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196B1 - 빛 투과 길이 조절수단이 구비된 투광등 - Google Patents

빛 투과 길이 조절수단이 구비된 투광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196B1
KR102591196B1 KR1020230027582A KR20230027582A KR102591196B1 KR 102591196 B1 KR102591196 B1 KR 102591196B1 KR 1020230027582 A KR1020230027582 A KR 1020230027582A KR 20230027582 A KR20230027582 A KR 20230027582A KR 102591196 B1 KR102591196 B1 KR 102591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transmitting
movable light
floodlight
movabl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7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경
Original Assignee
(주)한국미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미광 filed Critical (주)한국미광
Priority to KR1020230027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1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22Adjustable mountings telescop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15Adjustabl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for power operation, e.g. by 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빛 투과길이 조절수단이 구비된 투광등에 관한 것으로서,LED가 장착된 하우징 본체의 전면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베이스 투광부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투광부의 길이를 신장시켜 대상물로 투과되는 LED 빛의 투과 거리를 제어하는 제1 이동투광부와 제2 이동투광부를 적층되게 베이스 투광부의 외주면에 형성하므로서, 좌우로 이동되는 제1 이동투광부와 제2 이동투광부를 이용하여 투광등과 대상물과의 거리와 상관 없이 LED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상기 대상물에 최대한으로 투과될 수 있도함음 물론 지면 또는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에서 투광등의 빛을 용이하게 대상물에 투과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다른 길이로 제작된 다수의 투과부를 투광등의 전면에 교체 결합하면서, 대상물에 투과되는 빛의 투과 거리를 제어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빛의 투과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투광등과 다수의 투과부를 각각 휴대하지 않아도 되어 휴대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하우징 본체의 외측면에 거리 측정기를 형성하여 투광등과 대상물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거리 측정 값에 맞게 빛투과길이 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제1 이동투광부와 제2 이동투광부를 좌,우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상기 제1 이동투광부와 제2 이동투광부의 좌,우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이동투광부를 따라 좌,우로 이동된 제2 이동투광부는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빛 투과 길이 조절수단이 구비된 투광등 { Floodlight with adjustable length }
본 발명은 빛 투과 길이 조절수단이 구비된 투광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LED가 장착된 하우징 본체의 전면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베이스 투광부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투광부의 길이를 신장시켜 대상물로 투과되는 LED 빛의 투과 거리를 제어하는 제1 이동투광부와 제2 이동투광부를 적층되게 베이스 투광부의 외주면에 형성하므로서, 좌우로 이동되는 제1 이동투광부와 제2 이동투광부를 이용하여 투광등과 대상물과의 거리와 상관 없이 LED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상기 대상물에 최대한으로 투과될 수 있도함음 물론 지면 또는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에서 투광등의 빛을 용이하게 대상물에 투과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다른 길이로 제작된 다수의 투과부를 투광등의 전면에 교체 결합하면서, 대상물에 투과되는 빛의 투과 거리를 제어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빛의 투과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투광등과 다수의 투과부를 각각 휴대하지 않아도 되어 휴대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하우징 본체의 외측면에 거리 측정기를 형성하여 투광등과 대상물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거리 측정 값에 맞게 빛투과길이 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제1 이동투광부와 제2 이동투광부를 좌,우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상기 제1 이동투광부와 제2 이동투광부의 좌,우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이동투광부를 따라 좌,우로 이동된 제2 이동투광부는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빛 투과길이 조절수단이 구비된 투광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투광등이란 지면 또는 설치 대상물에 설치되어 원하는 밝기로 다양한 구조물을 조명하거나 또는 색 연출을 통해 경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투광등은 선등록된 특허 제 10-2217977 호와 같이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전면에 장착되는 다수의 LED로 구성된다.
하우징의 전면에는 다수의 LED를 수용하는 렌즈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각도조절 브라켓이 결합 된다.
