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147B1 - 자성체를 구비한 누수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자성체를 구비한 누수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147B1
KR102594147B1 KR1020220117045A KR20220117045A KR102594147B1 KR 102594147 B1 KR102594147 B1 KR 102594147B1 KR 1020220117045 A KR1020220117045 A KR 1020220117045A KR 20220117045 A KR20220117045 A KR 20220117045A KR 102594147 B1 KR102594147 B1 KR 102594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attery
water leak
housing
de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7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광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씨솔루션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씨솔루션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씨솔루션글로벌
Priority to KR1020220117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1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01M3/243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for pi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23Supports, positioning or alignment in fixed situ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26Scanned objects
    • G01N2291/263Surfaces
    • G01N2291/2634Surfaces cylindrical from out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배관에서 발생하는 진동 음파에 의거하여 배관의 누수를 검출하는 누수센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배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을 상기 배관에 장착하는 마운터; 및 상기 마운터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을 자력에 의해 상기 배관에 고정하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자성체를 구비한 누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성체를 구비한 누수 검출 장치{WATER LEAK DETECTION DEVICE WITH MAGNETIC MATERIAL}
본 발명은 자성체를 구비한 누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매년 물의 사용은 날로 증가되고 있다. 물을 공급하기 위한 배관은 일반적으로 지하에 매설되는데, 매설된 배관은 충격, 노후화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누수가 발생한다. 누수 발생 지점을 찾기 위하여 많은 노력과 연구가 있어 왔지만, 여전히 누수가 발생하는 지점을 정확히 찾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현재 지하메 매설된 배관에서 누수가 발생한 지점을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은 음향 검출법, 상관식 탐지법 등이 있다.
여기서, 상관식 탐지법은 지하에 매설된 배관의 양측에 각각 누수 진동 음파를 센싱하는 한 쌍의 누수 검출 장치를 설치하고, 배관의 누수 지점에서 누수 진동 음파가 발생하는 경우, 배관의 누수 지점으로부터 각각 한 쌍의 누수 검출 장치에 마련된 누수센서로 도달한 누수 진동 음파의 시간 차이를 통해 배관의 누수 지점을 산출하는 것이다. 여기서, 누수센서는 누수 검출 장치의 하우징에 내장되고, 하우징에는 누수센서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내장된다.
종래기술은 지상에서 누수 검출 장치를 지하에 매설된 배관에 설치하는 경우, 지상에서 누수 검출 장치를 와이어에 연결한 후, 와이어를 이용하여 누수 검출 장치를 지하에 매설된 배관으로 내리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은 지상에서 누수 검출 장치가 지하에 매설된 배관으로 내려질때, 누수 검출 장치가 지하에 매설된 배관에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5570호(2004.06.2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에 매설된 배관에 쉽게 고정할 수 있는 자성체를 구비한 누수 검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구비한 누수 검출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배관에서 발생하는 진동 음파에 의거하여 배관의 누수를 검출하는 누수센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배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을 상기 배관에 장착하는 마운터; 및 상기 마운터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을 자력에 의해 상기 배관에 고정하는 자성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운터는 상기 배관의 외주 일 영역에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체는 복수로 마련되고, 복수의 상기 자성체는 상기 안착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체는 상기 안착부가 안착되는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에 마련되어, 상기 안착부를 상기 배관에 접합하는 접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누수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마운터에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설정된 기준값 이하일 경우, 상기 배터리를 긴급 충전하도록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이머전시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와 상기 이머전시 배터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이머전시 배터리의 전력을 무선으로 상기 배터리에 전송하는 전력 전송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의 잔량을 측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설정된 기준값 이하일 경우, 상기 이머전시 배터리의 전력이 상기 배터리로 전송되도록 상기 전력 