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3904B1 - 실내공기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실내공기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3904B1
KR102593904B1 KR1020220142607A KR20220142607A KR102593904B1 KR 102593904 B1 KR102593904 B1 KR 102593904B1 KR 1020220142607 A KR1020220142607 A KR 1020220142607A KR 20220142607 A KR20220142607 A KR 20220142607A KR 102593904 B1 KR102593904 B1 KR 102593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air
housing
containers
vertic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2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무영
Original Assignee
김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무영 filed Critical 김무영
Priority to KR1020220142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9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8/12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using wet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0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7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biological materials, plants or microorg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공간이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상부 공간은 좌우 구획벽에 의하여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획되어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 사이에 공기가 통과할 수 없게 되며,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은 각각 상기 하부 공간에 연통되며, 공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제1공간의 상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제1공간의 하방향으로 유동한 후 상기 하부 공간을 지나 상기 제2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는 공기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하우징, 상기 제1공간의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1공간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획하게 하며, 일부분에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통구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1지지부재들, 상기 제2공간의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2공간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획하게 하며, 일부분에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통구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2지지부재들, 상기 제1지지부재들에 지지되어 안착되고, 착탈 가능하며,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제1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1컨테이너들, 상기 제1컨테이너들에 저장되고, 상기 제1컨테이너들로부터 외부로 반출된 후 세척 가능하며, 제1컨테이너들에 각각 저장되며, 공기정화 또는 공기살균을 수행하고, 서로 상이한 제1공기필터 소재들, 상기 제2지지부재들에 지지되어 안착되고, 착탈 가능하며,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제2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2컨테이너들 및 상기 제2컨테이너들에 저장되고, 상기 제2컨테이너들로부터 외부로 반출된 후 세척 가능하며, 제2컨테이너들에 각각 저장되며, 공기정화 또는 공기살균을 수행하고, 서로 상이한 제2공기필터 소재들을 포함하는 실내공기 정화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내부에 공기정화 소재 및 공기살균 소재가 모두 포함되어 있어서 공기정화 및 공기살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실내공기 정화장치{Apparatus to purify indoor air}
본 발명은 실내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정화 및 공기 살균이 가능하면서도 관리가 용이하고, 필터 등을 사용하지 않아서 친환경적인 실내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회적 환경 변화로 실내 공기의 질이 급속도로 악화되는 현대사회에서 바이러스에 의한 펜데믹 상황까지 발생하여 실내에서의 공기의 질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여러 가지의 공기 정화 장치가 생산되고 있으나 대부분 필터에 의존하는 제품들이다. 그런데 필터는 방치할 경우 오히려 공기의 질이 악화될 수도 있고, 교체 비용과 관리도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그리고 전기 제품일 경우 작동음이나 발생하는 전자파로 인해서 신선함 및 쾌적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성을 개선하고 2차 자연환경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공기 정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친환경적인 소재들의 관리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29395호
본 발명은 공기 정화 및 공기 살균이 가능하면서도 관리가 용이하고, 필터 등을 사용하지 않아서 친환경적인 실내공기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 공간이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상부 공간은 좌우 구획벽에 의하여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획되어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 사이에 공기가 통과할 수 없게 되며,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은 각각 상기 하부 공간에 연통되며, 공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제1공간의 상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제1공간의 하방향으로 유동한 후 상기 하부 공간을 지나 상기 제2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는 공기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하우징, 상기 제1공간의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1공간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획하게 하며, 일부분에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통구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1지지부재들, 상기 제2공간의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2공간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획하게 하며, 일부분에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통구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2지지부재들, 상기 제1지지부재들에 지지되어 안착되고, 착탈 가능하며,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제1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1컨테이너들, 상기 제1컨테이너들에 저장되고, 상기 제1컨테이너들로부터 외부로 반출된 후 세척 가능하며, 제1컨테이너들에 각각 저장되며, 저장된 담체에 번식된 미생물로 공기정화 또는 공기살균을 수행하고, 서로 상이한 제1공기필터 소재들, 상기 제2지지부재들에 지지되어 안착되고, 착탈 가능하며,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제2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2컨테이너들 및 상기 제2컨테이너들에 저장되고, 상기 제2컨테이너들로부터 외부로 반출된 후 세척 가능하며, 제2컨테이너들에 각각 저장되며, 공기정화 또는 공기살균을 수행하고, 서로 상이한 제2공기필터 소재들을 포함하는 실내공기 정화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공기 정화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내부에 공기정화 소재 및 공기살균 소재가 모두 포함되어 있어서 공기정화 및 공기살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필터 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셋째, 공기정화 소재 및 공기살균 소재 담는 컨테이너를 하우징으로부터 꺼내서 공기정화 소재 및 공기살균 소재의 세척이 가능하므로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넷째, 공기정화를 위해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과 공기살균을 위해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로 형성되되, 공기정화 소재와 공기살균 소재가 좌우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어서 