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349B1 - 슬리브형 전원 커넥터 - Google Patents

슬리브형 전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349B1
KR102590349B1 KR1020230055902A KR20230055902A KR102590349B1 KR 102590349 B1 KR102590349 B1 KR 102590349B1 KR 1020230055902 A KR1020230055902 A KR 1020230055902A KR 20230055902 A KR20230055902 A KR 20230055902A KR 102590349 B1 KR102590349 B1 KR 102590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sleeve
plug
coupled
pow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5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수영
정용준
임대석
Original Assignee
(주)한신단자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신단자공업 filed Critical (주)한신단자공업
Priority to KR1020230055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3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01R13/052Resilient pins or blades co-operating with socket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1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리브형 전원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드에 견고한 실장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더불어 플러그의 안정적이며 명확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전원커넥터에 있어서, 실장슬리브의 하단에 삽입 결합된 플러그접속부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구비되는 삽입지지턱와 상기 실장슬리브의 하부에 실장하우징이 보드에 지지되고 견고한 실장이 이루어지게 실장슬리브의 상단을 타격하여 확장형성하여 구비되는 실장지지플랜지를 구비하여 실장보드의 실장공에 결합 안착되어 실장되게 구비되는 실장하우징과 지지접속관부와 삽입접속관부 사이에 결합되는 플러그와 탄성 전기적 접속될 수 있게 내측으로 아치를 이루도록 돌출되며 등간격을 이루게 구비되는 아치탄성접속부로 구성하여 실장하우징에 탄성확장 접속 결합되게 구비되는 플러그접속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드에 견고한 실장이 이루어지며 플러그의 안정적이며 명확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슬리브형 전원 커넥터{Sleeved power connector}
본 발명은 슬리브형 전원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커넥터에 있어서, 실장슬리브의 하단에 삽입 결합된 플러그접속부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구비되는 삽입지지턱와
상기 실장슬리브의 하부에 실장하우징이 보드에 지지되고 견고한 실장이 이루어지게 실장슬리브의 상단을 타격하여 확장형성하여 구비되는 실장지지플랜지를 구비하여 실장보드의 실장공에 결합 안착되어 실장되게 구비되는 실장하우징과
지지접속관부와 삽입접속관부 사이에 결합되는 플러그와 탄성 전기적 접속될 수 있게 내측으로 아치를 이루도록 돌출되며 등간격을 이루게 구비되는 아치탄성접속부로 구성하여
상기 실장하우징에 탄성확장 접속 결합되게 구비되는 플러그접속부로 구성하여서, 보드에 견고한 실장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더불어 플러그의 안정적이며 명확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 커넥터는 결합되는 플러그와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며, 특히 슬리브형 전원 커넥터는 관체로 형성되어 보드에 실장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전원 커넥터는 실장보드의 실장공에 결합 실장되게 구비되는 실장하우징과 상기 실장하우징에 결합되는 플러그와 전기적 접속되게 구비되는 플러그접속부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전원 커넥터는 관체로 형성된 실장하우징이 보드에 실장 결속되고, 상기 보드에 실장결합된 전원 커넥터에 플러그를 결합하면 실장하우징의 중앙에 형성된 플러그접속부가 접속하므로써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원 커넥터는 보드에 견고한 실장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플러그의 안정적이며 명확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99129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원 커넥터가 보드에 견고한 실장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플러그의 안정적이며 명확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플러그접속부는 실장하우징과 일체로 설치되게 밀착되게 하고, 중앙부가 아치형으로 탄성력을 갖게하여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고, 일체로 형성되어 유통되게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전원커넥터에 있어서, 실장보드의 실장공에 결합 안착되어 실장되게 구비되는 실장하우징과 상기 실장하우징에 탄성확장 접속 결합되게 구비되는 플러그접속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장하우징은 관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플러그접속부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하부에 보드에 실장 결속되게 구비되는 실장슬리브와 상기 실장슬리브의 하단에 삽입 결합된 플러그접속부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구비되는 삽입지지턱, 상기 실장슬리브의 하부에 실장하우징이 보드에 지지되고 견고한 실장이 이루어지게 실장슬리브의 상단을 타격하여 확장형성하여 구비되는 실장지지플랜지 및 상기 실장슬리브의 상단에 수납된 플러그접속부가 이탈되지 않게 실장슬리브의 내측에 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접속부는 실장하우징에 결합되어 실장하우징의 하단부의 삽입지지턱에 지지되는 관체로 형성되고 일측이 절개되어 실장하우징의 내벽에 탄성 접속되는 확장력을 형성할 수 있게 구비되는 지지접속관부와 실장하우징에 결합되어 실장하우징의 상단부에 위치되어 결합되는 플러그를 가이드하고 일측이 절개되어 실장하우징의 내벽에 탄성 접속되는 확장력을 형성할 수 있게 구비되는 삽입접속관부, 상기 지지접속관부와 삽입접속관부 사이에 결합되는 플러그와 탄성 전기적 접속될 수 있게 내측으로 아치를 이루도록 돌출되며 등간격을 이루게 구비되는 아치탄성접속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형 전원 커넥터.
