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111B1 - 슈가 페이스트용 워머기 - Google Patents

슈가 페이스트용 워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111B1
KR102591111B1 KR1020230031158A KR20230031158A KR102591111B1 KR 102591111 B1 KR102591111 B1 KR 102591111B1 KR 1020230031158 A KR1020230031158 A KR 1020230031158A KR 20230031158 A KR20230031158 A KR 20230031158A KR 102591111 B1 KR102591111 B1 KR 102591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sugar
unit
rotation suppor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1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허밍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허밍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허밍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30031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1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6/00Hair-singe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superfluous hair, e.g. tweezers
    • A45D26/0014Hair-singe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superfluous hair, e.g. tweezers using wax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52Weighing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furni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6/00Hair-singe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superfluous hair, e.g. tweezers
    • A45D2026/008Details of apparatus for removing superfluous hai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5Temperature
    • A45D2200/155Heating or cooling means, i.e. for storing or applying cosmetic products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3Heaters using resistive film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1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liqui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모용 슈가 페이스트 워머기는, 제모 용도의 슈가용기 - 상기 슈가용기는 슈가 페이스트와 상기 슈가 페이스트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용기부를 구비함. -에 열을 제공하는 워머기에 있어서,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배치되며, 상기 슈가용기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에 열을 전달하는 히팅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에 배치된 상기 슈가용기의 중량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무게감지부; 및 상기 슈가용기의 중량에 기반하여 상기 히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슈가 페이스트용 워머기{A WARMER DEVICE FOR SUGAR PASTE}
본 발명은 슈가 페이스트용 워머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체모를 제거하기 위한 왁싱에 활용되는 슈가 페이스트를 가온하기 위한 워머기에 대한 것이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남녀노소 가릴 것 없이, 미용에 대한 관심은 꾸준하게 늘어나고 있다. 이로 인해, 신체의 여러 부위(겨드랑이, 다리, 팔, 얼굴 등)의 체모를 제거하는 제모를 받는 사람들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뿐만 아니라, 제모의 종류도 왁싱, 레이저, 면도, 제모 크림 등으로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이 중에서도, 최근 주목받는 제모 기법인 슈가링은 슈가 왁스를 이용하여 체모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기존 왁싱이 밀랍을 주원료로 만든 페이스트를 이용하는 것과 다르게 설탕을 주원료로 만든 천연 왁스를 사용한다. 따라서, 슈가 왁스 제모 기법은 피부 자극이 적으면서, 제모력이 뛰어나며, 시술 소요 시간도 단축되는 효과까지 있다.
하지만, 현재 슈가 왁스의 용량에 맞게 온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슈가 왁스 워머기나, 슈가 페이스트 본품 전체를 간편하게 온열할 수 있는 장치가 없기 때문에 많은 사용자들이 불편함을 겪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근원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슈가 왁스 워머기를 대신하여, 중량에 맞게 발생되는 열이 조절되며, 슈가용기까지 함께수용가능하여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제모용 슈가 페이스트 워머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모용 슈가 페이스트 워머기는, 제모 용도의 슈가용기 - 상기 슈가용기는 슈가 페이스트와 상기 슈가 페이스트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용기부를 구비함. -에 열을 제공하는 워머기에 있어서,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배치되며, 상기 슈가용기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에 열을 전달하는 히팅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에 배치된 상기 슈가용기의 중량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무게감지부; 및 상기 슈가용기의 중량에 기반하여 상기 히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슈가용기의 중량이 줄어들수록 상기 히팅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감소되게 상기 히팅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슈가용기의 중량이 제1 중량 내지 제2 중량일 경우 제1 열량이 발생되도록 상기 히팅부를 제어하고, 상기 슈가용기의 중량이 제3 중량 내지 제4 중량일 경우 제2 열량이 발생되도록 상기 히팅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팅부는, 필름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의 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슈가용기에 균일한 열전달을 위한 열대류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내측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슈가용기가 안착되는 회전구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구현부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없고,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구현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 하단에 연결되는 제1 회전받침부, 상기 제1 회전받침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회전받침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회전받침부와 상기 제2 회전받침부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제한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제한부는, 상기 