장치가 콤팩트한 구조를 갖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전면에 광투과성 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있어서 내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하부 공간에 저장 되어 있는 물을 상부로 이동 시켜서 유입된 공기에 분무하므로 별도의 물 공급 없이도 반복적으로 장치 내부에 물을 분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곱째, 하부 공간에 수경 식물이 배치되어 있어서 수경 식물로부터 생산된 산소가 정화된 공기와 함께 배출되므로 실내 공기를 더욱 쾌적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여덟째, 하부 공간에 저장 되어 있는 물의 수질 관리를 위해 하부 공간에 폭기 장치를 포함하는 수질 정화 장치가 배치되어 있어서 수질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기 정화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실내공기 정화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실내공기 정화장치의 도어를 개방한 내부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실내공기 정화장치의 상면 커버 및 후면 커버를 개방한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실내공기 정화장치의 분무노즐, 자외선 살균장치 및 흡입 팬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실내공기 정화장치의 레벨센서 배치부 및 레벨 센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실내공기 정화장치의 보조 물탱크, 보조 물탱크 레벨 게이지 및 물 보충용 배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1에 따른 실내공기 정화장치의 수질 정화 장치 중에서 폭기 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1에 따른 실내공기 정화장치의 폭기 장치 중 에어스톤이 배치되어 있는 모습을 확대하여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1000)는 하우징(1100), 물 분무 장치(1200), 제1컨테이너(1300), 공기정화 소재(미도시), 제2컨테이너(1400), 공기살균 소재(미도시), 수질 정화 장치(1500), 공기 흡입 팬(1600), 수위 측정 장치(1700), 자외선 살균장치(1800) 및 제어부(1900)를 포함한다. 도시의 편의상 상기 공기정화 소재 및 공기살균 소재는 도시를 생략한다. 상기 하우징(1100)은 좌우 구획벽(1110), 상하 구획 플레이트(1120), 하부 공간 전면 플레이트(1130), 도어(1140), 보조 물탱크(1150), 레벨 센서 배치부(1160), 상면 커버(1170), 후면 커버(1180) 및 바퀴(119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하 구획 플레이트(1120)가 상기 하우징(110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지만, 상기 상하 구획 플레이트(1120)는 상기 하우징(1100)으로부터 독립된 별개의 구성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하 구획 플레이트(1120)는 상기 하우징(1100)으로부터 착탈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100)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인 것을 예로 든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0)의 저장 공간은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공간은 좌우 구획벽(1110)에 의해서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획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 사이에는 상기 좌우 구획벽(1110)에 의해서 공기가 통과할 수 없다. 그리고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은 각각 상기 하부 공간에 연통된다.
상기 제1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 상부에는 공기 유입구(1100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 상부에는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 유입구(1100a)를 통하여 상기 제1공간의 상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제1공간의 하방향으로 유동한 후 상기 하부 공간을 지나 상기 제2공간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진행하여 상기 제2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는 공기 배출구(1100b)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상하 구획 플레이트(1120)는 제1지지부재들 및 제2지지부재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부재들은 제1지지 플레이트(1121), 제2지지 플레이트(1122), 제3지지플레이트(112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1121),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1122) 및 상기 제3지지플레이트(1123)는 상기 제1공간의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1공간을 세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게 하며,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통구들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1121)가 가장 위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1121)의 아래쪽에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1122)가 배치되며,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1122)의 아래쪽에 상기 제3지지 플레이트(1123)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100)의 내측면, 상기 좌우 구획 플레이트(1110) 및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1121)로 둘러싸인 부분을 제1영역이라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0)의 내측면, 상기 좌우 구획 플레이트(1110),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1121) 및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1122)로 둘러싸인 부분을 제2영역이라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0)의 내측면, 상기 좌우 구획 플레이트(1110),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1122) 및 상기 제3지지 플레이트(1123)로 둘러싸인 부분을 제3영역이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지지부재들의 수를 변경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제1공간은 상기 제1지지부재들의 수에 따라 구획되는 영역의 수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도어(1140)는 내부를 볼 수 있도록 광투과성 소재 유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공기 정화소재들 및 공기 살균소재들의 디자인을 감상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들은 제4지지 플레이트(1124), 제5지지 플레이트(1125) 및 제6지지 플레이트(1126)을 포함한다. 상기 제4지지 플레이트(1124), 상기 제5지지 플레이트(1125) 및 상기 제6지지플레이트(1126)는 상기 제2공간의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2공간을 세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게 하며,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통구들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4지지 플레이트(1124)가 가장 아래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4지지 플레이트(1124)의 위쪽에 상기 제5지지 플레이트(1125)가 배치되며, 상기 제5지지 플레이트(1125)의 위쪽에 상기 제6지지 플레이트(1126)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100)의 내측면, 상기 좌우 구획 플레이트(1110), 상기 제4지지 플레이트(1124) 및 상기 제5지지 플레이트(1125)로 둘러싸인 부분을 제4영역이라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0)의 내측면, 상기 좌우 구획 플레이트(1110), 상기 제5지지 플레이트(1125) 및 상기 제6지지 플레이트(1126)로 둘러싸인 부분을 제5영역이라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0)의 내측면, 상기 좌우 구획 플레이트(1110) 및 상기 제6지지 플레이트(1126)로 둘러싸인 부분을 제6영역이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지지부재들의 수를 변경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제2공간은 상기 제2지지부재들의 수에 따라 구획되는 영역의 수가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1121)와 상기 제6지지 플레이트(1126)는 일직선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1122)와 상기 제5지지 플레이트(1125)는 일직선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3지지 플레이트(1123)와 상기 제4지지 플레이트(1124)는 일직선 상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든다.
