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687B1 - 레일고정구조체 - Google Patents

레일고정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687B1
KR102590687B1 KR1020230048293A KR20230048293A KR102590687B1 KR 102590687 B1 KR102590687 B1 KR 102590687B1 KR 1020230048293 A KR1020230048293 A KR 1020230048293A KR 20230048293 A KR20230048293 A KR 20230048293A KR 102590687 B1 KR102590687 B1 KR 102590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bent
fixing
protruding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8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훈기
Original Assignee
민훈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훈기 filed Critical 민훈기
Priority to KR1020230048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6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 F21S8/06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from a light t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레일고정구조체는 소정 폭을 갖고 길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레일본체, 레일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른 양측 연부영역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한 쌍의 돌출연장부 및 한 쌍의 돌출연장부의 말단으로부터 상호 가까워지는 내측방향으로 절곡연장된 절곡연장부를 포함하는 레일, 소정 각도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절곡부 및 절곡부의 중앙영역에 형성된 관통부를 갖는 탄성고정부재, 관통부에 삽입되는 볼트기둥과 볼트기둥의 말단영역으로부터 확장되어 관통부를 통과하지 못하는 확장머리부를 갖는 고정볼트와, 볼트기둥이 삽입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고정너트로 이루어진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레일고정구조체{Rail Fixing Structure}
본 발명은 레일형 등기구의 레일고정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을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레일형 등기구의 레일고정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레일형 등기구는 레일을 걸림턱이 있게 구성하고 이 걸림턱에 걸리도록 걸림부를 갖는 형태의 고정편을 너트를 통해 볼트에 고정하고, 레일에 압력을 가하면서 끼움 결합하여 고정편이 레일의 걸림턱에 걸리게 하여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으로는 조명이 레일과의 고정력이 약하고 조명의 고정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명을 레일에 정확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레일형 등기구의 레일고정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일고정구조체는 소정 폭을 갖고 길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레일본체, 상기 레일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른 양측 연부영역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한 쌍의 돌출연장부 및 상기 한 쌍의 돌출연장부의 말단으로부터 상호 가까워지는 내측방향으로 절곡연장된 절곡연장부를 포함하는 레일; 소정 각도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의 중앙영역에 형성된 관통부를 갖는 탄성고정부재;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는 볼트기둥과 상기 볼트기둥의 말단영역으로부터 확장되어 상기 관통부를 통과하지 못하는 확장머리부를 갖는 고정볼트와, 상기 볼트기둥이 삽입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고정너트로 이루어진 고정부를 포함한다. 탄성고정부재가 레일의 돌출연장부와 절곡연장부에 의해 형성된 슬라이딩 공간에 배치되며, 고정볼트와 고정너트가 탄성고정부재의 절곡부를 펴서 절곡각도가 증가하면서 절곡부의 양측이 레일의 돌출연장부 내측면을 가압하면서 고정되도록 하여 탄성고정부재에 결합될 수 있는 레일형 등기구가 정확하고 견고하게 레일에 고정되는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고정부재는, 상기 절곡부의 양측 연부영역이 상기 절곡부의 절곡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역절곡부를 가지면 고정볼트와 고정너트가 탄성고정부재의 절곡부를 펴는 경우 역절곡부의 양측이 레일의 돌출연장부 내측면을 가압하면서 고정력이 증가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역절곡부의 절곡 이후의 연장길이는 상기 확장머리부가 상기 레일본체의 표면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절곡연장부의 내측면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면 고정볼트와 고정너트가 탄성고정부재의 절곡부를 펴는 경우 역절곡부가 레일의 돌출연장부와 절곡연장부를 가압하면서 고정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볼트기둥이 삽입 결합되는 상기 