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598B1 - 원격 카메라 제어 및 장면 공유를 위한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 - Google Patents

원격 카메라 제어 및 장면 공유를 위한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598B1
KR102592598B1 KR1020230045041A KR20230045041A KR102592598B1 KR 102592598 B1 KR102592598 B1 KR 102592598B1 KR 1020230045041 A KR1020230045041 A KR 1020230045041A KR 20230045041 A KR20230045041 A KR 20230045041A KR 102592598 B1 KR102592598 B1 KR 102592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audience
platform
users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5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
Original Assignee
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 filed Critical 김성
Priority to KR1020230045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5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5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카메라 피드를 원격 제어 및 공유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플랫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즉, 각자의 위치에서 카메라로부터 장면을 보고,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대화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인터랙티브한 콘텐츠를 보고 공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랫폼은 현장의 사용자가 선택한 관객 또는 컨트롤러에게 카메라 제어 권한을 위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참여도 증가 및 창의성 향상 등의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원격 카메라 제어 및 장면 공유를 위한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Interactive social network service platform for remote camera control and scene sharing}
본 발명은 원격 카메라 제어 및 장면 공유를 위한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카메라 피드를 원격 제어 및 공유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정보나 디지털 컨텐츠를 전달하는 매체로서 컴퓨터와 인터넷이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필수적인 도구로 등장하였으며, 이에 따라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새로운 인간 관계가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 또는 소셜 커뮤니티 서비스(SCS: Social Community Service)는 인터넷 환경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특정한 관계를 가지는 특정인들을 포함하는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이를 유지하여 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그러나, 현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사용자 사이의 관계 설정과 관계 유지의 기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불과하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연계된 발전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는 사용자가 친구나 팔로워와 이미지 및 동영상을 공유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콘텐츠를 캡처하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카메라를 작동해야 한다.
상기한 제한은 공유 콘텐츠의 품질과 상호 작용을 방해할 수 있으며, 또한, 청중은 카메라 설정, 보기 또는 움직임을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인터랙티브한 콘텐츠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카메라 피드를 원격 제어 및 공유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051149호(2011.07.15)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384668호(2014.04.14)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카메라 피드를 원격 제어 및 공유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즉, 각자의 위치에서 카메라로부터 장면을 보고,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대화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랫폼은 현장의 사용자가 선택한 관객 또는 컨트롤러에게 카메라 제어 권한을 위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카메라 제어 및 장면 공유를 위한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은,
라이브 비디오 스트리밍을 위한 필드 카메라 제어 기능; 원격 청중에게 카메라 제어를 위임하는 기능; 현장 영상을 관객과 공유하는 기능; 및 관객 멤버 중 한 명을 컨트롤러로 선택하는 선택 프로세스를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의하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카메라 피드를 원격 제어 및 공유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플랫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즉, 각자의 위치에서 카메라로부터 장면을 보고,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대화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인터랙티브한 콘텐츠를 보고 공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랫폼은 현장의 사용자가 선택한 관객 또는 컨트롤러에게 카메라 제어 권한을 위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참여도 증가 및 창의성 향상 등의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카메라 제어 및 장면 공유를 위한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의 전체 시스템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카메라 제어 및 장면 공유를 위한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은,
라이브 비디오 스트리밍을 위한 필드 카메라 제어 기능; 원격 청중에게 카메라 제어를 위임하는 기능; 현장 영상을 관객과 공유하는 기능; 및 관객 멤버 중 한 명을 컨트롤러로 선택하는 선택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원격 카메라 제어 및 장면 공유를 위한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은,
확대/축소, 추적, 파노라마, 이미지 안정화 및 자동 초점을 비롯한 다양한 카메라 기능에 대한 지원과 향상된 카메라 성능 및 사용자 경험을 위한 AI 기반 향상 기능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원격 카메라 제어 및 장면 공유를 위한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도면은 예시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카메라 제어 및 장면 공유를 위한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의 전체 시스템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원격 카메라 제어 및 장면 공유를 위한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은,
각자의 위치에서 카메라 로부터 장면을 보고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대화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현장의 사용자가 선택한 관객 또는 컨트롤러에게 카메라 제어 권한을 위임할 수 있는 특징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은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게 된다.
1) 필드 카메라 제어 기능
2) 현장에서 통제권을 위임하는 능력
3) 컨트롤러에 위임된 제어 권한을 부여하는 기능
4) 현장 영상을 관객과 공유하는 기능
5) 청중 중 한 명을 컨트롤러로 선택하는 기능
6) 기타 기능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고,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1) 필드 카메라 제어 기능
본 발명인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은 사용자가 카메라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는 필드 카메라 제어 기능을 포함한다.
이 플랫폼은 디지털 카메라, 스마트폰 및 액션 카메라를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 다양한 카메라 유형을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는 Bluetooth, Wi-Fi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유선 또는 무선 수단을 통해 플랫폼에 연결할 수 있다.
2) 현장에서 통제권을 위임하는 능력
본 발명의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는 카메라 제어를 선택한 청중 또는 컨트롤러에게 위임할 수 있다.
사용자는 플랫폼의 인터페이스 내에서 옵션을 선택하여 제어를 위임할 수 있는데, 상기 옵션은 선택된 청중 구성원에게 컨트롤러가 되도록 요청을 보내게 된다.
3) 컨트롤러에 위임된 제어 권한을 부여하는 기능
선택한 청중이 '컨트롤러가 되라'는 요청을 수락하면, 상기 플랫폼은 해당 청중에게 카메라 설정 및 움직임에 대한 제어 권한을 부여한다.
이때, 컨트롤러는 줌, 팬, 틸트 및 초점과 같은 카메라 기능에 액세스하고 노출, 화이트 밸런스 및 ISO와 같은 설정을 조정할 수 있다.
