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893B1 - 두피 케어 장치 - Google Patents

두피 케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893B1
KR102591893B1 KR1020210036396A KR20210036396A KR102591893B1 KR 102591893 B1 KR102591893 B1 KR 102591893B1 KR 1020210036396 A KR1020210036396 A KR 1020210036396A KR 20210036396 A KR20210036396 A KR 20210036396A KR 102591893 B1 KR102591893 B1 KR 102591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unit
scalp
container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1599A (ko
Inventor
여명권
Original Assignee
(주)톨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톨리코리아 filed Critical (주)톨리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36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893B1/ko
Publication of KR20220131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1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22Comb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liquids, pastes or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72Details
    • A46B11/0079Arrangements for preventing undesired leakage or dispensing
    • A46B11/0082Means for closing, sealing or controlling the flow using capillary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72Details
    • A46B11/0079Arrangements for preventing undesired leakage or dispensing
    • A46B11/0086Means for closing or sealing, e.g. toothpaste outlet when brush not in use thereby preventing leakage or drying ou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2Brush specifically designed for massaging the skin or scalp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Landscapes

  • Massaging Devic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두피 케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두피 케어 장치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에 결합하며, 상기 용기부에 수용된 상기 내용물을 두피에 전달하는 케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어부는, 상기 용기부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내용물의 토출 압력에 따라 변형되며 상기 내용물의 토출 여부를 제어하는 연질의 체크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두피 케어 장치{Scalp care device}
본 발명은 두피 케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체크밸브가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내용물의 토출 압력에 따라 변형되며 내용물의 토출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두피 케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두피는 다른 피부 조직과는 다르게, 피지선으로부터 과량의 유분이 공급되고, 모발을 생산하는 모낭이 분포되어 있으며, 모낭 속 모모 세포에 의해 헤어 사이클이 형성되어 발모와 탈모가 반복된다. 특히, 현대인들은 자연적인 탈모 이외에도, 각종 공해와 스트레스 또는 스타일링을 위한 제품(염색약, 스프레이 등)으로 인하여 두피가 약해지고, 탈모가 일어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두피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두피에 내용물을 도포하면서 동시에 마사지를 할 수 있는 장치들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장치들은 대부분 두피 케어 제품을 저장하는 용기에 브러시 등과 같은 마사지 도구를 결합한 형태로서, 두피 케어 제품의 역류 등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와, 이를 고정하기 위한 조립체 등 구성부품이 많고 조립공정이 복잡한 문제가 있다. 또한, 두피 케어 제품을 다 사용하고 난 후, 리필을 하기 위해서는 체크밸브가 포함된 용기를 통째로 교체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장치들은 용기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하여 펌프와 같은 토출 수단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고, 내용물을 끝까지 다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용물의 토출압력에 따라 변형되며 내용물의 토출 여부를 제어하는 연질의 체크밸브를 포함함으로써, 용기부에 대한 가압만으로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는 두피 케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두피 케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두피 케어 장치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에 결합하며, 상기 용기부에 수용된 상기 내용물을 두피에 전달하는 케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어부는, 상기 용기부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내용물의 토출 압력에 따라 변형되며 상기 내용물의 토출 여부를 제어하는 연질의 체크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어부는, 상기 용기부와 결합되되 상기 용기부와 연통 가능한 하우징; 내측에 상기 체크밸브를 수용하며 상기 용기부로부터 배출된 내용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내용물 이동부; 및 상기 내용물 이동부와 결합하며, 상기 내용물을 두피에 전달하는 브러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크밸브는,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밸브핀; 상기 밸브핀의 외경이 확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 이동부에 결합되는 걸림턱; 및 상기 밸브핀의 끝단이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며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용물 이동부에 접하는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용물 이동부는, 상기 용기부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이 이동하는 연통부; 및 상기 내용물을 상기 브러시부로 분배하는 분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통부는, 상기 체크밸브가 결합되는 밸브삽입공; 상기 밸브삽입공과 상기 연통부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연통공; 및 상기 체크밸브의 적어도 일부가 밀착되는 밀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용물의 토출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상기 체크밸브의 적어도 일부가 변형되며 상기 밀폐부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내용물 