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632B1 - 스마트조의금 연계 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조의금 연계 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632B1
KR102590632B1 KR1020230036058A KR20230036058A KR102590632B1 KR 102590632 B1 KR102590632 B1 KR 102590632B1 KR 1020230036058 A KR1020230036058 A KR 1020230036058A KR 20230036058 A KR20230036058 A KR 20230036058A KR 102590632 B1 KR102590632 B1 KR 102590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ervice
terminal
display
condolence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6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경수
Original Assignee
노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경수 filed Critical 노경수
Priority to KR1020230036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6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909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스마트조의금 연계 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조의금을 이체할 때, 사용자 정보를 입력한 후 영상 서비스를 신청 및 결제하는 사용자 단말, 조의금을 이체받는 피조문 단말, 사용자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조의금을 이체받을 때 영상 서비스를 신청받는 등록부, 조의금이 이체되는 피조문 단말의 빈소 내 디스플레이를 검색하는 검색부, 디스플레이에 사용자 정보를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조의금 연계 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DISPLAY SERVICE WITH SMART CONDOLATORY MONEY}
본 발명은 스마트조의금 연계 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조의금을 이체하면서 영상 서비스에 따른 금액을 결제하면, 빈소 내 디스플레이에 사용자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국내의 화훼소비 형태는 경조사, 졸업식, 입학식, 생일, 개업 등의 행사에 사용되는 화훼의 소비량이 대부분이다. 특히 경조화환은 절화매출의 30%를 차지하고 있어 화훼산업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최근 장례식장에서 사용된 근조화환을 재판매한 사기혐의로 불구속 입건 된 사례등 축하, 근조화환의 재사용이 문제화되면서 여러 가지 사회문제를 대두시키고 있다. 화환폐기 우수 관리 장례식장의 경우, 사용계약서에 사용한 화환의 파기를 명시하여 상주의 동의를 받고, 발인시점에서 사용된 화환은 전담직원이 엄격하게 꽃을 파기하여 반출하지만, 대부분의 장례식장, 예식장에서는 파기, 반출금지를 관리할 만한 인력과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는 상태이고 화환재판매로 부수입을 얻고 있다. 신화환은 행사 진열 후 그 꽃을 하객들이 뽑아갈 수 있도록 하여 생화의 재사용을 막고 가정 꽃 소비 문화를 만들 수 있는 해결책이나 일반소비자들에게 신화환에 대한 홍보가 미비한 상태이다.
이때, 화환을 전자 데이터로 출력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4-0039690호(2014년04월02일 공개)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564507호(2015년10월29일 공고)에는, 경조사 화환 비용이 결제되면 경조장소의 디스플레이로 데이터를 송출하고, 결제액에 따라 화환 영상이나 디스플레이 형식을 서로 다르게 세팅하는 구성과, 스마트 경조사 플랫폼을 구축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만으로도 지인의 경조사 알림을 자동으로 수신하고, 경조사비를 신용카드로 결제하며, 경조사 행사장의 영상을 스트리밍받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전자의 경우 오프라인 매체가 온라인 매체로 이전되고는 있지만 한국 고유의 사회통념상 장례식 화환 문화 자체가 없어지기가 어렵고, 후자의 경우에도 경조사 알림문자만 받을 수 있을 뿐 사용자의 이름을 피조문자에게 알리는 방법은 화환이 유일하다. 이에, 사용자가 피조문자에게 조의금을 보낼 때, 기 설정된 추가금만 더 지불하면 키오스크나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에 사용자 정보를 출력해줌으로써 사용자의 피조문자에 대한 마음을 전달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피조문 단말에서 장례식 정보를 업로드하면, 사용자 단말에서 장례식 정보를 수신하면서 조의금을 이체할 때, 영상 서비스를 위한 기 설정된 금액을 결제하면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면, 장례식 정보에 포함된 장례식장 및 호실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를 추출하고, 추출된 디스플레이 상에 장례기간 동안 사용자 정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스마트조의금 연계 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조의금을 이체할 때, 사용자 정보를 입력한 후 영상 서비스를 신청 및 결제하는 사용자 단말, 조의금을 이체받는 피조문 단말, 사용자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조의금을 이체받을 때 영상 서비스를 신청받는 등록부, 조의금이 이체되는 피조문 단말의 빈소 내 디스플레이를 검색하는 검색부, 디스플레이에 사용자 정보를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피조문 단말에서 장례식 정보를 업로드하면, 사용자 단말에서 장례식 정보를 수신하면서 조의금을 이체할 때, 영상 서비스를 위한 기 설정된 금액을 결제하면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면, 장례식 정보에 포함된 장례식장 및 호실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를 추출하고, 추출된 디스플레이 상에 장례기간 동안 사용자 정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조의금 연계 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영상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조의금 연계 영상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조의금 연계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조의금 연계 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조의금 연계 