4) 현장 영상을 관객과 공유하는 기능
본 발명인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에는 사용자가 카메라의 라이브 비디오 피드를 청중과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비디오 피드는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될 수 있으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네트워크를 통해 시청자가 액세스할 수 있다.
상기 플랫폼은 또한 나중에 보거나 공유하기 위해 비디오를 녹화하고, 저장하는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5) 청중 중 한 명을 컨트롤러로 선택하는 기능
본 발명인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는 청중 중 한 명을 컨트롤러로 선택하여 언제든지 컨트롤러 간에 전환하거나 제어를 재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캡처되는 주제에 대한 청중의 전문 지식 또는 관심과 같은 다양한 요인을 기반으로 컨트롤러를 선택할 수 있다.
6) 기타 기능
청중이 다음 컨트롤러를 결정할 수 있는 투표 시스템 및 사용자 지정 가능한 사용자 프로필과 같은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추가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원격 카메라 제어 및 장면 공유를 위한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은 공유 비디오 콘텐츠와 관련된 보기, 좋아요, 댓글 및 공유 수와 같은 분석 및 통찰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사용자가 콘텐츠의 인기도와 참여도를 측정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은 이미지 및 비디오 편집 도구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공유 콘텐츠에 필터, 효과 및 오버레이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편집 도구는 콘텐츠의 품질과 미적 매력을 향상시켜 콘텐츠를 더 매력적이고 공유할 수 있게 만들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기능은 지리적 위치 데이터의 통합으로 사용자가 비디오 콘텐츠의 위치를 태그할 수 있다.
상기 기능은 청중에게 추가 컨텍스트를 제공하고 공유 콘텐츠의 위치 기반 검색 및 정렬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은 여러 대의 카메라 사용을 지원하여 사용자가 여러 대의 카메라를 동시에 연결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능을 사용하면, 장면을 보다 역동적이고 포괄적으로 다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중 카메라 프로덕션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은 가상 현실(VR) 또는 증강 현실(AR) 모드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보다 몰입감 있는 방식으로 공유 콘텐츠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VR 또는 AR 모드는 관객의 현장감과 몰입감을 향상시켜 독특하고 상호작용적인 시청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요약하자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카메라 피드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복수의 청중 구성원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대화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플랫폼은 선택된 청중에게 카메라 제어 위임을 가능하게 하고 채팅 기능, 분석, 편집 도구, 지리적 위치 태깅, 다중 카메라 지원, VR 또는 AR 모드와 같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비디오 콘텐츠와 상호 작용하고 공유하는 방식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인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에는 모션 추적 또는 사전 프로그래밍된 카메라 움직임과 같은 고급 카메라 제어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을 사용하면 카메라가 자동으로 피사체를 따라가거나, 특정 움직임 및 전환을 실행하여 관객에게 보다 전문적이고 영화 같은 시청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랫폼은 인공 지능(AI) 및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통합하여 카메라 설정, 장면 구성 및 청중 참여를 최적화할 수 있다.
AI 알고리즘은 비디오 피드를 분석하고 노출이나 초점과 같은 카메라 설정 조정을 제안하여 전반적인 이미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AI 기반 권장 사항은 청중 피드백 및 참여 메트릭을 기반으로 가장 매력적인 카메라 각도 및 움직임을 선택하도록 컨트롤러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협업 및 상호 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해 플랫폼을 통해 여러 컨트롤러가 카메라의 다양한 측면 또는 다중 카메라 설정 내에서 다양한 카메라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능을 사용하면 사용자 그룹이 함께 작업하여 역동적이고 매력적인 비디오 콘텐츠를 만들고, 팀워크를 촉진하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네트워크 내에서 공동체 의식을 키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은 사용자가 비디오 콘텐츠 또는 카메라 제어 기술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시장 또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라이브 비디오 피드에 대한 액세스에 대해 요금을 부과하거나 지정된 기간 동안 다른 사용자에게 카메라 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기능은 콘텐츠 제작자에게 새로운 수익원을 제공하고 더 많은 사용자가 플랫폼을 채택하도록 장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에는 전자 상거래, 광고 또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과 같은 제3자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와의 통합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통합을 통해 사용자는 비디오 콘텐츠 내에서 제품 또는 서비스를 원활하게 홍보하거나 제휴 링크를 제공하거나 후원 콘텐츠를 통합하여 콘텐츠로 수익을 창출하고 플랫폼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인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은 사용자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비디오 콘텐츠를 공유하고 참여하는 방식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원격 카메라 제어, 제어 위임, 고급 카메라 기능, AI 기반 최적화, 협업, 수익 창출 및 타사 통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플랫폼은 소셜 미디어 환경을 변화시키고 콘텐츠 제작자와 사용자 모두에게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 잠재력을 제공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인 원격 카메라 제어 및 장면 공유를 위한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은, 기존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과 차별화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많은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이점은 하기와 같다.
1) 참여도 증가: 사용자가 선택한 청중 구성원에게 카메라 제어를 위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플랫폼은 더 높은 수준의 상호 작용 및 참여를 촉진시킬 수 있다.
청중은 자신이 보는 콘텐츠를 형성하는데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보다 몰입감 있고 즐거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2) 향상된 창의성: 본 발명의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는 공동으로 비디오 콘텐츠를 만들고 다양한 카메라 각도, 움직임 및 설정을 실험할 수 있다.
이러한 협업 환경은 더 많은 청중의 관심을 끌 수 있는 더 독특하고 창의적인 콘텐츠 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
3) 개인화된 콘텐츠: 본 발명의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는 공유하는 콘텐츠를 청중의 선호도와 관심사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선택된 시청자에게 제어권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는 콘텐츠가 시청자에게 매력적이고 관련성이 있는지 확인하여 만족도와 참여도를 높일 수 있다.
4) 기술 개발: 본 발명의 플랫폼은 사용자가 새로운 카메라 제어 및 비디오 제작 기술을 배우고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다.