이동부로부터 상기 브러시부로 상기 내용물이 이동하고, 상기 내용물의 토출압력이 감소하는 경우, 변형된 상기 체크밸브의 적어도 일부가 복원되며 상기 밀폐부와 밀착됨으로써, 상기 내용물 이동부로부터 상기 브러시부로의 상기 내용물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배판은, 상기 연통부로부터 이동한 내용물을 상기 브러시부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용물 분배홈; 및 상기 내용물 분배홈의 주변 영역을 따라 돌출되는 누액방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누액방지돌기는, 상기 브러시부와 밀착됨으로써 상기 내용물 분배홈으로부터 상기 내용물의 누액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두피에 접촉하는 복수의 도포팁을 포함하며, 상기 도포팁 중 적어도 하나는 내부를 관통하는 내용물 토출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러시부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어부는, 상기 브러시부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어 상기 브러시부를 고정시키는 홀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부는 상기 케어부의 상단에 결합되되 상기 용기부의 입구가 상기 케어부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부에 대한 가압만으로도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어 조작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용물의 토출압력에 따라 변형가능한 연질의 체크밸브를 통하여 내용물의 토출 여부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구성이 간단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브러시부가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두피에 마사지 효과를 제공함과 동시에 두피에 과도한 자극이 가해져 상처 등이 생기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부가 케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용물 소진 시 용기부를 교체하여 리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부는 케어부 상단에 결합되되, 용기부의 입구가 케어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보관 및 사용시에 케어부가 용기부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여, 용기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잔여물 없이 모두 소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케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케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케어 장치 중 케어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케어 장치의 내용물 이동부의 앞면과 뒷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케어 장치의 용기 가압 전과 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케어 장치의 사용예시를 표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케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케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케어 장치의 일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케어 장치의 내용물 이동부의 앞면과 뒷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케어 장치(1000)는, 용기부(100), 케어부(200) 및 캡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부(100)는 용기본체(110) 및 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본체(110)는 내부에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내용물은, 예를 들어, 액체, 겔, 크림 타입 등의 두피 케어용 제품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화장품,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 등 케어부(200)를 통하여 토출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본체(110)는 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형상이 변화하며 내용물의 토출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연성 및/또는 탄성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본체(110)는 연성 및/또는 탄성 재질로 구성된 블로우 용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넥부(120)는 용기본체(110)의 일 측이 연장 형성된 부분으로, 케어부(200)와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기부(100)는 케어부(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내용물을 모두 소진했을 경우, 용기부(100)를 교체함으로써 리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넥부(12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케어부(200)에 이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용기부(100)와 케어부(200)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용기본체(100)와 케어부(200)는 나사 결합뿐만 아니라, 스냅온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넥부(120)의 직경은 케어부(2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용기부(100)가 케어부(200)에 결합 시, 케어부(200)에 의해 용기부(100)가 지지될 수 있다
케어부(200)는 용기부(100)에 결합하며 용기부(100)에 수용된 내용물을 두피에 전달하는 구성이다.
케어부(200)와 용기부(100) 결합 시, 케어부(200)의 상단에 용기부(1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용기부(100)는 용기부(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케어부(20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용기부(100)의 개방된 입구 부분(예를 들어, 넥부(120))이 케어부(200) 상단에 결합되도록, 용기부(100)를 거꾸로 뒤집어 케어부(200)에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장치의 보관 및 사용시 용기부(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항상 케어부(200)를 향하기 때문에, 작은 외력 만으로도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고, 용기본체(110) 내부에 잔여 내용물이 남는 것을 최소화하며 내용물을 끝까지 소진할 수 있다.
케어부(200)는 용기부(100)에 비해 직경이 넓은 형태로 형성되어, 케어부(200) 상단에 용기부(100)가 체결된 상태에서도 케어부(200)가 바닥면에 지지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두피 케어 장치(1000)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 케어부(200)가 용기부(100)를 지지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케어부(200)가 바닥면에 위치한 상태로 보관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이 간편하고, 사용을 위해 장치를 뒤집거나, 새로운 구성을 결합하는 동작 등을 하지 않고, 보관시 형태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조작이 간편하다.
