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575B1 - 건식 벽체용 h형 보강대 및 지지프레임 - Google Patents

건식 벽체용 h형 보강대 및 지지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575B1
KR102591575B1 KR1020210052716A KR20210052716A KR102591575B1 KR 102591575 B1 KR102591575 B1 KR 102591575B1 KR 1020210052716 A KR1020210052716 A KR 1020210052716A KR 20210052716 A KR20210052716 A KR 20210052716A KR 102591575 B1 KR102591575 B1 KR 102591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late
plate
support
reinforcement
suppor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6721A (ko
Inventor
오건
백나람
박홍규
Original Assignee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2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575B1/ko
Publication of KR20220146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58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스터드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지지대 본체 및 지지대 본체의 양단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진 H형 보강대를 결합함으로써, 투입되는 보강용 자재를 최소화하고, 용접 없이 시공 가능하며, 기구물의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건식 벽체용 H형 보강대 및 지지프레임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건식 벽체용 H형 보강대는 건식 벽체 시공을 위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스터드 사이에 설치되어 건식 벽체에 고정되는 기구물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스터드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수평전면판, 상기 수평전면판의 상단에서 일측으로 수직 절곡된 상부판 및 상기 수평전면판의 하단에서 일측으로 수직 절곡된 하부판으로 구성되는 지지대 본체; 및 상기 지지대 본체의 양단에 수직 방향으로 각각 구비되어 스터드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전면판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수평전면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스터드의 전면에 밀착되는 수직전면판, 상기 수직전면판의 외측단에서 일측으로 수직 절곡된 외측측면판 및 상기 수직전면판의 내측단에서 일측으로 수직 절곡된 내측측면판으로 구성되는 결합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식 벽체용 H형 보강대 및 지지프레임{H-shaped reinforcement and support frame for dry walls}
본 발명은 한 쌍의 스터드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지지대 본체 및 지지대 본체의 양단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진 H형 보강대를 결합함으로써, 투입되는 보강용 자재를 최소화하고, 용접 없이 시공 가능하며, 기구물의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건식 벽체용 H형 보강대 및 지지프레임에 대한 것이다.
기존 철근콘크리트조 공동주택에서 세대 내 벽체는 외벽과 함께 시공하여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습식 공법으로 시공되거나 조적 또는 ALC 공법에 의해 시공된다.
그러나 습식 공법은 인건비 비중이 높아 공사비가 증가되고, 균질한 품질 확보에 어려움이 있으며, 동절기에 공기 지연의 우려가 있다. 그리고 조적 또는 ALC 공법은 인력 의존도가 높아 인건비 비중이 크고, 공기가 많이 소요된다. 특히, ALC 블록은 습기에 약하기 때문에, 욕실 등 물을 사용하는 공간에 적용하기 어렵다.
이에 최근에는 세대 내 벽체 시공을 위해 습식 공법이나 조적 또는 ALC 공법을 대신하여 건식 공법을 적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건식 벽체는 하부 슬래브 상부와 상부 슬래브 하부에 각각 런너(10)를 설치하고, 상하부 런너(10)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스터드(20)를 시공한 후 스터드(20)의 전후면에 경량 벽패널(30)을 부착하여 시공한다(도 1).
이러한 건식 벽체는 세면대나 보일러 등과 같은 중량의 기구물(器具物)이 부착되는 경우, 건식 벽체 내부에 각파이프 등의 보강재(40)를 덧대 보강하여 기구물의 하중을 지지시킨다.
이때, 각파이프는 용접 등에 의해 스터드나 런너에 고정하므로, 현장 화기 작업이 필요하여 화재 위험성이 있다. 또한, 별도의 용접 장비가 소요되어 시공성이 매우 저하된다.
뿐만 아니라 수직 부재 및 수평 부재를 일체화한 프레임형 보강대의 경우, 구조 보강이 불필요한 구간까지 각파이프가 설치되므로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된다.