따라서, 각도조절 브라켓을 이용하여 투광등을 지면 또는 구조물에 설치한 상태에서 LED로 전원을 공급하므로서, 상기 LED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대상물을 투과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하우징에 장착된 LED는 렌즈를 통과하면서 외부로 조사되기 때문에 상기 투광등을 대상물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설치시 LED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대상물을 투과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14와 같이 투광등(300)의 전면에 다른 길이로 제작된 유도부(310)를 나사를 이용하여 착,탈식으로 결합하므로서, 대상물로 멀리 떨어지게 설치된 투광등(300)에 구비된 LED(40)로부터 조사된 빛이 대상물을 투과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투광등의 문제점은 다른 길이로 제작된 유도부(310)를 투광등(300)의 전면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므로서, 투광등(300)에 구비된 LED(40)로부터 조사되어 대상물로 투과되는 빛의 투과 거리를 제어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즉, 종래에는 다수의 LED(40)가 장착된 투광등(300)의 전면에 다른 길이로 제작된 유도부(310)를 도 14와 같이 번갈아 결합하면서 대상물로 투과되는 빛의 투과 길이를 제어하므로서, 투광등(300)으로부터 대상물로 투과되는 빛의 투과 거리를 제어하기가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유도부(100)를 투광등(300)의 전면에 착,탈식으로 결합해야 하기 때문에 대상물로 투과되는 빛의 투과 길이 제어 하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에는 다른 길이로 제작된 유도부(300)를 투광등(300)과 동시에 휴대 및 이동해야 하므로서, 상기 투광등(300) 및 유도부(310)의 이동이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작업자의 육안으로만 투광등(300)과 대상물의 거리를 확인해야 하므로서, 투광등(300)에서 조사되는 빛을 최대한으로 대상물에 투과시키는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LED가 장착된 하우징 본체의 전면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베이스 투광부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투광부의 길이를 신장시켜 대상물로 투과되는 LED 빛의 투과 거리를 제어하는 제1 이동투광부와 제2 이동투광부를 적층되게 베이스 투광부의 외주면에 형성하므로서, 좌우로 이동되는 제1 이동투광부와 제2 이동투광부를 이용하여 투광등과 대상물과의 거리와 상관 없이 LED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상기 대상물에 최대한으로 투과될 수 있도함음 물론 지면 또는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에서 투광등의 빛을 용이하게 대상물에 투과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다른 길이로 제작된 다수의 투광부를 투광등의 전면에 교체 결합하면서, 대상물에 투과되는 빛의 투과 거리를 제어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빛의 투과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투광등의 휴대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하우징 본체의 외측면에 거리 측정기를 형성하여 투광등과 대상물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거리 측정 값에 맞게 빛투과길이 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제1 이동투광부와 제2 이동투광부를 좌,우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상기 제1 이동투광부와 제2 이동투광부의 좌,우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이동투광부를 따라 좌,우로 이동된 제2 이동투광부는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빛 투과길이 조절수단이 구비된 투광등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지면 또는 구조물에 설치되는 하우징 본체와,
하우징 본체의 장착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LED,로 이루어진 투광등을 포함하는 빛 투과길이 조절수단이 구비된 투광등에 있어서,
하우징 본체의 전면에 원통형의 베이스 투광부를 형성하고,
좌,우로 이동되면서 베이스 투광부의 길이를 신장시켜 대상물로 투과되는 LED(40)의 빛의 투과 거리를 제어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제1 이동투광부(60)와 제2 이동투광부(70)를 적층되게 상기 베이스 투광부(50)의 외주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은, LED가 장착된 하우징 본체의 전면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베이스 투광부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투광부의 길이를 신장시켜 대상물로 투과되는 LED 빛의 투과 거리를 제어하는 제1 이동투광부와 제2 이동투광부를 적층되게 베이스 투광부의 외주면에 형성하므로서, 좌우로 이동되는 제1 이동투광부와 제2 이동투광부를 이용하여 투광등과 대상물과의 거리와 상관 없이 LED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상기 대상물에 최대한으로 투과될 수 있도함음 물론 지면 또는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에서 투광등의 빛을 용이하게 대상물에 투과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와 같이 다른 길이로 제작된 다수의 투광부를 투광등의 전면에 교체 결합하면서, 대상물에 투과되는 빛의 투과 거리를 제어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빛의 투과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투광등의 휴대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 본체의 외측면에 거리 측정기를 형성하여 투광등과 대상물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거리 측정 값에 맞게 빛투과길이 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제1 이동투광부와 제2 이동투광부를 좌,우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상기 제1 이동투광부와 제2 이동투광부의 좌,우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이동투광부를 따라 좌,우로 이동된 제2 이동투광부는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다수의 LED가 내부에 수용되게 하우징 본체 전면에 렌즈를 결합하고, 렌즈의 전면에 결합홈을 형성하며, 투광부의 내측에 수용되게 다수의 광 섬유를 결합홈에 결합하므로서, 상기 광 섬유로 인해 LED로부터 조사된 빛은 투광부의 타측 끝단에 근접하게 이동된 상태에서 조사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빛 투과길이 조절수단이 구비된 투광등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빛 투과길이 조절수단이 구비된 투광등의 전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빛 투과길이 조절수단이 구비된 투광등의 부분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빛 투과길이 조절수단이 구비된 투광등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맨도.
