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500B1 - Emergency escape device for evacuation of neighboring households - Google Patents

Emergency escape device for evacuation of neighboring househol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500B1
KR102592500B1 KR1020230009922A KR20230009922A KR102592500B1 KR 102592500 B1 KR102592500 B1 KR 102592500B1 KR 1020230009922 A KR1020230009922 A KR 1020230009922A KR 20230009922 A KR20230009922 A KR 20230009922A KR 102592500 B1 KR102592500 B1 KR 102592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djacent
evacuation
household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99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인규
한정권
허병호
Original Assignee
박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규 filed Critical 박인규
Priority to KR1020230009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50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500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88Locking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접세대 피난용 비상 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 화재 등과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한 피난세대의 거주자가 인접한 세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탈출구를 제공하여 인명사고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인접세대 피난용 비상 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인접한 세대와 공유하는 벽면에 배치되어 비상 상황 발생시 인접한 세대로 탈출하는 탈출구를 제공하는 것으로, 벽면에 배치되는 틀프레임; 상기 틀프레임에 배치되되 인접세대와 피난세대 측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프레임; 상기 틀프레임에 배치되며 상기 가동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모듈; 상기 가동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틀프레임의 일측을 폐쇄하는 상부커버; 상기 틀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비상 상황 발생시 사용자가 상승시켜 인접 세대로 대피하는 탈출구를 제공하는 도어; 상기 가동프레임의 이동을 제어하는 락킹수단; 및 상기 락킹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escape device for evacuating adjacent households, and more specifically, to provide an escape hatch so that residents of an evacuation household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n earthquake, fire, etc. can escape to an adjacent household, thus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casualti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escape device for evacuating an adjacent household.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a wall shared with an adjacent household and provides an escape exit to an adjacent household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comprising: a frame disposed on the wall; A movable frame disposed on the frame and movable toward adjacent households and evacuation households, respectively; a guidance module disposed on the frame and guiding movement of the movable frame; An upper cover coupled to the movable frame and closing one side of the frame; A door that is placed on the frame to be liftable and provides an escape route for a user to raise and evacuate to an adjacent household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ituation; Locking 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he movable frame; and a control module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means.

Description

인접세대 피난용 비상 탈출장치{Emergency escape device for evacuation of neighboring households}Emergency escape device for evacuation of neighboring households}

본 발명은 인접세대 피난용 비상 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 화재 등과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한 피난세대의 거주자가 인접한 세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탈출구를 제공하여 인명사고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인접세대 피난용 비상 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escape device for evacuating adjacent households, and more specifically, to provide an escape hatch so that residents of an evacuation household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n earthquake, fire, etc. can escape to an adjacent household, thus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casualties. This relates to an emergency escape device for evacuation of adjacent households.

빌딩 또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과 같은 건축구조물에서 지진이나 화재 등이 발생하는 경우 현관문이나 창문을 통해 화재가 발생한 위치로부터 피난해야 하는데, 현관문을 통해 탈출할 수 없거나 고층의 경우 창문을 이용하기 어려운 경우 발코니에 설치된 하향식 피난구 또는 완강기 등과 같은 화재 대피장치를 통해 탈출한다.If an earthquake or fire occurs in an architectural structure such as a building or apartment complex, you must evacuate from the location of the fire through the front door or window. However, if you cannot escape through the front door or are on a high floor, use a window. In difficult cases, escape through a fire escape device such as a downward escape hatch installed on the balcony or a fire escape.

그러나 이러한 하향식 피난구 또는 완강기는 대피자의 추락 위험에 취약하며, 설치된 발코니에 각종 생활용품이 배치되기 때문에 실제로 화재가 발생한 경우 탈출을 위한 탈출구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외부로부터 침입자가 침입하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하였다.However, these downward escape hatches or ramps are vulnerable to the risk of evacuees falling, and since various household goods are placed on the installed balcon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y do not serve as an escape hatch in case of an actual fire, and intruders break in from the outside. It was also used for this purpose.

한편 최근의 공동주택 건축물은 발코니의 확장이 합법화됨으로써, 건축물의 발코니를 최대한 확장하여 발코니 부위가 거주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하는데, 이러한 발코의 확장을 이루는 경우에는 세대 간의 경계를 이루기 이ㅜ하여 경계벽을 세우거나, 경계벽을 대체할 수 있는 피낙구 구조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Meanwhile, as the expansion of balconies has been legalized in recent apartment buildings, the balconies of the buildings are expanded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balcony area can be used as a living space. In the case of such expansion of the balconies, a boundary wall is used to create a boundary between households. It is being used by erecting or installing a fallout structure that can replace a boundary wall.

즉, 종래에는 확장된 발코니의 경계를 이루기 위하여 석고보드와 같은 조립체를 설치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석고보드 조립체는 강도가 약한 경우 쉽게 파손되어 경계벽 본연의 기능을 기대하기 어렵고,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강도를 높인 경우에는 비상 상황시 쉽게 파괴하가 어려워 피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in the past, a method of installing an assembly such as gypsum board was proposed to form the boundary of an expanded balcony, but if the strength of such a gypsum board assembly is weak, it is easily damaged and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boundary wall. In order to improve this, If the strength was increased, it was difficult to destroy in an emergency situation, making evacuation difficult.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2115(2008.06.23.)호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4555(2008.12.10.)호 등이 있다.Conventional technologies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clud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842115 (June 23, 2008) and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874555 (December 10, 2008).

상기 종래기술에서 제안된 피난구 구조는 공동주택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 피난구 구조의 파괴를 통해 피난이 진행될 수 있는 문제를 일부 해결하였으나, 이웃세대간 경계벽 본연의 기능을 이루기는 힘든 문제가 있었고, 경계벽을 통하여 외부 침입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The evacuation structure proposed in the prior art partially solved the problem that evacuation may proceed through destruction of the evacuation structure in the event of a fire in an apartment building, but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boundary wall between neighboring households.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prevent external intrusion from occurring through the boundary wall.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2115(2008.06.23.)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842115 (2008.06.2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4555(2008.12.10.)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874555 (December 10, 20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이웃 세대간 경계벽을 구성하는 본연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고, 화재 등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시 탈출구를 제공하되 누구나 쉽게 도어를 상승시켜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한 인접세대 피난용 비상 탈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can faithfully perform its original function of forming a boundary wall between neighboring households, and provides an escape rout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but anyone can easily raise the door and quickly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emergency escape device for evacuating adjacent households to enable escape.