또한, 다른 실시예로 상기 실장하우징은 관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플러그접속부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하부에 보드에 실장 결속되게 구비되는 실장슬리브와 상기 실장슬리브의 하단에 삽입 결합된 플러그접속부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구비되는 삽입지지턱, 상기 실장슬리브의 하부에 실장하우징이 보드에 지지되고 견고한 실장이 이루어지게 실장슬리브의 상단을 타격하여 확장형성하여 구비되는 실장지지플랜지 및 상기 실장슬리브의 상단에 수납된 플러그접속부가 이탈되지 않게 실장슬리브의 상단 외측을 가압하여 등 간격으로 이루도록 3개 이상 형성하여 구비되는 접속결속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접속관부의 상단 내벽에 결합되는 플러그의 센터링 결합을 탄성 가이드할 수 있도록 삽입접속관부의 상단부에서 탄성 지지력을 갖게 절곡 형성하여 구비한 가이드탄성편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장슬리브의 하단에 삽입 결합된 플러그접속부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구비되는 삽입지지턱와 상기 실장슬리브의 하부에 실장하우징이 보드에 지지되고 견고한 실장이 이루어지게 실장슬리브의 상단을 타격하여 확장형성하여 구비되는 실장지지플랜지를 구비하여 실장보드의 실장공에 결합 안착되어 실장되게 구비되는 실장하우징과 지지접속관부와 삽입접속관부 사이에 결합되는 플러그와 탄성 전기적 접속될 수 있게 내측으로 아치를 이루도록 돌출되며 등간격을 이루게 구비되는 아치탄성접속부로 구성하여 실장하우징에 탄성확장 접속 결합되게 구비되는 플러그접속부로 구성함으로써, 보드에 견고한 실장이 이루어지며 플러그의 안정적이며 명확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고, 상기 플러그접속부는 실장하우징과 일체로 밀착설치되고, 일체로 이루어져 유통되어 소모비용이 줄어드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슬리브형 전원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슬리브형 전원 커넥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슬리브형 전원 커넥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슬리브형 전원 커넥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실시예를 보인 슬리브형 전원 커넥터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실시예를 보인 슬리브형 전원 커넥터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슬리브형 전원 커넥터의 플러그접속부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슬리브형 전원 커넥터의 플러그접속부를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보드에 견고한 실장과 플러그의 안정적이며 명확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플러그란 전기기기나 전기회로, 전기장치등으로 연결하기 위한 봉 또는 막대형상의 단자로서 핀(PIN), 터미널(TERMINAL)이 해당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전원 커넥터에 있어서, 실장하우징(10)과 플러그접속부(20)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실장하우징(10)은 실장보드의 실장공에 결합 안착되어 실장되게 구비되고, 플러그접속부(20)와 삽입지지턱(12), 실장지지플랜지(13)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실장슬리브(11)는 관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플러그접속부(20)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하부에 보드에 실장 