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853B1 - 공조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853B1
KR102591853B1 KR1020210174215A KR20210174215A KR102591853B1 KR 102591853 B1 KR102591853 B1 KR 102591853B1 KR 1020210174215 A KR1020210174215 A KR 1020210174215A KR 20210174215 A KR20210174215 A KR 20210174215A KR 102591853 B1 KR102591853 B1 KR 102591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processing device
louv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4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8589A (ko
Inventor
현진수
배세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7/742,65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373197A1/en
Priority to EP22173506.1A priority patent/EP4098950A1/en
Priority to CN202210555881.8A priority patent/CN115388542A/zh
Priority to JP2022082832A priority patent/JP2022180325A/ja
Publication of KR20220158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8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9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mbined with domestic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지면 또는 천정면에 수직한 일측면에 제1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흡입구에 수직한 타측면에 제1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하여 상기 제1토출구로 보내는 제1공기처리장치, 및, 상기 제1토출구와 나란한 방향으로 개구된 제2토출구와, 상기 제1흡입구와 나란한 방향으로 개구된 제2흡입구가 형성되는 제2공기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 및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가 운전되는 복합운전모드로 동작하거나,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 또는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가 운전되는 독립운전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조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공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공기처리장치(air processing apparatus)를 포함하는 공조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공조기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는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인간에게 더욱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가 포함되며,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수행하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어, 실내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스탠드형 실내기, 벽걸이형 실내기, 및 천장형 실내기 등의 실내기가 실내공간에 배치되어, 실내공간에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함으로써, 실내공간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를 통과시켜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는 장치이다. 공기청정기는, 주로 실내공간의 바닥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고, 실내공간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공조기기로 공조시스템을 구성하고, 공조시스템 내 기기들을 연동 제어하여, 효과적으로 실내 공조를 수행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선행문헌1(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06608호, 공개일자 2019년9월18일)은, 다양한 공기조화장치들의 작동을 통해 실내 공기 환경을 최적으로 맞출수 있는 실내 공기조화 통합 제어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선행문헌2(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22523호, 공개일자 2005년12월29일)는, 냉난방 장치와, 환기 장치 및 공기 정화 장치 모두를 통합 관리하고 연동 제어할 수 있는 공조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문헌들에서는 공기조화기와 공기청정기는, 물리적으로 서로 이격배치된다. 따라서, 공기조화기와 공기청정기의 배치 형태에 따라서 공조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 등 일부 기기의 위치가 이동되거나 위치 판별이 부정확한 경우에, 연동 제어에 어려움이 발생하거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가 열교환된 공기를 배출하는 영역과 공기청정기가 필터링된 공기를 배출하는 영역에서 차이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영역에 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공기청정기에 사용되는 헤파필터를 공기조화기에 설치하면, 열교환기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에 저항을 발생하여,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들에서는 공기조화기와 공기청정기가 별도로 구비되므로, 필터류 등을 별도로 관리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나란한 방향으로 토출구가 형성되는 복수의 공기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실내공기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공조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온도조절된 공기와 필터링된 공기를 빠르게 실내순환시킬 수 있는 공조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것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외기의 영향을 감소시켜, 실내온도를 효과적으로 유지하고 에너지 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공조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것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공기처리장치가 자동으로 연동 동작함으로써, 효율적인 공조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공조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내공기 정보를 활용하여 최적의 운전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공조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실내공간으로, 온도조절된 공기와 공기청정된 공기를 동시에 공급하는 공조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천장에 배치되는 공기처리장치에 장착되는 필터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공조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자동으로 이동하며 필터를 청소하는 필터청소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공기처리장치에 배치되는 프리필터를 간편하게 청소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공조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천장에 배치되는 공기처리장치에 장착되는 프리필터를 청소하는 필터청소기의 먼지통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공조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필터청소기의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충전시킬 수 있는 공조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은, 나란한 방향으로 토출구가 형성되는 복수의 공기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실내공기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은, 나란한 방향으로 토출구가 형성되는 복수의 공기처리장치들을 실내상태에 따라 독립적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동작시켜, 실내상태에 적합한 공조가 가능하다.
상기 또는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은, 나란한 방향으로 흡입구가 형성되는 복수의 공기처리장치가 구비하는 프리필터를 필터청소기로 청소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지면 또는 천정면에 수직한 일측면에 제1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흡입구에 수직한 타측면에 제1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하여 상기 제1토출구로 보내는 제1공기처리장치, 및, 상기 제1토출구와 나란한 방향으로 개구된 제2토출구와, 상기 제1흡입구와 나란한 방향으로 개구된 제2흡입구가 형성되는 제2공기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 및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가 운전되는 복합운전모드로 동작하거나,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 또는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가 운전되는 독립운전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내공간의 공기상태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상기 복합운전모드 또는 상기 독립운전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실내온도가 난방기준온도 이하이고, 공기질데이터가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는 난방운전하고,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는 상기 제2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여 상기 제2토출구로 보내는 공기청정운전하며, 상기 실내온도가 상기 난방기준온도 이하이고, 상기 공기질데이터가 상기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가 난방운전할 수 있다.
실내온도가 냉방기준온도 이상이고, 공기질데이터가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는 냉방운전하고,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는 상기 제2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여 상기 제2토출구로 보내는 공기청정운전하며, 상기 실내온도가 상기 냉방기준온도 이상이고, 상기 공기질데이터가 상기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가 냉방운전할 수 있다.
실내온도가 난방기준온도보다 높고 냉방기준온도 미만이며, 공기질데이터가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는 상기 제2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여 상기 제2토출구로 보내는 공기청정운전할 수 있다.
실내온도가 냉방기준온도 미만이고, 공기질데이터가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는 냉방운전하고,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는 상기 제2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여 상기 제2토출구로 보내는 공기청정운전하며, 상기 실내온도가 상기 냉방기준온도 이상이고, 상기 공기질데이터가 상기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가 냉방운전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는 상기 제1흡입구에 배치되는 제1프리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는 상기 제2흡입구에 배치되는 제2프리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와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는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 및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의 일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레일, 운전이 정지되면, 자동으로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1프리필터 및 상기 제2프리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청소하는 필터청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배치되는 복수개의 감지대상물이 배치되고, 상기 필터청소기는, 구비하는 센서에서 감지되는 감지대상물에 기초하여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 또는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 운전 중일 때, 운전 중인 공기처리장치에 대응하는 구간에 상기 필터청소기가 진입하면, 상기 운전 중인 공기처리장치는 상기 필터청소기가 상기 대응하는 구간을 통과하는 동안에 운전을 일시정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청소기의 일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단부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청소기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전원이 공급되는 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플레이트는, 상기 필터청소기의 연결단자에 접속되는 충전단자, 및, 상기 연결단자와 상기 충전단자가 접속되면, 상기 충전단자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청소기는, 이물질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먼지통장치, 및 상기 먼지통장치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먼지통가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먼지통장치와 상기 먼지통가이더는 마그넷으로 결합되어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는, 상기 제2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장치, 상기 필터장치 하측을 개폐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가 열리면 상기 필터장치를 하강시키는 필터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는, 상기 필터장치와 결합되는 필터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장치가 상기 필터장착부와 분리되었다가 재결합되면, 상기 필터구동장치는 상기 필터장치 및 상기 필터장착부를 상승시키고, 상기 필터장착부가 상승 전의 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커버를 닫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상기 필터장치의 교체알림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필터장치의 교체 입력을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는, 상기 필터장치의 교체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장치의 교체 입력에 따라 상기 커버를 열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는, 상기 제1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하는 제1루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는, 상기 제2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하는 제2루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루버와 상기 제2루버는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복합운전모드에서, 상기 제1루버의 배치형태에 따라 상기 제2루버의 배치형태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복합운전모드에서,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가 난방 운전하면, 상기 제1루버와 상기 제2루버는 수직풍을 형성하는 제1방향으로 회전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가 냉방 운전하면, 상기 제1루버와 상기 제2루버는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내공간의 재실정보에 기초하여, 운전되는 공기처리장치의 개수, 및, 풍향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는, 상기 제1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는, 상기 제2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나란한 방향으로 토출구가 형성되는 복수의 공기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실내공기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온도조절된 공기와 필터링된 공기를 빠르게 실내순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외기의 영향을 감소시켜, 실내온도를 효과적으로 유지하고 에너지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복수의 공기처리장치가 자동으로 연동 동작함으로써, 효율적인 공조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온도조절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처리장치와 필터링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처리장치를 좌우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하여, 실내공간의 공기청정과 온도조절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1공기처리장치와 제2공기처리장치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토출구에 배치된 루버가 개별적으로 구동되므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고려하여, 토출방향을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실내공간의 공기순환을 빠르게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1공기처리장치와 제2공기처리장치 각각에 배치되는 프리필터를 하나의 필터청소기로 청소할 수 있어, 프리필터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2공기처리장치에 배치되는 필터장치가 필터구동장치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필터장치로 접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필터청소기의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충전시킬 수 있는 공조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공기처리장치와, 제2공기처리장치와 필터청소기가 실내에 배치된 상태의 일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공기처리장치, 또는 제2공기처리장치의 후방에 배치되는 필터청소기를 설명하기 위한 일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공기처리장치와, 제2공기처리장치와, 이들의 후방에 배치되는 가이드레일을 설명하기 위한 일측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후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공기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후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X1-X1'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X2-X2'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X3-X3'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커버와 루버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후면도이다.
도 14a는 도 13의 Y1-Y1'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14b는 도 13의 Y2-Y2'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후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Y3-Y3'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8a는 제1위치에서의 제1루버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8b는 제2위치에서의 제1루버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8c는 제3위치에서의 제1루버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공기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분해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저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Z1-Z1'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A의 확대도이다.
도 24는 도 21의 Z2-Z2'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커버의 일측사시도이다.
도 25b는 도 25a의 타측 사시도이다.
도 2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어퍼하우징의 일측사시도이다.
도 26b는 도 26a의 측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로어하우징의 일측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착부와 필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착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21의 Z3-Z3'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2은 도 21의 Z4-Z4'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3a는 제2바텀커버가 후방에 배치되는 상태에서, 제2바텀커버, 필터장착부, 및 필터장치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3b는 도 33a의 일측 단면도이다.
도 34a는 제2바텀커버가 전방에 배치되는 상태에서, 제2바텀커버, 필터장착부, 및 필터장치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4b는 도 34a의 일측 단면도이다.
도 35a는 제2바텀커버가 전방에 배치되고 필터장착부가 하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2바텀커버, 필터장착부, 및 필터장치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5b는 도 35a의 일측 단면도이다.
도 35c는 도 35a의 또 다른 일측의 단면도이다.
도 36은 도 4의 일측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38은 도 37의 타측 사시도이다.
도 39는 도 37의 정면도이다.
도 39는 도 37의 일측면도이다.
도 41은 도 37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2은 도 41의 타측 분해사시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하우징과 제1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의 일측 사시도이다.
도 44는 도 43의 배면도이다.
도 45는 도 43의 일측면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판과 구획판에 배치되는 구성의 일측사시도이다.
도 47은 도 46의 타측사시도이다.
도 48은 도 46의 배면도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통장치의 일측 사시도이다.
도 50은 도 49의 평면도이다.
도 51은 도 50의 X-X'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2는 도 49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3은 필터청소기에서 먼지통장치와 먼지통장착부가 하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4는 도 53에서 먼지통장치가 필터청소기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모듈 확장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5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청소기 및 충전시스템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6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원격제어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62와 도 6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통신구조 및 원격제어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청소기의 이동 및 청소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운전 중 청소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0 내지 도 7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청소기의 충전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청소기의 위치 판별 및 이동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공기처리장치의 필터 교체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청소기의 알림램프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3 내지 도 8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기류제어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0과 도 9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재실정보에 기초한 기류제어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등의 용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도면들에서 표시된 상(U), 하(D), 좌(Le), 우(Ri), 전(F) 및 후(R)의 방향표시는,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준이 변경되면, 상기의 방향도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조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공조시스템은,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하여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1공기처리장치(100)와 제1공기처리장치(100)의 일측에 배치되고,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2공기처리장치(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공조시스템은, 복수의 공기처리장치(100a, 100b, 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공조시스템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1공기처리장치(100a, 100b)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2공기처리장치(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공조시스템은, 복수의 공기처리장치(100a, 100b, 200) 각각의 흡입구(102a, 202a)가 형성된 면을 따라 이동하며, 각각의 흡입구(102a, 202a)에 배치되는 프리필터(188, 288)를 청소하는 필터청소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시스템은, 하나의 제2공기처리장치(200)와, 제2공기처리장치(200) 양측에 배치되는 2개의 제1공기처리장치(100)를 포함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제1공기처리장치(100)와 제2공기처리장치(200)의 개수 및 배치가 다르게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공조시스템은, 제1공기처리장치(100)와 제2공기처리장치(200) 각각의 후방에 배치되고, 필터청소기(3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0)을 포함한다.
제1공기처리장치(100)와 제2공기처리장치(200) 각각의 후방면 상단에는, 필터청소기(300)의 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레일(116, 244)이 배치될 수 있다.
지지레일은, 제1공기처리장치(100)에 배치되는 제1지지레일(116)과 제2공기처리장치(200)에 배치되는 제2지지레일(244)로 구분될 수 있다.
제1지지레일(116)은, 이하에서 설명할 제1공기처리장치(100)의 제1리어커버(114, 도 8 참조)와 일체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레일(244)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2공기처리장치(200)의 제2리어커버(242, 도 23 참조)와 일체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0)은, 제1리어커버(114)와 제2리어커버(242)의 후방에 배치된다. 가이드레일(10)은 제1흡입구(102a)와 제2흡입구(202a)의 상측에 배치된다. 가이드레일(10)은, 제1리어커버(114)와 제2리어커버(242)의 후방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가이드레일(10)은, 제1리어커버(114)의 제1레일체결돌기(117)와, 제2리어커버(242)의 제2레일체결돌기(245)의 하측에 고정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0)은, 필터청소기(300)의 이동기어(미도시)와 맞물리도록 나사산을 형성하는 기어레일(20)과 필터청소기(300)의 가이드롤러(미도시)와 접촉하는 롤러레일(22)을 포함한다.
롤러레일(22)은, 기어레일(20)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롤러레일(22)은, 상하방향 양측에 배치된다. 기어레일(20)은, 롤러레일(22)의 전방에 배치된다. 기어레일(20)은, 가이드레일(10)의 하측면에서 형성되고, 랙기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레일(10)을 후방에서 바라볼 때, 롤러레일(22)에 의해 기어레일(20)이 가려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레일(10)의 후방면에는, 레일홈(24)이 형성된다. 레일홈(24)은, 전방으로 오목하게 패인 형상을 가지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된다. 레일홈(24)에는, 감지대상물(26)가 배치된다. 감지대상물(26)는,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감지대상물(26)는, 필터청소기(300)에 배치되는 센서(미도시)에 의해 필터청소기(3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감지대상물(26)는, 센서(322)에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가 스위치 센서인경우, 감지대상물(26)는, 후방으로 돌출된 돌기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센서가 홀센서인 경우, 감지대상물(26)는 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0)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에는, 필터청소기(300)의 일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단부플레이트(28)가 배치된다. 단부플레이트(28)는, 가이드레일(10)이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단부플레이트(28)는, 리어커버(114)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단부플레이트(28)에는, 필터청소기(300)의 연결단자(320)와 접촉되는 충전단자(30)가 배치된다. 단자는, 단부플레이트(28)에서 가이드레일(1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필터청소기(300)가 단부플레이트(28)에 밀착될 때, 필터청소기(300)의 연결단자(320)와 충전단자(30)가 서로 접촉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1공기처리장치>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8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공기처리장치를 설명한다.
제1공기처리장치(100)는, 유동하는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제1공기처리장치(100)는, 일측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제1흡입구(102a)가 형성되고, 제1흡입구(102a)에 수직한 타측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제1토출구(102b)가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흡입구(102a)는, 지면 또는 천장면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제1토출구(102b)는, 하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제1흡입구(102a)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공기처리장치(100)는, 내부에 공기유동을 형성시키는 제1팬(182)과, 제1팬(182)을 회전시키는 제1팬모터(184)와,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가 유동하는 열교환기(186)을 포함한다. 제1공기처리장치(100)는, 외형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102)와, 제1케이스(102)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1하우징(132)을 포함한다. 제1공기처리장치(100)는, 제1케이스(102)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제1토출구(102b)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제1루버(150)와 제1루버(150)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제1루버구동장치(174)를 포함한다.
제1공기처리장치(100)는, 제1팬모터(184)의 작동을 조절하거나, 제1루버구동장치(174)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1컨트롤박스(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케이스>
도 6을 참조하면, 제1케이스(102)는, 천장에 고정되는 제1어퍼커버(104), 제1어퍼커버(104)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로어커버(106), 제1흡입구(102a)를 형성하고, 제1프리필터(188)가 장착되는 제1리어커버(114), 제1리어커버(114)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배치되는 제1프론트커버(118), 제1로어커버(106)의 양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사이드커버(128)를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케이스(102)는, 제1로어커버(106)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바텀커버(130)를 더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리어커버(114)에는, 제1흡입구(102a)가 형성된다. 제1리어커버(114)의 외측면에는 가이드레일(10)이 장착될 수 있다. 제1리어커버(114)의 하부에는, 제1흡입구(102a)가 형성된다. 제1리어커버(114)에 형성된 제1흡입구(102a)에는 제1프리필터(188)가 장착된다. 제1리어커버(114)에는, 필터청소장치(3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0)과 제1지지레일(116)이 장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이드레일(10)은, 제1흡입구(102a)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1지지레일(116)은, 제1리어커버(114)의 상단에 배치된다. 가이드레일(10)은, 제1리어커버(114)와 별개의 구성일 수 있다. 제1지지레일(116)은, 제1리어커버(114)와 일체로 형성된 구성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지지레일(116)은, 제1리어커버(114)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탑플레이트(116a)와, 제1탑플레이트(116a)의 후방단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밴딩부(116b)를 포함한다.
제1밴딩부(116b)에는, 필터청소기(300)의 탑롤러(326, 도 2 참조)가 접촉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리어커버(114)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1로어커버(106)의 제1수직플레이트(110)의 후방에 배치된다. 제1리어커버(114)는, 제1수직플레이트(110)의 후방에 고정배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어퍼커버(104) 상측에 제1케이스(102)를 천장에 고정하는 고정부재(12)가 삽입되는 제1고정홈(104a)이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어퍼커버(104)의 상측에는 복수의 제1고정홈(104a)이 형성된다. 고정부재(12)는, 제1고정홈(104a)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고정부재(12)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부재(12)는, 천장에 고정되는 장착부재(14)에 연결되어 제1케이스(102)를 천장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어퍼커버(104)는, 양측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사이드플레이트(10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플레이트(266d)는, 한 쌍의 제1사이드커버(128)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로어커버(106)는, 제1하우징(132)의 하측에 배치된다. 제1로어커버(106)에는, 제1루버구동장치(174)가 배치된다. 제1로어커버(106)는, 제1바텀커버(1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수평플레이트(108)와, 제1수평플레이트(108) 후방에서 수직하게 배치되고 제1이너흡입구(110a)가 형성되는 제1수직플레이트(110)와, 제1수평플레이트(108)의 양단에서 상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제1측벽(112)을 포함한다.
제1수평플레이트(108)에는, 제1루버구동장치(174)가 배치된다. 제1수평플레이트(108)에는, 제1바텀커버(130)의 수직돌기(131)가 삽입되는 연결홈(108a)이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한 쌍의 제1사이드커버(128) 각각은, 하부에서 제1로어커버(106)와 연결되고, 상부에서 제1어퍼커버(104)와 연결된다. 한 쌍의 제1사이드커버(128) 각각에는, 제1루버(150)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1회전지지대(168)가 배치된다. 제1회전지지대(168)는, 제1루버(150)의 양단에 연결되어, 제1루버(150)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프론트커버(118)는 제1하우징(132)의 전방에 배치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프론트커버(118)의 하단은, 제1로어커버(106)의 전방단부(106a)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배치된다. 제1프론트커버(118)와 제1로어커버(106) 사이에는, 제1토출구(102b)가 형성된다. 제1프론트커버(118)에는, 제1루버(150)의 회전범위를 조절하고, 루버회전축(160)이 배치되는 제1루버홈(122)이 형성된 제1루버돌기(120)가 배치된다.