상기 하부 공간 전면 플레이트(1130)는 상기 하우징(1100)의 외측면 중에서 상기 하부 공간를 형성하는 전면(정면) 부분이다. 상기 하부 공간 전면 플레이트(1130)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부 공간 전면 플레이트 광투과성 소재인 유리(1130a)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 공간 전면 플레이트 유리(1130a)는 광투과성이기 때문에 상기 하부 공간을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 공간 전면 플레이트 유리(1130a)가 상기 전면 플레이트(1130)의 일부로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지만, 상기 하부 공간 전면 플레이트 유리(1130a)가 상기 하부 공간 전면 플레이트(1130) 전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공간 내부에는 다양한 색상의 장식용 돌이 배치된다.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수초들이 상기 하부 공간 내부에 채워진 물의 흐름 또는 기포 등의 흐름에 따라 하늘거리면서 아름다운 모습을 연출한다. 이러한 장식용 돌 및 수초들의 모습은 상기 전면 플레이트 유리(1130a)를 통해서 상기 하우징(1100) 외부에 있는 사람이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1000)는 단순히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역할 뿐만 아니라, 상기 공기 정화 장치(1000)가 주로 설치되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내부 인테리어 소재로서도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상기 도어(1400)는 제1도어(1141) 및 제2도어(11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도어(1141)는 상기 제1공간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도어(1141)는 회동하면서 상기 제1공간을 개폐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도어(1141)의 일측은 상기 하우징(1100)의 외측과 경첩에 의해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도어(1141)에는 제1손잡이(제1핸들)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1141)에는 상기 제1공간을 시각적으로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광투과성 소재인 제1도어 유리(1141a)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도어 유리(1141a)는 상기 제1영역, 상기 제2영역 및 상기 제3영역을 각각 볼 수 있도록 각 영역의 중심부에 하나씩 설치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지만, 상기 제1도어(1141) 전체가 광투과성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도어(1141)에는 개페의 편의성 및 기밀성을 위해서 고무 자석(M)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도어(1142)는 상기 제2공간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도어(1142)는 회동하면서 상기 제2공간을 개폐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2도어(1142)의 일측은 상기 하우징(1100)의 외측과 경첩에 의해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도어(1142)에는 제2손잡이(제2핸들)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도어(1142)에는 상기 제2공간을 시각적으로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제2도어 유리(1142a)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도어 유리(1142a)는 상기 제4영역, 상기 제5영역 및 상기 제6영역을 각각 볼 수 있도록 각 영역의 중심부에 하나씩 설치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지만, 상기 제2도어(1142) 전체가 광투과성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도어(1142)에는 개페의 편의성 및 기밀성을 위해서 고무 자석(M)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물탱크(1150)는 상기 하우징(1100)의 후면 하부의 외측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보조 물탱크(1150)는 내부에 물이 저장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 물탱크(1150)는 상기 하우징(1100)의 하부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물이 부족할 경우 물을 보충해 주기 위해서 설치된다. 상기 보조 물탱크(1150)는 내부에 저장 되어 있는 물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레벨 게이지(115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 물탱크(1150)는 상기 물 분무 장치(1200)의 물 보충용 배관(1240)이 내부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상부에 물 보충용 배관 삽입 홀(115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벨 센서 배치부(1160)는 상기 하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1100)의 후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레벨 센서 배치부(1160)는 상기 하부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물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레벨 센서(1710)가 배치될 수 있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벨 센서 배치부(1160)의 상부에는 상기 레벨 센서(1710)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상부에 레벨 센서 배치부 홀(1160a)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1000)는 상기 레벨 센서(1710)에 의해 측정된 상기 하부 공간의 물의 수위가 설정 수위보다 낮은 경우 상기 보조 물탱크(1150)를 통해서 물이 자동으모 보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물 공급 수단을 통해서 상기 하부 공간에 물을 자동으로 채우거나, 수동으로 상기 하부 공간에 물을 채울 수도 있다.
상기 상면 커버(1170)는 상기 하우징(1100)의 상면을 덮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면 커버(1170)는 상기 하우징(1100)의 상면 상에 배치되는 장치가 상기 하우징(1100)의 상면과의 사이에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면 커버(1170)는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상면 커버(1170)는 후면에 상기 물 분무 장치(1200)의 물 보충용 배관(1240)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면 커버(1170)는 후면에 상기 수위 측정 장치(1700)의 레벨 센서 고정부재(1720)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100)의 후면 상부에 돌출되어 있는 레벨 센서 고정부재 안착부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면 커버(1180) 상기 하우징(1100)의 후면을 덮는 역할을 한다. 상기 후면 커버(1180)는 상기 하우징(1100)의 후면에 배치되는 장치가 상기 하우징(1100)의 후면과의 사이에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후면 커버(1180)는 상기 하우징(1100)의 후면과 마주보는 내측, 상부 및 하부가 각각 개구되어 있다.
상기 바퀴(1190)는 상기 하우징(1100)의 하면 아래쪽에 설치된다. 상기 바퀴(1190)는 상기 하우징(1100)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바퀴(1190)는 상기 하우징(1100)의 하면에 네 개가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든다.
상기 물 분무 장치(1200)는 상기 제1공간에 물을 분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물 분무 장치(1200)는 분무노즐(1210), 물 공급용 배관(1220), 물 공급용 펌프(1230), 물 보출용 배관(1240) 및 체크 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분무노즐(1210)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무노즐(1210)은 상기 제1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1100)의 상면 내측에서 상기 제1공간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분무노즐(1210)은 상기 제1공간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물을 안개 형태로 분무한다.
상기 물 공급용 배관(1220)은 일측은 상기 분무노즐(1210)과 연통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100)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어서 타측은 상기 하우징(1100)의 하부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물 속에 배치된다. 상기 물 공급용 배관(1220)은 상기 하우징(1100)의 상면 상을 따라 연장되다가 절곡되어 상기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100)의 내측면을 따라 밀착되어 상기 하부 공간으로 연장된다.
