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038B1 - 차량용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038B1
KR102592038B1 KR1020220074814A KR20220074814A KR102592038B1 KR 102592038 B1 KR102592038 B1 KR 102592038B1 KR 1020220074814 A KR1020220074814 A KR 1020220074814A KR 20220074814 A KR20220074814 A KR 20220074814A KR 102592038 B1 KR102592038 B1 KR 102592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ushions
tether
cushions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4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영명
Original Assignee
유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4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0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6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t least two passengers, e.g. preventing them from hitting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6Ex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04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서로 마주보며 탑승하는 대향형 좌석에서 탑승자들간의 충돌을 최소화하여 탑승자들을 보호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 내부의 천정에서 하부 방향으로 전개되는 복수의 에어 쿠션들, 그리고 상기 서로 인접하는 에어 쿠션들 사이에 연결되는 테더(tether)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에어 쿠션들은, 상기 차량 내부 공간에서 X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에어 쿠션, 상기 제1 에어 쿠션과의 동일선상에서 -X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에어 쿠션, 상기 제1, 제2 에어 쿠션 사이에서 Y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 에어 쿠션, 그리고 상기 제3 에어 쿠션과의 동일선상에서 -Y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4 에어 쿠션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마주보며 탑승하는 대향형 좌석에서 탑승자들간의 충돌을 최소화하여 탑승자들을 보호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율자동차 개발 등과 같이 자동차의 편이 시설 확대로 인하여, 전반적인 차량의 안전성에 대한 제고가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차량 안전 법규에는, 탑승자의 기본 자세에 대한 평가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실제 생활 자세에 대한 안전성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현재 승용차는, 탑승자가 전방향 한쪽으로 바로보고 탑승하고 있으나, 향후 자율자동차 또는 승합차에서는, 서로 마주보고 탑승하는 대향형 좌석이 장착될 예정이다.
이러한 대향형 좌석에 탑승자들이 서로 마주보며 탑승한 상태에서, 안전 벨트를 미착용하고 차량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탑승자들간의 충돌 가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탑승자들의 머리와 머리 또는 머리와 어깨뼈 등의 충돌로 인하여 심각한 부상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서로 마주보며 탑승하는 대향형 좌석에서 탑승자들간의 충돌을 최소화하고 탑승자들을 보호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20-0088557호(2020년 07월 23일)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에어 쿠션을 열십자 형태로 전개하여 전개 체적을 최소화하고, 에어 쿠션 사이에 테더를 연결하여 탑승자들간의 충돌을 최소화함으로써, 에어백 전개성 및 탑승자 보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에어백 장치는, 차량 내부의 천정에서 하부 방향으로 전개되는 복수의 에어 쿠션들, 그리고 상기 서로 인접하는 에어 쿠션들 사이에 연결되는 테더(tether)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에어 쿠션들은, 상기 차량 내부 공간에서 X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에어 쿠션, 상기 제1 에어 쿠션과의 동일선상에서 -X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에어 쿠션, 상기 제1, 제2 에어 쿠션 사이에서 Y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 에어 쿠션, 그리고 상기 제3 에어 쿠션과의 동일선상에서 -Y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4 에어 쿠션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제2 에어 쿠션은, 서로 마주보는 좌석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제4 에어 쿠션은,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좌석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테더는, 상기 제1, 제3 에어 쿠션 사이를 연결하는 제1 테더, 상기 제2, 제3 에어 쿠션 사이를 연결하는 제2 테더, 상기 제2, 제4 에어 쿠션 사이를 연결하는 제3 테더, 그리고 상기 제1, 제4 에어 쿠션 사이를 연결하는 제4 테더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테더는, 상기 에어 쿠션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테더는, 표면에 실리콘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실리콘 코팅층은, 좌석을 마주하는 표면 중 탑승자의 얼굴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테더는,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2개의 에어 쿠션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되고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테더와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테더를 포함하는 이중 테더일 수 있다.