또한 본 발명은 탈출구와 인접한 위치에 물체가 적재되는 것을 감지하여 이를 외부로 경고함으로써 비상시 탈출에 사용할 수 있는 탈출구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인접세대 피난용 비상 탈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mergency escape device for evacuation of adjacent households that can stably provide an exit that can be used for escape in an emergency by detecting that an object is loaded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exit and warning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은 평상시 인접세대간의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단열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경계벽 본연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인접세대 피난용 비상 탈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mergency escape device for evacuation of adjacent households that can faithfully perform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boundary wall by preventing noise from being transmitted between adjacent households during normal times as well as preventing deterioration of the insulation function.

또한 본 발명은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재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함으로써 경제성을 향상시킨 인접세대 피난용 비상 탈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mergency escape device for evacuating adjacent households that is configured to be reusable and improves economic efficiency by minimizing the cost of reinstalla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접한 세대와 공유하는 벽면에 배치되어 비상 상황 발생시 인접한 세대로 탈출하는 탈출구를 제공하는 것으로, 벽면에 배치되는 틀프레임; 상기 틀프레임에 배치되되 인접세대와 피난세대 측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프레임; 상기 틀프레임에 배치되며 상기 가동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모듈; 상기 가동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틀프레임의 일측을 폐쇄하는 상부커버; 상기 틀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비상 상황 발생시 사용자가 상승시켜 인접 세대로 대피하는 탈출구를 제공하는 도어; 상기 가동프레임의 이동을 제어하는 락킹수단; 및 상기 락킹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a wall shared with an adjacent household to provide an escape route to an adjacent household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comprising: a frame disposed on the wall; A movable frame disposed on the frame and movable toward adjacent households and evacuation households, respectively; a guidance module disposed on the frame and guiding movement of the movable frame; An upper cover coupled to the movable frame and closing one side of the frame; A door that is placed on the frame to be liftable and provides an escape route for a user to raise and evacuate to an adjacent household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ituation; Locking 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he movable frame; and a control module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means.

또한 상기 가동프레임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에 배치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주행부와, 상기 주행부의 단부에서 상기 수직바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인입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vable frame includes a vertical bar extending vertically, and a guide rail disposed on the vertical bar, wherein the guide rail includes a traveling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and an end of the traveling portion inclined toward the vertical bar.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inlet part.

또한 상기 안내모듈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틀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한 쌍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안내롤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uide module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cludes a fixing bar fixed to the frame, and a pair of guide roller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bar and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때 상기 안내모듈에는, 상기 틀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플랜지와, 일단이 상기 고정플랜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이동바와, 상기 한 쌍의 이동바의 타단이 결합되며 상기 가동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guide module includes a fixed flange fixed to the frame, a pair of movable bars with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flange and arranged in a direction crossing each other, and the other end of the pair of movable bar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upling flange coupled to the movable frame.

또한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가동프레임에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어 그 사이로 상기 도어가 인입되는 인입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the upper covers are arranged symmetrically on the movable frame to form an entry space through which the door is inserted.

또한 상기 도어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어 인접세대와 피난세대에 각각 노출되는 한 쌍의 외판과, 상기 한 쌍의 외판 사이에 배치되어 화재의 확산 방지 및 단열과 소음 전달을 최소화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oor is provided with a handle that the user holds, and is disposed between a pair of outer panels that are symmetrically arranged and exposed to the adjacent household and the evacuation unit, respectively,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 and insulate the door.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blocking member that minimizes noise transmission.

또한 상기 락킹수단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상기 가동프레임을 상기 틀프레임에 잠그거나 해제하는 락킹핀과, 상기 락킹핀이 배치되는 배치플랜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cking means includes a locking pin that locks or unlocks the movable frame to the frame while operating by applied power and signals, and a placement flange on which the locking pin is disposed.

또한 상기 틀프레임에는, 상기 도어의 전방에 적재되는 물건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물체감지센서와, 상기 락킹수단의 동작을 감지하는 락킹센서와, 비상 상황 발생시 외부로 소리 또는 빛을 제공하는 알람수단과, 상기 락킹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및 상기 도어의 상승과 연동하여 하강하는 중량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rame includes an object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loaded in front of the door, a locking sensor for detecting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means, and an alarm means for providing sound or light to the outsid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ituation. And, a switch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means and a weight body that descends in conjunction with the raising of the door.

한편 상기 틀프레임에는 상기 도어의 상승과 연동하여 하강하는 중량체가 더 구비되고, 상기 중량체와 상기 도어를 연결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한 복수 개의 와이어롤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the frame is further provided with a weight body that descends in conjunction with the rising of the door, and is further provided with a wire connecting the weight body and the door and a plurality of wire rollers for guiding the wire.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이웃 세대간 사생활을 보장할 수 있는 경계벽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면서도 비상 상황 발생시 인접세대로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는 탈출구를 제공할 수 있어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faithfully performs the function of a boundary wall that can guarantee privacy between neighboring households, while providing an escape route to quickly escape to an adjacent household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which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human casualties. There is.

또한 본 발명은 도어를 상승시켜 탈출구를 형성하고, 상승한 도어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상대적으로 힘이 약한 저연령층 또는 고연령층의 사용자도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raise the door to form an escape hatch and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raised door, which has the effect of enabling rapid evacuation even for users in the low- or high-age group with relatively weak strength.

