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049B1 - 이차전지 ct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ct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049B1
KR102594049B1 KR1020220001561A KR20220001561A KR102594049B1 KR 102594049 B1 KR102594049 B1 KR 102594049B1 KR 1020220001561 A KR1020220001561 A KR 1020220001561A KR 20220001561 A KR20220001561 A KR 20220001561A KR 102594049 B1 KR102594049 B1 KR 102594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unit
secondary battery
clamp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1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5926A (ko
Inventor
유용수
김봉철
김기선
김두환
정병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220001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049B1/ko
Publication of KR20230105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5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01N23/04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using tomography, e.g. computed tomography [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0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the radiation being X-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1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defects or foreign mat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10Different kinds of radiation or particles
    • G01N2223/101Different kinds of radiation or particles electromagnetic radiation
    • G01N2223/1016X-ra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30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 G01N2223/307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cuvettes-sample hol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30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 G01N2223/33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scanning, i.e. relative motion for measurement of successive object-parts
    • G01N2223/3306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scanning, i.e. relative motion for measurement of successive object-parts object rot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30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 G01N2223/33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scanning, i.e. relative motion for measurement of successive object-parts
    • G01N2223/3307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scanning, i.e. relative motion for measurement of successive object-parts source and detector fixed; object mo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40Imaging
    • G01N2223/419Imaging computed tomograp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46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flaws, def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ulmo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Toxic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이차전지 CT 검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CT 검사장치는 단면 원형의 외형을 갖는 이차전지 배터리에 대한 검사를 위하여 X레이(X-Ray)를 조사하는 X레이 튜브(X-Ray tube); X레이 튜브와 이격 배치되며, X레이 튜브에서 조사되는 X레이를 수신해서 검출하는 디텍터(Detector); 및 X레이 튜브와 디텍터 사이에 배치되며, X레이 튜브에서 디텍터로 조사되는 X레이 라인(line) 상에 이차전지 배터리가 겹치지 않게 복수 개로 배열되면서 클램프(clamp)되는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차전지 CT 검사장치{Secondary battery CT insp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이차전지 CT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면 원형의 외형을 갖는 이차전지 배터리 여러 개를 CT 검사할 수 있어서 생산량을 종래보다 월등히 증가시킬 수 있는, 이차전지 CT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secondary cell)는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외부의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기도 하고, 방전되었을 때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적 에너지를 화학적 에너지로 바꾸어 전기를 저장할 수 있는 전지를 가리킨다. 이러한 이차전지를 통상적으로 축전기라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전극 적층체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예컨대, 이차전지는 스택형 구조, 권취형 구조, 스택/폴딩형 구조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다양한 분류 중에서 스택형 구조는 전극, 즉 양극과 음극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한 다음,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E1)과 음극(E2)의 사이에 분리막(P)을 두고 양극(E1)과 음극(E2)을 교번적으로 적층하여 전극 적층체(M)를 형성한 것을 가리킨다. 스태킹 공정은 이차전지용 스태킹 장치에서 수행된다. 이러한 전극 적층체(M)에서 양극(E1)이 옆으로 돌출될 수 있는데, 이렇게 옆쪽으로 돌출된 부위를 소위 오버행(overhang) 부위라 한다.
