 하수를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된 하수를 안내하는 다수의 분배관과; 상기 분배관의 선단에 구비되고 소정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되어 하수의 유출을 제어하는 다수의 유출제어밸브와; 상기 유출제어밸브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유출제어밸브로부터 유출되는 하수가 담겨지는 다수의 채수병과; 상기 유출제어밸브의 하측에 상기 채수병을 고정시키는 채수병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채수병 고정수단은
상기 채수병이 세워진 채로 상기 채수병의 입구부가 슬라이딩방식으로 인입되어 고정되도록 가장자리에 중앙부분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파인 인입홈이 구비된 채수병 고정판과; 상기 채수병 고정판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채수병 고정판의 가장자리에 밀착될 때 상기 인입홈에 인입되어 상기 채수병의 입구부를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돌출되어 있는 채수병 가압판과; 상기 채수병 가압판과 상기 채수병 고정판을 밀착된 상태로 고정하는 힌지식 잠금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 채수장치{AUTOMATIC SEWAGE SAMPL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 채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공 하수처리시설의 유입수를 멸균된 1리터 채수병에 곧바로 자동 채수할 수 있는 자동 채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공 하수처리시설의 유입수의 수질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채수장치를 이용하여 일정량의 하수를 정기적으로 또는 필요할 때마다 수시로 채취하고 있다.
근래에는 작업자가 휴대형의 채수장치 또는 별도의 채수장치를 차량에 싣고 채수지점들을 직접 돌아다니면서 하수를 채취하는 대신에, 채수지점의 맨홀등에 자동으로 하수를 채취할 수 있는 자동 채수장치를 설치하여 인원 및 경비를 크게 감소시키고 있다.
종래의 자동 채수장치는 멸균되지 않은 별도의 채수통에 채수하기 때문에, 멸균된 1리터 규격의 채수병에 다시 담아 분석실에 보내다 보니 채수된 수질 시료의 신뢰성이 의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동 채수장치를 맨홀 내부에 설치하거나, 채수된 시료를 회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맨홀 내부로 내려가야 되는데, 맨홀 내부의 유해가스를 미리 검출하여 알릴 수 있는 수단이 종래에는 구비되어 있지 않았다.
그리고, 채수가 잘되고 있는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가 없기 때문에, 문제 발생시 즉각 조치가 어렵고 채수 완료 후에나 조치가 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528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538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자동 채수장치에서 발생될 수 있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멸균된 규격 채수병에 직접 하수를 채수하여 수질 시료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규격 채수병의 장착 및 교체가 용이한 자동 채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맨홀 내부의 유해가스를 미리 검출하여 확인할 수 있고, 맨홀 내부의 하수 수위 조건을 실시간 검출하여 관리함으로써 하수 분석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자동 채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구동모드를 제어하고, 실시간 확인하여 문제발생시 즉각적으로 조치할 수 있는 자동 채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채수장치는 내부에 소정 공간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맨홀 내의 하수를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된 하수를 안내하는 다수의 분배관과; 상기 분배관의 선단에 구비되고 소정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되어 하수의 유출을 제어하는 다수의 유출제어밸브와; 상기 유출제어밸브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유출제어밸브로부터 유출되는 하수가 담겨지는 다수의 채수병과; 상기 유출제어밸브의 하측에 상기 채수병을 고정시키는 채수병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채수병 고정수단은
상기 채수병이 세워진 채로 상기 채수병의 입구부가 슬라이딩방식으로 인입되어 고정되도록 가장자리에 중앙부분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파인 인입홈이 구비된 채수병 고정판과; 상기 채수병 고정판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채수병 고정판의 가장자리에 밀착될 때 상기 인입홈에 인입되어 상기 채수병의 입구부를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돌출되어 있는 채수병 가압판과; 상기 채수병 가압판과 상기 채수병 고정판을 밀착된 상태로 고정하는 힌지식 잠금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채수병 고정판의 상기 인입홈 양측에 일정 길이만큼 수평하게 돌출되어 상기 인입홈의 파인 홈의 길이를 연장하고, 상기 인입홈에 인입된 상기 채수병의 입구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연장돌기와; 상기 채수병 가압판의 상기 가압돌기 양측에 상기 연장돌기가 인입되도록 일정 길이만큼 파인 연장돌기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입홈의 폭이 