제1루버돌기(120)는, 제1프론트커버(118)가 형성되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도 14b를 참조하면, 제1루버돌기(120)에는, 제1루버(150)의 루버회전축(160)이 배치되는 제1루버홈(122)이 형성된다. 제1루버홈(122)도 제1루버돌기(120)가 연장되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도 14a를 참조하면, 제1루버돌기(120)의 좌우양단 사이에는, 제1보조지지대(170)가 배치되는 제1지지대홈(124)이 형성된다. 제1보조지지대(170)는, 제1프론트커버(118)에 고정배치되고, 제1루버(150)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제1보조지지대(17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한 쌍의 제1회전지지대(168) 사이에 배치된다. 제1보조지지대(170)는, 제1보조회전축(172)을 통해 제1루버(15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제1루버돌기(120)는, 제1루버홈(122)의 상측에서 후방 상측으로 경사진 면을 형성하는 돌기상부(120a)와, 제1루버홈(122) 하측에서 전방하측으로 경사진 면을 형성하는 돌기하부(120b)를 포함한다.
돌기상부(120a)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1루버(150)의 루버회전축(160)의 상단면과 접촉하여 제1루버(150)의 일방향 회전을 제한한다. 돌기하부(120b)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1루버(150)의 축베인(158)과 접촉하여 제1루버(150)의 타방향 회전을 제한한다.
도 14b를 참조하면, 제1프론트커버(118)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1어퍼하우징(134)의 단부가 걸리는 제1단턱(126)이 형성된다.
제1하우징>
도 9를 참조하면, 제1하우징(132)은, 제1케이스(102) 내측에 배치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1하우징(132)의 내측에는, 제1팬(182)과, 열교환기(186)가 배치된다. 도 9을 참조하면, 제1흡입구(102a)에 인접한 영역에서 열교환기(186)가 배치된다. 열교환기(186)는, 제1팬(182)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열교환면적을 늘리고, 공기의 유동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하우징(132)의 내측에는, 제1팬(182)을 회전시키는 제1팬모터(184)가 배치된다. 제1팬모터(184)는, 제1팬(182)의 회전축 상에 배치되어, 제1팬(182)을 회전시킨다. 제1팬(182)은, 반경방향 일측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반경방향 타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횡류팬을 사용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하우징(132)의 내측에는, 제1팬(182)의 회전을 지지하거나, 제1팬모터(184)의 배치를 지지하는 팬지지대(146)가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하우징(132)은, 제1팬(182)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어퍼하우징(134)과, 제1팬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로어하우징(138)을 포함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어퍼하우징(134)과 제1로어하우징(138)은, 제1팬(182)에서 제1토출구(102b)로 유동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토출가이더(136, 144)를 형성한다.
제1어퍼하우징(134)은, 제1어퍼커버(104)에 장착될 수 있다. 제1어퍼하우징(134)의 하단은, 제1프론트커버(118)의 제1단턱(126)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어퍼하우징(134)은, 제1팬(182)으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를 제1토출구(102b)로 가이드하는 어퍼가이드(136)를 포함한다. 어퍼가이드(136)는, 제1팬(182)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를 하측으로 유동시킨다. 어퍼가이드(136)는, 제1팬(182)으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를 제1프론트커버(118)로 가이드한다.
제1로어하우징(138)은, 제1로어커버(106)의 상측에 배치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로어하우징(138)은, 열교환기(186) 하측에 배치되어, 열교환기(186)로부터 낙하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드레인팬(140)을 포함한다. 드레인팬(140)은, 열교환기(186)가 배치되는 영역에서, 열교환기(186) 하측에 배치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로어하우징(138)은, 드레인팬(140)의 전방에 배치되고, 제1로어커버(106)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동장치커버(142)을 포함한다. 구동장치커버(142)은, 하측에 제1루버구동장치(174)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구동장치커버(142)은, 드레인팬(140)으로부터 제1팬(182)이 배치되는 공간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돌출된다. 구동장치커버(142)는, 열교환기(186)를 통과한 공기가 제1팬(182)이 배치된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구동장치커버(142)은, 제1팬(182)을 통과한 공기를 제1토출구(102b)로 안내하는 로어가이드(144)를 포함한다. 로어가이드(144)는, 어퍼가이드(136)와 이격배치되어 토출유로(132a)를 형성한다. 로어가이드(144)는, 제1루버구동장치(174)의 제1루버기어(176)가 배치되는 영역에서, 제1기어홀(142a)이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루버기어(176)의 일부는, 제1기어홀(142a) 외부로 돌출되어 제1루버(150)와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루버와 구동장치>
도 6을 참조하면, 제1공기처리장치(100)는, 제1토출구(102b)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제1토출구(102b)를 유동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제1루버(150)와, 제1루버(150)의 배치를 조절하는 제1루버구동장치(174)를 포함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1루버(150)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베인(154, 156, 158)을 포함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1루버(150)는, 제1루버(150)의 회전중심을 따라 연장되는 루버회전축(160), 루버회전축(160)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아우터베인(154), 루버회전축(160)과 아우터베인(154) 사이에서 반경 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이너베인(156), 및 아우터베인(154)의 외측면에서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베인기어(166)를 포함한다.
복수의 베인(154, 156, 158)은, 아우터베인(154), 복수의 이너베인(15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루버회전축(160)은, 제1프론트커버(118)에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루버회전축(160)은, 제1프론트커버(118)의 제1루버홈(122)에 배치된다. 루버회전축(160)이 회전할 때, 루버회전축(160)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베인(154, 156, 158)의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
루버회전축(160)은, 루버회전축(160)에서 복수의 이너베인(156)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베인(158)을 포함할 수 있다. 축베인(158)은, 이너베인(156)의 하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아우터베인(154)은, 이너베인(156)보다 루버회전축(160)으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된다. 아우터베인(154)은, 이너베인(156)보다 원주방향으로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아우터베인(154)은, 루버회전축(160)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복수의 이너베인(156)은, 루버회전축(160)과 아우터베인(154) 사이에서 서로 이격배치된다. 복수의 이너베인(156)은, 아우터베인(154)보다 짧은 길이를 가진다. 복수의 이너베인(156)은, 축베인(158)보다 긴 길이를 가진다.
도 17을 참조하면, 복수의 이너베인(156)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진다. 복수의 이너베인(156)은, 루버회전축(160)에 가깝게 배치될수록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복수의 이너베인(156)은, 아우터베인(154)에 가깝게 배치될수록 짧은 길이를 가진다.
도 17을 참조하면, 복수의 이너베인(156) 각각은, 하측으로 갈수록 루버회전축(160)에 인접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이너베인하부(156a1, 156b1, 156c1)와, 이너베인하부(156a1, 156b1, 156c1)의 상단에서 밴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이너베인상부(156a2, 156b2, 156c2)를 포함한다. 축베인(158)은, 이너베인하부(156a1, 156b1, 156c1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이너베인(156)은, 루버회전축(160)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이너베인(156a), 제1이너베인(156a)보다 루버회전축(160)으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되는 제2이너베인(156b), 및 제2이너베인(156b)보다 루버회전축(160)으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되는 제3이너베인(156c)을 포함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루버(150)는, 복수의 베인(154, 156, 158)의 양단에는 베인(154, 156, 158)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단부패널(162)과, 단부패널(162)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으로 베인기어(166)가 배치되는 지지패널(164)이 배치된다. 단부패널(162)은, 복수의 베인(154, 156, 158)의 양단에 배치되어, 제1루버(150)를 유동하는 공기가 좌우방향으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패널(164)은, 단부패널(162)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베인(154, 156, 158)을 지지할 수 잇다. 복수의 베인(154, 156, 158)은, 루버회전축(160)이 형성되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패널(164)이 복수의 베인(154, 156, 158)의 배치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4a를 참조하면, 지지패널(164)은, 부채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패널(164)의 외주단에는 베인기어(166)가 배치된다. 베인기어(166)는, 지지패널(164)의 외주단에 원주방향으로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4a를 참조하면, 지지패널(164)은, 제1보조지지대(170)와 연결될수 있다. 지지패널(164)은, 루버회전축(160)이 형성되는 부분에서 제1보조지지대(17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1보조지지대(170)의 내측에는 제1보조회전축(172)이 배치되고, 제1보조지지대(170)는, 제1보조회전축(172)을 통해 루버회전축(160)과 연결된다.
복수의 베인(154, 156, 158)은, 단부패널(162)과 지지패널(164)보다 하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제1루버(150)에는, 제1공기처리장치(1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출력장치(19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장치(191)는 시각적 또는 청각적 요소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1공기처리장치(1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출력장치(191)는 시각적으로 제1공기처리장치(1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출력장치(191)는 제1공기처리장치(100)의 오류등에 대한 정보도 출력할 수 있다.
출력장치(191)는, 램프(196), 램프(196)의 작동을 조절하는 인쇄회로기판(194), 램프(196)에서 조사된 빛을 외부로 전달하는 투명패널(192)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패널(192)은, 복수의 베인(154, 156, 158) 중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투명패널(192)은, 이너베인(156)에 설치될 수 있다.
제1루버(150)에는, 램프(196)와 인쇄회로기판(194)이 배치되는 공간(191a)을 형성한다. 공간(191a)은, 투명패널(192)의 상측에 배치된다. 공간(191a)의 상측으로는, 인쇄회로기판(194)과 연결되는 배선이 관통하는 배선홀(198)이 형성된다.
제1루버구동장치(174)는, 제1루버(150)의 루버회전축(160)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이격배치된다. 제1루버구동장치(174)는, 루버회전축(160)에서 이격배치되고, 제1루버(150)의 외주면에 접촉하게 배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루버구동장치(174)는, 제1루버(150)와 접촉하여 제1루버(150)를 회전시키는 제1루버기어(176)와, 제1루버기어(176)를 회전시키는 제1루버모터(178)를 포함한다. 제1루버구동장치(174)는, 서로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제1루버기어(176)와, 한 쌍의 제1루버기어(176) 사이를 연결하는 제1기어회전축(180)을 포함한다. 제1기어회전축(180)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1루버기어(176)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루버의 작동>
도 18a 내지 도 18c를 참조하면, 제1루버(150)는, 전방으로 경사풍을 형성하는 제1위치(P1)와, 전방으로 수평풍을 형성하는 제2위치(P2)와, 지면으로 수직풍을 형성하는 제3위치(P3)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8a를 참조하면, 제1루버(150)는, 제1위치(P1)에서 제1바텀커버(130) 상측으로 배치된다. 제1위치(P1)에서, 제1루버(150)의 복수의 베인(154, 156, 158) 각각의 하단은, 제1바텀커버(130)보다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위치(P1)에서 아우터베인(154)의 하단은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위치(P1)에서 복수의 이너베인(156a, 156b, 156c) 각각의 하단은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8b를 참조하면, 제1루버(150)는, 제2위치(P2)에서, 일부가 제1바텀커버(130) 하측으로 배치된다. 제2위치(P2)에서 아우터베인(154)과 복수의 이너베인(156a, 156b, 156c) 각각의 하단은 제1바텀커버(130)보다 수직방향으로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위치(P2)에서, 복수의 이너베인(156a, 156b, 156c) 각각의 이너베인하부(157a)가 지면과 형성하는 경사각(θ2)은, 30도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위치(P2)에서 제1루버(150)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는,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도 18c를 참조하면, 제1루버(150)는, 제3위치(P3)에서, 제1바텀커버(130) 상측으로 배치된다. 제3위치(P3)에서 아우터베인(154)과 복수의 이너베인(156a, 156b, 156c) 각각의 하단은 제1바텀커버(130)보다 수직방향으로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위치(P3)에서, 복수의 이너베인(156a, 156b, 156c) 각각의 이너베인하부(157a)가 지면과 형성하는 경사각(θ3)은, 60도 내지 90도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위치(P3)에서 제1루버(150)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제2공기처리장치>
이하에서는, 도 19 내지 도 3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공기처리장치를 설명한다.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유동하는 공기를 필터장치(284)에 통과시키고, 외부로 배출시킨다.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일측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제2흡입구(202a)가 형성되고, 제2흡입구(202a)에 수직한 타측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제2토출구(202b)가 형성된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2흡입구(202a)는, 지면 또는 천장면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제2토출구(202b)는, 하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제2흡입구(202a)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내부에 공기유동을 형성시키는 제2팬(280)과, 제2팬(280)을 회전시키는 제2팬모터(280a)를 포함한다. 제2공기처리장치(200)에는, 복수의 제2팬(280)과 복수의 제2팬(280)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팬모터(280a)를 포함한다.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외형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202)와, 제2케이스(202)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2하우징(268)을 포함한다.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제2케이스(202)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제2토출구(202b)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제2루버(290)와 제2루버(290)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제2루버구동장치(294)를 포함한다.
제2공기처리장치(200)에 배치되는 제2루버(290)와 제2루버구동장치(294)는, 도 12 내지 도 17에서 설명한 제1공기처리장치(100)의 제1루버(150) 및 제1루버구동장치(174)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공기처리장치(200)에 배치되는 제2루버(290)와 제2루버구동장치(294)는, 제1공기처리장치(100)의 제1루버(150) 및 제1루버구동장치(174)의 설명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제2팬모터(280a)의 작동을 조절하거나, 제2루버구동장치(294)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2컨트롤박스(2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케이스>
도 20을 참조하면, 제2케이스(202)는, 천장에 고정되는 제2어퍼커버(204), 제2어퍼커버(204)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로어커버(206), 제2흡입구(202a)를 형성하고, 필터장치(284)가 장착되는 제2리어커버(242), 제2리어커버(242)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배치되는 제2프론트커버(246), 제2로어커버(206)의 양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사이드커버(256)를 포함한다. 제2케이스(202)는, 제2로어커버(206) 하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바텀커버(258)를 더 포함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2리어커버(242)에는, 제2흡입구(202a)가 형성된다. 제2리어커버(242)의 외측면에는 가이드레일(10, 도 3참조)이 장착될 수 있다. 제2리어커버(242)의 하부에는, 필터장치(284)가 장착되는 제2흡입구(202a)가 형성된다. 제2리어커버(242)에는, 필터청소장치(3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0)과 제2지지레일(244)이 장착된다.
가이드레일(10)은, 제2흡입구(202a)의 상측에 배치된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2지지레일(244)은, 제2리어커버(242)의 상단에 배치된다.
제2지지레일(244)은, 제2리어커버(242)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2탑플레이트(244a)와, 제2탑플레이트(244a)의 후방단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밴딩부(116b)를 포함한다. 제2밴딩부(244b)에는, 필터청소기(300)의 탑롤러(326)가 접촉할 수 있다.
제2리어커버(242)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2로어커버(206)의 제2수직플레이트(214)의 후방에 배치된다. 제2리어커버(242)는, 제2수직플레이트(214)의 후방에 고정배치된다.
제2리어커버(242)의 제2흡입구(202a)에는, 필터장치(284)의 배치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필터장착부(234, 도 31 참조)가 배치된다. 필터장착부(234)는, 이하에서 설명할 필터구동장치(228)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2어퍼커버(204) 상측에 제2케이스(202)를 천장에 고정하는 고정부재(12)가 삽입되는 제2고정홈(204a)이 형성된다. 제2어퍼커버(204)에 형성되는 제2고정홈(204a)은, 제1어퍼커버(104)에 형성되는 제1고정홈(104a)과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어퍼커버(204)는, 제1어퍼커버(104)의 상측에 배치되는 고정부재(12)로 천장에 장착되는 장착부재(14)와 고정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2어퍼커버(204)는, 양측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사이드플레이트(266d)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플레이트(266d)는, 한 쌍의 제2사이드커버(256)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2로어커버(206)는, 제2하우징(268)의 하측에 배치된다. 제2로어커버(206)에는, 제2루버구동장치(294)가 배치된다. 제2로어커버(206)에는, 제2바텀커버(258)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커버구동장치(220)가 배치된다. 제2로어커버(206)에는, 필터장치(284)와 필터장착부(234)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필터구동장치(228)가 배치된다.
제2로어커버(206)는, 제2바텀커버(258) 상측에 배치되는 제2수평플레이트(208)와, 제2수평플레이트(208) 후방에서 수직하게 배치되고 제2이너흡입구(214a)가 형성되는 제2수직플레이트(214)와, 제2수평플레이트(208)의 양단에서 상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제2측벽(216)을 포함한다.
도 33a을 참조하면, 제2수평플레이트(208)에는, 제2루버구동장치(294)가 배치된다. 제2수평플레이트(208)의 상측에는, 커버구동장치(220)가 배치된다. 제2수평플레이트(208)에는, 제2바텀커버(258)의 커버가이더(262, 264)가 삽입되는 가이드홈(208a)이 형성된다.
도 31, 도 33a을 참조하면, 커버구동장치(220)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1커버가이더(262)의 가이드기어(262c)와 맞물려 회전하는 커버구동기어(222)와, 커버구동기어(222)를 회전시키는 커버구동모터(224)를 포함한다.
커버구동기어(222)는, 좌우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커버구동장치(220)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커버구동기어(222)를 연결하는 커버구동축(226)을 포함한다. 따라서, 커버구동축(226)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커버구동기어(222)는 서로 동일하게 회전할 수 있다.
도 33a을 참조하면, 제2수평플레이트(208)에는, 제2바텀커버(258)의 커버가이더(262, 264)와 연결되어 제2바텀커버(258)의 상하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가이더(210)를 포함한다. 고정가이더(210)는, 제2수평플레이트(208)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도 33a를 참조하면, 고정가이더(210)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1커버가이더(262) 또는 제2커버가이더(264)와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고정가이더(210)는, 제2바텀커버(258)의 전후방향이동을 지지한다. 고정가이더(210)는, 제2바텀커버(258)의 상하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고정가이더(210)는, 커버가이더(262, 264)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고정돌기(212)가 돌출될 수 있다. 고정돌기(212)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다. 고정돌기(212)는, 제1커버가이더(262)의 제1가이드돌기(262b) 또는 제2커버가이더(264)의 제2가이드돌기(264b)와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고정돌기(212)는, 제1커버가이더(262)의 제1가이드돌기(262b) 또는 제2커버가이더(264)의 제2가이드돌기(264b)와 대응하는 구조를 가져, 제2바텀커버(258)의 상하방향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2수직플레이트(214)에는, 제2이너흡입구(214a)가 형성된다. 제2이너흡입구(214a)는, 제2흡입구(202a)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수직플레이트(214)에는, 필터구동장치(228)가 배치된다.
한 쌍의 제2사이드커버(256) 각각은, 하부에서 제2로어커버(206)와 연결되고, 상부에서 제2어퍼커버(204)와 연결된다. 한 쌍의 제2사이드커버(256) 각각에는, 제2루버(290)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2회전지지대(292)가 배치된다. 제2사이드커버(256)에 연결되는 제2회전지지대(292)는, 제1사이드커버(128)에 연결되는 제1회전지지대(168)와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프론트커버(246)는 제2하우징(268)의 전방에 배치된다. 제2프론트커버(246)는, 제1프론트커버(118)와 동일한 형태와 배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프론트커버(246)의 하단은, 제2로어커버(206)의 전방단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배치되어, 제2토출구(202b)를 형성한다.
또한, 제2프론트커버(246)에는, 제2루버(290)의 회전범위를 조절하고, 제2루버(290)의 제2루버회전축(270a)이 배치되는 제2루버홈(250)이 형성된 제2루버돌기(248)가 배치된다. 제2루버돌기(248)의 좌우양단 사이에는, 제2보조지지대(293)가 배치되는 제2지지대홈(252)이 형성된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2프론트커버(246)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1어퍼하우징(134)의 단부가 걸리는 제2단턱(254)이 형성된다.
