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302B1 - Block system equipped with surface for absorbing noise having function of regulating porosity - Google Patents

Block system equipped with surface for absorbing noise having function of regulating poros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302B1
KR102591302B1 KR1020200146046A KR20200146046A KR102591302B1 KR 102591302 B1 KR102591302 B1 KR 102591302B1 KR 1020200146046 A KR1020200146046 A KR 1020200146046A KR 20200146046 A KR20200146046 A KR 20200146046A KR 102591302 B1 KR102591302 B1 KR 102591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ing plate
porosity
sound
absorbing
block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0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60254A (en
Inventor
최성일
김석환
Original Assignee
최성일
김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일, 김석환 filed Critical 최성일
Priority to KR1020200146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302B1/en
Publication of KR20220060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2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302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404Sound-absorbing elements block-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23Tray or frame type panels or block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 E04B2001/8433Tray or frame type panels or block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with holes in their fa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하게 기립하여 전면(front face)과 후면(rear face)을 상호 병렬적으로 이격되는 보디를 형성하는 한 쌍의 업소빙 플레이트부; 한 쌍의 업소빙 플레이트부 각각을 상호 연결하며, 상호 이격된 공간에 홀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크로스 브릿지부; 및 한 쌍의 업소빙 플레이트부의 외향 표면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음파를 트래핑하여 감쇄시키는 트래핑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absorbing plate parts that stand vertically and form a body with the front face and rear fac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A plurality of cross bridge parts connecting each of the pair of absorbing plate parts to each other and forming hole parts in spa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trapping unit formed on the outward surface of the pair of absorbing plate parts to trap and attenuate sound waves flowing in from the outside.

Description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Block system equipped with surface for absorbing noise having function of regulating porosity}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controlling porosity {Block system equipped with surface for absorbing noise having function of regulating porosity}

본 발명은 흡음 서페이스를 가지는 블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블록 시스템에 있어서 표면 즉, 서페이스(surface) 상에 흡음 기능이 구비되도록 함은 물론, 그 외의 표면 역시 입자의 공극률의 조절을 통해 흡흠 기능이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흡음 기능이 구비된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에 관한 기술 분야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system having a sound-absorbing surface. More specifically, in the block system, not only is the surface provided with a sound-absorbing function, but other surfaces are also provided by controlling the porosity of the particles. This is a technical field related to a surface block system with a sound-absorbing function that allows arbitrary control of porosity and that allows the sound-absorbing function to be provided.

대한건설협회는 레미콘, 철근, 시멘트 등 10개주요 건설자재의 2020년도 수급전망을 발표했다. 2017년부터 시작된 건설수주 감소세가 2020년까지 4년 연속으로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2019년에 이어 2020년에도 전반적으로 자재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주택시장 규제 강화 및 민간 주거부문 건설경기 악화에 따른 자재수요의 전반적 감소가 지속될 것으로 예측됐다. The Construction Association of Korea announced the 2020 supply and demand outlook for 10 major construction materials, including ready-mix concrete, rebar, and cement. The decline in construction orders that began in 2017 is expected to continue for four consecutive years until 2020, and the overall demand for materials is expected to decrease in 2020 following 2019. In particular, it is predicted that the overall decline in material demand will continue due to strengthened housing market regulations and worsening construction conditions in the private residential sector.

자재별 2019년 수요실적을 살펴보면 타일이 전년 대비 12.2%로 감소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레미콘 6.9%, 콘크리트 파일 6.6% 등 아스콘을 제외한 대부분의 자재에서 전반적인 수요 감소가 발생했다. 올해는 토목부문 건설투자액이 2019년에 감소세가 멈춘 데 이어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할전망임에도 불구하고 민간 주택시장의 하락세가 전체 건설투자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Looking at the 2019 demand performance by material, tiles showed the largest decrease at 12.2%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and overall demand decreased for most materials except asphalt, including ready-mixed concrete at 6.9% and concrete piles at 6.6%. Although construction investment in the civil engineering sector is expected to increase slightly this year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after stopping in 2019, the downward trend in the private housing market is expecte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overall construction investment amount.

주요 자재별로는 신규 착공물량의 감소 등으로 콘크리트 파일은 5,400천톤(8.8%↓), 타일 수요량은 133,910천㎡(7.2%↓), 시멘트 수요량은 51,100천톤(6.6%↓)으로 전망되며 합판, 레미콘 역시 각 4.2%, 4.1% 하락할 것으로 예측되는 등 전방위적으로 자재 수요가 축소할 것으로 나타났다.By major materials, demand for concrete piles is expected to be 5,400,000 tons (8.8%↓), tile demand is expected to be 133,910,000㎡ (7.2%↓), and cement demand is expected to be 51,100,000 tons (6.6%↓) due to the decrease in new construction starts. Plywood and ready-mix concrete are also expected to increase. Demand for materials is expected to decrease across all fronts, with forecasts predicting a decline of 4.2% and 4.1%, respectively.

