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397B1 - 기관 내 튜브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기관 내 튜브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397B1
KR102590397B1 KR1020210019090A KR20210019090A KR102590397B1 KR 102590397 B1 KR102590397 B1 KR 102590397B1 KR 1020210019090 A KR1020210019090 A KR 1020210019090A KR 20210019090 A KR20210019090 A KR 20210019090A KR 102590397 B1 KR102590397 B1 KR 102590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tube clip
plate
endotracheal tube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9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5286A (ko
Inventor
이덕근
Original Assignee
(주)비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텍코리아 filed Critical (주)비텍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19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397B1/ko
Publication of KR20220115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5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61M16/049Mouthpieces
    • A61M16/0495Mouthpieces with tongue depres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61M16/0497Tube stabiliz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0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secured by using devices worn by the patient, e.g. belt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13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means specifically adapted to a part of the human body
    • A61M2025/02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means specifically adapted to a part of the human body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8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having a mainly rigid support 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신마취에서 시행되는 수술 등에서 인공호흡을 위한 환자의 기도 확보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기관내 튜브(endotracheal tube)를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기관 내 튜브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 선행기술 구성에서 복잡한 구조체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제작이 극히 어렵고 클립부를 나사형태 또는 탄성 압력으로 구성함으로써 수술 중 쉽게 이탈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도록 몸체부(10), 튜브클립(20), 혀 보호판(30), 그리고 머리밴드(11)를 각각 구성하여 조립하도록 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고 고장이 매우 적고 제조원가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기관 내 튜브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ing endotracheal tube}
본 발명은 전신마취에서 시행되는 수술 등에서 인공호흡을 위한 환자의 기도 확보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기관 내 튜브(endotracheal tube)를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기관 내 튜브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관내 튜브(endotracheal tube)는 전신마취에서 시행되는 수술 등에서 인공호흡을 위한 환자의 기도 확보를 목적으로 구강 및 기관내로 삽입시 기도 확보가 용이하고, 환자의 움직임에 의해서도 기관내 튜브가 쉽게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고 또한 기관내 튜브 고정에 따른 안면부 피부 손상 없이도 안정적으로 튜브를 고정할 수 있는 기관 내 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기관 내 튜브를 이용하는 경우, 입술 건조함을 방지하고 환자의 혀가 말리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삽관된 기관 내 튜브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으면, 수술 등의 치료 과정 중에 기관 내 튜브가 구강 또는 기관 밖으로 이탈하게 되고, 특히 소아나 영,유아의 경우 기관 내 튜브의 작은 이동에 의해서도 튜브가 기관 밖으로 이탈하게 되어 심각한 응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반창고 등의 접착 물질을 사용하여 환자의 입 주변 피부에 기관 내 튜브를 부착시켜 고정하는 경우가 다반사인데, 이러한 경우 피부가 약한 환자에게는 접촉성 피부염 등의 2차 감염이 생기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개선된 기술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4834호에서는 장시간 착용시 발행할 수 있는 피부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환자 머리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에 고정되고 가이드레일을 구성한 가이드부 및 가이드레일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동을 제어하는 노브와 노브에 결합된 피니언으로 이동하는 한쌍의 고리형 톱니가 고리 내로 위치된 기관 내 튜브를 조임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써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고장이 많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한 등록특허 제 10-1404668호는 환자의 구강 외측에 위치되며 환자의 기관 내에 삽관된 기관 내 튜브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갖는 바디 전방에서 상기 관통구멍의 둘레 양쪽 중 어느 한쪽에 마련된 고정부재와, 바디의 전방에서 관통구멍으로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관통구멍에 삽입된 기관튜브를 고정부재와 함께 압박하는 가동부재 그리고 바디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환자의 구강 내에서 환자의 치아로부터 기관 내 튜브를 보호하는 보호관을 포함하고 있는 구성은 기관 내 튜브를 고정하는 가동부재가 투스에 의해 고정됨으로 사용 후 분리가 어렵고 구성이 복잡하여 고장이 많은 단점이 있다.