도 7은 본 발명의 빛 투과길이 조절수단이 구비된 투광등의 다른 실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빛 투과길이 조절수단이 구비된 투광등의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가이드 바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가이드 바의 A - A'선 확대 단면도.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가이드 바의 B - B' 확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고정 수단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길이 조절 장치가 설치된 투광등에 광섬유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종래의 투광등 및 투광등에 결합되는 유도부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1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지면 또는 구조물에 설치되는 하우징 본체(20)와,
하우징 본체(20)의 장착면(22)에 설치되는 다수의 LED(40),로 이루어진 투광등(10)을 포함하는 빛 투과길이 조절수단이 구비된 투광등에 있어서,
하우징 본체(20)의 전면에 원통형의 베이스 투광부(50)를 형성하고,
좌,우로 이동되면서 베이스 투광부(50)의 길이를 신장시켜 대상물로 투과되는 LED(40)의 빛의 투과 거리를 제어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제1 이동투광부(60)와 제2 이동투광부(70)를 적층되게 상기 베이스 투광부(50)의 외주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이동투광부(60)와 제2 이동투광부(7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빛투과길이 조절수단(100)을 더 형성하되,
상기 빛투과길이 조절수단(100)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홀(122)이 구비되며, 하우징 본체(20)의 외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바(110)와;
작동 스위치(2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정역 회전되게 상기 하우징 본체(2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모터(160)와;
모터(160)의 구동 기어(161)와 맞물려 베이스 투광부(50)를 정역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투광부(5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회전 기어(170)와;
베이스 투광부(5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나사산(180)과;
제1 나사산(180)과 대응되게 제1 이동투광부(6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 나사산(190)과;
가이드홀(122)에 관통되게 제1 이동투광부(60)의 상부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정역 회전되는 상기 제1 이동투광부(60)를 좌,우로 직진 이동시키는 제1 이동바(191)와;
제2 이동투광부(70)가 가이드 바(110)를 따라 좌,우로 직진 이동되게 상기 제2 이동투광부(7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는 제2 이동바(200)와;
좌,우로 이동된 제2 이동투광부(70)를 제1 이동투광부(60)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으로 구성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바(110)는, 하우징 본체(20)의 외측에 결합 되며, 제1 인출홈(122)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바몸체(120)와;
제1 인출홈(122)과 연통되게 하우징 본체(20)의 상,하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홀(122)과;
제2 인출홈(131)이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며, 제1 이동부(191)가 이동되는 방향에 따라 제1 인출홈(122)의 내부에서 좌,우로 이동되는 제2 바몸체(130)와;
제2 인출홈(131)과 연통되게 제2 바몸체(130)의 하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이동홈(132)과;
이동홈(132)을 통해 제2 이동바(200)의 상단이 저면에 결합 되며, 제2 이동투광부(70)를 좌,우로 직진 이동시키는 이동판(14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수단은, 제1 이동투광부(60)의 외주면에 등 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정홈(210)과;
제2 이동투광부(70)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개구단(212)이 하단에 구비된 장착홈(211)과;
스프링(214)에 탄지되게 상기 장착홈(211)의 내부에 설치 구성되어 상기 스프링(214)의 탄성력에 의해 개구단(212)에 출몰 작동되면서 고정홈(210)에 결합 되는 고정볼(213);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LED(40)의 빛을 대상물에 투과하여 경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투광등(10)에 관한 것이다.
