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037B1 - 조류접근 차단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조류접근 차단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037B1
KR102590037B1 KR1020230044103A KR20230044103A KR102590037B1 KR 102590037 B1 KR102590037 B1 KR 102590037B1 KR 1020230044103 A KR1020230044103 A KR 1020230044103A KR 20230044103 A KR20230044103 A KR 20230044103A KR 102590037 B1 KR102590037 B1 KR 102590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motor
screw
mover
sign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4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귀동
Original Assignee
(주)제이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비씨 filed Critical (주)제이비씨
Priority to KR1020230044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0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3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 F16F15/133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337Torsional springs, e.g. torsion bar or torsionally-loaded coil sp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he target
    • G01S15/58Velocity or trajectory determination systems; Sense-of-movement determination systems
    • G01S15/62Sense-of-movement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rd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류접근 차단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선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완철(100)에 장착된 이동자(400)에 결속되는 볼트유닛(640)과, 볼트유닛(640) 상에 연장 입설되는 지지축대(630)와, 지지축대(630) 상에 구성되는 하우징 블록(610)과, 하우징 블록(610)에 설치되고 주변에 동작대상을 인식해서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동작감지센서(660)와, 하우징 블록(610)에 내설되거나 하우징 블록(610)에 안착되는 프로펠러 구동모터(650)와, 프로펠러 구동모터(650)의 동력을 회전하는 프로펠러(620)를 갖춘 조류차단기구(600); 중공(110)이 형성된 막대 형상을 이루고, 길이 방향을 따라 제1애자구역(Z1)과 이동구역(Z2)과 제2애자구역(Z3)으로 분할되며, 제1애자구역(Z1) 및 이동구역(Z2)의 상면에는 가이드레일(120)이 형성되어 전신주(S)에 설치되는 완철(100); 제1회전축대(511)를 따라 나사산(512)이 형성되고 완철(100)의 중공(110)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스크루(510)와, 스크루(5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대(530)와, 스크루(510)가 제1회전축대(511)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제1회전축대(511)에 동력을 가하는 스크루 구동모터(520)를 갖춘 스크루부(500); 중공(110)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내설되고 제2회전축대(41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본체 하부(401)와, 가이드레일(120)을 관통하여 본체 하부(401)와 일체를 이루고 완철(100)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하도록 가이드레일(120)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확장된 폭을 이루며 상면에 볼트유닛(640)이 삽입해 고정되는 너트홀(411)이 형성된 본체 상부(402)와, 제2회전축대(413)가 배치되고 하단에 나사산(512)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는 나선홈(422)이 형성된 캠(420)과, 나선홈(422)과 스크루(510)의 탈착을 위해 캠(420)이 제2회전축대(413)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제2회전축대(413)에 동력을 가하는 이동자 구동모터(470)와, 이동자 구동모터(470)의 동력 상실 시 나선홈(422)이 스크루(510)와 분리되도록 제2회전축대(413)에 토크를 가하는 토션스프링(430)을 갖춘 이동자(400); 리모컨트롤러(R)의 원격신호를 수신하는 원격신호 수신기(710); 상기 원격신호 및 감지신호에 대응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기(720);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스크루 구동모터(520)와 이동자 구동모터(470)와 프로펠러 구동모터(650)의 온오프를 제어하되, 상기 감지신호에 대응한 제어신호를 원격신호에 대응한 제어신호에 우선해서 스크루 구동모터(520)와 이동자 구동모터(470)와 프로펠러 구동모터(65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730); 버튼 조작을 인식해서 해당하는 제어 대상 이동자의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제어대상 선택부(R1)와, 버튼 조작을 인식해서 제1회전축대(511)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도록 스크루 구동모터(520)에 대한 직류전원의 극성 제어를 위한 스위칭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방향 조작부(R2)와, 상기 식별코드와 스위칭신호를 원격신호로 변환하는 컨트롤러(R3)와, 상기 원격신호를 무선 발신하는 원격신호 발신기(R4)를 갖춘 리모컨트롤러(R);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조류접근 차단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선 지지장치{Processed distribution line support device with bird access blocking function}
본 발명은 조류접근 차단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선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배전 분야에서 전신주에 설치되는 완철에는 하나 이상의 가공배전선이 LP 애자 또는 현수애자(이하 '애자')를 매개로 설치된다. 따라서 완철은 고중량의 가공배전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고강도의 강재로 제작된다.