또 다른 등록특허 제 10-0772600호는 본체부에 뚫린 삽입홀에 결합 되는 기관 내 튜브를 압박하기 위한 편심된 회동 접촉면을 구비한 회동부로 가압시켜 고정하는 수단으로 하고 있으나, 이 회동부가 쉽게 회동함으로써 수술 중에 쉽게 풀림되는 문제가 발생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개선한 등록특허 제 10-1788566호에서는 본체에 뚫린 튜브 관통홀이 수용되는 가이드 외통을 구성하고 탄성된 푸쉬 버튼으로 이동시켜 관통홀에 끼워지는 튜브를 탄성으로 압박고정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은 탄성 스프링의 탄성 저하 및 압박력이 미미하여 쉽게 미끄럼과 이탈의 우려가 발생되는 등 많은 문제를 개선하고 있지 못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4834호 등록특허 제 10-1404668호 등록특허 제 10-0772600호 등록특허 제 10-1788566호
본 발명의 해결 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 선행기술 구성에서 복잡한 구조체를 일체로 성형함으로 제작이 극히 어렵고 클립부를 나사형태 또는 탄성 압력으로 구성함으로써 수술 중 쉽게 이탈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도록 몸체부(10), 튜브클립(20), 혀 보호판(30), 그리고 머리밴드(11)를 각각 구성하여 조립하도록 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고 고장이 매우 적고 제조원가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와, 받침부(13)에 결합되는 제어발톱(24)이 구성되는 제어판(25)과, 힌지홈(26)에 힌지된 키판(28)이 힌지축(29)에서 연동되어 가동판(27)의 가압으로 키판(28)이 제어발톱(24)에 자유로운 위치로 가압시켜 내부 기관 내 튜브(100)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고정 및 제어판(25)의 연동으로 쉽게 이탈할 수 있도록 한 기관 내 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과제 해결수단은 U자형의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환자의 입 주면 볼에 밀착되면서 머리 보호패드의 머리밴드가 체결되는 날개부를 구비한 몸체부; 상기 받침부 상부에 결합되며, 환자의 구강 내로 삽관되는 기관 내 튜브가 수용되도록 U자형의 홈을 갖는 튜브클립; 상기 튜브클립의 일측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시에는 튜브클립에 수용된 기관 내 튜브가 흔들리지 않도록 밀착시켜 잡아주다가 사용 완료시에는 그 밀착력을 해제하는 가동판; 상기 몸체부를 이루는 받침부의 후방에 결합되며, 환자의 구강 내 혀를 보호하기 위한 혀 보호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몸체부를 이루는 받침부의 튜브클립 대향면에는 체결홈과 체결돌기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튜브클립의 받침부 대향면에는 끼움돌기와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튜브클립의 끼움돌기가 받침부의 체결홈으로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튜브클립의 끼움홈으로 받침부의 체결돌기가 끼워짐에 따라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튜브클립이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튜브클립의 일측면에는 장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에 튜브클립을 결합시킬 때 상기 받침부의 일측 상부분이 장착홈으로 억지끼움되도록 하며, 상기 받침부의 상부분 중 가동판 결합부분 반대쪽에는 안쪽면에 요철상태의 제어발톱이 형성되어 상기 가동판의 회동시 제어발톱에 걸림됨에 따라 튜브클립에 수용된 기관 내 튜브가 흔들리지 않게 밀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부의 후방 양측에는 전,후방향으로 돌출되게 결합핀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혀 보호판의 전방 양측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핀공이 형성되어 상기 각 결합핀이 핀공으로 끼워짐에 따라 상기 혀 보호판이 받침부 후방에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혀 보호판의 전방에는 조립판이 형성되어 상기 혀 보호판을 몸체부의 받침부 후방에 결합할 때 상기 조립판이 받침부 위에 올려져 받쳐지도록 하며, 상기 받침부의 후방 양측에는 전,후방향으로 돌출되게 결합핀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혀 보호판의 전방 양측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핀공이 형성되어 상기 각 결합핀이 핀공으로 끼워짐에 따라 상기 혀 보호판이 받침부 후방에 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튜브클립의 상부분 중 제어발톱 반대쪽에는 힌지홈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가동판의 하부에는 힌지축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이 힌지홈으로 끼워짐에 따라 상기 가동판이 튜브클립의 일측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가동판의 안쪽면에는 키판이 형성되어 가동판의 회동시 상기 키판이 튜브클립에 형성된 제어발톱에 선택적으로 걸림되거나 걸림해제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종래 선행기술 구성에서 복잡한 구조체를 일체로 성형함으로 제작이 극히 어렵고 클립부를 나사형태 또는 탄성 압력으로 구성함으로써 수술 중 쉽게 이탈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도록 몸체부(10), 튜브클립(20), 혀 보호판(30), 그리고 머리밴드(11)를 각각 구성하여 조립하도록 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고 고장이 매우 적고 제조원가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기관 내 튜브 고정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기관 내 튜브 고정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 (a)(b)는 본 발명 기관 내 튜브의 체결상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기관 내 튜브 고정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기관 내 튜브 고정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 (a)(b)는 본 발명 기관 내 튜브 의 체결상태 설명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 입 주변 볼에 밀착되고 머리밴드(11)를 체결하는 양측 날개부(12)로 구성되는 몸체부(10)로 구성됨과 함께,
상기 날개부(12) 중앙으로 형성된 요입부로부터 외향 돌출된 "U"자형 받침부(13)와, 받침부(13) 내측 단부에 한쌍의 결합핀(14)을 구성시켜 상기 결합핀이 혀 보호판(30)에 뚫린 핀공(31)에 끼워져 결합하도록 한다.