실시예에 따라, 케어부(200)와 용기부(100)는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케어부(200)는 하우징(210), 내용물 이동부(220), 밸브(230), 브러시부(240) 및 홀더(25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용기부(100)와 연통 가능하고, 케어부(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케어부(200)의 다른 구성을 각각 적어도 일 부분 수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210)의 상측과 용기부(100)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210)은 일 측이 내측으로 함몰된 제 1 연장부(211)가 형성되고, 함몰된 제 1 연장부(211)와 넥부(120)가 결합하며, 용기부(100)의 일부가 하우징(210) 내측으로 삽입되며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연장부(211)에는 넥부(120)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 1 연장부(211)와 넥부(120)가 나사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용기부(100)와 케어부(200)는 다양한 방식과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210)은 제 1 연장부(211)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저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부(212)는 용기부(100)가 제 1 연장부(211) 내주면에 결합된 경우, 넥부(12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기저부(212)는, 제 1 연장부(211)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되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 1 고정돌기(도면부호 미도시)를 포함하여, 넥부(120)의 내측면과 밀착되며 넥부(120)를 측방에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용기부(100)가 측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용기부(100)와 하우징(210)이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210)에는 기저부(212)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연장부(213)는 내용물 이동부(220)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내용물 이동부(220)의 연결부(226) 내측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연장부(213) 외주면에 제 1 걸림돌기(도면부호 미도시)가 형성되고, 연결부(226)의 내주면에 이에 대응하는 제 2 걸림돌기(도면부호 미도시)가 형성되어, 제 1 걸림돌기(도면부호 미도시)와 제 2 걸림돌기(도면부호 미도시)가 서로 걸림으로써 하우징(210)과 내용물 이동부(220)가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나사결합, 홈-돌기 결합 등 다양한 종류의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하우징(210)은 하측으로 브러시부(240) 또는 홀더부(250)와 결합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브러시부(240)와 직접 결합하거나, 홀더부(250)에 의해 브러시부(240)와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210)의 내주면에는 홀더부(250)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214)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돌기(214)는 홀더부(250)의 테두리 상부면을 밀착 지지함으로써, 두피 케어 장치(1000)를 사용할 때, 가압에 의해 하우징(210) 및/또는 홀더부(250)가 변형되거나 홀더부(250)가 상측으로 이탈되어 하우징(210) 내측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210)에는 테두리 내주면을 따라 제 1 결합홈(2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홀더부(250)의 테두리 외주면에는 이에 대응하는 제 2 결합돌기(254)가 형성되어 제 1 결합홈(215)과 제 2 결합돌기(254)가 서로 맞물림으로써 하우징(210)에 홀더부(250)가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내용물 이동부(220)는 용기부(100)로부터 배출된 내용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부분으로, 연통부(221) 및 분배판(225)을 포함할 수 있다.
연통부(221)는 용기부(100)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이 이동하되, 체크밸브(230)에 의해 내용물의 이동이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연통부(221)는, 밸브삽입공(222), 연통공(223) 및 밀폐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삽입공(222)은 연통부(221)의 상단에 형성되어, 체크밸브(230)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삽입공(222)에 체크밸브(23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및 고정됨으로써, 체크밸브(230)가 내용물 이동부(220)에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밸브삽입공(222)과 연통부(221) 내주면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통공(223)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통부(221)의 상단 중앙에 밸브삽입공(222)이 형성되고, 밸브삽입공(222)의 주변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연통공(223)이 형성되어, 체크밸브(230)가 밸브삽입공(222)에 결합된 상태에서 연통공(223)을 통하여 용기부(100)로부터 연통부(221) 내측으로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연통부(221) 하측에는 체크밸브(230)의 적어도 일부(개폐부(233))가 밀착되는 밀폐부(224)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밀폐부(224)는 체크밸브(230)의 적어도 일부가 밀착됨으로써 연통부(221)를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의 토출을 제어할 수 있다. 밀폐부(224)는 체크밸브(230)(개폐부(23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체크밸브(230)와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분배판(225)은 연통부(221)로부터 이동하는 내용물을 브러시부(240)로 분배할 수 있다.
