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851B1 - 보호부재 - Google Patents

보호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851B1
KR102592851B1 KR1020210192232A KR20210192232A KR102592851B1 KR 102592851 B1 KR102592851 B1 KR 102592851B1 KR 1020210192232 A KR1020210192232 A KR 1020210192232A KR 20210192232 A KR20210192232 A KR 20210192232A KR 102592851 B1 KR102592851 B1 KR 102592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part
disposed
base member
fastening
spu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2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2259A (ko
Inventor
백성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자인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자인시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자인시공사
Priority to KR1020210192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851B1/ko
Priority to CN202210929413.2A priority patent/CN116406874A/zh
Publication of KR20230102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8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2Boots covering the lower le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15Plastics or artificial leather
    • A43B23/022Plastics or artificial leather with waterproof breathable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35Different layers of differ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7Lining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081Toe stiffeners
    • A43B23/082Toe stiffeners made of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081Toe stiffeners
    • A43B23/086Toe stiffeners made of impregnated fabrics, plastics or the like
    • A43B23/087Toe stiffeners made of impregnated fabrics, plastics or the like made of plastic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43B3/5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with sound or music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06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for horse rid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일측 상부에 위치하는 뒤축부; 상기 바닥부의 타측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뒤축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등부; 및 상기 등부의 영역에 위치하는 보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재는, 제1보호부재; 및 상기 제1보호부재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2보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보호부재는 제1베이스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보호부재는 제2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1베이스 부재와 체결되고, 상기 제1베이스 부재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화에 관한 것으로, 보호부재를 상기 제1베이스 부재 및 상기 제1베이스 부재와 체결되는 제2베이스 부재로 구성하고, 상기 제1베이스 부재 및 상기 제2베이스 부재를 각각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 및 상기 복수개의 제2체결부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보호부재에 전달되는 큰 충격을 상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보호부재{A Safety Member}
본 발명은 보호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가락과 발등 등을 보호하기 위한 최적의 보호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화라 함은 공장이나 건설현장 등에서 낙하하는 중량물로 부터 발을 보호하거나, 보행중 날카롭거나 딱딱한 물체에 부딪혀 발이 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착용되는 신발을 의미한다.
따라서, 안전화에는 발가락이 위치하는 앞부분에 강철로 만들어진 토우캡(toe-cap)이 내착되는데, 이러한 강철 토우캡은 일정 두께의 강철 판재를 드로잉 가공하여 제작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강철 토우캡이 신발의 앞부분에 내착된 종래의 안전화는 보행시 날카롭거나 딱딱한 물체가 발끝에 부딪혀 발가락이 다치는 것을 보호할 수는 있으나, 낙하하는 중량물로부터 발등을 충분히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낙하하는 중량물에 의해 사용자의 발등에 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충격은 상기 강철 토우캡에 전달되고, 상기 강철 토우캡에 전달되는 충격은 사용자의 발등에 그대로 전달이 되게 된다.
즉, 상기 강철 토우캡에 의하여, 상술한 큰 충격이 일부 상쇄되기는 하나, 상기 강철 토우캡에 전달되는 큰 충격이, 여전히 사용자의 발등에 전달되기 때문에, 종래의 안전화는 낙하하는 중량물로부터 발등을 충분히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안전화는, 상기 강철 토우캡에 의하여,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안전화를 작업장에서 장시간 신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발에 땀이 차서 무좀, 악취, 곰팡이 등이 발생하기 쉽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발가락과 발등을 보호하기 위한 최적의 보호부재를 포함하는 안전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기성이 우수하여, 사용자의 발에 무좀, 악취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일측 상부에 위치하는 뒤축부; 상기 바닥부의 타측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뒤축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등부; 및 상기 등부의 영역에 위치하는 보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재는, 제1보호부재; 및 상기 제1보호부재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2보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보호부재는 제1베이스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보호부재는 제2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1베이스 부재와 체결되고, 상기 제1베이스 부재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화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보호부재는, 상기 제1베이스 부재의 제1-1일정영역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통공; 및 상기 복수개의 제1통공과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베이스 부재의 제1-2일정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베이스 부재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2베이스 부재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제1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보호부재는, 상기 제2베이스 부재의 제2-1일정영역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통공; 및 상기 복수개의 제2통공과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2베이스 부재의 제2-2일정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2베이스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베이스 부재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안전화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수개의 제1통공의 개수보다 상기 복수개의 제2통공의 개수가 더 많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화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는, 제1-1체결부; 및 상기 제1-1체결부와 일정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1체결부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2체결부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1보호부재는, 상기 제1-1체결부 및 상기 제1-2체결부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1체결부와 상기 제1-2체결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1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2체결부는, 제2-1체결부; 및 상기 제2-1체결부와 일정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1체결부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2체결부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2보호부재는, 상기 제2-1체결부 및 상기 제2-2체결부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1체결부와 상기 제2-2체결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1통공; 및 상기 제2-1체결부 및 상기 제2-2체결부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1체결부와 상기 제2-2체결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1통공와 일정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2통공을 포함하는 안전화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1체결부 및 상기 제1-2체결부의 간격은 d1에 해당하며, 상기 제1-1통공은 상기 d1의 1/2 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제1-1체결부로부터 상기 제1-1통공까지의 간격과 상기 제1-2체결부로부터 상기 제1-1통공까지의 간격은 각각 d2로 배치되고, 상기 제2-1체결부 및 상기 제2-2체결부의 간격은 d3에 해당하며, 상기 제2-1통공은 상기 d3의 1/4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제2-2통공은 상기 d3의 3/4 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제2-1체결부로부터 상기 제2-1통공까지의 간격과 상기 제2-2체결부로부터 상기 제2-2통공까지의 간격은 각각 d5로 배치되고, 상기 d1과 상기 d3는 동일하여, 상기 제1-1체결부와 상기 제2-1체결부는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여 상호 체결되고, 상기 제1-2체결부와 제2-2체결부는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여 상호 체결되며, 상기 제2-1체결부 및 상기 제2-2체결부의 간격 d3는, d3의 가상의 1/2 지점을 포함하며, 상기 d3의 가상의 1/2 지점은, 상기 d3의 가상의 1/2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1체결부까지의 간격과 상기 d3의 가상의 1/2 지점로부터 상기 제2-2체결부까지의 간격이 각각 d4로 배치되고, 상기 d2와 상기 d4는 동일하여, 상기 제2-1통공 및 상기 제2-2통공은, 상기 제2-1체결부 및 상기 제2-2체결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1통공은, 상기 제1-1체결부 및 상기 제1-2체결부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1-1통공은, 상기 제2-1통공 및 상기 제2-2통공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화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는, 각각 체결홈을 포함하는 음각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2체결부는, 각각 돌기부를 포함하는 양각형태로 구성되며, 또는, 상기 복수개의 제2체결부는, 각각 체결홈을 포함하는 음각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는, 각각 돌기부를 포함하는 양각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돌기부는, 제1돌기부; 및 상기 제1돌기부의 외면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제2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화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돌기부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돌기부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화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츠 본체; 및 상기 부츠 본체의 일정 영역에 고정되는 박차 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박차 하우징부는, 