스태킹 공정 중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적층체(M)에 적층된 전극(E1, E2) 중 일부가 다른 것들에 비교하여 과도하게(기준값을 벗어나게) 옆으로 돌출되어 적층되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일부 전극(E1, E2)의 말단부가 다른 전극(E1, E2)들에 비하여 과도하게(기준값을 벗어나게) 옆쪽으로 돌출되는 경우, 돌출된 전극(E1, E2)들의 오버행 부위가 서로 접촉되어 쇼트(단락)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렇게 전극(E1, E2)의 쇼트(단락)가 발생된 이차전지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상술한 전극(E1, E2)의 과도하게(기준값을 벗어나게) 돌출된 오버행 부위는 주로 적층 불량으로 발생할 수 있는데, 인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이차전지 제조 공정의 특성 상 이러한 불량을 빠르게 인식하지 못하면 라인에서 생산된 생산품 전체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인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이차전지의 제조과정 중에서 이렇게 과도하게(기준값을 벗어나게) 돌출된 전극(E1, E2)들의 오버행 부위를 인라인 장비 내에서 검사할 수 있는 이차전지 검사장치가 제안되고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이차전지 검사장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차전지를 검사할 수 있는데, CT(computed tomography) 스캐너를 이용해서 촬영하고 검사하는 방식을 채택한 것을 이차전지 CT 검사장치라 부른다. 최근, 생산량(CAPA)을 늘리기 위해 이차전지 CT 검사 시 여러 개의 셀(CELL)을 여러 겹 적층하여 동시에 검사하는 방식을 취하며, 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이러한 이차전지 CT 검사장치의 검사 방식을 적용함에 있어서 파우치 또는 각형 구조의 이차전지 배터리는 직육면체의 외관 형상을 가진 셀을 적층하기 때문에 동시 검사가 어렵지 않지만, 원형 배터리의 경우에는 원형 배터리 외곽 케이스(CASE)가 금속으로 되어 있음은 물론, 원형이라는 형상적인 특징으로 인해 여러 개 적층하여 검사하는 것을 구현하기가 어렵다.
예컨대, 도 2 및 도 3처럼 X레이 튜브(10, X-Ray tube)와 디텍터(20, Detector) 사이에 검사 대상의 이차전지 배터리(1)들을 배치해서 CT 검사할 때, 도 2와 같이 배열된 경우는 검사에 이상이 없지만, 도 3과 같이 배열되면, X레이의 특성상 X레이 튜브(10)와 가까운 쪽의 이차전지 배터리(1)로 인해 그 뒤쪽의 이차전지 배터리(1)에 대한 검사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결과적으로 복수 개의 이차전지 배터리(1)에 대한 CT 검사에 문제점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17424호, (2021.10.20)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면 원형의 외형을 갖는 이차전지 배터리 여러 개를 CT 검사할 수 있어서 생산량을 종래보다 월등히 증가시킬 수 있는, 이차전지 CT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면 원형의 외형을 갖는 이차전지 배터리에 대한 검사를 위하여 X레이(X-Ray)를 조사하는 X레이 튜브(X-Ray tube); 상기 X레이 튜브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X레이 튜브에서 조사되는 X레이를 수신해서 검출하는 디텍터(Detector); 및 상기 X레이 튜브와 상기 디텍터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X레이 튜브에서 상기 디텍터로 조사되는 X레이 라인(line) 상에 상기 이차전지 배터리가 겹치지 않게 복수 개로 배열되면서 클램프(clamp)되는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CT 검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은, 유닛 바디; 및 상기 유닛 바디에 연결되며, 복수 개의 상기 이차전지 배터리를 클램프하는 배터리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클램프는 상기 이차전지 배터리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클램프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이차전지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 클램프 상에서 가상의 센터축을 기준으로 동심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이차전지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 클램프 상에서 삼각구도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은 상기 유닛 바디에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 클램프가 클램프(clamp) 또는 언클램프(unclamp)하게 구동시키는 클램프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의 주변에는 상기 유닛 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이차전지 배터리를 회전 구동시키는 배터리 회전 구동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X레이 튜브와 상기 디텍터가 탑재되는 장치 테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은 상기 장치 테이블 상에 복수 개로 마련되며,