다른 사람들과 함께 작업하고, 다양한 설정을 실험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능력을 연마하고 보다 전문적이고 세련된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
5) 네트워킹 기회: 본 발명인 플랫폼의 대화형 특성은 사용자가 같은 생각을 가진 개인과 연결하고 프로젝트에서 공동 작업하도록 장려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서로에게서 배우고, 가치 있는 연결을 설정할 수 있는 지원 커뮤니티의 성장을 촉진시킨다.
6) 수익 창출 가능성: 본 발명의 플랫폼은 라이브 비디오 피드에 대한 액세스 요금을 부과하거나, 카메라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사용자에게 다양한 수익 창출 기회를 제공한다.
이는 콘텐츠 제작자에게 새로운 수익원을 제공하고 더 많은 사용자가 플랫폼에 참여하도록 장려할 수 있다.
7) 크로스 플랫폼 통합: 타사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와의 통합은 플랫폼의 기능을 확장하고 사용자가 추가 도구 및 리소스를 활용하여 콘텐츠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통합은 전자 상거래 또는 콘텐츠 홍보와 같은 다양한 프로세스를 간소화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노력을 더 쉽게 수익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8) 확장성: 본 발명의 플랫폼은 다양한 카메라 유형과 연결 방법을 지원할 수 있어 다양한 사용 사례와 환경에 적합하다.
이러한 유연성을 통해 플랫폼은 다양한 사용자 기반을 수용하고 끊임없이 진화하는 소셜 미디어 및 기술 환경에 적응할 수 있다.
요약하면, 원격 카메라 제어 및 장면 공유를 위한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은 사용자 경험과 공유 비디오 콘텐츠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즉, 상호 작용, 창의성, 개인화, 기술 개발, 네트워킹, 수익 창출, 플랫폼 간 통합 및 확장성을 촉진함으로써, 플랫폼은 사용자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비디오 콘텐츠와 상호 작용하고 공유하는 방식을 혁신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원격 카메라 제어 및 장면 공유를 위한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은 줌, 트래킹, 파노라마, 손떨림 보정, 자동 초점 등 다양한 카메라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사용자와 컨트롤러는 청중의 관심과 선호도에 맞는 고품질의 동적 비디오 콘텐츠를 캡처할 수 있다.
그리고, 표준 카메라 기능 외에도 플랫폼은 인공 지능(AI)을 활용하여 카메라의 기능과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AI 기반 기능은 사용자 경험과 플랫폼에서 공유되는 비디오 콘텐츠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잠재적인 AI 강화 카메라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지능형 추적: AI 알고리즘은 비디오 피드를 분석하여 관심 대상을 식별하고 추적할 수 있으므로 복잡하거나 복잡한 환경에서도 원활하고 일관된 추적이 가능하다.
2) 적응형 이미지 안정화: AI는 카메라 또는 피사체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 안정화 기능을 동적으로 조정하여 보다 부드럽고 안정적인 비디오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3) 스마트 자동 초점: AI는 장면을 분석하여 최적의 초점 포인트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까다로운 조명이나 피사계 심도 조건에서도 선명하고 선명한 이미지를 보장한다.
4) 고급 파노라마 스티칭: AI는 여러 이미지를 매끄럽게 스티칭하여 왜곡이나 아티팩트를 최소화한 고해상도 파노라마를 생성할 수 있다.
5) AI 기반 노출 및 화이트 밸런스: 플랫폼은 AI를 활용하여 장면의 조명 조건을 분석하고 노출 및 화이트 밸런스 설정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일관되게 잘 노출되고 색상이 정확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6) 실시간 장면 분석: AI는 장면 내의 개체와 요소를 식별하고 분류할 수 있으므로 주제 및 컨텍스트를 기반으로 카메라 설정 및 구성을 실시간으로 조정할 수 있다.
7) AI 지원 구성: 플랫폼은 AI를 사용하여 프레이밍 및 구성에 대한 실시간 지침을 제공하여 사용자와 컨트롤러가 시각적으로 매력적이고 매력적인 콘텐츠를 만들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된다.
요약하자면, AI 기반 기능을 통합함으로써, 본 발명인 원격 카메라 제어 및 장면 공유를 위한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은 카메라의 기능과 성능을 크게 향상시켜 사용자와 컨트롤러가 다양한 청중의 관심을 끌 수 있는 보다 전문적이고 세련된 비디오 콘텐츠를 만들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고급 카메라 기능과 AI 향상의 조합은 사용자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비디오 콘텐츠를 캡처하고 공유하는 방식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전문가용 카메라는 다양한 고급 기능을 제공하지만, 특히, 짐벌과 페어링된 경우, 스마트폰 카메라를 사용하여 전문가 품질의 결과를 얻을 수도 있다.
짐벌은 이동 중에도 부드럽고 안정적인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를 고정시키는 장치이다.
따라서, 스마트폰과 짐벌을 결합하면 전문 카메라 장비에 투자하지 않고, 고품질 비디오 콘텐츠를 캡처하려는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1) 휴대성: 스마트폰 카메라는 작고 가벼워 휴대가 간편하고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짐벌과 함께 사용하면 부피가 큰 장비 없이도 전문가 수준의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
2) 경제성: 스마트폰은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전문가용 카메라보다 더 저렴한 경우가 많으며, 짐벌과 함께 스마트폰 카메라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상당한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전문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3) 사용 편의성: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미 스마트폰 카메라 조작에 익숙하기 때문에 짐벌과 결합하면, 사용자는 안정적이고 부드러운 영상을 캡처하는 방법을 빠르게 배울 수 있으므로 모든 기술 수준의 개인이 전문가 수준의 콘텐츠를 쉽게 만들 수 있다.
4) 고급 기능: 최신 스마트폰에는 고해상도 센서, 광학 이미지 흔들림 보정, AI 기반 사진 향상 기능과 같은 고급 카메라 기능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전문 카메라 장비에 필적하는 고품질 영상을 캡처할 수 있다.
