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5380B1 -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5380B1
KR102245380B1 KR1020200111876A KR20200111876A KR102245380B1 KR 102245380 B1 KR102245380 B1 KR 102245380B1 KR 1020200111876 A KR1020200111876 A KR 1020200111876A KR 20200111876 A KR20200111876 A KR 20200111876A KR 102245380 B1 KR102245380 B1 KR 102245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eral
obituary
information
decease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경수
노준래
Original Assignee
노경수
노준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경수, 노준래 filed Critical 노경수
Priority to KR1020200111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3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K9/002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04N21/2223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being a public access point, e.g. for downloading to or uploading from cl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고인의 사진 또는 동영상을 업로드하여 빈소안내 디스플레이 및 추모영정 디스플레이에 사진 또는 동영상이 출력되도록 하고, 장례식장의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로 부고문자를 전송하는 관리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과 빈소안내 디스플레이 및 추모영정 디스플레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관리자 단말로부터 고인 정보, 장례기간 및 장례식장 호수가 입력되는 경우, 장례기간 동안 장례식장 호수에 기 매핑된 추모영정 디스플레이에 사진 또는 동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장례기간 동안 빈소안내 디스플레이에 사진 또는 동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관리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고인 정보, 장례기간 및 장례식장 호수를 포함하는 장례식장의 정보를 기 저장된 부고문자 포맷에 자동입력하여 부고문자를 생성한 후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부고알림부를 포함하는 장례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FUNERAL ARRANGEMENT SERVICE USING ONE-STOP FUNERAL PARLOR MANAGEMENT AND OBITUARY}
본 발명은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장례식장 관리자의 데이터 업로드 및 전송 과정을 디스플레이 연동 및 플랫폼화로 자동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조라는 전통적인 양습이 상조서비스업이라는 상업적 형태로 자리잡은 것이 현재의 상조업이며, 이를 통한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사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것이 상조회사라 할 수 있다. 현재의 상조업은 약정한 금액을 분할 납부한 가입자가 상을 당하면 장례용품 일체와 차량, 인력을 지원해 장례를 돕는 업무를 수행하는 사업으로 급성장 하였으며 고객불입금 잔고 약 9천억 정도의 규모로 성장하였다. 또한 비영리단체에 의한 공제의 성격과 유사한 상품과 더불어 현재에는 영리성을 목적으로 하는 상법상의 상조회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상조업 조직과 경영자는 나름대로의 새로운 산업을 우리사회에 근착시키고 중흥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때, 영정사진을 디스플레이에 업로드하고 부고문자를 자동으로 보내는 플랫폼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4-0020555호(2014년02월19일 공개) 및 한국공개특허 제2009-0001468호(2009년01월09일 공개)에는, 장례식이나 고인의 기일에 유족이나 친지 혹은 조문객들에게 고인의 영정사진틀을 통해 고인의 사진이나 생전의 모습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유족이나 혹은 조문객들에게 고인의 생전 모습이나 음성을 보고 들을 수 있는 영정 사진틀을 이용한 영정사진 또는 동영상 데이터 디스플레이 구성과, 장례에 관한 정보와 망자 및 유가족의 정보를 저장하고, 접속된 휴대단말기 내의 주소록을 다운로드하거나 직접 입력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며, 선정된 조문객의 휴대단말기에 부고를 발송하며, 조문객이 접속하여 빈소 정보를 알 수 있도록 장례 정보가 사이트에 업로드되고, 온라인 거래에 의해 조의금을 결제하는 온라인금융거래부로 구성된 것이며, 휴대단말기에 수록된 주소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지정된 다수의 상대방에게 동시에 다량의 부고를 발송할 수 있고, 부고를 받은 조문객은 온라인금융거래에 의해 조의금을 송금할 수 있으며, 애도의 문자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어 부고를 용이하게 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은 상주나 유가족을 위한 구성일 뿐, 장례식장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업무를 자동화하는 구성이 아니다. 장례식장 내부에는 빈소안내 디스플레이와 추모영정 디스플레이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데, 장례식장 관리자가 직접 고인의 사진을 각각 등록해야 하고, 하나의 장례식장 안에 복수의 장례식장 호수가 존재하기 때문에 다수의 사진을 업로드하는 것은 비효율적이고 관리하기에도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또, 상주나 유가족들은 상을 당한 상태로 장례를 준비하는 것도 쉽지 않은데 부고문자까지 일일이 보내야 하는 부담이 있는데, 다량의 부고를 동일 포맷으로 발송하는 경우 각 상주 및 유가족과, 고인 간의 관계가 서로 다름으로 인하여 호칭이 달라지는 문제가 존재하기 때문에 또 이를 일일이 수동으로 설정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이에, 장례식장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동일한 업무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처리를 해줄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인의 사진을 등록하는 경우 추모영정 디스플레이는 물론, 빈소안내 디스플레이 및 종합상황판(Panel)까지 자동으로 연동되어 등록되도록 설계하고, 부고문자도 상주 및 유가족과, 고인 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기 설정된 부고문자 포맷에 각 관계가 입력되기만 하면 자동으로 관계호칭으로 변환 및 입력하여 한 번에 부고문자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며, 고인의 사진을 마련할 때에도 기 등록된 고인의 사진을 자동으로 프린터를 제어하여 인쇄하도록 함으로써 상주 및 유가족 뿐만 아니라, 관리자의 인력 및 시간 낭비를 막고 단순반복업무에 에너지를 쏟지 않아도 되도록 자동화할 수 있는,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인의 사진 또는 동영상을 업로드하여 빈소안내 디스플레이 및 추모영정 디스플레이에 사진 또는 동영상이 출력되도록 하고, 장례식장의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로 부고문자를 전송하는 관리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과 빈소안내 디스플레이 및 추모영정 디스플레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관리자 단말로부터 고인 정보, 장례기간 및 장례식장 호수가 입력되는 경우, 장례기간 동안 장례식장 호수에 기 매핑된 추모영정 디스플레이에 사진 또는 동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장례기간 동안 빈소안내 디스플레이에 사진 또는 동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관리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고인 정보, 장례기간 및 장례식장 호수를 포함하는 장례식장의 정보를 기 저장된 부고문자 포맷에 자동입력하여 부고문자를 생성한 후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부고알림부를 포함하는 장례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고인의 사진을 등록하는 경우 추모영정 디스플레이는 물론, 빈소안내 디스플레이 및 종합상황판(Panel)까지 자동으로 연동되어 등록되도록 설계하고, 부고문자도 상주 및 유가족과, 고인 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기 설정된 부고문자 포맷에 각 관계가 입력되기만 하면 자동으로 관계호칭으로 변환 및 입력하여 한 번에 부고문자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며, 