승마용 박차가 삽입되고, 상기 부츠 본체의 제1영역에 고정되는 박차 케이스를 포함하는 승마용 부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박차 케이스는, 박차 케이스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박차 케이스 본체부는, 상기 승마용 박차가 삽입되어 위치하는 내부공간; 및 상기 승마용 박차가 삽입되는 개구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승마용 박차는 상기 개구영역을 통해, 상기 박차 케이스 본체부로 삽입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부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박차 케이스 본체부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와 마주보며 위치하는 하면부; 상기 상면부의 제1측과 상기 하면부의 제1측의 사이에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정면부; 상기 정면부과 마주보며 위치하고, 상기 상면부의 제2측과 상기 하면부의 제2측의 사이에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배면부; 상기 상면부의 제3측과 상기 하면부의 제3측의 사이에 연속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정면부의 일측과 상기 배면부의 일측의 사이에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제1측면부; 및 상기 제1측면부과 마주보며 위치하고, 상기 상면부의 제4측과 상기 하면부의 제4측의 사이에 연속적으로 위치하며, 상기 정면부의 타측과 상기 배면부의 타측의 사이에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제2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부; 상기 하면부; 상기 정면부; 상기 배면부; 및 상기 제2측면부는 폐쇄되고, 상기 제1측면부는 개구되어, 상기 개구영역은 상기 제1측면부에 위치하며, 상기 상면부; 상기 하면부; 상기 정면부; 상기 배면부; 및 상기 제2측면부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부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박차 하우징부는, 상기 개구영역을 커버하는 박차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박차 커버부는, 박차 커버부 제1본체; 상기 박차 커버부 제1본체와 연속하여 위치하는 박차 커버부 제2본체; 및 상기 박차 커버부 제2본체의 일정 영역으로부터 길게 연장되는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박차 커버부 제1본체는, 상기 정면부에 고정되고, 상기 박차 커버부 제2본체는, 상기 박차 커버부 제1본체를 기준으로 접혀짐으로써, 상기 개구영역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부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면부는, 상기 승마용 박차의 진동모터가 노출되기 위한 제1개구홀을 포함하며, 상기 박차 커버부 제1본체는, 상기 제1개구홀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승마용 박차의 상기 진동모터가 노출되기 위한 제2개구홀을 포함하는 승마용 부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츠 본체는, 부츠 본체 후면부; 상기 부츠 본체 후면부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부츠 본체 정면부; 상기 부츠 본체 후면부의 일측 및 상기 부츠 본체 정면부의 일측과 연속하여 배치되는 부츠 본체 제1측면부; 및 상기 부츠 본체 후면부의 타측 및 상기 부츠 본체 정면부의 타측과 연속하여 배치되고, 상기 부츠 본체 제1측면부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부츠 본체 제2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지지체의 단부영역에 제1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츠 본체는, 상기 부츠 본체 제1측면부의 제1영역에 위치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박차 커버부 제2본체가 상기 개구영역을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부가 상기 제2체결부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지지체가 상기 부츠 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부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츠 본체의 일정영역은, 상기 부츠 본체 후면부이고, 상기 박차 케이스 본체부의 상기 배면부가 상기 부츠 본체 후면부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박차 케이스 본체는, 상기 부츠 본체 후면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부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제1영역에 위치하는 진동 소자부를 포함하는 승마용 박차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진동 소자부는, 일측은 상기 케이스부의 외부로 돌출되고, 타측은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진동모터; 상기 진동모터가 체결되는 소켓부; 및 상기 소켓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제1접속단자부를 포함하는 승마용 박차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소켓부는, 소켓 본체부; 상기 소켓 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플랜지부; 및 상기 소켓 본체부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접속단자부를 포함하는 승마용 박차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진동 소자부는, 상기 소켓부를 지지하고, 관통홀을 포함하는 지지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부의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소켓 본체부가 삽입되며, 또한, 상기 진동 소자부는, 상기 소켓 본체부에 삽입되되,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지지체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체부를 포함하는 승마용 박차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부의 제2영역에 위치하는 스피커 소자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제3영역에 위치하고, 전원을 포함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승마용 박차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원의 제1전원전극과 상기 제1접속단자부를 연결하는 제1-1전원연결라인; 상기 진동모터의 제1모터전극과 상기 제2접속단자부을 연결하는 제1-2전원연결라인; 및 상기 전원의 제2전원전극과 상기 진동모터의 제2모터전극을 연결하는 제2-1전원연결라인을 포함하는 승마용 박차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은 상기 스피커 소자부의 제1스피커전극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접속단자부 또는 상기 제1-2전원연결라인과 연결되는 제1-3전원연결라인; 및 일측은 상기 스피커 소자부의 제2스피커전극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1전원연결라인과 연결되는 제2-2전원연결라인을 포함하는 승마용 박차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화는 상술한 보호부재를 상기 제1베이스 부재 및 상기 제1베이스 부재와 체결되는 제2베이스 부재로 구성하고, 상기 제1베이스 부재 및 상기 제2베이스 부재를 각각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 및 상기 복수개의 제2체결부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보호부재에 전달되는 큰 충격을 상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베이스 부재의 제1-1일정영역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통공; 및 상기 제2베이스 부재의 제2-1일정영역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통공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통기성이 우수하여, 사용자의 발에 무좀, 악취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베이스 부재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통공의 개수보다 상기 제2베이스 부재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통공의 개수가 더 많게 배치함으로써,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안전화의 통기성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말이 상처받고 고통을 받는 것을 배제할 수 있는 승마용 박차를 포함하는 승마용 부츠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를 포함하는 부츠는, 부츠 본체; 및 상기 부츠 본체의 일정 영역에 고정되는 박차 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박차 하우징부는, 승마용 박차가 삽입되고, 상기 부츠 본체의 제1영역에 고정되는 박차 케이스를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를 상기 승마용 부츠에 용이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승마용 박차의 파손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승마용 박차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는, 진동 소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소자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통하여 말에게 추진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종래의 승마용 박차를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의 경우, 상기 진동 소자부가 ON 되는 경우, 상기 스피커 소자부도 ON 되어, 상기 진동 소자부에서 진동이 발생함과 동시에, 상기 스피커 소자부에서 소리가 발생되어, 상기 진동과 상기 소리에 통하여, 말에게 추진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화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 선의 단면 방향에 따른 안전화의 등부분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재의 분리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재의 체결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재의 분리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재의 체결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보호부재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보호부재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를 포함하는 부츠를 도시하는 제1방향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를 포함하는 부츠를 도시하는 제2방향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박차 하우징부를 도시하는 제1방향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박차 하우징부를 도시하는 제2방향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박차 하우징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박차 하우징부에 승마용 박차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제1방향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박차 하우징부에 승마용 박차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박차 하우징부에 승마용 박차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의 내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의 진동 소자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의 케이스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를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화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 선의 단면 방향에 따른 안전화의 등부분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안전화는 사용자의 오른발에 착용하는 오른발 안전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사용자의 왼발에 착용하는 안전화는 도 1 및 도 2의 오른발 안전화와 대칭되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화(700)는, 기본적으로 통상적인 신발과 동일하게 구성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전화(700)는, 바닥부(710 ; sole section); 상기 바닥부의 일측 상부에 위치하는 뒤축부(720 ; heel section); 및 상기 바닥부의 타측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뒤축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등부(730 ; upper section)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전화는, 상기 뒤축부(720)의 일측 및 상기 등부(730)의 일측과 연속하여 배치되는 제1측면부(740); 및 상기 뒤축부(720)의 타측 및 상기 등부(730)의 타측과 연속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측면부(740)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2측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측면부(740)는, 상기 뒤축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1측면부(740a); 및 상기 