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114B1 -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114B1
KR102594114B1 KR1020230019461A KR20230019461A KR102594114B1 KR 102594114 B1 KR102594114 B1 KR 102594114B1 KR 1020230019461 A KR1020230019461 A KR 1020230019461A KR 20230019461 A KR20230019461 A KR 20230019461A KR 102594114 B1 KR102594114 B1 KR 102594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control unit
jig device
processing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9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주)한진에프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진에프에이에스 filed Critical (주)한진에프에이에스
Priority to KR1020230019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1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1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8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determining relative positions by measur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다양한 크기를 보유한 가공 대상물을 파지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 지그 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 지그 장치와 통신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메인 제어부; 상기 메인 제어부와 유무선 통신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와 유무선 통신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 지그 장치는, 소정 면적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안착되며, 가공 대상물에 대한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 설정 유닛; 복수개의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와 통신 연결되는 감지 유닛; 적어도 1종 이상의 제어 정보를 생성하면서, 상기 메인 제어부 및 상기 감지 유닛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과 통신 연결되는 로컬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방법은 가공 대상물에 대한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 설정 유닛, 상기 가공 대상물의 안착 위치 및 안착 상태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감지 유닛 및 상기 위치 설정 유닛 및 감지 유닛 중 적어도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과 통신 연결되는 로컬 제어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 지그 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 지그 장치와 통신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메인 제어부와, 상기 메인 제어부와 유무선 통신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와 유무선 통신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멀티 지그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멀티 지그 시스템을 가동하는 가동 정보를 생성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 지그 시스템을 가동하는 가동 단계; 상기 가동 단계 이후, 상기 가공 대상물의 안착 위치 및 안착 상태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한 정보인 안착 감지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출력하도록 진행되는 안착 감지 정보 생성 및 출력 단계; 상기 안착 감지 정보 생성 단계 이후, 상기 로컬 제어부에서 상기 안착 감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위치 설정 유닛의 위치를 재설정하도록 제어하는 보정 단계; 상기 보정 단계를 진행하면서, 상기 로컬 제어부에서 상기 가공 대상물에 대한 공정 진행 상태가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판단하면서, 상기 감지 유닛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인 진단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출력하도록 진행되는 진단 정보 생성 및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A Multi-jig device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 제작 시, 상기 차량의 차체를 고정하는 멀티 지그 장치 및 멀티 지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차종을 제작하기 위해 마련되는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차체에 대한 고정을 진행하는 지그 장치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차체의 조립라인에서 차체를 조립하는 때에는 보조 조립라인에서 주바닥 패널과 전면차체와 후면 바닥판을 포함하는 후면 차체와 측면 내부패널과 측면 외부패널을 포함하는 차체측면패널과 루프패널과 측면문, 본네트 및 트렁크 뚜껑과 같은 뚜껑물체 부재 등을 각각 보조 조립해서 이들을 차체조립라인에 공급한다.
그 다음 단계인 차체조립라인에 있어서는 하부차체 조립 스테이션에서 복수의 위치 결정부재나 고정부재를 구비한 대차상에 바닥패널과 전명차체와 후면차체를 위치결정 고정시켜 임시용접과 고정용접을 시행해서 하부차체를 조립한다.
그 다음 단계로서 대차에 탑재되어 있는 하부차체를 대차와 함께 상부차체의 조립단계로 이송하고, 상부차체의 조립단계에서는 하부차체에 차체 측면패널과 루프패널 등을 조립하고, 각 스테이션마다 설치한 전용의 위치 결정 지그를 사용해서 그들의 외부 패널의 기준면을 기준으로 해서 위치결정 고정시키고, 거기에 임시용접, 고정용접을 시행해서 상부차체를 조립한다.
상기 상부 차체조립단계에서는 전면펜더 및 후면펜더도 조립 결합된다.
