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5255B1 - 행사 영상 송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행사 영상 송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5255B1
KR102435255B1 KR1020200087715A KR20200087715A KR102435255B1 KR 102435255 B1 KR102435255 B1 KR 102435255B1 KR 1020200087715 A KR1020200087715 A KR 1020200087715A KR 20200087715 A KR20200087715 A KR 20200087715A KR 102435255 B1 KR102435255 B1 KR 102435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image
event
terminal
im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9243A (ko
Inventor
전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큐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큐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큐다
Priority to KR1020200087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255B1/ko
Publication of KR20220009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행사 영상 송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행사 영상 송출 방법은,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영상 프레임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프레임 내에서 개시될 이미지들을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이미지들을 선택된 프레임 내에서 정렬하는 단계와,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와, 이미지들 이후에 영상을 배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제 3 사용자 단말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텍스트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정 부분에서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행사 영상 송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EVENT IMAGE}
본 개시는 행사 영상 송출에 대한 온라인(on-line) 기반 오프라인(off-line)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행사 영상 송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전세계적으로 65세 이상 노인 비율이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20% 이상인 초고령화 사회에 빠르게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어, 개인 및 사회·국가적으로 웰다잉(well-dying)에 대한 관심을 확대함에 따라 실버시장은 향후 급속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장례산업의 경우 사전영업이 어려운 업종 특성상 수동적 영업의 한계가 있으며, 천편일률적인 서비스 형식으로만 제공된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공급자가 아닌 사용자 중심의 다양하고 합리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장례 발생 시 직접 작성하거나 부고 알림 앱을 이용해 부고를 발송해야 하고, 장례식장에서 이루어지는 IT/미디어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장례식뿐만 아니라, 결혼식, 돌잔치, 환갑잔치 등 경조사 시, 직접 참여하지 못하거나, 대면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모바일 알림 또는 부조금 전송 앱을 통한 메시지 전송 및 부조금 전송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일련의 과정을 하나의 앱 인터페이스 안에서 처리할 수 없어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모바일 부고 알림, 추모글 전송 및 실시간 송출, 사진을 이용한 동영상 편집 앱, 고인 영상을 상영하는 장례식 등의 서비스가 실시되었으나, 모바일 동영상 편집 앱이나 pc용 영상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동영상을 별도 제작 후 송출하여야 하여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영상을 생성하는데 있어 렌더링 과정을 수행하여 영상 생성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개시의 실시 예의 일 과제는, 온라인을 기반으로 간소화된 영상 제작 과정을 통해 행사 영상을 제작하여 오프라인 현장에 행사 영상이 보다 빠르고 용이하게 송출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의 일 과제는, 렌더링 등의 영상 변환 과정을 생략하고, 온라인 기반으로 영상 프레임 내에 이미지를 삽입하는 방법으로 보다 용이하게 영상 제작이 수행되도록 하여, 오프라인 현장에서 보다 빠르게 생성된 행사 영상이 송출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의 일 과제는, 경조사 행사 오프라인 서비스를 IT, 모바일 등 신산업 분야와 적극 융합하여, 정보 유통 비용이 저렴한 온라인과 실제 소비가 일어나는 오프라인의 장점을 접목하고, 행사 영상 송출 장치의 효율성 향상 및 제품 경쟁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의 일 과제는, 저장된 장례정보 기반 자동 부고 발송, 회고 영상 생성, 가족 및 조문객들과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가능한 온라인 추모관 생성, 장례 일정 관리 등의 일련의 과정을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되도록 하여, 서비스 성능 및 만족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의 일 과제는, 장례식 현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회고 영상, 추모 글 및 애도 영상 편지를 실시간으로 송출하되, 수신된 모든 콘텐츠에 대해 편집, 삭제, 순서 변경 등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공급자가 아닌 사용자 중심의 다양하고 합리적인 서비스를 구성하여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의 일 과제는, 조문객이 사용자 단말을 통해 부고문자에 포함된 링크 또는 현장 화면의 큐알코드를 인식하여 온라인 추모관에 방문하고, 추모 글과 애도 영상 편지를 용이하게 제작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접객 중심의 경조사 행사 문화가 추모, 축하, 기념 중심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행사 영상 송출 방법은, 온라인을 기반으로 간소화된 영상 제작 과정을 통해 행사 영상을 제작하여 오프라인 현장에 행사 영상이 송출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행사 영상 송출 방법은,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영상 프레임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프레임 내에서 개시될 이미지들을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이미지들을 선택된 프레임 내에서 정렬하는 단계와,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와, 이미지들 이후에 영상을 배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제 3 사용자 단말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텍스트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정 부분에서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행사 영상 송출 방법을 통하여, 렌더링 등의 영상 변환 과정을 생략하고, 온라인 기반으로 영상 프레임 내에 이미지를 삽입하는 방법으로 보다 용이하게 영상 제작이 수행되도록 하여, 오프라인 현장에서 보다 빠르게 생성된 행사 영상이 송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행사 영상 송출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하면, 온라인을 기반으로 간소화된 영상 제작 과정을 통해 행사 영상을 제작하여 오프라인 현장에 행사 영상이 송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행사 영상 송출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경조사 행사 오프라인 서비스를 IT, 모바일 등 신산업 분야와 적극 융합하여, 정보 유통 비용이 저렴한 온라인과 실제 소비가 일어나는 오프라인의 장점을 접목함으로써, 행사 영상 송출 장치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차별화된 현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저장된 장례정보 기반 자동 부고 발송, 회고 영상 생성, 가족 및 조문객들과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가능한 온라인 추모관 생성, 장례 일정 관리 등의 일련의 과정을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서비스 성능 및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장례식 현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회고 영상, 추모 글 및 애도 영상 편지를 실시간으로 송출하되, 수신된 모든 콘텐츠에 대해 편집, 삭제, 순서 변경 등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공급자가 아닌 사용자 중심의 다양하고 합리적인 서비스를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문객이 사용자 단말을 통해 부고문자에 포함된 링크 또는 현장 화면의 큐알코드를 인식하여 온라인 추모관 방문, 추모 글과 애도 영상 편지를 용이하게 제작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접객 중심의 경조사 행사 문화를 추모, 축하, 기념 중심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행사 영상 송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행사 영상 송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행사 영상 송출 시스템의 전체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행사 영상 송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벤트 처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행사 영상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행사 영상 송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림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행사 영상 송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행사 영상 송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행사 영상 송출 시스템(1)은 행사 영상 송출 장치(100), 사용자 단말들(200), 디스플레이 장치(300), 행사 운영 서버(400) 및 네트워크(500)를 포함할 수 있다.