분배판(225)은 상측은 하우징(210)과 결합하며, 하측은 브러시부(240) 또는 홀더부(250)와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분배판(225)은, 연결부(226), 이격테두리(227), 내용물 분배홈(228) 및 누액방지돌기(229)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판(225)은 연결부(226)에 의해 하우징(210)과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226)는 분배판(225)의 상측으로 돌출되되 하우징(210)의 제 2 연장부(213)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 2 연장부(213)와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연결부(226)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제 2 연장부(213)와 결합을 위한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하우징(210)의 제 2 연장부(213) 외주면에는 이에 대응하는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연결부(226)와 제 2 연장부(213)가 서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우징(210) 및 내용물 이동부(220)가 서로 측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하우징(210)과 내용물 이동부(220)가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나사결합 등 다양한 종류의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분배판(225)은 홀더부(250)와 결합함으로써 브러시부(240)와 밀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분배판(225)의 외주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격테두리(227)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격테두리(227)는 홀더부(250)의 제 1 결합돌기(253)와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홀더부(250)는 브러시부(240)와 결합한 상태에서, 제 1 결합돌기(253)가 이격테두리(227) 사이의 공간에 삽입됨으로써 내용물 이동부(22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용물 이동부(220), 브러시부(240) 및 홀더부(250)는 견고히 밀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분배판(225)의 저면에는 연통부(221)로부터 이동한 내용물을 브러시부(240)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용물 분배홈(228)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물 분배홈(228)은, 일 측은 밀폐부(224)와 연통되되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분배판(225)의 외측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타측은 브러시부(240)의 내용물 토출로(242)와 연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통부(221)로부터 이동하는 내용물을 여러 방향으로 분배하여 브러시부(240)로 전달할 수 있다. 내용물 분배홈(228)이 복수개 형성될 경우, 하나의 경로를 통하여 내용물을 토출하는 것에 비해, 내용물을 여러 방향으로 고르게 분배할 수 있기 때문에, 내용물의 토출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분배판(225)의 저면에는, 누액방지돌기(229)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누액방지돌기(229)는 내용물 분배홈(228)의 주변 영역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용물 이동부(220)가 브러시부(240)와 결합될 때, 누액방지돌기(229)가 브러시부(240)를 가압하며 밀착됨으로써, 내용물 분배홈(228)으로부터 내용물이 누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체크밸브(230)는 내용물의 토출 여부를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내용물의 토출 압력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체크밸브(230)는 밸브핀(231), 걸림턱(232) 및 개폐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핀(231)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형성될 수 있다. 체크밸브(230)의 밸브핀(231)이 축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띔으로써 큰 부피를 차지하지 않고 장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용기부(100)와 케어부(200)가 결합될 때, 용기부(100)의 입구가 호일 또는 버진씰 등의 실링 부재로 밀봉되어 있을 경우, 밸브핀(231)은 이러한 실링 부재를 파열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링지 등을 수동으로 개봉하지 않고 단지 용기부(100)를 케어부(200)에 결합하는 동작만으로도 두피 케어 장치(1000)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밸브핀(231)은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걸림턱(232)은 체크밸브(230)가 내용물 이동부(2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실시예에 따라 밸브핀(231)의 외경이 확장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턱(232)의 외경이 밸브삽입공(222)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걸림턱(232)이 밸브삽입공(222)에 걸림으로써 체크밸브(230)가 밸브삽입공(222)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결합될 수 있다.