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테더는, 상부 영역이 상기 에어 쿠션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넓어지는 제1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하부 영역이 상기 에어 쿠션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어지는 제2 테이퍼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 사이의 중앙 영역이 상기 에어 쿠션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테더는, 내부에 가스가 채워지는 에어 테더일 수 있다.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 테더는, 상기 에어 쿠션들이 전개될 때, 인플레이터 가스가 주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에어 쿠션을 열십자 형태로 전개하여 전개 체적을 최소화하고, 에어 쿠션 사이에 테더를 연결하여 탑승자들간의 충돌을 최소화함으로써, 에어백 전개성 및 탑승자 보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 쿠션 사이에 테더를 연결하여 에어 쿠션의 지지력을 강화하고 전체 공간을 쿠션으로 충당하지 않고도 탑승자들간의 충돌을 최소화함으로써,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전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전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 제3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 제4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전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전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어백 장치(100)는, 차량 내부의 천정에서 하부 방향으로 전개되는 복수의 에어 쿠션(110)들과, 서로 인접하는 에어 쿠션(110)들 사이에 연결되는 테더(tether)(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에어 쿠션(110)을 열십자 형태로 전개하여 전개 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에어백 전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 쿠션(110) 사이에 테더(120)를 연결함으로써, 에어 쿠션(110)의 지지력을 강화하고, 전체 공간을 에어 쿠션(110)으로 충당하지 않고도 좌석(20)에 앉아 있는 탑승자(10)들간의 충돌을 최소화함으로써, 탑승자(10)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어백 장치는, 차량 내부의 천정에서 하부 방향으로 전개되는 복수의 에어 쿠션(110)들이 전개되는데, 복수의 에어 쿠션(110)들은, 차량 내부 공간에서 X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에어 쿠션(112), 제1 에어 쿠션(112)과의 동일선상에서 -X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에어 쿠션(114), 제1, 제2 에어 쿠션(112, 114) 사이에서 Y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 에어 쿠션(116), 그리고 제3 에어 쿠션(116)과의 동일선상에서 -Y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4 에어 쿠션(118)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2 에어 쿠션(112, 114)은, 서로 마주보는 좌석(20)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제4 에어 쿠션(116, 118)은,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좌석(20)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에어 쿠션(112, 114)은, 서로 동일한 제1 두께 t1를 가지고, 제3, 제4 에어 쿠션(116, 118)은, 서로 동일한 제2 두께 t2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2 에어 쿠션(112, 114)의 제1 두께 t1는, 제3, 제4 에어 쿠션(116, 118)의 제2 두께 t2와 동일할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경우에 따라, 제1, 제2 에어 쿠션(112, 114)의 제1 두께 t1는, 제3, 제4 에어 쿠션(116, 118)의 제2 두께 t2와 다를 수도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예로, 제1, 제2 에어 쿠션(112, 114)의 제1 두께 t1는, 제3, 제4 에어 쿠션(116, 118)의 제2 두께 t2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그 이유는, 제1, 제2 에어 쿠션(112, 114)이 배치되는 서로 마주보는 좌석(20)들 사이의 공간이 제3, 제4 에어 쿠션(116, 118)이 배치되는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좌석(20)들 사이의 공간보다 더 넓기 때문에 제1, 제2 에어 쿠션(112, 114)의 제1 두께 t1을 제3, 제4 에어 쿠션(116, 118)의 제2 두께 t2보다 더 두껍게 배치함으로써, 서로 마주보는 좌석(20)에 앉아 있는 탑승자(10)들간의 충돌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1, 제2 에어 쿠션(112, 114)은, 서로 동일한 제1 길이 L1를 가지고, 제3, 제4 에어 쿠션(116, 118)은, 서로 동일한 제2 길이 L2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2 에어 쿠션(112, 114)의 제1 길이 L1는, 제3, 제4 에어 쿠션(116, 118)의 제2 길이 L2와 동일할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경우에 따라, 제1, 제2 에어 쿠션(112, 114)의 제1 길이 L1는, 제3, 제4 에어 쿠션(116, 118)의 제2 길이 L2와 다를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제3, 제4 에어 쿠션(116, 118)의 제2 길이 L2는, 제1, 제2 에어 쿠션(112, 114)의 제1 길이 L1보다 더 길 수 있다.