블록과 관련하여 기술적인 시도는 일부 존재하였는데, 예컨대, “투수성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방법(등록번호 제10-0837184호, 특허문헌1)”가 존재한다.There have been some technical attempts related to blocks, for example, “Permeable concrete bloc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Registration No. 10-0837184,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1에 따른 발명의 경우, 투수성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도 3.0 내지 7.5mm인 혼합골재가 45중량% 내지 60중량%, 입도 0.1 내지 3.0mm인 혼합골재가 15 내지 30중량% 및, 시멘트가 15 내지 25중량%의 비율로 혼합되어 기층 골재 혼합물을 형성하는 공정과, 입도 0.5 내지 5.0mm인 규사가 30 내지 60중량%, 입도 0.5 내지 5.0mm인 천연골재가 10 내지 25중량%, 입도 0.5 내지 5.0mm를 갖는 재생골재가 10 내지 30중량% 및, 시멘트가 15 내지 25중량%의 비율로 혼합되어 표층 골재 혼합물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원재료 혼합공정; 상기 기층 골재 혼합물을 12 내지 19% 부피 가압율로 가압하는 1차성형공정과, 상기 표층 골재 혼합물을 상기 1차성형공정에서 가압된 기층 골재 혼합물에 12 내지 19% 부피 가압율로 가압하는 2차성형공정을 포함하는 골재 혼합물 성형공정; 상기 성형된 골재 혼합물을 양생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성형제품의 골재와 골재 사이의 공극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투수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강도를 기준치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In the cas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it relates to a permeable concrete block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In particular, the mixed aggregate with a particle size of 3.0 to 7.5 mm is 45% to 60% by weight, and the mixed aggregate with a particle size of 0.1 to 3.0mm is 15% by weight. A process of forming a base aggregate mixture by mixing 30 to 30% by weight of cement and 15 to 25% by weight of cement, and 30 to 60% by weight of silica sand with a particle size of 0.5 to 5.0 mm and natural aggregate with a particle size of 0.5 to 5.0 mm. A raw material mixing process comprising mixing 10 to 25% by weight of recycled aggregate with a particle size of 0.5 to 5.0mm at a ratio of 10 to 30% by weight and 15 to 25% by weight of cement to form a surface aggregate mixture; A primary molding process of pressurizing the base aggregate mixture at a volume pressing rate of 12 to 19%, and a secondary process of pressurizing the surface layer aggregate mixture to the base layer aggregate mixture pressed in the first molding process at a volume pressing rate of 12 to 19%. Aggregate mixture molding process including molding process; It includes a process of curing the molded aggregate mixture, and has the feature of maintaining a constant gap between the aggregates of the molded product, improving water permeability, and maintaining the strength of the product above the standard value.

아울러, “황토 표면층을 가진 콘크리트 블록(등록번호 제10-0581405호, 특허문헌2)”도 존재한다.In addition, “concrete block with red clay surface layer (registration number 10-0581405, patent document 2)” also exists.

특허문헌2에 따른 발명의 경우,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성형된 블록 본체의 표면에 황토 분말과 미세 모래, 시멘트 등을 혼합하여 제작된 황토 모르타르를 일정한 두께로 형성시켜서 블록을 완성한 후, 이 블록을 조적하되, 수직 및 수평 접합용 모르타르는 시멘트 모르타르를 사용하며, 블록 사이의 줄눈 치장용 모르타르는 상기 사용된 황토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조적하는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In the cas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2, the block is completed by forming red clay mortar made by mixing red clay powder, fine sand, cement, etc. to a certain thickness on the surface of the block body formed using concrete, and then masonry this block. However, the mortar for vertical and horizontal joining uses cement mortar, and the mortar for decorating joints between blocks has a rough structure of masonry using the red clay mortar used above.

또한, “콘크리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벽체의 시공 방법(등록번호 제10-1117675호, 특허문헌3)”이 존재한다.In addition, “Concrete blocks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building walls using them (Registration No. 10-1117675, Patent Document 3)” exist.

