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272B1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 Google Patents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92272B1 KR102592272B1 KR1020170126106A KR20170126106A KR102592272B1 KR 102592272 B1 KR102592272 B1 KR 102592272B1 KR 1020170126106 A KR1020170126106 A KR 1020170126106A KR 20170126106 A KR20170126106 A KR 20170126106A KR 102592272 B1 KR102592272 B1 KR 1025922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osed
- bobbin
- pillar
- groove
- roll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398 Typha doming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28 alnico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9 pattern recogn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1 rare earth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910 rare earth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59 α-F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02—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moving lens along baseboard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2—Lateral adjustment of le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실시 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코너부들에 배치되는 제1 기둥부, 제2 기둥부, 제3 기둥부, 및 제4 기둥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몸체 상에 배치되는 보빈, 보빈의 제1 측면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보빈의 제1 측면과 이웃하는 제2 측면에 마련된 제1홈 내에 배치되는 제1 롤러부, 보빈의 제1 측면과 이웃하는 제3 측면에 마련된 제2홈 내에 배치되는 제2 롤러부, 마그네트에 대응하여 제1 기둥부와 제2 기둥부 사이에 배치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제1 롤러부는 제1홈의 적어도 2개 이상의 영역들에 접촉하고, 제2 롤러부는 제2홈의 적어도 2개 이상의 영역들에 접촉하고, 제1홈은 제1롤러부의 일부를 노출하는 제1 개구를 포함하고, 제2홈은 제2롤러부의 일부를 노출하는 제2 개구를 포함하고, 베이스는 제1 개구에 배치되어 제1 롤러부와 접촉하는 제1 지지부와, 제2 개구에 배치되어 제2 롤러부와 접촉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시 예는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에 관한 것이다.
초소형, 저전력 소모를 위한 카메라 모듈은 기존의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에 사용된 보이스 코일 모터(VCM:Voice Coil Motor)의 기술을 적용하기 곤란하여, 이와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스마트폰 및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과 같은 전자 제품의 수요 및 생산이 증가되고 있다. 휴대폰용 카메라는 고화소화 및 소형화 추세이며, 그에 따라 액츄에이터도 소형화, 대구경화, 멀티 기능화되고 있다. 고화소화의 휴대폰용 카메라를 구현하기 위하여 휴대폰용 카메라의 성능 향상 및 오토 포커싱, 셔터 흔들림 개선, 및 줌(Zoom) 기능 등의 추가적인 기능이 요구된다.
실시 예는 AF 구동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AF 구동시 보빈의 유동을 억제하고, 마그네트와 코일의 사이즈의 자유로를 향상시킬 수 있는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코너부들에 배치되는 제1 기둥부, 제2 기둥부, 제3 기둥부, 및 제4 기둥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몸체 상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제1 측면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상기 보빈의 제2 측면에 마련된 제1홈 내에 배치되는 제1 롤러부; 상기 보빈의 제3 측면에 마련된 제2홈 내에 배치되는 제2 롤러부; 상기 마그네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기둥부와 상기 제2 기둥부 사이에 배치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보빈의 제1 측면은 상기 제2 측면과 상기 제3 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롤러부는 상기 제1홈의 적어도 2개 이상의 영역들에 접촉하고, 상기 제2 롤러부는 상기 제2홈의 적어도 2개 이상의 영역들에 접촉하고, 상기 제1홈은 상기 제1롤러부의 일부를 노출하는 제1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홈은 상기 제2롤러부의 일부를 노출하는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개구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롤러부와 접촉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개구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롤러부와 접촉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기둥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2 기둥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롤러부는 상기 제1홈의 4개의 영역들에 접촉하고, 상기 제2 롤러부는 상기 제2홈의 4개의 영역들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렌즈 구동 장치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코일이 결합되는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제1 기둥부와 상기 제2 기둥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자는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자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몸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 구동 장치는 상기 코일의 아래에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마그네트와 인력이 작용하는 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는 상기 베이스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상기 제1 기둥부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기둥부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롤러부 및 상기 제2 롤러부 각각은 복수 개의 롤러들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들 각각은 원기둥 형상이고, 상기 롤러들 각각은 광축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롤러부는 제1 기준선에 대하여 제1 각도로 기울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롤러부는 상기 제1 기준선에 대하여 제2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기준선은 상기 제1 기둥부에서 상기 제2 기둥부를 향하는 방향과 평행한 가상의 직선이고, 상기 제1 각도는 상기 제2 각도와 다를 수 있다.
상기 렌즈 구동 장치는 상기 제1 롤러부 및 제2 롤러부가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보빈의 상부, 상단 또는 상부면에 배치되는 롤러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는 AF 구동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AF 구동시 보빈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고, 마그네트와 코일의 사이즈의 자유로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빈 및 마그네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보빈의 제1 및 제2 홈들과 제1 및 제2 롤러부들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롤러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의 제1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베이스의 제2 사시도이다.
도 7은 커버 부재를 제외한 렌즈 구동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의 AB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의 CD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1은 렌즈 구동 장치에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위치 센서를 나타낸다.
도 12는 도 11의 위치 센서을 포함하는 실시 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3a는 보빈의 다른 실시 예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13b는 보빈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13c는 보빈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14는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5는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빈 및 마그네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보빈의 제1 및 제2 홈들과 제1 및 제2 롤러부들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롤러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의 제1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베이스의 제2 사시도이다.
도 7은 커버 부재를 제외한 렌즈 구동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의 AB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의 CD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1은 렌즈 구동 장치에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위치 센서를 나타낸다.
도 12는 도 11의 위치 센서을 포함하는 실시 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3a는 보빈의 다른 실시 예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13b는 보빈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13c는 보빈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14는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5는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개의 element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제1” 및 “제2”,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도면의 설명을 통하여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에 대해 다음과 같이 살펴본다. 설명의 편의상,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는 데카르트 좌표계(x, y, z)를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다른 좌표계를 사용하여 설명할 수도 있으며,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각 도면에서 x축과 y축은 광축 방향인 z축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을 의미하며, 광축(OA) 방향 또는 광축(OA)과 평행한 방향인 z축 방향을 '제1 방향'이라 칭하고, x축 방향을 '제2 방향'이라 칭하고, y축 방향을 '제3 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소형 카메라 모듈에 적용되는 '오토 포커싱 장치'란, 피사체의 화상의 초점을 자동으로 이미지 센서 면에 결상시키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오토 포커싱 장치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데,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는, 적어도 한 장의 렌즈로 구성된 광학 모듈을 제1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오토 포커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110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렌즈 구동 장치(1100)는 커버 부재(1300), 보빈(Bobbin, 1110), 코일(coil, 1120), 마그네트(Magnet, 1130), 제1 롤러부(1150), 제2 롤러부(1160), 회로 기판(1190), 자성체(1195), 및 베이스(base, 1210)를 포함한다.
먼저 커버 부재(1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커버 부재(1300)는 베이스(1210)와 함께 형성되는 수용 공간 내에 다른 구성들(1110,1120,1130, 1150,1160,1190, 1195)을 수용한다.
커버 부재(1300)는 하부가 개방되고, 상판 및 측판들을 포함하는 상자(box) 형태일 수 있으며, 커버 부재(1300)의 측판들의 하단은 베이스(1210)와 결합될 수 있다. 커버 부재(1300)의 상판의 형상은 다각형, 예컨대, 사각형 또는 팔각형 등일 수 있다.