제2바텀커버(258)는, 제2로어커버(206)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33b를 참조하면, 제2바텀커버(258)는, 제2리어커버(242)와 인접한 후방에 배치될 때, 필터장치(284)의 하측을 커버할 수 있다. 도 34b를 참조하면, 제2바텀커버(258)는, 제2프론트커버(246)와 인접한 전방에 배치될 때, 제2토출구(202b)를 폐쇄할 수 있다. 도 34b를 참조하면, 제2바텀커버(258)는, 제2프론트커버(246)와 인접한 전방에 배치될 때, 필터장치(284)의 하측을 개방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2바텀커버(258)는, 제2로어커버(206) 하측에 배치되는 바텀플레이트(260)와, 바텀플레이트(260)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바텀플레이트(26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커버가이더(262, 264)를 포함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커버가이더(262, 264)는, 커버구동장치(220)와 연결되어 바텀플레이트(260)를 이동시키는 제1커버가이더(262)와, 바텀플레이트(260)의 상하방향 진동을 방지하는 제2커버가이더(264)를 포함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1커버가이더(262)는, 바텀플레이트(260)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가이드벽(262a)과, 제1가이드벽(262a)의 일측에 배치되고 커버구동장치(220)와 나사결합되는 가이드기어(262c)와, 제1가이드벽(262a)의 타측에 배치되고 제2바텀커버(258)의 전후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돌기(262b)를 포함한다. 제1가이드돌기(262b)에는, 고정돌기(212)가 삽입되는 홈(262b1)이 형성된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2커버가이더(264)는, 바텀플레이트(260)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가이드벽(264a)과, 제2가이드벽(264a)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바텀커버(258)의 전후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돌기(264b)를 포함한다. 제2가이드돌기(264b)에는 고정돌기(212)가 삽입되는 홈(264b1)이 형성된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제2로어커버(206) 상측에 배치되고, 제2루버구동장치(294)와 커버구동장치(220)의 상측을 커버하는 이너커버(266)를 포함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이너커버(266)는, 제2케이스(202)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고, 공기가 제2루버구동장치(294)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너커버(266)는 제2로어커버(206)와 결합하여, 제2루버구동장치(294)와 커버구동장치(22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도 25a 내지 도 25b를 참조하면, 이너커버(266)는, 제2루버구동장치(294)의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플레이트(266a), 제2루버구동장치(294)의 전방을 커버하는 전방플레이트(266b), 제2루버구동장치(294)의 후방을 커버하는 후방플레이트(266c), 제2루버구동장치(294)의 측방을 커버하는 사이드플레이트(266d)를 포함한다.
후방플레이트(266c)는, 필터장치(284)를 통과하여 유동하는 공기가 이너커버(266) 하측의 공간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어퍼플레이트(266a)는, 필터장치(284)를 통과하여 유동하는 공기를 제2팬(280)이 배치되는 공간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전방플레이트(266b)는, 제2팬(280)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를 제2토출구(202b)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전방플레이트(266b)에는, 제2루버구동장치(294)의 제2루버기어(294a)가 배치되는 영역에서, 제2기어홀(266b1)이 형성된다. 제2루버기어(294a)의 일부는, 제2기어홀(266b1, 도 25a 참조) 외부로 돌출되어 제2루버(290)와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5b를 참조하면, 이너커버(266)는, 어퍼플레이트(266a) 하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격벽(266e)을 포함한다. 복수의 격벽(266e)은 좌우방향으로 이격배치되고, 이너커버(266)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제2하우징>
도 24를 참조하면, 제2하우징(268)은, 제2케이스(202) 내측에 배치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2하우징(268)의 내측에는, 제2팬(280)과, 제2팬(280)을 회전시키는 제2팬모터(280a)가 배치된다.
제2팬(280)은,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고, 회전축에 원심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원심팬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4를 참조하면, 제2팬모터(280a)는, 제2팬(280)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2팬(28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2팬모터(280a)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2어퍼하우징(27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2하우징(268)은, 제2팬(28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어퍼하우징(270)과, 제2팬(28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로어하우징(274)을 포함한다.
도 26a 내지 도 26b를 참조하면, 제2어퍼하우징(270)은, 제2어퍼커버(204)에 장착될 수 있다. 제2어퍼하우징(270)의 하단은, 제2프론트커버(246)의 제2단턱(254)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어퍼하우징(270)은, 제2팬(280)으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를 제2토출구(202b)로 가이드하는 프론트가이드(272)를 포함한다. 프론트가이드(272)는, 제2어퍼하우징(270)의 전방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다.
도 24를 참조하면, 프론트가이드(272)는, 제2팬(280)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를 하측으로 유동시킨다. 프론트가이드(272)는, 제2팬(280)으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를 제2토출구(202b)로 가이드한다.
프론트가이드(272)는, 제2프론트커버(246)와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프론트가이드(272)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제2프론트커버(246)를 거쳐 제2토출구(202b)로 유동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2어퍼하우징(270)에는, 제2팬모터(280a)가 장착된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2로어하우징(274)은, 이너커버(266)의 상측에 배치된다. 도 27을 참조하면, 제2로어하우징(274)은, 복수의 제2팬(280)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는 복수의 팬하우징(276)을 포함한다. 복수의 팬하우징(276) 각각은, 제2팬(280)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배치된다. 복수의 팬하우징(276) 각각은, 전방이 개구된다. 따라서, 제2팬(280)의 반경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팬하우징(276)의 개구된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복수의 팬하우징(276) 각각의 하측에는, 제2팬(280)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팬유입구(276a)가 형성된다.
제2로어하우징(274)은, 이너커버(266)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배치된다. 따라서, 제2로어하우징(274)과 이너커버(266) 사이에는, 필터장치(284)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는 흡입유로(268a)가 형성된다.
제2로어하우징(274)은, 제2어퍼하우징(270)의 프론트가이드(272)로부터 후방으로 이격 배치된다. 제2로어하우징(274)은, 프론트가이드(272)로부터 이격배치되고, 하측으로 연장되는 리어가이드(278)를 포함한다. 리어가이드(278)는, 제2로어하우징(274)을 이너커버(266)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배치시킨다. 리어가이드(278)는, 프론트가이드(272)와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2토출유로(268b)를 형성한다.
프론트가이드(272)와 리어가이드(278)는, 제2팬(180)에서 제2토출구(202b)로 유동하는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필터장치와 필터구동장치>
필터장치(284)는, 필터장착부(234)에 장착된다. 필터장치(284)와 필터장착부(234)는, 필터장치(284)에 배치되는 제1마그넷(287)과 필터장착부(234)에 배치되는 제2마그넷(238)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장치(284)는, 필터장착부(234)의 이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필터장치(284)를 필터장착부(234)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28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필터장착부(234)는, 필터장치(284)가 장착되는 장착바디(236), 장착바디(236)의 배치를 조절하는 바디기어(240)를 포함한다.
도 28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장착바디(236)는, 필터장치(284)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바디(236a), 어퍼바디(236a)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사이드바디(236b), 어퍼바디(236a)의 전방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프론트바디(236c), 어퍼바디(236a)의 후방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리어바디(236d)를 포함한다. 사이드바디(236b)는, 프론트바디(236c)나 리어바디(236d)보다 하측으로 길게 연장된다. 사이드바디(236b)는 어퍼바디(236a)의 양단에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바디(236b) 사이에는, 복수의 필터장치(284)의 배치를 구획하는 구획바디(236e)가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바디(236c)가 어퍼바디(236a)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길이는, 리어바디(236d)가 어퍼바디(236a)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바디(236c), 리어바디(236d), 및 사이드바디(236b)는, 필터장치(284)가 필터장착부(234)에 장착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사이드바디(236b)의 외측에는, 바디기어(240)가 배치된다. 바디기어(240)는, 전방으로 돌출된 나사산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랙기어일 수 있다.
어퍼바디(236a)의 상측에는, 복수의 제2마그넷(238)이 배치된다.
도 30을 참조하면, 필터장치(284)는, 일측에 제2프리필터(288)가 배치되고, 타측이 개구된 필터케이스(286)와, 필터케이스(286)에 인입 또는 입출가능하게 배치되고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헤파필터(289)를 포함한다.
필터케이스(286)는, 헤파필터(289)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필터케이스(286)의 일측에는, 제2흡입구(202a)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내는 제2프리필터(288)가 배치된다. 필터케이스(286)에는, 제2프리필터(288)에 마주하는 면에서 개구부(286a)를 형성한다. 개구부(286a)를 통해 헤파필터(289)가 필터케이스(286)로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필터케이스(286)의 상측벽에는, 제1마그넷(287)이 배치된다. 제1마그넷(287)은, 필터장치(284)가 필터장착부(234)에 장착된 상태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33a를 참조하면, 필터구동장치(228)는, 제2로어커버(206)에 배치되어, 필터장착부(234)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필터구동장치(228)는, 제2수직플레이트(214)에 배치된다. 필터구동장치(228)는, 제2수직플레이트(214)의 양측단에 하나씩 배치된다.
도 32와 도 33a를 참조하면, 필터구동장치(228)는, 바디기어(240)와 맞물려 회전하는 필터구동기어(230), 필터구동기어(230)를 회전시키는 필터구동모터(232)를 포함한다. 필터구동기어(230)는, 평기어를 사용할 수 있다. 필터구동기어(230)와 필터구동모터(232)는, 제2수직플레이트(214)에 고정배치된다.
루버와 구동장치>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제2토출구(202b)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제2토출구(202b)를 유동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제2루버(290)와, 제2루버(290)의 배치를 조절하는 제2루버구동장치(294)를 포함한다.
제2루버(290)와 제2루버구동장치(294)는, 제1공기처리장치(100)에서 설명한 제1루버(150)와 제1루버구동장치(174)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된 제1루버(150)와 제1루버구동장치(174)와 동일하게 파악될 수 있다.
바텀커버와, 필터장착부의 작동>
이하에서는 도 33a 내지 도 35c를 참조하여, 제2바텀커버(258)와 필터장착부(234) 및 필터장치(284)의 이동을 설명한다.
도 33a 내지 도 33b를 참조하면, 제2바텀커버(258)는 필터장치(284)의 하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2루버(270)의 하측은 개방되어, 제2루버(270)의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 필터장치(284)와 필터장치(284)를 이동시키는 필터장착부(234)는 제2바텀커버(258)의 상측에 배치된다.
도 34a 내지 도 34b를 참조하면, 제2바텀커버(258)는,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2토출구(202b)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바텀커버(258)는, 커버구동장치(220)의 작동으로,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4b를 참조하면, 제2바텀커버(258)가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이므로, 필터장치(284)의 하측이 개방된다. 도 33b를 참조하면, 제2바텀커버(258)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제2토출구(202b)의 하측이 폐쇄된다. 따라서, 제2루버(270)의 회전이 제한된다.
도 35a 내지 도 35c를 참조하면, 제2바텀커버(258)가 전방으로 배치될 때, 필터장치(284)와 필터장착부(234)가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필터구동장치(228)에 의해 필터장착부(234)가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필터장착부(234)와 필터장치(284)는, 제1마그넷(287)과 제2마그넷(238)에 의해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장착부(234)가 하측으로 이동할 때, 필터장치(284)도 함께 하측으로 이동한다.
필터장착부(234)에 의해 필터장치(284)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사용자가 용이하게 필터장치(284)를 필터장착부(234)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터청소기(300)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거나,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처리장치의 케이스에 배치되는 프리필터(188, 288)를 청소할 수 있다. 공기처리장치는,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1공기처리장치(100)와, 토출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공기처리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공기처리장치(100, 이하 공기처리장치)를 기준으로 필터청소기(300)와 관련된 공기처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공기처리장치(100)에서 설명되는 구성은, 제2공기처리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6, 도 3, 도 4 등을 참조하면, 가이드레일(10)은, 필터청소기(300)의 이동기어(358)와 맞물리도록 나사산을 형성하는 기어레일(20)과 필터청소기(300)의 가이드롤러(308a, 308b)와 접촉하는 롤러레일(22)을 포함한다.
도 36을 참조하면, 롤러레일(22)은, 가이드레일(10)의 후방면(14)의 상하방향 양단에 배치된다. 롤러레일(22)은, 기어레일(20)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롤러레일(22)은, 상하방향 양측에 배치된다. 롤러레일(22)은, 가이드레일(10)의 후방단부에서 상하방향으로 돌출되는 리브구조를 가질 수 있다. 롤러레일(22)은, 기어레일(20)이 가지는 나사산의 높이보다 하측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기어레일(20)은, 롤러레일(22)의 전방에 배치된다. 기어레일(20)은, 가이드레일(10)의 하측면에서 형성된다. 기어레일(20)은, 랙기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기어레일(20)과 맞물리는 이동기어(358)는 피니언 기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레일(10)을 후방에서 바라볼 때, 롤러레일(22)에 의해 기어레일(20)이 가려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36을 참조하면, 가이드레일(10)은, 리어커버(114)와 마주하는 가이드레일(10)의 전면(12)과, 레일체결돌기(117)와 마주하는 상부면(16)에서 리어커버(114)와 접촉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10)의 후면(14)에는, 레일홈(24)이 형성된다.
레일홈(24)은, 전방으로 오목하게 패인 형상을 가지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된다. 레일홈(24)에는, 감지대상물(26)이 배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감지대상물은,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감지대상물(26)은, 필터청소기(300)에 배치되는 위치감지센서(322)에 의해 필터청소기(3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감지대상물(26)은, 위치감지센서(322)에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위치감지센서(322)가 스위치 센서인경우, 후방으로 돌출된 돌기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위치감지센서(322)가 홀센서인 경우, 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6, 도 3, 도 4 등을 참조하면, 가이드레일(10)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에는, 필터청소기(300)의 일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단부플레이트(28)가 배치된다. 단부플레이트(28)는, 가이드레일(10)이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단부플레이트(28)는, 리어커버(114)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단부플레이트(28)에는, 필터청소기(300)의 연결단자(320)와 접촉되는 충전단자(30)가 배치된다. 단자는, 단부플레이트(28)에서 가이드레일(1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필터청소기(300)가 단부플레이트(28)에 밀착될 때, 필터청소기(300)의 연결단자(320)와 충전단자(30)가 서로 접촉하여 연결될 수 있다.
<필터청소기>
필터청소기(300)는, 공기처리장치(100)의 후방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필터청소기(300)는, 리어커버(114)에 배치되는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한다. 필터청소기(300)는, 프리필터(188)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 41 내지 도 42를 참조하면, 필터청소기(300)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302, 330), 하우징(302, 33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하우징(302, 330)을 이동시키는 이동기어(358), 하우징(302, 330) 내측에 배치되고 이동기어(358)를 회전시키는 기어모터(356), 하우징(302, 33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하우징(302, 3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308a, 308b), 프리필터(188)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먼지통장치(400), 먼지통장치(400)로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흡입장치(376)를 포함한다.
먼지통장치(400)에는, 먼지통하우징(402)과 프리필터(188)와 접촉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에지테이터(420, 도 49 참조)를 포함한다. 먼지통장치(4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1 내지 도 42를 참조하면, 필터청소기(300)는, 하우징(302, 330) 내부에 배치되고, 하우징(302, 330)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벽(340)과, 구획벽(340)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먼지통장치(400)의 배치를 이동시키는 먼지통가이더(380)를 포함한다.
하우징>
도 41 내지 도 42를 참조하면, 하우징(302, 330)은, 필터청소기(300)의 외형을 형성한다. 하우징(302, 330)은, 필터청소기(300)가 가이드레일(10)에 장착될 때, 리어커버(114)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하우징(302), 제1하우징(302) 후방으로 배치되고 후방을 커버하는 제2하우징(330)을 포함한다.
도 37을 참조하면, 하우징(302, 330)은, 하측면에 먼지통장치(400)가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형성된 먼지통홀(301)이 형성된다.
제1하우징(302)은, 프리필터(188)와 평행한 판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필터청소기(300)가 프리필터(188) 후방에서 이동할 때, 제1하우징(302)이 프리필터(188)로부터 후방으로 일정간격 유지할 수 있다.
도 43을 참조하면, 제1하우징(302)은, 프리필터(188)와 평행한 판형상을 가지는 베이스플레이트(304), 베이스플레이트(304)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가이드레일(10)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가이드홈(310)을 포함한다.
도 43을 참조하면, 베이스플레이트(304)에는, 먼지통장치(400)로 이물질이 유입되도록 형성된 흡입홀(302a)이 형성된다. 흡입홀(302a)이 형성된 위치에서 에지테이터(420)가 배치된다. 흡입홀(302a)은, 리어커버(114)에 배치되는 프리필터(188)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흡입홀(302a)의 상하방향 높이는, 프리필터(188)의 상하방향 높이에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5를 참조하면, 제1하우징(302)은, 베이스플레이트(304)의 둘레를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는 둘레벽(306)과, 베이스플레이트(304)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는 탑벽(324)을 포함한다. 탑벽(324)은, 둘레벽(306)보다 상측으로 이격배치된다. 탑벽(324)에는, 리어커버(114)의 지지레일(116)과 접촉하는 지지롤러(326)가 배치된다.
도 45를 참조하면, 지지롤러(326)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326RS)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지지롤러(326)의 회전축(326RS)은, 가이드롤러(308a, 308b)의 회전축(308aRS, 308bRS)와 수직하게 형성된다. 지지롤러(326)의 회전축(326RS)은, 이동기어(358)의 회전축(358RS)와 수직하게 배치된다.
지지롤러(326)는, 지지레일(116)의 밴딩부(116b)와 접촉하여, 필터청소기(300)의 배치를 지지할 수 있다.
도 39 내지 도 40을 참조하면, 가이드홈(310)은, 어퍼벽(312), 로어벽(314), 및 이너벽(316)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어퍼벽(312)은, 가이드홈(310)의 상부를 커버한다. 어퍼벽(312)에는, 가이드롤러(308a, 308b)의 일부가 관통하는 어퍼롤러홀(312a1, 312a2)이 형성된다. 어퍼롤러홀(312a1, 312a2)은, 어퍼벽(312)에서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2개가 배치될 수 있다.
어퍼롤러홀(312a1, 312a2)은, 제1어퍼롤러홀(312a1)과, 제1어퍼롤러홀(312a1)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제2어퍼롤러홀(312a2)를 포함한다. 도 39를 참조하면, 제1어퍼롤러홀(312a1)은, 로어롤러홀(314a)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2어퍼롤러홀(312a2)는 지지돌기(315)의 상측에 배치된다.
로어벽(314)은, 가이드홈(310)의 하부를 커버한다. 로어벽(314)에는, 가이드롤러(308a, 308b)의 일부가 관통하는 로어롤러홀(314a)과, 이동기어(358)의 일부가 관통하는 기어홀(314b)이 형성된다. 로어벽(314)에는, 가이드레일을 향해 상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돌기(315)가 배치된다.
도 39를 참조하면, 지지돌기(315)는, 로어롤러홀(314a)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이격배치된다. 지지돌기(315)는, 먼지통장치(4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돌기(315)와 로어롤러홀(314a) 사이에 기어홀(314b)이 형성된다. 도 39를 참조하면, 지지돌기(315)가 로어벽(314)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높이(315H)는, 가이드롤러(308b)가 로어벽(314)으로부터 돌출된 높이(308bH)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너벽(316)은, 로어벽(314)의 후방단부와 어퍼벽(312)의 후방단부를 연결한다.