행사 영상 송출 시스템(1)은 특정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들(200)의 어플리케이션과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이용하여 동영상 생성 및 영상·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장례식장에서 고인의 생전 사진을 이용하여 쉽고 빠르게 회고 동영상을 생성하고 이를 조문객(방문/미방문 모두 포함) 추모글 및 애도 영상 편지와 함께 장례식 현장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상영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행사는 장례식, 결혼식, 돌잔치 등의 각종 기념식을 포함할 수 있고, 행사 영상은 이러한 행사들에서 활용되는 각종 영상 컨텐츠를 지칭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장례식의 경우 및 추모 영상을 기준으로 발명의 내용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행사 영상 송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서는 모바일 기반, 즉 사용자 단말들(200)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오프라인인 장례식 현장에서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통해 구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행사 영상 송출 시스템(1)은 추모 콘텐츠를 제작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장례 전반에 대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직접 참여하지 못한 조문객들의 추모 참여가 가능하도록 하는 등의 온라인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여, 오프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행사 영상 송출 시스템(1)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들(200)을 통해 테마가 있는 개인 회고 영상을 편리하게 생성하고, 가족 또는 멤버들과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으로 소통하며, 장례 전반에 대한 종합 관리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행사 영상 송출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들(200)을 통해 생성된 개인 회고 영상을 장례식 현장의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송출하여 영상 기반의 차별화된 현장 서비스로 획기적인 장례식 현장 비주얼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행사 영상 송출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들(200)을 통해 조문객들이 실시간 조문 및 추모글, 애도 영상 편지 등의 조문객 추모 메시지를 전송하면 이를 장례식 현장의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실시간 송출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행사 영상 송출 시스템의 전체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해당 서비스의 가입대상인 사용자는 가입링크 메시지를 통해 본 개시의 모바일 앱 또는 웹사이트에 접속하게 된다. 모바일 앱 또는 웹사이트에서 회원 가입이 이루어지면 회원은 가족 멤버를 초대할 수 있다. 여기서, 가족 멤버 초대를 위한 링크는 모바일 앱 또는 웹사이트에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행사에서 사용되기 위한 영상(라이프다큐로 지칭될 수 있음)을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생성하고, 이를 다른 사람들에게 전송하여 공유할 수 있으며, 오프라인 장례식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에서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영상은 온라인 상의 추모관에 배치되어 재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례가 발생하는 경우 상조회사와 같은 제휴사에서는 오프라인의 장례서비스를 제공하고, 본 개시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온라인 추모관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행사 운영 서버를 통해 추모 영상 및 추모글이 온라인 추모관 및 오프라인 장례식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장례 이후에는 추모 영상 및 추모글을 포함한 온라인 추모관에 생성된 자료들이 서버에 저장되거나 매체에 저장되어 유가족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장례 이후 기일(예를 들어, 49제 기일)에 맞추어 추가 영상이 유가족 및/또는 추모객들에게 링크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전체 프로세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행사 영상 송출 시스템(1)에서는 사용자 단말들(200)에서 구현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도 4의 (a)와 같은 부고 메시지를 자동 생성하여 지인들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부고 메시지에는 부고 관련된 내용(예를 들어, 고인, 상주, 빈소, 발인 등)과 애도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홈페이지 링크, 부조금을 송금할 수 있는 계좌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행사 영상 송출 시스템(1)은 조문객이 자동 생성된 부고 메시지를 수신한 후 부고 메시지의 홈페이지 링크에 접속하면, 해당 고인에게 배정된 온라인 추모관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온라인 추모관에는, 도 4의 (b)와 같이 해당 고인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장례식장, 입관 일시, 발인 일시, 장지, 상주 등)와 온라인 추모관 공개기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조문객이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접속한 온라인 추모관 웹페이지에서 애도 메시지 입력을 위해 추모글 탭을 클릭하면, 행사 영상 송출 시스템(1)은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도 메시지 입력을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문객이 부고 메시지를 수신하여 애도 메시지 내의 온라인 추모관 홈페이지 링크 클릭을 통해 온라인 추모관 홈페이지에 접속하고, 온라인 추모관에서 고인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하고 애도 메시지를 남길 수 있다. 이때 행사 영상 송출 시스템(1)은 조문객이 온라인 추모관에 입력한 애도 메시지가 장례식장 현장의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송출되도록 함으로써, 특히 장례식장에 참석하지 못하는 조문객들의 경우 온라인 부조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5를 참조하면, 유족들은 사용자 단말들(200)에서 구현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이미지 업로드 및 멤버(가족) 간 소통을 수행할 수 있으며, 업로드 한 이미지를 통해 생성된 추모 콘텐츠(예컨대, 고인에 대한 다큐영상 등)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장례 전반에 대한 일정 관리 등이 가능하도록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한 사람들에게 자동으로 부고 발송이 가능하도록 하고, 기일 알림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조문객들은 사용자 단말들(200)에서 구현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장례정보 및 추모 인터페이스를 확인하고, 추모글이나 애도 영상 편지 등의 추모 메시지를 업로드 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고인의 지난 삶을 기억하며 진정한 애도와 추모를 가능케 하는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전달 가능한 실시간 추모 시스템이 가능하도록 하여, 접객 중심의 장례 문화를 추모 중심으로 변화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콘텐츠(content 또는 contents)는, 문자, 부호, 음성, 음향, 음원, 이미지, 동영상(비디오 및 오디오) 등으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정보 또는 개별 정보 요소를 통칭하는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는, 예를 들면,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음원, 링크(예를 들면, 웹 링크) 등의 데이터 또는 이러한 데이터 중 적어도 두 가지의 조합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들(200)은 제 1 사용자 단말(210), 제 2 사용자 단말(220) 및 제 3 사용자 단말(2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 1 사용자 단말(210)은 상주의 사용자 단말, 제 2 사용자 단말(210)은 애도 영상 편지 등의 추모 영상과 같은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제 3 사용자 단말(230)은 장례식장에 방문 하거나 미 방문한 조문객들의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들(200)은 제 1 사용자 단말(210), 제 2 사용자 단말(220) 및 제 3 사용자 단말(230)이 서로 다른 기기를 지칭하기도 하지만, 동일한 단말을 지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주가 자신의 단말기로 추모 영상의 테마를 선택한 후, 정지 이미지들인 사진을 올리고, 지인으로부터 추모 영상을 자신의 단말기로 수신하여 행사 운영 서버(400)로 업로드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들(200)은 행사 영상 송출 어플리케이션 또는 행사 영상 송출 사이트에 접속한 후 인증 과정을 통하여 행사 영상 송출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인증 과정은 회원가입 등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인증, 사용자 단말에 대한 인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행사 영상 송출 장치(100) 및/또는 행사 운영 서버(400)에서 전송되는 링크에 접속하는 것만으로 인증 과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들(200)은 사용자가 조작하는 데스크 탑 컴퓨터,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가전기기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 단말들(200)은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 안경, 헤어 밴드 및 반지 등의 웨어러블 단말기 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들(200)은 상술한 내용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단말기는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디스플레이부(310), 수신기(320), 영상 처리기(330) 및 디스플레이 메모리(3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장례식장과 같은 현장에 배치되어, 행사 콘텐츠 등이 출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10)는 행사 영상 송출 시스템(1)에서 송출되는 콘텐츠가 출력되는 화면을 의미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상주나 조문객 등과 같은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추모 콘텐츠가 출력되는 영상 콘텐츠 출력 화면(311), 조문객 등과 같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텍스트 정보가 출력되는 텍스트 출력 화면(312) 및 장례 전반에 대한 장례 정보가 출력되는 정보 출력 화면(3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출력 화면(313)에는 고인에 대한 정보, 상주 정보, 일정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장례식에 참여한 조문객이 온라인으로 추모할 수 있는 온라인 행사 참여관(예를 들어, 온라인 추모관)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큐알코드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례식의 참여한 조문객은 제 3 사용자 단말(230)을 통해 온라인 행사 참여관에 접속하여 추모글 및/또는 애도 영상 편지를 업로드 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출력 화면(313)에는 장례식 관련 업체 등의 광고도 표시될 수 있어 수익 창출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10)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LED(light emitting display)와 같은 소정의 디스플레이 부재일 수 있다.