또한 본 발명은 락킹수단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이상 상황 발생시 이를 빛 또는 소리를 통해 외부로 제공함으로써 신속한 후속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비상시 오동작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detec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locking means in real time and providing this to the outside through light or sound when an abnormal situation occurs, thereby enabling rapid follow-up measures and preventing malfunctions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접세대 피난용 비상 탈출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틀프레임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가동프레임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안내모듈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가동프레임과 안내모듈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부커버와 이를 통해 형성된 인입공간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도어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도어가 상승하여 탈출구를 제공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락킹수단을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어모듈을 도시한 개략도.
Figure 1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emergency escape device for evacuation of adjacent househol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frame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movable frame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guidance module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s of the movable frame and guidance module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upper cover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let space formed through it.
Figure 7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door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raised to provide an escape exit.
Figure 9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locking mean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trol module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Hereinafter, other purpos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purposes will be clearly revealed through description of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No.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접세대 피난용 비상 탈출장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mergency escape device for evacuating adjacent househol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인접세대 피난용 비상 탈출장치(1)는, 인접한 세대와 공유하는 벽면에 배치되어 비상 상황 발생시 인접한 세대로 탈출하는 탈출구를 제공하는 것으로, 벽면에 배치되는 틀프레임(10)과, 상기 틀프레임(10)에 배치되되 인접세대와 피난세대 측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프레임(20)과, 상기 틀프레임(10)에 배치되며 상기 가동프레임(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모듈(30)과, 상기 가동프레임(20)에 결합되며 상기 틀프레임(10)의 일측을 폐쇄하는 상부커버(40)와, 상기 틀프레임(10)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비상 상황 발생시 사용자가 상승시켜 인접 세대로 대피하는 탈출구(E)를 제공하는 도어(50)와, 상기 가동프레임(20)의 이동을 제어하는 락킹수단(60) 및 상기 락킹수단(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70)을 포함한다.First, the emergency escape device (1) for evacuating an adjacent househ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a wall shared with an adjacent household to provide an escape route to an adjacent household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and includes a frame (10) disposed on the wall; , a movable frame 20 disposed on the frame 10 and movable toward the adjacent household and the evacuation household, respectively, and a guide disposed on the frame 10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ovable frame 20. A module 30, an upper cover 40 that is coupled to the movable frame 20 and closes one side of the frame 10, and is disposed to be raised and lowered on the frame 10 so that the user can use it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A door 50 that raises and provides an escape exit (E) to evacuate to an adjacent household, a locking means 60 that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movable frame 20, and a control module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means 60. Includes (70).

상기 틀프레임(10)은 인접한 이웃 세대와 공유하는 경계벽에 설치되는 것으로, 피난시 탈출을 위한 탈출구(E)를 제공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The frame 10 is installed on a boundary wall shared with adjacent neighboring households, and provides space for providing an escape exit (E) for escape in case of evacuation.

상기 틀프레임(1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를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배치한 후 이를 상호 결합하여 중앙이 빈 사각의 틀 형태로 이루어져 경계벽에 기 성형된 공간에 배치된다.The frame 10 is made in the form of a ba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arrang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nd then combined to form a square frame with an empty center, and is placed in a space already formed in the boundary wall.

이러한 틀프레임(10)은 경계벽에 배치된 상황에서 상방에서 전달되는 하중에 의한 형상 변경이나 습기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구성이 높고 내부식성을 갖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is frame 10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with high durability and corrosion resistance in order to prevent shape change due to a load transmitted from above or corrosion due to moisture when placed on the boundary wall.

한편 상기 틀프레임(10)은 다수 개의 살빼기홈이 형성되어 제조 과정에서 제조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다.Meanwhile, the frame 1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limming grooves, which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s and minimize weight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그리고 상기 틀프레임(10)의 상하 및 좌우의 길이, 그리고 비율은 설치되는 경계벽의 면적에 대응하여 변경 가능한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길이 및 비율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length and ratio of the top and bottom an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10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installed boundary wall, and are of course not limited to the length and ratio shown in the drawing.

한편 상기 틀프레임(10)에는, 상기 도어(50)의 전방에 적재되는 물건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물체감지센서(11)와, 상기 락킹수단(60)의 동작을 감지하는 락킹센서(12)와, 비상 상황 발생시 외부로 소리 또는 빛을 제공하는 알람수단(13)과, 상기 락킹수단(6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14)가 구비되고, 동작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5)가 더 구비된다.Meanwhile, the frame 10 includes an object detection sensor 11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loaded in front of the door 50, and a locking sensor 12 for detecting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means 60. and an alarm means 13 that provides sound or light to the outsid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a switch 14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means 60, and a display to display the operating status to the outside ( 15) is further provided.

상기 물체감지센서(11)는 도어(50)의 전방에 물건이 적재되는 경우 비상 상황 발생시 도어(50)의 조작이 어렵거나 탈출구(E)를 차단하기 때문에 이를 감지하고, 물건 적재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알람수단(13)을 통해 외부로 경고음을 발생시켜 거주자의 주의를 환기시켜 적재된 물건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object detection sensor 11 detects when an object is loaded in front of the door 50 because it is difficult to operate the door 50 or blocks the escape exit (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When the object is detected, the object detection sensor 11 detects this. The alarm means 13 generates a warning sound to the outside to alert the occupants' attention and allow them to move the loaded items.

상기 락킹센서(12)는 상기 락킹수단(60)의 동작 및 이상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락킹수단(60)의 배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배치되어 각각의 락킹수단(60)을 개별적으로 감시하고, 이상 상태 발생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알람수단(13) 및 디스플레이(15)에 해당 락킹수단(60)의 이상 상태를 표시한다.The locking sensor 12 is for detecting the operation and abnormal state of the locking means 60. Preferably, a plurality of locking sensors 12 are arrang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locking means 60 arranged, so that each locking means 60 It is individually monitored, and when an abnormal condition is detected, the abnormal condition of the corresponding locking means (60) is displayed on the alarm means (13) and the display (15).

상기 알람수단(13)은 상기 물체감지센서(11), 락킹센서(12), 상기 스위치(14)의 상태 이상 발생 또는 비상 상황 발생시 이를 외부로 빛 또는 소리로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빛을 외부로 조사하기 위한 조명과 소리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The alarm means (13) provides light or sound to the outside when an abnormal condition of the object detection sensor (11), the locking sensor (12), or the switch (14) occurs or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For this purpose, the alarm means (13) provides light or sound to the outside. It may include lights for irradiation and a speaker for emitting sound to the outside.

이때 상기 스피커를 통해 방출되는 소리는 기 녹음된 안내 방송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 예로 배치된 복수 개의 락킹수단(60)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상이 발생한 락킹수단(60)의 위치 또는 번호를 특정하여 외부로 안내함으로써 신속한 후속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sound emitted through the speaker provides a pre-recorded announcement. For example, if a problem occurs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ocking means 60 arranged, the location or number of the locking means 60 where the problem occurred By specifying and informing the outside world, prompt follow-up measures can be taken.

