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812B1 - 조명 효율이 향상된 식물재배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효율이 향상된 식물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812B1
KR102590812B1 KR1020200166102A KR20200166102A KR102590812B1 KR 102590812 B1 KR102590812 B1 KR 102590812B1 KR 1020200166102 A KR1020200166102 A KR 1020200166102A KR 20200166102 A KR20200166102 A KR 20200166102A KR 102590812 B1 KR102590812 B1 KR 102590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unit
water
culture soil
artifi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7320A (ko
Inventor
정승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비즈
Priority to KR1020200166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812B1/ko
Publication of KR20220077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2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4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5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for several lighting devices in an end-to-end arrangement, i.e. light t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502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 F21V29/50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10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9Outdoor lighting of gard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 효율이 향상된 식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식물이 심겨지는 배양토가 충진되는 화분, 상기 화분의 배양토 함수량을 측정하여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 상기 배양토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식물에 인공광을 조사하기 위한 인공조명부, 상기 물공급부와 인공조명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인공조명부의 상측으로 조사된 조명을 식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인공조명부에 의해 실내에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으며, 물공급부에 의해 배양토의 함수율에 따라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여 식물 발육은 물론, 관리가 용이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 효율이 향상된 식물재배장치{Plant cultivation device with improved lighting efficiency}
본 발명은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에 인공광과 물을 제공하되, 식물과 인접한 위치와 식물 주변에서 식물 전체로 인공광을 조사할 수 있어 성장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명 효율이 향상된 식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상용 식물은 절화된 상태나 화분에 심어진 분화 형태로 이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절화의 짧은 수명을 고려하여 분화를 관상용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그러나 분화의 경우 절화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수명이 긴 것은 사실이지만, 단순한 용기 형태의 화분에 심어진 분화는 꽃대가 꺾이거나 손상될 경우 꽃이 쉽게 시들어 버려 실질적으로 절화에 비해 큰 관상기간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마당이 없고 생활공간이 협소한 도시민들의 경우 대부분 분화를 실내에 두고 관상하게 되는데, 실내공간의 경우 광이 부족하여 분화를 보존하는데 필요한 충분한 에너지를 얻기 어렵게 된다.
물론 분화를 일조량이 많은 시간을 선택하여 창가 쪽으로 배치하는 경우도 생각해 볼 수 있겠으나, 이때는 창가쪽에 분화를 놓을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고, 이렇지 못할 경우에는 일조 시간에 따라 분화를 수시로 옮겨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생기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1364511호에 개진된 바와 같이, 엘이디모듈이 구비되어 식물로 인공광을 조사하여 태양광을 대신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엘이디모듈은 식물의 외측에서 광을 조사하되, 화분의 특정 위치에 한정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식물이 성장했을 때 전체적으로 광을 조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식물을 태양광이 없는 실내에서도 용이하게 키울 수 있음은 물론, 식물의 성장 속도에 대응하여 식물 전체로 인공광을 조사할 수 있게 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내부에 식물이 심겨지는 배양토가 충진되는 화분, 상기 화분의 배양토 함수량을 측정하여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 상기 배양토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식물에 인공광을 조사하기 위한 인공조명부, 상기 물공급부와 인공조명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인공조명부의 상측으로 조사된 조명을 식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부,를 포함하여 인공조명부에 의해 실내에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으며, 물공급부에 의해 배양토의 함수율에 따라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여 식물 발육은 물론, 관리가 용이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조명 효율이 향상된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식물이 심겨지는 배양토가 충진되는 화분, 상기 화분의 배양토 함수량을 측정하여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 상기 배양토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식물에 인공광을 조사하기 위한 인공조명부, 상기 물공급부와 인공조명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인공조명부의 상측으로 조사된 조명을 식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공급부는, 물이 저수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화분의 배양토로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펌프, 및 상기 배양토 내부에 구비되어 배양토의 함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수분센서의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물공급펌프가 제어함에 따라, 상기 배양토의 함수량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인공조명부는, 상기 배양토의 중앙부에 삽입되는 조명몸체, 상기 조명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엘이디, 및 상기 복수의 엘이디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명몸체는, 상기 배양토에 삽입되는 조명베이스봉, 다단의 봉으로 형성되어 상호 입출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각각 상기 복수의 엘이디가 구비되며, 상기 조명베이스봉에 구비되는 조명다단봉, 상기 조명다단봉의 각 단봉에 구비되어 인출된 해당 단봉을 하측에 있는 다른 단봉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조명접지부, 및 상기 조명다단봉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조명헤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각 단봉은 상호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조명접지부는, 상기 각 단봉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제1단자, 및 상기 각 제1단자에 대응되도록 상기 각 단봉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제2단자,를 포함하고, 인출된 해당 단봉을 회전시켜 해당 단봉의 제2단자와 하측에 있는 다른 단봉의 제1단자가 접속됨에 따라, 해당 단봉에 구비된 복수의 엘이디에 전원을 인가시킨다.
