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671B1 - 유해물질 배출이 없고 물성이 우수한 친환경 수성페인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해물질 배출이 없고 물성이 우수한 친환경 수성페인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671B1
KR102592671B1 KR1020220154825A KR20220154825A KR102592671B1 KR 102592671 B1 KR102592671 B1 KR 102592671B1 KR 1020220154825 A KR1020220154825 A KR 1020220154825A KR 20220154825 A KR20220154825 A KR 20220154825A KR 102592671 B1 KR102592671 B1 KR 102592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vacs
water
based paint
pai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4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선샤인바이오
장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선샤인바이오, 장성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선샤인바이오
Priority to KR1020220154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6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6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2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 C09D5/024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3/00Compositions of natural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3/04Ro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D1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2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 C09D5/022Emulsions, e.g. oil in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수성페인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유해물질 배출이 없고 물성이 우수한 친환경 수성페인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성페인트 조성물은 은폐율이 98%로 평가되어 수성도료(1급) 외장용 및 내장용 기준치에 부합하며, 내세척성 및 냉동안정성이 모두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수성페인트 조성물은 인체 유해물질인 납(Pb), 카드뮴(Cd), 수은(Hg), 6가크롬(Cr6+) 등의 중금속; VACs-톨루엔, VACs-에틸벤젠, VACs-p-자일렌, VACs-이소프로필벤젠, VACs-1,2,4-트리메틸벤젠, VACs-1,2,4,5-테트라메틸벤젠 및 VACs-벤젠 등의 휘발성방향족탄화수소(VACs, volatile aromatic hydrocarbons); 및 포름알데하이드(formaldehyde) 화합물을 배출하지 않는바, 친환경 기능성을 갖는 수성페인트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해물질 배출이 없고 물성이 우수한 친환경 수성페인트 조성물{Eco-friendly water soluble paint composition that does not emit harmful substances and has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본 발명은 친환경 수성페인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유해물질 배출이 없고 물성이 우수한 친환경 수성페인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자재로 사용되는 화학제품의 내장재 및 마감재 들은 스티로폼, 석면, 우레탄폼 등이 사용되고, 접착제를 사용하여 결합 및 부착되며, 래커(lacquer), 페인트과 같은 도료를 사용하여 마감하게 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포르말린 등의 유해가스가 많이 발생되어 새집증후군으로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 비염, 두통, 호흡기질환 등이 발생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건축물 내부에 실내 환경을 오염시키고 새집증후군, 천식 및 아토피 질환을 유발시키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벽에 칠해진 페인트나 벽지, 바닥재, 쇼파, 가구 등 집에서 사용하는 물건 중 접착제를 사용한 것들에서 방출된다. 휘발성 유기화합물 중에서도 프롬알데히드는 단열재 등의 건축자재, 가구 접착제, 페인트에서 발생하고 있는데, 특히 페인트는 다양한 유기화합물로 구성되고, 휘발성이 강하므로 건축물 실내의 환경 오염의 주범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페인트의 독성이 실내에 축적되면 새집증후군(SHS), 빌딩병 증후군(SBS) 및 화학물질 과민증(MCS)등을 초래하게 된다.