고인의 사진을 마련할 때에도 기 등록된 고인의 사진을 자동으로 프린터를 제어하여 인쇄하도록 함으로써 상주 및 유가족 뿐만 아니라, 관리자의 인력 및 시간 낭비를 막고 단순반복업무에 에너지를 쏟지 않아도 되도록 자동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장례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100), 장례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빈소안내 디스플레이(500) 및 추모영정 디스플레이(6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장례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장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빈소안내 디스플레이(500), 및 추모영정 디스플레이(6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장례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빈소안내 디스플레이(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100), 장례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추모영정 디스플레이(6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관리자 단말(100), 지인 단말(400), 장례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빈소안내 디스플레이(5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100)은,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장례식장을 관리하는 장례식장 직원, 관리자, 관계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100)은 장례를 관리할 때 적어도 하나의 유가족 단말(400)로부터 고인 정보, 유가족과 고인 간의 관계, 부고문자를 보낼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부를 입력받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유가족 단말(400)의 클라우드 계정을 등록하여 고인 사진을 검색 및 추출되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장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장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관리자 단말(100)로부터 고인 정보, 적어도 하나의 유가족 단말(400)의 정보 등을 입력받고 적어도 하나의 빈소안내 디스플레이(500) 및 적어도 하나의 추모영정 디스플레이(600)로 고인의 정보와 사진이 자동으로 연동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장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유가족 단말(4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부고문자를 생성 및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장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400)은,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부의문자를 받는 상주를 포함한 유가족의 지인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빈소안내 디스플레이(500) 및 적어도 하나의 추모영정 디스플레이(600)는,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고인 정보 및 고인 사진이나 동영상을 자동으로 연동되도록 업로드하는 출력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빈소안내 디스플레이(500) 및 적어도 하나의 추모영정 디스플레이(6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빈소안내 디스플레이(500) 및 적어도 하나의 추모영정 디스플레이(6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빈소안내 디스플레이(500) 및 적어도 하나의 추모영정 디스플레이(6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장례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장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장부(310), 제어부(320), 부고알림부(330), 자동관계파악부(340), 클라우드관리부(350), 스트리밍부(360) 및 조의금정산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례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빈소안내 디스플레이(500) 및 적어도 하나의 추모영정 디스플레이(600)로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400), 적어도 하나의 빈소안내 디스플레이(500) 및 적어도 하나의 추모영정 디스플레이(600)는,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400), 적어도 하나의 빈소안내 디스플레이(500) 및 적어도 하나의 추모영정 디스플레이(6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저장부(310)는, 관리자 단말(100)과 빈소안내 디스플레이(500) 및 추모영정 디스플레이(600)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는, 복수의 장례식장을 본 발명의 장례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관리하기 때문에, 각 장례식장 관리자의 단말인 관리자 단말(100)과, 각 장례식장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의 종류 및 위치 등을 미리 저장해두어야 이후 장례식장에서 장례가 진행될 때 관리자는 장례식장 호수와 고인 정보만 입력하면 각 디스플레이가 연동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장례식장에는 일반적으로 몇 층에 몇 호실에 어느 고인이 있는지를 알려주는 종합상황판과, 고인과 유가족 간의 관계와 고인의 상세정보, 예를 들어, 나이, 이름 등의 정보와, 상주를 포함한 유가족의 관계를 상세히 표시한 빈소안내 디스플레이(600)가 존재하고, 추모영정 디스플레이(600)는 영정사진이 표시되는 빈소 안에 위치하거나 키오스크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렇듯 다양한 디스플레이가 존재하는데, 일반적인 장례식장은, 각 디스플레이에 동일한 정보를 계속하여 반복적으로 넣어야 했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한 번만 정보를 업로드하면 각 디스플레이가 연동하여 해당 정보에 엑세스하고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저장부(310)는 각 장례식장에 식별코드를 부여하고, 한 장례식장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의 종류, 위치 및 식별부호를 부여하며, [장례식장-디스플레이 식별부호]가 일대다로 저장됨으로써, 이후 각각의 종류의 디스플레이를 자동으로 식별하고, 각각을 연동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320)는, 관리자 단말(100)로부터 고인 정보, 장례기간 및 장례식장 호수가 입력되는 경우, 장례기간 동안 장례식장 호수에 기 매핑된 추모영정 디스플레이(600)에 사진 또는 동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장례기간 동안 빈소안내 디스플레이(500)에 사진 또는 동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100)은, 고인의 사진 또는 동영상을 업로드하여 빈소안내 디스플레이(500) 및 추모영정 디스플레이(600)에 사진 또는 동영상이 출력되도록 하고, 장례식장의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로 부고문자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추모영정 디스플레이(600)는 각 장례식장의 호수에 대응하는 식별코드를 가지고 각 장례식장의 호수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대부분, 추모영정 디스플레이(600)는, 각 장례식장의 공간 앞에 존재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각 장례식장의 호수(방 번호)에 맞게 저장이 되지 않으면, 이후 고인 정보가 들어왔을 때 각 디스플레이를 찾아서 매핑해주는 과정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호수별로 관리하거나 호수와 식별부호를 매핑하여 저장함으로써 이후 한 번의 입력으로도 복수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부고알림부(330)는, 관리자 단말(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고인 정보, 장례기간 및 장례식장 호수를 포함하는 장례식장의 정보를 기 저장된 부고문자 포맷에 자동입력하여 부고문자를 생성한 후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로 전송할 수 있다. 부고문자는, 대략적으로, "000(직위) 님의 별세를 알려드립니다. 망자 : (모친, 부친 등의 보호자), 일시 : 0월 0일, 발인 : 0월 0일 (지역명) 00장례식장 00호실"의 포맷을 가지고 있고, 망자와의 관계는 이하의 자동관계파악부(340)에서 추출되고, 장례식장과 호실 정보는 각 장례식장의 관리자인 사용자가 미리 넣어두었을 것이므로, 이를 각 데이터를 추출한 후 지인의 전화번호로 보낼 수 있게 된다.