5) 원활한 통합: 스마트폰은 본 발명인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에 쉽게 연결할 수 있어 사용자가 다양한 청중과 비디오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스마트폰, 짐벌 및 플랫폼의 조합은 비디오 콘텐츠 캡처, 공유 및 참여를 위한 원활한 워크플로우를 보장할 수 있다.
6) 다양성: 다양한 스마트폰 호환 짐벌 및 액세서리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특정 요구 사항과 선호도에 맞게 스마트폰 카메라 설정을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성을 통해 사용자는 동영상 블로그 및 라이브 스트림에서 단편 영화 및 다큐멘터리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
결론적으로, 스마트폰과 짐벌을 페어링하면 사용자는 비싸거나 번거로운 전문 카메라 장비 없이도 전문가 수준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스마트폰, 짐벌 및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의 조합을 통해 사용자는 보다 접근 가능하고 저렴한 방식으로 고품질 비디오 콘텐츠를 캡처, 공유 및 참여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의 플랫폼 활용에 대하여 예시를 들어 설명하도록 하겠다.
제목: 해변에서의 하루
장면 1: 카메라 설정
위치: 화창한 날의 분주한 해변
예를 들어, 해설가이자 콘텐츠 제작자인 김갑순은 친구들과 함께 해변에 있으며, 그는 주변에서 일어나는 재미와 흥분을 포착하기 위해 해안선 근처에 스마트폰과 짐벌을 설치하기로 결정하였다.
김갑순은 스마트폰을 원격 카메라 제어 및 장면 공유를 위한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에 연결하고, 비디오 피드를 청중에게 스트리밍하기 시작한다.
장면 2: 청중에게 제어권 위임
장소: 해변 및 다양한 관객들의 집
예를 들어, 비디오 스트림이 시청자를 확보함에 따라 김갑순은 카메라 제어를 청중 중 한 명에게 위임하기로 결정하였다.
김갑순은 플랫폼의 채팅에서 이 결정을 발표하고 청중이 자발적으로 컨트롤러가 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여러 청중이 관심을 표명하고 김갑순은 그들 중 한 명인 이을순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카메라를 제어한다.
장면 3: 청중이 카메라를 제어
위치: 해변과 이을순의 집
예를 들어, 이제 컨트롤러가 된 이을순은 집에서 원격으로 카메라를 작동하기 시작하며, 이을순은 해안선을 가로질러 카메라를 돌려 해안에 부서지는 파도, 모래사장에서 노는 아이들, 파도를 타는 서퍼들의 무리를 포착한다.
김갑순과 청중은 이을순이 캡처하는 역동적이고 매력적인 장면을 즐기게 된다.
장면 4: 공동 촬영
장소: 해변, 이을순의 집, 다양한 관객들의 집
예를 들어, 하루가 진행됨에 따라 김갑순은 주기적으로 다른 청중에게 카메라 제어를 위임한다.
각 컨트롤러는 고유한 시점과 카메라 움직임을 가져와 다양하고 매력적인 영상을 만들어낼 수 있다.
청중은 플랫폼의 채팅을 통해 소통하고 협업하며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현재 컨트롤러에 피드백을 제공한다.
장면 5: 하루를 마무리하다
위치: 해변
예를 들어, 해가 지면 김갑순은 청중의 참여와 참여에 감사를 표하며, 김갑순은 하루의 마지막 순간인 바다 위의 멋진 일몰을 포착하기 위해 카메라를 다시 제어하게 된다.
비디오 스트림이 종료되고, 청중은 해변에서 성공적이고 즐거운 하루를 보낸 서로와 김갑순을 축하해주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시나리오에서 본 발명인 원격 카메라 제어 및 장면 공유를 위한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김갑순은 카메라 제어를 다양한 청중에게 위임하여 협업적이고 매력적인 촬영 경험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관점을 연결하고 공유할 수 있으므로 공동체 의식을 고취하고 공유 비디오 콘텐츠의 전반적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SNS 플랫폼에서 컨트롤러가 경험하는 시간 지연은 네트워크 대기 시간, 비디오 인코딩 및 디코딩, 사용자 장치의 처리 시간 등 여러 요인에 기인할 수 있는데, 상기 지연을 나타내기 위해 간단한 공식을 사용할 수 있다.
총 지연 시간 = 네트워크 대기 시간 + 인코딩 시간 + 디코딩 시간 + 처리 시간
예를 들어, 다음 수치를 가정해 보겠다(이러한 값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실제 시나리오에서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네트워크 대기 시간: 100ms
인코딩 시간: 50ms
디코딩 시간: 50ms
처리 시간: 30ms
총 지연 = 100ms + 50ms + 50ms + 30ms = 230ms
상기 예에서 컨트롤러의 총 시간 지연은 230ms이다.
상기 지연은 눈에 띌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에 허용되게 된다.
지연이 상당히 방해가 되는 임계값 미만이기 때문이다(일반적으로 약 300ms ~ 500ms).
상기한 시간 지연의 영향을 완화하고, 원활한 사용자 경험을 보장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식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시청자의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비디오 품질과 비트 전송률을 조정할 수 있는데, 이렇게 하면 인코딩 및 디코딩 시간을 줄여 궁극적으로 전체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
WebRTC 또는 SRT와 같은 대기 시간이 짧은 스트리밍 프로토콜을 사용하면 네트워크 대기 시간을 줄이고 실시간에 가까운 비디오 전송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1) 버퍼링: 플랫폼은 버퍼링을 사용하여 지연을 보상하여 시청자에게 비디오 재생이 원활하고 중단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전체 대기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2) 명령 미리 로드: 플랫폼은 확대/축소 또는 패닝과 같은 특정 카메라 제어 명령을 미리 로드할 수 있으므로 약간의 지연이 있는 경우에도 컨트롤러가 즉시 실행할 수 있다.
