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3436B1 -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페서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환자 맞춤형 페서리 - Google Patents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페서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환자 맞춤형 페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3436B1
KR102593436B1 KR1020200185945A KR20200185945A KR102593436B1 KR 102593436 B1 KR102593436 B1 KR 102593436B1 KR 1020200185945 A KR1020200185945 A KR 1020200185945A KR 20200185945 A KR20200185945 A KR 20200185945A KR 102593436 B1 KR102593436 B1 KR 102593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sary
patient
shape
vagina
pr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5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4587A (ko
Inventor
민재영
김미란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85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436B1/ko
Priority to PCT/KR2021/006115 priority patent/WO2022145592A1/ko
Priority to US18/020,818 priority patent/US20230285184A1/en
Publication of KR20220094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4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6/00Contraceptive devices; Pessaries; Applicators therefor
    • A61F6/06Contraceptive devices; Pessaries; Applicators therefor for use by females
    • A61F6/08Pessaries, i.e. devices worn in the vagina to support the uterus, remedy a malposition or prevent conception, e.g. combined with devices protecting against conta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6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for measuring dimensions inside body cavities, e.g. us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 A61B8/0833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involving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or organic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12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 body cavities or body tracts, e.g. by us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04Closure means for urethra or rectum, i.e. anti-incontinence devices or support slings against pelvic prolapse
    • A61F2/0022Closure means for urethra or rectum, i.e. anti-incontinence devices or support slings against pelvic prolapse placed deep in the body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04Closure means for urethra or rectum, i.e. anti-incontinence devices or support slings against pelvic prolapse
    • A61F2/0031Closure means for urethra or rectum, i.e. anti-incontinence devices or support slings against pelvic prolapse for constricting the lumen; Support slings for the urethra
    • A61F2/005Closure means for urethra or rectum, i.e. anti-incontinence devices or support slings against pelvic prolapse for constricting the lumen; Support slings for the urethra with pressure applied to urethra by an element placed in the vagi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34Urogenital system, e.g. vagina, uterus, cervix, penis, scrotum, urethra, bladder; Personal lubricants
    • A61K9/0036Devices retained in the vagina or cervix for a prolonged period, e.g. intravaginal rings, medicated tampons, medicated diaphrag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61M31/002Devices for releasing a drug at a continuous and controlled rate for a prolonged period of ti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240/002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페서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환자 맞춤형 페서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질 내 형상에 대응하도록 페서리를 형성하기 위한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페서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환자 맞춤형 페서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 환자의 질 내 형상이 도출되는 단계; b) 도출된 상기 환자의 질 내 형상에 대응되는 페서리의 형상이 3D 모델링 되는 단계; 및 c) 상기 3D 모델링된 형상으로 3D 프린터에 의해 상기 페서리가 제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페서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페서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환자 맞춤형 페서리{MANUFACTURING METHOD OF PATIENT-SPECIFIC PESSARY USING 3D PRINTER AND PATIENT-SPECIFIC PESSARY MANUFACTURED THEREBY}
본 발명은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페서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환자 맞춤형 페서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질 내 형상에 대응하도록 페서리를 형성하기 위한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페서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환자 맞춤형 페서리에 관한 것이다.
골반 장기 탈출증이란 자궁, 질, 방광, 직장을 지지하고 있는 골반 바닥부위의 근육 약화로 인해 뱃속 장기가 아래쪽으로 쏠려 돌출되어 나오는 질환을 지칭한다.
이러한 골반 장기 탈출증은 경미한 경우 운동요법과 약물요법으로 치료가 가능하지만 심한 경우 수술요법 또는 기구를 사용하여 자궁이 처지는 것을 고정하여야 한다.