특허문헌3에 따른 발명은 콘크리트 블록의 양 끝단에 몰탈을 바르지 않은 상태로 옆 콘크리트 블럭의 양 끝단과 맞춘 후, 이로 인해 생기는 수직공 내부에 몰탈을 채우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블럭 양 끝단에 몰탈을 바르지 않더라도 콘크리트 블록 간의 연결에 있어 빈틈이 없이 시공될 수 있는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건축물 벽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멘트와 모래를 버무려 틀에 박아 건조시킨 네모진 건축 재료이며, 그 내부가 통공되도록 소정 개수의 수직공이 형성되어 있는 콘크리트 블록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중앙에 위치하며 그 상부 개구부가 일정 두께를 가지는 몰탈로 밀폐되어 있는 중앙 수직공과; 상기 중앙 수직공을 중심으로 그 양측으로 대칭되게 배열되어 있는 복수개의 수직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에 관한 것이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3 does not apply mortar to both ends of the concrete block by aligning it with both ends of the concrete block next to it without applying mortar to both ends of the concrete block, and then filling the inside of the resulting vertical hole with mortar. It is about a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wall using concrete blocks, which can be constructed without gaps in the connections between concrete blocks. It is a square building material made by mixing cement and sand, placing it in a mold, and drying it, and is made in a predetermined number so that the inside of it is perforated. A concrete block having a vertical hole formed therein, comprising: a central vertical hol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oncrete block, the upper opening of which is sealed with mortar having a certain thickness; It relates to a concrete bloc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y a plurality of vertical holes arrang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vertical hole.

기존의 선행 특허문헌들의 경우, 보강토 옹벽의 전면에 배치되어, 토압을 지지하여 옹벽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강화시키는 기술적 특징을 개시하고 있으나, 기존의 선행문헌들에서 사용되는 보강재는 고속도로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 혹은 흡음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In the case of existing prior patent documents, technical features are disclosed that are placed on the front of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nd strengthen the stability and dur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by supporting earth pressure. However, the reinforcing material used in the existing prior patent documents is used to reduce noise generated on the highway.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reduce or absorb sound.

등록번호 제10-0837184호Registration number 10-0837184 등록번호 제10-0581405호Registration number 10-0581405 등록번호 제10-1117675호Registration number 10-1117675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with arbitrarily adjustable poro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design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presents the following problems to be solved.

첫째, 내벽 혹은 외벽을 구성하는 블록상에서 별도의 외부 플레이트가 장치 없이 흡음이 이루어지는 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First, we would like to provide a block that absorbs sound without a separate external plate on the block forming the inner or outer wall.

둘째, 블록의 표면 상에서 혹은 블록 자체에서 흡음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Second, it allows sound absorption to occur on the surface of the block or in the block itself.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poro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경우, 수직하게 기립하여 전면(front face)과 후면(rear face)을 상호 병렬적으로 이격되는 보디를 형성하는 한 쌍의 업소빙 플레이트부; 상기 한 쌍의 업소빙 플레이트부 각각을 상호 연결하며, 상호 이격된 공간에 홀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크로스 브릿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업소빙 플레이트부의 외향 표면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음파를 트래핑하여 감쇄시키는 트래핑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absorbing plate parts that stand vertically and form a body with the front face and rear fac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a plurality of cross bridge parts connecting each of the pair of absorbing plate parts to each other and forming hole parts in spa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trapping unit formed on the outward surface of the pair of absorbing plate parts to trap and attenuate sound waves flowing in from the outside.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경우, 상기 한 쌍의 업소빙 플레이트부는,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는 윙 브릿지부를 각각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absorbing plate parts may each further include wing bridge parts protruding and extending from both sides.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경우, 상기 트래핑 유닛은, 상기 업소빙 플레이트부의 표면으로부터 함입되어 내향 표면을 형성하는 배리어부; 및 상기 업소빙 플레이트부의 표면으로부터 함입되며, 상기 배리어부에 의해 둘러 싸이는 인시던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pping unit includes a barrier portion that is recessed from the surface of the absorbing plate portion to form an inward surface; And it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incident portion that is recessed from the surface of the absorbing plate portion and is surrounded by the barrier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경우, 상기 배리어부는, 상기 업소빙 플레이트부의 표면으로부터 내향 확장되는 형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rrier portion may be characterized as having a formation extending inward from the surface of the absorbing plate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경우, 상기 인시던스부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음파를 상기 배리어부로 반사시키면, 상기 배리어부는 상기 인시던스부로부터 반사된 음파를 상기 배리어부 내에서 트래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cident unit reflects sound waves coming from the outside into the barrier unit, the barrier unit traps the sound waves reflected from the incident unit within the barrier unit. It can be characterized as: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경우, 상기 업소빙 플레이트부는, 스톤(stone)으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범위를 가지는 크기의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스톤부; 및 상기 스톤부를 수용하며, 시멘트와 물을 주 배합성분으로 하는 콤파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sorbing plate portion is made of stone and includes a stone portion corresponding to an object with a siz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a compound portion accommodating the stone portion and containing cement and water as main ingredients.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경우, 상기 업소빙 플레이트부는, 상기 콤파운드부의 점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스톤부의 공극률을 미리 설정된 가상의 라인을 따르는 영역별로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sorbing plate portion selectively adjusts the viscosity of the compound portion to selectively adjust the porosity of the stone portion for each area along a preset virtual line. It can be characterized as: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경우, 상기 업소빙 플레이트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가상의 라인으로 구획된 영역을 상호 교차적으로 구비하도록 임의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sorbing plate portion may be randomly set to have regions divided by the preset virtual lines in an alternating manner.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가상의 라인으로 구획되는 영역은, 상기 공극률이 하부로부터 상부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임의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divided by the preset virtual lin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osity can be arbitrarily set to continuously increase or decrease from the bottom to the top. You can do this.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가상의 라인은, 상기 업소빙 플레이트부의 전체면으로 그 경계가 확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t virtual lin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s boundary can be extend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absorbing plate portion.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with arbitrarily adjustable poro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외벽 혹은 내벽을 구성하는 블록으로 형성되어, 내력벽 혹은 비내력벽을 형성하거나, 건물 외부의 토지 경계선으로서 물리적인 구획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First, it is formed of blocks that make up the outer or inner wall, forming a load-bearing wall or a non-bearing wall, or also performing a physical dividing function as a land boundary outside the building.