3)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기: 플랫폼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시각적 표시기를 제공하여 현재 지연에 대해 컨트롤러에 알릴 수 있다.
이 정보는 컨트롤러가 그에 따라 동작을 조정하여 보다 원활한 카메라 제어 경험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본 발명인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은 사용자 경험에 대한 시간 지연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원격 카메라 제어가 컨트롤러와 청중 모두에게 반응적이고 즐거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위임된 카메라 제어 기능이 있는 본 발명인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은 고유한 기능과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여러 산업 응용 프로그램이 존재할 수 있는데, 다음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핵심 영역 중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1) 라이브 이벤트: 본 발명인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은 콘서트, 스포츠 게임 및 컨퍼런스와 같은 라이브 이벤트를 방송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즉, 멀리 떨어져 있는 청중이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벤트 주최자는 공연자 또는 연사와 청중 사이의 연결을 촉진하여 시청자에게 보다 매력적인 상호 작용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2) 뉴스 보고: 뉴스 조직은 본 발명인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속보 이벤트를 실시간으로 보고할 수 있다.
원격 시청자나 저널리스트에게 카메라 제어를 위임함으로써, 뉴스 매체는 진행 중인 이벤트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보다 포괄적인 보도를 제공할 수 있다.
3) 원격 검사: 건설, 제조 또는 에너지 생산과 같은 산업에서 본 발명인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을 사용하여 시설 및 장비의 원격 검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전문가가 카메라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회사는 현장 방문의 필요성을 줄이고 시간과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4) 교육 및 훈련: 본 발명인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은 원격 학습, 워크숍 또는 교육 세션에 사용할 수 있으며, 강사는 카메라 제어를 학생에게 위임하여 교육 환경을 보다 대화식으로 탐색할 수 있다.
이는 학습 경험을 향상시키고 더 나은 이해와 참여를 촉진할 수 있다.
5) 관광 및 가상 투어: 여행사, 박물관 및 기타 관광 명소는 본 발명인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을 사용하여 가상 투어를 제공하여 잠재 방문자가 원격으로 위치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도록 허용함으로써, 보다 몰입감 있고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하여 잠재적으로 관심과 예약을 증가시킬 수 있다.
6) 부동산: 부동산 중개인은 본 발명인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가상 부동산 투어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잠재적인 구매자 또는 임차인이 카메라를 제어하고 원하는 속도로 부동산을 탐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담원과 고객 모두의 시간을 절약하고, 더 매력적이고 유익한 시청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7) 원격 위치 모니터링이 필수적인 보안 및 감시 애플리케이션: 본 발명인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은 원격 위치 모니터링이 필수적인 보안 및 감시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할 수 있는데, 권한이 있는 직원이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직은 상황 인식을 향상시키고, 사건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8) 협업 콘텐츠 제작: 독립적인 콘텐츠 제작자와 인플루언서는 본 발명인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을 사용하여 청중과 협력하여 시청자가 창작 과정에 참여하고 독특하고 매력적인 콘텐츠 개발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은 위임된 카메라 제어 기능을 갖춘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의 다양성과 잠재력을 보여줄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매력적인 대화형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인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은 다양한 산업에 혁명을 일으킬 수 있으며, 사람들이 비디오 콘텐츠를 통해 연결, 학습 및 협업하는 방식을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요약하자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마트폰 또는 전문 카메라와 같은 카메라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네트워크에 연결하고 원격 청중과 라이브 비디오 피드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대화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이다.
상기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는 '컨트롤러'라고 하는 청중 중 한 명에게 카메라 제어를 위임할 수 있으며, 이 컨트롤러는 플랫폼을 통해 카메라를 원격으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은 사용자 참여와 상호 작용을 향상시켜 보다 역동적이고 협력적인 비디오 공유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은 AI 기반 기능을 포함한 다양한 카메라 기능을 지원하며, 라이브 이벤트, 뉴스 보도, 교육, 관광 등 여러 산업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 및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원격 카메라 제어 및 장면 공유를 위한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은,
라이브 비디오 스트리밍을 위한 필드 카메라 제어 기능; 원격 청중에게 카메라 제어를 위임하는 기능; 현장 영상을 관객과 공유하는 기능; 및 관객 멤버 중 한 명을 컨트롤러로 선택하는 선택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인 원격 카메라 제어 및 장면 공유를 위한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은,
확대/축소, 추적, 파노라마, 이미지 안정화 및 자동 초점을 비롯한 다양한 카메라 기능에 대한 지원과 향상된 카메라 성능 및 사용자 경험을 위한 AI 기반 향상 기능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과거에는 라이브 비디오 스트리밍 플랫폼을 통해 주로 사용자가 시청자의 직접적인 개입이나 상호 작용없이 시청자에게 비디오 콘텐츠를 방송할 수 있었다.
관객은 콘텐츠를 수동적으로 볼 수 있지만, 공유되는 카메라나 관점을 제어할 수 없다.
이러한 상호 작용의 부족은 청중의 참여를 제한하여 종종 일차원적인 시청 경험을 초래했다.
더욱이 콘텐츠 제작자는 카메라 관리를 전적으로 책임지고 있었는데, 이는 특히 다양한 관점과 역동적인 장면을 캡처하려고 시도할 때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카메라 제어를 '컨트롤러'로 지칭되는 청중 구성원 중 한 명에게 위임할 수 있도록 하는 대화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상기한 제한 사항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한 기능은 컨트롤러가 플랫폼을 통해 원격으로 카메라를 작동하고 다양한 관점을 캡처하고 전반적인 시청 경험을 향상할 수 있으므로 더 높은 수준의 청중 참여 및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즉, 창작 과정에 청중을 참여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플랫폼은 공동체 의식과 협업을 촉진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고유한 관점을 연결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콘텐츠 제작자가 카메라를 관리할 때, 직면하는 문제 중 일부를 완화할 수 있는데, 이는 이제 콘텐츠 제작자가 제어권을 다른 사람에게 위임하고 콘텐츠의 다른 측면에 집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관객이 카메라 제어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보다 참여적이고 상호작용적인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전통적인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의 한계를 극복한다.