고정너트의 말단영역은 둥그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면 포함하면 고정너트의 말단영역이 절단부의 표면을 가압하면서 절곡부의 형태가 변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고정력이 유지되며 절곡부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의 연장 말단영역에는 복수의 영역으로부터 뾰족하게 돌출된 돌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면 고정볼트와 고정너트가 탄성고정부재의 절곡부를 펴는 경우 돌출돌기가 레일의 돌출연장부와 절곡연장부의 내측면에 대한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고정부재가 레일의 돌출연장부와 절곡연장부에 의해 형성된 슬라이딩 공간에 배치되며, 고정볼트와 고정너트가 탄성고정부재의 절곡부를 펴서 절곡각도가 증가하면서 절곡부의 양측이 레일의 돌출연장부 내측면을 가압하면서 고정되도록 하여 탄성고정부재에 결합될 수 있어 레일형 등기구가 정확하고 견고하게 레일에 고정되는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볼트와 고정너트가 탄성고정부재의 절곡부를 펴는 경우 역절곡부의 양측이 레일의 돌출연장부 내측면을 가압하면서 고정력이 증가될 수 있고, 고정볼트와 고정너트가 탄성고정부재의 절곡부를 펴는 경우 역절곡부가 레일의 돌출연장부와 절곡연장부를 가압하면서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너트의 말단영역이 절단부의 표면을 가압하면서 절곡부의 형태가 변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고정력이 유지되며 절곡부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고, 고정볼트와 고정너트가 탄성고정부재의 절곡부를 펴는 경우 돌출돌기가 레일의 돌출연장부와 절곡연장부의 내측면에 대한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고정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레일고정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레일고정구조체의 동작도이다.
도 4는 돌출돌기의 상세 예시도이다.
도 5는 절곡부, 역절곡부 및 레일의 길이 설명도이다.
도 6은 변형 가능한 레일고정구조체의 안정기 일체형 레일등기구의 동작도이다.
도 7은 도 6의 하우징의 분리 동작도이다.
도 8은 변형 가능한 레일고정구조체의 레일형등기구의 동작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접속단자와 전원공급라인에 접속 동작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레일형등기구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조명부의 상세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레일고정구조체(1)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고정구조체(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레일고정구조체(1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레일고정구조체(1)의 동작도이고, 도 4는 돌출돌기(211, 231)의 상세 예시도이며, 도 5는 절곡부(21), 역절곡부(23) 및 레일(10)의 길이 설명도이다.
도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레일고정구조체(1)의 구성을 설명한다.
레일고정구조체(1)는 레일(10), 탄성고정부재(20) 및 고정부(30)를 포함한다.
레일(10)은 레일본체(11), 돌출연장부(12) 및 절곡연장부(13)를 포함한다.
레일본체(11)는 소정 폭을 갖고 길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돌출연장부(12)는 레일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른 양측 연부영역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한 쌍을 갖는다. 돌출연장부(12)는 제1돌출연장부(121) 및 제2돌출연장부(122)를 포함한다.
제1돌출연장부(121)는 레일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른 좌측 연부영역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돌출연장부(122)는 레일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른 우측 연부영역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절곡연장부(13)는 한 쌍의 돌출연장부(12)의 말단으로부터 상호 가까워지는 내측방향으로 절곡 연장된다. 절곡연장부(13)는 제1절곡연장부(131) 및 제2절곡연장부(132)를 포함한다.
제1절곡연장부(131)는 제1돌출연장부(121)의 말단으로부터 제2절곡연장부(13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 되어 연장 형성된다.
제2절곡연장부(132)는 제2돌출연장부(122)의 말단으로부터 제1절곡연장부(13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 되어 연장 형성된다.
탄성고정부재(20)는 절곡부(21), 관통부(22) 및 역절곡부(23)를 포함한다.
절곡부(21)는 소정 각도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절곡부(21)는 제1돌출돌기(211)를 포함한다.
제1돌출돌기(211)는 절곡부(21)의 연장 말단영역에 복수의 영역으로부터 뾰족하게 돌출된 형상을 갖고 형성된다.
관통부(22)는 절곡부(21)의 중앙영역에 후술할 볼트기둥(311)이 통과되도록 형성된다.
역절곡부(23)는 절곡부(21)의 양측 연부영역이 절곡부(21)의 절곡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한 쌍으로 형성된다. 역절곡부(23)는 제2돌출돌기(231)를 포함한다.
제2돌출돌기(231)는 역절곡부(23)의 연장 말단영역에 복수의 영역으로부터 뾰족하게 돌출된 형상을 갖고 형성된다.