상기 스위치(14)는 비상 상황 발생 시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락킹수단(60)을 해제하여 도어(50)를 상승시켜 탈출구(E)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The switch 14 is used to allow the user to manually release the locking means 60 and raise the door 50 to form an escape exit (E)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15)는 상기 물체감지센서(11), 락킹센서(12), 알람수단(13), 스위치(14)의 동작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비상 상황 발생시 색상의 점멸 또는 탈출구의 위치를 안내하는 문구를 제공하여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And the display 15 externally displays the operating states of the object detection sensor 11, locking sensor 12, alarm means 13, and switch 14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m, and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Provide prompt evacuation by flashing colors or providing text guiding the location of the escape exit.

또한 상기 틀프레임(10)에는 상기 도어(50)의 상승과 연동하여 하강하는 중량체(16)가 더 구비되고, 상기 중량체(16)와 상기 도어(50)를 연결하는 와이어(17)와 상기 와이어(17)를 안내하기 위한 복수 개의 와이어롤러(36)가 더 구비된다.In addition, the frame 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weight body 16 that descends in conjunction with the rise of the door 50, and a wire 17 connecting the weight body 16 and the door 50 and A plurality of wire rollers 36 are further provided to guide the wire 17.

상기 중량체(16)는 후술하는 도어(50)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하강하면서 도어(50)의 상승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상기 틀프레임(1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17)를 통해 상기 도어(50)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도어(50)의 손잡이(511)를 파지하여 상승시키면 상기 중량체(16)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도어(50)가 상승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도 도어(50)를 상승시킬 수 있고, 상승된 도어(50)가 중량체(16)의 무게에 의해 상승된 위치를 유지함으로써 탈출 과정에서 임의로 하강하여 탈출구(E)를 폐쇄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weight body 16 improves the rising speed of the door 50 as it descends during the rising process of the door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s arranged to be movabl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ame 10. It is connected to the door 50 through a wire 17, and when the user grasps the handle 511 of the door 50 and raises it, the weight 16 descends by its own weight and the door 50 rises. The door 50 can be raised with relatively little force, and the raised door 50 maintains the raised position due to the weight of the heavy body 16, thereby randomly descending during the escape process to close the escape exit (E). prevent it from happening.

이러한 중량체(16)를 통해 상대적으로 힘이 약한 저연령층이나 고연령층의 사용자도 도어(50)를 상승시킬 수 있고, 탈출구(E)가 상승된 위치를 유지하여 탈출 과정에서 도어(50)가 하강에 의해 발생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weight body 16, even users in the low- or high-age group with relatively weak strength can raise the door 50, and the escape exit (E) maintains the raised position so that the door 50 is lowered during the escape process. Accidents occurring due to thi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상기 가동프레임(20)은 상기 틀프레임(10)에 배치되되 비상시 인접세대와 피난세대 측으로 각각 이동, 즉 상기 틀프레임(1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다.The movable frame 20 is disposed on the frame 10 and moves toward the adjacent household and the evacuation household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that is, it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rame 10.

상기 가동프레임(20)은 상기 틀프레임(10) 중 수직하게 배치된 한 쌍의 수직막대에 배치되되, 각각의 수직막대에 상기 가동프레임(20)이 상호 대칭되게 한 쌍이 배치된다.The movable frame 20 is disposed on a pair of vertical bars among the frame 10, and a pair of movable frames 20 are arrang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on each vertical bar.

이러한 가동프레임(2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바(21)와, 상기 수직바(21)에 배치되는 가이드레일(22)을 포함한다.This movable frame 20 includes a vertical bar 2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guide rail 22 disposed on the vertical bar 21.

상기 수직바(2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틀프레임(10)을 구성하는 한 쌍의 수직막대에 배치되되 각각의 수직막대에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다.The vertical bar 21 is made in the form of a bar extending up and down and is placed on a pair of vertical bars constituting the frame 10, and is arranged symmetrically in each vertical bar.

상기 가이드레일(22)은 상기 수직바(21)에 결합되어 후술하는 안내모듈(30)을 구성하는 안내롤러(32)가 맞닿는 것으로, 상기 수직바(2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되, 보다 정확하게는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한 쌍의 수직바(21)에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The guide rail 22 is coupled to the vertical bar 21 and contacts the guide roller 32 constituting the guide module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s coupl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vertical bar 21. To be precise, they are arranged to protrude in directions facing each other from a pair of vertical bars 21 arranged symmetrically.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22)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주행부(221)와, 상기 주행부(221)의 단부에서 상기 수직바(21)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인입부(222)를 포함한다.Here, the guide rail 22 includes a running part 22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 inlet part 222 formed at an angle toward the vertical bar 21 at an end of the running part 221.

이때 상기 인입부(222)는 상기 주행부(221)의 길이 방향 단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후술하는 안내모듈(30)을 구성하는 안내롤러(32)가 맞닿는다.At this time, the inlet portion 222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traveling portion 221, and guide rollers 32 constituting the guide module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가동프레임(20)은, 후술하는 락킹수단(60)이 해제되면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후술하는 안내모듈(30)의 한 쌍의 이동바(34)에 지지되면서 가동프레임(20) 및 상부커버(40)가 틀프레임(1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The movable frame 2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arranged to be movable while the locking means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released, and the movable frame 20 is supported on a pair of moving bars 34 of the guide module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and the upper cover 40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rame 10.

상기 안내모듈(30)은 상기 틀프레임(10)에 배치되며 락킹수단(60)의 해제에 의해 상기 가동프레임(20)이 자중(自重)에 의해 하강할 때 하강하는 가동프레임(20)을 상기 틀프레임(10)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안내한다.The guide module 30 is disposed on the frame 10 and is configured to lower the movable frame 20 when the locking means 60 is released and the movable frame 20 is lowered by its own weight. Guides the user to move away from the frame 10.

이를 위해 상기 안내모듈(3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틀프레임(10)에 고정되는 고정바(31)와, 상기 고정바(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한 쌍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안내롤러(32)를 포함한다.For this purpose, the guide module 30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bar 31 fixed to the frame 10, and the pair is mutually It includes guide rollers 32 arranged to be spaced apart.

상기 고정바(3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틀프레임(10)에 결합용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을 통해 일체로 고정된다.The fixing bar 31 is formed in the form of a bar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integrally fixed to the frame 10 through a coupling means such as a coupling bolt.

이때 고정바(31)의 형태 및 길이는 틀프레임(10) 및 가동프레임(20)의 이동 거리에 대응하여 변경 가능한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형태 및 길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shape and length of the fixed bar 31 can be changed in response to the moving distance of the frame 10 and the movable frame 20, and are of course not limited to the shape and length shown in the drawing.

