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838B1 - 무선 충전 중 수전 장치와의 분리여부를 탐지하는 무선 전력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 중 수전 장치와의 분리여부를 탐지하는 무선 전력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838B1
KR102590838B1 KR1020220156956A KR20220156956A KR102590838B1 KR 102590838 B1 KR102590838 B1 KR 102590838B1 KR 1020220156956 A KR1020220156956 A KR 1020220156956A KR 20220156956 A KR20220156956 A KR 20220156956A KR 102590838 B1 KR102590838 B1 KR 102590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signal
charging device
receiving device
power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6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석병
안병철
Original Assignee
(주) 세노텍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세노텍,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 세노텍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8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1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중 수전 장치와의 분리여부를 탐지하는 무선 전력 충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전 장치로 제1적외선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적외선 신호가 상기 수전 장치에서 반사된 반사신호를 수신하는 반사형 적외선 거리센서; 상기 수전 장치의 투과형 적외선 오프셋센서 송신기로부터 제2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투과형 적외선 오프셋센서 수신기; 상기 반사신호의 세기 또는 상기 제2적외선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충전 장치에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차단 신호를 생성하는 전원 차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충전 중 수전 장치와의 분리여부를 탐지하는 무선 전력 충전 장치{A wireless power charging device that detects whether it is disconnected with a power receiving device during wireless charging}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중 수전 장치와의 분리여부를 탐지하는 무선 전력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송전 장치인 무선 전력 충전 장치와 수전 장치가 결합되어 충전하는 도중에 수전 장치가 충전 장치로부터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충전 장치와 수전 장치 사이의 통신을 통해 수전 장치가 충전 장치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사전에 알리고, 이에 따라 충전 장치의 송전이 중단된다.
그러나, 충전 장치와 수전 장치 간의 통신장치의 오동작, 수전 장치 탑재체의 예고 없는 갑작스런 움직임 등에 의해 수전 장치가 충전 장치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충전 장치가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충전 장치에서 전력이 계속 방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충전 장치 부하로서의 수전 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의 대부분이 충전 장치에서 소모되어, 대전력 충전 장치의 경우 1-2초 내에 충전 장치의 회로가 과열로 고장날 수 있다. 또한 송전코일에서의 전기장과 자기장 방출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또한 PWM 방식의 자기유도형 무선 충전 장치의 경우 정전류 충전단계에서 수전 장치가 충전 장치로부터 허용범위 이상 이격될 경우 피드백 제어로 송전전류를 계속 증가시켜 충전 장치가 급격히 손상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충전 장치와 수전 장치가 허용범위 이상으로 분리되는 순간을 고속으로 탐지하고, 충전 장치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2257319호(2021. 05. 21.)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114628호(2022. 08. 17.)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간단하게 무선 충전 중 수전 장치와의 분리여부를 고속으로 탐지하는 무선 전력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중 수전 장치와의 분리여부를 탐지하는 무선 전력 충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전 장치로 제1적외선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적외선 신호가 상기 수전 장치에서 반사된 반사신호를 수신하는 반사형 적외선 거리센서; 상기 수전 장치의 투과형 적외선 오프셋센서 송신기로부터 제2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투과형 적외선 오프셋센서 수신기; 상기 반사신호의 세기 또는 상기 제2적외선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충전 장치에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차단 신호를 생성하는 전원 차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차단부는, 상기 반사형 적외선 거리센서로부터 입력된 전압이 제1전압 미만인지 비교하고, 제1전압 이상인 경우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제1전압 미만인 경우 하이 신호를 출력하는 제1비교기; 상기 투과형 적외선 오프셋센서로부터 입력된 전압이 제2전압 미만인지 비교하고, 제2전압 이상인 경우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제2전압 미만인 경우 하이 신호를 출력하는 제2비교기; 상기 제1비교기 및 상기 제2비교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출력된 하이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차단 신호를 생성하는 OR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형 적외선 거리센서는, 상기 수전 장치와 상기 무선 전력 충전 장치 간의 거리에 따라 다른 세기를 가지는 상기 반사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투과형 적외선 오프셋센서 수신기는, 상기 투과형 적외선 오프셋센서 송신기의 중심과 상기 투과형 적외선 오프셋센서 수신기의 중심 간의 오프셋에 따라 다른 세기를 가지는 상기 제2적외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반사신호의 세기로부터 상기 수전 장치와 상기 무선 전력 충전 장치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적외선 신호의 세기로부터 상기 투과형 적외선 오프셋센서 송신기의 중심과 상기 투과형 적외선 오프셋센서 수신기의 중심 간의 오프셋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충전 장치와 수전 장치 간의 수직이격과 수평이격을 빠르고 간편하게 탐지하고 고속으로 충전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 탐지를 위한 구성이 모두 충전 장치에 장착되는 바 별도의 통신 없이도 충전 장치의 전원을 고속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정상적인 원인에 의해 수전 장치가 충전 장치로부터 분리될 경우에도 충전 장치를 안정적으로 보호하며 충전 장치의 전자파 방출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충전 장치와 수전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적외선 거리 센서의 반사체 거리에 따른 수신 전압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과형 적외선 오프셋 센서의 오프셋에 따른 등전압 수신 곡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과형 적외선 센서의 오프셋에 따른 수신 전압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충전 장치의 전원차단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충전 장치와 수전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충전 장치(10)(이하, 충전 장치(10)라고도 한다.)은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송신기로서, 반사형 적외선 거리센서(11), 송전 코일(12), 투과형 적외선 오프셋센서 수신기(13), 제어부(14), 전원 차단부(70)를 포함한다.