이와 같이 자동차의 차체 조립라인에서 각 부품을 해당부분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지그장치는 대차상의 차체 양측면부에 사이드 게이트(SIDE GATE)가 부설되는데, 상기 사이드 게이트는 저부에 롤러가 착설되는 가동판 상에 지지판이 부설되고, 상기 지지판상에 다종의 지그가 착설되는 지그 베이스용 수직기둥이 종설되고, 상기 가동판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대 상에는 상기 롤러를 가이드하기 위한 레일이 부설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자동차 차체 조립용 사이드 게이트는 차체의 사이드 패널들을 고정하거나 조립하기 위해 자동차 차체 조립 생산라인에 부설되는 것으로서, 상기 사이드 게이트에 설치되는 지그장치는 상기 차체의 사이드 패널 또는 차체를 고정시키거나 지지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지그장치를 이용하여 차체의 사이드 패널 또는 차체를 고정시킨 다음에, 해당 부품을 로봇 용접 건으로 용접하거나 조립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사이드 게이트에 부설되는 지그장치는 해당 차종의 전용 지그로서, 차종을 변경하여 차체를 조립 생산할 경우에는 기존의 지그장치를 탈거한 후에 변경된 차종에 맞는 지그장치를 장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탈거 및 장착을 위해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작업의 연속성을 저해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지그장치의 부대설비 비용이 과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차종에 따라 자동차 차체의 조립라인을 다수개 부설하여 유행하는 차종의 생산을 위해 대비하고 있는데, 이러한 방지책은 차체의 조립 라인을 위해 과다한 공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단일 차종의 지그장치가 생산라인에 설치되는 관계로 전용 대차가 대기장소에 차종별로 적재되어야 하기 때문에, 차종별 대차를 위한 넓은 적재 공간이 요구되고 있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지그 장치의 경우, 복수 차종에 대한 변경 적용이 어려움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차체에 대한 혼류 생산 또한 불가능한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그리고, 상기 지그의 가동 상태를 명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워, 상기 차체를 제작하기 위한 가공 대상물이 정상적으로 안착되었는지의 여부와, 상기 지그 장치가 정상적으로 가동되는지의 여부를 현장 작업자가 직접 확인하면서, 해당 공정을 진행하였음에 따른 공정 진행상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 또한 내포하고 있다.
KR 10-0358895 B1 (2002.10.3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작하고자 하는 복수 차종의 차체에 대해 혼류 생산이 가능하도록 구축되는 멀티 지그 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를 보다 정확하고 간편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다양한 크기를 보유한 가공 대상물을 파지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 지그 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 지그 장치와 통신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메인 제어부; 상기 메인 제어부와 유무선 통신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와 유무선 통신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 지그 장치는, 소정 면적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안착되며, 가공 대상물에 대한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 설정 유닛; 복수개의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와 통신 연결되는 감지 유닛; 적어도 1종 이상의 제어 정보를 생성하면서, 상기 메인 제어부 및 상기 감지 유닛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과 통신 연결되는 로컬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메인 프레임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송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감지 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 및 상기 위치 설정 유닛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에 결합되면서, 상기 가공 대상물의 안착 위치 및 안착 상태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한 정보인 안착 감지 정보;를 취득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로컬 제어부는, 상기 감지 유닛을 통해 생성된 정보를 수신받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가공 대상물에 대한 공정 진행 상태가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판단하면서, 상기 감지 유닛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인 진단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진단 정보는, 상기 가공 대상물이 상기 위치 설정 유닛의 기설정된 범위 내에 정상적으로 안착되었음을 판단하는 정보인 정위치 판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정위치 판단 정보는, 상기 가공 대상물이 상기 위치 설정 유닛의 기설정된 범위 내에 안착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인 제 1 위치 판단 정보; 및 상기 가공 대상물이 상기 위치 설정 유닛의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안착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인 제 2 위치 판단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로컬 제어부는, 상기 로컬 제어부에서 상기 제 2 위치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가공 대상물의 위치 보정이 요구됨을 알리는 정보인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진단 정보는, 센서 모듈 사용 시간과 관련된 정보이면서, 상기 센서 모듈의 사용 시간, 잔여 수명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 모듈 사용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진단 정보는, 상기 센서 모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면서, 상기 센서 모듈의 감지 정밀도, 감지 정확도, 통신 상태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인 센서 모듈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운송 유닛과 통신 연결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운송 유닛의 운행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운송 유닛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방법은 가공 대상물에 대한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 설정 유닛, 상기 가공 대상물의 안착 위치 및 안착 상태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감지 유닛 및 상기 위치 설정 유닛 및 감지 유닛 중 적어도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과 통신 연결되는 로컬 제어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 지그 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 지그 장치와 통신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메인 