KR 10-1644876 B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입되는 보강용 자재를 최소화할 수 있는 건식 벽체용 H형 보강대 및 지지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용접 공정 없이 기존 수장 공구를 통하여 시공 가능하고, 기구물의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건식 벽체용 H형 보강대 및 지지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건식 벽체 시공을 위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스터드 사이에 설치되어 건식 벽체에 고정되는 기구물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스터드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수평전면판, 상기 수평전면판의 상단에서 일측으로 수직 절곡된 상부판 및 상기 수평전면판의 하단에서 일측으로 수직 절곡된 하부판으로 구성되는 지지대 본체; 및 상기 지지대 본체의 양단에 수직 방향으로 각각 구비되어 스터드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전면판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수평전면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스터드의 전면에 밀착되는 수직전면판, 상기 수직전면판의 외측단에서 일측으로 수직 절곡된 외측측면판 및 상기 수직전면판의 내측단에서 일측으로 수직 절곡된 내측측면판으로 구성되는 결합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용 H형 보강대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수평전면판과 수직전면판의 접합부 내측 모서리에는 상기 상부판 또는 하부판과 내측측면판을 연결하는 보강편이 일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용 H형 보강대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지지대 본체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보강 지지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용 H형 보강대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보강 지지대에는 수평전면판을 관통하여 건식 벽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고정볼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용 H형 보강대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건식 벽체의 시공을 위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박스형 단면인 한 쌍의 스터드; 및 상기 건식 벽체에 고정되는 기구물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스터드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H형 보강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용 지지프레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지지대 본체와 지지대 본체의 양단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진 H형 보강대를 한 쌍의 스터드 사이에 설치하되, H형 보강대의 결합부를 체결부재로 스터드에 고정함으로써, 별도의 용접 없이 간단하게 시공 가능한 건식 벽체용 H형 보강대 및 지지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H형 보강대의 결합부가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하 넓은 면적에 걸쳐 스터드에 밀착 고정되므로, 기구물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셋째, H형 보강대의 지지대 본체를 수평전면판 및 수평전면판의 상단과 하단에서 연장되어 수직 절곡된 상부판과 하부판으로 구성하여 ㄷ자형 단면으로 형성하는 경우, 충분한 휨 강성 확보로 투입되는 보강용 자재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건식 벽체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건식 벽체용 H형 보강대가 구비된 지지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건식 벽체용 H형 보강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프레스 가공 전 H형 보강대를 도시하는 전개도.
도 5는 일실시예에 의한 보강 지지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보강 지지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강 지지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지지대 본체 외부에 결합된 보강 지지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박스형 스터드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건식 벽체용 H형 보강대가 구비된 지지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건식 벽체용 H형 보강대는 건식 벽체 시공을 위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스터드(2) 사이에 설치되어 건식 벽체에 고정되는 기구물(O)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스터드(2)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지지대 본체(31); 및 상기 지지대 본체(31)의 양단에 수직 방향으로 각각 구비되어 스터드(2)에 고정되는 결합부(32);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투입되는 보강용 자재를 최소화하고, 별도의 용접 공정 없이 기존 수장 공구를 통하여 시공이 가능하며, 기구물(O)의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건식 벽체용 H형 보강대 및 지지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H형 보강대(3)는 건식 벽체 시공을 위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스터드(2) 사이에 설치된다.
이에 상기 H형 보강대(3)는 이웃하는 스터드(2) 사이에 설치되어 양단이 좌우 스터드(2)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H형 보강대(3)는 건식 기구물(O)이 설치될 위치에 설치되어, 건식 벽체에 고정되는 기구물(O)을 지지한다.
상기 H형 보강대(3)는 기구물(O)의 설치 위치에 따라 적절한 높이에 자유롭게 고정 가능하다.
상기 H형 보강대(3)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대 본체(31)와 상기 지지대 본체(31)의 양단에 지지대 본체(31)와 직교하는 방향, 즉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결합부(32)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H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 본체(31)는 세면대나 보일러 등 기구물(O)이 부착되어 고정되는 부분으로, 부착되는 기구물(O)의 중량에 따라 상하 폭을 결정 가능하다.
상기 결합부(32)는 지지대 본체(31)의 양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스터드(2)의 일측면에 고정된다.
상기 결합부(32)는 스터드(2)에 직결피스 등의 체결부재로 고정할 수 있어, 용접 공정 없이 설치 가능하다.
상기 결합부(32)는 수직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상하로 넓은 면적에 걸쳐 스터드(2)에 밀착 고정된다. 그러므로 기구물(O)이 중량물이라 하더라도 안정적으로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 건식 벽체용 H형 보강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 본체(31)는 수평전면판(311), 상기 수평전면판(311)의 상단에서 일측으로 수직 절곡된 상부판(312) 및 상기 수평전면판(311)의 하단에서 일측으로 수직 절곡된 하부판(3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 본체(31)는 휨 강성을 확보하면서도 강재량을 줄일 수 있도록 금속판을 ㄷ자 형상의 단면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대 본체(31)는 웨브 역할을 하는 수평전면판(311), 상기 수평전면판(311)의 상단 및 하단에서 각각 연장되어 일측으로 수직 절곡된 상부판(312) 및 하부판(313)으로 구성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 상기 지지대 본체(31)의 휨 강성을 보다 증가시키기 위해, 상부판(312) 및 하부판(313)은 단부에 상부판(312)의 하부 및 하부판(313)의 상부로 각각 수직 절곡된 보강편(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32)는 상기 수평전면판(311)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수평전면판(31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스터드(2)의 전면에 밀착되는 수직전면판(321), 상기 수직전면판(321)의 외측단에서 일측으로 수직 절곡된 외측측면판(322) 및 상기 수직전면판(321)의 내측단에서 일측으로 수직 절곡된 내측측면판(3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32)는 단면상 일측이 개방된 ㄷ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부(32)는 지지대 본체(31)의 수평전면판(311)의 단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된 수직전면판(321)과 상기 수직전면판(321)의 외측단 및 내측단에서 각각 일측으로 수직 절곡된 외측측면판(322) 및 내측측면판(323)으로 구성 가능하다.