수성페인트의 경우 제조시 이용되는 원재료들 중 수지에멀전 등과 같은 합성 수지계열은 수지자체의 미반응된 원료로부터 인체에 유해한 냄새가 장기간 발생되고, 또한 분산제와 소포제 및 유화제 등과 같은 각종 첨가제는 물론 유기용체로부터도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화합물들은 환경호르몬 계통으로서 요즘 큰 사회 문제화되고 있다. 특히, 포름알데하이드는 급성독성, 피부자극성, 발암성 등의 인체 유해성 물질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물성이 우수하면서 유해물질 배출이 없는 친환경 수성페인트를 제조하고자 노력하였으며, 그 결과 특정 구성성분으로 이루어진 수성페인트 조성물의 경우, 은폐율이 98%로 평가되어 수성도료(1급) 외장용 및 내장용 기준치에 부합하며, 내세척성 및 냉동안정성이 모두 우수할 뿐 아니라, 인체 유해물질인 중금속, 휘발성방향족탄화수소(VACs, volatile aromatic hydrocarbons) 및 포름알데하이드 화합물이 배출되지 않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32936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성이 우수하면서 동시에 인체 유해물질인 중금속, 휘발성방향족탄화수소(VACs) 및 포름알데하이드 화합물이 배출되지 않는 친환경 수성페인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물, 에틸렌초산비닐수지 에멀젼, 초산비닐수지 에멀젼, 탄산칼슘, 이산화티타늄, 이산화규소, 옥 분말, 산화프라세오디뮴, 송진 분말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성페인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물 20 ~ 30중량%, 에틸렌초산비닐수지 에멀젼 5 ~ 10중량%, 초산비닐수지 에멀젼 15 ~ 20중량%, 탄산칼슘 25 ~ 35중량%, 이산화티타늄 13 ~ 16중량%, 이산화규소 3 ~ 5중량%, 옥 분말 1 ~ 5중량%, 산화프라세오디뮴 0.1 ~ 0.2 중량%, 송진 분말 0.1 ~ 0.5중량% 및 첨가제 1.5 ~ 4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 소포제, 방부제, 항곰팡이제 및 증점제는 조성물에 대해 분산제 0.5 ~ 1중량%, 소포제 0.5 ~ 1중량%, 방부제 0.1 ~ 0.5중량%, 항곰팡이제 0.01 ~ 0.05중량% 및 증점제 0.5 ~ 1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환경 유해성 물질인 중금속, 휘발성방향족탄화수소 및 포름알데하이드 화합물이 배출되지 않는 친환경 기능성을 갖는 수성 페인트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성페인트 조성물은 은폐율이 98%로 평가되어 수성도료(1급) 외장용 및 내장용 기준치에 부합하며, 내세척성 및 냉동안정성이 모두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수성페인트 조성물은 인체 유해물질인 납(Pb), 카드뮴(Cd), 수은(Hg), 6가크롬(Cr6+) 등의 중금속; VACs-톨루엔, VACs-에틸벤젠, VACs-p-자일렌, VACs-이소프로필벤젠, VACs-1,2,4-트리메틸벤젠, VACs-1,2,4,5-테트라메틸벤젠 및 VACs-벤젠 등의 휘발성방향족탄화수소(VACs, volatile aromatic hydrocarbons); 및 포름알데하이드(formaldehyde) 화합물을 배출하지 않는바, 친환경 기능성을 갖는 수성페인트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물, 에틸렌초산비닐수지 에멀젼, 초산비닐수지 에멀젼, 탄산칼슘, 이산화티타늄, 이산화규소, 옥 분말, 산화프라세오디뮴, 송진 분말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친환경 수성페인트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수지 에멀젼은 도막을 형성하는 바인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에멀젼은 에틸렌초산비닐수지 에멀젼 및 초산비닐수지 에멀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기 비교예 1에서는 수성페인트 조성물을 구성하는 수지 에멀젼으로 에틸렌초산비닐수지 에멀젼 및 아크릴수지 에멀젼을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조성물은 은폐율이 수성도료(1급) 외장용 기준치에 미치지 못하며, 인체에 유해한 포름알데하이드 검출됨으로 인하여 실내 도장을 위한 조성물로도 적합하는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다(<실험예 1> 참조). 