자궁 탈출증 환자의 치료에는 아주 심한 중증환자를 제외하고는 페서리와 같은 기구를 사용하여 치료하는 방법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페서리는 개인 맞춤형이 아니기 때문에 여러가지 사이즈의 페서리를 차례로 착용을 하면서 맞는 사이즈가 어떤 것인지 시도해 봐야 하며, 사이즈가 맞지 않는 경우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개인의 질 형태나 골반 모양에 따라 필요한 페서리가 달라지게 되는데 국내에서 현재 사용 가능한 페서리는 한가지 종류뿐이라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질 내에 손가락을 넣어 약물을 직접 투약해야 했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약물을 투약하기 어렵고, 염증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일본공개특허 제2014-509922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질 내 형상에 대응하도록 페서리를 형성하기 위한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페서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환자 맞춤형 페서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a) 환자의 질 내 형상이 도출되는 단계; b) 도출된 상기 환자의 질 내 형상에 대응되는 페서리의 형상이 3D 모델링 되는 단계; 및 c) 상기 3D 모델링된 형상으로 3D 프린터에 의해 상기 페서리가 제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페서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풍선 형태의 프로브부가 질에 삽입되는 단계; a2) 질에 삽입된 상기 프로브부에 유체가 주입되어 팽창되는 단계; a3) 상기 프로브부의 외주면에 마련된 복수의 압력센서에 의해 위치별 압력값이 측정되는 단계; 및 a4) 상기 프로브부의 상기 위치별 압력값을 이용하여 환자의 질 내 형상이 도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a4) 단계에서 도출된 환자의 질 내 형상에 대응되는 페서리의 형상이 모델링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i) 풍선 형태의 프로브부가 질에 삽입되는 단계; ii) 질에 삽입된 상기 프로브부에 액체가 주입되어 팽창되는 단계; iii) 상기 프로브부에 초음파가 조사되어 상기 프로브부의 형태가 도출되는 단계; 및 iv) 상기 프로브부의 형태에 따른 환자의 질 내 형상이 도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iv) 단계에서 도출된 환자의 질 내 형상에 대응되는 페서리의 형상이 모델링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페서리는, 에스트로겐 및 윤활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주입할 수 있도록 모델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3D 프린터는 실리콘 소재로 상기 페서리를 프린팅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iv) 단계에서, 환자의 질 내 형상에 따른 자궁, 직장, 방광의 처짐을 도출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도출된 상기 자궁, 직장, 방광의 처짐에 대응하여 상기 자궁, 직장, 방광을 지지하도록 상기 페서리의 형상이 모델링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페서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페서리에 있어서, 상기 페서리는, 자궁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된 페서리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페서리 몸체는 도넛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페서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페서리는, 상기 페서리몸체에 형성되는 분비홀; 및 상기 페서리몸체에 결합되어 에스트로겐 및 윤활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도록 마련된 실린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비홀에 의해 상기 실린더에 저장된 에스트로겐 및 윤활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주입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페서리몸체는, 자궁, 직장, 방광의 처짐량에 대응하여 도넛형의 두께, 종횡비 및 최대 지름이 결정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환자의 질 내 형상에 대응되는 페서리를 제조할 수 있다.
페서리의 분비홀에서 약물을 주기적으로 분비하여 약물 치료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페서리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질 내 형상이 도출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프로브부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질 내 형상이 도출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프로브부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페서리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페서리가 질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페서리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페서리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페서리의 제조방법은 먼저, 환자의 질 내 형상이 도출되는 단계(S10)가 수행될 수 있다.
환자의 질 내 형상이 도출되는 단계(S10)에서는, 환자의 질(1) 내 형상을 도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질 내 형상이 도출되는 단계의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프로브부의 예시도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질 내 형상이 도출되는 단계(S10)는, 풍선 형태의 프로브부가 질에 삽입되는 단계(S11)가 수행될 수 있다.
풍선 형태의 프로브부가 질에 삽입되는 단계(S11)에서, 프로브부는 제1 프로브부(10)일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브부(10)는 풍선부(11), 압력센서(12), 손잡이(13) 및 주입관(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풍선부(11)는 장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질(1) 내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풍선부(11)는 상기 질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유체가 주입됨에 따라 팽창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12)는 상기 풍선부(11)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력센서(12)는 상기 풍선부의 둘레 및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력센서(12)는 상기 풍선부(11)가 팽창될 때, 상기 질(1)의 내벽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3)는 상기 풍선부(11)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관(14)은 상기 손잡이(13)에 연장 형성되며, 풍선부(11)에 유체를 주입하거나, 상기 풍선부(11) 내부의 유체를 배출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3)에는 밸브와 연결된 버튼이 마련되어 상기 주입관(14)이 상기 풍선부(11)에 대한 유체의 주입 여부를 제어할 수 있게 더 마련될 수 있다.