제어부와, 상기 메인 제어부와 유무선 통신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와 유무선 통신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멀티 지그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한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상기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멀티 지그 시스템을 가동하는 가동 정보를 생성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 지그 시스템을 가동하는 가동 단계; 상기 가동 단계 이후, 상기 가공 대상물의 안착 위치 및 안착 상태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한 정보인 안착 감지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출력하도록 진행되는 안착 감지 정보 생성 및 출력 단계; 상기 안착 감지 정보 생성 단계 이후, 상기 로컬 제어부에서 상기 안착 감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위치 설정 유닛의 위치를 재설정하도록 제어하는 보정 단계; 상기 보정 단계를 진행하면서, 상기 로컬 제어부에서 상기 가공 대상물에 대한 공정 진행 상태가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판단하면서, 상기 감지 유닛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인 진단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출력하도록 진행되는 진단 정보 생성 및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멀티 지그 장치는, 상기 메인 프레임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면서, 상기 메인 프레임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송 유닛(500);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운송 유닛과 통신 연결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가동 단계 이후, 상기 운송 유닛의 운행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운송 유닛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는 운송 유닛 모니터링 정보 생성 및 출력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은 메인 제어부를 통한 복수의 멀티 지그 장치에 대한 제어를 통합하여 진행할 수 있음에 따라 현저히 향상된 공정 진행 효율을 확보할 수 있으며, 동시에 서비스 서버를 통한 각종 정보의 생성, 제공을 진행할 수 있고,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원격지에서도 상기 멀티 지그 시스템을 통한 가공 대상물의 가공 공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 가능하다.
또한, 운송 유닛을 통한 멀티 지그 장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공 대상물에 대한 가공 공정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멀티 지그 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가공 대상물의 이송도 함께 진행할 수 있어, 전체 제작 공정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감지 유닛을 통한 안착 감지 정보를 획득하도록 함으로써, 가공 중인 상태에 있는 가공 대상물의 가공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어, 현저히 향상된 공정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로컬 제어부를 통한 진단 정보 생성을 기반으로, 개별적인 멀티 지그 장치에 대한 진단 정보의 생성을 진행할 수 있어, 각각의 멀티 지그 장치가 정상 가동하는지의 여부를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어, 현저히 향상된 사용 편의성 및 작동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정위치 판단 정보의 생성을 진행하고 이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가공 대상물에 대한 파지 상태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알람정보의 생성 및 출력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신속한 대처를 진행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 모듈의 사용 시간과 관련된 정보인 센서 모듈 사용 시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생성되는 각종 정보의 신뢰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모듈의 작동 상태와 관련된 정보인 센서 모듈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생성되는 각종 정보의 신뢰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아울러, 위치 설정 유닛들에 대한 작동 상태 모니터링과 함께, 운송 유닛의 모니터링까지 함께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수개 마련되는 멀티 지그 장치의 전체적인 운용 상태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는 멀티 지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는 메인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는 관리자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방법의 진행 순서를 도식화한 진행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는 멀티 지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멀티 지그 장치(1000), 메인 제어부(2000), 서비스 서버(3000) 및 관리자 단말기(40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멀티 지그 장치(1000)는, 다양한 크기를 보유한 가공 대상물을 파지하도록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멀티 지그 장치(1000)는, 메인 프레임(100), 위치 설정 유닛(200), 감지 유닛(300), 로컬 제어부(400), 운송 유닛(500) 및 통신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소정 면적을 보유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위치 설정 유닛(200)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안착되며, 가공 대상물에 대한 위치를 설정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감지 유닛(300)은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와 통신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 유닛(300)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 및 상기 위치 설정 유닛(200)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에 결합되면서, 상기 가공 대상물의 안착 위치 및 안착 상태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한 정보인 안착 감지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감지 유닛(300)을 통한 안착 감지 정보를 획득하도록 함으로써, 가공 중인 상태에 있는 가공 대상물의 가공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어, 현저히 향상된 공정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감지 유닛(300)은 상기 메인 프레임(400)에 안착되며 상기 가공 대상물의 안착 위치 및 안착 상태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한 정보인 안착 감지 정보를 획득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 유닛(300)은, 상기 멀티 지그 장치에 고정된 상태의 가공 대상물에 대한 가공 공정 상태를 감지하는 정보인 공정 상태 감지 정보를 획득하도록 마련된다.