전송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전송 모듈은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신 코일; 및 상기 마운터에 마련되어, 상기 이머전시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이머전시 배터리의 전력을 상기 수신 코일로 전송하는 송신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구비한 누수 검출 장치는 지하에 매설된 배관에 쉽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구비한 누수 검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구비한 누수 검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구비한 누수 검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구비한 누수 검출 장치가 지상으로부터 지하에 매설된 배관으로 내려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구비한 누수 검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구비한 누수 검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구비한 누수 검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구비한 누수 검출 장치는 하우징(10), 누수센서(20), 커넥터(30), 마운터(140) 및 자성체(15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속이 빈 사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은 원기둥 형상의 하우징(10)의 내부 공간보다 그 크기가 더 크다. 따라서, 하우징(10)의 내부에 더욱 많은 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배터리(60), 통신부(70), 제어부(80), 결합 플레이트(12), 누수센서(20) 및 고정 플레이트(14)가 내장될 수 있고, 하우징(10)의 외부에는 커넥터(30), 안테나(40), 실링부재(50) 및 마운터(140)가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60)는 결합 플레이트(12)에 마련되어, 통신부(70), 누수센서(20) 및 제어부(8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60)는 각형 전지나 파우치형 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배터리(60)는 이머전시 배터리(17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통신부(70)는 결합 플레이트(12)에 마련되어, 누수센서(20)에서 검출한 누수 데이터를 제어부(8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통신부(70)는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4G, 5G, 6G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하우징(10)에 마련되어, 배터리(60)의 잔량을 측정하고, 배터리(60)의 잔량이 설정된 기준값 이하일 경우, 이머전시 배터리(170)의 전력이 배터리(60)로 전송되도록 후술할 전력 전송 모듈(18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어, 기준값은 배터리(60)의 최대 충전량의 20%일 수 있으며, 이를 적용하면, 제어부(80)는 배터리(60)의 잔량이 배터리(60)의 최대 충전량의 20% 이하일 경우, 이머전시 배터리(170)의 전력이 배터리(60)로 전송되도록 후술할 전력 전송 모듈(18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결합 플레이트(12)에 마련되며, 누수센서(20)에서 검출한 누수 데이터를 통신부(70)를 통해 수신받아 커넥터(3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어부(80)는 누수센서(20)와 통신부(70)의 작동 여부와 고장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80)는 누수센서(20)와 통신부(70)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 알람음을 방출할 수 있다
결합 플레이트(12)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마련되어, 하우징(10)의 내부에 배터리(60), 통신부(70), 제어부(80) 및 누수센서(2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들어, 결합 플레이트(12)의 상면에는 배터리(60), 통신부(70) 및 제어부(80)가 결합될 수 있고, 결합 플레이트(12)의 하면에는 센서 플레이트(22)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 플레이트(12)의 외측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하우징(10)의 내측 둘레에는 결합 플레이트(12)의 외측 둘레의 나사산이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됨에 따라, 결합 플레이트(12)가 하우징(1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누수센서(2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마련되어, 배관(4)에서 발생하는 진동 음파에 의거하여 배관(4)의 누수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누수센서(20)는 센서 플레이트(22)와 피에조 소자(24)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플레이트(22)는 피에조 소자(24)를 지지하며, 결합 플레이트(12)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센서 플레이트(22)의 상면 중앙에는 피에조 소자(24)가 지지될 수 있고, 센서 플레이트(22)의 상면 테두리는 결합 플레이트(12)에 결합될 수 있다.
센서 플레이트(22)의 외측 둘레와 하우징(10)의 내면 사이에는 기밀을 위한 오링(26)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플레이트(22)의 외측 둘레에는 오링(26)이 삽입되기 위한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피에조 소자(24)는 배관(4)에서 발생하는 진동 음파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들어, 피에조 소자(24)는 평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며, 평판 외에도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4)는 하우징(10)에 결합되며 누수센서(20)가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플레이트(14)는 하우징(10)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고정 플레이트(14)의 상면에는 누수센서(20)가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플레이트(14)의 하면에는 마운터(140)에 자력 결합되기 위한 마그넷(90)이 마련될 수도 있다.