수신기(320)는 사용자 단말들(200), 특히 제 1 사용자 단말(210) 및/또는 행사 운영 서버(400)로부터의 콘텐츠 송출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튜너 및 복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320)는 콘텐츠가 송출되는 채널에 싱크(Sync)를 맞춘 후, 변조 방시에 따른 복조를 통해 콘텐츠 송출 신호로부터 실제 비트 열의 전송 스트림을 얻어낼 수 있다. 그리고 수신기(320)는 전송 스트림을 영상 스트림, 음성 스트림 및 데이터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역다중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영상 처리기(330)는 수신된 콘텐츠 송출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송출이 가능하도록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콘텐츠 송출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송출 가능한 영상 신호로 디코딩하여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메모리(340)는 수신기(320)에서 분리한 영상 스트림, 음성 스트림 및 데이터 스트림을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제 1 사용자 단말(210) 및/또는 행사 운영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저장한 후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구성들의 설명은 일 실시 예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행사 영상 송출 시스템(1)은 행사 영상 송출 장치(100) 및/또는 행사 운영 서버(4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행사 운영 서버(400)는 행사 영상 송출 장치(100)를 운용하기 위한 서버로, 사용자 단말들(200)로부터 서비스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응답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들(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행사 운영 서버(400)는 예를 들어, 행사 영상 송출 장치(100)의 구성들뿐만 아니라, 관련 디바이스 장치들의 신규등록, 네트워크 환경 등을 관리 관장하여 행사 영상 송출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제반 디바이스 운영을 담당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행사 운영 서버(400)는 행사 영상 송출 장치(100)를 동작시키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종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적용하는데 필요한 빅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행사 운영 서버(400)는 행사 영상 송출 어플리케이션 또는 행사 영상 송출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들(200)의 인증을 위한 인증 서버, 행사 영상 송출 어플리케이션 또는 행사 영상 송출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들(200)에서의 부조 등을 위한 금융 거래 서버 등을 포함하거나 이러한 서버들과 네트워킹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인공 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은, 인간의 지능으로 할 수 있는 사고, 학습, 자기계발 등을 컴퓨터가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컴퓨터 공학 및 정보기술의 한 분야로, 컴퓨터가 인간의 지능적인 행동을 모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인공 지능은 그 자체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 과학의 다른 분야와 직간접적으로 많은 관련을 맺고 있다. 특히 현대에는 정보기술의 여러 분야에서 인공 지능적 요소를 도입하여, 그 분야의 문제 풀이에 활용하려는 시도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은 인공 지능의 한 분야로, 컴퓨터에 명시적인 프로그램 없이 배울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는 연구 분야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머신 러닝은, 경험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을 하고 예측을 수행하고 스스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시스템과 이를 위한 알고리즘을 연구하고 구축하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머신 러닝의 알고리즘들은 엄격하게 정해진 정적인 프로그램 명령들을 수행하는 것이라기보다, 입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이나 결정을 이끌어내기 위해 특정한 모델을 구축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네트워크(500)는 행사 영상 송출 시스템(1)에서 행사 영상 송출 장치(100), 제 1 사용자 단말(210), 제 2 사용자 단말(220), 제 3 사용자 단말(230), 디스플레이 장치(300) 및 행사 운영 서버(4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500)는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네트워크(500)는 근거리 통신 및/또는 원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Wi-Fi(Wireless fidelity) 기술을 포함할 수 있고, 원거리 통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500)는 허브, 브리지, 라우터, 스위치 및 게이트웨이와 같은 네트워크 요소들의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500)는 인터넷과 같은 공용 네트워크 및 안전한 기업 사설 네트워크와 같은 사설 네트워크를 비롯한 하나 이상의 연결된 네트워크들, 예컨대 다중 네트워크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500)에의 액세스는 하나 이상의 유선 또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네트워크(500)는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 및/또는 5G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행사 영상 송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6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행사 영상 송출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및 이벤트 처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제 1 사용자 단말(210), 제 2 사용자 단말(220) 및 제 3 사용자 단말(230)과 통신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네트워크(500)와 연동하여 행사 영상 송출 시스템(1)에서 행사 운영 서버(400), 디스플레이 장치(300), 사용자 단말들(200) 및/또는 행사 영상 송출 장치(100)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각종 사물 지능 통신(IoT(internet of things), IoE(internet of everything), IoST(internet of small things) 등)을 지원할 수 있으며, M2M(machine to machine) 통신, V2X(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 통신, D2D(device to device) 통신 등을 지원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메모리(130)에 탑재된 제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행사 영상 송출 장치(100) 및/또는 행사 영상 송출 시스템(1) 전체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제 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복수의 영상 프레임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제 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선택된 프레임 내에서 개시될 이미지들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제 2 사용자 단말(220)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들 이후에 상기 영상을 배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제 3 사용자 단말(230)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상기 텍스트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일정 부분에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13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120)로 하여금, 행사 영상 송출 장치(100) 및/또는 행사 영상 송출 시스템(1) 전체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들을 저장할 수 있다.