둘째,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를 표면을 통해 흡음하게 된다.Second, noise generated from the outside is absorbed through the surface.

셋째, 내부 공극의 조절을 통해 노이즈의 저감을 형성하게 된다. Third, noise reduction is achieved by controlling the internal air gap.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제1 부분 확대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제2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제3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 중, 미리 설정된 가상의 라인을 따른 영역별로 다양한 공극률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한 예시이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 중, 미리 설정된 가상의 라인을 따른 영역별로 공극률이 교차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예시들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with arbitrarily adjustable poros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a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with arbitrarily adjustable poros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a first portion of a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with arbitrarily adjustable poros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a second portion of a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with arbitrarily adjustable poros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of a third portion of a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with arbitrarily adjustable poros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ample showing that, among 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poros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porosity adjustments are made for each area along a preset virtual line.
Figures 7 and 8 are examples showing that porosity is formed alternately in each area along a preset virtual line among 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poros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with arbitrarily adjustable poro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several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제1 부분 확대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제2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제3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 중, 미리 설정된 가상의 라인을 따른 영역별로 다양한 공극률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한 예시이다. 도 7및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 중, 미리 설정된 가상의 라인을 따른 영역별로 공극률이 교차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예시들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with arbitrarily adjustable poros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a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with arbitrarily adjustable poros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a first portion of a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with arbitrarily adjustable poros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a second portion of a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with arbitrarily adjustable poros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of a third portion of a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with arbitrarily adjustable poros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ample showing that, among 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poros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porosity adjustments are made for each area along a preset virtual line. Figures 7 and 8 are examples showing that porosity is formed alternately in each area along a preset virtual line among 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poros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 블록(block) 상에 형성되는 흡음 매커니즘에 관한 것에 해당한다. In the case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with arbitrarily adjustable poro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it corresponds to a sound-absorbing mechanism formed on a porous block.

다공 블록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부(H)의 개수의 제한이 없으며, 일반적인 다공 블록 외, 사각 박스 형태의 블록에 해당하여도 무방하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orous block has no limit to the number of holes H, and may correspond to a square box-shaped block other than a general porous block.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경우, 업소빙 플레이트(absorbing plate)부(110), 크로스 브릿지(cross bridge)부(200), 및 트래핑 유닛(trapping unit, 300)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in the case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bsorbing plate portion 110, a cross bridge portion 200, and a trapping unit 300 may include.