도 40을 참조하면, 이너벽(316)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18)가 배치된다. 돌출부(318)는, 이너벽(316)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연장된다. 돌출부(318)에는, 필터청소기(3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322)가 배치된다. 위치감지센서(322)는, 스위치센서 또는 홀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위치감지센서(322)는, 가이드레일(10)에 배치되는 감지대상물(26)에 반응하여, 필터청소기(3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도 38을 참조하면, 돌출부(318)의 일측단에는 연결단자(320)가 돌출된다. 연결단자(320)는, 단부플레이트(28)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연결단자(320)는, 단부플레이트(28)의 충전단자(30)와 접촉하여, 하우징(302, 330)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374)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9를 참조하면, 제1하우징(302)에는, 가이드레일(10)의 롤러레일(22)에 접촉하여 회전하고, 필터청소기(3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308a, 308b)가 배치된다. 가이드롤러(308a, 308b)는, 가이드홈(310)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가이드롤러(308a, 308b)의 일부는, 가이드홈(310)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가이드롤러(308a, 308b)는, 제1하우징(302)의 내측에 배치된다.
가이드롤러(308a, 308b)는, 가이드홈(3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롤러(308a)와 가이드홈(310)의 하측에 배치되는 로어롤러(308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5를 참조하면, 가이드롤러(308a, 308b)는, 둘레면에서 오목한 홈(309)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롤러(308a, 308b)에 형성된 홈(309)에 가이드레일(10)의 롤러레일(22)이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롤러(308a, 308b)에 롤러레일(22)이 삽입되므로, 필터청소기(300)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9를 참조하면, 필터청소기(300)는, 2개의 어퍼롤러(308a)과 1개의 로어롤러(308b)를 포함한다. 2개의 어퍼롤러(308a)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배치된다. 2개의 어퍼롤러(308a) 중 하나는 로러롤러(308b) 상측에 배치된다. 2개의 어퍼롤러(308a) 중 나머지 하나의 하측에는, 지지돌기(315)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5를 참조하면, 가이드롤러(308a, 308b)의 회전축(308aRS, 308bRS)은, 지지롤러(326)의 회전축(326RS)과 수직하게 형성된다.
이동기어(358)는, 가이드홈(310)의 하측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동기어(358)의 일부는, 로어벽(314)에 형성되는 기어홀(314b)을 통해 가이드홈(310)에 배치된다. 이동기어(358)는, 제1하우징(302) 또는 이하에서 설명할 구획벽(34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45를 참조하면, 이동기어(358)는, 가이드롤러(308a, 308b)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이동기어(358)의 회전축은, 가이드롤러(308a, 308b)의 회전축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제1하우징(302)의 내측면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에지테이터기어(366)와 에지테이터연결축(368)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구획벽>
구획벽(340)은, 제1하우징(302)과 제2하우징(330) 사이에 배치된다. 구획벽(340)은 복수의 구획판을 포함하여, 하우징(302, 330) 내부를 구획할 수 있다. 구획벽(340)은, 하우징(302, 330) 내부에 배치되어, 하우징(302, 33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도 46을 참조하면, 구획벽(340)은, 먼지통장치(40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구획벽(340)에는, 먼지통장치(4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먼지통가이더(380)가 배치된다. 먼지통가이더(380)는, 구획벽(340)에 배치되는 먼지통기어와 먼지통모터(360)에 의해 배치가 상하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구획벽(340)은, 먼지통장치(400)가 배치되는 공간과 흡입장치(376)가 배치되는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구획벽(340)은, 먼지통장치(400)가 배치되는 공간과 먼지통장치(400)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먼지통기어(362)가 배치되는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구획벽(340)은, 먼지통장치(400)가 배치되는 공간과 제1인쇄회로기판(370)이 배치되는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구획벽(340)은, 배터리(374)가 배치되는 공간과 흡입장치(376)가 배치되는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구획벽(340)은, 배터리(374)가 배치되는 공간과 이동기어(358)가 배치되는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구획벽(340)은, 먼지통모터(360)가 배치되는 공간과 에지테이터모터(364)가 배치되는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즉, 구획벽(340)은, 서로 수직하거나 평행한 복수의 플레이트를 통해, 하우징(302, 330) 내부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획벽(340)은, 하우징(302, 330) 내부를 좌우방향으로 구획하는 수직파티션(342)과, 하우징(302, 330) 내부를 상하방향으로 구획하는 수평파티션(344, 346)과, 하우징(302, 330) 내부를 전후방향으로 구획하는 전후파티션(348, 350)을 포함한다.
도 46을 참조하면, 수직파티션(342)은, 흡입장치(376)와 먼지통장치(400)가 배치되는 공간을 구획한다. 수직파티션(342)은, 하우징(302, 330)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수직파티션(342)은, 배터리(374)가 배치되는 공간과 먼지통장치(400)가 배치되는 공간을 구획한다. 수직파티션(342)은, 배터리(374)가 배치되는 공간과 먼지통기어(362) 및 에지테이터기어(366)가 배치되는 공간을 구획한다. 배터리(374)는, 흡입장치(376)의 상측에 배치된다.
수직파티션(342)에는, 흡입장치(376)가 배치되는 부분에서, 흡입장치(376)와 먼지통장치(400)를 연통시키는 연통홀(342a)이 형성된다.
도 46을 참조하면, 수평파티션(344, 346)은, 먼지통장치(400)가 배치되는 공간과 먼지통기어(362) 및 에지테이터기어(366)가 배치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제1수평파티션(344)과 흡입장치(376)와 배터리(374)가 배치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제2수평파티션(346)을 포함한다.
제1수평파티션(344)에는, 에지테이터연결축(368)이 관통하는 축홀(344b)이 형성된다. 제1수평파티션(344)에는, 먼지통가이더(380)의 일부구성이 관통하는 가이더홀(344a)이 형성된다.
도 46 내지 도 47을 참조하면, 전후파티션(348, 350)은, 먼지통장치(400)가 배치되는 공간과 제1인쇄회로기판(370)이 배치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제1전후파티션(348)과, 배터리(374)가 배치되는 공간과 이동기어(358)가 배치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제2전후파티션(350)을 포함한다.
도 47을 참조하면, 구획벽(340)은, 제1수평파티션(344)의 상측에 배치되고, 먼지통모터(360)의 배치를 지지하는 제1지지플레이트(352)와, 에지테이터기어(366)와 에지테이터연결축(368)의 배치를 지지하는 제2지지플레이트(354)를 포함한다.
먼지통장치(400)는, 제1수평파티션(344)의 하측에 배치된다. 먼지통장치(400)는, 수직파티션(342)의 일측에 배치된다.
먼지통가이더(380)는, 먼지통장치(400)의 상측에 배치된다. 먼지통가이더(380)는, 먼지통기어(362)와 연결되어 먼지통장치(400)의 배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도 48을 참조하면, 먼지통가이더(380)는, 먼지통장치(400)의 상측에 배치되는 가이드판(384), 가이드판(384)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먼지통기어(362)와 맞물리는 가이드기어(382)를 포함한다.
가이드판(384)은, 제1수평파티션(344)의 하측에 배치된다. 가이드판(384)에는, 먼지통장치(400)와 접촉시 먼지통장치(400)를 먼지통가이더(380)에 고정시키는 마그넷(388)이 배치될 수 있다.
도 46을 참조하면, 가이드판(384)은 전후방향의 양단이 하측으로 절곡된 장착가이더(386)를 포함한한다. 장착가이더(386)는, 먼지통장치(400)가 가이드판(384)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가이드판(384)의 정위치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도 48을 참조하면, 가이드판(384)에는, 에지테이터연결축(368)이 관통하는 연결홀(380a)이 형성된다. 연결홀(380a)은, 제1수평파티션(344)에 형성되는 축홀(344b)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가이드기어(382)는, 제1수평파티션(344)에 형성되는 가이더홀(344a)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가이드기어(382)는, 랙기어를 사용할 수 있다. 가이드기어(382)는, 먼지통기어(362)와 맞물린다. 먼지통기어(362)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기어(382)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먼지통모터(360)가 작동하면, 먼지통가이더(38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먼지통모터(360)는, 제1수평파티션(344)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1지지플레이트(352)에 장착된다.
제1인쇄회로기판(370)은, 제1전후파티션(348)의 후방에 배치된다.
도 48을 참조하면, 흡입장치(376)는, 제2수평파티션(346)의 하측에 배치된다. 흡입장치(376)는, 수직파티션(342)의 타측에 배치된다. 흡입장치(376)는,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팬(376a)과, 팬(376a)을 회전시키는 팬모터(376b)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장치(376)의 일측에는, 흡입장치(376)와 수직파티션(342)를 연결하는 연결관(378)이 배치된다. 연결관(378)은, 연통홀(342a)이 형성되는 수직파티션(342)의 일측에 고정배치되어, 먼지통장치(400)로부터 흡입장치(376)로 공기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47을 참조하면, 배터리(374)는, 제2수평파티션(346)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374)는, 흡입장치(376)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374)가 배치된 공간에는, 제2인쇄회로기판(372)과 이동기어(358)를 회전시키는 기어모터(356)가 배치된다. 제2인쇄회로기판(372)과 이동기어(358)는, 제2전후파티션(350)에 장착된다.
제2전후파티션(350)의 전방에는, 이동기어(358)와 이동기어(358)와 맞물리고 기어모터(356)에 연결되는 연결기어(359)가 배치된다. 이동기어(358)는, 연결기어(359)보다 큰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도 47을 참조하면, 에지테이터모터(364)와 에지터에터기어(366)는, 제1수평파티션(344)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2지지플레이트(354)는, 제1수평파티션(344)의 상측에 이격배치된다. 제2지지플레이트(354)는, 제1수평파티션(344)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2지지플레이트(354)의 하측에 에지테이터모터(364)가 배치된다. 제2지지플레이트(354) 상측에 에지테이터기어(366)와, 에지테이터모터(364)에 연결되고 에지테이터기어(366)와 맞물리는 보조기어(369)가 배치된다.
에지테이터기어(366)는, 에지테이터연결축(368)의 둘레에 고정배치된다. 따라서, 에지테이터기어(366)가 회전하면, 에지테이터연결축(368)도 함께 회전한다. 에지테이터연결축(368)은, 제2수평파티션(346)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에지테이터연결축(368)의 단면은, 원형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에지테이터연결축(368)의 하단의 단면은, 에지테이터(420)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먼지통장치>
도 52를 참조하면, 먼지통장치(400)는, 프리필터(188)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저장공간(402a)과, 에지테이터(420)가 배치되는 에지테이터공간(402b)을 형성하는 먼지통하우징(402)과, 먼지통하우징(402)의 개구된 일측을 커버하는 먼지통커버(414)와, 먼지통하우징(402)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에지테이터(420), 먼지통하우징(402) 일측에 배치되어 먼지통하우징(402)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먼지통필터(428)를 포함한다.
도 52를 참조하면, 먼지통하우징(402)의 내부에는 에지테이터(420)가 배치되는 에지테이터공간(402b)과 먼지를 수용하는 저장공간(402a)이 형성된다. 먼지통하우징(402)은, 상측이 개구된다. 따라서, 개구된 상측으로 에지테이터(420)를 인출하거나, 먼지통필터(428)를 인출할 수 있다.
먼지통하우징(402)에는, 에지테이터공간(402b)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에지테이터홀(406)이 형성된다. 에지테이터홀(406)을 통해 에지테이터(420)의 일부가 먼지통하우징(402)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에지테이터홀(406)은, 제1하우징(302)의 흡입홀(302a)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9를 참조하면, 먼지통하우징(402)에는, 저장공간(402a)의 공기가 먼지통하우징(402) 외부로 유동하는 유동홀(410)이 형성된다. 유동홀(410)은, 먼지통하우징(402)의 측면에 형성된다. 유동홀(410)은, 수직파티션(342)의 연통홀(342a)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먼지통하우징(402)이 하우징(302, 330)의 내측에 배치될 때, 유동홀(410)이 연통홀(342a)에 대응하는 위치로 배치된다.
도 51을 참조하면, 먼지통하우징(402)은, 저장공간(402a)과 에지테이터공간(402b)을 구획하는 이너파티션(404)이 배치된다. 이너파티션(404)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너파티션(404)에는, 저장공간(402a)과 에지테이터공간(402b)을 연통시키는 이너홀(408)이 형성된다.
도 51을 참조하면, 에지테이터공간(402b)에는, 에지테이터(420)의 단부와 접촉하는 더스터(412)가 배치된다. 더스터(412)는, 이하에서 설명할 에지테이터(420)의 블레이드(426)에 붙은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다. 더스터(412)는, 에지테이터(420)가 회전할 때, 블레이드(426)와 마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더스터(412)는, 에지테이터(420)를 향해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더스터(412)는, 톱니형상을 가지고, 이너홀(408)의 일측에서 배치된다.
더스터(412)는, 블레이드(426)와 접촉되는 높이까지 돌출형성된다. 따라서, 에지테이터(420)가 작동할 때에는, 에지테이터(420)의 블레이드(426)에 묻은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다. 또한, 먼지통장치(400)가 필터청소기(300)로부터 분리될 때에는, 저장공간(402a)에 저장된 이물질이 에지테이터공간(402b)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1을 참조하면, 먼지통하우징(402)에는, 에지테이터(420)가 장착되는 에지테이터장착부(405)가 배치된다. 에지테이터장착부(405)는, 에지테이터공간(402b)의 하측에 배치되어, 에지터이터(420)의 하단부가 안착될 수 있다.
도 52를 참조하면, 먼지통커버(414)는, 먼지통하우징(402)의 개구된 상측을 커버한다. 먼지통커버(414)에는, 에지테이터연결축(368)의 하부가 관통하는 관통홀(416)이 형성된다. 관통홀(416)은, 먼지통가이더(380)의 가이드판(384)에 형성되는 연결홀(380a)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먼지통장치(400)가 먼지통가이더(380)에 장착될 때, 연결홀(380a)과 관통홀(416)의 위치가 일치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2를 참조하면, 먼지통커버(414)에는, 가이드판(384)에 배치되는 마그넷(388)에 대응하는 대응부재(418)가 배치될 수 있다. 대응부재(418)는, 마그넷(388)에 인력을 작용하는 물질일 수 잇다. 따라서, 먼지통장치(400)가 먼지통가이더(380)에 인접하게 배치될 때, 마그넷(388)과 대응부재(418)에 의해 먼지통장치(400)가 먼지통가이더(380)에 고정될 수 있다.
에지테이터(420)는, 먼지통하우징(40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에지테이터(420)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에지테이터(420)는, 프리필터의 외측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따. 에지테이터(420)는, 프리필터(188)에 끼인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다.
도 52를 참조하면, 에지테이터(420)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바디(422), 회전바디(422)의 외둘레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블레이드(426), 회전바디(422)의 일단에 배치되고, 에지테이터연결축(368)과 연결되는 연결바디(424)를 포함한다.
에지테이터(420)는, 회전바디(42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장착바디(425)를 포함한다. 장착바디(425)는, 먼지통하우징(402)의 에지테이터장착부(405)에 장착되어 에지테이터(420)의 배치를 고정시킨다. 장착바디(425)는, 회전바디(422)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에지테이터(420)가 회전하더라도, 에지테이터장착부(405)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연결바디(424)는, 회전바디(422)의 상측에 배치된다. 연결바디(424)의 상부면에는, 에지테이터연결축(368)의 하단이 삽입되는 연결홈(424a)이 형성된다. 연결홈(424a)은, 에지테이터연결축(368)의 하단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에지테이터연결축(368)이 연결바디(424)의 연결홈(424a)에 삽입될 때, 에지테이터연결축(368)과 에지테이터(420)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도 51을 참조하면, 먼지통필터(428)는, 먼지통하우징(402)의 저장공간(402a)에 배치된다. 먼지통필터(428)는, 먼지통하우징(402)의 유동홀(4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유동홀(410)로 유동하는 공기 중의 미세한 크기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1필터(430)와, 제1필터(430)와 이격배치되고 저장공간(402a)에 배치되는 제2필터(432), 제2필터(432)의 배치를 고정하는 장착바디(434)를 포함한다.
도 51을 참조하면, 장착바디(434)는, 저장공간(402a) 내부로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장착바디(434)는, 저장공간(402a)의 하측에 배치되는 로어플레이트(436), 로어플레이트(436)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배치되는 어퍼플레이트(438), 로어플레이트(436)와 어퍼플레이트(438)를 연결하고, 일측에 제2필터(432)가 배치되는 연결플레이트(440)를 포함한다.
도 51을 참조하면, 로어플레이트(436)는, 저장공간(402a)의 하부에 고정된다. 어퍼플레이트(438)는, 저장공간(402a)의 상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먼지통필터(428)가 저장공간(402a)에 배치될 때, 먼지통필터(428)는 저장공간(402a) 내부에서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제2필터(432)는, 장착바디(434)에 고정배치될 수 있다. 즉, 제2필터(432)는, 연결플레이트(44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1을 참조하면, 연결플레이트(440)는, 제1필터(430)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2필터(432)는, 제1필터(430)에 이격배치되고, 제1필터(430)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필터(430)는, 미세한 크기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헤파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제2필터(432)는, 제1필터(430)가 걸러내는 이물질의 크기보다 큰 크기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제2필터(432)는, 세척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제1필터(430)는, 장착바디(434)에 장착될 수 있다. 제1필터(430)는, 장착바디(434)의 어퍼플레이트(438)와 로어플레이트(43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작동>
이하에서는, 도 53 내지 도 54를 참조하여, 먼지통장치(400)가 필터청소기(300)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필터청소기(300)는, 가이드레일(10)에 장착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천장에 배치되는 공기처리장치(100)에 장착되는 필터청소기(300)로 사용자가 접근하기 어려울 수 있다. 다만, 먼지통장치(400)가 먼지통가이더(380)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므로, 사용자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먼지통장치(400)는, 먼지통가이더(38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먼지통가이더(380)는, 먼지통기어(362)의 작동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먼지통장치(400)는, 먼지통가이더(380)의 마그넷(388)에 의해 먼지통가이더(380)에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먼지통가이더(380)의 마그넷(388)은, 먼지통장치(400)의 대응부재(418)에 인력을 발생시켜, 먼지통장치(400)를 먼지통가이더(38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먼지통장치(400)는, 하우징(302, 330) 내부에 배치되는 제1위치(P1)와, 먼지통장치(400)의 일부가 하우징(302, 330) 외부에 배치되는 제2위치(P2)로 배치될 수 있다. 먼지통장치(400)가 제1위치(P1)에 배치될 때, 에지테이터(420)는, 에지테이터연결축(368)과 연결된다. 따라서, 먼지통장치(400)가 제1위치(P1)에 배치될 때, 에지테이터모터(364)의 작동으로 에지테이터(420)가 회전할 수 있다.