풍선 형태의 프로브부가 질에 삽입되는 단계(S11) 이후에는, 질에 삽입된 프로브부에 유체가 주입되어 팽창되는 단계(S12)가 수행될 수 있다.
질에 삽입된 프로브부에 유체가 주입되어 팽창되는 단계(S12)에서는 상기 주입관(14)을 이용하여 상기 풍선부(11)에 유체가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풍선부(11)는 유체가 주입되면, 팽창되어 상기 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질에 삽입된 프로브부에 유체가 주입되어 팽창되는 단계(S12) 이후에는, 프로브부의 외주면에 마련된 복수의 압력센서에 의해 위치별 압력값이 측정되는 단계(S13)가 수행될 수 있다.
프로브부의 외주면에 마련된 복수의 압력센서에 의해 위치별 압력값이 측정되는 단계(S13)에서는, 상기 풍선부(11)가 팽창될 때, 상기 압력센서(12)가 상기 질(1)의 내벽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프로브부의 외주면에 마련된 복수의 압력센서에 의해 위치별 압력값이 측정되는 단계(S13) 이후에는, 프로브부의 위치별 압력값을 이용하여 환자의 질 내 형상이 도출되는 단계(S14)가 수행될 수 있다.
프로브부의 위치별 압력값을 이용하여 환자의 질 내 형상이 도출되는 단계(S14)에서는 상기 제1 프로브부(10)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12)에 의해 측정된 위치별 압력값에 따라 질(1)의 내부 형상을 도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질(1)의 내부 공간이 넓을수록 상대적으로 압력은 낮고, 질(1)의 내부 공간이 좁을수록 상대적으로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각 압력센서(12)의 압력값에 따라 질(1)의 내부 형상이 도출될 수 있다. 이러한 질(1)의 내부 형상을 도출하는 것은 실시간 압력값의 변화를 통해 질(1)의 내부 형상을 도출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래밍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프로브부의 위치별 압력값을 이용하여 환자의 질 내 형상이 도출되는 단계(S14)에서는, 질(1)의 형상을 통해, 자궁(2), 직장(3), 방광(4)의 처짐으로 인한 돌출 정도를 동시에 측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질 내 형상이 도출되는 단계의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프로브부의 예시도이다.
도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질 내 형상이 도출되는 단계(S10)는, 먼저, 풍선 형태의 프로브부가 질에 삽입되는 단계(S111)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브부는 제2 프로브부(20)일 수 있다. 상기 제2 프로브부(20)는 풍선부(21), 손잡이(23) 및 주입관(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풍선부(21)는 장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질(1) 내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풍선부(21)는 상기 질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액체가 주입됨에 따라 팽창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23)는 상기 풍선부(21)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관(24)은 상기 손잡이(13)에 연장 형성되며, 풍선부(21)에 액체를 주입하거나, 상기 풍선부(21) 내부의 액체를 배출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23)에는 밸브와 연결된 버튼이 마련되어 상기 주입관(24)이 상기 풍선부(21)에 대한 액체의 주입 여부를 제어할 수 있게 더 마련될 수 있다.
풍선 형태의 프로브부가 질에 삽입되는 단계(S111) 이후에는, 질에 삽입된 프로브부에 액체가 주입되어 팽창되는 단계(S112)가 수행될 수 있다.
질에 삽입된 프로브부에 액체가 주입되어 팽창되는 단계(S112)에서는 상기 주입관(24)을 이용하여 상기 풍선부(21)에 액체가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풍선부(21)는 액체가 주입되면, 팽창되어 상기 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질에 삽입된 프로브부에 액체가 주입되어 팽창되는 단계(S112) 이후에는, 프로브부에 초음파가 조사되어 프로브부의 형태가 도출되는 단계(S113)가 수행될 수 있다.
프로브부에 초음파가 조사되어 프로브부의 형태가 도출되는 단계(S113)에서는, 초음파부에 의해 상기 제2 프로브부(20)에 초음파가 조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프로브부(20)에 초음파가 조사되면 상기 제2 프로브부(20) 내부 액체에 의해 상기 제2 프로브부(20)의 형상이 촬영될 수 있다.