수전 장치(20)는 충전 장치(1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기로서, 물류 로봇 등 산업용 로봇, 자율주행 로봇, 전기차 등이 될 수 있다.
수전 장치(20)는 수전코일(22), 투과형 적외선 오프셋센서 송신기(23)를 포함한다.
충전 장치(10) 및 수전 장치(20)는 이외에도 무선 전력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정류 회로,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반사형 적외선 거리센서(11)는 송신부와 수신부 일체형으로 적외선 신호(31a)를 송신하고, 적외선 신호(31a)가 수전 장치(20)의 반사면(21)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신호(31b)를 수신한다. 이하, 반사형 적외선 거리센서(11)가 송신하는 적외선 신호는 제1적외선 신호라 한다.
반사형 적외선 거리센서(11)는 수전 장치(20)와 충전 장치(10) 간의 거리(33)에 따라 다른 세기(전압)를 가지는 반사신호(31b)를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전 장치(20)와 충전 장치(10) 간의 거리(33)는 수전 장치(20)의 반사면(21)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거리를 의미하고, 반사신호(31b)는 수전 장치(20)와 충전 장치(10)가 정렬상태에서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멀어질수록(거리 증가) 신호의 세기가 감소한다.
이때, 반사신호(31b)의 세기가 기 정의된 값 미만인 경우, 즉 수전 장치(20)와 충전 장치(10) 간의 거리(33)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순간 고속으로 충전 장치(10)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전원 차단부(70)로 신호를 전달한다. 이하, 기 정의된 값, 기준값은 센서의 종류나 충전 장치(10) 및 수전 장치(20)의 용도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과형 적외선 오프셋센서는 수신기(13)와 송신기(23)로 이루어지고, 수신기(13)는 충전 장치(10)에 송신기(23)는 수전 장치(20)에 각각 장착된다.
투과형 적외선 오프셋센서 수신기(13)는 송신기(23)로부터 적외선 신호(32)를 수신한다. 이하, 수신기(13)가 수신하는 적외선 신호(32)는 제2적외선 신호라 하고, 송신기(23)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용도에 맞는 빔폭을 가진다.
수신기(13)는 송신기(23)의 중심과 수신기(13)의 중심 간의 오프셋에 따라 다른 세기(전압)를 가지는 제2적외선 신호(32)를 수신한다.
수신기(13)에서 수신되는 제2적외선 신호(32)는 수전 장치(20)와 충전 장치(10)가 정렬상태에서 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벗어날수록(오프셋 증가) 신호의 세기가 감소한다.
이때, 제2적외선 신호(32)의 세기가 기 정의된 값 미만인 경우, 즉 송신기(23)의 중심과 수신기(13)의 중심 간의 오프셋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순간 고속으로 충전 장치(10)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전원 차단부(70)로 신호를 전달한다.
적외선 센서는 일반적으로 저가이며, 외부 잡음에 영향을 받지 않는 바 안정적으로 구동가능하다. 따라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충전 장치와 수전 장치 간의 분리 탐지 시 신뢰성 높은 탐지가 가능하다.