먼저, 업소빙 플레이트부(110)의 경우,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게 기립하여 전면(front face)과 후면(rear face)을 상호 병렬적으로 이격되는 보디를 형성하는 한 쌍에 해당하게 된다.First, in the case of the absorbing plate portion 110, as shown in Figures 1 and 2, a pair of bodies stand vertically and form a body with the front face and rear fac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corresponds to

즉, 삼공 블록 상에서 전면(front)과 후면(rear face)를 형성하는 구성하여, 개별적인 블록들을 상하로 적체하게 되면, 주된 하중의 지지와 내력을 형성하는 구성이 바로 업소빙 플레이트부(110)에 해당한다.In other words, it is configured to form a front and rear face on a three-hole block, and when the individual blocks are stacked up and down, the structure that supports the main load and forms the internal force is the absorbing plate portion 110. It applies.

업소빙 플레이트부(110)는 콘크리트, 혹은 시멘트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absorbing plate portion 110 may be made of concrete or cemen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브릿지부(200)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한 쌍의 업소빙 플레이트부(110) 각각을 상호 연결하며, 상호 이격된 공간에 홀부(H)를 형성하도록 하는 구성이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in the case of the cross bridge part 200, each of the pair of absorbing plate parts 110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hole part H is formed in a spac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a configuration that allows you to do so.

크로스 브릿지부(200)의 경우, 블록이 삼공 블록이면 한 쌍으로 이격되어 병렬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업소빙 플레이트부(110)를 4개의 크로스 브릿지부(200)가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물론, 크로스 브릿지부(200)의 개수 자체는 홀부(H)의 개수를 설정함에 따라 임의로 재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case of the cross bridge unit 200, if the block is a three-hole block, the absorbing plate units 110, which are spaced apart in pairs and arranged in parallel, will be arranged in four cross bridge units 200 spaced apart at even intervals. You can. Of course, the number of cross bridge units 200 itself can be arbitrarily reset by setting the number of hole units (H).

트래핑 유닛(300)의 경우, 한 쌍의 업소빙 플레이트부(110)의 전면과 후면의 외향하는 표면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음파를 트래핑하여 감쇄시키는 구성에 해당한다.In the case of the trapping unit 300, it is formed on the outward facing surfaces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air of absorbing plate parts 110, and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that traps and attenuates sound waves flowing in from the outside.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래핑 유닛(300)은 상하로 내향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필요에 따라 트래핑 유닛(300)의 방향은 가로로 내향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 및 가로로 교차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가로 세로 1 제곱 센치미터 혹은 필요에 따라 다른 크기의 면적을 가진 스팟(spot)의 집합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trapping unit 300 may be formed concave inward upward and downward. If necessary, the direction of the trapping unit 300 may be concave horizontally inward, and the trapping unit 300 may be formed concave inward horizontally, up and down and horizontally. It can also be formed alternately. In addition, it may be formed as a collection of spots with an area of 1 square centimeter horizontally and vertically or of other sizes as needed.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업소빙 플레이트부(110)의 경우, 윙 브릿지(wing bridge)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absorbing plate portion 110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with arbitrarily adjustable poro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ing bridge portion 120 may be further included.

윙 브릿지부(120)의 경우, 업소빙 플레이트부(110)의 좌우측의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는 구성이다. In the case of the wing bridge portion 120, it is formed to protrude and extend from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bsorbing plate portion 110.

블록과 블록을 수평적으로 상호 접합하도록 배치할 경우, 윙 브릿지부(120)는 상호 마주 접합되면서, 블록과 블록 사이에 홀부(H)를 형성시키게 된다. When blocks are arranged to be horizontally joined to each other, the wing bridge parts 120 are joined to face each other, forming a hole H between the blocks.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트래핑 유닛(300)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리어(barrier)부(310) 및 인시던스(incidence)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trapping unit 300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with arbitrarily adjustable poro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it will include a barrier portion 310 and an incidence portion 320. You can.

먼저, 배리어부(310)의 경우,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소빙 플레이트부(110)의 표면으로부터 함입되어 내향 표면을 형성하는 구성이다.First, in the case of the barrier portion 310, as shown in FIGS. 2 and 3, it is recessed from the surface of the absorbing plate portion 110 to form an inward surface.

아울러, 인시던스부(320)의 경우,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소빙 플레이트부(110)의 표면으로부터 함입되며, 배리어부(310)에 의해 둘러 싸이는 구성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incident portion 320, as shown in FIGS. 2 and 3, it is embedded from the surface of the absorbing plate portion 110 and is surrounded by the barrier portion 310.

상술한 바와 같이, 배리어부(310)는 업소빙 플레이트부(110)의 표면으로부터 내향 확장되는 형성을 구비하는 구성이다.As described above, the barrier portion 310 is configured to extend inward from the surface of the absorbing plate portion 110.