제2 회전받침부가 상승 위치일 경우, 체결 위치로서, 상기 제2 회전받침부가 회전되지 못하게 상기 제2 회전받침부에 체결되고, 상기 제2 회전받침부가 하강 위치일 경우, 해제 위치로서, 상기 제2 회전받침부가 회전하게 상기 제2 회전받침부에 체결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제한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2 회전받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로드부 및 상기 회전로드부의 타단부와 상기 제1 회전받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주요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주요부는, 상기 제2 회전받침부가 상승 위치에서 하강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체결 위치에서 상기 해제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전받침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 하단면에 배치되는 제1 회전케이스 및 상기 제1 회전케이스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길이가 신장 수축되는 제1 실린더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회전받침부는, 상기 제1 실린더부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실린더부에 작용되는 외력에 의해 상하로 위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위치일 경우, 상기 회전구현부의 위치가 이동되게 상기 회전구현부에 체결되고, 비인증 위치일 경우, 상기 회전구현부의 위치가 제한되게 상기 회전구현부에 체결되는 호환구현부;를 더 포함하고, 호환구현부는, 상기 본체부에 삽입되는 상기 슈가용기의 외형에 따라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구현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 하단면에 배치되는 제1 회전케이스와 상기 제1 회전케이스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길이가 신장 수축되는 제1 실린더부를 구비하는 제1 회전받침부, 상기 제1 회전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회전받침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회전받침부와 상기 제2 회전받침부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제한부를 구비하고, 상기 호환구현부는, 선형적인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제2 회전받침부에 결합되며, 인증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회전케이스와 이격되며, 비 인증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회전케이스에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슈가 페이스트용 워머기는 관리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시술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시술자가 시술을 편리하게 수행하도록 도울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모용 슈가 워머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모용 슈가 워머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모용 슈가 워머기에 슈가용기가 장착된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모용 슈가 워머기의 본체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모용 슈가 워머기의 온도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모용 슈가 워머기의 전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모용 슈가 워머기의 회전구현부의 전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모용 슈가 워머기의 호환구현부의 인증 위치 및 회전구현부의 상승위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모용 슈가 워머기의 호환구현부의 인증 위치 및 회전구현부의 하강위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모용 슈가 워머기의 호환구현부의 인증 위치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모용 슈가 워머기의 호환구현부의 비인증 위치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모용 슈가 워머기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모용 슈가 워머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모용 슈가워머기(100)는, 제모 용도의 슈가용기 - 상기 슈가용기는 슈가 페이스트와 상기 슈가 페이스트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용기부(200)를 구비함. -에 열을 제공하는 워머기에 있어서, 하우징부(110), 상기 하우징부(110)에 배치되며, 상기 슈가용기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120), 상기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120)에 열을 전달하는 히팅부(130), 상기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120)에 배치된 상기 슈가용기의 중량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무게감지부(140), 상기 슈가용기의 중량에 기반하여 상기 히팅부(130)를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슈가 페이스트는 이당류로 이루어진 반고형의 물질로서, 가열될 경우 유동성이 증가 될 수 있다.
가열된 슈가 페이스트는 체모가 난 피부에 도포된 후에 피부로부터 박리되어, 피부로부터 체모를 제거할 수 있다.
용기부(200)에는 슈가 페이스트가 충진될 수 있다.
일례로, 용기부(200)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용기부(200)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하우징부(110)는 제모용 슈가워머기(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부(11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되도록 내부 공간에는 본체부(120), 히팅부(130), 무게감지부(140) 및/또는 제어부(150)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하우징부(110)의 하면은 일부분이 개방되어진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부(11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의 일부는 상기 하우징부(110)의 하면에 위치한 개방되어진 복수 개의 홈을 통해 공기 중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일례로, 하우징부(110)의 하단에는 돌출된 형상의 복수 개의 받침부(P11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부(110)는 상기 받침부(P110)의 높이만큼 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 될 수 있다.
하우징부(11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히팅부(130)의 온도를 확인 및 조절할 수 있는 컨트롤부(160)가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부(160)는 상기 히팅부(130)의 온도를 선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다이얼(161) 및 상기 히팅부(130)의 온도를 슈가 페이스트 종류에 맞춰 선택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버튼(16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162)은 제1 버튼(162A), 제2 버튼(162B), 제3 버튼(162C)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소프트 슈가 페이스트에 적정한 온도는 35도 내지 36도 일 수 있다.
일례로, 미디움 슈가 페이스트에 적정한 온도는 36도 내지 37도 일 수 있다.