등부와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1측면부(740a)와 연속하여 배치되는 제1-2측면부(740b)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2측면부(미도시)는, 상기 뒤축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1측면부(미도시); 및 상기 등부와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2-1측면부(미도시)와 연속하여 배치되는 제2-2측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안전화의 바닥부, 등부, 뒤축부,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는 일반적인 신발과 동일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전화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안전화(700)는, 안전화 본체(710, 720, 730, 740)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화 본체는, 안전화 본체 저면부(710); 상기 안전화 본체 저면부(710)의 일측 상부에 위치하는 안전화 본체 후면부(720); 및 상기 안전화 본체 저면부(710)의 타측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안전화 본체 후면부(720)의 전방에 배치되는 안전화 본체 정면부(7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전화(700)는, 상기 안전화 본체 후면부(720)의 일측 및 상기 안전화 본체 정면부(730)의 일측과 연속하여 배치되는 안전화 본체 제1측면부(740); 및 상기 안전화 본체 후면부(720)의 타측 및 상기 안전화 본체 정면부(730)의 타측과 연속하여 배치되고, 상기 안전화 본체 제1측면부(740)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안전화 본체 제2측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안전화 본체 제1측면부(740)는, 상기 안전화 본체 후면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안전화 본체 제1-1측면부(740a); 및 상기 안전화 본체 정면부와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안전화 본체 제1-1측면부(740a)와 연속하여 배치되는 안전화 본체 제1-2측면부(740b)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안전화 본체 제2측면부(미도시)는, 상기 안전화 본체 후면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안전화 본체 제2-1측면부(미도시); 및 상기 안전화 본체 정면부와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안전화 본체 제2-1측면부(미도시)와 연속하여 배치되는 안전화 본체 제2-2측면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화의 정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안전화를 정의하기 위한 명칭의 의미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전화는, 승마용 부츠일 수 있으며, 상기 안전화가 승마용 부츠인 경우, 후술할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승마용 부츠는, 사용자의 오른발에 착용하는 부츠로, 부츠 본체(1100)를 포함하고, 상기 부츠 본체(1100)는, 부츠 본체 후면부(1110); 상기 부츠 본체 후면부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부츠 본체 정면부(1120); 상기 부츠 본체 후면부(1110)의 일측 및 상기 부츠 본체 정면부(1120)의 일측과 연속하여 배치되는 부츠 본체 제1측면부(1130); 및 상기 부츠 본체 후면부(1110)의 타측 및 상기 부츠 본체 정면부(1120)의 타측과 연속하여 배치되고, 상기 부츠 본체 제1측면부(1130)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부츠 본체 제2측면부(11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안전화 또는 승마용 부츠의 외관형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화(700)는, 상기 등부(730)의 영역에 위치하는 보호부재(800)를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보호부재(800)는 상기 등부(730)의 영역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1-2측면부(740b) 영역 및 상기 제2-2측면부(미도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보호부재(800)는, 기본적으로 상기 등부(730)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되, 상기 등부(730)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측면부인, 상기 제1-2측면부(740b) 영역 및 상기 제2-2측면부(미도시) 영역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발가락과 발등 등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안전화는, 내피 및 상기 내피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등부(730)는 등부 내피(731a); 및 상기 등부 내피(731a)의 외측에 위치하는 등부 외피(731b)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보호부재(800)는, 상기 등부 내피(731a)와 상기 등부 외피(731b)의 사이에 위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보호부재는, 제1베이스 부재(도면부호 미도시)를 포함하는 제1보호부재; 및 상기 제1보호부재와 대응하여 위치하고, 제2베이스 부재(도면부호 미도시)를 포함하는 제2보호부재를 포함하며, 이때, 제2베이스 부재(도면부호 미도시)는, 상기 제1베이스 부재와 체결되고, 상기 제1베이스 부재와 마주보고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제1베이스 부재는 상부 베이스 부재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제2베이스 부재는 하부 베이스 부재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부재(800)는, 상기 제1베이스 부재의 하면과 상기 제2베이스 부재의 상면과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베이스 부재의 상면은, 상기 등부 외피(731b)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베이스 부재의 하면은 상기 등부 내피(731a)의 외측면과 접촉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제1-2측면부(740b) 및 상기 제2-2측면부(미도시)도 내피 및 외피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1-2측면부(740b)는, 제1-2측면부 내피; 및 상기 제1-2측면부 내피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2측면부 외피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제2-2측면부(미도시)는, 제2-2측면부 내피; 및 상기 제2-2측면부 내피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2측면부 외피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부재(800)가 상기 제1-2측면부(740b) 영역 및 상기 제2-2측면부(미도시) 영역에도 배치되는 경우, 상기 보호부재(800)는, 상기 제1-2측면부 내피와 상기 제1-2측면부 외피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보호부재(800)는, 상기 제2-2측면부 내피와 상기 제2-2측면부 외피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부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재의 분리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재의 체결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보호부재의 형상을 평평한 플레이트로 표현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보호부재는 상기 등부, 상기 제1-2측면부 및 상기 제2-2측면부의 형상에 따라, 곡면화됨은 당연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재(800)는, 제1보호부재(810); 및 상기 제1보호부재(810)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2보호부재(82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보호부재(810)는 제1베이스 부재(811)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보호부재(820)는 제2베이스 부재(82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베이스 부재(821)는, 상기 제1베이스 부재(811)와 체결되고, 상기 제1베이스 부재(811)와 마주보고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제1베이스 부재는 상부 베이스 부재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제2베이스 부재는 하부 베이스 부재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베이스 부재(811) 및 상기 제2베이스 부재(821)는, 강철, SUS 등과 같은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베이스 부재(811) 및 상기 제2베이스 부재(821)의 재질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베이스 부재(811) 및 상기 제2베이스 부재(821)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플라스틱 재질은,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틸, 폴리카보네이트, PBT(폴리에스테르 樹脂), 변성(變性) PPO(폴리페닐렌옥사이드) 등일 수 있으며, 이들 플라스틱 재질은, 강성(彈性)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충격성(耐衝擊性), 내마모성(耐磨耗性), 내열성(耐熱性), 내한성(耐寒性), 내약품성, 전기절연성(電氣絶緣性) 등이 뛰어나 보호부재으로서의 특성에 최적이라고 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보호부재(810)는, 상기 제1베이스 부재(811)의 제1-1일정영역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통공(812); 및 상기 복수개의 제1통공(812)과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베이스 부재(811)의 제1-2일정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베이스 부재(811)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2베이스 부재(821)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제1체결부(81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제1통공(812)는, 상기 제1베이스 부재(811)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베이스 부재(811)의 하면까지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홀의 형태에 해당한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813)는, 상기 제1베이스 부재(811)와 동일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보호부재(820)는, 상기 제2베이스 부재(812)의 제2-1일정영역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통공(822); 및 상기 복수개의 제2통공(822)과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2베이스 부재(812)의 제2-2일정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2베이스 부재(812)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베이스 부재(811)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제2체결부(82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제2통공(822)는, 상기 제2베이스 부재(821)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2베이스 부재(821)의 하면까지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홀의 형태에 해당한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제2체결부(823)는, 상기 제2베이스 부재(821)와 동일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813)은 상기 복수개의 제2체결부(823)와 각각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2베이스 부재(821)는, 상기 제1베이스 부재(811)와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813)는 각각 체결홈(813a)을 포함하는 음각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제2체결부(823)는 돌기부(823a)를 포함하는 양각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기부(823a)가 상기 체결홈(813a)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베이스 부재(821)는, 상기 제1베이스 부재(811)와 체결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813)가 음각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2체결부(823)가 양각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는 반대로,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813)가 돌기부를 포함하는 양각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2체결부(823)가 체결홈을 포함하는 음각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종래의 안전화는 발가락이 위치하는 앞부분에 강철로 만들어진 토우캡(toe-cap)이 내착되는데, 이러한 강철 토우캡은 일정 두께의 강철 판재를 드로잉 가공하여 제작한다.
하지만, 종래의 강철 토우캡의 경우, 낙하하는 중량물에 의해 사용자의 발등에 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충격은 상기 강철 토우캡에 전달되고, 상기 강철 토우캡에 전달되는 충격은 사용자의 발등에 그대로 전달이 되게 된다.