그 이유는, 십자형상의 에어백의 중심에서 좌석(20)의 등받이까지의 Y축 거리가 십자형상의 에어백의 중심에서 차문까지의 X축 거리가 더 짧은 타입의 차량 구조일 경우에 제3, 제4 에어 쿠션(116, 118)의 제2 길이 L2를 제1, 제2 에어 쿠션(112, 114)의 제1 길이 L1보다 더 길게 배치함으로써,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좌석(20)에 앉아 있는 탑승자(10)들간의 충돌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1, 제2 에어 쿠션(112, 114)은, 서로 동일한 제1 높이 h1를 가지고, 제3, 제4 에어 쿠션(116, 118)은, 서로 동일한 제2 높이 h2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2 에어 쿠션(112, 114)의 제1 높이 h1는, 제3, 제4 에어 쿠션(116, 118)의 제2 높이 h2와 동일할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경우에 따라, 제1, 제2 에어 쿠션(112, 114)의 제1 높이 h1는, 제3, 제4 에어 쿠션(116, 118)의 제2 높이 h2와 다를 수도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제2 에어 쿠션(112, 114)의 제1 높이 h1는, 제3, 제4 에어 쿠션(116, 118)의 제2 높이 h2보다 더 높을 수 있다.
그 이유는, 제1, 제2 에어 쿠션(112, 114)을 차량의 바닥까지 전개하고, 제3, 제4 에어 쿠션(116, 118)을 차량의 좌석(20)까지 전개함으로써, 서로 마주보는 좌석(20)에 앉아 있는 탑승자(10)들간의 머리 및 가슴 부분뿐만 아니라 다리 부분까지도 보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3, 제4 에어 쿠션(116, 118)은, 일측면이 서로 마주보며 접촉되고, 제1, 제2 에어 쿠션(112, 114)은, 일측면이 서로 마주보며 이격될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제1, 제2 에어 쿠션(112, 114)은, 일측면이 제3, 제4 에어 쿠션(116, 118)의 경계영역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 에어 쿠션(112, 114, 116, 118)의 상부면은, 좌석(20)의 목받이 상부면보다 더 높게 위치할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 이유는, 탑승자(10)들간의 충돌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1 내지 제4 에어 쿠션(112, 114, 116, 118)의 하부면은, 좌석(20)의 등받이 하부면보다 더 높게 위치할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 이유는, 에어백을 필요한 공간 부분만 전개하도록 전개 영역을 최소화함으로써, 빠르고 신속한 전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경우에 따라, 제1, 제2 에어 쿠션(112, 114)의 하부면은, 좌석(20)의 등받이 하부면보다 더 낮게 위치할 수도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 이유는, 서로 마주보고 앉아 있는 탑승자(10)들간의 충돌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1, 제2 에어 쿠션(112, 114)의 측면 면적은, 제3, 제4 에어 쿠션(116, 118)의 측면 면적과 동일할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경우에 따라, 제3, 제4 에어 쿠션(116, 118)의 측면 면적은, 제1, 제2 에어 쿠션(112, 114)의 측면 면적보다 더 넓을 수도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에어백 장치는, 서로 인접하는 에어 쿠션(110)들 사이에 연결되는 테더(tether)(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테더(120)는, 제1, 제3 에어 쿠션(112, 116) 사이를 연결하는 제1 테더(122), 제2, 제3 에어 쿠션(114, 116) 사이를 연결하는 제2 테더(124), 제2, 제4 에어 쿠션(114, 118) 사이를 연결하는 제3 테더(126), 그리고 제1, 제4 에어 쿠션(112, 118) 사이를 연결하는 제4 테더(128)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내지 제4 테더(122, 124, 126, 128)는, 서로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른 예로, 제1 내지 제4 테더(122, 124, 126, 12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면적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테더(120)는, 에어 쿠션(110)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 이유는, 차량 충돌 시에 탑승자(10)의 머리가 테더(120)와 에어 쿠션(110) 사이의 삼각형 형상의 공간 S에 끼일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테더(120)는, 서로 인접하는 에어 쿠션(110)들 사이의 접촉 경계면과의 거리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가까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테더(120)는,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2개의 에어 쿠션(110)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되고, 테더(120)와 에어 쿠션(110) 사이에는, 삼각형 형상의 공간 S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삼각형 형상의 공간 S은, 에어 쿠션(110)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 이유는, 차량 충돌 시에 탑승자(10)의 머리가 테더(120)와 에어 쿠션(110) 사이의 삼각형 형상의 공간 S에 끼일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테더(110)는, 표면에 실리콘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실리콘 코팅층은, 좌석을 마주하는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차량 충돌 시에 탑승자(10)의 얼굴이 상해를 입을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 예로, 실리콘 코팅층은, 좌석을 마주하는 표면 중 탑승자의 얼굴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차량 충돌 시에 탑승자(10)의 얼굴이 상해를 입을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함과 동시에 실리콘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테더(120)의 두께는, 에어 쿠션(110)의 두께보다 더 얇을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테더(120)는, 에어 쿠션(110)들이 전개될 때, 인플레이터 가스가 주입되지 않을 수 있다.