일례로, 하드 슈가 페이스트에 적정한 온도는 37도 내지 38도 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제1 버튼(162A)을 누르면 소프트 슈가 페이스트의 적정 온도로 온도가 조절 및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제2 버튼(162B)을 누르면 미디움 슈가 페이스트의 적정 온도로 온도가 조절 및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제 3버튼(162C)을 누르면 하드 슈가 페이스트의 적정 온도로 온도가 조절 및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부(160)는 상기 히팅부(130)의 온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20)는 내부에 빈 공간인 중공이 형성된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본체부(120)의 중공은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20)의 중공은 상기 용기부(200)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본체부(120)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본체부(120)의 중공에는 상기 슈가용기가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본체부(120)의 중공에는 슈가 페이스트만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히팅부(130)는 상기 히팅부(130)의 상면과 하면이 상기 본체부(120)의 중공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원형의 중공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팅부(130)는 상기 히팅부(130)의 측면은 상면과 하면의 테두리를 모두 둘러싸며 형성되며, 상기 히팅부(130)는 상면과 하면 및 내측면이 모두 빈 공간으로 형성되는 필름 형태의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히팅부(130)의 형상 및 형태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무게감지부(140)는 본체부(120)의 무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무게감지부(140)는 상기 본체부(12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무게감지부(140)는 로드셀 및/또는 무게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로드셀은 싱글 포인트 로드셀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로드셀 및 무게센서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상기 컨트롤부(160) 및 상기 무게감지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히팅부(130)를 제어하는 연산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하우징부(11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어부(150)의 배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무게감지부(140)로부터 본체부(120)의 실시간 무게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연산부(미도시)는 무게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히팅부(130)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연산부(미도시)는 상기 다이얼(161) 및 상기 버튼(162)을 통해 입력되는 온도 설정 값에 따라서 상기 히팅부(130)의 온도가 유지 및 조절되도록 상기 히팅부(130)의 열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연산부(미도시)는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 Controller Unit)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연산부(미도시)의 종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이하, 슈가 워머기의 구동 방식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모용 슈가 워머기에 슈가용기가 장착된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용기부(200)는 본체부(120)에 삽입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슈가용기에는 설탕을 주재료로 하는 슈가 페이스트가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일례로, 슈가 페이스트의 성분은 일반적으로 슈크로오스, 정제수, 레몬즙, 아라비아고무나무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슈가 페이스트는 각기 다른 제형을 가지는 세가지 종류의 슈가 페이스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슈가 페이스트는 가장 묽은 제형의 소프트 슈가 페이스트, 보편적인 제형의 미디움 슈가 페이스트 및 가장 단단한 제형의 하드 슈가 페이스트 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슈가 페이스트의 성분 및 제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용기부(200)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부(200)의 상단부는 상측 방향으로 향할수록 점점 직경이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부(200)의 상단부의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뚜껑이 상기 용기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부(200)는 상기 슈가용기(200)의 하면에서 내측방향을 향하여 함입되는 빈 공간을 포함하는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슈가용기(200)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모용 슈가 워머기의 본체부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히팅부(130)는 필름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120)의 측면을 둘러싸며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히팅부(130)는 슈가용기에 균일한 열전달을 위한 열대류공간(S130)이 형성되도록, 상기 본체부(120)의 측면과 이격될 수 있다.
일례로, 히팅부(130)는 필름 형태의 히터인 필름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히팅부(130)의 종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히팅부(130)는 필름에 인쇄된 패턴을 타고 흐르는 전류가 에너지로 변환되면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히팅부(130)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는 상기 히팅부(130)와 상기 본체부(12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인 열대류공간(S130)를 통해 열이 대류되며, 슈가용기 전반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모용 슈가 워머기의 온도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상기 슈가용기의 중량이 줄어들수록 상기 히팅부(130)에서 발생되는 열이 감소되도록 상기 히팅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슈가용기의 중량이 제1 중량 내지 제2 중량일 경우 제1 열량이 발생되도록 상기 히팅부(130)를 제어하고, 상기 슈가용기의 중량이 제3 중량 내지 제4 중량일 경우 제2 열량이 발생되도록 상기 히팅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모용 슈가워머기(100)는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서 단계적인 열량 조절 및 선형적인 열량 조절이 모두 가능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슈가용기의 중량의 구간을 4단계로 나눈 것을 기준으로 상기 히팅부(130)에서 제공하는 열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4 개의 구간은 제1 중량, 제2 중량, 제3 중량, 제4 중량을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1 구간(T11)은 제1 중량 이하 제2 중량 초과, 제2 구간(T12)은 제2 중량 이하 제3 중량 초과, 제3 구간(T13)은 제3 중량 이하 제4 중량 초과 및 제4 구간(T14)은 제4 중량 이하로서 4 개의 구간을 구분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제 1버튼(162A)를 누르게 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무게감지부(140)로부터 전달받은 무게 정보를 통해서, 슈가용기의 온도를 35도 내지 36도로 유지하기 위한 열량을 히팅부(130)가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슈가 페이스트가 완충된 슈가용기는 제1 중량일 수 있다.