상기 투광등(10)은 도 1과 같이 하우징 본체(20)와, 상기 하우징 본체(20)의 전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LED(40)로 대별된다.
상기 하우징 본체(20)의 전면에는 다수의 LED(40)가 장착되는 장착면(22)을 형성하고, LED(40)에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는 다수의 방열핀(21)이 하우징 본체(10)에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 본체(20)의 양측면에는 각도조절 브라켓(30)을 설치하여 상기 각도 조절 브라켓(30)에 장착된 하우징 본체(20)의 설치 각도를 제어하면서 LED(40)의 빛이 대상물로 투과되게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투광등(10)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투광부를 형성하여 대상물로 투과되는 LED(40)의 투과 거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투광등(10)에 결합되는 투광부는 도 1과 같이 하우징 몸체(20) 전면에 베이스 투광부(50)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투광부(50)의 길이를 신장하는 제1 이동투광부(60)와 제2 이동투광부(70)를 좌,우로 이동되게 베이스 투광부(50)의 외주면에 적층되게 결합한다.
상기 제1 이동투광부(60)와 제2 이동투광부(70)에는 고정 장치를 형성하여 좌,우로 제1 이동투광부(60)와 제2 이동투광부(70)를 고정한다.
상기 고정 장치는 도 4와 도 5와 같이 볼트로 구성됨을 밝히는 바이다.
이와 같이 결합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도조절 브라켓(30)을 이용하여 지면 또는 구조물에 투광등(10)의 결합한 후에 상기 투광등(10)을 구성하고 있는 하우징 몸체(20)의 장착면(22)에 설치된 LED(40)로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LED(40)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대상물에 투과되게 한다.
상기 대상물로부터 투광등(10)이 멀리 설치되어 LED(40)의 빛이 대상물에 투과되지 않거나 대상물의 원하는 곳에 LED(40)의 빛이 투과되지 않을 경우 베이스 투광부(50)의 외주면에 볼트로 결합된 제1 이동투광부(6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1 이동투광부(60)가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므로서, 베이스 투광부(50)의 외주면을 따라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베이스 투광부(50)의 길이를 신장시키므로, 상기 제1 이동투광부(60)의 이동된 거리만큼 LED(40)의 빛은 멀리 나가게 되면서 대상물을 투과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1 이동투광부(60)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더 LED(40)의 빛이 대상물을 투과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이동투광부(60)의 외주면에 결합된 제2 이동투광부(70)를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 이동투광부(60)의 길이를 신장하게 한다.
따라서, 제1 이동투광부(60)의 외주면을 따라 우측 방향으로 이동된 제2 이동투광부(70)의 거리만큼 하우징 몸체(20)의 전면에 설치된 LED(40)의 빛이 멀리 투과되기 때문에 원하는 대상물에 LED(40)의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2 이동투광부(70)를 먼저 제1 이동투광부(60)의 외주면을 따라 좌,우로 이동시킨 후에 상기 제1 이동투광부(60)를 베이스 투광부(50)의 외주면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한편,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동일 구성 요소에 관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표기하여 중복되는 도면 부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투광등(10)에 제1 이동투광부(60)와 제2 이동투광부(70)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빛투과길이 조절수단(100)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빛투과길이 조절수단(100)은 투광등(10)에 설치되어 대상물과 상기 투광등(10)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표시되는 거리만큼 작업자가 빛투과길이 조절수단(100)을 작동시켜 대상물에 투과되는 LED(40)의 빛이 투과되는 거리를 제어한다.
상기 빛투과길이 조절수단(100)은, 작동 스위치(2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베이스 투광부(5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이동투광부(60)가 좌,우로 직진 이동되고, 그 좌,우로 이동된 제1 이동투광부(60)의 외주면을 따라 제2 이동투광부(70)가 좌,우로 직진 이동되면서 대상물로 투과되는 LED(40)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투과 거리를 제어한다.
상기 빛투과길이 조절수단(100)은, 하우징 몸체(20)의 외주면에 결합 되는 가이드 바(110)와, 작동 스위치(2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베이스 투광부(50)를 정역 회전시켜 제1 이동투광부(60)와 제2 이동투광부(70)를 좌,우로 직진 이동시키는 모터(160)와, 상기 제1 이동투광부(60)의 외주면을 따라 좌,우로 이동된 제2 이동투광부(70)를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으로 대별된다.