제어부(14)는 충전 장치(10)가 무선 전력 충전, 수전 장치와의 분리여부 탐지 등을 수행하기 위한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14)는 반사신호(31b)의 세기로부터 수전 장치(20)와 충전 장치(10)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제2적외선 신호(32)의 세기로부터 투과형 적외선 오프셋센서 송신기(23)의 중심과 투과형 적외선 오프셋센서 수신기(13)의 중심 간의 오프셋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측정한 거리 및/또는 오프셋에 관한 정보를 수전 장치(20)로 전송하거나, 거리 및/또는 오프셋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수전 장치(20)가 거리 및/또는 오프셋을 조정하도록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는 거리 별로 오프셋에 따른 제2적외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1거리일 때 오프셋에 따른 제2적외선 신호(32)의 세기를 추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원 차단부(70)는 반사신호(31b)의 세기 또는 제2적외선 신호(32)의 세기에 따라 충전 장치(10)에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차단 신호를 생성한다. 전원 차단부(70)의 구체적인 내부 회로도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충전 장치와 수전 장치의 갑작스런 분리를 탐지하고, 그에 따른 불필요한 전력 낭비나 장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충전 장치를 제안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무선 전력 충전 장치와 수전 장치의 동작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적외선 거리 센서의 반사체 거리에 따른 수신 전압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반사형 적외선 거리센서(11)가 수신하는 반사신호(31b)의 세기(V)는 충전 장치(10)와 수전 장치(20) 간 거리(D)에 따라 달라진다. 도 2에 도시된 그래프(40)의 파형은 반사형 적외선 거리센서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래프(40)를 참조하면, 충전 장치(10)와 수전 장치(2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거리 범위는 Dm 이상이며 Dt 이하이다. 충전 장치(10)와 수전 장치(20) 간 거리가 너무 가까워도(Dm 미만) 적외선 센서 특성상 오히려 제1적외선 신호(31a)가 다른 곳으로 반사될 수 있다. 반대로, 거리가 너무 먼 경우(Dt 초과) 수전 장치(20)가 충전 장치(10)로부터 제대로 전력을 수신하지 못한다. 본 발명에서는 반사신호(31b)의 세기가 Vt 미만인 경우(충전 장치(10)와 수전 장치(20) 간 거리가 Dt 초과인 경우), 수전 장치(20)가 충전 장치(10)와 분리된 것으로 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잡음의 영향이 없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충전 장치와 수전 장치의 수평 이격을 빠르고 간편하게 탐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과형 적외선 오프셋 센서의 오프셋에 따른 등전압 수신 곡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송신기(23)의 중심으로부터 충전 장치(10)와 수전 장치(20) 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오프셋(R0, R1, R2, R3, R4)에 따른 제2적외선 신호의 등전압 곡선(50)을 보인 것이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송신기(23)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용도에 맞는 빔폭을 가지는데, 송신기(23)는 바람직하게는 R0에서의 전력과, 오프셋 기준값인 Rs에서의 전력 비가 10:1 내지 100:1 사이의 빔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는 수신기(13)가 수신하는 제2적외선 신호(32)의 세기를 이용하여 송신기(23)의 중심으로부터 이동된 오프셋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오프셋 값을 획득하는 구체적인 내용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과형 적외선 센서의 오프셋에 따른 수신 전압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투과형 적외선 오프셋센서 수신기(13)가 수신하는 제2적외선 신호(32)의 세기(V)는 충전 장치(10)와 수전 장치(20) 간 오프셋(R)에 따라 달라진다. 도 4에 도시된 그래프(60)의 파형은 투과형 적외선 오프셋센서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동일한 투과형 적외선 오프셋센서인 경우 그래프(60)의 파형은 충전 장치(10)와 수전 장치(20) 간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는 거리 별로 오프셋에 따른 제2적외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1거리일 때 오프셋에 따른 제2적외선 신호의 세기를 추정할 수 있다. 다만, 모든 거리에 대해 오프셋에 따른 제2적외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한 정보를 구비할 필요는 없고, 최소거리, 최대거리 등 정해진 거리에서의 오프셋에 따른 제2적외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한 정보를 구비하여 특정 거리일 때의 오프셋을 보간하여 추정할 수 있다.
도 4의 그래프(60)는 충전 장치(10)와 수전 장치(20) 간 거리가 Dm 내지 Dt 사이(거리 상으로는 정상 동작 범위)에서 측정된 그래프라고 가정한다.