그 이유는, 에어백을 전개하기 위한 가스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도 탑승자 보호 영역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예로, 테더(120)는,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2개의 에어 쿠션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되고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테더와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테더를 포함하는 이중 테더일 수도 있다.
여기서, 내측 테더는, 외측 테더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잇다.
또한, 내측 테더는, 외측 테더의 면적보다 더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어, 외측 테더 및 내측 테더는, 에어 쿠션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테더(120)는, 상부 영역이 에어 쿠션(110)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넓어지는 제1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하부 영역이 에어 쿠션(110)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어지는 제2 테이퍼 형상을 가지며,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 사이의 중앙 영역이 에어 쿠션(110)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여기서, 테더(120)는, 중앙 영역의 면적이 상부 영역 또는 하부 영역의 면적보다 더 넓을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로, 테더(120)는, 내부에 가스가 채워지는 에어 테더일 수도 있다.
여기서, 에어 테더는, 에어 쿠션(110)들이 전개될 때, 인플레이터 가스가 주입될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에어 테더는, 에어 통로를 통해 에어 쿠션(110)과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에어 테더의 두께는, 에어 쿠션(110)의 두께보다 더 얇을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 쿠션을 열십자 형태로 전개하여 전개 체적을 최소화하고, 에어 쿠션 사이에 테더를 연결하여 탑승자들간의 충돌을 최소화함으로써, 에어백 전개성 및 탑승자 보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 쿠션 사이에 테더를 연결하여 에어 쿠션의 지지력을 강화하고 전체 공간을 쿠션으로 충당하지 않고도 탑승자들간의 충돌을 최소화함으로써,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2 실시예는, 테더의 구조만이 본 발명 제1 실시예와 다를 뿐, 나머지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 제2 실시예에서, 테더(120)는,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2개의 에어 쿠션(110)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되고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테더(120a)와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테더(120b)를 포함하는 이중 테더일 수 있다.
여기서, 내측 테더(120b)는, 외측 테더(120a)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잇다.
또한, 내측 테더(120b)는, 외측 테더(120a)의 면적보다 더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어, 외측 테더(120a) 및 내측 테더(120b)는, 에어 쿠션(110)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 제3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3 실시예는, 테더의 구조만이 본 발명 제1 실시예와 다를 뿐, 나머지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 제3 실시예에서, 테더(120)는, 상부 영역(120-1)이 에어 쿠션(110)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넓어지는 제1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하부 영역(120-2)이 에어 쿠션(110)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어지는 제2 테이퍼 형상을 가지며, 상부 영역(120-1)과 하부 영역(120-2) 사이의 중앙 영역(120-3)이 에어 쿠션(110)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여기서, 테더(120)는, 중앙 영역(120-3)의 면적이 상부 영역(120-1) 또는 하부 영역(120-2)의 면적보다 더 넓을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 제4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4 실시예는, 테더의 구조만이 본 발명 제1 실시예와 다를 뿐, 나머지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 제4 실시예에서, 테더(120)는, 내부에 가스가 채워지는 에어 테더일 수도 있다.