그리고 받침부(13) 내측면 중앙 양측으로 돌출된 체결돌기(15)와 중앙에 체결홈(16)을 구성시켜 받침부(13)에 결합되는 튜브클립(20) 저면에 형성된 끼움돌기(21)가 상기 체결홈(16)으로 끼워지도록 함과 함께 상기 튜브클립(20)의 저면에 형성된 끼움홈(22)으로 체결돌기(15)가 끼워지도록 한다.
상기 받침부(13)의 일측 끝단은 튜브클립(20)의 일측에 형성된 장착홈(23)으로 억지결합되어 조립됨과 함께 상기 튜브클립(20)의 일측 상부에는 연장된 상태로 굽혀진 형태에서 내측으로 제어발톱(24)을 갖는 제어판(25)이 형성된다.
상기 튜브클립(20)의 타측은 힌지홈(26)이 구성되어 가동판(27)과 제어발톱(24)에 억지 결합되는 탄성체의 키판(28)에 형성된 힌지축(29)이 상기 힌지홈(26)으로 끼워져 결합되도록 한다.
삭제
삭제
상기 받침부(13)에 조립된 튜브클립(20) 상면에 구성된 끼움홈(22)에 결합되는 끼움돌기(21)를 저면에 구성시켜 튜브클립(20)에 조립되는 조립판(32)과 함께, 받침부(13) 내측에 형성된 결합핀(14)에 결합되는 양측 핀공(31)을 구성하고 내측으로 부드럽게 굽은 형태의 혀 보호판(30)을 조립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환자 입 주변 볼에 밀착되게 착용 되는 양측 날개부(12) 단부에 걸고리(17)를 구성시켜 머리밴드(11)에 뚫린 다수의 통공(18)에 결합시켜 크기를 제어하도록 하고 머리밴드(11)에는 탄성이 양호한 머리보호패드(19)를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받침부(13)에 조립된 튜브클립(20) 내로 통상의 기관 내 튜브(100)를 삽입하고 튜브클립(20)의 가동판(27)을 가압시켜 키판(28)이 제어발톱(24)에 억지 이동으로 기관 내 튜브(100)와 밀착하도록 함으로써 기관 내 튜브(100)가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과정과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2의 분해사시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 입 주변 볼에 밀착되는 양측 날개부(12)로 구성된 몸체부(10)의 외향 돌출된 "U"자형 받침부(13)에 형성된 체결돌기(15)와 중앙의 체결홈(16)에 튜브클립(20) 저면에 형성된 끼움돌기(21)와 끼움홈(22)을 결합시켜 튜브클립(20)을 조립하고,
조립된 튜브클립(20) 상면에 구성된 끼움홈(22)에 결합 되는 끼움돌기(21)를 저면에 구성한 혀 보호판(30)의 조립판(32)을 체결함과 함께 받침부(13) 내측에 형성된 결합핀(14)에 상기 혀 보호판(30)에 뚫린 양측 핀공(31)과 결합함으로써 혀 보호판(30)이 도 1과 같이 일체로 조립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환자 입 주변 볼에 밀착되게 착용 되는 양측 날개부(12) 단부의 걸고리(17)에 머리보호패드(19)를 체결한 머리밴드(11)의 통공(18)에 결합시키되, 이때 환자의 두상 크기에 따라 통공(18) 위치를 선택하여 체결한다.
이상과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전신마취로 시행되는 수술 등 인공호흡을 위한 환자의 기도 확보를 위한 기관내 튜브(endotracheal tube)를 사용하게 된다.