커버 부재(1300)는 보빈(1110)과 결합하는 렌즈부를 외부광에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를 상판에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커버 부재(1300)는 SUS 알루미늄(Al), 구리(Cu), 주석(Sn), 백금 등과 같은 비자성체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자성체 재질의 커버 부재(1300)를 사용함으로써, 실시 예는 커버 부재(330)가 마그네트(1130) 또는/및 자성체(1195)와 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 부재(1300)의 측판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하단에는 베이스(1210)와의 접착을 위한 접착 부재를 주입하기 위한 접착 부재 주입 홈(1332)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1300)의 측판의 하단에는 회로 기판(1190)의 단자들(1091, 1092)을 노출하기 위한 홈부(1334)가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보빈(11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빈(1110) 및 마그네트(113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보빈(1110)의 제1 및 제2 홈들(1051a, 1051b)과 제1 및 제2 롤러부들(1150, 1160)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롤러(P1)의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보빈(1110)은 베이스(1210)의 기둥부들(216a 내지 216d) 내측에 위치하고, 코일(1120)과 마그네트(1130) 간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하여 제1 방향(예컨대, Z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보빈(1110)은 보빈(1110)의 초기 위치에서 단방향, 예컨대, 상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보빈(1110)은 렌즈 또는 렌즈 배럴의 장착을 위하여 개구(opening, 1101)를 가질 수 있다.
보빈(1110)의 개구(1101) 형상은 장착되는 렌즈 또는 렌즈 배럴의 형상과 일치할 수 있으며, 예컨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빈(1110)은 상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111)를 구비할 수 있다. 보빈(1110)의 스토퍼(111)는 보빈(1110)의 상면으로부터 제1 방향 또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일 수 있으며, 보빈(1110)의 상면이 커버 부재(1300)의 상판의 내면에 직접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빈(1110)은 외측면에 마그네트(1130)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홈(102)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안착홈(102)은 보빈(1110)의 외측면으로부터 함몰된 구조일 수 있고, 마그네트(1130)의 삽입 또는 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하부가 개방된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빈(1110)은 측면들(110c-1 내지 110c-4), 측면(110c-1)과 측면(110c-2) 사이의 측면(110b-1), 측면(110c-2)과 측면(110c-3) 사이의 측면(110b-2), 측면(110c-3)과 측면(110c-4) 사이의 측면(110b-3), 및 측면(110c-4)과 측면(110c-1) 사이의 측면(110b-4)을 포함할 수 있다.
보빈(1110)의 측면들(110c-1 내지 110c-4)은 베이스(1210)의 기둥부들(216a, 내지 216d)에 대응될 수 있고, 보빈(1110)의 측면들(110b-1 내지 110b-4)은 베이스(1210)의 기둥부들(216a 내지 216d) 사이의 공간들에 대응될 수 있다.
보빈(1110)은 외측면(110b)을 기준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들(118a 내지 118d)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돌출부들(118a 내지 118d)의 외측면들은 보빈(1110)의 측면(110b-1 내지 110b-4)일 수 있다.
안착홈(102)은 보빈(1110)의 제1 돌출부(118a)의 측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마그네트(1130)와 동일 또는 일치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빈(1110)은 제1 롤러부(1150)를 배치시키기 위하여 측면(110c-1)에 마련되는 제1홈(1051a) 및 제2 롤러부(1160)를 배치시키기 위하여 측면(110c-2)에 마련되는 제2홈(1051b)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마그네트(1130)는 보빈(1110)의 제1 측면(110b-1)에 배치될 수 있고, 제1홈(1051a)은 보빈(1110)의 제1 측면(110b-1)과 이웃하는 제2 측면(110c-1)에 마련될 수 있고, 제2홈(1051b)은 보빈(1110)의 제1 측면(110b-1)과 이웃하는 제3 측면(110c-2)에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보빈(1100)의 제1 측면(110b-1)은 보빈(1100)의 제2 측면(110c-1)과 제3 측면(110c-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보빈(1100)의 제1 측면(110b-1)은 보빈(1110)의 제2 측면(110c-1)과 제3 측면(110c-2)을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제1홈(1051a)은 제1 돌출부(118a)와 제4 돌출부(118d)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홈(1051b)은 제1 돌출부(118a)와 제2 돌출부(118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홈(1051a)은 제1 롤러부(115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롤러와 대응 또는 일치하는 형상일 수 있고, 제2홈(1051b)은 제2 롤러부(116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롤러와 대응 또는 일치하는 형상일 수 있다.
제1홈(1051a) 및 제2홈(1051b) 각각은 보빈(1110)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홈(1051a)은 보빈(1110)의 측면(110c-1)으로 개방되는 제1 개구(1061a)를 포함할 수 있고, 제2홈(51b)은 측면(110c-2)으로 개방되는 제2 개구(106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1061a) 및 제2 개구(1061b)에 의하여 제1 및 제2 롤러부들(150, 160)과 보빈(1110)의 제1 및 제2홈들(1051a, 1051b)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될 수 있으며, 개구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제1 및 제2 롤러부들(1150, 1160)과 보빈(1110) 간의 원하는 마찰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보빈(1110)의 제1홈(1051a) 및 제2홈(1051b)에는 윤활제가 주입될 수 있고, 윤활제는 제1 및 제2 롤러부들(1150, 1160)과 제1 및 제2홈들(1051a, 1051b) 간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제1 및 제2 롤러부들(1150, 116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롤러부(1150) 및 제2 롤러부(116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롤러부(1150)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예컨대, P1 내지 P3)를 포함하며, 보빈(1110)의 제1홈(1051a) 내에 배치된다.
제2 롤러부(1160)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예컨대, Q1 내지 Q3)를 포함하며, 보빈(1110)의 제2홈(1051b) 내에 배치된다.
예컨대, 제1 롤러부(1150)는 보빈(1110)의 제1홈(1051a)의 적어도 2개 이상의 영역들에 접촉할 수 있고, 제2 롤러부(1150)는 보빈(1110)의 제2홈(1051b)의 적어도 2개 이상의 영역들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롤러부(1150)는 베이스(1210)의 제1 지지부(1116a)와 접촉할 수 있고, 제2 롤러부(150)는 베이스(1210)의 제2 지지부(1116b)와 접촉할 수 있다.
보빈(1110)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1 및 제2 지지부들(1116a, 1116b)에 접촉된 제1 롤러부(1150)와 제2 롤러부(1160) 각각은 구름 운동 또는 회전 운동을 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보빈(1110)의 광축 방향의 이동을 지지할 수 있고, 보빈(1110)의 광축 방향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롤러부들(1150, 1160)과 베이스(1210)의 제1 및 제2 지지부들(1116a, 1116b) 간에는 마찰력이 작용할 수 있고, 이러한 마찰력은 제1 및 제2 롤러부들(1150, 1160)과 제1 및 제2 지지부들(1116a, 1116b) 간의 접촉 면적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즉 양자 간의 접촉 면적이 증가할수록 마찰력이 증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롤러부들(1150, 1160) 각각은 복수의 롤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롤러부들(1150, 1160) 각각에 포함되는 롤러의 수는 2개, 3개, 4개 이상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롤러부(1150)는 3개의 롤러들(P1 내지 P3)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롤러부(1160)는 3개의 롤러들(Q1 내지 Q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홈(1051a)은 측면(51)과 바닥(5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홈(1051a) 및 제2홈(1051b) 각각의 측면(51)은 제1 내지 제3 측면들(51-1 내지 5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롤러부(1150)는 제1홈(1501a))의 4개의 영역들에 접촉할 수 있고, 제2 롤러부(1160)는 제2홈(1501b)의 4개의 영역들에 접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롤러부(1150)는 제1홈(1501a)의 제1 측면(51-1)의 2개의 영역들과 제2 측면(51-1)의 2개의 영역들에 접촉할 수 있다. 제2 롤러부(1160)는 제2홈(1501b)의 제1 측면(51-1)의 2개의 영역들과 제2 측면(51-1)의 2개의 영역들에 접촉할 수 있다.