복수 개의 상기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은 유닛 구동부에 의해 순환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장치 테이블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이차전지 배터리가 보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보관유닛은, 보관유닛 지지대; 및 상기 보관유닛 지지대 상에 마련되며, 상기 이차전지 배터리가 수용되는 슬릿을 구비하는 보관 포켓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보관유닛에 이웃하게 상기 장치 테이블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배터리 보관유닛과 상기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 간으로 이차전지 배터리를 핸들링하는 배터리 핸들링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핸들링유닛은, 유닛 서포트; 상기 유닛 서포트에 업/다운(up/down) 구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업/다운 구동부; 및 상기 업/다운 구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업/다운 구동부의 작용으로 업/다운되면서 이차전지 배터리를 피킹하는 배터리 피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피킹부는, 전동식으로 이차전지 배터리를 피킹하는 복수 개의 배터리 전동 피커(picker);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전동 피커를 일체로 지지하는 피커 서포트; 및 상기 피커 서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피커 서포트를 회전 구동시키는 서포트 회전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 테이블 상에 마련되고 상기 디텍터와 연결되며, 상기 디텍터를 상기 X레이 튜브 쪽으로 접근시키거나 반대로 이격시키는 디텍터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이차전지 배터리에 대한 CT 검사가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상기 X레이 튜브, 상기 디텍터, 상기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 및 상기 유닛 구동부의 동작을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하는 장치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면 원형의 외형을 갖는 이차전지 배터리 여러 개를 CT 검사할 수 있어서 생산량을 종래보다 월등히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이차전지의 전극이 적층된 상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X레이 튜브와 디텍터 사이의 이차전지 배터리에 대한 배치도로서 검사 가능 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CT 검사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 발췌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디텍터와 디텍터 구동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의 일부 구성을 여러 각도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X레이 튜브,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 및 디텍터 간의 배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를 모식화해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CT 검사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CT 검사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CT 검사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 발췌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7은 디텍터와 디텍터 구동부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의 일부 구성을 여러 각도로 도시한 도면들이며, 도 12는 X레이 튜브,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 및 디텍터 간의 배치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12를 모식화해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CT 검사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CT 검사장치(100)는 단면 원형의 외형을 갖는 이차전지 배터리(1) 여러 개를 CT 검사할 수 있어서 생산량을 종래보다 월등히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CT 검사장치(100)는 장치 테이블(110), X레이 튜브(120, X-Ray tube), 디텍터(130, Detector) 및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 테이블(1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CT 검사장치(100)의 외관 구조물로서, X레이 튜브(120), 디텍터(130) 및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140)을 포함해서 아래 구조, 구성들을 지지한다. 따라서, 장치 테이블(110)은 강성이 우수한 금속 프레임으로 제작된다. 장치 테이블(110)에는 진동을 없애기 위한 제진 수단이 갖춰질 수 있다. 제진 수단을 푸트(foot)에 구비될 수 있다.
X레이 튜브(120)는 단면 원형의 외형을 갖는 이차전지 배터리(1)에 대한 검사를 위하여 X레이(X-Ray)를 조사하는 역할을 한다.
이차전지 배터리(1)로 X레이를 조사해서 디텍터(130)가 검출함으로써 이차전지 배터리(1)에 대한 품질 검사가 진행될 수 있다. 특히, 도 1에서 설명한 오버행 부위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디텍터(130)는 X레이 튜브(120)와 이격 배치되며, X레이 튜브(120)에서 조사되는 X레이를 수신해서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디텍터(130)는 장치 컨트롤러(190)와 연결되며, 검출 결과값을 장치 컨트롤러(190)로 전송함으로써 불량 여부를 즉시 판독할 수 있게끔 한다.
X레이 튜브(120)가 장치 테이블(110) 상의 일측에서 위치 고정되게 마련되는데 반해, 디텍터(130)는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디텍터 구동부(135)가 마련된다.