결속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실장슬리브(11)는 관체의 금속을 전조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삽입지지턱(12)은 실장슬리브(11)의 하단에 삽입 결합된 플러그접속부(20)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실장지지플랜지(13)는 실장슬리브(11)의 하부에 실장하우징(10)이 보드에 지지되고 견고한 실장이 이루어지게 실장슬리브(11)의 상단을 타격하여 확장형성하여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장하우징(10)은 실장슬리브(11)의 상단에 수납된 플러그접속부(20)가 이탈되지 않게 실장슬리브(11)의 상단 내측에 턱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상기 실장하우징(10)은 실장슬리브(11)의 상단에 수납된 플러그접속부(20)가 이탈되지 않게 실장슬리브(11)의 상단 외측을 가압하여 등 간격으로 이루도록 3개 이상 형성하는 접속결속부(14)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접속부(20)는 실장하우징(10)에 탄성확장 접속 결합되게 구비되고, 지지접속관부(21)와 삽입접속관부(22), 아치탄성접속부(23)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접속관부(21)는 실장하우징(10)에 결합되어 실장하우징(10)의 하단부의 삽입지지턱(12)에 지지되는 관체로 형성되고 일측이 절개되어 실장하우징(10)의 내벽에 탄성 접속되는 확장력을 형성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삽입접속관부(22)는 실장하우징(10)에 결합되어 실장하우징(10)의 상단부에 위치되어 결합되는 플러그를 가이드하고 일측이 절개되어 실장하우징(10)의 내벽에 탄성 접속되는 확장력을 형성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아치탄성접속부(23)는 지지접속관부(21)와 삽입접속관부(22) 사이에 결합되는 플러그와 탄성 전기적 접속될 수 있게 내측으로 아치를 이루도록 돌출되며 등간격을 이루게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상기 플러그접속부(20)는 삽입접속관부(22)의 상단 내벽에 결합되는 플러그의 센터링 결합을 탄성 가이드할 수 있도록 삽입접속관부(22)의 상단부에서 탄성 지지력을 갖게 절곡 형성하는 상기 가이드탄성편(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탄성편(24)은 3개 내지 8개 중 어느하나로 구비하여 삽입접속관부(22)의 상단부에서 탄성 지지력을 갖게 형성될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탄성편(24)은 8개 초과로 구비할경우 제작비용이 높아지는 반면 기대하는 효과는 크게 차이 없게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적용실시에 따른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원 커넥터에 있어서, 실장슬리브(11)의 하단에 삽입 결합된 플러그접속부(20)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구비되는 삽입지지턱(12)와 상기 실장슬리브(11)의 하부에 실장하우징(10)이 보드에 지지되고 견고한 실장이 이루어지게 실장슬리브(11)의 상단을 타격하여 확장형성하여 구비되는 실장지지플랜지(13)를 구비하여 실장보드의 실장공에 결합 안착되어 실장되게 구비되는 실장하우징(10)과 지지접속관부(21)와 삽입접속관부(22) 사이에 결합되는 플러그와 탄성 전기적 접속될 수 있게 내측으로 아치를 이루도록 돌출되며 등간격을 이루게 구비되는 아치탄성접속부(23)로 구성하여 실장하우징(10)에 탄성확장 접속 결합되게 구비되는 플러그접속부(20)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보드에 견고한 실장이 이루어지며 플러그의 안정적이며 명확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고, 상기 플러그접속부(20)는 실장하우징(10)과 일체로 밀착설치되고, 일체로 이루어져 유통되어 소모비용이 줄어드는 것이다.