상기 결합부(32)의 내측 공간에 스터드(2)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수직전면판(321)과 내외측측면판(322, 323)의 3면에서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부(32)를 스터드(2)에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상기 결합부(32)가 스터드(2)의 3면을 감싸도록 고정되므로, 결합부(32)를 스터드(2)에 견고하게 고정 가능하다.
상기 결합부(32)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지지대 본체(31)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 본체(31) 및 이와 일체로 연결된 결합부(32)는 한 판의 금속판을 프레스 가압에 의해 절곡하여 제작할 수 있다(도 4). 따라서 부재 생산성이 우수하고, 대량 생산이 용이하며, 부재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 4는 프레스 가공 전 H형 보강대를 도시하는 전개도이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전면판(311)과 수직전면판(321)의 접합부 내측 모서리에는 상기 상부판(312) 또는 하부판(313)과 내측측면판(323)을 연결하는 보강편(33)이 일측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 본체(31)의 상부판(312)과 하부판(313) 및 결합부(32)의 내측측면판(323)은 각각 수평전면판(311) 및 수직전면판(321)에서 각각 수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때, 한 판인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H형 보강대(3)를 제작하는 경우, 지지대 본체(31)의 수평전면판(311)과 결합부(32)의 수직전면판(321)만 서로 연속되고, 내측측면판(323)은 상부판(312) 및 하부판(313)과 서로 분리되어야 한다.
즉, 절곡 전 전개도 상태에서 내측측면판(323)과 상부판(312) 사이, 내측측면판(323)과 하부판(313)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측측면판(323) 및 상부판(312)과 하부판(313)은 각각 수직전면판(321) 및 수평전면판(311)보다 짧게 형성하여야 한다(도 4).
이 경우 응력이 집중되는 지지대 본체(31)와 결합부(32)의 연결부인 모서리는 내측측면판(323)이나 상하부판(312, 313)에 의해 응력을 지지할 수 없어 변형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수평전면판(311)과 수직전면판(321)에서 연장되어 절곡되는 보강편(33)을 형성하여, 지지대 본체(31)와 결합부(32)가 연결되는 내측 모서리 부분을 보강할 수 있다.
상기 보강편(33)은 수평전면판(311)과 수직전면판(321)이 만나는 내측 모서리에 구비되어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야 한다.
이 경우 프레스 가공에 의해 ㄱ자 형상으로 절곡 가능하도록 보강편(33)의 높이는 내측측면판(323)이나 상하부판(312, 313)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편(33)의 높이는 5~10㎜ 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4에서 점선은 프레스 가공시 절곡되는 선을 의미한다.
도 5는 일실시예에 의한 보강 지지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보강 지지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강 지지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지지대 본체 외부에 결합된 보강 지지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 본체(31)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보강 지지대(34)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 본체(31)를 보강하여 휨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지지대 본체(31)에는 보강 지지대(34)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보강 지지대(34)는 ㄷ자형 단면이나 C형 단면의 경량 형강, 각파이프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 지지대(34)는 개방 단면인 지지대 본체(31)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 지지대(34)는 일측이 개방된 ㄷ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지지대 본체(31)의 외부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대 본체(31)와 보강 지지대(34)는 서로 결합되어 박스형의 폐단면을 형성 가능하다.
상기 지지대 본체(31)와 보강 지지대(34)는 직결피스(미도시) 등에 의해 상호 결합 가능하다.
상기 지지대 본체(31)는 규격화된 부재를 사용하고, 기구물(O)의 중량에 따라 보강 지지대(34)를 다르게 하여 결합함으로써 자재 생산 효율을 높이면서도 현장 여건에 맞게 시공할 수 있다.