상기 안내롤러(32)는 상기 고정바(31)의 길이 방향 일단, 정확하게는 상기 고정바(31)가 틀프레임(10)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맞닿은 가동프레임(20)을 안내한다.The guide roller 32 is a movable frame 20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fixed bar 3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ecisely at the upper end while the fixed bar 31 is disposed on the frame 10. guide you through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안내모듈(30)은 상기 틀프레임(10)의 측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수직막대에 각각 구비되어 틀프레임(10)의 양측면측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가동프레임(20)을 각각 지지하고, 상기 가동프레임(20)이 락킹수단(60)의 해제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후 가동프레임(20)과 상부커버(40)가 틀프레임(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되, 한 쌍의 상부커버(40)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후술하는 도어(50)가 인입되는 인입공간을 제공한다.The guide module 3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on a pair of vertical bars forming the side surfaces of the frame 10, and includes a pair of movable frames 20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10. are respectively supported, and after the movable frame 20 is arranged to be movable by releasing the locking means 60, the movable frame 20 and the upper cover 40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rame 10. , the pair of upper covers 40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to provide an entry space into which the door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한편, 상기 안내모듈(30)에는 상기 가동프레임(20)이 틀프레임(10)으로부터 이격되는 과정에서 이격되는 거리를 제한하고, 이격되는 방향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틀프레임(10)에 고정되는 고정플랜지(33)와, 일단이 상기 고정플랜지(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이동바(34)와, 상기 한 쌍의 이동바(34)의 타단이 결합되며 상기 가동프레임(20)에 결합되는 결합플랜지(35)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guidance module 30 is fixed to the frame 10 in order to limit the distance in which the movable frame 20 is separated from the frame 10 and guide the direction of separation. A fixing flange 33, a pair of movable bars 34,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flange 33 and arranged in a direction crossing each other, and the other end of the pair of movable bars 34. It is coupled and includes a coupling flange (35) coupled to the movable frame (20).

상기 고정플랜지(33)는 틀프레임(10)에 고정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이동바(34)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형태로 이루어져 길이 방향 일단은 상기 고정플랜지(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fixing flange 33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frame 10 through a coupling means such as a fixing bolt, and the pair of moving bars 34 are formed in the form of a ba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flange (33).

이때 상기 한 쌍의 이동바(34)는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길이 방향 타단이 상호 멀어지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때 상기 고정플랜지(33)에 결합된 길이 방향 일단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한다.At this time, the pair of moving bars 34 are arranged in a direction that intersects each other, so that the other longitudinal ends rotate in a direction that moves away from or approaches each other, and at this time, the longitudinal end coupled to the fixing flange 33 is used as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It rotates.

상기 결합플랜지(35)는 상기 가동프레임(20)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바(34)의 길이 방향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coupling flange 35 is disposed on the movable frame 20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movable bar 34.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안내모듈(30)은 상기 가동프레임(20)이 하강하면서 틀프레임(1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한 쌍의 이동바(34)가 가동프레임(20)의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을 안내하고, 한 쌍의 이동바(34)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여 가동프레임(2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The guidance module 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such that when the movable frame 20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rame 10 while descending, the pair of moving bars 34 move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vable frame 20. And it is possible to guide the direction of movement and limit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movable frame 20 by limi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pair of movement bars 34.

또한 상기 한 쌍의 이동바(3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프레임(10)의 하단과 상단에 각각 배치되는데, 이때 상단에 배치되는 이동바(34)는 두개의 바를 상호 교차하는 형태로 배치하고, 교차되는 부위가 상기 결합플랜지(3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동프레임(20)의 이동을 안내한다.In addition, the pair of moving bars 34 are disposed at the bottom and top of the frame 10,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4. At this time, the moving bar 34 disposed at the top has the shape of crossing the two bars. and the intersecting por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upling flange 35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movable frame 20.

상기 상부커버(40)는 상기 가동프레임(20)에 결합되어 상기 틀프레임(10)에 의해 형성된 공간 중 상부 공간을 폐쇄하여 틀프레임(10)을 삽입하기 위해 타공된 구멍을 폐쇄함으로써 인접세대간의 경계벽의 역할을 한다.The upper cover 40 is coupled to the movable frame 20 to close the upper space of the space formed by the frame 10 and closes the hole drilled for inserting the frame 10, thereby creating a gap between adjacent households. It acts as a boundary wall.

이를 위해 상기 상부커버(40)는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가동프레임(20)에 결합되되, 한 쌍이 상기 가동프레임(20)에서 상호 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그 사이에 후술하는 도어(50)가 인입되는 인입공간(41)이 형성된다.For this purpose, the upper cover 40 is made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is coupled to the movable frame 20, and a pair is coupl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in the movable frame 20, and a door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between them. An inlet space 41 is formed.

여기서 상기 상부커버(40)는 평상시 인접세대간의 경계벽을 구성하며, 특히 한 쌍이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기 때문에 중앙에 형성된 인입공간(41)을 통해 소음이 전달되고 열이 누수됨으로써 단열 효과가 저하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커버(40)와 가동프레임(20)이 맞닿는 부위에 패킹(도면 중 미도시됨)을 배치하여 밀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upper cover 40 normally constitutes a boundary wall between adjacent households, and in particular, since a pair is arrang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noise is transmitted through the inlet space 41 formed in the center and heat is leaked, which may reduce the insulation effect. In order to prevent this, it is desirable to seal the area where the upper cover 40 and the movable frame 20 come into contact by placing packing (not shown in the drawing).

상기 도어(50)는 상기 틀프레임(10)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비상 상황 발생시 사용자가 상승시켜 인접 세대로 대피하는 탈출구(E)를 제공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511)가 구비되며,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어 인접세대와 피난세대에 각각 노출되는 한 쌍의 외판(51)과, 상기 한 쌍의 외판(51) 사이에 배치되어 화재의 확산 방지 및 단열과 소음 전달을 최소화하는 차단부재(52)를 포함한다.The door 50 is placed on the frame 10 to be able to be raised and lowered to provide an escape exit (E) for the user to elevate and evacuate to an adjacent household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and is provided with a handle 511 for the user to hold. , a pair of exterior plates 51 arrang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and exposed to adjacent households and evacuation households, and a block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exterior plates 51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 and minimize insulation and noise transmission. Includes (52).