아울러, 인시던스부(32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음파를 배리어부(310)로 반사시키면, 배리어부(310)는 인시던스부(320)로부터 반사된 음파를 배리어부(310) 내에서 트래핑시키는 구성이다.In addition, when the incident unit 320 reflects sound waves coming from the outside into the barrier unit 310, the barrier unit 310 traps the sound waves reflected from the incident unit 320 within the barrier unit 310. .

즉, 외부로부터 소음 즉, 음파가 업소빙 플레이트부(110)에 수직하게 입사하는 예외적인 경우 외에는 대부분의 음파는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업소빙 플레이트부(110)에 들어오며, 이렇게 들어온 음파 중,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목하게 형성된 트패핑 유닛(300) 내부로 들어오면 인시던스부(320)에 충돌한 음파는 배리어부(310)에 반사된 후, 다시 내향 반사되는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트래핑 유닛(300) 내에 갇히고 쇄락하게 된다.That is, except for exceptional cases in which noise from the outside, that is, sound waves, are incident perpendicularly to the absorbing plate unit 110, most sound waves enter the absorbing plate unit 110 at a certain angle, and among the sound waves that enter this way, degrees When entering the concavely formed trapping unit 300 as shown in 2 and 3, the sound wave that collides with the incident unit 320 is reflected by the barrier unit 310 and then goes through a process of being reflected inward again. While doing so, it is trapped within the trapping unit 300 and falls.

물론, 인시던스부(320)로 수직하게 입사하는 음파라 할지라도, 몸체를 형성하는 업소빙 플레이트부(110)의 재질에 의하여 난반사 등의 형태를 가지며, 이에 따라 많은 부분의 음파 에너지는 트래핑 유닛(300) 내에 갇히고 쇄락하게 된다.Of course, even if the sound wave is incident perpendicularly to the incident unit 320, it has a form such as diffuse reflection due to the material of the absorbing plate unit 110 that forms the body, and accordingly, a large portion of the sound wave energy is transmitted to the trapping unit ( 300) and become trapped within.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업소빙 플레이트부(110)의 경우, 스톤(stone)부(111) 및 콤파운드(compound)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absorbing plate part 110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with arbitrarily adjustable poro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include a stone part 111 and a compound part 112.

스톤부(111)의 경우, 자갈, 암석 등의 돌 즉, 스톤(stone)으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범위를 가지는 크기의 오브젝트에 해당한다.In the case of the stone unit 111, it is made of stones such as pebbles and rocks, and corresponds to an object of a siz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즉, 스톤부(111)는 물에 용해되지 않으며, 물과 시멘트의 배합물에 같이 용해되지 않는 오브젝트에 해당한다. In other words, the stone portion 111 does not dissolve in water and corresponds to an object that does not dissolve in a mixture of water and cement.

콤파운드부(112)의 경우, 스톤부(111)를 수용하며, 시멘트와 물을 주 배합성분으로 하는 구성이다. In the case of the compound part 112, it accommodates the stone part 111 and is composed of cement and water as the main mixing ingredients.

위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업소빙 플레이트부(110)의 경우, 콤파운드부(112)의 점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스톤부(111)의 공극률을 미리 설정된 가상의 라인(L)을 따르는 영역별로 선택적으로 조절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absorbing plate part 11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viscosity of the compound part 112 is selectively adjusted, and the porosity of the stone part 111 is selectively adjusted for each area along the preset virtual line (L). It is adjusted by .

여기서, 미리 설정된 가상의 라인(L)의 경우, 사람의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는 개념적인 하나의 영역적 구획 라인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공극률의 불연속적인 차이의 의하여 드러낼 수 있다. Here, in the case of the preset virtual line L, it can be defined as a conceptual regional dividing line that cannot be observed with the human eye, and this can be revealed by discontinuous differences in porosity.

아울러, 미리 설정된 가상의 라인(L)의 경우, 업소빙 플레이트부(110)의 전체면으로 그 경계가 확장 즉, 보디 유닛(100) 아웃 라인 전체를 하나의 미리 설정된 가상의 라인(L)으로 확장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reset virtual line (L), the boundary extends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absorbing plate portion 110, that is, the entire outline of the body unit 100 is converted into one preset virtual line (L). Could be scalable

미리 설정된 가상의 라인이 폐곡선으로 형성되면, 하나의 구획된 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하나의 구획된 영역은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혹은 상하로 구획될 수도 있다.When a preset virtual line is formed as a closed curve, it may be composed of one partitioned area, and one partitioned area may be partitioned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as shown in FIGS. 4 and 5.