즉 메모리(130)는 행사 영상 송출 장치(100) 및/또는 행사 영상 송출 시스템(1) 전체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행사 영상 송출 장치(100) 및/또는 행사 영상 송출 시스템(1) 전체의 동작을 위한 정보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0)는 행사 영상 송출 장치(100) 및/또는 행사 영상 송출 시스템(1) 전체와 인터랙션을 수행하려는 한 명 이상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2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3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메모리(130)는 내장 메모리 및/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DRAM, SRAM, 또는 SD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NAND 플래시 메모리, 또는 NOR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SSD, CF(compact flash) 카드, SD 카드, Micro-SD 카드, Mini-SD 카드, Xd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과 같은 플래시 드라이브, 또는 HDD와 같은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 처리부(1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120) 내부에 구비되어 프로세서(120)처럼 동작할 수도 있으며, 도 1의 행사 운영 서버(400)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 이벤트 처리부(140)의 상세한 동작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벤트 처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행사 영상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행사 영상 송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림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6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벤트 처리부(140)는 사용자 관리부(141), 이벤트 관리부(142), 영상 프레임 관리부(143), 콘텐츠 생성부(144), 필터링부(145) 및 콘텐츠 관리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관리부(141)는 행사 영상 송출 어플리케이션 또는 행사 영상 송출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들(200)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관리부(141)는 제 1 사용자 단말(210)의 사용자가 행사 영상 송출 어플리케이션 또는 행사 영상 송출 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수행하면, 회원가입 시 입력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개인 정보, 사용자 단말 정보, 부고 알림 목록 및 사용자의 가족 또는 멤버 목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부고 알림 목록에 따라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에 부고 알림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가족 또는 멤버 목록에 따라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에 행사 영상 송출 어플리케이션 또는 행사 영상 송출 사이트 접속(또는 가입) 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행사 영상 송출 어플리케이션 또는 행사 영상 송출 사이트 접속(또는 가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가족 또는 멤버의 사용자 단말에서 접속 또는 회원가입이 수행되는 경우, 사용자 관리부(141)는 가족 또는 멤버의 사용자 정보 및/또는 사용자 단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사용자 관리부(141)는 제 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수신된 영상 제작 요청 및 복수의 요청 대상 사용자 단말들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제작 요청 및 복수의 요청 대상 사용자 단말들의 정보는 부고 알림 목록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들의 정보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이러한 영상 제작 요청 또는 부고 알림을 위한 주요 연락처 정보는 영상 대상자(예를 들어, 장례식의 고인, 결혼식의 신랑 및 신부, 환갑 잔치의 생일자 등)의 단말에 기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획득될 수도 있다.
제 1 사용자는 서비스 가입 및 신청 후 영상 대상자의 단말 번호를 웹페이지 또는 앱에서 입력하여 영상 대상자의 연락처를 제공할 수 있다. 행사 운영 서버(400)의 프로세서는 영상 대상자의 단말로 주요 연락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요청 신호를 발송할 수 있다.
영상 대상자의 단말에서 요청 신호에 대해 수락 및 개인정보제공 동의를 하면, 영상 대상자의 단말의 기록을 이용하여 통화 수신 및 발신 기록, 메신저 앱에서의 대화 상대에 대한 기록 등을 통해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 가능, 예를 들어, 3년) 통신 상대방과의 통신 횟수가 연산될 수 있고, 이들 중 상위 통신 상대방들의 연락처 정보(예를 들어,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등)가 행사 운영 서버(400)로 발송될 수 있다.
통신 상대방과의 통신 횟수의 연산은 로컬 디바이스인 영상 대상자의 단말에서 이루어지고 행사 운영 서버(400)로 발송되는 정보는 통신 상대방들의 연락처 정보와 각 상대방과의 특정 기간 동안(예를 들어, 최근 3년)의 통신 횟수일 수 있다.
행사 운영 서버(400)는 영상 대상자의 단말로부터 통화 기록, 메신저 앱 사용기록을 모두 받아서 주요 연락처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연산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영상 대상자의 단말에서 연산된 주요 연락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도 행사 운영 서버(400)의 프로세서가 영상 대상자 단말로부터 주요 연락처 정보를 추출한다고 표현할 수 있다.
행사 운영 서버(400)의 프로세서는 추출된 주요 연락처 정보가 고인의 유족에 의해 사용될 수 있도록 유족이 사용하는 단말인 제 1 사용자 단말로 주요 연락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영상 대상자의 단말에 기록된 정보는 영상 대상자의 이전 행적을 판단하여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장례식이 끝나고 장지로 이동하는 경우에 고인이 주로 생활했던 장소를 지나가도록 동선을 구성하는데 영상 대상자가 방문했던 주요 장소에 대한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제 1 사용자는 서비스 가입 및 신청 후 영상 대상자의 단말 번호를 웹페이지 또는 앱에서 입력하여 영상 대상자의 연락처를 제공할 수 있다. 행사 운영 서버(400)의 프로세서는 영상 대상자의 단말로 주요 장소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요청 신호를 발송할 수 있다.
영상 대상자의 단말에서 요청 신호에 대해 수락 및 개인정보제공 동의를 하면, 영상 대상자의 단말의 기록을 이용하여 일정 기간 동안(예를 들어, 최근 3년 이내) 해당 단말기가 위치했던 지역의 방문 빈도수, 해당 위치에 머무른 시간에 대한 기록 등을 조회하여 방문 빈도수 및 머무른 시간에 있어서 상위의 주요 장소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대상자의 단말에 기록된 위치들 중 방문 빈도수에 있어서 상위 3개 위치와 머무른 시간에 있어서 상위 3개의 위치를 주요 장소로 판단할 수 있다. 물론, 다른 방식으로 방문 빈도수와 머무른 시간을 조합하여 주요 장소를 판단할 수도 있다.
해당 단말기가 위치했던 지역의 방문 빈도수 및 그 지역에 머무른 시간은 해당 단말기에 기록된 위치 데이터 및 네비게이션 앱에 기록된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데이터는 해당 단말기에 저장된 사진들에 태깅된 위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행사 운영 서버(400)는 영상 대상자의 단말로부터 위치 데이터, 네비게이션 앱 사용기록을 모두 받아서 주요 장소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연산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영상 대상자의 단말에서 연산된 주요 장소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도 행사 운영 서버(400)의 프로세서가 영상 대상자 단말로부터 주요 장소 정보를 추출한다고 표현할 수 있다.