상기 물 공급용 펌프(1230)는 상기 하부 공간에 저장 되어 있는 물이 상기 물 공급용 배관(122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분무노즐(1210)을 통해서 상기 제1공간으로 분무되도록 한다. 상기 물 공급용 펌프(1230)는 상기 하우징(1100)의 상면 상에서 상기 물 공급용 배관(1220)과 연통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물 보충용 배관(1240)은 일측은 상기 물 공급용 배관과 연통되고, 상기 물 공급용 배관의 타측과 상기 물 공급용 펌프(1230) 사이에서 분기된다. 이 때 상기 물 보충용 배관(1240)은 상기 하우징(1100)의 상면 상에서 분기된다. 상기 물 보충용 배관(1240)은 상기 하우징(1100)의 외주면(상면 및 후면)을 따라 연장되어서 타측은 상기 보조 물탱크(1150)에 배치된다.
상기 체크 밸브(1250)는 상기 하우징(1100)의 상면 상에서 상기 물 보충용 배관(1240)의 일측과 상기 물 공급용 펌프(123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체크 밸브(1250)는 상기 물 공급용 배관(1220) 및 상기 물 보충용 배관(1240)으로부터 상기 분무노즐(1210)로 공급되는 물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수위 측정 장치(1700)에서 상기 하부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물의 수위가 낮게 측정되면, 상기 체크 밸브(1250)가 작동하여 상기 보조 물탱크(1150)의 물이 상기 물 보충용 배관(1240)을 통해서 상기 분무노즐(1210)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제1컨테이너(1300)는 상기 제1지지부재들에 지지되어 안착된다. 상기 제1컨테이너(1300)는 상기 제1지지부재들로부터 착탈 가능하다. 상기 제1컨테이너(1300)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제1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컨테이너(1300)는 상기 제1영역에 배치되는 제1영역 컨테이너,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되는 제2영역 컨테이너 및 상기 제3영역에 배치되는 제3영역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도시의 편의상 상기 제1컨테이너(1300)와 상기 하우징(1100)의 내측면이 이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상기 제1컨테이너(1300)는 상기 하우징(1100)의 내측면과의 사이로 공기가 통과할 수 없도록 상기 제1컨테이너(1300)의 외측면이 상기 하우징(110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만약 상기 제1컨테이너(1300)와 상기 하우징(1100)의 내측면 사이가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이격되어 있는 공간에 공기가 통과할 수 없도록 이격된 공간을 채우는 공기 차단 유닛이 배치된다.
상기 제1컨테이너(1300)들 각각에는 공기정화 소재들이 저장된다. 상기 공기정화 소재들은 상기 제1컨테이너(1300)들로부터 외부로 반출된 후 세척이 가능하다. 상기 제1컨테이너(1300)들 각각에는 서로 상이한 공기정화 소재들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영역 컨테이너에는 화산석이 배치되고, 상기 제2영역 컨테이너에는 맥반석이 배치되며, 상기 제3영역 컨테이너에는 보석 또는 콩자갈이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든다. 상기 화산석은 다공성 구조로써 먼지 흡착 및 분해 효과가 우수하다. 그리고 상기 맥반석, 보석 및 콩자갈은 공기정화 기능이 우수하다. 상기 제1컨테이너(1300)는 다면체 형상을 갖는 스테인리스 소재의 바스켓(바구니)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지만, 상기 제1컨테이너(1300)의 구조는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컨테이너(1300)는 스테인리스 등을 꼬아서 만든 바구니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테이너(1400)는 상기 제2지지부재들에 지지되어 안착된다. 상기 제2컨테이너(1400)는 상기 제2지지부재들로부터 착탈 가능하다. 상기 제2컨테이너(1400)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제2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컨테이너(1400)는 상기 제4영역에 배치되는 제4영역 컨테이너, 상기 제5영역에 배치되는 제5영역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도면에는 상기 제6영역에 배치되는 제6영역 컨테이너가 가상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6영역 컨테이너는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것을 예로 든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4영역은 좌우 방향으로 상기 제3영역과 나란하게 구획되어 있고, 상기 제5영역은 좌우 방향으로 상기 제2영역과 나란하게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제6영역은 좌우 방향으로 상기 제1영역과 나란하게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의 편의상 상기 제2컨테이너(1400)와 상기 하우징(1100)의 내측면이 이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상기 제2컨테이너(1400)는 상기 하우징(1100)의 내측면과의 사이로 공기가 통과할 수 없도록 상기 제2컨테이너(1400)의 외측면이 상기 하우징(110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만약 상기 제2컨테이너(1400)와 상기 하우징(1100)의 내측면 사이가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이격되어 있는 공간에 공기가 통과할 수 없도록 이격된 공간을 채우는 상기 공기 차단 유닛이 배치된다.