개폐부(233)는 내용물의 토출 압력에 의해 변형되며 내용물 이동부(220)로부터 브러시부(240)로의 내용물 이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개폐부(233)는 밸브핀(231)의 끝단이 외측 방향으로 벌어진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개폐부(233)에 외력 또는 내용물에 의한 토출 압력이 가해질 경우, 개폐부(233)는 안쪽으로 오므라들며 변형될 수 있다. 개폐부(233)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개폐부(233)의 적어도 일부는 내용물 이동부(220), 구체적으로 밀폐부(224)에 접할 수 있다. 개폐부(233)가 밀폐부(224)에 접한 경우, 내용물의 이동이 통제되며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개폐부(233)가 밀폐부(224)로부터 이격되면 내용물이 브러시부(240)로 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개폐부(233)의 외면은 밀폐부(224)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밀폐부(224)와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내용물의 토출 압력이 증가할 경우(내용물이 개폐부(233)를 변형시킬 수 있는 압력으로 개폐부(233)를 가압할 경우), 개폐부(233)의 형상이 변형되면서 밀폐부(224)와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용물이 밀폐부(224)와 개폐부(233)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이동하고, 내용물 분배홈(228)을 통해 브러시부(240)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내용물의 토출 압력이 감소할 경우, 개폐부(233)의 복원력이 내용물의 토출 압력보다 커지게 되면, 변형되었던 개폐부(233)가 복원되며 다시 밀폐부(224)와 밀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폐부(224)와 개폐부(233) 사이의 이격 공간이 밀폐되며 내용물 이동부(220)로부터 브러시부(240)로의 내용물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브러시부(240)는 내용물 이동부(220)와 결합하여 내용물을 두피에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브러시부(240)는 적어도 일부가 연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브러시부(240)는 도포팁(241), 내용물 토출로(242) 및 이탈방지홈(243)을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부(240)에는 복수의 도포팁(241)이 형성될 수 있다. 도포팁(241)은 두피에 접촉하는 부분으로,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두피에 접촉할 때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포팁(241)을 통해 두피를 마사지할 때, 보다 부드러운 촉감을 느낄 수 있음과 동시에 넓은 면적을 마사지할 수 있으며, 또한, 두피 마사지 중, 의도치 않게 두피 케어 장치(1000)에 강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도포팁(241)에 의해 두피가 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브러시부(240)의 도포팁(241)에는 적어도 하나의 내용물 토출로(242)가 형성될 수 있다. 내용물 토출로(242)는, 브러시부(240) 상단으로부터 도포팁(241)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며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용물 토출로(242)는 내용물 분배홈(228)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용물 분배홈(228)을 통해 이동한 내용물이 내용물 토출로(242)를 통과하여 도포팁(241)의 끝단을 통하여 토출될 수 있다. 이때, 도포팁(241)이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용기부(100)를 가압하여 내용물의 토출 압력이 높아질 경우, 내용물의 압력에 의해 내용물 토출로(242)의 직경이 증가하며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용기부(100)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면, 체크밸브(230)가 밀폐부(224)를 밀폐하면서 내용물 토출로(242)에 가해지던 내용물의 토출 압력이 낮아지게 되고, 내용물 토출로(242)의 복원력이 내용물의 토출 압력보다 커지면서 내용물 토출로(242)의 직경이 복원되어 내용물의 토출량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브러시부(240)를 두피에 접촉시켜 마사지를 수행할 때, 도포팁(241)이 변형되면서 내용물 토출로(242)의 직경이 변화함으로써, 마사지 중 두피에 의도치 않게 다량의 내용물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브러시부(240)에는 적어도 하나의 이탈방지홈(243)이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홈(243)은, 브러시부(240)의 저면에 형성되되 도포팁(241)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홀더부(250)에는 이탈방지홈(243)과 대응하는 이탈방지돌기(252)가 형성되어, 이탈방지홈(243)에 이탈방지돌기(252)가 삽입될 수 있다.
홀더부(250)는 브러시부(240)의 하측에 배치되되 하우징(210)과 결합하여 브러시부(24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브러시부(240)는 하우징(210)과 직접 결합할 수 있고, 홀더부(250)를 통해 하우징(210)과 결합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홀더부(250)에는 복수의 도포팁(241)에 대응하는 복수의 결합공(251)이 형성될 수 있다. 브러시부(240)와 홀더부(250)가 결합할 때, 복수의 도포팁(241)이 복수의 결합공(251)에 삽입되며 브러시부(240)가 홀더부(250)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홀더부(250)는 브러시부(240)의 이탈방지홈(243)과 대응하는 이탈방지돌기(2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돌기(252)는 이탈방지홈(243)에 삽입 고정되어, 브러시부(24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홀더부(250)는 결합공(251)을 통하여 브러시부(240)를 1차 고정하고, 이탈방지돌기(252)를 통하여 2차 고정함으로써 브러시부(240)가 케어부(200) 내측에서 이탈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홀더부(250)는 내용물 이동부(220)와 결합할 수 있다. 