사용자가 슈가용기로부터 슈가 페이스트를 덜어낼수록, 슈가용기의 중량이 줄어들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구간(T11)에서는 제1 열량이 발생되도록 상기 히팅부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제2 구간(T12)에서는 제3 열량이 발생되도록 상기 히팅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3 구간(T13)에서는 제2 열량이 발생되도록 상기 히팅부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제4 구간(T14)에서는 제4 열량이 발생되도록 상기 히팅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열량의 크기는 제1 열량, 제3 열량, 제2 열량 및 제4 열량 순으로 클 수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용자가 슈가용기 내의 슈가 페이스트를 사용하면서 슈가용기의 중량이 줄어들수록 히팅부(130)에서 방출되는 열량이 단계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슈가용기의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히팅부(130)에서 제공하는 열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다이얼(161)로 임의의 온도를 설정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무게감지부(140)로부터 전달받은 무게 정보를 통해서, 슈가용기의 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설정 및 유지하기 위한 열량을 히팅부(130)가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슈가용기 내의 중량이 줄어듦과 동시에, 상기 히팅부(130)는 줄어든 중량에 대응하여 더 적은 열량을 제공하여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중량의 변화와 열량의 변화는 선형적으로 비례할 수 있고, 비례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용자가 슈가용기 내의 슈가 페이스트를 사용하여서 슈가용기의 중량이 줄어들수록 히팅부(130)에서 방출되는 열량이 대응되어 감소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모용 슈가 워머기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모용 슈가 워머기의 회전구현부의 전체 사시도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모용 슈가 워머기는, 상기 본체부(1120)의 내측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슈가용기가 안착되는 회전구현부(1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구현부(1170)는 상기 본체부(1120)의 내측 하단에 연결되는 제1 회전받침부(1171), 상기 제1 회전받침부(1171)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회전받침부(1172)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회전받침부(1171)와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제한부(117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제한부(1173)는 일단부가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로드부(1173A) 및 상기 회전로드부(1173A)의 타단부와 상기 제1 회전받침부(117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주요부(1173B)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구현부(1170)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상기 본체부(1120) 내측 하단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구현부(1170)는 상기 본체부(1120)의 내측 하단에 연결 및 연결해제가 가능할 수 있다.
회전구현부(1170)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본체부(1120)를 기준으로 회전되지 못할 수 있다.
회전구현부(1170)의 제1 위치는 회전주요부(1173B)의 일단부가 상기 회전체결홈(P1174)에 삽입되어 체결될 때의 회전제한부(1173)의 위치 및 제2 회전받침부(1172)에 슈가용기의 중량만이 작용될 때의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의 위치를 모두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구현부(1170)는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본체부(1120)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구현부(1170)의 제2 위치는 상기 회전주요부(1173B)의 일단부가 상기 회전체결홈(P1174)으로부터 분리될 때의 회전제한부(1173)의 위치 및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에 슈가용기의 중량에 더하여 추가적인 하측 방향으로의 외력이 작용될 때의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의 위치를 모두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받침부(1171)는 상기 본체부(1120)의 내측 하단면에 배치되는 제1 회전케이스(1171A)와 상기 제1 회전케이스(1171A)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길이가 신장 수축되는 제1 실린더부(1171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회전케이스(1171A)는 상기 본체부(1120)의 내측 하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전케이스(1171A)의 둘레면은 일정 두께로 형성되나, 내측은 빈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회전케이스(1171A)는 일정 두께의 원반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회전케이스(1171A)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1 회전케이스(1171A)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제한부(1170)의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 및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케이스(1171A)의 상면에는 상기 제1 실린더부(1171B)의 하부가 연결 및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실린더부(1171B)는 상기 제1 회전케이스(1171A)를 기준으로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실린더부(1171B)는 외부 압력에 의해 수축되거나 신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실린더부(1171B)는 유압 실린더 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실린더부(1171B)는 하단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진다면 상기 제1 실린더부(1171B)는 수축될 수 있다.
일례로, 수축된 상기 제1 실린더부(1171B)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다면 상기 제1 실린더부(1171B)는 신장될 수 있다.
