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511B1 - 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511B1
KR102592511B1 KR1020230042462A KR20230042462A KR102592511B1 KR 102592511 B1 KR102592511 B1 KR 102592511B1 KR 1020230042462 A KR1020230042462 A KR 1020230042462A KR 20230042462 A KR20230042462 A KR 20230042462A KR 102592511 B1 KR102592511 B1 KR 102592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lettering
colgate
phone number
lettering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2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지경
조석우
김대영
Original Assignee
(주)다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옴솔루션 filed Critical (주)다옴솔루션
Priority to KR1020230042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5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5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공될 컨텐츠가 언제든지 실시간으로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된 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화망을 통해 수신되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발신할 통화를 연결하는 교환기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레터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도록 콜게이트 장치에 신호를 전달하는 레터링 게이트웨이부를 포함하는 고객사 장치; 상기 고객사 장치의 관리 주체에 구독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될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저장한 클라우드 서버가 구축된 서비스 제공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ettering service}
본 발명은 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공될 컨텐츠가 언제든지 실시간으로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된 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모바일 단말기(1)의 소유자를 민원인, 고객사(2)를 공공기관으로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고객사(2)는 공공기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민간 기업체, 병원, 학교 등이 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레터링 서비스는 민원인의 모바일 단말기(1)가 공공기관과 전화를 걸고 받을 시 대상인 IP전화기(민원인이 전화를 한 공공기관의 민원부서 및 담당자에 대응하는)에 통화가 연결되며, 이와 동시에 레터링 서버(2b)에서 인터넷망을 통해 민원인의 모바일 단말기(1)의 전화번호, 수신 대상인 IP전화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신호를 콜게이트 장치(3)로 보내게 된다.
콜게이트 장치(3)는 민원인의 모바일 단말기(1)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1)에 설치된 레터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5)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로써, 모바일 단말기(1)의 화면에는 콜게이트 장치(3)의 컨텐츠 서버(3a)에 저장된 웹(Web) URL 및/또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기존의 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순히 안내용 이미지만을 모바일 단말기(1)의 화면에 제공하거나 홈페이지 링크를 제공하는 데 그치므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고객사(2)에서 다양한 컨텐츠를 민원인에게 제공하기 싶은 경우에 사전에 콜게이트 장치(3)를 관리하는 사업자 측에 의뢰하여 컨텐츠를 생성/수정하는 시간을 소요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0505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컨텐츠의 제공이 가능하며, 제공될 컨텐츠의 내용 또한 고객사에서 언제든지 실시간으로 변경 가능한 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의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바일 단말기에 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화망을 통해 수신되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발신할 통화를 연결하는 교환기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레터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도록 콜게이트 장치에 신호를 전달하는 레터링 게이트웨이부를 포함하는 고객사 장치; 상기 고객사 장치의 관리 주체에 구독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될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저장한 클라우드 서버가 구축된 서비스 제공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레터링 게이트웨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통화를 수신하거나 발신하는 경우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전화번호, 상기 통화의 대상이 되는 대상 전화번호 및 상기 대상 전화번호의 관련 정보를 상기 콜게이트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콜게이트 장치는, 상기 레터링 게이트웨이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상기 레터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정보를 확인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콜게이트 장치가 상기 레터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실패한 경우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메세지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레터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상 기 콜게이트 장치에 의해 실행된 이후,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포함된 컨텐츠에 접근 가능하도록 연결된 웹 URL을 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컨텐츠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통화하는 대상의 전화번호, 로고 이미지, 홈페이지 링크, 카드 뉴스 링크, 유튜브 영상 링크, 각종 조사용 홈페이지 링크, 및 민원용 인공지능 검색엔진 링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의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모바일 단말기에 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교환기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화망을 통해 수신되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발신할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 레터링 게이트웨이부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레터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도록 콜게이트 장치에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상에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가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콜게이트 장치에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통화를 