홀더부(250)는 내용물 이동부(220)와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해 제 1 결합돌기(25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결합돌기(253)는 홀더부(250)의 테두리 내주면에 형성되어, 내용물 이동부(220)의 상부면에 걸림으로써 내용물 이동부(220)를 홀더부(25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홀더부(250)는 브러시부(240)와 결합한 상태에서, 제 1 결합돌기(253)가 이격테두리(227) 사이의 공간에 삽입됨으로써 내용물 이동부(220)와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용물 이동부(220), 브러시부(240) 및 홀더부(250)는 견고히 밀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홀더부(250)는 하우징(210)과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홀더부(250)의 테두리 외주면에는 제 2 결합돌기(254)가 형성되어, 하우징(210)의 제 1 결합홈(215)에 삽입됨으로써 홀더부(250)와 하우징(210)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나사 결합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홀더부(250)는 캡부(300)와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홀더부(250) 외주면에는 제 3 결합돌기(255)가 형성되고, 캡부(300)에는 제 3 결합돌기(255)와 대응되는 제 2 결합홈(310)이 형성되어, 홀더부(250)와 캡부(30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홀더부(250)와 브러시부(240), 내용물 이동부(220), 캡부(300)와의 결합구조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캡부(300)는 케어부(200)의 하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어부(200)를 밀폐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케어 장치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용기본체(110)를 가압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용기본체(110)에 저장된 내용물을 토출시키고, 도포팁(241)을 이용하여 두피에 대한 내용물의 도포 및 마사지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사용자가 용기본체(110)를 가압하기 전에는 체크밸브(230)의 개폐부(233)가 밀폐부(224)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내용물이 브러시부(240)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인데, 사용자가 용기본체(110)를 가압하면, 내용물의 토출 압력이 높아지게 되어 개폐부(233)를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개폐부(233)가 하측으로 변형되어 밀폐부(224)와 개폐부(233) 사이에 이격 공간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밀폐부(224)와 개폐부(233)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내용물이 이동하고, 내용물은 내용물 분배홈(228)을 지나 내용물 토출로(242)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 이때, 내용물 토출로(242)는 도포팁(241)을 관통하며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도포팁(241)이 두피에 접촉된 상태로 두피 케어 장치(1000)를 이동하여 내용물을 두피에 도포함과 동시에 두피에 대한 마사지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브러시부(240)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포팁(241)은 두피에 접촉한 상태로 변형되며 두피를 마사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보다 부드러운 촉감을 느낄 수 있음과 동시에 넓은 면적을 마사지할 수 있으며, 또한 두피 마사지 중, 의도치 않게 두피 케어 장치(1000)에 강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도포팁(241)에 의해 두피가 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 후에는 용기본체(110)가 케어부(200)의 상단에 결합된 상태 그대로, 케어부(200)를 바닥에 놓은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보관 중에도 내용물이 항상 케어부(200)를 향하고 있기 때문에, 작은 외력으로도 내용물을 용이하게 토출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용기부 110: 용기본체
120: 넥부 200: 케어부
210: 하우징 211: 제 1 연장부
212: 기저부 213: 제 2 연장부
214: 지지돌기 215: 제 1 결합홈
220: 내용물 이동부 221: 연통부
222: 밸브삽입공 223: 연통공
224: 밀폐부 225: 분배판
226: 연결부 227: 이격테두리
228: 내용물 분배홈 229: 누액방지돌기
230: 체크밸브 231: 밸브핀
232: 걸림턱 233: 개폐부
240: 브러시부 241: 도포팁
242: 내용물 토출로 243: 이탈방지홈
250: 홀더부 251: 결합공
252: 이탈방지돌기 253: 제 1 결합돌기
254: 제 2 결합돌기 255: 제 3 결합돌기
300: 캡부 310: 제 2 결합홈
1000: 두피 케어 장치

Claims (11)

  1. 두피 케어 장치로서,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에 결합하며, 상기 용기부에 수용된 상기 내용물을 두피에 전달하는 케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어부는,
    상기 용기부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내용물의 토출 압력에 따라 변형되며 상기 내용물의 토출 여부를 제어하는 연질의 체크밸브;
    내측에 상기 체크밸브를 수용하며 상기 용기부로부터 배출된 내용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내용물 이동부; 및
    상기 내용물 이동부와 결합하며, 상기 내용물을 두피에 전달하는 브러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두피에 접촉하는 복수의 도포팁을 포함하되, 상기 도포팁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내용물 토출로가 형성되고, 상기 내용물 이동부에는 상기 내용물 토출로와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용물 분배홈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부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 분배홈에 의해 분배된 뒤 상기 내용물 토출로를 통해 토출되는, 두피 케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어부는,
    상기 용기부와 결합되되 상기 용기부와 연통 가능한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두피 케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밸브핀;