상기 가이드 바(110)는 하우징 몸체(2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제1 바몸체(120)와 상기 제1 바몸체(120)의 내측으로부터 인출되는 제2 바몸체(130)와 상기 제2 바몸체(130)로부터 인출되는 이동판(140)으로 대별된다.
이때, 제1 바몸체(120) 및 제2 바몸체(130)의 내측 개구단에는 걸림부(150)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바몸체(130) 및 이동판(140)의 일단에는 걸림단(151)을 돌출되게 형성하여, 제1 바몸체(120)로부터 제2 바몸체(130)와 제2 바몸체(130)로부터 이동판(14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가이드 바(110)를 구성하고 있는 제1 바몸체(120)에는 제1 인출홈(121)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1 인출홈(121)과 연통되는 가이드홀(122)을 제1 바몸체(120)의 상면과 하면에 관통되게 길이 방향으로 형성한다.
상기 제1 인출홈(121)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제2 바몸체(130)에는 제2 인출홈(131)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고, 가이드홀(122)과 연통되게 이동홈(132)을 제2 바몸체(130)의 하면에 제2 인출홈(131)과 연통되게 형성한다.
따라서, 베이스 투광부(50)에 의해 제1 이동투광부(6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 제1 바몸체(120)의 제1 인출홈(121)에 결합된 제2 바몸체(130)가 좌,우로 이동되게 하고, 제2 이동투광부(6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 제2 바몸체(130)에 결합 된 이동판(140)이 제2 인출홈(131)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게 하는 것이다.
이때, 도면에 미 도시되었지만 가이드바(110)를 구성하고 있는 제1 바몸체(120)의 끝단에는 센서부가 제어부(250)와 연결되게 설치됨을 밝히는 바이다.
상기 베이스 투광부(50)는 하우징 몸체(20)의 내측면과 장착면(22)의 외주면에 베어링 결합한다.
즉, 일단이 하우징 몸체(20)의 내부에 돌출되게 장착면(22)의 외주면에 베이스 투광부(50)를 베어링 결합하는 것이다.
그리고 하우징 몸체(20)의 전면에는 센서부(260)를 제어부(250)와 연결되게 설치하여 모터(160)의 회전력에 의해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이동투광부(60)의 이동 거리를 감지하여 제어부(250)로 발송하고, 상기 제어부(250)는 센서부(260)에서 감지한 신호에 의해 모터(160)를 Off 작동되게 한다.
상기 모터(160)는 하우징 몸체(20)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모터(160)의 구동 기어(161)와 맞물리는 회전 기어(170)를 베이스 투광부(50)의 일측에 형성한다.
그리고 베이스 투광부(50)의 외주면에 제1 나사산(180)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나사산(180)과 맞물리는 제2 나사산(190)을 제1 이동투광부(60)의 내주면에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 투광부(50)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된 제1 이동투광부(60)의 일측 상부면에는 가이드 바(110)에 구비된 가이드 홀(122)에 관통되는 제1 이동바(191)를 형성한다.
상기 제1 이동투광부(60)의 외주면과 제2 이동투광부(70)의 내주면에는 고정 수단을 형성하여, 상기 제1 이동투광부(60)가 이동되는 방향에 따라 제2 이동투광부(70)가 좌,우로 이동되게 하고, 상기 제2 이동투광부(70)의 양측 상부면에는 가이드홀(122)을 통해 가이드바(110)에 구비된 이동판(140)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2 이동부(200)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결합 구성된 본 발명의 빛투과길이 조절수단(100)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우징 몸체(20)에 설치된 거리 측정기(90)를 이용하여 투광등(10)과 대상물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하우징 몸체(20)에 구비된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게 한다.
상기 거리 측정기(90)를 이용하여 투광등(10)과 대상물과의 거리가 표시되면, 작업자는 작동 스위치(220)에 구비된 제1 작동버튼(221)을 이용하여 하우징 몸체(20)의 내측면에 설치된 모터(6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상기 모터(6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모터(60)의 구동 기어(161)에 맞물린 회전 기어(170)에 의해 베이스 투광부(5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 투광부(5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므로서, 베이스 투광부(50)의 외주면에 구비된 제1 나사산(180)은 상기 베이스 투광부(50)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2 나사산(190)이 내주면에 구비된 제1 이동투광부(60)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때, 제1 이동투광부(60)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된 제1 이동바(191)는 가이드 바(110)를 구성하고 있는 제1 바몸체(120)에 구비된 가이드홀(122)을 따라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베이스 투광부(50)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된 제1 이동투광부(60)를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직진 이동되게 한다.