수신하거나 발신하는 경우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전화번호, 상기 통화의 대상이 되는 대상 전화번호 및 상기 대상 전화번호의 관련 정보를 상기 콜게이트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콜게이트 장치에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콜게이트 장치가 상기 레터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실패한 경우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메세지 정보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콜게이트 장치가 상기 레터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성공한 경우에, 상기 레터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포함된 컨텐츠에 접근 가능하도록 연결된 웹 URL을 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통화하는 대상의 전화번호, 로고 이미지, 홈페이지 링크, 카드 뉴스 링크, 유튜브 영상 링크, 각종 조사용 홈페이지 링크, 및 민원용 인공지능 검색엔진 링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실시예인 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에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클라우드 서버가 구축되며, 고객사와의 계약으로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구독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사는 언제든지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의 가공이 가능하므로, 모바일 단말기에 다양한 컨텐츠 제공이 가능한 것은 물론, 제공될 컨텐츠의 내용 또한 실시간으로 변경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에 개시된 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정상적으로 전화의 수/발신이 이루어진 경우의 시나리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개시된 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레터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불가한 경우의 시나리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개시된 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정상적으로 전화의 수/발신이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의 시나리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개시된 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시 웹 스크래핑 기능을 제공하는 시나리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레터링 서비스 제공시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레이아웃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모바일 단말기(10)의 소유자를 민원인, 고객사 장치(100)의 관리자를 공공기관으로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모바일 단말기(10)의 소유자나 고객사 장치(100)의 관리자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교환기(110)와 레터링 게이트웨이부(120)를 포함하는 고객사 장치(100) 및 상기 고객사 장치(100)와 계약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교환기(110)는 모바일 단말기(10)로부터 전화망을 통해 수신되거나 모바일 단말기(10)로 발신할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화망은 예를 들어,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을 의미할 수 있다. 교환기(110)는 서로 다른 호 제어 프로토콜과 음성 제어 프로토콜을 각 망에 맞게 변환해 주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레터링 게이트웨이부(120)는 모바일 단말기(10)에 설치된 레터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30)을 실행시키도록 콜게이트 장치(20)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민원인이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10)를 이용하여 공공기관에 전화를 걸거나 공공기관으로부터 전화를 수신하는 경우에, 교환기(110)를 통해 민원인과 공공기관 내부의 담당자가 연결될 수 있는데, 이때, 레터링 게이트웨이부(120)는 모바일 단말기(10)의 전화번호, 모바일 단말기(10)와 통화하는 대상이 되는 대상 전화번호 및 상기 대상 전화번호와 관련된 정보를 콜게이트 장치(2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교환기(110)는 미디어 게이트웨이와 IP-PBX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상 전화번호는 민원인의 전화를 수신하거나 민원인에게 전화를 발신하는 공공기관의 특정 부서 담당자의 전화번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 전화번호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특정 부서를 구별할 수 있는 정보(예를 들어, 총무팀, 홍보팀 등)일 수 있다.
레터링 게이트웨이부(120)는 콜게이트 장치(20)에 상술한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전달함에 있어서, 단방향 암호화(예를 들어, AES256 암호화)를 이용하여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단말기(10)에는 레터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30)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레터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30)은 콜게이트 장치(20)와 연동되어 실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콜게이트 장치(20)는, 레터링 게이트웨이부(120)로부터 모바일 단말기(10)의 전화번호를 전달받으면, 이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10)의 레터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30)의 설치 정보를 확인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 장치(200)는 고객사 장치(100)의 관리 주체에 구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자 장치(200)에는 모바일 단말기(10)의 화면상에 표시될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저장한 클라우드 서버가 구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고객사 장치(100)의 관리 주체인 소유자 또는 관리자는 레터링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컨텐츠의 내용에 대해 변경을 원하는 경우에 언제든지 실시간으로 주체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컨텐츠의 변경시에 콜게이트 장치(20)의 관리자에게 별도의 요청을 하는 과정이 생략되므로 레터링 서비스에 대한 구성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레터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30)은, 콜게이트 장치(20)에 의해 실행된 이후, 클라우드 서버에 포함된 컨텐츠에 접근 가능하도록 연결된 웹 URL을 호출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개시된 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정상적으로 전화의 수/발신이 이루어진 경우의 시나리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시나리오는 민원인이 공공기관으로 전화를 건 경우에 대해 예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민원인이 공공기관으로 전화를 걸어 통화 시도를 하는 경우에 즉시, 레터링 게이트웨이부(120)는 콜게이트 장치(20)로 신호를 전송한다. 연이어, 콜게이트 장치(20)는 민원인의 모바일 단말기(10)에 설치된 레터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30)을 실행시킨다.