반면에,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 1에서는 수지 에멀젼으로 에틸렌초산비닐수지 에멀젼 및 초산비닐수지 에멀젼을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조성물은 은폐율이 98%로 평가되어 수성도료(1급) 외장용 및 내장용 기준치에 부합하며, 인체에 유해한 포름알데하이드가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실험예 3>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에멀젼은 에틸렌초산비닐수지 에멀젼 및 초산비닐수지 에멀젼이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에틸렌초산비닐수지 에멀젼은 조성물에 5 ~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초산비닐수지 에멀젼은 조성물에 15 ~ 2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탄산칼슘은 도료에서 충진재 역할, 즉 도료를 도장시 도막의 두께를 두껍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탄산칼슘은 입자 크기가 2000 내지 3000 메쉬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 크기가 2000 메쉬 보다 크거나 3000 메쉬 보다 작은 경우 조성물의 물성이 나빠질 수 있다. 상기 탄산칼슘은 조성물에 25 ~ 3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이산화티타늄은 백색 안료로서 은폐, 즉 피도물이 비치지 않고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산화티타늄은 조성물에 13 ~ 16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이산화규소는 도막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산화규소는 조성물에 3 ~ 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옥 분말은 도막이 튼튼하고 견고하게 하며, 나아가 도막의 표면을 매끄럽고 외관을 부드럽게 하고, 음이온을 방출하는 기능성을 가진다. 상기 옥 분말은 입자 크기가 200 내지 400 메쉬인 것이 바람직하다. 옥 분말의 입자 크기가 200 메쉬 보다 크거나 400 메쉬 보다 작은 경우 조성물의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옥 분말은 조성물에 1 ~ 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산화프라세오디뮴은 희토류로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할 수 있다. 수성페인트 조성물에 산화프라세오디뮴을 일부 구성으로 포함하는 경우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과 함께 조성물의 물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산화프라세오디뮴은 조성물에 0.1 ~ 0.2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송진 분말은 천연 접착제로서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지 에멀젼에 송진 분말을 첨가함으로써 바인더의 점착 성능을 증진시키고 도막의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 1에서는 수성페인트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으로 에틸렌초산비닐수지 에멀젼 및 초산비닐수지 에멀젼에 송진 분말을 첨가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페인트 조성물은 은폐율이 98%로 평가되어 수성도료(1급) 외장용 및 내장용 기준치에 부합하며, 내세척성 및 냉동안정성이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실험예 3>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에틸렌초산비닐수지 에멀젼 및 초산비닐수지 에멀젼에 송진 분말을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송진 분말은 조성물에 0.1 ~ 0.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첨가제는 분산제, 소포제, 방부제, 항곰팡이제 및 증점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안정된 분산계를 만들기 위하여 첨가하는 물질로서, 조성물에 0.5 ~ 1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소포제는 조성물 내 거품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물질로서, 조성물에 0.5 ~ 1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도료의 부패를 방지하고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물질로서, 조성물에 0.1 ~ 0.