커넥터(30)는 하우징(10)의 일 영역에 결합되며 제어부(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30)는 누수센서(20)에서 검출한 누수 데이터를 통신부(70)와 제어부(80)를 통해 수신받아 안테나(40)로 전달할 수 있다.
안테나(40)는 커넥터(30)에 결합되며, 누수센서(20)로부터 커넥터(30)를 통해 수신받은 누수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들어, 안테나(40)는 누수 데이터를 외부의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이후, 누수 데이터는 외부의 서버와 연결된 디스플레이나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수치화 그래프나, 누수 유무 여부 방식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실링부재(50)는 하우징(10)과 커넥터(30) 사이의 틈새를 실링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실링부재(50)는 실리콘 재질 또는 고무 재질을 포함하며, 하우징(10)과 커넥터(30) 사이의 틈새에 발포체 상태로 충진될 수 있다. 실링부재(50)는 하우징(10)과 커넥터(30) 사이의 틈새에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하우징(10)의 내부에 마련된 누수센서(20)에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는 돌출부(16), 돌출부 커버(100), 보조 실링부재(110), 플레이트 커버(120) 및 견인볼트(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6)는 커넥터(30)가 수용되며 하우징(10)으로부터 환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16)와 커넥터(30) 사이에는 돌출부(16)에 커넥터(30)를 고정하는 결합편(32)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실링부재(50)는 돌출부(16)와 커넥터(3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돌출부 커버(100)는 돌출부(16)와 커넥터(30) 사이를 기밀 유지하며 돌출부(16)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 커버(100)는 돌출부(16)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조 실링부재(110)는 하우징(10)과 고정 플레이트(14) 사이의 틈새를 실링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조 실링부재(110)는 실리콘 재질 또는 고무 재질을 포함하며, 하우징(10)과 고정 플레이트(14) 사이의 틈새에 발포체 상태로 충진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실링부재(110)는 하우징(10)과 고정 플레이트(14) 사이에 기물을 유지하며 마련되어, 하우징(10)과 고정 플레이트(14) 사이의 틈새를 통해 하우징(10)내부로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하우징(10)의 내부에 마련된 누수센서(20)에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것이다.
플레이트 커버(120)는 하우징(10)에 결합될 수 있다.
견인볼트(130)는 하우징(10)에 결합되며, 견인 와이어(2)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들어, 견인볼트(130)는 누수를 검출할 배관(4)이 지하에 매설된 경우에 누수 검출 장치를 누수를 검출할 배관(4)으로 안전하게 접근시키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누수를 검출할 배관(4)이 지하에 매설된 경우, 견인볼트(130)에 견인 와이어(2)를 결합한 후, 견인 와이어(2)의 권취 해제를 통해 누수 검출 장치를 지하에 매설된 배관(4)으로 접근 및 접촉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견인볼트(13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아이볼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30)와 견인볼트(130)는 하우징(10)의 동일 평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들어, 커넥터(30)와 견인볼트(130)는 하우징(10)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마운터(140)는 하우징(10)과 배관 사이에 마련되어, 하우징(10)을 배관(4)에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 마운터(140)는 배관(4)의 외주 일 영역에 안착되는 안착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안착부(142)는 배관(4)의 외주 일 영역에 쉽게 안착되도록 배관(4)의 외주 일 영역에 대응하는 원호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안착부(142)는 마운터(140)의 하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운터(140)의 내부에는 자성체(150), 이머전시 배터리(160) 및 송신 코일(174)이 각각 교체 가능하게 삽입되며, 마운터(140)에 수용된 자성체(150), 이머전시 배터리(160) 및 송신 코일(174)을 커버하는 도어(144)가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어(144)를 개방하여, 마운터(140)에 수용된 자성체(150), 이머전시 배터리(160) 및 송신 코일(174)의 유지보수를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자성체(150)는 마운터(140)에 마련되어, 하우징(10)을 자력에 의해 배관(4)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들어, 자성체(150)는 영구 자석 또는 네오디뮴 자석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배관(4)은 자력 결합이 가능한 철강 재질의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성체(150)는 복수로 마련되고, 복수의 자성체(150)는 안착부(142)에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복수의 자성체(150)는 안착부(142)가 안착되는 배관(4)의 외주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성체(150)는 안착부(142)가 안착되는 배관(4)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자성체(150)에서는 안착부(142)가 안착되는 배관(4)의 길이방향 소정 영역을 따라 자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안착부(142)가 배관(4)의 외주 일 영역에 안착될 때, 자성체(150)에서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안착부(142)가 배관(4)의 길이방향으로 정렬 및 안착될 수 있다.