그래프(40)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제2적외선 신호(32)의 세기가 Vs 미만인 경우(충전 장치(10)와 수전 장치(20) 간 오프셋이 Rs 초과인 경우), 수전 장치(20)가 충전 장치(10)와 분리된 것으로 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순하며 저가인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충전 장치(10)와 수전 장치(20)의 수직이격을 간편하고 빠르게 탐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충전 장치의 전원차단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반사형 적외선 거리센서(11)와 투과형 적외선 오프셋센서 수신기(13)를 이용하여 충전 장치(10)의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부(70)의 차단 신호 발생 회로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전원 차단부(70)는 반사형 적외선 거리센서(11)로부터 입력된 전압을 비교하는 제1비교기(71), 투과형 적외선 오프셋센서(13)로부터 입력된 전압을 비교하는 제2비교기(72), 제1비교기(71) 및 제2비교기(72)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차단 신호를 생성하는 OR 게이트(7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비교기(71)는 반사형 적외선 거리센서(11)로부터 입력된 전압이 Vt(제1전압이라 한다.) 미만인지 비교하고, 제1전압 이상인 경우 로우(Low) 신호를 출력하고, 제1전압 미만인 경우 하이(High) 신호를 출력한다.
즉, 반사형 적외선 거리센서(11)의 출력전압이 충전 장치(10)와 수전 장치(20)가 동작하는 최대 이격거리 Dt에 대응되는 전압 Vt 미만으로 떨어지면, 제1비교기(71)의 출력이 디지털 하이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비교기(72)는 투과형 적외선 오프셋센서의 수신기(13)로부터 입력된 전압이 제2전압 미만인지 비교하고, 제2전압 이상인 경우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제2전압 미만인 경우 하이 신호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투과형 적외선 오프셋센서 수신기(13)의 출력전압이 충전 장치(10)와 수전 장치(20)가 동작하는 최대 오프셋 Rs에 대응되는 전압 Vs 미만으 떨어지면, 제2비교기(72)의 출력이 디지털 하이 상태가 된다.
OR 게이트(73)는 제1비교기(71) 및 제2비교기(72)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출력된 하이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차단 신호를 생성한다. 즉, 제1비교기(71) 및 제2비교기(72) 중 어느 하나만 하이 신호를 출력하더라도 OR 게이트(73)는 차단 신호를 생성한다.
충전 장치(10)와 수전 장치(20)의 이격거리 또는 오프셋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충전 장치(10)를 차단할 필요가 있으므로, 제1비교기(71) 및 제2비교기(72)의 출력을 OR 게이트(73)에 통과시켜 최종적으로 충전 장치 차단신호를 생성한다. 송전기 차단신호가 LOW에서 HIGH 변화되는 순간 충전 장치(10)의 전원이 차단(Tx OFF)되도록 한다.
전원 차단부(70)에 사용되는 제1비교기(71), 제2비교기(72), OR 게이트(73)는 모두 고속으로 동작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적외센 센서(11, 13, 23)를 이용하여 충전 장치(10)와 수전 장치(20)의 수직분리와 수평분리가 기준값을 초과할 때 이를 고속으로 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사형 적외선 거리센서(11)와 투과형 적외선 오프셋센서 수신기(13), 전원 차단부(70)를 모두 수전 장치(20)가 아니라 충전 장치(10)에 설치하여 별도의 통신 없이도 충전 장치(10)의 전원을 고속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현되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전력 충전 장치(10)는 간단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충전 장치(10)와 수전 장치(20)의 비정렬 순간을 탐지하고, 고속으로 충전 장치(10) 전원차단용 차단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비정상적인 원인에 의해 수전 장치(20)가 충전 장치(10)로부터 분리될 경우에도 충전 장치(10)를 안정적으로 보호하며 충전 장치(10)의 전자파 방출을 차단할 수 있다.