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항곰팡이제는 도표의 항균성을 증대시키고 부패를 방지하는 물질로서, 조성물에 0.01 ~ 0.0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증점제는 도료의 유동성을 조절하기 위한 물질로서, 조성물에 0.5 ~ 1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구체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친환경 수성페인트 조성물은 물 20 ~ 30중량%, 에틸렌초산비닐수지 에멀젼 5 ~ 10중량%, 초산비닐수지 에멀젼 15 ~ 20중량%, 탄산칼슘 25 ~ 35중량%, 이산화티타늄 13 ~ 16중량%, 이산화규소 3 ~ 5중량%, 옥 분말 1 ~ 5중량%, 산화프라세오디뮴 0.1 ~ 0.2 중량%, 송진 분말 0.1 ~ 0.5중량%, 분산제 0.5 ~ 1중량%, 소포제 0.5 ~ 1중량%, 방부제 0.1 ~ 0.5중량%, 항곰팡이제 0.01 ~ 0.05중량% 및 증점제 0.5 ~ 1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성분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수성페인트 조성물은 환경 유해성 물질인 중금속, 휘발성방향족탄화수소 및 포름알데하이드 화합물이 배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하기 <실험예 3>에서는 상기 구성성분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수성페인트 조성물의 유해물질 배출 및 성능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인체 유해물질인 납(Pb), 카드뮴(Cd), 수은(Hg), 6가크롬(Cr6+) 등의 중금속; VACs-톨루엔, VACs-에틸벤젠, VACs-p-자일렌, VACs-이소프로필벤젠, VACs-1,2,4-트리메틸벤젠, VACs-1,2,4,5-테트라메틸벤젠 및 VACs-벤젠 등의 휘발성방향족탄화수소(VACs, volatile aromatic hydrocarbons); 및 포름알데하이드(formaldehyde) 화합물을 배출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수성페인트 조성물 제조
하기 표 1의 성분 및 조성비로 혼합하여 수성페인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성성분 중 에틸렌초산비닐수지 에멀전(제품명: EVD D-102)은 삼영무역에서 구입하였으며; 아크릴수지 에멀젼(제품명: FS-02) 및 초산비닐수지 에멀젼(제품명: P-300)은 영진화학주식회사에서 구입하였고; 탄산칼슘(제품명: CA-5)은 광성화학에서 구입하였으며; 음이온 분말(제품명: TPD-1-L)은 Universal Plan Co., Ltd.에서 구입하였고, 옥 분말 및 이산화티타늄(제품명: R 216)은 동양무역상사에서 구입하였으며; 이산화규소는 태평광산(주)에서 구입하였고; 황토 분말은 일반 시판되는 제품을 구입하였으며; 산화프라세오디뮴은 대진화학에서 구입하였으며; 송진 분말은 일반 시판되는 제품을 구입하였고; 분산제(제품명: C-400)는 삼성고분자에서 구입하였으며; 소포제(제품명: HDW)는 흥산화성에서 구입하였고; 방부제(제품명: B-95)는 피엔케미칼에서 구입하였으며; 항곰팡이제(제품명: PG311)는 ㈜씨디아이에서 구입하였고; 증점제(제품명: AR-55)는 합성양행에서 구입하였다.
본 발명의 수성페인트 조성물 성분 및 함량
구성성분 함량(중량%)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20~30 20~30 20~30
에틸렌초산비닐수지 에멀젼 10~15 15~20 5~10
아크릴수지 에멀젼 10~15 - -
초산비닐수지 에멀젼 - - 15~20
탄산칼슘 15~20 30~40 25~35
음이온 분말 5~10 - -
이산화티타늄 13~16 13~16 13~16
이산화규소 3~5 - 3~5
황토 10~15 - -
옥 분말 - 1~5 1~5
산화프라세오디뮴 - 0.1~0.2 0.1~0.2
송진 분말 - - 0.1~0.5
분산제 1~2 0.5~1 0.5~1
소포제 1~2 0.5~1 0.5~1
유화제 1~2 - -
방부제 1~2 0.01~0.05 0.1~0.5
항곰팡이제 - 0..01~0.05 0.01~0.05
증점제 0.5~1 0.5~1 0.5~1
<실험예 1>
비교예 1의 수성페인트 조성물에 대한 물성 및 환경적 특성 평가
본 실험에서는 비교예 1의 수성페인트 조성물에 대한 시험을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에 의뢰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성능에서 은폐율이 92%로 나타났으며, 내세척성이 500회 이상이며, 냉동안정성도 이상이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참고로, 수성도료(1급)의 경우 은폐율이 외장용은 0.96 이상, 내장용은 0.92 이상을 요구하고 있다. 한편, 유해물질 배출에 있어서 중금속(Pb, Cd, Hg, Cr6+) 및 휘발성방향족탄화수소(VACs)가 불검출되었으나, 환경 유해성 물질인 포름알데하이드가 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배출량은 0.014 mg/(m2·h)로 평가되었다.