제1홈(1051a)의 바닥(52)은 보빈(1110)의 하면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 단차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보빈(1110)의 하면을 기준으로 제1홈(1051a)의 바닥(52)은 보빈(1110)의 하면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제1홈(1051a)의 바닥(52)에는 홈(1160a) 또는 홀이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홈(1160a)은 관통 홀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홈(1051a)의 바닥(52)은 서로 이격되는 제1 바닥(1052a)과 제2 바닥(1052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바닥(1052a)과 제2 바닥(1052b) 사이에는 홈(1060a)이 배치될 수 있다.
홈(1060a)에 의하여 롤러(P3)가 접촉되는 제1홈(1051a)의 바닥(52)의 면적이 감소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롤러(P3)와 보빈(1110)의 홈(1051a) 간의 마찰력이 감소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롤러(P3)와 제1 지지부(1116a) 간의 마찰력도 감소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홈(1051a)의 제1 측면(51-1)에는 보빈(1110)의 측면(110c-1)으로 개방되는 제1 개구(1061a)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개구(1061a)는 제1홈(1051a)에 삽입 또는 배치된 롤러들(P1 내지 P3)의 일부 또는 일 면을 노출할 수 있다.
제1 개구(1061a)는 제1 지지부(1116a)가 삽입되기에 충분한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개구(1061a)의 가로 방향의 길이(D21)는 제1 지지부(1116a)의 가로 방향의 길이(D11)보다 클 수 있고(D21>D11), 제1 개구(1061a)의 세로 방향의 길이(H21)는 제1 지지부(1116a)의 세로 방향의 길이(H11)보다 크거나 동일할 수 있다(H21≥H11).
예컨대, 제1 지지부(1116a)는 제1 개구(1061a)에 삽입 또는 배치되어 제1홈(1051a)에 배치된 롤러들(P1 내지 P3)과 접촉될 수 있으며, 보빈(1110), 예컨대, 제1 홈(1051a)과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제2 지지부(1116b)는 제2 개구(1061b)에 삽입 또는 배치되어 제2홈(1051b)에 배치된 롤러들(Q1 내지 Q3)과 접촉될 수 있으며, 보빈(1110), 예컨대, 제2 홈(1051b)과 이격될 수 있다.
롤러(P1)는 원통형의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롤러(P1)의 길이(L)는 롤러(P1)의 직경(R)보다 클 수 있다. 예컨대, 롤러(P1)의 직경(R)과 롤러(P1)의 길이(L)의 비(R:L)는 1:1.5 ~ 1:5일 수 있다.
예컨대, 직경과 길이의 비(R:L)는 1:2 ~ 1:3일 수도 있다.
예컨대, 롤러(P1)의 직경 대비 롤러의 길이의 비율(L/R)이 1.5 미만인 경우에는 보빈(1110)의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의 유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롤러(P1)의 직경 대비 롤러의 길이의 비율(L/R)이 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롤러를 수용하기 위한 보빈(1110)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고, 마그네트(1130)와의 공간적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보빈(1110)에 마련된 제2홈(1051b)도 제1홈(1051a)과 동일한 형상일 수 있으며, 도 2 및 도 3의 제1홈(1051a)에 대한 설명은 제2홈(1051b)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제2홈(1051b)은 제2 개구(1061b)을 구비할 수 있고, 제2홈(1051b)의 바닥에는 관통 홀 형태의 홈(1061b)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4의 롤러(P1)에 대한 설명은 제1 롤러부(1150)의 나머지 롤러들(P2, P3) 및 제2 롤러부(1160)의 롤러들(Q1 내지 Q3)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실시 예는 제1 롤러부(1150) 및 제2 롤러부(1160)가 제1홈(1051a) 및 제2홈(1051b)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빈(1110)의 상부, 상단, 또는 상부면에 배치되는 롤러 커버(112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롤러 커버(1125)는 "커버", "지지부", 또는 "이탈 방지부"로 표현될 수도 있다.
롤러 커버(1125)는 보빈(1110)의 제1홈(1051a) 및 제2홈(1051b) 상에 배치되고, 제1 롤러부(1150) 및 제2 롤러부(1160)가 제1홈(1051a) 및 제2홈(1051b)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롤러 커버(1125)는 제1홈(1051a)의 적어도 일부 및 제2홈(1051b)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롤러 커버(1125)는 광축 방향으로 제1 롤러부(1150)의 롤러들(P1, P2,P3)과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될 수 있다.
롤러 커버(1125)는 광축 방향으로 제2 롤러부(1160)의 롤러들(Q1,Q2,Q3)과 적어도 다른 일부가 오버랩될 수 있다.
보빈(1110)은 상면에 롤러 커버(1125)를 지지하기 위한 돌출부(119)가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119)는 보빈(1110)의 개구(1101)의 내측면의 상부와 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돌출부(119)는 보빈(1110)의 개구(1101)의 내측면과 접하는 곡선부(119a), 곡선부(119a)의 일단과 연결되고 보빈(1110)의 측면(110b-2)에서빈(1110)의 측면(110b-4)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119b), 및 곡선부(119a)의 타단과 연결되고 보빈(1110)의 측면(110b-4)에서 보빈(1110)의 측면(110b-2)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연장부(119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장부들(119b,119c) 각각은 직선 또는 라인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 예에서는 곡선 형태일 수도 있다.
스토퍼(111)는 보빈(1110)의 돌출부(119), 예컨대, 곡선부(119a)와 보빈(1110)의 측면(110b-1) 사이의 상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롤러 커버(1125)는 보빈(110)의 상부, 또는 상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롤러 커버(1125)는 플라스틱일 수 있으며, 사출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롤러 커버(1125)는 자성체 또는 금속일 수도 있다.
예컨대, 롤러 커버(1125)는 보빈(110)의 제2 측면(110c-1)에 접하는 보빈(110)의 상부면의 일 영역(예컨대, 제2 영역), 및 보빈(110)의 제3 측면(110c-2)에 접하는 보빈(110)의 상부면의 다른 일 영역(예컨대, 제3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롤러 커버(1125)는 보빈(110)의 제1 측면(110b-1)에 접하는 보빈(110)의 상부면의 다른 일 영역(예컨대,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롤러 커버(1125)는 보빈(1110)의 개구(1101)에 대응하는 곡선부(1125a), 곡선부(1125a)의 일단과 연결되고, 보빈(1110)의 측면(110b-2)에서 측면(110b-4)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1125b), 및 곡선부(119a)의 타단과 연결되고 보빈(1110)의 측면(110b-4)에서 측면(110b-2)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1125c)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롤러 커버(1125)의 곡선부(1125a)는 보빈(1110)의 돌출부(119)의 곡선부(119a)에 대응할 수 있고, 양자(1125a, 119a)는 서로 접할 수 있다.
예컨대, 롤러 커버(1125)의 곡선부(1125a)는 돌출부(119)의 곡선부(119a)와 접하는 곡면 또는 곡선의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롤러 커버(1125)의 제1 연장부(1125b)는 보빈(1110)의 돌출부(119)의 제1 연장부(119b)에 대응할 수 있고, 양자(1125b, 119b)는 서로 접할 수 있다.
예컨대, 롤러 커버(1125)의 제2 연장부(1125c)는 보빈(1110)의 돌출부(119)의 제2 연장부(119c)에 대응할 수 있고, 양자(1125c, 119c)는 서로 접할 수 있다.