고정부(30)는 레일(10)에 탄성고정부재(20)를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고정부(30)는 고정볼트(31) 및 고정너트(32)를 포함한다.
고정볼트(31)는 볼트기둥(311) 및 확장머리부(312)를 포함한다.
볼트기둥(311)은 관통부(22)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확장머리부(312)는 볼트기둥(311)의 말단영역으로부터 확장되어 관통부(22)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고정너트(32)는 너트기둥(321) 및 결합공(322)를 포함한다.
너트기둥(321)은 축심의 중앙영역에 결합공이 형성되며, 고정볼트(31)와 결합되어 확장머리부(312)와 가까워지면서 절곡부(21)를 가압하여 절곡부(21)가 펴지도록 할 수 있다.
결합공(322)은 너트기둥(321)의 축선 중앙영역에 형성되어 볼트기둥(311)을 수용하며 결합된다.
도 3은 레일고정구조체(1)의 동작도이다.
도 3 (a) 탄성고정부재(20)의 절곡부(21)가 레일(10)의 돌출연장부(12)와 절곡연장부(13)에 의해 형성된 슬라이딩 공간에 배치되며, 고정볼트(31)의 확장머리부(312)가 레일본체(11)의 상면에 놓인 상태에서 볼트기둥(311)이 탄성고정부재(20)의 절곡부(21) 중앙에 형성된 관통부(22)를 통과하여 배치되어 있고, 고정너트(32)의 결합공(322)이 볼트기둥(311)의 일부를 수용한 상태이다.
도 3 (b) 사용자가 볼트기둥(311)의 일부를 수용한 고정너트(32)의 너트기둥(321)을 회전시켜 너트기둥(321)이 절곡부(21)의 상부를 가압하여 절곡부(21)가 펴지도록 하면 절곡부(21)의 양측 말단영역이 레일(10)의 돌출연장부(12)의 내측면을 가압하게 되면서 탄성고정부재(20)가 레일(10)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고정부(20)에 결합된 조명이 레일(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너트기둥(321)을 회전시켜 고정 결합을 해제하고 레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를 이동시킨 후 다시 고정하여 위치를 원하는 대로 손쉽게 조명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도 4는 돌출돌기(211, 231)의 상세 예시도이다.
도 4 (a) 절곡부(21)의 양측 말단 영역에는 제1돌출돌기(211)가 좌우방향으로 형성되어 너트기둥(321)을 회전시켜 너트기둥(321)이 절곡부(21)의 상부를 가압하여 절곡부(21)가 펴지는 경우 제1돌출돌기(211)가 레일(10)의 돌출연장부(12)의 내측면을 가압하면서 더욱 견고하게 고정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너트기둥(321)의 하측 단면형상은 둥그런 형상으로 이루어져 너트기둥(321)의 말단영역이 절단부(21)의 상부 표면을 가압하는 경우 부하가 분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절곡부(21)의 형태가 변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고정력이 유지되며 절곡부(21)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 (b) 절곡부(21)의 양측 말단 영역에는 절곡부(21)의 절곡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역절곡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한 쌍의 역절곡부(23)의 말단영역에는 제2돌출돌기(231)가 형성되어 있다. 너트기둥(321)을 회전시켜 너트기둥(321)이 절곡부(21)의 상부를 가압하여 절곡부(21)가 펴지는 경우 제2돌출돌기(231)가 레일(10)의 돌출연장부(12)의 내측면을 가압하면서 더욱 견고하게 고정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너트기둥(321)의 하측 단면형상은 둥그런 형상으로 이루어져 너트기둥(321)의 말단영역이 절단부(21)의 상부 표면을 가압하는 경우 부하가 분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절곡부(21)의 형태가 변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고정력이 유지되며 절곡부(21)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절곡부(21), 역절곡부(23) 및 레일(10)의 길이 설명도이다.