상기 제2컨테이너(1400)들 각각에는 공기살균 소재들이 저장된다. 상기 공기살균 소재들은 상기 제2컨테이너(1400)들로부터 외부로 반출된 후 세척이 가능하다. 상기 제2컨테이너(1400)들 각각에는 서로 상이한 공기살균 소재들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4영역 컨테이너에는 참숯이 배치되고, 상기 제5영역 컨테이너에는 옥돌이 배치된다. 상기 참숯 및 옥돌은 공기살균 기능이 우수해서 상기 제1공간을 통과하면서 정화된 공기를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컨테이너(1400)는 다면체 형상을 갖는 스테인리스 소재의 바스켓(바구니)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지만, 상기 제2컨테이너(1400)의 구조는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컨테이너(1400)는 스테인리스 등을 꼬아서 만든 바구니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컨테이너(1300)들에는 공기정화 소재들이 배치되고, 상기 제2컨테이너(1400)들에는 공기살균 소재들이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지만, 상기 제1컨테이너(1300)에 공기살균 소재들이 배치되고, 상기 제2컨테이너(1400)에 공기정화 소재들이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컨테이너(1300)에 저장된 담체에 번식된 미생물로 공기정화 또는 공기살균을 수행하는 서로 다른 제1공기필터 소재들이 배치되고, 상기 제2컨테이너(1400)에도 공기정화 또는 공기살균을 수행해는 서로 다른 제2공기필터 소재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질 정화 장치(1500)는 상기 하부 공간에 저장되는 물을 깨끗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상기 수질 정화 장치(1500)는 폭기 장치(15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폭기 장치(1500)가 설치되어 있는 것만을 예로 들지만, 상기 하부 공간의 수질을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장치들이 얼마든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폭기 장치(1500)는 브로워(1511), 공기 유동관(1512) 및 에어스톤(1513)을 포함한다. 상기 브로워(1511)는 상기 하우징(1100)의 상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브로워(1511)는 상기 에어스톤(1513)에 의해 상기 하부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물 속에 공급될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기 유동관(1512)은 상기 브로워(1511)에서 생성된 산소를 상기 에어스톤(1513)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기 유동관(1512)은 일측이 상기 브로워(1511)에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에어스톤(1513)에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 유동관(1512)는 제1공기 유동관(1512a) 및 제2공기 유동관(1512b)을 포함한다. 상기 제1공기 유동관(1512a)은 상기 브로워(1511)에 연통되어 있는 일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1100)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다가, 상기 하우징(1100)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100)의 내측면을 따라 밀착되어 아래쪽으로 상기 하우징(1100)의 하면까지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공기 유동관(1512a)은 상기 하우징(1100)의 하면까지 연장된 부분에서 상기 하우징(1100)의 하면을 따라 밀착된 상태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2공기 유동관(1512b)은 상기 브로워(1511)에 연통되어 있는 일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1100)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다가, 상기 하우징(1100)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100)의 내측면을 따라 밀착되어 아래쪽으로 상기 하우징(1100)의 하면까지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공기 유동관(1512b)은 상기 하우징(1100)의 하면까지 연장된 부분에서 상기 하우징(1100)의 하면을 따라 밀착된 상태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제2공기 유동관(1512b)은 상기 제1공기 유동관(1512a)보다 상기 하우징(1100)의 하면에서 더 짧게 연장된 길이를 갖는다.
상기 에어스톤(1513)은 상기 공기 유동관(1512)을 통해 이동해온 압축된 공기를 곧바로 수중에 배출하지 않고 기포의 형태로 분산시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어스톤(1513)은 일측은 상기 공기 배출관(1512)의 타측에 연통되고, 상기 하부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물에 배치된다. 이 때 상기 에어스톤(1513)은 상기 하우징(1100)의 하면 상에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스톤(1513)은 제1에어스톤(1513a) 및 제2에어스톤(1513b)을 포함한다. 상기 제1에어스톤(1513a)은 상기 제1공기 유동관(1512a)의 단부와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에어스톤(1513b)은 상기 제2공기 유동관(1512b)의 단부와 연통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제1공기 유동관(1512a)과 상기 제2공기 유동관(1512b)은 서로 길이가 다르고 연장되어 있는 방향이 상이하므로 상기 제1에어스톤(1513a) 및 상기 제2에어스톤(1513b)은 서로 간섭되지 않고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에어스톤(1513a) 및 상기 제2에어스톤(1513b)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100)의 하부 공간 전체에 골고루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상기 하우징(1100)의 하부 공간에는 산소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경 식물이 더 배치된 수 있다. 상기 수경 식물은 개운죽, 스킨답서스, 테이블 야자, 초록 아이비, 크루시아, 해피트리, 아레카야자, 율마, 호야, 타라, 골드하니, 천냥금, 알로카시아, 더피, 버킨콩고, 아비스 및 칼라데아 진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 흡입 팬(1600)은 상기 하우징(1100) 외부의 공기를 상기 하우징(1100) 내부로 유입시키고, 상기 제1공간, 상기 하부 공간 및 상기 제2공간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하우징(1100)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 흡입 팬(1600)은 상기 하우징(1100)의 공기 배출구(1100b)와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 흡입 팬(1600)은 두 개가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든다. 상기 공기 흡입 팬(1600)이 복수 개로 나누어서 형성됨으로써 일부만 가동할 수도 있고, 일부의 고장 시, 고장된 공기 흡입 팬만 교체하면 되므로 상기 공기 흡입 팬(1600)이 하나로 형성된 경우에 비해 효율적이 사용 및 관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1000)는 공기 흡입구(1100a)를 통해서 유입된 공기가 상부 공간 중에서 제1공간, 하부 공간, 상부 공간 중에서 제2공간 및 공기 배출구(1100b)를 순환하면서 연속적으로 정화되기 ??문에 전기 소모량이 적어서 에너지 효율적인 장점이 있다.
상기 수위 측정 장치(1700)는 상기 하우징(1100)의 하부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물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상기 수위 측정 장치(1700)는 레벨 센서(1710) 및 레벨 센서 고정부재(1720)를 포함한다. 상기 레벨 센서(1710)는 상기 하우징(1100)의 하부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물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레벨 센서 배치부(116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 때 상기 레벨 센서(1710)는 상기 레벨 센서 배치부(116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레벨 센서 배치부 홀(1160a)을 통해서 상기 레벨 센서 배치부(116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레벨 센서 고정부재(1720)는 상기 하우징(1100) 후면 상부에 돌출되어 있는 레벨 센서 고정부재 안착부에 배치된다.