이때, 민원인이 통화하기를 원하는 공공기관의 직원B가 전화를 받기 이전에 즉, 민원인에게 통화 수신음이 송출되고 있는 순간에는 프롤로그 화면으로서 모바일 단말기(10)의 화면상에 민원인이 전화를 걸고 있는 부서명, 전화번호가 문자 및/또는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다. 동시에 공공기관의 광고문구, 안내문구 등이 문자 및/또는 이미지로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후에, 직원B가 전화를 받아서 민원인과의 통화를 진행하고 통화가 종료되고 난 이후에는 모바일 단말기(10)의 화면상에 에필로그 화면으로서 프롤로그 화면과는 상이한 화면이 제공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재다이얼 통화 링크가 문자 및/또는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다. 동시에 공공기관의 광고문구, 안내문구 등이 문자 및/또는 이미지로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에필로그 화면은 프롤로그 화면과는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면, 고객사 장치(20)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서비스 제공자 장치(200)의 클라우드 서버에 언제든지 접근하여 컨텐츠(상술한 프롤로그 화면, 에필로그 화면)의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개시된 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레터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불가한 경우의 시나리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시나리오 또한 민원인이 공공기관으로 전화를 건 경우에 대해 예시한다.
콜게이트 장치(20)가 레터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30)의 실행에 실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인을 알 수 없는 오류가 발생하거나 민원인의 모바일 단말기(10)에 레터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30)이 미설치 또는 삭제되어 있거나 모바일 단말기(10)의 사양이 레터링 서비스의 실행에 적합하지 않은 모델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서비스 제공자 장치(200)의 클라우드 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메세지 정보가 모바일 단말기(10)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메세지 정보에는 수신처 또는 발신처의 정보(전화번호, 기관명, 부서명, 담당자 이름 등)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메세지 정보에는 특정 웹 URL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2에 개시된 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정상적으로 전화의 수/발신이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의 시나리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예시와는 상이하게 민원인과 담당부서의 직원간 통화가 연결되지 못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민원인이 공공기관으로 전화를 걸어 통화 시도를 하는 경우에, 도 3에서와 마찬가지로 레터링 게이트웨이부(120)는 콜게이트 장치(20)로 신호를 전송한다. 연이어, 콜게이트 장치(20)는 민원인의 모바일 단말기(10)에 설치된 레터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30)을 실행시킨다.
이때, 민원인이 통화하기를 원하는 공공기관의 직원B가 전화를 받기 이전에 즉, 민원인에게 통화 수신음이 송출되고 있는 순간에는 프롤로그 화면으로서 모바일 단말기(10)의 화면상에 민원인이 전화를 걸고 있는 부서명, 전화번호가 문자 및/또는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다. 동시에 공공기관의 광고문구, 안내문구 등이 문자 및/또는 이미지로 함께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직원 부재 등의 이유로 통화가 연결되지 않으면 통화실패 화면 또는 부재중 화면으로서 모바일 단말기(10)의 화면상에 콜백(call back)을 신청하는 링크/버튼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콜백 신청시 민원인의 전화번호가 남겨지므로 이후에 담당 직원의 연락을 받을 수 있다. 동시에 공공기관의 광고문구, 안내문구 등이 문자 및/또는 이미지로 함께 제공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면, 고객사 장치(20)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서비스 제공자 장치(200)의 클라우드 서버에 언제든지 접근하여 컨텐츠(상술한 프롤로그 화면, 부재중 화면)의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개시된 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시 웹 스크래핑 기능을 제공하는 시나리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웹 스크래핑(Web scraping)이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웹사이트에 있는 정보를 추출하는 컴퓨팅 기술을 의미한다. 가능한 실시예로서, 이러한 웹 스크래핑 기능이 서비스 제공자 장치(200)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공기관의 홈페이지에 현재 노출되고 있는 정보가 자동으로 스크랩되어 도 3과 도 5의 프롤로그 화면, 도 3의 에필로그 화면에 표시될 컨텐츠로서 자동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구현되는 경우, 관리자에 의한 컨텐츠 변경 없이도 모바일 단말기(10)에 제공될 레터링 서비스가 구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레터링 서비스 제공시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레이아웃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서비스 제공자 장치(200)에 구축된 클라우드 서버에는, 레터링 서비스로 제공될 컨텐츠가 다양하게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10)와 통화하는 대상의 전화번호, 로고 이미지, 홈페이지 링크, 카드 뉴스 링크, 유튜브 영상 링크, 각종 조사용 홈페이지 링크, 및 민원용 인공지능 검색엔진 링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공지능 검색엔진(AI-powered Serarch engine)은 딥 러닝 기반의 자연 언어 처리 모델과 검색 엔진이 결합된 검색 프로그램이다. 일 예로, Chat GPT, Bing AI 등이 있다. 따라서, 민원인이 민원용 인공지능 검색엔진 링크를 클릭하여 민원 내용에 대해 스스로 검색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예시로서, 민원인과 통화하는 공공기관의 로고가 최상단에 표시되고 그 아래에는 공공기관과 관련된 뉴스의 링크, 공공기관의 운영하는 유튜브의 링크, 홈페이지 링크, 부서의 명칭, 전화번호가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도 8과 같이 유튜브 링크가 카드 뉴스 링크보다 상측에 노출될 수도 있고 도 9와 같이 부서 명칭, 전화번호와 홈페이지 링크가 상측에 노출될 수도 있다. 