여기서, 에어 테더는, 에어 쿠션(110)들이 전개될 때, 인플레이터 가스가 주입될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에어 테더는, 에어 통로를 통해 에어 쿠션(110)과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에어 테더의 두께는, 에어 쿠션(110)의 두께보다 더 얇을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 쿠션을 열십자 형태로 전개하여 전개 체적을 최소화하고, 에어 쿠션 사이에 테더를 연결하여 탑승자들간의 충돌을 최소화함으로써, 에어백 전개성 및 탑승자 보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 쿠션 사이에 테더를 연결하여 에어 쿠션의 지지력을 강화하고 전체 공간을 쿠션으로 충당하지 않고도 탑승자들간의 충돌을 최소화함으로써,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탑승자
20: 차량 좌석
100: 에어백 장치
110: 에어 쿠션
112: 제1 에어 쿠션
114: 제2 에어 쿠션
116: 제3 에어 쿠션
118: 제4 에어 쿠션
120: 테더
122: 제1 테더
124: 제2 테더
126: 제3 테더
128: 제4 테더

Claims (7)

  1. 차량 내부의 천정에서 하부 방향으로 전개되는 복수의 에어 쿠션들;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상기 복수의 에어 쿠션들 사이에 연결되는 테더(tether)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에어 쿠션들은,
    상기 차량 내부 공간에서 X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에어 쿠션;
    상기 제1 에어 쿠션과의 동일선상에서 -X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에어 쿠션;
    상기 제1, 제2 에어 쿠션 사이에서 Y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 에어 쿠션; 그리고,
    상기 제3 에어 쿠션과의 동일선상에서 -Y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4 에어 쿠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2 에어 쿠션은 서로 마주하는 좌석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3, 4 에어 쿠션은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좌석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테더는,
    상기 제1, 제3 에어 쿠션 사이를 연결하는 제1 테더;
    상기 제2, 제3 에어 쿠션 사이를 연결하는 제2 테더;
    상기 제2, 제4 에어 쿠션 사이를 연결하는 제3 테더; 그리고,
    상기 제1, 제4 에어 쿠션 사이를 연결하는 제4 테더를 포함하며,
    상기 테더들과 상기 에어 쿠션들 사이에는 단면이 삼각형 형상인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테더 각각은 상기 복수의 에어 쿠션들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져, 차량 충돌시 상기 삼각형 형상의 공간에 탑승자의 머리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테더 각각은,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2개의 에어 쿠션들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되고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테더와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테더를 포함하는 이중 테더이며,
    상기 제1 내지 제4 테더의 좌석과 마주하는 표면 중 탑승자의 얼굴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실리콘 코팅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2 에어쿠션의 두께는 상기 제3, 4 에어쿠션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20074814A 2022-06-20 2022-06-20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2592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814A KR102592038B1 (ko) 2022-06-20 2022-06-20 차량용 에어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814A KR102592038B1 (ko) 2022-06-20 2022-06-20 차량용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2038B1 true KR102592038B1 (ko) 2023-10-20

Family

ID=88514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4814A KR102592038B1 (ko) 2022-06-20 2022-06-20 차량용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03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25641A1 (en) * 2016-02-05 2017-08-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airbag including hub and segments extending radially from the hub
US20180312082A1 (en) * 2017-04-27 2018-11-01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Vehicle interior and associated autonomous or semi-autonomous vehicle
KR20190021905A (ko) * 2017-08-24 2019-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20200088557A (ko) 2019-01-15 2020-07-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루프탑 에어백 장치
KR20210083515A (ko) * 2019-12-27 2021-07-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루프 에어백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25641A1 (en) * 2016-02-05 2017-08-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airbag including hub and segments extending radially from the hub
US20180312082A1 (en) * 2017-04-27 2018-11-01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Vehicle interior and associated autonomous or semi-autonomous vehicle
KR20190021905A (ko) * 2017-08-24 2019-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20200088557A (ko) 2019-01-15 2020-07-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루프탑 에어백 장치
KR20210083515A (ko) * 2019-12-27 2021-07-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루프 에어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0685B1 (ko) 차량용 에어백
KR102614143B1 (ko) 차량용 멀티 전방에어백 및 이를 이용한 에어백 전개시스템
US8702120B2 (en) Active bolster deployed from vehicle seat
RU2481209C2 (ru) Система модуля подушки безопасности
EP3266658B1 (en) Airbag apparatus
US8480123B2 (en) Center airbag cushion and center airbag module having the same
US20070108753A1 (en) Air bag with groove or recess, open or partially covered
US11400882B2 (en) Side airbag device
US7055853B2 (en) Side airbag apparatus
JP4383438B2 (ja) 効果的に配置されたくぼみを有するエアバッグ
JP6604707B2 (ja) 内部ディフューザを有するサイドエアバッグ
WO2012144404A1 (ja)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WO2018211894A1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6186542B1 (en) Compact knee bolster airbag assembly
JP2005335694A (ja) 自動車用オーバーヘッド・エアバッグ
US10053045B2 (en)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and vehicle seat
CN114312650A (zh) 用于车辆的乘员碰撞保护装置
KR102339066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2592038B1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US9580035B2 (en) Vehicle seat bottom with airbag module
WO2019039333A1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CN116061867A (zh) 膝部安全气囊装置
KR101294985B1 (ko) 에어백 장치의 쿠션
CN111886161B (zh) 安全气囊装置
KR20230055158A (ko) 차량의 루프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