롤러 커버(1125)의 곡선부(1125a)에는 스토퍼(111)에 대응하는 홈(1125-1)이 마련될 수 있으며, 스토퍼(111)의 일부는 롤러 커버(1125)의 홈(1125-1)에 결합 또는 삽입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롤러 커버(1125)와 보빈(1110) 간의 접촉 면적이 증가할 수 있고, 양자 간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롤러 커버(1125)는 접착 부재에 의하여 보빈(1110)에 부착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롤러 커버(1125)의 홈(1125-1)은 롤러 커버(1125)의 돌출부(119)의 곡선부(119a)와 접하는 곡면(또는 곡선의 측면)의 반대편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롤러 커버(1125) 대신하여, 커버 부재(1300)의 상판에 마련되고, 제1홈(1051a)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1 돌기 및 제2홈(1051b)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2 돌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마그네트(1130)에 대해서 설명한다.
마그네트(1130)는 보빈(1110)에 배치 또는 장착된다.
예컨대, 마그네트(1130)는 보빈(1110)의 측면(110b1), 예컨대, 제1 돌출부(118a))의 외측면에 마련된 안착홈(10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1130)의 형상은 보빈(1110)의 측면(110b-1)에 대응하는 형상, 예컨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그네트(1130)는 코일(1120)과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한 구동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양극 착자 마그네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마그네트(1130)는 광축(OA)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2분할된 양극 착자마그네트일 수 있다. 이때, 마그네트(1130)는 페라이트(ferrite), 알리코(alnico), 희토류 자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마그네트(1130)는 N극과 S극을 포함하는 제1 마그넷부(31), S극 및 N극을 포함하는 제2 마그넷부(32), 및 비자성체 격벽(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그넷부(31)와 제2 마그넷부(32)는 서로 이격될 수 있고, 비자성체 격벽(33)은 제1 마그넷부(31)와 제2 마그넷부(3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비자성체 격벽은 실질적으로 자성을 갖지 않는 부분으로 극성이 거의 없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공기로 채워지거나 또는 비자성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뉴트럴 존(Neutral Zone)"이라고 표현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마그네트(1130)는 S극과 N극을 포함하는 단극 착자 마그네트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베이스(12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1210)의 제1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베이스(1210)의 제2 사시도이다.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베이스(1210)는 커버 부재(1300)와 결합되며, 커버 부재(1300)와 함께 보빈(1110)의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1210)는 커버 부재(1300)의 개구 및/또는 보빈(1110)의 개구에 대응하는 개구(301)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1210)는 커버 부재(1300)와 일치 또는 대응되는 형상, 예컨대,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1210)는 개구(301)를 갖는 몸체(213) 및 몸체(213)로부터 돌출되는 기둥부들(216a 내지 216d)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210)의 몸체(213)는 코너부들(217a 내지 217d) 및 코너부들(217a 내지 217d) 사이에 위치하는 측부들(218a 내지 218d)을 포함할 수 있다.
기둥부들(216a 내지 216d) 각각은 몸체(213)의 코너부들(217a 내지 217d)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1210)는 제1 코너부(217a)에서 상부 방향으로 소정 높이 돌출된 제1 기둥부(216a), 제2 코너부(217b)에서 소정 높이 돌출된 제2 기둥부(216b), 제3 코너부(217c)에서 소정 높이 돌출된 제3 기둥부(216c), 및 제4 코너부(217d)에서 소정 높이 돌출된 제4 기둥부(216d)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210)의 "기둥부들"은 "돌출부들"이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기둥부들(216a 내지 216d) 각각은 베이스(1210)의 몸체(213)의 상면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각 기둥 형상, 또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기둥부들(216a 내지 216d) 각각의 단면 형상은 'ㄱ" 형상, 삼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베이스(1210)의 몸체(213)의 측부들(218a 내지 218d) 각각의 가로 방향의 길이는 베이스(1210)의 몸체(213)의 코너부들(217a 내지 217d) 각각의 가로 방향의 길이보다 길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1210)의 인접하는 2개의 기둥부들(216a와 216b, 216b와 216c, 216c와 216d, 216d와 216a) 사이에는 개구가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1210)의 몸체(213) 상면을 기준으로 기둥부들(216a 내지 216d) 각각의 높이는 서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1210)는 몸체(213)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토퍼(23)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몸체(213)의 제2 측부(218b)와 제4 측부(218d) 각각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예컨대 2개의 스토퍼(23)가 배치될 수 있으나, 그 위치 및 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1210)의 스토퍼(23)는 "하부 스토퍼"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도 있다.
스토퍼(23)는 보빈(1110)의 하면 또는 하단이 베이스(1210)의 몸체(213)와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1210)는 기둥부들(216a 내지 216d)의 상면, 또는 상단에 배치되는 스토퍼(3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210)의 스토퍼(31)는 "상부 스토퍼"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1210)의 스토퍼(31)는 기둥부들(216a 내지 216d)의 상면을 기준으로 광축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일 수 있다.
베이스(1210)의 스토퍼(31)는 AF 구동시 보빈(1110)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 또는 갭(gap)을 확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베이스(1210)의 몸체(213)의 외측면 하단에는 단턱(211)이 마련될 수 있고, 단턱(211)은 커버 부재(1300)의 측판들의 하단들과 접촉할 수 있고, 커버 부재(1300)를 가이드 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1210)의 단턱(211)과 커버 부재(1300)의 측판들의 하단들은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 고정 및 실링(sealing)될 수 있다.
베이스(1210)는 제1 기둥부(216a)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제1 지지부(1116a), 및 제2 기둥부(216b)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제2 지지부(111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116a)는 제1 기둥부(216a)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2 지지부(1116b)는 제2 기둥부(216b)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1116a)는 제1 기둥부(216a)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기둥 형상, 예컨대, 반원 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의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지지부(1116b)는 제2 기둥부(216b)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기둥 형상, 예컨대, 반원 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의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기둥부(216a)의 내측면은 보빈(1110)의 측면(110c-1)을 마주보는 측면일 수 있고, 제2 기둥부(216b)의 내측면은 보빈(1110)의 측면(110c-2)을 마주보는 측면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지지부(1116a)와 제2 지지부(1116b)는 베이스(1210)의 제1 측부(218a)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인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지지부(1116a)는 제1 기둥부(216a)의 하면에서 상면까지 연장될 수 있고, 제1 지지부(1116a)의 상단 또는 상부는 제1 기둥부(216a)의 상면과 접할 수 있고, 제1 기둥부(216a)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지지부(1116b)는 제2 기둥부(216b)의 하면에서 상면까지 연장될 수 있고, 제2 지지부(1116b)의 상단 또는 상부는 제2 기둥부(216b)의 상면과 접할 수 있고, 제2 기둥부(216b)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지지부(1116a)의 상단 또는 상부는 제1 기둥부(216a)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1116a)의 하단 또는 하부는 베이스(1210)의 몸체(213)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2 지지부(1116b)의 상단 또는 상부는 제2 기둥부(216b)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1116b)의 하단 또는 하부는 베이스(1210)의 몸체(213)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다.
베이스(1210)는 제1 및 제2 기둥부들(216a, 216b)과 몸체(213)에 마련되는 제1 장착 홈(41), 및 제2 장착 홈(42)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210)의 제1 및 제2 기둥부들(216a,216b)의 외측면을 기준으로, 제1 장착 홈(41)과 제2 장착 홈(42)은 계단 구조 또는 2단 구조일 수 있다.
제1 장착 홈(41)은 제1 및 제2 기둥부들(216a, 216b)의 외측면과 몸체(213)의 제1 측부(218a)의 외측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회로 기판(1190)과 동일 또는 일치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장착 홈(42)은 제1 장착 홈(41) 내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및 제2 기둥부들(216a, 216b)의 외측면과 몸체(213)의 제1 측부(218a)의 외측면에 마련될 수 있고, 자성체(1195)와 동일 또는 일치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회로 기판(1190)에 대하여 설명한다.