제2 회전받침부(1172)는 상기 제1 회전케이스(1171A)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의 둘레면은 일정 두께로 형성되나, 내측은 빈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는 일정 두께의 원반 형상일 수 있다.
제2 회전받침부(1172)는 상기 제1 회전케이스(1171A)보다 상단부에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받침부(1172)는 상기 제1 회전케이스(1171A)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가 회전하면, 상기 제1 회전케이스(1171A)도 회전될 수 있다.
제2 회전받침부(1172)는 상기 제1 실린더부(1171B)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실린더부(1171B)에 작용되는 외력에 의해 상하로 위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실린더부(1171B)에 외력이 작용되면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는 상기 제1 회전케이스(1171A)방향으로 하향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실린더부(1171B)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으면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는 상기 제1 회전케이스(1171A)의 반대 방향으로 상향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받침부(1172)에는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돌출된 형상의 회전돌출부(117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는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회전돌출부(1174)가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돌출부(1174)는 상기 회전돌출부(1174)의 내측이 빈공간으로 형성되는 둥근 띠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돌출부(1174)의 내측 측면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며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홈인 회전체결홈(P117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받침부(1172)는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의 외측과 내측을 관통하는 홀인 호환구현부 체결 홀(H117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호환구현부(1180)는 상기 호환구현부 체결 홀(H1172)을 통해서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의 외측과 내측에 걸쳐 모두 이동될 수 있다.
회전로드부(1173A)는 링크로서, 상기 회전로드부(1173A)의 일단부는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조인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회전로드부(1173A)의 타단부는 회전주요부(1173B)에 회전 가능하게 조인트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주요부(1173B)와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는 상기 회전로드부(1173A)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에 작용된 외력이 회전주요부(1173B)로 전달될 수 있다.
회전주요부(1173B)는 갈고리 형상일 수 있다.
회전주요부(1173B)는 상기 제1 회전케이스(1171A)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경사지게 연장되며, 회전동작이 가능한 제1 회전주요부(1173B-1, 도 8 참조) 및 일단부는 상기 제1 회전주요부(1173B-1)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타단부는 상기 회전체결홈(P1174)에 체결 및 해제될 수 있는 제2 회전주요부(1173B-2, 도 8 참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회전주요부(1173B-2)는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향할수록 상기 제2 회전주요부(1173B-2)의 폭이 좁아지는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회전주요부(1173B)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 회전주요부(1173B-2)는 타단부 회전체결홈(P1174)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회전주요부(1173B)의 상단부는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주요부(1173B)는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가 상승 위치에서 하강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에 의해 체결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모용 슈가워머기(1100)는 상기 회전구현부(1170)에 체결되는 호환구현부(1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호환구현부(1180)는 선형적인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호환구현부(1180)는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를 기준으로 상하로 위치 이동되는 로드부(1181) 및 상기 로드부(1181)와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로드부(1181)와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를 매개하는 스프링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로드부(1181)의 길이는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제1 회전케이스(1171A)와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의 사이 거리와 같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로드부(1181)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부(1181)의 지름은 상기 호환구현부 체결 홀(H1172)의 지름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드부(1181)는 상기 호환구현부 체결 홀(H1172)을 관통할 수 있다.
스프링부(미도시)는 상기 로드부(1181)의 측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로드부(1181)에 상기 스프링부(미도시)가 외삽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부(미도시)의 일단부는 상기 로드부(1181)의 일부분에 연결되며, 상기 스프링부(미도시)의 타단부는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의 일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프링부(미도시)의 탄성력은 상기 회전로드부(1173A)의 중량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드부(1181)는 상기 슈가용기(1200)가 제거되면 상기 스프링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모용 슈가 워머기의 호환구현부의 인증 위치 및 회전구현부의 상승위치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모용 슈가 워머기의 호환구현부의 인증 위치 및 회전구현부의 하강위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체부(1120)에 슈가 페이스트가 완충된 용기부(1200)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호환구현부(1180)는 용기부(1200) 하단에 형성된 함입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회전구현부(1170)는 제1 위치일 수 있다.
즉, 회전제한부(1173)는 체결 위치이고, 제2 회전받침부(1172)는 상승 위치일 수 있다.
회전제한부(1173)는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가 상승 위치일 경우, 체결 위치로서,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가 회전되지 못하게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에 체결될 수 있다.
다만, 체결 위치는 상기 회전주요부(1173B)의 일단부가 상기 회전체결홈(P1174)에 삽입되어 체결될 때의 회전제한부(1173)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회전제한부(1173)가 체결 위치일 경우, 제2 회전주요부(1173B-2)는 회전체결홈(P1174)에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회전받침부(1172)는 제1 실린더부(1171B)를 기준으로 회전되지 못할 수 있다.