이때, 상기 감지 유닛(300)을 통한 공정 상태 감지 정보를 획득하도록 함으로써, 가공 중인 상태에 있는 가공 대상물의 가공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어, 현저히 향상된 공정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컬 제어부(400)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제어 정보를 생성하면서, 상기 메인 제어부(2000) 및 상기 감지 유닛(300)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과 통신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컬 제어부(400)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제어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비된다.
특히, 상기 로컬 제어부(400)는, 상기 감지 유닛(300)을 통해 생성된 정보를 수신받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가공 대상물에 대한 공정 진행 상태가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판단하면서, 상기 감지 유닛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인 진단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즉, 상기 로컬 제어부(400)를 통한 진단 정보 생성을 기반으로, 개별적인 멀티 지그 장치에 대한 진단 정보의 생성을 진행할 수 있어, 각각의 멀티 지그 장치가 정상 가동하는지의 여부를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어, 현저히 향상된 사용 편의성 및 작동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진단 정보는 정위치 판단 정보, 센서 모듈 사용 시간 정보 및 센서 모듈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정위치 판단 정보는 상기 가공 대상물이 상기 위치 설정 유닛의 기설정된 범위 내에 정상적으로 안착되었음을 판단하는 정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정위치 판단 정보는, 제 1 위치 판단 정보 및 제 2 위치 판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위치 판단 정보는 상기 가공 대상물이 상기 위치 설정 유닛의 기설정된 범위 내에 안착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위치 판단 정보는 상기 가공 대상물이 상기 위치 설정 유닛의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안착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정위치 판단 정보의 생성을 진행하고 이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가공 대상물에 대한 파지 상태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상기 로컬 제어부(400)는, 상기 로컬 제어부에서 상기 제 2 위치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가공 대상물의 위치 보정이 요구됨을 알리는 정보인 알람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알람 정보의 생성 및 출력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신속한 대처를 진행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센서 모듈 사용 시간 정보는 센서 모듈 사용 시간과 관련된 정보이면서, 상기 센서 모듈의 사용 시간, 잔여 수명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생성될 수 잇다.
특히, 상기 센서 모듈의 사용 시간과 관련된 정보인 센서 모듈 사용 시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생성되는 각종 정보의 신뢰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 모듈 상태 정보는, 상기 센서 모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면서, 상기 센서 모듈의 감지 정밀도, 감지 정확도, 통신 상태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생성된다.
즉, 상기 센서 모듈의 작동 상태와 관련된 정보인 센서 모듈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생성되는 각종 정보의 신뢰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감지 유닛(300)은, 상기 가공 대상물이 안착된 구역의 먼지 투과도를 측정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먼지 투과도의 측정을 진행하여 상기 센서 모듈 상태 정보의 생성을 진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상기 운송 유닛(500)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승하강을 진행하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운송 유닛(500)을 통한 멀티 지그 장치(100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공 대상물에 대한 가공 공정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멀티 지그 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가공 대상물의 이송도 함께 진행할 수 있어, 전체 제작 공정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운송 유닛(500)은 상기 멀티 지그 장치의 이동을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으로 기 설정된 경로를 자율적으로 운행하도록 마련되는 AGV(automatic guided vehicle)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운송 유닛(500)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100)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100)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운송 유닛(500)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승하강을 진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운송 유닛(500)을 구성하는 운송 유닛 몸체가 상승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100)과 체결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운송 유닛에 의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운송 유닛(500)을 구성하는 운송 유닛 몸체가 하강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100)과 소정거리 이격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100)이 특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처럼, 승하강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상기 운송 유닛(500)을 통한 멀티 지그 장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공 대상물에 대한 가공 공정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멀티 지그 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가공 대상물의 이송도 함께 진행할 수 있어, 전체 제작 공정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600)는 상기 메인 제어부와의 유무선 통신을 진행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 제어부(20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 지그 장치와 통신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메인 제어부(2000)는, 상기 운송 유닛과 통신 연결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운송 유닛의 운행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운송 유닛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다음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3000)는 상기 메인 제어부(2000)와 유무선 통신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4000)는 상기 서비스 서버와 유무선 통신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마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메인 제어부를 통한 복수의 멀티 지그 장치에 대한 제어를 통합하여 진행할 수 있음에 따라 현저히 향상된 공정 진행 효율을 확보할 수 있으며, 동시에 서비스 서버를 통한 각종 정보의 생성, 제공을 진행할 수 있고,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원격지에서도 상기 멀티 지그 시스템을 통한 가공 대상물의 가공 공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서버(3000)는 상기 메인 제어부(2000)와 유무선 통신연결되도록 구비된다.