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영상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피조문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스마트조의금 연계 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영상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피조문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피조문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영상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영상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피조문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스마트조의금 연계 영상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조의금을 피조문 단말(400)의 피조문자의 계좌번호를 지정하거나 선택하여 이체하고, 영상 서비스를 위하여 추가 금액을 결제할 때,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스마트조의금 연계 영상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영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500)가 설치된 장례식장 및 호실을 디스플레이(500)의 고유식별코드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영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영상 서비스를 위해 추가 비용을 결제한 경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 장례식장 및 빈소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500)를 추출한 후, 디스플레이(500)에 사용자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 영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본 발명의 플랫폼을 통하여 피조문 단말(400)의 계좌로 이체를 하는 경우, 계좌 이체를 실행한 후 사용자 단말(100)로 이체 결과를 안내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피조문 단말(400)은, 스마트조의금 연계 영상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부고를 업로드하는 피조문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피조문자는 상주일 수도 있지만 상주가 아닐 수도 있다. 상주가 아니더라도 조문객은 존재할 수 있고 화환이나 조의금이 들어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피조문자는 상주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피조문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피조문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피조문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500)는, 스마트조의금 연계 영상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영상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되고 사용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키오스크, 모니터, TV 등과 같은 패널(Panel)을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5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5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5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영상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조의금 연계 영상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등록부(310), 검색부(320), 제어부(330), 세팅부(340), 순차설정부(350), 구축부(360), 안내부(370) 및 자동화면설정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피조문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500)로 스마트조의금 연계 영상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피조문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500)는, 스마트조의금 연계 영상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피조문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등록부(3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조의금을 이체받을 때 영상 서비스를 신청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조의금을 이체할 때, 사용자 정보를 입력한 후 영상 서비스를 신청 및 결제할 수 있다. 검색부(320)는, 조의금이 이체되는 피조문 단말(400)의 빈소 내 디스플레이(500)를 검색할 수 있다. 피조문 단말(400)은, 조의금을 이체받을 수 있다. 제어부(330)는, 디스플레이(500)에 사용자 정보를 출력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500)는, 사용자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세팅부(340)는, 빈소 내 디스플레이(500)에서 사용자 정보가 장례기간 내 출력되도록 장례기간을 파악하여 날짜 및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순차설정부(350)는, 영상 서비스를 신청한 사용자 단말(100)이 복수인 경우, 영상 서비스를 신청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출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장례식장에서 적절한 개수의 생화로된 조화는 빈소의 적막함과 공허함을 제거해 주지만 너무 지나친 전시는 장례식장의 공간만 차지할 뿐만 아니라 재활용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낭비적 요소를 내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장례식장에 조문용 영상물을 업로드하여 서비스할 수 있다. 유사한 비지니스 모델은 존재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조문객이 인터넷 사이트에 글을 남기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면 배경과 자동합성된 영상물 또는 텍스트가 장례식장의 조문객실에 디스플레이 된다는 점과 고인의 추모용 영상물이 아니라 조화와 같은 성적을 지닌 조문용 영상물이라는 점이 다르다. 이때, 영상 조화나 영상 조의문을 더 선택할 수도 있다.