상승 위치는 상기 회전제한부(1173)가 체결 위치일 때의 제2 회전받침부(1172)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승 위치는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에 슈가용기의 중량만이 작용될 때의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회전받침부(1172)가 하강 위치일 경우, 회전제한부(1173)가 해제 위치로서,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가 회전하게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에 체결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회전주요부(1173B)는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가 상승 위치에서 하강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체결 위치에서 상기 해제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다만, 해제 위치는 상기 회전주요부(1173B)의 일단부가 상기 회전주요부 체결 홈(1172P)으로부터 분리될 때의 회전제한부(1173)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하강 위치는 상기 회전제한부(1173)가 해제 위치일 때의 제2 회전받침부(1172)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하강 위치는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에 슈가용기의 중량에 더하여 추가적인 하측 방향으로의 외력이 작용될 때의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가 하강 위치일 경우, 상기 슈가용기(1200)는 상기 회전구현부(1170) 및 상기 호환구현부(1180)과 연결된 상태로 상하이동 및 회전동작이 모두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슈가용기(1200)의 상하이동은 상기 제1 실린더부(1171B)의 신장수축 범위 안에서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작업자는 자신의 편의를 위해 용기부(1200)를 회전 시키고자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용기부(1200)에 하측 방향으로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에 하측 방향으로의 외력이 작용되면,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가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회전로드부(1173A)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회전로드부(1173A)가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에 따라 회전주요부(1173B)가 회전되어 제2 회전주요부(1173B-2)가 회전체결홈(P1174)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제2 회전주요부(1173B-2)가 회전체결홈(P1174)으로부터 이탈된 것에 따라, 제2 회전받침부(1172)는 제1 실린더부(1171B)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체부(1120)는 상단 외주면이 탄성체(P1120)로 둘러싸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탄성체(P1120)는 스펀지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탄성체(P1120)는 고무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슈가용기(1200)가 인증 위치 및 하강 위치에 위치되어 하향이동 및 회전동작 시에, 상기 슈가용기(1200)는 상기 탄성체(P1120)에 의해서 상기 본체부(1120)와의 마찰을 줄이고, 유연하게 동작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탄성체(P1120)의 종류는 탄성을 가지는 물질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작업자는 용기부(1200)를 원하는 위치로 회전 시킨 후에 용기부(1200)에 작용하는 외력을 제거할 수 있다.
용기부(1200)에 작용되는 외력이 제거된 것에 의해, 수축된 제1 실린더부(1171B)는 신장될 수 있다.
제1 실린더부(1171B)가 신장된 것에 의해 제2 회전받침부(1172)가 상승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가 상승되는 것에 의해, 상기 회전로드부(1173A)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회전로드부(1173A)가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에 따라, 회전주요부(1173B)가 회전되어 제2 회전주요부(1173B-2)가 회전체결홈(P1174)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자는 자신이 슈가 페이스트를 덜어내기 편한 위치로 용기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회전 동작은 함입부가 형성된 용기부가 본체부에 삽입되었을 경우에만 구현될 수 있다.
만일, 함입부가 형성되지 않은 용기부가 본체부에 삽입되었을 경우에는 회전 동작이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함입부가 형성되지 않은 용기부가 본체부에 삽입되는 경우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모용 슈가 워머기의 호환구현부의 인증 위치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모용 슈가 워머기의 호환구현부의 비인증 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하단부에 함입된 홈이 형성된 용기부(1200)가 본체부에 삽입되는 경우, 로드부(1181)가 용기부의 함입부에 삽입될 수 있다.
호환구현부(1180)가 인증 위치일 경우, 로드부(1181)는 제2 회전받침부(1172)에 연결된 채로 제1 회전케이스(1171A)와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환구현부(1180)는 인증 위치일 경우, 상기 회전구현부(1170)의 위치가 이동되게 상기 회전구현부(1170)에 체결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인증 위치는 상기 본체부(1120)에 슈가용기(1200)가 연결되었을 때, 상기 호환구현부(1180)의 일단부는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에 위치되며 일단부를 제외한 상기 호환구현부(1180)의 모든 부분이 슈가용기(1200) 내측으로 삽입되었을 때의 호환구현부(1180)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호환구현부(1180)는 상기 본체부(1120)에 삽입되는 상기 슈가용기(1200)의 외형에 따라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내부에 함입된 홈이 존재하지 않는 용기부(2200)가 본체부(1120)에 삽입될 수 있다.