디텍터 구동부(135)는 장치 테이블(110) 상에 마련되고 디텍터(130)와 연결되며, 디텍터(130)를 X레이 튜브(120) 쪽으로 접근시키거나 반대로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디텍터 구동부(135)는 디텍터(130)는 선형 운동시키는 리니어 모터로 적용될 수 있다. 디텍터(130)가 구비됨에 따라 X레이 튜브(120)와의 거리조절을 통해 정확한 X레이 검출값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앞서도 언급한 것처럼 도 2 및 도 3처럼 X레이 튜브(10, X-Ray tube)와 디텍터(20, Detector) 사이에 검사 대상의 이차전지 배터리(1)들을 배치해서 CT 검사할 때, 도 2와 같이 배열된 경우는 검사에 이상이 없지만, 도 3과 같이 배열되면, X레이의 특성상 X레이 튜브(10)와 가까운 쪽의 이차전지 배터리(1)로 인해 그 뒤쪽의 이차전지 배터리(1)에 대한 검사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결과적으로 복수 개의 이차전지 배터리(1)에 대한 CT 검사에 문제점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140)을 적용한다.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140)는 X레이 튜브(120)와 디텍터(130) 사이에 배치되며, X레이 튜브(120)에서 디텍터(130)로 조사되는 X레이 라인(line) 상에 이차전지 배터리(1)가 겹치지 않게 복수 개로 배열되면서 클램프(clamp)되게 한다.
대부분 도면에는 하나의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140)이 개시되었지만, 실제 도 4처럼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140)는 여러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유닛 구동부(150)에 의해 복수 개의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140)가 순환 구동할 수 있다. 순환 구동방식은 컨베이어 방식일 수 있다.
이처럼 복수 개의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140)이 유닛 구동부(150)에 의해 순환하면서 공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CT 검사장치(100)에는 배터리 보관유닛(160)과 배터리 핸들링유닛(170)이 더 갖춰진다.
배터리 보관유닛(160)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는데, 하나의 배터리 보관유닛(160)은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140)로 검사 대상의 이차전지 배터리(1)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배터리 보관유닛(160)의 주변에 이차전지 배터리(1)를 핸들링하는 수단이 갖춰질 것이지만, 이에 대해서는 편의상 생략했다.
또한, 복수 개의 배터리 보관유닛(160) 중에서 다른 하나의 배터리 보관유닛(160)은 검사 완료된 이차전지 배터리(1)를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배터리 보관유닛(160)의 주변에 배터리 핸들링유닛(170)이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 보관유닛(160)은 보관유닛 지지대(161)와, 보관유닛 지지대(161) 상에 마련되며, 이차전지 배터리(1)가 수용되는 슬릿(163)을 구비하는 보관 포켓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보관유닛(160)은 군데군데 여러 개로 적용될 수 있다.
배터리 핸들링유닛(170)은 배터리 보관유닛(160)에 이웃하게 장치 테이블(110)의 일측에 마련되며, 배터리 보관유닛(160)과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140) 간으로 이차전지 배터리(1)를 핸들링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배터리 핸들링유닛(170)은 유닛 서포트(171)와, 유닛 서포트(171)에 업/다운(up/down) 구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업/다운 구동부(172)와, 업/다운 구동부(172)에 연결되고 업/다운 구동부(172)의 작용으로 업/다운되면서 이차전지 배터리(1)를 피킹하는 배터리 피킹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피킹부(173)는 전동식으로 이차전지 배터리(1)를 피킹하는 복수 개의 배터리 전동 피커(174, picker)와, 복수 개의 배터리 전동 피커(174)를 일체로 지지하는 피커 서포트(175)와, 피커 서포트(175)에 연결되고 피커 서포트(175)를 회전 구동시키는 서포트 회전 구동부(176)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동 피커(174)는 집게 방식의 구조를 가지며, 이차전지 배터리(1)를 집는 역할을 한다. 전동 피커(174)가 이차전지 배터리(1)를 집은 이후에는 서포트 회전 구동부(176) 및 업/다운 구동부(172)의 작용으로 이차전지 배터리(1)가 옮겨질 수 있다.