도 5 (a) 탄성고정부재(20)의 절곡부(21)가 레일(10)의 돌출연장부(12)와 절곡연장부(13)에 의해 형성된 슬라이딩 공간에 배치되며, 고정볼트(31)의 확장머리부(312)가 레일본체(11)의 상면에 놓인 상태에서 볼트기둥(311)이 탄성고정부재(20)의 절곡부(21) 중앙에 형성된 관통부(22)를 통과하여 배치되어 있고, 고정너트(32)의 결합공(322)이 볼트기둥(311)의 일부를 수용한 상태이다. 절곡부(21)의 양측 말단 영역에는 절곡부(21)의 절곡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역절곡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한 쌍의 역절곡부(23)의 말단영역에는 제2돌출돌기(23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역절곡부(23)의 절곡 이후의 연장길이(D1)는 확장머리부(312)가 레일본체(11)의 표면에 놓인 상태에서 절곡연장부(13)의 내측면까지의 길이(D2)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에 고정볼트(31)와 고정너트(32)가 탄성고정부재(20)의 절곡부(21)를 펴는 경우 역절곡부(23)가 레일(10)의 돌출연장부(12)와 절곡연장부(13)를 가압하면서 고정될 수 있다.
도 5 (b) 너트기둥(321)을 회전시켜 너트기둥(321)이 절곡부(21)의 상부를 가압하여 절곡부(21)가 펴지는 경우 제2돌출돌기(231)가 레일(10)의 돌출연장부(12)의 내측면을 가압하면서 더욱 견고하게 고정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절곡부(21)의 중심으로부터 말단영역까지의 길이(D3)가 레일(10)의 돌출연장부(12) 사이의 중심으로부터 내측면까지의 길이(D4)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고정볼트(31)와 고정너트(32)가 탄성고정부재(20)의 절곡부(21)를 펴는 경우 역절곡부(23)가 레일(10)의 돌출연장부(12)와 절곡연장부(13)를 가압하면서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변형 가능한 레일고정구조체(1)의 안정기 일체형 레일등기구(5)의 동작도이다.
안정기 일체형 레일등기구(5)는 레일(510), 조명유닛(520) 및 고정부(530)를 포함한다.
레일(510)은 레일본체(511), 전원공급라인(512) 및 장착걸림턱(513)을 포함한다.
레일본체(511)는 소정 폭을 갖고 길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전원공급라인(512)은 레일본체(5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전원을 공급한다.
장착걸림턱(513)은 조명유닛(520)이 레일(510)에 장착된 이후에 걸리도록 하는 구성이다. 장착걸림턱(513)은 후술할 고정부(530)의 걸림부(532)가 걸리는 구성이다.
조명유닛(520)은 하우징(521), 안정기(522) 및 조명부(523)를 포함한다.
하우징(521)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전원을 공급받도록 전원공급라인(512)에 연결되는 접속단자(5211-1)를 갖는다. 하우징(521)은 제1하우징(5211) 및 제2하우징(5212)을 포함한다.
제1하우징(5211)은 레일(510)에 결합 및 분리되는 부분을 갖는 구성으로, 접촉단자(5211-1)와 제1결합부(5211-2)를 포함한다.
제2하우징(5212)은 제1하우징(5211)과 결합되어 조명유닛(520)의 외형을 이루는 구성이다. 제2하우징(5212)은 제1결합부(5211-2)와 결합되기 위한 제2결합부(5212-1)를 포함한다.
안정기(522)는 하우징(521)의 내부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접속단자(5211-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용량을 조절한다.
조명부(523)는 안정기(522)를 통하여 제공되는 전원으로 광을 출력한다. 조명부(523)는 LED(5231), 회전연결부(5232), 회전구동부(5233) 및 확산판(5234)을 포함한다.
LED(5231)는 전원을 공급받아 광을 출력할 수 있는 구성이다.
회전연결부(5232)는 LED(5231)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LED(5231)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회전연결부(5232)는 광이 출력되는 방향이 변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회전구동부(5233)는 회전연결부(52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LED(5231)를 회전 구동할 수 있다.
확산판(5234)은 LED(5231)의 광 출력방향에 배치되어 LED(5231)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고정부(530)는 전원공급라인(512)에 접속단자(5211-1)가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레일(510)에 하우징(521)이 분리 가능하게 고정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부(530)는 자석(531) 및 걸림부(532)를 포함한다.