또한, 상기 제1단자는 함몰형성되고, 상기 제2단자는 탄성에 의해 제1단자방향으로 가압력을 갖는 것으로, 인출된 단봉이 회전되어 제2단자가 제1단자에 위치될 경우, 돌출되어 접지됨과 동시에, 상호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인공조명부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반사프레임, 및 경사진 내측면을 갖고, 상기 인공조명부에서 조사된 광을 반사시키도록 반사프레임에 구비되는 반사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반사프레임은,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반사판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반사판의 일부를 개방시키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반사도어,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명몸체의 상단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엘이디,가 구비된다.
그리고 그리고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물공급펌프에 의해 물탱크의 물을 미스트화하여 상기 식물에 분사하기 위한 수분분사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분분사부는, 상기 조명몸체에 복수 형성되어 수분을 미스트화시켜 분사시키는 분사노즐, 유연성을 갖고, 각 분사노즐로 상기 물탱크의 물이 이송되도록 복수 분기된 분사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분사관의 분기된부분에 구비되어 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분사밸브,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조명몸체의 각 단봉에 복수 형성되고, 복수 분기된 상기 분사관은 각 단봉에 구비된 분사노즐에 연결되며, 상기 분사밸브는 인출된 단봉에 연결된 분사관만 물을 이송시키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반사부에 구비되어 식물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제2수분분사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수분분사부는, 상기 반사판에 형성되어 수분을 미스트화시켜 분사시키기 위한 복수의 제2분사노즐, 유연성을 갖고, 조명몸체를 통해 반사프레임에 구비되어 각 제2분사노즐로 물탱크의 물이 이송되는 제2분사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제2분사관에 구비되어 개폐시킴에 따라, 각 제2분사노즐에서 수분을 분사하기 위한 제2분사밸브,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명 효율이 향상된 식물재배장치에 의하면, 인공조명부에 의해 실내에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으며, 물공급부에 의해 배양토의 함수율에 따라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여 식물 발육은 물론, 관리가 용이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공급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조명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조명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분분사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사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수분분사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조명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조명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공급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조명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조명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분분사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사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수분분사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조명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조명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 효율이 향상된 식물재배장치(10)는 화분(100)과 물공급부(200), 인공조명부(300), 제어부(400) 및 반사부(500)를 더 포함한다.
화분(100)은 내부에 식물(1)이 심겨지는 배양토(2)가 충진되며, 하측에 물받침이 구비된다.
그리고 물공급부(200)는 화분(100)의 배양토(2) 함수량을 측정하여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인공조명부(300)는 배양토(2)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식물(1)에 인공광을 조사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제어부(400)는 물공급부(200)와 인공조명부(300)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다.
반사부(500)는 인공조명부(300)의 상측으로 조사된 조명을 식물로 반사시키는 것으로, 식물로 광을 집중시키되, 어느 한 점형태로 집광시키는 것이 아닌 태양과 같이 식물 상단부에서 광을 전체적으로 조사한다.