추가로, 복수의 자성체(150)가 안착부(142)가 안착되는 배관(4)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안착부(142)가 배관(4)의 외주 일 영역에 안착될 때, 복수의 자성체(150)에서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안착부(142)가 배관(4)의 길이방향으로 더욱 강하게 정렬 및 안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구비한 누수 검출 장치는 이머전시 배터리(160) 및 전력 전송 모듈(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머전시 배터리(160)는 마운터(140)에 마련되어, 배터리(60)의 잔량이 설정된 기준값 이하일 경우, 배터리(60)를 긴급 충전하도록 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전력 전송 모듈(170)은 배터리(60)와 이머전시 배터리(160) 사이에 마련되어, 이머전시 배터리(160)의 전력을 무선으로 배터리(60)에 전송하여서, 배터리(60)를 무선 충전 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이머전시 배터리(160)은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배터리(60)의 잔량이 설정된 기준값 이하일 경우, 이머전시 배터리(160)의 전력을 무선으로 배터리(60)에 전송할 수 있다.
전력 전송 모듈(170)은 수신 코일(172) 및 송신 코일(174)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코일(172)은 하우징(10)에 마련되어, 배터리(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송신 코일(174)은 마운터(140)에 마련되어, 이머전시 배터리(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머전시 배터리(160)의 전력을 수신 코일(172)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 코일(174)은 전자기 유도 방식을 통해 이머전시 배터리(160)의 전력을 수신 코일(172)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이머전시 배터리(160)로부터 송신 코일(174)로 전력이 공급되면, 송신 코일(174)에 자기장이 발생하고, 이러한 자기장과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비 방사형 전자기파에 의해 수신 코일(172)에 유도 전류가 생성되며, 이러한 유도 전류에 의해 배터리(60)가 무선 충전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구비한 누수 검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구비한 누수 검출 장치가 지상으로부터 지하에 매설된 배관(4)으로 내려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구비한 누수 검출 장치는 일 실시예와 달리, 한 쌍의 날개부(146) 및 한 쌍의 슬립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날개부(146)는 안착부(142)의 양측으로부터 경사진 형태로 각각 연장 될 수 있으며, 지상에서 누수 검출 장치의 견인볼트(130)에 결합된 견인 와이어(2)를 권취해제하여 누수 검출 장치를 지하에 매설된 배관(4)에 접근시킬 때, 안착부(142)를 배관(4)의 외주 일 영역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누수 검출 장치의 견인볼트(130)에 결합된 견인 와이어(2)를 권취해제하여 지하에 매설된 배관(4)에 접근시킬 때, 누수 검출 장치가 지하에 매설된 배관(4)의 옆으로 접근된 경우, 배관(4)의 옆면에 접하는 하나의 날개부(146)를 배관(4)의 외주를 따라 이동시켜서, 한 쌍의 날개부(146) 사이에 위치하는 안착부(142)를 배관(4)의 외주 일 영역으로 안내할 수 있다. (도 4 참조)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누수 검출 장치가 지하에 매설된 배관(4)의 옆으로 접근된 경우에도, 날개부(146)를 배관(4)의 외주를 따라 이동시켜서, 안착부(142)를 배관(4)의 외주 일 영역에 쉽게 안내 및 안착시킬 수 있다.