상기 기구물(O)은 지지대 본체(31)의 수평전면판(311) 측에 고정될 수도 있고, 보강 지지대(34) 측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 지지대(34)에는 수평전면판(311)을 관통하여 건식 벽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고정볼트(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35)는 기구물(O)을 H형 보강대(3)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대 본체(31)의 수평전면판(311)을 관통하도록 보강 지지대(34)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보강 지지대(34)와 수평전면판(311)의 2지점에서 고정볼트(35)가 지지되어, 기구물(O)의 자중으로 인한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35)는 보강 지지대(34)의 후면판 내측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는,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지지대(34)와 수평전면판(311)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고정볼트(35)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정볼트(35)는 기구물(O)을 H형 보강대(3)에 고정할 뿐만 아니라 보강 지지대(34)를 지지대 본체(31)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건식 벽체용 지지프레임은 건식 벽체의 시공을 위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박스형 단면인 한 쌍의 스터드(2); 및 상기 건식 벽체에 고정되는 기구물(O)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스터드(2)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H형 보강대(3);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식 벽체용 지지프레임은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전술한 본 발명 건식 벽체용 H형 보강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대 본체(31)는 수평전면판(311), 상부판(312) 및 하부판(313)으로 구성된다.
상기 건식 벽체용 지지프레임은 한 쌍의 스터드(2)와 한 쌍의 스터드(2) 사이에 설치되는 H형 보강대(3)로 구성된다.
상기 H형 보강대(3)는 양측의 스터드(2)에 단부가 각각 결합된다.
상기 건식 벽체용 지지프레임 시공을 위해, 하부 슬래브의 상부 및 상부 슬래브의 하부에는 각각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런너(1)가 설치된다.
상기 스터드(2)는 상하부 런너(1)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스터드(2)는 복수 개가 횡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종래 이웃하는 스터드 사이에 각파이프를 끼운 후 스터드 측면에 각파이프를 용접하는 보강 부재와 달리, 본 발명의 H형 보강대(3)는 결합부(32)가 ㄷ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스터드(2)의 전면 또는 후면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 ㄷ자형 단면의 스터드를 사용할 경우 결합부(32)의 내측측면판(323) 또는 외측측면판(322)을 스터드에 고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
뿐만 아니라 ㄷ자형 스터드는 개방형 단면으로 단면이 비대칭이고, 비틀림 저항성이 떨어지는 등 단면 성능이 약하다. 이에 스터드 일측에 보강 부재를 결합할 경우, 국부 좌굴이나 비틀림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터드(2)를 박스형의 폐단면으로 구성함으로써 3면에서 결합부(32)가 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단면 강성을 증대시켜 중량물인 기구물(O)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박스형 스터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터드(2)는 상호 대면하는 제1스터드(2a)와 제2스터드(2b)로 구성하여 전체적으로 박스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터드(2a)는 제1웨브(21a)와 상기 제1웨브(21a)의 양단에서 일측으로 수직 절곡된 한 쌍의 제1플랜지(22a) 및 상기 제1플랜지(22a)의 단부에서 각각 절곡 형성된 제1체결부(23a)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스터드(2b)는 제2웨브(21b)와 상기 제2웨브(21b)의 양단에서 일측으로 수직 절곡된 한 쌍의 제2플랜지(22b) 및 상기 제2플랜지(22b)의 단부에서 각각 절곡 형성되어 제1체결부(23a)와 체결되는 제2체결부(23b)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23a)와 제2체결부(23b)는 각각 제1플랜지(22a)와 제2플랜지(22b)를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탄성에 의해 서로 억지 끼움되어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용접 공정이나 체결부재 없이 2개의 개방형 단면을 이용하여 박스형의 폐단면인 스터드(2)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1: 런너 2: 스터드
2a: 제1스터드 2b: 제2스터드
21a: 제1웨브 21b: 제2웨브
22a: 제1플랜지 22b: 제2플랜지
23a: 제1체결부 23b: 제2체결부
3: H형 보강대 31: 지지대 본체
311: 수평전면판 312: 상부판
313: 하부판 32: 결합부
321: 수직전면판 322: 외측측면판
323: 내측측면판 33: 보강편
34: 보강 지지대 35: 고정볼트
O: 기구물

Claims (7)

  1. 건식 벽체 시공을 위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스터드(2) 사이에 설치되어 건식 벽체에 고정되는 기구물(O)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스터드(2)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수평전면판(311), 상기 수평전면판(311)의 상단에서 일측으로 수직 절곡된 상부판(312) 및 상기 수평전면판(311)의 하단에서 일측으로 수직 절곡된 하부판(313)으로 구성되는 지지대 본체(31); 및
    상기 지지대 본체(31)의 양단에 수직 방향으로 각각 구비되어 스터드(2)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전면판(311)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수평전면판(31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스터드(2)의 전면에 밀착되는 수직전면판(321), 상기 수직전면판(321)의 외측단에서 일측으로 수직 절곡된 외측측면판(322) 및 상기 수직전면판(321)의 내측단에서 일측으로 수직 절곡된 내측측면판(323)으로 구성되는 결합부(32);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용 H형 보강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수평전면판(311)과 수직전면판(321)의 접합부 내측 모서리에는 상기 상부판(312) 또는 하부판(313)과 내측측면판(323)을 연결하는 보강편(33)이 일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용 H형 보강대.