특히, 상기 서비스 서버(3000)는, 상기 가공 대상물을 기반으로 제작되는 차종을 구분하는 정보인 차종 구분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생성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종 구분 정보는, 차량의 크기 및 차량의 종류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요소를 기준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차량을 구분할 수 있는 요소로 적용한 모든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서버(3000)는, 상기 멀티 지그 장치가 복수개 마련되는 경우, 복수의 상기 멀티 지그 장치들에 대한 가동 순위를 설정하는 정보인 순위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순위 설정 정보는 상기 차종 구분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가동 순위를 설정하도록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제어부(2000)는, 상기 순위 설정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순위 설정 정보가 나타내는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상기 멀티 지그 장치를 순차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서비스 서버(3000)에서 차종 구분 정보를 기반으로 순위 설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순위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개의 멀티 지그 장치(1000)를 순차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차량을 동시에 제작할 수 있는 다품종 혼류 생산을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관리자 단말기(4000)는 상술한 메인 제어부(2000)를 통해 수집, 생성되는 각종 정보 및 상기 서비스 서버(3000)를 통해 수집, 생성되는 각종 정보들의 출력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어, 원격지에서도 사용자가 멀티 지그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공정 진행 상태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메인 제어부를 통한 복수의 멀티 지그 장치에 대한 제어를 통합하여 진행할 수 있음에 따라 현저히 향상된 공정 진행 효율을 확보할 수 있으며, 동시에 서비스 서버를 통한 각종 정보의 생성, 제공을 진행할 수 있고,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원격지에서도 상기 멀티 지그 시스템을 통한 가공 대상물의 가공 공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는 메인 제어부(20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는 메인 제어부(20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상기 메인 제어부(20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멀티 지그 장치와 통신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특히, 상기 메인 제어부(2000)는, 상기 멀티 지그 장치를 구성하는 감지 유닛으로부터 상기 공정 상태 감지 정보 및 진단 정보를 포함한 적어도 1종 이상의 정보를 제공받도록 마련된다.
이때, 상기 메인 제어부(2000)는 상기 공정 상태 감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멀티 지그 장치에 고정된 상태의 가공 대상물에 대한 가공 공정의 완료 여부를 판단하도록 가동된다.
이후, 상기 메인 제어부(2000)가 상기 공정 상태 감지 정보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여, 상기 가공 공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가공 공정이 완료된 멀티 지그 장치에 장착된 운송 유닛의 가동을 진행하게 된다.