회로 기판(1190)은 베이스(1210)에 배치 또는 고정된다. 예컨대, 회로 기판(1190)은 베이스(1210)의 제1 및 제2 기둥부들(216a, 216b)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예컨대, 회로 기판(1190)은 제1 및 제2 기둥부들(216a, 216b) 및 몸체(213)의 제1 측부(218a)에 배치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회로 기판(1190)은 제1 장착 홈(4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 기판(1190)은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고, 회로 기판의 단자는 제1 단자(1091) 및 제2 단자(1092)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1190)의 단자는 베이스(1210)의 몸체(213)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회로 기판(1190)는 인쇄회로기판 또는 연성회로기판(Flexcible PCB)일 수 있다.
다음으로 코일(11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코일(1120)은 마그네트(1130)에 대응 또는 대향되도록 회로 기판(1190)에 배치, 실장, 또는 고정된다. 예컨대, 코일(1120)의 회로 기판(1190)의 제1면에 배치될 수 있고, 단자들(91, 92)은 회로 기판(1190)의 제2면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 기판(1190)의 제1면은 마그네트(1130)을 마주보는 면일 수 있고, 회로 기판(1190)의 제2면은 회로 기판(1190)의 제1면의 반대면일 수 있다.
예컨대, 접착 부재에 의하여 코일(1120)은 회로 기판(1190)에 고정 또는 부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일(1120)은 베이스(1210)의 제1 기둥부(216a)와 제2 기둥부(216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코일(1120)은 링 형상의 코일 링일 수 있다. 예컨대, 코일(1120)은 가로 방향의 길이가 세로 방향의 길이보다 긴 링 형상일 수 있다.
마그네트(1130)와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을 생성하기 위하여 코일(1120)에는 구동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이때 코일(1120)에 제공되는 구동 신호는 직류일 수 있고, 전압 또는 전류 형태일 수 있다. 또는 예컨대, 코일(1120)에 제공되는 구동 신호는 직류 신호 및 교류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구동 신호가 제공된 코일(1120)은 보빈(1110)에 배치된 마그네트(1130)와 전자기적 상호 작용을 할 수 있고, 코일(1120)과 마그네트(1130) 간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에 의하여 AF 가동부는 제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구동 신호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AF 가동부의 제1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AF 가동부는 보빈(1110), 및 보빈(1110)에 장착되어 보빈(1110)과 함께 이동하는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AF 가동부는 보빈(1110), 및 마그네트(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1120)은 회로 기판(1190)의 제1 단자(1091)와 제2 단자(109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코일(1120)의 양단은 회로 기판(1190)의 제1면에 마련된 패드들(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패드들(미도시)은 회로 기판(1190)의 제1 및 제2 단자들(1091, 1092)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로 기판(1190)의 제1 및 제2 단자들(91, 92)을 통하여 코일(1120)에 구동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커버 부재(1300)를 제외한 렌즈 구동 장치(1100)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1100)의 AB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1100)의 CD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보빈(1110)의 개구(1101)의 중심(7a)은 베이스(1210)의 중심(7b)과 정렬되지 않거나 또는 일치하지 않는다.
예컨대, 보빈(1110)의 개구(1101)의 중심(7a)은 베이스(1210)의 중심(7b)보다 마그네트(1130)로부터 더 멀리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즉 보빈(1110)에 장착된 렌즈의 중심은 베이스(1210)의 중심(7b)보다 마그네트(1130)로부터 더 멀리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1210)의 중심(7b)은 보빈(1110)의 개구(1101)의 중심(7a)과 마그네트(11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보빈(1110)의 돌출부들(118a 내지 118d)은 베이스(1210)의 기둥부들(216a 내지 216d)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보빈(1110)의 돌출부들(118a 내지 118d) 각각은 이웃하는 2개의 기둥부들(216a와 216b, 216b와 216c, 216c와 216d, 216d와 216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빈(1110)의 돌출부들(118a 내지 118d)이 기둥부들(216a와 216b, 216b와 216c, 216c와 216d, 216d와 216a) 사이의 공간에 배치됨으로써, 렌즈 구동 장치(1100)는 크기를 감소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롤러부들(1150, 1160)의 롤러들(P1 내지 P3, Q1 내지 Q3) 각각은 제1 및 제2 홈들(1051a, 1051b)의 측면(51)과 접촉될 수 있다. 예컨대, 롤러들(P1 내지 P3, Q1 내지 Q3) 각각의 외측면은 제1 및 제2 홈들(51a, 51b)의 측면(51)과 면 접촉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및 제2 홈들(1051a, 1051b)의 측면(51)에는 복수의 돌기들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돌기들은 롤러들(P1 내지 P3, Q1 내지 Q3)의 외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보빈(1110)의 다른 실시 예(1110A)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를 참조하면, 보빈(1110A)의 제1홈(1051a)의 측면(51)에는 롤러들(P1 내지 P3)에 대응되는 복수의 돌기들(14a 내지 14c, 또는 14d)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3a에서는 돌기들(14a, 14b, 14c)이 제1홈(1051a)의 제1 측면(51-1) 및 제2 측면(51-2)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b에서는 돌기들(14a, 14b, 14c)이 제1홈(1051a)의 제1 내지 제3 측면들(51-1, 51-2, 51-3)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에서 돌기들(14a, 14b, 14c)은 반구 형상 또는 돔 형상일 수 있다.
도 13c에서 돌기들(14d)은 라인 또는 직선 형태의 돌출 형상일 수 있으며, 그 단면은 반구 또는 돔 형상일 수 있다.
롤러들(P1 내지 P3, Q1 내지 Q3) 각각의 외주면 또는 측면은 복수의 돌기들(14a 내지 14d)에 접촉될 수 있으며, 제1홈(1051a)의 제1 내지 제3 측면들(51-1, 51-2, 51-3)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보빈(1110A)의 제2홈(1051b)의 측면(51)에는 롤러들(Q1 내지 Q3)에 대응되는 복수의 돌기들이 마련될 수 있으며, 도 13a 내지 도 13c에 도시된 보빈(1110A)의 제1홈(1051b)의 측면(51)에 마련되는 돌기들(14a 내지 14d)에 대한 설명은 보빈(1110A)의 제2홈(1051b)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c에서 롤러들(P1 내지 P3, Q1 내지 Q3)은 돌기들(14a 내지 14d)에 점 접촉 또는 선 접촉될 수 있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보빈(1110)과 비교할 때, 도 13a 내지 도 13c의 보빈(1110A)과 롤러들(P1, P2, P3) 간의 마찰력은 감소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AF 가동부(예컨대, 보빈(1110))의 초기 위치에서, 코일(1120)은 제1 기둥부(216a)에서 제4 기둥부(216d)를 향하는 방향으로 마그네트(1130)와 오버랩될 수 있다.
여기서 AF 가동부, 예컨대, 보빈(1110)의 초기 위치는 코일(1120)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AF 가동부의 최초 위치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AF 가동부의 초기 위치는 중력이 보빈(1110)에서 베이스(1210) 방향으로 작용할 때, 또는 이와 반대로 중력이 베이스(1210)에서 보빈(1110) 방향으로 작용할 때의 AF 가동부가 놓이는 위치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기둥부(216a)에서 제4 기둥부(216d)를 향하는 방향으로 코일(1120)의 상부(120-1)는 마그네트(1130)의 제1 마그넷부(31)와 오버랩될 수 있고, 코일(1120)의 하부(120-2)는 마그네트(1130)의 제2 마그넷부(32)와 오버랩될 수 있고, 코일(1120)의 상부(120-1)와 하부(120-2) 사이의 공간은 마그네트(1130)의 비자성체 격벽(33)과 오버랩될 수 있다.