이러한 식물재배장치(10)는 인공조명부(300)에 의해 실내에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것으로, 물공급부(200)에 의해 배양토(2)의 함수율에 따라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여 식물 발육은 물론, 관리가 용이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인공조명부(300)와 반사부(500)에 의해 식물에 인공광을 조사함은 물론, 실내의 조명 역할도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물공급부(20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물탱크(210)와 물공급펌프(220) 및 수분센서(230)를 포함한다.
물탱크(210)는 물이 저수되는 것으로, 화분(100) 주변에 위치된다.
그리고 물공급펌프(220)는 물탱크(210)의 물을 화분(100)의 배양토(2)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물론, 물탱크(210)와 화분(100)은 유연성을 갖는 공급관(222)이 구비됨에 당연하다.
수분센서(230)는 배양토(2) 내부에 구비되어 배양토(2)의 함수량을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물공급부(2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수분센서(230)의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400)에 의해 물공급펌프(220)가 제어함에 따라, 배양토(2)의 함수량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인공조명부(30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몸체(310)와 엘이디(320) 및 방열부(330)를 포함한다.
조명몸체(310)는 배양토(2)의 중앙부에 삽입되어 상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엘이디(320)는 복수로, 조명몸체(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다.
방열부(330)는 복수의 엘이디(32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조명몸체(31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로, 조명베이스봉(312)과 조명다단봉(314), 조명접지부(316) 및 조명헤드(318)를 포함한다.
조명베이스봉(312)은 배양토(2)에 삽입된다.
그리고 조명다단봉(314)은 다단의 봉으로 형성되어 상호 입출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각각 복수의 엘이디(320)가 구비되며, 조명베이스봉(312)에 구비된다.
조명접지부(316)는 조명다단봉(314)의 각 단봉에 구비되어 인출된 해당 단봉을 하측에 있는 다른 단봉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조명헤드(318)는 조명다단봉(314)의 상단부에 구비되되, 방열부(330)의 열이 방출되도록 복수의 방열공(318a)이 형성된다.
이에, 식물의 높이에 따라, 조명다단봉(314)의 길이를 조절하여 인공광을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엘이디(320)는 광을 하향 조사하도록 구비되어 주변에 이동하는 사람들의 눈에직접 조사되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단봉은 상호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조명접지부(316)는 제1단자(3162)와 제2단자(3164)를 포함한다.
제1단자(3162)는 각 단봉의 상단부에 구비된다.
또한 제2단자(3164)는 각 제1단자(3162)에 대응되도록 각 단봉의 하단부에 구비된다.
이 조명접지부(316)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인출된 해당 단봉을 회전시켜 해당 단봉의 제2단자(3164)와 하측에 있는 다른 단봉의 제1단자(3162)가 접속됨에 따라, 해당 단봉에 구비된 복수의 엘이디(320)에 전원을 인가시킨다.
이에, 인출된 단봉에 구비된 엘이디(320)에만 전원이 공급되어 인공광을 보사한다.
여기서, 제1단자(3162)는 함몰형성되고, 제2단자(3164)는 탄성에 의해 제1단자방향으로 가압력을 갖는 것으로, 인출된 단봉이 회전되어 제2단자(3164)가 제1단자(3162)에 위치될 경우, 돌출되어 접지됨과 동시에, 상호 고정된다.
이에, 인접한 두 개의 단봉이 상호 접속됨과 동시에 회전 및 하측으로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2단자(3164)는 스프링과 볼에 의해 가압력을 갖되, 상호 도통되도록 음극과 양극이 연결됨이 당연하여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물공급부(200)는 수분분사부(240)를 더 포함한다.
이 수분분사부(240)는 물공급펌프(220)에 의해 물탱크(210)의 물을 미스트화하여 식물(1)에 분사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수분분사부(240)는 분사노즐(242)과 분사관(244) 및 분사밸브(246)를 포함한다.
분사노즐(242)은 조명몸체(310)에 구비되는 것으로, 일정 길이로 제작되는 조명몸체(310)나 또는 조명다단봉(314)의 각 단봉에 복수 형성되어 수분을 미스트화시켜 분사시킨다.