탄성적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인입홈의 저면에서부터 상기 채수병 고정판의 중앙부분을 향하여 일정 거리만큼 절개된 폭조절홈이 더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본체는 상기 펌프와 상기 분배관이 설치되고 양측에 상기 유출제어밸브가 배열되는 장착판이 내부에 위치되며, 배열된 상기 유출제어밸브에 대향되는 양측면에는 상기 유출제어밸브로부터 하수의 유출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관통된 유출확인공이 형성된 소정 부피를 갖는 본체상단과; 상부에 상기 채수병 고정판이 위치되고, 상기 채수병 고정판의 상기 인입홈에 대향되는 양측의 회전측벽은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회전측벽에는 상단에 상기 채수병 가압판이 구비되고 상기 인입홈에 인입된 상기 채수병의 채수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관통된 채수확인공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상단의 저부에 결합되는 소정 부피를 갖는 본체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가 다수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상단과 연이어 적층될 상기 본체하단을 결합하는 본체연결수단이 상기 본체상단과 상기 본체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에는 맨홀 내의 하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계와, 맨홀 내부에 유해 가스를 검출하는 유해가스 검출기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은 기성품인 멸균된 규격 채수병을 장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시료분석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시료채취시간이 절약되는 장점이 있으며, 규격 채수병의 장착 및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무선 단말기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하고, 실시간 구동모드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발생시 즉각적으로 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채수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 실시 예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분해도,
도 3은 도 1의 일 실시 예에서 채수병 고정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채수병 고정수단에 채수병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도 3의 채수병 고정수단에 채수병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 측면도,
도 6은 도 1의 일 실시 예가 연이어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채수장치의 제어블럭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채수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채수장치의 일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채수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채수장치는 맨홀 내에 구비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에 구비되어 맨홀 내의 하수를 펌핑하는 펌프(200) 및 펌핑된 하수를 안내하는 분배관(300)과, 분배관(300)의 선단에 구비되어 하수의 유출을 제어하는 유출제어밸브(400)와, 유출제어밸브(400) 하측에 위치되어 유출된 하수가 담겨지는 채수병(500)과, 채수병(500)을 고정하기 위한 채수병 고정수단(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채수병 고정수단(600)은 기성품인 멸균된 규격 채수병(500)을 용이하게 장착 또는 교체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채수병(500)이 세워진 채로 그 입구부(51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홈(611)이 형성된 채수병 고정판(610)과, 채수병 고정판(6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인입홈(611)에 인입된 채수병의 입구부(510)를 가압하는 가압돌기(621)가 형성된 채수병 가압판(620)과, 채수병 가압판(620)을 채수병 고정판(610)에 고정하는 힌지식 잠금구(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본체(100)는 취급이 용이하도록 무게를 최소화하기 위해 도금된 알루미늄판으로 제조되어 있다. 이러한 본체(100)는 펌프(200) 및 분배관(300), 유출제어밸브(400)가 설치되는 본체상단(110)과, 채수병 고정수단(600)이 구비된 본체하단(120)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개구된 본체상단(110)의 상면을 커버하는 덮개(130)가 구비되어 있다.
본체상단(110)과 본체하단(120)은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된 직육면체의 형태로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볼트에 의해 결합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분리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체상단(110) 내부에는 평탄한 장착판(111)이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장착판(111) 상면 일측에 펌프(200)가 설치되고 양측에 유출제어밸브(400)가 3개씩 총 6개가 구비되어 있다. 분배관(300)은 펌프(200)와 유출제어밸브(400)를 연결하며 장착판(111) 상면에 배열된다.