도 10은 도 7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0의 설명은 제2 롤러부(1160)와 제2 기둥부(216b)의 제2 지지부(1116b)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롤러부(1150)의 롤러들(P1 내지 P3)은 제1 기준선(501)에 대하여 제1 각도(θ1)로 기울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롤러부(1160)의 롤러들(Q1 내지 Q3)은 제1 기준선에 대하여 제2 각도(미도시)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선(501)은 제1 기둥부(216a)에서 제2 기둥부(216b)를 향하는 방향과 평행한 가상의 직선(예컨대, X축)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기준선(501)은 제1 롤러부(1150)의 롤러(예컨대, P1, P2, P3)와 베이스(1210)의 제1 지지부(1116a)가 만나는 점을 지날 수 있다. 또는 제1 기준선은 제2 롤러부(1160)의 롤러(예컨대, Q1, Q2, Q3)와 베이스(1210)의 제2 지지부(1116b)가 만나는 점을 지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롤러부(1150)의 롤러(예컨대, P1)의 중심축(601, 도 4 참조)은 제1 기준선(501)을 기준으로 제1 각도(θ1)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제2 롤러부(1160)의 롤러(예컨대, Q1)의 중심축은 제1 기준선을 기준으로 제2 각도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각도(θ1)는 제1 롤러부(1150)의 롤러(예컨대, P1)의 중심축(601, 도 4 참조)과 제1 기준선(501) 사이의 각도일 수 있고, 제2 각도는 제2 롤러부(1160)의 롤러(예컨대, Q1)의 중심축과 제1 기준선 사이의 각도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각도(θ1)는 제1 기준선(501)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제1 롤러부(1150)의 롤러(예컨대, P1)의 중심축(601)이 회전한 각도일 수 있다.
또한 제2 각도는 제1 기준선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제2 롤러부(1160)의 롤러(예컨대, Q1)의 중심축이 회전한 각도일 수 있다.
예컨대, 롤러(예컨대, P1)의 중심축(601, 도 4 참조)은 롤러(예컨대, P1)의 중앙을 지나고, 롤러(예컨대, P1)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축일 수 있다. 예컨대, 롤러(예컨대, P1)의 중앙은 직경의 중앙일 수 있다. 제1 롤러부(1150)의 롤러(예컨대, P1,P2,P3)의 중심축(601)에 대한 설명은 제2 롤러부(1160)의 롤러(예컨대, Q1,Q2,Q3)의 중심축에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롤러부(1150)의 롤러(예컨대, P1, P2, P3)는 중심축(601)이 광축(OA)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중심축(601)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제2 롤러부(1160)의 롤러(예컨대, Q1, Q2, Q3)는 중심축이 광축(OA)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중심축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각도(θ1)와 제2 각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제1 각도(θ1)는 30도 ~ 60도일 수 있고, 제2 각도는 120도 ~ 150도일 수 있다. 예컨대, 제2 각도는 180도에서 제1 각도(θ1)를 뺀 값일 수 있다.
또는 예컨대, 제1 각도(θ1)는 40도 ~ 50도일 수 있다.
또는 예컨대, 제1 각도(θ1)는 43도 ~ 47도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각도(θ1)는 45도일 수 있다.
제1 각도(θ1)가 40도 미만인 경우에는 보빈(1110)의 X축 방향으로의 유동을 억제하는 효과가 감소될 수 있고, 제1 각도(θ1)가 40도 미만인 경우에는 보빈(1110)의 X축 방향으로의 유동을 억제하는 효과가 감소될 수 있고, 제1 각도(θ1)가 60도 초과인 경우에는 보빈(1110)의 Y축 방향으로의 유동을 억제하는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제1 롤러부(1150)의 롤러들(P1 내지 P3)은 제1 기준선(501)에 대하여 제1 각도(θ1)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되고, 제2 롤러부(1160)의 롤러들(Q1 내지 Q3)은 제1 기준선에 대하여 제2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제1 기준선(501)과 평행한 방향(예컨대, X축 방향) 또는 제2 기준선(502)과 평행한 방향(예컨대, Y축 방향)으로 보빈(1110)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기준선(502)은 제1 기준선(501)과 수직인 가상의 직선일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제1 각도(θ1)가 45도이고, 제2 각도가 135도일 때, 제1 롤러부(1150)의 롤러들(P1 내지 P3) 및 제2 롤러부(1160)의 롤러들(Q1 내지 Q3)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균형있게 보빈(1110)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1210)의 제1 지지부(1116a)의 중앙선(503)과 제1 롤러부(1150)의 롤러(예컨대, P1, P2, 또는 P3)의 중심축(601)은 서로 수직일 수 있고,베이스(1210)의 제2 지지부(1116b)의 중앙선과 제2 롤러부(1160)의 롤러(예컨대, Q1, Q2, 또는 Q3)의 중심축은 서로 수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지지부(1116a)의 중앙선(503)은 제1 롤러부(1150)의 롤러(예컨대, P1, P2, 또는 P3)와 접하는 점을 지나고, 제1 지지부(1116a)를 양분하는 선일 수 있다. 예컨대, 중앙선(503)은 제1 지지부(1116a)를 좌우 대칭적으로 양분하는 선일 수 있다.
제2 지지부(1116b)의 중앙선은 제2 롤러부(1160)의 롤러(예컨대, Q1, Q2, 또는 Q3)와 접하는 점을 지나고, 제2 지지부(1116b)를 양분하는 선일 수 있다. 예컨대, 제2 지지부(1116b)의 중앙선은 제2 지지부(1116b)를 좌우 대칭적으로 양분하는 선일 수 있다.
도 10에서는 제1 롤러부(1150)의 롤러들(P1 내지 P3)의 배치에 대한 설명은 제2 롤러부(1160)의 롤러들(Q1 내지 Q3)의 배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롤러부(1150)와 제2 롤러부(1160)는 제1 기둥부(216a)에서 제4 기둥부(216d)를 향하는 방향과 평행하고, 보빈(1110)의 개구(1101)의 중앙을 지나는 중심선(701, 도 7 참조)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자성체(1195)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성체(1195)는 베이스(1210)에 배치되고, 코일(1120) 아래의 위치할 수 있다. 자성체(1195)는 마그네트(1130)와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예컨대, 자성체(195)는 베이스(1210)의 하면을 기준으로 마그네트(1130)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으며, 보빈(1110)의 이동시 틸트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자성체(1195)는 보빈(1110)의 틸트 발생을 억제한다는 의미에서 "틸트 억제부", "틸트 보정부", 또는 "틸트 조절부" 등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1100)는 마그네트(1130)가 보빈(1110)의 어느 한 측면(110b-1)에만 배치되고, 코일(1120)도 하나의 마그네트(1130)에 대응하여 하나만 배치되기 때문에, 마그네트(1130)가 배치된 보빈(1110)의 어느 한 측면(예컨대, 110b-1)과 그 반대 측면(110b-3) 간에는 전자기력의 불균형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기력의 불균형에 의하여 보빈(1110)의 이동시 틸트가 발생될 수 있는데, 자성체(1195)는 마그네트(1130)에 붙는 물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틸트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자성체(1195)는 자석에 붙는 물질, 예컨대, 자성체(예컨대, 자성을 띤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자성체(1195)는 자석에 붙는 물질, 예컨대, 금속 물질(예컨대, 철)로 구현될 수도 있다.
자성체(1195)는 베이스(1210)의 외측면에 배치된다.