또는, 도 10과 같이 민원용 인공지능 검색엔진의 링크를 노출시켜 민원 내용에 대해 민원인 스스로 검색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일 뿐이므로 도시된 구성에 컨텐츠의 종류 및 배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컨텐츠는 보다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특징은, 이러한 컨텐츠의 종류 구성과 배치에 대해 고객사 장치(100)의 관리자가 언제든지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며, 이로써, 기한이 정해져 있는 광고, 정책, 설문조사 등에 대해서 유연하게 레터링 서비스의 컨텐츠로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한 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은, 교환기(110)가 모바일 단말기(10)로부터 전화망을 통해 수신되거나 모바일 단말기(10)로 발신할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S100), 레터링 게이트웨이부(120)가 모바일 단말기(10)에 설치된 레터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30)을 실행시키도록 콜게이트 장치(20)에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S200) 및, 모바일 단말기(10)의 화면상에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가 표시되는 단계(S300~S5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S100)에서, 상기 전화망은 예를 들어,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의미할 수 있다. 교환기(110)는 서로 다른 호 제어 프로토콜과 음성 제어 프로토콜을 각 망에 맞게 변환해 주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콜게이트 장치(20)에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S200)에서, 민원인이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10)를 이용하여 공공기관에 전화를 걸거나 공공기관으로부터 전화를 수신하는 경우에, IP-PBX를 통해 민원인과 공공기관 내부의 담당자가 연결될 수 있는데, 이때, 레터링 게이트웨이부(120)는 모바일 단말기(10)의 전화번호, 모바일 단말기(10)와 통화하는 대상이 되는 대상 전화번호 및 상기 대상 전화번호와 관련된 정보를 콜게이트 장치(2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상 전화번호는 민원인의 전화를 수신하거나 민원인에게 전화를 발신하는 공공기관의 특정 부서 담당자의 전화번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 전화번호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특정 부서를 구별할 수 있는 정보(예를 들어, 총무팀, 홍보팀 등)일 수 있다.
본 단계(S200)에서 콜게이트 장치(20)에 신호를 전달하는 레터링 게이트웨이부(120)는 단방향 암호화(예를 들어, AES256 암호화)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S300~S500)는, 레터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30)이 정상적으로 실행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콜게이트 장치(20)가 레터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30)의 실행에 성공한 경우에는, 레터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30)이 클라우드 서버에 포함된 컨텐츠에 접근 가능하도록 연결된 웹 URL을 호출할 수 있다. 이로써, 모바일 장치(10)의 화면에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S400)
이때, 상기 컨텐츠로서, 모바일 단말기(10)와 통화하는 대상의 전화번호, 로고 이미지, 홈페이지 링크, 카드 뉴스 링크, 유튜브 영상 링크, 각종 조사용 홈페이지 링크, 및 민원용 인공지능 검색엔진 링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콜게이트 장치(20)가 레터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30)의 실행에 실패한 경우에는, 클라우드 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메세지 정보가 모바일 단말기(10)에 전송될 수 있다.(S500)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실시예인 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에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클라우드 서버가 구축되며, 고객사와의 계약으로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구독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사는 언제든지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의 가공이 가능하므로, 모바일 단말기에 다양한 컨텐츠 제공이 가능한 것은 물론, 제공될 컨텐츠의 내용 또한 실시간으로 변경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모바일 장치
20: 콜게이트 장치
30: 레터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100: 고객사 장치
110: 교환기
120: 레터링 게이트웨이부
200: 서비스 제공자 장치

Claims (11)

  1. 모바일 단말기에 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화망을 통해 수신되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발신할 통화를 연결하는 교환기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레터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도록 콜게이트 장치에 신호를 전달하는 레터링 게이트웨이부를 포함하는 고객사 장치;
    상기 고객사 장치의 관리 주체에 구독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될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저장한 클라우드 서버가 구축된 서비스 제공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레터링 게이트웨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통화를 수신하거나 발신하는 경우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전화번호, 상기 통화의 대상이 되는 대상 전화번호 및 상기 대상 전화번호의 관련 정보를 상기 콜게이트 장치에 전달하고,
    상기 콜게이트 장치는,
    상기 레터링 게이트웨이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상기 레터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정보를 확인하여 실행시키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상에는 상기 대상 전화번호의 관련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는 상기 고객사 장치의 관리 주체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게이트 장치가 상기 레터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실패한 경우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메세지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터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콜게이트 장치에 의해 실행된 이후,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포함된 컨텐츠에 접근 가능하도록 연결된 웹 URL을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컨텐츠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통화하는 대상의 전화번호, 로고 이미지, 홈페이지 링크, 카드 뉴스 링크, 유튜브 영상 링크, 각종 조사용 홈페이지 링크, 및 민원용 인공지능 검색엔진 링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1항의 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모바일 단말기에 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교환기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화망을 통해 수신되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발신할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