그런데 완철에는 복수 개의 가공배전선이 상호 간에 간섭과 합선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가공배전선의 개수에 상응하는 복수 개의 애자 만이 설치된다. 즉, 완철에 설치되는 가공배전용 물품은 애자로만 한정되는 것이다.
하지만, 전신주에 설치되는 가공배전용 물품은 애자 외에도 다양하고, 가공배전용 물품 또한 가공배전선의 개수에 따라 복수 개일 수 있다. 그러나 애자 외에 가공배전용 물품은 완철에는 설치할 수 없으므로 종래에는 전신주 곳곳에 따로 설치되었다. 따라서 종래 전신주에는 복수의 전선과 가공배전용 물품이 복잡하게 뒤엉킨 형태를 이루었다.
또한, 가공배전선 외에 가공배전용 물품과 전선은 가공배전선과의 합선과 다른 물품과의 충돌 방지를 위해서 설치 위치의 조정이 필요했고, 작업자는 현장 상황에 맞춰 가공배전용 물품과 전선의 위치를 조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더욱이 설치 이후에도 가공배전선용 물품과 전선이 추가되면 기존 가공배전용 물품과 전선의 위치를 다시 조정해야 하므로, 작업자는 현장에서의 작업량이 불필요하게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전신주에는 수많은 조류가 접근해서 애자는 물론 전신주에 설치된 각종 가공배전용 물품을 파손한다. 특히 조류의 배변은 가공배전선의 피복을 부식시켜서 누전 및 합선 등의 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조류의 전신주 접근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기술이 시급히 요구되었다.
선행기술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10-0636824호(2006.10.23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전신주 상에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 완철에 다양한 가공배전용 물품을 설치하고 조류차단을 위한 기구를 주변 가공배전용 물품의 설치 현황에 맞춰 손쉽게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조류접근 차단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선 지지장치의 제공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완철(100)에 장착된 이동자(400)에 결속되는 볼트유닛(640)과, 볼트유닛(640) 상에 연장 입설되는 지지축대(630)와, 지지축대(630) 상에 구성되는 하우징 블록(610)과, 하우징 블록(610)에 설치되고 주변에 동작대상을 인식해서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동작감지센서(660)와, 하우징 블록(610)에 내설되거나 하우징 블록(610)에 안착되는 프로펠러 구동모터(650)와, 프로펠러 구동모터(650)의 동력을 회전하는 프로펠러(620)를 갖춘 조류차단기구(600);
중공(110)이 형성된 막대 형상을 이루고, 길이 방향을 따라 제1애자구역(Z1)과 이동구역(Z2)과 제2애자구역(Z3)으로 분할되며, 제1애자구역(Z1) 및 이동구역(Z2)의 상면에는 가이드레일(120)이 형성되어 전신주(S)에 설치되는 완철(100);
제1회전축대(511)를 따라 나사산(512)이 형성되고 완철(100)의 중공(110)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스크루(510)와, 스크루(5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대(530)와, 스크루(510)가 제1회전축대(511)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제1회전축대(511)에 동력을 가하는 스크루 구동모터(520)를 갖춘 스크루부(500);
중공(110)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내설되고 제2회전축대(41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본체 하부(401)와, 가이드레일(120)을 관통하여 본체 하부(401)와 일체를 이루고 완철(100)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하도록 가이드레일(120)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확장된 폭을 이루며 상면에 볼트유닛(640)이 삽입해 고정되는 너트홀(411)이 형성된 본체 상부(402)와, 제2회전축대(413)가 배치되고 하단에 나사산(512)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는 나선홈(422)이 형성된 캠(420)과, 나선홈(422)과 스크루(510)의 탈착을 위해 캠(420)이 제2회전축대(413)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제2회전축대(413)에 동력을 가하는 이동자 구동모터(470)와, 이동자 구동모터(470)의 동력 상실 시 나선홈(422)이 스크루(510)와 분리되도록 제2회전축대(413)에 토크를 가하는 토션스프링(430)을 갖춘 이동자(400);
리모컨트롤러(R)의 원격신호를 수신하는 원격신호 수신기(710);