자석(531)은 레일(510) 및 하우징(521)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자석(531)이 하우징(521)에 설치되는 경우 레일(510)의 장착위치에는 금속재질의 철판이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조명유닛(520)이 레일(510)에 쉽게 장착될 수 있다.
걸림부(532)는 조명유닛(520)이 레일(510)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위치에 위치하면 장착걸림턱(513)에 걸릴 수 있다. 이에 의해 조명유닛(520)과 레일(510)의 장착이 견고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기 일체형 레일등기구(5)의 동작도이다.
도 6 (a) 레일(10)의 장착걸림턱(513) 내측에는 전원공급라인(512)이 레일(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레일(510)의 장착걸림턱(513) 내측 상부에는 금속재질의 철판이 배치되어 있다.
조명유닛(520)의 좌우 상측 측면에는 전원공급라인(512)과 접촉하여 연결되는 접속단자(5211-1)가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521)의 상측에는 자석(531)이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521)의 양 측면에는 걸림부(532)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는 안정기(522)와 조명부(523)가 배치되어 있다. 조명유닛(520)이 레일(510)에서 분리되어 있는 상태이다.
도 6 (b) 작업자가 조명유닛(520)을 파지하고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하우징(521)의 양 측면의 걸림부(532)가 장착걸림턱(513)에 접촉하면서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통과되고 걸림부(532)가 장착걸림턱(513)을 통과하면 다시 원래대로 벌어지면서 장착걸림턱(513)에 걸리게 된다.
하우징(521)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는 자석(531)은 레일(510)의 장착걸림턱(513) 내측 상부에 배치된 금속재질의 철판과 자력결합될 수 있다. 접속단자(5211-1)가 전원공급라인(512)과 접촉한 상태에서 연결되어 조명부(523)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도 7은 하우징(521)의 분리 동작도이다.
도 7 (a) 조명유닛(520)의 좌우 상측 측면에는 전원공급라인(512)과 접촉하여 연결되는 접속단자(5211-1)가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521)의 상측에는 자석(531)이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521)의 양 측면에는 걸림부(532)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는 안정기(522)와 조명부(523)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하우징(521)은 상호 분리 및 결합 가능한 제1하우징(5211) 및 제2하우징(5212)로 이루어진다. 제1하우징(5211)과 제2하우징(5212)은 상호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다.
도 7 (b) 작업자가 제1하우징(5211)을 파지한 후 제2하우징(5212)를 회전시켜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안정기(522)와 조명부(523)를 교체하거나 유지관리하기 편할 수 있다.
도 8은 변형 가능한 레일고정구조체(1)의 레일형등기구(6)의 동작도이다.
레일형등기구(6)는 레일(610), 조명유닛(620), 걸림유닛(630) 및 자석(640)을 포함한다.
레일(610)은 레일본체(611), 전원공급라인(612), 접속안내가이드(613), 장착부(614) 및 금속판(615)를 포함한다.
레일본체(611)는 소정 폭을 갖고 길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전원공급라인(612)은 레일본체(6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전원을 공급한다.
접속안내가이드(613)는 접속단자(6211-1)가 전원공급라인(612)에 접속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장착부(614)는 레일(610)은 하우징(621)의 일부를 수용하며 접속단자(6211-1)가 전원공급라인(612)에 연결되는 상태로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금속판(615)은 레일(610) 및 조명유닛(620) 중 적어도 일측은 철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유닛(620)은 하우징(621), 안정기(622), 조명부(623) 및 단자탄성부재(624)를 포함한다.
하우징(621)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전원을 공급받도록 전원공급라인(612)에 연결되는 접속단자(6211-1)를 갖는다. 하우징(621)은 제1하우징(6211) 및 제2하우징(6212)을 포함한다.
제1하우징(6211)은 레일(610)에 결합 및 분리되는 부분을 갖는 구성으로, 접촉단자(6211-1)와 제1결합부(6211-2)를 포함한다.
제2하우징(6212)은 제1하우징(6211)과 결합되어 조명유닛(620)의 외형을 이루는 구성이다. 제2하우징(6212)은 제1결합부(6211-2)와 결합되기 위한 제2결합부(6212-1)를 포함한다.