상기 자외선 살균장치(1800)는 상기 제1공간, 상기 하부 공간 및 제2공간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공기 배출구(1100b)를 통해 상기 하우징(1100)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살균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자외선 살균장치(1800)는 자외선 램프인 것을 예로 든다. 상기 자외선 살균장치(1800)는 상기 제2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1100)의 상면 내측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서 아래쪽으로 자외선을 조사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공기 배출구(1100b)를 통해서 배출되는 공기를 살균할 수 있다면 상기 자외선 살균장치(1800)의 설치 위치는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900)는 상기 하우징(1100)의 상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어부(1900)는 상기 실내공기 정화장치(1000) 외부의 전원 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는다. 상기 제어부(1900)는 상기 물 분무 장치(1200), 상기 수질 정화 장치(1500), 상기 공기 흡입 팬, 상기 수위 측정 장치(1700) 및 상기 자외선 살균장치(18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는 미리 프로그래밍 되어서 실내의 공기 질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900)는 상기 실내공기 정화장치(1000)가 배치되어 있는 실내의 공기 질에 따라서 상기 물 분무 장치(1200), 상기 수질 정화 장치(1500), 상기 공기 흡입 팬, 상기 수위 측정 장치(1700) 및 상기 자외선 살균장치(1800)의 작동을 제어하여 실내의 공기 질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공기 정화 장치
1100: 하우징
1100a: 공기 유입구
1100b: 공기 배출구
1110: 좌우 구획 플레이트
1120: 상하 구획 플레이트
1121: 제1지지 플레이트
1122: 제2지지 플레이트
1123: 제3지지 플레이트
1124: 제4지지 플레이트
1125: 제5지지 플레이트
1126: 제6지지 플레이트
1130: 하부 공간 전면 플레이트
1130a: 하부 공간 전면 플레이트 유리
1140: 도어
1141: 제1도어
1141a: 제1도어 유리
1142: 제2도어
1142a: 제2도어 유리
1150: 보조 물탱크
1150a: 물 보충용 배관 삽입 홀
1151: 보조 물탱크 레벨 게이지
1160: 레벨 센서 배치부
1160a: 레벨 센서 배치부 홀
1170: 상면 커버
1180: 후면 커버
1190: 바퀴
1200: 물 분무 장치
1210: 분무노즐
1220: 물 공급용 배관
1230: 물 공급용 펌프
1240: 물 보충용 배관
1250: 체크 밸브
1300: 공기정화 소재 컨테이너(제1컨테이너)
1400: 공기살균 소재 컨테이너(제2컨테이너)
1500: 수질 정화 장치
1510: 폭기 장치
1511: 브로워
1512: 공기 유동관
1512a: 제1공기 유동관
1512b: 제2공기 유동관
1513: 에어스톤
1513a: 제1에어스톤
1513b: 제2에어스톤
1600: 공기 흡입 팬
1700: 수위 측정 장치
1710: 레벨 센서
1720: 레벨 센서 고정부재
1800: 자외선 살균장치
1900: 제어부
M: 고무자석

Claims (17)

  1. 내부 공간이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상부 공간은 좌우 구획벽에 의하여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획되어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 사이에 공기가 통과할 수 없게 되며,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은 각각 상기 하부 공간에 연통되며, 공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제1공간의 상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제1공간의 하방향으로 유동한 후 상기 하부 공간을 지나 상기 제2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는 공기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하우징;
    상기 제1공간의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1공간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획하게 하며, 일부분에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통구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1지지부재들;
    상기 제2공간의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2공간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획하게 하며, 일부분에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통구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2지지부재들;
    상기 제1지지부재들에 지지되어 안착되고, 착탈 가능하며,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제1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1컨테이너들;
    상기 제1컨테이너들에 저장되고, 상기 제1컨테이너들로부터 외부로 반출된 후 세척 가능하며, 제1컨테이너들에 각각 저장되며, 공기정화 또는 공기살균을 수행하고, 서로 상이한 제1공기필터 소재들;
    상기 제2지지부재들에 지지되어 안착되고, 착탈 가능하며,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제2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2컨테이너들; 및
    상기 제2컨테이너들에 저장되고, 상기 제2컨테이너들로부터 외부로 반출된 후 세척 가능하며, 제2컨테이너들에 각각 저장되며, 공기정화 또는 공기살균을 수행하고, 서로 상이한 제2공기필터 소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공간에 저장되는 물을 정화시키기 위해서 상기 하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공간에 저장 되어 있는 물에 산소를 공급하는 폭기 장치를 구비하는 수질 정화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폭기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공기를 발산하는 브로워;
    일측이 상기 브로워에 연통되고, 상기 브로워에서 발산된 공기가 이동하는 공기 유동관; 및
    상기 공기 유동관의 타측에 연통되고, 상기 하부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물에 배치되어서 기포를 배출시키는 에어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 유동관은,
    상기 브로워에 연통되어 있는 일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다가,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상기 하우징의 하면까지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면까지 연장된 부분에서 상기 하우징의 하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1공기 유동관; 및
    상기 브로워에 연통되어 있는 일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다가,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상기 하우징의 하면까지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면까지 연장된 부분에서 상기 하우징의 하면을 따라 상기 제1공기 유동관보다 더 짧게 연장되어 있는 제2공기 유동관을 포함하는,
    실내공기 정화장치.