상기 원격신호 및 감지신호에 대응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기(720);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스크루 구동모터(520)와 이동자 구동모터(470)와 프로펠러 구동모터(650)의 온오프를 제어하되, 상기 감지신호에 대응한 제어신호를 원격신호에 대응한 제어신호에 우선해서 스크루 구동모터(520)와 이동자 구동모터(470)와 프로펠러 구동모터(65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730); 및
버튼 조작을 인식해서 해당하는 제어 대상 이동자의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제어대상 선택부(R1)와, 버튼 조작을 인식해서 제1회전축대(511)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도록 스크루 구동모터(520)에 대한 직류전원의 극성 제어를 위한 스위칭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방향 조작부(R2)와, 상기 식별코드와 스위칭신호를 원격신호로 변환하는 컨트롤러(R3)와, 상기 원격신호를 무선 발신하는 원격신호 발신기(R4)를 갖춘 리모컨트롤러(R);
를 포함하는 조류접근 차단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선 지지장치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전신주 상에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 완철에 다양한 가공배전용 물품을 설치하고 조류차단을 위한 기구를 주변 가공배전용 물품의 설치 현황에 맞춰 손쉽게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지지장치의 설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지지장치에 구성된 이동자와 조류차단기구의 연결구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지지장치에 구성된 조류차단기구의 이동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표시한 "A" 및 "B"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지지장치에 구성된 완철과 이동자와 스크루부의 연결구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지지장치에 구성된 스크루부에 대한 이동자 동작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지지장치에 구성된 스크루부의 날개에 나사탭이 맞물리는 모습을 분해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지지장치의 통신체계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지지장치에 구성된 리모컨트롤러의 조작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지지장치의 설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지지장치에 구성된 이동자와 조류차단기구의 연결구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지지장치에 구성된 조류차단기구의 이동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표시한 "A" 및 "B"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지지장치는, 조류차단기구(600)와 완철(100)과 스크루부(500)와 이동자(400)와 원격신호 수신기(710)와 제어기(720)와 스위치(730)와 리모컨트롤러(R)를 포함한다.
조류차단기구(600)에 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조류차단기구(600)는, 완철(100)에 장착된 이동자(400)에 결속되는 볼트유닛(640)과, 볼트유닛(640) 상에 연장 입설되는 지지축대(630)와, 지지축대(630) 상에 구성되는 하우징 블록(610)과, 하우징 블록(610)에 설치되고 주변에 동작대상을 인식해서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동작감지센서(660)와, 하우징 블록(610)에 내설되거나 하우징 블록(610)에 안착되는 프로펠러 구동모터(650)와, 프로펠러 구동모터(650)의 동력을 회전하는 프로펠러(620)를 갖춘다. 조류차단기구(600)는 볼트유닛(640)을 매개로 이동자(400)에 설치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이동자의 설명과 더불어 한다.
하우징 블록(610)은 각종 기기의 내설을 위한 박스 형태이며, 하우징 블록(610)의 외면에 동작감지센서(660)가 노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하우징 블록(610) 외면에 구성된 동작감지센서(660)는 비상물체, 즉 비상 중인 조류의 동작을 감지한다. 또한, 이동자(400, 400')의 이동으로 동작감지센서(660)가 완철(100)을 따라 이동하면서 전신주(S) 또는 인근 애자(200, 200')의 상대적 움직임을 감지한다. 동작감지센서(660)는 근접하는 조류의 동작 또는 전신주(S) 또는 애자(200, 200')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감지신호는 제어기(720)에 전달된다. 참고로 본 실시 예의 동작감지센서(660)는 초음파를 발사해서 대상에서 반사된 반사파를 수신한다. 상기 반사파를 수신함으로써 조류차단기구(600)에 근접하는 조류와 전신주(S)와 애자(200, 200')를 감지한다.