한 쌍의 슬립부(180)는 각각 한 쌍의 날개부(146)의 하면에 마련되며, 날개부(146)가 배관(4)의 외주를 따라 이동될 ‹š, 날개부(146)와 배관(4) 간의 마찰을 저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 참조)
슬립부(18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구비한 누수 검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구비한 누수 검출 장치는 일 실시예와 달리, 접합층(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접합층(190)은 안착부(142)에 마련되어, 안착부(142)를 배관(4)에 접합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접합층(190)은 양면 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성체(150)와 배관(4)의 자력 결합과 접합층(190)과 배관(4)의 접합에 의해 누수 검출 장치가 배관(4)에 이중으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구비한 누수 검출 장치가 지하에 매설된 배관(4)의 누수를 검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지상에서 누수 검출 장치의 견인볼트(130)에 견인 와이어(2)를 결합한다. 이때, 견인 와이어(2)는 권양기로부터 권취 또는 권취 해제될 수 있다.
다음으로, 권양기로부터 견인 와이어(2)를 권취 해제하여 누수 검출 장치를 지하에 매설된 배관(4)으로 접근시킨다. 이때, 누수 검출 장치가 지하에 매설된 배관(4)의 옆에 접근된 경우, 배관(4)의 옆면에 접하는 하나의 날개부(146)를 배관(4)의 외주를 따라 이동시켜서, 한 쌍의 날개부(146) 사이에 위치하는 안착부(142)를 배관(4)의 외주 일 영역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어서, 마운터(140)에 마련된 자성체(150)에 의해 마운터(140)의 안착부(142)가 배관(4)의 외주 일 영역에 자력 결합되어 쉽게 고정된다.
이 후, 누수센서(20)가 배관(4)에서 발생하는 진동 음파에 의거하여 배관(4)의 누수를 검출하고, 안테나(40)가 누수센서(20)로부터 커넥터(30)를 통해 수신받은 누수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한다.
이러한 과정이 이루어질 때, 제어부(80)는 배터리(60)의 잔량을 측정하고, 배터리(60)의 잔량이 설정된 기준값 이하일 경우, 이머전시 배터리(160)의 전력이 배터리(60)로 전송되도록 전력 전송 모듈(170)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구비한 누수 검출 장치는 지하에 매설된 배관(4)에 쉽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2: 견인 와이어
4: 배관
10: 하우징
12: 결합 플레이트
14: 고정 플레이트
16: 돌출부
20: 누수센서
22: 센서 플레이트
24: 피에조 소자
26: 오링
30: 커넥터
32: 결합편
40: 안테나
50: 실링부재
60: 배터리
70: 통신부
80: 제어부
90: 마그넷
100: 돌출부 커버
110: 보조 실링부재
120: 플레이트 커버
130: 견인볼트
140: 마운터
142: 안착부
144: 도어
146: 날개부
150: 자성체
160: 이머전시 배터리
170: 전력 전송 모듈
172: 수신 코일
174: 송신 코일
180: 슬립부
190: 접합층

Claims (8)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배관에서 발생하는 진동 음파에 의거하여 배관의 누수를 검출하는 누수센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배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을 상기 배관에 장착하고, 상기 배관의 외주 일 영역에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마운터;
    상기 마운터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을 자력에 의해 상기 배관에 고정하는 자성체;
    상기 안착부의 양측으로부터 경사진 형태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배관에 접근될 때, 상기 안착부를 배관의 외주 일 영역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날개부; 및
    한 쌍의 상기 날개부에 마련되며, 상기 날개부와 상기 배관 간의 마찰을 저감하는 슬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체는 복수로 마련되고, 복수의 상기 자성체는 상기 안착부에서 상기 배관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자성체는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립부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고 판 형태를 갖는, 자성체를 구비한 누수 검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안착부가 안착되는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자성체를 구비한 누수 검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 마련되어, 상기 안착부를 상기 배관에 접합하는 접합층을 더 포함하는, 자성체를 구비한 누수 검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누수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마운터에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설정된 기준값 이하일 경우, 상기 배터리를 긴급 충전하도록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이머전시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와 상기 이머전시 배터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이머전시 배터리의 전력을 무선으로 상기 배터리에 전송하는 전력 전송 모듈을 더 포함하는, 자성체를 구비한 누수 검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의 잔량을 측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설정된 기준값 이하일 경우, 상기 이머전시 배터리의 전력이 상기 배터리로 전송되도록 상기 전력 전송 모듈을 제어하는, 자성체를 구비한 누수 검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송 모듈은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신 코일; 및
    상기 마운터에 마련되어, 상기 이머전시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이머전시 배터리의 전력을 상기 수신 코일로 전송하는 송신 코일을 포함하는, 자성체를 구비한 누수 검출 장치.