  5. 제1항에서,
    상기 지지대 본체(31)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보강 지지대(34)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용 H형 보강대.
  6. 제5항에서,
    상기 보강 지지대(34)에는 수평전면판(311)을 관통하여 건식 벽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고정볼트(3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용 H형 보강대.
  7. 건식 벽체의 시공을 위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박스형 단면인 한 쌍의 스터드(2); 및
    상기 건식 벽체에 고정되는 기구물(O)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스터드(2) 사이에 설치되는 제1항에 의한 H형 보강대(3);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용 지지프레임.
KR1020210052716A 2021-04-23 2021-04-23 건식 벽체용 h형 보강대 및 지지프레임 KR102591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716A KR102591575B1 (ko) 2021-04-23 2021-04-23 건식 벽체용 h형 보강대 및 지지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716A KR102591575B1 (ko) 2021-04-23 2021-04-23 건식 벽체용 h형 보강대 및 지지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721A KR20220146721A (ko) 2022-11-02
KR102591575B1 true KR102591575B1 (ko) 2023-10-19

Family

ID=84045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716A KR102591575B1 (ko) 2021-04-23 2021-04-23 건식 벽체용 h형 보강대 및 지지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5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58019A1 (en) * 2021-08-20 2023-02-23 Mtec, Llc Sound isolation assemblies for walls supporting heavy load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9039A (ja) * 2001-05-24 2002-12-04 Yoshino Sangyo Kk 下地枠
JP2014177778A (ja) 2013-03-14 2014-09-25 Toyota Home Kk 壁の耐火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2846B2 (ja) * 1996-11-22 2000-11-27 株式会社淀川製鋼所 建築用補強パネルおよびその取付構造
KR100874555B1 (ko) * 2007-04-18 2008-12-16 주식회사 케이씨씨 공동주택용 피난구 구조
KR101644876B1 (ko) 2015-11-11 2016-08-03 (주)유창 건식벽체용 금속 스터드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9039A (ja) * 2001-05-24 2002-12-04 Yoshino Sangyo Kk 下地枠
JP2014177778A (ja) 2013-03-14 2014-09-25 Toyota Home Kk 壁の耐火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721A (ko) 202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9480B1 (ko) 터널형 방음판넬 조립체
KR20110032687A (ko) 철골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근콘크리트로 보강된 단부를 갖는 철골 보의 접합부 시공방법
KR102591575B1 (ko) 건식 벽체용 h형 보강대 및 지지프레임
KR20110013731A (ko) 조립식 건축물의 조립구조
KR20090081056A (ko) 외장판넬 조립용 체결구
JP5329174B2 (ja) 外断熱構造
KR102602175B1 (ko) 기구물 부착을 위한 건식 벽체용 보강대
CN206397000U (zh) 卷边槽形型材及建筑梁结构
KR101621770B1 (ko) 철근일체형 데크플레이트용 중공경량체 모듈
KR20230171515A (ko) 건식 벽체용 면진 장치
KR20230171516A (ko) 건식 벽체 보강대용 면진 장치
KR200469319Y1 (ko) 철골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근콘크리트로 보강된 단부를 갖는 철골 보의 접합구조
EA022716B1 (ru) Блочный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строительстве и перекрытие, в котором использован указанный блочный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элемент
KR200289680Y1 (ko) 스틸하우스 골조의 조립 구조
KR101946500B1 (ko) 힌지 결합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
KR100983030B1 (ko) 코너 벽 패널 조립체
CN211172396U (zh) 一种扣接式快装房屋
KR20090093599A (ko) 무거푸집 기둥과 슬림빔의 접합부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585527B1 (ko) 박스형 보강 스터드
KR100581028B1 (ko) 판넬을 이용한 조립식 벽체
KR101804151B1 (ko) 데크패널
CN213296663U (zh) 一种可拆卸装配式钢结构房屋
KR102004306B1 (ko) 강관 및 박스형 복합구조체 거더
KR101273087B1 (ko) 종벽 록킹구법에 의한 에이엘씨 패널 설치방법
CN215670237U (zh) 一种结构缝的预制防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