안정기(622)는 하우징(621)의 내부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접속단자(6211-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조명부(623)는 안정기(622)를 통하여 제공되는 전원으로 광을 출력한다. 조명부(623)는 LED(6231), 회전연결부(6232), 회전구동부(6233) 및 확산판(6234)을 포함한다.
LED(6231)는 전원을 공급받아 광을 출력할 수 있는 구성이다.
회전연결부(6232)는 LED(6231)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LED(6231)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회전연결부(6232)는 광이 출력되는 방향이 변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회전구동부(6233)는 회전연결부(62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LED(6231)를 회전 구동할 수 있다.
확산판(6234)은 LED(6231)의 광 출력방향에 배치되어 LED(6231)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단자탄성부재(624)는 접속단자(6211-1)가 전원공급라인(612)을 압박하며 접촉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접속단자(6211-1)에 탄성을 가할 수 있다.
걸림유닛(630)은 걸림턱(631) 및 걸림부(632)를 포함한다.
걸림턱(631)은 레일(610) 및 조명유닛(620) 중 일측에 형성된다.
걸림부(632)는 레일(610) 및 조명유닛(620) 중 타측에 형성되는 걸림턱(631)에 걸린다.
자석(640)은 레일(610) 및 조명유닛(61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레일(610) 및 하우징(621)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자석(631)이 하우징(621)에 설치되는 경우 레일(610)의 장착위치에는 금속재질의 철판이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조명유닛(620)이 레일(610)에 쉽게 장착될 수 있다.
도 8 (a) 레일(610)의 장착부(614) 내측에는 전원공급라인(612)이 레일(6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레일(610)의 걸림턱(631) 내측 상부에는 금속재질의 철판인 금속판(615)이 배치되어 있다.
조명유닛(620)의 측면에는 전원공급라인(612)과 접촉하여 연결되는 접속단자(6211-1)가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621)의 상측에는 자석(640)이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621)의 좌측면에는 걸림부(632)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는 안정기(622)와 조명부(623)가 배치되어 있다. 조명유닛(620)이 레일(610)에서 분리되어 있는 상태이다.
도 8 (b) 작업자가 조명유닛(620)을 파지하고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하우징(621)의 좌측면의 걸림부(632)가 걸림턱(631) 접촉하면서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통과되고 걸림부(632)가 걸림턱(631)을 통과하면 다시 원래대로 벌어지면서 장착걸림턱(613)에 걸리게 된다.
하우징(621)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는 자석(631)은 레일(610)의 걸림턱(631) 내측 상부에 배치된 금속재질의 철판인 금속판(615)과 자력 결합될 수 있다. 접속단자(6211-1)가 전원공급라인(612)과 접촉한 상태에서 연결되어 조명부(623)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도 9는 접속단자(6211-1)와 전원공급라인(612)에 접속 동작도이다.
도9 (a) 레일(610)의 장착부(614) 내측에는 전원공급라인(612)이 레일(6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레일(610)의 걸림턱(631) 내측 상부에는 금속재질의 철판인 금속판(615)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전원공급라인(612)으로 접속단자(6211-1)가 안내되도록 하는 접속안내가이드(613)가 둥그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명유닛(620)의 측면에는 전원공급라인(612)과 접촉하여 연결되는 접속단자(6211-1)가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621)의 상측에는 자석(640)이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621)의 좌측면에는 걸림부(632)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는 안정기(622)와 조명부(623)가 배치되어 있다. 조명유닛(620)이 레일(610)에서 분리되어 있는 상태이다.
여기서, 접속단자(6211-1)는 단자탄성부재(624)에 의해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9 (b) 접속단자(6211-1)가 단자탄성부재(624)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걸림턱(631)을 통과하여 접속안내가이드(613)의 둥그런 형상을 따라 이동한다.
도 9 (c) 작업자가 조명유닛(620)을 파지하고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하우징(621)의 좌측면의 걸림부(632)가 걸림턱(631)에 접촉하면서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통과되고 걸림부(632)가 걸림턱(631)을 통과하면 다시 원래대로 벌어지면서 걸림턱(631)에 걸리게 된다.