예컨대, 자성체(1195)는 제1 및 제2 기둥부들(216a, 216b)의 외측면과 베이스(1210)의 몸체(213)의 제1 측부(218a)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자성체(1195)는 제2 장착 홈(4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성체(1195)는 플레이트(plate)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자성체(1195)는 몸체(213)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1195-1), 제1 기둥부(216a)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플레이트(1195-1)의 일단으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1195-2), 및 제2 기둥부(216b)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플레이트(1195-1)의 타단으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1195-3)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1195)의 플레이트(1195-1)는 베이스(1210)의 몸체(213)의 제1 측부(218a)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접착 부재에 의하여 자성체(1195)는 베이스(1210)에 고정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제1 연장부(1195-2)는 제1 기둥부(216a)의 측면(예컨대,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베이스(1210)의 하면에서 상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부(1195-3)는 제2 기둥부(216b)의 측면(예컨대,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베이스(1210)의 하면에서 상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장부(1195-2, 1195-3)는 자성체(1195)와 베이스(121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그네트(1130)와 자성체(1195) 간의 작용하는 힘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자성체(1195)의 플레이트(1195-1)의 가로 방향의 길이(L1, 도 1 참조)는 마그네트(1130)의 가로 방향의 길이(L2, 도 2 참조)보다 클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L1은 L2와 동일할 수도 있다.
자성체(1195)와 마그네트(1130) 간에는 인력이 작용하므로, 코일(1120)에 구동 신호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도 보빈(1110)의 초기 위치를 설정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코일(1120)에 구동 신호가 제공되지 않은 때, 자성체(1195)와 마그네트(1130) 간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하여 보빈(1110)이 최저 위치에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보빈(1110)의 최저 위치는 보빈(1110)의 변위 중에서 베이스(1210)를 기준으로 높이가 가장 낮은 위치일 수 있다. 이 경우 보빈(1110)의 최저 위치가 보빈(1110)의 초기 위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코일(1120)에 구동 신호가 제공되지 않은 때, 자성체(1195)와 마그네트(1130) 간에 작용하는 힘은 보빈(1110)을 최저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데 필요한 힘보다 크거나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자성체(1195)와 마그네트(1130) 간의 인력에 의하여 보빈(1110)의 초기 위치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위치 센서가 없더라도 정확한 AF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보빈(1110)의 중심과 베이스의 중심이 서로 정렬되지 않고, 하나의 마그네트(1130)를 사용하므로, 실시 예는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다.
스프링을 사용하는 렌즈 구동 장치에 비하여, 실시 예는 스프링 대신에 롤러를 구비하기 때문에, 실시 예는 AF 구동시 적은 전류가 소모될 수 있고, 정착 시간(settling time)이 작기 때문에 AF 구동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자성체(1195)와 마그네트(1130)가 베이스(1210)의 몸체(213)의 어느 한 측부(218a)에 배치되므로, 실시 예는 틸트 보정 및 구동 역할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1 롤러부(1150)의 롤러들(P1 내지 P3)이 제1 기준선(501)을 기준으로 제1 각도만큼 기울어져 배치되고, 제2 롤러부(1160)의 롤러들(Q1 내지 Q3)이 제1 기준선을 기준으로 제2 각도만큼 기울어져 배치되므로, 실시 예는 보빈(1110)의 X축 및 Y축 방향으로의 유도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위치 센서가 구비되지 않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는 위치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1은 렌즈 구동 장치(1100)에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위치 센서(1170)를 나타내고, 도 12는 도 11의 위치 센서(1170)을 포함하는 실시 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위치 센서(1170)는 회로 기판(1190)에 배치, 또는 실장되며, 코일(1120)의 가운데에 있는 빈 공간에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위치 센서(1170)는 코일(1120)의 상부(120-1)와 하부(120-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위치 센서(1170)는 제1 기둥부(216a)에서 제4 기둥부(216d)를 향하는 방향으로 마그네트(1130)의 비자성체 격벽(33)과 오버랩될 수 있다.
위치 센서(1170)는 보빈(1110)의 이동에 따라 보빈(1110)에 장착된 마그네트(1130)의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결과에 따른 출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위치 센서(1170)는 회로 기판(1190)의 제1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회로 기판(1190)의 제1면은 코일(1120)이 배치되는 면일 수 있다.
위치 센서(1170)는 홀 센서(Hall sensor)를 포함하는 드라이버 IC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홀 센서 등과 같은 위치 검출 센서 단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위치 센서(1170)가 홀 센서 단독으로 구현되는 경우, 위치 센서(1170)는 2개의 입력 단자들과 2개의 출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1190)은 위치 센서(1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위치 센서(1170)의 4개의 단자들은 회로 기판(119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로 기판(1190)은 복수의 단자들(91-1 내지 91-6)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단자들 중 일부는 위치 센서(1170)의 4개의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회로 기판(1190)은 코일(1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2개의 단자들(예컨대, 91-1, 91-2) 및 위치 센서(1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4개의 단자들(예컨대, 91-3 내지 91-6)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센서(1170)가 홀 센서(Hall sensor)를 포함하는 드라이버 IC인 경우에는 위치 센서(1170)로부터 코일(1120)로 구동 신호가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회로 기판(1190)은 위치 센서(1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4개의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는 제1 롤러부(1150) 및 제2 롤러부(1160)가 보빈(1110)에 배치되므로, 베이스(1210)에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마그네트(1130)와 코일(1120)의 길이 방향으로의 사이즈를 확보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센서(1170)를 드라이버 일체형 위치 센서로 구현할 경우, 드라이버 일체형 위치 센서를 장착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4는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20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200)은 렌즈 또는 렌즈 배럴(400), 렌즈 구동 장치(1100), 접착 부재(612), 필터(610), 제1홀더(600), 제2홀더(800), 이미지 센서(810), 모션 센서(motion sensor, 820), 제어부(830), 및 커넥터(connector, 84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13c 에서 설명한 실시 예일 수 있다.
렌즈 또는 렌즈 배럴(lens barrel, 400)은 렌즈 구동 장치(1100)의 보빈(1110)에 장착될 수 있다.
제1홀더(600)는 렌즈 구동 장치(1100)의 베이스(121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610)는 제1홀더(600)에 장착되며, 제1홀더(600)는 필터(610)가 안착되는 돌출부(500)를 구비할 수 있다.
접착 부재(612)는 렌즈 구동 장치(1100)의 베이스(1210)를 제1홀더(600)에 결합 또는 부착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접착 부재(612)는 에폭시, 열경화성 접착제,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 등일 수 있다.
필터(610)는 렌즈 배럴(400)을 통과하는 광에서의 특정 주파수 대역의 광이 이미지 센서(810)로 입사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필터(610)는 적외선 차단 필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필터(610)는 x-y평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필터(610)가 실장되는 제1홀더(600)의 부위에는 필터(610)를 통과하는 광이 이미지 센서(810)에 입사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제2홀더(800)는 제1홀더(6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2홀더(600)에는 이미지 센서(810)가 실장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810)는 필터(610)를 통과한 광이 입사하여 광이 포함하는 이미지가 결상되는 부위이다.
제2홀더(800)는 이미지 센서(810)에 결상되는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각종 회로, 소자, 제어부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제2홀더(800)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될 수 있고, 회로 패턴이 형성될 수 있고, 각종 소자가 결합하는 회로 기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810)는 렌즈 구동 장치(1100)를 통하여 입사되는 광에 포함되는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필터(610)와 이미지 센서(810)는 제1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모션 센서(820)는 제2홀더(800)에 실장되며, 제2홀더(800)에 마련되는 회로 패턴을 통하여 제어부(8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모션 센서(820)는 카메라 모듈(200)의 움직임에 의한 회전 각속도 정보를 출력한다. 모션 센서(820)는 2축 또는 3축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또는 각속도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830)는 제2홀더(800)에 실장된다. 제2홀더(800)는 렌즈 구동 장치(1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2홀더(800)는 렌즈 구동 장치(1100)의 코일(1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코일(1120)에 구동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커넥터(840)는 제2홀더(8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포트(port)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5는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200A)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200A)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200A, 이하 "단말기"라 한다.)는 몸체(850), 무선 통신부(710), A/V 입력부(720), 센싱부(740), 입/출력부(750), 메모리부(760), 인터페이스부(770), 제어부(780), 및 전원 공급부(7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몸체(850)는 바(bar) 형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의 서브 몸체(sub-body)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swing) 타입, 스위블(swirl) 타입 등 다양한 구조일 수 있다.