즉, 상기 강철 토우캡에 의하여, 상술한 큰 충격이 일부 상쇄되기는 하나, 상기 강철 토우캡에 전달되는 큰 충격이, 여전히 사용자의 발등 등에 전달되기 때문에, 종래의 안전화는 낙하하는 중량물로부터 발등을 충분히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강철 토우캡의 문제점은, 강철의 재질에 따른 문제점일 수도 있으나, 더 크게는, 이러한 강철 토우캡이 단일의 판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충격이 그대로 전달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보호부재를 상기 제1베이스 부재 및 상기 제1베이스 부재(811)와 체결되는 제2베이스 부재로 구성하고, 상기 제1베이스 부재 및 상기 제2베이스 부재를 각각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 및 상기 복수개의 제2체결부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보호부재에 전달되는 큰 충격을 상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호부재에 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1차적으로 상기 보호부재에 의해 사용자에게 전해지는 충격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상기 보호부재에 가해지는 충격이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 및 상기 복수개의 제2체결부가 파손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전해지는 충격을 상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보호부재에 가해지는 충격은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 및 상기 복수개의 제2체결부를 파손하면서 상쇄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전해지는 충격이 상쇄되는 양만큼 줄어들게 되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호부재는, 사용자에게 전해지는 충격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결국, 사용자의 발등 및 발가락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안전화는, 상기 강철 토우캡에 의하여,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안전화를 작업장에서 장시간 신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발에 땀이 차서 무좀, 악취, 곰팡이 등이 발생하기 쉽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베이스 부재(811)의 제1-1일정영역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통공(812); 및 상기 제2베이스 부재(812)의 제2-1일정영역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통공(822)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통기성이 우수하여, 사용자의 발에 무좀, 악취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발에서 발생되는 열은, 상기 내피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제2통공(822)으로 이동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2통공(822)으로 이동된 열은 상기 복수개의 제1통공(812)으로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외피를 통해 발산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호부재가 배치되더라도,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여, 사용자의 발에 무좀, 악취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후술할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베이스 부재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통공의 개수보다 상기 제2베이스 부재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통공의 개수가 더 많게 배치함으로써,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안전화의 통기성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이는 베르누이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베루누이 원리란, 넓은 통로에서 좁은 통로로 공기 또는 유체가 흐른다고 가정시, 좁은 통로에서의 공기 또는 유체가 이동하는 속도가 넓은 통로에서의 공기 또는 유체가 이동하는 속도보다 빨라진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제2통공이 넓은 통로의 역할을 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통공이 좁은 통로의 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제2통공으로 이동하는 열은 상기 복수개의 제1통공으로 이동함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통공에서의 열의 이동 속도가 빨라지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열을 발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발가락과 발등을 보호하기 위한 최적의 보호부재를 포함하는 안전화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서는, 통기성이 우수하여, 사용자의 발에 무좀, 악취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화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화는 상술한 보호부재를 상기 제1베이스 부재 및 상기 제1베이스 부재와 체결되는 제2베이스 부재로 구성하고, 상기 제1베이스 부재 및 상기 제2베이스 부재를 각각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 및 상기 복수개의 제2체결부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보호부재에 전달되는 큰 충격을 상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베이스 부재의 제1-1일정영역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통공; 및 상기 제2베이스 부재의 제2-1일정영역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통공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통기성이 우수하여, 사용자의 발에 무좀, 악취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베이스 부재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통공의 개수보다 상기 제2베이스 부재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통공의 개수가 더 많게 배치함으로써,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안전화의 통기성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재의 분리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재의 체결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후술하는 바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재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재를 참조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재(800')는, 제1보호부재(810); 및 상기 제1보호부재(810)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2보호부재(8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보호부재(810)는 제1베이스 부재(811)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보호부재(820')는 제2베이스 부재(82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보호부재(810)는, 상기 제1베이스 부재(811)의 제1-1일정영역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통공(812); 및 상기 복수개의 제1통공(812)과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베이스 부재(811)의 제1-2일정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베이스 부재(811)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2베이스 부재(821)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제1체결부(81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보호부재(820')는, 상기 제2베이스 부재(812)의 제2-1일정영역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통공(822); 및 상기 복수개의 제2통공(822)과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2베이스 부재(812)의 제2-2일정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2베이스 부재(812)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베이스 부재(811)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제2체결부(823')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재(800')는, 상기 복수개의 제2체결부(823')의 형상에 있어,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재와 차별화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813)는 각각 체결홈(813a)을 포함하는 음각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제2체결부(823')는 돌기부(823a', 823b')를 포함하는 양각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823a', 823b')는, 제1돌기부(823a'); 및 상기 제1돌기부(823a')의 외면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제2돌기부(823b')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돌기부(823a')는, 상기 제1베이스 부재(811)와 동일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돌기부(823b')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무재질은, 천연고무, 엘라스토머, 실리콘고무 및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돌기부(823a'); 및 상기 제2돌기부(823b')는, 이중사출 또는 인서트 사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813)가 음각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2체결부(823')가 양각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는 반대로,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813)가 돌기부를 포함하는 양각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2체결부(823')가 체결홈을 포함하는 음각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보호부재를 상기 제1베이스 부재 및 상기 제1베이스 부재(811)와 체결되는 제2베이스 부재로 구성하고, 상기 제1베이스 부재 및 상기 제2베이스 부재를 각각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 및 상기 복수개의 제2체결부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보호부재에 전달되는 큰 충격을 상쇄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돌기부(823a', 823b')를, 제1돌기부(823a'); 및 상기 제1돌기부(823a')의 외면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제2돌기부(823b')로 구성하고, 상기 제2돌기부(823b')를 고무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보호부재에 전달되는 큰 충격을 보다 용이하게 상쇄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호부재에 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1차적으로 상기 보호부재에 의해 사용자에게 전해지는 충격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상기 보호부재에 가해지는 충격이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 및 상기 복수개의 제2체결부가 파손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전해지는 충격을 상쇄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고무재질의 상기 제2돌기부(823a')가 탄성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전해지는 충격을 추가로 상쇄시킴으로써, 상기 보호부재에 전달되는 큰 충격을 보다 용이하게 상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통공 및 제2통공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보호부재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보호부재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먼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보호부재(810)는 제1베이스 부재(811)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보호부재(820)는 제2베이스 부재(82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보호부재(810)는, 상기 제1베이스 부재(811)의 제1-1일정영역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통공(812); 및 상기 복수개의 제1통공(812)과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베이스 부재(811)의 제1-2일정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베이스 부재(811)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2베이스 부재(821)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제1체결부(81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보호부재(820)는, 상기 제2베이스 부재(812)의 제2-1일정영역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통공(822); 및 상기 복수개의 제2통공(822)과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2베이스 부재(812)의 제2-2일정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2베이스 부재(812)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베이스 부재(811)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제2체결부(823)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보호부재(810)의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813)는, 제1-1체결부(813a); 및 상기 제1-1체결부(813a)와 일정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1체결부(813a)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2체결부(813b)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1보호부재(810)는, 상기 제1-1체결부(813a) 및 상기 제1-2체결부(813b)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1체결부(813a)와 상기 제1-2체결부(813b)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1통공(812a)을 포함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1체결부(813a) 및 상기 제1-2체결부(813b)의 간격은 d1에 해당하며, 상기 제1-1통공(812a)은 상기 d1의 1/2 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제1-1체결부(813a)로부터 상기 제1-1통공(812a)까지의 간격과 상기 제1-2체결부(813b)로부터 상기 제1-1통공(812a)까지의 간격은 각각 d2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1통공(812a)은, 상기 제1-1체결부(813a) 및 상기 제1-2체결부(813b)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1-1통공(812a)은 상기 d1의 1/2 지점에 위치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2보호부재(820)의 상기 복수개의 제2체결부(823)는, 제2-1체결부(823a); 및 상기 제2-1체결부(823a)와 일정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1체결부(823a)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2체결부(823b)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2보호부재(820)는, 상기 제2-1체결부(823a) 및 상기 제2-2체결부(823b)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1체결부(823a)와 상기 제2-2체결부(823b)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1통공(822a); 및 상기 제2-1체결부(823a) 및 상기 제2-2체결부(823b)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1체결부(823a)와 상기 제2-2체결부(823b)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1통공(822a)와 일정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2통공(822b)을 포함한다.