<영상 조화 및 영상 조의문>
영상 조화(Floral Tributes made of Images)란 Adobe 사의 포토샵, 프리미어 프로, 애프터 이펙트 같은 이미지 및 영상처리 툴을 이용하여 제작된 장례식장 조문용 영상물이다. 이는 국화꽂을 기본 배경으로 단문의 조의문과 조문객의 직함이 포함된 조화 대용 영상물이다. 영상 조의문(Letter of Condolence made of Images)이란 영상 조화와 동일하게 제작되는 영상물이다. 이 영상물은 국화꽃뿐만 아니라 고급 한지 같은 다양한 배경에 장문의 조의문과 직함이 포함된다. 영상 조화가 자신의 신분을 밝히면서 고인의 명복을 비는 마음을 간단히 표시하는데 반해 영상 조의문은 고인을 애도하면서 유가족을 위로 하는 마음의 편지를 전달할 수 있다. 영상 조화는 모든 종류에 국화꽃을 다양하게 이펙트 처리하여 제작하며, 영상 조의문은 종류별로 소재를 달리하여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독교형의 경우 교회 내부를 배경으로 펼쳐진 성경책의 일부 이미지와 합성하여 이미지 처리 도구의 블러(Blur) 기능 등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영상 조화 및 조의문 서비스 모델>
운영팀에서 수시로 주문된 영상물을 USB 메모리에 담아 조문객실의 스마트 TV 모니터에 설치해 주는 것이 아니라, 장례식장의 조문객실을 장례식장 내 네트워크에 연결하고 임베디드 시스템이 내장된 스마트 TV 개념을 이용한 서비스 모델을 이용한다. 조문객인 사용자는 부고 소식을 받은 자로 문상 전후에 장례식장의 안내판이나 전용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고인을 확인 한 후, 영상 조화/조의문을 신청한다. 바쁜 일상생활로 문상을 하지 못할 경우에도 전용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기본적인 예의를 고인과 유가족에게 보낼 수 있다.
조문객이 주로 사용하는 전용 홈페이지의 고객모드는 5 단계로 구성될 수 있고 그 기능은 다음과 같다. ① 장례식장 확인 단계는, 부고 소식 접했을 때 해당 장례식장을 확인하고, ② 고인정보 확인 단계는, 고인 및 유가족 등의 정보 확인하며, ③ 상품 미리보기 및 선택 단계는, 영상 조화 및 조의문 상품을 미리 보고 알맞은 상품을 선택할 수 있고, ④ 조의문 및 직함 입력 단계는, 주문자 인적사항(직함, 성명, 전화번호 등) 및 조의문을 입력할 수 있다. ⑤ 주문(신청) 및 결제 단계는, 계좌이체 또는 카드 결제 등으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먼저 현장의 구조와 상황에 따라 조문객실의 전용 모니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연결한 후 전용 모니터로 직접 영상물을 업로드 하는 방식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전용 모니터는 조문용 영상물의 상영을 위한 전용 임베디드 시스템을 본체로하며 영상 수신 및 영상 상영을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다른 구현 방식은 FTP 서버를 장례식장에 설치하고 공유폴더를 지정한 후 여기에 업로드된 영상물 파일이 조문객실의 전용 모니터에서 서비스되도록 하는 것이다. FTP 서버와 스마트 HDTV 그리고 TV 제작 업체에서 제공한 전용 프로그램인 AllShare을 이용하여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특별히 주의해야 할 점은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 보다는 제작된 영상물의 크기나 해상도가 모니터의 것과 일치하기 않을 경우에 에러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이미지 제작 도구를 이용하여 영상 조화/조의문 프레임을 제작할 때 제작 첫 단계에서부터 영상물의 해상도나 크기 이외에도 장례식장에서 사용되는 모니터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공유된 폴더 내의 파일이 반복 재생되도록 설정하면 새로이 업로드 된 영상 조화/조의문을 포함하여 폴더의 첫 번째 파일부터 다시 반복 상영된다.