즉, 제1 나사산(180)에 결합되는 제2 나사산(190)이 구비된 제2 이동투광부(60)는 가이드홀(122)에 관통되게 결합되게 상기 제1 이동투광부(60)의 일측에 돌출형성된 제1 이동바(191)에 의해 베이스 투광부(50)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고 좌,우 방향으로 직진 이동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제1 바몸체(120)의 제1 인출홈(121)에 출몰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바몸체(130)는 제1 이동바(191)가 이동되는 방향에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제1 인출홈(121)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하우징 몸체(20)의 전면에 회전되게 설치된 베이스 투광부(50)의 길이를 신장시켜 LED(40)의 빛이 대상물로 투과되게 하는 것이다.
한편, 모터(160)를 회전시켜 베이스 투광부(50)의 외주면에 결합된 제1 이동투광부(60)가 이동된 후에도 LED(40)에서 조사되는 빛이 대상물에 투과되지 않거나 원하는 장소를 투과하지 않을 경우에는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이동투광부(60)의 외주면에 결합된 제2 이동투광부(70)로 압력을 가해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상기 제2 이동투광부(7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고정 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고정홈(210)에 결합된 고정볼(213)은 제2 이동투광부(70)의 내측에 구비된 장착홈(211)으로 유입되면서 상기 제2 이동투광부(70)가 제1 이동유도홈(60) 외주면을 따라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상기 제2 이동투광부(70)가 제1 이동유도홈(60)의 외주면을 따라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장착홈(211)의 내부에 스프링(214)에 탄지된 고정볼(213)은 고정홈(210)에 결합 되면서 제2 이동투광부(70)가 이동된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제2 이동투광부(70)이 상부면에 형성된 제2 이동바(200)에 결합된 이동판(140)는 제2 바몸체(130)에 구비된 제2 인출홈(131)으로부터 인출되면서 제2 이동투광부(70)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제1 이동투광부(6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이동된 제1 이동투광부(60)와 제2 이동투광부(70)를 처음 상태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이동된 제2 이동투광부(70)를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2 이동투광부(70)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고정 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고정볼(213)는 장착홈(211)에 출몰 작동되기 때문에 제2 이동투광부(70)를 제1 이동투광부(60)의 외주면을 따라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이와 동시에 제2 바몸체(130)에 구비된 제2 인출홈(131)으로부터 인출된 이동판(140)은 제2 이동투광부(70)가 이동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2 바몸체(130)의 내측으로 유입되게 한다.
상기 제2 이동투광부(70)가 제1 이동투광부(70)의 외주면을 따라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 후에 작동 스위치(220)이 제2 작동버튼(222)을 눌러 모터(16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상기 모터(16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므로서, 제1 나사산(180)이 외주면에 구비된 베이스 투광부(5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1 나사산(180)에 나사 결합된 제2 나사산(190)이 구비된 제1 이동투광부(60) 또한 베이스 투광부(50)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제1 이동투광부(60)가 제1 나사산(180)과 제2 나사산(190)에 의해 투광부(50)가 회전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이동바(191)는 가이드 바(110)에 구비된 가이드 홀(122)을 따라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기 때문에 제1 이동투광부(60)를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 이동투광부(60)가 처음 상태로 이동됨과 동시에 하우징 몸체(20)에 구비된 센서부(260)는 제1 이동투광부(60)를 감지하여 제어부(250)로 감지 신호를 발송한다.
상기 제어부(50)는 센서부(260)로부터 감지한 신호에 따라 모터(160)로 제어 신호를 발송하여 Off 작동한다.