행사 운영 서버(400)의 프로세서는 추출된 주요 장소 정보가 고인의 유족에 의해 사용될 수 있도록 유족이 사용하는 단말인 제 1 사용자 단말로 주요 장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벤트 관리부(142)는 장례식 발생에 따라, 제 1 사용자 단말(210)에서 온라인 행사 참여관 페이지 등록이 요청되면, 장례식 일정을 제공하고, 제 1 사용자 단말(210)에서 입력된 부고 알림 목록에 기초해 사용자 단말들에 부고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부고 알림 메시지는 장례식 정보 및 온라인 행사 참여관 페이지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사용자(상주)는 제 1 사용자 단말(210)을 통해 온라인 행사 참여관 등록을 요청할 때, 고인의 별세 일시, 장례식 장소, 장지 위치 및 장례 기간 등을 함께 입력할 수 있다. 이에, 이벤트 관리부(142)는 장례 일정을 제 1 사용자 단말(21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설정에 따라 부고 알림 목록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들에도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 1 사용자 단말(210)의 사용자, 즉 상주는 고인에 대한 콘텐츠를 생성하여 장례식장의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서는, 렌더링 등의 과정을 생략하고, 영상 프레임에 이미지를 삽입하여 간단히 영상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영상 프레임 관리부(143)는 다양한 테마 및 직업, 종교 등에 특화된 시나리오 가이드와 같은 영상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프레임은 배경 오디오, 도입부 영상, 종료 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입력된 이미지가 배치되는 알고리즘 등에 대한 설정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영상 프레임은 행사 운영 서버(400) 또는 별도 서버를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프레임은 사용자에 의해 편집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콘텐츠 생성부(144)는 제 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복수의 영상 프레임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제 1 사용자 단말(210)은 영상 프레임 관리부(143)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영상 프레임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프레임에 대한 선택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생성부(144)는 제 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선택된 프레임 내에서 개시될 이미지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들을 선택된 프레임 내에서 정렬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생성부(144)는 수신된 이미지들을 선택된 프레임 내에서 순서대로 또는 랜덤으로 정렬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수신된 이미지들의 정렬 방법은 한정되지 않으며, 이미지의 크기나 해상도, 이미지에 입력된 태그에 기초하여 정렬될 수도 있다. 이때 이미지에 입력된 태그는 사진 업로드 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태그일 수 있고, 행사 영상 송출 시스템(1)에서 자체 생성된 태그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상주)는 제 1 사용자 단말(210)을 통해 복수의 영상 프레임들 중에서 어머니 테마에 해당하는 프레임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어머니 테마에 해당하는 프레임은 유년기, 전성기, 자녀성장기, 노년기 등으로 구분된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 1 사용자 단말(210)을 통해 각각의 프레임에 따라 이미지들을 선택할 수 있고, 콘텐츠 생성부(144)에서는 각각의 프레임에 따라 선택된 이미지들을 해당 프레임 내에서 정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컨텐츠 생성부(144)는 이미지의 태그에 따라 이미지가 촬영된 위치나 시기 등을 자동으로 구분하여 해당 위치나 시기에 따라 그룹화하여 정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렸을 때부터 노년기까지를 시기별로 각각 구분하여 정렬하거나, 해외여행 등 위치별로 각각 구분하여 정렬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생성부(144)는 딥러닝(Deep Learning) 등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을 활용하여, 이미지의 각 세그먼트 속성에 자동으로 태그를 지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속성이란 색상, 얼굴, 위치, 동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AI 기반 행사 운영 서버(400) 또는 별도의 서버를 통해 이미지를 구분할 수 있는 분류 체계를 지원할 수도 있다.
또한 콘텐츠 생성부(144)는 제 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들이 보다 자연스럽게 영상화될 수 있도록 색상이나 크기 등이 유사한 이미지들을 그룹화하여 정렬할 수도 있고, 색상이나 크기를 일치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서는 AI 기반 색상 일치 기능을 적용하여, 한 이미지의 색상 교정 설정을 나머지 모든 이미지에 적용하거나 얼굴을 식별하여 피부색을 맞추고 배경을 식별하여 배경색을 맞추는 등의 과정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별도의 렌더링 과정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생성부(144)는 제 2 사용자 단말(220)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 2 사용자 단말(220)은 애도 영상 편지 등의 추모 영상과 같은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본 실시 예에서는, 제 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영상 제작 요청 및 복수의 요청 대상 사용자 단말들의 정보가 입력될 수 있으며, 제 2 사용자 단말(220)은 제 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입력된 영상 제작 요청 및 복수의 요청 대상 사용자 단말들 중 하나일 수 있다.
콘텐츠 생성부(144)는 제 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들 이후에 제 2 사용자 단말(22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배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생성부(144)는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전송하기 전에, 제 2 사용자 단말(220)로부터의 영상의 개시 허용 여부에 대한 질의를 제 1 사용자 단말(210)에 전송할 수 있다.
콘텐츠 생성부(144)는 제 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개시 허용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미지들 이후에 영상을 배치하고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이미지들 및 영상이 반복하여 재생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반면, 콘텐츠 생성부(144)는 제 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개시 거절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 2 사용자 단말(220)을 노출 금지 기기로 등록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제 2 사용자 단말(220)로부터 수신된 모든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개시하는 것이 아니라, 영상 확인 후 개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생성부(144)는 제 3 사용자 단말(230)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 3 사용자 단말(230)은 장례식장에 직접 방문한 조문객 또는 방문하지 못한 조문객의 사용자 단말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부고 알림 메시지 수신에 따라 행사 영상 송출 어플리케이션 또는 행사 영상 송출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 3 사용자 단말(230)은 행사 영상 송출 어플리케이션 또는 행사 영상 송출 사이트에 접속하여, 온라인 행사 참여관 페이지에 고인을 위한 추모글과 같은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콘텐츠 생성부(144)는 제 3 사용자 단말(230)로부터 수신된 텍스트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일정 부분에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제 2 사용자 단말(220)은 온라인 행사 참여관 페이지에 접속하여 영상 콘텐츠(애도 영상 편지)를 제작하여 업로드 할 수 있고, 제 3 사용자 단말(230)은 온라인 행사 참여관 페이지에 접속하여 텍스트 정보(추모글)를 작성하여 업로드 할 수 있다. 이때, 제 2 사용자 단말(220)에서 영상을 제작할 때도, 사용자가 제 2 사용자 단말(220)을 통해 복수의 프레임을 선택한 후 이미지들을 선택할 수 있으며, 콘텐츠 생성부(144)에서는 선택된 복수의 프레임에 이미지들을 정렬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생성부(144)는 제 3 사용자 단말(230)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수신한 후, 제 3 사용자 단말(230)의 번호가 노출 금지 기기로 등록된 제 2 사용자 단말(220)의 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제 3 사용자 단말(230)의 번호가 제 2 사용자 단말(220)의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텍스트 정보의 개시 허용 여부에 대한 질의를 제 1 사용자 단말(2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즉, 노출 금지 기기로 등록된 제 2 사용자 단말(220)의 번호와 일치하는 제 3 사용자 단말(230)에 대해서는, 텍스트 정보를 사용자(상주)가 확인한 후 개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가족 또는 멤버 및 확인 가능한 조문객뿐만 아니라, 불특정한 조문객들로부터 이미지 또는 텍스트 정보가 수신될 수 있으므로, 이를 필터링 하는 과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에, 필터링부(145)는 제 3 사용자 단말(230)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수신하고, 키워드 필터링을 통해 텍스트 정보를 필터링 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링부(145)는 필터링을 통과한 텍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제 1 사용자 단말(210)에서 텍스트 정보를 확인한 후 직접 삭제하는 과정을 통해 필터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키워드 필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키워드는 사용자(상주)에 의해 입력되거나, 행사 영상 송출 시스템(1)에 사전에 입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키워드는 사용자들이 많이 설정한 키워드, 사용자에 의해 차단된 텍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키워드 등의 수집에 의해 자동 설정되거나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링부(145)는 사용자들이 설정한 키워드 수집 데이터, 사용자들이 차단한 텍스트 내 단어 수집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필터링을 하기 위한 키워드를 추출하도록 훈련된 머신러닝 기반의 학습 모델에 기반하여, 키워드 필터링을 위한 키워드들을 선정할 수 있다. 이러한 학습 모델은 행사 영상 송출 장치(100) 및/또는 행사 운영 서버(400)가 실행되고 일정 기간에 따른 수집 데이터를 훈련 데이터로 하여 훈련된 학습 모델일 수 있다.