이때, 조문객 각자의 종교 따른 영상 조화/조의문이 주문되어 장례식장의 TV 모니터에 보여 질 경우 고인이나 유가족의 종교와 상이함 때문에 오히려 거부감을 줄 수 있다. 물론 영상물 제작시에 종교적 이미지를 최소화 하도록 디자인해야 하지만 그래도 여러 종교 형태가 혼합될 경우 유가족 입장에서는 반감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런 문제를 최소화 하는 방법은 장례식장에서 고인 정보를 받을 때 고인이나 유가족의 종교를 포함하여 이 자료를 전용 홈페이지의 고인 정보 관리에서 등록할 수 있다. 그러면 조문객은 고인 정보 확인 단계에서 어떤 종류의 영상물을 선택할지 결정할 수 있으므로 영상물의 종교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조문객 본인의 종교와 일치하지 않거나 불확실할 때에는 일반형 영상 조화/조의문을 보내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전용 홈페이지에서 영상물 주문의 마지막 단계는 결제이다. 소액결제이므로 가장 일반적인 것이 휴대폰 결제일 것이다. 그 다음은 카드 결제와 계좌이체이다. 그러나 장례업은 현재 인터넷상의 소액결제나 신용카드 가맹점 대상에서 제외된 업종이다. 본 서비스가 영상물 콘텐츠를 제공하는 업종임에도 불구하고 이 서비스를 일종의 장례업으로 분류하여 인터넷 신용카드 가맹점을 허용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부득이 계좌이체로 결제가 이루어져야 하며 현장에서는 현금으로 결제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할 수 있다. 고객의 편리함을 위해서는 카드 결제 회사에 영상 콘텐츠 서비스에 대한 개념을 이해시키는 노력과 아울러 지속적인 협의가 요구된다.
구축부(360)는, 디스플레이(500)가 위치한 장례식장 및 호수를 디스플레이(500)의 고유식별코드와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안내부(37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조의금을 이체하면서 영상 서비스를 신청한 경우, 피조문 단말(400)로 사용자 단말(100)의 조의금 이체 이벤트를 전달하고, 이체 결과는 사용자 단말(100)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자동화면설정부(380)는, 디스플레이(500)에 사용자 정보를 출력할 때 적어도 하나의 배경화면 중 어느 하나의 배경화면을 선택하여 사용자 정보를 출력하되, 적어도 하나의 배경화면에 기 태깅(Tagging)된 태그와 사용자 정보 간 유사도에 따라 배경화면을 선택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심층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과 다중 클래스 분류(Multi-Class Classification)를 사용하여 영상의 분위기를 8 가지로 분류하여 배경화면을 선택하는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수집된 이미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층퍼셉트론을 사용하여 분류 모델을 학습한 후, 다중 클래스 분류를 통해 동영상 생성에 사용할 이미지의 분위기를 예측하며, 미리 분류된 사용자 정보, 예를 들어, 대표, 사원, 회사 등 다양한 직함에 따라 동영상을 자동으로 합성하여 배경화면으로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
<감성분석>
딥러닝을 활용하여 영상에서의 얼굴 인식뿐만 아니라, 감성을 분석하는 연구가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어 왔다. 예를 들어, 다중 스레드(Thread) 기술을 이용한 HOG(Histogram Of Gradients)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얼굴 인식과 신원 식별 그리고 인물의 감정을 분석하거나 감정 차원 모델 중 가장 대표적인 Russell의 모델(Russell’s Valence-Arousal Model of Emotion)에 기반하여 영상의 감성을 분석할 수도 있다. Russell의 2 차원 정서 모형은, 각성(Arousal) 및 정서가(Valence)에 의해 표현될 수 있는데, (Arousal + Valence +) (Arousal + Valence -) (Arousal - Valence +) (Arousal - Valence -)에 따라 4 가지의 감성 분류가 가능하다. 이를 바탕으로 영상을 일정한 길이의 영상 프레임으로 나누어 CNN과 이진 교차엔트로피를 이용한 감성분석을 진행할 수 있다.
<심층 합성곱 신경망>
심층 합성곱 신경망은 여러 합성곱과 풀링(Pooling)이 반복적으로 구성된 많은 신경망 층으로 이루어진다. 심층 합성곱 기반의 모델들은 특징적인 표현들을 학습하여 좋은 성능을 보여 주었기 때문에, 이미지 분류, 물체 탐지, 안면인식 등 여러 영역에 적용되어 왔다. 이를 이용하여 각 영상을 8 가지 감정 데이터로 분류하기 위해 상술한 Russell의 감정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각 사분면의 분위기 중, 대표적인 분위기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분위기 데이터 수집은 공공데이터와 웹 크롤링으로 진행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이미지 분류에 활용되는 데이터는 장례식장의 배경화면으로 부합하지 않아 훈련 데이터와 테스트 데이터를 직접 크롤링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수 있다.