도 53과 같이, 먼지통장치(400)가 제2위치(P2)에 배치될 때, 에지테이터(420)는 에지테이터연결축(368)과 분리된다. 따라서, 먼지통장치(400)가 제2위치(P2)에 배치될 때, 에지테이터모터(364)가 작동하더라도 에지테이터(420)가 회전하지 않는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도 54와 같이 먼지통장치(400)가 필터청소기(3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55 내지 도 91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4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히 기술한다. 따라서, 특별한 설명이 없더라도, 이하의 실시예들과 도 1 내지 도 54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들의 구성, 구조, 동작과 결합하여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5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1)은, 지면 또는 천정면에 수직한 일측면에 제1흡입구(102a)가 형성되고, 상기 제1흡입구(102a)에 수직한 타측면에 제1토출구(102b)가 형성되고, 상기 제1흡입구(102a)로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하여 상기 제1토출구(102b)로 보내는 제1공기처리장치(100), 및, 상기 제1토출구(102b)와 나란한 방향으로 개구된 제2토출구(202b)와, 상기 제1흡입구(102a)와 나란한 방향으로 개구된 제2흡입구(202a)가 형성되는 제2공기처리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와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다른 종류의 공기처리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는, 상기 제1흡입구(102a)로 유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는,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하여 실내공간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상기 제2흡입구(202a)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장치(284)를 포함한다,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필터장치(284)에 통과시킨 후에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청정운전으로 실내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1)은,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 및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를 각각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 공기처리장치(100, 200)는, 각각 지면에 수직한 일측면에 흡입구(102a, 202a)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2 공기처리장치(100, 200)는, 각각 천장면에 수직한 일측면에 흡입구(102a, 202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천장면은 지면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상기 흡입구(102a, 202a)는 상기 천장면 및 지면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면을 향하여 개구되는 토출구(102a, 202a)는 상기 흡입구(102a, 202a)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1)은,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 및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가 함께 운전되는 복합운전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1)은, 구비되는 공기처리장치들(100, 200) 중 어느 한 종류만 운전하는 독립운전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상기 독립운전모드에서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 또는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가 운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가 단독으로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가 단독으로 공기청정운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1)은, 소정 종류의 공기처리장치 중 일부를 운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1)은, 실내공간의 공기상태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상기 복합운전모드 또는 상기 독립운전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공조시스템(1)은 공기상태뿐만 아니라 다른 실내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조시스템(1)은 실내공간의 사람의 재실 여부, 재실 인원수 등 재실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4를 참조하여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는 상기 제1흡입구(102a)에 배치되는 제1프리필터(188)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상기 제2흡입구에 배치되는 제2프리필터(28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와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인접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흡입구(102a)와 상기 제2흡입구(202a)는 나란히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1)은, 상기 제1프리필터(188) 및 상기 제2프리필터(288) 중 적어도 하나를 청소하는 필터청소기(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 및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의 일측에 가이드레일(10)이 배치된다. 가이드레일(10)은 상기 제1흡입구(102a)와 상기 제2흡입구(202a)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프리필터(188) 및 상기 제2프리필터(288)를 청소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와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 각각에 배치되는 프리필터들(188, 288)을 하나의 필터청소기(300)로 청소할 수 있어, 프리필터들(188, 288)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 또는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가 독립운전하거나, 공기처리장치들이 선택적으로 운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필터청소기(300)는, 전체 이동구간을 이동하면서 전 프리필터를 청소할 수도 있고, 운전을 수행한 장치의 프리필터를 선택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 또는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의 운전이 정지되면, 상기 필터청소기(300)가 자동으로 상기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1프리필터(188) 및 상기 제2프리필터(288) 중 적어도 하나를 청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1)은, 원격제어장치(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장치(500)는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와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로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원격제어장치(500)로 공조시스템(1)이 구비하는 공기처리장치들(100, 200)을 모두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제어장치(500)로 복합운전모드, 독립운전모드로 공기처리장치들(100, 200)을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격제어장치(500)는 적외선(IR) 방식 또는 RF(Radio Frequency) 방식 등으로, 제어명령을 공기처리장치(100, 2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장치(500)는 적어도 IR 방식 또는 RF 방식의 송신기를 구비할 수 있고, 공기처리장치들(100, 20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원격제어장치(500)의 송신 방식에 대응하여 IR 방식 또는 RF 방식의 수신기를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원격제어장치(500)는,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근거리 자기장 통신(MFC) 방식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격제어장치(500)는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제어장치(500)는 디스플레이(도 60의 501 참조)를 구비하여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격제어장치(500)는 디스플레이(501)를 통하여, 상기 필터장치(284)의 교체알림정보, 상기 먼지통장치(400)의 비움알림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장치(500)는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에 각각 연결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하고,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격제어장치(500)는 공기처리장치(100, 200)와의 연결 형태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격제어장치(500)는 공조시스템(1)에 포함되는 공기처리장치(100, 200) 중 하나와 통신하고, 상기 원격제어장치(500)와 통신한 공기처리장치가 나머지 공기처리장치들로 제어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공기처리장치들이 가까운 곳에 배치된 공기처리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유선 또는 근거리무선 통신모듈만 포함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와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동일한 종류의 공기처리장치일 수 있다. 복수의 공기처리장치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공기처리장치를 용이하게 추가하고, 공조 영역을 간편하게 확장할 수 있다.
도 5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모듈 확장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6을 참조하면, 공기처리장치들(100, 200)은 규격화된 공통의 외관을 가지고, 모듈 구조로 조합되어 목적에 따라 성능과 기능 확장이 가능하다. 따라서, 개별 공기처리장치(100, 200)는 공기처리모듈로도 명명될 수 있다.
도 56의 (a)를 참조하면, 독립된 하나의 공기처리모듈(1000a)만 설치할 수 있다. 좌우측 마감재(2000) 사이의 공기처리모듈(1000a)은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 또는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일 수 있다.
도 56의 (b)를 참조하면, 2개의 공기처리모듈(1000a, 1000b)을 조합할 수 있다.
2개의 공기처리모듈(1000a, 1000b)을 같은 종류로 조합하고, 나란히 배치하여, 해당 공기처리모듈(1000a, 1000b)을 길이방향으로 확장배치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1)은 2개의 공기처리모듈(1000a, 1000b)을 복합기능으로 다른 종류로 조합하여 확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컨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1공기처리장치(100)와 공기청정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2공기처리장치(200)를 하나씩 조합할 수 있다.
또한, 도 56의 (c)를 참조하면, 3개의 공기처리모듈(1000a, 1000b, 1000c)을 조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에어컨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1공기처리장치(100)와 공기청정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2공기처리장치(200)를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공기처리장치(100)를 2개, 제2공기처리장치(200)를 1개 조합할 수 있다.
한편, 제1공기처리장치(100)와 제2공기처리장치(200)를 모두 복수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공기처리장치(100)와 제2공기처리장치(200) 중 어느 하나가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에 복수개 구비되는 모듈은 교호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56의 (c)의 경우에, 중앙에 배치된 공기처리모듈(1000b)이 제1공기처리장치(100)이고, 좌우에 배치된 공기처리모듈(1000a,1000c)은 제2공기처리장치(200)일 수 있다. 또는 중앙에 배치된 공기처리모듈(1000b)이 제2공기처리장치(200)이고, 좌우의 공기처리모듈(1000a,1000c)은 제1공기처리장치(100)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른 종류의 공기처리장치들(100, 200)이 나란히 인접하게 배치되고, 다양한 복합운전이 가능하다.
도 5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1)은 서버(710)와 통신하거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공기처리장치들(100, 200) 중 적어도 하나는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공기처리장치들(100, 200)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종류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거나 복수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처리장치들(100, 200) 중 적어도 하나는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처리장치들(100, 200) 중 적어도 하나는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 등을 통해 소정 서버(710)와 연결 가능하고, 원격 모니터링, 원격 제어 등 스마트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제어 시스템은, 스마트 폰(smart phone, 730a), 노트북 PC(730b), 태블릿(Tablet) PC(730c) 등 이동단말기(7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이동단말기(730)를 통하여 상기 공조시스템(1) 내의 공기처리장치들(100, 200)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거나 공기처리장치들(100, 20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1), 실내, 실외에서 공기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적어도 실내 공간의 온도, 습도, 공기질을 센싱하는 것으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먼지, CO2 등 하나 이상의 공기질을 센싱할 수 있는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 센서는 먼지 입자 크기별로 먼지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PM 1.0, PM 2.5, 및 PM 10.0인 먼지의 농도를 구분하여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는 다수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센서 중 적어도 일부는 공조시스템(1) 내 장치(100, 200, 300, 500)에 구비된 센서일 수 있다. 또한, 공조시스템(1)은 각 장치(100, 200, 300, 500)에 구비된 센서들의 센싱 데이터를 조합하여 위치 별 데이터를 관리하거나 센싱 데이터의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센서는 실외에 배치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에 배치된 온도 센서, 먼지 센서가 해당될 수 있다.
또는, 공조시스템(1)은, 외부 센서가 센싱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공조시스템(1) 내 적어도 하나의 장치는 외부 센서로부터 직접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서버(710) 또는 이동 단말기(730)를 통하여 전달받을 수 있다.
도 5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100, 200)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58을 참조하면, 공기처리장치(100, 200)는, 드라이버(640), 센서(650), 인터페이스(660), 메모리(630), 통신모듈(620), 및,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프로세서(6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각 공기처리장치(100, 200)에 공통으로 포함되는 구성으로, 장치의 특성에 따라 세부 구성이 달라지거나 별도의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공기처리장치(100)의 드라이버(640)는, 제1루버구동장치(174)를 포함할 수 있고, 제2공기처리장치(200)의 드라이버(640)는, 커버구동장치(220), 필터구동장치(228), 제2루버구동장치(29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공기처리장치(100, 200)의 종류에 따라 센서(650)에 포함되는 센서의 종류 및 그 수, 설치 위치는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먼지, CO2 등 하나 이상의 공기질을 센싱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650)는 공기처리장치(100, 200)의 동작 상태를 센싱할 수 있는 센서, 실내에서 공기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서(예, 온도, 습도, 공기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공기처리장치(100, 200)는 재실자 감지를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30)에는, 공기처리장치(100, 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 동작 중 발생하거나 또는 감지되는 동작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630)는 기능별 실행프로그램, 동작 제어를 위한 데이터,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인터페이스(660)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원격제어장치(500)가 송신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인터페이스(660)는 버튼, 스위치, 터치입력수단과 같은 입력수단을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660)는 입력수단의 조작에 대응하여 사용자 명령 또는 소정의 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데이터에 상기 프로세서(610)로 인가한다.
상기 프로세서(610)는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상기 공기처리장치(100, 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610)는 루버구동장치(174, 294)를 제어하고,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660)는 점등 또는 점멸제어되는 램프, 소정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공기처리장치(100, 200)의 동작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램프는 점등 여부, 점등 색상, 점멸 여부에 따라 유닛이 동작중인지 여부를 출력하고, 스피커는 소정의 경고음, 효과음을 출력하여 동작상태를 출력한다.
공기처리장치(100, 200)는, 통신모듈(620)를 통하여, 다른 장치, 이동 단말기(730) 등과 통신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공기처리장치(100, 200)의 통신모듈(620)은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이동 단말기(730) 등과 무선 통신할 수 있다.
공기처리장치(100, 200)는, 다른 장치로 소정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송신기(6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처리장치(100, 200)는, 다른 장치로부터 소정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6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기(621)와 상기 수신기(622)는 통합되어 트랜시버(transceiv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청소기 및 충전시스템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59를 참조하면, 필터청소기(300)는, 인터페이스(720), 드라이버(740), 센서(750), 메모리(730), 및,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프로세서(7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740)는 기어모터(356), 에지테이터모터(364), 흡입장치(376) 등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710)는 상기 필터청소기(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프로세서(710)는 상기 드라이버(740)를 제어하여 상기 필터청소기(3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710)는 상기 드라이버(740)를 제어하여 상기 프리필터(188, 288)의 청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730)에는, 상기 필터청소기(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 동작 중 발생하거나 또는 감지되는 동작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인터페이스(720)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원격제어장치(500)가 송신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720)는 점등 또는 점멸제어되는 램프, 소정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필터청소기(300)의 동작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램프는 점등 여부, 점등색상, 점멸 여부에 따라 유닛이 동작중인지 여부를 출력하고, 스피커는 소정의 경고음, 효과음을 출력하여 동작상태를 출력한다.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배터리(374)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374)에 저장된 전원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필터청소기(300)의 일측에는 배터리(374)의 충전을 위한 전원이 공급되는 연결단자(3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374)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시스템은 상술한 단부플레이트(28)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부플레이트(28)의 일측에는 충전단자(30)가 형성된다. 상기 충전단자(30)와 상기 연결단자(320)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전단자(30)와 상기 연결단자(320)가 접속되면 전원공급회로(820)는 상기 연결단자(32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회로(820)가 공급하는 전원은 상기 연결단자(320), 상기 충전단자(30)를 거쳐 상기 배터리(374)를 충전시킨다.
한편, 센서(830)는 전원공급회로(820)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감지할 수 있고, 프로세서(810)는 충전상황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센서(750)는 상기 필터청소기(300)의 동작 상태를 센싱할 수 있는 센서, 상기 필터청소기(300)의 위치를 판별할 수 있는 위치감지센서(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750)는 먼지통장치(400)가 얼마나 찼는지 판별할 수 있는 먼지통센서(미도시), 배터리 충전상태를 판별할 수 있는 배터리센서(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원격제어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6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60과 도 61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5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 인터페이스(590), 소정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50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500)는, 소정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5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501)와 상기 스피커(505)는 공조시스템(1)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시각적/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501)와 상기 스피커(505)는 공조시스템(1)의 상태 정보, 센서들에서 센싱된 센싱 데이터, 특정 동작/기능을 안내하는 안내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501)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입력수단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501)가 터치스크린인 경우에 입력 인터페이스(590)에 포함되는 하드버튼 중 적어도 일부가 제거될 수도 있다.
도 60은 상기 원격제어장치(500) 정면에 배치되는 하드버튼들을 예시한다.
도 60을 참조하면, 제1영역(510)에는 복합운전에 대응하는 버튼들(511, 512, 513)이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제1영역(510)의 냉방버튼(511)을 누르면,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는 냉방운전하고, 상기 제2 공기처리장치(200)는 공기청정운전하는 복합냉방운전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상기 제1영역(510)의 난방버튼(512)을 누르면,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는 난방운전하고, 상기 제2 공기처리장치(200)는 공기청정운전하는 복합난방운전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501)와 상기 스피커(505)는 냉방/난방 공기청정을 시작한다는 안내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기류버튼(513)을 조작하여 자동기류제어기능을 설정하거나 수직풍, 수평풍, 반복회전 등으로 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자동기류제어기능이 설정되면, 공조시스템(1)은 복합운전 여부, 냉/난방 여부, 공기질, 재실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수직풍은 천장에 설치된 공기처리장치(100, 200)가 최단거리의 지면을 향하여 공기를 토출하는 것으로, 천장면 또는 지면에 수직(수직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범위이내 포함)하게 기류가 형성하고, 난방운전, 에어커튼(air cirtain) 기능,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수평풍은 천장에 설치된 공기처리장치(100, 200)가 최상단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것으로, 냉방운전, 공기청정운전, 빠르게 기류를 확산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상기 반복회전은 루버(150, 290)를 소정 각도 범위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반복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501)와 상기 스피커(505)는 기류제어와 관련된 안내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제2영역(520)에는 제1공기처리장치(100)의 독립운전에 대응하는 버튼들(521, 522, 523)이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냉방버튼(521) 또는 난방버튼(523)을 조작하면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는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정지버튼(522)을 누르면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는 운전을 정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정지버튼(522)은 공조시스템(1)의 모듈 전부를 정지시키는 버튼일 수 있다.
제3영역(530)에는 제2공기처리장치(200)의 독립운전에 대응하는 버튼들(531, 532)이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공청버튼(5131)을 조작하면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공기청정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공기질감지모드버튼(5131)을 조작하면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공기질데이터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운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획득되는 공기질데이터가 좋음상태에 해당할 때까지 공기청정운전을 수행하거나 팬의 회전속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501)와 상기 스피커(505)는 독립운전시에도 운전상태와 관련된 안내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제4영역(540)에는 필터류와 관련된 버튼들(541, 543)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파버튼(541)은 헤파필터(289) 등 소모성 필터장치(284)의 교체입력에 대응할 수 있다. 사용자가 헤파버튼(541)을 누르면 필터장치(284)가 하강함으로써, 교체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동청소버튼(542)을 조작하여 필터청소기(300)를 이용한 자동청소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먼지통비움버튼(543)은 먼지통장치(400)의 비움입력에 대응할 수 있다. 사용자가 먼지통비움버튼(543)을 누르면 먼지통장치(400)가 하강함으로써, 쉽게 먼지통장치(400)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장치(500)는 다른 버튼들(551, 5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격제어장치(500)는 풍량을 변경할 수 있는 풍량조절버튼(551), 공조시스템(1)에 구비된 광원을 조작할 수 있는 조명버튼(552)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60에서 예시된 버튼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원격제어장치(500)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560),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5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580)에는, 상기 원격제어장치(5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 동작 중 발생하거나 또는 감지되는 동작데이터가 저장된다.
한편, 상기 원격제어장치(500)는, 통신모듈(570)을 구비하여 다른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장치(500)는, 적어도 제어명령을 공기처리장치(100, 200)로 송신하는 송신기(571)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원격제어장치(500)는, 소정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5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기(571)와 상기 수신기(572)는 통합되어 트랜시버(transceiv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1)는 이동단말기(730), 서버(710)와 통신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동단말기(730) 또는 서버(710)와 통신하는 다른 기기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공조시스템(1)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도 62와 도 6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통신구조 및 원격제어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으로, 도 62는 통신연결구조의 다양한 예들을 도시하고, 도 63은 이동단말기를 통하여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화면을 예시한다.
도 62의 (a)를 참조하면, 서버(710), 스마트폰(730a) 등은,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 또는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의 공기처리모듈(1000)와 각각 무선통신하여,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송신하고, 각 공기처리모듈(1000)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공기처리모듈(1000)은 와이파이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서버(710), 상기 스마트폰(730a) 등과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710), 상기 스마트폰(730a) 등은, 공조시스템(1)에 포함되는 복수의 공기처리모듈(1000) 중 하나와 통신하고, 상기 원격제어장치(500)와 통신한 공기처리모듈(1000)가 나머지 공기처리모듈로 제어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도 62의 (b)를 참조하면, 공기처리모듈들(1000a, 1000b)은 유선으로 연결되여 상호간에 유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서버(710), 상기 스마트폰(730a) 등은, 와이파이 등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 공기처리모듈(1000a)과 무선통신하여,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송신하고, 공기처리모듈들(1000a, 1000b)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처리모듈(1000a)은 나머지 공기처리모듈들(1000b)에게 수신되는 제어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처리모듈(1000a)은 나머지 공기처리모듈들(1000b)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710), 상기 스마트폰(730a) 등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62의 (c)를 참조하면, 공기처리모듈들(1000c, 1000d)은 상호간에 블루투스 등 근거리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서버(710), 상기 스마트폰(730a) 등은, 와이파이 등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 공기처리모듈(1000c)과 무선통신하여,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송신하고, 공기처리모듈들(1000c, 1000d)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처리모듈(1000c)은 나머지 공기처리모듈들(1000d)에게 수신되는 제어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처리모듈(1000c)은 나머지 공기처리모듈들(1000d)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710), 상기 스마트폰(730a) 등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공기처리모듈들(1000b, 1000d)이 가까운 곳에 배치된 공기처리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유선 또는 근거리무선 통신모듈만 포함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폰(730a)으로 애플리케이션(appplication)을 실행시키거나, 소정 웹사이트(website)에 접속함으로써, 원격으로 공조시스템(1)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도 63의 (a)를 참조하면, 복합운전, 독립운전, 자동청소 등 상위의 운전메뉴를 선택한 후에 세부 제어를 선택할 수 있다. 만약 독립운전이 선택된다면, 도 63의 (b)와 같은 모듈선택화면에서 제어대상모듈을 선택하고 제어할 수 있다.
도 6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1)은, 지면 또는 천정면에 수직한 일측면에 제1흡입구(102a)가 형성되고, 상기 제1흡입구(102a)에 수직한 타측면에 제1토출구(102b)가 형성되고, 상기 제1흡입구(102a)로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하여 상기 제1토출구(102b)로 보내는 제1공기처리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는 상기 제1흡입구(102a)로 유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18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1)은, 상기 제1흡입구(102a)와 나란한 방향으로 개구된 제2흡입구(202a)가 형성되고, 상기 제1토출구(102b)와 나란한 방향으로 개구된 제2토출구(202b)가 형성되는 제2공기처리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상기 제2흡입구(202a)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장치(28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1)은,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 및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함께 운전되는 복합운전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1)은, 구비되는 공기처리장치들(100, 200) 중 어느 한 종류만 운전하는 독립운전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1)은, 자동운전이 설정된 경우에(S1010), 자동으로 복합운전모드 또는 독립운전모드로 최적모드를 선택하여 동작할 수 있다(S1020). 또는, 자동운전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S10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1)은, 원격제어장치(500), 이동단말기(700) 등으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S1060),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한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S1070). 또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운전을 정지할 수 있다(S1075).