이 개선 사항은 공유 비디오 콘텐츠의 품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자 간의 연결 및 협업 감각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경 설정을 도시한다.
이 설정에서는 원격 카메라 제어 및 장면 공유를 위한 양방향(대화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의 작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여러 구성 요소가 상호 연결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각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설명하도록 한다.
1) 짐벌(110): 짐벌 장치는 카메라(촬영용 스마트폰)를 안정화하여 촬영 과정에서 부드럽고 안정적인 장면을 보장할 수 있다.
스마트폰과 함께 촬영하여 전용 카메라 장비 없이도 전문가 수준의 결과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짐벌의 경우, 적어도 한 개 이상 다수로 설치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2) 촬영용 스마트폰(120): 상기 촬영용 스마트폰은 비디오 콘텐츠 캡처를 위한 기본 카메라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촬영용 스마트폰의 경우, 적어도 한 개 이상 다수로 설치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상기 짐벌(110)에 장착되어 SNS망(130)을 통해 플랫폼과 연결되어 라이브 영상 스트리밍 및 원격 카메라 제어가 가능하다.
3) SNS 네트워크(130): 상기 촬영용 스마트폰(120)과 관객 중 다수의 스마트폰(140)과 다수의 PC(15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이다.
잠재적으로 컨트롤러가 되기 위해 청중 구성원에 의해 사용되게 되는데, 본 발명의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는 촬영용 스마트폰을 통해 콘텐츠에 참여하고 카메라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4) 다수의 PC(150): 스마트폰(140)과 유사하게, 이러한 개인용 컴퓨터는 청중 구성원이 플랫폼에 액세스하고 대화식 경험에 참여하는 데 사용된다.
사용자는 라이브 비디오 피드를 보고 잠재적으로 PC를 통해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다.
5)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용 서버(100):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을 호스팅하고 짐벌(110), 촬영용 스마트폰(120), SNS 네트워크(130), 다수의 스마트폰(140) 및 다수의 PC(150) 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서버이다.
플랫폼의 운영을 용이하게 하여 원활하고 매력적인 사용자 경험을 보장하게 되는 것이다.
요약하면, 도 1은 원격 카메라 제어 및 장면 공유를 위한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이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게 하는 상호 연결된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설정을 통해 사용자는 라이브 비디오 콘텐츠를 공유하고 원격 청중에게 카메라 제어를 위임하고 협업 및 대화형 경험에 참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서버(100)는 짐벌(110), 촬영용 스마트폰(120), SNS 네트워크(130), 청중 스마트폰(140) 및 PC(150)와 같은 다양한 구성 요소 간의 효율적인 통신 및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원격 카메라 제어 및 장면 공유를 위한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의 중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서버(100)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플랫폼 호스팅: 서버(100)는 플랫폼의 소프트웨어를 호스팅하여 스마트폰이나 PC를 통해 사용자에게 플랫폼의 가용성과 접근성을 보장한다.
사용자 계정, 인증 및 권한 부여 프로세스를 관리하여 안전하고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한다.
2) 연결 관리: 서버(100)는 짐벌(110), 촬영용 스마트폰(120), SNS 네트워크(130), 청중 스마트폰(140) 및 PC(150)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다양한 구성 요소 간의 연결을 설정하고 유지한다.
데이터 전송 및 동기화를 처리하여 모든 참가자 간의 원활하고 원활한 정보 흐름을 보장하게 되는 것이다.
3) 비디오 처리: 서버(100)는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라이브 비디오 피드를 촬영, 압축, 인코딩, 디코딩 등의 처리 작업을 처리한다.
SNS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을 위해 비디오 스트림을 최적화하여 청중 스마트폰(140) 및 PC(150)에 고품질 콘텐츠 전달을 보장하게 되는 것이다.
4) 카메라 제어 위임: 서버(100)는 관객 중 한 명에게 카메라 제어 위임을 관리한다.
선택 프로세스를 처리하고 제어 권한을 부여하며 컨트롤러에서 촬영 스마트폰으로의 카메라 명령을 조정하게 된다.
5) 모니터링 및 분석: 서버(100)는 뷰어 참여, 청중 인구 통계 및 컨트롤러 성능과 같은 플랫폼으로부터 사용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한다.
이 정보는 플랫폼의 기능, 사용자 경험 및 전반적인 효율성을 개선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서버(100)와 플랫폼 간의 관계는 플랫폼의 기능에 필수적이다.
서버(100)는 플랫폼의 소프트웨어를 호스팅 및 관리하고, 다양한 구성 요소 간의 연결을 설정하는 데 필요한 인프라를 제공하며, 플랫폼이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작동하도록 보장하게 된다.