용기부(2200)가 본체부(1120)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인증 위치인 호환구현부(1180)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비 인증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호환구현부(1180)는 비 인증 위치일 경우, 상기 회전구현부(1170)의 위치가 제한되게 상기 회전구현부(1170)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호환구현부(1180)는 비 인증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회전케이스(1171A)에 체결될 수 있다.
다만, 비 인증 위치는 상기 본체부(1120)에 용기부(2200)가 연결되었을 때, 상기 호환구현부(1180)의 일단부는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에 위치되며, 상기 호환구현부(1180)의 타단부는 상기 제1 회전케이스(1171A)에 체결되었을 때의 호환구현부(1180)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비 인증 위치인 경우, 상기 회전제한부(1173)는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가 상승 위치에 위치되어, 체결 위치로서,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가 회전되지 못하게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환구현부(1180)의 일단부는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에 체결되며, 상기 호환구현부(1180)의 타단부는 상기 제1 회전케이스(1171A)에 체결되어 상기 제1 실린더부(1171B)의 신장 및 수축이 불가능할 수 있다.
로드부(1181)의 하단부는 자석으로 형성되어, 상기 로드부는 제1 회전케이스(1171A)에 자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실린더부(1171B)의 신장 및 수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제2 회전주요부(1173B-2)가 회전체결홈(P1174)으로부터 분리되지 못해, 제2 회전받침부(1172)는 회전되지 못할 수 있다.
용기부(2200)가 상기 본체부(1120)에서 제거되면, 상기 호환구현부(1180)는 상기 스프링부의 탄성에 의해서 상기 호환구현부(1180)의 타단부만 상기 제2 회전받침부(1172)에 체결되는 인증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함을 밝혀 둔다.
100 : 슈가 워머기 110 : 하우징부
120 : 본체부 130 : 히팅부

Claims (10)

  1. 제모 용도의 슈가용기 - 상기 슈가용기는 슈가 페이스트와 상기 슈가 페이스트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용기부를 구비함. -에 열을 제공하는 워머기에 있어서,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배치되며, 상기 슈가용기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에 열을 전달하는 히팅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에 배치된 상기 슈가용기의 중량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무게감지부;
    상기 슈가용기의 중량에 기반하여 상기 히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측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슈가용기가 안착되는 회전구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구현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 하단에 연결되는 제1 회전받침부, 상기 제1 회전받침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회전받침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회전받침부와 상기 제2 회전받침부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제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회전받침부는,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회전돌출부가 연결되며,
    상기 용기부에 하측 방향으로 외력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상승 위치에서 하강 위치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회전돌출부는,
    측면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며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홈인 회전체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제한부는,
    상기 제2 회전받침부가 상승 위치일 경우, 체결 위치로서 상기 제2 회전받침부가 회전되지 못하게 상기 회전체결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 회전받침부가 하강 위치일 경우, 해제 위치로서 상기 제2 회전받침부가 회전하게 상기 제2 회전받침부에 체결되지 않는,
    제모용 슈가 워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슈가용기의 중량이 줄어들수록 상기 히팅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감소되게 상기 히팅부를 제어하는,
    제모용 슈가 워머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슈가용기의 중량이 제1 중량 내지 제2 중량일 경우 제1 열량이 발생되도록 상기 히팅부를 제어하고, 상기 슈가용기의 중량이 제3 중량 내지 제4 중량일 경우 제2 열량이 발생되도록 상기 히팅부를 제어하는,
    제모용 슈가 워머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는,
    필름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의 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슈가용기에 균일한 열전달을 위한 열대류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측면과 이격되는,
    제모용 슈가 워머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현부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없고,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는,
    제모용 슈가 워머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2 회전받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로드부 및 상기 회전로드부의 타단부와 상기 제1 회전받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주요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주요부는,
    상기 제2 회전받침부가 상승 위치에서 하강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체결 위치에서 상기 해제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제모용 슈가 워머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받침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 하단면에 배치되는 제1 회전케이스 및 상기 제1 회전케이스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길이가 신장 수축되는 제1 실린더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회전받침부는,
    상기 제1 실린더부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실린더부에 작용되는 외력에 의해 상하로 위치 이동이 가능한,
    제모용 슈가 워머기.