장착판(111)에 배열된 유출제어밸브(400)에 대향되는 본체상단(110) 양측면에는 유출제어밸브(400)로부터 하수의 유출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유출확인공(112)이 관통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체상단(110)과 본체하단(120)으로 이루어진 본체(100)는 필요에 따라 다수 적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럴 경우 본체하단(120)에 연결되는 다른 본체상단(110)은 덮개(130) 제거 후 결합된다.
두 개의 본체(100)가 연이어 적층되어 구비되면, 총 12개의 채수병(500)에 하수를 채수하여 운용 갯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적층된 본체(100)의 결합은 본체연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데, 본체연결수단은 채수병 고정수단으로서, 채수병 가압판(620)을 채수병 고정판(610)에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힌지식 잠금구(700)가 사용된다.
펌프(200)는 채수완료후 분배관(300) 내에 남아있는 하수를 제거하기 위한 역세척을 할 수 있도록 정역회전 펌프가 사용된다.
분배관(300)에는 배관 압력상승으로 인한 펌프(200) 및 유출제어밸브(400)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감압밸브(310)가 설치된다.
펌프(200)에는 하수를 흡입하기 위해 맨홀 내의 하수에 일단이 잠기어 펌프(200)에 연결된 흡입관(210)이 구비되어 있다.
유출제어밸브(400)는 소정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온(ON)/오프(OFF)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사용된다.
채수병(500)은 멸균된 기성품으로 1L, 2L, 4L규격이 있으며, 이중 1L 규격의 채수병이 사용되나, 2L, 4L 규격의 채수병도 사용가능하다.
멸균된 규격 채수병(500)은 상단에 소정 내경을 갖는 원통형의 입구부(510)가 상면에 돌출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나사산(511)이 형성되어 마개(520)가 회전결합된다.
채수병 고정수단(600)인 채수병 고정판(610)은 평탄한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체하단(120)에 수평하게 위치된다. 본체상단(110)의 유출제어밸브(400)에 대향되는 위치에 6개의 인입홈(611)이 양측에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는데, 인입홈(611)은 채수병(500)이 세워진 채로 입구부(51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입되도록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분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파인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인입홈(611)의 폭은 입구부(5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511)의 골지름에 상응한 거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입구부(510)가 나사골(512)을 따라 인입홈(611)에 인입되면서 나사골(512)보다 큰 외경을 갖는 나사선(511)에 의해 걸리어 인입홈(611)에 채수병이 1차 고정된다.
인입홈(611)의 양측에는 일정 길이만큼 수평하게 돌출된 연장돌기(612)가 형성되어 있다. 연장돌기(612)는 인입홈(611)의 파인 홈의 길이를 연장하고, 상측으로 절곡되어 있어 채수병의 입구부(5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인입홈(611)의 폭이 탄성적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인입홈(611)의 저면에 중앙부분을 향하여 일정 거리만큼 절개된 폭조절홈(6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면 입구부(510)는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채수병은 2차 고정된다.
채수병 가압판(620)은 평탄한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하단(120)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측벽(121)의 상단에 구비되어 있다.
채수병 가압판(620)에는 회전측벽(121)의 회전으로 채수병 고정판(610)에 밀착될 때, 인입홈(611)에 대향되는 위치에 가압돌기(621)가 돌출되어 있다. 가압돌기(621)는 인입홈(611)에 인입되어 입구부(510)를 가압함으로써 채수병은 3차 고정된다.
가압돌기(621)의 양측에는 인입홈(611) 양측의 연장돌기(612)가 인입되도록 일정 길이만큼 파인 연장돌기홈(62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회전측벽(121)에는 인입홈(611)에 인입된 채수병(500)의 채수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채수확인공(122)이 관통되어 있다.