데이터의 전처리 과정에서는 임의의 데이터에 대해 각 라벨러를 고용하여 라벨러의 판단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배경화면을 각 직함에 맞게 자동 생성할 수 있으면 가장 좋지만, Russell의 감정분석표의 장례식 분위기에 맞는 배경화면을 자동생성해 주는 시스템이 아직 없기 때문에 라벨러를 고용하여 분위기에 맞는 배경화면을 직접 선별할 수 있다. 물론 실제 서비스에 선정한 배경화면이나 영상을 사용하려면 저작권 소유자에게 저작권료를 지불해야 한다. 8 가지의 분위기를 다중 클래스 분류할 수 있는데, 모델은 여러 덴스(Dense) 층과 활성화 함수를 이용한 다층 퍼셉트론(Multilayer Perceptron)으로 구성되는 심층 합성곱 신경망 모델일 수 있다. 활성화 함수로는 정류된 선형 유닛(Rectified Linear Unit, ReLU)을 사용하여 기울기 소실(Vanishing Gradient) 문제를 줄이고, 모델의 마지막 계층에서는 소프트맥스 - 교차엔트로피 손실함수(Softmax -Cross Entropy Loss Function)를 사용하여 손실을 줄일 수 있다. 학습 과정에서 과적합을 피하고자 신경망에 필요한 매개변수의 수를 줄이는 드롭아웃(Dropout)을 이용할 수 있다.
먼저 실험에 사용할 데이터에서 프레임별로 이미지를 추출하여 모델에 적용할 수 있도록 배열화한다. 추출된 프레임의 RGB 색상을 모두 고려하며, 실험 데이터와 규격에 맞는 크기로 재조정한다. 조정된 데이터들은 각각 학습된 모델을 거쳐 각 직함에 맞는 8 개의 분위기 중 하나로 예측되고, 동영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영상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영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피조문 단말(400)로부터 부고 데이터를 업로드받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부고를 받은 후 (b)와 같이 스마트조의금을 보내면서 부가 서비스인 본 발명의 영상 서비스를 신청하는 경우, 빈소의 디스플레이(500)를 검색하여 사용자 정보를 출력하도록 한다. 그리고, (c)와 같이 영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조의금이 이체가 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과 피조문 단말(400)로 각각 안내하고, (d)와 같이 자동으로 장례기간 동안 디스플레이가 되도록 한다.
도 4a와 같은 형태로 서비스가 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500)는 도 4b와 같이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본 발명의 스마트조의금이란, 피조문자에게 보낼 조의금에 1 만원을 추가하여 빈소계좌로 보내는 경우, 빈소 옆 스마트 추모관에 보내는 사용자의 추모영상이 장례기간 내내 순차적으로 연출되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조의금 10 만원에 1 만원을 추가하여 11 만원을 추가하면, 조의금은 각 피조문자의 계좌로 전달되고, 입금내역은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전송된다. 예를 들어, 받는 사람은 피조문자, 보내는 사람은 XX 대표 홍길동, 전화번호, 입금자명 및 조의금 등을 기재한 후, 스마트조의금 보내기 버튼을 클릭하면, 보내시는 분, XX 대표 홍길동, 서울대학교병원 장례식장1호실, 고인명 XXX, 받으시는분(피조문자) XXX, 입금자명 홍길동, 스마트조의금 11만원 등으로 표시되고, 계좌복사하기 버튼을 누른 후 계좌이체를 하거나, 직접 입력하는 방식으로 스마트조의금을 이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의 이체 후에는, "빈소 옆에 귀하의 추모영상이 장례기간내 연출이 됩니다. 조의금은 해당 피조문자님의 계좌로 전달됩니다. 입금내역은 고객님의 휴대폰으로 전송됩니다."와 같은 안내문자가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스마트조의금 연계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스마트조의금 연계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스마트조의금 연계 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영상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조의금을 이체받을 때 영상 서비스를 신청받고(S5100), 조의금이 이체되는 피조문 단말의 빈소 내 디스플레이를 검색한다(S5200). 그리고, 영상 서비스 제공 서버는, 디스플레이에 사용자 정보를 출력한다(S5300).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스마트조의금 연계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스마트조의금 연계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조의금 연계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조의금 연계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조의금 연계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조의금을 이체할 때, 사용자 정보를 입력한 후 영상 서비스를 신청 및 결제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조의금을 이체받는 피조문 단말;
    상기 사용자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조의금을 이체받을 때 상기 영상 서비스를 신청받는 등록부, 상기 조의금이 이체되는 피조문 단말의 빈소 내 디스플레이를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사용자 정보를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빈소 내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가 장례기간 내 출력되도록 장례기간을 파악하여 날짜 및 시간을 설정하는 세팅부;
    상기 디스플레이가 위치한 장례식장 및 호수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고유식별코드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구축부;
    상기 영상 서비스를 신청한 사용자 단말이 복수인 경우, 상기 영상 서비스를 신청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출력하도록 설정하는 순차설정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사용자 정보를 출력할 때 적어도 하나의 배경화면 중 어느 하나의 배경화면을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경화면에 기 태깅(Tagging)된 태그와 상기 사용자 정보 간 유사도에 따라 상기 배경화면을 선택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자동화면설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조의금 연계 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조의금을 이체하면서 상기 영상 서비스를 신청한 경우, 상기 피조문 단말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조의금 이체 이벤트를 전달하고, 이체 결과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안내되도록 하는 안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조의금 연계 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삭제