프로브부에 초음파가 조사되어 프로브부의 형태가 도출되는 단계(S113)에서는 상기 제2 프로브부(20)의 형상을 보다 정확하게 도출하기 위해 여러 방향에서 초음파를 조사하여 제2 프로브부(20)의 형상을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프로브부에 초음파가 조사되어 프로브부의 형태가 도출되는 단계(S113) 이후에는, 프로브부의 형태에 따른 환자의 질 내 형상이 도출되는 단계(S114)가 수행될 수 있다.
프로브부의 형태에 따른 환자의 질 내 형상이 도출되는 단계(S114)에서는, 상기 제2 프로브부(20)의 형태를 이용하여 질(1)의 형상을 도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한 상기 제2 프로브부(20)의 상기 풍선부(21)의 형상들을 조합하여 상기 질(1)의 형상을 도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1 프로브부(10) 또는 제2 프로브부(20)를 이용하여 환자의 질 내 형상을 정확하게 도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프로브부의 형태에 따른 환자의 질 내 형상이 도출되는 단계(S114)에서는, 질(1)의 형상을 통해, 자궁(2), 직장(3), 방광(4)의 처짐으로 인한 돌출 정도를 동시에 측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환자의 질 내 형상이 도출되는 단계(S10) 이후에는, 도출된 환자의 질 내 형상에 대응되는 페서리의 형상이 3D 모델링 되는 단계(S20)가 수행될 수 있다.
도출된 환자의 질 내 형상에 대응되는 페서리의 형상이 3D 모델링 되는 단계(S20)에서는, 앞서 도출된 환자의 질 내 형상에 적합한 페서리의 형상이 모델링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페서리의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페서리가 질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환자의 질 내 형상이 도출되는 단계(S10)에서, 환자의 자궁(2)이 하부로 돌출되고 있다면 페서리(100)는 자궁(2)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자궁(2)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페서리(100)는 도넛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자궁(2)의 하부의 질(1)에 끼워져 상기 자궁(2)이 하부로 내려오는 것을 막도록 마련된 페서리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출된 환자의 질 내 형상에 대응되는 페서리의 형상이 3D 모델링 되는 단계(S20)에서는, 도출된 질(1)의 형상에 따라 도출된 자궁(2), 직장(3), 방광(4)의 처짐으로 인한 돌출 정도에 대응하여 자궁(2), 직장(3), 방광(4)을 지지할 수 있는 페서리의 형상이 모델링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페서리몸체(110)는, 자궁, 직장, 방광의 처짐량에 대응하여 도넛형의 두께, 종횡비 및 최대 지름이 결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자궁(2)의 처짐만을 지지할 필요가 있을 경우, 도 6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종횡비가 동일한 도넛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자궁(2) 외에도 직장(3) 및 방광(4)에 처짐이 발생한 경우, 처진 직장(3) 및 방광(4)을 지지하기 위해 도 6의 (b)에 도시된 것처럼 페서리몸체(110)의 두께 및 종횡비가 변형되어 연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자궁(2) 외에도 직장(3) 및 방광(4) 중 어느 하나에 처짐이 발생한 경우, 처진 장기를 지지하기 위해 도 6의 (c)에 도시된 것처럼 처진 장기 측으로 페서리몸체(110)의 두께가 더 두껍도록 하고 이에 따라 종횡비가 변형되어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자궁(2) 뿐만 아니라 직장(3) 및 방광(4)의 처짐에 대해서도 이를 지지하도록 페서리(100)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페서리의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환자의 질 내 형상이 도출되는 단계(S10)에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페서리(200)는 도넛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자궁(2)의 하부의 질(1)에 끼워져 상기 자궁(2)이 하부로 내려오는 것을 막도록 마련된 페서리몸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페서리(200)는 상기 페서리몸체(210)에 형성되는 분비홀(220)과 상기 페서리몸체(210)에 결합되어 에스트로겐 및 윤활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도록 마련된 실린더(2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분비홀(220)은 상기 페서리몸체(210)의 둘레 방향으로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으며, 에스트로겐 및 윤활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주기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환자의 질 내 형상이 도출되는 단계(S10)에서, 질 내 형상 및 자궁(2), 직장(3), 방광(4)의 처짐 정도를 판단하고, 자궁(2)의 처짐 정도에 따라 환자에게 에스트로겐과 같은 호르몬 치료나 윤활유 치료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도출된 환자의 질 내 형상에 대응되는 페서리의 형상이 3D 모델링 되는 단계(S20)에서는 질(1)의 형상뿐만 아니라 자궁(2) 외의 직장(3) 및 방광(4)의 처짐으로 인한 돌출 여부와 윤활유 또는 에스트로겐과 같은 호르몬 치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분비홀(220) 및 실린더(230)가 페서리몸체(210)에 형성되도록 페서리를 모델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페서리 모델링은 모델링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린더(230)에는 상기 분비홀(220)에 의해 윤활유 또는 에스트로겐이 분비되는 시간 간격과 분비량이 설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정해진 시간에 환자에게 필요한 적정량의 약물이 지속적으로 주입되도록 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향상시키게 될 수 있다.