제어기(720; 도 8 참고)는 감지신호를 수신해서 조류차단기구(600)의 프로펠러 구동모터(650)와 스크루 구동모터(520)와 이동자 구동모터(470) 각각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조류차단기구(600)와 연계한 제어기(720)의 제어 체계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조류차단기구(600)는 평상 시 프로펠러(620)의 회전 없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이동자(400, 400')와 스크루(510; 도 5 참고) 역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런데 동작감지센서(660)가 조류의 동작을 감지해서 감지신호를 생성하면 제어기(720)는 스위치(730)를 제어해서 프로펠러 구동모터(650)를 가동시키고, 이동자 구동모터(470)와 스크루 구동모터(520)를 가동시켜서 이동자(400, 400')가 완철(100)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그런데 조류차단기구(600, 600')는 비교적 반경이 큰 프로펠러(620)를 장착하고 있으므로, 조류차단기구(600, 600')의 이동 중에 회전 중인 프로펠러(620)가 애자(200, 200') 또는 전신주(S)에 충돌할 수 있다. 따라서 동작감지센서(660)는 근접하는 전신주(S) 또는 애자(200, 200')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제어기(720)는 스위치(730)를 제어해서 우선적으로 해당 이동자(400)의 이동자 구동모터(470)의 가동을 정지시킨다. 결국, 해당 이동자(400)는 현 위치에서 정지하고 조류차단기구(600)의 프로펠러(620)는 전신주(S) 또는 애자(200, 200')와의 충돌을 방지한다. 한편, 전신주(S) 또는 애자(200, 200')와는 원거리에 위치한 조류차단기구(600')는 스크루(51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이동을 유지한다. 이후, 이동 중인 조류차단기구(600')의 동작감지센서(660)가 전신주(S) 또는 애자(200, 200')의 접근에 따른 감지신호를 생성하면 해당 이동자(400')의 이동자 구동모터(470')의 가동을 정지시킨다. 이런 방식으로 이동자(400, 400')의 이동을 따라 완철(100)의 일측에 위치한 조류차단기구(600, 600')를 타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제어기(720)는 스위치(730)를 제어해서 스크루 구동모터(520)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고, 이동자 구동모터(470, 470')를 가동시킨다. 따라서 이동자(400, 400')는 역방향으로 이동하며 조류차단기구(600, 600')를 이동시킨다. 제어기(720)의 전술한 동작 프로세스에 의해 조류차단기구(600, 600')는 프로펠러(620)의 충돌없이 완철(100)을 따라 좌우 이동을 반복한다.
참고로, 도 4의 "A" 부분과 같이 볼트유닛(640)의 단부에는 전원부(P)의 전력을 받도록 스위치(7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코드(641)가 구성되고, "B" 부분과 같이 볼트유닛(640)이 삽입되는 너트홀(411)의 하단에는 수코드(641)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암포트(411a)가 구성된다. 따라서 전원부(P)의 인출 배선은 이동자(400)의 본체 상부(402)의 내측을 통해 암포트(411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수코드(641)와의 전기적 배선은 지지축대(630)를 통해 하우징 블록(610)의 내측을 통해 동작감지센서(660) 및 프로펠러 구동모터(6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 예에서 하우징 블록(610)에는 배전반(미도시함)이 내설되고, 수코드(641)의 인출전선은 상기 배전반을 통해 동작감지센서(660) 및 프로펠러 구동모터(6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스위치(730)는 상기 배전반에서 프로펠러 구동모터(650)에 대한 온오프를 제어해서 프로펠러 구동모터(650)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지지장치에 구성된 완철과 이동자와 스크루부의 연결구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지지장치에 구성된 스크루부에 대한 이동자 동작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지지장치에 구성된 스크루부의 날개에 나사탭이 맞물리는 모습을 분해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지지장치의 완철(100)은, 중공(110)이 형성된 막대 형상을 이루고, 길이 방향을 따라 제1애자구역(Z1)과 이동구역(Z2)과 제2애자구역(Z3)으로 분할되며, 제1애자구역(Z1) 및 이동구역(Z2)의 상면에는 가이드레일(120)이 형성되어 전신주(S)에 설치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완철(100)은 전신주(S)의 상단에 배치되며, 복수의 애자(200, 200')가 설치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완철(100)은 애자(200, 200')를 고정적으로 안정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애자 설치 전용 제1애자구역(Z1)와 제2애자구역(Z3)을 양단부에 구성하고, 완철(100)의 중앙부인 제1애자구역(Z1)와 제2애자구역(Z3) 사이에 이동자(400)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구역(Z2)을 구성한다. 한편, 완철(100)에 이동자(400)를 장착하기 위해서 완철(100)의 제1애자구역(Z1) 측은 중공(110)과 가이드레일(120)이 최소한 개방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이동자(400, 400')는 물론 스크루부(500) 또한 완철(100)의 중공(110)으로 삽입할 수 있다.