KR1020230036058A 2023-03-20 2023-03-20 스마트조의금 연계 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90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6058A KR102590632B1 (ko) 2023-03-20 2023-03-20 스마트조의금 연계 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6058A KR102590632B1 (ko) 2023-03-20 2023-03-20 스마트조의금 연계 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0632B1 true KR102590632B1 (ko) 2023-10-19

Family

ID=88507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6058A KR102590632B1 (ko) 2023-03-20 2023-03-20 스마트조의금 연계 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6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3879A (ko) * 2005-07-27 2007-01-31 부산광역시시설관리공단 원격 조문 방법
KR20100019145A (ko) * 2008-08-08 2010-02-18 주식회사 인프라넷 추모 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40039690A (ko) * 2012-09-25 2014-04-02 권영식 경조사 전자화환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20170007747A (ko) * 2014-05-16 2017-01-20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자연어 이미지 검색 기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3879A (ko) * 2005-07-27 2007-01-31 부산광역시시설관리공단 원격 조문 방법
KR20100019145A (ko) * 2008-08-08 2010-02-18 주식회사 인프라넷 추모 영상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40039690A (ko) * 2012-09-25 2014-04-02 권영식 경조사 전자화환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20170007747A (ko) * 2014-05-16 2017-01-20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자연어 이미지 검색 기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13879호 (2007.01.31.)*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9145호 (2010.02.18.)*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9690호 (2014.04.02.)*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7747호 (2017.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gers Visual media analysis for Instagram and other online platforms
Gibbs et al. # Funeral and Instagram: Death, social media, and platform vernacular
US9213773B2 (en) Image based method of providing memorial information
US20080005669A1 (en) Life event recording system
US20050135793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commemorative presentation
US20120197949A1 (en) Method to register visitors to an event
US20140136996A1 (en) Virtual remembrance system
CN102132244A (zh) 图像标记用户界面
CN102132312A (zh) 用标签标记图像
KR20220018455A (ko) 비대면 추모 및 주요 장례절차 실시간 스트리밍이 가능한 온라인 장례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서버
Morse Digital necromancy: Users’ perceptions of digital afterlife and posthumous communication technologies
US20190149954A1 (en) Association of digital content with geolocation tags
KR102590632B1 (ko) 스마트조의금 연계 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351116B1 (ko) 트위터 매시업을 이용한 마이스 트윗 북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851966B1 (ko) 오브젝트를 이용한 템플릿 생성 및 프로모션 콘텐츠 제작 방법과 그 시스템
US20190066055A1 (en) Recruitment and networking mobile application
JP4494433B2 (ja) 情報の提供方法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ならびにそのための制御装置
KR101473438B1 (ko) 콘텐츠의 미디어 월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CN104636633A (zh) 一种基于lbs的快速获得多种可视医疗服务的方法和系统
KR20210149983A (ko) 개인살림 풀패키지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35255B1 (ko) 행사 영상 송출 방법 및 장치
KR102248409B1 (ko)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40103106A1 (en) System for displaying service information
US11615096B2 (en) Event and/or location based media capture and upload platform based on a URL or a link associated with a machine-readable optical label
JP2001229297A (ja) インターネットを用いた葬儀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