도출된 환자의 질 내 형상에 대응되는 페서리의 형상이 3D 모델링 되는 단계(S20) 이후에는, 3D 모델링된 형상으로 3D 프린터에 의해 상기 페서리가 제조되는 단계(S30)가 수행될 수 있다.
3D 모델링된 형상으로 3D 프린터에 의해 상기 페서리가 제조되는 단계(S30)에서는, 페서리가 앞서 모델링부에 의해 모델링된 형태로 3D 프린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3D 프린팅은 인체에 삽입하여도 무해한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페서리는 형상기억합금 소재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페서리는 특정 온도에서 사이즈가 변화하는 형상기억합금 원리처럼 질 내에서 일정한 압력까지만 사이즈가 커지도록 이루어져 질(1)의 내부 공간 사이즈에 맞게 저절로 사이즈가 조절되도록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련된 본 발명은 환자의 질(1) 내 형상을 측정하여 자궁(2), 직장(3) 및 방광(4)의 처짐을 동시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환자에 따라 최적화된 형태로 모델링된 페서리를 제조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페서리가 안정적으로 질 내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자궁(2)뿐만 아니라 직장(3), 방광(4) 등의 장기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지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약물을 주기적으로 분비시켜 직접 약물을 주입할 때에 비해 염증 발생 가능성이 적으며, 잊지 않고 약물이 주입되도록 할 수 있어 치료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질
2: 자궁
3: 직장
4: 방광
10: 제1 프로브부
11: 풍선부
12: 압력센서
13: 손잡이
14: 주입관
20: 제2 프로브부
21: 풍선부
23: 손잡이
24: 주입관
100: 페서리
110: 페서리몸체
120: 분비홀
200: 페서리
210: 페서리몸체
220: 분비홀
230: 실린더

Claims (12)

  1. a) 환자의 질 내 형상이 도출되는 단계;
    b) 도출된 상기 환자의 질 내 형상에 대응되는 페서리의 형상이 3D 모델링 되는 단계; 및
    c) 상기 3D 모델링된 형상으로 3D 프린터에 의해 상기 페서리가 제조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a1) 프로브부에 구비된 풍선 형태를 가지는 1개의 풍선부가 질에 삽입되는 단계;
    a2) 질에 삽입된 상기 풍선부에 유체가 주입되어 팽창되는 단계;
    a3) 상기 풍선부의 둘레 및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풍선부의 내주면에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압력센서에 의해 위치별 압력값이 각각 측정되는 단계; 및
    a4) 상기 위치별 압력값을 이용하여 환자의 질 내 형상이 도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페서리는 형상기억합금 소재로 이루어져 특정 온도에서 기설정된 압력까지만 사이즈가 커짐에 따라 질의 내부 공간 사이즈에 맞게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페서리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a4) 단계에서 도출된 환자의 질 내 형상에 대응되는 페서리의 형상이 모델링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페서리의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페서리는,
    에스트로겐 및 윤활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주입할 수 있도록 모델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페서리의 제조방법.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환자의 질 내 형상에 따른 자궁, 직장, 방광의 처짐을 도출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페서리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도출된 상기 자궁, 직장, 방광의 처짐에 대응하여 상기 자궁, 직장, 방광을 지지하도록 상기 페서리의 형상이 모델링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페서리의 제조방법.
  10. 제 1 항에 따른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페서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페서리에 있어서,
    상기 페서리는,
    자궁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된 페서리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페서리 몸체는 도넛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페서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페서리는,
    상기 페서리몸체에 형성되는 분비홀; 및
    상기 페서리몸체에 결합되어 에스트로겐 및 윤활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도록 마련된 실린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비홀에 의해 상기 실린더에 저장된 에스트로겐 및 윤활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주입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페서리.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페서리몸체는,
    자궁, 직장, 방광의 처짐량에 대응하여 도넛형의 두께, 종횡비 및 최대 지름이 결정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페서리.