힌지식 잠금구(700)는 채수병 가압판(620)이 회전되어 채수병 고정판(610)에 밀착되게 하기 위해, 채수병 가압판(620)이 구비된 회전측벽(120)을 회전시켜 본체하단(120)의 양측에 밀착고정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따라서, 힌지에 의해 회전되는 힌지편(710)과, 힌지편(710)의 선단이 걸리는 걸림돌기(720)로 이루어진 힌지식 잠금구(700)는 회전측벽(121)과 본체하단(120)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
본체(100)를 다수 적층하여 결합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본체연결수단으로 힌지식 잠금구(700)가 사용되며, 이때에는 힌지식 잠금구(700)의 힌지편(710)과 걸림돌기(720)가 연이어 연결되는 본체상단(110)과 본체하단(120)에 각각 구비된다.
본체(100)에는 맨홀 내의 하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계(800)와, 맨홀 내의 유해가스를 검출하는 유해가스 검출기(900)가 구비되어 있다.
수위계(800)는 레이저 또는 초음파를 이용한 비접촉식 수위계가 사용되고, 유해가스 검출기(900)는 황화가스를 검출하는 황화가스 검출기가 사용된다.
수위계(800)는 비, 눈에 의한 수위변화가 수질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수위 조건을 실시간 검출하여 관리함으로써 하수 분석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
유해가스 검출기(900)는 맨홀 내부로 작업자가 들어가기 전에 내부 사항을 확인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맨홀 내부환경 변화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자동채수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1000)가 구비된다.
제어부(1000)는 작업자가 직접적으로 구동데이터를 입력하는 스위치부(1100)와, 스위치부(1100)에 의해 입력된 구동데이터를 수신받아 펌프(200) 및 유출제어밸브(400)를 온(ON)/오프(OFF)시키는 메인프로세서(1200)와, 스위치부(1100)로부터 입력된 구동데이터를 출력하는 화면(1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제어부는 본체상단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유뮤선 통신망을 이용하는 유무선 단말기(PC, 핸드폰)(1400)에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하여 펌프 및 유출제어밸브를 온(ON)/오프(OFF)제어할 수 있다.
스위치부(1100)는 전원 온(ON)/오프(OFF) 스위치, 모드선택스위치, 선택완료 스위치, 설정값 상위 및 하위 조정 스위치, 구동시작 및 정지 스위치등이 있다.
화면(1300)에 표시되는 내용으로는 특정 자동채수장치의 시리얼 번호표시, 밧데리 전압표시, 유해가스 경고표시, 역세척표시, 하수 수위표시, 운용하는 총 채수병 갯수인 채널수 표시, 수동/자동 표시, 구동 및 정지 표시등이 있다.
모드선택스위치에 의해 선택하여 설정값을 조정할 수 있는 구동모드에는 수동/자동 전환모드, 펌프의 역세척 모드, 특정 자동채수장치의 아이디 넘버 선택모드, 구동예약시간 분단위 선택모드, 채수간격시간 분단위 선택모드, 펌프의 수동 역세척 구동시간 분단위 선택모드, 채수시간 초단위 선택모드, 수위센서 측정길이 선택모드, 수위경고값 설정 모드, 유해가스 경고값 설정모드, 6/12채널 선택 모드등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채수장치는 기성품인 멸균된 규격 채수병(500)을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종래에서처럼 별도의 용기에 하수를 채수한 다음 규격 채수병에 옮길 필요가 없다. 이로 인해, 시료채취시간이 절약되고, 시료분석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규격 채수병(500)의 장착이 채수병의 입구부(510)를 수평방향으로 끼우는 단순한 동작으로 이루어져 규격 채수병(500)의 장착 및 교체가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채수병 고정판(610)의 인입홈(611)에 끼워진 채수병의 입구부(510)는 입구부의 나사산(511), 상측으로 절곡되어 일정 길이 돌출된 연장돌기(612), 채수병의 입구부가 인입홈 내에서 탄성적으로 가압되도록 돕는 폭조절홈(613), 인입홈에 인입되는 채수병 가압판(620)의 가압돌기(621)등에 의해 견고히 고정된다.
이에, 하수의 채수과정에서 하수의 채워짐으로 야기될 수 있는 하중 변화에도 움직이지 않고 지정된 위치에 채수병의 입구부가 있게 된다. 따라서, 유출제어밸브로부터 유출되는 하수가 흘리지 않고 채수병에 채워진다.