상기 외판(51)은 인접세대와 피난세대측으로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한 쌍이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손잡이(511)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세대 측으로 돌출된 위치에 배치된다.The outer plate 51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adjacent household and the evacuation household, respectively. It is made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a pair is dispos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the handle 511 is positioned at a position that protrudes toward each household so that the user can hold it. is placed in

이러한 외판(51)은 내구성을 보장하고 습기에 의한 부식을 최소화하고, 화재 발생시 고온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This outer plate 51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to ensure durability, minimize corrosion due to moisture, and prevent deformation due to high temperature in the event of a fire, but is of course not limited thereto.

상기 차단부재(52)는 한 쌍의 외판(51) 사이에 배치되어 인접세대간의 소음 전달을 방지하고 나아가 각 세대의 단열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특히 화재 발생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blocking member 52 is disposed between a pair of exterior plates 51 to prevent noise transmission between adjacent households and further prevent the insulation efficiency of each household from being reduced, and especially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 in the event of a fire. .

이를 위해 상기 차단부재(52)는 불연성 또는 난연성 소재를 포함한 불연흡음재 또는 준불연 흡음재로 이루어지는데, 도어(50)를 상승시키는 과정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하중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차단부재(52)를 구성하는 일 예로 우레탄, 그라스울, 알루미늄, 멜라민 또는 이들을 혼합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o this end, the blocking member 52 is made of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aterial or semi-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aterial containing non-combustible or flame-retardant material. In order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process of raising the door 50, it is desirable to minimize the load. Examples of the blocking member 52 may include urethane, glass wool, aluminum, melamine, or a mixture thereof.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도어(50)는 비상 상황 발생시 사용자가 외판(51)에 구비된 손잡이(511)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도어(50)를 상부커버(40) 사이에 형성된 인입공간(41)으로 이동시키고, 이때 도어(50)가 상승함에 따라 형성된 탈출구(E)를 통해 인접 세대로 탈출하는 것이다.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in the door 5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lifts the handle 511 provided on the outer panel 51 upward and moves the door 50 into the entry space 41 formed between the upper covers 40. and, at this time, escape to the adjacent household through the escape exit (E) formed as the door 50 rises.

상기 락킹수단(60)은 상기 가동프레임(20)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상기 가동프레임(20)을 상기 틀프레임(10)에 잠그거나 해제하는 락킹핀(61)과, 상기 락킹핀(61)이 배치되는 배치플랜지(62)를 포함한다.The locking means 60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movable frame 20, and operates by applied power and signals and locks or unlocks the movable frame 20 to the frame 10 (a locking pin ( 61) and a placement flange 62 on which the locking pin 61 is disposed.

여기서 상기 락킹수단(60)은 상기 가동프레임(20)의 배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배치되는 것으로, 한 쌍의 상부커버(40)를 각각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가동프레임(20)이 하나의 상부커버(40)의 양측면이 결합되도록 하나의 상부커버(40)에 한 쌍이 대칭되게 배치될 때, 총 4개의 가동프레임(20)이 배치되는 바 이에 대응하여 상기 락킹수단(60)도 4개가 배치된다.Here, the locking means 60 is arrang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movable frames 20, and the movable frames 20 are used to move the pair of upper covers 40 in separate directions. When a pair is symmetrically arranged on one upper cover 40 so that both sides of the upper cover 40 are coupled, a total of four movable frames 20 are arranged, and the locking means 60 is also provided correspondingly. 4 are placed.

상기 락킹핀(61)은 후술하는 제어모듈(70)을 통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것으로, 평상 시 외부로 노출되어 가동프레임(20)을 틀프레임(10)에 고정하고, 전원 및 신호가 인가되면 락킹핀(61)이 틀프레임(10)으로부터 이탈하여 가동프레임(2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locking pin 61 is operated by power and signals applied through the control module 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s normally exposed to the outside to secure the movable frame 20 to the frame 10, and to provide power and When a signal is applied, the locking pin 61 separates from the frame 10 to enable movement of the movable frame 20.

상기 배치플랜지(62)는 상기 락킹핀(61)을 상기 가동프레임(20)에 배치하기 위한 것이다.The placement flange 62 is for placing the locking pin 61 on the movable frame 20.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락킹수단(60)은 평상시 가동프레임(20)을 틀프레임(10)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고, 비상 상황 발생시 상기 가동프레임(20)을 틀프레임(10)에서 이격 가능하도록 해제하여 탈출구(E)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The locking means 6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intains the movable frame 20 in a fixed state to the frame 10 in normal times, and releases the movable frame 20 so that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frame 10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This allows an escape exit (E) to be formed.

상기 제어모듈(70)은 상기 락킹수단(6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이때 상술한 상기 틀프레임(10)에 구비된 물체감지센서(11), 락킹센서(12), 스위치(14), 알람수단(13), 디스플레이(15)의 동작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The control module 70 i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means 60, and at this time, the object detection sensor 11, the locking sensor 12, and the switch 14 provided in the frame 10 described above. , 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larm means (13) and the display (15).

이러한 제어모듈(70)의 구성은 상기 도어(50)의 개방 상태를 감지하는 오픈센서(71)로부터 도어(50)의 개방 상태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 받고, 상기 스위치(14)의 동작 상태를 전달 받고, 상기 물체감지센서(11)의 감지값을 실시간으로 전달 받아 도어(50)의 전방에 물건이 적재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값으로 상기 알람수단(13)을 동작시키거나 상기 디스플레이(15)에 해당 정보를 표시하도록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is control module 70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open state of the door 50 in real time from the open sensor 71 that detects the open state of the door 50,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switch 14. Receives the detection value of the object detection sensor 11 in real time, determines whether an object is loaded in front of the door 50, and operates the alarm means 13 with the determined result or the display ( 15), indicate the relevant information.