  2. 내부 공간이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상부 공간은 좌우 구획벽에 의하여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획되어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 사이에 공기가 통과할 수 없게 되며,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은 각각 상기 하부 공간에 연통되며, 공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제1공간의 상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제1공간의 하방향으로 유동한 후 상기 하부 공간을 지나 상기 제2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는 공기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하우징;
    상기 제1공간의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1공간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획하게 하며, 일부분에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통구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1지지부재들;
    상기 제2공간의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2공간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획하게 하며, 일부분에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통구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2지지부재들;
    상기 제1지지부재들에 지지되어 안착되고, 착탈 가능하며,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제1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1컨테이너들;
    상기 제1컨테이너들에 저장되고, 상기 제1컨테이너들로부터 외부로 반출된 후 세척 가능하며, 제1컨테이너들에 각각 저장되며, 공기정화 또는 공기살균을 수행하고, 서로 상이한 제1공기필터 소재들;
    상기 제2지지부재들에 지지되어 안착되고, 착탈 가능하며,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제2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2컨테이너들; 및
    상기 제2컨테이너들에 저장되고, 상기 제2컨테이너들로부터 외부로 반출된 후 세척 가능하며, 제2컨테이너들에 각각 저장되며, 공기정화 또는 공기살균을 수행하고, 서로 상이한 제2공기필터 소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공간은,
    화산석이 배치되는 제1영역;
    상기 제1영역의 아래쪽에 구획되어 있고, 맥반석이 배치되는 제2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의 아래쪽에 구획되어 있고, 보석 또는 콩자갈이 배치되는 제3영역을 포함하는,
    실내공기 정화장치.
  3. 내부 공간이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상부 공간은 좌우 구획벽에 의하여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획되어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 사이에 공기가 통과할 수 없게 되며,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은 각각 상기 하부 공간에 연통되며, 공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제1공간의 상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제1공간의 하방향으로 유동한 후 상기 하부 공간을 지나 상기 제2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는 공기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하우징;
    상기 제1공간의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1공간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획하게 하며, 일부분에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통구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1지지부재들;
    상기 제2공간의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2공간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획하게 하며, 일부분에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통구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2지지부재들;
    상기 제1지지부재들에 지지되어 안착되고, 착탈 가능하며,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제1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1컨테이너들;
    상기 제1컨테이너들에 저장되고, 상기 제1컨테이너들로부터 외부로 반출된 후 세척 가능하며, 제1컨테이너들에 각각 저장되며, 공기정화 또는 공기살균을 수행하고, 서로 상이한 제1공기필터 소재들;
    상기 제2지지부재들에 지지되어 안착되고, 착탈 가능하며,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제2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2컨테이너들; 및
    상기 제2컨테이너들에 저장되고, 상기 제2컨테이너들로부터 외부로 반출된 후 세척 가능하며, 제2컨테이너들에 각각 저장되며, 공기정화 또는 공기살균을 수행하고, 서로 상이한 제2공기필터 소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컨테이너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로 공기가 통과할 수 없도록 상기 제1컨테이너의 외측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거나,
    상기 제1컨테이너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가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이격되어 있는 부분에 공기가 통과할 수 없도록 이격된 공간을 채우는 공기 차단 유닛이 배치되는,
    실내공기 정화장치.
  4. 내부 공간이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상부 공간은 좌우 구획벽에 의하여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획되어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 사이에 공기가 통과할 수 없게 되며,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은 각각 상기 하부 공간에 연통되며, 공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제1공간의 상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제1공간의 하방향으로 유동한 후 상기 하부 공간을 지나 상기 제2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는 공기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하우징;
    상기 제1공간의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1공간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획하게 하며, 일부분에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통구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1지지부재들;
    상기 제2공간의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2공간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획하게 하며, 일부분에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통구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2지지부재들;
    상기 제1지지부재들에 지지되어 안착되고, 착탈 가능하며,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제1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1컨테이너들;
    상기 제1컨테이너들에 저장되고, 상기 제1컨테이너들로부터 외부로 반출된 후 세척 가능하며, 제1컨테이너들에 각각 저장되며, 공기정화 또는 공기살균을 수행하고, 서로 상이한 제1공기필터 소재들;
    상기 제2지지부재들에 지지되어 안착되고, 착탈 가능하며,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제2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2컨테이너들; 및
    상기 제2컨테이너들에 저장되고, 상기 제2컨테이너들로부터 외부로 반출된 후 세척 가능하며, 제2컨테이너들에 각각 저장되며, 공기정화 또는 공기살균을 수행하고, 서로 상이한 제2공기필터 소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 상에 배치되는 장치가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의 사이에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갖고,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덮는 상면 커버; 및
    상기 하우징의 후면 외측에 배치되는 장치가 상기 하우징의 후면과의 사이에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갖고, 상부 및 하부가 각각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후면을 덮는 후면 커버를 더 포함하는,
    실내공기 정화장치.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공기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고, 상기 제1공간과 상기 하부 공간과 상기 제2공간을 통과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 흡입 팬을 더 포함하는,
    실내공기 정화장치.