하우징(621)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는 자석(640)은 레일(610)의 걸림턱(631) 내측 상부에 배치된 금속재질의 철판인 금속판(615)과 자력결합될 수 있다. 접속단자(6211-1)가 접속안내가이드(613)의 둥그런 형상을 따라 이동하며, 접속단자(6211-1)가 단자탄성부재(624)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전원공급라인(612)과 가압 접촉한 상태에서 연결되어 조명부(623)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도 11은 조명부(623)의 상세도이다.
전원을 공급받아 광을 출력할 수 있는 구성인 LED(6231)는 회전연결부(623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LED(6231)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회전연결부(6232)는 광이 출력되는 방향이 변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확산판(6234)은 LED(6231)의 광이 출력되는 출력경로에 배치되어 LED(6231)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상기의 레일고정구조체(1)로 인하여, 탄성고정부재가 레일의 돌출연장부와 절곡연장부에 의해 형성된 슬라이딩 공간에 배치되며, 고정볼트와 고정너트가 탄성고정부재의 절곡부를 펴서 절곡각도가 증가하면서 절곡부의 양측이 레일의 돌출연장부 내측면을 가압하면서 고정되도록 하여 탄성고정부재에 결합될 수 있는 레일형 등기구가 정확하고 견고하게 레일에 고정되는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고정볼트와 고정너트가 탄성고정부재의 절곡부를 펴는 경우 역절곡부의 양측이 레일의 돌출연장부 내측면을 가압하면서 고정력이 증가될 수 있고, 고정볼트와 고정너트가 탄성고정부재의 절곡부를 펴는 경우 역절곡부가 레일의 돌출연장부와 절곡연장부를 가압하면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너트의 말단영역이 절단부의 표면을 가압하면서 절곡부의 형태가 변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고정력이 유지되며 절곡부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고, 고정볼트와 고정너트가 탄성고정부재의 절곡부를 펴는 경우 돌출돌기가 레일의 돌출연장부와 절곡연장부의 내측면에 대한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1: 레일고정구조체
10: 레일 11: 레일본체
12: 돌출연장부 121: 제1돌출연장부
122: 제2돌출연장부 13: 절곡연장부
131: 제1절곡연장부 132: 제2절곡연장부
20: 탄성고정부재 21: 절곡부
211: 제1돌출돌기 22: 관통부
23: 역절골부 231: 제2돌출돌기
30: 고정부 31: 고정볼트
311: 볼트기둥 312: 확장머리부
32: 고정너트 321: 너트기둥
322: 결합공

Claims (5)

  1. 레일형 등기구의 레일고정구조체에 있어서,
    소정 폭을 갖고 길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레일본체, 상기 레일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른 양측 연부영역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한 쌍의 돌출연장부 및 상기 한 쌍의 돌출연장부의 말단으로부터 상호 가까워지는 내측방향으로 절곡연장된 절곡연장부를 포함하는 레일;
    소정 각도로 절곡된 형상을 갖지며, 연장 말단영역에 뾰족하게 돌출된 제1돌출돌기를 구비한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중앙영역에 형성된 관통부를 갖는 탄성고정부재; 및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는 볼트기둥과 상기 볼트기둥의 말단영역으로부터 확장되어 상기 관통부를 통과하지 못하는 확장머리부를 갖는 고정볼트와, 상기 볼트기둥이 삽입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고정너트로 이루어진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너트에 구비된 너트기둥이 회전되어 상기 절곡부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절곡부가 펴지는 경우 상기 제1돌출돌기가 상기 레일의 돌출연장부의 내측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고정구조체.