한편, 본 발명은 유무선 단말기를 통해 구동모드를 간편하게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으며, 다양한 구동모드의 작동상태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문제 발생시 즉각 조치가 가능하게 된다.
100 : 본체 110 : 본체상단
120 : 본체하단 130 : 덮개
200 : 펌프 300 : 분배관
400 : 유출제어밸브 500 : 채수병
510 : 입구부 511 : 나사산
512 : 나사골 600 : 채수병 고정수단
610 : 채수병 고정판 611 : 인입홈
612 : 연장돌기 613 : 폭조절홈
620 : 채수병 가압판 621 : 가압돌기
622 : 연장돌기홈 700 : 힌지식 잠금구
800 : 수위계 900 : 유해가스 검출기
1000 : 제어부 1100 : 스위치부
1200 : 메인프로세스 1300 : 화면
1400 : 유무선 단말기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내부에 소정 공간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맨홀 내의 하수를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된 하수를 안내하는 다수의 분배관과;
    상기 분배관의 선단에 구비되고 소정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되어 하수의 유출을 제어하는 다수의 유출제어밸브와;
    상기 유출제어밸브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유출제어밸브로부터 유출되는 하수가 담겨지는 다수의 채수병과;
    상기 유출제어밸브의 하측에 상기 채수병을 고정시키는 채수병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채수병 고정수단은
    상기 채수병이 세워진 채로 상기 채수병의 입구부가 슬라이딩방식으로 인입되어 고정되도록 가장자리에 중앙부분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파인 인입홈이 구비된 채수병 고정판과;
    상기 채수병 고정판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채수병 고정판의 가장자리에 밀착될 때 상기 인입홈에 인입되어 상기 채수병의 입구부를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돌출되어 있는 채수병 가압판과;
    상기 채수병 가압판과 상기 채수병 고정판을 밀착된 상태로 고정하는 힌지식 잠금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채수병 고정판의 상기 인입홈 양측에 일정 길이만큼 수평하게 돌출되어 상기 인입홈의 파인 홈의 길이를 연장하고, 상기 인입홈에 인입된 상기 채수병의 입구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연장돌기와;
    상기 채수병 가압판의 상기 가압돌기 양측에 상기 연장돌기가 인입되도록 일정 길이만큼 파인 연장돌기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입홈의 폭이 탄성적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인입홈의 저면에서부터 상기 채수병 고정판의 중앙부분을 향하여 일정 거리만큼 절개된 폭조절홈이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본체는
    상기 펌프와 상기 분배관이 설치되고 양측에 상기 유출제어밸브가 배열되는 장착판이 내부에 위치되며, 배열된 상기 유출제어밸브에 대향되는 양측면에는 상기 유출제어밸브로부터 하수의 유출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관통된 유출확인공이 형성된 소정 부피를 갖는 본체상단과;
    상부에 상기 채수병 고정판이 위치되고, 상기 채수병 고정판의 상기 인입홈에 대향되는 양측의 회전측벽은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회전측벽에는 상단에 상기 채수병 가압판이 구비되고 상기 인입홈에 인입된 상기 채수병의 채수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관통된 채수확인공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상단의 저부에 결합되는 소정 부피를 갖는 본체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가 다수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상단과 연이어 적층될 상기 본체하단을 결합하는 본체연결수단이 상기 본체상단과 상기 본체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에는 맨홀 내의 하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계와, 맨홀 내부에 유해 가스를 검출하는 유해가스 검출기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채수병 고정판의 상기 연장돌기는 상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채수장치.