    레터링 게이트웨이부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레터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도록 콜게이트 장치에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상에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가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콜게이트 장치에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통화를 수신하거나 발신하는 경우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전화번호, 상기 통화의 대상이 되는 대상 전화번호 및 상기 대상 전화번호의 관련 정보를 상기 콜게이트 장치에 전달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상에 상기 대상 전화번호의 관련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는 고객사 장치의 관리 주체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콜게이트 장치에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콜게이트 장치가 상기 레터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실패한 경우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메세지 정보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콜게이트 장치가 상기 레터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성공한 경우에, 상기 레터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포함된 컨텐츠에 접근 가능하도록 연결된 웹 URL을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통화하는 대상의 전화번호, 로고 이미지, 홈페이지 링크, 카드 뉴스 링크, 유튜브 영상 링크, 각종 조사용 홈페이지 링크, 및 민원용 인공지능 검색엔진 링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30042462A 2023-03-31 2023-03-31 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592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2462A KR102592511B1 (ko) 2023-03-31 2023-03-31 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2462A KR102592511B1 (ko) 2023-03-31 2023-03-31 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2511B1 true KR102592511B1 (ko) 2023-10-23

Family

ID=88508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2462A KR102592511B1 (ko) 2023-03-31 2023-03-31 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5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5051A (ko) 2003-07-01 2005-01-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무선 레터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31769A (ko) * 2014-09-15 2016-03-23 제이씨스퀘어주식회사 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5051A (ko) 2003-07-01 2005-01-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무선 레터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31769A (ko) * 2014-09-15 2016-03-23 제이씨스퀘어주식회사 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07546B2 (ja) ポータブルコンティニュイティオブジェクト
CN102164172B (zh) 一种用于提供用户界面的方法及装置
EP102190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network connection between a small business and a client
US80645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oss channel data processing
US20020194272A1 (en) Method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wo or more users via a network of interconnected computers
US103824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attacks in communications
US891785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all to role
CN105718267B (zh) 一种多应用合并为单应用的实现方法及其实现系统
US201800043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act center communications
NO326049B1 (no) Fremgangsmate og innretning for anropsstyring ved benyttelse av en datamaskin som er tilkoplet til et nett
US8036347B1 (en)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to an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ystem user
US2019015854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fficiently realizing online and offline telephony in connection with the transfer and evaluation of user-specific data
KR102592511B1 (ko) 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606939B1 (ko) 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sco Release Notes for Cisco eServices 2.1(3)
Cisco Release Notes for Cisco eServices 2.1
CN105359498A (zh) 通信服务器设备及其操作方法
US201601197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osts
Vanaparthi Channel Expansion for ServiceBC Contact Center at MAXIMUS Canada
CN115757156A (zh) 语音通话验证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P2020087208A (ja) 申込仲介装置、申込仲介方法、申込仲介プログラム、及び、申込仲介システム
JP2003058793A (ja) 新規サービス移行支援システム
TW201617998A (zh) 為進線銷售提供動態資料採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Z031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introduced on 1 march 2017]

Free format text: CASE NUMBER: 2024106000054

Z031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introduced on 1 march 2017]

Free format text: CASE NUMBER: 20241060000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