그리고 분사관(244)은 복수 분기되는 것으로, 유연성을 갖고, 각 단봉에 구비된 분사노즐(242)로 물탱크(210)의 물이 이송된다.
분사밸브(246)는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되며, 분사관(244)의 분기된부분에 구비되어 인출된 단봉에 연결된 분사관만 물을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에, 식물의 크기만큼 인출된 조명다단봉(314)의 각 단봉에 형성된 분사노즐(242)로만 물이 이송되어 분사됨에 따라, 불필요한 미스트가 분사되어 주변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물론, 이 수분분사부(240)에서 분사되는 미스트는 식물의 잎과 줄기에 수분을 공급함은 물론, 실내의 가습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부(500)는 반사프레임(510)과 반사판(520)을 포함한다.
반사프레임(510)은 인공조명부(300)의 상단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반사판(520)은 경사진 내측면을 갖고, 인공조명부(300)에서 조사된 광을 반사시키도록 반사프레임(510)에 구비된다.
여기서, 반사프레임(510)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각 반사프레임(510)에 반사판(520)이 각각 구비된다.
이에, 식물의 상측에서 다양한 각도로 광을 방사시켜 조사시킬 수 있다.
또한 반사프레임(510)은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해당 반사판(520)의 위치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반사판(520)은 원형의 갓형상이나 면을 갖는 갓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반사판(520)에 반사도어(530)가 구비된다.
이 반사도어(530)는 반사판(520)의 일부를 개방시키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반사도어(530)가 개방될 경우, 인공조명부(300)의 광이 개방된 부분을 통해 통과되어 반사판(520)의 반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일부 광이 조사된다.
물론, 이 반사도어(530)의 내측면에서 광이 방사되는 것으로, 반사도어(530)의 개방 각도를 조절하여 통과된 광의 반사각도를 조절하여 부분적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조명몸체(310)의 상단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엘이디(322)가 구비되어 광을 조사한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 조명헤드(318)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엘이디(322)가 구비되어 광을 조사한다.
이 상부엘이디(322)는 반사판(520)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해당 반사판(520)으로 광을 조사하여 식물로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식물재배장치(10)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수분분사부(600)를 더 포함한다.
이 제2수분분사부(600)는 반사부(340)에 구비되어 식물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제2수분분사부(600)는 제2분사노즐(610)과 제2분사관(620) 및 제2분사밸브(630)를 포함한다.
제2분사노즐(610)은 반사판(520)에 복수 형성되어 수분을 미스트화시켜 분사시킨다.
그리고 제2분사관(620)은 복수 분기되는 것으로, 유연성을 갖고, 조명몸체(310)를 통해 반사프레임(510)에 구비되어 각 제2분사노즐(610)로 물탱크(210)의 물이 이송된다.
제2분사밸브(630)는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되며, 제2분사관(620)에 구비되어 개폐시킴에 따라, 각 제2분사노즐(610)에서 수분을 분사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복수의 제2분사노즐(610)은 다수로 구획되고, 제어부(400)에 의해 제2분사밸브(630)가 제어됨에 따라, 구획된 무리별로 물을 개별 분사시킬 수 있다.
이에, 식물의 상측에서 수분을 공급하여 자연상태에서 비에 의해 수분이 공급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식물재배장치(10)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조명부(700)를 더 포함한다.
이 보조조명부(700)는 인공조명부(300)에 탈부착 가능한 것으로, 식물의 가지와 잎이 넓게 펼쳐진 경우, 이에 대응하여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조명부(700)는 보조조명몸체(710)와 보조엘이디(720), 보조방열부(730) 및 보조조명탈부착부(740)를 포함한다.
보조조명몸체(710)는 인공조명부(300)에 위치된다.
또한 보조엘이디(720)는 복수로, 보조조명몸체(7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다.
보조방열부(730)는 복수의 보조엘이디(72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보조조명탈부착부(740)는 보조조명몸체(710)를 인공조명부(300)에 탈부착시킨다.