이에, 비교예 1의 수성페인트 조성물은 은폐율이 수성도료(1급) 외장용 기준치에 미치지 못하며, 인체에 유해한 포름알데하이드 검출로 인해 실내 도장을 위한 조성물로도 적합하는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비교예 1의 수성페인트 조성물에 대한 물성 및 환경적 특성 평가
시험항목 단위 시험방법 시험결과
주도 K.U KS M 6010: 2009 101
비휘발분(도료 중의) % 58
건조 시간(고화) 분(min) 10
은폐율 % 92
내세척성 500회 이상
냉동 안정성 - 이상없음
용기 내에서의 상태 - 이상없음
냄새 - 이상없음
Pb mg/kg KS M IS0 3856-1: 1984(E) 불검출(검출한계 5)
Cd mg/kg KS M IS0 3856-4: 1984(E) 불검출(검출한계 0.2)
Hg mg/kg KS M IS0 3856-7: 1984(E) 불검출(검출한계 0.2)
Cr6+ mg/kg KS M IS0 3856-5: 1984(E) 불검출(검출한계 0.2)
VOCs g/L KS M ISO 11890-2: 2007 0.009
VACs-톨루엔 % ASTM D 3257: 2006 불검출(검출한계 0.01)
VACs-에틸벤젠 % 불검출(검출한계 0.01)
VACs-p-자일렌 % 불검출(검출한계 0.01)
VACs-이소프로필벤젠 % 불검출(검출한계 0.01)
VACs-1,2,4-트리메틸벤젠 % 불검출(검출한계 0.01)
VACs-1,2,4,5-테트라메틸벤젠 % 불검출(검출한계 0.01)
VACs-벤젠 % 불검출(검출한계 0.01)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mg/(m2·h) 실내공기질공정시험기준(환경부고시제2010-24호) 0.014
톨루엔 mg/(m2·h) 불검출(검출한계 0.000 2)
포름알데하이드 mg/(m2·h) 0.001
<실험예 2>
비교예 2의 수성페인트 조성물에 대한 유해물질 배출 및 성능 평가
본 실험에서는 비교예 2의 수성페인트 조성물에 대한 시험을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에 의뢰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유해물질 배출에 있어서 중금속(Pb, Cd, Hg, Cr6+) 및 휘발성방향족탄화수소(VACs)가 불검출되었으며, 유독성 물질인 포름알데하이드도 검출되지 않았다. 다만, 내세척성이 300회 미만으로 평가되어 세척에 의해 쉽게 벗겨지며, 냉동안정성도 응고로 나타나 페인트의 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2의 수성페인트 조성물에 대한 성능 평가
시험항목 단위 시험방법 시험결과
Pb % KS M IS0 3856-1: 1984(E) 불검출(검출한계 0.000 5)
Cd % KS M IS0 3856-4: 1984(E) 불검출(검출한계 0.000 1)
Hg % KS M IS0 3856-7: 1984(E) 불검출(검출한계 0.000 1)
Cr6+ % KS M IS0 3856-5: 1984(E) 불검출(검출한계 0.000 1)
VOCs g/L KS M ISO 11890-2: 2007 4.14
VACs-톨루엔 % ASTM D 3257: 2006 불검출(검출한계 0.01)
VACs-에틸벤젠 % 불검출(검출한계 0.01)
VACs-p-자일렌 % 불검출(검출한계 0.01)
VACs-이소프로필벤젠 % 불검출(검출한계 0.01)
VACs-1,2,4-트리메틸벤젠 % 불검출(검출한계 0.01)
VACs-1,2,4,5-테트라메틸벤젠 % 불검출(검출한계 0.01)
VACs-벤젠 % 불검출(검출한계 0.01)
주도 K.U KS M 6010: 2014 89
비휘발분(도료 중의) % 61
건조 시간(고화) 분(min) 10
45°, 0° 확산 반사율 % 84
은폐율 % 98
내세척성 300회 미만
냉동안정성 - 응고
용기 내에서의 상태 - 기준에 적합
냄새 - 기준에 적합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mg/(m2·h) 실내공기질공정시험기준 ES 02131. 1d(국립환경과학원고시 제2020-23호) 0.006
톨루엔 mg/(m2·h) 불검출(검출한계 0.002 5)
포름알데하이드 mg/(m2·h) 불검출(검출한계 0.002 5)
<실험예 3>
실시예 1의 수성페인트 조성물에 대한 유해물질 배출 및 성능 평가