한편, 예를 들어, 상기 제1-1체결부(813a)와 상기 제2-1체결부(823a)는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여 상호 체결되며, 상기 제1-2체결부(813b)와 제2-2체결부(823b)는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여 상호 체결됨은 당연한 것이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1체결부(823a) 및 상기 제2-2체결부(823b)의 간격은 d3에 해당하며, 상기 제2-1통공(822a)은 상기 d3의 1/4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제2-2통공(822b)은 상기 d3의 3/4 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제2-1체결부(823a)로부터 상기 제2-1통공(822a)까지의 간격과 상기 제2-2체결부(823b)로부터 상기 제2-2통공(822b)까지의 간격은 각각 d5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1통공(822a) 및 상기 제2-2통공(822b)은, 상기 제2-1체결부(823a) 및 상기 제2-2체결부(823b)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2-1통공(822a)은 상기 d3의 1/4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제2-2통공(822b)은 상기 d3의 3/4 지점에 위치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d1과 상기 d3는 동일하며, 따라서, 상기 제1-1체결부(813a)와 상기 제2-1체결부(823a)는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여 상호 체결되며, 상기 제1-2체결부(813b)와 제2-2체결부(823b)는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여 상호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1체결부(823a) 및 상기 제2-2체결부(823b)의 간격 d3는, d3의 가상의 1/2 지점을 포함하며, 상기 d3의 가상의 1/2 지점은, 상기 d3의 가상의 1/2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1체결부(823a)까지의 간격과 상기 d3의 가상의 1/2 지점로부터 상기 제2-2체결부(823b)까지의 간격이 각각 d4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d2와 상기 d4는 동일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1통공(822a) 및 상기 제2-2통공(822b)은, 상기 제2-1체결부(823a) 및 상기 제2-2체결부(823b)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1통공(812a)은, 상기 제1-1체결부(813a) 및 상기 제1-2체결부(813b)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1-1통공(812a)은, 상기 제2-1통공(822a) 및 상기 제2-2통공(822b)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베이스 부재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통공과 상기 제2베이스 부재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통공이 상호 어긋나도록 배치하고, 또한, 상기 제1베이스 부재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통공의 개수보다 상기 제2베이스 부재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통공의 개수가 더 많게 배치함으로써,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안전화의 통기성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에서 발생되는 열은, 상기 내피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제2통공(822)으로 이동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2통공(822)으로 이동된 열은 상기 복수개의 제1통공(812)으로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외피를 통해 발산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호부재가 배치되더라도,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여, 사용자의 발에 무좀, 악취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베이스 부재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통공과 상기 제2베이스 부재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통공이 상호 어긋나도록 배치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제2통공(822)으로 이동된 열이 상기 복수개의 제1통공(812)으로 이동함에 있어, 이동되는 경로를 길게 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발에서 발생되는 열이 길게 형성된 경로를 이동하면서, 열의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보다 용이하게 상기 열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베이스 부재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통공의 개수보다 상기 제2베이스 부재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통공의 개수가 더 많게 배치함으로써, 즉, 사용자의 발에서 발생하는 열의 양이 방출될 수 있는 중간 경로인 상기 복수개의 제1통공에, 최대한의 열을 상기 복수개의 제2통공을 통해 공급함으로써, 상기 보호부재의 열발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화가 승마용 부츠인 경우를 가정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용을 추가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승마용 부츠의 경우는, 말에 의해 밟히는 경우가 많아,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의 발가락과 발등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화가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화를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부츠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화가 승마용 부츠인 경우를 가정하여, 승마용 부츠와 관련된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를 포함하는 부츠를 도시하는 제1방향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를 포함하는 부츠를 도시하는 제2방향 사시도이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부츠는 사용자의 오른발에 착용하는 오른발 부츠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사용자의 왼발에 착용하는 왼발 부츠는 도 9 및 도 10의 오른발 부츠와 대칭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를 포함하는 부츠(1000)는, 부츠 본체(1100); 및 상기 부츠 본체(1100)의 일정 영역에 고정되는 박차 하우징부(12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츠 본체(1100)는 일반적인 승마화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부츠 본체의 형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부츠 본체(1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오른발에 착용하는 부츠로, 부츠 본체 후면부(1110); 상기 부츠 본체 후면부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부츠 본체 정면부(1120); 상기 부츠 본체 후면부(1110)의 일측 및 상기 부츠 본체 정면부(1120)의 일측과 연속하여 배치되는 부츠 본체 제1측면부(1130); 및 상기 부츠 본체 후면부(1110)의 타측 및 상기 부츠 본체 정면부(1120)의 타측과 연속하여 배치되고, 상기 부츠 본체 제1측면부(1130)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부츠 본체 제2측면부(114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부츠 본체 제1측면부(1130)는, 상기 부츠 본체의 외측면부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부츠 본체 제2측면부(1140)는, 상기 부츠 본체의 내측면부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한쌍의 부츠, 즉, 사용자가 오른발에 착용하는 오른발 부츠와 사용자가 왼발에 착용하는 왼발 부츠가 있다고 가정시, 상기 오른발 부츠와 상기 왼발 부츠가 마주보고 있는 방향을 상기 부츠 본체의 내측면부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부츠 본체의 내측면부의 반대방향을 상기 부츠 본체의 외측면부로 정의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후면부, 정면부, 측면부, 내측면부, 외측면부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에서 이들의 용어의 의미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박차 하우징부(1200)는, 승마용 박차가 삽입되고, 상기 부츠 본체의 제1영역에 고정되는 박차 케이스(1300)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부츠 본체의 제1영역은, 상기 부츠 본체 후면부(1110)에 해당하며, 즉, 본 발명에 따른 박차 케이스(1300)는, 상기 부츠 본체 후면부(111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박차 케이스(1300)가, 상기 부츠 본체 후면부(1110)에 고정되는 것은, 공지된 고정수단, 예를 들면, 나사 결합 또는 본드 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인 사항에 해당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박차 하우징부(1200)는, 상기 박차 케이스(1300)의 개구영역을 커버하는 박차 커버부(1400)를 포함한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박차 하우징부를 도시하는 제1방향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박차 하우징부를 도시하는 제2방향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박차 하우징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박차 하우징부(1200)는, 승마용 박차(미도시)가 삽입되고, 상기 부츠 본체의 제1영역에 고정되는 박차 케이스(1300); 및 상기 박차 케이스(1300)의 개구영역을 커버하는 박차 커버부(14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박차 케이스(1300)는, 박차 케이스 본체부(1310)를 포함하고, 상기 박차 케이스 본체부(1310)는, 승마용 박차가 삽입되어 위치하는 내부공간(1311); 및 상기 승마용 박차가 삽입되는 개구영역(1312)을 포함한다.