이러한 보조조명부(700)는 식물의 펼져진 잎으로 더욱 많은 인조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조조명부(700)는 제어부(400)에 의해 인공조명부(300)로 인가되는 전원이 공급되거나 각각 별도의 전원이 연결되거나 또는 내부에 충전식 배터리가 구비되어 개별 충전 후 사용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보조조명몸체(710)는 보조조명다단봉(712)과 보조조명접지부(714) 및 보조조명헤드(716)를 포함한다.
그리고 보조조명다단봉(712)은 다단의 봉으로 형성되어 상호 입출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각각 복수의 보조엘이디(720)가 구비되며, 보조조명탈부착부(740)에 의해 조명몸체(310)에 탈부착된다.
보조조명접지부(714)는 보조조명다단봉(712)의 각 단봉에 구비되어 인출된 해당 단봉을 하측에 있는 다른 단봉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보조조명헤드(716)는 보조조명다단봉(712)의 상단부에 구비되되, 보조방열부(730)의 열이 방출되도록 복수의 방열공(716a)이 형성된다.
이에, 식물의 잎이 펼쳐진 상태에 따라, 보조조명다단봉(712)의 길이를 조절하여 인공광을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보조엘이디(720)는 광을 하향 조사하도록 구비되어 주변에 이동하는 사람들의 눈에직접 조사되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단봉은 상호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보조조명접지부(714)는 제1단자(7142)와 제2단자(7144)를 포함한다.
제1단자(7142)는 각 단봉의 상단부에 구비된다.
또한 제2단자(7144)는 각 제1단자(7142)에 대응되도록 각 단봉의 하단부에 구비된다.
이 보조조명접지부(714)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인출된 해당 단봉을 회전시켜 해당 단봉의 제2단자(7144)와 하측에 있는 다른 단봉의 제1단자(7142)가 접속됨에 따라, 해당 단봉에 구비된 복수의 보조엘이디(720)에 전원을 인가시킨다.
이에, 인출된 단봉에 구비된 보조엘이디(720)에만 전원이 공급되어 인공광을 보사한다.
여기서, 제1단자(7142)는 함몰형성되고, 제2단자(7144)는 탄성에 의해 제1단자방향으로 가압력을 갖는 것으로, 인출된 단봉이 회전되어 제2단자(7144)가 제1단자(7142)에 위치될 경우, 돌출되어 접지됨과 동시에, 상호 고정된다.
이에, 인접한 두 개의 단봉이 상호 접속됨과 동시에 회전 및 하측으로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2단자(7144)는 스프링과 볼에 의해 가압력을 갖되, 상호 도통되도록 음극과 양극이 연결됨이 당연하여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보조조명탈부착부(740)는 홈과 돌기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탈부착되거나 자석에 의해 탈착되는 것으로, 탈부착 가능한 구조라면 적용 가능함이 당연하다.
이와 같은, 반사부(500), 제2수분분사부(600), 보조조명부(70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각 실시 예의 인공조명부(300)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으로, 함께 구비될 수 있는 구성들은 함께 구비될 수 있음이 당연하다.
10 : 식물재배장치 100 : 화분
200 : 물공급부 300 : 인공조명부
400 : 제어부 500 : 반사부

Claims (10)

  1. 내부에 식물이 심겨지는 배양토가 충진되는 화분;
    상기 화분의 배양토 함수량을 측정하여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
    상기 배양토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식물에 인공광을 조사하기 위한 인공조명부;
    상기 물공급부와 인공조명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인공조명부의 상측으로 조사된 조명을 식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공조명부는,
    상기 배양토의 중앙부에 삽입되는 조명몸체;
    상기 조명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엘이디; 및
    상기 복수의 엘이디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부는,
    상기 인공조명부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반사프레임;
    경사진 내측면을 갖고, 상기 인공조명부에서 조사된 광을 반사시키도록 반사프레임에 구비되는 반사판; 및
    상기 반사판의 일부를 개방시키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반사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도어가 개방될 경우, 인공조명부의 광이 개방된 부분을 통해 통과되어 반사판의 반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효율이 향상된 식물재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물이 저수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화분의 배양토로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펌프; 및
    상기 배양토 내부에 구비되어 배양토의 함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수분센서의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물공급펌프가 제어함에 따라, 상기 배양토의 함수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효율이 향상된 식물재배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몸체는,
    상기 배양토에 삽입되는 조명베이스봉;
    다단의 봉으로 형성되어 상호 입출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각각 상기 복수의 엘이디가 구비되며, 상기 조명베이스봉에 구비되는 조명다단봉;
    상기 조명다단봉의 각 단봉에 구비되어 인출된 해당 단봉을 하측에 있는 다른 단봉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조명접지부; 및
    상기 조명다단봉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조명헤드;를 포함하는 조명 효율이 향상된 식물재배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몸체의 상단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엘이디;가 구비되는 조명 효율이 향상된 식물재배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물공급펌프에 의해 물탱크의 물을 미스트화하여 상기 식물에 분사하기 위한 수분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 효율이 향상된 식물재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에 구비되어 식물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제2수분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 효율이 향상된 식물재배장치.