자동관계파악부(340)는, 적어도 하나의 유가족 단말로부터 관리자 단말(100)을 경유하여 고인의 유가족 이름 및 관계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관리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가족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경우, 유가족별 고인과의 관계에 따라 서로 다른 호칭이 입력되도록 부고문자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인이 장모이고, 사위의 단말에서 전화번호를 수신한다고 가정하면, 사위는 고인의 전화번호를 "장모님"으로 저장했을 것이고, "장모"라는 단어에서 그 관계를 파악할 수가 있다. 이때, 장모님을 높여 부르는 것이 "빙모"이기 때문에, 사위의 단말에서 추출된 전화번호로 부고문자를 보낼 때는 "빙모상"이라는 단어가 들어가야 한다. 또는, 유가족 B의 전화번호에 고인이 "할머니"로 저장된 경우에는, B의 지인들에게는 "조모상"으로 부고문자를 보내야 한다. 마찬가지로, 아버지인 경우 부친상, 어머니인 경우 모친상, 할아버지인 경우 조부상, 외할아버지는 외조부상, 외할머니는 외조모상, 장인은 빙부상, 형제자매의 경우 형제상 등의 단어가 들어가야 한다. 이와 같이, 각 관계별로 상(喪)의 종류(명칭)을 저장하고, 부고문자에 지정된 자리에 파악된 관계에 따라 상의 종류를 자동으로 넣어 유가족의 지인에게 부고문자를 보낼 수 있다.
클라우드관리부(350)는, 고인의 사진 또는 동영상이 입력되는 경우, 고인의 얼굴 특징점을 추출하여 얼굴 인식을 수행하여 탐지 객체로 지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유가족의 적어도 하나의 유가족 단말의 클라우드에 엑세스하여, 클라우드 내 적어도 하나의 사진 또는 동영상 중 고인의 얼굴 특징점을 가지는 사진 또는 동영상을 추출하고, 추모영정 디스플레이(600)에 순차적 또는 랜덤으로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개인의 사진 및 비디오는 이벤트의 순차적인 활동의 기록물이다. 사진 및 비디오를 요약하는 효과적인 방법은 이를 이벤트로 분류한 다음 각 이벤트에서 주요 사진을 선택하는 것이다. 연속된 프레임으로 구성된 비디오 보다 개인의 사진 컬렉션에서 이벤트를 구분해 내는 것은 이벤트 경계를 불분명하게 만드는 노이즈 이미지들로 인해 더욱 어렵다. 일반적인 포토 컬렉션 요약 기법들은 주로 시간과 위치 정보를 활용하는 컨텍스트-기반 세그멘테이션과 이미지의 색상, 질감, 명도 등과 같은 콘텐츠-기반 세그멘테이션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는 이벤트 세그멘테이션을 이용함으로써 고인의 사진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벤트 세그멘테이션을 설명한다. 시간은 이벤트를 구분하는데 있어서 매우 유용한 정보이다.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날에는 다량의 사진이 찍힌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하위이벤트의 사진은 비교적 짧은 시간안에 찍힌다. 이벤트 감지를 위해, 사진의 타임스탬프간 유사성에 기반하여 이벤트를 구분하는데, 이벤트 경계는 높은 Intra-class 시간 유사성과 낮은 Inter-class 유사성으로 두 개의 인접한 사진 그룹을 분리한다. 시간에 따라 사진이 찍히는 패턴을 통해 클러스터를 생성하고 분할하여 이벤트를 구분할 수 있다. 또는, 시간과 GPS 정보를 이용하여 이벤트 세그멘테이션을 수행할 수도 있다. 초기 세그먼트는 시간과 공간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생성한 다음 유사한 공간에 속한 사진들끼리 클러스터링하여 최종 이벤트 구조를 만든다. 또는, 타임스탬프와 얼굴, 색상 등의 콘텐츠 그리고 카메라 설정을 포함하는 멀티모달 속성을 이용하여 확률론적 접근법을 이용할 수도 있고, 시간과 사물, 장면 등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에서 훈련된 속성을 추출한 후 이벤트 분류자로 식별하는 계층적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대표 사진 선정 방법을 설명한다. 각각의 분할된 이벤트 내에서 대표성을 갖는 핵심사진을 선택하여 사진 컬렉션을 요약하는 방법인데, 대표 사진으로 각 이벤트에서 타임스탬프가 가장 빠른 사진을 선정할 수도 있고, 사진에서 검출된 얼굴의 면적과 시간 간격 기준을 적용하여 대표사진을 선정할 수도 있다. 현재 이벤트에서 최대 사전 확률(Maximum priori probability)을 가진 사진을 대표사진으로 선택할 수도 있고, 품질, 대표성 및 인기도 특징의 조합으로 순위 매기는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도 있다. 명도, 색상, 대상영역의 크기, 대비 등 콘텐트 속성을 추출하여 AVA 데이터셋에서 훈련된 분류자로 미학적 품질을 평가하고, 대표성은 이벤트에 사진이 속할 확률 값을 사용하며, 인기도는 단일 이벤트내에 유사한 이미지 수가 많은 사진을 측정하여 평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클라우드관리부(350)는, 감정요소를 추가하여 대표사진을 선정하여 자동으로 고인의 영정사진 또는 추모사진을 생성할 수 있다. 시간 혹은 위치 정보의 누락, 연속된 사진 프레임 사이에 섞여있는 관련 없는 사진 등은 사진 컬렉션에서 이벤트(혹은 하위 이벤트)를 구분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시간, 위치, 고수준 콘텐츠 속성 및 감정 속성을 추출하여 세그멘테이션하는 확률론적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첫 번째 단계는, 사진 속성(Features) 추출하는 단계이다. 