더욱 바람직하게는, 공조시스템(1)은, 실내공간의 공기상태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상기 복합운전모드 또는 상기 독립운전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1030). 공조시스템(1)은, 시스템(1) 내 장치들이 구비하는 센서들이 획득한 정보, 서버(710), 이동단말기(730), 기타 외부 센서 등으로부서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실내공간의 공기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S1020). 또한, 공조시스템(1)은, 획득된 실내공간의 공기상태에 적합한 최적므도로 자동운전할 수 있다(S1030).
도 6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로, 실내공간의 공기 상태에 기초하여(S1020), 최적모드로 자동운전(S1030)하는 과정을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65를 참조하면, 실내온도가 난방기준온도 이하이고(S1110), 공기질데이터가 기준치 이상이면(S1115),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는 난방운전하고,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상기 제2흡입구(202a)로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여 상기 제2토출구로 보내는 공기청정운전할 수 있다(S1130). 즉, 공조시스템(1)은 복합난방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S1130).
만약 상기 실내온도(S1110)가 상기 난방기준온도 이하이고, 상기 공기질데이터가 상기 기준치 미만이면(S1115),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만 난방운전할 수 있다(S1120). 즉, 공조시스템(1)은 독립난방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S1120).
한편, 실내온도가 냉방기준온도 이상이고(S1140), 공기질데이터가 기준치 이상이면(S1145),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는 냉방운전하고,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는 공기청정운전할 수 있다(S1160). 즉, 공조시스템(1)은 복합냉방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S1160).
만약 상기 실내온도가 상기 냉방기준온도 이상이고(S1140), 상기 공기질데이터가 상기 기준치 미만이면(S1145),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만 냉방운전할 수 있다(S1150). 즉, 공조시스템(1)은 독립냉방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S1150).
한편, 실내온도가 난방기준온도보다 높고(S1110), 냉방기준온도 미만이며(S1140), 공기질데이터가 기준치 이상이면(S1170),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만 공기청정운전할 수 있다(S1180). 즉, 공조시스템(1)은 독립공청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S1180).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나란한 방향으로 토출구가 형성되는 복수의 공기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실내공기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온도조절된 공기와 필터링된 공기를 빠르게 실내순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복수의 공기처리장치가 자동으로 연동 동작함으로써, 효율적인 공조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들(100, 200)은, 각각, 지면 또는 천정면에 수직한 일측면에 흡입구(102a, 202a)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02a, 202a)에는 프리필터(188, 288)가 배치된다.
상기 공기처리장치들(100, 200)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기처리장치의 운전이 정지되면(S1035), 필터청소기(300)는, 자동으로 이동하며 상기 공기처리장치들(100, 200)이 구비하는 프리필터들(188, 288) 중 적어도 하나를 청소할 수 있다(S1040). 한편, 필터청소기(300)의 청소 동작이 끝나면(S1050), 공조시스템(1)의 동작이 종료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 운전 후에 프리필터들(188, 288)의 자동 청소를 수행함으로써, 항상 프리필터(188, 288) 및 흡입구(102a, 202a)를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 성능의 열화가 없어, 공조 효율도 양호하게 관리할 수 있다.
제1공기처리장치(100)와 제2공기처리장치(200) 각각에 배치되는 프리필터(188, 288)를 하나의 필터청소기(300)로 청소할 수 있어, (188, 288)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6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청소기의 이동 및 청소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6의 (a)를 참조하면, 공기처리장치들(100a, 200, 100b)은, 좌우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공기처리장치들(100a, 200, 100b)이 구비하는 프리필터들(188, 288) 중 적어도 하나를 청소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처리장치들(100a, 200, 100b)의 일측에는 상기 필터청소기(3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0)이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0)는 공기처리장치들(100a, 200, 100b)의 프리필터들(188, 288) 상단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이동구간의 시작점과 끝점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이동구간의 시작점에서 대기하다가, 운전 정지 등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사용자의 청소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끝점 방향으로 이동을 시작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0)에는 단부플레이트(28)가 배치되어 상기 필터청소기(300)의 이동을 제한하고, 이동구간 범위를 정의할 수 있다.
도 66의 (b)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이동하면서 상기 공기처리장치들(100a, 200, 100b)이 구비하는 프리필터들(188, 288)을 전부 청소할 수 있다.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시작점에서 출발하여 상기 끝점까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끝점에 도착한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이동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끝점에서 출발하여 상기 시작점까지 이동하여 복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필터들(188, 288) 중 일부를 청소할 수 있다. 특히, 독립운전 등으로 상기 공기처리장치들(100a, 200, 100b) 중 일부가 운전한 경우에, 운전이 정지되면 운전을 수행한 공기처리장치들(100a, 200, 100b)의 프리필터들(188, 288)를 대상으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청소기간을 단축하고 청소효율을 향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필터청소기(300)의 배터리 소비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6의 (c)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처리장치들(100a, 200, 100b) 중 중앙에 배치된 제2공기처리장치(200)만 공기청정운전하고 운전이 정지된 경우에,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이동하면서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이 구비하는 프리필터(288)만 청소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흡입장치(376), 에지테이터(420)를 동작시키지 않고 제1공기처리장치(100a)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a)을 통과한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흡입장치(376), 상기 에지테이터(420) 등을 동작시켜 상기 프리필터(288)를 청소할 수 있다.
도 66의 (d)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처리장치들(100a, 200, 100b) 중 상기 시작점에 가깝게 배치된 제1공기처리장치(100a)만 냉방운전하고 운전이 정지된 경우에,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이동하면서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a)이 구비하는 프리필터(188)만 청소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다른 공기처리장치들(200, 100b)까지 이동/청소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도 66의 (c)와 (d)는 어느 한 공기처리장치(200 또는 100a)만 운전되어 해당 프리필터(288 또는 188)만을 청소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공기처리장치들(100a, 100b)이 운전된 경우에 운전의된 상기 제1 공기처리장치들(100a, 100b)의 프리필터(188)를 청소할 수 있다.
한편, 특정 공기처리장치(200 또는 100a)의 프리필터(288 또는 188)를 청소하는 경우에, 상기 가이드레일(10)에서 특정 공기처리장치(200 또는 100a) 또는 프리필터(288 또는 188)에 대응하는 구간을 청소구간으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흡입장치(376), 상기 에지테이터(420) 등은 상기 청소구간의 시작점과 끝점사이에서 동작할 수 있다.
도 6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7은 필터청소기(300)가 공조시스템(1)에 구비된 프리필터들(188, 288)을 전부 청소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66의 (b)에 대응할 수 있다.
도 67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이동구간의 시작점에서 대기하다가, 운전 정지 등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사용자의 청소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이동구간의 끝점 방향으로 이동을 시작할 수 있다(S1310).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이동하면서(S1310), 청소를 위해, 흡입장치(376)를 구동하고(S1320), 에지테이터(420)를 구동할 수 있다(S1330). 한편, 상기 흡입장치(376)가 먼저 구동되거나, 상기 에지테이터(420)가 먼저 구동되거나, 상기 흡입장치(376)와 상기 에지테이터(420)가 동시에 구동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끝점에 도착하면(S1340), 이동을 정지할 수 있다(S1350).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이동방향을 전환하여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S1360). 즉,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끝점에서 상기 시작점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S1360).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시작점에 도착하면(S1370), 에지테이터(420) 및 흡입장치(376)의 구동을 정지하고(S1380, S1385), 및 이동을 정지할 수 있다(S1390). 이에 따라,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프리필터들(188, 288)을 왕복하며 2회 청소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에지테이터(420) 및 흡입장치(376)는, 상기 끝점 도착시(S1340) 정지되었다가, 방향전환하여 이동하면서(S1360) 구동이 재개될 수 있다.
도 6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8은 필터청소기(300)가 공조시스템(1)에 구비된 프리필터들(188, 288) 중 일부를 청소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66의 (c)에 대응할 수 있다.
도 68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이동구간의 시작점에서 대기하다가, 운전 정지 등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사용자의 청소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이동구간의 끝점 방향으로 이동을 시작할 수 있다(S1401).
상기 필터청소기(300)가 청소구간의 시작점에 도착하면(S1410), 상기 흡입장치(376) 및 상기 에지테이터(420)를 구동할 수 있다(S1415, S1420).
한편,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청소구간의 끝점에 도착하면(S1425), 이동을 정지할 수 있다(S1430).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이동방향을 전환하여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S1435). 즉,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청소구간의 끝점에서 상기 이동구간의 시작점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S1360).
한편,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청소구간의 시작점에 다시 도착하면(S1440), 상기 흡입장치(376) 및 상기 에지테이터(420)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S1445, S1450). 이에 따라,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청소구간을 왕복하며 2회 청소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에지테이터(420) 및 흡입장치(376)는, 상기 청소구간의 끝점 도착시(S1425) 정지되었다가, 방향전환하여 이동하면서(S1435) 구동이 재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시작점에 도착하면(S1460), 이동을 정지할 수 있다(S1470).
도 6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운전 중 청소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1)은, 복수의 공기처리장치(100, 200)를 포함하고, 복수의 공기처리장치(100, 200) 전부 또는 일부가 운전 중인 상황에서도 프리필터(188, 288)에 대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 또는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 운전 중일 때, 운전 중인 공기처리장치에 대응하는 구간에 상기 필터청소기(300)가 진입하면, 상기 운전 중인 공기처리장치는 상기 필터청소기(300)가 상기 대응하는 구간을 통과하는 동안에 운전을 일시정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중인 공기처리장치(100, 200)의 흡입구(102a, 202a)를 차단하거나 전체 공조시스템(1)을 정지시키지 않아도 상기 프리필터(188, 288)의 청소가 가능하다.
도 69는 공조시스템(1)이 2개의 제1공기처리장치들(100a, 100b)과 2개의 제2공기처리장치들(200a, 200b)을 포함하고, 전 공기처리장치들(100a, 100b, 200a, 200b)이 운전 중인 상황에서 상기 필터청소기(300)가 이동하는 예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69의 (a)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처리장치들(100a, 100b, 200a, 200b)이 운전 중일 때,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시작점에서 대기한다.
만약 사용자의 청소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공기처리장치들(100a, 100b, 200a, 200b)의 운전을 순차적으로 정지시키고, 상기 필터청소기(300)가 청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도 69의 (b) 내지 (e)).
도 69의 (b)와 (c)를 참조하면, 공기처리장치(100a, 200a)에 대응하는 구간에 상기 필터청소기(300)가 진입하면, 상기 운전 중인 공기처리장치(100a, 200a)는 상기 필터청소기(300)가 상기 대응하는 구간을 통과하는 동안에 운전을 일시정지할 수 있다.
도 69의 (d)와 (e)를 참조하면, 공기처리장치(100b, 200b)에 대응하는 구간에 상기 필터청소기(300)가 진입하면, 상기 운전 중인 공기처리장치(100b, 200b)는 상기 필터청소기(300)가 상기 대응하는 구간을 통과하는 동안에 운전을 일시정지할 수 있다.
도 70 내지 도 7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청소기의 충전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1)은, 지면 또는 천정면에 수직한 일측면에 형성되는 흡입구(102a, 202a), 및, 상기 흡입구(102a, 202a)에 배치되는 프리필터(188, 288)를 각각 포함하는 공기처리장치들(100, 200), 상기 공기처리장치들(100, 200)의 일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레일(10), 배터리(374) 및 상기 배터리(374)를 충전시키는 전원이 공급되는 연결단자(320)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374)에 충전된 전원에 기초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공기처리장치들(100, 200)이 구비하는 프리필터들(188, 288)을 청소하는 필터청소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1)은, 상기 배터리(374)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374)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시스템은 단부플레이트(28)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70 내지 도 72 및 도 5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1)은, 상기 필터청소기(300)의 연결단자(320)에 접속되는 충전단자(30), 및, 상기 연결단자(320)와 상기 충전단자(30)가 접속되면, 상기 충전단자(3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회로(820)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레일(10)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에 배치되는 단부플레이트(2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0과 도 71은 상기 연결단자(320)와 상기 충전단자(30)가 접속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72는 상기 연결단자(320)와 상기 충전단자(30)가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이동기어(358)가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동기어(358)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단부플레이트(28)를 향하여 접근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단부플레이트(28)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단부플레이트(28)는 상기 가이드레일(10)이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충전단자(30)는 상기 가이드레일(1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단자(320)와 상기 충전단자(30)는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연결단자(320)와 상기 충전단자(30)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청소기(300)가 상기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일방향으로 끝까지 이동하기만 하면, 상기 연결단자(320)와 상기 충전단자(30)가 접속될 수 있다.
상기 필터청소기(300)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구간의 시작점은 상기 연결단자(320)와 상기 충전단자(30)가 접속되는 위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시작점에서 충전중 또는 충전 완료인 상태로 대기하다가 청소 작업을 위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자동으로 이동하며 상기 프리필터(188, 288)의 청소를 수행한 후에 상기 시작점으로 복귀하고, 상기 전원공급회로(820)는, 상기 연결단자(320)와 상기 충전단자(30)가 접속되면 상기 충전단자(30)로 전원을 공급해 상기 배터리(374)를 충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이동기어(358)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켜 이동하며 상기 프리필터(188, 288)의 청소를 수행한 후에, 상기 이동기어(358)를 상기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시작점으로 복귀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이동기어(358)를 회전방향을 전환하여 이동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단자(320)와 상기 충전단자(30)가 확실히 접속되도록 밀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시작점에 복귀한 후에, 상기 이동기어(358)를 상기 제2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켜 상기 연결단자(320)와 상기 충전단자(30)에 텐션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청소 후 이동전 대기상태의 시작점으로 복귀한 후에 상기 제2방향으로 제어가능한 최소 단위로 회전하여 상기 연결단자(320)와 상기 충전단자(30)를 더 밀착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필터청소기(300)를 지지하는 지지부(미도시)를 더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지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단부플레이트(28)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필터청소기(30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단자(320)와 상기 충전단자(30)가 더 밀착될 수 있다.
도 7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로, 필터청소기(300)의 이동 및 청소 과정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7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청소기(300)의 위치 판별 및 이동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3과 도 74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이동구간의 시작점에서 대기하다가, 운전 정지 등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사용자의 청소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에,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시작할 수 있다(S1910).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필터청소기(300)가 대기하는 시작점에서 끝점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0)에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배치되는 복수개의 감지대상물(26a 내지 26n)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위치감지센서(322)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322)는 상기 감지대상물(26a 내지 26n)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대상물(26)은, 위치감지센서(322)에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위치감지센서(322)가 스위치 센서인경우, 후방으로 돌출된 돌기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위치감지센서(322)가 홀센서인 경우, 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위치감지센서(322)에서 검출되는 감지대상물(26a 내지 26n)에 기초하여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0)에는, 적어도 2개의 감지대상물(26a, 26n)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0)에는, 적어도 상기 필터청소기(300)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구간의 시작점과 끝점에 대응하는 2개의 감지대상물(26a, 26n)이 배치될 수 있다. 제1감지대상물(26a)은 상기 이동구간의 시작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n감지대상물(26n)은 상기 이동구간의 끝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센서(322)는, 상기 제1감지대상물(26a)을 감지하여 상기 이동구간의 시작점을 인식할 수 있고, 상기 제n감지대상물(26n)을 감지하여 상기 이동구간의 끝점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위치감지센서(322)에서 상기 제n감지대상물(26n)이 감지되면, 상기 이동구간의 끝점까지 왔다는 것을 판별할 수 있다.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센서(322)에서 상기 제1감지대상물(26a)이 감지되면, 상기 이동구간의 시작점에 복귀했다는 것을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레일(10)에는, 3개 이상의 감지대상물(26a 내지 26n)이 배치될 수 있다. 감지대상물(26a 내지 26n)의 개수가 많을수록 상기 필터청소기(300)의 위치판별 및 이동제어를 정밀하게 수행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위치감지센서(322)에서 검출되는 감지대상물(26a 내지 26n)의 식별정보, 감지대상물(26a 내지 26n)의 종류, 상기 감지대상물(26a 내지 26n)의 검출 순서, 상기 감지대상물(26a 내지 26n)에 의한 물리량(압력, 자기장, 전류 등) 변화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감지대상물(26a 내지 26n)은 상기 이동구간의 시작점에서부터 등거리(d)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1회의 이동에서 감지되는 감지대상물(26a 내지 26n)의 개수 또는 순서만 알아도 이동거리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개의 감지대상물(26a 내지 26n)은, 상기 이동구간의 시작점, 끝점, 각 공기처리장치(100, 200)의 시작점, 끝점, 각 프리필터(188, 288)의 시작점, 끝점 등 특징점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이동구간 및 청소구간을 간편하게 판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들(100, 200) 모듈화되어 동일한 외관,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특징점에 배치된 감지대상물(26a 내지 26n)도, 시작점 별로 등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끝점 별로 등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청소기(300)의 위치판별 및 이동제어를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위치감지센서(322)를 복수개 구비하여, 위치판별의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서로 이격배치되는 제1위치감지센서(322a)와 제2위치감지센서(32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청소기(300)가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동일한 감지대상물(26a 내지 26n)을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322a)가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322b)보다 먼저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청소기(300)가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동일한 감지대상물(26a 내지 26n)을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322b)가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322a)보다 먼저 감지할 수 있다.
도 74의 (a)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시작점에서 상기 단부플레이트(28)에 접촉하며 대기한다. 이때,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322a)가 상기 시작점에 대응하는 감지대상물(26a)를 감지할 수 있다.
도 74의 (b)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청소기(300)가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322a)가 소정 감지대상물(26c)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계속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322a)에서 감지된 감지대상물(26c)은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322b)에서도 감지될 것이다.
도 74의 (c)와 (d)를 참조하면, 상기 청소구간의 끝점에 대응하는 감지대상물(26e)은, 먼저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322a)에서 감지된 후에,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322b)에서 감지될 수 있다.
상기 필터청소기(300)가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할 때(S1910),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322b)에서 상기 청소구간의 끝점을 판별하면(S1920),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이동을 정지할 수 있다(S1930).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322b)가 상기 청소구간의 끝점에 대응하는 감지대상물이 감지하면,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322b)가 상기 청소구간의 끝점에 도착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S1920).
상기 필터청소기(300)가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할 때(S1910), 동일한 감지대상물(26a 내지 26n)을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322b)가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322a)보다 늦게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322b)가 상기 청소구간의 끝점을 판별하면(S1920), 상기 필터청소기(300)가 더 이동하더라도 청소 대상이 없다. 따라서,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322b)에서 상기 청소구간의 끝점을 판별하면(S1920),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이동을 정지하고(S1930), 제2방향으로 이동을 시작할 수 있다(S1940).
한편,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필터청소기(300)가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할 때(S1910), 동일한 감지대상물(26a 내지 26n)을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322a)가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322b)보다 늦게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필터청소기(300)가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감지대상물(26d 내지 26a)를 감지할 수 있다. 도 74의 (e)와 (a)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구간의 시작점에 대응하는 감지대상물(26a)은, 먼저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322b)에서 감지된 후에,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322a)에서 감지될 수 있다.
상기 필터청소기(300)가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할 때(S1940),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322a)에서 상기 이동구간의 시작점을 판별하면(S1950),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제2방향 이동을 정지할 수 있다(S1960).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322a)가 상기 이동구간의 시작점에 대응하는 감지대상물이 감지하면,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322a)가 상기 이동구간의 시작점에 도착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S1950).
한편, 상기 제2방향으로의 이동은 단부플레이트(28)를 향한 복귀이동이므로, 상기 필터청소기(300)가 상기 이동구간의 시작점에 도착하면,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단부플레이트(28)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충전단자(30)와 상기 연결단자(320)가 접속되면, 전원공급회로(820)는 상기 연결단자(320), 상기 충전단자(30)를 거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배터리(374)를 충전시킬 수 있다(S198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청소기(300)의 지지 및 안정적인 충전을 위하여, 상기 필터청소기(300)가 상기 이동구간의 시작점에 도착하면, 상기 필터청소기(300)를 상기 단부플레이트(28) 측으로 가압하는 밀착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970).