특히, 상기 메인 제어부를 통한 복수의 멀티 지그 장치 각각에 대한 완료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기반으로, 공정이 완료된 멀티 지그 장치만을 별도의 장소로 이동시켜 후순위 공정을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정 진행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 제어부(2000)는 제어모듈 및 이동통신모듈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술한 정보들의 수집 및 수집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각종 정보들의 생성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모듈은 관리자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면에는 특별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각종 정보들을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서버(3000)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와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된 이동 통신 모듈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취득되는 각종 정보들을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서비스 서버(3000)를 거쳐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술한 정보들을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의 구동 및 실행을 담당하는 실행모듈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모듈과, 상기 정보의 누적 및 관리를 진행하는 관리모듈과,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는 관리자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4000)는 입력부와, 센싱부와, 무선통신부와, 출력부와, 메모리부와, 인터페이스부와, 전원공급부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상술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상기 관리자 단말기(4000)들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상기 관리자 단말기(4000)들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상기 입력부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 또는 마이크(microphone)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예를 들어, 터치패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는 이동통신 단말기 내 정보, 이동통신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출력부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부, 햅틱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은, 관리자 단말기(40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관리자 단말기(40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는 상술한 관리자 단말기(40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기(40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40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부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40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관리자 단말기(40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관리자 단말기(40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부에 저장되고, 관리자 단말기(40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40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와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관리자 단말기(4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부에 저장된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의 구동을 위하여, 관리자 단말기(40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관리자 단말기(40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는 관리자 단말기(4000)와 무선 통신 제공 플랫폼 간의 무선 통신 또는 관리자 단말기(4000)와 관리자 단말기(40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는 이동통신 모듈, 근거리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은, 관리자 단말기(40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써,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위치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관리자 단말기(4000)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관리자 단말기(40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관리자 단말기(4000)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위치정보모듈은 관리자 단말기(40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덧붙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4000)는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 태블릿 PC, 워치형 단말기,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방법의 진행 순서를 도식화한 진행 순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방법은 앞서 설명한 가공 대상물에 대한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 설정 유닛, 상기 가공 대상물의 안착 위치 및 안착 상태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감지 유닛 및 상기 위치 설정 유닛 및 감지 유닛 중 적어도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과 통신 연결되는 로컬 제어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 지그 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 지그 장치와 통신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메인 제어부와, 상기 메인 제어부와 유무선 통신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와 유무선 통신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기반으로 진행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방법은 가동 단계(S100), 안착 감지 정보 생성 및 출력 단계(S200), 운송 유닛 모니터링 정보 생성 및 출력 단계(S300), 보정 단계(S400) 및 진단 정보 생성 및 출력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가동 단계(S100)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멀티 지그 시스템을 가동하는 가동 정보를 생성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 지그 시스템을 가동하도록 진행된다.
이때, 상기 가동 단계(S100) 진행 시, 상기 서비스 서버(3000)는, 상기 가공 대상물을 기반으로 제작되는 차종을 구분하는 정보인 차종 구분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생성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종 구분 정보는, 차량의 크기 및 차량의 종류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요소를 기준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차량을 구분할 수 있는 요소로 적용한 모든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 단계(S100) 진행 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멀티 지그 장치가 복수개 마련되는 경우, 복수의 상기 멀티 지그 장치들에 대한 가동 순위를 설정하는 정보인 순위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순위 설정 정보는 상기 차종 구분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가동 순위를 설정하도록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 단계(S100) 진행 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순위 설정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순위 설정 정보가 나타내는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상기 멀티 지그 장치를 순차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가동 단계(S100)를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차종 구분 정보를 기반으로 순위 설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순위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개의 멀티 지그 장치를 순차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차량을 동시에 제작할 수 있는 다품종 혼류 생산을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착 감지 정보 생성 및 출력 단계(S200)는 상기 가동 단계(S100) 이후 진행되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안착 감지 정보 생성 및 출력 단계(S200)는 상기 멀티 지그 장치의 감지 유닛에서 상기 가공 대상물의 안착 위치 및 안착 상태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한 정보인 안착 감지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출력하도록 진행된다.
다음으로, 운송 유닛 모니터링 정보 생성 및 출력 단계는 상기 가동 단계 이후, 상기 운송 유닛의 운행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운송 유닛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도록 진행된다.
이때, 상기 운송 유닛 모니터링 정보 생성 및 출력 단계(S300)는 상기 안착 감지 정보 생성 및 출력 단계와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으며, 상기 안착 감지 정보 생성 및 출력 단계 진행 이전에 진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상기 보정 단계(S400)는 상기 안착 감지 정보 생성 단계(S200) 및 상기 운송 유닛 모니터링 정보 생성 및 출력 단계(S300) 중 적어도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 이후에 진행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보정 단계(S400)는, 상기 로컬 제어부에서 상기 안착 감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위치 설정 유닛의 위치를 재설정하도록 진행된다.