즉, 상기 승마용 박차는 상기 개구영역(1312)을 통해, 상기 박차 케이스 본체부(1310)로 삽입되어, 상기 내부공간(1311)에 상기 승마용 박차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박차 케이스 본체부(1310)가 육면체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박차 케이스 본체부(1310)의 형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박차 케이스 본체부(1310)가 육면체인 경우를 기준으로, 상기 박차 케이스 본체부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박차 케이스 본체부(1130)는, 육면체의 정의에 따라, 상면부(1310a); 상기 상면부(1310a)와 마주보며 위치하는 하면부(1310b); 상기 상면부(1310a)의 제1측과 상기 하면부(1310b)의 제1측의 사이에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정면부(1310c); 상기 정면부(1310c)과 마주보며 위치하고, 상기 상면부(1310a)의 제2측과 상기 하면부(1310b)의 제2측의 사이에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배면부(1310d); 상기 상면부(1310a)의 제3측과 상기 하면부(1310b)의 제3측의 사이에 연속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정면부(1310c)의 일측과 상기 배면부(1310b)의 일측의 사이에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제1측면부(1310e); 및 상기 제1측면부(1310e)과 마주보며 위치하고, 상기 상면부(1310a)의 제4측과 상기 하면부(1310b)의 제4측의 사이에 연속적으로 위치하며, 상기 정면부(1310c)의 타측과 상기 배면부(1310d)의 타측의 사이에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제2측면부(1310f)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박차 케이스 본체부(1310)는, 상면부(1310a); 하면부(1310b); 정면부(1310c); 배면부(1310d); 제1측면부(1310e) 및 제2측면부(1310f)의 6개의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육면체의 정의는 일반적인 것에 해당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부, 하부, 정면, 배면, 측면 등의 의미에 권리범위의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박차 케이스 본체부(1310)는, 상면부(1310a); 하면부(1310b); 정면부(1310c); 배면부(1310d); 및 제2측면부(1310f)는 폐쇄되어 있고, 상기 제1측면부(1310e)는 개구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승마용 박차가 삽입되는 개구영역(1312)은 상기 제1측면부(1310e)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박차 케이스 본체부(1310)는, 상면부(1310a); 하면부(1310b); 정면부(1310c); 배면부(1310d); 및 제2측면부(1310f)에 의해, 승마용 박차가 삽입되어 위치하는 내부공간(1311)이 형성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승마용 박차는 상기 개구영역(1312)을 통해, 상기 박차 케이스 본체부(1310)로 삽입되어, 상기 내부공간(1311)에 상기 승마용 박차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면부(1310c)는, 후술하는 승마용 박차의 진동모터가 노출되기 위한 제1개구홀(1311)을 포함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박차 케이스(1300)는, 상기 부츠 본체의 제1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츠 본체의 제1영역은, 상기 부츠 본체 후면부(1110)에 해당하며, 상기 박차 케이스 본체부(1310)의 상기 배면부(1310d)가 상기 부츠 본체 후면부(1110)에 접촉한 상태로, 본 발명에 따른 박차 케이스 본체(1300)는, 상기 부츠 본체 후면부(111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박차 케이스(1300)가, 상기 부츠 본체 후면부(1110)에 고정되는 것은, 공지된 고정수단, 예를 들면, 나사 결합 또는 본드 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계속해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박차 커버부(1400)는, 박차 커버부 제1본체(1410); 상기 박차 커버부 제1본체(1410)와 연속하여 위치하는 박차 커버부 제2본체(1420); 및 상기 박차 커버부 제2본체(1420)의 일정 영역으로부터 길게 연장되는 지지체(14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박차 커버부 제1본체(1410)는, 상기 박차 케이스 본체부(1310)의 상기 정면부(1310c)에 고정되며, 상기 박차 커버부 제2본체(1420)는, 상기 박차 커버부 제1본체(1410)로부터 연속하여 위치하되, 상기 박차 커버부 제1본체(1410)를 기준으로 접혀짐으로써, 상기 박차 케이스 본체부(1310)의 상기 제1측면부(1310e)에 위치하는 상기 개구영역(1312)을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박차 커버부 제2본체(1420)의 형상은, 상기 박차 케이스 본체부(1310)의 상기 제1측면부(1310e)에 위치하는 상기 개구영역(1312)의 형상과 동일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박차 커버부 제2본체(1420)는 상기 개구영역(1312)을 커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박차 커버부 제1본체(1410)는, 상기 제1개구홀(1311)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고, 후술하는 승마용 박차의 진동모터가 노출되기 위한 제2개구홀(1411)을 포함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상기 지지체(1430)는, 상기 박차 커버부 제2본체(1420)의 일정 영역으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고정끈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체(1430)의 단부영역에는 제1체결부(1431)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츠 본체(1100)는, 상기 부츠 본체(1100)의 상기 부츠 본체 제1측면부(1130)의 제1영역에 위치하는 제2체결부(11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체(1430)의 상기 제1체결부(1431)가 상기 부츠 본체(1100)의 상기 제2체결부(1431)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지지체가 상기 부츠 본체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박차 커버부 제2본체(1420)가 상기 개구영역(1312)을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체(1430)의 상기 제1체결부(1431)가 상기 부츠 본체(1100)의 상기 제2체결부(1431)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지지체가 상기 부츠 본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박차 커버부 제2본체(1420)가 상기 개구영역(1312)을 커버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는, 공지된 스냅단추 또는 벨크로 테잎일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가 각각 1개씩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는, 복수개로 배치되어, 각각의 제1체결부가 각각의 제2체결부에 체결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츠 본체(1100)는, 상기 부츠 본체(1100)의 상기 부츠 본체 제1측면부(1130)의 제2영역에 위치하는 지지끈(113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끈(1132)에 상기 지지체(1430)이 삽입되어 지지됨으로써, 상기 지지체가 상기 부츠 본체에 고정되는 것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박차 하우징부에, 승마용 박차가 삽입된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박차 하우징부에 승마용 박차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제1방향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박차 하우징부에 승마용 박차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박차 하우징부에 승마용 박차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박차 하우징부(1200)는, 승마용 박차(100)가 삽입되고, 상기 부츠 본체의 제1영역에 고정되는 박차 케이스(1300); 및 상기 박차 케이스(1300)의 개구영역을 커버하는 박차 커버부(14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박차 케이스(1300)는, 박차 케이스 본체부(1310)를 포함하고, 상기 박차 케이스 본체부(1310)는, 상기 승마용 박차가 삽입되어 위치하는 내부공간(1311); 및 상기 승마용 박차가 삽입되는 개구영역(1312)을 포함한다.
즉, 상기 승마용 박차는 상기 개구영역(1312)을 통해, 상기 박차 케이스 본체부(1310)로 삽입되어, 상기 내부공간(1311)에 상기 승마용 박차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박차 케이스 본체부(1310)의 상기 정면부(1310c)는, 상기 승마용 박차(100)의 진동모터(310)가 노출되기 위한 제1개구홀(1311)을 포함하며, 상기 박차 커버부 제1본체(1410)는, 상기 제1개구홀(1311)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승마용 박차(100)의 상기 진동모터(310)가 노출되기 위한 제2개구홀(1411)을 포함한다.
즉, 상기 승마용 박차(100)가 상기 내부공간(1311)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승마용 박차(100)의 진동모터(310)의 일부 영역은, 상기 제1개구홀(1311) 및 상기 제2개구홀(1411)을 통해, 상기 박차 케이스 본체부(1310)의 상기 정면부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의 내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의 진동 소자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의 케이스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100)는, 케이스부(200); 및 상기 케이스부(200)의 제1영역에 위치하는 진동소자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부(200)는 본체 케이스(210); 및 상기 본체 케이스(210)를 커버하는 커버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부(200)는 금속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부(200)의 강성을 위하여, 상기 케이스부(20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스부의 재질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진동 소자부(300)는,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100)를, 기수 등과 같은 사용자가 사용시, 진동이 발생하는 부분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진동소자부(3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말에게 전달됨으로써, 말에게 추진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도 17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100)는, 상기 케이스부(200)의 제2영역에 위치하는 스피커 소자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소자부(400)는 상기 진동 소자부(300)와 함께 작동되는 것이다.
즉, 상기 진동 소자부(300)가 ON 되는 경우, 상기 스피커 소자부(400)도 ON 되어, 상기 진동 소자부(300)에서 진동이 발생함과 동시에, 상기 스피커 소자부(400)에서 소리가 발생되어, 상기 진동과 상기 소리에 통하여, 말에게 추진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도 17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100)는, 상기 케이스부(200)의 제3영역에 위치하는 전원부(5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원부(500)는 전원부 케이스(510) 및 상기 전원부 케이스(5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원(520)을 포함하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전원부 케이스(510)의 유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원(520)은 상기 진동 소자부(200) 및 상기 스피커 소자부(4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공지된 비충전식 건전지 또는 충전식 건전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다만, 이러한 전원(520)은 일반적인 사항에 해당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소자부(3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소자부(300)는, 일측은 상기 케이스부(200)의 외부로 돌출되고, 타측은 상기 케이스부(200)의 내측에 위치하는 진동모터(310); 상기 진동모터(310)가 체결되는 소켓부(320); 및 상기 소켓부(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제1접속단자부(35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동모터(310)의 일측은 상기 케이스부(200)의 상기 본체 케이스(210)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진동모터(310)의 타측은 상기 본체 케이스(210)와 상기 커버부(220)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켓부(320)는, 소켓 본체부(321); 상기 소켓 본체부(321)의 일측에 위치하는 플랜지부(322); 및 상기 소켓 본체부(321)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접속단자부(323)를 포함한다.