따라서, 제1 이동투광부(60)와 제2 이동투광부(70)가 베이스 투광부(50)의 외주면을 따라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제2 바몸체(130)는 제1 바몸체(120)에 구비된 제1 인출홈(121)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한편, 도 13은 베이스 투광부(50)의 내측에 광섬유(240)를 결합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베이스 투광부(50)의 내측에 광섬유(240)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장착면(22)에 장착된 LED(40)를 수용하는 렌즈(230)의 전면에 결합홈(231)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231)에 다수의 광섬유(240)를 결합한다.
이때, 광섬유(240)는 길이(T1)는 베이스 투광부(50)의 길이(T)보다 짧게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우징 몸체(20)의 전면에 장착된 다수의 LED(40)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렌즈(230)를 통과하면서 광섬유(240)를 통해 외부로 발산되도록 하므로서, 대상물로부터 멀리 이격되게 투광등(10)을 설치하더라도 대상물로 LED(40)의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10: 투광등, 20: 하우징 몸체,
21: 방열핀, 22: 장착면,
30: 각도조절 브라켓, 40: LED,
50: 베이스 투광부, 60: 제2 이동투광부,
70: 제2 이동투광부, 90: 거리 측정기,
100: 빛투과길이 조절수단, 110: 가이드바,
120: 제1 바몸체, 121: 제1 인출홈,
122: 가이드홀, 130: 제2 바몸체,
131: 제2 인출홈, 132: 이동홈,
140: 이동판, 150: 걸림부,
151: 걸림단, 160: 모터,
161: 구동 기어, 170: 회전 기어,
180: 제1 나사산, 190: 제2 나사산,
191: 제1 이동바, 200: 제2 이동바,
210: 고정홈, 211: 장착홈,
212: 개구단, 213: 고정볼,
214: 스프링, 220: 작동 스위치,
221: 제1 작동버튼, 222: 제2 작동버튼,
230: 렌즈, 231: 결합홈,
240: 광섬유, 250: 제어부,
260: 센서부, T: 투광부 길이,
T1: 광섬유 길이,

Claims (4)

  1. 지면 또는 구조물에 설치되는 하우징 본체(20)와,
    하우징 본체(20)의 장착면(22)에 설치되는 다수의 LED(40),로 이루어진 투광등(10)을 포함하는 빛 투과길이 조절수단이 구비된 투광등에 있어서,
    하우징 본체(20)의 전면에 원통형의 베이스 투광부(50)를 형성하고,
    좌,우로 이동되면서 베이스 투광부(50)의 길이를 신장시켜 대상물로 투과되는 LED(40)의 빛의 투과 거리를 제어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제1 이동투광부(60)와 제2 이동투광부(70)를 적층되게 상기 베이스 투광부(50)의 외주면에 형성하며,
    제1 이동투광부(60)와 제2 이동투광부(7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빛투과길이 조절수단(100)을 더 형성하되,
    상기 빛투과길이 조절수단(100)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홀(122)이 구비되며, 하우징 본체(20)의 외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바(110)와;
    작동 스위치(2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정역 회전되게 상기 하우징 본체(2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모터(160)와;
    모터(160)의 구동 기어(161)와 맞물려 베이스 투광부(50)를 정역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투광부(5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회전 기어(170)와;
    베이스 투광부(5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나사산(180)과;
    제1 나사산(180)과 대응되게 제1 이동투광부(6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 나사산(190)과;
    가이드홀(122)에 관통되게 제1 이동투광부(60)의 상부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정역 회전되는 상기 제1 이동투광부(60)를 좌,우로 직진 이동시키는 제1 이동바(191)와;
    제2 이동투광부(70)가 가이드 바(110)를 따라 좌,우로 직진 이동되게 상기 제2 이동투광부(7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는 제2 이동바(200)와;
    좌,우로 이동된 제2 이동투광부(70)를 제1 이동투광부(60)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으로 구성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 투과길이 조절수단이 구비된 투광등.
  2. 삭제
  3.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110)는,
    하우징 본체(20)의 외측에 결합 되며, 제1 인출홈(122)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바몸체(120)와;
    제1 인출홈(122)과 연통되게 하우징 본체(20)의 상,하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홀(122)과;
    제2 인출홈(131)이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며, 제1 이동부(191)가 이동되는 방향에 따라 제1 인출홈(122)의 내부에서 좌,우로 이동되는 제2 바몸체(130)와;
    제2 인출홈(131)과 연통되게 제2 바몸체(130)의 하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이동홈(132)과;
    이동홈(132)을 통해 제2 이동바(200)의 상단이 저면에 결합 되며, 제2 이동투광부(70)를 좌,우로 직진 이동시키는 이동판(14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 투과길이 조절수단이 구비된 투광등.