10: 무선 전력 충전 장치
11: 반사형 적외선 거리센서
12: 송전코일
13: 투과형 적외선 오프셋센서 수신기
20: 수전 장치
22: 수전코일
23: 투과형 적외선 오프셋센서 송신기
70: 전원 차단부
71: 제1비교기
72: 제2비교기
73: OR게이트

Claims (6)

  1. 무선 충전 중 수전 장치와의 분리여부를 탐지하는 무선 전력 충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전 장치로 제1적외선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적외선 신호가 상기 수전 장치에서 반사되고, 상기 수전 장치와 상기 무선 전력 충전 장치 간의 수평 거리에 따라 다른 세기를 가지는 반사신호를 수신하는 반사형 적외선 거리센서;
    상기 수전 장치의 투과형 적외선 오프셋센서 송신기로부터 상기 수평 거리 및 상기 투과형 적외선 오프셋센서 송신기의 중심과 투과형 적외선 오프셋센서 수신기의 중심 간의 오프셋에 따라 다른 세기를 가지는 제2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투과형 적외선 오프셋센서 수신기;
    상기 반사신호의 세기가 제1전압 미만인 경우 또는 상기 제2적외선 신호의 세기가 제2전압 미만인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충전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차단 신호를 생성하는 전원 차단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차단부는,
    상기 반사형 적외선 거리센서로부터 입력된 전압이 제1전압 미만인지 비교하고, 제1전압 이상인 경우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제1전압 미만인 경우 하이 신호를 출력하는 제1비교기;
    상기 투과형 적외선 오프셋센서로부터 입력된 전압이 제2전압 미만인지 비교하고, 제2전압 이상인 경우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제2전압 미만인 경우 하이 신호를 출력하는 제2비교기;
    상기 제1비교기 및 상기 제2비교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출력된 하이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차단 신호를 생성하는 OR 게이트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충전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신호의 세기로부터 상기 수전 장치와 상기 무선 전력 충전 장치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충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수평 거리일 때 오프셋에 따른 적외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적외선 신호의 세기로부터 상기 투과형 적외선 오프셋센서 송신기의 중심과 상기 투과형 적외선 오프셋센서 수신기의 중심 간의 오프셋을 측정하는 무선 전력 충전 장치.
KR1020220156956A 2022-09-14 2022-11-22 무선 충전 중 수전 장치와의 분리여부를 탐지하는 무선 전력 충전 장치 KR1025908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15265 2022-09-14
KR1020220115265 2022-09-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0838B1 true KR102590838B1 (ko) 2023-10-19

Family

ID=88507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6956A KR102590838B1 (ko) 2022-09-14 2022-11-22 무선 충전 중 수전 장치와의 분리여부를 탐지하는 무선 전력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83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5527A (ko) * 2011-05-27 2014-03-04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비접촉 급전 장치
KR20180085923A (ko) * 2017-01-20 2018-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방법
KR102257319B1 (ko) 2011-12-16 2021-05-28 오클랜드 유니서비시즈 리미티드 유도 전력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46849A (ko) * 2021-11-17 2021-12-0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체 무선충전을 위한 코일 정렬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20114628A (ko) 2019-12-19 2022-08-17 브루사 일렉트로닉 아게 유도 충전 시스템을 위한 객체 검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5527A (ko) * 2011-05-27 2014-03-04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비접촉 급전 장치
KR102257319B1 (ko) 2011-12-16 2021-05-28 오클랜드 유니서비시즈 리미티드 유도 전력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85923A (ko) * 2017-01-20 2018-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방법
KR20220114628A (ko) 2019-12-19 2022-08-17 브루사 일렉트로닉 아게 유도 충전 시스템을 위한 객체 검출 장치
KR20210146849A (ko) * 2021-11-17 2021-12-0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체 무선충전을 위한 코일 정렬 제어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960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9276434B2 (en) Wireless power supply apparatus,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the same
US6339368B1 (en) Circuit for automatically driving mechanical device at its resonance frequency
US20120236903A1 (en) Charging device, battery, and method for recognizing a foreign object
US20220393519A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a receiver device, and an associated method thereof
KR102267415B1 (ko) 무선 전력 송신 코일 이상 판단 장치
JP2011083094A (ja) 非接触充電器
US20210083526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 foreign object in a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KR102590838B1 (ko) 무선 충전 중 수전 장치와의 분리여부를 탐지하는 무선 전력 충전 장치
JP2017158423A (ja) 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を保護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17163824A (ja) 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を保護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H08340285A (ja) 無線電力伝送装置
JP2010051089A (ja) 非接触送電システム
US8779778B2 (en) Proximity switch
US9225390B2 (en) Wireless power supplying system and adaptive adjustment method thereof
US9893570B2 (en) System for contactless energy and data transfer
JP2017143726A (ja) 信号生成装置
US9262654B2 (en) Reading device for contactless communication with a transponder unit
US20200059121A1 (en) A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a method for detecting a receiver device
WO2013122052A1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
US11309748B2 (en) Wireless and contactless electrical energy transfer assembly comprising an improved system for regulating the transferred energy
KR20130048736A (ko) 과열 보호기능을 구비한 무접점 전력전송 시스템 및 방법
JP4144154B2 (ja) 送受信装置を備えた車両用発電制御装置
KR102378620B1 (ko) 온도에 따른 영향을 제거한 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의 동작상태를 확인하는 움직임 간격 측정장치
JP2000148935A (ja) 非接触カード通信装置における送信出力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