참고로, LP 애자(200, 200')는 지지축대가 완철(100)에 상하로 관통하여 고정되므로, 본 실시 예에서 가이드레일(120)이 미형성된 제2애자구역(Z3)에서는 기존 방식의 설치 구조에 따라 애자(200)를 설치하고, 가이드레일(120)이 형성된 제1애자구역(Z1)에서는 완철(100)에 클램프(210)를 감싸며 연결해서 애자(200')의 지지축대가 클램프(210)를 상하로 관통하여 고정되게 설치한다.
스크루부(500)는, 제1회전축대(511)를 따라 나사산(512)이 형성되고 완철(100)의 중공(110)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스크루(510)와, 스크루(5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대(530)와, 스크루(510)가 제1회전축대(511)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제1회전축대(511)에 동력을 가하는 스크루 구동모터(520)를 갖춘다. 도 5와 도 7을 참고하면, 축지지대(530)는 중공(11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서 스크루(510)를 중공(110) 하부에 배치한다. 스크루 구동모터(520)는 직류모터이므로, 전원부(P; 도 8 참고)의 극성 변화에 따라 제1회전축대(511)의 회전 방향이 조정된다. 결국, 스크루(510)에 구성된 나사산(512)의 회전 방향이 변하면서 이동자(400)의 이동 방향 또한 조정된다.
이동자(400)는, 본체 하부(401)와 본체 상부(402)와 캠(420)과 이동자 구동모터(470)와 토션스프링(430)을 갖춘다. 이동자(400)의 각 구성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체 하부(401)는 중공(110)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내설되고 제2회전축대(41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6의 (a)도면과 같이 본체 하부(401)는 중공(110)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설되며, 제2회전축대(41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본체 하부(401)에 이동자 구동모터(470)가 내설될 수 있다. 본체 하부(401)는 스크루부(500)에 직접적으로 간섭하지 않도록 중공(110)의 바닥면에서 이격되어 중공(110)의 상부에 위치한다.
본체 상부(402)는, 가이드레일(120)을 관통하여 본체 하부(401)와 일체를 이루고, 완철(100)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하도록 가이드레일(120)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확장된 폭을 이루며, 상면에 볼트유닛(640)이 삽입해 고정되는 너트홀(411)이 형성된다. 상기 구조로 인해 본체 하부(401)와 본체 상부(402) 사이에는 가이드레일(120)을 관통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완철(100)의 플랜지(101)가 삽입되는 홈부(412)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동자(400)는 가이드레일(120)을 따라 완철(100)을 이탈없이 슬라이딩 하면서 이동한다. 한편, 본체 상부(402)에는 볼트유닛(640)이 삽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너트홀(411)이 형성되므로, 복수 개의 이동자(400, 400') 중 하나(400)에는 조류차단기구(600)가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이동자(400')에는 다른 기능의 가공배전용 물품이 설치될 수 있다.
캠(420)은 제2회전축대(413)가 배치되고 하단에 나사산(512)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는 나선홈(422)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6의 (a)도면과 같이 캠(420)이 제2회전축대(413)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나선홈(422)이 스크루(510)의 나사산(512)과 분리되고, 도 6의 (b)도면과 같이 캠(420)이 제2회전축대(413)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나선홈(422)이 스크루(510)의 나사산(512)과 맞물린다. 나선홈(422)과 나사산(512)이 서로 맞물리면, 스크루(510) 회전시 나사산(512)은 나선홈(422)을 슬라이딩 하면서 랙 피니언 원리에 따라 캠(420)은 스크루(5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나사산(512)과 나선홈(422) 간의 지속적인 밀착을 위해 이동자 구동모터(470, 470')는 제2회전축대(413)에 동력을 지속적으로 가한다. 제2회전축대(413)는 이동자 구동모터(470, 470')의 동력으로 회전하지만, 본 실시 예에서 토션스프링(430)의 토크에 의해 회전하게 한다. 토션스프링(430)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다시 한다.