그리고, 상기 진단 정보 생성 및 출력 단계(S500)는 상기 보정 단계(S400)를 진행하면서, 진행되는 단계로 상기 로컬 제어부에서 상기 가공 대상물에 대한 공정 진행 상태가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특히, 상기 진단 정보 생성 및 출력 단계(S500)는 상기 감지 유닛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인 진단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출력하도록 진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0 : 멀티 지그 장치
100 : 메인 프레임
200 : 위치 설정 유닛
300 : 감지 유닛
400 : 로컬 제어부
500 : 운송 유닛
600 : 통신부
2000 : 메인 제어부
3000 : 서비스 서버
4000 : 관리자 단말기
S1000 :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방법
S100 : 가동 단계
S200 : 안착 감지 정보 및 출력 단계
S300 : 운송 유닛 모니터링 정보 생성 및 출력 단계
S400 : 보정 단계
S500 : 진단 정보 생성 및 출력 단계

Claims (10)

  1. 다양한 크기를 보유한 가공 대상물을 파지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 지그 장치(100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멀티 지그 장치와 통신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메인 제어부(2000);
    상기 메인 제어부와 유무선 통신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서비스 서버(3000); 및
    상기 서비스 서버와 유무선 통신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리자 단말기(4000);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 지그 장치는,
    소정 면적의 메인 프레임(100);
    상기 메인 프레임에 안착되며, 상기 가공 대상물이 안착되면서, 가공 대상물에 대한 안착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 설정 유닛(200);
    복수개의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와 통신 연결되는 감지 유닛(300);
    적어도 1종 이상의 제어 정보를 생성하면서, 상기 메인 제어부 및 상기 감지 유닛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과 통신 연결되면서, 상기 감지 유닛을 통해 생성된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가공 대상물에 대한 공정 진행 상태가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판단하면서, 상기 감지 유닛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인 진단 정보를 생성하는 로컬 제어부(400); 및
    상기 메인 프레임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승하강을 진행하도록 구비되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승하강 상태에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을 이동시키거나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송 유닛(500);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 유닛(300)은
    상기 메인 프레임 및 상기 위치 설정 유닛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에 결합되면서, 상기 가공 대상물의 안착 위치 및 안착 상태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한 정보인 안착 감지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진단 정보는,
    상기 가공 대상물이 안착된 구역의 먼지 투과도를 측정한 결과값을 기반으로 생성되며, 상기 센서 모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면서, 상기 센서 모듈의 감지 정밀도, 감지 정확도, 통신 상태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생성되는 정보인 센서 모듈 상태 정보; 및
    상기 가공 대상물이 상기 위치 설정 유닛의 기설정된 범위 내에 정상적으로 안착되었음을 판단하는 정보인 정위치 판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정위치 판단 정보는,
    상기 가공 대상물이 상기 위치 설정 유닛의 기설정된 범위 내에 안착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인 제 1 위치 판단 정보; 및
    상기 가공 대상물이 상기 위치 설정 유닛의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안착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인 제 2 위치 판단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제어부는,
    상기 로컬 제어부에서 상기 제 2 위치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가공 대상물의 위치 보정이 요구됨을 알리는 정보인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정보는,
    센서 모듈 사용 시간과 관련된 정보이면서, 상기 센서 모듈의 사용 시간, 잔여 수명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 모듈 사용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운송 유닛과 통신 연결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운송 유닛의 운행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운송 유닛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9. 가공 대상물에 대한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 설정 유닛, 상기 가공 대상물의 안착 위치 및 안착 상태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며,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감지 유닛 및 상기 위치 설정 유닛 및 감지 유닛 중 적어도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과 통신 연결되는 로컬 제어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 지그 장치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멀티 지그 장치와 통신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메인 제어부와, 상기 메인 제어부와 유무선 통신연결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와 유무선 통신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멀티 지그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한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멀티 지그 시스템을 가동하는 가동 정보를 생성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 지그 시스템을 가동하는 가동 단계;
    상기 가동 단계 이후, 상기 가공 대상물의 안착 위치 및 안착 상태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한 정보인 안착 감지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출력하도록 진행되는 안착 감지 정보 생성 및 출력 단계;
    상기 안착 감지 정보 생성 단계 이후, 상기 로컬 제어부에서 상기 안착 감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위치 설정 유닛의 위치를 재설정하도록 제어하는 보정 단계;
    상기 보정 단계를 진행하면서, 상기 로컬 제어부에서 상기 가공 대상물에 대한 공정 진행 상태가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판단하면서, 상기 감지 유닛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인 진단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출력하도록 진행되는 진단 정보 생성 및 출력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진단 정보는,
    상기 가공 대상물이 안착된 구역의 먼지 투과도를 측정한 결과값을 기반으로 생성되며, 상기 센서 모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면서, 상기 센서 모듈의 감지 정밀도, 감지 정확도, 통신 상태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생성되는 정보인 센서 모듈 상태 정보; 및
    상기 가공 대상물이 상기 위치 설정 유닛의 기설정된 범위 내에 정상적으로 안착되었음을 판단하는 정보인 정위치 판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정위치 판단 정보는,
    상기 가공 대상물이 상기 위치 설정 유닛의 기설정된 범위 내에 안착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인 제 1 위치 판단 정보; 및
    상기 가공 대상물이 상기 위치 설정 유닛의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안착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인 제 2 위치 판단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멀티 지그 장치는,
    소정 면적의 메인 프레임(100); 및
    상기 메인 프레임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메인 프레임의 승하강을 진행하도록 구비되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승하강 상태에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을 이동시키거나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송 유닛(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운송 유닛과 통신 연결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가동 단계 이후, 상기 운송 유닛의 운행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운송 유닛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는 운송 유닛 모니터링 정보 생성 및 출력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방법.