본 실험에서는 실시예 1의 수성페인트 조성물에 대한 시험을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에 의뢰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중금속(Pb, Cd, Hg, Cr6+), 휘발성방향족탄화수소(VACs) 및 포름알데하이드와 같은 유해물질이 불검출되었으며,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배출량도 0.006 mg/(m2·h)으로 매우 낮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뿐만 아니라, 성능에 있어서도 은폐율이 98%로 평가되어 수성도료(1급) 외장용 및 내장용 기준치에 부합하며, 내세척성 및 냉동안정성이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수성페인트 조성물은 외장용 및 내장용 수성도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1의 수성페인트 조성물에 대한 성능 평가
시험항목 단위 시험방법 시험결과
Pb % KS M IS0 3856-1: 1984(E) 불검출(검출한계 0.000 5)
Cd % KS M IS0 3856-4: 1984(E) 불검출(검출한계 0.000 1)
Hg % KS M IS0 3856-7: 1984(E) 불검출(검출한계 0.000 1)
Cr6+ % KS M IS0 3856-5: 1984(E) 불검출(검출한계 0.000 1)
VOCs g/L KS M ISO 11890-2: 2007 0.008
VACs-톨루엔 % ASTM D 3257: 2006 불검출(검출한계 0.01)
VACs-에틸벤젠 % 불검출(검출한계 0.01)
VACs-p-자일렌 % 불검출(검출한계 0.01)
VACs-이소프로필벤젠 % 불검출(검출한계 0.01)
VACs-1,2,4-트리메틸벤젠 % 불검출(검출한계 0.01)
VACs-1,2,4,5-테트라메틸벤젠 % 불검출(검출한계 0.01)
VACs-벤젠 % 불검출(검출한계 0.01)
주도 K.U KS M 6010: 2014 103
비휘발분(도료 중의) % 60
건조 시간(고화) 분(min) 10
45°, 0° 확산 반사율 % 86
은폐율 % 98
내세척성 500회 이상
냉동안정성 - 기준에 적합
용기 내에서의 상태 - 기준에 적합
냄새 - 기준에 적합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mg/(m2·h) 실내공기질공정시험기준 ES 02131. 1d(국립환경과학원고시 제2020-23호) 0.006
톨루엔 mg/(m2·h) 불검출(검출한계 0.002 5)
포름알데하이드 mg/(m2·h) 불검출(검출한계 0.002 5)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물 20 ~ 30중량%, 에틸렌초산비닐수지 에멀젼 5 ~ 10중량%, 초산비닐수지 에멀젼 15 ~ 20중량%, 탄산칼슘 25 ~ 35중량%, 이산화티타늄 13 ~ 16중량%, 이산화규소 3 ~ 5중량%, 옥 분말 1 ~ 5중량%, 산화프라세오디뮴 0.1 ~ 0.2 중량%, 송진 분말 0.1 ~ 0.5중량% 및 첨가제 1.5 ~ 4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성페인트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분산제, 소포제, 방부제, 항곰팡이제 및 증점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성페인트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 소포제, 방부제, 항곰팡이제 및 증점제는 조성물에 대해 분산제 0.5 ~ 1중량%, 소포제 0.5 ~ 1중량%, 방부제 0.1 ~ 0.5중량%, 항곰팡이제 0.01 ~ 0.05중량% 및 증점제 0.5 ~ 1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성페인트 조성물.
  5. 제1항, 제3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환경 유해성 물질인 중금속, 휘발성방향족탄화수소 및 포름알데하이드 화합물이 배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성페인트 조성물.