이동자 구동모터(470)는 나선홈(422)과 스크루(510)의 탈착을 위해 캠(420)이 제2회전축대(413)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제2회전축대(413)에 동력을 가한다. 이동자 구동모터(470)는 본체 하부(401)에 내설될 수도 있고, 본체 하부(401) 또는 본체 상부(402)의 외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토션스프링(430)은 이동자 구동모터(470)의 동력 상실 시 나선홈(422)이 스크루(510)와 분리되도록 제2회전축대(413)에 토크를 가한다. 즉, 이동자 구동모터(470)가 제2회전축대(413)에 더 이상의 동력을 가하지 않으면, 토션스프링(430)은 도 6의 (a)도면과 같이 제2회전축대(413)를 중심으로 캠(42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그 자세를 유지토록 토크를 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동자 구동모터(470)가 더 이상의 동력을 가하지 않아도 캠(420)의 나선홈(422)은 스크루(510)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동자(400)는 완철(100)에서 제 위치를 유지한다. 본 실시 예에서 토션스프링(430)의 일단은 캠(420)에 연결되고, 타단은 본체 하부(401)에 연결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지지장치의 통신체계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지지장치에 구성된 리모컨트롤러의 조작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지지장치에 구성된 원격신호 수신기(710)와 제어기(720)와 스위치(730) 및 리모컨트롤러(R)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원격신호 수신기(710)는 리모컨트롤러(R)의 원격신호를 수신한다.
제어기(720)는 상기 원격신호에 대응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스위치(730)는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스크루 구동모터(520)와 이동자 구동모터(470)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스크루 구동모터(520)와 이동자 구동모터(470, 470')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부(P)는 일반적인 직류 배터리일 수도 있고, 전신주(S)에 설치된 변압기(미도시함)의 출력전기를 정류한 것일 수도 있다. 이렇게 제공되는 전기에너지는 스위치(730)를 통해 각종 전자기기인 스크루 구동모터(520)와 이동자 구동모터(470, 470')에 배전되고, 해당 배전선의 개폐는 스위치(730)에 의해 이루어진다. 물론 스위치(730) 제어는 제어기(720)에 의해 이루어진다.
리모컨트롤러(R)는, 버튼 조작을 인식해서 해당하는 제어 대상 이동자의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제어대상 선택부(R1)와, 버튼 조작을 인식해서 제1회전축대(511)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도록 스크루 구동모터(520)에 대한 직류전원의 극성 제어를 위한 스위칭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방향 조작부(R2)와, 상기 식별코드와 스위칭신호를 원격신호로 변환하는 컨트롤러(R3)와, 상기 원격신호를 무선 발신하는 원격신호 발신기(R4)를 갖춘다.
이상의 구성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지지장치의 동작 순서를 설명한다.
작업자는 접지선(L2)이 장착된 조류차단기구(600)를 이동자(400)에 설치하고 지상에서 조류차단기구(600)의 위치를 잡도록 리모컨트롤러(R)를 이용해서 이동자(400)의 위치를 조정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조정 대상 이동자(400)를 선택하기 위해서 리모컨트롤러(R)의 제어대상 선택부(R1) 전용 버튼을 조작한다. 본 실시 예에서 작업자가 "1"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버튼의 식별코드가 생성되고 컨트롤러(R3)에서 식별코드를 원격신호로 변환하여 원격신호 발신기(R4)를 통해 무선 발신한다.
원격신호 수신기(710)를 통해 원격신호를 수신하고, 제어기(720)는 식별코드를 근거로 제어 대상 이동자(400)를 타깃으로 지정하여 이동자 구동모터(470)에 동력을 가하도록 스위치(730)를 제어한다. 따라서 이동자(400)의 캠(420)이 회동하여 나선홈(422)이 나사산(512)에 맞물린다.
이후, 작업자는 리모컨트롤러(R)의 제어대상 조작부(R2) 전용 버튼을 조작한다. 본 실시 예에서 작업자가 해당 버튼의 우측부분을 조작하면 해당하는 스위칭신호가 생성되고 컨트롤러(R3)에서 원격신호로 변환하여 원격신호 발신기(R4)를 통해 무선 발신한다.
원격신호 수신기(710)를 통해 원격신호를 수신하고, 제어기(720)는 스위칭신호를 근거로 스크루 구동모터(520)에 대한 직류전원의 극성을 제어하도록 스위치(730)를 제어해서 스크루(510)의 회전방향을 조정한다. 따라서 타깃으로 지정된 이동자(400)는 스크루(510)의 회전 방향에 맞춰 가이드레일(120)을 따라 이동한다. 본 실시 예에서 작업자가 제어대상 조작부(R2) 전용 버튼을 클릭한 상태를 유지하면, 스위칭신호가 지속적으로 생성되어 스위치(730)가 스크루 구동모터(520)에 전력을 인가하고, 작업자가 제어대상 조작부(R2) 전용 버튼의 클릭을 중단하면, 스위칭신호의 생성이 정지되어 스위치(730)가 스크루 구동모터(520)에 전력 인가를 중단한다. 결국 이동자(400)는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고 정지된다.