  6.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공간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물을 분무하는 물 분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 분무장치는,
    상기 하우징 중에서 상기 1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의 상면 내측에서 상기 제1공간으로 돌출되어 있는 분무노즐;
    일측은 상기 분무 노즐과 연통되어 있고, 연장되어서 타측은 상기 하부 공간에 배치되는 물 공급용 배관; 및
    상기 하우징의 상면 상에서 상기 물 공급용 배관과 연통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부 공간에 저장 되어 있는 물이 상기 분무 노즐을 통해 상기 제1공간으로 분무되도록 하는 물 공급용 펌프를 포함하는,
    실내공기 정화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후면 하부의 외측에 결합되어 있고, 내부에 물이 저장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공간에 저장 되어 있는 물이 부족할 경우 물을 보충해 주기 위한 보조 물탱크를 더 포함하는,
    실내공기 정화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물 분무장치는,
    일측은 상기 물 공급용 배관과 연통되되, 상기 물 공급용 배관의 타측과 상기 물 공급용 펌프 사이에서 분기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어서 타측은 상기 보조 물탱크에 배치되는 물 보충용 배관; 및
    상기 물 보충용 배관의 일측과 상기 물 공급용 펌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물 공급용 배관 및 상기 물 보충용 배관으로부터 상기 분무 노즐로 공급되는 물을 제어하는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하는,
    실내공기 정화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물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물 수위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레벨 센서 배치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물 수위 측정 장치는,
    상기 하부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물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레벨 센서 배치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레벨 센서를 포함하는,
    실내공기 정화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레벨 센서에 의해 상기 하부 공간의 수위가 낮아지면 상기 보조 물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상기 물 보충용 배관을 통해 상기 분무노즐로 공급하는,
    실내공기 정화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보조 물탱크는,
    내부에 저장 되어 있는 물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레벨 게이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 보충용 배관의 타측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부에 물 보충용 배관 삽입 홀이 형성되어 있는,
    실내공기 정화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스톤은,
    상기 제1공기 유동관의 단부에 연통되어 있는 제1에어스톤; 및
    상기 제2공기 유동관의 단부에 연통되어 있는 제2에어스톤을 포함하는,
    실내공기 정화장치.
  13. 청구항 1, 3 및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은,
    화산석이 배치되는 제1영역;
    상기 제1영역의 아래쪽에 구획되어 있고, 맥반석이 배치되는 제2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의 아래쪽에 구획되어 있고, 보석 또는 콩자갈이 배치되는 제3영역을 포함하는,
    실내공기 정화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공간은,
    상기 제3영역과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구획되어 있고, 참숯이 배치되는 제4영역;
    상기 제4영역의 위쪽에 구획되어 있고, 옥이 배치되는 제5영역; 및
    상기 제5영역의 위쪽에 구획되어 있고,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살균장치가 배치되는 제6영역을 포함하는,
    실내공기 정화장치.
  15. 청구항 1, 2 및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테이너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로 공기가 통과할 수 없도록 상기 제1컨테이너의 외측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거나,
    상기 제1컨테이너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가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이격되어 있는 부분에 공기가 통과할 수 없도록 이격된 공간을 채우는 공기 차단 유닛이 배치되는,
    실내공기 정화장치.
  16.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은,
    상기 제1공간, 상기 제2공간 및 상기 하부 공간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일부 또는 전부가 광 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는,
    실내공기 정화장치.
  17.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공간에는, 산소를 발생시키 위한 수경 식물이 더 배치되는,
    실내공기 정화장치.
KR1020220142607A 2022-10-31 2022-10-31 실내공기 정화장치 KR102593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607A KR102593904B1 (ko) 2022-10-31 2022-10-31 실내공기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607A KR102593904B1 (ko) 2022-10-31 2022-10-31 실내공기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3904B1 true KR102593904B1 (ko) 2023-10-25

Family

ID=88515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2607A KR102593904B1 (ko) 2022-10-31 2022-10-31 실내공기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90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9395B1 (ko) 2015-06-16 2017-04-2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정화식물과 광물필터를 이용한 친환경 공기정화시스템
KR101904068B1 (ko) * 2018-03-13 2018-10-04 이윤성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1913197B1 (ko) * 2018-05-18 2018-10-30 (주)유나 스크러버 장치
KR102171946B1 (ko) * 2020-06-23 2020-11-02 이주영 이동형 실내 공기정화장치
KR20210135124A (ko) * 2020-05-04 2021-11-12 장덕성 습식필터 방식 공기정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9395B1 (ko) 2015-06-16 2017-04-2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정화식물과 광물필터를 이용한 친환경 공기정화시스템
KR101904068B1 (ko) * 2018-03-13 2018-10-04 이윤성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1913197B1 (ko) * 2018-05-18 2018-10-30 (주)유나 스크러버 장치
KR20210135124A (ko) * 2020-05-04 2021-11-12 장덕성 습식필터 방식 공기정화 시스템
KR102171946B1 (ko) * 2020-06-23 2020-11-02 이주영 이동형 실내 공기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701B1 (ko) 공기 및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수족관용 기포필터
KR101429678B1 (ko) 일체형 실내 환경개선장치
KR20190018464A (ko) 가습공기청정기
CN104023753A (zh) 净化装置和净化方法
KR20170051265A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080001082U (ko) 습식 공기정화장치가 구비된 환기유닛
KR102593904B1 (ko) 실내공기 정화장치
CN109442608A (zh) 一种新型桌面空气净化器
KR102073557B1 (ko) 필터 선택식 공기질 변환 장치
CN207763124U (zh) 一种用于保健品生产车间的空气净化器
KR102159622B1 (ko) 살균기능을 갖는 냉온수기용 정수필터
KR101998337B1 (ko) 습식 실내공기 청정장치
KR102570337B1 (ko) 포그를 이용한 식물재배식 공기정화장치
KR102575939B1 (ko) 살균혼합공기 확산공급장치
CN212102095U (zh) 紫外线杀菌式雾化装置
KR102635725B1 (ko)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
JP7168268B2 (ja) 空気清浄機及び浄水システム
CN216223607U (zh) 一种涂装废气处理设备
KR102349868B1 (ko) 공기청정가습 시계
CN218672419U (zh) 加湿净化装置和空调室内机
KR102186418B1 (ko) 가습 공기청정기
KR102640806B1 (ko) 식물 공기정화기
KR102532255B1 (ko) 식재와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
KR100991805B1 (ko) 공기 정화기
KR20190019107A (ko) 가습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