한편,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140)은 앞서 기술한 것처럼 X레이 튜브(120)와 디텍터(130) 사이에 배치되며, X레이 튜브(120)에서 디텍터(130)로 조사되는 X레이 라인(line) 상에 이차전지 배터리(1)가 겹치지 않게 복수 개로 배열되면서 클램프(clamp)되게 한다.
이러한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140)은 유닛 바디(141)와, 유닛 바디(141)에 연결되며, 복수 개의 이차전지 배터리(1)를 클램프하는 배터리 클램프(142)와, 유닛 바디(141)에 연결되며, 배터리 클램프(142)가 클램프(clamp) 또는 언클램프(unclamp)하게 구동시키는 클램프 구동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14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실질적으로 도면보다는 더 복잡한 구조를 취한다. 이때, 유닛 바디(141)는 배터리 클램프(142)와 클램프 구동부(143)를 제외한 모든 구조물 혹은 장치를 가리킨다.
배터리 클램프(142)는 복수 개의 이차전지 배터리(1)를 클램프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 클램프(142)는 이차전지 배터리(1)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클램프한다.
이때, 복수 개의 이차전지 배터리(1)가 배터리 클램프(142) 상에서 가상의 센터축을 기준으로 동심적으로 배치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이차전지 배터리(1)가 배터리 클램프(142) 상에서 삼각구도로 배치된다.
이처럼 이차전지 배터리(1)가 삼각구도로 배치될 경우, 어떠한 각도로 회전하더라도 X레이 튜브(120)에서 디텍터(130)로 조사되는 X레이 라인(line) 상에 이차전지 배터리(1)가 겹치지 않고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종전처럼 이차전지 배터리(1)를 하나씩 로딩하고 검사한 후, 다시 언로딩함에 따라 택트 타임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클램프 구동부(143)는 유닛 바디(141)에 연결되며, 배터리 클램프(142)가 클램프(clamp) 또는 언클램프(unclamp)하게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클램프 구동부(143)는 푸싱홀(143a)을 포함하되 배터리 핸들링유닛(170)에 마련디는 푸셔(177)가 푸싱홀(143a)로 삽입되어 가압할 때, 언클램프(unclamp)되고 푸셔(177)가 빠지면 다시 클램프(clamp)되는 구조를 갖는다.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140)의 주변에는 유닛 바디(141)에 연결되고 이차전지 배터리(1)를 회전 구동시키는 배터리 회전 구동부(155)가 더 적용된다. 회전 구동부(155)는 모터, 풀리, 벨트 구조로써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140)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장치의 컨트롤을 위해 장치 컨트롤러(190)가 더 탑재된다.
장치 컨트롤러(190)는 복수 개의 이차전지 배터리(1)에 대한 CT 검사가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X레이 튜브(120), 디텍터(130),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140) 및 유닛 구동부(150)의 동작을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 컨트롤러(190)는 중앙처리장치(191, CPU), 메모리(19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9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91)는 본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이차전지 배터리(1)에 대한 CT 검사가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X레이 튜브(120), 디텍터(130),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140) 및 유닛 구동부(150)의 동작을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9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91)와 연결된다. 메모리(19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9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9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9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장치 컨트롤러(190)는 복수 개의 이차전지 배터리(1)에 대한 CT 검사가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X레이 튜브(120), 디텍터(130),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140) 및 유닛 구동부(150)의 동작을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9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9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면 원형의 외형을 갖는 이차전지 배터리(1) 여러 개를 CT 검사할 수 있어서 생산량을 종래보다 월등히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CT 검사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CT 검사장치(200) 역시, 장치 테이블(110), X레이 튜브(120, X-Ray tube), 디텍터(130, Detector) 및 복수 개의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의 구조와 기능,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따라서, 중복 설명은 피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장치 테이블(110) 상에 X레이 튜브(120)와 디텍터(130)가 2개씩 듀얼(dual) 구조로 적용된다. 물론, 이차전지 배터리(1)를 클램프한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140)은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복수 개가 적용되어 X레이 튜브(120)와 디텍터(130) 사이를 이동한다.