시간, 위치, 색상 및 CNN과 감정의 멀티모달 속성이 사진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사진을 촬영하는 순간 시간과 초점거리 등과 같은 메타데이터는 표준 이미지 헤더 EXIf(EXchangeable Image file) 포맷으로 저장된다. 메타데이터로부터 시간과 위치 정보를 사진의 콘텐츠로부터 색상, 사물 및 감정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시간인 Time은, EXIf 헤더로부터 타임스탬프를 추출하여 얻을 수 있고, 위치인 Location은 Exif 헤더의 GPS 정보로부터 위도와 경도를 추출할 수 있으며, 색상인 Color는, N 픽셀을 가진 이미지 x에 대해 RGB 색 공간에서 64차원의 컬러 히스토그램 H(x) = [h1, h2 , …, h64]을 만들어 추출할 수 있다. 이때, CNN은, 머신러닝 오픈소스 라이브러리인 TensorFlow를 활용하여 이미지에서 2048-차원의 속성을 추출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다. Inception-v3 모듈은 120만개 이미지를 가지고 ILSVRC-2012 훈련데이타로 학습되었고 ImageNet 데이터베이스에서 1,000개 카테고리를 구별할 수 있다. Inception 모듈의 마지막 층인 Softmax layer를 제외하고 2048-차원의 속성을 구한다. 이때, CNN 속성이 전체 이미지 특성을 결정하지 않도록 PCA를 적용하여 128-차원으로 축소할 수 있다.
감정인 Emotion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의 Congnitive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해당 프로그램은, 안면 인식과 감정 인식을 위한 Face API, Emotion API 등을 제공한다. Face API는 이미지에서 안면 사진을 감지하고 기계학습을 통해 동일인인지 여부를 신뢰도 점수로 반환한다. Emotion API는 사용자의 안면 사진을 분석하여 행복, 놀람, 두려움, 슬픔, 역겨움, 경멸, 화남, 무표정의 8개의 감정을 0~1 사이의 신뢰도 점수로 제공한다. 감정 속성을 추출하기에 앞서 사진 컬렉션에서 중요 인물의 얼굴을 등록하여 훈련시킨다. 4명의 인물에 대한 감정을 추출한다면 감정값은 32-차원(4명*8종)의 속성이 되고, 얼굴이 인식되지 않는 사진이라면 32-차원의 감정 속성은 모두 0이 된다.
두 번째 단계는 이벤트 세그멘테이션 단계이다. 각 사진 xi ∈ X = {x1, x2,...xN}은, 하나의 알려지지 않은 잠재 클래스 - 이벤트 ej ∈ E = {e1, e2,...eK}에 속한다. N은 사진의 수이고 K는 이벤트의 수이다. 사진 xi가 이벤트 ej로부터 생성될 확률은 p(xi|ej)로 나타낼 수 있다. 사진을 시간(T), 위치(L), 색상(C), 사물(O), 감정(E)의 5개의 속성 벡터로 표현한다. 사진의 모든 속성은 서로 독립적이라고 가정하면 이하 수학식 1과 같이 가우시안 혼합 모델로 정의할 수 있다. 동일한 이벤트에 있는 사진은 멀티모달 속성 공간에서 동일한 분포를 공유한다.
Figure 112020093008411-pat00001
이때, xi=(xi,1, xi,2,...xi,L)이고, xi,l은 사진 xi의 l 번째 메타데이터이고, L = 5인 속성벡터의 수이다. 각 xi,l 요소는 가우시안 분포에 의해 생성된다. 가우시안 분포의 파라미터는 최대우도법(Maximum Likelihood method)에 의해 추정될 수 있다. 잠재변수인 이벤트에 대해 로그가능도는 이하 수학식 2와 같이 공식화할 수 있고, 기댓값-최대화 (Expectation-Maximization)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훈련시킨다.
Figure 112020093008411-pat00002
EM 알고리즘으로 파라미터를 최적화하기에 앞서 이벤트 수를 미리 정의하여야 한다. 문제를 단순화 하기 위해 Rule of thumb에 따라 수학식 3과 같이 이벤트 수 k를 구할 수 있다. 클러스터 개수는 입력된 오브젝트의 절반 값의 제곱근으로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20093008411-pat00003
이때, N은 사진의 개수이다. 파라미터 초기 값은 K-means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그런 다음 E-step에서 최대가능도가 계산된다. M-step 단계에서 이벤트 ej의 사후확률을 계산하고 로그가능도 함수를 최대화하는 새로운 파라미터 값을 선정한다. E-step과 M-step을 수렴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반복한다.
세 번째 단계는 대표 사진 선정 단계이다. K개 이벤트 클러스터 중 각 이벤트 ej 에서 가장 높은 최대 확률 p(xi|ej)를 갖는 사진 xi는 해당 이벤트의 대표사진으로 간주될 수 있다. 즉, 가우시안 분포의 중심에 해당하는 사진을 대표사진으로 선정한다. 이렇게 각 이벤트로부터 고인의 사진을 선정하는 경우, 사람이 직접 고인의 사진을 찾고 열거하는 과정이 없을지라도 자동으로 추출될 수 있다. 특히, 각 유가족들이 가진 고인의 사진은 서로 다른 속성과 타임 스탬프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모두 종합하기에는 시간이나 여력이 부족한데, 이를 통하여 자동화하는 경우 추모영상을 별도로 만들지 않아도 사진을 이용하여 추모영상을 자동으로 만들 수 있고 장례식에서도 고인을 기리는 시간도 마련해볼 수 있다.