한편, 머신 러닝의 일종인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단계로 깊은 수준까지 내려가 학습할 수 있다. 딥러닝은 단계를 높여갈수록 복수의 데이터들로부터 핵심적인 데이터를 추출하는 머신 러닝 알고리즘의 집합을 나타낼 수 있다.
딥러닝 구조는 인공신경망(ANN)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딥러닝 구조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DBN(deep belief network) 등 심층신경망(DNN)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딥러닝 구조는 공지된 다양한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즉 행사 영상 송출 시스템(1)에는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이 탑재될 수 있으며, 즉 본 실시 예의 프로세서(120)는 인공신경망, 예를 들어, CNN, RNN, DBN 등 심층신경망(deep neural network: DN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공신경망의 머신 러닝 방법으로는 자율학습(unsupervised learning)과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설정에 따라 학습 후 인공신경망 구조를 업데이트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부(146)는 사용자 단말들(20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나 텍스트 등의 콘텐츠와, 콘텐츠 생성부(144)에서 생성된 콘텐츠들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콘텐츠 관리부(146)는 제 1 사용자 단말(210)에서 콘텐츠를 확인하고, 편집, 삭제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관리부(146)는 장례식 종료 후에도 제 1 사용자 단말(210)에 콘텐츠들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별도 클라우드 서버 등을 통해 사용자들의 콘텐츠를 업로드 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장례식이 종료된 이후에도 기일 알림 등의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생성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서는 고인의 기일이 도래하면 제 1 사용자 단말(210) 및 그 외 기일 알림을 받고자 미리 등록된 사용자 단말에 기일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관리부(146)는 장례식 때 생성되거나 수신된 콘텐츠들을 다시 확인할 수 있도록 기일 알림 메시지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행사 영상 송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1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S10단계에서, 행사 영상 송출 장치(100) 및/또는 행사 운영 서버(400)는 제 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복수의 영상 프레임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고인을 위한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하여, 고인에 대해 표현할 수 있는 영상 프레임을 선택하면, 행사 영상 송출 장치(100) 및/또는 행사 운영 서버(400)에서 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사용자 단말(210)은 상주의 사용자 단말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주뿐만 아니라 고인의 가족 및 상주에 의해 초대된 그 외 멤버들의 사용자 단말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사용자 단말(210)의 사용자는 행사 영상 송출 어플리케이션 또는 행사 영상 송출 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가입 후 인증된 사용자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은 다양한 테마 및 직업, 종교 등에 특화된 시나리오 가이드를 의미하는 것으로, 배경 오디오, 도입부 영상, 종료 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영상 프레임은 행사 운영 서버(400) 또는 별도 서버를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S20단계에서, 행사 영상 송출 장치(100) 및/또는 행사 운영 서버(400)는 제 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선택된 프레임 내에서 개시될 이미지들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 사용자 단말(210)을 통하여 제 1 사용자 단말(21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선택, 업로드 하거나, 클라우드 서버 등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선택, 업로드 할 수 있다. 이때, 제 1 사용자 단말(210)은 행사 영상 송출 어플리케이션 또는 행사 영상 송출 사이트에서 이미지들이 저장되어 있는 앨범에 접근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제 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수신하는 이미지는 정지 이미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영상 이미지가 수신될 수도 있다.
S30단계에서, 행사 영상 송출 장치(100) 및/또는 행사 운영 서버(400)는 수신된 이미지들을 선택된 프레임 내에서 정렬한다.
이때, 행사 영상 송출 장치(100) 및/또는 행사 운영 서버(400)는 수신된 이미지들을 선택된 프레임 내에서 순서대로 정렬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이미지를 업로드 한 순서에 따라 순서대로 정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정에 따라 이미지 순서는 랜덤으로 정렬될 수도 있다.
그리고 S40단계에서, 행사 영상 송출 장치(100) 및/또는 행사 운영 서버(400)는 제 2 사용자 단말(220)로부터 영상을 수신한다.
이때 제 2 사용자 단말(220)은 애도 영상 편지 등의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 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영상 제작 요청 및 복수의 요청 대상 사용자 단말들의 정보가 입력될 수 있으며, 제 2 사용자 단말(220)은 제 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입력된 영상 제작 요청 및 복수의 요청 대상 사용자 단말들 중 하나일 수 있다.
S50단계에서, 행사 영상 송출 장치(100) 및/또는 행사 운영 서버(400)는 제 2 사용자 단말(220)로부터의 영상의 개시 허용 여부에 대한 질의를 제 1 사용자 단말(210)에 전송한다.
즉, 행사 영상 송출 장치(100) 및/또는 행사 운영 서버(400)는 제 2 사용자 단말(22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송출할 지 여부에 대해 제 1 사용자 단말(210)에 전송할 수 있다.
S60단계에서, 행사 영상 송출 장치(100) 및/또는 행사 운영 서버(400)는 제 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개시 허용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확인한다.
즉, 행사 영상 송출 장치(100) 및/또는 행사 운영 서버(400)는 제 2 사용자 단말(22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송출할 지 여부에 대해 제 1 사용자 단말(210)에 전송하여, 제 1 사용자 단말(210)에서 제 2 사용자 단말(220)로부터의 영상의 개시 허용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영상 필터링 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S70단계에서, 행사 영상 송출 장치(100) 및/또는 행사 운영 서버(400)는 제 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개시 허용 신호가 수신된 경우, 이미지들 이후에 영상을 배치하고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전송한다.
즉, 행사 영상 송출 장치(100) 및/또는 행사 운영 서버(400)는 제 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들을 프레임 내에 정렬하여 콘텐츠를 생성하고, 제 2 사용자 단말(22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상기 콘텐츠 이후에 배치하여 최종 콘텐츠를 생성해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전송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최종 콘텐츠가 송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영상이 수신되면, 이미지들 이후에 수신된 영상들이 순서대로 또는 랜덤으로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S80단계에서, 행사 영상 송출 장치(100) 및/또는 행사 운영 서버(400)는 제 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개시 허용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제 2 사용자 단말(220)을 노출 금지 기기로 등록한다.