또한 상기 제어모듈(70)은 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건축구조물에 배치된 화재감지센서와 블루투스를 포함한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연결된 수신기(72)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아 상기 스위치를 동작시키고, 상기 락킹센서(12)를 통해 락킹수단(60)의 상태를 감지한 감지값을 전달 받아 락킹수단(60)의 상태를 상기 디스플레이(15)를 통해 표시하거나 상기 알람수단(13)을 통해 외부로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70 operates the switch by receiving a signal from a fire detection sensor placed in the user's terminal or building structure and a receiver 72 connected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including Bluetooth, and the locking sensor ( A detection value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locking means 60 is received through 12) and the state of the locking means 60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15 or provid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larm means 13.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70)은 상술한 구성 중 전기에 의해 동작하는 전기적 장치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여 충전 상태가 일정량 이하일 경우 이를 알람수단(13) 또는 디스플레이(15)를 통해 외부로 제공하여 배터리를 교체하거나 충전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70 checks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electrical device operated by electricity amo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and sends an alarm means 13 or a display 15 when the state of charge is below a certain level. It is provided externally to replace or charge the battery.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 상태를 살펴보면, 일 예로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 발생 세대측에 배치된 도어의 스위치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도면 중 미도시됨)를 개방하며, 상기 커버를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알람수단을 통해 외부로 경보음을 방출하여 도어 스위치를 보호하는 커버가 개방되었음을 알려준다.Looking at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chieved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when a fire occurs, a cover (not shown in the drawing) to protect the switch of the door placed on the side of the house where the fire occurred is opened, and the cover is opened. At the same time, an alarm sound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larm means to notify that the cover protecting the door switch has been opened.

여기서 방출되는 경보음의 일 예로 '도어스위치가 오픈되었습니다' 또는 '화재가 발생하였습니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An example of an alarm sound emitted here may be either 'the door switch is open' or 'a fire has occurred'.

이후, 도어 스위치를 동작시키고, 도어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락킹수단이 해제되고, 상부커버가 틀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고, 이후 사용자가 틀프레임의 하방에 배치된 도어를 상방으로 들어 올려 탈출구를 확보한다.Afterwards, the door switch is operated, the locking means is released by manipulating the door switch, the upper cover is separated from the frame, and then the user secures an escape route by lifting the door disposed below the frame upward.

여기서 도어 스위치를 눌러 락킹수단이 해제됨을 알려주는 경보음의 일 예로는 '비상탈출을 위하여 도어를 들어 올려주시기 바랍니다'로 구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다음에 이루어져야 하는 동작을 알려줄 수 있도록 한다.Here, an example of an alarm sound indicating that the locking means is released by pressing the door switch consists of 'Please lift the door for emergency escape' to inform the user of the next action to be performed.

이때 도어를 상승시켜 탈출구를 확보하면 이를 안내하기 위한 경보음의 일 예로 '비상탈출구가 개방되었습니다. 신속하게 탈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는 '탈출 후에는 이차 피해 방지를 위해 도어를 내려주세요'를 반복하여 방출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if the door is raised to secure an escape exit, an example of an alarm sound to guide this is 'Emergency exit is open.' It is configured to repeatedly emit 'Please escape quickly' or 'After escape, please lower the door to prevent secondary damage.'

한편, 상술한 틀프레임에 구비된 물체감지센서를 통해 도어의 전방측에 물체가 적재된 것을 감지한 경우 이를 외부로 알려주는 경보음의 일 예로, '비상 탈출구 입구에 물건이 적재되어 있습니다'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동시에 비상 경보도 스피커를 통해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an object is detected to be loaded on the front side of the door through the object detection sensor provided in the above-mentioned frame, an example of an alarm sound that notifies the outside of this is 'There is an object loaded at the entrance of the emergency exit.' It is desirable to draw the user's attention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n emergency alert through a speaker.

그리고 락킹수단의 이상이 발생한 것을 감지한 경우, 해당 락킹수단의 이상이 발생했음을 경보음과 함께 스피커로 안내하고,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일정량 이하일 경우 '배터리를 교체해주세요' 또는 '배터리를 연결하여주세요' 등의 안내 방송을 스피커를 통해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when it detects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locking means, an alarm sounds and a speaker announces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locking means. If the battery's charge state is below a certain level, it says 'Please replace the battery' or 'Please connect the battery.' It is desirable to make announcements such as ' through speaker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is is only provided to facilitat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is descrip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described later as well as all things that are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is patent claim sh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1 : 인접세대 피난용 비상 탈출장치
10 : 틀프레임
20 : 가동프레임
21 : 수직바 22 : 가이드레일
30 : 안내모듈
31 : 고정바 32 : 안내롤러
33 : 고정플랜지 34 : 이동바
35 : 결합플랜지 36 : 와이어롤러
40 : 상부커버
41 : 인입공간
50 : 도어
51 : 외판 52 : 차단부재
60 : 락킹수단
61 : 락킹핀 62 : 배치플랜지
70 : 제어모듈
1: Emergency escape device for evacuation of adjacent households
10: frame
20: movable frame
21: vertical bar 22: guide rail
30: Guidance module
31: fixing bar 32: guide roller
33: fixed flange 34: moving bar
35: Coupling flange 36: Wire roller
40: upper cover
41: Inlet space
50: door
51: outer plate 52: blocking member
60: Locking means
61: Locking pin 62: Placement flange
70: Control module

Claims (8)