스트리밍부(360)는, 장례식장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CCTV로부터 장례식장을 촬영한 촬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의 불참 단말(미도시)에서 엑세스하는 경우 실시간 스트리밍되도록 제어하며, 장례식이 끝난 이후에는 촬영 데이터를 저장하여 적어도 하나의 유가족 단말(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스트리밍부(360)는 관리자 단말(100) 또는 관리자 단말(100)과 연동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예를 들어, CCTV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업로드받아 실시간으로 적어도 하나의 불참 단말 또는 유가족 단말로 스트리밍할 수 있다. 이때, 실시간 스트리밍 링크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실시간 스트리밍 링크는, HTML5 기반 링크일 수 있다. 여기서, HTML5는, 웹문서 표준인 HTML(Hyoer Text Markup Language)의 최신 규격으로 문서 작성 중심에서 그림, 동영상, 음악 등을 실행하는 기능이 포함되었다. HTML5는 플러그인 기반의 액티브 엑스(Active-X), Flash 와 같이 프로그램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발생한 문제는 대부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이때, 종래의 HTML 표준과 HTML5의 가장 큰 차이점은 시맨틱 마크업을 지원하는 점과 추가적인 API를 제공하는 점이다. 시맨틱 마크업은 웹 문서를 의미적으로 구조화 할 수 있는 새로운 요소이다. 예를 들어, 문서의 내용을 머리말, 본문, 꼬리말로 구분할 수 있도록 <head>, <section>, <footer> 라는 요소로 문서를 작성하게 되면, 문서의 내용을 구조적으로 명확히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HTML5에서는 다양한 API를 제공한다. HTML5에서 제공하는 API는 2차원 그래픽을 지원하거나, 디바이스의 지리적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는 등 웹 애플리케이션에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HTML5는, 웹 페이지를 만들 때 사용이 되는 마크업 언어로 하이퍼링크와 텍스트로 표시하던 HTML을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까지 표현하고 제공할 수 있다. HTML5는 웹 문서 구조 설계를 위한 마크업 언어인 HTML, 디자인 표현을 위한 CSS, 인터랙티브한 동작을 표현하기 위한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기존의 HTML의 태그에 새로운 태그들이 더 추가될 수 있으며, 콘텐츠들을 담기 위한 구조로 개선되어 플랫폼의 역할까지도 수행할 수 있다. 또, HTML5는 모바일 웹을 위한 표준은 아니지만, 앞서 설명한 여러 기능 중에서 모바일 웹의 구현에 필요한 기능들을 다수 제공해 주고 있다. 2차원 그래픽, 오디오, 다양한 웹 폼 등은 모바일 웹의 UI(User Interface)를 풍부하고 다양하게 해줄 수 있다. 즉, 모바일 웹 환경에서도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동적인 상호작용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모바일 웹 환경에서는 모바일 환경의 특성상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는 환경이 자주 발생하지만, 이러한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있는 것이 웹 클라이언트의 캐시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거나 로컬에 DB를 저장하여 SQL문으로 질의할 수 있다.
또는, SaaS(Software as a Servcie)를 이용할 수도 있는데, SaaS는 인터넷 어디에서든 쉽게 이용할 수 있고, 웹브라우저만 있으면 어디서든 접근할 수 있다. 이때, 가맹점의 요구사항에 따라 BaaS(Backend as a Service)를 더 추가할 수도 있다. 물론, 인프라나 플랫폼 자체가 구비되지 않은 가맹점의 경우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로 서버 운영에 필요한 서버자원, IP, Network, Storage, 전력 등 여러 인프라 자원을 탄력적이고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 IaaS는 자원을 쉽게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으며 운영체제를 제공하므로 친숙한 환경이 주어질 수 있다. 또, PaaS(Platform as a Service)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안정적인 환경과 그 환경을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API까지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PaaS는 간편하게 원시코드를 빌드 및 배포할 수 있으며 사용량에 따라 스케일 아웃(Scale Out)을 하기 용이하다. BaaS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서비스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기 힘든 회원관리 및 푸시, 파일 처리 등 서버 측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PaaS의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고 제공되는 백앤드 모듈을 REST API나 라이브러리 CALL을 통해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스트리밍부(360)는, QoE(Quality of Experience)를 보장하기 위하여 HTTP 적응적 스트리밍(HTTP Adatptive Streaming)을 이용할 수 있다. HTTP 적응적 스트리밍을 위해 스트리밍부(360)는, 촬영한 동영상을 다양한 품질을 가지도록 세그먼트 형태로 인코딩할 수 있다. 세그먼트와 동영상에 관한 정보는 스트리밍부(360)에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은 실시간 스트리밍을 할 때에 스트리밍부(360)로 MPD 파일을 요청할 수 있다. 불참 단말은, 원격지에 있거나 다른 나라에 있는 경우일지라도 실시간으로 장례식장을 촬영한 영상을 볼 수 있고, MPD 파일에 기술된 세그먼트에 관한 정보와 네트워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다음 세그먼트를 요청한다. HTTP 적응적 스트리밍은 요청할 비디오 세그먼트의 품질을 네트워크 상황에 맞춰 적응적으로 결정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끊김 없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HTTP 적응적 스트리밍에서 대역폭을 정확하게 예측하지 못할 경우 다음 세그먼트를 요청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실제 대역폭보다 더 크게 대역폭을 예측하였을 경우 네트워크 상황에 맞는 품질보다 더 높은 품질의 세그먼트를 다운로드하여 버퍼 소모량이 증가하고 재생 끊김의 확률이 증가한다. 대역폭을 실제 대역폭 보다 더 작게 예측하였을 경우 요청 가능한 품질보다 낮은 품질의 세그먼트를 다운로드하게 되어 대역폭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한다. 대역폭이 빈번하게 변하는 경우 불필요한 품질 변경이 발생하여 QoE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HTTP 적응적 스트리밍의 QoE 향상을 위한 변동 패턴 인지형 대역폭 예측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트리밍부(360)는 대역폭의 변동 패턴에 최적화된 대역폭 예측을 하여 QoE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스트리밍부(360)는 대역폭 변동이 빈번한 경우 일정한 품질을 요청할 수 있도록 대역폭을 예측할 수 있다. 스트리밍부(360)는 대역폭의 변동이 빈번하지 않은 경우 정확한 예측을 위해 네트워크 가용 대역폭의 변화에 대한 반응성을 조절하여 대역폭을 예측할 수 있다. 스트리밍부(360)는, 대역폭 변동 패턴을 대역폭 변동이 빈번한 Short-term fluctuation 패턴과 대역폭의 변동이 빈번하지 않은 Long-term fluctutation 패턴으로 구분할 수 있다. 대역폭의 변동 패턴을 구분하기 위해 한 세그먼트를 다운로드 받는 동안 짧은 구간을 설정하여 구간별로 실제 대역폭(sTPj i)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실제 대역폭(sTPj i)을 서브 다운로드 동안의 대역폭이라고 정의하고 이하 수학식 4과 같이 측정할 수 있다.