예를 들어, 행사 영상 송출 장치(100) 및/또는 행사 운영 서버(400)는 제 2 사용자 단말(220)에서 수신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송출되기에 부적절하다고 판단하여, 제 2 사용자 단말(220)을 노출 금지 기기로 등록할 수 있다. 이에, 추후 다시 제 2 사용자 단말(220)에서 영상이 수신되더라도 제 1 사용자 단말(210)에 개시 허용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영상을 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개시 허용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제 2 사용자 단말(220)에 대해서, 노출 금지 기기 및 노출 차단 기기로 단계적으로 구분하여, 노출 금지 기기는 추후 영상이 수신될 시 개시 허용 신호를 다시 전송할 수 있고, 노출 차단 기기는 개시 허용 신호 전송 없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노출 금지 기기 및 노출 차단 기기 등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그리고 S90단계에서, 행사 영상 송출 장치(100) 및/또는 행사 운영 서버(400)는 제 3 사용자 단말(230)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제 3 사용자 단말(230)은 장례식장에 직접 방문한 조문객 또는 방문하지 못한 조문객의 사용자 단말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부고 알림 메시지 수신에 따라 행사 영상 송출 어플리케이션 또는 행사 영상 송출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 3 사용자 단말(230)은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표시되는 큐알코드를 통해서도 행사 영상 송출 어플리케이션 또는 행사 영상 송출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즉, 제 3 사용자 단말(230)은 장례식에 참여하지 못하거나 장례식 현장에서도, 행사 영상 송출 어플리케이션 또는 행사 영상 송출 사이트에 접속하여, 해당 고인의 온라인 행사 참여관 페이지에 고인을 위한 애도글과 같은 텍스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S100단계에서, 행사 영상 송출 장치(100) 및/또는 행사 운영 서버(400)는 수신한 텍스트 정보를 필터링한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가족 또는 멤버 및 확인 가능한 조문객뿐만 아니라, 불특정한 조문객들로부터 텍스트 정보가 수신될 수 있으므로, 이를 필터링 하는 과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행사 영상 송출 장치(100) 및/또는 행사 운영 서버(400)는 제 3 사용자 단말(230)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수신하고, 키워드 필터링을 통해 텍스트 정보를 필터링 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 예에서는, 제 1 사용자 단말(210)에서 텍스트 정보를 확인한 후 직접 삭제하는 과정을 통해 필터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키워드 필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키워드는 사용자(상주)에 의해 입력되거나, 행사 영상 송출 시스템(1)에 사전에 입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키워드는 사용자들이 많이 설정한 키워드, 사용자에 의해 차단된 텍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키워드 등의 수집에 의해 자동 설정되거나 업데이트될 수 있다.
S110단계에서, 행사 영상 송출 장치(100) 및/또는 행사 운영 서버(400)는 수신한 텍스트 정보가 필터링을 통과하였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S120단계에서, 행사 영상 송출 장치(100) 및/또는 행사 운영 서버(400)는 수신한 텍스트 정보가 필터링을 통과한 경우, 텍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일정 부분에 노출한다.
이때, 행사 영상 송출 장치(100) 및/또는 행사 운영 서버(400)는 수신한 텍스트 정보가 필터링을 통과하지 못한 경우, 텍스트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추가적으로 제 3 사용자 단말(230)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수신한 후, 제 3 사용자 단말(230)의 번호가 노출 금지 기기로 등록된 제 2 사용자 단말(220)의 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제 3 사용자 단말(230)의 번호가 제 2 사용자 단말(220)의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텍스트 정보의 개시 허용 여부에 대한 질의를 제 1 사용자 단말(2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즉, 노출 금지 기기로 등록된 제 2 사용자 단말(220)의 번호와 일치하는 제 3 사용자 단말(230)에 대해서는, 텍스트 정보를 사용자(상주)가 확인한 후 개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행사 영상 송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단계를 구분하여 도시하였으나, 제 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이미지를 수신받고 제 2 사용자 단말(220)로부터 영상을 수신 받는 단계는 동시에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제 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복수의 영상 프레임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제 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정지 이미지들을 수신하거나 제 2 사용자 단말(220)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행사 영상 송출 장치(100) 및/또는 행사 운영 서버(400)는 정지 이미지들을 수신하는 경우, 선택된 영상 프레임 내에서 수신된 순서대로 정지 이미지들을 정렬하고, 영상을 수신하는 경우, 제 1 사용자 단말(210)로 영상의 개시 허용 여부에 대한 질의를 제 1 사용자 단말(21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행사 영상 송출 장치(100) 및/또는 행사 운영 서버(400)는 제 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개시 허용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영상 프레임의 재생 이후에 이어서 영상이 재생되도록 정렬하고, 정렬된 이미지들 및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행사 운영 서버(400)의 프로세서는 제 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들 중 적어도 일부의 이미지들을 선택된 프레임 내에서 정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100장의 이미지를 수신하면, 이들 전부 또는 이들 중 일부를 랜덤하게 선정하여 선택된 프레임 내에 정렬하여 오프라인 장례식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에서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행사 운영 서버(400)는 일정 주기로 이미지들을 새롭게 선택하여 선택된 프레임 내에 재정렬하여 전송함으로써, 장례식장의 디스플레이에서 매번 동일한 이미지가 반복적으로 재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행사 운영 서버(400)의 프로세서는 제 2 사용자 단말(220)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대해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여 영상에 포함된 얼굴을 인식하고, 해당 얼굴이 포함된 이미지들을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선택된 프레임 내에 정렬시킬 수 있다.
얼굴 인식은 Open Computer Vision Library(OpenCV), Clova Face Recognition(CFR) 등 인공지능 기반의 다양한 API 또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행사 운영 서버(400)의 프로세서가 제 1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100장의 이미지를 수신하였고, 100장의 이미지에 제 2 사용자의 얼굴이 포함된 이미지가 15장인 상황을 가정한다. 제 2 사용자가 자신의 얼굴을 포함시켜 추모 영상 또는 인터뷰를 작성하여 보냈다면, 행사 운영 서버(400)의 프로세서는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추모 영상에서 제 2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100장의 이미지 중 제 2 사용자의 얼굴이 포함된 15장의 이미지를 프레임 내에서 정렬할 이미지로 선택할 수 있다.