한편,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이물질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먼지통장치(400), 상기 프리필터(188, 288)와 접촉하며 회전하는 에지테이터(420), 상기 에지테이터(420)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상기 먼지통장치(400)로 보내는 흡입장치(37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공조시스템(1)에 구비된 모든 프리필터들(188, 288)을 청소할 때, 상기 필터청소기(300)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구간의 끝점을 향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흡입장치(376) 및 상기 에지테이터(420)를 구동하고, 상기 끝점에 도착하면 정지하며, 상기 이동구간의 시작점을 향하여 이동하고, 상기 시작점에 도착하면 상기 흡입장치(376) 및 상기 에지테이터(420)의 구동을 정지하고,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끝점에 도착하면 상기 흡입장치(376) 및 상기 에지테이터(420)를 구동 정지하며, 상기 시작점을 향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흡입장치(376) 및 상기 에지테이터(420)를 다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공조시스템(1)에 구비된 모든 프리필터들(188, 288) 중 일부를 청소할 때, 상기 필터청소기(300)가 청소할 필터에 대응하는 청소구간을 향하여 이동하고, 상기 청소구간의 시작점에 도착하면, 상기 흡입장치(376) 및 상기 에지테이터(420)를 구동하며, 상기 청소구간의 끝점에 도착하면 정지하고, 상기 필터청소기(300)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구간의 시작점을 향하여 이동하고, 상기 청소구간의 시작점에 도착하면, 상기 흡입장치(376) 및 상기 에지테이터(420)를 구동 정지하며, 상기 시작점에 도착하면,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청소구간의 끝점에 도착하면 상기 흡입장치(376) 및 상기 에지테이터(420)를 구동 정지하며, 상기 시작점을 향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흡입장치(376) 및 상기 에지테이터(420)를 다시 구동할 수 있다.
도 7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5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청소기(300)가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할 때(S2110),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322a)에서 상기 청소구간의 시작점을 판별하면(S2120),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감속할 수 있다(S2125). 또한,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322b)에서 상기 청소구간의 끝점을 판별하면(S2130),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이동을 정지할 수 있다(S2135). 즉, 상기 청소구간의 시작점이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322a)에서 판별된 시점(S2120)부터, 상기 청소구간의 끝점이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322b)에서 판별된 시점(S2130)까지의 구간은 감속 구간일 수 있다.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청소구간이 아닐 때에는 제1이동속도로 빠르게 이동하고, 상기 청소구간에서는 상기 제1이동속도보다 느린 제2이동속도로 이동하면서 프리필터(188, 288)를 더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청소구간를 이동하면서 청소를 수행한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S2140).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322b)에서 상기 이동구간의 시작점을 판별하면(S2145),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단부플레이트(28)에 더 안정적으로 도킹하기 위해 감속할 수 있다(S2150). 이후,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322a)에서 상기 이동구간의 시작점을 판별하면(S2155),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제2방향 이동을 정지할 수 있다(S2160).
상기 필터청소기(300)가 상기 이동구간의 시작점에 도착하면,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단부플레이트(28)와 접촉하고 상기 배터리(374)를 충전시킬 수 있다(S2180). 또한, 상기 필터청소기(300)의 지지 및 안정적인 충전을 위하여, 상기 필터청소기(300)가 상기 이동구간의 시작점에 도착하면, 상기 필터청소기(300)를 상기 단부플레이트(28) 측으로 가압하는 밀착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2170).
도 7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로 제2공기처리장치의 필터 교체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공기처리장치의 필터 교체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1)은, 지면 또는 천정면에 수직한 일측면에 제1흡입구(102a)가 형성되고, 상기 제1흡입구(102a)에 수직한 타측면에 제1토출구(102b)가 형성되고, 상기 제1흡입구(102a)로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하여 상기 제1토출구(102b)로 보내는 제1공기처리장치(100), 및, 상기 제1토출구(102b)와 나란한 방향으로 개구된 제2토출구(202b)와, 상기 제1흡입구(102a)와 나란한 방향으로 개구된 제2흡입구(202a)가 형성되고, 상기 제2흡입구(202a)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장치(284), 상기 필터장치(284) 하측을 개폐하는 커버(258), 및, 상기 커버(258)가 열리면 상기 필터장치(284)를 하강시키는 필터구동장치(228)를 포함하는 제2공기처리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에 배치되는 상기 필터장치(284)가 상기 필터구동장치(228)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필터장치(284)로 접근할 수 있다.
상기 필터장치(284)는 헤파필터(289) 등 소모성 필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상기 필터장치(284)를 하강시켜 필터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도 7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1)은, 원격제어장치(500), 이동단말기(700) 등을 통하여 상기 필터장치(284)에 구비되는 필터(289)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안내정보 및/또는 추천교체시기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2210).
예를 들어, 상기 필터장치(284)의 교체기준이 만족되면, 상기 원격제어장치(500)는, 교체알림정보를 디스플레이(501)에 표시할 수 있다(S2210). 상기 교체기준은, 운전시간에 기초하여 설정되거나, 상기 운전시간 및 실내공간의 공기상태에 기초하여 산출된 필터 오염도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원격제어장치(500)의 헤파버튼(541)를 누르는 등 교체 입력이 있으면(S2220), 상기 필터장치(284) 하측의 커버(258)가 열린다(S2240).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상기 필터장치(400)의 교체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370)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장치(284)의 교체 입력에 따라 상기 커버(258)를 열 수 있다(S22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운전 중에(S2230), 상기 필터장치(284)의 교체 입력이 있으면(S2220), 상기 운전을 정지하고(S2235), 상기 커버(258)를 열 수 있다(S2240).
한편,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상기 필터장치(284)와 결합되는 필터장착부(234)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장치(284)와 상기 필터장착부(234)는 마그넷(287, 238)으로 결합되어 탈부착 가능하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장치(284)와 상기 필터장착부(234)는, 상기 필터장치(284)에 배치되는 제1마그넷(287)과 상기 필터장착부(234)에 배치되는 제2마그넷(238)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장치(284)는, 상기 필터장착부(234)의 이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필터장치(284)를 상기 필터장착부(234)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필터구동장치(228)는 상기 필터장착부(234)를 하강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필터장치(284)도 하강하게 된다(S2250).
도 77은, 소정 제2공기처리장치(200a)의 커버(258)가 열려있고, 상기 필터장치(284)와 상기 필터장착부(234)가 하강된 상태를 예시한다. 상기 커버(258)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며, 개폐될 수 있다. 다른 제2공기처리장치(200b)는 커버(258)가 닫힌 상태로 제2루버(290)가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장치(284)의 교체가 완료되면(S2260), 상기 필터구동장치(228)는 상기 필터장치(284) 및 상기 필터장착부(234)를 상승시킬 수 있다(S2270).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마그넷(287, 238)의 결합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장치(284)와 상기 필터장착부(234)의 분리/결합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상기 필터장치(284)와 상기 필터장착부(234)의 분리/결합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장치(284)가 상기 필터장착부(234)와 분리되었다가 재결합되면(S2260), 상기 필터구동장치(228)는 상기 필터장치(284) 및 상기 필터장착부(234)를 상승시킬 수 있다(S2270). 또는,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상기 필터장착부(234)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필터장착부(234)를 상승시킬 수 있다(S2270).
한편,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상기 필터장착부(234)가 상승 전의 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커버(258)를 닫을 수 있다(S2280).
도 7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청소기의 알림램프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8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동작상태를 알림램프들(2410, 2420, 2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청소기(300) 하단의 노출면(2400)에 상기 알림램프들(2410, 2420, 2430)이 배치될 수 있다. 아래쪽의 사용자가 상기 알림램프들(2410, 2420, 2430)을 볼 수 있다. 상기 필터청소기(300) 하단 전체 또는 상기 노출면(2400)은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알림램프들(2410, 2420, 2430)은, 점등 여부, 점등 색상, 점멸 여부에 따라 동작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중알림램프(2410)는, 충전 접속시 켜지고, 청색광을 1초간격으로 점멸하여 충전중 상태를 알릴 수 있다. 청소중알림램프(2420)는, 청소 동작시 켜지고, 백색광을 1초간격으로 점멸하여 청소중 상태를 알릴 수 있다. 먼지통비움알림램프(2420)는, 먼지통비움 동작시 켜지고, 적색광을 1초간격으로 점멸하여 먼지통비움 상태를 알릴 수 있다.
도 7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로, 먼지통비움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1)은, 원격제어장치(500), 이동단말기(700) 등을 통하여 이물질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먼지통장치(400)를 비울 필요하다는 안내정보 및/또는 추천비움시기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2510).
예를 들어, 먼지통센서(미도시)가 먼지통장치(400)가 얼마나 찼는지 판별하고, 상기 먼지통장치(400)의 비움기준이 만족되면, 상기 원격제어장치(500)는, 비움알림정보를 디스플레이(501)에 표시할 수 있다(S2510).
사용자가 상기 원격제어장치(500)의 먼지통비움버튼(543)을 누르는 등 비움입력이 있으면(S2520), 상기 먼지통장치(400)가 하강할 수 있다(S2550).
한편,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상기 먼지통장치(400)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먼지통가이더(3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먼지통장치(400)와 상기 먼지통가이더(380)는 마그넷(388)으로 결합되어 탈부착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쉽게 먼지통장치(400)를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운전 중에(S2530), 상기 먼지통장치(400)의 비움 입력이 있으면(S2520), 상기 운전을 정지하고(S2540), 상기 먼지통장치(400)를 하강시킬 수 있다(S2550).
한편,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운전 중에(S2530), 상기 먼지통장치(400)의 비움 입력이 있으면(S2520), 상기 단부플레이트(28)까지 이동(S2535)한 후에, 상기 운전을 정지하고(S2540), 상기 먼지통장치(400)를 하강시킬 수 있다(S2550).
한편, 상기 먼지통장치(400)의 비움이 완료되면(S2560),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먼지통장치(400)를 상승시킬 수 있다(S2570). 상기 먼지통센서는, 상기 먼지통장치(400)의 비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먼지통장치(400)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먼지통장치(400)를 상승시킬 수 있다(S2570).
도 8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0은 리모컨(원격제어장치, 500)을 이용하여 에어컨(제1공기처리장치, 100) 및 공청기(제2공기처리장치, 200)를 포함하는 공조시스템(1)에 대한 안내를 받고, 기능을 설정하거나 공조시스템(1)을 동작시키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원격제어장치(500)는 소정 기능의 사용이 설정되어 있지 않거나 소정 동작을 수행할 때, 상기 기능/동작에 관련된 안내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장치(500)는 디스플레이(501) 및/또는 스피커(505)를 통하여 안내메시지를 시각적/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안내메시지를 매번 출력하는 것은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내메시지는 최초 1회 제공하고 생략되거나 우선순위가 높은 안내메시지만 제공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격제어장치(500)는 사용자의 터치입력, 음성입력, 버튼조작입력을 수신하면, 사용자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공조시스템(1)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0을 참조하면, 상기 원격제어장치(500)가 온(on)되면(S2601), 실내 공기질 감지 모드로 실내 공기 상태를 디스플레이(501)에 표시할 수 있다(S2605).
또한, 상기 원격제어장치(500)는 헤파필터(289)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헤파필터(289)의 교체알림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501)에 표시할 수 있다(S2680).
상기 원격제어장치(500)는 자동운전 여부를 물어보는 안내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S2610).
사용자가 자동운전을 선택하면(S2612), 상기 공조시스템(1)은 상기 실내 공기 상태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복합운전할 수 있다(S2620).
사용자가 직접 온도/풍량/기류를 입력하면(S2614), 상기 공조시스템(1)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복합운전할 수 있다(S2620).
온도/공기질 등 실내 공기 상태가 소정기준을 만족하거나 소정시간이상 운전된 경우에, 상기 원격제어장치(500)는 운전을 정지할 수 있다(S2630). 또한, 상기 원격제어장치(500)는 자동운전 정지여부를 물어보는 안내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S2625).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 정지시(S2630), 자동청소모듈인 필터청소기(300)가 자동으로 운전되어 상기 공조시스템(1)이 구비하는 프리필터(188, 288)를 청소할 수 있다(S2640).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청소를 완료하고 원위치로 복귀하면 정지할 수 있다(S2645).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필터청소기(300)가 정지하면(S2645), 상기 원격제어장치(500)의 전원을 오프(off)시킬 수 있다(S2690).
사용자가 자동운전을 선택하지 않으면(S2612), 상기 원격제어장치(500)는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 및/또는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의 독립운전 여부를 물어보는 안내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S2650, S2660).
사용자가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만 운전하는 것을 선택하면(S2650), 상기 원격제어장치(500)는 자동운전 여부를 물어보는 안내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S2652).
사용자가 자동운전을 선택하면(S2654),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는 상기 실내 공기 상태(특히 온도)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독립운전할 수 있다(S2658).
한편, 사용자가 직접 온도/풍량/기류를 입력하면(S2656),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독립운전할 수 있다(S2658).
한편, 상기 원격제어장치(500)는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의 운전 정지여부를 물어보는 안내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S2659).
사용자가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만 운전하는 것을 선택하면(S2660), 상기 원격제어장치(500)는 자동운전 여부를 물어보는 안내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S2662).
사용자가 자동운전을 선택하면(S2664),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상기 실내 공기 상태(특히 공기질)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독립운전할 수 있다(S2670).
사용자가 직접 온도/풍량/기류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하면(S2666),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독립운전할 수 있다(S2668).
한편, 상기 원격제어장치(500)는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의 운전 정지여부를 물어보는 안내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S2675).
한편, 상기 원격제어장치(500)는, 헤파필터(289)의 교체기준이 만족되면, 헤파필터(289)의 교체알림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501)에 표시할 수 있다(S2680).
상기 교체기준은,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의 운전시간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에 구비된 상기 헤파필터(289)는 외부에서 들어온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을 여과할 수 있다. 여과되는 오염물은 상기 헤파필터(289)에 부착되므로,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의 운전시간이 길수록 상기 헤파필터(289)의 오염도가 높아지고, 필터로써의 기능을 저하된다. 따라서,
또는 상기 교체기준은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의 운전시간 및 실내공간의 공기상태에 기초하여 산출된 필터 오염도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 8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1를 참조하면,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운전 명령 또는 각종 설정에 따라 소정 모드로 운전한다(S2710). 이 경우에, 프로세서(610)는 운전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 등 공조시스템(1) 내/외부의 공기질 센서는,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 운전 중에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다(S2720).
공기질 센서는,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가 운전되는 동안에 지속적으로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거나, 소정 시간 주기로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공기질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 또는 상기 원격제어장치(500)에서 수집되어,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의 메모리(630) 또는 상기 원격제어장치(500)의 메모리(58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의 프로세서(610) 또는 상기 원격제어장치(500)의 프로세서(510)는, 상기 운전 중에 상기 공기질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누적, 또는 평균값)와 운전시간에 기초하여 필터 오염도를 산출할 수 있다(S2730).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610, 510)는, 상기 운전 중에 상기 공기질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의 누적값 또는 평균값과 운전시간을 곱하여 필터 오염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610, 510)는, 상기 운전시간 중의 풍량과 상기 운전시간에 기초하여 유입 공기량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610, 510)는, 운전시간과 풍량을 곱하여, 유입 공기량을 판별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610, 510)는, 상기 운전 중에 상기 공기질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기오염도를 판별하며, 상기 유입 공기량과 상기 공기오염도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 오염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610, 510)는, 유입 공기량과 공기오염도를 곱하여, 필터 오염도를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더욱 고도화된 공기질 센싱 수치에 따라 다중 필터의 세분화된 오염도를 파악하여 교체가 필요한 필터를 정확히 알려줄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610, 510)는, 상기 산출된 필터 오염도를 기저장된 필터 오염도와 합산할 수 있다(S2740).
상기 프로세서(510)는, 상기 합산된 필터 오염도가 필터 교체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S2750), 필터교체알림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760).
상기 프로세서(610)는, 상기 합산된 필터 오염도가 필터 교체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S2750), 필터교체알림정보를 상기 원격제어장치(500)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원격제어장치(500)는 필터교체알림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S2760).
상기 프로세서(510)는, 상기 필터교체알림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501)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510)는, 상기 필터교체알림정보를 스피커(505)가 음성으로 안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교체기준은 상기 필터청소기(300)의 상기 제2프리필터(288)의 청소 횟수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8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1를 참조하면,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운전 명령 또는 각종 설정에 따라 소정 모드로 운전한다(S2810).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의 운전이 정지되면,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의 상기 제2프리필터(288)를 청소할 수 있다(S2820).
한편,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 및 상기 제2프리필터(288)의 청소 횟수를 누적 합산할 수 있다(S2830).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 및 상기 제2프리필터(288)의 청소 횟수가 상기 필터장치의 교체기준을 만족하면(S2840), 상기 원격제어장치(500)는, 상기 교체알림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501)에 표시할 수 있다(S2850). 또한,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 및 상기 제2프리필터(288)의 청소 횟수가 상기 필터장치의 교체기준을 만족하면(S2840), 상기 필터청소기(300)는 상기 교체알림정보를 상기 원격제어장치(5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원격제어장치(500)는, 상기 교체알림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501)에 표시할 수 있다(S2850).
한편, 사용자가 상기 원격제어장치(500)의 헤파버튼(541)를 누르는 등 교체 입력이 있으면(S2681), 상기 필터장치(284) 하측의 커버(258)가 열린다(S2682).
한편,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상기 필터장치(284)와 결합되는 필터장착부(234)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장치(284)와 상기 필터장착부(234)는 마그넷(287, 238)으로 결합되어 탈부착 가능하다. 필터구동장치(228)는 상기 필터장착부(234)를 하강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필터장치(284)도 하강하게 된다(S2683).
한편, 상기 필터장치(284)의 교체가 완료되어 상기 필터장착부(234)에 부착되면(S2684), 상기 필터구동장치(228)는 상기 필터장치(284) 및 상기 필터장착부(234)를 원위치로 상승시킬 수 있다(S2685).
한편,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상기 필터장착부(234)가 상승 전의 원위치로 복귀하면(S2685), 상기 커버(258)를 닫을 수 있다(S2686).