즉, 상기에서 조립된 본 발명 몸체부(10)의 날개부(12)가 환자 입 주변 볼에 위치되게 머리밴드(11)를 환자 머리가 감싸지게 착용하며 머리보호패드(19)는 환자의 머리충격, 또는 압박을 방지하게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 기관 내 튜브 고정장치를 환자에게 착용한 상태에서 공지와 같이 기관 내 튜브(100)를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 기도 내로 삽입함과 함께 혀 보호판(30)의 조립판(32)과 받침부(13)에 조립된 튜브클립(20)의 가동판(27)을 내측으로 압박시켜 일체의 키판(28)이 힌지축(29)을 기점으로 회전이동하면서 이동위치의 제어판(25) 내측에 형성된 제어발톱(24)에 키판(28)이 이동하여 기관 내 튜브(100)와 밀착 압박되면서 기관 내 튜브(100)를 견고히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수술 등을 실시함으로써 수술 중 기관 내 튜브(100)가 이탈되는 문제를 개선하게 되는 것이다.
사용 후 본 발명 기관 내 튜브 고정장치를 제거할 때에는 상기에서 압박된 제어판(25)을 이면부로 밀어냄으로 내측 제어발톱(24)과 키판(28)이 이격 되고 키판(28)이 힌지축(29)을 기점으로 회동하여 벌려짐으로써 확장된 공간으로 기관 내튜브(100)를 분리 제거하고 환자 머리를 감싼 머리밴드(11)를 이탈시킴으로써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구성의 복잡한 구조체를 일체로 성형함으로 제작이 극히 어렵고 클립부를 나사형태 또는 탄성 압력으로 구성함으로써 수술 중 쉽게 이탈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도록 몸체부(10), 튜브클립(20), 혀 보호판(30), 그리고 머리밴드(11)를 각각 구성하여 조립하도록 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고 고장이 매우 적고 제조원가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포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 또는 일부 생략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권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몸체부 11 : 머리밴드 12 : 날개부
13 : 받침부 14 : 결합핀 15 : 체결돌기
16 : 체결홈 17 : 걸고리 18 :통공
19 : 머리 보호패드 20 : 튜브클립 21 : 끼움돌기
22 : 끼움홈 23 : 장착홈 24 : 제어발톱
25 : 제어판 26 : 힌지홈 27 : 가동판
28 : 키판 29 : 힌지축 30 : 혀 보호판
31 : 핀공 32 : 조립판 100 : 기관 내 튜브

Claims (4)

  1. U자형의 받침부(13)와 상기 받침부(13)의 양측에 구비되어 환자의 입 주면 볼에 밀착되면서 머리 보호패드(19)의 머리밴드(11)가 체결되는 날개부(12)를 구비한 몸체부(10)와,
    상기 받침부(13) 상부에 결합되며, 환자의 구강 내로 삽관되는 기관 내 튜브(100)가 수용되도록 U자형의 홈을 갖는 튜브클립(20)과,
    상기 튜브클립(20)의 일측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시에는 튜브클립(20)에 수용된 기관 내 튜브(100)가 흔들리지 않도록 밀착시켜 잡아주다가 사용 완료시에는 그 밀착력을 해제하는 가동판(27)과, 및
    상기 몸체부(10)를 이루는 받침부(13)의 후방에 결합되며, 환자의 구강 내 혀를 보호하기 위한 혀 보호판(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내 튜브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를 이루는 받침부(13)의 튜브클립(20) 대향면에는 체결홈(16)과 체결돌기(15)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튜브클립(20)의 받침부(13) 대향면에는 끼움돌기(21)와 끼움홈(22)이 형성되어 상기 튜브클립(20)의 끼움돌기(21)가 받침부(13)의 체결홈(16)으로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튜브클립(20)의 끼움홈(22)으로 받침부(13)의 체결돌기(15)가 끼워짐에 따라 상기 받침부(13)의 상부에 튜브클립(20)이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튜브클립의 일측면에는 장착홈(23)이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13)에 튜브클립(20)을 결합시킬 때 상기 받침부(13)의 일측 상부분이 장착홈(23)으로 억지끼움되도록 하며, 상기 받침부(13)의 상부분 중 가동판(27) 결합부분 반대쪽에는 안쪽면에 요철상태의 제어발톱(24)이 형성되어 상기 가동판(27)의 회동시 제어발톱(24)에 걸림됨에 따라 튜브클립(20)에 수용된 기관 내 튜브(100)가 흔들리지 않게 밀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내 튜브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3)의 후방 양측에는 전,후방향으로 돌출되게 결합핀(14)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혀 보호판(30)의 전방 양측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핀공(31)이 형성되어 상기 각 결합핀(14)이 핀공(31)으로 끼워짐에 따라 상기 혀 보호판(30)이 받침부(13) 후방에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혀 보호판(30)의 전방에는 조립판(32)이 형성되어 상기 혀 보호판(30)을 상기 몸체부(10)의 받침부(13) 후방에 결합할 때 상기 조립판(32)이 받침부(13) 위에 올려져 받쳐지도록 하며, 상기 받침부(13)의 후방 양측에는 전,후방향으로 돌출되게 결합핀(14)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혀 보호판(30)의 전방 양측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핀공(31)이 형성되어 상기 각 결합핀(14)이 핀공(31)으로 끼워짐에 따라 상기 혀 보호판(30)이 받침부(13) 후방에 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내 튜브 고정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클립(20)의 상부분 중 제어발톱(24) 반대쪽에는 힌지홈(26)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가동판(27)의 하부에는 힌지축(29)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이 힌지홈(26)으로 끼워짐에 따라 상기 가동판(27)이 튜브클립(20)의 일측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가동판(27)의 안쪽면에는 키판(28)이 형성되어 가동판(27)의 회동시 상기 키판(28)이 튜브클립(20)에 형성된 제어발톱(24)에 선택적으로 걸림되거나 걸림해제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내 튜브 고정장치.