행사 운영 서버(400)의 프로세서는 제 2 사용자의 얼굴이 포함된 15장의 이미지를 선택된 프레임 내에 정렬하고, 이후에 추모 영상을 배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고, 선택된 프레임 내에 15장의 선택된 이미지에 이어 추모 영상을 배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온라인 추모관 또는 오프라인 장례식장의 디스플레이에서는 추모 영상에 관련된 인물이 포함된 이미지들이 정렬되어 재생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행사 영상 송출 시스템 100 : 행사 영상 송출 장치
110 : 통신 인터페이스 120 : 프로세서
130 : 메모리 140 : 이벤트 처리부
200 : 사용자 단말들 210 : 제 1 사용자 단말
220 : 제 2 사용자 단말 230 : 제 3 사용자 단말
300 : 디스플레이 장치 310 : 디스플레이부
311 : 영상 출력 화면 312 : 텍스트 출력 화면
313 : 정보 출력 화면 320 : 수신기
330 : 영상 처리기 340 : 디스플레이 메모리
400 : 행사 운영 서버 500 : 네트워크

Claims (15)

  1. 행사 운영 서버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행사 영상 송출 방법으로서,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영상 프레임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프레임 내에서 개시될 이미지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상 제작 요청 및 복수의 요청 대상 사용자 단말들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제작 요청을 상기 복수의 요청 대상 사용자 단말들에 전송하는 단계;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복수의 요청 대상 사용자 단말들 중 하나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복수의 요청 대상 사용자 단말들 중 하나가 아니라면,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영상의 개시 허용 여부에 대한 질의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복수의 요청 대상 사용자 단말들 중 하나이거나,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개시 허용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상기 이미지들 중 적어도 일부의 이미지들을 상기 선택된 프레임 내에서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이미지들 이후에 상기 영상을 배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제 3 사용자 단말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3 사용자 단말의 번호가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의 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 3 사용자 단말의 번호가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의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텍스트 정보의 개시 허용 여부에 대한 질의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텍스트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정 부분에서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개시 허용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정렬된 이미지들 이후에 상기 영상을 배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정렬된 이미지들 및 상기 영상이 재생되도록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개시 거절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을 노출 금지 기기로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상기 영상에 포함된 얼굴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얼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들로부터 상기 선택된 프레임 내에서 정렬할 이미지들을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사 영상 송출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상 대상자의 단말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대상자의 단말로 주요 연락처 정보 수집 요청 신호를 발송하는 단계;
    상기 영상 대상자의 단말로부터 주요 연락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주요 연락처 정보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요 연락처 정보는 상기 영상 대상자의 단말에 기록된 통신 횟수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상기 통신 횟수는 통화기록 및 메신저 앱 사용기록에 기초하여 연산되는,
    행사 영상 송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상 대상자의 단말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대상자의 단말로 주요 장소 정보 수집 요청 신호를 발송하는 단계;
    상기 영상 대상자의 단말로부터 주요 장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주요 장소 정보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요 장소 정보는 상기 영상 대상자의 단말에 기록된 위치의 빈도수 및 해당 위치에 머무른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상기 위치의 빈도수 및 해당 위치에 머무른 시간은 상기 영상 대상자의 단말에 기록된 위치 데이터 및 네비게이션 앱의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행사 영상 송출 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 제 4 항 및 제 5 항의 방법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가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9. 행사 영상 송출 장치로서,
    제 1 사용자 단말, 제 2 사용자 단말 및 제 3 사용자 단말과 통신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영상 프레임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프레임 내에서 개시될 이미지들을 수신하고,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상 제작 요청 및 복수의 요청 대상 사용자 단말들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제작 요청을 상기 복수의 요청 대상 사용자 단말들에 전송하고,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복수의 요청 대상 사용자 단말들 중 하나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복수의 요청 대상 사용자 단말들 중 하나가 아니라면,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영상의 개시 허용 여부에 대한 질의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복수의 요청 대상 사용자 단말들 중 하나이거나,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개시 허용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상기 이미지들 중 적어도 일부의 이미지들을 상기 선택된 프레임 내에서 정렬하되,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상기 영상에 포함된 얼굴을 인식하여, 상기 인식된 얼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들로부터 상기 선택된 프레임 내에서 정렬할 이미지들을 선택하며,
    상기 정렬된 이미지들 이후에 상기 영상을 배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되,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개시 허용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정렬된 이미지들 이후에 상기 영상을 배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정렬된 이미지들 및 상기 영상이 재생되도록 설정하며,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개시 거절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을 노출 금지 기기로 등록하고,
    상기 제 3 사용자 단말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3 사용자 단말의 번호가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의 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 3 사용자 단말의 번호가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의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텍스트 정보의 개시 허용 여부에 대한 질의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여
    수신된 상기 텍스트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정 부분에서 노출되도록 야기하는(cause) 코드들을 저장하는
    행사 영상 송출 장치.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키워드 필터링을 통해 상기 텍스트 정보를 필터링하고, 상기 필터링을 통과한 텍스트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들을 저장하는,
    행사 영상 송출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200087715A 2020-07-15 2020-07-15 행사 영상 송출 방법 및 장치 KR102435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715A KR102435255B1 (ko) 2020-07-15 2020-07-15 행사 영상 송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715A KR102435255B1 (ko) 2020-07-15 2020-07-15 행사 영상 송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243A KR20220009243A (ko) 2022-01-24
KR102435255B1 true KR102435255B1 (ko) 2022-08-23

Family

ID=80050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715A KR102435255B1 (ko) 2020-07-15 2020-07-15 행사 영상 송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52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3161B1 (ko) 2022-09-19 2023-09-26 주식회사 케이온 의학 학회 기획, 운영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764B1 (ko) * 2019-01-18 2019-08-02 고동원 추모영상 제작 및 제공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5520A (ko) * 2018-12-18 2020-06-26 조수영 사이버 추모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사이버 추모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764B1 (ko) * 2019-01-18 2019-08-02 고동원 추모영상 제작 및 제공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3161B1 (ko) 2022-09-19 2023-09-26 주식회사 케이온 의학 학회 기획, 운영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243A (ko) 2022-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01475B2 (en) Mobile image search system
JP6896779B2 (ja) イベント・アーカイビング、システム、及び方法
JP7091504B2 (ja) 顔認識アプリケーションにおけるフォールスポジティブの最小化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8650242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8788587B2 (en) System, method, and product for capturing memories
US2017030078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age object recognition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and object categories
US20150356121A1 (en) Position location-enabled, event-based, photo sharing software and service
EP2767907A1 (en)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system provided with image recognition system
CN102216941A (zh) 用于内容处理的方法和系统
US2022029179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aring content
KR20210035338A (ko) 미디어 컬렉션들의 생성, 큐레이션 및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US10255549B2 (en) Context-based photography and captions
KR102637042B1 (ko) 콘텐츠 아이템들의 재표출을 위한 메시징 시스템
JP6396897B2 (ja) 出席者によるイベントの検索
US1046017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media content that depict objects
KR20230029946A (ko) 이미지들에 대한 여행 기반 증강 현실 콘텐츠
US11297027B1 (en) Automated image processing and insight presentation
KR20230003057A (ko) 콘텐츠의 트렌드 분석을 이용한 메시징 시스템
KR102435255B1 (ko) 행사 영상 송출 방법 및 장치
CN117203676A (zh) 可定制的化身生成系统
US1076919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media content that depict objects
US20160179901A1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lective Contextual Exposure Within Social Network Situations
KR102245380B1 (ko)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48409B1 (ko)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11379484B1 (en) Event and/or location based media capture and upload platform based on a URL or a link associated with a machine-readable optical lab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