본질적으로, 서버(100)는 원격 카메라 제어 및 장면 공유를 위한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이 구축되는 토대이며, 콘텐츠 제작자와 청중 모두에게 원활하고 매력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카메라 피드를 원격 제어 및 공유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플랫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즉, 각자의 위치에서 카메라로부터 장면을 보고,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대화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인터랙티브한 콘텐츠를 보고 공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서버
110 : 짐벌
120 : 촬영용 스마트폰
130 : SNS 네트워크
140 : 청중 스마트폰
150 : PC

Claims (2)

  1. 원격 카메라 제어 및 장면 공유를 위한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에 있어서,
    라이브 비디오 스트리밍을 위한 필드 카메라 제어 기능;
    원격 청중에게 카메라 제어를 위임하는 기능;
    현장 영상을 관객과 공유하는 기능;
    관객 멤버 중 한 명을 컨트롤러로 선택하는 선택 프로세스;를 포함하되,
    확대/축소, 추적, 파노라마, 이미지 안정화 및 자동 초점을 비롯한 다양한 카메라 기능에 대한 지원과 향상된 카메라 성능 및 사용자 경험을 위한 AI 기반 향상 기능;을 추가로 포함하고,
    현장에서 통제권을 위임하는 능력;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필드 카메라 제어 기능은,
    사용자가 카메라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고,
    카메라 유형을 지원하고,
    카메라는 유선 또는 무선 수단을 통해 플랫폼에 연결할 수 있고,
    상기 카메라 제어를 위임하는 기능은,
    선택한 청중이 '컨트롤러가 되라'는 요청을 수락하면, 해당 청중에게 카메라 설정 및 움직임에 대한 제어 권한을 부여하고, 컨트롤러는 줌, 팬, 틸트 및 초점의 카메라 기능에 액세스하고 노출, 화이트 밸런스 및 ISO 설정을 조정할 수 있고,
    상기 현장 영상을 관객과 공유하는 기능은,
    사용자가 카메라의 라이브 비디오 피드를 청중과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고,
    비디오 피드는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될 수 있으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네트워크를 통해 시청자가 액세스할 수 있고,
    나중에 보거나 공유하기 위해 비디오를 녹화하고, 저장하는 옵션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현장에서 통제권을 위임하는 능력은,
    사용자는 카메라 제어를 선택한 청중 또는 컨트롤러에게 위임할 수 있고,
    사용자는 플랫폼의 인터페이스 내에서 옵션을 선택하여 제어를 위임할 수 있고,
    상기 옵션은 선택된 청중 구성원에게 컨트롤러가 되도록 요청을 보내게 되고,
    상기 선택 프로세스는,
    사용자는 청중 중 한 명을 컨트롤러로 선택하여 언제든지 컨트롤러 간에 전환하거나 제어를 재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캡처되는 주제에 대한 청중의 전문 지식 또는 관심 요인을 기반으로 컨트롤러를 선택할 수 있고,
    또한, 원격 카메라 제어 및 장면 공유를 위한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은,
    청중이 다음 컨트롤러를 결정할 수 있는 투표 시스템 및 사용자 지정 가능한 사용자 프로필의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추가 기능이 포함될 수 있고,
    또한, 공유 비디오 콘텐츠와 관련된 보기, 좋아요, 댓글 및 공유 수의 분석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이미지 및 비디오 편집 도구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공유 콘텐츠에 필터, 효과 및 오버레이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지리적 위치 데이터의 통합으로 사용자가 비디오 콘텐츠의 위치를 태그할 수 있도록 하여, 청중에게 추가 컨텍스트를 제공하고 공유 콘텐츠의 위치 기반 검색 및 정렬을 활성화할 수 있고,
    또한, 여러 대의 카메라 사용을 지원하여 사용자가 여러 대의 카메라를 동시에 연결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장면을 보다 역동적이고 포괄적으로 다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중 카메라 프로덕션을 생성할 수 있고,
    또한, 가상 현실(VR) 또는 증강 현실(AR) 모드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보다 몰입감 있는 방식으로 공유 콘텐츠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여, 관객의 현장감과 몰입감을 향상시켜 독특하고 상호 작용적인 시청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카메라 피드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복수의 청중 구성원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대화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고,
    또한, 줌, 트래킹, 파노라마, 손떨림 보정, 자동 초점의 카메라 기능을 지원하여, 사용자와 컨트롤러는 청중의 관심과 선호도에 맞는 고품질의 동적 비디오 콘텐츠를 캡처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인공 지능(AI)을 활용하여 카메라의 기능과 성능을 향상시켜, 사용자 경험과 플랫폼에서 공유되는 비디오 콘텐츠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되,
    AI 강화 카메라 기능은,
    AI 알고리즘은 비디오 피드를 분석하여 관심 대상을 식별하고 추적할 수 있으므로 복잡하거나 복잡한 환경에서도 원활하고 일관된 추적이 가능한 지능형 추적;
    카메라 또는 피사체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 안정화 기능을 동적으로 조정하여 보다 부드럽고 안정적인 비디오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적응형 이미지 안정화;
    장면을 분석하여 최적의 초점 포인트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까다로운 조명이나 피사계 심도 조건에서도 선명하고 선명한 이미지를 보장하는 스마트 자동 초점;
    여러 이미지를 매끄럽게 스티칭하여 왜곡이나 아티팩트를 최소화한 고해상도 파노라마를 생성할 수 있는 고급 파노라마 스티칭;
    장면의 조명 조건을 분석하고 노출 및 화이트 밸런스 설정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일관되게 잘 노출되고 색상이 정확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AI 기반 노출 및 화이트 밸런스;
    장면 내의 개체와 요소를 식별하고 분류할 수 있으므로 주제 및 컨텍스트를 기반으로 카메라 설정 및 구성을 실시간으로 조정할 수 있는 실시간 장면 분석;
    프레이밍 및 구성에 대한 실시간 지침을 제공하여 사용자와 컨트롤러가 시각적으로 매력적이고 매력적인 콘텐츠를 만들 수 있도록 도와주는 AI 지원 구성;으로,
    카메라의 기능과 성능을 크게 향상시켜 사용자와 컨트롤러가 다양한 청중의 관심을 끌 수 있는 보다 전문적이고 세련된 비디오 콘텐츠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카메라를 안정화하여 촬영 과정에서 부드럽고 안정적인 장면을 보장할 수 있는 짐벌(110);
    상기 짐벌(110)에 장착되어 SNS망(130)을 통해 플랫폼과 연결되어 라이브 영상 스트리밍 및 원격 카메라 제어가 가능하고, 비디오 콘텐츠 캡처를 위한 기본 카메라 역할을 수행하는 촬영용 스마트폰(120);
    상기 촬영용 스마트폰(120)과 관객 중 다수의 스마트폰(140)과 다수의 PC(15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인 SNS 네트워크(130);
    사용자는 라이브 비디오 피드를 보고 잠재적으로 PC를 통해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140)과 유사하게, 청중 구성원이 플랫폼에 액세스하고 대화식 경험에 참여하는 데 사용되는 다수의 PC(150);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을 호스팅하고 짐벌(110), 촬영용 스마트폰(120), SNS 네트워크(130), 다수의 스마트폰(140) 및 다수의 PC(150) 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플랫폼용 서버(100);로 구성되어,
    플랫폼의 운영을 용이하게 하여 원활하고 매력적인 사용자 경험을 보장하고,
    상기 플랫폼용 서버(100)의 기능은,