10 : 실장하우징
11 : 실장슬리브
12 : 삽입지지턱
13 : 실장지지플랜지
14 : 접속결속부
20 : 플러그접속부
21 : 지지접속관부
22 : 삽입접속관부
23 : 아치탄성접속부
24 : 가이드탄성편

Claims (3)

  1. 전원커넥터에 있어서,
    실장보드의 실장공에 결합 안착되어 실장되게 구비되는 실장하우징과 상기 실장하우징에 탄성확장 접속 결합되게 구비되는 플러그접속부로 구성하고,
    상기 플러그접속부는 실장하우징에 결합되어 실장하우징의 하단부의 삽입지지턱에 지지되는 관체로 형성되고 일측이 절개되어 실장하우징의 내벽에 탄성 접속되는 확장력을 형성할 수 있게 구비되는 지지접속관부와 실장하우징에 결합되어 실장하우징의 상단부에 위치되어 결합되는 플러그를 가이드하고 일측이 절개되어 실장하우징의 내벽에 탄성 접속되는 확장력을 형성할 수 있게 구비되는 삽입접속관부, 상기 지지접속관부와 삽입접속관부 사이에 결합되는 플러그와 탄성 전기적 접속될 수 있게 내측으로 아치를 이루도록 돌출되며 등간격을 이루게 구비되는 아치탄성접속부로 구성하고,
    상기 삽입접속관부의 상단 내벽에 결합되는 플러그의 센터링 결합을 탄성 가이드할 수 있도록 삽입접속관부의 상단부에서 탄성 지지력을 갖게 절곡 형성하여 구비한 가이드탄성편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형 전원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하우징은 관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플러그접속부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하부에 보드에 실장 결속되게 구비되는 실장슬리브와 상기 실장슬리브의 하단에 삽입 결합된 플러그접속부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구비되는 삽입지지턱, 상기 실장슬리브의 하부에 실장하우징이 보드에 지지되고 견고한 실장이 이루어지게 실장슬리브의 상단을 타격하여 확장형성하여 구비되는 실장지지플랜지로 구성되고,
    상기 실장슬리브의 상단에 수납된 플러그접속부가 이탈되지 않게 실장슬리브의 내측에 턱이 형성된 것과, 실장슬리브의 상단 외측을 가압하여 등 간격으로 이루도록 3개 이상 형성하여 구비되는 접속결속부로 구성한 것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형 전원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탄성편은 3개 내지 8개 중 어느하나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형 전원 커넥터.

KR1020230055902A 2023-04-28 2023-04-28 슬리브형 전원 커넥터 KR102590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5902A KR102590349B1 (ko) 2023-04-28 2023-04-28 슬리브형 전원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5902A KR102590349B1 (ko) 2023-04-28 2023-04-28 슬리브형 전원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0349B1 true KR102590349B1 (ko) 2023-10-25

Family

ID=88515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5902A KR102590349B1 (ko) 2023-04-28 2023-04-28 슬리브형 전원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3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3198A (ja) * 2005-11-25 2007-07-05 Hitachi Cable Ltd 電気コンタクト及びメス端子
KR100899129B1 (ko) 2001-09-21 2009-05-27 가부시키가이샤 오덴샤 구멍이 형성된 슬리브 커넥터
CN107017496A (zh) * 2017-05-26 2017-08-04 赵沙 一种用于电连接系统的内曲面插簧端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129B1 (ko) 2001-09-21 2009-05-27 가부시키가이샤 오덴샤 구멍이 형성된 슬리브 커넥터
JP2007173198A (ja) * 2005-11-25 2007-07-05 Hitachi Cable Ltd 電気コンタクト及びメス端子
CN107017496A (zh) * 2017-05-26 2017-08-04 赵沙 一种用于电连接系统的内曲面插簧端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014144A (ja) 電子カード
EA200800055A1 (ru) Штекер с фиксирующей пружиной для заземляющего контакта
EP1686663B1 (en) Electric connector having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plying force when the connector is coupled to a mating connector
CN201812984U (zh) 一种插头
JP2006339141A (ja) 低挿入力コネクタ及び端子
KR102590349B1 (ko) 슬리브형 전원 커넥터
US6354849B1 (en) Board-engaging structure for contacts of an electrical connector
US10811803B2 (en) Connection terminal
KR100780739B1 (ko)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JP2007134217A (ja) コネクタ
JP2010129319A (ja) ジャック構造
US7413449B1 (en) Pluggable insulated terminal block
US7887378B2 (en) Audio jack connector
JP4335753B2 (ja) 導電クリップ
CN112217016B (zh) 电连接器
KR10062328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플러그 커넥터
US6227889B1 (en) Telecommunication switching connector
KR100907541B1 (ko) 리셉터클 터미널
JP2007109641A (ja) 電気コネクタ
KR200448119Y1 (ko) 커넥터하우징
JP5979391B2 (ja) ジャック
JPS62198064A (ja) コネクタ
JP2009170331A (ja) 接続端子
KR200450639Y1 (ko) 터미널
KR102580096B1 (ko) 판플러그용 소켓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