미설명한 도면부호 "M"은 이동자(200)와 완철(100)과 전신주(S)에 설치되어진 구성요소가 조합되어 이루는 어셈블리를 지칭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완철 110; 중공 120; 가이드레일
200, 200'; 애자 300; 피뢰부 310; 콘
320; 피뢰침 330; 전선몰딩 400, 400'; 이동자
401; 본체 하부 402; 본체 상부 411; 너트홀
412; 홈부 413; 제2회전축대 420; 캠
422; 나선홈 430; 토션스프링
470, 470'; 이동자 구동모터 500; 스크루부
510; 스크루 511; 제1회전축대 512; 나사산
520; 스크루 구동모터 530; 축지지대 600; 조류차단기구
610; 하우징 블록 620; 프로펠러 630; 지지축대
640; 볼트유닛 650; 프로펠러 구동모터 660; 동작감지센서

Claims (1)

  1. 완철(100)에 장착된 이동자(400)에 결속되고 단부에는 전원부(P)의 전력을 받도록 스위치(7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코드(641)를 갖춘 볼트유닛(640)과, 볼트유닛(640) 상에 연장 입설되는 지지축대(630)와, 지지축대(630) 상에 구성되는 하우징 블록(610)과, 하우징 블록(610)에 설치되고 주변에 동작대상을 인식해서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동작감지센서(660)와, 하우징 블록(610)에 내설되거나 하우징 블록(610)에 안착되는 프로펠러 구동모터(650)와, 프로펠러 구동모터(650)의 동력을 회전하는 프로펠러(620)를 갖춘 조류차단기구(600);
    중공(110)이 형성된 막대 형상을 이루고, 길이 방향을 따라 제1애자구역(Z1)과 이동구역(Z2)과 제2애자구역(Z3)으로 분할되며, 제1애자구역(Z1) 및 이동구역(Z2)의 상면에는 가이드레일(120)이 형성되어 전신주(S)에 설치되되, 제1애자구역(Z1)의 일측에서 이동자(400)의 삽입과 인출이 가능하도록 중공(110)과 가이드레일(120)이 개방된 완철(100);
    제1애자구역(Z1)에서 완철(100)의 둘레를 감싸며 연결되는 클램프(210)에 지지축대가 상하로 관통하며 고정되는 애자(200);
    제1회전축대(511)를 따라 나사산(512)이 형성되고 완철(100)의 중공(110)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스크루(510)와, 스크루(5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대(530)와, 스크루(510)가 제1회전축대(511)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제1회전축대(511)에 동력을 가하는 스크루 구동모터(520)를 갖춘 스크루부(500);
    중공(110)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내설되고 제2회전축대(41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본체 하부(401)와, 가이드레일(120)을 관통하여 본체 하부(401)와 일체를 이루고 완철(100)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하도록 가이드레일(120)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확장된 폭을 이루며 상면에 볼트유닛(640)이 삽입해 고정되는 너트홀(411)이 형성되되 너트홀(411)의 하단에는 수코드(641)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암포트(411a)가 구성되고 암포트(411a)는 전원부(P)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본체 상부(402)와, 제2회전축대(413)가 배치되고 하단에 나사산(512)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는 나선홈(422)이 형성된 캠(420)과, 나선홈(422)과 스크루(510)의 탈착을 위해 캠(420)이 제2회전축대(413)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제2회전축대(413)에 동력을 가하는 이동자 구동모터(470)와, 이동자 구동모터(470)의 동력 상실 시 나선홈(422)이 스크루(510)와 분리되도록 제2회전축대(413)에 토크를 가하는 토션스프링(430)을 갖춘 이동자(400);
    리모컨트롤러(R)의 원격신호를 수신하는 원격신호 수신기(710);
    상기 원격신호 및 감지신호에 대응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기(720);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스크루 구동모터(520)와 이동자 구동모터(470)와 프로펠러 구동모터(650)의 온오프를 제어하되, 상기 감지신호에 대응한 제어신호를 원격신호에 대응한 제어신호에 우선해서 스크루 구동모터(520)와 이동자 구동모터(470)와 프로펠러 구동모터(65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730); 및