    플랫폼의 소프트웨어를 호스팅하여 스마트폰이나 PC를 통해 사용자에게 플랫폼의 가용성과 접근성을 보장하고, 사용자 계정, 인증 및 권한 부여 프로세스를 관리하여 안전하고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하는 플랫폼 호스팅;
    짐벌(110), 촬영용 스마트폰(120), SNS 네트워크(130), 청중 스마트폰(140) 및 PC(150)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 요소 간의 연결을 설정하고 유지하고, 데이터 전송 및 동기화를 처리하여 모든 참가자 간의 원활하고 원활한 정보 흐름을 보장하는 연결 관리;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라이브 비디오 피드를 촬영, 압축, 인코딩, 디코딩의 처리 작업을 처리하고, SNS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을 위해 비디오 스트림을 최적화하여 청중 스마트폰(140) 및 PC(150)에 고품질 콘텐츠 전달을 보장하게 되는 비디오 처리;
    관객 중 한 명에게 카메라 제어 위임을 관리하고, 선택 프로세스를 처리하고 제어 권한을 부여하며 컨트롤러에서 촬영 스마트폰으로의 카메라 명령을 조정하게 되는 카메라 제어 위임;
    뷰어 참여, 청중 인구 통계 및 컨트롤러 성능의 사용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고, 플랫폼의 기능, 사용자 경험 및 전반적인 효율성을 개선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모니터링 및 분석; 기능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카메라 제어 및 장면 공유를 위한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

  2. 삭제
KR1020230045041A 2023-04-05 2023-04-05 원격 카메라 제어 및 장면 공유를 위한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 KR102592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5041A KR102592598B1 (ko) 2023-04-05 2023-04-05 원격 카메라 제어 및 장면 공유를 위한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5041A KR102592598B1 (ko) 2023-04-05 2023-04-05 원격 카메라 제어 및 장면 공유를 위한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2598B1 true KR102592598B1 (ko) 2023-10-23

Family

ID=88508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5041A KR102592598B1 (ko) 2023-04-05 2023-04-05 원격 카메라 제어 및 장면 공유를 위한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5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51318A (zh) * 2024-03-06 2024-04-09 北京天平地成信息技术服务有限公司 基于vr内容管理平台的编辑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149B1 (ko) 2010-12-08 2011-07-22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소셜 네트워크 기반 디지털 컨텐츠 제작 방법과 공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시스템과 공유 시스템
KR101384668B1 (ko) 2013-10-15 2014-04-14 조용상 하이브리드앱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의 실시간 라이브방송을 제공하는 솔루션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05872A (ko) * 2014-02-03 2016-09-07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비디오 회의 강화
KR20170113901A (ko) * 2016-03-29 2017-10-13 (주)다온씨앤티 1인 미디어 방송 촬영용 방송자 추적 카메라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149B1 (ko) 2010-12-08 2011-07-22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소셜 네트워크 기반 디지털 컨텐츠 제작 방법과 공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 시스템과 공유 시스템
KR101384668B1 (ko) 2013-10-15 2014-04-14 조용상 하이브리드앱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의 실시간 라이브방송을 제공하는 솔루션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05872A (ko) * 2014-02-03 2016-09-07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비디오 회의 강화
KR20170113901A (ko) * 2016-03-29 2017-10-13 (주)다온씨앤티 1인 미디어 방송 촬영용 방송자 추적 카메라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51318A (zh) * 2024-03-06 2024-04-09 北京天平地成信息技术服务有限公司 基于vr内容管理平台的编辑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65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and viewing a spherical video segment
US11838336B2 (en) Virtual events-based social network
US102187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real-time three-dimensional digital impact virtual audience
US9743060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and viewing a spherical video segment
US201200601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 interactive event experience
US81124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virtual environment with shared video on demand
US201201920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virtual playdate
WO2016048204A1 (en) Methods, system and nodes for handling media streams relating to an online game
Doumanoglou et al. Quality of experience for 3-D immersive media streaming
US11902349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real-time digital virtual audience
US99737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and viewing a spherical video segment
Engström et al. Amateur vision and recreational orientation: Creating live video together
KR20220031894A (ko) 데이터 스트림을 동기화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592598B1 (ko) 원격 카메라 제어 및 장면 공유를 위한 양방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
KR101369273B1 (ko) 양방향 라이브 방송 시스템 및 방법
US11651108B1 (en) Time access control in virtual environment application
CN109983777A (zh) 启用媒体编排
Ursu et al. Orchestration: Tv-like mixing grammars applied to video-communication for social groups
JP2019169935A (ja) 消費者志向型マルチカメラ撮影映像の選択視聴サービスシステム
EP34176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and viewing a spherical video segment
KR20210034858A (ko) 고객 맞춤형 라이브 방송 시스템
US111022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real-time digital virtual audience
KR20170085781A (ko)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반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
JP2017118417A (ja) 複数の人がそれぞれの情報端末で同じライブイベントをそれぞれの視点で撮影した複数のビデオストリームを1つのugc番組に編成してライブ配信すること
US11876630B1 (en) Architecture to control z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