KR1020220117045A 2022-09-16 2022-09-16 자성체를 구비한 누수 검출 장치 KR102594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045A KR102594147B1 (ko) 2022-09-16 2022-09-16 자성체를 구비한 누수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045A KR102594147B1 (ko) 2022-09-16 2022-09-16 자성체를 구비한 누수 검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4147B1 true KR102594147B1 (ko) 2023-10-25

Family

ID=88515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045A KR102594147B1 (ko) 2022-09-16 2022-09-16 자성체를 구비한 누수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14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0999A (ja) * 1998-01-21 1999-08-06 Osaka Gas Co Ltd 相関法による管路系の漏洩位置特定方法
KR200355570Y1 (ko) 2004-04-20 2004-07-07 이철민 배관 탐지, 누수 탐지 및 배관 촬영 겸용 장치
KR101381424B1 (ko) * 2013-01-31 2014-04-1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삽입형 무선 심전도 센서 장치
KR20200023959A (ko) * 2018-08-27 2020-03-06 한국가스공사 가스관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융합센서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융합센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제어방법
KR20210153223A (ko) * 2020-06-10 2021-12-17 나광윤 누수 검출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0999A (ja) * 1998-01-21 1999-08-06 Osaka Gas Co Ltd 相関法による管路系の漏洩位置特定方法
KR200355570Y1 (ko) 2004-04-20 2004-07-07 이철민 배관 탐지, 누수 탐지 및 배관 촬영 겸용 장치
KR101381424B1 (ko) * 2013-01-31 2014-04-1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삽입형 무선 심전도 센서 장치
KR20200023959A (ko) * 2018-08-27 2020-03-06 한국가스공사 가스관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융합센서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융합센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제어방법
KR20210153223A (ko) * 2020-06-10 2021-12-17 나광윤 누수 검출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5722B1 (ko) 유도 공진 통합형 무선 충전 송신기의 코일 구조 및 제어 방법
EP2822141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method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20230198234A1 (en) Fluid injection system with smart injection and receiver tanks
US9461479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wireless power transfer method thereof
US11492775B2 (en) Manhole cover and manhol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CN103596800B (zh) 具有电能存储器的机动车
US20150224882A1 (en) Charging device for inductive charging
CA2901488C (en) Solar battery wireless inclinometer
EP2793355A1 (en) Method of modulat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ignal
KR20130035905A (ko)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JP2004166459A (ja) 非接触給電装置
KR20120100217A (ko) 단말기의 무선 충전장치
CN105052011A (zh) 供电装置及受电装置
KR102594147B1 (ko) 자성체를 구비한 누수 검출 장치
US20150374253A1 (en) Implantable wireless electrocardiogram sensor device
JP2014099963A (ja) 非接触給電システム
KR102606364B1 (ko) 접합층을 구비한 누수 검출 장치
EP2773015A2 (en) Power transmission system
KR102599676B1 (ko)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
KR20230102622A (ko) 잠수정 수중 무선충전 시스템
US20220282748A1 (en) Anchoring Device
KR101575956B1 (ko) 듀얼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 충전 장치
KR20140141964A (ko) 충전 상태의 시인성을 높인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장착한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가구
KR101311436B1 (ko) 공유영역 내 무선 전력 전파망을 이용한 클라우딩 충전시스템
KR20150129598A (ko) 듀얼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 충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