본 실시예처럼 X레이 튜브(120)와 디텍터(130)가 2개씩 듀얼(dual) 구조로 적용되면 같은 공간에서도 작업량이 2배 더 많아질 수 있어서 작업효율이 높아질 수 있으며, 나아가 생산성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단면 원형의 외형을 갖는 이차전지 배터리(1) 여러 개를 CT 검사할 수 있어서 생산량을 종래보다 월등히 증가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이차전지 CT 검사장치 110 : 장치 테이블
120 : X레이 튜브 130 : 디텍터
135 : 디텍터 구동부 140 :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
141 : 유닛 바디 142 : 배터리 클램프
143 : 클램프 구동부 150 : 유닛 구동부
160 : 배터리 보관유닛 161 : 보관유닛 지지대
162 : 보관 포켓부 163 : 슬릿
170 : 배터리 핸들링유닛 171 : 유닛 서포트
172 : 업/다운 구동부 173 : 배터리 피킹부
174 : 배터리 전동 피커 175 : 피커 서포트
176 : 서포트 회전 구동부 190 : 장치 컨트롤러

Claims (15)

  1. 단면 원형의 외형을 갖는 이차전지 배터리에 대한 검사를 위하여 X레이(X-Ray)를 조사하는 X레이 튜브(X-Ray tube);
    상기 X레이 튜브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X레이 튜브에서 조사되는 X레이를 수신해서 검출하는 디텍터(Detector);
    상기 X레이 튜브와 상기 디텍터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X레이 튜브에서 상기 디텍터로 조사되는 X레이 라인(line) 상에 상기 이차전지 배터리가 겹치지 않게 복수 개로 배열되면서 클램프(clamp)되는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 및
    상기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의 주변에 마련되되 유닛 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이차전지 배터리를 회전 구동시키는 배터리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은,
    유닛 바디;
    상기 유닛 바디에 연결되며, 복수 개의 상기 이차전지 배터리를 클램프하는 배터리 클램프; 및
    상기 유닛 바디에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 클램프가 클램프(clamp) 또는 언클램프(unclamp)하게 구동시키는 클램프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클램프는 상기 이차전지 배터리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클램프하며,
    복수 개의 상기 이차전지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 클램프 상에서 가상의 센터축을 기준으로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CT 검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이차전지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 클램프 상에서 삼각구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CT 검사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레이 튜브와 상기 디텍터가 탑재되는 장치 테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CT 검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은 상기 장치 테이블 상에 복수 개로 마련되며,
    복수 개의 상기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은 유닛 구동부에 의해 순환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CT 검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테이블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이차전지 배터리가 보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CT 검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보관유닛은,
    보관유닛 지지대; 및
    상기 보관유닛 지지대 상에 마련되며, 상기 이차전지 배터리가 수용되는 슬릿을 구비하는 보관 포켓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CT 검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보관유닛에 이웃하게 상기 장치 테이블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배터리 보관유닛과 상기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 간으로 이차전지 배터리를 핸들링하는 배터리 핸들링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CT 검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핸들링유닛은,
    유닛 서포트;
    상기 유닛 서포트에 업/다운(up/down) 구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업/다운 구동부; 및
    상기 업/다운 구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업/다운 구동부의 작용으로 업/다운되면서 이차전지 배터리를 피킹하는 배터리 피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CT 검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피킹부는,
    전동식으로 이차전지 배터리를 피킹하는 복수 개의 배터리 전동 피커(picker);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전동 피커를 일체로 지지하는 피커 서포트; 및
    상기 피커 서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피커 서포트를 회전 구동시키는 서포트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CT 검사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테이블 상에 마련되고 상기 디텍터와 연결되며, 상기 디텍터를 상기 X레이 튜브 쪽으로 접근시키거나 반대로 이격시키는 디텍터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CT 검사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이차전지 배터리에 대한 CT 검사가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상기 X레이 튜브, 상기 디텍터, 상기 배터리 검사용 클램프유닛 및 상기 유닛 구동부의 동작을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하는 장치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CT 검사장치.