하나의 구획된 영역은 공극률을 상대적으로 밀한 영역으로 할 수도 있고, 다른 구획된 영역은 공극률을 상대적으로 소한 영역으로 할 수도 있다. One partitioned area may have a relatively dense porosity, and the other partitioned area may have a relatively small porosity.

이렇게 밀한 영역과 소한 영역을 좌우 수평적 구획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상하로 구획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dense and sparse areas can be divided horizontally left and right, as well as vertically.

아울러, 밀하고 소한 공극률의 경우, 하나의 영역 내에서도 상하로 밀하고 소한 영역이 연속적으로 변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dense and small porosity, the dense and small areas can be continuously changed up and down within one area.

이를 통해,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소빙 플레이트부(110)는 미리 설정된 가상의 라인(L)으로 구획된 영역을 상호 교차적으로 구비하도록 임의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Through this,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absorbing plate portion 110 can be arbitrarily set to have areas divided by preset virtual lines L in an alternating manner.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가상의 라인(L)으로 구획되는 영역의 경우, 공극률이 하부로부터 상부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임의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an area divided by a preset virtual line L, the porosity can be arbitrarily set to continuously increase or decrease from the bottom to the top.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matters stated in the patent claims, and the parentheses used in the patent claims are not used for selective limitation, but are used for clear elements, and the descriptions within the parentheses are also interpreted as essential elements. It has to be.

e: 에지(edge)부
H: 홀(hole)부
100: 보디 유닛(body unit)
110: 업소빙 플레이트(absorbing plate)부
111: 스톤(stone)부
112: 콤파운드(compound)부
120: 윙 브릿지(wing bridge)부
200: 크로스 브릿지(cross bridge)부
300: 트래핑 유닛(trapping unit)
310: 배리어(barrier)부
320: 인시던스(incidence)부
e: edge part
H: Hole part
100: body unit
110: Absorbing plate part
111: Stone part
112: Compound part
120: Wing bridge part
200: Cross bridge part
300: trapping unit
310: Barrier part
320: Incident section

Claims (10)

수직하게 기립하여 전면(front face)과 후면(rear face)을 상호 병렬적으로 이격되는 보디를 형성하는 한 쌍의 업소빙 플레이트부;
상기 한 쌍의 업소빙 플레이트부 각각을 상호 연결하며, 상호 이격된 공간에 홀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크로스 브릿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업소빙 플레이트부의 외향 표면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음파를 트래핑하여 감쇄시키며, 상하 또는 가로로 내향 오목하게 형성된 트래핑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트래핑 유닛은,
상기 업소빙 플레이트부의 표면으로부터 함입되어 내향 표면을 형성하는 배리어부; 및
상기 업소빙 플레이트부의 표면으로부터 함입되며, 상기 배리어부에 의해 둘러 싸이는 인시던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리어부는,
상기 업소빙 플레이트부의 표면으로부터 내향 확장되는 형성을 구비하며,
상기 인시던스부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음파를 상기 배리어부로 반사시키면, 상기 배리어부는 상기 인시던스부로부터 반사된 음파를 상기 배리어부 내에서 다시 내향 반사되도록 트래핑시키되,
상기 업소빙 플레이트부는,
스톤(stone)으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범위를 가지는 크기의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스톤부; 및
상기 스톤부를 수용하며, 시멘트와 물을 주 배합성분으로 하는 콤파운드부를 포함며,
상기 업소빙 플레이트부는,
상기 콤파운드부의 점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스톤부의 공극률을 미리 설정된 가상의 라인을 따르는 영역별로 선택적으로 조절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가상의 라인으로 구획되는 영역은,
상기 공극률이 하부로부터 상부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임의 설정될 수 있되,
밀하고 소한 상기 공극률의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가상의 라인으로 구획되는 영역 내에서 상하로 밀하고 소한 영역이 연속적으로 변화되도록 하되, 상기 미리 설정된 가상의 라인으로 구획되는 영역을 상호 교차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
A pair of absorbing plate parts that stand vertically and form a body with the front face and rear fac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a plurality of cross bridge parts connecting each of the pair of absorbing plate parts to each other and forming hole parts in spa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trapping unit is formed on the outward surface of the pair of absorbing plate portions to trap and attenuate sound waves flowing in from the outside, and is concave inward vertically or horizontally,
The trapping unit is,
a barrier portion recessed from the surface of the absorbing plate portion to form an inward surface; and
It is embedded from the surface of the absorbing plate portion and includes an incident portion surrounded by the barrier portion,
The barrier part,
It has a formation extending inward from the surface of the absorbing plate portion,
In the incident section,
When sound waves coming from the outside are reflected to the barrier part, the barrier part traps the sound waves reflected from the incident part so that they are reflected inward again within the barrier part,
The absorbing plate part,
A stone portion made of stone and corresponding to an object with a siz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It accommodates the stone part and includes a compound part whose main ingredients are cement and water,
The absorbing plate part,
By selectively controlling the viscosity of the compound portion, the porosity of the stone portion is selectively adjusted for each area along a preset virtual line,
The area demarcated by the preset virtual line is,
The porosity may be arbitrarily set to continuously increase or decrease from the bottom to the top,
In the case of the dense and small porosity, the dense and small areas are continuously changed up and down within the area demarcated by the preset virtual line, and the areas demarcated by the preset virtual line are made to intersect. Characterized by a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with arbitrarily adjustable poros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업소빙 플레이트부는,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는 윙 브릿지부를 각각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air of absorbing plate units,
A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porosit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wing bridge portions that protrude and extend from both sid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가상의 라인은,
상기 업소빙 플레이트부의 전체면으로 그 경계가 확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eset virtual line is:
A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with arbitrarily adjustable poros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boundary can be expand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absorbing plate portion.
KR1020200146046A 2020-11-04 2020-11-04 Block system equipped with surface for absorbing noise having function of regulating porosity KR1025913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046A KR102591302B1 (en) 2020-11-04 2020-11-04 Block system equipped with surface for absorbing noise having function of regulating poros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046A KR102591302B1 (en) 2020-11-04 2020-11-04 Block system equipped with surface for absorbing noise having function of regulating poros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254A KR20220060254A (en) 2022-05-11
KR102591302B1 true KR102591302B1 (en) 2023-10-18