  2. 레일형 등기구의 레일고정구조체에 있어서,
    소정 폭을 갖고 길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레일본체, 상기 레일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른 양측 연부영역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한 쌍의 돌출연장부 및 상기 한 쌍의 돌출연장부의 말단으로부터 상호 가까워지는 내측방향으로 절곡연장된 절곡연장부를 포함하는 레일;
    소정 각도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중앙영역에 형성된 관통부를 갖는 탄성고정부재; 및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는 볼트기둥과 상기 볼트기둥의 말단영역으로부터 확장되어 상기 관통부를 통과하지 못하는 확장머리부를 갖는 고정볼트와, 상기 볼트기둥이 삽입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고정너트로 이루어진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고정부재는, 상기 절곡부의 양측 연부영역이 상기 절곡부의 절곡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말단영역에 제2돌출돌기를 형성한 한 쌍의 역절곡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역절곡부의 절곡 이후의 연장길이는 상기 확장머리부가 상기 레일본체의 표면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절곡연장부의 내측면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너트에 구비된 너트기둥이 회전되어 상기 절곡부의 상부를 가압하여 절곡부가 펴지는 경우 상기 제2돌출돌기가 상기 레일의 돌출연장부의 내측면을 가압하거나, 상기 역절곡부가 상기 레일의 돌출연장부와 절곡연장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고정구조체.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30048293A 2023-04-12 2023-04-12 레일고정구조체 KR102590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8293A KR102590687B1 (ko) 2023-04-12 2023-04-12 레일고정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8293A KR102590687B1 (ko) 2023-04-12 2023-04-12 레일고정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0687B1 true KR102590687B1 (ko) 2023-10-19

Family

ID=88507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8293A KR102590687B1 (ko) 2023-04-12 2023-04-12 레일고정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68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8140B2 (ko) * 1981-03-23 1988-07-28 Nippon Electric Co
KR101689115B1 (ko) * 2015-07-27 2016-12-26 주식회사 이영 트롤리바 전력공급용 레일 연결구조
JP6338140B2 (ja) 2014-02-26 2018-06-06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離間距離調整機構および搬送装置
JP2020133780A (ja) * 2019-02-21 2020-08-31 株式会社G−Place 位置調整構造、位置調整ユニット、及び移動部材
KR20220009591A (ko) * 2020-07-16 2022-01-25 이하영 프로파일 다방향 체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8140B2 (ko) * 1981-03-23 1988-07-28 Nippon Electric Co
JP6338140B2 (ja) 2014-02-26 2018-06-06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離間距離調整機構および搬送装置
KR101689115B1 (ko) * 2015-07-27 2016-12-26 주식회사 이영 트롤리바 전력공급용 레일 연결구조
JP2020133780A (ja) * 2019-02-21 2020-08-31 株式会社G−Place 位置調整構造、位置調整ユニット、及び移動部材
KR20220009591A (ko) * 2020-07-16 2022-01-25 이하영 프로파일 다방향 체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9786B1 (ko) 조립이 용이한 승강 테이블 받침
JP3307881B2 (ja) ばね式電気端子
DE102013226541A1 (de) Parallelanschlag mit dualer anpassung für ein elektrowerkzeug
KR950015192A (ko) 현악기에 있어서의 넥크 교정기의 조정기구
KR102590687B1 (ko) 레일고정구조체
KR100628288B1 (ko) 벨트 설치 공구
CA2363781A1 (en) Mechanism and method for adjusting doors
JP4762951B2 (ja) ケーブルチェーン用角度規制体
DE20108177U1 (de) Winkeleinstellmechanismus für einen Brillenbügel
KR100955950B1 (ko) 파티션 프레임 연결장치
KR102594001B1 (ko) 레일형등기구
JP2014156764A (ja) 屋根上搭載機器の固定金具
JP4727622B2 (ja) シャッター
JP2005287573A (ja) 布挟持用クリップ
KR102590688B1 (ko) 레일등기구
JPH0739078Y2 (ja) 反転磁気ヘッド装置のテープガイド機構
CN110355442B (zh) 一种六面体激光锡焊焊接治具
TWI603004B (zh) Chute fixed gasket
KR20080013841A (ko) 와이어 고정구
EP1794474A1 (de) Zugmitteltrieb, insbesondere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JP7510678B2 (ja) 照明装置
KR200312567Y1 (ko) 행거용 아암 고정장치
CN218633134U (zh) 一种高层建筑用组合电缆支架
DE60311402D1 (de) Führungsplatte für einen Jacquard-Harnisch, und Herstellungsverfahren einer solchen Führungsplatte
DE20200370U1 (de) Gelenkstativ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