KR1020220001561A 2022-01-05 2022-01-05 이차전지 ct 검사장치 KR102594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561A KR102594049B1 (ko) 2022-01-05 2022-01-05 이차전지 ct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561A KR102594049B1 (ko) 2022-01-05 2022-01-05 이차전지 ct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926A KR20230105926A (ko) 2023-07-12
KR102594049B1 true KR102594049B1 (ko) 2023-10-25

Family

ID=87163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1561A KR102594049B1 (ko) 2022-01-05 2022-01-05 이차전지 ct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04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18519A (ja) * 2014-06-20 2017-07-06 ライプニッツ−インスティトゥート フュア フェストケルパー− ウント ヴェルクシュトフフォルシュング ドレスデン エー ファオLeibniz−Institut fuer Festkoerper− und Werkstoffforschung Dresden e.V. in situ(その場)分析のためのバッテリキャリア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510B1 (ko) * 2014-09-05 2016-10-26 (주)자비스 그립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KR101957667B1 (ko) * 2017-03-30 2019-07-04 (주)자비스 선형 축 이동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KR102317424B1 (ko) 2019-12-27 2021-10-2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2차 전지용 오버행 검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2차 전지 제조 시스템
KR102389547B1 (ko) * 2020-04-27 2022-04-22 (주)자비스 이송 유도 수단 연결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18519A (ja) * 2014-06-20 2017-07-06 ライプニッツ−インスティトゥート フュア フェストケルパー− ウント ヴェルクシュトフフォルシュング ドレスデン エー ファオLeibniz−Institut fuer Festkoerper− und Werkstoffforschung Dresden e.V. in situ(その場)分析のためのバッテリキャリ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926A (ko) 202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7424B1 (ko) 2차 전지용 오버행 검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2차 전지 제조 시스템
CN103904367A (zh) 一种锂电池焊接及检测的自动化设备
CN107910579A (zh) 一种18650电池剥皮入壳机
KR102252625B1 (ko) 2차 전지용 오버행 검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2차 전지 제조 시스템
KR20200131589A (ko) 전수 검사 자동화를 위한 배터리 셀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KR102594049B1 (ko) 이차전지 ct 검사장치
CN215896475U (zh) 电芯入壳装置
KR20150055190A (ko) 리드탭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드탭 제조방법
KR102594050B1 (ko) 이차전지 ct 검사장치
WO2023040438A1 (zh) 一种软包电池大压力测试设备
CN116786452A (zh) 一种叠片电池ct在线转盘式检测系统及方法
CN108957339A (zh) 一种叠片锂电池检测机
KR102257019B1 (ko) 2차 전지용 오버행 검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2차 전지 제조 시스템
CN214600446U (zh) 一种电芯分选上料机
CN117506268A (zh) 一种电池极耳旋转预焊设备及其预焊方法
CN218416321U (zh) 一种电池片iv检测装置
KR102630004B1 (ko) 이차전지 검사용 카세트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검사 시스템
CN217505684U (zh) 外观检测装置、外观检测设备及电池单体外观检测设备
KR20220013698A (ko) 2차 전지용 오버행 검사장치를 구비하는 2차 전지 제조 시스템
CN110404801A (zh) 一种介电陶瓷及其检验方法和设备
CN215953748U (zh) 全自动三点式点焊测试一体机
KR102459079B1 (ko) 2차 전지용 오버행 검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2차 전지 제조 시스템
KR102492155B1 (ko) 2차 전지용 오버행 검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2차 전지 제조 시스템
KR20220167713A (ko) 2차 전지용 오버행 검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2차 전지 제조 시스템
KR102492154B1 (ko) 2차 전지용 오버행 검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2차 전지 제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