인접한 세대와 공유하는 벽면에 배치되어 비상 상황 발생시 인접한 세대로 탈출하는 탈출구를 제공하는 것으로,
벽면에 배치되는 틀프레임(10);
상기 틀프레임(10)에 배치되되 인접세대와 피난세대 측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프레임(20);
상기 틀프레임(10)에 배치되며 상기 가동프레임(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모듈(30);
상기 가동프레임(20)에 결합되며 상기 틀프레임(10)의 일측을 폐쇄하는 상부커버(40);
상기 틀프레임(10)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비상 상황 발생시 사용자가 상승시켜 인접 세대로 대피하는 탈출구(E)를 제공하는 도어(50);
상기 가동프레임(20)의 이동을 제어하는 락킹수단(60); 및
상기 락킹수단(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7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세대 피난용 비상 탈출장치.
It is placed on a wall shared with an adjacent household to provide an escape route to the adjacent household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A frame (10) placed on the wall;
A movable frame (20) disposed on the frame (10) so as to be movable toward the adjacent household and the evacuation household, respectively;
A guidance module (30) disposed on the frame (10)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ovable frame (20);
An upper cover (40) coupled to the movable frame (20) and closing one side of the frame (10);
A door 50 that is placed on the frame 10 to be able to be raised and lowered and provides an escape exit (E) through which the user can elevate and evacuate to an adjacent household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ituation;
Locking means (60)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movable frame (20); and
An emergency escape device for evacuation of adjacent households, comprising a control module (70)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means (6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프레임(2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바(21)와,
상기 수직바(21)에 배치되는 가이드레일(22)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레일(22)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주행부(221)와,
상기 주행부(221)의 단부에서 상기 수직바(21)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인입부(222)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세대 피난용 비상 탈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vable frame (20) is:
A vertical bar (21) extending vertically,
It includes a guide rail (22) disposed on the vertical bar (21),
The guide rail 22 is,
A running part 22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 emergency escape device for evacuation of adjacent household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inlet part (222) formed at an angle toward the vertical bar (21) at an end of the running part (22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모듈(3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틀프레임(10)에 고정되는 고정바(31)와,
상기 고정바(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한 쌍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안내롤러(32)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세대 피난용 비상 탈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uidance module 30,
A fixing bar (31)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ixed to the frame (10),
An emergency escape device for evacuation of adjacent household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bar (31) and includes a pair of guide rollers (32)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내모듈(30)에는,
상기 틀프레임(10)에 고정되는 고정플랜지(33)와,
일단이 상기 고정플랜지(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이동바(34)와,
상기 한 쌍의 이동바(34)의 타단이 결합되며 상기 가동프레임(20)에 결합되는 결합플랜지(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세대 피난용 비상 탈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guidance module (30) includes:
A fixing flange (33) fixed to the frame (10),
A pair of moving bars (34),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flange (33) and arranged in directions crossing each other;
An emergency escape device for evacuation of adjacent households,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of the pair of moving bars (34) is coupled and includes a coupling flange (35) coupled to the movable frame (20).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40)는,
상기 가동프레임(20)에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어 그 사이로 상기 도어(50)가 인입되는 인입공간(4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세대 피난용 비상 탈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upper cover 40,
An emergency escape device for evacuation of adjacent households,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is symmetrically disposed on the movable frame (20) to form an entrance space (41) between which the door (50) is inserted.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50)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511)가 구비되며,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어 인접세대와 피난세대에 각각 노출되는 한 쌍의 외판(51)과,
상기 한 쌍의 외판(51) 사이에 배치되어 화재의 확산 방지 및 단열과 소음 전달을 최소화하는 차단부재(52)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세대 피난용 비상 탈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door 50,
A pair of outer plates (51) provided with a handle (511) for the user to hold, arrang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and exposed to the adjacent household and the evacuation household, respectively,
An emergency escape device for evacuating adjacent household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blocking member (52)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outer plates (51)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 insulate heat, and minimize noise transmission.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수단(60)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상기 가동프레임(20)을 상기 틀프레임(10)에 잠그거나 해제하는 락킹핀(61)과,
상기 락킹핀(61)이 배치되는 배치플랜지(62)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세대 피난용 비상 탈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locking means (60),
A locking pin (61) that operates by applied power and signals to lock or unlock the movable frame (20) to the frame frame (10),
An emergency escape device for evacuation of adjacent household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lacement flange (62) on which the locking pin (61) is disposed.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틀프레임(10)에는,
상기 도어(50)의 전방에 적재되는 물건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물체감지센서(11)와,
상기 락킹수단(60)의 동작을 감지하는 락킹센서(12)와,
비상 상황 발생시 외부로 소리 또는 빛을 제공하는 알람수단(13)과,
상기 락킹수단(6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14)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세대 피난용 비상 탈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frame 10 includes:
an object detection sensor (11)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loaded in front of the door (50);
A locking sensor (12) that detects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means (60),
An alarm means (13) that provides sound or light to the outsid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An emergency escape device for evacuation of adjacent household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switch (14)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means (60).
KR1020230009922A 2023-01-26 2023-01-26 Emergency escape device for evacuation of neighboring households KR1025925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9922A KR102592500B1 (en) 2023-01-26 2023-01-26 Emergency escape device for evacuation of neighboring househol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9922A KR102592500B1 (en) 2023-01-26 2023-01-26 Emergency escape device for evacuation of neighboring househol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2500B1 true KR102592500B1 (en) 2023-10-24

Family

ID=88515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9922A KR102592500B1 (en) 2023-01-26 2023-01-26 Emergency escape device for evacuation of neighboring household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50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115B1 (en) 2007-04-17 2008-06-30 주식회사 케이씨씨 The fire escape apparatus assembly for apartment house
KR100874555B1 (en) 2007-04-18 2008-12-16 주식회사 케이씨씨 Evacuation port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
KR101674166B1 (en) * 2016-05-18 2016-11-08 주식회사 코아스 Slide type door
KR102389924B1 (en) * 2021-09-30 2022-04-25 (주)디딤돌 Horiizontal Emergency Ex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115B1 (en) 2007-04-17 2008-06-30 주식회사 케이씨씨 The fire escape apparatus assembly for apartment house
KR100874555B1 (en) 2007-04-18 2008-12-16 주식회사 케이씨씨 Evacuation port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
KR101674166B1 (en) * 2016-05-18 2016-11-08 주식회사 코아스 Slide type door
KR102389924B1 (en) * 2021-09-30 2022-04-25 (주)디딤돌 Horiizontal Emergency Ex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5263B1 (en) Fire-fighting apparatus for high rise building
KR200453544Y1 (en) Fire Detector Interlocking Top Down Refuge
KR101759723B1 (en) Fire-fighting apparatus for high rise building
KR100787812B1 (en) System of emergency escape for multistory building
KR102592500B1 (en) Emergency escape device for evacuation of neighboring households
KR101281126B1 (en) Emergency escap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890068B1 (en) Fire Shutter with LED unit
KR100695878B1 (en) Fire screen apparatus
KR101034714B1 (en) Fireproof apparatus using material capable of transforming shape
KR100773455B1 (en) Shelter for emergency
JP2011236709A (en) Window control system for building
KR102497554B1 (en) Safety reinforced emergency exit using household partition
KR101203392B1 (en) Emergency door driving system for screen fire shutter
KR101750700B1 (en) Vertical escape management system
KR102556541B1 (en) Ceiling reclamation type Fire door
IT201800003252A1 (en) Lift system, guides for said lift, monitoring kit for said installation and methods of monitoring and use thereof
KR101985213B1 (en) High layer window structure of apartment house
JP7066500B2 (en) Waterproof door
KR20180138334A (en) System and method for issuing an alarm of an emergency latter
KR20040005723A (en) Apparatus for an emergency escape in a building
KR102409942B1 (en) Evacuation system for firefighting in apartment houses
JP2016011525A (en) Opening/closing body control system
KR20160003647U (en) Emergency evacuate path with security function
KR100567213B1 (en) Fire shutter
JPH10139308A (en) Safety device for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