상기 소켓 본체부(321)에는 상기 진동모터(310)의 타측이 삽입되어, 상기 진동모터가 상기 소켓 본체부에 체결 및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소켓 본체부(321) 및 상기 플랜지부(322)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면에서는 상기 소켓 본체부(321) 및 상기 플랜지부(322)가 각각의 구성인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소켓 본체부(321) 및 상기 플랜지부(322)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접속단자부(323)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제1접속단자부(350)도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접속단자부(350)는, 상기 소켓부(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접속단자부(350)는, 상기 소켓부(320)의 상기 제2접속단자부(3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계속해서,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소자부(300)는, 상기 소켓부(32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부(33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부(330)는 상기 본체 케이스(210)의 내부 일정 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체부(330)에는 상기 소켓부(320)가 삽입되고, 상기 지지체부(330)에 상기 소켓부(320)가 삽입되어, 상기 소켓부(320)는 상기 지지체부(3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체부(330)는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관통홀(도면부호 미도시)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에 상기 소켓부(320)의 상기 소켓 본체부(321)가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홀에 상기 소켓부(320)의 상기 소켓 본체부(321)가 삽입됨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322)는 상기 지지체부(330)의 제1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접속단자부(323)는 상기 지지체부(330)의 제2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관통홀에 상기 소켓부(320)의 상기 소켓 본체부(321)가 삽입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소자부(300)는, 상기 소켓 본체부(321)에 삽입되되, 상기 플랜지부(322)와 상기 지지체부(330)의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체부(340)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소자부(300)는, 일측은 상기 케이스부(200)의 외부로 돌출되고, 타측은 상기 케이스부(200)의 내측에 위치하는 진동모터(310); 상기 진동모터(310)가 체결되는 소켓부(320); 및 상기 소켓부(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제1접속단자부(3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소켓부(320)는, 소켓 본체부(321); 상기 소켓 본체부(321)의 일측에 위치하는 플랜지부(322); 및 상기 소켓 본체부(321)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접속단자부(323)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소자부(300)는, 상기 소켓부(320)를 지지하고, 관통홀을 포함하는 지지체부(33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부(330)에는 상기 소켓부(320)의 상기 소켓 본체부(321)가 삽입되고, 상기 지지체부(330)에 상기 소켓부(320)의 상기 소켓 본체부(321)가 삽입되어, 상기 소켓부(320)는 상기 지지체부(3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체부(330)는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관통홀(도면부호 미도시)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에 상기 소켓부(320)의 상기 소켓 본체부(321)가 삽입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소자부(300)는, 상기 소켓 본체부(321)에 삽입되되, 상기 플랜지부(322)와 상기 지지체부(330)의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체부(3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탄성체부(340)를 포함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를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소자부(300)의 경우, 상기 진동 소자부(300)는,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100)를, 기수 등과 같은 사용자가 사용시, 진동이 발생하는 부분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진동 소자부(300)의 진동모터(310)가 말의 피부를 가압하게 되며, 이러한 가압의 반대작용으로, 상기 진동모터(310)는 상기 케이스부(200)의 내부로 이동(도 11에서의 좌측에서 우측방향)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도 14 내지 도 16에서와 같이, 상기 승마용 박차(100)가 상기 내부공간(1311)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승마용 박차(100)의 진동모터(310)의 일부 영역은, 상기 제1개구홀(1311) 및 상기 제2개구홀(1411)을 통해, 상기 박차 케이스 본체부(1310)의 상기 정면부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동모터(310)는 상기 소켓부(320)과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진동모터(310)가 상기 케이스부(200)의 내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소켓부(320)도 상기 케이스부(220)의 내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소켓부(320)의 상기 제2접속단자부(323)가 상기 제1접속단자부(350) 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결국, 상기 제2접속단자부(323)가 상기 제1접속단자부(350)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즉,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진동 소자부(300)의 진동모터(310)가 말의 피부를 가압하게 되며, 이러한 가압의 반대작용으로, 상기 진동모터(310)는 상기 케이스부(200)의 내부로 이동(도 11에서의 좌측에서 우측방향)하여, 상기 제2접속단자부(323)가 상기 제1접속단자부(350)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진동모터(310)는 ON 상태가 되며, 상기 진동모터(310)가 ON 됨에 따라, 상기 진동모터(310)에서 진동이 발생하여, 상기 진동이 말에게 전달됨으로써, 말에게 추진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즉,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100)를, 기수 등과 같은 사용자가 사용시, 상기 진동모터(310)는 상기 케이스부(200)의 내부로 이동(도 19에서의 좌측에서 우측방향)하게 되며, 이때, 상기 소켓 본체부(321)에 삽입되되, 상기 플랜지부(322)와 상기 지지체부(330)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탄성체부(340)의 경우, 압축상태로 변형이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진동 소자부(300)의 상기 진동모터(310)를 통해 말의 피부를 가압하는 것을 해제하는 경우, 상기 제2접속단자부(323)는 최초의 위치로 원위치되어, 상기 제1접속단자부(350)와 상기 제2접속단자부(323)는 전기적으로 분리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제2접속단자부(323)는 최초의 위치로 원위치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탄성부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진동 소자부(300)의 진동모터(310)가 말의 피부를 가압하게 되며, 이때, 상기 탄성체부(340)의 경우, 압축상태로 변형이 이루어진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진동 소자부(300)의 상기 진동모터(310)를 통해 말의 피부를 가압하는 것을 해제하는 경우, 상기 압축상태로 변형이 이루어진 상기 탄성체부(340)의 압축력이 복원되면서, 상기 진동모터(310)의 경우, 상기 케이스부(200)의 외부 방향으로 이동(도 19에서의 우측에서 좌측방향)하게 되며, 상기 진동모터(310)의 최초 위치로의 원위치함에 따라, 상기 제2접속단자부(323)는 최초의 위치로 원위치되어, 상기 제1접속단자부(350)와 상기 제2접속단자부(323)는 전기적으로 분리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접속단자부(320)가, 상기 소켓부(320)의 상기 제2접속단자부(3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전기적으로 분리됨으로써, 상기 진동모터(310)가 ON 상태가 되거나, 또는 OFF 상태가 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7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100)는, 상기 케이스부(200)의 제3영역에 위치하는 전원부(500)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전원부(500)는 전원(52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100)는, 상기 전원(520)의 제1전원전극과 상기 제1접속단자부(350)를 연결하는 제1-1전원연결라인(610a); 상기 진동모터(310)의 제1모터전극과 상기 제2접속단자부(323)을 연결하는 제1-2전원연결라인(610b)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100)는, 상기 전원(520)의 제2전원전극과 상기 진동모터(310)의 제2모터전극을 연결하는 제2-1전원연결라인(620a)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진동모터(310)의 제1모터전극은 상기 제1-1전원연결라인(610a) 및 상기 제1-2전원연결라인(610b)을 통해 상기 전원(520)의 제1전원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모터(310)의 제2모터전극은 상기 제2-1전원연결라인(620a)을 통해 상기 전원(520)의 제2전원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100)를, 기수 등과 같은 사용자가 사용시, 상기 진동모터(310)는 상기 케이스부(200)의 내부로 이동(도 11에서의 좌측에서 우측방향)하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제2접속단자부(323)가 상기 제1접속단자부(350)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되며, 이 경우에, 상기 진동모터(310)가 ON 상태가 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100)를, 기수 등과 같은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상기 제2접속단자부(323)와 상기 제1접속단자부(350)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1전원연결라인(610a)과 상기 제1-2전원연결라인(610b)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아, 이 경우에는 상기 진동모터(310)가 OFF 상태가 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100)는, 상기 케이스부(200)의 제2영역에 위치하는 스피커 소자부(4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피커 소자부(400)는 상기 진동 소자부(300)와 함께 작동되는 것이다.
즉, 상기 진동 소자부(300)가 ON 되는 경우, 상기 스피커 소자부(400)도 ON 되어, 상기 진동 소자부(300)에서 진동이 발생함과 동시에, 상기 스피커 소자부(400)에서 소리가 발생되어, 상기 진동과 상기 소리에 통하여, 말에게 추진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100)는, 일측은 상기 스피커 소자부(400)의 제1스피커전극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접속단자부(323) 또는 상기 제1-2전원연결라인(610b)과 연결되는 제1-3전원연결라인(610c)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100)는, 일측은 상기 스피커 소자부(400)의 제2스피커전극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1전원연결라인(620a)과 연결되는 제2-2전원연결라인(620b)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진동 소자부(300)가 OFF 상태인 경우, 상기 스피커 소자부(400)도 OFF가 되며, 상기 진동 소자부(300)가 ON 되는 경우, 상기 스피커 소자부(400)도 ON 되어, 상기 진동 소자부(300)에서 진동이 발생함과 동시에, 상기 스피커 소자부(400)에서 소리가 발생되어, 상기 진동과 상기 소리에 통하여, 말에게 추진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동 소자부(300)가 OFF 상태라 함은, 상기 제1-1전원연결라인(610a)과 상기 제1-2전원연결라인(610b)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상기 제1-3전원연결라인(610c)이 제1-1전원연결라인(61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스피커 소자부(400)도 OFF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진동 소자부(300)가 ON 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제1-1전원연결라인(610a)과 제2접속단자부(323) 또는 상기 제1-2전원연결라인(610b)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제1-3전원연결라인(610c)이 제1-1전원연결라인(61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피커 소자부(400)도 ON 상태가 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승마용 박차의 경우, 승마화(또는 승마부츠)로부터 돌출된 박차를 통해 말에게 직접적으로 충격을 가하는 방식에 의하여, 말에게 추진 신호를 주고 있으며,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승마용 박차의 경우, 박차에 의한 직접적인 충격으로 인하여, 말이 상처받고 고통을 당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의 경우, 진동 소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소자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통하여 말에게 추진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종래의 승마용 