KR1020200166102A 2020-12-01 2020-12-01 조명 효율이 향상된 식물재배장치 KR102590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102A KR102590812B1 (ko) 2020-12-01 2020-12-01 조명 효율이 향상된 식물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102A KR102590812B1 (ko) 2020-12-01 2020-12-01 조명 효율이 향상된 식물재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320A KR20220077320A (ko) 2022-06-09
KR102590812B1 true KR102590812B1 (ko) 2023-10-19

Family

ID=81985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102A KR102590812B1 (ko) 2020-12-01 2020-12-01 조명 효율이 향상된 식물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8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282B1 (ko) * 2011-01-14 2012-05-14 한국광기술원 Led를 이용한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
KR101987803B1 (ko) * 2017-10-26 2019-06-11 정호 화분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837A (ko) * 2010-06-28 2012-01-04 넥스트팜 (주) 화분의 수분 조절장치
KR20120007038U (ko) * 2011-04-04 2012-10-12 황윤성 덩굴 재배용 화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282B1 (ko) * 2011-01-14 2012-05-14 한국광기술원 Led를 이용한 식물 재배용 조명 장치
KR101987803B1 (ko) * 2017-10-26 2019-06-11 정호 화분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320A (ko) 2022-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24895B2 (ja) 植物栽培用ハウス
US9528694B2 (en) Plant-growing lamp capable of effecting change in local environment
JP2018512888A (ja) 模擬自然照明条件での植物の屋内栽培用システム
CN105104153A (zh) 基于物联网的室内植物智能培育装置和培育方法
CN205585734U (zh) 一种室内观赏植物种植装置
JP2009296928A (ja) 室内観賞用苔庭の栽培装置
JP5595452B2 (ja) 植物栽培用ハウス
JP2011109921A (ja) 農作物育成用照明ユニット、それを用いた農作物育成用照明システム及びこれらを用いた農作物育成方法
KR20110029795A (ko) 빗물을 이용한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
CN103416254B (zh) 一种多功能种植器
KR102590812B1 (ko) 조명 효율이 향상된 식물재배장치
JP2004113160A (ja) Led光源による植物育成装置
KR102590811B1 (ko) 식물재배장치
RU2720910C1 (ru) Способ полива растений при выращивании их в условиях защищенного грунта в оранжереях (варианты)
CN113243290A (zh) 多功能植物灯花盆
US20220117180A1 (en) Personal growing system
KR102621197B1 (ko) 자동 물공급이 가능한 화분 배양토의 함수율 측정장치
CN110149983A (zh) 室内园林栽培温床设备
CN211379007U (zh) 一种室内景观生态装置
RU91250U1 (ru) Светодиодный осветитель растений (сидор)
KR101747926B1 (ko) 개비온을 이용한 조형물
CN210519531U (zh) 一种可自动驱虫的花架
CN208657476U (zh) 寒地日光田园温室
CN205993215U (zh) 一种南方月季栽培用温室大棚
KR20210157755A (ko) 무토양 고분자 식생배지를 채용하고 원통형 수직벽에 실시하는 식물재배장치 및 식생분 조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