KR1020220185094A 2022-12-26 2022-12-26 자동 채수장치 KR102594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5094A KR102594192B1 (ko) 2022-12-26 2022-12-26 자동 채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5094A KR102594192B1 (ko) 2022-12-26 2022-12-26 자동 채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4192B1 true KR102594192B1 (ko) 2023-10-26

Family

ID=88508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5094A KR102594192B1 (ko) 2022-12-26 2022-12-26 자동 채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192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4060U (ko) * 1985-02-26 1986-09-05
US5358128A (en) * 1993-11-22 1994-10-25 Paul Belokin Bottle rack for refrigerated display
KR101515385B1 (ko) 2014-12-12 2015-04-28 (주)지산종합기술 맨홀삽입형 자동회전 채수장치
KR101586650B1 (ko) * 2015-01-23 2016-01-19 주식회사 우리소재 오염 감시용 채수시스템
KR101597723B1 (ko) * 2014-09-04 2016-02-29 트라이콤텍 주식회사 맨홀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1700333B1 (ko) * 2016-08-18 2017-02-13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맨홀용 자동 채수 장치
KR101795286B1 (ko) 2016-07-18 2017-12-01 김시원 맨홀삽입형 자동채수장치
CN207231847U (zh) * 2017-09-18 2018-04-13 李光鑫 一种环境监察用污水采样器
CN111474009A (zh) * 2020-05-15 2020-07-31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全自动控制分时段水样采集装置
CN217819542U (zh) * 2022-07-08 2022-11-15 厦门斯坦道科学仪器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采样器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4060U (ko) * 1985-02-26 1986-09-05
US5358128A (en) * 1993-11-22 1994-10-25 Paul Belokin Bottle rack for refrigerated display
KR101597723B1 (ko) * 2014-09-04 2016-02-29 트라이콤텍 주식회사 맨홀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1515385B1 (ko) 2014-12-12 2015-04-28 (주)지산종합기술 맨홀삽입형 자동회전 채수장치
KR101586650B1 (ko) * 2015-01-23 2016-01-19 주식회사 우리소재 오염 감시용 채수시스템
KR101795286B1 (ko) 2016-07-18 2017-12-01 김시원 맨홀삽입형 자동채수장치
KR101700333B1 (ko) * 2016-08-18 2017-02-13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맨홀용 자동 채수 장치
CN207231847U (zh) * 2017-09-18 2018-04-13 李光鑫 一种环境监察用污水采样器
CN111474009A (zh) * 2020-05-15 2020-07-31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全自动控制分时段水样采集装置
CN217819542U (zh) * 2022-07-08 2022-11-15 厦门斯坦道科学仪器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采样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245C (zh) 自动分析装置和显示方法
US7823744B2 (en) Storage container for water-endangering liquids
KR20100008809A (ko) 원격 자동 수질 감시시스템
KR20100042125A (ko) 유출 빗물 자동채집기
KR102594192B1 (ko) 자동 채수장치
KR101267987B1 (ko) 수질 시료 무인 채취 장치 및 채취 방법
KR100836276B1 (ko) 자동 채수기
KR100649109B1 (ko) 자동 채수기
CN109541246A (zh) 一种全自动尿液分析仪
CN109211620B (zh) 变压器绝缘油取样装置
US20050236045A1 (en) Leak container for fuel dispenser
CN115508152B (zh) 一种水质重金属分析仪
US4166392A (en) Automatic water/sewer sampler
CN110641629A (zh) 一种用于黑臭地表水水体的自动检测无人船
RU2009119457A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аналитического контроля жидких проб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истемой
JP3307115B2 (ja) 管用自動液体・気体試料採取装置
CN216791761U (zh) 一种针对取液计量用计量检测装置
CN206965759U (zh) 吸水树脂吸水倍率测试专用烧杯
CN216738223U (zh) 一种油水分离回收系统
CN207557235U (zh) 环境监控自动监测站
CN215115328U (zh) 一种便携式水质生物污染检测设备
CN218036705U (zh) 一种氨水浓度旁线检测装置
CN211893585U (zh) 一种用于黑臭地表水水体的自动检测无人船
CN217639001U (zh) 城镇饮用水重金属元素的检测设备
CN214427420U (zh) 水质及水量自动检测装置、自动测报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