KR1020230019461A 2023-02-14 2023-02-14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KR102594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9461A KR102594114B1 (ko) 2023-02-14 2023-02-14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9461A KR102594114B1 (ko) 2023-02-14 2023-02-14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4114B1 true KR102594114B1 (ko) 2023-10-25

Family

ID=88515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9461A KR102594114B1 (ko) 2023-02-14 2023-02-14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1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8895B1 (ko) 2000-09-22 2002-10-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패널 조립용 고정지그
JP2011121405A (ja) * 2009-12-08 2011-06-23 Mitsubishi Motors Corp 車体生産装置
KR101567476B1 (ko) * 2014-09-16 2015-11-12 주식회사 디월드 삼차원 센서를 이용한 부품 조립방법
KR101793209B1 (ko) * 2017-09-05 2017-11-03 주식회사 썬에이치에스티 무선 마그네틱 센서를 이용한 원격 지그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8895B1 (ko) 2000-09-22 2002-10-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패널 조립용 고정지그
JP2011121405A (ja) * 2009-12-08 2011-06-23 Mitsubishi Motors Corp 車体生産装置
KR101567476B1 (ko) * 2014-09-16 2015-11-12 주식회사 디월드 삼차원 센서를 이용한 부품 조립방법
KR101793209B1 (ko) * 2017-09-05 2017-11-03 주식회사 썬에이치에스티 무선 마그네틱 센서를 이용한 원격 지그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05475C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calibration and auto-correction of primary and secondary motion for telematics applications via wireless mobile devices
KR101973389B1 (ko) 전기차량 충전시스템
US8976063B1 (en) Automated detection of vehicle parking and location
CN102037319B (zh) 与交通工具内使用的导航设备相关的改进
KR102069541B1 (ko) 전기차량 충전시스템
US2018003331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porting products via unmanned aerial vehicles and mobile relay stations
CN100590454C (zh) 用于确保勘测员与勘测应用之间的交互的方法和设备
CN102016505A (zh) 用于轨道显示的方法及设备
CN103140865A (zh) 用于工业无线传感器网络中定位的方法和系统
CN105300400A (zh) 一种车辆定位找寻方法及定位找寻系统
CN106153001A (zh) 海拔高度计算系统及海拔高度计算方法
CN107193365A (zh) 用于车内环境的不依赖于方向的空中手势检测服务
CN103968846A (zh) 定位导航方法和装置
EP3678112A2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parking location
KR102428249B1 (ko) 전기 버스의 배터리 교체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0580052A (zh) 一种车辆检测方法,装置及系统
CN111836185A (zh) 一种基站位置坐标的确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217422B1 (ko) 운전면허시험 처리 장치
KR102594114B1 (ko) 멀티 지그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KR102594108B1 (ko) 멀티 지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지그 시스템
CN108476263A (zh) 车载提醒方法及终端
KR20200043160A (ko) 무인 노트북 대여 방법
KR101191264B1 (ko) 정밀위치확인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CN114261305A (zh) 充换电对位方法、装置、系统、设备、存储介质
Bostelman et al. Towards measurement of advanced mobile manipulator performance for assembly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