  4.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제1 이동투광부(60)의 외주면에 등 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정홈(210)과;
    제2 이동투광부(70)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개구단(212)이 하단에 구비된 장착홈(211)과;
    스프링(214)에 탄지되게 상기 장착홈(211)의 내부에 설치 구성되어 상기 스프링(214)의 탄성력에 의해 개구단(212)에 출몰 작동되면서 고정홈(210)에 결합 되는 고정볼(213);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 투과길이 조절수단이 구비된 투광등.
KR1020230027582A 2023-03-02 2023-03-02 빛 투과 길이 조절수단이 구비된 투광등 KR102591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7582A KR102591196B1 (ko) 2023-03-02 2023-03-02 빛 투과 길이 조절수단이 구비된 투광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7582A KR102591196B1 (ko) 2023-03-02 2023-03-02 빛 투과 길이 조절수단이 구비된 투광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1196B1 true KR102591196B1 (ko) 2023-10-19

Family

ID=88507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7582A KR102591196B1 (ko) 2023-03-02 2023-03-02 빛 투과 길이 조절수단이 구비된 투광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19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2707U (ja) * 1983-08-10 1985-03-06 ロ−ヤル電器株式会社 スポツトライト
JPS62237601A (ja) * 1986-04-08 1987-10-17 株式会社遠藤照明 演出用照明器具
KR20090014746A (ko) * 2007-08-07 2009-02-11 (주)칸델라 조명용 빛조사조절장치
KR101313752B1 (ko) * 2012-06-14 2013-10-01 이종석 발포 에폭시수지 방열판을 이용한 엘이디 탐조등
KR20140005587U (ko) * 2013-04-19 2014-10-29 조영미 안심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2707U (ja) * 1983-08-10 1985-03-06 ロ−ヤル電器株式会社 スポツトライト
JPS62237601A (ja) * 1986-04-08 1987-10-17 株式会社遠藤照明 演出用照明器具
KR20090014746A (ko) * 2007-08-07 2009-02-11 (주)칸델라 조명용 빛조사조절장치
KR101313752B1 (ko) * 2012-06-14 2013-10-01 이종석 발포 에폭시수지 방열판을 이용한 엘이디 탐조등
KR20140005587U (ko) * 2013-04-19 2014-10-29 조영미 안심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4332B2 (en) Connector unit for endoscopes
US9681516B2 (en) Light emitting diode luminaire device and system with color temperature tunning
US7221271B2 (en) Device for controlling lighting for the interiors of automotive vehicl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id device
US20130063963A1 (en) Led track lighting having an illuminated track
US20130155672A1 (en) Remote control track light fixture
US9683721B2 (en) Lighting system with angled LED arrays
US9404646B2 (en) Lighting system with angled LED arrays
US10024522B2 (en) Lighting system with angled LED arrays
KR102591196B1 (ko) 빛 투과 길이 조절수단이 구비된 투광등
CN103836398A (zh) 灯具
CA2620185A1 (en) Emergency lighting device and system
CN103836455B (zh) 灯具
KR20050030232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조작장치 및 이것의 조립방법
US7011435B1 (en) Apparatus for retrofitting a remote control device to a stage lighting fixture
US20080105345A1 (en) Tire having an improved sidewall illumination system
US10488002B1 (en) Solar garden light
KR100984868B1 (ko) 빔폭제어 적외선조명 경통
CN113415989A (zh) 一种可自动调节集束器位置的装置
KR101663281B1 (ko) 자동차 방향지시장치
KR101386392B1 (ko) 투광 위치 정밀 조정이 가능한 교통 단속용 카메라용 스트로보 플래시
US20170184274A1 (en) Lighting device for a sheet metal and system having the same
KR101745343B1 (ko) 엘이디 면조명 장치
CN219225147U (zh) 一种调节方便具有可控功能的耦合器
CA3114504A1 (en) Luminaire with adapter collar
CN220249750U (zh) 一种车辆装载的光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