몸체(85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몸체(850)는 프론트(front) 케이스(851)와 리어(rear) 케이스(85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851)와 리어 케이스(85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단말기의 각종 전자 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710)는 단말기(200A)와 무선 통신시스템 사이 또는 단말기(200A)와 단말기(200A)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710)는 방송 수신 모듈(711), 이동통신 모듈(712), 무선 인터넷 모듈(713), 근거리 통신 모듈(714) 및 위치 정보 모듈(7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7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721) 및 마이크(7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721)는 도 14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740)는 단말기(200A)의 개폐 상태, 단말기(200A)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단말기(200A)의 방위, 단말기(200A)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단말기(200A)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단말기(200A)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200A)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7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7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입/출력부(7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입력 또는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입/출력부(750)는 단말기(200A)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또한 단말기(200A)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입/출력부(750)는 키 패드부(730), 디스플레이 모듈(751), 음향 출력 모듈(752), 및 터치 스크린 패널(753)을 포함할 수 있다. 키 패드부(730)는 키 패드 입력에 의하여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751)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복수 개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모듈(7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752)은 호(call)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또는 방송 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71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메모리부(7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753)은 터치 스크린의 특정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메모리부(760)는 제어부(7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사진,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부(760)는 카메라(721)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예컨대, 사진 또는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770)는 단말기(200A)에 연결되는 외부 기기와의 연결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7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200A)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기(200A)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컨대, 인터페이스부(7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및 이어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780)는 단말기(200A)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7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781)을 구비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781)은 제어부(7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7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78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790)는 제어부(7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 몸체와 상기 몸체의 코너부들에 배치되는 제1 기둥부, 제2 기둥부, 제3 기둥부, 및 제4 기둥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몸체 상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제1 측면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상기 보빈의 제2 측면에 마련된 제1홈 내에 배치되는 제1 구름 운동 부재;
상기 보빈의 제3 측면에 마련된 제2홈 내에 배치되는 제2 구름 운동 부재;
상기 마그네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기둥부와 상기 제2 기둥부 사이에 배치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보빈의 제1 측면은 상기 제2 측면과 상기 제3 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홈은 상기 제1 구름 운동 부재의 일부를 노출하는 제1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홈은 상기 제2 구름 운동 부재의 일부를 노출하는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기둥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기둥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개구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구름 운동 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2 개구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구름 운동 부재와 접촉하는 렌즈 구동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름 운동 부재는 상기 제1홈의 적어도 2개 이상의 영역들에 접촉하고, 상기 제2 구름 운동 부재는 상기 제2홈의 적어도 2개 이상의 영역들에 접촉하는 렌즈 구동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름 운동 부재는 상기 제1홈의 4개의 영역들에 접촉하고,
상기 제2 구름 운동 부재는 상기 제2홈의 4개의 영역들에 접촉하는 렌즈 구동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코일이 결합되는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제1 기둥부와 상기 제2 기둥부에 고정되는 렌즈 구동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는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몸체에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아래에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마그네트와 인력이 작용하는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베이스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상기 제1 기둥부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기둥부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름 운동 부재 및 상기 제2 구름 운동 부재 각각은 복수 개의 롤러들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들 각각은 원기둥 형상이고,
상기 롤러들 각각은 광축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름 운동 부재는 제1 기준선에 대하여 제1 각도로 기울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구름 운동 부재는 상기 제1 기준선에 대하여 제2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기준선은 상기 제1 기둥부에서 상기 제2 기둥부를 향하는 방향과 평행한 가상의 직선이고, 상기 제1 각도는 상기 제2 각도와 다른 렌즈 구동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름 운동 부재 및 제2 구름 운동 부재가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보빈의 상부, 상단 또는 상부면에 배치되는 롤러 커버를 더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 몸체와 상기 몸체의 코너부들에 배치되는 제1 기둥부, 제2 기둥부, 제3 기둥부, 및 제4 기둥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몸체 상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제1 측면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상기 보빈의 제2 측면에 마련된 제1홈 내에 배치되는 제1 구름 운동 부재;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보빈의 제3 측면에 마련된 제2홈 내에 배치되는 제2 구름 운동 부재;
상기 마그네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기둥부와 상기 제2 기둥부 사이에 배치되는 코일; 및
상기 코일의 아래에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마그네트와 인력이 작용하는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체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상기 제1 기둥부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기둥부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홈은 상기 제1 구름 운동 부재의 일부를 노출하는 제1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홈은 상기 제2 구름 운동 부재의 일부를 노출하는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개구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구름 운동 부재와 접촉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개구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구름 운동 부재와 접촉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6106A KR102592272B1 (ko) | 2017-09-28 | 2017-09-28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
PCT/KR2018/009965 WO2019045439A1 (ko) | 2017-08-30 | 2018-08-29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
EP18850977.2A EP3677941A4 (en) | 2017-08-30 | 2018-08-29 | LENS CONTROL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WITH IT |
CN201880071261.9A CN111295611A (zh) | 2017-08-30 | 2018-08-29 | 透镜移动设备及包括其的相机模块和光学装置 |
US16/643,426 US11467368B2 (en) | 2017-08-30 | 2018-08-29 |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
US17/901,614 US11841546B2 (en) | 2017-08-30 | 2022-09-01 |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6106A KR102592272B1 (ko) | 2017-09-28 | 2017-09-28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6789A KR20190036789A (ko) | 2019-04-05 |
KR102592272B1 true KR102592272B1 (ko) | 2023-10-20 |
Family
ID=66104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26106A KR102592272B1 (ko) | 2017-08-30 | 2017-09-28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92272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1652B1 (ko) * | 2014-05-22 | 2014-10-22 | (주)태극기전 | 구름 가이드 구조를 갖는 렌즈 초점거리 조절모듈 |
KR101792328B1 (ko) | 2014-11-28 | 2017-11-02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36710A (ko) * | 2015-05-20 | 2016-11-30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KR101896962B1 (ko) * | 2016-02-04 | 2018-09-12 |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 카메라 렌즈 조립체 |
-
2017
- 2017-09-28 KR KR1020170126106A patent/KR10259227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1652B1 (ko) * | 2014-05-22 | 2014-10-22 | (주)태극기전 | 구름 가이드 구조를 갖는 렌즈 초점거리 조절모듈 |
KR101792328B1 (ko) | 2014-11-28 | 2017-11-02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6789A (ko) | 2019-04-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531012B2 (en) |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 |
KR102580306B1 (ko) | 렌즈 구동 장치,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 |
KR102340275B1 (ko)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 |
EP3663848B1 (en) |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 |
EP3677941A1 (en) |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 |
US12061373B2 (en) |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 |
KR102521060B1 (ko)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 |
KR20240041304A (ko)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 |
KR102686702B1 (ko)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 |
KR102612540B1 (ko)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 |
US20230341650A1 (en) |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 |
KR102617338B1 (ko)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 |
KR102592272B1 (ko)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 |
KR20220115894A (ko)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 |
KR20220028680A (ko)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 |
KR102406628B1 (ko)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 |
KR20220036515A (ko)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 |
KR20210002824A (ko) |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 |
KR20200079056A (ko)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 |
KR102686701B1 (ko)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 |
KR102595820B1 (ko)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 |
KR102714152B1 (ko)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 |
KR102677537B1 (ko) |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 |
KR20240064359A (ko)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 |
KR102479002B1 (ko)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