Figure 112020093008411-pat00004
i는 다운로드 받고 있는 세그먼트의 인덱스(Index, i), j는 서브 다운로드 구간의 인덱스를, T는, 서브 다운로드 구간의 길이를 의미하며, sSi는 T 동안의 처리량을 의미한다. 대역폭 변동의 정도를 나타내는 Fluctuation Factor(FF)는 이하 수학식 5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20093008411-pat00005
x는 대역폭 변동 패턴 구분에 반영한 세그먼트의 개수, Di는 i 번째 세그먼트의 다운로드 시간을 의미한다. 반영하는 세그먼트의 개수를 늘릴 수록 대역폭 변동 패턴을 구분하는 정확도가 향상되지만 구분하기 위해 걸리는 시간이 늘어나 실시간성이 떨어지는 트레이드 오프가 발생한다. Fluctuation Factor(FF)가 설정한 임계값보다 클 경우 Short-term fluctuation 패턴이라고 판단한다. Short-term fluctuation 패턴에서 변하는 대역폭에 맞춰 대역폭을 예측할 경우 불필요한 품질 변경이 발생하여 QoE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대역폭 예측 시 버퍼 점유량을 고려하지 않고 품질을 조절하기 때문에 재생 끊김 현상이 발생한다. 불필요한 품질 변경을 막기 위해 일정한 품질의 세그먼트를 요청할 수 있도록 이하 수학식 6과 같이 대역폭을 예측하기로 한다.
Figure 112020093008411-pat00006
m은 서브 다운로드 구간의 총 개수를 의미하고 TPEi는, i번째 세그먼트를 다운로드 할 때의 예측 대역폭을 의미한다. 수학식 6과 같이 대역폭을 예측하면 불필요한 품질 변경을 막고 버퍼의 소모량을 일정하게 하여 재생 끊김을 최소화할 수 있다. Fluctuation Factor(FF)가 설정한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Long-term fluctuation 패턴이라고 판단한다. Long-term fluctuation 패턴에서는 정확한 대역폭 예측이 중요하다. 실제 대역폭보다 더 크게 대역폭을 예측하였을 경우 네트워크 상황에 맞는 품질보다 더 높은 품질의 세그먼트를 다운로드하여 버퍼 소모량이 증가하고 재생 끊김의 확률이 증가한다. 실제 대역폭보다 더 작게 대역폭을 예측하였을 경우 요청 가능한 품질보다 낮은 품질의 세그먼트를 다운로드하게 되어 대역폭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낮은 품질의 세그먼트가 버퍼에 많이 쌓이게 되어 품질 변경까지의 딜레이가 길어지고 평균 품질이 낮아져 QoE가 저하된다. Long-term fluctuation 패턴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네트워크 가용 대역폭의 변화에 대한 반응성을 조절하여 이하 수학식 7와 같이 대역폭을 예측한다.
Figure 112020093008411-pat00007
α, β는 반응성을 결정하는 파라메터이며 TPi는 이하 수학식 8와 같이 i번째 세그먼트의 크기 Si와 다운로드 시간 Di를 이용하여 측정된 대역폭이다. 대역폭이 감소하는 추세일 경우 α값을 증가시켜 이전 대역폭 값을 반영하는 비율을 높인다. 대역폭이 증가하는 추세일 경우 β값을 증가시켜 현재 측정된 대역폭 값을 반영하는 비율을 높인다.