Family

ID=81607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046A KR102591302B1 (en) 2020-11-04 2020-11-04 Block system equipped with surface for absorbing noise having function of regulating poros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30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3399B2 (en) * 1992-04-21 2000-09-04 松下冷機株式会社 Control device for air condition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6028A (en) * 1998-05-28 1999-12-07 Kagaichi Jitsugyo Kk Sound-absorption block
JP3083399U (en) * 2001-07-13 2002-01-25 エスビック株式会社 Architectural concrete block
KR100581405B1 (en) 2003-12-29 2006-05-23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The concrete block with the loess surface
KR100837184B1 (en) 2007-04-25 2008-06-13 주식회사 이노블록 Porous concrete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954388B1 (en) * 2008-02-16 2010-04-26 유희종 Sound-absorbing block
KR101117675B1 (en) 2008-11-05 2012-03-07 김선미 Concrete Block And Method For Construct The Wall of Building Using Tha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3399B2 (en) * 1992-04-21 2000-09-04 松下冷機株式会社 Control device for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254A (en) 202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7129781A (en) COMPOSITE BUILDING BLOCK FOR STONES
US20130279979A1 (en) Interlocking construction systems and methods
US20060251862A1 (en) Composite shaped block
US20100254795A1 (en) Modular cemented planar structure
KR102591302B1 (en) Block system equipped with surface for absorbing noise having function of regulating porosity
JP2007510829A (en) Block-type building stone used for building materials for walls and manufacturing method
CN107524120A (en) Cementing rock-fill dams
CN201224941Y (en) Environment protection type structure thermal insulation concrete building block, masonry and anti-vibration residential building
CN109485316A (en) Pour type cement particle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NO20180329A1 (en) Concrete paving block
CN202519855U (en) Aerated concrete block
US11939729B2 (en) High strength porous cement-based materials
JP2002339480A (en) Rectangular plate-like lightweight concrete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of boundary wall using the same
CN206256570U (en) Novel belt tenon stone walling
CN111041920A (en) Construction method for plate-type concrete prefabricated pavement
JPS6195110A (en) Method of increasing stability of block type weir
JP6350105B2 (en) Polymer cement composition, polymer cement mortar, and cured mortar
JP2001152404A (en) Concrete block for water permeable pavement,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water permeable paving slab
KR102534188B1 (en) System for air gap control of block by selectively incorporating slice piece
KR102229534B1 (en) Wave dissipating block using of used tires and a inclined wall structure thereof
CN212534104U (en) Novel super-long concrete seamless construction structure
Onyeakpa et al. Improvement o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interlocking blocks and its moulding machine
KR102663135B1 (en) Floor structure of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s and buildings constructed using them
CN110438970B (en) Assembled gangue porous concrete sand fixation pla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7100136A (en) A kind of new construction protecting slope of dam prefabricated section of utilization regeneration aggregate pro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