KR1020220154825A 2022-11-17 2022-11-17 유해물질 배출이 없고 물성이 우수한 친환경 수성페인트 조성물 KR102592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825A KR102592671B1 (ko) 2022-11-17 2022-11-17 유해물질 배출이 없고 물성이 우수한 친환경 수성페인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825A KR102592671B1 (ko) 2022-11-17 2022-11-17 유해물질 배출이 없고 물성이 우수한 친환경 수성페인트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2671B1 true KR102592671B1 (ko) 2023-10-23

Family

ID=88508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4825A KR102592671B1 (ko) 2022-11-17 2022-11-17 유해물질 배출이 없고 물성이 우수한 친환경 수성페인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67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2320A (ja) * 2004-03-23 2005-10-06 Kawamura Kagaku Kk 防藻用添加剤、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むプラスチック板と塗料
JP2007119623A (ja) * 2005-10-28 2007-05-17 Masamitsu Nagahama 塗料、塗料の製造方法、粒状物の使用
KR100732936B1 (ko) 2006-01-26 2007-06-27 이상준 기능성 수성페인트 조성물
KR101538161B1 (ko) * 2014-10-28 2015-07-22 김남일 친환경 도료 조성물
KR101845354B1 (ko) * 2011-03-02 2018-04-05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코팅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물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2320A (ja) * 2004-03-23 2005-10-06 Kawamura Kagaku Kk 防藻用添加剤、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むプラスチック板と塗料
JP2007119623A (ja) * 2005-10-28 2007-05-17 Masamitsu Nagahama 塗料、塗料の製造方法、粒状物の使用
KR100732936B1 (ko) 2006-01-26 2007-06-27 이상준 기능성 수성페인트 조성물
KR101845354B1 (ko) * 2011-03-02 2018-04-05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코팅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물품
KR101538161B1 (ko) * 2014-10-28 2015-07-22 김남일 친환경 도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5540B2 (en) Aqueous and dry duel-action flame and smoke retardant and microbe inhibiting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EP3910032B1 (en) Antimicrobial paint composition and related methods
CN102675990A (zh) 一种可生物降解的净味乳胶漆及其制备方法
KR101538161B1 (ko) 친환경 도료 조성물
KR101052608B1 (ko) 실내 조습 및 탈취용 수성 도료
US20060252849A1 (en) Antifung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mold resistant materials
KR101502457B1 (ko) 친환경 다기능성 도료 조성물
JP2016169597A (ja) 塗り壁材組成物
KR101433528B1 (ko) 백토와 분말 수지를 이용한 친환경 분말 페인트를 이용한 도장방법
KR100738359B1 (ko) 시멘트의 독성을 중화시킨 몰탈 접착 증강제 및 이 몰탈 접착 증강제를 함유하는 건축용 마감재 제조방법
KR20100124396A (ko) 기능성 숯 바름재 조성물
KR102592671B1 (ko) 유해물질 배출이 없고 물성이 우수한 친환경 수성페인트 조성물
KR101053202B1 (ko) 항균탈취용 건강도료
KR101012120B1 (ko) 친환경 pe+pp 수지 혼합물을 이용한 고 기능성 벽지 마감재 조성물
KR20150114783A (ko) 친환경 도료용 분말
KR20070010993A (ko) 건축재 표면 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614223B1 (ko) 세라믹 도료용 조성물
KR20160018897A (ko) 친환경 바닥 마감재용 조성물
KR100939344B1 (ko) 친환경 황토판넬
KR102426609B1 (ko) 극미세 나노 실리카와 아크릴 수지로 나노 크기의 마이셀을 형성하여 유해물질 감소 및 항균 성능이 우수한 건물 내부용 고성능 도료 또는 마감재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404796B1 (ko) 미세 나노 실리카와 아크릴 수지로 나노 크기의 마이셀을 형성하여 유해물질(포름알데히드, voc, apeo) 감소 및 항균 성능이 우수한 건물 내부용 고성능 도료 또는 마감재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JP2020172557A (ja) 水性塗料
KR102103908B1 (ko) 방염 및 난연성의 천연 수성도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44298A (ko) 환경친화형 바이오 벽지 도배풀 조성물
KR101213353B1 (ko) 새집증후군 저감과 항균 및 항곰팡이 특성을 가지는 석회 도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