박차를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의 경우, 상기 진동 소자부(300)가 ON 되는 경우, 상기 스피커 소자부(400)도 ON 되어, 상기 진동 소자부(300)에서 진동이 발생함과 동시에, 상기 스피커 소자부(400)에서 소리가 발생되어, 상기 진동과 상기 소리에 통하여, 말에게 추진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서는 말이 상처받고 고통을 받는 것을 배제할 수 있는 승마용 박차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부(200)는, 본체 케이스(210); 및 상기 본체 케이스(210)를 커버하는 커버부(2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본체 케이스(210)는, 상기 진동소자부(300)가 배치되는 진동소자부 배치부(211); 상기 스피커 소자부(400)가 배치되는 스피커 소자부 배치부(212); 및 상기 전원부(500)가 배치되는 전원부 배치부(2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 케이스(210)의 구조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9에서는 상술한 제1접속단자부(350)가 상기 커버부(220)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접속단자부의 결합위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상기 케이스부(200)가, 본체 케이스(210); 및 상기 본체 케이스(210)를 커버하는 커버부(220)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상기 본체 케이스(210)와 상기 커버부(2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의 경우, 진동 소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소자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통하여 말에게 추진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종래의 승마용 박차를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츠(1000)는, 부츠 본체(1100); 및 상기 부츠 본체(1100)의 일정 영역에 고정되는 박차 하우징부(1200)를 포함하고, 상기 박차 하우징부(1200)는, 승마용 박차가 삽입되고, 상기 부츠 본체의 제1영역에 고정되는 박차 케이스(1300)를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박차를 상기 부츠에 용이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승마용 박차의 파손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승마용 박차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와 같은 승마용 박차는, 신규한 형태의 박차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러한 신규한 형태의 박차를 배치시키기 위한, 상술한 부츠의 형태도 신규한 형태의 부츠에 해당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7)

  1. 보호부재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제1보호부재; 및 상기 제1보호부재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2보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보호부재는 제1베이스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보호부재는 제2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1베이스 부재와 체결되고, 상기 제1베이스 부재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보호부재는, 상기 제1베이스 부재의 제1-1일정영역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통공; 및 상기 복수개의 제1통공과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베이스 부재의 제1-2일정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베이스 부재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2베이스 부재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제1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보호부재는, 상기 제2베이스 부재의 제2-1일정영역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통공; 및 상기 복수개의 제2통공과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2베이스 부재의 제2-2일정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2베이스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베이스 부재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보호부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통공의 개수보다 상기 복수개의 제2통공의 개수가 더 많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는, 제1-1체결부; 및 상기 제1-1체결부와 일정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1체결부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2체결부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1보호부재는, 상기 제1-1체결부 및 상기 제1-2체결부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1체결부와 상기 제1-2체결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1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2체결부는, 제2-1체결부; 및 상기 제2-1체결부와 일정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1체결부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2체결부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2보호부재는, 상기 제2-1체결부 및 상기 제2-2체결부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1체결부와 상기 제2-2체결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1통공; 및 상기 제2-1체결부 및 상기 제2-2체결부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1체결부와 상기 제2-2체결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1통공와 일정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2통공을 포함하는 보호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체결부 및 상기 제1-2체결부의 간격은 d1에 해당하며, 상기 제1-1통공은 상기 d1의 1/2 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제1-1체결부로부터 상기 제1-1통공까지의 간격과 상기 제1-2체결부로부터 상기 제1-1통공까지의 간격은 각각 d2로 배치되고,
    상기 제2-1체결부 및 상기 제2-2체결부의 간격은 d3에 해당하며, 상기 제2-1통공은 상기 d3의 1/4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제2-2통공은 상기 d3의 3/4 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제2-1체결부로부터 상기 제2-1통공까지의 간격과 상기 제2-2체결부로부터 상기 제2-2통공까지의 간격은 각각 d5로 배치되고,
    상기 d1과 상기 d3는 동일하여, 상기 제1-1체결부와 상기 제2-1체결부는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여 상호 체결되고, 상기 제1-2체결부와 제2-2체결부는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여 상호 체결되며,
    상기 제2-1체결부 및 상기 제2-2체결부의 간격 d3는, d3의 가상의 1/2 지점을 포함하며, 상기 d3의 가상의 1/2 지점은, 상기 d3의 가상의 1/2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1체결부까지의 간격과 상기 d3의 가상의 1/2 지점로부터 상기 제2-2체결부까지의 간격이 각각 d4로 배치되고,
    상기 d2와 상기 d4는 동일하여, 상기 제2-1통공 및 상기 제2-2통공은, 상기 제2-1체결부 및 상기 제2-2체결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1통공은, 상기 제1-1체결부 및 상기 제1-2체결부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1-1통공은, 상기 제2-1통공 및 상기 제2-2통공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부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는, 각각 체결홈을 포함하는 음각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2체결부는, 각각 돌기부를 포함하는 양각형태로 구성되며, 또는, 상기 복수개의 제2체결부는, 각각 체결홈을 포함하는 음각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는, 각각 돌기부를 포함하는 양각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돌기부는, 제1돌기부; 및 상기 제1돌기부의 외면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제2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부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부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돌기부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부재.
KR1020210192232A 2021-12-30 2021-12-30 보호부재 KR102592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232A KR102592851B1 (ko) 2021-12-30 2021-12-30 보호부재
CN202210929413.2A CN116406874A (zh) 2021-12-30 2022-08-03 安全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232A KR102592851B1 (ko) 2021-12-30 2021-12-30 보호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259A KR20230102259A (ko) 2023-07-07
KR102592851B1 true KR102592851B1 (ko) 2023-10-23

Family

ID=87052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2232A KR102592851B1 (ko) 2021-12-30 2021-12-30 보호부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92851B1 (ko)
CN (1) CN116406874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822Y1 (ko) 2000-06-30 2000-12-01 김숙자 개량 안전화
KR200278228Y1 (ko) * 2002-03-22 2002-06-20 국제안전물산주식회사 안전화의 착탈식 발등 보호구
KR200291033Y1 (ko) 2002-07-05 2002-10-07 한상면 발등 보호용캡이 장착된 안전화
KR200411469Y1 (ko) 2005-12-22 2006-03-15 윤순모 안전화용 통기성 강화 토캡
WO2014007818A1 (en) 2012-07-05 2014-01-0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Injected protective toe cap
KR101979753B1 (ko) 2018-03-29 2019-05-21 대한민국 활동성 및 통풍기능이 개선된 안전화
KR102416962B1 (ko) * 2021-01-07 2022-07-06 주식회사 디자인시공사 안전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0005A (en) * 1975-08-08 1977-02-15 Sony Corp Rotary magnetic head
KR101649149B1 (ko) * 2014-10-30 2016-08-19 주식회사 토박스코리아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822Y1 (ko) 2000-06-30 2000-12-01 김숙자 개량 안전화
KR200278228Y1 (ko) * 2002-03-22 2002-06-20 국제안전물산주식회사 안전화의 착탈식 발등 보호구
KR200291033Y1 (ko) 2002-07-05 2002-10-07 한상면 발등 보호용캡이 장착된 안전화
KR200411469Y1 (ko) 2005-12-22 2006-03-15 윤순모 안전화용 통기성 강화 토캡
WO2014007818A1 (en) 2012-07-05 2014-01-0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Injected protective toe cap
KR101979753B1 (ko) 2018-03-29 2019-05-21 대한민국 활동성 및 통풍기능이 개선된 안전화
KR102416962B1 (ko) * 2021-01-07 2022-07-06 주식회사 디자인시공사 안전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259A (ko) 2023-07-07
CN116406874A (zh) 202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8895B2 (en) Vibration device for an article and vibration generating shoe
KR920007265B1 (ko) 운동화
JP3215664B2 (ja) スポーツ用シューズのミッドソール構造
TWI365724B (en) Article of footwear with perforated covering and removable components
USRE43214E1 (en) Metatarsal protector
US6848201B2 (en) Shock absorption system for a sole
US20100325917A1 (en)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improved heel structure
US10219582B2 (en) Protection devices for use in shoes or other products
RU2004138813A (ru) Подошва
KR970073416A (ko) 트레이닝 슈즈
KR102416962B1 (ko) 안전화
KR102592851B1 (ko) 보호부재
WO2008075820A1 (en) Insole with shock-absorbing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974416B1 (ko) 통풍형 신발
WO2008060065A1 (en) Shoes having impact absorption part
KR102376714B1 (ko) 승마용 박차를 포함하는 부츠
KR200431288Y1 (ko) 신발용 쿠션 및 통풍장치
KR102054672B1 (ko) 스냅핏 신발
JP2004313774A (ja) インソール構造体
KR102576313B1 (ko) 충격흡수구조를 포함하는 풋웨어 아웃솔 시스템
KR100509515B1 (ko) 태권도화
KR200394422Y1 (ko) 신발
KR101796171B1 (ko) 통풍과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밑창
JP3117483U (ja) 靴およびエアポンプ付き中敷
KR200410689Y1 (ko) 발가락 보호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