KR1020200185945A 2020-12-29 2020-12-29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페서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환자 맞춤형 페서리 KR102593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945A KR102593436B1 (ko) 2020-12-29 2020-12-29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페서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환자 맞춤형 페서리
PCT/KR2021/006115 WO2022145592A1 (ko) 2020-12-29 2021-05-17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페서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환자 맞춤형 페서리
US18/020,818 US20230285184A1 (en) 2020-12-29 2021-05-17 Method for producing patient-customized pessary using 3d printer and patient-customized pessary produced there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945A KR102593436B1 (ko) 2020-12-29 2020-12-29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페서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환자 맞춤형 페서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4587A KR20220094587A (ko) 2022-07-06
KR102593436B1 true KR102593436B1 (ko) 2023-10-24

Family

ID=82259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945A KR102593436B1 (ko) 2020-12-29 2020-12-29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페서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환자 맞춤형 페서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85184A1 (ko)
KR (1) KR102593436B1 (ko)
WO (1) WO202214559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2830A (ja) 1998-07-06 2009-05-28 Microvention Inc 管塞栓形成用の膨張可能なインプラ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31051B1 (ko) 2012-12-31 2014-08-21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
JP2014520896A (ja) 2011-07-20 2014-08-25 エフ. カイザー,パトリック 薬物送達のための膣内デバイス
WO2020181103A1 (en) * 2019-03-06 2020-09-10 Fp Medtech, Inc. Devices and methods to optimize the form and function of a pessary
KR102189639B1 (ko) 2012-10-31 2020-12-11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탐폰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26493B2 (en) 2011-04-11 2015-01-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ssary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2830A (ja) 1998-07-06 2009-05-28 Microvention Inc 管塞栓形成用の膨張可能なインプラ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520896A (ja) 2011-07-20 2014-08-25 エフ. カイザー,パトリック 薬物送達のための膣内デバイス
KR102189639B1 (ko) 2012-10-31 2020-12-11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탐폰 제조 방법
KR101431051B1 (ko) 2012-12-31 2014-08-21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
WO2020181103A1 (en) * 2019-03-06 2020-09-10 Fp Medtech, Inc. Devices and methods to optimize the form and function of a pessa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4587A (ko) 2022-07-06
WO2022145592A1 (ko) 2022-07-07
US20230285184A1 (en) 2023-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22949B (zh) 用于训练骨盆底肌肉的装置、系统、和方法
CN113368375B (zh) 用于测量泌尿道压力的装置
US4669478A (en) Device for diagnosing and relieving female incontinence
US82244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pelvic pain
US83374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pelvic pain
JP2019528103A5 (ko)
US20150328475A1 (en) Biofeedback apparatus using magnetic stimul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H09507151A (ja) 前立腺の薬剤配送用カテーテル
US20170095334A1 (en) Implantable penile prosthetic having a base expandable by liquid inflation
EP4103258A1 (en) Ocular implant and method of making same
EP2995275B1 (en) Artificial urinary sphincter system
JP2021532950A (ja) 自然受精を増進するための膣内デバイスならびに関連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593436B1 (ko)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페서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환자 맞춤형 페서리
US20080319348A1 (en) Diagnosis catheter for interstitial cystitis
EP3541282A1 (en) System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child birth
US10687977B1 (en) Device and method to optimize the form and function of a pessary
JP2003325685A (ja) 子宮頚癌腔内放射線照射用バルーン型スペーサー及び子宮頚癌腔内放射線照射用アプリケーター
KR102571791B1 (ko) 산모 맞춤형 조산 예방용 페서리 및 이의 제조방법
CN205683082U (zh) 一种前列腺及尿道测量导管
US20210315730A1 (en) Device and method to optimize the form and function of a pessary
JP2024514541A (ja) 骨盤底靭帯支持のためのペッサリシステム及び方法
EP1933709B1 (en) Location and stabilization device
CN220309271U (zh) 一种子宫下垂的托具
WO2023069477A1 (en) Vaginal dilator with automated expansion system and telemedicine system
JP2018164726A (ja) 骨盤臓器脱の予防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