Figure 112020093008411-pat00008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네트워킹 자원 뿐만 아니라 컴퓨팅 자원의 가용량까지 고려하여 유동적인 전송률을 결정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의금정산부(370)는,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에서 조의금 이체를 수행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의 지인이 어느 유가족의 지인인지를 파악하고, 파악된 유가족의 유가족 단말로 이체된 내역 및 지인의 이름을 리스트업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인이 어머니인 유가족 A,B,C가 있고, A,B,C 모두 전화번호부를 제공했다고 가정하면, [A-전화번호부(1)....전화번호부(N)]과 같이 수집이 되기 때문에, 전화번호(N)을 남기면서 이체를 수행하는 경우, 전화번호부(N)으로부터 A를 추출해내고, 각 유가족별로 부의금을 정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조의금정산부(370)는, 이하 표 1과 같이 정리된 내역의 명세서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나열된 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열거되지 않은 내역이나 항목도 존재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항목 세부항목 품목
장례식장비용 장례식장 사용비용 빈소료, 안치료, 염습비, 수시비, 영결식장료, 일반관리비(전화사용료, 청소비)
장례용품비용 수의, 관, 입관부속품(칠성판, 명정, 염포 등), 기타비용(상복)
조문객 접대비용 식사접대관련비용(식사, 전, 떡 등), 편의점 관련비용(일반음료, 주류, 과일 등)
제수용품비용 상식, 성복제, 발인제, 상우제 등
제단장식비용 기본, 고급 제단장식, 헌화 꽃송이 영정사진 등
묘지관련비용 공설묘지사용비용 묘지사용료, 관리비, 부대시설비
사설묘지사용비용
화장 및 봉안 관련비용 화장시설 비용 화장비용(관내, 관외 차등 요금)
사설봉안시설 비용
공설봉안시설 비용
유골함, 시설사용료 및 관리비
이때, 장례비 부담은 조리에 비추어볼 때 민법에 규정된 상속순위에 따라 가장 선순위에 놓인 자들이 각 법정상속분의 비율에 따라 부담하는 것이 원칙이고, 1순위 상속인들 가운데 특정상속인이 상속을 포기했다고 할지라도 장례비부담의 의무가 면제되지 않는다. 장례비용은 상속재산의 일부로 취급되어 상속재산분할절차에서 고려되는 것이 사실이지만, 장례비용의 부담은 상속에 근거를 두는 것이 아니라, 망인과 친족관계에서 비롯되는 것이 타당하다. 특별히 1순위 상속인들의 장례비 부담의무는 상속인들이 피상속인으로부터 양육을 받아왔다는 점에서 상속여부와 관계없이 인정된다. 이에 따라, 부의금의 성질을 장례비에 충당될 것을 전제로 한 금전의 증여로 봐서 접수된 부의금 금액이 상속인 또는 상속인이 아닌 가족(부의금 피교부자) 별로 다르더라도 금원은 장례비에 우선 충당되어야 한다. 또, 부의금 피교부자가 후순위상속인이거나 상속자격이 없다고 할지라도 장례비로 충당되어야 한다. 따라서, 조의금정산부(370)는, 부의금의 총 합계액이 장례비에 미치지 못하면, 부의금은 장례비에 모두 충당시키고, 그 나머지 장례비용은 장례비를 부담해야 할 자들 가운데 상속을 받을 경우에 적용될 법정상속분에 따라서 분담할 수 있도록 한다.이때, 조의금정산부(370)는 부의금의 총 합계액이 장례비용을 치르고 남을 경우 부의금의 분배도 부의금 피교부자 별로 접수된 금액의 비율대로 각 금액에서 장례비를 충당하고, 그 나머지 금액은 각 부의금 피교부자별로 귀속되도록 정산하여 그 내역을 제공할 수도 있다. 만약, 각 부의금 피교부자별로 부의금의 금액이 확정되지 못한다면 각 부의금 교부자의 지위에 상관없이 나머지 금액을 균등하게 분배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고인의 사진을 프린트하는 프린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영정 사진이 프린트된 경우 조의금정산부(370)에서 프린트된 사진의 수만큼 자동계산하여 장례식 명세서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장례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장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각 분향소의 디스플레이를 연동시켜 영정사진 분향소 영상을 송출할 수 있고, 행사에 맞는 종교음악을 재생하도록 하며, 발인시 영정사진을 출력해줄 수 있다. 도 3b와 같이 각 디스플레이는 액자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3c와 같이 스캐너와 프린터도 함께 연동될 수 있다. 이때, 각 프린터나 스캐너는 가구나 장식장에 배치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IoT 기반으로 서버(300)와 모두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각 분향소에는 조문객들이 신청한 화환이 제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화환은 대부분 가격대가 높고 환경 문제로 대두되어, 최근 들어 재사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그런데, 사용된 화환에 대해 제대로 재사용 여부를 알리지 않고 판매하는 경우가 많아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도 3d는 이러한 경우를 감안하여 제작된 화환 대체 물품으로서, 화환 이미지를 배너 형식으로 제작한 화환용 배너를 제공할 수 있다.
화환용 배너는 일회용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실물 화환과 유사하게 조문 문구와 조문객 정보를 함께 프린팅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추모영상이 업로드되면 현황판에 고인의 사진이 자동으로 업로드되고, 현황판에 사진을 근무자가 업로드할 필요없이 자동으로 사진이 업로드되어 업무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며, 도 4b와 같이 현황판에 상가저보 입력으로 부고 서비스까지 한 번에 수행할 수 있는 원스톱 장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현황판에 상가정보 입력시에 모바일 부고 서비스가 필요한 유족의 전화번호만 입력하면 한 번에 부고서비스까지 제공되며 근무자(관리자)의 업무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때, 문자나 카톡 중 선택하여 발송할 수도 있고, 부고에 대한 위치 및 모든 정보를 한 번에 전송하고 조의 메세지 등 품격높은 다양한 서비스까지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장례 서비스 제공 서버는, 관리자 단말과 빈소안내 디스플레이 및 추모영정 디스플레이를 매핑하여 저장한다(S5100).
그리고, 장례 서비스 제공 서버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고인 정보, 장례기간 및 장례식장 호수가 입력되는 경우, 장례기간 동안 장례식장 호수에 기 매핑된 추모영정 디스플레이에 사진 또는 동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장례기간 동안 빈소안내 디스플레이에 사진 또는 동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5200).