    버튼 조작을 인식해서 해당하는 제어 대상 이동자의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제어대상 선택부(R1)와, 버튼 조작을 인식해서 제1회전축대(511)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도록 스크루 구동모터(520)에 대한 직류전원의 극성 제어를 위한 스위칭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방향 조작부(R2)와, 상기 식별코드와 스위칭신호를 원격신호로 변환하는 컨트롤러(R3)와, 상기 원격신호를 무선 발신하는 원격신호 발신기(R4)를 갖춘 리모컨트롤러(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접근 차단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KR1020230044103A 2023-04-04 2023-04-04 조류접근 차단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KR102590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4103A KR102590037B1 (ko) 2023-04-04 2023-04-04 조류접근 차단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4103A KR102590037B1 (ko) 2023-04-04 2023-04-04 조류접근 차단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0037B1 true KR102590037B1 (ko) 2023-10-17

Family

ID=88557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4103A KR102590037B1 (ko) 2023-04-04 2023-04-04 조류접근 차단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03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824B1 (ko) 2006-07-18 2006-10-23 주식회사 한국종합전기 전신주의 특고압 전류 처리를 위한 접지형 완금
KR100847359B1 (ko) * 2008-04-18 2008-07-21 이윤경 가공전선 접속형 배전함체 고정대
KR20110003727A (ko) * 2009-07-06 2011-01-13 이정미 조류퇴치장치
KR101053513B1 (ko) * 2011-04-29 2011-08-03 주식회사 탑이엔씨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연결 완금
KR102254652B1 (ko) * 2020-09-25 2021-05-21 주식회사 명신엔지니어링 가공배전라인 이탈 방지용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824B1 (ko) 2006-07-18 2006-10-23 주식회사 한국종합전기 전신주의 특고압 전류 처리를 위한 접지형 완금
KR100847359B1 (ko) * 2008-04-18 2008-07-21 이윤경 가공전선 접속형 배전함체 고정대
KR20110003727A (ko) * 2009-07-06 2011-01-13 이정미 조류퇴치장치
KR101053513B1 (ko) * 2011-04-29 2011-08-03 주식회사 탑이엔씨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연결 완금
KR102254652B1 (ko) * 2020-09-25 2021-05-21 주식회사 명신엔지니어링 가공배전라인 이탈 방지용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4401B2 (en) Apparatus and method pertaining to a pre-configured post for use with an automatically-movable barrier
KR102153719B1 (ko)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안전절연형 지지장치
EP3334888B1 (en) Passage barrier system
CN205428759U (zh) 一种开关柜后门联锁装置
KR102590037B1 (ko) 조류접근 차단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ITVI20120345A1 (it) Interruttore elettronico di sicurezza a cerniera
KR102301952B1 (ko) 배전용 전신주 배전선 장력 조절 시스템
CN104836122A (zh) 电动压板及其所应用的电动压板控制系统
KR20210057713A (ko)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
KR101613549B1 (ko) 배전계통운용 및 관리시스템
KR102583140B1 (ko) 조류 퇴치 기능이 마련된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KR102583139B1 (ko) 전주 설치용 다기능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DE102011078826B4 (de) Steuergerät einer Gebäudetür
KR102583141B1 (ko) 낙뢰로부터 안전보호가 가능한 안전성 향상 가공배전선 지지설비
CN210041090U (zh) 一种铠装移开式交流金属封闭开关柜
CN206040499U (zh) 一种高压中置式开关柜电动接地刀
CN101177987A (zh) 用于活动的建筑物部件、特别是可转动的窗或盖的操纵装置
CN103062473B (zh) 一种电动球阀
US4606486A (en) Tilt-box control system
EP3176354A1 (en) Actuating apparatus for sliding door
EP0774097B1 (en) A lifting device for the controlled vertical transfer of objects
DE102017207701B4 (de) Sicherheitsvorrichtung zur Überwachung eines Arbeitsraumes eines Roboters und Roboterarbeitsplatz mit einer solchen Sicherheitsvorrichtung
CN205936317U (zh) 人体感应防鼠装置
CN107332155B (zh) 一种应用于垂直排列导线上带电作业的绝缘飞车
CN212728584U (zh) 一种自感应开合式挡鼠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