  9. 제5항에 있어서,
    인증 위치일 경우, 상기 회전구현부의 위치가 이동되게 상기 회전구현부에 체결되고, 비인증 위치일 경우, 상기 회전구현부의 위치가 제한되게 상기 회전구현부에 체결되는 호환구현부;를 더 포함하고,
    호환구현부는,
    상기 본체부에 삽입되는 상기 슈가용기의 외형에 따라 위치가 결정되는,
    제모용 슈가 워머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현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 하단면에 배치되는 제1 회전케이스와 상기 제1 회전케이스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길이가 신장 수축되는 제1 실린더부를 구비하는 제1 회전받침부, 상기 제1 회전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회전받침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회전받침부와 상기 제2 회전받침부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제한부를 구비하고,
    상기 호환구현부는,
    선형적인 위치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2 회전받침부에 결합되며,
    인증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회전케이스와 이격되며, 비 인증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회전케이스에 체결되는,
    제모용 슈가 워머기.
KR1020230031158A 2023-03-09 2023-03-09 슈가 페이스트용 워머기 KR102591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1158A KR102591111B1 (ko) 2023-03-09 2023-03-09 슈가 페이스트용 워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1158A KR102591111B1 (ko) 2023-03-09 2023-03-09 슈가 페이스트용 워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1111B1 true KR102591111B1 (ko) 2023-10-19

Family

ID=88507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1158A KR102591111B1 (ko) 2023-03-09 2023-03-09 슈가 페이스트용 워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11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3048A (en) * 1975-10-20 1977-04-28 Dainichi Nippon Cables Ltd Twisting method for cable core
JP2003173865A (ja) * 2001-12-05 2003-06-20 Mitsubishi Rayon Co Ltd 物体の加熱方法
KR100817177B1 (ko) * 2006-11-16 2008-03-27 코리아티타늄주식회사 진공원심주조장치
KR101899611B1 (ko) * 2010-09-27 2018-09-17 지티에이티 코포레이션 가열기 및 이를 위한 관련 방법
KR102464980B1 (ko) * 2022-02-18 2022-11-09 박정임 온도 자동 조절 기능이 구비된 제모용 왁스 용융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3048A (en) * 1975-10-20 1977-04-28 Dainichi Nippon Cables Ltd Twisting method for cable core
JP2003173865A (ja) * 2001-12-05 2003-06-20 Mitsubishi Rayon Co Ltd 物体の加熱方法
KR100817177B1 (ko) * 2006-11-16 2008-03-27 코리아티타늄주식회사 진공원심주조장치
KR101899611B1 (ko) * 2010-09-27 2018-09-17 지티에이티 코포레이션 가열기 및 이를 위한 관련 방법
KR102464980B1 (ko) * 2022-02-18 2022-11-09 박정임 온도 자동 조절 기능이 구비된 제모용 왁스 용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3031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reduction of pain using vibration, cold and distractive elements
CN209187158U (zh) 热皮肤处理设备
US20170014300A1 (en) Moldable heater with Miniature Resonant Frequency Vibration Generator for Ophthalmic Eyelid Therapy
CN110582253B (zh) 具有行为控制模式的手持式铰接用户辅助设备
CN112972087A (zh) 震颤稳定设备和方法
EP3096722A1 (en) Portable device for treating external boils
KR102591111B1 (ko) 슈가 페이스트용 워머기
JP2007135909A (ja) 食器具、治癒具、化粧直し具
US6204485B1 (en) Toothpaste warmer
CN205698177U (zh) 一体式可调节的膝关节固定支架
KR102085936B1 (ko) 스틱형 자외선 차단제 용기
Han et al. An automatic and portable prosthetic cooling device with high cooling capacity based on phase change
CN109481295A (zh) 一种石墨烯加热的艾灸装置
CN109907978A (zh) 一种用于中医护理的透明艾灸盒
CN207024225U (zh) 一种手术中患者的手臂固定装置
US6739007B1 (en) Air filled therapeutic pillow
KR102011693B1 (ko) 눈 마사지 장치
KR102623755B1 (ko) 펠티어소자를 통해 냉온 기능을 조절가능한 핸드피스
JP3013087B1 (ja) 歯科の臨床・技工作業装置
JPS5854598Y2 (ja) 足温器の発熱体装置
EP2375939B1 (en) Supporting device
CN215899700U (zh) 一种听诊器加热器及使用该加热器的听诊器组件
CN214968978U (zh) 一种易于收纳的艾姜温灸装置
CN105853128A (zh) 站立式待产椅
CN215081237U (zh) 一种烧伤科四肢防压用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