또, 장례 서비스 제공 서버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고인 정보, 장례기간 및 장례식장 호수를 포함하는 장례식장의 정보를 기 저장된 부고문자 포맷에 자동입력하여 부고문자를 생성한 후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로 전송한다(S5300).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관리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관리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고인의 사진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고인의 정보, 유가족의 정보, 상주 정보, 장례 정보를 업로드하는 장례식장의 관리자 단말과,
    각기 식별코드를 갖는, 특정 고인의 장례 정보에 근거한 장례 기간동안 및 상기 특정 고인에 대응하는 빈소에 추모 영정을 표시하는 추모 영정 디스플레이와, 상기 특정 고인의 고인 정보, 상기 유가족 정보, 상기 빈소의 정보를 포함하여 표시하는 빈소안내 디스플레이와, 상기 장례식장에서 장례를 치르는 복수의 고인에 대한 안내 정보를 종합 표시하는 종합 상황판과,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업로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추모 영정 디스플레이, 상기 빈소안내 디스플레이, 상기 종합 상황판의 표시를 연동 제어하고, 부고 문자를 작성하여 발생하는 장례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되,
    상기 장례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추모 영정 디스플레이, 상기 빈소안내 디스플레이, 상기 종합 상황판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화면 포맷 및 기설정된 부고 문자 포맷이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고인의 사진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고인의 정보, 유가족의 정보, 상주 정보, 장례 정보가 업로드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추모 영정 디스플레이, 상기 빈소안내 디스플레이, 상기 종합 상황판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포맷에 맞춰 상기 고인의 정보, 상기 유가족의 정보 상기 상주 정보를 입력한 화면을, 각기 대응하는 식별코드를 갖는 상기 추모 영정 디스플레이, 상기 빈소안내 디스플레이, 상기 종합 상황판에 표시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부고 문자를 발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설정된 부고 문자 포맷에 상기 고인의 정보, 상기 상주 정보, 상기 장례 정보를 기입한 부고 문자를 생성한 후, 상기 상주 정보에 포함된 전화 번호로 상기 생성된 부고 문자를 발송하는 부고알림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례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유가족 단말로부터 상기 관리자 단말을 경유하여 상기 고인의 유가족 이름 및 관계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가족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경우, 유가족별 상기 고인과의 관계에 따라 서로 다른 호칭이 입력되도록 상기 부고문자를 생성하는 자동관계파악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고인의 사진을 프린트하는 프린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례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고인의 사진 또는 동영상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고인의 얼굴 특징점을 추출하여 얼굴 인식을 수행하여 탐지 객체로 지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유가족의 적어도 하나의 유가족 단말의 클라우드에 엑세스하여, 상기 클라우드 내 적어도 하나의 사진 또는 동영상 중 상기 고인의 얼굴 특징점을 가지는 사진 또는 동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추모영정 디스플레이에 순차적 또는 랜덤으로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클라우드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례 서비스 제공 서버는,
    장례식장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CCTV로부터 장례식장을 촬영한 촬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의 불참 단말에서 엑세스하는 경우 실시간 스트리밍되도록 제어하며, 장례식이 끝난 이후에는 상기 촬영 데이터를 저장하여 적어도 하나의 유가족 단말로 전송하는 스트리밍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례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에서 조의금 이체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의 지인이 어느 유가족의 지인인지를 파악하고, 파악된 유가족의 유가족 단말로 이체된 내역 및 지인의 이름을 리스트업하여 제공하는 조의금정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삭제
KR1020200111876A 2020-09-02 2020-09-02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45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876A KR102245380B1 (ko) 2020-09-02 2020-09-02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876A KR102245380B1 (ko) 2020-09-02 2020-09-02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5380B1 true KR102245380B1 (ko) 2021-04-28

Family

ID=75721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876A KR102245380B1 (ko) 2020-09-02 2020-09-02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53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5452A (ko) * 2021-09-28 2023-04-04 연제홍 온라인 조문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5782A (ko) * 2004-11-19 2006-05-24 영 준 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한 추모영상물 제작 및 제공 서비스 방법
KR20090001468A (ko) * 2007-04-17 2009-01-09 (주)애니파인더 인터넷을 이용한 부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고 방법
JP2010194168A (ja) * 2009-02-26 2010-09-09 Takayuki Amano 葬儀支援システム
KR102006764B1 (ko) * 2019-01-18 2019-08-02 고동원 추모영상 제작 및 제공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5782A (ko) * 2004-11-19 2006-05-24 영 준 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한 추모영상물 제작 및 제공 서비스 방법
KR20090001468A (ko) * 2007-04-17 2009-01-09 (주)애니파인더 인터넷을 이용한 부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고 방법
JP2010194168A (ja) * 2009-02-26 2010-09-09 Takayuki Amano 葬儀支援システム
KR102006764B1 (ko) * 2019-01-18 2019-08-02 고동원 추모영상 제작 및 제공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5452A (ko) * 2021-09-28 2023-04-04 연제홍 온라인 조문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66444B1 (ko) * 2021-09-28 2023-08-10 연제홍 온라인 조문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0875B2 (en) Providing visual content editing functions
US11778028B2 (en) Automatic image sharing with designated users over a communication network
US20210279274A1 (en) Systems and Methods of Building and Using an Image Catalog
US10289273B2 (en) Display device providing feedback based on image classification
CN108416003B (zh) 一种图片分类方法和装置、终端、存储介质
US11829404B2 (en) Functional image archiving
US9412043B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searching and sorting images by aesthetic quality
Felsenstein et al. Local festivals and tourism promotion: The role of public assistance and visitor expenditure
JP6930041B1 (ja) 検索/作成されたデジタルメディアファイルに基づく潜在的関連のあるトピックの予測
O'Sullivan et al. Innovators and innovated: Newspapers and the postdigital future beyond the “death of print”
CN101556617A (zh) 用于将元数据与媒体相关联的系统和方法
CN110678861B (zh) 图像选择建议
CN102779114A (zh) 利用自动规则生成的非结构化数据支持
EP3437015B1 (en) Image action based on automatic feature extraction
WO2022042157A1 (zh) 视频数据的制作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TW201539210A (zh) 個人資訊管理服務系統
US1104838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media feed timelines
KR102245380B1 (ko)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7176188B2 (ja) 情報生成システム、情報生成方法、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
US2021027172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media feed timelines
KR102248409B1 (ko) 원스탑 빈소 관리 및 부고 안내를 이용한 장례 서비스 제공 시스템
Henry Data curation for the humanities
JP2023145312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方法、及びシステム
JP7045515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220036772A (ko) 기관 리포지토리와 연계된 개인기록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