도 83 내지 도 8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기류제어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여기서 기류제어는, 공조시스템(1)의 공기처리장치들(100, 200)이 토출하는 공기의 풍속, 풍량, 온도, 습도, 방향 등의 인자(Factor)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좁은 의미에서 기류제어는, 공기처리장치들(100, 200)이 토출하는 공기의 방향(풍향)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83 내지 도 8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1)이 3개의 공기처리모듈들(1000a, 1000b, 1000c)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상기 공기처리모듈들(1000a, 1000b, 1000c)은 각각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 또는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5c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1)은, 지면 또는 천정면에 수직한 일측면에 제1흡입구(102a)가 형성되고, 상기 제1흡입구(102a)에 수직한 타측면에 제1토출구(102b)가 형성되고, 상기 제1토출구(102b)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제1루버(150)를 포함하는 제1공기처리장치(100), 및, 상기 제1토출구(102b)와 나란한 방향으로 개구된 제2토출구(202b)와, 상기 제1흡입구(102a)와 나란한 방향으로 개구된 제2흡입구(202a)가 형성되고, 상기 제2토출구(202b)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제2루버(290)를 포함하는 제2공기처리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는, 상기 제1토출구(102b)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토출구(102b)를 유동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상기 제1루버(150)와, 상기 제1루버(150)의 배치를 조절하는 제1루버구동장치(17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는, 상기 제1흡입구(102a)로 유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상기 제2토출구(202b)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토출구(202b)를 유동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상기 제2루버(290)와, 상기 제2루버(290)의 배치를 조절하는 제2루버구동장치(29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상기 제2흡입구(202a)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장치(284)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루버(150)와 상기 제2루버(290)는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 및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가 운전되는 복합운전모드에서, 상기 제1루버(150)의 배치형태에 따라 상기 제2루버(290)의 배치형태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8a 내지 도 18c를 참조하면, 제1루버(150)는, 전방으로 경사풍을 형성하는 제1위치(P1)와, 전방으로 수평풍을 형성하는 제2위치(P2)와, 지면으로 수직풍을 형성하는 제3위치(P3)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8a를 참조하면, 제1루버(150)는, 제1위치(P1)에서 제1바텀커버(130) 상측으로 배치된다. 제1위치(P1)에서, 제1루버(150)의 복수의 베인(154, 156, 158) 각각의 하단은, 제1바텀커버(130)보다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위치(P1)에서 아우터베인(154)의 하단은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위치(P1)에서 복수의 이너베인(156a, 156b, 156c) 각각의 하단은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8b를 참조하면, 제1루버(150)는, 제2위치(P2)에서, 일부가 제1바텀커버(130) 하측으로 배치된다. 제2위치(P2)에서 아우터베인(154)과 복수의 이너베인(156a, 156b, 156c) 각각의 하단은 제1바텀커버(130)보다 수직방향으로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위치(P2)에서, 복수의 이너베인(156a, 156b, 156c) 각각의 이너베인하부(157a)가 지면과 형성하는 경사각(θ2)은, 30도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위치(P2)에서 제1루버(150)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는,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도 18c를 참조하면, 제1루버(150)는, 제3위치(P3)에서, 제1바텀커버(130) 상측으로 배치된다. 제3위치(P3)에서 아우터베인(154)과 복수의 이너베인(156a, 156b, 156c) 각각의 하단은 제1바텀커버(130)보다 수직방향으로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위치(P3)에서, 복수의 이너베인(156a, 156b, 156c) 각각의 이너베인하부(157a)가 지면과 형성하는 경사각(θ3)은, 60도 내지 90도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위치(P3)에서 제1루버(150)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제2루버(290)와 제2루버구동장치(294)는, 제1공기처리장치(100)에서 설명한 제1루버(150)와 제1루버구동장치(174)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된 제1루버(150)와 제1루버구동장치(174)와 동일하게 파악될 수 있다.
상기 복합운전모드에서, 상기 제2루버(290)는, 상기 제1루버(150)와 동일한 각도로 배치형태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제1루버(150)와 상기 제2루버(290)가 동일한 각도로 배치되고, 동일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내공간의 기류를 동일한 방향으로 일관되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가 난방 운전하면, 상기 제1루버(150)와 상기 제2루버(290)는 수직풍을 형성하는 제1방향으로 회전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루버(150)와 상기 제2루버(290)는, 상기 제2위치(P2)로 배치되어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난방운전시의 공기는 뜨겁고, 고온의 공기는 상향하는 속성이 있으므로, 난방운전시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는 가까운 하측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공기처리장치(200)는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와 동일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루버(150)는 루버회전축(160)과 아우터베인(154) 사이에서 반경 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이너베인(15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루버(290)도 상기 제1루버(15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복수의 이너베인(15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가 난방 운전하면, 상기 제1루버(190)와 상기 제2루버(290)는 상기 이너베인(156)이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83은 3개의 공기처리모듈(1000a, 1000b, 1000c)이 모두 수직풍(8700)을 형성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1)은, 하단이 천장면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토출구(102b, 202b)가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1)은, 실내공간의 외곽부에 배치되어 실내공간을 공조할 수 있다. 따라서, 공조시스템(1)이 형성하는 수직풍(8700)은, 실외와 가까운 실내공간의 외곽부에 형성되어, 외기를 차단하는 일종의 에어 커튼(air curtain)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기의 영향을 감소시켜, 실내온도를 효과적으로 유지하고 에너지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가 냉방 운전하면, 상기 제1루버(150)와 상기 제2루버(290)는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루버(150)와 상기 제2루버(290)는, 상기 제3위치(P3)로 배치되어 수평풍을 형성할 수 있다.
냉방운전시의 공기는 차갑고, 저온의 공기는 하향하는 속성이 있으므로, 냉방운전시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는 먼 상측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공기처리장치(200)는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와 동일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도 84는 3개의 공기처리모듈(1000a, 1000b, 1000c)이 모두 수평풍(8800)을 형성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복합운전모드에서,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가 냉방 운전하면, 상기 제1루버(190)와 상기 제2루버(290) 각각은, 복수의 베인(156)이 상기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향하거나 상기 지면과 가장 큰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와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토출구(102b, 202b)에 배치된 루버(150, 290)가 개별적으로 구동되므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고려하여, 토출방향을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실내공간의 공기순환을 빠르게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상기 제2루버(290)는, 상기 제1루버(150)와 동일한 각도로 배치형태를 조절하여 더 다양한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루버(150)는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으로 최대로 회전하여, 상기 제2위치(P2) 또는 상기 제3위치(P3)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2루버(290)는 상기 제1루버(150)와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는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므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한다. 따라서,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가 토출하는 공기와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가 토출하는 공기는 상대적인 온도차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가 냉방운전하면,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가 토출하는 공기는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가 토출하는 공기보다 온도가 낮다. 따라서,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가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보다 조금 낮게(지면과 경사각을 더 작게 가지도록) 공기를 토출하는 것이 공기 확산에 더 유리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가 난방운전하면,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가 토출하는 공기는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가 토출하는 공기보다 온도가 높다. 따라서,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가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보다 조금 높게(지면과 경사각을 더 작게 가지도록) 공기를 토출하는 것이 공기 확산에 더 유리할 수 있다.
도 85 내지 도 89의 예시에서, 중앙에 배치된 공기처리모듈(1000b)은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이고, 좌우에 배치된 상기 공기처리모듈들(1000a, 1000c)은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일 수 있다.
도 85를 참조하면, 난방운전시, 상기 제1루버(150)는 상기 제1방향으로 최대로 회전하여 상기 제2위치(P2)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처리모듈들(1000a, 1000c)은 수직풍(87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루버(290)는 상기 제1방향으로 최대보다 소정각도 작게 회전하여 상기 제1루버(150)와 상기 소정각도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처리모듈(1000b)은 상기 수직풍(8700)에 소폭 경사진 경사풍(875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합운전모드에서,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가 난방 운전하면, 상기 제1루버(150)는 복수의 베인(156)이 상기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루버(290)는 복수의 베인(156)이 상기 지면과 소정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86를 참조하면, 냉방운전시, 상기 제1루버(150)는 상기 제2방향으로 최대로 회전하여 상기 제3위치(P3)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처리모듈들(1000a, 1000c)은 수평풍(88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루버(290)는 상기 제2방향으로 최대보다 소정각도 작게 회전하여, 상기 제1루버(150)와 상기 소정각도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처리모듈(1000b)은 상기 수평풍(8800)에 소폭 경사진 경사풍(885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합운전모드에서,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가 냉방 운전하면, 상기 제1루버(150)는 복수의 베인(156)이 상기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루버(290)는 복수의 베인(156)이 상기 지면에 수직한 방향과 소정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루버(150)와 상기 제2루버(290)의 각도차를 증가시켜 더 다이내믹(dynamic)한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가 난방 운전하면, 상기 제1루버(150)는 수직풍(8700)을 형성하는 제1방향으로 최대로 회전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루버(290)는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최대로 회전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87을 참조하면, 상기 제1루버(150)는 상기 제1방향으로 최대로 회전하여 상기 제2위치(P2)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처리모듈들(1000a, 1000c)은 수직풍(87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루버(290)는 상기 제2방향으로 최대로 회전하여 상기 제3위치(P3)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처리모듈(1000b)은 수평풍(88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합운전모드에서,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가 난방 운전하면, 상기 제1루버(150)는 복수의 베인(156)이 상기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루버(290)는 복수의 베인(156)이 상기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향하거나 상기 지면과 가장 큰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가 냉방 운전하면, 상기 제1루버(150)는 상기 제2방향으로 최대로 회전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루버(290)는 상기 제1방향으로 최대로 회전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88을 참조하면, 상기 제1루버(150)는, 상기 제2방향으로 최대로 회전하여 상기 제3위치(P3)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처리모듈들(1000a, 1000c)은 수직풍(87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루버(290)는, 상기 제1방향으로 최대로 회전하여 상기 제2위치(P2)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처리모듈(1000b)은 수평풍(88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합운전모드에서,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가 냉방 운전하면, 상기 제1루버(150)는 상기 복수의 베인(156)이 상기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향하거나 상기 지면과 가장 큰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루버(290)는 복수의 베인(156)이 상기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만 운전되는 독립운전모드에서, 상기 제1루버(150)는, 수직풍(8700)을 형성하는 제1방향으로 최대로 회전하여 배치되거나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최대로 회전하여 상기 제3위치(P3)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만 운전되는 독립운전모드에서, 상기 제2루버(290)는 상기 제2방향으로 최대로 회전하여 상기 제3위치(P3)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제어장치(500)는, 공기질 감지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로 상기 공기질 감지 입력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상기 공기질 감지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2루버(290)를 반복 회전시켜, 상기 공기질 감지 입력의 수신 및 공기질을 감지하는 중임을 직관적으로 알릴 수 있다. 상기 제2루버(290)는 상기 제2위치(P2)와 상기 제3위치(P3) 범위 내에서 반복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상기 공기질 감지 입력이 수신되면, 구비하는 센서를 통하여 실내공간의 공기상태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공기상태정보가 소정기준을 만족할 때까지 상기 제2루버(290)를 반복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링된 공기를 더 빠르게 확산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제어장치(500)는, 공기질 감지 입력을 수신하고, 구비하는 센서 또는 수신기(572)(를 통하여 실내공간의 공기상태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공기상태정보를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상기 공기상태정보가 소정기준을 만족할 때까지 상기 제2루버(290)를 반복 회전시킬 수 있다.
도 8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90와 도 9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재실정보에 기초한 기류제어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1)은, 실내공간의 재실정보에 기초하여, 운전되는 공기처리장치의 개수, 및, 풍향이 달라질 수 있다.
공조시스템(1)은, 각 장치(100, 200)별 대응영역의 재실정보를 판별할 수 있다(S3310). 예를 들어,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와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각각 대응영역의 재실정보를 판별할 수 있는 센서,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장치(100, 200)들이 실내공간의 영역을 분담하여 재실 감지함으로써, 더 정확하고 음영영역없이 재실정보를 판별할 수 있다.
도 9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1)이 3개의 공기처리모듈들(1000a, 1000b, 1000c)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상기 공기처리모듈들(1000a, 1000b, 1000c)은 각각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 또는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일 수 있다.
도 90을 참조하면, 제1공기처리모듈(1000a)은 Z1, Z4, Z7을 담당하고, Z1, Z4, Z7의 재실정보를 판별한다. 제2공기처리모듈(1000b)은 Z2, Z5, Z8을 담당하고, Z2, Z5, Z8의 재실정보를 판별한다. 제3공기처리모듈(1000c)은 Z3, Z6, Z9를 담당하고, Z3, Z6, Z9의 재실정보를 판별한다.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100)와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200)는, 각각 대응영역에 재실자가 존재하는 지, 몇명이나 존재하는지 판별하고, 재실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공조시스템(1)은 장치별 재실정보에 기초한 운전모드를 선택하고(S3320), 각 장치(100, 200)는 선택된 운전모드로 운전할 수 있다(S3330). 또한 공조시스템(1)은 재실정보에 기초하여 각 장치들(100, 200)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재실자에게 직접 송풍되지 않도록 설정되었다면, 공조시스템(1)은 재실자(9400)에게 직접 송풍되지 않도록 기류 제어할 수 있다. 도 91의 (a)를 참조하면, 재실자(9400)가 멀리 있는 공기처리모듈(1000)은 수직풍(870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0에서 Z1, Z2, Z9에 재실자가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공기처리모듈(1000c)은 수직풍(870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1의 (b)를 참조하면, 재실자(9400)가 하측에 있는 공기처리모듈(1000)은 수평풍(880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0에서 Z1, Z2, Z9에 재실자가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공기처리모듈들(1000a, 1000b)은 수평풍(880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공조시스템
100 : 제1공기처리장치
102a : 제1흡입구 102b : 제1토출구
150 : 제1루버 154 : 아우터베인
156 : 이너베인 158 : 축베인
160 : 루버회전축 174 : 제1루버구동장치
186 : 열교환기
200 : 제2공기처리장치
202a : 제2흡입구 202b : 제2토출구
220 : 커버구동장치 228 : 필터구동장치
258 : 제2바텀커버 290 : 제2루버 294 : 제2루버구동장치 284 : 필터장치
10 : 가이드레일 20 : 기어레일
26 : 감지대상물 28 : 단부플레이트
30 : 충전단자
300 : 필터청소기
320 : 연결단자 358 : 이동기어
374 : 배터리 376 : 흡입장치
400 : 먼지통장치 420 : 에지테이터 500 : 원격제어장치

Claims (20)

  1. 지면 또는 천정면에 수직한 일측면에 제1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흡입구에 수직한 타측면에 제1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하여 상기 제1토출구로 보내는 제1공기처리장치; 및,
    상기 제1토출구와 나란한 방향으로 개구된 제2토출구와, 상기 제1흡입구와 나란한 방향으로 개구된 제2흡입구가 형성되는 제2공기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 및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가 운전되는 복합운전모드로 동작하거나,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 또는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가 운전되는 독립운전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는 상기 제1흡입구에 배치되는 제1프리필터와 상기 제1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는 상기 제2흡입구에 배치되는 제2프리필터와 상기 제2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와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는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 및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의 일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레일;
    운전이 정지되면, 자동으로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1프리필터 및 상기 제2프리필터를 청소하는 필터청소기;를 더 포함하는 공조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실내공간의 공기상태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상기 복합운전모드 또는 상기 독립운전모드로 동작하는 공조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실내온도가 난방기준온도 이하이고, 공기질데이터가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는 난방운전하고,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는 상기 제2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여 상기 제2토출구로 보내는 공기청정운전하며,
    상기 실내온도가 상기 난방기준온도 이하이고, 상기 공기질데이터가 상기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가 난방운전하는 공조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실내온도가 냉방기준온도 이상이고, 공기질데이터가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는 냉방운전하고,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는 상기 제2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여 상기 제2토출구로 보내는 공기청정운전하며,
    상기 실내온도가 상기 냉방기준온도 이상이고, 상기 공기질데이터가 상기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가 냉방운전하는 공조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실내온도가 난방기준온도보다 높고 냉방기준온도 미만이며, 공기질데이터가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는 상기 제2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여 상기 제2토출구로 보내는 공기청정운전하는 공조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실내온도가 냉방기준온도 미만이고, 공기질데이터가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는 냉방운전하고,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는 상기 제2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여 상기 제2토출구로 보내는 공기청정운전하며,
    상기 실내온도가 상기 냉방기준온도 이상이고, 상기 공기질데이터가 상기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가 냉방운전하는 공조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배치되는 복수개의 감지대상물이 배치되고,
    상기 필터청소기는, 구비하는 센서에서 감지되는 감지대상물에 기초하여 위치를 판별하는 공조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 또는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 운전 중일 때, 운전 중인 공기처리장치에 대응하는 구간에 상기 필터청소기가 진입하면,
    상기 운전 중인 공기처리장치는 상기 필터청소기가 상기 대응하는 구간을 통과하는 동안에 운전을 일시정지하는 공조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청소기의 일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단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공조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청소기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전원이 공급되는 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플레이트는, 상기 필터청소기의 연결단자에 접속되는 충전단자, 및, 상기 연결단자와 상기 충전단자가 접속되면, 상기 충전단자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회로를 포함하는 공조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청소기는,
    이물질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먼지통장치, 및
    상기 먼지통장치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먼지통가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먼지통장치와 상기 먼지통가이더는 마그넷으로 결합되어 탈부착 가능한 공조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는,
    상기 제2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장치, 상기 필터장치 하측을 개폐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가 열리면 상기 필터장치를 하강시키는 필터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공조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는,
    상기 필터장치와 결합되는 필터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장치가 상기 필터장착부와 분리되었다가 재결합되면, 상기 필터구동장치는 상기 필터장치 및 상기 필터장착부를 상승시키고,
    상기 필터장착부가 상승 전의 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커버를 닫는 공조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장치의 교체알림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필터장치의 교체 입력을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는,
    상기 필터장치의 교체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장치의 교체 입력에 따라 상기 커버를 여는 공조시스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는, 상기 제1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하는 제1루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는, 상기 제2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하는 제2루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루버와 상기 제2루버는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복합운전모드에서, 상기 제1루버의 배치형태에 따라 상기 제2루버의 배치형태를 조절하는 공조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운전모드에서,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가 난방 운전하면, 상기 제1루버와 상기 제2루버는 수직풍을 형성하는 제1방향으로 회전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가 냉방 운전하면, 상기 제1루버와 상기 제2루버는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하여 배치되는 공조시스템.
  19. 제 1 항에 있어서,
    실내공간의 재실정보에 기초하여, 운전되는 공기처리장치의 개수, 및, 풍향이 달라지는 공조시스템.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처리장치는, 상기 제1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공기처리장치는, 상기 제2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장치를 포함하는 공조시스템.
KR1020210174215A 2021-05-24 2021-12-07 공조시스템 KR102591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742,650 US20220373197A1 (en) 2021-05-24 2022-05-12 Air-conditioning system
EP22173506.1A EP4098950A1 (en) 2021-05-24 2022-05-16 Air-conditioning system
CN202210555881.8A CN115388542A (zh) 2021-05-24 2022-05-19 空调系统
JP2022082832A JP2022180325A (ja) 2021-05-24 2022-05-20 空調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988 2021-05-24
KR20210065988 2021-05-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589A KR20220158589A (ko) 2022-12-01
KR102591853B1 true KR102591853B1 (ko) 2023-10-23

Family

ID=84440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215A KR102591853B1 (ko) 2021-05-24 2021-12-07 공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8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474B1 (ko) * 2001-08-24 2005-05-06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벽걸이형 공기 조화 장치
JP2006162217A (ja) * 2004-12-10 2006-06-22 Sharp Corp 空気調和機
JP2008224133A (ja) * 2007-03-13 2008-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JP2014129954A (ja) * 2012-12-28 2014-07-10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および制御回路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9068A (ko) * 2005-05-18 2006-11-2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독립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
KR101420321B1 (ko) * 2007-11-21 2014-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474B1 (ko) * 2001-08-24 2005-05-06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벽걸이형 공기 조화 장치
JP2006162217A (ja) * 2004-12-10 2006-06-22 Sharp Corp 空気調和機
JP2008224133A (ja) * 2007-03-13 2008-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JP2014129954A (ja) * 2012-12-28 2014-07-10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および制御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589A (ko)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720915B (zh) 空气净化系统及空气净化系统的控制方法
KR101996058B1 (ko) 인공지능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11465808B (zh) 空气净化器及其控制方法
CN111714973B (zh) 空气净化系统
KR102586985B1 (ko) 공기조화기
CN101493249B (zh) 空调室内单元的控制方法
KR20160034058A (ko) 공기조화기
KR20160096356A (ko) 공기조화기
KR102591853B1 (ko) 공조시스템
CN106287975B (zh) 空调柜机和空调柜机的出风控制方法
KR102591852B1 (ko) 공조시스템
KR102595212B1 (ko) 공조시스템
CN210399174U (zh) 一种空调室内机及其空调
KR20220158593A (ko) 공조시스템
KR20220158591A (ko) 공조시스템
EP3712525A1 (en) Air purifier and air purifying system
EP4098950A1 (en) Air-conditioning system
EP4095453A1 (en) Air-conditioning system
KR20230061308A (ko)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947157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200111899A (ko) 공기청정시스템
KR102171100B1 (ko) 공기조화기
CN117824053A (zh) 空气净化系统
KR20200111887A (ko)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554773B1 (ko) 공기청정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