KR1020210019090A 2021-02-10 2021-02-10 기관 내 튜브 고정장치 KR102590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090A KR102590397B1 (ko) 2021-02-10 2021-02-10 기관 내 튜브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090A KR102590397B1 (ko) 2021-02-10 2021-02-10 기관 내 튜브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286A KR20220115286A (ko) 2022-08-17
KR102590397B1 true KR102590397B1 (ko) 2023-10-17

Family

ID=83110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9090A KR102590397B1 (ko) 2021-02-10 2021-02-10 기관 내 튜브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39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8576B1 (en) 2000-04-28 2003-06-17 Salvatore A. Taormina Medical tube holder
KR101495307B1 (ko) 2013-02-18 2015-02-24 김원철 의료용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KR101928725B1 (ko) 2017-03-31 2018-12-13 이승준 의료용 고정클립
KR102042185B1 (ko) 2019-05-09 2019-11-07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멀티 기관튜브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600B1 (ko) 2006-10-11 2007-11-02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석션튜브 삽입구가 구비되는 기관 삽관용 튜브 고정구
KR20090067718A (ko) * 2007-12-21 2009-06-25 성영희 기관내 삽관 튜브 고정 밴드
KR101079341B1 (ko) 2009-03-19 2011-11-04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기관삽관 튜브 고정장치
KR101404668B1 (ko) 2012-10-18 2014-06-09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기관튜브 고정장치
KR101788566B1 (ko) 2016-03-21 2017-10-20 (주)서린시스템 기관내 튜브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8576B1 (en) 2000-04-28 2003-06-17 Salvatore A. Taormina Medical tube holder
KR101495307B1 (ko) 2013-02-18 2015-02-24 김원철 의료용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KR101928725B1 (ko) 2017-03-31 2018-12-13 이승준 의료용 고정클립
KR102042185B1 (ko) 2019-05-09 2019-11-07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멀티 기관튜브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286A (ko)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7735A (en) Nasal cannula
US7819119B2 (en) User interface having a pivotable coupling
JP5160539B2 (ja) 患者インターフェース及びヘッドギアコネクタ
ES2459216T3 (es) Sistema de máscara
JP4882018B2 (ja) 非伸張性ヘッドギアおよびcpapまたはこれらを備えたベンチレータ・マスク
US8631793B2 (en) Nasal respiratory mask system and connection/disconnection means used therein
AU2010201443B2 (en) Forehead pad for respiratory mask
US6532961B1 (en) Forehead support for facial mask
US11660414B2 (en) Patient interface device and retention assembly therefor
MX2014001865A (es) Dispositivo sujetador de canula con guia para sonda gastrica.
KR101495307B1 (ko) 의료용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KR102590397B1 (ko) 기관 내 튜브 고정장치
CN106102812B (zh) 固定装置
US4872836A (en) Releasable extraoral orthodontic appliance
KR102025911B1 (ko) 기도유지 페이스마스크
CN110115795B (zh) 功能性气管插管
KR102251390B1 (ko) 어셈블리 타입 메디컬 클립
KR101525171B1 (ko) 기관삽관 튜브 고정장치
CN219001586U (zh) 一种可调节松紧的牙垫束带装置
CN219422776U (zh) 一种用于避免上呼吸道梗阻的咬圈
KR20200124452A (ko) 이종타입의 의료용 튜브를 겸용으로 장착할 수 있는 튜브 홀더
AU2008237535A1 (en) Facial Mask and Forehead Support
BG370Y1 (bg) Уред за изкуствено дишане
AU2015221482A1 (en) Wearing tool for breathing mask, and breathing m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