    상기 밸브핀의 외경이 확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 이동부에 결합되는 걸림턱; 및
    상기 밸브핀의 끝단이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며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용물 이동부에 접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두피 케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이동부는,
    상기 용기부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이 이동하는 연통부; 및
    분배판을 포함하며,
    상기 내용물 분배홈은 상기 분배판에 형성되는, 두피 케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상기 체크밸브가 결합되는 밸브삽입공;
    상기 밸브삽입공과 상기 연통부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연통공; 및
    상기 체크밸브의 적어도 일부가 밀착되는 밀폐부를 포함하는, 두피 케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의 토출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상기 체크밸브의 적어도 일부가 변형되며 상기 밀폐부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내용물 이동부로부터 상기 브러시부로 상기 내용물이 이동하고,
    상기 내용물의 토출압력이 감소하는 경우, 변형된 상기 체크밸브의 적어도 일부가 복원되며 상기 밀폐부와 밀착됨으로써, 상기 내용물 이동부로부터 상기 브러시부로의 상기 내용물 이동이 차단되는, 두피 케어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판은,
    상기 내용물 분배홈의 주변 영역을 따라 돌출되는 누액방지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누액방지돌기는, 상기 브러시부와 밀착됨으로써 상기 내용물 분배홈으로부터 상기 내용물의 누액을 방지하는, 두피 케어 장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부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두피 케어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어부는, 상기 브러시부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어 상기 브러시부를 고정시키는 홀더부를 더 포함하는, 두피 케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상기 케어부의 상단에 결합되되 상기 용기부의 입구가 상기 케어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두피 케어 장치.
KR1020210036396A 2021-03-22 2021-03-22 두피 케어 장치 KR102591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396A KR102591893B1 (ko) 2021-03-22 2021-03-22 두피 케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396A KR102591893B1 (ko) 2021-03-22 2021-03-22 두피 케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599A KR20220131599A (ko) 2022-09-29
KR102591893B1 true KR102591893B1 (ko) 2023-10-23

Family

ID=83462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396A KR102591893B1 (ko) 2021-03-22 2021-03-22 두피 케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89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851B1 (ko) * 2018-03-12 2019-05-31 주식회사 달리팩 후방 브러시에 차단벽을 형성하여 전방브러시와 후방브러시 사이에 모발 제품 임시저장공간을 갖는 모발 제품 도포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033Y1 (ko) * 2010-09-20 2012-12-06 부국티엔씨(주) 화장브러쉬를 포함한 튜브용기의 배출장치
KR101794514B1 (ko) * 2016-03-09 2017-11-08 (주)아모레퍼시픽 모발 염색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851B1 (ko) * 2018-03-12 2019-05-31 주식회사 달리팩 후방 브러시에 차단벽을 형성하여 전방브러시와 후방브러시 사이에 모발 제품 임시저장공간을 갖는 모발 제품 도포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599A (ko)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5091Y1 (ko) 내용물출구 개폐가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1710887B1 (ko) 화장품 흡수를 위한 피부 자극기
EP3287037B1 (en) Needle array-equipped cosmetics container
CN107404988B (zh) 可涂敷液体的头皮护理容器用盖
KR101858427B1 (ko) 액체 도포가 가능한 두피 케어용기용 마개
JP2008110228A (ja) 化粧製品の包装及び分与装置
KR20150002886U (ko) 버튼부재 측면에 탈부착되는 도포부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CN111759072B (zh) 化妆品容器
KR101845460B1 (ko) 액체 도포 마개
KR101893074B1 (ko) 두피 케어 용기
US20140286690A1 (en) Product dispensing head for a container and associated dispensing device
KR102209696B1 (ko) 선택적 토출이 가능한 두피 관리용 화장품용기
KR102591893B1 (ko) 두피 케어 장치
KR101237448B1 (ko) 연질 브러시를 갖는 튜브형 액상 화장품 용기
KR200492726Y1 (ko) 내용물 용기
KR102614811B1 (ko) 개인용 케어 장치
JP2022535154A (ja) 流体分配デバイス
KR102219673B1 (ko) 용기 세트
KR101876759B1 (ko) 이종 화장품을 저장함과 아울러 맛사지 기능을 가지는 튜브형 화장품용기
KR102036479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2134295B1 (ko) 화장품 용기
KR102370597B1 (ko) 스펀지 타입의 토출부를 구비한 화장품
US20230090075A1 (en) Container
KR102234043B1 (ko) 토출량 조절을 위한 액체 토출 용기
KR200493643Y1 (ko) 파우치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